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1660B1 - 포크리프트 - Google Patents

포크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1660B1
KR101121660B1 KR1020100006513A KR20100006513A KR101121660B1 KR 101121660 B1 KR101121660 B1 KR 101121660B1 KR 1020100006513 A KR1020100006513 A KR 1020100006513A KR 20100006513 A KR20100006513 A KR 20100006513A KR 101121660 B1 KR101121660 B1 KR 101121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teering
pair
fork
forklif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6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7061A (ko
Inventor
김영진
장병술
Original Assignee
김영진
주식회사 엘레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진, 주식회사 엘레시스 filed Critical 김영진
Priority to KR1020100006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1660B1/ko
Publication of KR20110087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70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1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166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G08G1/13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within the vehicle ; Indicators inside the vehicles or at stop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크리프트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며 바닥면에 대해 기립 설치되는 마스트와; 상기 마스트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화물이 적재되는 포크부와; 상기 포크부를 승강시키는 포크 승강부와; 바닥면에 롤링하도록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부를 상기 바닥면의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복수의 제1 캐스터와; 바닥면에 롤링하도록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부를 상기 바닥면의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복수의 제2 캐스터와; 상기 제1 캐스터 및 제2 캐스터 중 어느 하나를 바닥면에 대해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와; 상기 X축 방향으로 상기 본체부의 이동방향을 조향하는 제1 조향부와; 상기 Y축 방향으로 상기 본체부의 이동방향을 조향하는 제2 조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포크리프트의 전후 이동 및 좌우 이동을 각각 조향하는 한 쌍의 조향부를 마련함으로써, 포크리프트의 회전이동 없이 좁은 공간에서도 포크에 화물을 싣거나 내릴 수 있어 작업효율을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포크리프트의 전후 이동 및 좌우 이동을 동시에 제어하도록 조향부와 연동하는 제어시스템이 불필요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차체의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며, 제조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한 쌍의 마스트를 마련하고, 양단부에 포크를 갖는 장형의 캐리지를 한 쌍의 마스트에 설치하여, 화물을 지지하는 한 쌍의 포크 사이의 간격을 확장함으로써, 길이를 갖는 화물(파이프, 전봇대, 레일 등)을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다.

Description

포크리프트{FORKLIFT}
본 발명은 포크리프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포크리프트의 전후 이동 및 좌우 이동을 각각 조향하는 한 쌍의 조향부를 마련함으로써, 포크리프트의 회전이동 없이 포크에 화물을 싣거나 내릴 수 있는 포크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크리프트는 화물을 싣거나 내리는 하역 전용의 장비로서 지게차라고도 한다. 이러한 포크리프트는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차체프레임에 수직하게 마스트가 설치되어 있고, 마스트에는 유압으로 승강하는 포크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포크에 의해 화물을 승강시켜 이동 적재할 수 있으므로 할인매장, 물류센터, 설비공장 등에서 화물을 운반하는데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포크리프트는 조향 가능한 복수의 바퀴를 갖는 차체프레임과, 차체프레임의 바퀴를 조향하는 조향부와, 차체프레임에 마련되며 바닥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마스트와, 마스트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화물이 적재되는 포크부와, 포크부의 승강을 조작하는 조작부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종래의 포크리프트의 경우, 포크에 화물을 싣기 위해서는 화물의 저부에 포크리프트의 포크가 위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포크리프트의 위치를 조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포크리프트의 포크가 화물의 저부에 위치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포크리프트가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회전하기 위한 공간이 필요하며, 포크리프트가 회전하기 위한 공간이 제공되지 않으면 화물을 싣거나 내릴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포크리프트가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포크리프트의 조향부와 연동하는 제어시스템을 마련하여 포크리프트의 회전이동 없이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복수의 바퀴를 제어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포크리프트는 단일의 조향부를 조작하여 포크리프트를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어, 조향부의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부품수가 많아 차체의 부피가 커지며, 제조비용 또한 상승된다.
