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9289B1 - 차량의 가속 페달 - Google Patents

차량의 가속 페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9289B1
KR101449289B1 KR1020130059454A KR20130059454A KR101449289B1 KR 101449289 B1 KR101449289 B1 KR 101449289B1 KR 1020130059454 A KR1020130059454 A KR 1020130059454A KR 20130059454 A KR20130059454 A KR 20130059454A KR 101449289 B1 KR101449289 B1 KR 101449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vibration
cover
accelerator pedal
vibration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9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식
김범준
양희수
최지혁
조양래
민정선
송영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동희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동희산업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9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9289B1/ko
Priority to US13/960,363 priority patent/US20140345415A1/en
Priority to CN201310375633.6A priority patent/CN104175878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9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9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05G1/44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pivot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5/00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 G05G5/03Means for enhancing the operator's awareness of arrival of the controlling member at a command or datum position; Providing feel, e.g. means for creating a counterfor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528Foot operated
    • Y10T74/20534Accele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운전자에 의한 답력이 가해지는 패드와, 패드에 대응되게 결합되는 커버와, 패드와 커버 사이에 구비되어 전기신호에 의해 진동되는 진동발생부와, 진동발생부의 진동을 패드의 전체 면에 전달하기 위해, 패드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되는 진동전달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가속 페달이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의 가속 페달{ACCELERATOR PEDAL OF VEHICLE}
본 발명은 전기신호의 인가시 패드 전체에 진동을 고르게 전달하여 운전자에게 좋은 필링과 함께, 명확한 알림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의 가속 페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가속페달 장치는 가솔린 엔진에서는 혼합기의 흡입량을 조절하고, 디젤 엔진에서는 연료의 분사량을 조절하여 엔진의 회전수를 조정한다.
이 가속페달 장치는 장착구조에 따라 대시패널에 매달아 설치하는 펜던트 타입(pendanttype)과, 플로어패널에 설치하는 오르간 타입(organ type)이 있다.
현재 널리 사용하고 있는 가속페달 장치는 가속케이블을 통해 기화기내의 스로틀 밸브를 개폐하여, 연소량을 조절하는 기계식 가속페달 장치가 주를 이루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엔진 및 주변장치에 가해지는 각종 제어를 전자식으로 변환시킨 전자식 가속페달 장치가 개발되기도 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모터 차량의 가속기 페달(특허공개공보 10-2007-0000345호)"가 참고될 수 있다.
이 종래 기술의 경우, 일반 모드에서 운전자가 패드를 밟게 되면, 클러치 디스크가 회전하여 가속케이블에 연결된 스프링이 답력을 형성하고, 센서에서 회전량을 감지하여 가속 페달 신호를 ECU에 보낸다. 이때, ECU 모드에서는 스테이터가 전자석이 되어 극성을 가지게 되고, 로터가 회전하여 클러치 디스크의 회전을 방해하는 힘을 제공함에 따라, 운전자는 답력을 느껴 패드에서 발을 떼게 되고, 이를 통해 연비 절감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가속기 페달의 구조가 복잡하고 부품수를 과다하게 사용하므로, 제품의 원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고, 로터와 클러치 디스크가 떨어지고 붙게 되는 구조로 인해 소음이 발생되기도 한다.
US2007-0000345A
본 발명은 전기신호의 인가시 패드 전체에 진동을 고르게 전달할 수 있는 차량의 가속 페달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가속 페달은, 운전자에 의한 답력이 가해지는 패드; 상기 패드에 대응되게 결합되는 커버; 상기 패드와 상기 커버 사이에 구비되어 전기신호에 의해 진동되는 진동발생부; 및 상기 진동발생부의 진동을 상기 패드의 전체 면에 전달하기 위해, 상기 패드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되는 진동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전달부는 상기 진동발생부가 안착되는 진동케이스와, 상기 패드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진동케이스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이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전달부는 상기 진동발생부에 적어도 일부가 접촉되어 상기 패드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진동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드는 상기 답력이 직접 가해지는 외측 패드와, 상기 외측 패드의 이면에 배치되는 내측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진동발생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내측 패드에 밀착되는 내측 커버와, 상기 내측 커버의 이면에 배치되는 외측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 패드 및 내측 커버는 방음 및 이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탄성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전기신호를 상기 진동발생부에 전달하기 위한 와이어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링은 상기 답력에 의한 상기 패드의 회동 부위에서 굴곡되는 굴곡부와, 상기 굴곡부에서 겹쳐지도록 꺾이는 꺾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의 가속 페달에 따르면, 차량 내 제어기에 의한 전기신호 인가시, 가속 페달의 패드 전체에 진동을 고르게 전달함으로써, 운전자에게 좋은 필링과 명확한 알림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가속 페달에서의 진동 구조를 단순화함으로써, 진동의 작동시간을 줄일 수 있고, 나아가 잔진동 및 고주파 진동 모드로의 구현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아울러, 종래 스테이터와 로터 간의 작동시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운전자에게 쾌적한 운전환경을 제공할 수 있고, 운전자의 피로감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가속 페달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가속 페달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가속 페달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가속 페달을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가속 페달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가속 페달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가속 페달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가속 페달을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가속 페달을 도시한 측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가속 페달에 대하여 살펴본다.
