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4110B1 - 이중구조의 서리방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중구조의 서리방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4110B1
KR101444110B1 KR1020120094067A KR20120094067A KR101444110B1 KR 101444110 B1 KR101444110 B1 KR 101444110B1 KR 1020120094067 A KR1020120094067 A KR 1020120094067A KR 20120094067 A KR20120094067 A KR 20120094067A KR 101444110 B1 KR101444110 B1 KR 101444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air
transparent screen
frost
suppl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4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8236A (ko
Inventor
이동희
성해광
민정석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4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4110B1/ko
Publication of KR20140028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82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4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4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63B19/04Air-catching equipment related to windows or port-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54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gas, e.g. hot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54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gas, e.g. hot air
    • B60S1/54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gas, e.g. hot air using wip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63B2019/0007Ship's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구조의 서리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선박에 구비된 윈도우의 서리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 서리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내외부가 격리되며 일측에 상기 윈도우가 구비되는 설치공간, 상기 윈도우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윈도우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 및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윈도우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윈도우를 적층형태로 커버하여 상기 공기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상기 윈도우 내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투명스크린을 포함하는 이중구조의 서리방지 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이중구조의 서리방지 시스템{Dual Structure Defrosting System}
본 발명은 서리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투명스크린을 조절하여 선택적으로 이중구조를 형성하여 시야확보를 용이하게 하는 이중구조의 서리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 구비되는 윈도우, 특히 휠하우스(Wheelhouse)의 윈도우에는 실내 및 실외 온도차에 의한 서리 발생을 억제하거나 혹은 발생된 서리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가 필요하다.
그래서 종래에는 윈도우에 발생하는 서리를 제거하기 위해서 열선을 장착하거나, 히터 또는 에어컨의 바람을 이용하여 서리 및 김서림(이슬 맺힘)을 제거하였다. 하지만, 열선장치는 운전자의 시야에 장애가 되므로 앞창문에는 장착하기가 어렵고, 그렇다고 히터를 이용할 경우 넓은 공간에 사용되어 윈도우에 서리가 발생하는 것을 제가하기 까지 시간이 너무 많이 걸리며 고르게 제거되지 않았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다양한 구성의 서리 제거 장치가 개발되었으며, 특히 창문유리 내부에 얇고 넓은 공간을 형성하고 그 테두리에는 내부로 통하는 공기통로를 형성하여, 이 공간에 기체 또는 액체의 순환물질을 주입함으로써 윈도우에 서리 및 김서림이 발생하는 것을 제거하여 왔다.
이러한 장치는 보통 건 공기(hot air)를 윈도우에 분사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당히 복잡한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이 종래에 개발된 기술의 일 예로는 국내공개실용 1998-010627호 가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단순한 이중구조의 시스템은 선박의 내외부 온도에 따라 서리가 발생할지 안 할지 모르는 상태에서 윈도우가 이중으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명확한 시야를 확보하는데 방해가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내외부의 온도차가 거의 나지 않는 상황에서 이중구조로 된 윈도우를 사용하는 것은 시야확보에 방해가 될 뿐만 아니라, 이중구조의 윈도우 내부에 불순물이 끼어서 시야를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내 외부 온도차이에 의해서 윈도우에 서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서리방지 시스템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투명스크린의 상태를 조절하여 선택적으로 이중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시야확보가 용이하도록 하는 이중구조의 서리방지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중구조의 서리방지 시스템은 선박에 구비된 윈도우의 서리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 서리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내외부가 격리되며 일측에 상기 윈도우가 구비되는 설치공간, 상기 윈도우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윈도우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 및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윈도우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윈도우를 적층형태로 커버하여 상기 공기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상기 윈도우 내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투명스크린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투명스크린은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하며 상기 윈도우와 함께 상기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공급부는 상기 윈도우로 공급하는 공기를 가열하여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스크린은 일측에서부터 권취 가능하도록 유연한 재질로 구성되며,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권취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스크린은 