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8121B1 - 멀티플렉스 pcr을 이용한 오리의 개체식별방법 - Google Patents

멀티플렉스 pcr을 이용한 오리의 개체식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8121B1
KR101448121B1 KR1020120035226A KR20120035226A KR101448121B1 KR 101448121 B1 KR101448121 B1 KR 101448121B1 KR 1020120035226 A KR1020120035226 A KR 1020120035226A KR 20120035226 A KR20120035226 A KR 20120035226A KR 101448121 B1 KR101448121 B1 KR 101448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q
nos
dna
duck
du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5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0221A (ko
Inventor
이용욱
최규명
유병호
최미란
김정근
김소영
Original Assignee
김남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도 filed Critical 김남도
Priority to KR1020120035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8121B1/ko
Publication of KR20130130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02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8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8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44Nucleic acid amplification reactions
    • C12Q1/6858Allele-specific ampl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8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etection or identification of organism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24Animal traits, i.e. production traits, including athletic performance or the lik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열번호 1 내지 24로 표시되는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프라이머 쌍을 포함하는 오리 개체 식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오리 개체 식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리 개체 식별용 조성물은 오리 집단에 변별력을 가지는 초위성체 유전자좌를 선택적으로 증폭하여 대립유전자를 검출하고 유전자형을 결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오리 개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멀티플렉스 PCR을 이용한 오리의 개체식별방법{Method for identifying duck using multiplex PCR}
본 발명은 서열번호 1 내지 24로 표시되는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프라이머 쌍을 포함하는 오리 개체 식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오리 개체 식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계 각국에서 유전자원으로서 재래가축에 대한 보존 및 활용의 가치를 인식하면서(Notter (1999) J. Anim . Sci. 77:61-69) 가축들의 품종 형성, 유전적 특성, 유전적 다양성, 타 품종간의 유연관계 등의 분석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들어 DNA 다형성에 기초한 다양한 유전적 분석방법들이 개발되었으며 이를 이용한 품종간 및 개체간의 동정이 이루어지고 있다(Peelman et al., 1998. Evaluation of the genetic variability of 23 bovine microsatellite markers in four Belgian cattle breeds. Anim. Genet. 29:161-167).
초위성체(Microsatellite; MS)는 2 내지 6 개 정도의 염기서열이 반복되는 DNA군(repetitive DNA group)으로, 게놈 내에 골고루 분포하고 매우 높은 다형성을 나타내는 비암호화 DNA 서열(non-coding DNA sequence)이다(Zajc I and Sampson J (1999) J Hered 90: 104-107). 특정 좌위에서 반복 단위의 반복 수에 따라 개체간의 다양성이 인정되는데(Koreth J, O'Leary JJand McGee JO (1996) J Pathol 178: 239-248.), 반복 수에 품종 간 다형이 있는 경우에 인접영역에 설계한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중합효소연쇄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을 수행하면, PCR 산물 길이의 다형이 관찰되고 이를 통해 DNA 다형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초위성체는 다른 유전자들과 마찬가지로 멘델의 유전법칙에 따라 자식에게 전달되며 PCR을 이용하여 증폭할 수 있고, 전기영동을 할 경우 공우성(co-dominant)의 양상을 보인다. 특히, 초위성체는 크기가 작기 때문에 2개에서 최대 8개까지 프라이머로 동시에 증폭할 수 있으므로(Chamberlain JS et al., (1988) Nucleic Acids Res 16: 11141-11156) 유전자의 다형성을 분석하는데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쉽게 이들의 대립유전자형을 분석할 수 있다.
