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2406B1 - 회전식 용기포장장치 - Google Patents

회전식 용기포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2406B1
KR101442406B1 KR1020130039435A KR20130039435A KR101442406B1 KR 101442406 B1 KR101442406 B1 KR 101442406B1 KR 1020130039435 A KR1020130039435 A KR 1020130039435A KR 20130039435 A KR20130039435 A KR 20130039435A KR 101442406 B1 KR101442406 B1 KR 101442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ontainer
mounting
drum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9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석
Original Assignee
정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현석 filed Critical 정현석
Priority to KR1020130039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24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2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2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03Packaging lines, e.g. general layo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50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rotary tables or turr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02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binding or wrapp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28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discharging completed packages from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16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 B65B7/28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by applying separate preformed closures, e.g. lids, covers
    • B65B7/2807Feeding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16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 B65B7/28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by applying separate preformed closures, e.g. lids, covers
    • B65B7/2842Securing closures on containers
    • B65B7/2878Securing closures on containers by heat-seal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FSTATIC ELECTRICITY; NATURALLY-OCCURRING ELECTRICITY
    • H05F1/00Preventing the formation of electrostatic char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Of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식 용기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베이스프레임, 다수의 평면이 상호 일정각도로 연결되어 외형을 이루고, 각 평면에는 용기의 상단부가 걸려져 거치되기 위한 거치공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거치드럼, 상기 거치드럼을 회전시키되, 각 평면이 전측에 위치된 다른 평면의 위치로 위치시켜 일정 시간 멈추도록 구동시키며, 이를 반복하는 구동수단, 다수의 뚜껑을 공급하기 위한 뚜껑공급부, 상기 뚜껑공급부의 뚜껑을 상기 거치드럼에 거치된 용기 상단에 거치시키는 뚜껑거치수단, 뚜껑을 용기에 열융착시키는 융착수단, 및 뚜껑이 융착된 용기를 배출시키는 배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거치드럼을 회전시키며, 용기를 거치시키고, 뚜껑을 거치시킨 후, 열융착시킨 다음, 배출시킴에 따라 공정라인을 축소시켜 설치공간을 축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비용을 절감시키고,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회전식 용기포장장치{Rotary type container packing device}
본 발명은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용물이 수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기를 거치시키고, 뚜껑을 상측으로 거치시킨 후, 열융착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진행하고, 포장된 용기를 배출시킴에 따라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공간부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회전식 용기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쁜 생활로 인하여 간단한 식사나 간식용으로 인스턴트식품이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으며, 이러한 인스턴트식품은 뜨거운 물을 부어 간단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용기에 담겨져 포장된다.
이러한 인스턴트식품용 용기를 포장하는 종래 기술은 등록특허 제10-1201950호에 개진된 바와 같다.