본 발명의 차량의 가속 페달은, 차량 내 제어기(ECU, HCU, 기타 유니트...)로부터 전기신호를 인가받아, 패드 전체에 진동을 고르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가속 페달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가속 페달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가속 페달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가속 페달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속 페달은, 패드(100), 커버(200), 진동발생부(300) 및 진동전달부(4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가속 페달은 운전자의 답력을 가속케이블(미도시)에 전달하기 위해, 가속케이블(미도시)에 연결된 페달 아암(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오르간 타입이 적용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펜던트 타입, 펜던트 오르간 타임 또는 박스형 오르간 타입 등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패드(100)는 운전자에 의해 직접적인 답력이 가해지는 부분으로, 이 패드(100)에 가해진 답력은 페달 아암(10)을 통해 가속케이블에 전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패드(100)의 상단부에는 가속케이블이 연결된 페달 아암(10)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패드(100)의 하단부는 커넥터(600)를 이용하여 운전석 하부의 플로어패널(미도시)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패드(100)는 답력이 직접 가해지는 외측 패드(100a)와, 외측 패드(100a)의 이면에 배치되는 내측 패드(100b)를 포함한다. 외측 패드(100a)는 가속 페달의 전면 외측을 구성하며, 후술하는 외측 커버(200a)에 결합된다. 그리고 외측 패드(100a)의 전면에는 운전자의 슬립 방지를 위한 패드리브(110)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돌출된다.
또한, 내측 패드(100b)는 방음 및 이음을 줄이기 위해 고무(rubber)와 같은 탄성부재로 구성된다. 그리고 내측 패드(100b)의 양측부에는 후술하는 내측 커버(200b)의 걸림턱(230)이 끼워지는 걸림홈(120)이 형성된다.
이 패드(100)의 이면에는 진동발생부(300) 및 진동전달부(400)를 사이에 두고 커버(200)가 결합된다.
커버(200)는 패드(100)의 이면에서 대응되게 결합되고, 페달 아암(10)의 단부가 삽입되는 관통홀(210)이 형성된다. 관통홀(210)은 페달 아암(10)이 유동 가능한 충분한 여유공간이 제공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 커버(200)는 내측 패드(100b)에 밀착되는 내측 커버(200b)와, 내측 커버(200b)의 이면에 배치되는 외측 커버(200a)를 포함한다. 외측 커버(200a)는 가속 페달의 이면 외측을 구성하며, 외측 패드(100a)에 결합된다.
또한, 내측 커버(200b)는 내측 패드(100b)에 밀착되게 결합되고, 고무(rubber)와 같은 탄성부재로 구성된다. 그리고 내측 커버(200b)의 양측부에는 내측 패드(100b)의 걸림홈(120)에 끼워지는 걸림턱(230)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아울러, 내측 커버(200b)의 전면에는 진동발생부(300) 및 진동전달부(400)가 안착되는 안착홈(220)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홈(220)은 진동발생부(300) 및 진동전달부(400)의 형상에 대응되는 홈 구조로 형성된다. 예컨대, 이들 진동발생부(300) 및 진동전달부(400)는 내측 커버(200b)에서 돌출되지 않는 매립되는 형태로 배치된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는 진동발생부(300) 및 진동전달부(400)가 내측 커버(200b)의 전면에 매립되는 구조로 설명하였지만, 이 진동발생부(300) 및 진동전달부(400)는 내측 커버(200b)에 접하는 내측 패드(100b)에 매립되거나, 내측 커버(200b)와 내측 패드(100b)에 적어도 일부가 매립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진동발생부(300)는 차량 내 제어기(ECU, HCU, 기타 유니트...)로부터 전기신호를 인가받아 진동되며, 패드(100)와 커버(200) 사이에 마련된다. 예를 들어, 운전자가 과도하게 가속 페달을 가압하여 답력이 증가되는 경우, 차량 내 제어기는 진동발생부(300)에 전기신호를 인가하여 가속 페달을 진동시킴으로써, 운전자에게 과도한 답력 상태임을 경고할 수 있다.
