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0666B1 - 광학 필름의 절단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 Google Patents

광학 필름의 절단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0666B1
KR101440666B1 KR1020107011599A KR20107011599A KR101440666B1 KR 101440666 B1 KR101440666 B1 KR 101440666B1 KR 1020107011599 A KR1020107011599 A KR 1020107011599A KR 20107011599 A KR20107011599 A KR 20107011599A KR 101440666 B1 KR101440666 B1 KR 101440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lm
cutting
adsorption
polarizing film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1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5476A (ko
Inventor
고오따 나까이
준뻬이 고자사
마사히로 호소이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아께보노 기까이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아께보노 기까이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55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5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0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0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6Removing material
    • B23K26/38Removing material by boring 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08Devices involv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laser beam and work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08Devices involv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laser beam and workpiece
    • B23K26/083Devices involving movement of the workpiece in at least one axial direction
    • B23K26/0838Devices involving movement of the workpiece in at least one axial direction by using an endless conveyor belt
    • B23K26/0846Devices involving movement of the workpiece in at least one axial direction by using an endless conveyor belt for moving elongated workpieces longitudinally, e.g. wire or strip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16Removal of by-products, e.g. particles or vapours produced during treatment of a work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6Removing material
    • B23K26/40Removing material taking account of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olv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7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3K26/702Auxiliary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08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for plana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16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36Electric or electronic devices
    • B23K2101/40Semiconducto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3/00Materials to be soldered, welded or c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3/00Materials to be soldered, welded or cut
    • B23K2103/16Composite materials, e.g. fibre reinforced
    • B23K2103/166Multilayered materials
    • B23K2103/172Multilayered materials wherein at least one of the layers is non-metall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광 필름(F)의 절단 작용 위치에 배치되는 흡착 테이블(9)의 그 표면에 높이가 상이한 유지 블록(9a, 9b)을 반송 방향을 따라 근접 배치하여 흡착 홈(14)을 형성한다. 흡착 테이블(9)의 전후에 배치한 닙 롤러(11, 12)로 편광 필름(F)의 양단부를 닙함과 함께, 흡착 홈(14)을 걸쳐 편광 필름(F)을 경사진 상태로 되도록 흡착 유지한다. 그 상태에서 흡착 홈(14)을 따라 레이저 장치(10)를 주사하여 편광 필름(F)을 폭 방향으로 절단한다.

Description

광학 필름의 절단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CUTTING METHOD OF OPTICAL FILM AND DEVICE EMPLOYING IT}
본 발명은, 액정 패널 등의 기판에 접합하는 편광 필름, 휘도 향상 필름 및 위상차 필름 등의 광학 필름을 고정밀도로 절단시키면서, 절단 작업의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광학 필름의 절단 및 이를 이용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광학 필름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이 하여 행해지고 있다. 원반 롤로부터 소정 피치로 조출(繰出)되는 띠 형상의 광학 필름을 레이저 장치로 광학 필름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으로 절단하고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4-361741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즉, 절단되는 광학 필름은, 자유 단부로 된 선단부가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컬(curl)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절단 위치에서 선단부가 분리되어 하류측에 남는 띠 형상의 광학 필름의 그 후단부를 절단 부위로 조출할 때, 하방을 향해 컬한 선단부가 반송 경로 상의 간극으로 인입되거나 걸리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광학 필름의 절단 정밀도 및 절단 작업의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광학 필름의 절단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광학 필름 절단시의 문제의 발생 원인을 구명 및 해소하기 위해, 광학 필름의 절단 실험을 반복하여 행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이하의 새로운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즉, 레이저 조사 방향인 하방으로 컬한 띠 형상의 광학 필름의 선단부가 흡착 홈으로 인입되지 않도록, 흡착 홈을 사이에 두고 하류측에 흡착 테이블의 표면 높이를 상류측의 흡착 테이블의 표면 높이보다 낮게 설정한다. 즉, 반송 방향으로 단차를 형성하여 광학 필름을 경사 하향 자세로 배치하고, 그 상태에서 레이저에 의해 절단함으로써 광학 필름의 선단부가 흡착 홈으로 인입되는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었다.
또한, 이때, 광학 필름의 절단 단부면의 상태를 확인하면, 분리된 양 절단 단부면 중, 일방측에만 오염물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알았다.
