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5484B1 - 천 삽입 사출용 사출 성형 금형 - Google Patents

천 삽입 사출용 사출 성형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5484B1
KR101435484B1 KR1020120149160A KR20120149160A KR101435484B1 KR 101435484 B1 KR101435484 B1 KR 101435484B1 KR 1020120149160 A KR1020120149160 A KR 1020120149160A KR 20120149160 A KR20120149160 A KR 20120149160A KR 101435484 B1 KR101435484 B1 KR 101435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core
core
fabric
core portion
plastic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9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9941A (ko
Inventor
이중재
윤병주
Original Assignee
이중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중재 filed Critical 이중재
Priority to KR1020120149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5484B1/ko
Publication of KR20140079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9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5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5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08Inserting articles into the mould
    • B29C45/14016Intermittently feeding endless articles, e.g. transfer films, to the mould
    • B29C45/14024Intermittently feeding endless articles, e.g. transfer films, to the mould and punching or cutting a portion from the endless articles during mould clo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65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005Ejector constructions; Ejector operating mechanisms
    • B29C45/401Ejector pin constructions or moun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29D99/006Producing casings, e.g. accumulator c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18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inserts being deformed or preformed, e.g. by the injection pressure
    • B29C2045/14188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inserts being deformed or preformed, e.g. by the injection pressure trimming the article in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713/00Use of textile products or fabrics for preformed parts, e.g. for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천 소재를 금형 내에 삽입한 채 사출 성형하여 천 소재와 플라스틱 소재가 합착된 제품을 제조할 수 있는 사출 성형 금형이 개시된다. 개시된 사출 성형 금형은, 서로 밀착하여 플라스틱 케이스 형상에 대응되는 캐비티(cavity)가 형성되는 것으로, 상부 원판에 지지되는 상부 코어 및 하부 원판에 지지되는 하부 코어, 및 상부 코어 및 하부 코어 사이에 개재되어, 캐비티에 주입되는 용융 수지가 경화되어 형성되는 플라스틱 케이스에 합착(合着)되는 천 소재의 원단을 구비한다. 이 원단은, 상부 코어 및 하부 코어가 이격되면 그 사이를 가로질러 이동 가능하고, 상부 코어와 하부 코어가 밀착되면 플라스틱 케이스에 합착되는 부분이 절삭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천 삽입 사출용 사출 성형 금형{Injection mold for cloth insertion molding}
본 발명은 사출 성형 금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직물(fabric), 부직포(felt)와 같은 천과 플라스틱이 일체화된 제품을 형성할 수 있는, 천 삽입 사출용 사출 성형 금형에 관한 것이다.
사출 성형(injection molding)은 용융 상태의 수지를 금형의 내부에 주입 후 냉각하여 제품을 형성하는 공법으로, 압축성형(compression molding), 압출성형(extrusion molding) 등의 다른 성형 공법에 비해 제품의 형태 및 사이즈에 제한이 적으며 생산성 및 작업 능률이 우수하여 플라스틱 제품의 성형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압축기, 펌프와 같은 산업용 기계, 자동차, 기타 많은 분야에서 공기나 액체 내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 부재가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필터 부재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필터 부재(1)는 플라스틱 소재의 케이스(3)에 천 소재의 필터(9)가 부착된 제품이다. 구체적으로, 필터 부재(1)는 내부 통공(7)이 형성된 플라스틱 케이스(3)와, 플라스틱 케이스(3)의 일 측에 내부 통공(7)을 가로막도록 부착된 천 소재의 필터(9)를 구비한다. 플라스틱 케이스(3)는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제1 직경부(5)와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제2 직경부(6)를 구비한다. 필터(9)는 직물(fabric) 또는 부직포(felt)로 형성된다.
상기 필터 부재(1)는 사출 성형에 의해 플라스틱 케이스(3)를 형성하고, 필터(9)를 플라스틱 케이스(3)에 접착하여 형성하였다. 천으로 된 필터(9)는 원단을 플라스틱 케이스(3)에 접착하기 전에 잘라내 형성하거나, 원단을 플라스틱 케이스(3)에 먼저 접착한 후 필터(9) 형상으로 잘라내 형성한다. 따라서, 접착 및 원단 절삭에 소요되는 시간이 추가되어 생산성이 낮고, 생산 비용이 증대되며, 접착된 필터(9)와 플라스틱 케이스(3)가 쉽게 분리되는 등 생산된 필터 부재(1)의 품질 신뢰성도 떨어진다.
