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5275A - 비닐 쉬링크 포장된 용기의 박스포장용 시스템장치 - Google Patents
비닐 쉬링크 포장된 용기의 박스포장용 시스템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25275A KR20170025275A KR1020150121511A KR20150121511A KR20170025275A KR 20170025275 A KR20170025275 A KR 20170025275A KR 1020150121511 A KR1020150121511 A KR 1020150121511A KR 20150121511 A KR20150121511 A KR 20150121511A KR 20170025275 A KR20170025275 A KR 2017002527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per box
- plate
- box
- shrink wrapped
- roller convey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04—Packaging single 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26—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5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roller-ways or endless convey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tainer Filling Or Packaging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닐 쉬링크 포장된 용기의 박스포장용 시스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비닐 쉬링크 포장된 용기(즉, 생수세트)가 공급되면, 종이박스 내에 자동으로 하나 이상 적재하고, 이를 박스 테이핑 처리모듈로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이때 생수세트 및 종이박스는 90°로 눕혀진 상태에서 이송, 적재되며, 생수세트가 종이박스 내로 용이하게 들어갈 수 있도록 종이박스의 상면 덮개를 외측으로 밀어 입구를 더 개방시키고 있다. 그리고 종이박스 내에 생수세트가 적재 완료되면, 종이박스는 다시 똑바로 세워진 상태로 하여 후속 공정인 박스 테이핑 처리모듈로 공급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비닐 쉬링크 포장된 용기의 포장 과정을 자동화함으로써 작업 능률이 개선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비닐 쉬링크 포장된 용기의 박스포장용 시스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닐 포장된 하나 이상의 생수 세트를 박스(Box) 내에 자동으로 적재하고 포장할 수 있도록 한 비닐 쉬링크 포장된 용기의 박스포장용 시스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는 비닐 쉬링크(shrink) 포장된 용기를 박스 포장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만, 이러한 비닐 쉬링크 포장된 용기의 예로 본 명세서에서는 생수(즉 페트병)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생수뿐만 아니라 비닐 쉬링크 포장이 가능한 모든 용기나 플라스틱병, 페트병, 우유 팩 등에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생수는 페트병에 담아진 상태에서 그러한 생수 페트병이 몇 개가 하나의 세트로 묶음 포장되어 판매가 이루어진다. 세트 묶음으로 포장될 경우 대부분은 비닐 재질로 생수 페트병을 둘러싸서 포장된다. 이렇게 비닐 포장된 상태의 생수를 판매하기도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이를 다시 박스(즉, 종이 박스) 내에 넣고 포장하기도 한다. 이는 비닐 포장된 상태의 생수가 배달될 경우 배달 중에 뚜껑 부분이나 생수 용기 자체가 터지거나 찌그러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1차로 비닐 포장을 하고 다시 2차로 종이박스로 포장을 하는 포장 서비스를 소비자에게 제공한다.
하지만, 종이 박스로 이중 포장하는 경우 현재는 작업자가 직접 포장을 하고 있어 양질의 서비스 제공보다 포장을 위한 시간이 상대적으로 많이 소요되고 있어 비용 대비 효율적이지 못하다는 지적이 있었다. 즉, 작업자가 종이 박스를 세워 입구를 개방하고 박스 내로 비닐 포장된 생수 세트를 넣고 다시 포장하는 과정은 전부가 수작업에 의존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피로도를 가중시킴은 물론 포장 시간이 많이 소요되었던 것이다.
이와 같은 이중 포장된 생수의 구입은 근래 들어 증가하는 추세인데 상기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포장하는 것만으로는 작업효율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생수 생산 업체 등에서는 이중 포장으로 인해 발생하는 인건비 등을 절감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비닐 쉬링크 포장된 상태의 적어도 하나의 용기 세트를 종이박스 내로 적재되게 하는 과정을 자동화하여 수행하는 비닐 쉬링크 포장된 용기의 박스포장용 시스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중 포장으로 인한 작업자의 피로도를 방지하며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박스에 대한 테이핑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90°로 누워진 상태의 비닐 쉬링크 포장된 용기 세트를 이송하는 롤러 컨베이어; 상기 롤러 컨베이어의 일 측에 구비되고, 상면에 종이박스가 90°로 누워진 상태가 되게 회동하는 종이박스용 회동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롤러 컨베이어의 타 측에 구비되며 상기 종이 박스 내에 비닐 쉬링크 포장된 용기 세트가 적재되도록 상기 비닐 쉬링크 포장된 용기 세트를 미는 푸시 바를 포함하는 비닐 쉬링크 포장된 용기의 박스포장용 시스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종이박스용 회동 플레이트는 내부에 상기 비닐 쉬링크 포장된 용기 세트가 적재되면 반대 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종이박스가 똑바로 세워진 상태가 되게 한다.
