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7493B1 - 안전장치를 포함하는 이동식 대차 - Google Patents

안전장치를 포함하는 이동식 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7493B1
KR101437493B1 KR1020130041756A KR20130041756A KR101437493B1 KR 101437493 B1 KR101437493 B1 KR 101437493B1 KR 1020130041756 A KR1020130041756 A KR 1020130041756A KR 20130041756 A KR20130041756 A KR 20130041756A KR 101437493 B1 KR101437493 B1 KR 101437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air
safety device
roller
hydraulic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1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숙
김효철
채혜선
구혜란
신용석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30041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74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7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7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62B3/06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simply clearing the load from the ground
    • B62B3/0618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simply clearing the load from the ground using fluid lifting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 또는 물체의 하중을 이용하여 롤러를 고정시키거나 회전가능하게 하는 기계적인 제어를 통하여 별도의 동력부재 없이 롤러를 제어함으로써 생산비용의 절감 및 작업량을 감소시키는 안전장치를 포함하는 이동식 대차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압공급부재의 1회 펌핑시 적재프레임을 80mm 상승시키는 개량된 유압기를 장착하여 종래의 유압기를 적용하던 리프트기보다 작업의 효율성을 높임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한 유압공급부재를 적용함으로써 작업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안전장치를 포함하는 이동식 대차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안전장치를 포함하는 이동식 대차{movable truck including safety device}
본 발명은 안전장치를 포함하는 이동식 대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면 또는 물체의 하중을 이용하여 롤러를 고정시키거나 회전가능하게 하는 기계적인 제어를 통하여 별도의 동력부재 없이 롤러를 기계적으로 제어하는 안전장치를 포함하는 이동식 대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크리프트는 포크, 램 등 하물을 적재하는 장치 및 이것을 승강시키는 마스트(mast)를 구비한 하역 자동차를 말한다.
즉, 짐을 운반하거나 또는 짐을 2m 정도까지 높이 올릴 수 있는 자주하는 기계이다.
현재에는 주로 사용되고 있는 리치형 포크리프트는 차체의 양측 하부로부터 앞쪽에 연속으로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아암에 각각 전륜을 구비하고, 아암에 따라 마스트 장치에는 좌우 한 쌍의 포크가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어 포크 상에 짐을 싣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포크에 짐을 싣거나 포크 상의 짐을 선반 등에 내릴 경우 마스트 장치를 앞쪽에 이동시킨 리치 아웃 동작이 행해지고, 아암의 전단보다도 앞에 두어 지고 있는 짐을 포크에 싣거나 아암의 전단보다도 앞에 짐을 내리거나 하는 작업이 행해진다.
위와 같은 종래의 포크리프트는 마스트 장치를 앞쪽에 이동시킨 상태, 즉 포크 상에 짐을 싣고 마스트 장치를 앞쪽에 이동시킨 상태에서는 중심이 앞쪽에 이동하기 위해 리치형 포크 리프트의 전후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특허문헌 1) KR10-0905342의 경우 포크의 내부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한 롤러부재를 구비하고, 필요시 롤러의 회전을 제어하는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롤러부재에 동력을 전달하는 별도의 구동부재가 필요하며, 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필요함에 따라 생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적재물을 싣고 옮기는 과정에서 사용자는 부가적으로 롤러를 조작함으로써 작업량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면 또는 물체의 하중을 이용하여 롤러를 고정시키거나 회전가능하게 하는 안전장치를 포함하는 이동식 대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개량된 유압기를 장착하여 유압공급부재의 1회 펌핑시 적재프레임을 80mm 상승시키는 안전장치를 포함하는 이동식 대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목적은 길이 조절이 가능한 유압공급부재를 통하여 작업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안전장치를 포함하는 이동식 대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를 포함하는 이동식 대차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에 수직한 가이드프레임을 포함하는 지지부; 가이드프레임을 따라 이동 가능한 이송프레임, 상기 이송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회전 