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7803B1 - 차량용 정보 전달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정보 전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7803B1
KR101437803B1 KR1020137014534A KR20137014534A KR101437803B1 KR 101437803 B1 KR101437803 B1 KR 101437803B1 KR 1020137014534 A KR1020137014534 A KR 1020137014534A KR 20137014534 A KR20137014534 A KR 20137014534A KR 101437803 B1 KR101437803 B1 KR 101437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source
driver
vehicle
specific o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4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2167A (ko
Inventor
요시유키 하타케야마
신야 가와마타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30082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2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7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7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8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video entertainment or vehicle dynamics information;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for attracting the attention of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9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information is handled, e.g. showing information on plural displays or prioritising information according to driv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 G08G1/166Anti-collision systems for active traffic, e.g. moving vehicles, pedestrians, bi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 G08G1/167Driving aids for lane monitoring, lane changing, e.g. blind spot de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6Type of output information
    • B60K2360/179Distances to obstacles 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8Information management
    • B60K2360/188Displaying information using colour cha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33Illumination features
    • B60K2360/334Projection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nformation/image process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차량용 정보 전달 장치는 특정 대상의 인식을 재촉한다. 차량용 정보 전달 장치는 특정 대상물의 위치와 상이한 위치의 인식을 재촉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정보 전달 장치{VEHICLE INFORMATION TRANSMISSION DEVICE}
본 발명은 차량용 정보 전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본 공개 특허 공보 2010-176591 호 (JP-A-2010-176591) 에는, LED 로부터의 광을 프론트 윈드쉴드 유리에 반사시켜 운전자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 특허 공보 2000-172994 호 (JP-A-2000-172994) 에는 차량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 장애물을 검출하는 경우에 좌우의 경고 표시의 크기 또는 휘도를 개별적으로 변경시키는 차량 장애물 경보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3626229 호에는 차량에 설치한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검출된 차 외부 위험의 위치에 대응하는 프론트 윈드쉴드의 면상의 위치에 투사하여 운전자에게 위험을 알리는 차량용 운전 지원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일본 공개 특허 공보 2010-176591 호, 일본 공개 특허 공보 2000-172994 호, 및 일본 특허 3626229 호에 개시된 기술들은 정보 전달의 방법에 대해 여전히 개선의 여지가 남아 있다.
본 발명은 운전자에게 있어 보다 양호한 정보 전달을 수행하는 차량용 정보 전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는 특정 대상의 인식을 재촉 (prompt) 하는 차량용 정보 전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정보 전달 장치는 특정 대상의 위치와 상이한 위치의 인식을 재촉한다. 상기 양태에서, 특정 대상의 위치 및 특정 대상의 위치와 상이한 위치는 서로 이격되어 있어도 됨을 주지한다. 또한, 특정 대상의 인식을 재촉하는 방법은 특정 대상의 위치와 상이한 위치의 인식을 재촉하는 방법과 상이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특정 대상의 위치가 운전자로부터 보았을 때 좌측인 경우에는, 특정 대상의 위치와 상이한 위치가 상기 운전자로부터 보았을 때 우측일 수도 있으며, 상기 특정 대상의 위치가 상기 운전자로부터 보았을 때 우측인 경우에는, 특정 대상의 위치와 상이한 위치는 상기 운전자로부터 보았을 때 좌측일 수도 있다. 또한, 차량용 정보 전달 장치는 상기 특정 대상의 인식을 재촉하면서, 상기 특정 대상의 위치와 상이한 위치의 인식을 재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는 운전자로부터 보았을 때 우측의 확인 (check) 을 재촉하는 제 1 표시부, 및 상기 운전자로부터 보았을 때 좌측의 확인을 재촉하는 제 2 표시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정보 전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정 대상의 확인을 상기 우측 또는 상기 좌측에서 재촉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표시부 및 상기 제2의 표시부의 각각이 상기 우측 및 상기 좌측의 확인을 재촉한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는 프론트 윈드쉴드 또는 리어 윈드쉴드에 있어서의 복수의 위치들 각각에서 허상 (virtual image) 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용 정보 전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표시 장치가 특정 대상의 인식을 운전자에게 재촉하기 위해서 특정 위치에 허상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당해 특정 위치와 상이한 위치에서도 또한 허상을 표시한다.
본 발명의 상기 양태들에 따르면, 특정 대상의 인식 뿐만 아니라, 당해 특정 대상의 위치와 상이한 위치의 인식도 재촉되므로, 운전자에게 있어 보다 양호한 정보 전달을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의 특징, 이점, 및 기술 및 산업적 상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아래 설명될 것이며, 유사한 도면 부호는 유사한 요소를 나타낸다.
도 1 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정보 전달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 는 광원 패널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광원 패널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는 광원 패널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광원 패널이 탑재된 위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은 아이포인트의 정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은 광원 패널이 탑재된 위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은 광원 패널이 탑재된 위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는 광원 패널이 탑재된 탑재 위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은 차량의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허상에 의해 표시된 범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은 광원 각각으로부터의 광의 색 및 휘도의 조정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는 거리와 색/휘도 사이의 상관관계를 정의한 맵 및 각도와 색/휘도 사이의 상관관계를 정의한 맵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은 차체 색 및 통상시 색, 주의 환기 색, 경고색 및 휘도 사이의 상관관계를 정의한 맵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 는 허상을 보여주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 는 허상을 보여주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 은 허상을 보여주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 은 허상을 보여주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 은 허상을 보여주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 는 허상을 보여주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 은 허상을 보여주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 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정보 전달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는 리스크 연산 동작 및 점등 제어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2 는 대상의 위치 및 위험도와 광의 투사 위치 및 투사 면적과의 관계를 정의한 맵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 은 위험도와 광의 색 또는 휘도의 단위 변화당의 변화량과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 는 허상을 보여주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 는 허상을 보여주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 은 허상을 보여주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 은 허상을 보여주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 은 허상을 보여주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 는 허상을 보여주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 은 허상을 보여주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정보 전달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용 정보 전달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양태는 이 실시형태에 의해 제한되는 것이 아님을 주지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정보 전달 시스템은 계기판에 어레이로 (복수의 행으로 또는 복수의 열로) 탑재된 (배열된) 복수의 광원들 (LED: light-emitting diode) 의 광을 프론트 윈드쉴드 상에 투사하여 자차량 주변에 있는 위험 대상 (예를 들어, 보행자, 자전거, 자동차, 및 사각 지대 등) 이 존재하는 위치 또는 위험 대상이 존재하는 방향을 투사된 광으로부터 이루어진 허상으로 운전자에게 고지 (주의 환기 또는 경고) 한다. 이하, 이 시스템의 구성 및 이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는 동작의 일례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광원이 탑재된 위치를 주로 계기판에서 설정되지만, 그 대신에 이 위치가 예를 들어, 미터 패널 등에서 설정될 수도 있음을 주지한다. 또한, 광원을 주로 단색의 LED 이지만, 그 대신에, 광원들이 예를 들어 풀컬러 LED 들 또는 벌브들 등일 수도 있다. 또한, 광이 투사되는 위치 (허상이 표시되는 위치) 가 주로 프론트 윈드쉴드이지만, 그 대신에, 이 부분은 예를 들어, A 필라, 사이드 미러, 미터 패널, 또는 계기판 등일 수도 있다. 또한, 운전자에게 고지하는 세부 사항은 주로 위험 대상 (리스크) 을 포함하지만, 그 대신에 세부 사항은 예를 들어 경로 안내, 메일 착신, 운전자 상태 (예를 들어 일어나고 있는, 자고 있는 등), 자차량 상태 (예를 들어, 에코 운전 상태 등)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위험 대상은 대물 센서에 의해 검출되지만, 그 대신에, 위험 대상은 예를 들어, 카메라를 이용한 화상 인식, 차들 간 통신 및 도로와 차 간의 통신과 같은 통신, 또는 네비게이션 정보 (예를 들어 위험한 장소 등에 관한 지도 및 데이터베이스 등) 등에 의해서도 검출될 수도 있다. 또한, 고지가 제공되는 위치 및 방향은 주로 운전자로부터 보았을 때 좌측 및 우측이지만, 그 대신에, 위치 및 방향은 예를 들어 운전자로부터 보았을 때 전방 및 후방 등일 수도 있다. 또한, 표시된 허상의 형상은 주로 선상의 형상 (점렬) 이지만, 그 대신에, 형상은 예를 들어 아이콘, 문자, 또는 기호 등과 같은 그래픽일 수도 있다. 또한, 위험 대상이 존재하는 위치 또는 위험 대상이 존재하는 방향의 고지 이외에도, 당해 위험 대상의 내용 (예를 들어, 위험 대상이 보행자이다든가, 자전거이다든가, 자동차이다든가, 또는 사각지대이다든가, 와 같은 정보) 등이 고지될 수도 있다. 또한, 고지의 양태 (고지의 형태 및 고지의 방법) 를 주로 광이지만, 고지의 양태는 예를 들어 소리 (음성) 또는 조작 반력 등과 같은 인간이 인식 가능한 양태일 수도 있다.
