KR100961489B1 - 철도신호용 열차분리 검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철도신호용 열차분리 검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1489B1
KR100961489B1 KR1020070130613A KR20070130613A KR100961489B1 KR 100961489 B1 KR100961489 B1 KR 100961489B1 KR 1020070130613 A KR1020070130613 A KR 1020070130613A KR 20070130613 A KR20070130613 A KR 20070130613A KR 100961489 B1 KR100961489 B1 KR 100961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n
information
vehicle
tail
rfid t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0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3317A (ko
Inventor
신덕호
신경호
윤용기
이재호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130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1489B1/ko
Publication of KR20090063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3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1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1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1L27/50Trackside diagnosis or maintenance, e.g. software upgrades
    • B61L27/57Trackside diagnosis or maintenance, e.g. software upgrades for vehicles or trains, e.g. trackside supervision of train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1L27/40Handling position reports or trackside vehicle dat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3/00Electric propulsion for monorail vehicles, suspension vehicles or rack railways;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 B60L13/04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61B13/08Sliding or levit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13/00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whee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00Devices along the route controlled by interaction with the vehicle or train
    • B61L1/02Electric devices associated with track, e.g. rail conta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210/00Vehicle systems
    • B61L2210/04Magnetic elevation vehicles [magle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3/00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 B61L23/08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for controlling traffic in one direction only
    • B61L23/14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for controlling traffic in one direction only automatically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5/00Recording or indicat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or setting of track apparatus
    • B61L25/02Indicating or record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 B61L25/04Indicating or recording train ident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3/00Devices along the route for controlling devices on the vehicle or train, e.g. to release brake or to operate a warning signal
    • B61L3/16Continuous control along the rou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신호용 열차분리 검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선두차량에 차상제어기가 구비되는 열차의 마지막 후미차량에 구비되는 열차후미정보 발생수단과, 열차가 이동하는 선로의 일측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구비되어 상기 열차후미정보 발생수단을 감지하는 열차후미정보 감지수단과, 상기 차상제어기로부터 선두차량의 위치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열차후미정보 감지수단으로부터 후미차량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열차의 분리유무를 판정하는 지상제어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로상에 선행하는 열차의 차량이 분리가 일어나더라도 그 후미차량의 위치를 감지하여 이를 후행하는 열차의 차상제어기에 전송하여 안전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선행하는 열차와 후행하는 열차 사이의 충돌을 예방하여 주는 효과가 있다.
Figure R1020070130613
열차, 분리, 충돌, RFID

Description

철도신호용 열차분리 검지 시스템 { train separated detecting system for railroad signal }
도 1은 기존 궤도회로를 사용하지 않는 철도신호의 열차검지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2는 기존 궤도회로를 사용하지 않는 철도신호의 선행 열차에서 일부 열차가 분리되어 후행열차와 충돌하는 시나리오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신호용 열차분리 검지 시스템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신호용 열차분리 검지 시스템을 이용한 열차검지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신호용 열차분리 검지 시스템에 의한 선행열차 분리에 대한 후행열차 충돌 방지 시나리오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200: 열차 101,201: 선두차량
102,202: 후미차량 301,302: 차상제어기
400: 열차후미정보 발생수단 401: RFID태그
410: 열차후미정보 감지수단 411: RFID태그 검지기
500: 지상제어기 600: 열차후미 검지제어기
본 발명은 철도신호용 열차분리 검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열차의 위치를 파악하여 선행열차와 후행열차간의 간격 제어를 안전하게 수행함과 동시에 열차의 분리 유무를 신속하게 검지하여 분리가 일어난 경우 후행열차와의 충돌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철도신호용 열차분리 검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정한 레일을 따라 운행하며 사람 또는 물건을 운반하는 열차는 다수의 객차 또는 화차가 연결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은 열차는 그 열차 위치를 검지함으로써 열차간의 간격을 제어하고 선행열차와 후행열차의 충돌 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열차의 위치를 검지하는 것은 열차가 정차하는 역과 역 사이에서는 열차의 간격을 제어하기 위해서 필요하고, 역내에서는 열차의 진로를 제어하기 위해 요구되는 가장 중요한 정보이다.