상기 종이박스용 회동 플레이트는, 상기 종이박스를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종이박스의 일면을 각각 접촉하여 지지하는 제1 실린더 및 제2 실린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실린더와 상기 제2 실린더 중 하나는 실린더 브라켓과 연결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종이박스가 누워진 상태에서 상기 종이박스의 입구 측에는 종이박스의 상면 덮개를 외측으로 더 개방시키는 덮개 개방부가 구성된다.
상기 덮개 개방부는, 4각형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각 면에 위치하며 소정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제1 회동 바 내지 제4 회동 바; 그리고 상기 제1 회동 바 내지 제4 회동 바의 회동에 따라서 회동하면서 상기 종이박스의 덮개 내면에 접촉하여 상기 덮개를 외측 방향으로 밀어내는 제1 플레이트 내지 제4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플레이트는 독립적으로 구동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 내지 제4 플레이트는 기어 군들의 결합에 의해 함께 구동되되, 상기 제1 플레이트 내지 제4 플레이트가 동시에 구동된다.
상기 제1 회동 바 내지 제4 회동 바 중 서로 직각 방향으로 위치하는 2개의 회동 바는 각각의 연결 브라켓과 결합하고, 상기 각 연결 브라켓에는 하나 이상의 길이조절 샤프트가 장착되어, 상기 길이조절 샤프트의 길이 조절에 따라 상기 2개의 회동 바의 위치는 가변된다.
상기 롤러 컨베이어의 일 측에 비닐 쉬링크 포장된 용기 세트용 회동 플레이트가 더 구성되고, 상기 비닐 쉬링크 포장된 용기세트가 이송되어 상기 비닐 쉬링크 포장된 용기세트용 회동 플레이트 상에 위치하면, 상기 비닐 쉬링크 포장된 용기 세트용 회동 플레이트는 회동 구동에 의하여 상기 롤러 컨베이어로 상기 비닐 쉬링크 포장된 용기 세트를 90°누워진 상태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 종이박스용 회동 플레이트에는, 박스 이송용 롤러 컨베이어를 통해 박스 테이핑 처리모듈이 연결되고, 상기 박스 테이핑 처리모듈은 비닐 쉬링크 포장된 용기세트가 적재된 종이박스의 상면을 테이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비닐 쉬링크 포장된 용기의 박스포장용 시스템장치가 제1 롤러 컨베이어에서 이송된 비닐 쉬링크 포장된 용기 세트를 제1 회동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90°회동시키는 단계; 상기 90°회동된 비닐 쉬링크 포장된 용기 세트를 제2 롤러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하는 단계; 박스 공급모듈에서 공급되는 정자세의 종이박스를 그 종이박스의 입구가 상기 제2 롤러 컨베이어 측을 향하도록 제2 회동플레이트를 90°회동시키는 단계; 상기 제2 회동 플레이트 상의 상기 종이박스 내로 상기 제2 롤러 컨베이어 상에 있는 비닐 쉬링크 포장된 용기 세트를 밀어 넣어 적재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종이박스 내로 비닐 쉬링크 포장된 용기 세트가 적재 완료되면 상기 제2 회동 플레이트를 90°역회동시켜 정자세로 원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닐 쉬링크 포장된 용기의 박스포장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정자세로 원 위치된 종이박스를 공급받으면 상기 종이박스의 상면 덮개를 접고 테이핑 작업을 수행하는 박스 테이핑 처리모듈로 이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회동플레이트가 90°회동되어 상기 종이박스의 입구가 상기 제2 롤러 컨베이어 측을 향하게 되면, 상기 종이박스의 입구에 마련된 덮개 개방부가 상기 종이박스의 상면 덮개를 외측으로 더 개방시키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비닐 쉬링크 포장된 용기의 박스포장용 시스템장치에 의하면, 비닐 포장된 생수 세트를 운반한 후 종이박스 내로 적재하는 포장 과정을 자동화하여 처리하도록 작업 환경을 개선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직접 작업하는 것에 따라 발생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안전사고의 위험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생수 박스포장용 시스템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요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종이박스의 덮개를 더 개방하도록 하는 덮개 개방부(flap opener)의 상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동작 설명을 위한 전체적인 공정 흐름도
도 2는 도 1의 요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종이박스의 덮개를 더 개방하도록 하는 덮개 개방부(flap opener)의 상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동작 설명을 위한 전체적인 공정 흐름도
본 발명은 1차로 비닐 쉬링크 포장된 용기 세트(즉 생수 세트)를 종이박스 내에 적재하고 포장하는 이중 포장과정의 전부를 자동화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비닐 쉬링크 포장된 용기의 박스포장용 시스템장치를 제공함을 주된 기술적 구성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적용되는 비닐 쉬링크 포장된 용기세트인 생수 세트는 일정 용량을 가지는 생수 페트병이 2개, 4개, 6개, 8개 등으로 묶음 형태로 비닐 포장된 제품을 말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최종적으로 종이박스 내에 상기한 비닐 포장된 생수세트가 2단 적재된 상태로 포장되는 것을 설명한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다른 용량 및 개수로 비닐 포장된 생수 세트를 종이 박스 내에 하나 이상 적재 포장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생수 박스포장용 시스템장치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 구성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수 박스포장용 시스템장치에는 생수 세트(A)를 이송하는 제1 롤러 컨베이어(110)가 구성된다. 이때 생수 세트(A)는 정상적으로 세워진 자세(제1 자세)로 이송된다.
