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1902B1 - 아연 고함유 두류 - Google Patents

아연 고함유 두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1902B1
KR101441902B1 KR1020097013743A KR20097013743A KR101441902B1 KR 101441902 B1 KR101441902 B1 KR 101441902B1 KR 1020097013743 A KR1020097013743 A KR 1020097013743A KR 20097013743 A KR20097013743 A KR 20097013743A KR 101441902 B1 KR101441902 B1 KR 101441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inc
fruit
bean
lupinus
concen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3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1213A (ko
Inventor
히데아키 야마모토
마사히코 아마모토
히로시 소에지마
히데시 시노다
마사노부 오하시
요시히코 카츠라가와
Original Assignee
유키지루시 슈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키지루시 슈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키지루시 슈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91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1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1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19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매중에 아연을 고농도로 함유하는 두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아연을 5.5㎎/100g 이상 함유하는 팥 이외의 두류 열매 및 아연 농도로서 0.01~2중량% 함유하는 용액을, 팥의 착뢰기때부터 엽면 또는 콩깍지의 착생부위에 산포하는, 열매중에 아연을 4.0㎎/100g 이상 함유하는 두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연, 두류

Description

아연 고함유 두류{BEAN HAVING HIGH ZINC CONTENT}
본 발명은, 열매중에 아연을 고농도로 함유하고, 식품 또는 식품 재료로서 유용한 두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간이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철(Fe), 구리(Cu), 아연(Zn), 망간(Mn), 코발트(Co), 몰리브덴(Mo), 바나듐(V), 셀렌(Se), 크롬(Cr), 니켈(Ni), 요오드(I), 규소(Si), 불소(F), 비소(As), 납(Pb) 등의 미량의 금속원소를 체외로부터 섭취할 필요가 있으며, 이들의 원소는 필수원소라고 불리고 있다(비특허문헌1). 그 중에서도 아연(Zn)은 인체내에 있어서의 미량 금속원소로서는 철 다음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카르복시펩티다아제, 탄산 탈수소효소, 알코올 탈수소효소 등의 중요한 효소에 함유되고, 체내의 대사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아연이 결핍되면 성장장해, 성기능 저하, 피부나 모발의 손상, 미각의 이상 등을 나타낸다는 것이 알려져 있어 문제가 되고 있다. 또한, 성인의 아연 소요량은 1일당 12~15mg으로 되어 있는 한편, 평균적인 일본 식단에서는 1일당 9mg 정도 밖에 아연을 섭취할 수 없다고 하여, 일본인의 아연부족이 문제시되고 있다(비특허문헌2). 이와 같은 이유로 2002년에는 일본국의 후생노동성이 영양 기능식품 성분으로서 아연을 추가하고, 또 2004년에는 일본국 문부과학성에 의해 급식중에 아연 함량의 목표치가 설정되는 등 공적 기관에 의한 대책이 강구되고 있다.
이상과 같이, 아연(Zn)은 인체가 생명활동을 영위하는데 있어서 중요하기 때문에, 적정량을 일상적인 식사에 의해 섭취할 것을 요망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원소를 많이 함유한 식품은 비교적 한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아연(Zn)은 굴에는 13.2mg/100g, 소의 간에는 3.8mg/100g이라는 높은 농도로 함유되어 있다(비특허문헌3). 그러나, 현재 일본인의 식생활 습관에 있어서 이들 식재료를 매일 섭취한다는 것은 일반적이라고 할 수가 없다. 이에 대하여 일본인은 두류(콩류)를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식습관을 갖고 있다. 예를 들면, 대두는 콩자반 등 외에, 가공품인 간장, 된장, 두부, 생청국장(낫또) 등을 포함하면 대체로 매일 무리없이 섭취할 수 있는 식 재료라고 할 수 있다. 또, 동부, 대두, 알팔파 등은, 콩나물이나 새싹(콩, 보리 등의 발아시킨 채소의 싹)으로도 무리없이 섭취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측면에서 두류에 이들 미량 금속원소의 함유량을 높일 수가 있다면 유용할 것이라고 생각될 수 있는바, 두류의 재배방법에 관한 기술 분야에 있어서는 미량의 금속원소에 대한 연구는 필요한 최저한의 시비(施肥)방법 등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는 있으나, 가식부(可食部)에 적극적으로 도입시키는 기술에 대해서는 만족할 수 있는 정도가 아니었다.
두류가 아니기는 하지만, 최근 호밀 열매중의 아연 함량을 높이기 위하여 유전자 재조합에 의해 애기장대(Araidopsis thaliania) 유래의 아연 트랜스포터 유전자를 과잉 발현시키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 유전자 재조합체에 아연을 시비하여도 아연의 흡수속도는 높아지지 않았다(비특허문헌4). 이 원인에 대해서는 아연 트랜스포터 유전자가 발현되고 있어도, 아연이 존재하면 다른 금속 트랜스포터 단백질에서 보이는(비특허문헌5) 바와 같이, 번역 후 조절에 의해 아연 트랜스포터 단백질이 소실되어 버리기 때문이 아닌가 고찰되고 있다. 이와 같이 현재의 첨단적인 기술인 유전자 재조합기술을 이용하여도 작물의 가식부에 아연 등의 미량의 금속원소를 포함시키는 일은 여전히 곤란하다.
또, 종래의 시비기술의 하나로서, 엽면(葉面)에 대한 산포방법도 실용화되고 있다. 이 방법은 산포액이 직접 접촉하는 세포중에 비료성분을 포함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잎의 요소 결핍증상을 방지하거나 개선시킬 수는 있다. 그러나, 잎으로부터 종자중으로 전류(轉流)시키는, 즉, 복수의 세포 사이를 이행시키는 것에 의해, 산포액이 직접 접촉되지 않는 종자중에 금속 원소의 함량을 고농도로 축적시키는 기술은 아직 볼 수 없었다. 특히 아연은 질소, 인, 칼륨, 마그네슘 등과 같이 전류하기 쉬운 원소가 아니기 때문에(비특허문헌6), 종래의 엽면 산포방법으로서는 종자중에 고농도로 축적시키는 것은 곤란하였다.
비특허문헌 1 : 사쿠라이·타나카(편저) 1993. 생물 무기 화학. 히로카와서점
비특허문헌 2 : 토미타 1998. 건강해지는 미네랄 아연 파워의 비밀. 오오조라출판
비특허문헌 3 : 카가와(감수) 2003. 「오정(五訂) 식품분석표 2003」여자영양대학 출판부
비특허문헌 4 : Ramesh 등 2004. Plant Mol. Biol.
비특허문헌 5 : Connoly 등 2002. Plant Cell
비특허문헌 6 : Marschner 1995. Mineral Nutrition of Higher Plants(2nd ed.) Academic Press
본 발명은, 두류의 가식부, 즉 열매중에 아연을 고농도로 함유하는 두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는, 두류의 열매중에 아연을 고농도로 함유시키기 위해서 여러가지로 검토한 결과, 뜻밖에도, 아연 함유액을 엽면 및 콩깍지의 착생부에 산포하는 방법에 의해, 토양에 시용(施用)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고농도로 열매중에 함유시키게 되며, 열매중의 아연 농도가 종래에 볼 수 없었던 고농도의 두류가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1)~22)에 관련되는 것이다.
1) 아연을 5.5mg/100g 이상 함유하는 팥 이외의 두류 완숙 열매.
2) 아연 함유량이 5.5~15.0mg/100g인 상기 1)의 두류 완숙 열매.