또한, 포크리프트의 방향전환시 바닥면에 밀착된 바퀴를 회전시켜 포크리프트이 이동방향을 전환함으로써, 설비공장 등의 실내에서 사용될 경우 실내 바닥을 훼손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포크리프트의 전후 이동 및 좌우 이동을 각각 조향하는 한 쌍의 조향부를 마련함으로써, 조향부의 구성이 간단하고 차체의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며,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포크리프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며 바닥면에 대해 기립 설치되는 마스트와; 상기 마스트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화물이 적재되는 포크부와; 상기 포크부를 승강시키는 포크 승강부와; 바닥면에 롤링하도록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부를 상기 바닥면의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복수의 제1 캐스터와; 바닥면에 롤링하도록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부를 상기 바닥면의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복수의 제2 캐스터와; 상기 제1 캐스터 및 제2 캐스터 중 어느 하나를 바닥면에 대해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와; 상기 X축 방향으로 상기 본체부의 이동방향을 조향하는 제1 조향부와; 상기 Y축 방향으로 상기 본체부의 이동방향을 조향하는 제2 조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복수의 제2 캐스터가 마련되는 차체프레임과; 상기 마스트를 지지하며, 상기 차체프레임에 대해 나란하게 왕복 이동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제1 캐스터가 마련되는 이송프레임과; 상기 이송프레임을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이송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조향부는,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부를 상기 바닥면의 X축 방향을 따라 운전하는 제1 조향 핸들과; 상기 제1 조향 핸들의 운전에 따라 방향전환되며 상기 바닥면에 롤링하는 제1 조향 캐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제1 캐스터의 승강에 따라 상기 제1 조향 캐스터를 승강시키는 보조실린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조향부는,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부를 상기 바닥면의 Y축 빙향을 따라 운전하는 제2 조향 핸들과; 상기 제2 조향 핸들의 운전에 따라 방향전환되며 상기 바닥면에 롤링하는 제2 조향 캐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제2 조향 핸들을 지지하며 상기 제2 조향 핸들의 조작에 따라 회전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과 이격되어 상기 제2 조향 캐스터를 지지하며,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피동축과; 상기 구동축과 상기 피동축에 상호 연결되며, 상기 구동축의 동력을 상기 피동축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에 자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캐스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마스트를 한 쌍으로 마련하는 것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또한, 상기 포크부는, 상기 한 쌍의 마스트에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는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마스트의 승강방향에 대해 수직을 이루며 왕복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캐리지와; 상기 캐리지를 왕복이동시키는 수평이송실린더와; 상기 캐리지에 마련되며, 화물을 적재하는 복수의 포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크 승강부는, 상기 한 쌍의 마스트와 인접하여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는 승강실린더와; 상기 승강실린더에 결합되어 승강하는 지지스프로킷과, 상기 지지스프로킷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한 쌍의 마스트에 마련되는 고정프레임과; 일영역이 상기 지지스프로킷에 지지되며, 일단부는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포크부에 고정되어, 상기 승강실린더의 승강에 따라 상기 포크부를 승강시키는 지지체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포크리프트의 전후 이동 및 좌우 이동을 각각 조향하는 한 쌍의 조향부를 마련함으로써, 포크리프트의 회전이동 없이 좁은 공간에서도 포크에 화물을 싣거나 내릴 수 있어 작업효율을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포크리프트의 전후 이동 및 좌우 이동을 동시에 제어하도록 조향부와 연동하는 제어시스템이 불필요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차체의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며, 제조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한 쌍의 마스트를 마련하고, 양단부에 포크를 갖는 장형의 캐리지를 한 쌍의 마스트에 설치하여, 화물을 지지하는 한 쌍의 포크 사이의 간격을 확장함으로써, 길이를 갖는 화물(파이프, 전봇대, 레일 등)을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크리프트를 보여주는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크리프트를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크리프트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크리프트의 승강구동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조향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조향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크리프트의 한 쌍의 마스트, 포크부, 포크 승강부 및 조작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크리프트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크리프트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크리프트의 포크부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한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크리프트를 보여주는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크리프트를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크리프트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포크리프트는 본체부(10)와, 본체부(10)를 바닥면의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복수의 제1 캐스터(30)와, 본체부(10)를 바닥면의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복수의 제2 캐스터(40)와, 복수의 제1 캐스터(30)를 바닥면에 대해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50)와, 본체부(10)를 바닥면의 X축 방향을 따라 운전하는 제1 조향부(60)와, 본체부(10)를 바닥면의 Y축 방향을 따라 운전하는 제2 조향부(70)와, 본체부(10)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마스트(100)와, 한 쌍의 마스트(100)에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는 포크부(110)와, 포크부(110)를 승강시키는 한 쌍의 포크 승강부(130)와, 포크부(110)와 한 쌍의 포크 승강부(130)를 조작하는 조작부(150)를 포함한다.
설명에 앞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의 X축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하고, 바닥면의 Y축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정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체부(10)는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차체로서 포크리프트의 외관을 구성하며, 바닥면에는 바닥면에 롤링하는 복수의 제1 캐스터(30) 및 복수의 제2 캐스터(40)가 각각 설치되어 있어 자유로운 이동 가능하다. 본체부(10)의 일측에는 유압유니트(160)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유압유니트(160)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이용하여 포크리프트에 마련된 복수의 실린더(17,51,65,121,131)에 유압을 공급한다.
이러한 본체부(10)는 차체프레임(11)과, 한 쌍의 마스트(100)를 각각 지지하며 차체프레임(11)에 대해 나란하게 왕복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한 쌍의 이송프레임(15)과, 한 쌍의 이송프레임(15)을 각각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한 쌍의 이송실린더(17)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체부(10)의 각각의 구성을 설명하면, 차체프레임(11)은 내측에 한 쌍의 이송프레임(15)이 각각 수용되는 한 쌍의 수용부(13)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이송프레임(15)은 각각 마스트(100)를 지지하고 있으며, 차체프레임(11)의 한 쌍의 수용부(13)에 각각 수용된다.