일측 끝단부에 배치되어 고정하는 별도의 걸림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공급부는 상기 설치공간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턱트, 상기 덕트와 연결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마운팅 박스 및 상기 마운팅 박스에 연통되게 연결되고, 상기 윈도우의 폭에 맞춰 이를 커버하도록 구비된 공급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 변위측정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선박 내부에 구비된 윈도우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윈도우의 내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 및,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상기 윈도우를 커버하여 공급되는 공기가 이동하는 유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투명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선박의 내 외부 온도차에 의해서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투명스크린의 사용 상태를 조절하여 사용시 공기가 윈도우와 접촉하여 서리방지 효과를 증가시킴과 동시에, 비 사용시 시야확보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투명스크린이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어 권취가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투명스크린의 상태를 보다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구조의 서리방지 시스템이 선박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이중구조의 서리방지 시스템이 선박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이중구조의 서리방지 시스템에서 공기공급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의 서리방지 시스템에서 투명스크린의 상태가 조절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및
도 5는 도 1의 서리방지 시스템에서 투명스크린에 의해서 형성된 유로로 공기가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중구조의 서리방지 시스템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선박에 설치된 구성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선박에 구비된 윈도우의 서리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 서리방지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선박 내부의 고온 다습한 공기와 선박 외부의 저온 건조한 공기가 상기 윈도우를 기준으로 내 외부에서 서로 접촉 함으로써 상기 윈도우에 발생하는 서리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구조의 서리방지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구조의 서리방지 시스템이 선박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이중구조의 서리방지 시스템이 선박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구조의 서리방지 시스템은 크게 설치공간(100), 공기공급부(200) 및 투명스크린(3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설치공간(100)은 일반적으로 윈도우(110)가 구비된 선박 내부의 공간으로 일측 벽면에 복수 개의 상기 윈도우(110)를 구비하며, 본 실시예 에서는 선박의 조타실이 될 수 있다.
상기 공기공급부(200)는 상기 설치공간(100) 내부에서 배치되어 상기 윈도우(110)로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외부공기와의 온도 및 습도 차이에 의해서 상기 윈도우(110)의 내면에 서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공기공급부(200)는 상기 설치공간(100)의 내부에 상기 윈도우(110)와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윈도우(110)의 내면에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윈도우(110)에 서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공급부(200)가 상기 윈도우(110)의 상부에 배치되어 공급되는 공기가 하부방향으로 이동을 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윈도우(110)의 내면은 상기 공기공급부(20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이동 경로상에 배치되어 공급되는 공기가 상기 윈도우(110)의 내면을 경유한다.
한편, 상기 공기공급부(20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는 상기 윈도우(110)를 경유하며 상기 윈도우(110)의 내면에 서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한다.
그래서 선박 내부에 구비된 별도의 히터(120)를 통해 상기 공기공급부(200)가 상기 설치공간(100) 내부로 공기를 공급할 때,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여 공급한다. 이와 같이 상기 히터(120)에 의해서 가열된 공기는 상기 공기공급부(200)를 통해서 상기 설치공간(100) 내부로 공급되며 상기 윈도우(110)의 내면을 경유한다.
여기서, 상기 공기공급부(200)로부터 상기 설치공간(100)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는 선박에 구비된 내연기관 또는 공기 시스템에 의해서 가열될 수도 있으며, 별도로 상기 히터(120)를 구비하여 상기 설치공간(100) 내부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히터(120)는 별도로 상기 설치공간(10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설치공간(100)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한 후 상기 설치공간(100) 내부로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투명스크린(300)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설치공간(100) 내부에서 상기 윈도우(110)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윈도우(110)를 적층형태로 커버한다.
이와 같이 상기 투명스크린(300)이 상기 윈도우(110)를 커버함으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윈도우(110)와 상기 투명스크린(300) 사이에 상기 공기공급부(20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W)가 형성되어 상기 설치공간(100)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가 상기 윈도우(110)의 내벽을 따라서 이동한다. 여기서, 상기 투명스크린(300)이 상기 윈도우(110)를 커버할 때, 상기 윈도우(110)와 상기 투명스크린(300)이 소정 거리 이격되어 서로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여 상기 유로(W)가 형성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투명스크린(300)은 상기 윈도우(110)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윈도우(110)와의 공간에 상기 유로(W)가 형성된다. 여기서, 평행이라 함은 수치적인 평형이 아니라 상기 윈도우(110)와 상기 투명스크린(300)에 의해서 상기 공기공급부(20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유동하도록 하는 상기 유로(W)를 형성할 수 있도록 이격되어 적층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유로(W)는 완전히 밀폐된 공간을 형성할 필요는 없다.