3) 상기의 두류가, 대두(Glycine max), 강낭콩(Phaseolus vulgaris), 잠두(Vicia faba), 완두(Pisum sativum), 동부(Vigna unguiculata), 땅콩(Arachis hypogaea), 편두(Dolichos lablab), 작두콩(Canavalia gladiata), 리마콩(Phaseolus lunatus), 날개콩(Psophocarpus tetragonolobus), 렌즈콩(Lens esculenta), 병아리콩(Cicer arietinum), 녹두(Vigna radiata), 돌콩(Glycine soja), 가는잎 돌콩(Glycine formosana), 알팔파(Medicago sativa), 하얀꽃 루핀(Lupinus albus), 푸른꽃 루핀(Lupinus angustifolius), 노란꽃 루핀(Lupinus luteus) 및 이집트 루핀(Lupinus termis)으로부터 선택되는 상기 1) 또는 2)의 두류 완숙 열매.
4) 아연을 4.0mg/100g 이상 함유하는 팥 완숙 열매.
5) 아연 함유량이 4.0~10.0mg/100g인 상기 4)의 팥 완숙 열매.
6) 아연을 2.0mg/100g(신선중량) 이상 함유하는 대두 미숙 열매, 강낭콩 미숙 열매, 완두 미숙 열매 또는 잠두 미숙 열매.
7) 아연 함유량이 2.0~10.0mg/100g(신선중량)인 상기 6)의 대두 미숙 열매, 강낭콩 미숙 열매, 완두 미숙 열매 또는 잠두 미숙 열매.
8) 아연을 농도로서 0.01~2중량% 함유하는 용액을, 두류의 착뢰기(꽃봉오리가 생기는 시기)때부터 엽면 또는 콩깍지의 착생부위에 산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숙 열매중에 아연을 5.5mg/100g 이상 함유하는 팥 이외의 두류의 제조방법.
9) 아연을 농도로서 0. 01~2중량% 함유하는 용액을, 팥의 착뢰기때부터 엽면 또는 콩깍지의 착생부위에 산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매중에 아연을 4.0mg/100g 이상 함유하는 팥의 제조방법.
10) 아연을 농도로서 0.01~2중량% 함유하는 용액을, 두류의 착뢰기때부터 엽면 또는 콩깍지의 착생부위에 산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숙 열매중에 아연을 2.0mg/100g(신선중량) 이상 함유하는 대두 미숙 열매, 강낭콩 미숙 열매, 완두 미숙 열매 및 잠두 미숙 열매로부터 선택되는 두류의 제조방법.
11) 아연을 함유하는 용액이, 해조 추출물을 더 함유하는 상기 8)~10)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
12) 아연을 함유하는 용액의 산포량이, 1헥타르당 1000리터 이상인 상기 8)~11)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
13) 아연을 함유하는 용액의 산포를, 착뢰기때부터 1~2주간 간격으로 실시하는 상기 8)~12)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
14) 완숙 열매중의 아연 함유량이, 5.5~15.0mg/100g인 상기 8)의 제조방법.
15) 두류가, 대두(Glycine max), 강낭콩(Phaseolus vulgaris), 잠두(Vicia faba), 완두(Pisum sativum), 동부(Vigna unguiculata), 땅콩(Arachis hypogaea), 편두(Dolichos lablab), 작두콩(Canavalia gladiata), 리마콩(Phaseolus lunatus), 날개콩(Psophocarpus tetragonolobus), 렌즈콩(Lens esculenta), 병아리콩(Cicer arietinum), 녹두(Vigna radiata), 돌콩(Glycine soja), 가는잎 돌콩(Glycine formosana), 알팔파(Medicago sativa), 하얀꽃 루핀(Lupinus albus), 푸른꽃 루핀(Lupinus angustifolius), 노란꽃 루핀(Lupinus luteus), 이집트 루핀(Lupinus termis)으로부터 선택되는 상기 8) 또는 9)의 제조방법.
16) 아연을 농도로서 0.01~2중량% 함유하는, 팥 이외의 두류의 엽면 또는 콩깍지의 착생부위에 산포하는 용액으로서, 완숙 열매중에 아연을 5.5mg/100g 이상 함유하는 팥 이외의 두류의 제조용 자재.
17) 해조 추출물을 더 함유하는 상기 16)의 자재.
18) 두류가, 대두(Glycine max), 강낭콩(Phaseolus vulgaris), 잠두(Vicia faba), 완두(Pisum sativum), 동부(Vigna unguiculata), 땅콩(Arachis hypogaea), 편두(Dolichos lablab), 작두콩(Canavalia gladiata), 리마콩(Phaseolus lunatus), 날개콩(Psophocarpus tetragonolobus), 렌즈콩(Lens esculenta), 병아리콩(Cicer arietinum), 녹두(Vigna radiata), 돌콩(Glycine soja), 가는잎 돌콩(Glycine formosana), 알팔파(Medicago sativa), 하얀꽃 루핀(Lupinus albus), 푸른꽃 루핀(Lupinus angustifolius), 노란꽃 루핀(Lupinus luteus), 이집트 루핀(Lupinus termis)으로부터 선택되는 상기 16) 또는 17)의 자재.
19) 아연을 농도로서 0.01~2중량% 함유하는, 팥의 엽면 또는 콩깍지의 착생부위에 산포하는 용액으로서, 완숙 열매중에 아연을 4.0mg/100g 이상 함유하는 팥 제조용 자재.
20) 해조 추출물을 더 함유하는 상기 19)의 자재.
21) 아연을 농도로서 0.01~2중량% 함유하는, 두류의 엽면 또는 콩깍지의 착생부위에 산포하는 용액으로서, 미숙 열매중에 아연을 2.0mg/100g(신선중량) 이상 함유하는 대두 미숙 열매, 강낭콩 미숙 열매, 완두 미숙 열매 및 잠두 미숙 열매로부터 선택되는 두류의 제조용 자재.
22) 해조 추출물을 더 함유하는 상기 21)의 자재.
본 발명의 팥 이외의 완숙 두류의 열매는, 아연을 5.5mg/100g 이상 함유한다. 통상적으로 완숙 두류 열매중의 아연 농도는, 2.3~4.5mg/100g으로 되어 있으며, 본 발명과 같이 고농도의 아연을 함유하는 완숙 두류 열매는 알려져 있지 않다. 완숙 두류 열매중에 함유하는 보다 바람직한 아연의 농도는 5.5~15.0mg/100g이 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6.0~8.5mg/100g이다. 여기서, 아연의 농도는 원자 흡광법, ICP 발광분석법, ICP 질량분석법에 의해 측정할 수가 있으며, 이 농도는 건조물 100g중의 아연 함유량(mg)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완숙 두류로서는 대두(Glycine max), 강낭콩(Phaseolus vulgaris), 잠두(Vicia faba), 완두(Pisum sativum), 동부(Vigna unguiculata), 땅콩(Arachis hypogaea), 편두(Dolichos lablab), 작두콩(Canavalia gladiata), 리마콩(Phaseolus lunatus), 날개콩(Psophocarpus tetragonolobus), 렌즈콩(Lens esculenta), 병아리콩(Cicer arietinum), 녹두(Vigna radiata), 돌콩(Glycine soja), 가는잎 돌콩(Glycine formosana), 알팔파(Medicago sativa) , 하얀꽃 루핀(Lupinus albus), 푸른꽃 루핀(Lupinus angustifolius), 노란꽃 루핀(Lupinus luteus), 이집트 루핀(Lupinus termis) 등을 들 수가 있으나, 이 중 대두, 강낭콩, 잠두, 완두가 바람직하고, 특히 대두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대두에는, 보통 대두, 생청국장용 소립 대두, 흑대두, 청대두, 청완두, 차콩, 쿠라카케 대두, 미숙 열매를 식용으로 하는 에다마메용 대두 및 다다차콩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팥 완숙 열매는, 아연을 4.0mg/100g 이상 함유한다. 통상적으로, 완숙 팥중의 아연 농도는 2.3mg/100g으로 되어 있으며, 본 발명과 같이 고농도의 아연을 함유하는 팥 완숙 열매는 아직 알려져 있지 않다. 팥 완숙 열매중의 보다 바람직한 아연 농도는 4.0~10.0mg/100g, 더욱 바람직하게는 4.0~8.5mg/100g이다. 여기서 팥은, Vigna angularis이다.
본 발명의 대두 미숙 열매(에다마메의 가식부), 강낭콩 미숙 열매(꼬투리 강 낭콩의 가식부), 완두 미숙 열매(그린피스의 가식부) 또는 잠두 미숙 열매(잠두의 가식부)는, 아연을 2.0mg/100g(신선중량) 이상 함유한다. 종래, 이와 같은 고농도의 아연을 함유한 이들 콩의 미숙 열매는 알려져 있지 않다. 이들 미숙 열매중의 보다 바람직한 아연 농도는 2.0~10.0mg/100g, 더욱 바람직하게는 2.0~8.5mg/100g이다.
본 발명의 열매중에 고농도의 아연을 함유하는 두류는, 아연 농도를 0.01~2중량% 함유하는 용액을, 두류의 착뢰기때부터 엽면 또는 콩깍지의 착생부위에 산포하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가 있다. 이하, 제조방법 및 두류 제조용 자재에 있어서의 두류에는, 팥도 포함하며 또한 미숙 열매도 포함한다.