제1 롤러 컨베이어(110)의 일 측에는 제1 푸시 바(120)가 설치된다. 제1 푸시 바(120)는 끝 부분에 푸시 플레이트가 장착된다. 상기 푸시 플레이트는 생수 세트의 일면을 충분히 접촉한 상태에서 밀 수 있는 크기를 가진다. 그래서 상기 생수 세트(A)가 제1 롤러 컨베이어(110)의 소정 지점에 위치하면 제1 푸시 바(120)는 상기 생수 세트(A)를 제1 회동 플레이트(130) 상으로 미는 역할을 한다. 제1 회동 플레이트(또는 '생수세트용 회동 플레이트')(130)는 상기 제1 롤러 컨베이어(110)를 중간에 두고 상기 제1 푸시 바(120)와 마주보는 타 측에 설치된다.
제1 회동 플레이트(130)는 제1 힌지 축(140)을 중심으로 하여 90°회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1 회동 플레이트(130)는 그 제1 회동 플레이트(130) 상에 놓이는 생수 세트(A)가 후술하는 제2 롤러 컨베이어(150)로 공급되면 다시 원래 위치로 복귀하도록 그 구동이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1 회동 플레이트(130)와 인접하며 상기 제1 롤러 컨베이어(110)와는 직각 방향으로 제2 롤러 컨베이어(150)가 설치된다. 그래서 제1 회동 플레이트(130)가 회동하면 제1 자세의 생수 세트(A)는 90°만큼 누워진 자세(제2 자세)(A')가 되어 제2 롤러 컨베이어(150) 상에 위치하게 된다. 도면을 보면 제2 롤러 컨베이어(150) 상에 위치한 생수세트(A')는 좌측을 향해 놓인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제2 롤러 컨베이어(150)의 일 측에는 제2 푸시 바(160)가 설치된다. 제2 푸시 바(160)도 끝 부분에 푸시 플레이트가 장착되어 제2 자세(A')의 생수 세트를 원활하게 밀 수 있도록 한다.
제2 롤러 컨베이어(150)를 사이에 두고 제2 푸시 바(160)와 마주보는 타 측에는 제2 회동 플레이트(또는 종이박스용 회동 플레이트)(170)가 구성된다. 제2 회동 플레이트(170)는 제2 힌지 축(180)을 중심으로 상기 제2 롤러 컨베이어(150) 방향으로 90°만큼 회동되게 구성된다. 그래서 제2 회동 플레이트(150)는 박스 공급모듈(300)에서 정자세로 공급되는 종이박스(B)를 눕혀서 그 종이박스(B')의 입구가 제2 롤러 컨베이어(150) 방향을 향하도록 한다. 이때 종이박스(B)는 하면 덮개는 테이핑 처리되고 상면 덮개만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종이박스(B)의 상면 덮개가 개방된 상태로 제2 롤러 컨베이어(150)를 향해 눕혀지기 때문에 평행하게 놓인 제2 롤러 컨베이어(150)와 제2 회동 플레이트(170) 사이는 어느 정도 이격되어 있어야 한다. 또한, 제2 회동 플레이트(170)는 종이박스(B') 내에 비닐 포장된 생수 세트(A')가 적재되면 반대방향으로 90° 회동하여 원래 상태가 되게 동작한다.