이러한 열차의 위치정보는 일정한 구간에 직류 또는 교류를 인가하여 열차의 차륜에 의한 폐쇄회로의 구성으로 특정 구간 내에 열차가 도착하였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궤도회로를 사용하여 수집하였다.
따라서, 일반적인 궤도회로 방식의 열차위치 검지를 이용한 기존의 열차진로제어시스템은 열차가 일정 구간 내에 도착하였는지를 검지하기 위한 궤도회로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열차가 이동하는 선로를 적정 길이당 절연개소로 분할하여 열차의 차륜(車輪)과 함께 폐루프(closeed loop)를 형성하도록 하고, 궤도회로에서는 특정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레일로 송신하여 되돌아오는 신호의 상태에 따라 열차의 선로 점유여부를 검지하여 그 결과를 궤도회로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궤도계전기의 접점을 전환시켜 연동장치로 전송하며, 그에 따라 연동장치에서는 궤도계전기의 스위칭상태에 따라 열차의 선로 점유여부를 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연동장치는 선로가 분기되는 역이나 건널목 등에서 안전한 열차운행을 확보토록 신호기, 선로전환기, 궤도회로 등을 상호연동시켜 사고를 미연에 예방하고 취급자의 실수시에도 열차를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장치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궤도회로는 열차가 운행되는 모든 구간에 걸쳐 설치 운영하는 경우 그 유지보수에 막대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이와 같은 궤도회로를 사용하지 않는 자기부상열차와 고무차륜열차 등의 위치를 검지하여 열차 간격을 제어하는 방식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열차(10,20)의 선두차량(12,22)에 설치되어 열차(10,20)의 운행을 감시 및 제어하는 차상제어기(30,32)가 다수의 열차(10,20)의 운행상태를 종합적으로 감시 및 제어하는 지상제어기(40)로 열차(10,20)에 관한 고유정보, 현재 위치 및 열차의 길이에 관한 정보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지상제어기(40)는 후행하는 열차(20)의 선두차량(22)의 차상제어기(32)에 선행하는 열차(10)의 논리적인 점유구간(L1)과, 선행하는 열차(10) 및 후행하는 열차(20)간의 충돌로부터 후행하는 열차(20)를 보호하기 위한 거리인 안전마진(L2)을 합산한 이동권한의 종단(P)에 관한 정보를 전송한다.
따라서, 후행하는 열차(20)의 선두차량(22)에 설치된 차상제어기(32)가 지상제어기(40)로부터 후행하는 열차(20)의 이동권한에 관한 종단(P)정보를 수신하면, 이동권한 종단(P) 위치까지의 열차(20)의 제동 특성을 고려하여 후행하는 열차(20)의 과속(過速)을 방지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성과 같이 궤도회로 없이 선행하는 열차(10)의 위치를 파악하여 후행하는 열차(20)의 이동권한을 보호하는 경우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행하는 열차(10)의 일부 차량(13,14)의 연결부위(13a,14a)의 파손으로 인해 열차(10)가 분리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선행하는 열차(10)의 선두차량(12)으로부터 일부 차량(13,14)이 분리되는 경우 선두차량(12)을 제외한 분리된 일부 차량(14)에는 차상제어기(30)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지상제어기(40)에서는 선행하는 열차(10)의 분리된 일부 차량(14)의 위치를 추적할 수 없다.