본 발명자들의 검토에 의하면, 두류의 열매중에 아연을 고농도로 흡수시키기 위해서는, 토양에 산포하는 것이 아니라, 엽면 또는 콩깍지의 착생부위에 산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따라서, 아연을 농도로서 0.01~2중량% 함유하고, 두류의 엽면 또는 콩깍지의 착생부위에 산포하는 용액은, 열매중에 아연을 5.5~15.0mg/100g 이상 함유하는 두류 제조용 자재로서 유용하다.
산포에 이용하는 용액(이하, 엽면 산포 자재라고도 한다)은, 아연을 0.01~2중량% 함유하는 용액이 바람직하다. 해당 액을 조제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아연으로서는 수용성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황산 아연, 염화 아연, 질산 아연, 포름산 아연, 아세트산 아연, EDTA 아연과 같은 킬레이트체 아연 등을 들 수가 있다. 이 가운데, 열매에 대한 아연의 이행성 측면에서 황산 아연이 특히 바람직하다.
엽면 산포 자재중의 아연의 농도로서는, 아연을 0.02~1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1~0.5중량%가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엽면 산포 자재에는, 해조 추출물을 함유시킴으로써, 두류 열매에 대한 아연의 이행률이 향상된다. 상기 해조로서는 갈조류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다시마목(Laminariales)이 바람직하다. 또한 미역과(Alariaceae)가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한 것은 아이누미역(Alaria praelonga)이다. 이들 해조 추출물은 수분을 함유한 상태라도 좋고, 건조시켜도 좋으나, 처리의 용이성을 고려하면 건조물이 바람직하다.
해조 추출물의 엽면 산포 자재중의 함유량은, 건조물로 환산하여 0.1~20중량%, 또는 1~10중량%, 특히 3~5중량%가 바람직하다.
해조 추출물은,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하여 조제할 수가 있다. 재료가 되는 해조는 희황산수(希硫酸水) 또는 희염산수(希鹽酸水) 등의 산을 첨가하고, 60℃이상으로 가온하는 것에 의해 가수분해한다. 이 경우, 사용하는 산의 종류는 황산이 바람직하고, 농도는 0.5~2N이 바람직하다. 가온하는 온도에 대해서는 분해속도의 속도로 끊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얻어진 가수분해물은 적당히 알칼리를 첨가하는 것에 의해 pH를 조정한 후, 원심분리 또는 여과에 의해 고형분을 제거하고, 해조 추출물을 얻는다. 바람직한 엽면 산포 자재를 얻기 위해서는, 상기의 해조 추출물 자체 또는 희석액에 아연을 적당히 첨가하면 좋다.
엽면 산포 자재에는, 엽면 및 콩깍지의 착생부에 대한 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농업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전착제(展着劑), 계면활성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하는 전착제, 계면활성제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나,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음이온성, 양(陽)이온성 및 양(兩)이온성을 모두 사용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옥시에틸렌폴리머, 옥시프로필렌폴리머, 폴리옥시에틸렌알킬인산 에스테르, 지방산염, 알킬황산 에스테르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아릴술폰산염, 알킬인산염, 알킬인산 에스테르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황산 에스테르, 제4급 암모늄염, 옥시알킬아민, 레시틴, 사포닌 등이다. 또, 필요에 따라서 젤라틴, 카세인, 전분, 한천, 폴리비닐알코올, 아르긴산 소다 등을 보조제로서 사용할 수가 있다.
엽면 산포 자재를 산포하는 경우, 농업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엽면 산포용 비료와 혼합하여도 좋다. 이 경우, 비료의 성분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나, 용해시킨 후 알칼리성을 나타내는 것에 대해서는 아연이 염으로서 침전을 일으키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혼합하는 경우의 바람직한 비료의 성분을 예시하면, 요소, 인산 암모늄, 염산 암모늄, 황산 암모늄, 인산, 피로 인산 등을 들 수가 있다. 그 중에서도 요소의 혼용은 아연의 흡수량을 향상시키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Mortvedt와 gilkes 1993. Zinc fertilizer. "Zinc in soils and plants" Kluwer academic publishers).
본 발명의 두류를 재배하는 경우의 토양에 시용하는 밑거름과 추비는 그 지역에서 실시되고 있는 시비량·시비방법에 준거하면 좋다. 단, 토양에 아연 처리를 하면 열매중 아연의 함량을 약간 더 증가시킬 수가 있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두류를 재배하는 경우의 재식밀도(栽埴密度)는, 그 지역에서 추장하고 있는 밀도로 하여도 좋으나, 밭이랑의 간격(줄간격)에 대해서는 엽면 산포 자재가 콩깍지의 착생부위까지 용이하게 도달할 수 있도록, 3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엽면 산포 자재중의 아연 농도를 0.1중량% 이상으로 할 경우는, 감수(減收)를 경감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재식밀도를 보통보다 1.2~2배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1주당 파종수를 증가시키는 것보다, 밭이랑의 간격(줄간격)·포기의 사이를 좁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엽면 산포 자재의 산포방법으로서는, 콩깍지의 착생부위까지 엽면 산포 자재가 잘 전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람의 손으로 산포하는 경우는 엽면 산포 자재의 분무구가 콩깍지의 착생부위를 향하도록 하는 조작이 요구된다. 또, 붐스프레이어를 사용하는 경우는 산포액의 양을 1헥타르당 1000리터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0~3000리터,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0~2000리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 분무기의 가압은 2~3MPa로 높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분무노즐을 작게 하는 등, 분무되는 용액의 입자지름을 작게 하는 장치를 사용하는 편이 좋다는 것은 당연하다. 또, 정전기(靜電氣)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분무액의 식물체에 대한 부착을 촉진시키는, 이른바 정전 분무기나 정전 분무 노즐구를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엽면 산포 자재의 산포시기에 대해서는, 착뢰기때부터 콩깍지가 황화하는 시기까지가 좋고, 특히 착협기(콩깍지 착생시기)~황화 직전까지의 시기가 바람직하다. 엽면 산포 자재의 산포간격에 대해서는 1일 1회 내지 2주간에 1회가 바람직하 다. 또한 1주간~2주간에 1회 산포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작물 생육기간 동안의 산포 횟수의 합계는 2~7회가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어서 실시예를 통해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바,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해조 추출액의 조제