본 발명은 천 소재를 금형 내에 삽입한 채 사출 성형하여 천 소재와 플라스틱 소재가 합착된 제품을 제조할 수 있는 사출 성형 금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원단을 금형에 연속적으로 공급하고 사출 성형과 동시에 재단함으로써 천 소재의 필터가 플라스틱 소재에 합착된 제품을 형성하는 사출 성형 금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둘 중에 적어도 하나가 이동하여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상부 원판 및 하부 원판, 서로 밀착하여 플라스틱 케이스 형상에 대응되는 캐비티(cavity)가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 원판에 지지되는 상부 코어 및 상기 하부 원판에 지지되는 하부 코어, 및 상기 상부 코어 및 상기 하부 코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캐비티에 주입되는 용융 수지가 경화되어 형성되는 플라스틱 케이스에 합착(合着)되는 천 소재의 원단을 구비하고, 상기 원단은, 상기 상부 코어 및 상기 하부 코어가 이격되면 그 사이를 가로질러 이동 가능하고, 상기 상부 코어와 상기 하부 코어가 밀착되면 상기 플라스틱 케이스에 합착되는 부분이 절삭되도록 구성된 사출 성형 금형을 제공한다.
상기 상부 코어는 상기 하부 코어와 밀착된 때 상기 원단에서 상기 플라스틱 케이스에 합착되는 부분을 절삭하는 커팅 엣지(cutting edge)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출 성형 금형은, 상기 상부 코어와 상기 하부 코어가 서로 이격된 때 사출 성형된 제품을 상기 하부 코어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제품을 위로 밀어내는 밀핀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둘 중에 적어도 하나가 이동하여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상부 원판 및 하부 원판, 상기 상부 원판에 고정 지지되는 상부 코어, 상기 상부 원판 및 상기 하부 원판이 서로 가까워진 때 상기 상부 코어에 밀착하여 플라스틱 케이스 형상에 대응되는 캐비티(cavity)가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하부 원판에 고정 지지되는 제1 하부 코어부와, 상기 제1 하부 코어부에 대해 이격 가능하게 밀착되는 제2 하부 코어부를 구비한 하부 코어, 및 상기 제1 하부 코어부와 상기 제2 하부 코어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캐비티에 주입되는 용융 수지가 경화되어 형성되는 플라스틱 케이스에 합착(合着)되는 천 소재의 원단을 구비하고, 상기 원단은, 상기 제1 하부 코어부 및 상기 제2 하부 코어부가 이격되면 그 사이를 가로질러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1 하부 코어부 및 상기 제2 하부 코어부가 밀착되면 상기 플라스틱 케이스에 합착되는 부분이 절삭되도록 구성된 사출 성형 금형을 제공한다.
상기 제1 하부 코어부는 상기 제1 하부 코어부와 상기 제2 하부 코어부가 밀착된 때 상기 원단에서 상기 플라스틱 케이스에 합착되는 부분을 절삭하는 커팅 엣지(cutting edge)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출 성형 금형은, 상기 상부 코어와 상기 하부 코어가 서로 이격된 때 사출 성형된 제품을 상기 하부 코어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상승하여 상기 제품을 위로 밀어 올리는 제1 밀핀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하부 코어부를 상기 제1 하부 코어부에 대해 이격시키는 수단은 상기 제2 하부 코어부를 위로 밀어 올리기 위해 상승하는 제2 밀핀을 구비하고, 본 발명의 사출 성형 금형은 상기 제1 밀핀과 상기 제2 밀핀을 상승시키는 밀판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밀핀이 상기 제2 밀핀보다 더 많이 상승하도록, 상기 상부 코어와 상기 하부 코어가 밀착된 때에는 상기 제1 밀핀이 상기 제2 밀핀보다 상기 밀판에 더 근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원단을 이동시키는 수단은, 외주면에 권취된 상기 원단을 풀어 공급하는 언와인딩 롤러(unwinding roller), 및 상기 언와인딩 롤러에서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언와인딩 롤러로부터 공급된 원단을 다시 권취하여 회수하는 리와인딩 롤러(rewinding roller)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천 소재를 금형 내에 삽입한 채 사출 성형하여 천 소재와 플라스틱 소재가 합착된 제품을 제조하므로, 천 소재의 원단을 별도로 절단하거나 천 소재와 플라스틱 소재를 접착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제품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고,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품질의 신뢰성도 향상된다.