따라서, 지상제어기(40)는 선행하는 열차(10)의 분리전 길이를 근거로 후행 하는 열차(20)에 이동권한의 종단(P)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게 되어 후행하는 열차(20)와 선행하는 열차(10)의 분리된 열차(14)와 충돌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열차(10,12)간 충돌사고는 많은 인명과 재산의 피해를 야기하게 되며, 특히 충돌사고로 인한 열차의 탈선이 일어나는 경우 그 복구를 위한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열차의 분리 여부를 신속히 검지하여 선행 열차에서 분리된 열차와 후행열차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열차의 분리 여부를 검지하는 철도신호용 열차분리 검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기부상열차와 고무차륜열차 등과 같이 궤도회로를 사용하지 않는 열차에 적용하여 신속하게 그 분리 여부를 검지하여 선행 열차와 후행열차의 충돌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철도신호용 열차분리 검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간단하게 설치하여 열차의 분리 유무를 신속하게 확인하고 사고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철도신호용 열차분리 검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선두차량에 차상제어기가 구비되는 열차의 후미차량에 구비되는 열차후미정보 발생수단과, 열차가 이동하는 선로의 일측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구비되어 상기 열차후미정보 발생수단을 감지하는 열차후미정보 감지수단과, 상기 차상제어기로부터 선두차량의 위치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열차후미정보 감지수단으로부터 후미차량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열차의 분리유무를 판정하는 지상제어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지상제어기는 상기 열차후미정보 감지수단의 열차후미정보를 수집하는 열차후미 검지제어기로부터 수집된 열차의 열차후미정보를 전송받아 후행하는 열차의 차상제어기로 선행하는 열차의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차후미정보 발생수단은 후미차량에 RFID태그를 구비하여서 이루어지고, 상기 열차후미정보 감지수단은 열차가 통과하는 선로 일측 지상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설치되는 다수의 RFID태그 검지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RFID태그 검지기의 설치간격은 선행하는 열차가 분리되는 경우 후행하는 열차의 방호를 위한 가상의 폐색간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RFID태그는 후미차량의 일측에 설치되되, 자유롭게 취부 할 수 있는 수동방식의 RFID태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RFID태그 검지기는 상기 RFID태그에서 방사되는 고유정보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안테나부와, 상기 안테나부에 의해 무선 수신된 RFID 태그의 고유정보를 디코딩하는 RFID엔진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열차는 자기부상열차 또는 고무차륜열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철도신호용 열차분리 검지 시스템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신호용 열차분리 검지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신호용 열차분리 검지 시스템을 이용한 열차검지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신호용 열차분리 검지 시스템에 의한 선행열차 분리에 대한 후행열차 충돌 방지 시나리오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3 및 도 4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철도신호용 열차분리 검지 시스템은 자기부상열차와 고무차륜열차 등과 같은 궤도회로를 사용하지 않고 열차(100)의 후미차량(102) 위치를 파악하여 후행하는 열차에 전송하여 줌으로써 후행하는 열차(200)의 과속 및 충돌을 방지하면서, 선행하는 열차(100)와 후행하는 열차(200)간의 간격 제어를 안전하게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자기부상열차와 고무차륜열차 등은 그 열차(100,200)의 선두차 량(101,201)에만 차상제어기(301,302)가 설치되므로 특히 선행하는 열차(100)의 선두차량(101)에서 그 후단 일부 열차의 분리가 발생하는 경우 후행하는 열차(200)와 충돌할 수 있는 위험이 존재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선행하는 열차(100)의 마지막 후미차량(102)에 열차후미정보 발생수단(400)을 구비하고, 선로의 일측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열차후미정보 감지수단(410)을 구비한다.
물론, 상기 열차후미정보 감지수단(410)은 모든 선로 구간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설치 운영할 수 있으나, 위험 구간 등과 같은 특정지역에만 설치함으로써 그 시스템의 초기 설치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편으로 열차(100)의 분리가 잘 이루어질 수 있는 특정구간에만 설치 운영함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선행하는 열차(100) 또는 후행하는 열차(200)가 선로 상에 이동하는 경우 그 선행하는 열차(100) 또는 후행하는 열차(200)의 위치 및 길이 정보는 각각의 선두차량(101,201)에 설치운영되는 차상제어기(301,302)에서 최종적으로 지상제어기(500)로 전송된다.
또한, 상기 선행하는 열차(100) 또는 후행하는 열차(200)의 후미차량(102,202)에 구비되는 열차후미정보 발생수단(400)의 열차후미정보는 상기 열차후미정보 감지수단(410)에서 감지되어 상기 지상제어기(500)로 전송된다.
이때, 상기 차상제어기(301,302)와 지상제어기(500)간의 정보 전송은 무선방식으로 운영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열차후미정보 감지수단(410)과 상기 지상제어기(500)간의 정보 전송은 유선 또는 무선 방식을 선택적으로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열차후미정보 감지수단(410)은 상기 열차후미정보 감지수단(410)의 열차후미정보를 수집하는 열차후미 검지제어기(600)를 이용하여 수집된 해당 열차(100)의 열차후미정보를 지상제어기(500)로 전송하여 후행하는 열차(200)의 운행을 제어하는 정보로 활용하게 된다.