이 진동발생부(300)는 와이어링(500)을 통해 제어기로부터 전기신호를 인가받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가속 페달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링(500)은 제어기의 전기신호를 진동발생부(300)에 원활하게 전달하기 위해, 굴곡부(510)와 꺾임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굴곡부(510)는 답력에 의한 패드(100)의 회동 부위에서 굴곡되게 형성될 수 있고, 꺾임부(520)는 굴곡부(510)에 겹쳐져 접촉되도록 굴곡부(510)에서 연장된 후 꺾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진동전달부(400)는 진동전달부(400)를 매개로, 패드(100)의 전체에 진동을 제공함으로써, 운전자가 좋은 필링과 명확한 알림을 인지시킬 수 있다.
진동전달부(400)는 패드(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되어, 진동발생부(300)의 진동을 패드(100)의 전체 면에 고르게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진동전달부(400)는 진동발생부(300)가 안착되는 진동케이스(410)와, 진동케이스(410)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어 패드(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되는 전이봉(420)을 포함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가속 페달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가속 페달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가속 페달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가속 페달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속 페달에서, 진동전달부(400)는 패드(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진동리브(43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진동전달부(40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 예컨대 패드(100), 커버(200) 및 진동발생부(300) 구성은 상술한 패드(100), 커버(200) 및 진동발생부(300)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 및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진동리브(430)는 진동발생부(300)에 적어도 일부가 접촉되는 리브 구조로, 내측 패드(100b)의 전면에 돌출되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개로 구성된다. 이때, 진동발생부(300)는 내측 패드(100b)에 매립되게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기가 진동발생부(300)로 전기신호를 인가하면, 진동발생부(300)는 전기신호를 인가받아 진동되고, 진동전달부(400)는 페달의 길이방향으로 진동을 전달하여, 가속 페달의 전체면을 고르게 진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진동전달부(400)는 진동케이스(410)와 전이봉(420)이 결합되거나, 진동리브(430)로 구성되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진동발생부(300)의 진동을 패드(100)의 전체 면적에 고르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 범위 내에서, 이 진동전달부(400)의 구성은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의 가속 페달에 따르면, 차량 내 제어기에 의한 전기신호 인가시, 가속 페달의 패드 전체에 진동을 고르게 전달하여, 운전자에게 좋은 필링과 명확한 알림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가속 페달에서 진동이 구현되는 구조를 단순화하여, 진동의 작동시간을 줄이고, 잔진동 및 고주파 진동 모드로의 구현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등의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패드 100a :외측 패드
100b :내측 패드 200 :커버
200a :외측 커버 200b :내측 커버
300 :진동발생부 400 :진동전달부
410 :진동케이스 420 :전이봉
430 :진동리브 500 :와이어링
510 :굴곡부 520 :꺾임부
600 :커넥터

Claims (7)

  1. 운전자에 의한 답력이 가해지는 패드(100);
    상기 패드(100)에 대응되게 결합되는 커버(200);
    상기 패드(100)와 상기 커버(200) 사이에 구비되어 전기신호에 의해 진동되는 진동발생부(300); 및
    상기 진동발생부(300)의 진동을 상기 패드(100)의 전체 면에 전달하기 위해, 상기 패드(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되는 진동전달부(400)를 포함하는 차량의 가속 페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동전달부(400)는 상기 진동발생부(300)가 안착되는 진동케이스(410)와, 상기 패드(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진동케이스(410)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이봉(4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속 페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동전달부(400)는 상기 진동발생부(300)에 적어도 일부가 접촉되어 상기 패드(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진동리브(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속 페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드(100)는 상기 답력이 직접 가해지는 외측 패드(100a)와, 상기 외측 패드(100a)의 이면에 배치되는 내측 패드(100b)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200)는 상기 진동발생부(300)를 사이에 두고 상기 내측 패드(100b)에 밀착되는 내측 커버(200b)와, 상기 내측 커버(200b)의 이면에 배치되는 외측 커버(200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속 페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내측 패드(100b) 및 내측 커버(200b)는 방음 및 이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탄성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속 페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기신호를 상기 진동발생부(300)에 전달하기 위한 와이어링(5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속 페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링(500)은 상기 답력에 의한 상기 패드(100)의 회동 부위에서 굴곡되는 굴곡부(510)와, 상기 굴곡부(510)로부터 연장된 후 겹쳐지도록 꺾이는 꺾임부(5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속 페달.