도 1은 필터 부재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 성형 금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2의 사출 성형 금형을 이용하여 제품을 형성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 성형 금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B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6의 사출 성형 금형을 이용하여 제품을 형성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 성형 금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 성형 금형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 성형 금형(20)은 상부 원판(25), 하부 원판(27), 상부 코어(30), 하부 코어(37), 밀핀(42), 및 원단(10)을 구비한다. 하부 원판(27)은 이동하지 않고, 상부 원판(25)은 하부 원판(27)을 향해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이동할 수 있다. 다만, 이와 달리 상부 원판(25)이 고정되고 하부 원판(27)이 상부 원판(25)에 대해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이동할 수도 있고, 상부 원판(25)과 하부 원판(27)이 함께 이동하여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질 수도 있다.
상부 코어(30)는 상부 원판(25)에 고정 지지되고 하부 코어(37)는 하부 원판(27)에 고정 지지된다. 상부 원판(25)과 하부 원판(27)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면, 상부 코어(30)와 하부 코어(37)가 서로 밀착하여 플라스틱 케이스(3)(도 1 참조)에 대응되는 캐비티(cavity)(46)가 형성된다. 상부 코어(30)는 상부 원판(25)의 저면에 고정 결합되는 하부 원판 고정 블록(33)과, 상기 플라스틱 케이스(3)의 제1 직경부(5)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원기둥 형상인 원기둥 블록(31)과, 원기둥 블록(31)과 하부 원판 고정 블록(33) 사이에 삽입 개재되는 링(ring) 형상의 부싱(bushing)(35)을 구비한다.
부싱(35)의 하단부에는 단면 형상이 쐐기 형상인 커팅 엣지(cutting edge)(36)가 구비된다. 커팅 엣지(36)에 의해서 상부 코어(30)가 하부 코어(37)에 밀착됨과 동시에 상부 코어(30)와 하부 코어(37) 사이에 개재된 원단(10)의 일 부분이 원형의 필터(9)(도 1 참조)로 절삭된다. 필터(9)는 사출 성형 과정을 통해 플라스틱 케이스(3)(도 1 참조)에 합착(合着)된다. 커팅 엣지(36)가 무뎌지거나 손상된 때에는 상부 코어(30) 전체를 교체할 필요없이 부싱(35)만 교체 삽입하면 된다.
하부 코어(37)에는 플라스틱 케이스(3)(도 1 참조)의 제1 직경부(5)(도 1 참조)에 대응되는 제1 직경 홈(39)과, 제2 직경부(6)(도 1 참조)에 대응되는 제2 직경 홈(40)이 형성된다. 제1 직경 홈(39)과 제2 직경 홈(40)은 일렬로 연결되고, 제2 직경 홈(40)이 제1 직경 홈(39)의 아래에 마련된다.
밀핀(42)은 상부 코어(30)와 하부 코어(37)가 서로 이격된 때 사출 성형된 필터 부재(1)(도 1 참조)를 하부 코어(37)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필터 부재(1)를 위로 밀어 올린다. 밀핀(42)은 아래로부터 하부 원판(27)과 하부 코어(37)를 관통하여 위로 연장된다. 밀핀(42)의 직경은 제2 직경부(6)(도 1 참조)의 직경에 대응되고, 밀핀(42)의 상단부에는 플라스틱 케이스(3)의 내부 통공(7)에 대응되는 원기둥 형상의 통공 형성부(44)가 마련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되진 않았으나 하부 코어(37)에는 수지 사출 장치(미도시)로부터 사출되어 사출 성형 금형(20) 내로 주입된 용융 수지를 캐비티(46)까지 인도하는 러너(runner)(미도시)가 마련된다.