아이누미역(Alaria praelonga), 치가이소(Alaria crassifolia), 참다시마(Laminaria japonica), 쇠미역(Costaria costata)의 건조물을 각각 가위로 5㎝ 각으로 가늘게 절단하였다. 이들 세단한 건미역 450g에 1N 황산을 2,550mL 첨가하고, 2시간 교반하면서 끓였다. 얻어진 액체는 용기를 크래쉬 아이스 내에 넣어서 냉각시키고, 이어서 원심분리기에 의해 8,000G×60분으로 원심분리하였다. 얻어진 윗물(상청수) 1.5L에 물 1L를 첨가하여 희석하고, 황산아연 7수화물 2.5㎏을 첨가하여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수산화칼륨을 첨가하여 pH2.0으로 조정하였다. 이 가운데, 아이누미역을 원료로 한 것을, 이하에서는 아연 함유 아이누미역 추출액이라고 칭하기로 한다. 또한 아이누미역 현물중의 아연 함량은 2.34mg/㎏이므로, 아연이 함유된 아이누미역 추출물 중에서 아이누미역 자체에서 유래하는 아연은 0.11mg/㎏에 불과하여, 실질적으로 무시할 수 있을 정도이다.
실시예 1
일본국 홋카이도 에베츠시 유키지루시 종묘(주)(Snow Brand Seed Co., Ltd.) 기술연구소 내의 시험포장에서 에다마메용 대두 품종 「하루노마이(일본명)」(Snow Brand Seed Co., Ltd.)를 재배하였다. 밑거름은 질소 50㎏/ha, 인산 200㎏/ha, 칼륨 117㎏/ha를 시용(施用)하고, 동시에 아연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 황산아연(ZnSO4)을 아연 함량으로서 5.7, 11.4, 22.8, 45.8㎏/ha를 시용한 구와, 산화 아연(ZnO)을 아연 함량으로서 20.6, 41.2, 82.4, 164.7㎏/ha를 시용하였다. 재식밀도는 60㎝×20㎝의 1주 1개체로 하였다. 파종은 6월 26일에 실시하였다. 재배기간 중, 착협기인 8월 22일에 각각의 처리구 중 절반에 해당하는 면적에 대하여 황산아연 7수화물의 0.5% 수용액(아연 농도로서는 0.11%)에 폴리옥시에틸렌 헥시탄 지방산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전착제 어프로치 BI(Kao Corporation 제)를 0.1% 첨가한 것을 150mL/㎡의 엽면에 산포하였다. 엽면 산포에 있어서는 배낭식 동력 분무기 SHR061(Kioritz Corporation, Ltd. 제)을 이용하여 콩깍지의 착생부까지 약액이 충분히 미치도록 산포하였다. 시험은 각각의 처리를 2회씩 반복하였다.
샘플링은 에다마메의 수확 적기인 9월 25일에 실시하였으며, 콩깍지를 까고, 그 안의 열매(가식부)를 분리하여, 생중량을 측정한 후, 건조기내에서 90℃, 3일간 건조시켰다. 건조시킨 후의 열매는 신속하게 건조물의 중량을 측정하고, 건조물의 건조율을 산출하였다. 건조물은 초원심 분쇄기 MRK-RETSCH(Mitamura Riken Kogyo, Inc. 제)로 분쇄한 후, 0.5g을 칭량하고, 정밀 분석용 질산(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 제) 5mL를 첨가하여, 테플론(등록상표) 밀폐 가압 분해용기에서 분해하였다. 분해액을 일정량으로 정용(定容)하고, 그 액을 ICP 발광 분광 분석장 치 SPS4000(Seiko Instruments, Inc. 제)에 의해 아연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정량치는 건조물의 건조율을 이용하여 역으로 계산하는 것에 의해 생중량당 아연의 함유량을 산출하였다.
그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토양에 황산아연을 시용하고, 엽면에 산포하지 않은 구와 비교했을 때, 열매중 아연의 함량이 가장 높았던 것은 45.8㎏/ha 시용구로서, 열매중 아연의 함량은 1.91mg/100g으로 시용하지 않은 구보다 30% 높았다. 토양에 산화 아연을 시용하고, 엽면에는 산포하지 않은 구와 비교할 때, 열매중 아연의 함량이 가장 높았던 것은 41.2㎏/ha의 시용구였으나, 열매중 아연의 함량은 1.69mg/100g에 머물렀다(산화아연보다 황산아연의 효과가 높았던 원인으로서는 산화아연보다 황산아연의 수용성이 극히 높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토양에 아연을 시용하지 않고, 엽면의 산포만을 실시한 처리구에서의 열매중의 아연의 함량은 2.06mg/100g이며, 어느 토양 시용구보다도 높았다. 참고로, 엽면의 산포처리에서 사용한 아연의 양은 ha당으로 환산하여도 1.65㎏에 지나지 않았으며, 이와 같은 결과를 보아도 엽면에 대한 산포처리가 효과적이라는 것은 분명하였다. 또, 아연을 토양에 시용하고, 또한 아연을 엽면에 산포한 모든 처리구에서의 열매중 아연의 함량은 산포하지 않은 구를 웃돌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보아도 아연을 열매중에 함유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토양에 시용하는 것보다 엽면에 산포하는 편이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Figure 112009040016318-pct00001
실시예 2
일본국 홋카이도 오비히로시 메무로쵸의 포장에서 팥 품종 「에리모쇼우즈(일본명)」를 재배하였다. 밑거름은 『홋카이도 시비 가이드』(일본 홋카이도 농정부편 2002, 사단법인 홋카이도 농업개량보급협회)의 시비 기준에 준하여 실시하였다. 파종은 5월 20일에 실시하였다. 재식밀도는 66㎝×20㎝의 1주 2개체로 하였다. 개화기인 8월 14일에 황산아연(ZnSO4)을 아연 함량으로서 5.5, 11, 22㎏/ha의 토양에 시용한 구와, 황산아연 7수화물의 0.5, 1, 2, 3, 4, 5% 수용액(아연 농도로서는 각각 0.11, 0.22, 0.44, 0.66, 0.88, 1.1%)에 폴리옥시에틸렌 헥시탄 지방산 에스테르가 함유된 전착제 어프로치 BI(Kao Corporation 제)를 0.1% 첨가한 것을 150mL/㎡ 엽면에 산포하였다. 엽면에 산포하는 방법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또, 황산아연 7수화물의 0.5, 1% 수용액(아연의 농도로서는 각각 0.11, 0.22%) 처리구에 대해서는, 8월 29일에도 동일하게 산포하였다. 시험은 각각의 처리를 2회씩 반복하였다.
샘플링은 수확기인 10월 5일에 실시하였으며, 식물체를 바람에 건조시킨 후, 탈곡기로 열매를 분리하였다. 얻어진 열매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분쇄하여 아연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정리하였다. 아연을 토양에 시용한 처리구 중에서 열매중 아연의 함량이 가장 높았던 것은 22㎏/ha의 시용구로서, 3.43mg/100g이었다. 이에 대하여 아연을 엽면에 산포한 구의 열매중 아연의 함량은 모든 처리구에서 이 수치를 상회하고 있었으며, 팥의 열매중에 아연을 함유시키기 위해서는 엽면에 산포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 중에서도, 아연 0.22% 수용액을 2회 처리한 구의 열매중 아연의 함량은 4.05mg/100g, 아연 1.1% 수용액 처리구의 열매중 아연 함량은 4.07mg/100g으로서 현저하게 높았다. 또한, 「오정(五訂) 식품분석표 2003」에 의하면 소의 간중의 평균적인 아연의 함량은 3.8mg/100g으로 되어 있으며, 이 점을 고려하면 본 실시예의 아연의 엽면 산포에 의해, 소의 간보다 그 이상의 아연 함량을 갖는 팥 열매가 얻어진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Figure 112009040016318-pct00002
실시예 3
일본국 홋카이도 에베츠시 유키지루시 종묘(주) 기술 연구소내의 온실내에서 대두 품종 「하루노마이(일본명)」(Snow Brand Seed Co., Ltd.)를 재배하였다. 지름 9㎝의 블랙 폴리머 수지제의 포트에 배양토 「스쿠스쿠크라부30」(Snow Brand Seed Co., Ltd.)을 충전하고, 포트당 1알씩 파종하였다. 추비는 개화기 이후 잎이 황화할 때까지의 사이, 10일마다 성분으로 질소, 인산, 칼륨을 포트당 각각 0.1g씩 시용하였다. 착협기 이후, 주에 1회, 황산아연 7수화물의 0.5% 수용액(아연의 농도로서는 0.11%)에 폴리옥시에틸렌 헥시탄 지방산 에스테르가 함유된 전착제 어프로치 BI(Kao Corporation 제)를 0.1% 첨가한 것을, 수성 페인트용 솔을 사용하여 잎의 몸, 콩깍지의 표면, 및 쌍방에 도포하였다. 이 처리는 1주간마다 5회 실시하였다. 각각의 처리는 2회 반복하였다. 식물체가 완전히 고사하고 나서 각 처리구의 열매를 샘플링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쇄하여, 아연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 3에 정리하였다. 열매중 아연의 함량은 잎의 몸에만 도포한 처리구보다 콩깍지에만 도포한 처리구가 높았다. 두류는 콩깍지의 표면적보다 잎의 표면적이 큰 것이 일반적이며 본 실시예에 제공된 품종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콩깍지에만 도포한 처리구쪽이 잎의 몸에만 도포한 처리구보다 열매중 아연의 함량이 높게 나타나는 점으로 보았을 때, 콩깍지의 표면에 부착시키는 등의 방법이 더 효율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열매중 아연의 함량
(mg/100g)