구체적으로는, 광학 필름을 레이저로 절단할 때, 열의 영향으로 광학 필름의 일부가 용융 및 휘발하여 연기로 되어 발생한다. 이 연기에 포함되는 성분이, 표면 높이가 낮은 측에 위치하는 소정 길이로 분리된 광학 필름의 후단부에 오염물로서 부착된다. 그러나, 상류측의 높은 위치에 남는 광학 필름의 절단 후의 선단부에는 오염물이 부착되기 어렵다.
반대로, 상류측의 흡착 테이블의 표면 높이를 하류측의 흡착 테이블의 표면 높이보다 낮게 한 경우, 하류측에 남는 광학 필름의 선단부에 오염물의 부착이 억제되어, 분리된 광학 필름의 후단부에 오염물이 부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성을 취한다.
즉, 본 발명의 방법은, 소정 길이의 낱장의 광학 필름으로 절단하는 광학 필름의 절단 방법이며,
상기 광학 필름의 절단 부위의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된 흡착 홈을 갖는 흡착대에 당해 광학 필름을 흡착 유지시키면서, 흡착 홈을 사이에 두고 광학 필름을 반송 방향의 전후로 경사지게 한 상태에서 흡인하면서 레이저로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방법에 따르면, 광학 필름이 경사진 상태에서 폭 방향으로 형성된 흡착 홈을 따라 절단되므로, 절단 부위를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광학 필름의 표면 높이를 비교하였을 때, 높은 측에 위치하는 광학 필름의 절단 단부면에는 절단시의 연기에 의해 발생하는 오염물이 부착되지 않는다. 따라서, 소정 길이로 절단된 광학 필름은 절단 단부면의 한쪽에 부착된 오염물만 제거하면 된다. 바꾸어 말하면, 종래의 절단 방법에서는, 절단 후의 양단부를 개별적으로 닦아내기 처리 등을 실시하여 오염물을 제거해야만 하였지만, 본 발명은 1회의 제거 처리만으로 끝난다.
또한, 광학 필름의 경사에 대해서는, 흡착 홈을 사이에 두고 광학 필름의 반송 방향의 상류측과 하류측의 흡착대의 표면 높이에 단차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발명의 방법을 적절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흡착대의 단차는, 하류측의 표면 높이가 상류측의 표면 높이보다 낮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단 처리 후의 광학 필름은 레이저의 조사 방향인 흡착 홈측으로 자중에 의해 컬한다. 따라서, 선단이 컬하고 있는 하류측의 광학 필름의 후단부로 되는 부위를 절단 작용 위치로 조출할 때, 흡착 홈으로 그 선단부가 인입되거나 걸리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따라서, 광학 필름으로의 불필요한 굽힘 응력의 발생을 억제한 상태에서 절단할 수 있으므로, 절단 길이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성을 취한다.
즉, 소정 길이의 낱장의 광학 필름으로 절단하는 광학 필름의 절단 장치이며,
띠 형상의 상기 광학 필름을 공급하는 공급 수단과,
상기 광학 필름의 절단 부위의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된 흡착 홈을 갖고, 또한 당해 흡착 홈을 사이에 두고 광학 필름을 반송 방향의 전후로 경사지게 한 상태에서 흡착 유지하도록 단차를 갖는 흡착대와,
상기 흡착대에 흡착 유지된 광학 필름을 흡착 홈을 따라 절단하는 레이저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구성에 따르면, 흡착 홈을 사이에 두고 광학 필름을 경사지게 한 상태에서 절단할 수 있으므로, 상기 발명의 방법을 적절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흡착대의 단차는, 흡착 홈을 사이에 두고 광학 필름 반송 방향의 하류측의 표면 높이를 상류측의 표면 높이보다 낮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흡착 홈을 사이에 두고 광학 필름 반송 방향의 하류측의 표면 높이를 상류측의 표면 높이보다 낮게 구성하고 있으므로, 절단 처리 후의 광학 필름은 레이저의 조사 방향인 흡착 홈측으로 자중에 의해 컬한다. 따라서, 선단이 컬하고 있는 하류측의 광학 필름의 후단부로 되는 부위를 절단 작용 위치로 조출할 때, 흡착 홈으로 그 선단부가 인입되거나 걸리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발명의 방법을 적절하게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광학 필름의 절단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에 따르면, 광학 필름을 경사진 상태에서 하방으로부터 흡인하면서 흡착 홈을 따라 절단하므로, 절단 단부면 중 낮은 위치에 있는 절단 단부면밖에 오염물이 부착되지 않는다. 따라서, 소정 길이로 절단한 광학 필름의 반송 방향의 전후 양단부면 중, 한쪽의 단부면만으로부터 오염물을 제거하면 된다. 바꾸어 말하면, 양단부면에 대해 합계 2회의 오염물의 제거 처리를 행하고 있었던 것에 반해, 본원 발명은 1회의 제거 처리로 끝난다.