원단(10)은 상부 코어(30)와 하부 코어(37)가 이격되면 그 사이를 가로질러 이동 가능하다. 원단(10)을 이동시키는 수단은, 외주면에 원단(10)이 권취되어 있고 이 권취된 원단(10)을 풀어 공급하는 언와인딩 롤러(unwinding roller)(21)와, 언와인딩 롤러(21)와 이격되어 하부 코어(37)를 사이에 두고 상기 언와인딩 롤러(21)의 반대편에 위치하며 언와인딩 롤러(21)로부터 공급된 원단(10)을 다시 권취하여 회수하는 리와인딩 롤러(rewinding roller)(23)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도 2에서 원단(10)은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도 2의 사출 성형 금형을 이용하여 제품을 형성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로서, 이하에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사출 성형 금형(20)을 이용한 필터 부재(1)의 형성 방법을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한 쌍의 롤러(21, 23)에 감겨 이어진 원단(10)을 상부 코어(30)와 하부 코어(37) 사이에 개재하고, 상부 원판(25)을 하부 원판(27)에 근접시켜 상부 코어(30)와 하부 코어(37)를 서로 밀착시킴으로써 밀폐된 캐비티(46)(도 2 참조)를 형성한다. 이때, 커팅 엣지(36)(도 3 참조)에 의해 원단(10)의 일 부분이 절삭되어 천 소재의 필터(9)가 형성된다. 사출 성형 금형(20)에 용융 수지를 사출하여 캐비티(46)에 주입하고, 캐비티(46) 내에서 이 용융 수지를 냉각 경화하여 플라스틱 케이스(3)를 형성한다. 용융 수지가 필터(9)에 닿은 채 냉각 경화되므로 필터(9)와 플라스틱 케이스(3)는 합착(合着)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부 원판(25)(도 4 참조)을 하부 원판(27)으로부터 이격시켜 상부 코어(30)(도 4 참조)를 하부 코어(37)로부터 분리하고, 밀핀(42)을 상승시켜 필터 부재(1)를 하부 코어(37)에서 분리되도록 위로 밀어낸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으나, 이후에 작업자의 손에 의해 또는 로봇 암(미도시)의 작동에 의해 하부 코어(37)와 분리되어 돌출된 필터 부재(1)가 취출되고, 밀핀(42)은 원위치로 하강한다.
다음번 필터 부재(1)를 사출 성형하기 위하여, 언와인딩 롤러(21)와 리와인딩 롤러(23)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원단(10)이 우측에서 좌측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동됨으로써, 밀핀(42) 위에 원단(10)의 뚫리지 않은 부분이 겹쳐진다. 그리고, 상부 코어(30)와 하부 코어(37)가 다시 밀착되도록 상부 원판(25)이 하부 원판(27)에 다시 근접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 성형 금형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B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 성형 금형(50)은 상부 원판(55), 하부 원판(57), 상부 코어(60), 하부 코어(66), 제1 밀핀(75), 제2 밀핀(80), 및 원단(10)을 구비한다. 하부 원판(57)은 이동하지 않고, 상부 원판(55)은 하부 원판(57)을 향해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이동할 수 있다. 다만, 이와 달리 상부 원판(55)이 고정되고 하부 원판(57)이 상부 원판(55)에 대해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이동할 수도 있고, 상부 원판(55)과 하부 원판(57)이 함께 이동하여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질 수도 있다.
상부 코어(60)는 상부 원판(55)에 고정 지지된다. 하부 코어(66)는 하부 원판(57)에 고정 지지되는 제1 하부 코어부(67)와, 제1 하부 코어부(67)의 위에 배치되고 제1 하부 코어부(67)에 대해 이격 가능하게 밀착되는 제2 하부 코어부(70)를 구비한다. 상부 원판(55)과 하부 원판(57)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면, 상부 코어(60) 및, 하부 코어(66)의 제1 하부 코어부(67)와 제2 하부 코어부(70)가 서로 밀착하여 플라스틱 케이스(3)(도 1 참조)에 대응되는 캐비티(cavity)(85)가 형성된다.