전 세계적으로 이러한 초위성체 분석은 매우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국내에서 또한 학술적 연구와 더불어 쇠고기이력관리제, 소와 수입육 판별법 개발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전통적으로 대중화된 육류인 쇠고기나 돼지고기와 달리 오리는 최근 보양식으로 각광받으면서 2000년대 중반부터 웰빙을 대표하는 건강식 육류로 인정받고 있다. 이러한 오리 고기의 인기 증가에 따라 쇠고기나 돼지고기와 같이 오리 고기의 품질을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축산물품질 평가원은 2011년 11월 21일부터 오리고기 등급 판정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외관, 비육상태, 지방부착, 잔털, 깃털, 신선도, 외상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부여하는 등급으로 오리의 개체 식별에 따른 품질관리에는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쇠고기나 돼지고기와 같이 신속하게 오리의 개체를 식별할 수 있는 방법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처럼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면서 오리 개체를 식별할 수 있다면 오리 개체의 품질관리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므로, 초위성체 유전자좌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오리 개체를 식별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자는 초위성체 유전자좌들의 대립유전자를 정확히 분석하고 이를 표준화시킴으로써 효율적인 오리 개체 식별방법을 개발하고자 연구하던 중, 오리 집단에 변별력을 가지는 초위성체 유전자좌를 선정하였으며, 이를 증폭하여 대립유전자를 검출하고 유전자형을 결정함으로써 오리 개체를 식별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오리 개체를 식별하기 위한, 초위성체 유전자좌 대립유전자에 특이적인 1종 이상의 프라이머 쌍을 포함하는 오리 개체 식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오리 개체 식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서열번호 1 및 2, 서열번호 3 및 4, 서열번호 5 및 6, 서열번호 7 및 8, 서열번호 9 및 10, 서열번호 11 및 12, 서열번호 13 및 14, 서열번호 15 및 16, 서열번호 17 및 18, 서열번호 19 및 20, 서열번호 21 및 22; 및 서열번호 23 및 24로 표시되는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프라이머 쌍을 포함하는 오리 개체 식별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오리개체 식별용 키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1) 식별하고자 하는 오리 개체에서 핵산 시료를 얻는 단계; 2) 상기 1) 단계의 핵산 시료를 오리의 초위성체 유전자좌에 특이적인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멀티플렉스 PCR로 증폭하는 단계; 3) 상기 2) 단계의 증폭된 산물을 전기영동하는 단계; 및 4) 상기 3) 단계의 전기영동 산물에서 대립유전자를 검출하여 유전자형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리 개체 식별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리 개체 식별 방법은 오리 집단에 변별력을 가지는 초위성체 유전자좌를 선택적으로 증폭하여 대립유전자를 검출하고 유전자형을 결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오리 개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오리 개체를 식별하기 위한 12 종의 초위성체 유전자좌를 멀티플렉스 PCR로 증폭하여 대립 유전자형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은 서열번호 1 및 2, 서열번호 3 및 4, 서열번호 5 및 6, 서열번호 7 및 8, 서열번호 9 및 10, 서열번호 11 및 12, 서열번호 13 및 14, 서열번호 15 및 16, 서열번호 17 및 18, 서열번호 19 및 20, 서열번호 21 및 22; 및 서열번호 23 및 24로 표시되는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프라이머 쌍을 포함하는 오리 개체 식별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오리 개체 식별용 키트를 제공한다.