한 쌍의 이송실린더(17)는 한 쌍의 이송프레임(15)의 내측에 각각 마련되며 차체프레임(11)에 연결되어 있다. 즉, 한 쌍의 이송실린더(17)는 각각, 차체프레임(11)에 연결된 이송실린더 몸체(19)와, 이송프레임(15)에 연결되며 이송실린더 몸체(19)에 왕복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이송로드(21)로 이루어지며, 이에 의해, 유압유니트(160)로부터 유체를 공급받아 이송실린더 몸체(19) 마련된 이송로드(21)를 왕복이동시킴으로써 이송로드(21)에 연결된 이송프레임(15)을 차체프레임(11)에 대해 전진 또는 후진시킨다.
여기서, 차체프레임(11)의 수용부(13)와 이송프레임(15) 사이에는 가이드부(23)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23)는 이송프레임(15)이 차체프레임(11)에 대해 직선방향으로 왕복이동하도록 안내한다. 이러한 가이드부(23)는 수용부(13)의 양측면에 마련되는 가이드 레일(25)과, 이송프레임(15)의 양측부에 각각 마련되어 수용부(13)의 가이드 레일(25)에 왕복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롤러(27)로 이루어진다.
즉, 한 쌍의 이송실린더(17)가 작동하여 한 쌍의 이송프레임(15)을 전진 또는 후진 시키면, 한 쌍의 이송프레임(15)에 마련된 가이드 롤러(27)가 수용부(13)에 마련된 가이드 레일(25)을 따라 직선방향으로 왕복이동하게 된다.
한편, 복수의 제1 캐스터(30)는 바닥면에 롤링하도록 이송프레임(15)에 마련되어 본체부(1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즉, 제1 캐스터(30)는 한 쌍의 이송프레임(15)에 각각 한 쌍씩 설치되어, 바닥면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롤링하면서 본체부(1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복수의 제1 캐스터(30)는 바닥면에 대해 승강 가능하도록 이송프레임(15)에 힌지축(31)으로 힌지결합되어 있다.
복수의 제2 캐스터(40)는 차체프레임(11)의 저부면에 마련되어 본체부(10)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즉, 제2 캐스터(40)는 차체프레임(11)에 설치되어 바닥면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롤링하면서 본체부(10)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제2 캐스터(4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제2 조향부(70)와 대향하는 차체프레임(11)의 단부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승강구동부(50)는 한 쌍의 이송프레임(15)의 내측에 각각 마련되어 이송프레임(15)에 힌지 결합된 제1 캐스터(30)를 바닥면에 대해 승강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크리프트의 승강구동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승강구동부(50)는 메인실린더 몸체(53)와 메인로드(55)를 갖는 메인실린더(51)와, 이송프레임(15)의 내측에 고정되어 메인실린더 몸체(53)와 힌지결합되는 제1 연결부(57)와, 제1 캐스터(30)에 고정되어 메인로드(55)와 힌지결합되는 제2 연결부(59)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 연결부(57)는 메인실린더 몸체(53)를 이송프레임(15)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고, 제2 연결부(59)도 메인로드(55)를 제1 캐스터(3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하여, 메인실린더(51)의 작동시 메인실린더 몸체(53) 및 메인로드(55)가 소정각도 회전할 수 있게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유압유니트(160)로부터 메인실린더 몸체(53)에 유체가 공급되면 유체의 압력에 의해 메인로드(55)가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되며, 제2 연결부(59)를 통해 메인로드(55)에 연결된 제1 캐스터(30)가 힌지축(3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승강하게 된다.
상기 승강구동부(50)는 유압 또는 공기압을 이용하는 실린더 구조 이외에도 모터 및 기어를 이용한 구조로도 설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1 조향부(60)는 바닥면의 X축 방향, 즉 바닥면의 전후 방향을 따라 본체부(10)의 이동방향을 조향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조향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조향부(60)는 차체프레임(11)에 마련되는 제1 조향 핸들(61)과, 이 제1 조향 핸들(61)의 운전에 따라 방향전환되는 제1 조향 캐스터(63)와, 제1 조향 캐스터(63)를 승강시키는 한 쌍의 보조실린더(65)로 이루어진다.
