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9351B1 -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의 제습장치 - Google Patents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의 제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9351B1
KR101439351B1 KR1020130035018A KR20130035018A KR101439351B1 KR 101439351 B1 KR101439351 B1 KR 101439351B1 KR 1020130035018 A KR1020130035018 A KR 1020130035018A KR 20130035018 A KR20130035018 A KR 20130035018A KR 101439351 B1 KR101439351 B1 KR 101439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ing
stopper
rail
storage tray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5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쌍목
김근효
최재영
Original Assignee
씨앤더블 주식회사
김쌍목
김근효
최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앤더블 주식회사, 김쌍목, 김근효, 최재영 filed Critical 씨앤더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5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93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9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9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2Automatic feeding or moving of electrodes or work for spot or seam welding or cutting
    • B23K9/133Means for feeding electrodes, e.g. drums, rolls,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0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 B23K35/0255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for use in welding
    • B23K35/0261Rods, electrodes, wires
    • B23K35/0266Rods, electrodes, wires flux-co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32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74Large containers having means for heating, cooling, aerating or other conditioning of contents
    • B65D88/747Large containers having means for heating, cooling, aerating or other conditioning of contents dehumidifying, dewatering or drai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의 제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플럭스 코어드 용접에 사용되는 와이어가 사용 전 보관상태에서 수분이 침투되면 그 용접 결과물의 품질이 급격히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부의 수분을 차단하고 내부의 수분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를 습기에 노출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습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의 제습장치에 있어서;
직육면체의 공간을 형성하고 일 코너에는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장치가 설치되는 공간부가 내부와 분리된 공간으로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과 대각선을 이루는 코너에는 개폐가능한 도어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를 포함하는 보관부와 상기 도어를 포함하는 이송부로 내부 공간이 양분되는 제습실과;
상기 이송부를 도어에서부터 가로지르는 두 개 이상의 평행한 제1 이송레일 및 사각판형으로 이루어져 저면은 상기 제1 이송레일에 장착되어 이동하는 이송트레이와;
상기 이송부의 옆 공간에서 상기 제1 이송레일과 수직으로 교차하는 수 쌍의 제2 이송레일 및 상기 이송트레이의 위에 올려져 같이 이동하다가 상기 제2 이송레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를 적재하는 보관트레이와;
상기 보관부의 천정을 가로질러 설치되며 일정 간격으로 하향으로 흡기홀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를 관통하여 공간부 내부의 흡기팬에 의하여 상기 보관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하나 이상의 흡기덕트와;
상기 보관부의 바닥을 가로질러 설치되며 일정 간격으로 상향으로 배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를 관통하여 공간부 내부의 공급팬 및 히터에 의하여 상기 보관부에 건조한 열풍을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공급덕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의 제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의 제습장치{The dehumidification equipment for a flux cored wire}
본 발명은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의 제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플럭스 코어드 용접에 사용되는 와이어가 사용 전 보관상태에서 수분이 침투되면 그 용접 결과물의 품질이 급격히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부의 수분을 차단하고 내부의 수분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의 제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용접기술은 간단한 가스용접과 전기용접에서부터 특수한 용접으로 레이저 용접, 마찰용접, 충격용접 등 각 분야에 다양한 용접 방법이 생겨났으며 이러한 용접들은 또다시 세분화되어 나날이 발전하고 있다.
용접이 이루어지는 작업 중에 선박을 건조하는 공정에서 가장 많은 인원이 투입되는 과정이 바로 용접이며, 이는 철판을 강재 절단해 선체의 각 부분을 구성하는 블록을 만들고, 그 블록을 하나로 결합하는 모든 일은 바로 용접에 의해 이뤄지기 때문이다.
대형의 선박의 경우 용접 업무의 40~45%는 자동 용접 로봇, 경량 자동화 장비로 이뤄지지만 장비를 사용하기 어려운 곳에는 아직까지 사람이 직접 용접을 하며 용접작업 여하에 따라 배에 물이 세거나 선체가 충격에 부서지는 사고가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고도의 기술을 가진 기술자만이 작업이 가능한 것이라고 하겠다.