상부 코어(60)는 상부 원판(55)의 저면에 고정 결합되는 하부 원판 고정 블록(61)과, 상기 플라스틱 케이스(3)(도 1 참조)의 제2 직경부(6)(도 1 참조)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원기둥 형상인 원기둥 블록(63)을 구비한다. 상기 원기둥 블록(63)의 아래에는 플라스틱 케이스(3)의 내부 통공(7)에 대응되는 원기둥 형상의 통공 형성부(64)가 원기둥 블록(63)에서 일체로 연장 형성된다. 상부 코어(60)에는 플라스틱 케이스(3)의 제2 직경부(6)에 대응되는 제2 직경 홈(62)이 형성된다.
제2 하부 코어부(70)에는 플라스틱 케이스(3)(도 1 참조)의 제1 직경부(5)(도 1 참조)에 대응되는 제1 직경 홈(72)이 형성된다. 제1 직경 홈(72)과 제2 직경 홈(62)은 일렬로 연결되고, 제2 직경 홈(62)이 제1 직경 홈(72)의 위에 형성된다.
제1 하부 코어부(67)의 상단부에는 단면 형상이 쐐기 형상인 커팅 엣지(cutting edge)(68)가 구비된다. 커팅 엣지(68)에 의해서 제2 하부 코어부(70)가 제1 하부 코어부(67)에 밀착됨과 동시에 제2 하부 코어부(70)와 제1 하부 코어부(67) 사이에 개재된 원단(10)의 일 부분이 원형의 필터(9)(도 1 참조)로 절삭된다. 필터(9)는 사출 성형 과정을 통해 플라스틱 케이스(3)(도 1 참조)에 합착(合着)된다.
제1 밀핀(75)은 상부 코어(60)와 하부 코어(66)가 서로 이격된 때 사출 성형된 필터 부재(1)(도 1 참조)를 하부 코어(66)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상승하여 필터 부재(1)를 위로 밀어 올린다. 제1 밀핀(75)은 아래로부터 하부 원판(57)과 제1 하부 코어부(67)를 관통하여 위로 연장된다. 제1 밀핀(75)의 직경은 제1 직경부(5)(도 1 참조)에 대응된다. 제1 밀핀(75)의 하단에는 밀판(77)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명확히 도시되진 않았으나 밀판(77)은 유압 실린더 또는 공압 실린더의 동력에 의해 승강하며 제1 밀핀(75)을 상승 또는 하강시킨다.
제2 밀핀(80)은 제2 하부 코어부(70)를 제1 하부 코어부(67)에 대해 이격시키는 수단을 구성하며, 제2 하부 코어부(70)를 위로 밀어 올리기 위해 상승한다. 제2 밀핀(80)은 아래로부터 하부 원판(57)과 제2 하부 코어부(67)를 관통하여 위로 연장되며 제1 밀핀(75)과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2 밀핀(80)은 밀판(77)에 의해 밀어 올려져 상승한다. 다만, 제1 밀핀(75)과 달리 상부 코어(60)와 하부 코어(66)가 밀착된 때 제2 밀핀(80)의 하단부(81)는 밀판(77)으로부터 이격되어 그 위에 위치한다. 제2 밀핀(80)의 하단부(81)가 밀판(77)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위에 위치하며 더 이상 하강하지 못하도록, 하부 원판(57)에 형성된 제2 밀핀(80)의 관통공에는 단차진 스토퍼(58)가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밀판(77)이 상승하면 제1 밀핀(75)이 제2 밀핀(80)보다 조금 먼저 상승하기 시작하며, 결과적으로 제1 밀핀(75)이 제2 밀핀(80)보다 더 많이 상승한다. 다만, 도 6에 도시된 제1 밀핀(75)을 제2 밀핀(80)보다 더 많이 상승시키는 구성은 일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6에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부 코어(60) 또는 제2 하부 코어부(70)에는 수지 사출 장치(미도시)로부터 사출되어 사출 성형 금형(50) 내로 주입된 용융 수지를 캐비티(85)까지 인도하는 러너(runner)(미도시)가 마련된다.