제1 조향 핸들(61)은 차체프레임(11)의 한 쌍의 수용부(13)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바닥면의 전후 방향을 따라 운전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1 조향 캐스터(63)는 제1 조향 핸들(61)의 하단부에 마련되어 차체프레임(11)에 롤링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 조향 핸들(61)의 운전에 따라 방향전환되며 바닥면에 롤링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조향 캐스터(63)는 차체프레임(11)에서 한 쌍의 제2 캐스터(40)와 제2 조향부(70)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보조실린더(65)는 제1 조향 캐스터(63)를 사이에 두고 차체프레임(11)에 마련되어 제1 조향 캐스터(63)를 지지한다. 이러한 한 쌍의 보조실린더(65)는 각각, 차체프레임(11)에 고정되는 보조실린더 몸체(67)와, 보조실린더 몸체(67)에 왕복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제1 조향 캐스터(63)를 지지하는 보조로드(69)로 이루어진다. 즉, 유압유니트(160)로부터 보조실린더 몸체(67)에 유체가 공급되면 유체의 압력에 의해 보조로드(69)가 승강하게 되며, 보조로드(69)에 지지된 제1 조향 캐스터(63)가 보조로드(69)를 따라 승강하게 된다.
제2 조향부(70)는 바닥면의 Y축 방향, 즉 바닥면의 좌우 방향을 따라 본체부(10)의 이동방향을 조향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조향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조향부(70)는 차체프레임(11)에 마련되는 제2 조향 핸들(71)과, 이 제2 조향 핸들(71)과 이격되어 차체프레임(11)에 마련되는 제2 조향 캐스터(79)와, 제2 조향 핸들(71)의 조작에 따라 회전하는 구동축(73)과, 제2 조향 캐스터(79)를 지지하는 피동축(77)과, 구동축(73)과 피동축(77)을 상호 연결하는 동력전달부(83)로 이루어진다.
제2 조향 핸들(71)은 차체프레임(11)의 측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바닥면의 좌우 방향을 따라 운전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2 조향 캐스터(79)는 제2 조향 핸들(71)과 이격되어 차체프레임(11)에 마련되며, 바닥면에 롤링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조향 캐스터(79)는 한 쌍의 제2 캐스터(40)와 대향하는 차체프레임(11)의 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구동축(73)은 제2 조향 핸들(71)을 지지하며 제2 조향 핸들(71)의 조작에 따라 회전하며, 구동축(73)의 축상에는 구동스프로킷(75)이 마련되어 있다.
피동축(77)은 구동축(73)과 이격되어 제2 조향 캐스터(79)를 지지하며, 차체프레임(11)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또한, 피동축(77)의 축상에는 피동스프로킷(81)이 마련되어 있다.
동력전달부(83)는 구동축(73)과 피동축(77)을 상호 연결하여 구동축(73)의 동력을 피동축(77)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의 동력전달부(83)는 한 쌍의 스프로킷(75,81)과, 체인(85)으로 이루어지며, 체인(85)으로 구동스프로킷(75)과 피동스프로킷(81)을 상호 연결함으로써 구동축(73)의 동력을 피동축(77)에 전달한다. 상기 동력전달부(83)의 체인(85)은 벨트로도 구성될 수 있으며, 벨트로 구성될 경우에는 구동축(73) 및 피동축(77)에 벨트가 감겨지는 풀리가 각각 마련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작업자가 제2 조향 핸들(71)을 회전 조작하면 구동축(73)이 회전하여 구동스프로킷(75)이 회전하게 되고, 구동스프로킷(75)에 감겨진 체인(85)이 피동스프로킷(81)에 회전력을 전달하며, 피동스프로킷(81)이 회전함에 따라 피동축(77)이 회전하여 제2 조향 캐스터(79)를 회전시킨다. 이때, 구동스프로킷(75)과 피동스프로킷(81)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어 제2 조향 핸들(71)의 회전각도만큼 제2 조향 캐스터(79)가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구동스프로킷(75)과 피동스프로킷(81)의 사이에는 체인(85)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스프로킷(87)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포크리프트는 선택적으로 차체프레임(11)의 저부면에 복수의 제3 캐스터(90)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제3 캐스터(9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차체프레임에서 각각 제1 조향 캐스터(63) 및 제2 조향 캐스터(79)에 대향하는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복수의 제3 캐스터(90)는 차체프레임(11)에 자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즉, 복수의 제3 캐스터(90)는 바닥면에 롤링하며 방향전환 가능하게, 제1 조향 캐스터(61), 제2 조향 캐스터(79)와 간격을 두고 차체프레임(11)의 전방 저부에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본체부(10)가 바닥면의 좌우 방향을 따라 이동 중에 제2 조향 핸들(71)을 회전시키면, 제2 조향 핸들(71)과 연동하는 제2 조향 캐스터(79)가 회전하여 본체부(10)를 회전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데, 이때 본체부(10)가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3 캐스터(90)가 바닥면에 롤링하며 방향전환하여 본체부(10)의 회전 이동을 안내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크리프트의 한 쌍의 마스트, 포크부 및 한 쌍의 포크 승강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한 쌍의 마스트, 포크부 및 한 쌍의 포크 승강부를 설명한다.
한 쌍의 마스트(100)는 본체부(10)의 한 쌍의 이송프레임(15)에 각각 마련되며 바닥면에 수직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한 쌍의 마스트(100)는 각각,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한 쌍의 승강 레일(101)이 마련되어 있어 포크부(110)의 승강을 안내한다.