제2 회동 플레이트(170)는 지지 플레이트(172)를 포함한다. 지지 플레이트(172)는 종이박스(B, B')의 저면 및 일 측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종이박스가 눕혀있을 때 그 종이박스(B')의 개방된 덮개까지 충분히 지지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진다. 실시 예에서는 대략 'ㄴ' 형상이다. 그리고 제2 회동 플레이트(170)에는 실질적으로 종이박스의 고정을 위한 제1, 제2 실린더(174)(176)가 마련된다. 제1 실린더(174)는 지지 플레이트(172)의 일면을 직접 접촉하는 형태이고 제2 실린더(176)는 종이박스(B, B')의 외면에 직접 접촉하여 지지하는 형태이다. 이러한 제1, 제2 실린더(174)(176)는 상기 제2 힌지 축(180)을 축으로 하여 제2 회동 플레이트(170)와 함께 회동하게 된다. 따라서 제2 회동 플레이트(170)가 회동하는 동안에 종이박스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실린더(176)는 실린더 브라켓(177)에 연결된다. 상기 실린더 브라켓(177)에 연결된 제2 실린더(176)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회동 플레이트(170)에는 서로 다른 사이즈를 가지는 종이박스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제2 실린더(176)의 길이를 조절하면 도면에 도시된 종이박스보다 더 크거나 작은 사이즈의 폭(w)을 가지는 종이박스의 사용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상기 종이박스(B')가 눕혀진 상태에서 그 종이박스(B')의 입구 측에는 덮개 개방부(flap opener)(200)가 구성된다. 이러한 덮개 개방부(200)는 종이박스(B')의 덮개를 외측으로 더 개방시켜서 생수세트가 쉽게 들어갈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는 덮개 개방부(flap opener)의 상세 구성도를 보인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과 같이 덮개 개방부(200)는 4각형의 프레임(210)이 기본 틀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프레임(210)은 종이박스의 입구 측에 마련된 별도의 브라켓 (도면 미도시)등에 고정될 것이다. 또한, 프레임(210)의 각 면에는 4개의 덮개를 개방하기 위한 제1 개방유닛 내지 제4 개방유닛(220)(230)(240)(250)이 구성된다. 제1 개방유닛(220)은 눕혀진 종이박스의 상측 덮개를 개방하기 위한 것으로 독립적으로 구동되며, 제2 개방유닛 내지 제4 개방유닛(230)(240)(250)은 하측 덮개 및 좌/우측 덮개를 개방하기 위한 것으로, 기어(G) 군들의 결합에 의해 함께 구동된다. 여기서 제1 개방유닛(220)과 상기 제2 개방유닛 내지 제4 개방유닛(230)(240)(250)은 서로 다른 시점에 개방되는 것은 아니고 모든 개방유닛이 동일한 시점에 구동되되, 제1 개방유닛(220)은 독립 구동형태이고, 제2 개방유닛 내지 제4 개방유닛(230)(240)(250)은 서로 연동하는 구동 형태를 말한다. 즉 도면을 보면 제2 개방유닛(230)과 제3 개방유닛(240)은 일단이 기어(G) 결합하고, 마찬가지로 제3 개방유닛(240)과 제4 개방유닛(250)도 기어(G) 결합하고 있어, 기어 구동에 따라 함께 구동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기어들은 후술하는 회동 바(232)(242)(252)에 장착되어 있다.
제1 개방유닛 내지 제4 개방유닛(220)(230)(240)(250)에는 실질적으로 종이박스의 덮개와 접촉하여 그 덮개들을 외측 방향으로 밀어내는 제1 내지 제4 플레이트(221)(231)(241)(251)들이 마련된다. 이러한 제1 내지 제4 플레이트(221)(231)(241)(251)들은 실린더 구동에 따라 회동하는 제1 내지 제4 회동 바(222)(232)(242)(252)와 각각 연결되어 소정 각도만큼 회동하는 구조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 플레이트(221)는 자체적으로 회동하며, 제2 플레이트 내지 제4 플레이트(231)(241)(251)는 기어(G) 결합에 의해 함께 회동할 것이다. 또한, 제1 플레이트(221)의 회동 각도가 가장 크고, 제2 플레이트 내지 제4 플레이트(231)(241)(251)는 회동 각도가 상대적으로 작다. 이는 제3 플레이트(241)는 종이박스의 하방에 지지플레이트(172)가 구성되고 있어 회동 각도에 제한을 받기 때문이다.