1. 구성
도 1 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정보 전달 시스템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차량 (1) 은 광원 패널 (10), 대물 센서 (11), 드라이버 센서 (12), 차속 센서 (13), ECU (electronic control unit)(14), 점등 제어부 (15) 및 투과 제어부 (16) 를 포함한다. 광원 패널 (10) 은 복수의 광원 (10a) 및 광원 (10a) 으로부터의 광 투과도 및 광 휘도를 조장하는 기구를 갖는다. ECU (14) 는 리스크 연산부 (14a) 를 포함한다. 광원 패널 (10) 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표시 장치로 간주될 수도 있다.
대물 센서 (11) 은 차량 (1) 주변의 차 밖 환경 (예를 들어, 보행자, 자전거, 자동차, 사각 지대 (예를 들어 빌딩의 그늘, 커브의 사각 지대 측, 차량의 사각 지대 측과 같은 대상에 대한 정보), 직선 도로, 왼쪽 커브 및 오른쪽 커브 등과 같은 도로 형상) 을 검출한다. 드라이버 센서 (12) 는 운전자의 주시점 또는 운전자의 주시 방향을 검출한다. 차속 센서 (13) 는 차량 (1) 의 차속을 검출한다. 리스크 연산부 (14a) 는 대물 센서 (11) 로 검출한 차량 (1) 주변의 차 밖 환경, 드라이버 센서 (12) 로 검출한 주시점 또는 주시 방향, 및 차속 센서 (13) 로 검출한 차속 등에 기초하여, 차량 (1) 주변의 위험 (리크스) 의 정도를 연산 (추정) 한다.
도 2 는 광원 패널 (10) 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 패널 (10) 은 확산판 (10b), 축 부재 (10c), 및 스프링 (10d) 을 포함한다. 광원 패널 (10) 에는, 복수의 광원 (10a) 이 복수의 행 또는 복수의 열의 어레이로 배치되어, 광이 횡방향 (좌우 방향, 차폭 방향) 및 세로 방향 (높이 방향, 상하 방향) 으로 투사될 수 있도록 한다. 3 가지, 적, 녹 및 청색의 수평 라인 허상들을 프론트 윈도우 유리 상에 위에서부터 투사하기 위해, 운전자 근방 라인에는 적색계의 광을 방출하는 광원 (10a) 이 배치되고, 중간 라인에는 황색계의 광을 방출하는 광원 (10a) 이 배치되고 멀리 있는 측의 라인에는 녹색계의 광을 방출하는 광원 (10a) 이 배치되도록 광원 패널 (10) 이 설치된다. 광원 패널 (10) 에는, 광원 (10a) 으로부터의 광의 투과도 (광의 블러리한 정도/광의 확산 정도) 를 광원 (10a) 의 위치와 연관하여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조정하기 위해 확산판 (10b) 및 축부재 (10c) 를 이용하며, 고장 시에 있어서 광원 (10a) 과 확산판 (10b) 사이의 거리를 최대 상태로 유지하도록 복수의 스프링들 (10d) 을 이용한다. 복수의 스프링들 (10d) 은 고장 안전 (fail-safe) 디바이스로서 역할을 한다. 광원 패널 (10) 에는, 모터와 같은 동력 장치가 배치되어 있다. 동력 장치는 확산판 (10b) 의 피치, 요 및 롤로 된 3개의 회전 운동 (상하 방향, 좌우 방향 및 뒤틀림 방향에 대한 운동) 을 전자적으로 또는 전기적으로 수행한다. 확산판 (10b) 은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재료로 이루어진 얇은 판상 부재로 형성된다. 축 부재 (10c) 는 확산 판 (10b) 의 3 개의 회전 운동의 축으로 역할을 하는 축 부재이다. 또한, 스프링 (10d) 의 위치 또는 스프링 (10d) 의 개수는 고장시에 있어서 광원 (10a) 과 확산판 (10b) 사이의 거리를 최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도 있음을 주지한다. 또한, 광을 보다 넓은 범위로 확장하기 위해서, 확산판 (10b) 위 또는 아래에 프레넬 렌즈를 삽입할 수도 있다.
도 3 은 광원 패널 (10) 의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에 있어서, 광원 패널 (10) 은 도광 부재 (10e) 를 포함한다. 광원 패널 (10)에는, 확산판 (10b) 및 도광 부재 (10e) 가 배치되고 있다. 확산판 (10b) 및 도광 부재 (10e) 는 광원 (10a) 으로부터의 광의 투과도를 조정하도록 이용된다. 도광 부재 (10e) 는 예를 들어 광섬유 등이며,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원 (10a) 에 대응하여 개별적으로 배치된다. 광원 패널 (10) 에는, 동력 부재 (도시 생략) 가 배치된다. 동력 부재는 확산판 (10b) 과 도광 부재 (10e) 사이의 거리를 조정한다. 도 3 에 나타낸 구성에서는, 광원 (10a) 각각으로부터의 광의 투과도를 서로 독립적으로 조정할 수도 있다.
도 4 는 광원 패널 (10) 의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 패널 (10) 은 액정 패널 (10f) 을 포함한다. 액정 패널 (10f) 은 광원 (10a) 과의 거리가 고정된 상태에서, 광원 패널 (10) 에 배치된다. 액정 패널 (10f) 은 광원 (10a) 으로부터의 광의 투과도를 조정하도록 이용된다. 도 4 에 도시된 구성에서는, 액정 패널 (10f) 의 개구율이 중심으로부터 주변을 향하여 감소되어, 광을 블러리 상태가 될 수 있게 한다.
도 5 는 차량 (1) 에 광원 패널 (10) 이 탑재된 위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 부호 20 은 예를 들어 테이퍼 유리와 같은 (사진의) 이중 찍힘 억제 구조를 갖는 프론트 윈드쉴드를 나타내며, 도면 부호 21 은 후드를 나타내며, 도면 부호 22 는 계기판을 나타내며, 도면 부호 23 은 미터 패널을 나타내며, 도면 부호 24 는 스티어링 휠을 나타내며, 도면 부호 30 은 운전자의 아이포인트를 나타내며, 도면 부호 31 은 광원 패널 (10) 로부터의 광에 의해 형성된 허상을 나타내며, 도면 부호 32 는 아이포인트 (30) 를 통과하는 수평라인을 나타내며, 도면 부호 33 은 광원 패널 (10) 로부터의 광의 광로를 나타낸다. 광원 패널 (10) 은 계기판 (22) 에 설치되며, 특히, 운전자의 주변 시야의 최하위 영역 (예를 들어, 아이포인트 (30) 를 통과하는 수평 라인 (32) 으로부터의 부각(depression angle)(α) 이 5도 이하) 에서 운전자에 의해 허상 (31) 이 인식될 수 있도록 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광원 패널 (10) 은, 미터 패널 (23) 보다 프론트 윈드쉴드 (20) 에 더 가까운 위치 (즉, 아이포인트 (30) 로부터 보았을 때 계기판 (22) 의 먼측) 에 설치된다. 여기서, 아이포인트 (30) 는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ISO6549-1980 에 기초하여 인체 모형을 좌석에 착석시켰을 때의 당해 인체 모형의 가랑이 관절점인 시팅 레퍼런스 포인트 (36) 의 수직 상방 635 (mm) 의 높이로 설정된다 (홈페이지 어드레스 "http://www.mlit.go.jp/jidosha/kijyun/saimokubetten/saibet_081_00.pdf") 에 개시된 "도로 운송 차량의 보안 기준의 실눈을 정하는 고시〔2005.11.09〕별첨 81 (직전 직차 확인 거울의 기술 기준)" 을 참조).