포크부(110)는 한 쌍의 마스트(10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화물 등을 적재한다. 이러한 포크부(110)는 한 쌍의 마스트(100)에 각각 마련된 승강 레일(101)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는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111)과,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111)에 장착되어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111)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장형의 캐리지(117)와, 캐리지(117)를 좌우 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한 쌍의 수평이송실린더(121)와, 캐리지(117)의 양단부에 각각 마련되는 한 쌍의 포크(127)로 이루어진다.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111)은 각각, 양측부에 마스트(100)의 승강 레일(101)에 결합되는 승강롤러(113)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승강롤러(113)를 통해 마스트(100)의 승강 레일(101)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마련된다. 또한, 가이드 프레임(111)의 판면에는 가이드 돌기(115)가 마련되어 있다.
캐리지(117)는 길이를 갖는 프레임으로서, 바닥면에 평행하도록 한 쌍의 마스트(100)에 마련되어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111)에 결합된다. 즉, 캐리지는(117)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111)과 대향하는 판면에 제2 가이드 레일(119)이 마련되어 있어,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111)에 각각 마련된 가이드 돌기(115)에 좌우 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한 쌍의 수평이송실린더(121)는 각각, 가이드 프레임(111)에 고정되는 수평이송실린더 몸체(123)와, 수평이송실린더 몸체(123)를 관통하도록 마련되어 수평이송실린더 몸체(123)의 양측으로 돌출되며 캐리지(117)에 고정되어 캐리지(117)를 좌우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수평이송로드(125)로 이루어진다. 즉, 유압유니트(160)로부터 수평이송실린더 몸체(123)로 유체가 공급되면 유체의 압력으로 인해 수평이송로드(125)가 좌측 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수평이송로드(125)에 고정된 캐리지(117)가 수평이송로드(125)를 따라 좌측 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 쌍의 포크(127)는 캐리지(117)에 마련되어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111) 및 캐리지(117)의 이동방향에 따라 승강하거나 좌우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한 쌍의 포크(127)는 화물을 승강시켜 이동 적재할 수 있다.
더욱이 한 쌍의 포크(127)는 장형의 캐리지(117)의 양단부에 각각 마련되어 있으며, 종래의 포크리프트의 한 쌍의 포크보다 포크(127) 사이의 간격이 확장되어 있어, 길이를 갖는 화물(파이프, 전봇대, 레일 등)을 운반하는데 용이하다. 즉, 한 쌍의 포크(127)가 길이를 갖는 화물의 양단부를 지지함으로써 화물의 하중분산이 용이하여 화물을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포크(127)는 전자제품 설비라인 및 반도체 설비라인에 공급되는 액정필름 롤을 운반하기 용이하도록 마련되어 있으며, 용도에 따라 다른 모양으로 형성되어 할인매장, 물류센터 등에서도 화물을 운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 쌍의 포크 승강부(130)는 본체부(10)의 한 쌍의 이송프레임(15)에 각각 마련되며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설치되어, 한 쌍의 마스트(100)에 각각 승강 가능하게 마련된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111)을 승강시킨다. 이러한 한 쌍의 포크 승강부(130)는 각각, 마스트(100)의 한 쌍의 승강 레일(101)의 사이에 마련되며 이송프레임(15)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승강실린더(131)와, 이 승강실린더(131)에 결합되어 승강하는 지지스프로킷(137)과, 이 지지스프로킷(137)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마스트(100)에 마련되는 고정프레임(139)과, 일영역이 지지스프로킷(137)에 감겨져 지지되며 일단부는 고정프레임(139)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포크부(110)의 가이드 프레임(111)에 고정되어 있는 지지체인(141)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승강실린더(131)는 이송프레임(15)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승강실린더 몸체(133)와, 승강실린더 몸체(133)에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며 일단부에 지지스프로킷(137)이 결합되어 있는 승강로드(135)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유압유니트(160)로부터 승강실린더 몸체(133)에 유체가 공급되면 유체의 압력에 의해 승강로드(135)가 승강하게 되고, 승강로드(135)의 단부에 결합된 지지스프로킷(137)이 승강하게 되며, 동시에 지지스프로킷(137)에 감겨있는 지지체인(141)이 가이드 프레임(111)을 끌어당기거나 반대로 밀어 가이드 프레임(111)이 마스트(100)를 따라 승강하게 된다.