한편, 프레임(210)의 두 면에는 개방 유닛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유닛(260)(270)이 구성된다. 이는 다양한 사이즈를 갖는 종이박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실시 예는 제1 개방유닛(220)과 제4 개방유닛(250)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도시하였다. 이를 보면 제1 플레이트(221) 및 제4 플레이트(251)를 회동시키는 각각의 회동 바(222)(252)에 대략 'ㄷ' 형상의 연결 브라켓(261)(271)이 연결된다. 그리고 연결 브라켓(261)(271)에는 각각 하나 이상의 길이조절 샤프트(262)(272)가 장착된다. 길이조절 샤프트(262)(272)는 고정 부분과 조절 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고정 부분은 프레임(210)에 고정된 상태이고 조절 부분은 소정 조작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래서, 조절 부분을 길게 또는 짧게 하면 제1 개방유닛(220)과 제4 개방유닛(25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작은 사이즈의 종이박스뿐만 아니라 큰 종이박스의 사용이 가능해진다. 이는 결국 용량이 큰 생수 세트나 또는 생수세트를 3세트 이상 적재 포장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제2 회동 플레이트(170)로 종이박스를 공급하는 박스 공급모듈(300)이 구성된다. 박스 공급모듈(300)은 종이박스를 공급용 롤러 컨베이어(310)를 통해 제2 회동 플레이트(170)로 전달한다. 이때 종이박스(B)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면 덮개는 테이핑 처리되고 상면 덮개는 개방된 상태이다.
그리고 제2 회동 플레이트(170)에는 박스 이송용 롤러 컨베이어(320)가 연결된다. 상기 박스 이송용 롤러 컨베이어(320)는 생수 세트가 적재된 종이 박스(B)를 박스 테이핑 처리모듈(400)로 이송하는데, 상기 박스 테이핑 처리모듈(400)은 박스의 상면 덮개를 접고 덮개의 경계면을 테이프로 접착하는 테이핑 작업을 수행한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미도시)들이 제공된다. 센서들은 제1 롤러 컨베이어(110) 및 제2 롤러 컨베이어(150) 위에서 이송되는 생수 세트의 위치, 생수 세트를 푸시하기 위한 동작, 제1 회동 플레이트(130)와 제2 회동 플레이트(170)의 회동 시점 등을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미도시)에게 알려주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컨트롤러는 적절하게 롤러 컨베이어(110)(150)를 구동/중지시키고, 생수세트를 푸시하고, 회동 플레이트(130)(170)를 회동시키고, 종이 박스를 테이핑하는 일련의 과정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는 생수 박스포장용 시스템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이는 상술한 도 1 내지 도 3 및 본 발명의 동작 설명을 위한 전체적인 공정 흐름도인 도 4를 함께 참조하기로 한다.
제1 롤러 컨베이어(110)는 제1 자세인 생수 세트(A)를 이송한다(S100). 그리고 상기 생수 세트(A)가 제1 롤러 컨베이어(110)의 소정 지점에 도달하면 센서의 감지결과에 따라 제1 롤러 컨베이어(110)의 구동이 일시 중단된다. 그러면, 제1 푸시 바(120)는 생수 세트(A)를 반대방향으로 밀어서 제1 회동 플레이트(130) 상에 위치되게 한다(S102). 이렇게 되면, 제1 회동 플레이트(130)는 제1 힌지 축(140)을 중심으로 하여 제2 롤러 컨베이어(150) 방향으로 회동하고, 제1 회동 플레이트(130)의 회동에 따라 제2 롤러 컨베이어(150) 위에는 생수 세트가 제2 자세로 놓이게 된다(S104).
제2 롤러 컨베이어(150)의 구동에 따라 제2 자세의 생수 세트(A')는 일 방향으로 이송된다(S106).
한편, 상기 제1 롤러 컨베이어(110)와 제2 롤러 컨베이어(150)가 생수 세트를 이송하는 동안, 그 생수세트를 적재하는 종이박스(B)는 박스 공급모듈(300)로부터 공급받아 제2 회동 플레이트(170)에 위치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박스 공급모듈(300)은 종이박스(B)를 박스 공급용 롤러 컨베이어(310)를 통해 제2 회동 플레이트(170)로 전달하게 된다(S110). 그리고 제2 회동 플레이트(170) 상에 종이박스(B)가 위치하면(S111), 제1 실린더(174) 및 제2 실린더(176)가 종이박스가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한다. 그 상태에서 제2 회동 플레이트(170)가 제2 힌지 축(180)을 축으로 하여 상기 제2 롤러 컨베이어(150) 방향으로 90°만큼 회동하면, 종이박스(B)는 입구가 제2 롤러 컨베이어(150) 방향을 향하도록 눕혀진 상태(B')가 된다(S112).