상기 오리 개체 식별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오리 개체 식별용 키트는 오리 집단에 변별력을 가지는 초위성체 유전자좌를 선택적으로 증폭하여 대립유전자를 검출하고 유전자형을 결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오리 개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프라이머는 오리 집단에 변별력을 가지는 초위성체 유전자좌를 증폭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초위성체 유전자좌는 CAUD055, CAUD065, CAUD086, CAUD074, CAUD004, AMU006, APH21, AMU060, CAUD120, CAUD083, AMU003 및 CAUD130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초위성체 유전자좌 선정은 종합적인 증폭조건(프라이머의 어닐링 (annealing) 온도, 산물의 크기, 표지형광 물질)을 고려하여 선정하며, 대립유전자의 수가 최소 7개 이상, 증폭산물의 크기는 80bp~300bp의 유전자 표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라이머는 염기서열의 일부를 다른 염기로 치환, 삭제하거나 일부 염기서열의 위치와 방향이 바뀌더라도 상기의 초위성체 유전자좌를 특이적으로 증폭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하는 프라이머라면 제한 없이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리 개체 식별용 키트는 상기의 프라이머 셋트를 이용하여 식별 대상이되는 오리로부터 채취된 핵산 시료를 증폭시킨 증폭 산물을 확인하고 증폭 결과의 패턴을 통하여 개체를 식별할 수 있는 키트일 수 있다. 상기 키트는 핵산 시료를 증폭시킬 수 있는 증폭 수단 및 증폭된 산물로부터 유전자 표식을 탐지하는 탐지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폭 수단은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수행하기 위한 통상의 수단일 수 있으며, 일 예로 중합효소연쇄반응기를 이용하여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수행할 수 있는 반응혼합액(mixture)일 수 있다. 상기 반응혼합액은 반응완충액, Taq DNA 중합효소, dNTP 및 MgCl₂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중합효소연쇄반응이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인 경우에는 추가로 SYBR 그린 I과 같이 형광공명에너지이동(fluorescence resonance energy transfer; FRET)을 측정하여 형광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증폭 수단은 상기 반응혼합액에 추가로 중합효소연쇄반응기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중합효소연쇄반응기는 통상의 중합효소연쇄반응기일 수 있고, 일 예로 리얼타임 중합효소연쇄반응기, 열 블록 중합효소연쇄반응기(Thermal Block PCR machine) 또는 마이크로 중합효소연쇄반응기(Micro PCR machine)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증폭 수단에 의해 증폭된 증폭 산물로부터 개체 특이성을 탐지하는 탐지수단은 통상의 유전자표식을 탐지할 수 있는 수단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증폭 산물의 전기영동 결과의 DNA 밴드의 개수 또는 상기 DNA 밴드의 개수, 크기 또는 상기 증폭된 DNA의 이중나선이 분리되는 온도(annealing temperature)를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1) 식별하고자 하는 오리 개체에서 핵산 시료를 얻는 단계; 2) 상기 1) 단계의 핵산 시료를 오리의 초위성체 유전자좌에 특이적인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멀티플렉스 PCR로 증폭하는 단계; 및 4) 상기 3) 단계의 전기영동 산물에서 대립유전자를 검출하여 유전자형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리 개체 식별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의 초위성체 유전자좌는 CAUD055, CAUD065, CAUD086, CAUD074, CAUD004, AMU006, APH21, AMU060, CAUD120, CAUD083, AMU003 및 CAUD130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프라이머는 서열번호 1 및 2, 서열번호 3 및 4, 서열번호 5 및 6, 서열번호 7 및 8, 서열번호 9 및 10, 서열번호 11 및 12, 서열번호 13 및 14, 서열번호 15 및 16, 서열번호 17 및 18, 서열번호 19 및 20, 서열번호 21 및 22; 및 서열번호 23 및 24로 표시되는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프라이머 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오리 개체 식별 방법을 단계별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1) 단계는 오리 개체에서 핵산 시료를 얻는 단계로써, 오리의 혈액에서 게놈 DNA를 게놈 DNA 추출 키트를 이용하여 분리할 수 있다.