도 7 및 도 8 은 차량 (1) 에 있어서의 광원 패널 (10) 이 탑재된 위치들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7 및 도 8에 있어서, 도면 부호 25 는 데프로스터 취출부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광원 패널 (10) 은 아이포인트 (30) 로부터 보았을 때 데프로스터 취출부 (25) 의 가까운 측 (도 7 참조) 또는 먼 측(도 8 참조) 의 위치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광원 패널 (10) 은 계기판 (22) 의 표면 아래 (환언 하면, 계기판 (22) 의 내부) 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광원 패널 (10) 은 계기판 (22) 에 내장되어 있다.
도 9 는 차량 (1) 에 광원 패널 (10) 이 탑재된 위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에 있어서, 도면 부호 26 은 백미러를 나타내며, 도면 부호 27 은 A 필라들을 나타내며, 도면 부호 34 는 운전자의 주시 방향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광원 패널 (10) 은 계기판 (22) 에 있어서의, 운전자의 대략 정면인 위치에 설치된다. 광원 패널 (10) 은 아이포인트 (30) 로부터 보았을 때 허상 (31) 의 배경이 예를 들어 전경 (예를 들어 도로 또는 선행 차량 등) 이 되도록 계기판 (22) 상에 설치된다.
도 10 은 차량 (1) 의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허상 (31) 에 의해 표시되는 범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광원 패널 (10) 이 계기판 (22) 상에 상술한 바와 같이 탑재된 차량 (1) 이, 예를 들어 보도폭 1 (m) 및 도로폭 3.2 (m) 의 도로에 있는 경우, 아이포인트 (30) 로부터 보았을 때의 허상 (31) 의 표시 범위 (위험 대상의 범위) 는 차량 (1) 앞에서 좌측 8.1 (m) 포인트와 차량 (1) 앞에서 우측 22.5 (m) 포인트 사이의 도시된 범위이다.
도 1 을 다시 참조하면, 점등 제어부 (15) 는 대물 센서 (11) 로 검출한 차량 (1) 주변의 차 밖 환경, 드라이버 센서 (12) 로 검출한 운전자의 주시점 또는 주시 방향, 차속 센서 (13) 로 검출한 차량 (1) 의 차속, 및 리스크 연산부 (14a) 로 연산한 차량 (1) 주변의 위험도 등에 기초하여, 통상시용, 주의 환기용, 또는 경고용의 점등 패턴 (예를 들어, 광이 프론트 윈드쉴드 (20) 상에 투사되는 위치, 광이 프론트 윈드쉴드 (20) 에 투사되는 면적, 광의 색, 광의 휘도, 광의 주기 (점멸), 광의 색 또는 휘도의 단위 변화당의 변화량 (색 또는 휘도에 있어서의 단위 변화량) 등에 관한 점등 내용 또는 점등 양태) 을 설정하고, 점등 제어부 (15) 는 설정된 점등 패턴을 획득하기 위하여 개개의 광원 (10a) 에 대한 점등 제어 (예를 들어 인가 전압의 조정 등) 를 실행한다.
여기서, 광원 (10a) 의 광의 색 및 휘도의 조정 (캘리브레이션) 방법의 일례를, 도 11 내지 도 13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개의 광원 (10a) 의 색 및 휘도는, 미리 거리 (L) 및/또는 각도 (θ) 에 기초하여 조정한다. 예를 들어, 개개의 광원 (10a) 의 색 및 휘도는 거리 (L) 와 색/휘도 사이의 상관 관계를 정의한 맵 (도 12 참조) 및/또는 각도 (θ) 와 색/휘도 사이의 상관 관계를 정의한 맵 (도 12 참조) 에 기초하여 조정된다. 여기서, 거리 (L) 는 광원 (10a) 으로부터, 당해 광원 (10a) 으로부터의 광이 프론트 윈드쉴드 (20) 상에 투사된 대응 위치까지의 거리이다.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등 제어부 (15) 는 거리 (L) 가 증가함에 따라 광원 (10a) 으로부터의 광의 휘도를 증가시킨다. 각도 (θ) 는 광원 (10a) 이 배치되는 위치와 광이 투사되는 대응 위치 사이를 연결하는 선분과 프론트 윈드쉴드 (20) 에 의해 이루어지는 각도이다.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등 제어부 (15) 는 각도 (θ) 가 증가함에 따라 광원 (10a) 으로부터의 광의 휘도를 감소시킨다. 프론트 윈드쉴드 (20) 는 본 발명에 따라 광이 "투사되는 차체의 일부분"으로서 간주될 수도 있다. 또한, 통상시, 주의 환기시 및 경고시에 있어서의 개개의 광원 (10a) 의 색 및 휘도는, 미리, 예를 들어 계기판, A 필라, 또는 사이드 미러 등의 색에 기초하여 조정된다. 예를 들어, 통상시, 주의 환기시 및 경고시에 있어서의 개개의 광원 (10a) 의 색 및 휘도는, 차체색과 통상시 색, 주기 환기색, 경고색 및 휘도 사이의 상관 관계를 정의한 맵 (도 13 참조) 에 기초하여 조정된다. 이들의 색 및 휘도에 관한 조정 상태는, 점등 제어부 (15) 의 기억 영역에 기억된다.
또한, 점등 제어부 (15) 는 광의 휘도 또는 색을, 헤드라이트가 온 또는 오프되는지에 기초하여 또는 광 검출 센서 등을 이용하여 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점등 제어부 (15) 는 야간의 경우에 광의 휘도를 감소시킬 수도 있다. 또한, 점등 제어부 (15) 는, 리스크 연산부 (14a) 로 추정한 위험도의 신뢰성에 기초하여 광의 휘도, 색, 주기 (점멸) 등을 조정할 수도 있다. 또한, 점등 제어부 (15) 는 드라이버 센서 (12) 로 검출한 운전자의 주시점 또는 주시 방향에 기초하여, 인식되는 광선들 중에서 운전자에 의해 인식되는 광선을 정지시킬 수도 있고 이 광의 휘도, 색 등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또한, 점등 제어부 (15) 는, 위험 대상이 존재하는 위치 또는 위험 대상이 존재하는 방향에 맞추어, 위험 대상의 내용 (예를 들어, 위험 대상이 보행자, 차이다든지 등) 을 통지할 수도 있다.
도 1 을 다시 참조하면, 투과 제어부 (16) 는 대물 센서 (11) 로 검출한 차량 (1) 주변의 차 밖 환경, 드라이버 센서 (12) 로 검출한 운전자의 주시점 또는 주시 방향, 차속 센서 (13) 로 검출한 차량 (1) 의 차속, 리스크 연산부 (14) 로 연산한 차량 (1) 주변의 위험도, 및 점등 제어부 (15) 로 설정한 점등 패턴 등에 기초하여, 광원 패널 (10) 의 광원 (10a) 으로부터의 광의 투과도 (블러리한 상태/확산 정도) 를 조정한다.
