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4655B1 - 보관 및 관리가 용이한 어린이용 책상 - Google Patents

보관 및 관리가 용이한 어린이용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4655B1
KR101434655B1 KR1020110062241A KR20110062241A KR101434655B1 KR 101434655 B1 KR101434655 B1 KR 101434655B1 KR 1020110062241 A KR1020110062241 A KR 1020110062241A KR 20110062241 A KR20110062241 A KR 20110062241A KR 101434655 B1 KR101434655 B1 KR 101434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k
leg
top plate
legs
desk t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2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1473A (ko
Inventor
이보환
Original Assignee
이보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보환 filed Critical 이보환
Priority to KR1020110062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4655B1/ko
Publication of KR20130001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1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4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4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3/00Children's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03Connecting table tops to 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6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separable part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용 책상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책상다리를 분리결합이 가능토록 하여 분리된 다리를 책상 상판에 수납하여 보관 및 관리가 용이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책상의 상판 이면으로 책상다리를 분리결합이 가능토록 하고 내측으로 분리된 책상다리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를 형성함으로써 책상다리를 수납부에 간단한 끼움으로 고정토록 하고 상기 수납부의 양측으로 수납부에 끼워진 책상다리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파지를 위한 만곡홈을 형성함으로써 보관 및 관리가 용이한 것이다.