무처리구 대비 (%)

무처리구

2.69

100

잎의 몸에만 도포한 처리구

3.12

116

콩깍지에만 도포한 처리구

3.21

119

잎의 몸 및 콩깍지 도포처리구

3.39

126
실시예 4
일본국 홋카이도 에베츠시 유키지루시 종묘(주) 기술 연구소 내의 온실내에서 대두 품종 「하루노마이」(Snow Brand Seed Co., Ltd.)를 재배하였다. 지름 9㎝ 블랙 폴리머 수지제의 포트에 배양토 「스쿠스쿠크라부 30」(Snow Brand Seed Co., Ltd.)를 충전하고, 포트당 1알씩 파종하였다. 추비는 개화기 이후 잎이 황화할 때까지의 사이, 10일마다 성분으로 질소, 인산, 칼륨을 포트당 각각 0.1g씩 시용하였다. 개화기 이후, 2주간에 1회, 1주간에 1회, 1주간에 2회의 간격으로 황산아연 7수화물의 0.25%, 0.5%, 1% 수용액(아연 농도로서는 0.055%, 0.11%, 0.22%)에 폴리옥시에틸렌 헥시탄 지방산 에스테르가 함유된 전착제 어프로치 BI(Kao Corporation 제)를 0.1% 첨가하여 스프레이어를 사용하여 식물체 전체에 산포하였다. 각각의 처리는 2회 반복하였다. 식물체가 완전히 고사하고 나서 각 처리구의 열매를 샘플링하고,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분쇄하여, 아연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표 4에 정리하였다. 엽면에 산포하는 아연의 농도가 동일한 그룹에서는 산포 간격이 짧고, 총 산포횟수가 많을수록 열매중 아연의 함량이 높았다. 이 점에서, 열매중의 아연의 함량을 높이기 위해서는, 복수회의 처리가 유효하다는 것을 알 수가 있었다.
Figure 112009040016318-pct00003
실시예 5
일본국 홋카이도 나가누마쵸 유키지루시 종묘(주) 홋카이도 연구농장 내의 시험포장에서, 대두 품종 「스즈마루(일본명)」, 「토요코마치(일본명)」를 재배하였다. 밑거름은 질소 24㎏/ha, 인산 150㎏/ha, 칼륨 56㎏/ha, 마그네슘 20㎏/ha를 시용하였다. 재식밀도는 60㎝×20㎝의 1주 2개체로 하였다. 파종은 5월 24일에 실시하였다. 재배중, 개화기인 7월 30일, 착협기인 8월 9일, 8월 23일에 황산아연 7수화물의 0.25%, 0.5%, 1% 수용액(아연의 농도로서는 0.055%, 0.11%, 0.22%가 된다), 및 제조예 1에 나타낸 아연이 함유된 아이누미역 추출액의 0.5%, 1%, 2% 수용액(아연 농도로서는 동일하게 0.055%, 0.11%, 0.22%가 된다)에 폴리옥시에틸렌 헥시탄 지방산 에스테르가 함유된 전착제 어프로치 BI(Kao Corporation 제)를 0.1% 첨가한 것을 150mL/㎡의 엽면에 산포하였다. 엽면 산포에 있어서는 배낭식 동력 분무기 SHR061(Kioritz Corporation, Ltd. 제)을 사용하여 콩깍지의 착생부까지 충분히 약액이 미치도록 산포하였다. 시험은 각각의 처리를 2회씩 반복하였다.
샘플링은 수확기인 10월 3일에 실시하였으며, 식물체를 바람에 건조시킨 후, 탈곡기로 열매를 분리하였다. 얻어진 열매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분쇄하여, 아연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 5에 정리하였다. 황산아연 단독으로 처리한 것과, 아이누미역 추출물이 첨가된 것과를 비교하면, 아이누미역 추출액을 첨가하는 것에 의해 열매중 아연의 함량이 증가하고 있었다. 또한 「오정(五訂) 식품분석표 2003」에 의하면 소 간 중의 평균적인 아연 함량이 3.8mg/100g으로 되어 있는바, 이 점으로보아, 본 실시예와 같이 아연을 엽면에 산포하는 것에 의해 스즈마루에서는 소 간의 1.8배 이상, 토요코마치에서는 소 간의 2.1배 이상의 아연 함량을 갖는 팥 열매가 얻어지게 되는 것이다.
Figure 112009040016318-pct00004
실시예 6
일본국 홋카이도 카미카와군 시미즈쵸의 포장에서 강낭콩 품종 「타이쇼킨토키(일본명)」를 재배하였다. 밑거름은 『홋카이도 시비 가이드』(일본국 홋카이도 농정부편 2002, 사단법인 홋카이도 농업개량보급협회)의 시비 기준에 준해서 실시하였다. 파종은 5월 27일에 실시하였다. 재식밀도는 66㎝×20㎝의 1주 2개체로 하였다. 개화기에 해당하는 7월 10일 및 착협기에 해당하는 8월 2일에 제조예 1에서 나타낸 아연이 함유된 아이누미역 추출물의 160배 희석액(아연 농도로서는 0.31%가 된다)에 폴리옥시에틸렌 헥시탄 지방산 에스테르가 함유된 전착제 어프로치 BI(Kao Corporation 제)를 0.1% 첨가한 것을 800L/ha를 엽면 산포하였다. 시험은 각각의 처리를 2회씩 반복하였다.
샘플링은 수확기인 8월 26일에 실시하였으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쇄하여 아연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6에 정리하였다. 본 처리에 의해 열매중 아연의 함량은 31% 증가하였다.
Figure 112009040016318-pct00005
실시예 7