이와 같이 생수 세트(A')가 이송될 때, 제2 회동 플레이트(170)의 회동에 의해 종이박스(B)가 눕혀진 상태가 되면 덮개 개방부(200)는 종이박스(B')의 상면 덮개를 외측으로 더 개방시키는 과정을 수행한다(S120). 상기 과정은 덮개 개방부(200)가 제2 회동 플레이트(170)의 회동이 완료되는 시점에, 제1 플레이트 내지 제4 플레이트(221)(231)(241)(251)를 일 방향으로 회동시켜 상기 덮개를 더 개방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과정에서는 제1 플레이트(221)는 독립적으로 동작하고 제2 플레이트 내지 제4 플레이트(231)(241)(251)는 함께 동작하되, 전체적으로는 제1 플레이트 내지 제4 플레이트(221)(231)(241)(251)가 동시에 구동된다. 그러면 상면 덮개는 제1 플레이트 내지 제4 플레이트(221)(231)(241)(251)에 의해 입구가 더 개방된 상태가 된다.
이처럼 종이박스(B')의 입구가 더 개방되어 제2 회동 플레이트(170) 상에 눕혀진 상태가 됐을 때, 센서의 감지결과에 따라 제2 롤러 컨베이어(150)의 구동은 일시 중단된다. 그러면 제2 푸시 바(160)는 제2 롤러 컨베이어(150)에 위치한 생수 세트(A')를 종이박스(B') 내로 밀어 적재되게 한다(S122). 이러한 과정은 제2 푸시 바(160)가 2개의 생수 세트(A')가 종이박스(B') 내에 적재될 때까지 동일하게 반복 수행된다(S124).
종이 박스(B') 내에 비닐 포장된 생수세트(A')가 적재 완료되면 덮개 개방부(200)의 제1 플레이트 내지 제4 플레이트(221)(231)(241)(251)는 원 위치되고, 또한 제2 회동 플레이트(170)도 처음 회동했던 반대 방향으로 역 회동한다(S126). 이에 종이박스(B')는 정자세로 놓이게 된다.
이후 생수세트가 적재된 종이박스(B)는 박스 이송용 롤러 컨베이어(320)를 통해 박스 테이핑 처리모듈(400)로 이송되고(S128), 상기 박스 테이핑 처리모듈(400)은 종이박스의 상면 덮개를 접고 테이핑 작업을 수행하여 생수세트의 이중 포장작업을 완료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는 비닐 쉬링크 포장된 생수 세트를 종이박스에 적재하고 테이핑하는 모든 과정을 자동화하여 수행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들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변형, 변경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인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제1 롤러 컨베이어 120 : 제1 푸시 바
130: 제1 회동 플레이트 150: 제2 롤러 컨베이어
160: 제2 푸시바 170: 제2 회동 플레이트
172: 지지플레이트 174, 176: 제1, 제2 실린더
177: 실린더 브라켓 200: 덮개 개방부
210: 프레임
220, 230, 240, 250: 제1 내지 제4 개방유닛
221, 231, 241, 251: 제1 내지 제4 플레이트
222, 232, 242, 252: 제1 내지 제4 회동바
260, 270: 조절유닛 261, 271: 연결 브라켓
262, 272: 길이조절 샤프트 300: 박스공급모듈
310: 공급용 롤러 컨베이어 320: 박스 이송용 롤러 컨베이어
400: 박스 테이핑 처리모듈
130: 제1 회동 플레이트 150: 제2 롤러 컨베이어
160: 제2 푸시바 170: 제2 회동 플레이트
172: 지지플레이트 174, 176: 제1, 제2 실린더
177: 실린더 브라켓 200: 덮개 개방부
210: 프레임
220, 230, 240, 250: 제1 내지 제4 개방유닛
221, 231, 241, 251: 제1 내지 제4 플레이트
222, 232, 242, 252: 제1 내지 제4 회동바
260, 270: 조절유닛 261, 271: 연결 브라켓
262, 272: 길이조절 샤프트 300: 박스공급모듈
310: 공급용 롤러 컨베이어 320: 박스 이송용 롤러 컨베이어
400: 박스 테이핑 처리모듈
Claims (9)
- 90°로 누워진 상태의 비닐 쉬링크 포장된 용기 세트를 이송하는 롤러 컨베이어;
상기 롤러 컨베이어의 일 측에 구비되고, 상면에 종이박스가 90°로 누워진 상태가 되게 회동하는 종이박스용 회동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롤러 컨베이어의 타 측에 구비되며 상기 종이 박스 내에 비닐 쉬링크 포장된 용기 세트가 적재되도록 상기 비닐 쉬링크 포장된 용기 세트를 미는 푸시 바를 포함하는 비닐 쉬링크 포장된 용기의 박스포장용 시스템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박스용 회동 플레이트는 내부에 상기 비닐 쉬링크 포장된 용기 세트가 적재되면 반대 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종이박스가 똑바로 세워진 상태가 되게 하는 비닐 쉬링크 포장된 용기의 박스포장용 시스템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박스용 회동 플레이트는,
