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803Y1 - 중첩 보강형 다용도 수납구조물 - Google Patents

중첩 보강형 다용도 수납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803Y1
KR200475803Y1 KR2020130007667U KR20130007667U KR200475803Y1 KR 200475803 Y1 KR200475803 Y1 KR 200475803Y1 KR 2020130007667 U KR2020130007667 U KR 2020130007667U KR 20130007667 U KR20130007667 U KR 20130007667U KR 200475803 Y1 KR200475803 Y1 KR 2004758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ods
stacked
stack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76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범진
Original Assignee
박범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범진 filed Critical 박범진
Priority to KR20201300076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8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8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80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2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stackable ; stackable and linkable
    • A47B87/0284Cabinet systems consisting of stacked-and-linked uniform casings, each being a cabinet or drawer-holder, e.g. lockers, mail/file box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2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stackable ; stackable and linkable
    • A47B87/0207Stackable racks, trays or shelf units
    • A47B87/0215Stackable frames, or frame elements, with upright parts connected by inserting the ends or tips of the uprights, e.g. at the corners, into the uprights of the next frame or frame element, e.g. coaxial tubular e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중첩 보강형 다용도 수납구조물은, 서로 적층되는 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결합봉들이 서로 중첩되는 방식으로 양쪽면이 전체적으로 결합될 수 있게 구성되므로, 수납구조물 사이의 결합력이 크게 향상되어 적층 높이가 높아지더라도 보다 안정적인 적층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중첩 보강형 다용도 수납구조물{Multi-purpose storage box reinforced by stacking}
본 고안은 여러 가지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여러 개의 수납구조물을 적층시켜 사용할 수 있는 다용도 수납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수납구조물은 선반, 수납박스, 책장, 진열장, 사물함, 보관대 등을 통칭하는 것으로, 플라스틱, 목재, 철재 등으로 제작되어 그 내부에 물품 등을 보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수납구조물은 독립적으로 이용되는 단일 수납구조물도 있으나, 여러 개를 쌓거나 연결하여 사용하는 적층형 수납구조물도 있다.
적층형 수납구조물은 일반적인 컬러박스와같이 단순히 박스를 올려서 적층하거나 서로 붙여서 사용하는 것도 있으나, 수납구조물이 적층될 때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서로 끼워지는 결합부가 구성되어 있는 수납구조물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결합부를 갖는 적층형 수납구조물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288118호, 등록특허 10-0402809 등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납박스들의 상호 적층면에 요철 구조의 결합부가 구성되거나, 어느 한쪽에 걸림판 등을 구성하여 상호 결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적층형 수납구조물은 대부분 적층 부분이 막혀 있는 판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이 판형구조물의 일부분에만 요철 방식으로 결합부가 구성되기 때문에 적층 수납구조물의 안정성을 높이는 데는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적층형 수납구조물은 부분 결합식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결합력이 약해서, 수납구조물을 많이 적층시켜 전체적으로 높이가 높아지게 되면, 흔들림이 심해지거나 무너질 수 있는 등 안정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서로 적층되는 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결합봉들이 서로 중첩되는 방식으로 양쪽면이 전체적으로 결합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수납구조물 사이의 결합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적층 높이가 높아지더라도 보다 안정적인 적층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중첩 보강형 다용도 수납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수납구조물을 적층하지 않을 때는 바닥면 등이 개방되어 있는 개방 구조로 이용하고, 적층할 때는 상호 중첩된 결합봉들에 의해 막힌 구조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다양성을 제공할 수 있는 중첩 보강형 다용도 수납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중첩 보강형 다용도 수납구조물은, 육면체 구조의 모서리 부분을 구성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육면체 구조의 적어도 일면에 구성되어, 다른 수납구조물의 일면과 결합되는 중첩부를 포함하되,