그중에 플럭스 코어드 아크용접(FCAW. Flux Cored Arc Welding)은 용접기, 용접 와이어를 공급하는 캐리지, CO₂가스를 제공하는 실린더, 토치 등으로 이루어져 토치 입구에서 나오는 와이어가 접지한 철판에 닫는 순간 불꽃과 고열을 내는 아크(Arc)를 발생시켜 용접봉(와이어)과 떨어져 있는 두 개의 철판을 함께 녹여 하나로 연결해주며 이때 토치를 통해 CO₂가스가 나와 막을 형성해 녹은 상태의 쇳물이 공기와 닿는 것을 차단해 준다.
또한 용접 와이어는 단순한 형태가 아니라 와이어 안의 플럭스(Flux) 분말을 충진하여 아크를 안정시키고 깔끔한 비드를 형성하도록 하며 용접봉 교체 시간을 줄일 수 있어 용접 속도가 빠르며, 다른 아크 용접법에 비해 용착 효율이 높고, 세라믹 백킹재를 이용한 일면 용접뿐 아니라 어떤 자세로도 용접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는 구조 특성상 와이어(Wire) 이음부에서 그 내부 플러스로 대기중의 수분이 흡수되어 용접 수행시 기공이 발생하여 선박의 경우 용접부위의 정밀검사에서 기공이 발견되면 다시 재용접을 해야했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습기 제거제인 실리카겔을 넣은 비닐포장으로 용접재료를 1차 포장하여 사용하였으나 비닐포장은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에 수분이 침투하지 않고 이미 침투된 수분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장비의 개발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특허 문헌 1)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463362-0000호 (2004년12월15일) (특허 문헌 2)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771303-0000호 (2007년10월23일) (특허 문헌 3)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788315-0000호 (2007년12월17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가 습기에 노출되지 않는 환경을 유지하면서 보관을 하거나 사용하기 전에 내부에 침투한 습기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의 제습장치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또한, 트레이에 적재된 다량의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를 용이하게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의 제습장치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를 습기에 노출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습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의 제습장치에 있어서;
직육면체의 공간을 형성하고 일 코너에는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장치가 설치되는 공간부가 내부와 분리된 공간으로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과 대각선을 이루는 코너에는 개폐가능한 도어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를 포함하는 보관부와 상기 도어를 포함하는 이송부로 내부 공간이 양분되는 제습실과;
상기 이송부를 도어에서부터 가로지르는 두 개 이상의 평행한 제1 이송레일 및 사각판형으로 이루어져 저면은 상기 제1 이송레일에 장착되어 이동하는 이송트레이와;
상기 이송부의 옆 공간에서 상기 제1 이송레일과 수직으로 교차하는 수 쌍의 제2 이송레일 및 상기 이송트레이의 위에 올려져 같이 이동하다가 상기 제2 이송레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를 적재하는 보관트레이와;
상기 보관부의 천정을 가로질러 설치되며 일정 간격으로 하향으로 흡기홀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를 관통하여 공간부 내부의 흡기팬에 의하여 상기 보관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하나 이상의 흡기덕트와;
상기 보관부의 바닥을 가로질러 설치되며 일정 간격으로 상향으로 배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를 관통하여 공간부 내부의 공급팬 및 히터에 의하여 상기 보관부에 건조한 열풍을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공급덕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제1 이송레일은 3개가 일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양측에 위치한 제1 이송레일의 외측으로 수직으로 입설된 가이드레일이 추가로 형성되며;
상기 이송트레이는 저면에 3개의 상기 제1 이송레일의 상면을 따라 회전하는 각각 두 개씩 총 6개의 제1 바퀴가 장착되고,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밀착하여 회전하는 각각 한 쌍의 가이드로울러에 의하여 상기 제1 이송레일의 경로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움직이며, 상면에는 상기 제2 이송레일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함몰되는 제1 보관트레이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이송레일의 상면은 길이방향으로 함몰되는 제2 보관트레이 안내홈이 형성되며;