종래 포장장치는 내용물이 담겨진 용기를 이송시키는 이송장치와 이송 중인 용기를 동일한 방향으로 정열시키는 정열수단이 구비되고, 정열되어 이송되는 용기에 일정한 방향으로 덮개를 각가 공급하여 밀폐시키는 덮개밀폐장치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내용물이 각각 담겨진 다수의 용기를 이송시키며 각각 덮개로 밀폐시킴에 따라 다량의 포장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각 덮개를 동일한 방향으로 용기에 밀폐시키도록 용기와 덮개를 정열시켜 이송시키고 공급해야됨에 따라 외부의 충격이나 이송장치 자체의 충격에 의해 용기의 위치가 쉽게 변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덮개 역시, 용기의 이미지와 동일한 방향으로 일치시키면서 공급하여 밀폐시킴에 따라 그 정열시킴이 어려워 불량이 발생됨에 따라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다량의 용기를 포장함에 있어서, 이송장치의 부피가 커 넓은 설치공간이 필요하여 공간활용도가 낮고, 이에 따른 비용도 증가되어 단가를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다량의 용기를 포장함은 물론, 불량율을 감소시키고, 설치공간 역시, 감소시켜 비용을 감소시킴에 따라 경쟁력을 높이며,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다수의 평면이 상호 일정각도로 연결되어 외형을 이루고, 각 평면에는 용기의 상단부가 걸려져 거치되기 위한 거치공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거치드럼을 구비하고, 구동수단에 의해 각 평면이 순차적으로 다른 평면위치로 이동되어 일정시간 멈추게 하며, 뚜껑거치수단과 융착수단에 의해 각 위치에서 용기로 뚜껑을 이송 거치시킨 후, 열융착시키고, 배출시켜 공정라인을 축소시켜 설치공간을 축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비용을 절감시키고,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회전식 용기포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베이스프레임, 다수의 평면이 상호 일정각도로 연결되어 외형을 이루고, 각 평면에는 용기의 상단부가 걸려져 거치되기 위한 거치공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거치드럼, 상기 거치드럼을 회전시키되, 각 평면이 전측에 위치된 다른 평면의 위치로 위치시켜 일정 시간 멈추도록 구동시키며, 이를 반복하는 구동수단, 다수의 뚜껑을 공급하기 위한 뚜껑공급부, 상기 뚜껑공급부의 뚜껑을 상기 거치드럼에 거치된 용기 상단에 거치시키는 뚜껑거치수단, 뚜껑을 용기에 열융착시키는 융착수단, 뚜껑이 융착된 용기를 배출시키는 배출수단, 및 상기 뚜껑거치수단에 정전기를 방지하기 위한 정전기방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기 정전기방지수단은, 압축공기를 토출시키는 노즐, 및 상기 노즐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뚜껑거치수단에 뚜껑 흡착 여부를 센싱하기 위한 검출센서가 더 구비되고, 상기 검출센서의 검출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전정기방지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구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용기포장장치에 의하면, 거치드럼을 회전시키며, 용기를 거치시키고, 뚜껑을 거치시킨 후, 열융착시킨 다음, 배출시킴에 따라 공정라인을 축소시켜 설치공간을 축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비용을 절감시키고,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용기포장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용기포장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용기포장장치의 거치드럼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용기포장장치의 거치드럼의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용기포장장치의 스토퍼수단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용기포장장치의 뚜껑거치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뚜껑거치수단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용기포장장치의 융착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용기포장장치에 정전기방지수단이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용기포장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용기포장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용기포장장치의 거치드럼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용기포장장치의 거치드럼의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용기포장장치의 스토퍼수단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용기포장장치의 뚜껑거치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뚜껑거치수단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용기포장장치의 융착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용기포장장치에 정전기방지수단이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식 용기포장장치(10)는 베이스프레임(100)과 거치드럼(200), 구동수단(300), 뚜껑공급부(400), 뚜껑거치수단(500), 융착수단(600) 배출수단(700) 및 정전기방지수단(800)으로 구성된다.
거치드럼(200)은 베이스프레임(100)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다수의 평면이 상호 일정각도로 연결되어 외형을 이루고, 각 평면에는 용기의 상단부가 걸려져 거치되기 위한 거치공(202)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구동수단(300)은 거치드럼(200)을 회전시키되, 각 평면이 전측에 위치된 다른 평면의 위치로 위치시켜 일정 시간 멈추도록 구동시키며, 이를 반복하게 된다.
이러한 구동수단(300)에 의해 거치드럼(200)의 각 평면에서는 내용물이 담뎌진 용기(20)를 거치시키고, 뚜겅(30)을 용기(20)에 거치시키며, 뚜껑(30)을 용기(20)에 융착시키며, 융착된 제품(40)의 배출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된다.
뚜껑공급부(400)는 다수의 뚜껑(30)을 공급하는 것으로, 다수의 뚜껑(30)을 적층 수납하게 되고, 뚜껑거치수단(500)은 뚜껑공급부(400)의 뚜껑(30)을 거치드럼(200)에 거치된 용기(20) 상단에 거치시키게 된다.
여기서, 뚜껑공급부(400)는 베이스프레임(100)에 구비되며, 내부에 다수의 뚜껑(30)이 적층되어 수납되기 위한 수납공간부(420)가 형성되도록 공급케이스(410)가 구비된다.
이러한 공급케이스(410)는 수납공간부(420)에 적층된 뚜껑(30)을 하나씩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430)가 형성된다.
또한 융착수단(600)은 거치된 뚜껑(30)을 용기(20)에 열융착시키게 되고, 배출수단(700)은 융착수단(600)에 의해 뚜껑(30)이 융착된 용기(20)를 배출시키게 된다.
정전기방지수단(800)은 뚜껑거치수단(500)에 정전기를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를 위한, 거치드럼(200)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패널(210)과 거치패널(220), 드럼회전봉(230) 및 드럼베어링부(240)로 구성된다.