상기 중첩부는, 양단부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결합봉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봉들은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어 다른 수납구조물의 결합봉들 사이에 서로 끼워져 수납구조물의 경계면을 구성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봉들은 상호 중첩되어 형성되는 면이 하나의 평면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납구조물은 일면에 배치된 결합봉들이 상기 프레임이 형성하는 일면으로부터 바깥쪽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 구조로 구성되고, 이렇게 돌출된 결합봉들(이하 '돌출 결합봉'이라 함)이 결합되는 다른 수납구조물의 결합봉들(이하 '비돌출 결합봉'이라 함)은 프레임이 형성하는 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은 비돌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납구조물은 상기 돌출 결합봉으로 이루어진 중첩부와 상기 비돌출 결합봉으로 이루어진 중첩부를 모두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납구조물은 상기 프레임에 맞춤부가 형성되어 다른 수납구조물의 프레임에 형성된 맞춤부와 요철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납구조물을 받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수납구조물의 중첩부와 결합되는 중첩부를 갖는 사각틀과, 이 사각틀에 고정된 복수의 다리로 구성된 받침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주요한 과제 해결 수단들은, 아래에서 설명될 '고안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 또는 첨부된 '도면' 등의 예시를 통해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설명될 것이며,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은 주요한 과제 해결 수단 외에도, 본 고안에 따른 다양한 과제 해결 수단들이 추가로 제시되어 설명될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중첩 보강형 다용도 수납구조물은, 다른 수납구조물을 올려만 놓으면 별도의 고정 장치 없이 양쪽의 결합봉들이 중첩되면서 안정적으로 적층되기 때문에 보다 편리하게 수납구조물을 적층시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중첩 보강형 다용도 수납구조물은, 다수의 결합봉들이 상호 중첩되는 방식으로 적층될 수 있게 구성되기 때문에 적층시 양쪽면이 대부분 결합되어 수납구조물간의 결합 강도가 크게 향상되고, 이에 따라 수납구조물의 적층 높이가 높아지더라도 보다 안정적인 적층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적층 수납구조물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중첩 보강형 다용도 수납구조물은, 결합봉들이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수납구조물을 적층하지 않을 때는 개방 구조로 이용이 가능하고, 수납구조물을 적층할 때는 상호 중첩된 결합봉들에 의해 막힌 구조로 이용할 수 있게 되어, 수납구조물 사용의 다양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중첩 보강형 다용도 수납구조물의 적층 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첩 보강형 다용도 수납구조물이 적층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중첩 보강형 다용도 수납구조물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 방향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중첩 보강형 다용도 수납구조물의 적층 전 상태를 보여주는 주요부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중첩 보강형 다용도 수납구조물의 적층 시 상태를 보여주는 주요부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중첩 보강형 다용도 수납구조물에 이용되는 받침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첩 보강형 다용도 수납구조물의 적층 전 상태를 보여주는 주요부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첩 보강형 다용도 수납구조물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첩 보강형 다용도 수납구조물을 설명한다.
참고로, 도 1과 도 2에서는 받침대(50) 위에 두 개의 수납구조물(10)(10A)이 연속하여 적층되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고, 도 3은 하나의 수납구조물(10), 도 4는 수납구조물(10)의 측단면도, 도 5 및 도 6은 수납구조물(10)(10A)의 적층 전 및 적층시의 주요부 정면도, 도 7은 받침대(50)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구조물(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면체 구조의 모서리 부분을 구성하는 프레임(11)과, 이 프레임(11)에 양단부가 고정된 결합봉(16)들로 이루어진다.
프레임(11)은 4개의 지지대(11a)와, 이 지지대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결합된 상부 사각틀(11b) 및 하부 사각틀(11d)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프레임(11)으로 형성되는 육면체 구조의 상면과 밑면에는 다른 수납구조물(도 1 참조; 10A)의 중첩부(15A)와 결합되는 중첩부(15)가 구성되는데, 이 중첩부(15)는 상기 결합봉(16)들이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어 다른 수납구조물(10A)의 결합봉(16)들 사이에 서로 끼워져 수납구조물(10)의 경계면 즉, 본 실시예에서는 바닥면 또는 상부면을 구성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중첩부(15)는 결합봉(16)과 결합봉(16) 사이가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도 2에서와 같이 상하로 수납구조물(10)(10A)이 상호 적층될 때 상하측 양쪽 결합봉(16a)(16b)들이 서로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수납구조물의 중첩부(15) 부분이 막혀, 수납을 위한 바닥면 또는 상부면을 구성하게 된다.