상기의 핵산 시료는 식별 대상이 되는 오리의 혈액뿐만 아니라 오리의 정액 또는 육즙이거나 오리의 조직으로부터 채취된 게놈 DNA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게놈 DNA를 채취하는 방법은 DNA 시료가 혈액시료인 경우, 통상의 혈액으로부터 DNA를 추출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고, 일 예로 게놈 DNA 추출 키트 또는 FlexiGene DNA 키트와 같은 게놈 DNA 추출 키트를 이용하여 DNA를 추출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DNA 시료가 오리의 조직인 경우, 통상의 동물 조직으로부터 게놈 DNA를 추출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고, 일 예로 조직을 균질기 등을 이용하여 분쇄한 후, 여과된 시료액에 대하여 상기 게놈 DNA 추출 키트 또는 FlexiGene DNA 키트와 같은 게놈 DNA 추출 키트를 이용하여 DNA를 추출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DNA 시료가 정액시료인 경우, 통상의 동물 정액으로부터 게놈 DNA를 추출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고, 일 예로 상기 동물 정액으로부터 정자를 분리한 후, 상기 정자에 대하여 세포로부터 게놈 DNA를 추출하는 단계를 행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2) 단계는 초위성체 유전자좌에 특이적인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멀티플렉스 PCR로 상기 핵산시료를 증폭하는 단계로써 표 1에 나타낸 오리 다형성 분석용 초위성체 유전자좌에 특이적인 프라이머인 서열번호 1 내지 24로 표시되는 프라이머 쌍을 이용하여 증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라이머는 형광물질로 표지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증폭 프라이머 중 한 가지의 서열에만 표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지되는 형광 물질은 생물학적 분석용 형광물질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FAM, VIC, NED, PET 등으로 표지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멀티플렉스 PCR은 통상의 중합효소 연쇄 반응 조건에서 수행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각 95℃에서 15분간 변성을 실시한 후 95℃에서 50초, 56℃에서 70초, 72℃에서 70초 수행하는 것을 1 사이클로 하여 반복할 수 있다. 그 후 65℃에서 30분 PCR을 수행한 후, 8℃에서 반응을 종료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3) 단계는 상기 2) 단계에서 증폭된 산물을 전기영동하는 단계로써, 초위성제 유전자좌 분석을 위하여 각각의 PCR 최종 산물의 증폭 여부 및 농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전기영동은 3% 아가로스젤에서 1차적으로 수행하고, 자동 염기서열 분석장치인 AppliedBiosystems 3130xl Genetic Analyzer 에서 2차 전기영동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4)단계는 상기 3) 단계의 전기영동 산물에서 대립유전자를 검출하여 유전자형을 결정하는 단계이다. 상기 유전자형의 결정은 각 초위성체 유전자좌의 증폭 크기와 표식자의 종류를 확인하고 결과값을 도출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기영동 산물에서 대립유전자를 검출하여 유전자형을 결정하는 단계는 증폭산물을 전기영동하여 나온 결과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전기영동결과 증폭 산물의 종류가 복수 개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일 수 있다. 일 예로, 오리로부터 채취한 시료의 경우에 상기 전기영동의 결과인 DNA 밴드가 단일 밴드 또는 복수 개의 밴드로 나타나는 경향이 오리 개체 별로 상이한 점을 기초로, 전기영동 결과 DNA 밴드의 크기와 수를 확인하여, 개체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DNA의 크기를 확인하는 방법은 DNA의 크기를 확인하기 위한 통상의 방법일 수 있고, 일 예로 전기영동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오리 개체 특이적 초위성체 유전자좌의 선발
오리 개체 식별을 위하여 오리의 혈액에서 게놈 DNA 추출 키트(Qiagen, USA)를 이용하여 게놈 DNA를 분리하여 식별 검체의 핵산 시료를 얻었다.
오리 개체 식별을 위한 특이적 초위성체 유전자좌는 Applied Biosystems 사의 ISAG(Stockmarker International Society for Animal Genetics; http://www.isag.org.uk/ISAG/all/02_PVpanels_LPCGH.doc)에서 제안한 오리의 다형성 분석용 초위성체 유전자좌들은 기초로 하여 선정하였다. 선정된 12개의 초위성체 유전자좌를 표 1에 나타내었다.
Gene GenBank Accession No . Allele No .
CAUD055 AY493300 5
CAUD065 AY493310 4
CAUD086 AY493331 4
CAUD074 AY93319 4
CAUD004 AY493249 5
AMU006 AB180491 4
APH21 AJ515896 5
AMU060 AB180542 4
CAUD120 AY587039 7
CAUD083 AY493328 4
AMU003 AB180488 4
CAUD130 AY587049 4
실시예 2. 초위성체 유전자좌 특이적 프라이머의 제작
초위성체 유전자좌 특이적 프라이머는 AppliedBiosystems사(USA)에서 주문 제작하였으며, 형광물질은 한쌍의 증폭 프라이머 중 한 가지의 서열에만 표지시켰다. 형광물질은 6-FAM (6-carboxylfluorescein), VIC, NED, PET을 사용하였다. CAUD055, CAUD065, CAUD086 유전자 증폭을 위한 프라이머는 FAM으로, CAUD074, CAUD004, AMU006 유전자 증폭을 위한 프라이머는 VIC로, APH21, AMU060, CAUD120 유전자 증폭을 위한 프라이머는 NED로, CAUD083, AMU003, CAUD130 유전자 증폭을 위한 프라이머는 PET으로 각각 형광표지하였다.