일본국 홋카이도 카미카와군 시미즈쵸의 포장에서 강낭콩 품종 「히메테보우(일본명)」를 재배하였다. 밑거름은 『홋카이도 시비 가이드』(일본국 홋카이도 농정부편 2002, 사단법인 홋카이도 농업개량보급협회)의 시비 기준에 준해서 실시하였다. 파종은 5월 24일에 실시하였다. 재식밀도는 66㎝×20㎝의 1주 2개체로 하였다. 개화기에 해당하는 7월 10일 및 착협기에 해당하는 8월 2일에 제조예 1에서 나타낸 아연이 함유된 아이누미역 추출액의 200배 희석액(아연 농도로서는 0. 25%가 된다)에 폴리옥시에틸렌 헥시탄 지방산 에스테르가 함유된 전착제 어프로치 BI(Kao Corporation 제)를 0.1% 첨가한 것을 1,000L/ha를 엽면 산포하였다. 시험은 각각의 처리를 2회씩 반복하였다.
샘플링은 수확기인 8월 26일에 실시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쇄하여 아연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표 7에 정리하였다. 본 처리에 의해 열매중 아연의 함량은 33% 증가하였다.
Figure 112009040016318-pct00006
실시예 8
일본국 홋카이도 아바시리군 츠베츠쵸의 포장에서 대두 품종 「토요코마치(일본명)」를 재배하였다. 밑거름은 『홋카이도 시비 가이드』(일본국 홋카이도 농정부편 2002, 사단법인 홋카이도 농업개량보급협회)의 시비 기준에 준해서 실시하였다. 파종은 5월 21일에 실시하였다. 재식밀도는 66㎝×20㎝의 1주 2개체로 하였다. 착협기에 해당하는 8월 7일, 8월 13일, 8월 20일에 제조예 1에서 나타낸 아연이 함유된 아이누미역 추출액의 167배 희석액(아연 농도로서는 0.3%가 된다)에 폴리옥시에틸렌 헥시탄 지방산 에스테르가 함유된 전착제 어프로치 BI(Kao Corporation 제)를 0.1% 첨가한 것을 1,200L/ha를 엽면 산포하였다. 시험은 각각의 처리를 2회씩 반복하였다.
샘플링은 수확기인 10월 6일에 실시하였으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쇄하여 아연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표 8에 정리하였다. 본 처리에 의해 열매중 아연의 함량은 2.5배 증가하였다. 또한 「오정(五訂) 식품분석표 2003」에 의하면 소의 간 중의 평균적인 아연의 함량이 3.8mg/100g으로 되어 있는바, 이 점으로 볼 때, 본 실시예의 아연을 엽면에 산포하는 것에 의해 소간의 2.2배 이상의 아연 함량을 갖는 팥 열매가 얻어진다는 것이다.
Figure 112009040016318-pct00007
실시예 9
― 재식밀도를 높여서 수확량의 감소를 억제한 결과에 대하여 ―
일본국 홋카이도 나가누마쵸 유키지루시 종묘(주) 홋카이도 연구농장 내의 시험포장에서 대두 품종 「스즈마루」, 「토요코마치」를 재배하였다. 밑거름은 질소 24㎏/ha, 인산 150㎏/ha, 칼륨 56㎏/ha, 마그네슘 20㎏/ha를 시용하였다. 재식밀도는 60㎝×20㎝, 60㎝×15㎝, 60㎝×10㎝의 1주 2개체로 하고, 각각 표준구, 밀식구, 2배 밀식구로 하였다(재식밀도는 각각 166, 667개체/ha, 222, 222개체/ha, 333, 333개체/ha가 된다). 파종은 5월 24일에 실시하였다. 재배중, 개화기인 7월 30일, 착협기인 8월 9일, 8월 23일에 제조예 1에 나타낸 아연이 함유된 아이누미역 추출액의 0.5%, 1% 수용액(아연 농도로서는 0.055%, 0.11%가 된다)에 폴리옥시에틸렌 헥시탄 지방산 에스테르가 함유된 전착제 어프로치 BI(Kao Corporation 제)를 0.1% 첨가한 것을 150mL/㎡를 엽면 산포하였다. 엽면 산포에 있어서는 배낭식 동력 분무기 SHR061(Kioritz Corporation, Ltd. 제)를 이용하여 콩깍지의 착생부까지 충분히 약액이 미치도록 산포하였다. 시험은 각각의 처리를 2회씩 반복하였다.
샘플링은 수확기인 10월 3일에 각 처리구 5㎡를 수확하는 것에 의해 실시하였으며, 식물체를 바람에 건조시킨 후, 탈곡기로 열매를 분리하였다. 얻어진 열매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분쇄하여 아연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 9에 정리하였다. 재식밀도 표준구와 비교할 때, 아연 처리에 의해 열매중 아연의 함량은 높아지는 반면, 수확량은 저하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아연 처리구에 있어서도 재식밀도를 높이는 것에 의해, 그와 같은 면적당 수확량의 저하 정도를 어느 정도 저감시킬 수가 있다는 것이 분명해졌다.
Figure 112009040016318-pct00008
본 발명의 두류(콩류) 열매는, 종래 유전자 재조합 기술에 의해서도 제작할 수 없었던 고농도의 아연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영양가가 높은 식품 및 식품 재료로서 유용하다.
또, 본 발명의 두류의 제조방법은, 토양에 시용하는 것이 아니라, 엽면 등에 산포하는 것이기 때문에, 토양에 아연을 대량으로 시비할 경우에 발생하는 것으로 되어 있는, 토양중의 철의 흡수 이동을 저해하여 철 결핍증상을 일으키는(중금속 유도 클로로시스) 문제(쿠마사와·니시자와 1976년. 식물의 양분 흡수. 도쿄대학 출판회)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 토양에 대량으로 시용한 경우에는 하천으로의 유출로 인한 환경보전상의 문제가 된다. 예를 들면, 일본에서는 2003년 환경 기본법의 개정에 의해 하천이나 해수중의 아연 농도의 기준이 10~30μg/L 이하로 설정되어 있는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이와 같은 문제도 발생하지 않는다.