상기 종이박스를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종이박스의 일면을 각각 접촉하여 지지하는 제1 실린더 및 제2 실린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실린더와 상기 제2 실린더 중 하나는 실린더 브라켓과 연결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비닐 쉬링크 포장된 용기의 박스포장용 시스템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박스가 누워진 상태에서 상기 종이박스의 입구 측에는 종이박스의 상면 덮개를 외측으로 더 개방시키는 덮개 개방부가 구성되는 비닐 쉬링크 포장된 용기의 박스포장용 시스템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개방부는,
4각형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각 면에 위치하며 소정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제1 회동 바 내지 제4 회동 바; 그리고
상기 제1 회동 바 내지 제4 회동 바의 회동에 따라서 회동하면서 상기 종이박스의 덮개 내면에 접촉하여 상기 덮개를 외측 방향으로 밀어내는 제1 플레이트 내지 제4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비닐 쉬링크 포장된 용기의 박스포장용 시스템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는 독립적으로 구동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 내지 제4 플레이트는 기어 군들의 결합에 의해 함께 구동되되, 상기 제1 플레이트 내지 제4 플레이트가 동시에 구동되는 비닐 쉬링크 포장된 용기의 박스포장용 시스템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동 바 내지 제4 회동 바 중 서로 직각 방향으로 위치하는 2개의 회동 바는 각각의 연결 브라켓과 결합하고,
상기 각 연결 브라켓에는 하나 이상의 길이조절 샤프트가 장착되어, 상기 길이조절 샤프트의 길이 조절에 따라 상기 2개의 회동 바의 위치는 가변되는 비닐 쉬링크 포장된 용기의 박스포장용 시스템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컨베이어의 일 측에 비닐 쉬링크 포장된 용기 세트용 회동 플레이트가 더 구성되고,
상기 비닐 쉬링크 포장된 용기세트가 이송되어 상기 비닐 쉬링크 포장된 용기 세트용 회동 플레이트 상에 위치하면, 상기 비닐 쉬링크 포장된 용기 세트용 회동 플레이트는 회동 구동에 의하여 상기 롤러 컨베이어로 상기 비닐 쉬링크 포장된 용기 세트를 90°누워진 상태로 공급하는 비닐 쉬링크 포장된 용기의 박스포장용 시스템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박스용 회동 플레이트에는 박스 이송용 롤러 컨베이어를 통해 박스 테이핑 처리모듈이 연결되고,
상기 박스 테이핑 처리모듈은 비닐 쉬링크 포장된 용기세트가 적재된 종이박스의 상면을 테이핑하는 비닐 쉬링크 포장된 용기의 박스포장용 시스템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21511A KR20170025275A (ko) | 2015-08-28 | 2015-08-28 | 비닐 쉬링크 포장된 용기의 박스포장용 시스템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21511A KR20170025275A (ko) | 2015-08-28 | 2015-08-28 | 비닐 쉬링크 포장된 용기의 박스포장용 시스템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25275A true KR20170025275A (ko) | 2017-03-08 |
Family
ID=58403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21511A KR20170025275A (ko) | 2015-08-28 | 2015-08-28 | 비닐 쉬링크 포장된 용기의 박스포장용 시스템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025275A (ko)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839835A (zh) * | 2018-06-11 | 2018-11-20 | 福建省亿顺机械设备有限公司 | 一种反式装箱装置及反式装箱方法 |
KR20190017437A (ko) * | 2017-08-11 | 2019-02-20 | 주식회사 아이티씨 | 상자 내 제품자동투입장치 |
CN109774997A (zh) * | 2019-03-26 | 2019-05-21 | 广东嘉纳仕科技实业有限公司 | 一种包装箱的打包生产线 |
CN112389737A (zh) * | 2020-12-10 | 2021-02-23 | 武汉工程大学 | 一种化妆品包装输送线 |
CN113428423A (zh) * | 2021-08-27 | 2021-09-24 | 江苏知行科技有限公司 | 一种平板型电子元器件运输方法及装置 |
KR102411694B1 (ko) * | 2022-01-20 | 2022-06-22 | (주)에이블에스원 | 장작용 목재 포장 시스템 |
KR20240000342A (ko) * | 2022-06-23 | 2024-01-02 | 시추안 산리안 뉴 머티리얼 콤퍼니 리미티드 | 생산에 사용되는 액체 자동 계량-덤핑머신 |