한편, 상기 열차후미정보 발생수단(400)은 선행하는 열차(100) 뿐만 아니라 후행하는 열차(200)의 후미차량(202)에도 설치 운영함으로써 연속적인 감시 및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은 당연하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열차후미정보 발생수단(400)에서 발생되는 열차후미정보가 열차후미정보 감지수단(410)에서 감지되면, 상기 열차후미정보는 상기 지상제어기(500)로 입력되어 그 선행하는 열차(100)를 구성하는 선두차량(101)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선행하는 열차(100)의 분리여부를 판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선행하는 열차(100)의 분리로 판정되는 경우 그와 같은 정보를 동일한 선로를 따라 그 후측에서 이동하는 후행하는 열차(200)의 차상제어기(302)로 전송하여 줌으로써 서행 또는 정지를 유도하여 선행하는 열차(100)와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열차(100,200)의 후미차량(102,202)에 설치되는 열차후미정보 발생수단(400)과, 지상에 설치되는 열차후미정보 감지수단(410)은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로 이루어지는 적외선센서, 열차가 지나가는 경우 발생되는 소음으로 인해 공기중에 발생되는 음파를 감지하는 음파감지센서, 열차의 이동으로 인해 선로 주변에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하기 위한 진동센서 등의 다양한 수단으로 구현할 수 있으나, 그 설치 운영의 효율성을 위해 RFID방식을 이용하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열차후미정보 발생수단(400)은 열차(100,200)의 마지막 차량인 후미차량(102,202)에 RFID태그(401)를 부착하여서 이루어지고, 상기 열차후미정보 감지수단(410)은 열차(100,200)가 통과하는 선로의 일측에 상기 RFID태그(401)를 인식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다수의 RFID태그 검지기(411)를 구비하여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RFID태그(401)는 열차(100,200)의 고유정보를 가지고 있어 이를 무선으로 방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RFID태그(401)는 열차(100,200)의 마지막 차량인 후미차량(102,202)의 일측에 설치되되,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한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열차조성 및 분리시에 입환작업을 수행하는 철도 운영자가 열차(100,200)의 후미 즉, 후미차량(102,202)에 자유롭게 취부 할 수 있도록 별도의 전원이나 정보가 필요없는 수동방식의 RFID태그를 이용하게 된다.
특히, 상기 수동방식의 RFID태그는 카드(Card) 타입으로 구성하여 상기 후미차량(102,202)의 차체 일측에 상기 카드(Card) 타입의 RFID태그(401)를 지지하여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수동방식의 RFID태그를 사용하는 경우 화물 열차와 같이 입환을 통해 역구내에서 잦은 열차(100,200)의 분리 및 연결이 이루어지는 경우 열차 후미의 표시를 전원이나 별도의 제어신호가 필요 없이 수동 RFID태그를 그대로 사용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한편, 상기 RFID태그 검지기(411)는 공지(公知)의 구성요소로서, 상기 RFID태그(401)에서 방사되는 고유정보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안테나부와, 상기 안테나부에 의해 무선 수신된 RFID 태그(401)의 고유정보를 디코딩(decoding)하는 RFID엔진부로 이루어져 이와 같은 정보를 지상제어기(500)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상기 RFID태그 검지기(411)는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다수가 설치될 수 있으므로, 특정 구간별로 이들 RFID태그 검지기(411)로부터 수신되는 고유정보를 구간별로 수집하여 지상제어기(500)로 전송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다수의 RFID태그 검지기(411)가 감지하는 RFID태그(401)의 고유정보를 수집하는 열차후미 검지제어기(600)가 더 구비되며, 그 열차후미 검지제어기(600)에서는 이와 같이 수집된 RFID태그(401)의 고유정보를 지상제어기(500)로 전송하여 열차의 운행을 제어하게 된다.