Description

보관 및 관리가 용이한 어린이용 책상{A kid desk}
본 발명은 유아용 책상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책상다리를 분리결합이 가능토록 하여 분리된 다리를 책상 상판에 수납하여 보관 및 관리가 용이토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린이용 책상은 간단한 동화책을 읽거나 낙서를 하는 등의 공부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책상의 구조는 책이나 물건을 올려놓을 수 있는 상판(100)과 상기 상판(100)의 이면 모서리 부분 하단으로 다리(200)가 형성되어 상판(100)이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떠 있도록 된 것이다.
그리고 책상다리(200)가 대부분 책상상판(100)의 이면으로 나사에 의해 고정결합되거나 경첩에 의하여 절첩가능토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책상다리(200)가 고정결합될 경우에는 책상을 사용하지 않을 때 보관이 용이치 못하기 때문에 대부분은 책상다리(200)가 절첩되는 구조를 많이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다리(200)가 절첩되는 책상은 보관이 용이하면서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책상다리(200)가 경첩에 의하여 절첩되는 구조가 장시간 사용하게 될 경우나 아이들이 책상에 올라갈 경우나 심한 장난을 치게되면 나사 등으로 고정결합된 경첩부분이 헐거워지거나 무게하중을 견뎌내지 못하고 부러짐이 발생되어 책상을 사용하지 못하게 된다라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책상다리를 상판에서 간단하게 분리결합 가능토록 하고 분리된 다리를 상판에 수납하여 상판과 같이 보관토록 함으로써 분실을 방지하면서 보관이 용이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책상의 상판 이면의 각 모서리와 책상다리의 상단에는 가압에 의한 끼임방식 또는 조임에 의하여 결합되는 결합수단이 형성되고 이면 내측으로 일정간격으로 책상다리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형성토록 함으로써 책상으로 사용하다가 간단하게 책상다리를 상판에서 분리한 후 수납공간으로 책상다리를 간단한 끼움으로 고정토록 한 것이다.
또한 수납부에 끼워진 책상다리가 끼워진 상태에서 임의대로 이탈되지 않도록 수납부에 끼임돌부를 형성토록 한 것이다.
또한 수납공간에 끼워진 책상다리를 분리하기 위하여 양측으로 만곡홈을 형성하여 책상다리의 분리를 위한 파지가 용이토록 함으로써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책상 상판과 책상다리의 분리가 간단하게 끼임이나 조임에 의하여 분리 결합토록 하여 사용이 용이하고 분리되어진 책상다리를 책상 상판과 같이 보관토록 하여 책상다리를 분실하지 않고 사용할 때 바로 사용이 가능하여 보관 및 관리가 용이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책상상판에 다리가 수납되는 상태의 이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책상 상판에 다리 수납부가 형성된 이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책상상판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리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확대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책상다리 수납부가 또 다른 형태로 배열된 이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책상상판에 서랍이 형성된 이면사시도.
도 7 및 도 8은 종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조립상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책상상판(10) 이면의 각 모서리와 책상다리(20)에는 서로 맞물리도록 가압에 의한 끼임방식 또는 조임에 의하여 결합되는 결합수단(11,21)이 각각 형성되고 책상상판(10)의 이면 모서리의 내측으로는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책상다리(20)를 수납할 수 있는 다수개의 수납부(12,12a,12b,12c)가 형성된 구성이다.
이때 상기 책상상판(10)과 책상다리(20)의 분리결합을 위한 결합수단(11,21)으로 책상상판(10)의 이면 모서리 부분에는 결합홀(11)을 형성하고 책상다리(20)의 선단에는 상기 결합홀(11)로 조임으로 끼워지는 결합돌부(21)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책상상판(10)의 이면의 모서리에 형성된 결합홀(11)과 책상다리(20)의 선단에 형성된 결합돌부(21)는 가압에 의한 끼임방식이나 나사 조임식으로 형성되어 간단하게 분리,결합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상기 결합돌부(21)의 직경은 책상다리(2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결합홀(11)에 결합될 경우에 이러한 직경의 차이에 의한 단차로 인하여 일정한 결합길이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책상다리(20)가 수납되는 책상상판(10) 이면에 일정간격으로 배열되게 형성된 다수개의 수납부(12,12a,12b,12c)는 책상다리(20)의 길이와 폭이 동일하게 형성되어 책상다리(20)가 수납부(12,12a,12b,12c)에 정확하게 끼워져 유동이 발생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수납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수납부(12)에 수납된 책상다리(20)가 정확하게 끼워져 유동이 발생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수납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각각의 다수개의 수납부(12,12a,12b,12c)의 중앙 부분에는 각각의 수납부(12,12a,12b,12c)의 좌우양변의 상단 내측방향으로 소정각도로 경사진 걸림돌부(13)를 좌,우 양측으로 대칭되게 형성함으로써 원통형의 책상다리(20)가 상기 각각의 다수개의 수납부(12,12a,12b,12c)에 수납된 상태에서는 걸림돌부(13)에 의해 임의대로 빠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즉, 대칭되게 형성된 걸림돌부(13)의 개구되어진 간격 폭이 책상다리(20)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더 좁기 때문에 가압에 의하여 책상다리(20)를 끼워넣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것은 걸림돌부(13)가 책상다리(20)가 끼워진 상태에서 책상다리(20)의 중앙보다 약간 상측을 지지하게 되면서 유동이 발생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이 된 상태로 수납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책상다리(20)가 상기 각각의 다수개의 수납부(12,12a,12b,12c)에 가압에 의해 끼임이 용이하도록 원기둥의 형상으로 제작됨으로써 책상다리(20)의 표면이 원통형의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각각의 다수개의 수납부(12,12a,12b,12c)의 걸림돌부(13)에 끼임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각각의 다수개의 수납부(12,12a,12b,12c)에 끼워진 책상다리(20)가 끼워진 상태에서 분리를 할 때 분리가 용이하도록 상기 각각의 다수개의 수납부(12,12a,12b,12c)의 중앙으로는 상기 각각의 다수개의 수납부(12,12a,12b,12c)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만곡홈(14)을 형성하게 됨으로써 이러한 만곡홈(14)으로 손가락을 삽입하여 책상다리(20)의 집어냄이 용이하여 책상다리(20)를 잡은 상태에서 당기면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만곡홈(14)은 가능하면 대칭되게 좌,우 양측으로 대칭되게 형성된 걸림돌부(13)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사용이 더욱 용이한 것이고, 상기 각각의 다수개의 수납부(12,12a,12b,12c)의 좌우양변(12,12c)으로는 만곡면(14a)을 형성하여 상기 좌우양변에 위치되는 수납부(12,12c)에 수납된 책상다리의 취급이 용이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각각의 다수개의 수납부(12,12a,12b,12c)의 형성을 수직, 수평, 마름모 등이 다양하게 배열되도록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디자인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책상상판(10)과 책상다리(20)는 내측으로 공간이 형성되는 블로우 성형으로 제작됨으로써 아이들이 사용하는 제품이기 때문에 무게 중량을 가볍게 하면서도 충격에 의한 부상을 방지하게 되고 또한 책상으로서의 어느 정도 무게하중을 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책상상판(10)과 책상다리(20)는 블로우 성형으로 도면이 도시되어 있지만 목재가공이나 플라스틱 성형으로도 제작이 가능하며, 이러한 목재가공이나 플라스틱으로 성형되어도 본 발명의 목적을 동일하게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책상상판(10)의 이면의 정면에 아이들이 간단한 물건이나 필기구를 수납할 수 있는 슬라이드로 개폐되는 서랍(15)을 장착토록 함으로써 사용을 더욱 용이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에 상술한 바와 같이 책상으로 사용하다가 보관을 위하여 책상상판(10)에서 책상다리(20)를 간단하게 분리하여 분리된 책상다리(20)를 책상상판(10)의 이면에 형성된 수납부(12,12a,12b,12c)에 수납하게 됨으로써 보관 및 관리가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10: 책상상판 11: 결합홀
12: 수납부 13: 걸림돌부
14: 만곡홈 15: 서랍
20: 책상다리 21: 결합돌부

Claims (5)