가능한 롤러조립체를 포함하는 적재플랫폼; 및 상기 적재프레임에 배치되는 안전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장치가 지면 또는 물체에 접촉하는 경우 상기 롤러조립체는 상기 안전장치의 잠금이 풀리면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안전장치가 상기 지면 또는 상기 물체와 이격되는 경우 상기 롤러조립체는 상기 안전장치의 잠금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롤러조립체는 회전롤러 및 기어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롤러는 상기 안전장치에 연결되어 단속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롤러 및 상기 기어롤러는 교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전장치는, 상기 이송프레임의 일측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부재; 상기 한 쌍의 고정부재와 연결되는 한 쌍의 스프링; 상기 한 쌍의 스프링과 연결되고 상기 기어롤러의 양단에 형성되는 기어 중 어느 한 기어와 일측이 인접한 한 쌍의 회전고리링크; 및 상기 한 쌍의 회전고리링크의 타측과 연결되는 지지바;를 포함하고, 고리형상의 상기 한 쌍의 회전고리링크의 일측은 상기 지지바가 상승 또는 하강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회전고리링크의 회전에 의해 상기 기어와 이격되거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식 대차는 상기 적재플랫폼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동력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력공급부는, 상기 적재플랫폼에 인접하여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기, 및 상기 유압기 및 체크밸브와 연통하는 유압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부는, 상기 유압호스와 연통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한 실린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식 대차는 상기 동력공급부의 유압을 상기 적재플랫폼에 전달하는 리프트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리프트부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유압공급부재, 상기 유압공급부재와 연결되는 스위치부재, 상기 스위치부재의 하부에 배치되는 완충부재, 상기 실린더의 상부에 배치되는 리프트기어, 및 상기 리프트기어를 둘러싸고 상기 가이드프레임 및 상기 적재프레임에 각각 고정되는 체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재플랫폼은 상기 유압공급부재가 하강에 의해 상기 유압기가 유압을 상기 유압호스로 공급함에 따라 상기 적재플랫폼과 연결된 실린더와 함께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식 대차는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을 지지하는 이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고정되는 한 쌍의 축고정부재, 상기 한 쌍의 축고정부재를 관통하는 제 2 이송부재축, 및 상기 제 2 이송부재축의 양단에 연결되는 한 쌍의 제 2 이송부재를 포함하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지면 또는 물체의 하중을 이용하여 롤러를 고정시키거나 회전가능하게 하는 기계적인 제어를 통하여 별도의 동력부재 없이 롤러를 제어함으로써 생산비용의 절감 및 작업량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개량된 유압기를 장착하여 유압공급부재의 1회 펌핑시 적재프레임을 80mm 상승시킴에 따라 종래의 유압기를 적용하던 리프트기보다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는 효과가 발생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필요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한 유압공급부재를 적용함으로써 작업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를 포함하는 이동식 대차의 일 방향에서의 정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를 포함하는 이동식 대차의 일 방향에서의 배면사시도,
도 3은 도 1의 A 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상세도,
도 4는 도 1의 B 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상세도,
도 5는 도 1의 C 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상세도,
도 6은 도 3의 적재프레임, 기어롤러 및 안전장치의 유기적인 관계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안전장치를 포함하는 이동식 대차를 이루는 구성요소들은 필요에 따라 일체형으로 사용되거나 각각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 형태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여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를 포함하는 이동식 대차(100)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를 포함하는 이동식 대차(1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를 포함하는 이동식 대차(100)는 'ㄴ'자 형상의 지지부(110), 지지부(110)를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한 적재플랫폼(120), 적재플랫폼(120)에 장착되는 안전장치(130), 유압을 제공하여 적재플랫폼(12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동력공급부(140), 동력공급부(140)에서 공급되는 유압을 적재플랫폼에 전달하는 리프트부(150) 및 지지부(110)와 연결된 이송부(160)를 포함한다.