한편, 상기 열차(100,200)가 이동하는 선로의 일측, 즉 지상(地上)에 일정구간마다 설치되는 RFID태그 검지기(411)는 후미차량(102)에 설치된 RFID태그(401)의 고유정보인 열차후미정보를 열차후미 검지제어기(60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열차후미정보는 해당 열차(100)에 관한 열차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어떤 열차(100)가 분리되었고 어느 지점을 통과하였는지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RFID태그 검지기(411)의 설치간격은 선행하는 열차(100)가 분리되는 경우 후행하는 열차(200)의 방호를 위한 가상의 폐색간격이 된다.
이때, 지상에 설치되는 각각의 RFID태그 검지기(411)에서 수집된 열차(100)의 후미차량(102)의 통과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열차후미정보는 열차후미 검지제어 기(600)로 수집되어 지상제어기(500)로 전송된다.
이때, 상기 지상제어기(500)는 열차후미 검지제어기(600)로부터 수집된 열차(100)의 후미 통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열차후미정보와 선행하는 열차(100)의 선두차량(101)에 구비되는 차상제어기(300)로부터 수신한 선행열차길이정보와 비교하여 후행하는 열차(200)에 대한 이동권한 종단(P)의 산출시에 고려하여, 선행하는 열차(100)가 분리되는 경우 선행하는 열차(100)의 선행열차 논리적 점유구간에 열차후미를 검지하는 RFID태그 검지기(411)가 확보한 안전거리 및 기존의 안전마진을 포함하여 후행하는 열차(200)의 선두차량(201)에 구비되는 차상제어기(302)로 전송하여 안전 운행이 가능해지도록 한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철도신호용 열차분리 검지 시스템의 정상 구동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신호용 열차분리 검지 시스템은 열차(100,200)의 후미차량(102,202)에 구비되는 열차후미정보 발생수단(400)인 RFID태그(401)와, 열차(100,200)의 후미차량(102,202)에 설치되는 RFID태그(401)를 검지하기 위한 열차후미정보 감지수단(410)인 RFID태그 검지기(411)와, RFID태그 검지기(411)의 열차후미정보를 수집하여 지상제어기(500)로 열차(100,200)의 통과지점을 보고하는 열차후미 검지제어기(600)로 구성됨은 전술한 바 있다.
한편, 상기 열차(100,200)가 이동하는 선로의 일측, 즉 지상(地上)에 일정구간마다 설치되는 RFID태그 검지기(411)는 후미차량(102,202)에 설치된 RFID태 그(401)의 고유정보인 열차후미정보를 열차후미 검지제어기(60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열차후미정보는 해당 열차(100)에 관한 열차의 고유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어떤 열차(100)가 분리되었고 어떤 열차가 해당 지점을 통과하였는지를 판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선행하는 열차(100)가 이동하는 경우 이동 중인 열차(100)의 선두차량(101)에 구비되는 차상제어기(301)는 열차의 위치 정보 및 열차길이정보를 지상제어기(500)로 전송하게 된다.
한편, 상기 열차(100)의 후미차량(102)이 RFID태그 검지기(411)의 RFID태그 검지범위(Q)에 근접하게 되면, 상기 RFID태그(401)의 열차후미정보를 감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열차후미정보는 현재 이동중인 열차(100)의 고유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어느 열차(100)의 후미차량(102)이 통과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열차(100)의 통과에 따라 지상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설치되는 상기 RFID태그 검지기(411)는 상기 열차후미정보를 상기 열차후미 검지제어기(600)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열차후미 검지제어기(600)는 다수의 RFID태그 검지기(411)의 열차후미정보를 수집하며 실시간(real time)으로 지상제어기(500)로 전송하게 된다.