예를 들어, 점등 제어부 (15) 가 주의 환기용의 점등 패턴으로 광원 (10a) 을 점등시키는 경우, 투과 제어부 (16) 는 도 2 에 나타낸 광원 패널 (10) 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광원 패널 (10) 에서의 광원 (10a) 과 확산판 (10b) 사이의 거리를 전체적으로 증가시키거나, 도 3 에 나타낸 광원 패널 (10) 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광원 패널 (10) 에서의 확산판 (10b) 과 도광 부재 (10e) 사이의 거리를 전체적으로 증가시키거나, 도 4 에 나타낸 광원 패널 (10) 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광원 패널 (10) 에서의 액정 패널 (10f) 의 개구율을 전체적으로 감소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허상 (31) 의 상태를, 도 14 에 나타낸 선명한 상태로부터 도 15 에 나타낸 블러리한 상태로 변경할 수도 있다. 즉, 허상 (31) 이 블러리한 상태로 될 수도 있다.
또한, 투과 제어부 (16) 는 리크스 연산부 (14a) 로 연산한 위험도에 따라, 도 2 에 나타낸 광원 패널 (10) 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광원 (10a) 과 확산판 (10b)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거나, 도 3 에 나타낸 광원 패널 (10) 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확산판 (10b) 과 도광 부재 (10e)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거나, 도 4 에 나타낸 광원 패널 (10) 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액정 패널 (10f) 의 개구율을 조정한다. 투과 제어부 (16) 는 위험도가 낮을 때에는, 광원 (10a) 과 확산판 (10b) 사이의 거리를 전체적으로 증가시키거나, 확산판 (10b) 과 도광 부재 (10e) 사이의 거리를 전체적으로 증가시키거나, 또는 액정 패널 (10f) 의 개구율을 전체적으로 감소시킨다. 또한, 투과 제어부 (16) 는 위험도가 높을 때에는, 광원 (10a) 과 확산판 (10b) 사이의 거리를 전체적으로 감소시키거나, 확산판 (10b) 과 도광 부재 (10e) 사이의 거리를 전체적으로 감소시키거나 또는 액정 패널 (10f) 의 개구율을 전체적으로 증가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리크스가 높을 때에는 선명한 허상 (31) 을 전달할 수도 있는 한편, 리크스가 낮을 때에는 블러리한 허상 (31) 을 전달할 수도 있다.
또한, 점등 제어부 (15) 가 특정 정보 (예를 들어, 문자 및 아이콘 등) 를 표시하는 점등 패턴으로 광원 (10a) 을 점등시키는 경우, 투과 제어부 (16) 는 도 2 에 나타낸 광원 패널 (10) 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광원 (10a) 과 확산판 (10b) 사이의 거리를 전체적으로 감소시키거나, 도 3 에 나타낸 광원 패널 (10) 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확산판 (10b) 과 도광 부재 (10e) 사이의 거리를 전체적으로 감소시키거나 또는 도 4 에 나타낸 광원 패널 (10) 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액정 패널 (10f) 의 개구율을 전체적으로 증가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특정 정보에 대응하는 선명한 허상 (31) 을 전달할 수도 있다.
또한, 투과 제어부 (16) 는, 차속 센서 (13) 로 검출한 차량 (1) 의 차속에 기초하여, 도 2 에 나타낸 광원 패널 (10) 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광원 (10a) 과 확산판 (10b)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거나, 도 3 에 나타낸 광원 패널 (10) 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확산판 (10b) 과 도광 부재 (10e)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거나, 또는 도 4 에 나타낸 광원 패널 (10) 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액정 패널 (10f) 의 개구율을 조정한다. 투과 제어부 (16) 는 차속이 소정값 이하일 때 (예를 들어 차량 (1) 이 정지중일 때 등), 광원 (10a) 과 확산판 (10b) 사이의 거리를 전체적으로 감소시키거나, 확산판 (10b) 과 도광 부재 (10e) 사이의 거리를 전체적으로 감소시키거나, 액정 패널 (10f) 의 개구율을 전체적으로 증가시킨다. 한편, 투과 제어부 (16) 는 차속이 소정값을 초과할 때 (예를 들어 차량 (1) 이 주행중일 때 등) 광원 (10a) 과 확산판 (10b) 사이의 거리를 전체적으로 증가시키거나, 확산판 (10b) 과 도광 부재 (10e) 사이의 거리를 전체적으로 증가시키거나 액정 패널 (10f) 의 개구율을 전체적으로 감소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차량 (1) 이 정지중일 때에는,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명한 허상 (31) 을 전달할 수도 있는 한편, 차량 (1) 이 주행중일 때에는,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블러리한 허상 (31) 을 전달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 에 나타낸 광원 패널 (10) 이 사용되는 경우, 투과 제어부 (16) 는 드라이버 센서 (12) 로 검출한 운전자의 주시점 (38) 근방에 광을 투사하는 광원들 (10a) 과, 이들 광원 (10a) 이 배치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만큼의 확산판 (10b) 의 부분 사이의 거리를 부분적으로 증가시킨다. 도 3에 나타낸 광원 패널 (10) 이 사용되는 경우, 투과 제어부 (16) 는 확산판 (10b) 과, 주시점 (38) 근방에 광을 투사하는 광원 (10a) 에 대응하여 배치된 만큼의 도광 부재 (10e) 사이의 거리를 부분적으로 증가시킨다. 도 4 에 나타낸 광원 패널 (10) 이 사용되는 경우, 투과 제어부 (16) 는 액정 패널 (10f) 에 있어서의, 주시점 (38) 근방에 광을 투사하는 광원 (10a) 의 배치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만큼의 개구율을 감소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허상 (31) 중 운전자가 본 부분 (주시점 (38) 근방의 부분) 만을 선택적으로 블러리 상태로 되게 할 수 있고 블러리 상태로 전달할 수도 있다.
또한, 투과 제어부 (16) 는 왼쪽 커브 및 오른쪽 커브와 같은 도로 형상에 기초하여, 광원 패널 (10) 에 있어서의 광원 (10a) 으로부터의 광의 투과도를 조정한다. 도 2에 나타낸 광원 패널 (10) 이 사용되는 경우, 투과 제어부 (16) 는 확산판 (10b) 에 있어서의, 운전자가 주시하는 도로 형상의 변화 방향 (예를 들어 오른쪽 커브라면 우방향, 왼쪽 커브라면 좌방향) 으로 광을 투사하는 광원 (10a) 의 배치 위치와 대응하는 부분만큼, 광원 (10a) 과의 거리를 부분적으로 증가시킨다. 도 3 에 나타낸 광원 패널 (10) 이 사용되는 경우, 투과 제어부 (16) 는, 도로 형상의 변화 방향으로 광을 투사하는 광원 (10a) 에 배치된 도광 부재 (10e) 와, 확산판 (10b) 사이의 거리를 부분적으로 증가시킨다. 도 4 에 나타낸 광원 패널 (10) 이 사용되는 경우, 투과 제어부 (16) 는 액정 패널 (10f) 에 있어서의, 도로 형상의 변화 방향으로 광을 투사하는 광원 (10a) 의 배치 위치와 대응하는 부분만큼, 액정 패널 (10f) 의 개구율을 감소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도 1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허상 (31) 중 운전자가 주시하는 커브 방향의 부분 (주시 방향 (34) 근방의 부분) 만큼을 선택적으로 블러리한 상태로 하거나, 블러리한 상태로 전달할 수도 있다.