도 1은 광학 필름 절단 장치의 일 실시예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2는 유지 테이블 주변의 주요부 확대도.
도 3은 편광 필름 절단시의 흡착 홈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변형예 장치의 유지 테이블 주변의 주요부 확대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광학 부재는, 편광 필름, 위상차 필름, 휘도 향상 필름 등의 가요성을 갖는 띠 형상의 기능 필름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편광 필름을 사용한 경우를 예로서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관한 광학 필름의 절단 방법을 행하면서, 절단 후의 광학 필름을 적층 수납하여 반출 가능하게 하는 공정까지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 절단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편광 필름(F)을 조출하여 공급하는 필름 공급부(1), 편광 필름(F)을 반송 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 기구(3), 절단 후의 편광 필름(F)을 반송하는 반송 기구(4), 반송 경로의 종단부에 적층 수납된 편광 필름(F)을 다음 공정으로 반출하는 반출 기구(6)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필름 공급부(1)는 본 발명의 공급 수단에 상당한다.
필름 공급부(1)에는, 폭이 넓은 편광 필름(F)을 소정 치수 폭으로 슬릿(slit)한 띠 형상의 것을 롤 상태로 한 원반 롤(7)이 보빈(bobbin)(8)에 장전되어 있다. 보빈(8)은 모터 등의 구동 장치에 연결되어 있다.
필름 공급부(1)와 절단 기구(3) 사이에는, 댄서 롤러(dancer roller)(D)가 배치되어 있다. 댄서 롤러(D)는, 절단 기구(3)의 흡착 테이블(9)에 흡착 유지되어 있는 편광 필름(F)을 레이저 장치(10)로 절단하여 흡착 유지를 해제하는 동안에, 필름 공급부(1)로부터 공급되는 편광 필름(F)의 조출량을 흡수한다.
절단 기구(3)는, 편광 필름(F)을 이면으로부터 흡착 유지하는 흡착 테이블(9), 레이저 장치(10) 및 레이저 장치(10)를 사이에 두고 상류측과 하류측에서 편광 필름(F)을 파지(把持)하는 한 쌍의 닙 롤러(11, 12)를 구비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인 장치(13)에 연통 접속된 흡착 테이블(9)에는 그 표면에 높이가 상이한 2개의 유지 블록(9a, 9b)이, 편광 필름(F)의 반송 방향을 따라 근접하여 볼트 등에 의해 연결 고정되어 있다. 즉, 양 유지 블록(9a, 9b)의 대향하는 내측벽에 의해 편광 필름(F)의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흡착 홈(14)을 형성하고 있다. 즉, 흡착 홈(14)은 레이저 장치(10)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의 주사 경로로 된다. 흡착 테이블(9) 및 유지 블록(9a, 9b)은 본 발명의 흡착대에 상당한다.
양 유지 블록(9a, 9b)은, 편광 필름(F)의 반송 방향의 전후에 있어서 모따기되어 있으며, 상류측의 유지 블록(9a)의 표면 높이에 대해 하류측의 유지 블록(9b)의 표면 높이가 낮게 설정되어 있다. 즉, 편광 필름(F)을 흡착 테이블(9)에 흡착 유지하였을 때, 흡착 홈(14)을 폐색하는 편광 필름(F)이 반송 방향으로 경사 하향이 된다. 또한, 양 유지 블록(9a, 9b)의 표면 높이에 의해 형성되는 단차 G는, 본 실시예에서는 0.3 내지 0.7㎜로 설정되어 있지만, 이 수치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사용하는 광학 필름의 종류나 두께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 변경된다.