KR1020130059454A 2013-05-27 2013-05-27 차량의 가속 페달 KR101449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9454A KR101449289B1 (ko) 2013-05-27 2013-05-27 차량의 가속 페달
US13/960,363 US20140345415A1 (en) 2013-05-27 2013-08-06 Accelerator pedal of vehicle
CN201310375633.6A CN104175878B (zh) 2013-05-27 2013-08-26 用于车辆的加速踏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9454A KR101449289B1 (ko) 2013-05-27 2013-05-27 차량의 가속 페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9289B1 true KR101449289B1 (ko) 2014-10-08

Family

ID=51934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9454A KR101449289B1 (ko) 2013-05-27 2013-05-27 차량의 가속 페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40345415A1 (ko)
KR (1) KR101449289B1 (ko)
CN (1) CN10417587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68916B2 (ja) * 2017-09-29 2019-08-28 株式会社Subaru 乗員覚醒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10389A (ko) * 2003-06-19 2004-12-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속페달의 진동감쇄장치
JP2009096245A (ja) 2007-10-15 2009-05-07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の操作ペダル
JP2011162176A (ja) 2010-02-13 2011-08-25 Masao Goto 車のブレーキとアクセルのふみ間違いを振動(バイブレーション)で運転者に知らせる装置
KR20120062057A (ko) * 2010-12-06 2012-06-14 주식회사 동희산업 차량용 감성 페달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90227B1 (fr) * 1999-02-26 2001-05-11 Thomson Csf Dispositif d'asservissement de la desactivation d'un systeme de regulation automatique de l'allure d'un vehicule
DE10026048C2 (de) * 2000-05-25 2002-05-02 Daimler Chrysler Ag Vorrichtung zur haptischen Signalgebung
DE602005005683T2 (de) * 2005-10-19 2009-04-16 C.R.F. Società Consortile per Azioni, Orbassano Haptische Anzeige umfassend ein Gaspedal für ein Kraftfahrzeug
CN2889794Y (zh) * 2005-12-30 2007-04-18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防撞报警装置
JP2009132359A (ja) * 2007-11-02 2009-06-18 Honda Motor Co Ltd 車両走行状態伝達装置
DE202013103011U1 (de) * 2013-07-08 2013-07-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ahrzeugpedal mit haptischer Rückmeldu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10389A (ko) * 2003-06-19 2004-12-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속페달의 진동감쇄장치
JP2009096245A (ja) 2007-10-15 2009-05-07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の操作ペダル
JP2011162176A (ja) 2010-02-13 2011-08-25 Masao Goto 車のブレーキとアクセルのふみ間違いを振動(バイブレーション)で運転者に知らせる装置
KR20120062057A (ko) * 2010-12-06 2012-06-14 주식회사 동희산업 차량용 감성 페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345415A1 (en) 2014-11-27
CN104175878A (zh) 2014-12-03
CN104175878B (zh) 2018-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0662B1 (ko) 차량용 전자식 가속페달의 히스테리시스 발생장치
KR100941260B1 (ko) 오르간 타입 가속페달 장치
US9244481B2 (en) Vehicle pedal assembly with hysteresis assembly
JP2012517932A (ja) 車両用アクセルペダル
JP5311550B2 (ja) オルガンタイプ加速ペダル装置
KR100319807B1 (ko) 히스테리시스-발생 구조물을 구비한 전자식 스로틀 제어장치용 페달 조립체
CN102187295A (zh) 车辆的加速踏板
KR100816002B1 (ko) 차량용 오르간 타입 가속페달 장치
KR20100064079A (ko) 전자 오르간식 가속페달 장치
JP2012123776A (ja) 車両用クラッチペダルスイッチ
KR101449289B1 (ko) 차량의 가속 페달
KR100841924B1 (ko) 자동차용 엑셀레이터 페달 모듈
KR101272946B1 (ko) 차량용 가속페달 장치
JP5840800B2 (ja) ペダル値信号発生装置
CN103781674B (zh) 具有集成的换低档以及触觉告警机构的落地式安装的etc踏板
US20190359055A1 (en) Accelerator pedal for vehicle
CN110385987B (zh) 具有滞后产生结构的车辆加速踏板
KR20050123468A (ko) 전자식 페달장치
KR20090064192A (ko) 가속페달 장치
KR101553615B1 (ko) 히스테리시스 발생 구조를 구비한 가속페달
JPH11343882A (ja) アクセルペダル装置
JP7124792B2 (ja) モータ端子用のカバー装置
JP4385176B2 (ja) アクセル操作抵抗発生装置
JPH10299516A (ja) アクセルペダル装置
US20070155586A1 (en) Accelerator pedal oper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