원단(10)은 제2 하부 코어부(70)가 제1 하부 코어부(67)로부터 이격되면 그 사이를 가로질러 이동 가능하다. 원단(10)을 이동시키는 수단은, 외주면에 원단(10)이 권취되어 있고 이 권취된 원단(10)을 풀어 공급하는 언와인딩 롤러(unwinding roller)(51)와, 이 언와인딩 롤러(51)와 이격되어 하부 코어(6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언와인딩 롤러(51)의 반대편에 위치하며 언와인딩 롤러(51)로부터 공급된 원단(10)을 다시 권취하여 회수하는 리와인딩 롤러(rewinding roller)(53)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도 6에서 원단(10)은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6의 사출 성형 금형을 이용하여 제품을 형성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로서, 이하에서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사출 성형 금형(50)을 이용한 필터 부재(1)의 형성 방법을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8을 참조하면, 한 쌍의 롤러(51, 53)에 감겨 이어진 원단(10)을 제2 하부 코어부(70)와 제1 하부 코어부(67) 사이에 개재하고, 상부 원판(55)을 하부 원판(57)에 근접시켜 상부 코어(60), 제1 하부 코어부(67), 제2 하부 코어부(70)를 서로 밀착시킴으로써 밀폐된 캐비티(85)(도 6 참조)를 형성한다. 이때, 커팅 엣지(68)(도 7 참조)에 의해 원단(10)의 일 부분이 절삭되어 천 소재의 필터(9)가 형성된다. 사출 성형 금형(50)에 용융 수지를 사출하여 캐비티(85)에 주입하고, 캐비티(85) 내에서 이 용융 수지를 냉각 경화하여 플라스틱 케이스(3)를 형성한다. 용융 수지가 필터(9)에 닿은 채 냉각 경화되므로 필터(9)와 플라스틱 케이스(3)는 합착(合着)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상부 원판(55)(도 8 참조)을 하부 원판(57)으로부터 이격시켜 상부 코어(60)(도 8 참조)를 하부 코어(66)로부터 분리하고, 밀판(77)을 상승시켜 제1 밀핀(75)을 상승시킴으로써 필터 부재(1)를 하부 코어(66)에서 분리되도록 위로 밀어낸다. 제2 밀핀(80)의 하단부(81)와 밀판(77)과의 간격은 좁아지며, 상기 하단부(81)와 밀판(77)이 접촉할 때까지 제2 밀핀(80)은 상승하지 않는다.
도 10을 참조하면, 밀판(77)이 더 상승하면 제1 밀핀(75)와 제2 밀핀(80)이 함께 상승하여 필터 부재(1)뿐만 아니라 제2 하부 코어부(70)도 올려진다. 이에 따라 제2 하부 코어부(70)가 제1 하부 코어부(67)로부터 이격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밀판(77)의 상승으로 인한 제1 밀핀(75) 및 제2 밀핀(80)의 순차적 상승은 짧은 시간 내에 동작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으나, 이후에 작업자의 손에 의해 또는 로봇 암(미도시)의 작동에 의해 하부 코어(66)와 분리되어 돌출된 필터 부재(1)가 취출된다. 또한, 밀판(77)이 원위치로 하강하여 제1 밀핀(75) 및 제2 밀핀(80)도 원위치로 하강한다. 제2 밀핀(80)은 스토퍼(58)에 의해 하강이 제한되므로, 제2 밀핀(80)이 원위치로 복귀하면 그 하단부(81)는 밀판(77)의 상측에 밀판(77)과 이격되게 위치한다.