레이저 장치(10)는, 편광 필름(F)을 폭 방향인 흡착 홈(14)을 따라 절단하도록 수평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닙 롤러(11, 12)는, 고정 배치되어 편광 필름(F)을 조출 가능하게 구성된 하방의 구동 롤러(11a, 12a)와, 상방의 대기 위치와 편광 필름(F)을 구동 롤러에 의해 협동하여 닙(nip)하는 작용 위치에 걸쳐 승강하는 롤러(11b, 12b)로 구성되어 있다. 상류측에 배치되는 닙 롤러(11)의 구동 롤러(11a)의 정상부는 유지 블록(9a)의 표면 높이와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하류측에 배치되는 닙 롤러(12)의 구동 롤러(12a)의 정상부는 유지 블록(9b)의 표면 높이와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반송 기구(4)는, 닙 롤러(12)로부터 조출되는 편광 필름(F)을 적재하여 반송하는 반송 벨트를 구비한 반송 컨베이어로서 연속 배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반출 기구(6)는, 반송 기구(4)의 종단부 하방에 연속 배치된 롤러 컨베이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반출 기구(6)의 시작 단부 부분에는, 반송 기구(4)로부터 낙하해 오는 편광 필름(F)을 회수하는 트레이(15)가 구비되어 있다.
제어부(16)는, 상기 각 기구를 통괄적으로 제어하고 있다. 제어부(16)에 대해서는, 상기 장치의 동작 설명과 함께 후술한다.
본 발명에 관한 광학 필름 절단 장치의 주요부의 구성 및 기능은 이상과 같으며, 이하, 이 장치를 사용하여 띠 형상의 편광 필름(F)을 절단하여 반출할 때까지의 동작을 설명한다.
사용되는 편광 필름(F)의 원반 롤(7)을 필름 공급부(1)에 장전한다. 이 장전이 완료되면, 오퍼레이터는 조작 패널 등을 이용하여 초기 설정을 행한다. 예를 들어, 편광 필름(F)의 절단 길이, 공급 속도, 레이저의 출력 및 초점 등이 설정된다.
초기 설정이 완료되면, 원반 롤(7)로부터 편광 필름(F)의 공급이 개시되며, 필름 공급부(1)에 구비된 모터 등의 구동축의 회전수가 도시하지 않은 로터리 인코더 등의 센서에 의해 검출된다. 편광 필름(F)이 공급된다.
편광 필름(F)은 절단 기구(3)로 반송된다. 편광 필름(F)의 선단부가 닙 롤러(12)를 통과하여 소정의 위치에 도달하면, 제어부(16)는 양 닙 롤러(11, 12)를 작동 제어하여, 편광 필름(F)을 유지 테이블의 양단부에서 닙시키면서, 흡착 테이블(9)을 작동 제어하여 편광 필름(F)의 흡착 유지를 개시시킨다. 이 동작에 연동하여, 제어부(16)는, 필름 공급부(1)로부터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편광 필름(F)이 댄서 롤러(D) 이후에 조출되지 않도록 댄서 롤러(D)를 작동 제어한다.
흡착 유지된 편광 필름(F)은, 흡착 홈(14)을 걸쳐 반송 방향으로 경사 하향 자세로 유지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레이저 장치(10)가, 편광 필름(F)의 일측 모서리측으로부터 흡착 홈(14)을 따라 타측 모서리로 주사된다. 이 동작에 수반하여 편광 필름(F)이 절단된다.
이때,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지 블록(9a)의 내벽과 편광 필름(F)이 형성하는 흡착 홈 내에서의 각도(θ1)가, 유지 블록(9b)의 내벽과 편광 필름(F)이 형성하는 흡착 홈내에서의 각도(θ2)에 비해 예각으로 되어 있다. 즉, 레이저의 광축(R)을 사이에 두고 상류측의 공간이, 하류측의 공간에 비해 좁게 형성되므로, 흡착 테이블(9)의 흡인 동작에 수반하여 상류측의 공간은 하류측의 공간보다도 흡인력이 높게 작용한다. 즉, 레이저의 광축(R)으로부터 상류측에서는, 편광 필름(F)의 절단시에 발생하는 연기가 빠르게 흡인 제거된다. 또한, 하류측의 공간에서는, 상류측에 비해 흡인력이 약하게 작용하므로, 절단시에 발생하는 연기의 흡인 속도가 느리고, 단시간 그 내부에서 정류한다. 따라서, 절단 후의 편광 필름(F)의 양단부면을 비교하면, 연기와의 접촉이 없는 상류측의 절단 단부면에는, 그 영향에 의한 오염물이 거의 부착되지 않는다.