또한, 투과 제어부 (16) 는 운전자의 중심 시야 (드라이버 센서 (12) 로 검출한 운전자의 주시점 (38) (도 20 참조)) 로부터 허상 (31) 까지의 거리에 기초하여, 광원 패널 (10) 에 있어서의 광원 (10a) 으로부터의 광의 투과도를 조정한다. 도 2 에 나타낸 광원 패널 (10) 이 사용되는 경우, 투과 제어부 (16) 는 주시점 (38) 과의 상대적으로 짧은 거리를 갖는 광원 (10a) 과 확산판 (10b) 사이의 거리를 상대적으로 증가시키고, 주시점 (38) 과 상대적으로 긴 거리를 갖는 광원 (10a) 과 확산판 (10b) 사이의 거리를 상대적으로 감소시키고, 주시점 (38) 과 상대적으로 중간 정도의 거리를 갖는 광원 (10a) 과 확산판 (10b) 사이의 거리를 상대적으로 중간 정도의 거리로 설정한다. 도 3 에 나타낸 광원 패널 (10) 이 사용되는 경우, 투과 제어부 (16) 는 주시점 (38) 과 상대적으로 짧은 거리를 갖는 광원 (10a) 에 배치된 도광 부재 (10e) 와 확산판 (10b) 사이의 거리를 상대적으로 증가시키고, 주시점 (38) 과 상대적으로 긴 거리를 갖는 긴 광원 (10a) 에 대응하여 배치된 도광 부재 (10e) 와 확산판 (10b) 사이의 거리를 상대적으로 감소시키고, 주시점 (38) 과 상대적으로 중간 정도의 거리를 갖는 광원 (10a) 에 대응하여 배치된 도광 부재 (10e) 와 확산판 (10b) 사이의 거리를 상대적으로 중간 정도의 거리로 설정한다. 도 4 에 나타낸 광원 패널 (10) 이 사용되는 경우, 투과 제어부 (16) 는 주시점 (38) 과 상대적으로 짧은 거리를 갖는 광원 (10a) 의 배치 위치에 대응하는 액정 패널 (10f) 의 부분의 개구율을 상대적으로 감소시키고, 주시점 (38) 과 상대적으로 긴 거리를 갖는 광원 (10a) 의 배치 위치와 대응하는 액정 패널 (10f) 의 부분의 개구율을 상대적으로 증가시키고, 주시점 (38) 과 상대적으로 중간 정도의 거리를 갖는 광원 (10a) 의 배치 위치와 대응하는 액정 패널 (10f) 의 부분의 개구율을 상대적으로 중간 정도의 크기로 설정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도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허상 (31) 을 주시점 (38) 과 짧은 거리를 갖는 위치로부터 주시점 (38) 과 긴 거리를 갖는 위치로, 블러리한 상태에서 선명한 상태로 점차적으로 변경시킬 수도 있다.
2. 동작
도 21 은 본 실시형태에 따라 차량용 정보 전달 시스템으로 실행되는 리스크 연산 동작 및 점등 제어 동작의 일례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단계 SA1 : 차 밖 환경의 계측
대물 센서 (11) 는 차량 (1) 주변의 대상 (예를 들어 보행자, 자전거, 자동차, 사각 지대 등) 에 관한 정보를 계측한다.
단계 SA2 : 차 밖 환경의 인식
리스크 연산부 (14a) 는 단계 SA1 에서 계측한 대상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 (1) 주변 상태가, 대상이 존재하지 않고 주의 환기 또는 경고의 필요가 없는 통상적인 상태인지, 또는 대상이 존재하고 주의 환기 또는 경고의 필요가 있는 상태인지를 인식한다. 예를 들어, 리스크 연산부 (14a) 는, 대상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통상적인 상태라고 인식하고, 대상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주의 환기 또는 경고의 필요가 있는 상태라고 인식한다.
단계 SA3 : 위험도의 연산
단계 SA2 에 있어서 차량 (1) 주변 상태가 주의 환기 또는 경고의 필요가 있는 상태라고 인식된 경우에는, 리스크 연산부 (14a) 는, 단계 SA1 에서 계측한 대상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의 존재 위치를 확인한다. 리스크 연산부 (14a) 는 존재 위치를 확인할 수 없었던 대상에 대해서는, 위험도가 낮은 것으로서 추정한다 (즉, 차량 (1) 주변 상태가 주의 환기의 필요가 있는 상태인 것으로서 추정한다).
리스크 연산부 (14a) 는 존재 위치를 확인할 수 있었던 대상에 대해서는, 대상과 차량 (1) 사이의 거리 및 차량 (1) 에 대한 대상의 상대 감속도 (상대 속도 또는 상대 가속도일 수도 있음) 를 계산한다. 리스크 연산부 (14a) 는 이 거리가 짧으면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서 추정하고 (즉, 차량 (1) 주변 상태가 경고의 필요가 있는 상태인 것으로 추정하고), 이 거리가 길면, 위험도가 낮은 것으로서 추정한다 (즉, 차량 (1) 주변 상태가 주의 환기의 필요가 있는 상태인 것으로 추정한다). 또한, 리크스 연산부 (14a) 는, 차량 (1) 에 대한 대상의 상대 감속도가 낮으면 위험도가 낮은 것으로 추정하고 (즉, 차량 (1) 주변 상태가 주의 환기의 필요가 있는 상태인 것으로 추정하고), 이 상대 감속도가 높으면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추정한다 (즉, 차량 (1) 주변 상태가 경고의 필요가 있는 상태인 것으로 추정한다).
단계 SA4 : 광 자극 패턴의 설정
점등 제어부 (15) 는 단계 SA3 에서 확인할 수 있었던 대상의 존재 위치 및 단계 SA3 에서 추정한 대상의 위험도에 기초하여, 대상의 위치 및 위험도와 광의 투사 위치 및 투사 면적 사이의 상관 관계를 정의하는 도 22 에 나타낸 맵을 참조하여, 고지를 위한 광의 투사 위치 (횡방향에서 투사된 위치 및 세로 (높이) 방향에서 투사된 위치) 및 고지를 위한 광의 투사 면적을 결정하며, 필요에 따라, 주의 배분 용의 광의 투사 위치 및 투사 면적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고지를 위한 광의 투사 위치 (즉, 고지를 위한 광이 투사되는 위치) 는, 대상의 존재 위치가 좌측이면 좌측으로, 정면이면 정면으로, 우측이면 우측으로 설정된다. 한편, 주의 배분 용의 광의 투사 위치는, 고지를 위한 광의 투사 위치가 좌측이면 우측으로, 우측이면 좌측으로 설정되며 주의 배분 용의 광의 투사 위치가 정면 또는 좌우 양방이면 설정되지 않는다. 또한, 고지를 위한 광의 투사 면적은, 대상의 위험도가 높은 경고시에는 증가되고, 대상의 위험도가 작은 주의 환기시에는 감소된다. 한편, 주의 배분 용의 광의 투사 면적은, 대상의 위험도가 큰 경고시에는, 고지를 위한 광의 투사 면적과의 차이가 명확하게 구별되도록 감소되고, 대상의 위험도가 작은 주의 환기시에 고지를 위한 광의 투사 면적과 그 차이가 구별되지 않도록 다소 감소된다.
점등 제어부 (15) 는 단계 SA3 에서 추정한 대상의 위험도, 및 도 12 및 도 13 에 나타낸 맵에 따라 미리 조정되고 기억된 색 및 휘도의 상태에 기초하여, 고지를 위한 광의 색 및 휘도를 결정하고, 필요에 따라, 고지를 위한 광의 색 및 휘도와 상이한 주의 배분 용의 광의 색 및 휘도를 결정한다. 또한, 점등 제어부 (15) 는, 단계 SA3 에서 추정한 대상의 위험도에 기초하여, 고지를 위한 광의 색 및 휘도의 단위 변화당의 변화량 (단위 변화량) 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험도의 단위시간 당 변화가 클 때에는, 색 및 휘도의 단위 변화량은 크게 설정되고, 위험도의 단위시간 당의 변화가 작을 때에는, 색 및 휘도의 단위 변화량은 작게 설정된다.
점등 제어부 (15) 는 결정된 광의 투사 위치, 투사 면적, 색, 휘도, 및 단위 변화량을 포함하는, 고지를 위한 (주의 환기 또는 경고를 위한) 점등 패턴을 설정한다. 여기서, 단계 SA2 에서 차량 (1) 주변 상태가 주의 환기의 필요가 없는 통상적인 상태라고 인식된 경우에는, 점등 제어부 (15) 는, 도 12 및 도 13 에 나타낸 맵에 따라 미리 조정되어 기억한 색 및 휘도 상태에 기초하여, 통상시의 광의 색 및 휘도를 포함하고, 고지를 위한 점등 패턴과는 상이한 통상시의 점등 패턴을 설정한다.