상기 보관트레이의 저면에는 제1 및 제2 보관트레이 안내홈에 상응하여 회전하는 4 개의 제2 바퀴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이송레일의 제2 보관트레이 안내홈의 제1 이송레일과 인접한 끝단에 수직으로 관통된 스토퍼홈과 그 반대측의 밀림부재홈이 추가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이송레일의 하부로 동일한 방향으로 수평 연장되고, 중앙은 하단이 상기 보관부에 고정되고 상단이 힌지가 형성되는 힌지브라켓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스토퍼 바와, 상기 스토퍼 바의 밀림부재홈과 인접한 끝단은 수직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밀림부재홈을 관통하여 상부로 연장되며 보관트레이의 제2 바퀴가 밀착하는 부분이 보관트레이의 진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밀림부재와, 상기 스토퍼홈과 인접한 반대측 끝단은 수직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스토퍼홈에 삽입되는 스토퍼와, 상기 밀림부재가 형성된 스토퍼 바의 저면과 상기 보관부의 바닥면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밀림부재에 보관트레이의 제2 바퀴가 밀착하면서 상기 밀림부재가 하강하고 스토퍼가 상승할 때 탄성복원력을 가지도록 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스토퍼 장치가 추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가 적재된 다수의 트레이를 제습실 내부에서 습기노 노출되지 않는 환경 또는 습기를 제거할 수 있는 환경을 제거하여 플럭스 코어드 용접과정에서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의 불량에 의한 용접불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송트레이와 적재트레이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져 한정된 공간에서 운반이 용이하도록 하고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투영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순환원리를 나타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평면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관트레이 및 이송트레이의 이동을 나타낸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송트레이와 보관트레이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송트레이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송트레이와 보관트레이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관트레이의 이동을 나타낸 개념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송트레이와 보관트레이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송트레이와 보관트레이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토퍼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3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토퍼 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개념도
이에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투영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순환원리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평면도이고,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관트레이 및 이송트레이의 이동을 나타낸 개념도로서,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를 습기에 노출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습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의 제습장치에 있어서;
직육면체의 공간을 형성하고 일 코너에는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장치(11)가 설치되는 공간부(12)가 내부와 분리된 공간으로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12)과 대각선을 이루는 코너에는 개폐가능한 도어(13)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12)를 포함하는 보관부(14)와 상기 도어(13)를 포함하는 이송부(15)로 내부 공간이 양분되는 제습실(1)과;
상기 이송부(15)를 도어(13)에서부터 가로지르는 두 개 이상의 평행한 제1 이송레일(2) 및 사각판형으로 이루어져 저면은 상기 제1 이송레일(2)에 장착되어 이동하는 이송트레이(3)와;
상기 이송부(15)의 옆 공간에서 상기 제1 이송레일(2)과 수직으로 교차하는 수 쌍의 제2 이송레일(4) 및 상기 이송트레이(3)의 위에 올려져 같이 이동하다가 상기 제2 이송레일(4)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를 적재하는 보관트레이(5)와;
상기 보관부(14)의 천정을 가로질러 설치되며 일정 간격으로 하향으로 흡기홀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12)를 관통하여 공간부(12) 내부의 흡기팬(61)에 의하여 상기 보관부(14)의 공기를 흡입하는 하나 이상의 흡기덕트(6)와;
상기 보관부(14)의 바닥을 가로질러 설치되며 일정 간격으로 상향으로 배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12)를 관통하여 공간부(12) 내부의 공급팬(71) 및 히터(72)에 의하여 상기 보관부(14)에 건조한 열풍을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공급덕트(7)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의 제습장치를 나타내었다.
일반적으로 대형의 선박을 제조하는 조선소의 경우 하루에 소비하는 각종 물품의 양은 상당히 많으며 그 중에서도 플럭스 코어드 용접에 사용하는 와이어 또한 일반적인 상상 이상의 수량이 소모된다.