Claims (22)

  1. 아연을 5.5mg/100g 이상 함유하는 팥 이외의 두류 완숙 열매.
  2. 제1항에 있어서,
    아연 함유량이 5.5~15.0mg/100g인 두류 완숙 열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두류가, 대두(Glycine max), 강낭콩(Phaseolus vulgaris), 잠두(Vicia faba), 완두(Pisum sativum), 동부(Vigna unguiculata), 땅콩(Arachis hypogaea), 편두(Dolichos lablab), 작두콩(Canavalia gladiata), 리마콩(Phaseolus lunatus), 날개콩(Psophocarpus tetragonolobus), 렌즈콩(Lens esculenta), 병아리콩(Cicer arietinum), 녹두(Vigna radiata), 돌콩(Glycine soja), 가는잎 돌콩(Glycine formosana), 알팔파(Medicago sativa), 하얀꽃 루핀(Lupinus albus), 푸른꽃 루핀(Lupinus angustifolius), 노란꽃 루핀(Lupinus luteus) 및 이집트 루핀(Lupinus termis)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류 완숙 열매.
  4. 아연을 4.0mg/100g 이상 함유하는 팥 완숙 열매.
  5. 제4항에 있어서,
    아연 함유량이 4.0~10.0mg/100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팥 완숙 열매.
  6. 아연을 2.0mg/100g(신선중량) 이상 함유하는 대두 미숙 열매, 강낭콩 미숙 열매, 완두 미숙 열매 또는 잠두 미숙 열매.
  7. 제6항에 있어서,
    아연 함유량이 2.0~10.0mg/100g(신선중량)인 대두 미숙 열매, 강낭콩 미숙 열매, 완두 미숙 열매 또는 잠두 미숙 열매.
  8. 아연을 농도로서 0.01~2중량% 함유하는 용액을, 두류의 착뢰기때부터 엽면 또는 콩깍지의 착생부위에 산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숙 열매중에 아연을 5.5mg/100g 이상 함유하는 팥 이외의 두류의 제조방법.
  9. 아연을 농도로서 0.01~2중량% 함유하는 용액을, 팥의 착뢰기때부터 엽면 또는 콩깍지의 착생부위에 산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매중에 아연을 4.0mg/100g 이상 함유하는 팥의 제조방법.
  10. 아연을 농도로서 0.01~2중량% 함유하는 용액을, 두류의 착뢰기때부터 엽면 또는 콩깍지의 착생부위에 산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숙 열매중에 아연을 2.0mg/100g(신선중량) 이상 함유하는 대두 미숙 열매, 강낭콩 미숙 열매, 완두 미 숙 열매 및 잠두 미숙 열매로부터 선택되는 두류의 제조방법.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연을 함유하는 용액이, 해조(海藻) 추출물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2.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연을 함유하는 용액의 산포량이, 1헥타르 당 1000리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3.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연을 함유하는 용액의 산포를, 착뢰기때부터 1~2주간 간격으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완숙 열매중의 아연 함유량이, 5.5~15.0mg/100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5.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두류가, 대두(Glycine max), 강낭콩(Phaseolus vulgaris), 잠두(Vicia faba), 완두(Pisum sativum), 동부(Vigna unguiculata), 땅콩(Arachis hypogaea), 편두(Dolichos lablab), 작두콩(Canavalia gladiata), 리마콩(Phaseolus lunatus), 날개콩(Psophocarpus tetragonolobus), 렌즈콩(Lens esculenta), 병아리콩(Cicer arietinum), 녹두(Vigna radiata), 돌콩(Glycine soja), 가는잎 돌콩(Glycine formosana), 알팔파(Medicago sativa), 하얀꽃 루핀(Lupinus albus), 푸른꽃 루핀(Lupinus angustifolius), 노란꽃 루핀(Lupinus luteus), 이집트 루핀(Lupinus termis)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6. 아연을 농도로서 0.01~2중량%를 함유하는, 팥 이외의 두류의 엽면 또는 콩깍지의 착생부위에 산포하는 용액으로서, 완숙 열매중에 아연을 5.5mg/100g 이상 함유하는 팥 이외의 두류의 제조용 자재에 있어서,
    해조 추출물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팥 이외의 두류의 제조용 자재.
  17. 삭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두류가, 대두(Glycine max), 강낭콩(Phaseolus vulgaris), 잠두(Vicia faba), 완두(Pisum sativum), 동부(Vigna unguiculata), 땅콩(Arachis hypogaea), 편두(Dolichos lablab), 작두콩(Canavalia gladiata), 리마콩(Phaseolus lunatus), 날개콩(Psophocarpus tetragonolobus), 렌즈콩(Lens esculenta), 병아리콩(Cicer arietinum), 녹두(Vigna radiata), 돌콩(Glycine soja), 가는잎 돌콩(Glycine formosana), 알팔파(Medicago sativa) , 하얀꽃 루핀(Lupinus albus), 푸른꽃 루핀(Lupinus angustifolius), 노란꽃 루핀(Lupinus luteus), 이집트 루핀(Lupinus termis)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재.
  19. 아연을 농도로서 0.01~2중량%를 함유하는, 팥의 엽면 또는 콩깍지의 착생부위에 산포하는 용액으로서, 완숙 열매중에 아연을 4.0mg/100g 이상 함유하는 팥의 제조용 자재에 있어서,
    해조 추출물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팥의 제조용 자재.
  20. 삭제
  21. 아연을 농도로서 0.01~2중량%를 함유하는, 두류의 엽면 또는 콩깍지의 착생부위에 산포하는 용액으로서, 미숙 열매중에 아연을 2.0mg/100g(신선중량) 이상 함유하는 대두 미숙 열매, 강낭콩 미숙 열매, 완두 미숙 열매 및 잠두 미숙 열매로부터 선택되는 두류 제조용 자재에 있어서,
    해조 추출물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류 제조용 자재.
  22. 삭제
KR1020097013743A 2006-12-27 2007-12-26 아연 고함유 두류 KR1014419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353227 2006-12-27
JP2006353227A JP5022702B2 (ja) 2006-12-27 2006-12-27 亜鉛高含有豆類
PCT/JP2007/001469 WO2008081584A1 (ja) 2006-12-27 2007-12-26 亜鉛高含有豆類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1213A KR20090091213A (ko) 2009-08-26
KR101441902B1 true KR101441902B1 (ko) 2014-09-19