한편, 상기 투명스크린(300)은 상기 설치공간(100) 내부에서 상하 또는 좌우로 움직이며 선택적으로 상기 윈도우(110)와 함께 유로(W)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투명스크린(300)은 상부에서부터 하부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투명스크린(300)은 상기 설치공간(100)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윈도우(110)를 적층형태로 커버한다. 여기서, 상기 투명스크린(300)의 폭은 상기 윈도우(110)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이와 달리 상기 투명스크린(300)이 복수 개로 구성되어 상기 윈도우(110)를 커버할 수 있도록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투명스크린(3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며 일측에서부터 권취가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권취 상태가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명스크린(300)은 상기 설치공간(100)의 상부에 권취되어 배치되며, 선택적으로 권취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윈도우(110)를 적층형태로 커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투명스크린(300)의 하부방향 끝단부는 별도의 걸림부재(310)를 구비하여 상기 설치공간(100)의 하부에 구비된 걸림쇠(106)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투명스크린(300)의 커버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달리,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투명스크린(300)이 유연한 재질이 아닌 솔리드한 재질로 구성되어 일측에서 권취되지 않고 일반적인 창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윈도우(11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즉, 본 실시예는 상기 투명스크린(300)의 형상을 특정 형태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윈도우(110)를 선택적으로 커버하며 상기 공기공급부(20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이동하는 상기 유로(W)를 형성할 수 있다면 어떤 형상을 가지더라도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투명스크린(300)의 동작 상태에 대해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상기 투명스크린(300)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윈도우(110)와 함께 상기 공기공급부(20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상기 윈도우(110)의 내면을 경유하며 하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유로(W)를 형성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공급부(200)는 상기 윈도우(110)와 인접하며 상기 설치공간(100)의 상부에 배치되고 가열된 공기를 상기 유로(W)로 공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설치공간(100)은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공기공급부(200)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상기 윈도우(110)의 내면을 경유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구(102, 104)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배출구(102, 104)는 상기 유로(W)를 경유한 공기를 수집하여 상기 설치공간(100) 내부 또는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배출구(102, 104)는 한 쌍의 제 1배출구(102) 및 제 2배출구(104)로 구성되며 서로 연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배출구(102, 104)를 통해서 상기 공기공급부(20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상기 유로(W)를 따라 이동하며 순환이 잘 일어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구조의 서리방지 시스템은 상기 설치공간(100)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투명스크린(300)을 선택적으로 조작 함으로써, 상기 윈도우(110)와 함께 상기 유로(W)를 형성하여 상기 공기공급부(200)로부터 공급되는 가열된 공기가 상기 윈도우(110)의 내면을 경유하며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공기공급부(200)가 상기 히터(120)에 의해서 상기 유로(W)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윈도우(110)가 냉각되어 서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상기 투명스크린(300)에도 서리가 발생되는 것을 함께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공기공급부(200)의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도 1의 이중구조의 서리방지 시스템에서 공기공급부(2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공급부(200)는 상기 설치공간(10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윈도우(110)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공급되는 공기가 상기 윈도우(110)의 내면을 따라 경유하며 이동하도록 한다.
상기 공기공급부(200)는 크게 덕트(210), 마운팅 박스(220) 및 공급구(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덕트(210)는 상기 설치공간(100)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를 전달하는 관으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설치공간(1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선박 내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설치공간(100) 내부로 공급한다.
상기 마운팅 박스(220)는 상기 설치공간(100) 내부에서 상기 윈도우(110)와 인접한 상부에 설치되며 내부가 비어 연동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이 상기 덕트(210)의 단부와 연결된다.
그래서 상기 덕트(21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공급받아 상기 윈도우(110)의 내벽을 경유하며 이동하도록 공급한다.
상기 공급구(230)는 상기 마운팅 박스(220)에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상기 윈도우(110)의 폭에 맞춰 이를 커버하도록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공급구(230)가 복수 개로 구성되어 상기 마운팅 박스(220)의 하면에 배치되며 상기 덕트(21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윈도우(110)의 폭에 대응하도록 분산하여 고르게 공급한다.