본 발명에 사용된 초위성체 유전자좌 특이적 프라이머 서열을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2027178451-pat00001
실시예 3. 멀티플렉스 PCR 를 이용한 초위성체 유전자좌 분석
멀티플렉스 PCR은 최종 부피가 15μl가 되도록 하였으며, 주형 DNA는 50ng, 프라이머 혼합물 2ul, dNTP의 농도는 0.25mM로 하였다. 또한 Taq DNA 폴리머라아제 는 0.5 유니트((주)젠닥스), 10×완충액 1.5μl을 첨가하였고, 멸균 3차 증류수로 최종 부피를 맞추었다. PCR 조건은 95℃에서 15분간 변성을 실시한 후 95℃에서 50초, 56℃에서 70초, 72℃에서 70초를 1 사이클로 하여 32회 반복하였다. 그 후 65℃에서 30분 동안 PCR을 수행하고 8℃에서 PCR 반응을 종료하였다.
초위성체 유전자좌 분석을 위하여, 각각의 PCR 최종산물의 증폭 여부 및 농도를 3% 아가로스젤에서 1차 전기영동을 실시하여 확인하였다. 그 후, 자동염기서열 분석장치인 AppliedBiosystems 3130xl Genetic Analyzer (AppliedBiosystems, USA)에서 2차 전기영동을 하기 위하여 약 80배 증류수로 희석하였다. PCR 산물을 크기별로 분획시키기 위하여, GeneScanTM-500 LIZ 크기 표준 및 Hi-Di 포름아미드(AppliedBiosystems, USA) 혼합물을 1:9로 희석하여 전기영동을 실시하였다. 또한, 모든 초위성체에 대한 대립형질 사다리 (allelic ladder)를 PCR 최종산물의 전기영동과 마찬가지로 GeneScanTM-500 LIZ Size Standard 및 Hi-Di 포름아미드(AppliedBiosystems, USA) 혼합물과 1:9로 희석하여 전기영동을 실시하였다. 전기영동이 끝난 후, GeneMapper 4.0(AppliedBiosystems, USA)을 이용하여 각 초위성체 유전자좌의 증폭 크기와 표식자의 종류를 확인하고 결과값을 도출하였다.
초위성체 유전좌에 따른 Obs-Ht(이형접합률), 다형정보지수(polymorphic Infomation Content; PIC) 및 반복 단위(repeate sequence)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하기 결과는 Cervus version 2.0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반복단위는 각각의 괄호안에 있는 염기서열이 반복되는 횟수를 의미한다.
Locus Allele No. Obs-Ht PIC Repeat
CAUD055 5 0.54 0.53 (AC)17
CAUD065 4 0.27 0.28 (CA)17
CAUD086 4 0.71 0.64 (AC)10
CAUD074 4 0.6 0.49 (CA)12
CAUD004 5 0.59 0.56 (AC)20
AMU006 4 0.44 0.42 (CA)11
APH21 5 0.65 0.57 (CA)8
AMU060 4 0.35 0.37 (CA)16
CAUD120 7 0.71 0.76 (CA)9
CAUD083 4 0.35 0.36 (CA)9
AMU003 4 0.54 0.55 (CA)7
CAUD130 4 0.7 0.51 (AC)11
평균 4.5 0.54 0.50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마커 별로 평균 4.5 개의 대립 유전자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평균 Obs-Ht 값과 PIC 값은 각각 0.54와 0.50로 나타났다.