본원은 이러한 다량의 플럭스 코어드 와이러를 사용 전에 보관하거나 또는 혹시 남아 있을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작업을 위하여 전용 제습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내부에서 열풍을 순환하도록 하여 습기가 증발되도록 하고 공기가 온도가 낮은 물체와 접촉하여 수증기가 응결하여 습기를 제거하는 방법은 일반적이라고 할 수 있으나 다량의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를 효과적으로 제습장치의 내부로 이송하고 또 반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내부 공간을 크게 보관부(14)와 이송부(15)로 구분하고 보관부(14)에서는 습기를 증발시키기 위한 열풍을 곱급하는 공급덕트(7)와 증발된 수증기와 함께 흡입하는 흡기덕트(6)를 두었으며, 이러한 보관부(14)에는 수 개의 다수의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9)가 감긴 롤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보관트레이(5)가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을 두었다.
또한 상기 보관트레이(5)를 반입하거나 인출할 경우에는 이송트레이(3)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보관되거나 인출될 보관트레이(5)의 위치로 이동하여 작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송트레이와 보관트레이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송트레이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송트레이와 보관트레이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관트레이의 이동을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송트레이와 보관트레이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제1 이송레일(2)은 3개가 일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양측에 위치한 제1 이송레일(2)의 외측으로 수직으로 입설된 가이드레일(21)이 추가로 형성되며;
상기 이송트레이(3)는 저면에 3개의 상기 제1 이송레일(2)의 상면을 따라 회전하는 각각 두 개씩 총 6개의 제1 바퀴(31)가 장착되고,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레일(21)에 밀착하여 회전하는 각각 한 쌍의 가이드로울러(32)에 의하여 상기 제1 이송레일(2)의 경로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움직이며, 상면에는 상기 제2 이송레일(4)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함몰되는 제1 보관트레이 안내홈(33)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이송레일(4)의 상면은 길이방향으로 함몰되는 제2 보관트레이 안내홈(41)이 형성되며;
상기 보관트레이(5)의 저면에는 제1 및 제2 보관트레이 안내홈(33, 41)에 상응하여 회전하는 4 개의 제2 바퀴(51)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다 구체적인 실시 예를 추가로 제시하였다.
상기 실시 예는 먼저 이송트레이(3)는 제1 이송레일(2)의 위에서 이동하며 레일을 벗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가이드레일(21) 및 가이드 로울러(32)를 두어 정해진 경로로만 인력으로 왕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이송트레이(3)에 형성되는 제1 보관트레이 안내홈(33)은 제2 보관트레이 안내홈(41)과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하여 보관트레이(5)가 자유롭게 제2 이송레일(4)과 이송트레이(3)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관트레이(5)가 이송트레이(3)의 위에 위치했을 경우에 제2 바퀴(51)가 정확한 위치에서 안착할 수 있도록 하고 이동을 억제하기 위하여 보관트레이(5)의 제2 바퀴(51)는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송트레이와 보관트레이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토퍼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13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토퍼 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개념도로서, 상기 제2 이송레일(4)의 제2 보관트레이 안내홈(41)의 제1 이송레일(2)과 인접한 끝단에 수직으로 관통된 스토퍼홈(42)과 그 반대측의 밀림부재홈(43)이 추가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이송레일(4)의 하부로 동일한 방향으로 수평 연장되고, 중앙은 하단이 상기 보관부(14)에 고정되고 상단이 힌지가 형성되는 힌지브라켓(81)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스토퍼 바(82)와, 상기 스토퍼 바(82)의 밀림부재홈(43)과 인접한 끝단은 수직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밀림부재홈(43)을 관통하여 상부로 연장되며 보관트레이(5)의 제2 바퀴(51)가 밀착하는 부분이 보관트레이(5)의 진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밀림부재(83)와, 상기 스토퍼홈(42)과 인접한 반대측 끝단은 수직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스토퍼홈(42)에 삽입되는 스토퍼(84)와, 상기 밀림부재(83)가 형성된 스토퍼 바(82)의 저면과 상기 보관부(14)의 바닥면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밀림부재(83)에 보관트레이(5)의 제2 바퀴(51)가 밀착하면서 상기 밀림부재(83)가 하강하고 스토퍼(84)가 상승할 때 탄성복원력을 가지도록 하는 스프링(85)으로 구성되는 스토퍼 장치(8)가 추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