한편, 상기 지상제어기(500)는 선행하는 열차(100)의 통과로 인해 RFID태그 검지기(411)에서 검지된 열차후미정보와, 선두차량(101)에 구비되는 차상제어기(301)로부터 전송되는 열차(100)의 위치 정보 및 열차길이정보를 비교하여 열 차(100)가 어느 한곳에서 분리되었는지를 판별하게 되며 가상의 폐색구간 내에서 열차후미정보가 검지된 경우 정상 운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때, 열차길이정보는 열차의 길이정보와 그에 따른 후행하는 열차(200)와의 안전거리 확보를 위한 이동권한의 마진 정보를 후행하는 열차(200)의 차상제어기(302)로 전송하여 후행하는 열차의 차간 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
한편, 선행열차의 분리가 일어난 경우의 본 발명에 따른 철도신호용 열차분리 검지 시스템의 구동 예를 도 3 및 도 5를 참고로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열차가 계속적으로 이동하던 중에 상기 선행하는 열차(100)는 다수의 객차 또는 화차 등이 연속적으로 연결된 상태이지만, 중간의 어느 차량(105,106)이 분리되는 경우 선두차량(101)과 후미차량(102)이 서로 멀어지게 되어 지상제어기(500)가 판단하게 되는 선행 열차(100)의 논리적 점유구간(L1)과 일치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열차(100)가 분리된 상태로 운행되는 경우 선두차량(101)의 열차길이정보가 차상제어기(301)로부터 지상제어기(500)로 전송되고, 후미차량(102)에 설치된 RFID태그(401)로부터 RFID태그 검지기(411)에서 검지된 후미차량(102)의 후미차량정보가 열차후미 검지제어기(600)로부터 지상제어기(500)로 입력되면, 지상제어기(500)는 열차(100)의 위치 정보 및 열차길이정보를 비교하여 열차(100)가 어느 한곳에서 분리되었는지를 판별하게 되며 가상의 폐색구간을 벗어나서 열차후미정보가 검지된 경우 열차(100)의 분리가 일어난 것으로 판단한다.
이와 같이 열차(100)의 분리가 일어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지상제어기(500)는 후미차량(102)에 설치된 RFID태그(401)의 고유정보인 열차후미정보에 분리된 열차(100)가 존재하는 논리적인 폐색 구간으로 후행하는 열차(200)가 진입하지 못하도록 후미차량(102)의 위치에 안전마진(L2)을 합산한 거리인 이동권한의 종단(P)에 관한 정보를 후방 열차(200)의 차상제어기(301)에 전송한다.
이에 따라 후행하는 열차(200)의 차상제어기(302)는 이동권한에 관한 종단(P)정보를 수신하면, 이동권한 종단(P) 위치까지의 후행하는 열차(200)의 제동 특성을 고려하여 후행하는 열차(200)의 과속을 방지하도록 운행하여 선행하는 열차(100)의 후단차량(102)과 후행하는 열차(200)의 선두차량(201)이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선로상에 선행하는 열차의 차량이 분리가 일어나더라도 그 후미차량의 위치를 감지하여 이를 후행 하는 열차의 차상제어기에 전송하여 안전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선행하는 열차와 후행하는 열차 사이의 충돌을 예방하여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후미차량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구성을 간단히 하고 그 설치가 용이한 구성을 취함에 따라 화물열차 등과 같이 차량간 분리 및 연결이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열차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8)

  1. 선두차량에 차상제어기가 구비된 열차의 후미차량에 구비되는 열차후미정보 발생수단과,
    열차가 이동하는 선로의 일측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구비되어 상기 열차후미정보 발생수단을 감지하는 열차후미정보 감지수단과,
    상기 차상제어기로부터 선두차량의 위치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열차후미정보 감지수단으로부터 후미차량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열차의 분리유무를 판정하는 지상제어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신호용 열차분리 검지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상제어기는 상기 열차후미정보 감지수단의 열차후미정보를 수집하는 열차후미 검지제어기로부터 수집된 열차의 열차후미정보를 전송받아 후행하는 열차의 차상제어기로 선행하는 열차의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신호용 열차분리 검지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차후미정보 발생수단은 후미차량에 RFID태그를 구비하여서 이루어지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신호용 열차분리 검지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차후미정보 감지수단은 열차가 통과하는 선로 일측 지상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설치되는 다수의 RFID태그 검지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신호용 열차분리 검지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RFID태그 검지기의 설치간격은 선행하는 열차가 분리되는 경우 후행하는 열차의 방호를 위한 가상의 폐색간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신호용 열차분리 검지 시스템.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RFID태그는 후미차량의 일측에 설치되되, 자유롭게 취부 할 수 있는 수동방식의 RFID태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신호용 열차분리 검지 시스템.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RFID태그 검지기는 RFID태그에서 방사되는 고유정보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안테나부와, 상기 안테나부에 의해 무선 수신된 RFID 태그의 고유정보를 디코딩하는 RFID엔진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신호용 열차분리 검지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차는 자기부상열차 또는 고무차륜열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신호용 열차분리 검지 시스템.