Family

ID=39588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3743A KR101441902B1 (ko) 2006-12-27 2007-12-26 아연 고함유 두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313958B2 (ko)
JP (1) JP5022702B2 (ko)
KR (1) KR101441902B1 (ko)
CN (1) CN101568253B (ko)
AR (1) AR064569A1 (ko)
BR (1) BRPI0721300B1 (ko)
CA (1) CA2674032C (ko)
CL (1) CL2007003845A1 (ko)
TW (1) TWI437956B (ko)
WO (1) WO20080815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10772A (zh) * 2013-04-28 2013-07-24 卜明珍 一种四棱豆栽培中的育苗移栽方法
CN104521479A (zh) * 2014-12-08 2015-04-22 赵玉萍 一种早春豇豆的种植方法
CN104488520A (zh) * 2014-12-18 2015-04-08 蒙城县科技创业服务中心 一种四季豆种植方法
CN105712790A (zh) * 2016-03-30 2016-06-29 微港生物科技江苏有限公司 富锌营养剂、其制备方法及栽培富锌大豆的方法
KR102414861B1 (ko) * 2021-09-17 2022-06-29 이종관 아연 메가도스법에 의한 혈당 강하용 기능성 새싹보리 순 및 뿌리, 이를 이용한 가공식품과 이의 재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30968A (ja) * 1992-05-29 1993-12-14 Iseki & Co Ltd 葉面散布剤
JPH0624884A (ja) * 1991-09-04 1994-02-01 Kiyotake Aoki 作物の葉面散布剤とその散布方法
JP2002255712A (ja) 2001-02-27 2002-09-11 Nangoku Ikushu Kenkyu Nojo:Kk 海洋深層水を利用した葉面散布剤
KR100546809B1 (ko) 2003-08-04 2006-01-25 최혁선 두체류 재배방법과 두체류 및 이 두체류 분말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60929A (ja) * 1989-11-20 1991-07-10 Daiichi Seimo Kk 根菜類の生長調整方法
US5201930A (en) * 1991-09-30 1993-04-13 Aqua-10 Corporation Plant growth product
ZA95519B (en) * 1994-02-07 1995-09-28 Isk Biotech Corp Pesticidal micronutrient com psitions containing zinc oxide
JP2001000142A (ja) * 1999-06-23 2001-01-09 Artnature Co Ltd 育毛および発毛用栄養補助食品
JP2002003291A (ja) * 2000-06-19 2002-01-09 Mi Tec:Kk 堆肥混合肥料及び穀類
JP2002212084A (ja) * 2001-01-24 2002-07-31 Mi Tec:Kk 抗酸化物質
JP2002322073A (ja) * 2001-04-23 2002-11-08 Masamichi Ito 脱毛防止剤の製造方法とその使用法
JP2003009665A (ja) * 2001-07-03 2003-01-14 Japan Science & Technology Corp 植物体ポリフェノールの増収法及びその生理活性物質
CN1404714A (zh) 2001-09-17 2003-03-26 洪传林 富锌营养米的栽培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884A (ja) * 1991-09-04 1994-02-01 Kiyotake Aoki 作物の葉面散布剤とその散布方法
JPH05330968A (ja) * 1992-05-29 1993-12-14 Iseki & Co Ltd 葉面散布剤
JP2002255712A (ja) 2001-02-27 2002-09-11 Nangoku Ikushu Kenkyu Nojo:Kk 海洋深層水を利用した葉面散布剤
KR100546809B1 (ko) 2003-08-04 2006-01-25 최혁선 두체류 재배방법과 두체류 및 이 두체류 분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R064569A1 (es) 2009-04-08
CL2007003845A1 (es) 2009-01-23
US9313958B2 (en) 2016-04-19
US20100092653A1 (en) 2010-04-15
BRPI0721300A2 (pt) 2014-03-25
WO2008081584A1 (ja) 2008-07-10
CA2674032C (en) 2015-02-17
JP5022702B2 (ja) 2012-09-12
JP2008161099A (ja) 2008-07-17
CN101568253A (zh) 2009-10-28
CN101568253B (zh) 2013-07-17
TWI437956B (zh) 2014-05-21
TW200847917A (en) 2008-12-16
KR20090091213A (ko) 2009-08-26
BRPI0721300B1 (pt) 2020-11-10
CA2674032A1 (en) 2008-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620926A (zh) 一种四季果桑的种植方法
KR101441902B1 (ko) 아연 고함유 두류
KR101383550B1 (ko) 유인균 미생물을 이용한 뼈를 튼튼하게 하고 키 성장에 도움을 주는 성장 촉진 쌀 및 그 재배방법
Al-Madhagi Effect of humic acid and yeast on the yield of greenhouse cucumber.
El-Habbasha et al. Effect of zinc foliar application on growth characteristics and grain yield of some wheat varieties under Zn deficient sandy soil condition
Szostak et al. Mineral composition of traditional non-GMO soybean cultivars in relation to nitrogen fertilization
Fawzy Increasing productivity of head lettuce by foliar spraying of some bio and organic compounds
Dmitrieva et al. Comparative study of amaranth species (Amaranthus spp.) in the temperate continental climate of Russian Federation
JP2008263891A (ja) 亜鉛高含有イモ類
CN110178677A (zh) 一种干热河谷区扁豆与葡萄套种的种植方法
CN109362273A (zh) 一种西蓝花的种植方法
JP5291890B2 (ja) 亜鉛高含有イネ
Olszewska et al. The effect of different proportions of Medicago media Pers. in mixtures with Festulolium braunii (K. Richt.) A. Camus on the yield and feed value of green fodder
JP5006686B2 (ja) 亜鉛高含有コムギ
JP5006685B2 (ja) 亜鉛高含有ソバ
Majkowska-Gadomska et al. Yield and mineral composition of storage roots of carrots (Daucus carota L.) protected with biological methods
Badawy et al. Productivity of some faba bean cultivars and its pan bread characteristics as influenced by organic fertilizers under newly reclaimed salinity sandy soil
Shaheen et al. Effect of application methods of plant growth stimulants on growth and yield of snap bean.
de Oliveira et al. Effects on food-type soybean cultivars when biofortified with different rates of zinc
JP2008263895A (ja) 亜鉛高含有直根類
Sümer et al. The Effects of Foliar Zinc Application on Yield and Quality Components of Pea (Pisum sativum L.) in Mediterranean Climate Conditions
Shams et al. Response of quinoa to sowing dates and chemical composition of its grain
JP2008263893A (ja) 亜鉛高含有トウモロコシ子実
Roljević et al. Effects of organic and microbiological fertilizers on morphological and productive characteristics of triticale in the organic farming system
Gaddam The 7 Principal Cereals of Ind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