편광 필름(F)이 절단되면, 흡착 테이블(9)의 흡착 및 닙 롤러(11, 12)에 의한 닙이 해제된다. 이 해제 동작과 연동하여, 절단 완료된 편광 필름(F)은 반송 기구(4)에 의해 반출 기구(6)를 향해 반송된다. 동시에, 제어부(16)는 댄서 롤러(D)를 작동 제어하여 편광 필름(F)을 절단 기구(3)로 조출시킨다.
반출 기구(6)의 시작 단부에는 트레이(15)가 설치되어 있고, 당해 트레이(15)에 편광 필름(F)이 적층 수납되어 간다.
상기 일련의 동작을 반복하여, 트레이(15)에 소정 매수의 편광 필름(F)이 적층되면, 제어부(16)는 반출 기구(6)를 작동하여 편광 필름(F)을 다음 공정으로 반출시킨다.
상기 실시예의 장치에 따르면, 흡착 테이블(9) 상에 배치하는 양 유지 블록(9a, 9b) 중 하류측의 유지 블록(9b)의 높이를 상류측의 유지 블록(9a)보다도 낮게 하여 흡착 홈(14)을 사이에 두고 반송 방향의 전후에 단차를 형성함으로써, 흡착 홈(14)의 부분에서 편광 필름(F)을 반송 방향으로 경사 하향으로 흡착 유지할 수 있다. 즉, 레이저 절단시에 열의 영향으로 레이저의 조사 방향인 하방으로 편광 필름(F)이 컬하고 있는 경우라도, 상류측의 편광 필름(F)을 조출해도 흡착 홈(14)으로 그 선단부가 인입되거나 걸리지 않는다. 따라서, 상류측의 편광 필름(F)의 후단부를 절단할 때, 불필요한 굽힘 응력을 작용시키지 않고 절단할 수 있어, 절단 길이의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의 광축(R)을 기점으로 나눠지는 흡착 홈(14)의 내부 공간 중, 특히 상류측의 공간을 좁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하류측에 비해 흡인력을 높일 수 있다. 즉, 편광 필름(F)의 절단시에 발생하는 연기를 빠르게 흡인 제거할 수 있으므로, 편광 필름(F)의 반송 방향 선단부측에는, 연기의 영향에 의한 오염물이 부착되지 않는다. 따라서, 절단 후의 편광 필름(F)은 후단부측에 부착된 오염물만을 제거하면 된다. 바꾸어 말하면, 종래에는 절단 단부면의 양면에 대해 오염물을 제거하는 처리를 행해야만 하였지만, 본 실시예의 장치에서는 일단부만의 처리로 끝나므로 작업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구체예>
상기 실시예의 장치에 있어서, 단차를 0.3, 0.5, 0.7, 1.0㎜로 설정하여 편광 필름(F)의 절단 실험을 행하였다. 또한, 편광 필름의 두께는 310㎛이고, 흡착 홈의 폭은 2㎜이다. 그 결과를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112010033968497-pct00001
또한, 표 1에 있어서, 각 항목의 평가의 표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고 있다. 「걸림」에 대한 기호 ○는 흡착 홈(14)으로의 편광 필름(F)의 선단부의 걸림이 없었던 것을 나타내고, ×는 걸림이 있었던 것을 나타낸다. 또한,「이물질의 부착」에 대한 ○는 하류측의 편광 필름 후단부에만 육안으로 이물질의 부착을 확인할 수 있었던 것을 나타내고, △는 하류측의 편광 필름 후단부 및 상류측의 편광 필름 선단부의 양쪽에 이물질의 부착을 육안으로 볼 수 있는 정도인 것을 나타내고, ×는 하류측의 편광 필름 후단부 및 상류측의 편광 필름 선단부의 양쪽에 확실히 이물질의 부착(농도가 짙음)을 확인할 수 있었던 것을 나타낸다. 「절단 불량」에 대한 ○는 절단면이 평탄하고 양호한 절단 상태를 나타내고, △는 절단면이 조면으로 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는 절단되어 있지 않은 부위가 있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절단 결과로부터, 단차는 0.3 내지 0.7㎜의 범위가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다. 즉, 단차가 0.3㎜보다 작은 경우, 편광 필름(F)의 절단 단부면의 양단부에 이물질이 부착된다. 또한, 단차가 0.7㎜보다 큰 경우, 레이저의 초점이 어긋나 절단 불량이 발생함과 함께, 연기가 다량으로 발생하여 편광 필름(F)의 절단 단부면에서의 오염 영역이 확대되게 된다.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이 변형된 형태로도 실시될 수 있다.