한편, 조작부(1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에 마련되며, 복수의 레버(151) 및 버튼(153)을 구비되어 있어 가이드 프레임(111)의 승강 및 캐리지(117)의 좌우 이동을 조작할 수 있으며, 이송프레임(115)의 전후 이동, 제1 캐스터(30)의 승강 및 제1 조향 캐스터(63)의 승강을 조작할 수 있다. 즉, 복수의 레버(151) 및 버튼(153)을 조작함으로써 유압유니트(160)의 작동을 제어하여, 유압유니트(160)와 연결된 이송실린더(17), 메인실린더(51), 보조실린더(65), 수평이송실린더(121) 및 승강실린더(131)를 작동시켜 한 쌍의 이송프레임(15), 제1 캐스터(30), 제1 조향 캐스터(63), 가이드 프레임(111) 및 캐리지(117)를 승강 또는 좌우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포크리프트의 작동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크리프트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크리프트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포크리프트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상태로 마련되어 있다. 즉, 본체부(10)를 바닥면으로부터 지지하는 복수의 제1 캐스터(30), 복수의 제2 캐스터(40), 복수의 제3 캐스터(90), 제1 조향 캐스터(63) 및 제2 조향 캐스터(79) 중에서 복수의 제2 캐스터(40), 복수의 제3 캐스터(90) 및 제2 조향 캐스터(79)는 바닥면에 접촉되어 있고, 복수의 제1 캐스터(30) 및 제1 조향 캐스터(63)는 바닥면에 대하여 이격되어 있는 상태이다.
여기서 복수의 제1 캐스터(30)는 바닥면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롤링되고, 복수의 제2 캐스터(30)는 바닥면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롤링되며, 복수의 제3 캐스터(90)는 바닥면에 대해 자전하며 롤링된다.
이에 의해 상기 상태에서는, 포크리프트는 복수의 제2 캐스터(40), 복수의 제3 캐스터(90) 및 제2 조향 캐스터(79)가 바닥면에 접촉되어 롤링되며, 작업자가 제2 조향 핸들(71)을 조작하여 제2 조향 캐스터(79)를 조향함으로써 포크리프트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더욱이, 작업자가 제2 조향 핸들(71)을 운전중에 제2 조향 핸들(71)을 회전시켜 제2 조향 캐스터(79)의 롤링 방향을 바꾸면, 본체부(10)의 저부면에 마련된 복수의 제3 캐스터(90)가 본체부(10)가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바닥면에 롤링하며 방향전환하여 본체부(10)의 회전 이동을 안내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포크리프트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 화물이 있는 위치까지 이동시키면, 포크리프트를 방향전환 할 필요없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포크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다.
포크리프트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에는, 작업자가 본체부(10)에 마련된 조작부(150)를 조작하여 바닥면과 이격된 복수의 제1 캐스터(30) 및 제1 조향 캐스터(63)를 하강시켜 바닥면과 접촉되도록 하며, 복수의 제2 캐스터(40), 복수의 제3 캐스터(90) 및 제2 조향 캐스터(79)를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킨다.
즉, 작업자가 조작부(150)를 조작하면, 유압유니트(160)로부터 메인실린더(51)에 유체가 공급되어 메인로드(55) 전진하게 되며, 메인로드(55)에 연결된 제1 캐스터(30)가 힌지축(3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하강하게 되어 바닥면에 접촉된다.
동시에, 유압유니트(160)로부터 한 쌍의 보조실린더(65,도 5 참조)에 유체가 공급되어 한 쌍의 보조로드(69)가 하강하게 되며, 한 쌍의 보조로드(69)에 지지된 제1 조향 캐스터(63)가 한 쌍의 보조로드(69)를 따라 하강하게 되어 바닥면에 접촉된다.
이때, 복수의 제1 캐스터(30) 및 제1 조향 캐스터(63)가 바닥면에 접촉되면서 본체부(10)를 들어올려 복수의 제2 캐스터(40), 복수의 제3 캐스터(90) 및 제2 조향 캐스터(79)를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킨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포크리프트는 복수의 제1 캐스터(30) 및 제1 조향 캐스터(63)가 바닥면에 접촉되어 롤링되며, 작업자가 제1 조향 핸들(61,도5 참조)을 조작하여 제1 조향 캐스터(63)를 조향함으로써 포크리프트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다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포크리프트의 포크에 화물을 적재하기 위해서는, 먼저 한 쌍의 마스트(100) 및 포크부(110)를 화물이 있는 쪽으로 전진시킨다.
먼저, 작업자가 본체부(10)에 마련된 조작부(150)를 조작하여 한 쌍의 마스트(100)를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이송프레임(15)을 차체프레임(11)에서 전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한 쌍의 마스트(100)에 마련된 포크부(110)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작업자가 조작부(150)를 조작하면, 유압유니트(160)로부터 한 쌍의 이송실린더(17)에 유체가 공급되어 한 쌍의 이송실린더(17)에 각각 마련된 이송로드(21)가 전진하게 되며, 한 쌍의 이송로드(21)에 각각 연결된 한 쌍의 이송프레임(15)이 전진하여 한 쌍의 이송프레임(15)에 지지된 한 쌍의 마스트(100) 및 포크부(110)가 전방향으로 이송됨으로써 포크부(110)에 마련된 한 쌍의 포크(127)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게 된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크리프트의 포크부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포크리프트의 포크부(110)는 한 쌍의 마스트(100)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승강할 수 있게 마련된다.