지지부(110)는 지지프레임(111), 지지프레임(111)에 수직한 가이드프레임(112), 지지프레임(111)의 일측에 장착되는 제 1 이송부재(113) 및 가이드프레임(112)와 인접하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실린더(114)를 포함한다.
지지프레임(111)은 'ㄷ'자 형상에 내부가 빈 형상이며, 이러한 지지프레임(111)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가이드프레임(112)은 지지프레임(111)과 수직하도록 배치되며, 이러한 가이드프레임(112)는 후술되는 적재프레임(121)이 상하로 움직일 경우 적재물이 이탈하지 않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제 1 이송부재(113)는 지지프레임(111)의 일측에 장착되는 바퀴이며, 한 쌍으로 이루어져 배치된다. 이러한 제 1 이송부재(113)는 후술되는 제 2 이송부재(162)와 함께 본 발명을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실린더(114)는 가이드프레임(112)와 인접하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중공의 파이프이다. 이러한 실린더(114)는 유압호스(142)와 연통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하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적재플랫폼(120)은 'ㄷ'자 형상의 적재프레임(121), 가이드프레임(112)과 적재프레임(121)을 고정시키는 이송프레임(122), 회전롤러(123)와 기어롤러(124)로 이루어진 롤러조립체(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러한 적재플랫폼(120)은 후술되는 유압공급부재(154)가 하강에 의해 유압기(141)가 유압을 유압호스(142)로 공급함에 따라 적재플랫폼(120)과 연결된 실린더(114)와 함께 상승한다.
적재프레임(121)은 'ㄷ'자 형상의 내부가 빈 형태를 지니며, 이러한 적재프레임(121)에는 다수의 홀(미도시)이 형성되어 회전롤러(123) 및 기어롤러(124)의 양단이 회전할 수 있도록 체결된다.
이송프레임(122)은 'ㅁ'자 형상의 내부가 빈 형태이며, 가이드프레임(112)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이러한 이송프레임(122)은 용접에 의해 가이드프레임(112)과 적재프레임(121)의 일면과 연결되어 가이드프레임(112)과 적재프레임(121)을 고정시켜 일체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롤러조립체는 회전롤러(123) 및 기어롤러(124)를 포함하고, 기어롤러(124)는 상기 안전장치(130)에 연결되어 단속하다.
회전롤러(12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형상의 적재프레임(121)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다수로 배치된다.
기어롤러(12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프레임(121)의 일측 방향에 배치되고, 또 다른 기어롤러(124)는 회전롤러(123) 사이에 배치된다.
기어(124a)는 기어롤러(124)의 양단에 형성되며, 이러한 기어(124a)는 후술되는 회전고리링크(133)의 일측과 체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적재프레임(121) 사이에 배치되어 회전 가능한 회전롤러(123) 및 기어롤러(124)는 적재물의 하중을 균일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전롤러(123) 및 기어롤러(124)는 교대로 배치된다.
안전장치(130)는 적재프레임(121)의 일면에 배치되는 고정부재(131), 고정부재(131)과 연결되는 스프링(132), 스프링(132)과 연결되고 회전 가능한 회전고리링크(133) 및 회전고리링크(133)의 타측과 연결되는 지지바(134)를 포함한다.
또한, 안전장치(130)는 이송프레임(122)의 일측에 배치되며, 안전장치(130)가 지면 또는 물체에 접촉하는 경우 기어롤러(124)는 안전장치(130)의 잠금이 풀리면서 회전 가능하고, 안전장치(130)가 지면 또는 물체와 이격되는 경우 기어롤러(124)는 안전장치(130)의 잠금에 의해 고정된다.
고정부재(131)는 적재프레임(121)의 일면에 배치되며, 이러한 고정부재(131)는 스프링(132)과 연결된다.