먼저, 측면패널(210)은 다각면체이며, 내부에 공간부(212)를 형성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되고, 거치패널(220)은 한 쌍의 측면패널(210) 가장자리를 연결하도록 다수 개 구비되며, 각각 거치공(202)이 형성된다.
그리고 드럼회전봉(230)은 한 쌍의 측면패널(210) 중앙부에 구비되며, 드럼베어링부(240)는 드럼회전봉(230)을 베이스프레임(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게 된다.
여기서, 측면패널(210)은 팔각면체이고, 거치패널(220)은 8개로 구비된다.
이러한 거치패널(220)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거치패널(221)과 제2거치패널(222), 제3거치패널(223), 제4거치패널(224), 제5거치패널(225), 제6거치패널(226), 제7거치패널(227) 및 제8거치패널(228)로 구성된다.
먼저, 제1거치패널(221)은 거치드럼(200)의 회전축을 지나는 수평연장선과 직교되도록 구비되고, 제2거치패널(222)은 제1거치패널(221)에 인접하도록 거치드럼(200)의 회전방향에 위치되어 내용물이 담겨진 용기(20)가 거치된다.
그리고 제3거치패널(223)은 거치드럼(200)의 회전축을 지나는 수평연장선과 평행하도록 구비되며, 제2거치패널(222)에 인접하도록 거치드럼(200)의 회전방향에 위치되어 뚜껑거치수단(500)에 의해 거치된 용기(20)의 상측으로 뚜껑(30)이 공급된다.
제4거치패널(224)은 제3거치패널(223)에 인접하도록 거치드럼(200)의 회전방향에 위치되어 융착수단(600)에 의해 거치된 뚜껑(30)을 용기(20)에 융착시켜 포장시키게 된다.
또한 제5거치패널(225)은 제1거치패널(221)과 평행하게 구비되며, 제4거치패널(224)에 인접하도록 거치드럼(200)의 회전방향에 위치되어 뚜껑(30)이 융착된 용기(20)를 이송시키게 된다.
제6거치패널(226)은 제5거치패널(225)에 인접하도록 거치드럼(200)의 회전방향에 위치되어 뚜껑(30)이 융착된 용기(20)를 배출수단(700)으로 토출시키게 된다.
그리고 제7거치패널(227)은 제2거치패널(222)과 평행하게 구비되며, 제6거치패널(226)에 인접하도록 거치드럼(200)의 회전방향에 위치된다.
제8거치패널(228)은 제7거치패널(227)에 인접하도록 거치드럼(200)의 회전방향에 위치되며, 제1거치패널(221)과 인접하게 된다.
이러한 각 거치패널(221 ~ 228)은 거치드럼(200)이 회전됨에 따라, 회전방향으로 위치된 다른 거치패널의 위치로 순차적으로 이동되어 용기(20)를 포장하고 배출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거치드럼(20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300)은 모터(310)와 스토핑수단(320) 및 클러치(330)로 구성된다.
모터(310)는 베이스프레임(100)에 구비되고, 스토핑수단(320)은 회전되는 거치드럼(200)을 일정시간 간격으로 홀딩시키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클러치(330)는 모터(310)의 회전력을 거치드럼(200)에 전달하되, 스토핑수단(320)에 의해 거치드럼(200)이 홀딩될 경우, 모터(310)의 회전력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스토핑수단(320)은 스토퍼돌기(322)와 실린더(324), 스토퍼로드(326) 및 가이드롤러(328)로 구성된다.
스토퍼돌기(322)는 거치드럼(200)에 다수 개 구비되는 것으로, 측면패널(210)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일정 간격으로 구비된다.
이러한 스토퍼돌기(322)는 거치패널(220)의 개수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각 거치패널을 순서대로 위치시키게 된다.
실린더(324)는 베이스프레임(100)에 구비되고, 스토퍼로드(326)는 실린더(324)에 의해 이동되어 스토퍼돌기(322)에 걸려지거나 또는 스토퍼돌기(322)에서 이탈된다.
그리고 가이드롤러(328)는 베이스프레임(100)에 다수 개 구비되어 스토퍼로드(326)를 가이드하고, 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실린더(324)와 스토퍼로드(326) 및 가이드롤러(328)는 두 개 이상 구비된다.
제1실린더(324)와 제1스토퍼로드(326) 및 제1가이드롤러(328)는 스토퍼돌기(322) 중 어느 하나에 걸려지고, 제2실린더(324')와 제2스토퍼로드(326') 및 제2가이드롤러(328')는 어느 하나의 스토퍼돌기(322)보다 거치드럼(200)의 회전방향에 위치된 다른 스토퍼돌기(322')에 걸려진다.