12종의 초위성체 유전자좌에 대한 대립 유전자형 분석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총 12 종의 초위성체 유전자좌에서 특이적인 반응이 일어났으며, 모든 대립유전자가 확인됨으로써 개체를 식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110> GenDocs, Inc. <120> Method for identifying duck using multiplex PCR <160> 24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AUD004 forward <400> 1 tccacttggt agaccttgag 20 <210> 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AUD004 reverse <400> 2 tgggattcag tgagaagcct 20 <210> 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AUD055 forward <400> 3 gtttgtttgc cctgtgcttg 20 <210> 4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AUD055 reverse <400> 4 ctagtctggg attatgtctg a 21 <210> 5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AUD065 forward <400> 5 tgcaagccct ttttatcctg 20 <210> 6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AUD065 reverse <400> 6 gcatctaggt cagagcgttg t 21 <210> 7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AUD074 forward <400> 7 caagccctgg acctattcag 20 <210> 8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AUD074 reverse <400> 8 gagatgggaa gggagagagg 20 <210> 9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AUD083 forward <400> 9 gctgcctgga atataaccgc 20 <210> 10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AUD083 reverse <400> 10 gcatttgcag agtcaggacc 20 <210> 1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AUD086 forward <400> 11 aacacagctt caccccacag 20 <210> 12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AUD086 reverse <400> 12 gcagagcggt gtgagagca 19 <210> 13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AUD120 forward <400> 13 aatatcctgt cgccgtggt 19 <210> 14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AUD120 reverse <400> 14 aattcttgct gagattatag ag 22 <210> 15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AUD130 forward <400> 15 ctcagtggca taaatcaggc 20 <210> 16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AUD130 reverse <400> 16 atatcatggg cttgttacgg 20 <210> 17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U003 forward <400> 17 ttacaagccc tgcacccgga 20 <210> 18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U003 reverse <400> 18 tcccagctcc cttcttggca 20 <210> 19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U006 forward <400> 19 tgttttctcc ctggcgttta gc 22 <210> 20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U006 reverse <400> 20 tgctgagatg tttgaaataa tgca 24 <210> 21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U060 forward <400> 21 gcgtgttgtt acaccagcag ga 22 <210> 22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U060 reverse <400> 22 caggcagctt caggtatgtg ca 22 <210> 2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PH21 forward <400> 23 cttaaagcaa agcgcacgtc 20 <210> 24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PH21 reverse <400> 24 agatgcccaa agtctgtgct 20

Claims (5)

  1. 서열번호 1 및 2, 서열번호 3 및 4, 서열번호 5 및 6, 서열번호 7 및 8, 서열번호 9 및 10, 서열번호 11 및 12, 서열번호 13 및 14, 서열번호 15 및 16, 서열번호 17 및 18, 서열번호 19 및 20, 서열번호 21 및 22, 및 서열번호 23 및 24로 표시되는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을 포함하는 오리 개체 식별용 조성물.
  2. 제1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오리 개체 식별용 키트.
  3. 1) 식별하고자 하는 오리 개체에서 핵산 시료를 얻는 단계;
    2) 상기 1) 단계의 핵산 시료를 오리의 초위성체 유전자좌에 특이적인 상기 제1항의 프라이머 쌍을 이용하여 멀티플렉스 PCR로 증폭하는 단계;
    3) 상기 2) 단계의 증폭된 산물을 전기영동하는 단계;및
    4) 상기 3) 단계의 전기영동 산물에서 대립유전자를 검출하여 유전자형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리 개체 식별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2) 단계에서 초위성제 유전자좌는 CAUD055, CAUD065, CAUD086, CAUD074, CAUD004, AMU006, APH21, AMU060, CAUD120, CAUD083, AMU003 및 CAUD1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리 개체 식별 방법.