상기 실시 예는 보관부(14)에서 보관트레이(5)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수납과 인출하는 작업을 하지 않는 상태에서 내부 제2 이송레일(4)이 기울어지거나 공급덕트(7)에서 열풍이 공급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떨림이나 바람의 힘에 의하여 이동을 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보관트레이(5)이 제2 이송레일(4)에 진입할 경우에는 스토퍼(84)는 돌출된 상태가 아니므로 그 위치는 통과하고 더욱 전진하면 밀림부재(83)와 제2 바퀴(51)가 밀착하면서 제2 바퀴(51)를 밀림부재(83)가 하강하도록 하면 스토퍼(84)는 상승하여 제2 바퀴(51)가 걸리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충분한 미는 힘이 작용해야 밀림부재(83)가 하강하게 되며 이를 반출할 경우에도 역방향으로 보관트레이(5)를 당기면 제2 바퀴(51)는 스토퍼(84)를 하강시키면서 스프링(85)의 힘에 의하여 스토퍼 바(82)는 복원되며, 상기 스토퍼(84)의 제2 바퀴(51)와 밀착하는 면에도 경사를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1 : 제습실
11 : 제습장치 12 : 공간부
13 : 도어 14 : 보관부
15 : 이송부
2 : 제1 이송레일
21 : 가이드레일
3 : 이송트레이
31 : 제1 바퀴 32 : 가이드로울러
33 : 제1 보관트레이 안내홈
4 : 제2 이송레일
41 : 제2 보관트레이 안내홈 42 : 스토퍼홀
43 : 밀림부재홀
5 : 보관트레이
51 : 제2 바퀴
6 : 흡기덕트
61 : 흡기팬
7 : 공급덕트
71 : 공급팬 72 : 히터
8 : 스토퍼 장치
81 : 힌지브라켓 82 : 스토퍼 바
83 : 밀림부재 84 : 스토퍼
85 : 스프링
9 :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Claims (3)

  1.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를 습기에 노출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습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의 제습장치에 있어서;
    직육면체의 공간을 형성하고 일 코너에는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장치(11)가 설치되는 공간부(12)가 내부와 분리된 공간으로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12)과 대각선을 이루는 코너에는 개폐가능한 도어(13)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12)를 포함하는 보관부(14)와 상기 도어(13)를 포함하는 이송부(15)로 내부 공간이 양분되는 제습실(1)과;
    상기 이송부(15)를 도어(13)에서부터 가로지르는 두 개 이상의 평행한 제1 이송레일(2) 및 사각판형으로 이루어져 저면은 상기 제1 이송레일(2)에 장착되어 이동하는 이송트레이(3)와;
    상기 이송부(15)의 옆 공간에서 상기 제1 이송레일(2)과 수직으로 교차하는 수 쌍의 제2 이송레일(4) 및 상기 이송트레이(3)의 위에 올려져 같이 이동하다가 상기 제2 이송레일(4)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를 적재하는 보관트레이(5)와;
    상기 보관부(14)의 천정을 가로질러 설치되며 일정 간격으로 하향으로 흡기홀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12)를 관통하여 공간부(12) 내부의 흡기팬(61)에 의하여 상기 보관부(14)의 공기를 흡입하는 하나 이상의 흡기덕트(6)와;
    상기 보관부(14)의 바닥을 가로질러 설치되며 일정 간격으로 상향으로 배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12)를 관통하여 공간부(12) 내부의 공급팬(71) 및 히터(72)에 의하여 상기 보관부(14)에 건조한 열풍을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공급덕트(7)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의 제습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제1 이송레일(2)은 3개가 일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양측에 위치한 제1 이송레일(2)의 외측으로 수직으로 입설된 가이드레일(21)이 추가로 형성되며;
    상기 이송트레이(3)는 저면에 3개의 상기 제1 이송레일(2)의 상면을 따라 회전하는 각각 두 개씩 총 6개의 제1 바퀴(31)가 장착되고,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레일(21)에 밀착하여 회전하는 각각 한 쌍의 가이드로울러(32)에 의하여 상기 제1 이송레일(2)의 경로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움직이며, 상면에는 상기 제2 이송레일(4)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함몰되는 제1 보관트레이 안내홈(33)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이송레일(4)의 상면은 길이방향으로 함몰되는 제2 보관트레이 안내홈(41)이 형성되며;