한 쌍의 포크(127)에 화물을 적재한 상태에서 한 쌍의 포크(127)를 상승시키기 위해 작업자가 조작부(150)를 조작하면, 유압유니트(160)로부터 한 쌍의 승강실린더(131)에 유체가 공급되어 한 쌍의 승강실린더(131)에 각각 마련된 승강로드(135)가 상승하게 되고, 한 쌍의 승강로드(135)의 단부에 각각 결합된 지지스프로킷(137)이 승강하게 되어, 지지스프로킷(137)에 감겨있는 지지체인(141)이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111)을 끌어당김으로써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111)이 한 쌍의 마스트(100)를 따라 상승하게 된다. 이때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111)에 결합된 캐리지(117) 및 캐리지(117)에 마련된 한 쌍의 포크(127)가 상승하여 한 쌍의 포크(127)에 적재된 화물을 들어올리게 된다.
이때, 캐리지(117)에 마련된 한 쌍의 포크(127)는 길이를 갖는 화물(파이프, 전봇대, 레일 등)을 지지하기 용이하도록 기존의 포크리프트의 한 쌍의 포크보다 포크(127) 사이의 간격이 확장되어 있어, 길이를 갖는 화물의 양단부를 지지할 수 있게 되며, 이에 의해, 길이를 갖는 화물을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승강실린더(131)의 각 승강로드(135)가 하강하도록 유체를 공급하면, 상기 과정과 반대로 진행되어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111), 캐리지(117) 및 한 쌍의 포크(127)가 하강하게 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포크리프트의 포크부(110)는 한 쌍의 마스트(100)에 지지된 상태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한 쌍의 포크(127)를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작업자가 조작부(150)를 조작하면, 포크부(110)의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111) 및 캐리지(117)에 결합된 한 쌍의 수평이송실린더(121)가 작동하게 된다. 즉 조작부(140)의 조작에 의해 유압유니트(160)로부터 한 쌍의 수평이송실린더(121)로 유체가 공급되어 한 쌍의 수평이송실린더(121)에 각각 마련된 수평이송로드(125)가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수평이송로드(125)에 결합된 캐리지(117)가 수평이송로드(125)를 따라 이동하게 되어 캐리지(117)의 양단부에 결합된 한 쌍의 포크(127)도 함께 좌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한 쌍의 수평이송실린더(121)의 각 수평이송로드(125)가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유체를 공급하면, 상기 과정과 반대로 진행되어 캐리지(117) 및 한 쌍의 포크(127)가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포크리프트의 전후 이동 및 좌우 이동을 각각 조향하는 한 쌍의 조향부를 마련함으로써, 포크리프트의 회전이동 없이 좁은 공간에서도 포크에 화물을 싣거나 내릴 수 있어 작업효율을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포크리프트의 전후 이동 및 좌우 이동을 동시에 제어하도록 조향부와 연동하는 제어시스템이 불필요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차체의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며, 제조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한 쌍의 마스트를 마련하고, 양단부에 포크를 갖는 장형의 캐리지를 한 쌍의 마스트에 설치하여, 화물을 지지하는 한 쌍의 포크 사이의 간격을 확장함으로써, 길이를 갖는 화물(파이프, 전봇대, 레일 등)을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 본체부 11: 차체프레임
15: 이송프레임 17: 이송실린더
23: 가이드부 30: 복수의 제1 캐스터
40: 복수의 제2 캐스터 50: 승강구동부
51: 메인실린더 60: 제1 조향부
61: 제1 조향 핸들 63: 제1 조향 캐스터
65: 보조실린더 70: 제2 조향부
71: 제2 조향 핸들 73: 구동축
77: 피동축 79: 제2 조향 캐스터
83: 동력전달부 90: 복수의 제3 캐스터
100: 한 쌍의 마스트 110: 포크부
111: 가이드 프레임 117: 캐리지
121: 수평이송실린더 127: 한 쌍의 포크
130: 포크 승강부 131: 승강실린더
150: 조작부 160: 유압유니트

Claims (10)

  1.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며 바닥면에 대해 기립 설치되는 마스트와;
    상기 마스트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화물이 적재되는 포크부와;
    상기 포크부를 승강시키는 포크 승강부와;
    바닥면에 롤링하도록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부를 상기 바닥면의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복수의 제1 캐스터와;
    바닥면에 롤링하도록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부를 상기 바닥면의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복수의 제2 캐스터와;
    상기 제1 캐스터 및 제2 캐스터 중 어느 하나를 바닥면에 대해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와;
    상기 X축 방향으로 상기 본체부의 이동방향을 조향하는 제1 조향부와;
    상기 Y축 방향으로 상기 본체부의 이동방향을 조향하는 제2 조향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복수의 제2 캐스터가 마련되는 차체프레임과;
    상기 마스트를 지지하며, 상기 차체프레임에 대해 나란하게 왕복 이동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제1 캐스터가 마련되는 이송프레임과;
    상기 이송프레임을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이송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리프트.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향부는,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부를 상기 바닥면의 X축 방향을 따라 운전하는 제1 조향 핸들과;
    상기 제1 조향 핸들의 운전에 따라 방향전환되며 상기 바닥면에 롤링하는 제1 조향 캐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리프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캐스터의 승강에 따라 상기 제1 조향 캐스터를 승강시키는 보조실린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리프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향부는,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부를 상기 바닥면의 Y축 방향을 따라 운전하는 제2 조향 핸들과;