다음번 필터 부재(1)를 사출 성형하기 위하여, 언와인딩 롤러(51)와 리와인딩 롤러(53)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원단(10)이 우측에서 좌측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동됨으로써, 제1 밀핀(75) 위에 원단(10)의 뚫리지 않은 부분이 겹쳐진다. 비록, 제2 하부 코어부(70)가 원위치로 하강되겠지만 제1 하부 코어부(67)에 가압 밀착되지는 않은 상태이므로 롤러(51, 53) 구동에 의한 원단(10)의 이동은 가능하다. 그리고, 상부 코어(60)(도 6 참조)와 하부 코어(66)가 다시 밀착되도록 상부 원판(55)(도 6 참조)이 하부 원판(57)에 다시 근접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필터 부재 3: 플라스틱 케이스
9: 필터 10: 원단
20: 사출 성형 금형 25: 상판
27: 하판 30: 상부 코어
37: 하부 코어 42: 밀핀

Claims (9)

  1. 둘 중에 적어도 하나가 이동하여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상부 원판 및 하부 원판;
    서로 밀착하여 플라스틱 케이스 형상에 대응되는 캐비티(cavity)가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 원판에 지지되는 상부 코어 및 상기 하부 원판에 지지되는 하부 코어; 및,
    상기 상부 코어 및 상기 하부 코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캐비티에 주입되는 용융 수지가 경화되어 형성되는 플라스틱 케이스에 합착(合着)되는 천 소재의 원단;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 코어는 상기 하부 코어와 밀착된 때 상기 원단에서 상기 플라스틱 케이스에 합착되는 부분을 절삭하는 커팅 엣지(cutting edge)를 구비하여서,
    상기 원단은, 상기 상부 코어 및 상기 하부 코어가 이격되면 그 사이를 가로질러 이동 가능하고, 상기 상부 코어와 상기 하부 코어가 밀착되면 상기 플라스틱 케이스에 합착되는 부분이 절삭되어서, 상기 원단이 절삭된 상태에서 용융 수지가 캐비티에 유입되어서 상기 원단과 합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 금형.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코어와 상기 하부 코어가 서로 이격된 때 사출 성형된 제품을 상기 하부 코어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제품을 위로 밀어내는 밀핀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 금형.
  4. 둘 중에 적어도 하나가 이동하여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상부 원판 및 하부 원판;
    상기 상부 원판에 고정 지지되는 상부 코어;
    상기 상부 원판 및 상기 하부 원판이 서로 가까워진 때 상기 상부 코어에 밀착하여 플라스틱 케이스 형상에 대응되는 캐비티(cavity)가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하부 원판에 고정 지지되는 제1 하부 코어부와, 상기 제1 하부 코어부에 대해 이격 가능하게 밀착되는 제2 하부 코어부를 구비한 하부 코어; 및,
    상기 제1 하부 코어부와 상기 제2 하부 코어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캐비티에 주입되는 용융 수지가 경화되어 형성되는 플라스틱 케이스에 합착(合着)되는 천 소재의 원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하부 코어부는 상기 제1 하부 코어부와 상기 제2 하부 코어부가 밀착된 때 상기 원단에서 상기 플라스틱 케이스에 합착되는 부분을 절삭하는 커팅 엣지(cutting edge)를 구비하고,
    상기 원단은, 상기 제1 하부 코어부 및 상기 제2 하부 코어부가 이격되면 그 사이를 가로질러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1 하부 코어부 및 상기 제2 하부 코어부가 밀착되면 상기 플라스틱 케이스에 합착되는 부분이 절삭되어서, 상기 원단이 절삭된 상태에서 용융 수지가 캐비티에 유입되어서 상기 원단과 합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 금형.
  5. 삭제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코어와 상기 하부 코어가 서로 이격된 때 사출 성형된 제품을 상기 하부 코어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상승하여 상기 제품을 위로 밀어 올리는 제1 밀핀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 금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부 코어부를 상기 제1 하부 코어부에 대해 이격시키는 수단은 상기 제2 하부 코어부를 위로 밀어 올리기 위해 상승하는 제2 밀핀을 구비하고,
    상기 사출 성형 금형은 상기 제1 밀핀과 상기 제2 밀핀을 상승시키는 밀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 금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밀핀이 상기 제2 밀핀보다 더 많이 상승하도록, 상기 상부 코어와 상기 하부 코어가 밀착된 때에는 상기 제1 밀핀이 상기 제2 밀핀보다 상기 밀판에 더 근접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 금형.