  1. 공간이 형성되는 블로우 성형으로 제작되는 책상상판(10)의 이면으로 책상다리(20)와 동일한 길이와 폭으로 형성되어 책상다리(20)가 탈착가능하게 수납되는 다수개의 수납부(12,12a,12b,12c)가 일정간격으로 배열되게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다수개의 수납부(12,12a,12b,12c)가 형성된 외측의 책상상판의 이면의 4개의 모서리에는 책상다리(20)가 결합되는 결합홀(11)이 형성된 책상상판(10)과
    상기 책상상판(10)의 이면의 4개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 결합홀(11)에 나사식으로 분리,결합되도록 선단에 책상다리(20)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결합돌부(21)가 형성된 책상다리(20)와
    상기 책상다리(20)를 수납하도록 책상상판(10)의 이면에 형성된 각각의 다수개의 수납부(12,12a,12b,12c)의 중앙에는 상기 각각의 다수개의 수납부(12,12a,12b,12c)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수납된 책상다리(20)의 분리가 용이토록 하기 위한 손가락이 삽입되게 만곡홈(14)이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다수개의 수납부(12,12a,12b,12c)의 좌우변에 위치되는 수납부(12,12c)의 외측으로만 만곡면(14a)으로 형성되며,
    상기 중앙에 형성된 만곡홈(14)의 상하단의 각각의 수납부(12,12a,12b,12c)의 좌우 양변의 상단에는 내측방향으로 소정각도로 경사지도록 돌출된 걸림돌부(13)를 형성하여 책상다리(20)가 걸림돌부(13)에 걸려져 수납된 상태에서 임의로 빠지지 않도록 하여 책상다리(20)를 책상상판(10)에 간단하면서 안정적으로 보관되는 보관 및 관리가 용이한 어린이용 책상.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10062241A 2011-06-27 2011-06-27 보관 및 관리가 용이한 어린이용 책상 KR101434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2241A KR101434655B1 (ko) 2011-06-27 2011-06-27 보관 및 관리가 용이한 어린이용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2241A KR101434655B1 (ko) 2011-06-27 2011-06-27 보관 및 관리가 용이한 어린이용 책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473A KR20130001473A (ko) 2013-01-04
KR101434655B1 true KR101434655B1 (ko) 2014-08-26

Family

ID=47834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2241A KR101434655B1 (ko) 2011-06-27 2011-06-27 보관 및 관리가 용이한 어린이용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46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3373B1 (ko) * 2015-11-27 2020-05-20 주식회사 아이엠랩 휴대용 심폐소생술 훈련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79072A (en) * 1998-03-13 1999-03-09 Huang; Yung Hsu Tool box having a light device
JP2000175746A (ja) * 1998-12-17 2000-06-27 Imotani:Kk 携行用折り畳みテーブル
JP3157853U (ja) * 2009-12-17 2010-03-04 敬子 鹿野 バッグ形式組立式家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79072A (en) * 1998-03-13 1999-03-09 Huang; Yung Hsu Tool box having a light device
JP2000175746A (ja) * 1998-12-17 2000-06-27 Imotani:Kk 携行用折り畳みテーブル
JP3157853U (ja) * 2009-12-17 2010-03-04 敬子 鹿野 バッグ形式組立式家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473A (ko) 2013-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64488B2 (en) Storage rack
US20130068762A1 (en) Assembled Box
KR101434655B1 (ko) 보관 및 관리가 용이한 어린이용 책상
KR101449803B1 (ko) 게임이 구비된 유아용 책상
US9687117B1 (en) Medicine cabinet organizer device
JP5909072B2 (ja) トレー及びその収納棚
US6840436B2 (en) Folding collapsible box
KR101725491B1 (ko) 스프링락, 꼭지 스프링락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애완동물용 가구
JP5614694B1 (ja) 収納装置
KR200482454Y1 (ko) 전면 책꽂이 선반
JP2016007498A (ja) 収納ケース及び収納ケース積重ね連結構造
US10414574B2 (en) Container for card(s) booklet-like items and having a symbolic person-like shape
US20220192370A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a stand
JP3161928U (ja) 収納ケース
JP3217393U (ja) ベビーベッド構造改良
CN209733215U (zh) 一种多功能儿童桌
JP6764350B2 (ja) 収納ケース
JP4505209B2 (ja) 引出し用筆記具トレー装置
KR101286986B1 (ko) 뒤집어 사용 가능한 상판을 구비한 가구
CN203854921U (zh) 摺叠式餐盘收纳箱
JP3196935U (ja) 収納ケース
KR200475803Y1 (ko) 중첩 보강형 다용도 수납구조물
JP2013059393A (ja) 収納ラック用の板材、及びこれを使用した収納ラック
JP4457103B2 (ja) 机および本棚を有するシステム家具ならびに机と本棚の組合せ構造
US20160029818A1 (en) Holder for used plastic ba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