    상기 보관트레이(5)의 저면에는 제1 및 제2 보관트레이 안내홈(33, 41)에 상응하여 회전하는 4 개의 제2 바퀴(51)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의 제습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송레일(4)의 제2 보관트레이 안내홈(41)의 제1 이송레일(2)과 인접한 끝단에 수직으로 관통된 스토퍼홈(42)과 그 반대측의 밀림부재홈(43)이 추가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이송레일(4)의 하부로 동일한 방향으로 수평 연장되고, 중앙은 하단이 상기 보관부(14)에 고정되고 상단이 힌지가 형성되는 힌지브라켓(81)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스토퍼 바(82)와, 상기 스토퍼 바(82)의 밀림부재홈(43)과 인접한 끝단은 수직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밀림부재홈(43)을 관통하여 상부로 연장되며 보관트레이(5)의 제2 바퀴(51)가 밀착하는 부분이 보관트레이(5)의 진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밀림부재(83)와, 상기 스토퍼홈(42)과 인접한 반대측 끝단은 수직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스토퍼홈(42)에 삽입되는 스토퍼(84)와, 상기 밀림부재(83)가 형성된 스토퍼 바(82)의 저면과 상기 보관부(14)의 바닥면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밀림부재(83)에 보관트레이(5)의 제2 바퀴(51)가 밀착하면서 상기 밀림부재(83)가 하강하고 스토퍼(84)가 상승할 때 탄성복원력을 가지도록 하는 스프링(85)으로 구성되는 스토퍼 장치(8)가 추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의 제습장치.
KR1020130035018A 2013-04-01 2013-04-01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의 제습장치 KR101439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5018A KR101439351B1 (ko) 2013-04-01 2013-04-01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의 제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5018A KR101439351B1 (ko) 2013-04-01 2013-04-01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의 제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9351B1 true KR101439351B1 (ko) 2014-09-11

Family

ID=51759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5018A KR101439351B1 (ko) 2013-04-01 2013-04-01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의 제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935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7311Y1 (ko) 2003-06-25 2003-09-19 (주)넥시 온도와 습도가 조절되는 용접와이어 피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7311Y1 (ko) 2003-06-25 2003-09-19 (주)넥시 온도와 습도가 조절되는 용접와이어 피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256322A (ja) 包装機械への包装材料の運搬装置
CN205602238U (zh) 带有滚轮的罐头杀菌笼
JP4688000B2 (ja) 物品収納設備
TW201605704A (zh) 送料系統
KR20130139191A (ko) 유리판 적층체의 적층 방법, 유리판 적층체 및 유리판 곤포체
TW201410424A (zh) 線鋸及利用線鋸處理工件的方法
KR101439351B1 (ko)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의 제습장치
TW201605703A (zh) 儲料機構
DE502005010931D1 (de) Vorrichtung zum transport von materialrollen
US9558977B2 (en) Transport device with rotating receiving part
JP2013067493A (ja) クリーンルーム用の自動倉庫
KR20180028970A (ko) 용기 수납 설비
JP5680363B2 (ja) 姿勢調整装置
KR101410432B1 (ko) 금속 테이핑 장치
JP5601514B2 (ja) ロール体収納設備
JP4688001B2 (ja) 物品収納設備
JP2732202B2 (ja) 乾麺の箱詰め装置
KR101427190B1 (ko)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의 흡습방지용 보관장치
CN205327554U (zh) 带有分隔梁的罐头杀菌笼
CN107406181B (zh) 搬运用卷膜捆包体
CN108033140A (zh) 一种vr产品运输辅助系统
JP2009126631A (ja) 保管倉庫設備
TWI601918B (zh) 清淨氣體送風單元
KR101442406B1 (ko) 회전식 용기포장장치
JP3625611B2 (ja) 梱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