이를 위해, 각 수납구조물(10)의 결합봉(16) 사이의 간격은 그 사이로 삽입될 다른 수납구조물(10A)의 결합봉(16)의 폭과 동일하거나 약간 크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두 개의 수납구조물(10)(10A)이 상호 적층되어 상측 및 하측 결합봉(16)들이 상호 중첩 방식으로 결합될 때, 상호 결합되는 결합봉(16)들에 의해 형성되는 면은 도 2 및 도 6에서와 같이 하나의 평면(F)을 이루도록 결합봉(16)의 높이 등이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구조물(10)의 상측 중첩부(15)를 구성하는 결합봉(16)은 프레임(11)이 이루는 상면으로부터 위쪽으로 일정정도 돌출되는 돌출 결합봉(16a)으로 구성되고, 하측 중첩부(15)를 구성하는 결합봉(16)은 프레임(11)이 이루는 밑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비돌출 결합봉(16b)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수납구조물(10)의 밑면을 비돌출 결합봉(16b)으로 구성하게 되면, 프레임(11)의 밑면과 결합봉(16b)의 밑면이 같아져서 받침대(50) 없이 수납구조물(10)만 사용하는 경우에도 설치할 바닥 위에 안정되게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5 및 도 6은 상기한 바와 같이 돌출 결합봉(16)과 비돌출 결합봉(16)이 각각 구성된 두 개의 수납구조물(10)(10A)의 적층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와는 달리, 도 8에 예시된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두 수납구조물(10)(10A)의 상면과 밑면 양쪽 모두를 돌출 결합봉(16a)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4에서는 결합봉(16)의 양단부가 프레임(11)에 고정된 상태를 보여주는데, 프레임(11)을 구성하는 사각틀(11b)(11d)의 내측 면은 도면에서와 같이 단면이'ㄴ'자 구조를 갖는 장착면(11c)(11e)을 각각 구성하여, 결합봉(16)의 양단부가 프레임(11)에 보다 안정되게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11)에 형성된 장착면(11c)(11e)은 다른 수납구조물의 결합봉(16)이 삽입되어 결합될 때, 스토퍼 기능을 수행하여 도 2 및 도 6에서와 같이 결합봉(16a,16b)들이 이루는 면이 하나의 평면(F)이 되도록 보조할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수납구조물(10)은, 상기 프레임(11)의 지지대(11a)에 맞춤부(12)가 형성되어 다른 수납구조물(10A)의 프레임(11)에 형성된 맞춤부(13)와 요철 방식으로 결합되게 구성될 수 있는데, 이 맞춤부(12)(13)들은 한 쪽 수납구조물(10)에는 돌출부(12)로 구성되고, 다른 쪽 수납구조물(10A)에는 상기 돌출부(12)가 삽입되는 홈부(13)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적층된 수납구조물(10)(10A)을 완전히 고정하는 방법은 상호 밀착되는 양쪽 프레임(11)에 구멍을 형성하여 고정핀(미도시)을 삽입하여 고정하거나, 나사 등 체결부재(미도시)를 이용하여 완전히 고정시키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제, 도 7을 참조하여, 수납구조물(10)을 받칠 수 있도록 구성된 받침대(50)에 대하여 설명한다.
받침대(50)는 수납구조물(10)의 하측 중첩부(15)와 결합되는 중첩부(55)를 갖는 사각틀(53)과, 이 사각틀(53)에 고정된 4 개의 다리부(51)로 구성된다.
여기서, 중첩부(55)는 사각틀(53)에 양단부가 고정된 결합봉(56)들로 구성되고, 이 결합봉(56)들은 앞서 설명한 돌출 결합봉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부호 52는 맞춤부로서, 도 1에서 수납구조물(10)의 홈부(13)에 끼워지는 돌출부를 나타낸다.
이러한 받침대(50)는 반드시 필요한 구성은 아니나, 수납구조물(10)을 바닥으로부터 어느 정도 떨어진 상태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수납구조물(10)의 하부 중첩부(15)와 상호 결합됨으로써 수납구조물(10)의 밑면을 막아주는 기능도 하게 된다. 또한 다리부(51)를 통해 바닥과 어느 정도 공간을 형성하게 되므로 수납구조물의 배치된 바닥을 보다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다용도 수납구조물(10B)의 측면과 뒷면에 탈부착 가능한 가로대(14a)(14b)가 설치된 구성을 보여준다.