단계 SA5 : 광 자극 표시
점등 제어부 (15) 는, 도로 형상에 기초하여 광원 패널 (10) 에 있어서의 점등시의 중심 위치를 설정 (정정) 하고, 점등 제어부 (15) 는 단계 SA4 에서 설정한 고지를 위한 또는 통상시의 점등 패턴 및 당해 설정한 중심 위치에 기초하여, 당해 점등 패턴을 획득하도록 개개의 광원 (10a) 의 점등 제어를 실행한다.
따라서, 상기 서술한 리스크 연산 동작 및 점등 제어 동작에 의하면, 경고가 필요한 도 24 에 나타낸 상황 (예를 들어, 위험도가 큰 대상 (2) 이 운전자로부터 보았을 때 왼쪽으로 존재하는 상황) 에서는, 대상 (2) 의 위험도에 따라 설정한 고지를 위한 허상 (31) 을 좌방향에 전달하고, 차량 (1) 주변에 대한 운전자의 주의 배분의 총합이 일정하게 되도록 설정한 주의 배분 용의 더미의 허상 (31) 을, 당해 총합이 일정하게 되도록 우측에도 전달하여, 당해 상황에 있어서, 차량 (1) 주변에 대한 운전자의 주의의 균일한 배분을 유지시킬 수도 있다 (즉, 운전자의 주의가 균일하게 배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리스크 연산 동작 및 점등 제어 동작에 의하면, 주의 환기 또는 경고가 필요하지 않은 도 25 에 나타낸 같은 통상시 (안전) 의 상황 (예를 들어 차량 (1) 주변에 대상이 존재하지 않는 상황) 에서는, 고지를 위한 허상 (31) 과는 상이하고 옅고 소프트한 색조를 갖는 통상시의 허상 (31) 을, 예를 들어 운전자로부터 보았을 때 좌방향, 중앙 (정면) 방향, 우방향 또는 전체에 전달한다. 또한, 통상적인 상황이, 대상 (2) 가 출현하여 경고가 필요한 도 26 에 나타낸 상황으로 바뀐 경우에는, 최하층 영역에 있는 통상시 점등 용의 녹색 허상 (31) 중, 당해 대상 (2) 의 존재 위치 또는 대상 (2) 의 존재 방향에 대응하는 부분 (도 26 에서는 좌측에서의 최하층 영역의 부분) 의 광 레벨이 감소되는 한편, 최상층에 있는 경고용의 적색의 허상 (31) 중, 대응 부분 (도 26 에서는 좌측에서의 최상층 영역의 부분) 의 광 레벨이 증가된다. 허상 (31) 은 차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일련의 점등 도트들로서 간주될 수도 있다. 녹색 허상 (31) 및 적색 허상 (31) 은 서로 평행하다. 허상 (31) 은 A 필라, 백미러, 미터 패널 및 계기판과 같은 복수의 상이한 위치들에 표시될 수도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통상적인 상황에서 주의 환기 또는 경고가 필요한 상황으로 바뀌었을 때에, 운전자에게 주의 환기 또는 경고를, 보다 위화감 없고 당황감을 주지 않게 자연스럽게 재촉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리스크 연산 동작 및 점등 제어 동작에 의하면, 고지가 필요한 상황에 있어서 차량 (1) 이 직선의 도로를 주행하고 있는, 도 27 에 나타낸 바와 같은 경우에는, 점등시의 중심 위치 (C) 를 도로 형상에 맞추어 운전자로부터 보았을 때 중앙 (정면) 으로 설정 (정정) 하고, 또한, 차량 (1) 이 오른쪽 커브의 도로를 주행하고 있는 도 28 에 나타낸 경우에는, 점등시의 중심 위치 (C) 를 도로 형상에 맞추어 운전자로부터 보았을 때 오른쪽으로 설정 (정정) 하고, 그 후, 당해 중심 위치 (C) 의 설정에 기초하여 고지를 위한 허상 (31) 을 전달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운전자의 시야 밖으로 벗어나지 않는 범위 (운전자의 주시 방향으로부터 일정한 범위) 에서 운전자에게 주의 환기 또는 경고를 재촉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리스크 연산 동작 및 점등 제어 동작에 의하면, 선행 차량인 대상 (2) 의 상대 감속도 (V) 가 작고 주의 환기가 필요한 도 29 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황에서는, 단위 변화량이 감소된 주의 환기용의 허상 (31) 을 전달하며, 대상 (2) 의 상대 감속도 (V) 가 크고 경고가 필요한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황에서는, 단위 변화량이 증가된 경고용의 허상 (31) 을 전달하므로, 차량 (1) 과 대상과의 상대 관계에 맞는 점등 내용을 이용하여 운전자에게 주의 환기 또는 경고를 재촉할 수 있다.
3. 본 실시형태의 요약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계기판 (22) 의 소정의 위치에 탑재된 광원 패널 (10) 에 어레이로 (복수의 로우들로 또는 복수의 컬럼들로) 배치된 복수의 광원 (10a) 으로부터의 광을, 위험 대상 (예를 들어, 보행자, 자전거, 자동차, 및 사각 지대 등) 의 존재 위치 또는 존재 방향에 대응하는, 프론트 윈드쉴드 (20) 의 부분에, 위험 대상의 위험도 등에 대응하는 색, 휘도, 면적, 주기 등을 이용하여 투사하여, 운전자에게 주의 환기 또는 경고를 재촉한다. 예를 들어 종래의 나이트뷰 시스템에서는, 야간에 적외선 센서로 보행자를 검지하면, 검지한 보행자를 프레임으로 둘러싸여 화면에서 알리고 있지만, 화면에 표시된 내용과 실제의 상황과의 대응 관계를 운전자가 알고 있기는 어려웠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위험 대상의 위치 또는 방향을 운전자에게 알기 쉽고 확실하게 고지하고 또한, 운전자에 대해 번거로움 및 위화감이 없이 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각각의 광원 (10a) 의 광의 휘도 (인가 전압) 및 색을 광원 (10a) 의 배치 위치로부터 프론트 윈드쉴드 (20) 에 있어서의 광원 (10a) 으로부터의 광의 투사 위치까지의 거리, 및/또는 각각의 광원 (10a) 의 배치 위치와 광원 (10a) 으로부터의 광의 투사 위치를 연결하는 선분과 프론트 윈드쉴드 (20) 에 의해 이루어진 각도에 따라 설정한다. 예를 들어, 광의 휘도는 광원 (10a) 과 대응하는 투사 위치 사이의 거리가 증가할 수록 광의 휘도를 증가시킨다. 이렇게 행함으로서, 차체로부터 반사한 광이 운전자에 의해 보다 시인되기 쉬워져, 그 결과, 정보의 전달 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운전자의 아이포인트에 따라 광을 인식하기 쉬운 위치에 맞출 수가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광원 패널 (10) 은 광원 (10a) 각각으로부터의 광의 휘도 (광의 투과도 또는 광의 블러리 정도) 를 조정하는 기구를 포함한다. 따라서, 광이 강한 것에 인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위치 또는 방향의 확인을 운전자에게 재촉하는 경우에는 광의 휘도를 내려 허상을 블러리하게 하는 한편, 문자 및 아이콘 등의 특정의 정보를 전달하는 경우에는 광의 휘도를 올려 허상을 선명하게 전달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운전자는 허상에 초점이 맞추기 어려워져, 전경이 보다 보기 쉬워진다. 