(1) 상기 실시예의 장치에서는, 하류측의 유지 블록(9a)을 상류측의 유지 블록(9b)의 표면 높이보다 낮게 설정하고 있었지만, 이 조합은 편광 필름(F)을 절단하였을 때의 컬 상태에 따라서 적절하게 변경된다. 즉, 절단 후의 편광 필름(F)이 상향이 되는 경우는, 하류측의 유지 블록(9b)의 높이를 상류측보다도 높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2) 상기 실시예의 장치에 있어서, 유지 블록(9a, 9b)을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에 걸쳐 그 표면이 비스듬하게 하향 경사가 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3) 상기 실시예의 장치는, 세퍼레이터가 부착된 편광 필름에도 적용할 수 있다.
(4) 상기 실시예의 장치는, 유지 테이블(9)과 유지 블록(9a, 9b)이 일체 형성된 것이라도 좋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광학 필름을 고정밀도로 절단하는데 적합하다.
1 : 필름 공급부
3 : 절단 기구
4 : 반송 기구
6 : 반출 기구
9 : 흡착 테이블
9a, 9b : 유지 블록
11, 12 : 닙 롤러
16 : 제어부
F : 편광 필름

Claims (5)

  1. 소정 길이의 낱장의 광학 필름으로 절단하는 광학 필름의 절단 방법이며,
    상기 광학 필름의 절단 부위의 폭 방향을 따라 또한 연직 방향으로 형성된 흡착 홈을 갖는 흡착대에 당해 광학 필름을 흡착 유지시키면서, 흡착 홈을 걸쳐서 광학 필름을 반송 방향의 전후로 경사지게 한 상태에서 흡인하고, 위쪽으로부터 흡착 홈에 광학 필름을 반송 방향의 전후로 경사지게 한 상태로 흡인하면서 레이저로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의 절단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 홈을 사이에 두고 광학 필름의 반송 방향의 상류측과 하류측의 흡착대의 표면 높이에 단차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의 절단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대의 단차는, 하류측의 표면 높이가 상류측의 표면 높이보다 낮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의 절단 방법.
  4. 소정 길이의 낱장의 광학 필름으로 절단하는 광학 필름의 절단 장치이며,
    띠 형상의 상기 광학 필름을 공급하는 공급 수단과,
    상기 광학 필름의 절단 부위의 폭 방향을 따라 또한 연직 방향으로 형성된 흡착 홈을 갖고, 또한 당해 흡착 홈을 걸쳐서 광학 필름을 반송 방향의 전후로 경사지게 한 상태에서 흡착 유지하도록 단차를 갖는 흡착대와,
    상기 흡착대에 흡착 유지된 광학 필름을 흡착 홈을 따라 절단하는 레이저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의 절단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대의 단차는, 흡착 홈을 사이에 두고 광학 필름 반송 방향의 하류측의 표면 높이를 상류측의 표면 높이보다 낮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의 절단 장치.