    상기 제2 조향 핸들의 운전에 따라 방향전환되며 상기 바닥면에 롤링하는 제2 조향 캐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리프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향 핸들을 지지하며 상기 제2 조향 핸들의 조작에 따라 회전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과 이격되어 상기 제2 조향 캐스터를 지지하며,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피동축과;
    상기 구동축과 상기 피동축에 상호 연결되며, 상기 구동축의 동력을 상기 피동축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리프트.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 자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캐스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리프트.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트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리프트.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부는,
    상기 한 쌍의 마스트에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는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마스트의 승강방향에 대해 수직을 이루며 왕복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캐리지와;
    상기 캐리지를 왕복이동시키는 수평이송실린더와;
    상기 캐리지에 마련되며, 화물을 적재하는 복수의 포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리프트.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 승강부는,
    상기 한 쌍의 마스트와 인접하여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는 승강실린더와;
    상기 승강실린더에 결합되어 승강하는 지지스프로킷과,
    상기 지지스프로킷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한 쌍의 마스트에 마련되는 고정프레임과;
    일영역이 상기 지지스프로킷에 지지되며, 일단부는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포크부에 고정되어, 상기 승강실린더의 승강에 따라 상기 포크부를 승강시키는 지지체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리프트.
KR1020100006513A 2010-01-25 2010-01-25 포크리프트 Active KR101121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6513A KR101121660B1 (ko) 2010-01-25 2010-01-25 포크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6513A KR101121660B1 (ko) 2010-01-25 2010-01-25 포크리프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7061A KR20110087061A (ko) 2011-08-02
KR101121660B1 true KR101121660B1 (ko) 2012-03-09

Family

ID=44925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6513A Active KR101121660B1 (ko) 2010-01-25 2010-01-25 포크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16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5653B1 (ko) * 2012-07-27 2014-08-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라이저 이송장치
KR101487499B1 (ko) * 2012-08-23 2015-01-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복수의 라이저를 이송하는 라이저 이송장치
CN107914334B (zh) * 2017-12-14 2024-01-19 张青云 一种水泥砖坯养护码垛生产线
CN111960331A (zh) * 2020-09-09 2020-11-20 浙江三一装备有限公司 转运设备及转运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7284A (ja) 1999-05-17 2000-11-28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サイドフォークリフ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7284A (ja) 1999-05-17 2000-11-28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サイドフォークリフ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7061A (ko) 2011-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94236B2 (ja) 車両のリフト搬送台車、縦列無人走行台車、車両縦列駐車システムおよび車両縦列駐車方法
CN1891582B (zh) 物品收纳设备
AU2013405692B2 (en) Conveyance system for object to be conveyed and conveyance method
US8714311B2 (en) Monomast for a materials handling vehicle
KR101221337B1 (ko) 텔레스코픽 컨베이어 장치
KR101121660B1 (ko) 포크리프트
JP2010275059A (ja) 板ガラス用搬送方向転換装置
CN105173506A (zh) 货架自动存取栈板系统以及方法
JP6935087B2 (ja) 車両のリフト装置、縦列無人走行台車、搬送台車、車両縦列駐車システムおよび車両縦列駐車方法。
CN105084017A (zh) 铁板自动取出系统以及方法
KR101320958B1 (ko) 주행방향이 직각으로 전환되는 수동대차
TW200403178A (en) Carrying apparatus
US4326830A (en) Side loading vehicle
US20150003946A1 (en) Platform for order picker
KR20110087062A (ko) 포크리프트
KR100953165B1 (ko) 수평운반로봇
KR20050057311A (ko) 컨테이너용 리프팅 장치
JP2731417B2 (ja) 搬送台車
JP2007168968A (ja) 物品収納設備
CN210286634U (zh) 转运堆垛车及使用该转运堆垛车的转运堆垛系统
CN114506778A (zh) 一种具有重心自适应的中重型设备运输安装设备
KR20170053036A (ko) 자주식 호이스트 장치
US3747790A (en) Double side shifting fork type stacker
JPH02282197A (ja) 搬送台車
CN119118004B (zh) 一种可横向移动式堆高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1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7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2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2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1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2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0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0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1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