  5. 삭제
KR1020120035226A 2012-04-05 2012-04-05 멀티플렉스 pcr을 이용한 오리의 개체식별방법 KR101448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226A KR101448121B1 (ko) 2012-04-05 2012-04-05 멀티플렉스 pcr을 이용한 오리의 개체식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226A KR101448121B1 (ko) 2012-04-05 2012-04-05 멀티플렉스 pcr을 이용한 오리의 개체식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0221A KR20130130221A (ko) 2013-12-02
KR101448121B1 true KR101448121B1 (ko) 2014-10-10

Family

ID=49979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5226A KR101448121B1 (ko) 2012-04-05 2012-04-05 멀티플렉스 pcr을 이용한 오리의 개체식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812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91279A (zh) * 2016-07-26 2016-12-07 山东世通检测评价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鉴别羊肉中掺杂鸭肉的方法
KR20190077655A (ko) 2017-12-26 2019-07-04 대한민국(해양경찰청 해양경찰연구센터장) STR(short tandem repeat)을 이용한 밍크고래 개체식별을 위한 프라이머 중합효소연쇄반응 증폭방법
KR102193649B1 (ko) 2020-09-01 2020-12-21 전라남도 차세대 염기서열분석법을 이용한 돌돔(Oplegnathus fasciatus) 개체 식별용 마이크로세틀라이트 마커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Genet. Set. Evol., Vol. 37, pp. 455-472 (2005.12.31.) *
Progress in Natural Science, Vol. 19, pp. 1581-1586 (2009.11.10.)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91279A (zh) * 2016-07-26 2016-12-07 山东世通检测评价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鉴别羊肉中掺杂鸭肉的方法
KR20190077655A (ko) 2017-12-26 2019-07-04 대한민국(해양경찰청 해양경찰연구센터장) STR(short tandem repeat)을 이용한 밍크고래 개체식별을 위한 프라이머 중합효소연쇄반응 증폭방법
KR102193649B1 (ko) 2020-09-01 2020-12-21 전라남도 차세대 염기서열분석법을 이용한 돌돔(Oplegnathus fasciatus) 개체 식별용 마이크로세틀라이트 마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0221A (ko) 2013-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2452B1 (ko) 터봇 친자 식별용 유전자 마커 및 이를 이용한 친자 확인방법
CN108531615B (zh) 一种鸡HS6ST3基因43bp indel多态性标记及其应用、检测引物、试剂盒
KR101258186B1 (ko) 흑모색 돼지 품종의 식별방법
KR101448121B1 (ko) 멀티플렉스 pcr을 이용한 오리의 개체식별방법
KR102052428B1 (ko) 머루 자원 구별을 위한 ssr 분자마커 및 이의 용도
CN112899376B (zh) 一种foxo1基因snp标记检测藏鸡经济性状的方法及其应用
KR102064039B1 (ko) 붉바리 개체 식별 및 친자 확인 위한 미세위성 마커
JP5613971B2 (ja) 病原性リステリア菌の検出方法
KR102147142B1 (ko) 염소 개체 식별용 멀티플렉스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KR102039309B1 (ko) 재래닭 개체 식별용 초위성체 마커 및 이를 이용한 재래닭의 개체 식별 방법
Shafey et al. Genetic polymorphism of myostatin and insulin-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3 genes in Egyptian sheep breeds
Jeżewska-Witkowska et al. Genetic variability of farmed and free-living populations of red foxes (Vulpes vulpes)
Emil et al. Genetic characterization of Romanian local breeds using microsatellite markers
CN115011701A (zh) 一种与卵形鲳鲹抗刺激隐核虫病相关性状的snp分子标记及其应用
JP4357541B2 (ja) 動物群dnaの検出方法
KR20120096358A (ko) 멀티플렉스 pcr을 이용한 말의 개체식별방법
KR101355914B1 (ko) 한우 및 수입우 판별에 유용한 단일염기다형성마커 및 이의 용도
KR101289484B1 (ko) 한우 마블링 진단용 유전자 검사 방법
KR20090028894A (ko) 멀티플렉스 pcr을 이용한 한우 개체의 식별방법
KR20160110593A (ko) 붉바리, 자바리, 능성어 종 동시 판별용 pcr 프라이머 세트 및 이를 이용한 붉바리, 자바리, 능성어 종 동시 판별 방법
KR101557407B1 (ko) 한우의 개체식별방법 및 키트
KR101557408B1 (ko) 한우의 개체식별방법 및 키트
CN110747280A (zh) 与马寒冷适应性相关的te标记及其应用
KR20150055176A (ko) 염소 개체 식별용 초위성체 마커
KR101307087B1 (ko) 단일염기다형성 마커를 이용한 고품질 우량 한우 진단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