KR102681882B1 (ko) * | 2023-08-23 | 2024-07-05 | (주)썬컴퍼니 | 종이박스 외포장 및 적재 자동화 장치 |
KR20240139401A (ko) | 2023-03-14 | 2024-09-23 | (주)진성 테크템 | 파우치 포장된 병의 자동 박스 포장 장치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993001A (en) | 1933-07-13 | 1935-03-05 | William O Geyer | Chemical apparatus |
-
2015
- 2015-08-28 KR KR1020150121511A patent/KR2017002527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993001A (en) | 1933-07-13 | 1935-03-05 | William O Geyer | Chemical apparatus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17437A (ko) * | 2017-08-11 | 2019-02-20 | 주식회사 아이티씨 | 상자 내 제품자동투입장치 |
CN108839835A (zh) * | 2018-06-11 | 2018-11-20 | 福建省亿顺机械设备有限公司 | 一种反式装箱装置及反式装箱方法 |
CN108839835B (zh) * | 2018-06-11 | 2023-12-12 | 福建省亿顺机械设备有限公司 | 一种反式装箱装置及反式装箱方法 |
CN109774997A (zh) * | 2019-03-26 | 2019-05-21 | 广东嘉纳仕科技实业有限公司 | 一种包装箱的打包生产线 |
CN112389737A (zh) * | 2020-12-10 | 2021-02-23 | 武汉工程大学 | 一种化妆品包装输送线 |
CN113428423A (zh) * | 2021-08-27 | 2021-09-24 | 江苏知行科技有限公司 | 一种平板型电子元器件运输方法及装置 |
KR102411694B1 (ko) * | 2022-01-20 | 2022-06-22 | (주)에이블에스원 | 장작용 목재 포장 시스템 |
KR20240000342A (ko) * | 2022-06-23 | 2024-01-02 | 시추안 산리안 뉴 머티리얼 콤퍼니 리미티드 | 생산에 사용되는 액체 자동 계량-덤핑머신 |
KR20240139401A (ko) | 2023-03-14 | 2024-09-23 | (주)진성 테크템 | 파우치 포장된 병의 자동 박스 포장 장치 |
KR102681882B1 (ko) * | 2023-08-23 | 2024-07-05 | (주)썬컴퍼니 | 종이박스 외포장 및 적재 자동화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70025275A (ko) | 비닐 쉬링크 포장된 용기의 박스포장용 시스템장치 | |
US7175017B2 (en) | In-line flipper mechanism and conveyor system for achieving the proper orientation of mail tray and mail tub receptacles | |
KR102098366B1 (ko) | 파이프 자동 포장 장치 | |
KR101553555B1 (ko) | 원스톱 박스 포장 장치 | |
JP4308428B2 (ja) | カートンを充填する方法とデバイス | |
KR102346597B1 (ko) | 소형 김의 포장장치 | |
KR100906105B1 (ko) | 포장용 카톤의 자동포장장치 | |
AU671775B2 (en) | Rotary article storage and outfeed apparatus | |
KR101654769B1 (ko) | 필름 접힘 방지 유닛과 이를 가지는 포장 시스템 | |
US3486292A (en) | Automatic case loader | |
US9694926B2 (en) | Method and system for conveying rolled absorbent products | |
KR101855046B1 (ko) | 선형 소재의 자동 적재 장치 | |
JPH06312711A (ja) | 箱詰製品の段積梱包装置 | |
JP7289505B2 (ja) | 緩衝材包装方法と緩衝材包装装置 | |
US8181426B2 (en) | Closing apparatus | |
JPH03162207A (ja) | 化粧料等の充填・包装装置 | |
JP4085102B2 (ja) | 仕分け装置 | |
KR101614761B1 (ko) | 제품 정렬 기능을 가지는 포장 시스템 | |
US10273135B2 (en) | Machine for filling containers | |
KR101927098B1 (ko) | 번들 포장 시스템을 위한 포장 테이프 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번들 포장 시스템 | |
KR101425310B1 (ko) | 회전식 용기포장장치 | |
EP3221219B1 (en) | A plant for packaging products inside respective containers | |
KR102318435B1 (ko) | 담배 보루 적재 및 필름 포장 장치 | |
JP4331098B2 (ja) | 方向転換装置 | |
KR101499610B1 (ko) | 개별 팩 박스 포장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