이러한 고정부재(131)는 한 쌍으로 형성되어 이송프레임(122)의 일측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스프링(132)은 한 쌍으로 형성되어 한 쌍의 고정부재(131)와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프링(132)의 일측은 고정부재(131)에 연결되고, 그 타측은 회전고리링크(133)와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는 탄성력이 있는 스프링(132)을 사용하였지만, 물체의 탄성 또는 변형에 의한 에너지의 축적 등을 이용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는 기계 요소라면 다른 구성요소를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회전고리링크(133)는 고리 형상을 지닌 환형판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지니며, 한 쌍으로 형성된다.
또한, 회전고리링크(133)는 회전 가능함에 따라 회전고리링크(133)의 일측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124a)에 체결되거나 이탈 가능하다.
이러한 회전고리링크(133)는 한 쌍의 스프링(132)과 연결되고 기어롤러(124)의 양단에 형성되는 기어(124a) 중 어느 한 기어와 일측이 인접하게 배치된다.
즉, 고리형상의 한 쌍의 회전고리링크(133)의 일측은 지지바(134)가 상승 또는 하강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회전고리링크(133)의 회전에 의해 상기 기어와 이격되거나 고정된다.
지지바(134)는 한 쌍의 회전고리링크(133)의 타측과 연결되며, 이러한 지지바(134)는 지면 또는 물체와 같은 단단한 물체와 닿는 경우 상부로 상승하면서 회전고리링크(133)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지지바(134)는 지면 또는 물체를 통하여 전달되는 하중을 회전고리링크(133)로 전달함으로써 회전고리링크(134)를 회전시켜 결과적으로 기어롤러(124)의 회전을 기계적으로 제어하게 된다.
동력공급부(140)는 적재플랫폼(120)에 인접하여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기(141) 및 유압기(141) 및 체크밸브(미도시)와 연통하는 유압호스(142)를 포함한다.
유압기(141)는 실린더(114)가 상승하도록 유압을 제공하는 기기로서, 이러한 유압기(141)는 후술되는 유압공급부재(154)가 1회 펌핑시 80mm 상부로 상승한다.
유압호스(142)는 유압기(141)과 체크밸브를 연통하도록 설치되며, 이러한 유압호스(142)는 유압을 체크밸브와 실린더에 공급하는 통로의 역할을 한다.
리프트부(150)는 체인(152)을 둘러싸는 고정부재(151), 체인(152), 고정부재(151)의 내부에 장착되어 회전 가능한 리프트기어(153), 유압기(141)과 연결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한 유압공급부재(154), 유압공급부재(154)와 연결되는 스위치부재(155) 및 스위치부재(155)의 하부에 배치되는 완충부재(156)를 포함한다.
고정부재(151)는 'ㄷ'자 형상에 일정한 두께를 지니며, 이러한 고정부재(151)는 체인(152)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체인(152)은 리프트기어(153)에 체결된다.
또한, 체인(152)의 일측은 가이드프레임(112)에 고정되고, 체인(152)의 타측은 적재프레임(121)에 고정된다.
위와 같은 구조는 유압기(141)에서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실린더(114)가 상승함에 따라 리프트기어(153)가 회전하면서 적재프레임(121)을 상승시킨다.
리프트기어(153)는 고정부재(151)의 내부에 장착되어 회전할 수 있으며, 이러한 리프트기어(153)는 적재프레임(121)이 원활하게 승하강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유압공급부재(154)는 사용자가 발을 사용하여 상하 방향으로 펌핑할 수 있도록 형성된 지지대이다.
이를 위해 유압공급부재(154)는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게 되며, 1회 펌핑시 적재프레임(121)을 약 80mm 상부로 상승시킨다.
또한, 유압공급부재(15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어 사용자에게 작업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스위치부재(155)는 유압공급부재(154)의 하부에 위치하여 유압공급부재(154)의 구심점 역할을 한다.