이와 같이, 상기 공급구(230)는 상기 마운팅 박스(220) 상에서 상기 윈도우(110)의 폭에 대응하게 복수 개로 구성되어 공급되는 공기가 고르게 상기 윈도우(110)의 내면을 따라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그래서 상기 공기공급부(20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상기 윈도우(110)의 내면을 고르게 경유함으로써, 상기 윈도우(110)의 내면에 서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공급구(230)는 세 개로 구성되어 상기 마운팅 박스(220)의 하면에 배치되며 상기 덕트(210)로부터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공급되는 공기가 상기 윈도우(110)의 내면을 따라서 이동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투명스크린(300)에 의해 형성된 상기 유로(W)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유로(W) 내부에 가열된 공기가 고르게 유동하여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공기공급부(200)가 구성됨으로써, 상기 유로(W)를 따라 이동한 공기는 상기 제 1배출구(102) 및 상기 제 2배출구(104)를 통해서 선박 내부로 이동하며 상기 유로(W) 내부의 공기가 지속적으로 순환을 한다.
다음으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구조의 서리방지 시스템에서 상기 투명스크린(300)이 동작하는 상태 및 공기의 이동상태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도 1의 서리방지 시스템에서 투명스크린(300)의 상태가 조절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서리방지 시스템에서 투명스크린(300)에 의해서 형성된 유로(W)로 공기가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4를 살펴보면 상기 투명스크린(300)이 상기 윈도우(110)를 선택적으로 커버하기 위해서 동작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4의 (a)는 상기 투명스크린(300)이 상기 윈도우(110)를 커버하지 않아서 상기 유로(W)가 형성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공기공급부(200)는 상기 설치공간(100)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지 않으며, 상기 투명스크린(300)은 상기 설치공간(100)의 상부에서 권취된 상태로 배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명스크린(300)은 상기 설치공간(100)의 상부에 상기 윈도우(110)와 이격된 위치에서 귄취되어 배치된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설치공간(100)의 내부와 외부 온도차가 크지 않은 경우로 상기 윈도우(110)에 서리가 발생하지 않는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설치공간(100) 내부에 위치한 사용자의 시야 확보를 위해 상기 투명스크린(300)을 사용하지 않는다. 상기 투명스크린(300)이 아무리 투과율이 좋다 하더라도 단일한 상기 윈도우(110)만을 이용하여 확보한 시야가 더욱 좋기 때문이다.
그래서 상기 윈도우(110)에 서리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상기 투명스크린(300)의 위치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시야 확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설치공간(100)의 내부와 외부 온도 차이가 큰 경우, 상기 윈도우(110)의 내면에 서리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서리방지 시스템을 사용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경우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치공간(100) 상부에 배치된 상기 투명스크린(300)을 하부 방향으로 당겨 내리며 상기 윈도우(110)를 커버한다. 이와 같이 상기 투명스크린(300)의 권취상태를 해제하며 상기 윈도우(110)를 커버하여 상기 유로(W)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공기공급부(200)에서부터 가열된 공기를 상기 유로(W)로 주입한다.
이와 같이 상기 유로(W)로 공기가 주입됨으로써, 상기 윈도우(110)의 내면에 서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투명스크린(300)은 하부에 별도의 상기 걸림부재(310)를 구비하여 상기 설치공간(100) 하부에 구비된 상기 걸림쇠(106)에 걸리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걸림부재(310)가 상기 걸림쇠(106)에 걸림으로써 상기 투명스크린(300)이 상기 윈도우(110)를 커버하며 상기 유로(W)를 형성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상기 투명스크린(300)이 사용자에 의해서 상기 윈도우(110)를 커버하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되며 상기 투명스크린(300)과 상기 윈도우(110) 사이에 상기 유로(W)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유로(W)가 형성된 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덕트(210)는 상기 히터(120)에 의해서 가열된 공기를 상기 마운팅 박스(220)로 전달한다. 상기 마운팅 박스(220)로 전달된 공기는 복수 개의 상기 공급구(230)를 통해서 상기 윈도우(110)의 폭에 대응하게 상기 윈도우(110)의 내면을 경유하며 하부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공급구(230)를 통해서 공급되는 공기가 상기 윈도우(110)의 내면을 고르게 경유하며 이동함으로써, 상기 윈도우(110)에 서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설치공간 110: 윈도우
120: 히터 200: 공기공급부
210: 덕트 220: 마운팅 박스
230: 공급구 300: 투명스크린
310: 걸림부재 W: 유로

Claims (6)

  1. 선박에 구비된 윈도우의 서리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 서리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내외부가 격리되며 일측에 상기 윈도우가 구비되는 설치공간;
    상기 윈도우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윈도우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 및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윈도우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윈도우를 적층 형태로 커버하여 상기 공기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상기 윈도우 내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투명스크린을 포함하며;
    상기 투명스크린은 일측에서부터 권취 가능하도록 유연한 재질로 구성되며,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권취상태가 해제되고, 일측 끝단부에 배치되어 고정하는 별도의 걸림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윈도우에 서리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시야확보를 위해 투명스크린을 권취하는 이중구조의 서리방지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스크린은,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하며 상기 윈도우와 함께 상기 유로를 형성하는 이중구조의 서리방지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부는,
    상기 윈도우로 공급하는 공기를 가열하여 공급하는 이중구조의 서리방지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부는,
    상기 설치공간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턱트;
    상기 덕트와 연결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마운팅 박스; 및
    상기 마운팅 박스에 연통되게 연결되고, 상기 윈도우의 폭에 맞춰 이를 커버하도록 구비된 공급구;를 포함하는 이중구조의 서리방지 시스템.