이를 더욱 자세히 살펴보면, 일 실시 예로,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스토퍼로드(326)는 어느 하나의 스토퍼돌기(322)에 걸려지고, 제2스토퍼로드(326')는 다른 하나의 스토퍼돌기(322')에 걸려진 상태에서, 제1스토퍼로드(326)가 후진하여 어느 하나의 스토퍼돌기(322)에서 이탈된다.
그리고 제2스토퍼로드(326')가 후진하여 다른 하나의 스토퍼돌기(322')에서 이탈됨에 따라 거치드럼(200)은 회전되며, 다른 하나의 스토퍼돌기(322')가 제2스토퍼로드(326')의 상측을 지나게 되면, 제2스토퍼로드(326')가 다시 전진하게 된다.
이렇게 전진된 제2스토퍼로드(326')에 어느 하나의 스토퍼돌기(322)가 걸리게 되어 거치드럼(200)의 회전이 멈춘 후, 제1스토퍼로드(326)가 전진하여 어느 하나의 스토퍼돌기(322)보다 회전 반대방향에 위치된 또 다른 스토퍼돌기(322")가 걸려지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함에 따라 거치드럼(200)은 각 거치패널이 하나 씩 이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제1스토퍼로드(326)와 제2스토퍼로드(326')의 작동순서는 경우에 따라 변경됨이 당연하다.
또한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뚜껑거치수단(500)은 모터(510)와 거치회전봉(520), 거치베어링부(530), 거치블럭(540), 제1흡착부(550) 및 제2흡착부(560)로 구성된다.
모터(510)는 베이스프레임(100)에 구비되고, 거치회전봉(520)은 모터(510)에 의해 회전되며, 거치베어링부(530)는 거치회전봉(520)을 베이스프레임(100)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하게 된다.
그리고 거치블럭(540)은 거치회전봉(520)에 구비되어 동일하게 회전되고, 이 거치블럭(540)의 일측부에 제1흡착부(550)가 구비되고, 타측부에 제2흡착부(560)가 구비된다.
이러한 제1흡착부(550)는 뚜껑공급부(400)의 뚜껑(30)을 흡착하거나 거치드럼(200)에 위치한 용기(20)로 뚜껑(30)을 거치시키며, 제2흡착부(560)는 제1흡착부(550)와 반대로 거치드럼(200)에 위치한 용기로 뚜껑을 거치시키거나 뚜껑공급부(400)의 뚜껑(30)을 흡착하게 된다.
여기서, 제1흡착부(550)와 제2흡착부(560)는 흡착실린더(552, 562)와 흡착로드(554, 564), 흡착부(556, 566) 및 흡입부(558, 568)로 구성된다.
흡착실린더(552, 562)는 거치블럭(540)에 구비되고, 흡착로드(554, 564)는 흡착실린더(552, 562)에 의해 이동된다.
그리고 흡착부(556, 566)는 흡착로드(554, 564)의 단부에 구비되어 뚜껑(30)이 흡착되기 위해 구비되고, 흡입부(558, 568)는 흡착부(556, 566)를 통해 공기를 흡입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제1흡착부(550)와 제2흡착부(560)는 뚜껑(30)을 흡착하여 이송시키고, 이송된 뚜껑(30)은 거치드럼(200)에 거치된 용기(20)의 상측으로 공급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뚜껑거치수단(50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흡착부(550)의 흡착로드(554)는 뚜껑공급부(400)로 전진하여 흡착부(556)에 뚜껑(30)이 흡착되는 동시에, 제2흡착부(560)의 흡착로드(564)는 거치드럼(200)에 거치된 용기(20)의 상측으로 전진하여 뚜껑(30)을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제1흡착부(550)의 흡착로드(554)는 후진하여 뚜껑(30)을 흡착한 흡착부(556)가 뚜껑공급부(400)에서 이격되고, 제2흡착부(560)의 흡착로드(564)는 후진하여 용기(20)의 상측으로 공급된 뚜껑(30)으로부터 이격된다.
그 후, 모터(510)에 의해 거치회전봉(520)이 회전됨에 따라, 거치블럭(540)이 회전되며, 제1흡착부(550)와 제2흡착부(560)는 그 위치가 상호 변경된다.