완충부재(156)는 스위치부재(155)의 하부에 배치되어 유압공급부재(154)의 펌핑시 가해지는 하중을 감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송부(160)는 지지프레임(111)에 고정되는 한 쌍의 축고정부재(163), 제 2 이송부재축(162)의 양단에 연결되는 제 2 이송부재(161) 및 한 쌍의 축고정부재(163)를 관통하는 제 2 이송부재축(162)을 포함한다.
제 2 이송부재(161)는 제 2 이송부재축(162)의 양단에 연결되며, 이러한 제 2 이송부재(161)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한 쌍의 제 1 이송부재(113)와 함께 본 발명을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제 2 이송부재축(162)은 한 쌍의 축고정부재(163)를 관통하며, 이러한 제 2 이송부재축(162)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지함과 동시에 제 2 이송부재(161)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돕는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를 포함하는 이동식 대차(100)는 지지바(134)가 지면 또는 물체에 닿아 눌리는 경우 회전고리링크(133)에 의해 기어롤러(124)의 체결이 해제됨으로써 양방향으로의 롤링이 가능하다.
한편, 지지바(134)가 지면 또는 물체에 닿아 눌리지 않는 경우 회전고리링크(133)에 의해 기어롤러(124)의 체결됨으로써 단방향으로의 롤링만이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안전장치(130)의 구조를 통하여 사용자는 적재물을 안전하게 옮기고 작업에 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안전장치를 포함하는 이동식 대차
110 : 지지부
111 : 지지프레임
112 : 가이드프레임
113 : 제 1 이송부재
114 : 실린더
120 : 적재플랫폼
121 : 적재프레임
122 : 이송프레임
123 : 회전롤러
124 : 기어롤러
124a : 기어
130 : 안전장치
131 : 고정부재
132 : 스프링
133 : 회전고리링크
134 : 지지바
140 : 동력공급부
141 : 유압기
142 : 유압호스
150 : 리프트부
151 : 고정부재
152 : 체인
153 : 리프트기어
154 : 유압공급부재
155 : 스위치부재
156 : 완충부재
160 : 이송부
161 : 제 2 이송부재
162 : 제 2 이송부재축
163 : 축고정부재

Claims (9)

  1. 지지프레임(111) 및 상기 지지프레임(111)에 수직한 가이드프레임(112)을 포함하는 지지부(110);
    상기 가이드프레임(112)을 따라 이동 가능한 이송프레임(122), 상기 이송 프레임(122)의 일면과 연결되는 적재프레임(121) 및 상기 적재프레임(121)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롤러조립체를 포함하는 적재플랫폼(120); 및
    상기 적재프레임(121)에 배치되는 안전장치(130);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장치(130)가 지면 또는 물체에 접촉하는 경우 상기 롤러조립체는 상기 안전장치(130)의 잠금이 풀리면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안전장치(130)가 상기 지면 또는 상기 물체와 이격되는 경우 상기 롤러조립체는 상기 안전장치(130)의 잠금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대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조립체는 회전롤러(123) 및 기어롤러(124)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롤러(124)는 상기 안전장치(130)에 연결되어 단속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대차.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롤러(123) 및 상기 기어롤러(124)는 교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대차.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장치(130)는,
    상기 적재프레임(121)의 일측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부재(131);
    상기 한 쌍의 고정부재(131)와 연결되는 한 쌍의 스프링(132);
    상기 한 쌍의 스프링(132)과 연결되고 상기 기어롤러(124)의 양단에 형성되는 기어 중 어느 한 기어와 일측이 인접한 한 쌍의 회전고리링크(133); 및
    상기 한 쌍의 회전고리링크(133)의 타측과 연결되는 지지바(134);를 포함하고,
    고리형상의 상기 한 쌍의 회전고리링크(133)의 일측은 상기 지지바(134)가 상승 또는 하강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회전고리링크(133)의 회전에 의해 상기 기어롤러(124)와 이격되거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대차.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대차는 상기 적재플랫폼(12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동력공급부(1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력공급부(140)는,
    상기 적재플랫폼(120)에 인접하여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기(141), 및
    상기 유압기(141) 및 체크밸브와 연통하는 유압호스(1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대차.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10)는,