또한, 특정 정보를 전달하는 경우에 있어서, 차량 (1) 이 소정 속도를 초과하는 속도로 주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광의 휘도를 내려 허상을 블러리하게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정차중에는 중심 비젼에 의한 시인을 안내하여 상세한 정보를 제시할 수 있는 한편, 주행중에는 주변 비젼에 의한 시인을 안내하여 위험의 존재와 위치만을 전달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차량이 정차중에는 전달하는 정보의 양 및 질을 향상시킬 수가 있는 한편, 차량의 주행중에는 전달하는 정보의 양 및 질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가 인식한 광의 투사 위치에 대응하는 광원 (10a) 만 선택적으로 광의 휘도를 내려 허상을 부분적으로 블러리하게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운전자는 한 번 본 허상에 초점을 맞추기 어렵게 되어, 시점이 다이렉트 비젼을 통해 지속되는 동안의 시간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차량 (1) 주변의 위험도가 증가하는 것과 같이 전달하는 정보의 질 및 우선순위가 높을수록, 광의 휘도를 증가시켜 허상을 선명하게 전달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중요한 정보를 운전자에게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도로 형상 (커브) 으로부터, 운전자가 가장 중시해야 할 시선 방향을 추정하여, 이 방향에 투사하는 광의 휘도를 감소시켜 허상을 블러리하게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커브 주행 중에, 운전자가 주시 방향의 허상에 초점을 맞추기 어려워져, 전경을 보다 보기 쉽게 된다. 또한, 중심 비젼시로부터의 원근에 기초하여, 광의 휘도를 조정하여, 허상의 블러리한 정도를 변경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중심 비젼에 가까울수록 형상이 보다 선명하게 캡쳐될 수 있는 인간 특성을 고려하여, 전달하는 정보의 양 및 질을 보다 적정화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대상의 존재 위치 또는 대상의 존재 방향을 고지하는 경우에는, 당해 대상의 위험도 등에 대응하는 고지를 위한 허상이 당해 대상의 존재 위치 또는 대상의 존재 방향에 대응하여 프론트 윈드쉴드 (20) 의 일부에 전달되고, 고지를 위한 허상과 상이한 주의 배분용의 허상이, 당해 대상의 존재 위치 또는 대상의 존재 방향과는 상이한 위치 또는 방향에 대응하는 프론트 윈드쉴드 (20) 의 일부에도 전달된다. 예를 들어, 위험 대상이 왼쪽 또는 오른쪽에 있는 경우, 위험도에 기초하여, 점등 내용의 배분을 조정한다 (변경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대상의 확인을 운전자에게 확실하게 재촉하면서, 차량 (1) 주변에 대한 운전자의 주의를 균일하게 배분할 수도 있다, 즉 차량 (1) 에 대한 운전자의 균일한 주의 배분을 통상시와 동일한 정도로 유지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허상들이 동시에 전달되는 경우, 각 위험의 내용에 따라, 허상들의 점등 레벨을 변화시킬 수도 있다. 또한, 운전자가 일체적이 아닌 개별적으로, 비연속으로 분리된 위치들을 인식하는 것이 재촉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넓은 범위의 인식을 재촉하면서도, 인식해야 할 지점들에 바람직하게 주의 배분을 실시할 수가 있다. 또한, 긴급성이 높은 정보를 고지할 때에는, 당해 정보에 대응하는 고지를 위한 허상을, 주의 배분용의 허상보다 더 빨리 전달할 수도 있음을 주지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통상적인 상태에서도, 차량 전방의 좌측, 중앙 또는 우측의 광원 (10a) 을 항상 통상시의 점등 내용을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점등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통상적인 상태로부터 고지 상태로 변경하는 경우, 운전자가 광을 눈에 띄게 강조받지 않고 위화감을 받음이 없이 주의 환기 또는 경고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차량 (1) 주변의 위험도의 변화에 기초하여, 광의 색 및 휘도의 변화의 단계적인 거칠기를 변경한다. 예를 들어, 차량 (1) 주변의 위험도의 변화가 클 때에는 단위 변화당의 휘도 및/또는 색의 변화량이 큰, 요컨대 변화의 거친 광을 투사하고 작을 때에는 단위 변화당의 휘도 및/또는 색의 변화량이 감소된, 요컨대 변화가 미세한 광을 투사한다. 즉, 위험과 광의 휘도 및/또는 색 사이의 상관관계에 기초하여 광의 휘도 및/또는 색의 변화량을 바꾼다. 이렇게 함으로써, 위험도의 감지 방식을 바꾸어, 운전자에게 위험도의 변화를 명확하게 전달할 수도 있다. 또한, 전달하는 정보의 우선순위에 따라, 광의 색 또는 휘도의 변화의 단계적인 거칠기를 변경한다. 예를 들어, 우선 순위가 높은 정보를 전달하면 단위 변화당 휘도 및/또는 색의 변화량이 큰, 요컨대 휘도 및/또는 색의 변화가 거친 광을 투사하고, 우선 순위가 낮은 정보를 전달하면 단위 변화당의 휘도 및/또는 색의 변화량이 작은, 요컨대 휘도 및/또는 색의 변화가 미세한 광을 투사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운전자에게 정보의 중요성을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차량용 정보 전달 장치는 자동차 제조 산업에 있어서 유용하고, 특히, 차체를 이용한, 운전자에 대한 정보 전달에 적합하다.

Claims (15)

  1. 특정 대상 (2) 의 인식을 재촉 (prompt) 하는 차량용 정보 전달 장치로서,
    상기 특정 대상의 인식 및 상기 특정 대상 (2) 의 위치와 상이한 위치의 인식 양쪽 모두를 재촉하고,
    상기 특정 대상 (2) 의 위치가 운전자 (30) 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좌측인 경우에는, 상기 특정 대상 (2) 의 위치와 상이한 위치는 상기 운전자 (30) 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우측이며,
    상기 특정 대상 (2) 의 위치가 상기 운전자 (30) 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우측인 경우에는, 상기 특정 대상 (2) 의 위치와 상이한 위치는 상기 운전자 (30) 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좌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정보 전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차체 상의 특정 부분에 광을 투사함으로써 상기 특정 대상 (2) 의 인식을 재촉하고, 상기 차체 상의 상기 특정 부분과 상이한 부분에 광을 투사함으로써 상기 특정 대상 (2) 의 위치와 상이한 위치의 인식을 재촉하는 표시 디바이스 (10) 를 포함하는, 차량용 정보 전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디바이스 (10) 는 차량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표시 디바이스는 프론트 윈드쉴드 (20) 에 광을 투사하는, 차량용 정보 전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디바이스 (10) 는 계기판 (instrument panel) 에 설치되는, 차량용 정보 전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대상 (2) 의 위치 및 상기 특정 대상 (2) 의 위치와 상이한 위치는 서로 이격되어 있는, 차량용 정보 전달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대상 (2) 의 인식을 재촉하는 방법은 상기 특정 대상 (2) 의 위치와 상이한 위치의 인식을 재촉하는 방법과 상이한, 차량용 정보 전달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대상 (2) 의 인식을 재촉하면서, 상기 특정 대상 (2) 의 위치와 상이한 위치의 인식을 재촉하는, 차량용 정보 전달 장치.