그리고 제2흡착부(560)의 흡착로드(564)는 전진하여 흡착부(566)이 뚜껑공급부(400)의 뚜껑(30)을 흡착하며, 제1흡착부(550)의 흡착로드(554)는 전진하여 흡착부(556)에 흡착된 뚜껑(30)을 거치드럼(200)에 거치된 용기(20)의 상측으로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은, 뚜껑거치수단(500)은 이를 반복하여 거치드럼(200)에 의해 공급되는 용기(20)로 뚜껑(30)을 공급하여 포장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융착수단(600)은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610)와 융착로드(620) 및 융착부(630)로 구성된다.
실린더(610)는 베이스프레임(100)에 구비되고, 융착로드(620)는 실린더(610)에 의해 거치드럼(200) 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융착부(630)는 융착로드(620)의 단부에 구비되며, 가열되어 거치드럼(200)에 거치된 뚜껑(30)을 용기(20)에 열융착시키게 된다.
그리고 배출수단(700)은 배출호퍼(710)와 이송부(720)로 구성되며, 배출호퍼(710)는 거치드럼(200)의 하측에 위치되어 뚜껑(30)이 융착되어 하측으로 떨어지는 용기(20)가 투입된다.
이송부(720)는 배출호퍼(710)의 하측에 구비되어 투입된 용기(20)를 이송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거치드럼(200)의 각 거치패널(220)에는 다수의 거치공(202)이 각각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일 실시 예로, 두 개의 거치공(202)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두 개의 거치공(202)에 거치되는 용기(20)에 뚜껑(30)을 공급하고 융착시키도록, 뚜껑공급부(400)와 뚜껑거치수단(500), 융착수단(600) 역시, 두 개씩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다수의 용기(20)에 대한 생산력이 향상되어 작업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정전기방지수단(800)은 뚜껑거치수단(500)에 의해 뚜껑공급부(400)의 뚜껑(30)을 흡착할 경우, 적재된 두껑들 사이에서 정전기를 방지하여 하나씩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흡착된 뚜껑(30)을 거치드럼(200)에 거치된 용기(20)에 거치할 경우, 뚜껑거치수단(500)과 뚜껑(30)사이에서 정전기를 방지하여 뚜껑(30)을 용이하게 거치시킨다.
이를 위한, 정전기방지수단(800)은 노즐(810)과 공기공급부(820)로 구성된다.
노즐(810)은 공기공급부(820)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뚜껑거치수단(500)으로 토출시키는 것으로, 뚜껑거치수단(500)과 뚜껑공급부(400) 사이 또는 뚜껑거치수단(500)과 거치드럼(200) 사이로 압축공기를 토출시키게 된다.
이에, 정전기 발생을 방지하여 정전기 발생시 발생되는 뚜껑(20)의 여러 장 겹쳐 흡착되는 현상이나 용기(30)로 거치되는 뚜껑(20)이 뚜껑거치수단(500)에서 분리되지 않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뚜껑거치수단(500)에 뚜껑 흡착 여부를 센싱하기 위한 검출센서(820)가 더 구비되고, 검출센서(820)의 검출신호를 전송받아 정전기방지수단(800)을 제어하는 제어부(830)가 더 구비된다.
이러한 제어부(830)는 검출센서(820)에 의해 뚜껑거치수단(500)에 뚜껑이 흡착되었을 때만, 압축공기를 토출시키도록 정전기방지수단(800)을 제어함에 따라 불필요한 압축공기의 공급을 방지하여 운용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10 : 용기포장장치 20 : 용기
30 : 뚜껑 100 : 베이스프레임
200 : 거치드럼 210 : 측면패널
220 : 거치패널 230 : 드럼회전봉
240 : 드럼베어링부 300 : 구동수단
310 : 모터 320 : 스토핑수단
330 : 클러치 400 : 뚜껑공급부
500 : 뚜껑거치수단 510 : 모터
520 : 거치회전봉 530 : 거치베어링부
540 : 거치블럭 550 : 제1흡착부
560 : 제2흡착부 600 : 융착수단
700 : 배출수단 800 : 정전기방지수단
810 : 노즐 820 : 공기공급부
830 : 검출센서 840 : 제어부

Claims (3)

  1. 베이스프레임;
    다수의 평면이 상호 일정각도로 연결되어 외형을 이루고, 각 평면에는 용기의 상단부가 걸려져 거치되기 위한 거치공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거치드럼;
    상기 거치드럼을 회전시키되, 각 평면이 전측에 위치된 다른 평면의 위치로 위치시켜 일정 시간 멈추도록 구동시키며, 이를 반복하는 구동수단;
    다수의 뚜껑을 공급하기 위한 뚜껑공급부;
    상기 뚜껑공급부의 뚜껑을 상기 거치드럼에 거치된 용기 상단에 거치시키는 뚜껑거치수단;
    뚜껑을 용기에 열융착시키는 융착수단;
    뚜껑이 융착된 용기를 배출시키는 배출수단; 및
    상기 뚜껑거치수단에 정전기를 방지하기 위한 정전기방지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뚜껑거치수단에 뚜껑 흡착 여부를 센싱하기 위한 검출센서가 더 구비되고, 상기 검출센서의 검출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전정기방지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용기포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기방지수단은,
    압축공기를 토출시키는 노즐; 및
    상기 노즐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회전식 용기포장장치.