    상기 유압호스(142)와 연통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한 실린더(11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대차.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대차는 상기 동력공급부(140)의 유압을 상기 적재플랫폼(120)에 전달하는 리프트부(1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리프트부(15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유압공급부재(154),
    상기 유압공급부재와(154) 연결되는 스위치부재(155),
    상기 스위치부재(155)의 하부에 배치되는 완충부재(156),
    상기 실린더(114)의 상부에 배치되는 리프트기어(153), 및
    상기 리프트기어(153)를 둘러싸고 상기 가이드프레임(112) 및 상기 적재프레임(121)에 각각 고정되는 체인(15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대차.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플랫폼(120)은 상기 유압공급부재(154)가 하강에 의해 상기 유압기(141)가 유압을 상기 유압호스(142)로 공급함에 따라 상기 적재플랫폼(120)과 연결된 실린더(114)와 함께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대차.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대차는 상기 가이드프레임(112)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프레임(111)을 지지하는 이송부(1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160)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112) 고정되는 한 쌍의 축고정부재(163),
    상기 한 쌍의 축고정부재(163)를 관통하는 제 2 이송부재축(162), 및
    상기 제 2 이송부재축(162)의 양단에 연결되는 한 쌍의 제 2 이송부재(161)를 포함하는 이송부(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대차.
KR1020130041756A 2013-04-16 2013-04-16 안전장치를 포함하는 이동식 대차 KR101437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1756A KR101437493B1 (ko) 2013-04-16 2013-04-16 안전장치를 포함하는 이동식 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1756A KR101437493B1 (ko) 2013-04-16 2013-04-16 안전장치를 포함하는 이동식 대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7493B1 true KR101437493B1 (ko) 2014-09-15

Family

ID=51759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1756A KR101437493B1 (ko) 2013-04-16 2013-04-16 안전장치를 포함하는 이동식 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74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9975B1 (ko) * 2015-11-13 2017-06-22 대한민국 가축의 사체 운반카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6377U (ko) * 2007-12-24 2009-06-29 전명석 작업용 자동승강 리프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6377U (ko) * 2007-12-24 2009-06-29 전명석 작업용 자동승강 리프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9975B1 (ko) * 2015-11-13 2017-06-22 대한민국 가축의 사체 운반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73506B (zh) 货架自动存取栈板系统以及方法
KR101685615B1 (ko) 핸드 트럭
CN205574016U (zh) 一种物品运输车
CN105236168A (zh) 一种建材板料提升输送装置
CN205011323U (zh) 多功能车轮拆装作业车
KR101437493B1 (ko) 안전장치를 포함하는 이동식 대차
US2690272A (en) Rotating load platform for lift trucks
KR101761260B1 (ko) 하중 조절형 승강작업대
KR20150091961A (ko) 농업용 붐형 고소 작업 장치
EP2457801B1 (en) Device for sideways movement
JPH0738092U (ja) 荷役搬送用昇降機
US2473659A (en) Industrial truck
CN104842096B (zh) T型钢自动翻转系统
KR102461807B1 (ko) 전동 및 수동 겸용 드럼 피커
KR100790321B1 (ko) 슬라이드 적재프레임 구조
KR101507963B1 (ko) 주행보조바퀴와 수직프레임의 동시회전이 가능한 이동식 리프팅장치
KR101121660B1 (ko) 포크리프트
CN105084256A (zh) 一种手动液压搬运车操纵手柄
CN213231400U (zh) 一种方便运输的无障碍电动升降平台
CN210192718U (zh) 一种复合材料织物卷上料装置
CN211169680U (zh) 升降机构
KR100763688B1 (ko) 핸드카
KR100345981B1 (ko) 소화물 운반 손수레의 적재부 승강장치
CN207192537U (zh) 升降型斜坡
KR20100000909U (ko) 대형 파이프 이송 대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