이와 같이 수납구조물(10B)에 가로대(14a)(14b)를 설치하게 되면, 수납구조물 내에 수납된 물건이 측면이나 뒤쪽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책꽂이 등 보다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해진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여러 실시예에서는 수납구조물(10)의 전면, 양측면, 뒷면에 모두 개방된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양측면, 뒷면에 판재 구조물을 설치하여, 양측면과 뒷면이 막힌 구조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전면은 개방된 구조로 그대로 두거나 도어를 설치하여 개폐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여러 실시예에서는 수납구조물(10)(10A)이 상하로 적층되어 중첩부(15)가 상면과 밑면에 구성되는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수납구조물의 양측면 쪽에도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결합봉(16)을 갖는 중첩부(15)를 구성하여, 수납구조물(10)들을 좌우로 배치할 때도 서로 안정되게 결합될 수 있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수납구조물(10)을 구성하는 프레임(11)과 결합봉(16)은 모두 목재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일부 또는 전체를 다른 소재 즉, 플라스틱, 철재 등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도면 및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10A, 10B : 수납구조물 11 : 프레임
12, 13 : 맞춤부 14a, 14b : 가로대
15 : 중첩부 16 : 결합봉
16a : 돌출 결합봉 16b : 비돌출 결합봉
50 : 받침대 51 : 다리부
52 : 맞춤부 53 : 사각틀
55 : 중첩부 56 : 결합봉

Claims (6)

  1. 육면체 구조의 모서리 부분을 구성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육면체 구조의 적어도 일면에 구성되어, 다른 수납구조물의 일면과 결합되는 중첩부를 포함하되,
    상기 중첩부는, 양단부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결합봉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봉들은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어 다른 수납구조물의 결합봉들 사이에 서로 끼워져 수납구조물의 경계면을 구성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봉들은 상호 중첩되어 형성되는 면이 하나의 평면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상기 수납구조물은 일면에 배치된 결합봉들이 상기 프레임이 형성하는 일면으로부터 바깥쪽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 구조로 구성되고,
    이렇게 돌출된 결합봉들이 결합되는 다른 수납구조물의 결합봉들(이하 '비돌출 결합봉'이라 함)은 프레임이 형성하는 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은 비돌출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수납구조물은 상기 돌출된 결합봉으로 이루어진 중첩부와 상기 비돌출 결합봉으로 이루어진 중첩부를 모두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납구조물을 받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수납구조물의 중첩부와 결합되는 중첩부를 갖는 사각틀과, 이 사각틀에 고정된 복수의 다리로 구성된 받침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첩 보강형 다용도 수납구조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납구조물은 상기 프레임에 맞춤부가 형성되어 다른 수납구조물의 프레임에 형성된 맞춤부와 요철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첩 보강형 다용도 수납구조물.
  6. 삭제
KR2020130007667U 2013-09-12 2013-09-12 중첩 보강형 다용도 수납구조물 KR2004758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667U KR200475803Y1 (ko) 2013-09-12 2013-09-12 중첩 보강형 다용도 수납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667U KR200475803Y1 (ko) 2013-09-12 2013-09-12 중첩 보강형 다용도 수납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5803Y1 true KR200475803Y1 (ko) 2015-01-05

Family

ID=52588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7667U KR200475803Y1 (ko) 2013-09-12 2013-09-12 중첩 보강형 다용도 수납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803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70641A1 (en) * 2000-12-08 2002-06-13 Ragan Sean Michael Two-way stacking and nesting book boxes with interposing slat construction
KR20020072923A (ko) * 2001-03-13 2002-09-19 신복산업 주식회사 적층식 책장
US20090159545A1 (en) 2007-12-20 2009-06-25 Jakie Shetler Storage Rack Decking Derived from a Single Sheet of Sheet Metal
KR20110012879A (ko) * 2009-07-31 2011-02-09 허윤 조립식 수납장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70641A1 (en) * 2000-12-08 2002-06-13 Ragan Sean Michael Two-way stacking and nesting book boxes with interposing slat construction
KR20020072923A (ko) * 2001-03-13 2002-09-19 신복산업 주식회사 적층식 책장
US20090159545A1 (en) 2007-12-20 2009-06-25 Jakie Shetler Storage Rack Decking Derived from a Single Sheet of Sheet Metal
KR20110012879A (ko) * 2009-07-31 2011-02-09 허윤 조립식 수납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15937A1 (zh) 拼接式多功能塑料托盘
CA2828742C (en) Attachment frame
JP3189040U (ja) 座椅子としても使える折り畳み式収納箱
JP5780873B2 (ja) 収納箱兼用折り畳み陳列台及びその使用方法
KR200473086Y1 (ko) 헹거가 장착된 조립식 플라스틱 수납박스.
KR200475803Y1 (ko) 중첩 보강형 다용도 수납구조물
KR100823656B1 (ko) 다단으로 적층 가능한 수납상자
KR200473130Y1 (ko) 조립식 수납장
KR20120003264U (ko) 다목적 다단 부품 보관함
KR101597738B1 (ko) 수납박스
JP2020092756A (ja) 収納棚
KR200480217Y1 (ko) 테이블 겸용 수납박스
KR200468117Y1 (ko) 포장 케이스
JP7376154B2 (ja) チェスト
KR101855072B1 (ko) 박스 겸용 조립식 파레트의 결합방법 및 그 결합구조
KR20090011173U (ko) 선반 일체형 플라스틱 서랍장
KR20100053496A (ko) 다단 적층 조립이 가능한 파렛트
JP2023026833A (ja) 収納体
JP2008247453A (ja) コンテナ
KR101806018B1 (ko) 목재부가 구비된 금속팔레트
KR100971285B1 (ko) 파레트의 모서리 연결구조
JP5393499B2 (ja) キャビネット用フレーム体およびキャビネット用フレーム体の組立方法
US8292106B2 (en) Mountable and demountable stackable container having vertical plastic walls and stiff flat bottom
TWM596002U (zh) 餐桌
JP3126126U (ja) 折り畳み、組み立て可能な収納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