  3. 삭제
KR1020130039435A 2013-04-10 2013-04-10 회전식 용기포장장치 KR101442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9435A KR101442406B1 (ko) 2013-04-10 2013-04-10 회전식 용기포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9435A KR101442406B1 (ko) 2013-04-10 2013-04-10 회전식 용기포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2406B1 true KR101442406B1 (ko) 2014-09-23

Family

ID=51760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9435A KR101442406B1 (ko) 2013-04-10 2013-04-10 회전식 용기포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24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3032U (ko) 2017-04-12 2018-10-22 김민덕 일회용 포장용기 실링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2307A (ja) * 1992-07-24 1994-04-05 Kyodo Nyugyo Kk カツプへのキヤツプ装着装置
JP2003291906A (ja) * 2002-04-05 2003-10-15 Aisan Seisakusho:Kk シール蓋供給装置及びシール蓋除塵装置
KR20030086666A (ko) * 2002-05-06 2003-11-12 김해련 쌓여있는 연질물체 분리장치
KR20130007814A (ko) * 2011-07-11 2013-01-21 이명길 블리스터 포장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2307A (ja) * 1992-07-24 1994-04-05 Kyodo Nyugyo Kk カツプへのキヤツプ装着装置
JP2003291906A (ja) * 2002-04-05 2003-10-15 Aisan Seisakusho:Kk シール蓋供給装置及びシール蓋除塵装置
KR20030086666A (ko) * 2002-05-06 2003-11-12 김해련 쌓여있는 연질물체 분리장치
KR20130007814A (ko) * 2011-07-11 2013-01-21 이명길 블리스터 포장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3032U (ko) 2017-04-12 2018-10-22 김민덕 일회용 포장용기 실링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76224B2 (en) Packaging machine and packaging method
KR101462673B1 (ko) 초고속 계수 기능을 갖는 알약 포장 장치
TWI469899B (zh) Plate glass packaging device
JP2015051782A (ja) 包装システム
JP2008050043A (ja) 手袋包装方法、及び手袋包装装置
KR20140123187A (ko) 가공부품 자동 정렬 및 패키징 장치 및 그 방법
KR101275288B1 (ko) 파우치 포장장치
JP2009249017A (ja) 製函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箱詰装置
KR20140123188A (ko) 가공부품 자동 이송장치
KR20170025275A (ko) 비닐 쉬링크 포장된 용기의 박스포장용 시스템장치
KR20190004023A (ko) 자동 포대 공급장치
KR101442406B1 (ko) 회전식 용기포장장치
KR20120119317A (ko) 포장 박스용 테이핑기
KR200473115Y1 (ko) 화장품 수납용 상자의 정렬장치
KR101425310B1 (ko) 회전식 용기포장장치
US20190389142A1 (en) Vacuum package machine and vacuum package method
JP2004269007A (ja) 包装機の給袋手段
JP2015054702A (ja) 印刷包装装置
CN104029840A (zh) 直落式装箱机及包装线
KR101250415B1 (ko) 사료 포장장치
KR20170074247A (ko) 무한궤도 타입의 회전 구조를 갖는 자동 진공포장장치
KR101652465B1 (ko) 원격제어를 이용한 순환식 자동포장기
CN212048113U (zh) 双臂协作开箱接料翻转机器人
JP6639134B2 (ja) 2室包装袋供給装置
CN211494640U (zh) 一种板状物装袋机的入袋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