KR1020120094067A 2012-08-28 2012-08-28 이중구조의 서리방지 시스템 KR101444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4067A KR101444110B1 (ko) 2012-08-28 2012-08-28 이중구조의 서리방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4067A KR101444110B1 (ko) 2012-08-28 2012-08-28 이중구조의 서리방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8236A KR20140028236A (ko) 2014-03-10
KR101444110B1 true KR101444110B1 (ko) 2014-10-01

Family

ID=50641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4067A KR101444110B1 (ko) 2012-08-28 2012-08-28 이중구조의 서리방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41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1843B1 (ko) 2015-02-02 2017-06-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극지용 선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0627U (ko) * 1996-08-09 1998-05-15 최종섭 공간을 두고 이중으로 만든 자동차 창문유리
KR0178910B1 (ko) * 1995-12-29 1999-04-01 김태구 이중 윈도우로된 차량용 다기능 파워윈도우 장치
KR20070068232A (ko) * 2005-12-23 2007-06-29 이승일 자동차 유리의 김 서림 및 성에 제거 장치
KR20110075257A (ko) * 2009-12-28 2011-07-06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분산형 서리제거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8910B1 (ko) * 1995-12-29 1999-04-01 김태구 이중 윈도우로된 차량용 다기능 파워윈도우 장치
KR19980010627U (ko) * 1996-08-09 1998-05-15 최종섭 공간을 두고 이중으로 만든 자동차 창문유리
KR20070068232A (ko) * 2005-12-23 2007-06-29 이승일 자동차 유리의 김 서림 및 성에 제거 장치
KR20110075257A (ko) * 2009-12-28 2011-07-06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분산형 서리제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8236A (ko) 2014-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18182A1 (en) Oven
WO2016127613A1 (zh) 一种室外显示屏及通信设备
US9973664B2 (en) External camera device that thermally couples camera optics to a vehicle's ventilation system
US20080250808A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US9863866B2 (en) Bi-directional air-curtain for cold testing a camera
KR101454618B1 (ko) 선박 조타실의 공조덕트장치
JP2014077591A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CN109421759A (zh) 具有内部过压的用于高速列车的动力车厢
CN106304722A (zh) 电气控制柜
KR20180048854A (ko) 공기조절장치 상단덮개모듈 및 공기조절장치
KR101444110B1 (ko) 이중구조의 서리방지 시스템
EP3076095B1 (en) Indoor unit
KR101518553B1 (ko) 전자동 시스템 냉풍기
CN107850332B (zh) 收纳罩及具备收纳罩的空调机的室内机
JP5290724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
JP2008267021A (ja) ガラスカーテンウォールにおけるスパンドレル部分の結露防止構造
CN205450539U (zh) 一种三维流动显示平台投影仪的防尘散热装置
CN105409099A (zh) 电机驱动器罩盖
CN103415179B (zh) 一种散热缓冲装置及显示装置
KR101525449B1 (ko) 냉난방 커튼
CN104723842A (zh) 车辆的多功能hvac空调系统
KR102017666B1 (ko) 루버창 단열장치 및 이를 이용한 루버 시스템
JP2007249070A (ja) 換気扇装置
JP5434713B2 (ja) 放熱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22051093A (ja) 建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