KR1020070130613A 2007-12-14 2007-12-14 철도신호용 열차분리 검지 시스템 KR100961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0613A KR100961489B1 (ko) 2007-12-14 2007-12-14 철도신호용 열차분리 검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0613A KR100961489B1 (ko) 2007-12-14 2007-12-14 철도신호용 열차분리 검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3317A KR20090063317A (ko) 2009-06-18
KR100961489B1 true KR100961489B1 (ko) 2010-06-08

Family

ID=40992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0613A KR100961489B1 (ko) 2007-12-14 2007-12-14 철도신호용 열차분리 검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14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196B1 (ko) * 2010-01-08 2012-04-1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열차분리 감지 시스템
KR101029271B1 (ko) * 2010-02-08 2011-04-18 현대로템 주식회사 선로 전환기 제어 시스템
KR101130437B1 (ko) * 2010-12-09 2012-04-02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열차 길이 산출 시스템 및 방법
KR101396570B1 (ko) * 2011-12-08 2014-05-20 곽영규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철도 차량 간 분리 감지 시스템 및 방법
CN104442927B (zh) * 2013-10-24 2017-04-26 上海宝信软件股份有限公司 基于rfid的轨道交通列车定位方法
CN104002837B (zh) * 2014-06-11 2017-01-04 上海工程技术大学 一种基于rfid的轨道交通列车自动记点及定位系统
CN106143538B (zh) * 2016-07-06 2017-08-22 兰州交通大学 一种利用双移动台的基于lte‑r的列车定位方法
CN107215356A (zh) * 2017-05-18 2017-09-29 王德旺 双轨道有轨交通防追尾的全新方法及其机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3317A (ko) 2009-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1489B1 (ko) 철도신호용 열차분리 검지 시스템
JP6296676B2 (ja) 列車制御システム
US11235789B2 (en) Train control system and train control method including virtual train stop
KR102132362B1 (ko) 차상제어장치와 연동되는 철도신호장치
CN110730742B (zh) 运行有轨交通系统的方法
EP1037788A1 (en) Railways means anti-collision and anti-derailment safety system
CN111016968B (zh) 双应答器联合防护的rm模式闯红灯安全防护系统及方法
KR101357806B1 (ko) 열차 무결성 모니터링 시스템
CN106103236A (zh) 用于轨道车辆再定位的方法和配置系统
CN211642165U (zh) 列车障碍物与脱轨检测系统、检测装置及轨道列车
KR101049176B1 (ko) 열차 정위치 정차 장치
KR101221843B1 (ko) 무선통신기반 열차제어시스템의 열차 무결성 확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29516B1 (ko) 궤도차량 위치 검지 시스템
CN110667648B (zh) 基于rfid技术的单轨系统用手动驾驶辅助系统及其方法
KR101339351B1 (ko) 열차위치 보조 검지 장치를 활용한 열차 제어 시스템 및 열차의 방호 방법
KR100809880B1 (ko) 열차 승강장의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KR20070063646A (ko) 열차탈선방지장치
KR100815470B1 (ko) 열차탈선 사고 시 무선통신기반 열차제어시스템의 충돌사고방지장치
CN105848985A (zh) 轨道车辆的控制
JP6105239B2 (ja) Ats装置
KR101089114B1 (ko) 승강장 영상정보를 이용한 열차비상정지용 차상 제어 시스템
KR101370413B1 (ko) Atc 모드에서의 열차 과주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100638679B1 (ko) 무선 통신을 이용한 철도 차량의 건널목 정시간 제어시스템
CN108706020B (zh) 安全装置、轨道车辆、维护车辆安全的方法及计算机程序
KR20190019697A (ko) 노면전차의 교통사고 방지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