KR1020107011599A 2008-08-19 2008-08-19 광학 필름의 절단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1014406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8/064745 WO2010021024A1 (ja) 2008-08-19 2008-08-19 光学フィルムの切断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5476A KR20110055476A (ko) 2011-05-25
KR101440666B1 true KR101440666B1 (ko) 2014-09-23

Family

ID=41706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1599A KR101440666B1 (ko) 2008-08-19 2008-08-19 광학 필름의 절단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257638B2 (ko)
JP (1) JP5481195B2 (ko)
KR (1) KR101440666B1 (ko)
CN (1) CN101778692B (ko)
TW (1) TWI474909B (ko)
WO (1) WO20100210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29731B2 (en) 2007-01-26 2015-05-12 Electro Scientific Industrie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laser processing continuously moving sheet material
EP2637819B1 (de) * 2011-10-17 2017-08-23 Antolin Interiors Deutschland GmbH Verfahren zur erzeugung von messer - oder laserschwächungen von lederhäutung
CN102581492A (zh) * 2012-01-31 2012-07-18 武汉吉事达激光技术有限公司 卷料自动送料激光刻蚀机
KR102025704B1 (ko) * 2012-09-14 2019-09-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필름 검사 장치
CN103600172B (zh) * 2013-04-28 2017-02-08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开卷落料方法
JP2014228848A (ja) * 2013-05-27 2014-12-08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ロールの製造システムおよび光学フィルムロールの製造方法
JP2019038643A (ja) * 2017-08-24 2019-03-1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シート材製造装置
CN112091456B (zh) * 2020-08-05 2023-04-04 武汉宁致远汽车配件有限公司 一种带有除尘排废功能的激光切割工作台
CN215880388U (zh) * 2021-09-30 2022-02-22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模切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5472A (ja) 1998-07-01 2000-01-18 Kyocera Corp レーザ加工装置
JP2001252783A (ja) 2000-03-09 2001-09-18 Asmo Co Ltd フェルトの裁断方法、フェルトの裁断装置及び軸受装置用フェルト
JP2001287063A (ja) * 2000-04-04 2001-10-16 Matsuya R & D:Kk レーザー裁断装置
JP2005189530A (ja) 2003-12-25 2005-07-14 Nitto Denko Corp 積層型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5497A (en) * 1985-12-23 1987-06-23 Gerber Garment Technology Laser cutting system
JPH1158061A (ja) * 1997-08-12 1999-03-02 Murata Mfg Co Ltd 可撓性材料のレーザ加工装置および加工方法
JP2001062584A (ja) 1999-08-27 2001-03-13 Amada Co Ltd レーザ加工機および製品搬出方法
JP2001179474A (ja) * 1999-12-27 2001-07-03 Dainippon Printing Co Ltd 開封用切目線の形成方法
JP4371709B2 (ja) 2003-06-05 2009-11-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貼付装置及び方法
JP2005118849A (ja) * 2003-10-20 2005-05-12 Hitachi Kenki Fine Tech Co Ltd レーザ加工装置
CN2724948Y (zh) * 2004-08-25 2005-09-14 林瑞森 薄膜切割器
JP3818451B2 (ja) * 2004-11-22 2006-09-06 日東電工株式会社 積層体の切断方法
DE102004059766A1 (de) * 2004-12-11 2006-06-22 Vits Systems Gmbh Querschneider für eine Papierbahn
JP2008073742A (ja) * 2006-09-22 2008-04-03 Nitto Denko Corp 光学フィルムの切断方法及び光学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5472A (ja) 1998-07-01 2000-01-18 Kyocera Corp レーザ加工装置
JP2001252783A (ja) 2000-03-09 2001-09-18 Asmo Co Ltd フェルトの裁断方法、フェルトの裁断装置及び軸受装置用フェルト
JP2001287063A (ja) * 2000-04-04 2001-10-16 Matsuya R & D:Kk レーザー裁断装置
JP2005189530A (ja) 2003-12-25 2005-07-14 Nitto Denko Corp 積層型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778692A (zh) 2010-07-14
US8257638B2 (en) 2012-09-04
US20100206859A1 (en) 2010-08-19
WO2010021024A1 (ja) 2010-02-25
CN101778692B (zh) 2013-07-10
TWI474909B (zh) 2015-03-01
JP5481195B2 (ja) 2014-04-23
TW201008736A (en) 2010-03-01
KR20110055476A (ko) 2011-05-25
JPWO2010021024A1 (ja) 2012-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0666B1 (ko) 광학 필름의 절단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101431873B1 (ko) 광학 필름의 절단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US8601921B2 (en) Optical film transport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TWI500558B (zh) 保護片供給裝置
JP4390848B2 (ja) 光学部材貼合せ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装置
KR20200132725A (ko) 필름 절단 시스템 및 방법
KR101932303B1 (ko) 광학 필름의 반송 방법 및 반송 장치
KR102020692B1 (ko) 광학 필름 절단 장치, 광학 필름 절단 방법 및 기록 매체
JP2010195582A (ja) 中折り冊子搬送装置
KR101442338B1 (ko) 디스플레이 패널용 광학필름 부착 시스템
KR101561974B1 (ko) 쉬트 라미네이터
KR101761695B1 (ko) 점착 테이프 부착 방법 및 이것을 사용한 장치
JP2009029525A (ja) フィルム剥離装置
KR102375466B1 (ko) 스크라이빙 장치
JP7288350B2 (ja) 繰出装置
JP2003192172A (ja) 把切出し装置
JP2009274861A (ja) フィルム体搬送装置およびフィルム体加工システム
JP2004170252A (ja) 枠体への糸の張設装置およ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