  8. 차량용 정보 전달 장치로서,
    운전자 (30) 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우측의 확인을 재촉하는 제 1 표시부; 및
    상기 운전자 (30) 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좌측의 확인을 재촉하는 제 2 표시부를 포함하며,
    특정 대상 (2) 의 확인을 상기 우측 또는 상기 좌측에서 재촉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표시부 및 상기 제 2 표시부는 각각 상기 우측의 확인 및 상기 좌측의 확인을 재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정보 전달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부 및 상기 제 2 표시부는 각각 상기 우측의 확인 및 상기 좌측의 확인을 재촉하기 위해 차체의 상이한 부분들에 광을 투사하는, 차량용 정보 전달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대상 (2) 의 확인을 상기 우측에서 재촉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표시부로부터 투사된 광의 면적은 상기 제 1 표시부로부터 투사된 광의 면적보다 작고,
    상기 특정 대상 (2) 의 확인을 상기 좌측에서 재촉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표시부로부터 투사된 광의 면적은 상기 제 2 표시부로부터 투사된 광의 면적보다 작은, 차량용 정보 전달 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37014534A 2010-12-08 2011-12-05 차량용 정보 전달 장치 KR1014378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73883 2010-12-08
JP2010273883A JP5582008B2 (ja) 2010-12-08 2010-12-08 車両用情報伝達装置
PCT/IB2011/002923 WO2012076954A2 (en) 2010-12-08 2011-12-05 Vehicle information transmission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2167A KR20130082167A (ko) 2013-07-18
KR101437803B1 true KR101437803B1 (ko) 2014-09-03

Family

ID=45558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4534A KR101437803B1 (ko) 2010-12-08 2011-12-05 차량용 정보 전달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937536B2 (ko)
JP (1) JP5582008B2 (ko)
KR (1) KR101437803B1 (ko)
CN (1) CN103249588B (ko)
BR (1) BR112013014011A2 (ko)
RU (1) RU2531790C1 (ko)
WO (1) WO2012076954A2 (ko)
ZA (1) ZA20130427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21179B2 (ja) 2010-12-08 2015-11-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情報伝達装置
US20130241747A1 (en) * 2010-12-08 2013-09-19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hicle information transmitting device
JP5272042B2 (ja) * 2011-05-12 2013-08-28 富士重工業株式会社 環境認識装置および環境認識方法
FR2977840B1 (fr) * 2011-07-12 2014-02-21 Faurecia Interieur Ind Systeme d'affichage d'informations dans un vehicule
US9085262B2 (en) * 2012-10-08 2015-07-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inting indication of environmental conditions
JP5983547B2 (ja) * 2013-07-02 2016-08-31 株式会社デンソー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及びプログラム
JP5842110B2 (ja) * 2013-10-10 2016-01-1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WO2015064080A1 (ja) * 2013-11-01 2015-05-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視線方向検出装置および視線方向検出方法
US20150235538A1 (en) * 2014-02-14 2015-08-2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processing attention data from a vehicle
US9262924B2 (en) * 2014-07-09 2016-02-16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Adapting a warning output based on a driver's view
JP6327034B2 (ja) * 2014-07-22 2018-05-23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表示制御装置
JP6746270B2 (ja) * 2014-09-08 2020-08-26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表示システム
US20160193961A1 (en) * 2015-01-05 2016-07-07 Myine Electronic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visual communication of vehicle drive information using a light set
US10099608B2 (en) * 2015-01-16 2018-10-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aptic vehicle alert based on wearable device
JP6319349B2 (ja) * 2015-04-03 2018-05-09 株式会社デンソー 情報提示装置
FR3056499B1 (fr) * 2016-09-28 2021-04-30 Valeo Vision Dispositif d'indication de la qualite de l'air d'un habitacle de vehicule automobile
US10109200B1 (en) * 2017-06-29 2018-10-2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Graphical multi-layer light alert display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666578B1 (en) * 2017-08-10 2023-09-06 Nippon Seiki Co., Ltd. Vehicle display device
EP3693783B1 (en) * 2017-10-05 2023-06-28 Konica Minolta, Inc. Display device
JP2019086805A (ja) * 2017-11-01 2019-06-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内システム
US10876856B2 (en) * 2018-01-10 2020-12-29 Gulfstream Aerospace Corporation Aircraft HUD with curved tapes and flight mode annunciation boxes
CN112534487B (zh) * 2018-08-09 2024-03-08 索尼半导体解决方案公司 信息处理设备、移动体、信息处理方法和程序
EP3998593A4 (en) * 2019-07-12 2022-06-22 NISSAN MOTOR Co., Lt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EP3782840B1 (en) * 2019-08-20 2023-08-02 Volvo Car Corporation Aid for a driver with impaired field of view
KR20210053385A (ko) * 2019-11-01 2021-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위험 상황 알림 기능을 갖는 차량 및 이의 제어방법
JP6990274B1 (ja) * 2020-06-29 2022-01-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注意喚起装置、移動体、注意喚起装置の制御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9990A (ko) * 2005-11-09 2007-05-14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차량용 운전 조작 보조 장치 및 차량용 운전 조작 보조장치를 구비한 차량
JP2009113770A (ja) 2007-11-09 2009-05-28 Toyota Motor Corp 車両用表示方法及び車両用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26229B2 (ja) 1994-10-13 2005-03-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運転支援システム
JP4075026B2 (ja) 1998-12-03 2008-04-16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障害物警報装置
JP2002274216A (ja) 2001-03-14 2002-09-25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表示装置
JP2003054334A (ja) 2001-08-13 2003-02-26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表示装置
JP4501778B2 (ja) * 2005-05-24 2010-07-1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情報表示方法及び車両用情報表示装置
CN1967147B (zh) * 2005-11-09 2011-08-17 日产自动车株式会社 车辆用驾驶操作辅助装置及具有该装置的车辆
CN200992171Y (zh) * 2006-12-12 2007-12-19 侯企东 汽车左右监视装置
JP4843517B2 (ja) 2007-02-06 2011-12-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視認補助装置
JP2010120501A (ja) 2008-11-19 2010-06-03 Yazaki Corp 視線誘導支援装置及び車両用表示システム
JP5392470B2 (ja) 2009-01-30 2014-01-22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表示装置
US8629784B2 (en) * 2009-04-02 2014-01-1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Peripheral salient feature enhancement on full-windshield head-up display
JP2010254201A (ja) * 2009-04-28 2010-11-11 Toyota Motor Corp 視覚刺激装置
JP4952765B2 (ja) * 2009-10-21 2012-06-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夜間視界支援装置
JP5821179B2 (ja) 2010-12-08 2015-11-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情報伝達装置
JP2012123628A (ja) 2010-12-08 2012-06-28 Toyota Motor Corp 車両用情報伝達装置
JP5811100B2 (ja) 2010-12-08 2015-11-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情報伝達装置
JP2012126252A (ja) 2010-12-15 2012-07-05 Toyota Motor Corp 車両用光源装置
JP2012126251A (ja) 2010-12-15 2012-07-05 Toyota Motor Corp 車両用光源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9990A (ko) * 2005-11-09 2007-05-14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차량용 운전 조작 보조 장치 및 차량용 운전 조작 보조장치를 구비한 차량
KR20080075830A (ko) * 2005-11-09 2008-08-19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차량용 운전 조작 보조 장치
JP2009113770A (ja) 2007-11-09 2009-05-28 Toyota Motor Corp 車両用表示方法及び車両用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937536B2 (en) 2015-01-20
WO2012076954A2 (en) 2012-06-14
WO2012076954A3 (en) 2012-08-23
JP2012123629A (ja) 2012-06-28
CN103249588B (zh) 2016-02-10
RU2531790C1 (ru) 2014-10-27
JP5582008B2 (ja) 2014-09-03
WO2012076954A8 (en) 2013-12-19
BR112013014011A2 (pt) 2016-09-13
KR20130082167A (ko) 2013-07-18
US20130249684A1 (en) 2013-09-26
CN103249588A (zh) 2013-08-14
ZA201304273B (en) 2014-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7803B1 (ko) 차량용 정보 전달 장치
US9222636B2 (en) Vehicle information transmission device
US9384649B2 (en) Vehicle information transmitting apparatus
WO2012077202A1 (ja) 車両用情報伝達装置
US10787177B2 (en) Exterior rearview device with illumination functions and autonomous vehicles using same
US9140903B2 (en) Vehicle information transmitting device
JP4843517B2 (ja) 車両用視認補助装置
WO2012076955A2 (en) Vehicle information transmission device
KR101771944B1 (ko)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5614366B2 (ja) 車両用情報伝達装置
CN215097295U (zh) 一种便于对后车车距进行判断的后视镜结构
JP2010280247A (ja) 車両用表示装置
JP2018034546A (ja) 車両用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