  9. 제1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을 이동시키는 수단은, 외주면에 권취된 상기 원단을 풀어 공급하는 언와인딩 롤러(unwinding roller), 및 상기 언와인딩 롤러에서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언와인딩 롤러로부터 공급된 원단을 다시 권취하여 회수하는 리와인딩 롤러(rewinding roller)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 금형.
KR1020120149160A 2012-12-20 2012-12-20 천 삽입 사출용 사출 성형 금형 KR101435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9160A KR101435484B1 (ko) 2012-12-20 2012-12-20 천 삽입 사출용 사출 성형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9160A KR101435484B1 (ko) 2012-12-20 2012-12-20 천 삽입 사출용 사출 성형 금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9941A KR20140079941A (ko) 2014-06-30
KR101435484B1 true KR101435484B1 (ko) 2014-08-28

Family

ID=51130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9160A KR101435484B1 (ko) 2012-12-20 2012-12-20 천 삽입 사출용 사출 성형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54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2162B1 (ko) 2015-12-15 2017-06-29 (주) 한창엔프라 인렛 타입 유압회로용 필터의 사출 성형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58332B2 (ja) * 1989-10-13 1999-02-17 エヌオーケー株式会社 インサート成形方法
JP2001353415A (ja) 2000-06-14 2001-12-25 Central Fine Tool:Kk フィルター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2004345195A (ja) * 2003-05-22 2004-12-09 Terumo Corp フィルター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JP2006142626A (ja) * 2004-11-19 2006-06-08 Central Fine Tool:Kk フィルターエレメント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58332B2 (ja) * 1989-10-13 1999-02-17 エヌオーケー株式会社 インサート成形方法
JP2001353415A (ja) 2000-06-14 2001-12-25 Central Fine Tool:Kk フィルター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2004345195A (ja) * 2003-05-22 2004-12-09 Terumo Corp フィルター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JP2006142626A (ja) * 2004-11-19 2006-06-08 Central Fine Tool:Kk フィルターエレメント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2162B1 (ko) 2015-12-15 2017-06-29 (주) 한창엔프라 인렛 타입 유압회로용 필터의 사출 성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9941A (ko) 2014-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8943B1 (ko) 사출물의 게이트 절단 및 연마장치
KR101519949B1 (ko) 언더컷을 갖는 제품 형성용 사출 성형 금형
KR101335530B1 (ko) 언더컷을 갖는 제품 형성용 사출 성형 금형
KR101435484B1 (ko) 천 삽입 사출용 사출 성형 금형
KR101481454B1 (ko) 전자기기 케이스의 커버 내부재 사출 성형 금형 및 이를 이용한 커버 내부재 형성 방법
CN103158231A (zh) 注射模具
CN204894416U (zh) 一种注塑模具
CN103909630A (zh) 司筒顶出机构
KR101624301B1 (ko) 천 부착 사출물 성형 금형
KR20150109913A (ko) 사출 성형용 금형장치의 게이트 스크랩 커팅 시스템
KR200478771Y1 (ko) 이중 사출품 취출용 코어장치
KR20130139388A (ko) 용기입구측의 사출물 런너 절단장치
CN103692610A (zh) 电容管件模具注塑成型机构
KR101474503B1 (ko) 전자기기 케이스의 커버 내부재 사출 성형 금형 및 이를 이용한 커버 내부재 형성 방법
CN104015313B (zh) 注塑成型模具的抽芯机构
CN207643564U (zh) 注塑包胶自动化设备
CN103171100A (zh) 模内自动剪切浇口机构
KR102076490B1 (ko) 버어 제거가 가능한 성형 장치
KR101170044B1 (ko) 내측 원형 언더컷 처리 구조를 갖는 사출금형 및 사출물 취출 방법
KR101277318B1 (ko) 나사성형용 사출금형
CN102458793B (zh) 制造齿轮的方法、成形装置及成形模
CN216658724U (zh) 一种联动脱模结构及其模具
CN203267097U (zh) 一种双分型面注射模具
JP6207378B2 (ja) 成形品の製造方法
CN211518309U (zh) 一种水晶底座上盖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