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3807B1 - 빌릿 양단부를 동시에 가공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빌릿 양단부를 동시에 가공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3807B1
KR101433807B1 KR1020130012829A KR20130012829A KR101433807B1 KR 101433807 B1 KR101433807 B1 KR 101433807B1 KR 1020130012829 A KR1020130012829 A KR 1020130012829A KR 20130012829 A KR20130012829 A KR 20130012829A KR 101433807 B1 KR101433807 B1 KR 101433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llet
processing
cutting tool
tool
chamf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2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0064A (ko
Inventor
강현기
강병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이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이앤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이앤피
Priority to KR1020130012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3807B1/ko
Publication of KR20140100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0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3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3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19/00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rotary discs
    • B23D19/08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rotary discs for special use, e.g. for cutting curves, for chamfering 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19/00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rotary discs
    • B23D19/04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rotary discs having rotary shearing discs arranged in co-operating pairs
    • B23D19/06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rotary discs having rotary shearing discs arranged in co-operating pairs with several spaced pairs of shearing discs working simultaneously, e.g. for trimming or making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33/00Accessories for 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 B23D33/02Arrangements for holding, guiding, and/or feeding work during the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빌릿 양단부를 동시에 가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빌릿 양단부를 동시에 가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경사지게 설치된 이송장치에 의해 빌릿(200)을 하부방향으로 굴림이송하는 빌릿이송단계; 상기 이송단계에 의해 이송된 빌릿(200)을 그립하여 가공베드(123)에 안착시키는 빌릿안착단계; 상기 빌릿안착단계에 의해 가공베드(123)에 안착된 빌릿(200)의 양단부를 절삭공구(140)에 의해 모깍기 가공하는 빌릿가공단계; 상기 빌릿가공단계에 의해 모깍기 가공된 빌릿(200)을 배출하는 빌릿 배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빌릿 양단부를 동시에 가공하는 방법은 빌릿의 양단부를 동시에 모깍기 함으로써 생산성 및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빌릿 양단부를 동시에 가공하는 방법{method of both end portion of billet}
본 발명은 빌릿 양단부를 동시에 가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빌릿의 양단부의 모서리나 측면 또는 내면을 둥근 모따기 하거나 또는 각 모따기를 동시에 하는 빌릿 양단부를 동시에 가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릿 등은 날카로운 코너를 제거하기 위해 직각 모따기 혹은 원형 모따기 공정을 거치게되는 것으로, 종래기술로서 ‘글래스 시이트의 코너 라운딩 기계’(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3-0041814)에 의하면, 전동 모터로 동작되는 공구에 의해 글래스 시이트의 코너를 라운딩하는 기계에 있어서, 전동 모터는, 두 개의 상호 수직 방향으로 수평 이동가능한 제2 지지 구조에 의해 수직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지지 구조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다른 종래기술로서 ‘면취기’(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095508)에 의하면, 면취기는 기판이 로딩(loading)되는 기판 로딩유닛; 단부 영역이 면취 가공된 기판이 언로딩(unloading)되는 기판 언로딩유닛; 및 기판 로딩유닛과 기판 언로딩유닛 사이에 마련되어 기판의 단부 영역을 면취 가공하되, 기판의 단부 영역을 사선 방향으로 챔퍼 가공하는 챔퍼 가공부와, 챔퍼 가공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챔퍼 가공된 기판의 선단부를 폴리싱(polishing) 가공하여 버어(burr)를 제거하는 폴리싱 가공부를 구비하는 면취 가공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면취 가공된 단부에 존재할 수있는 미세 크랙(crack) 또는 버어(burr)를 적절하고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미세 크랙에 의한 모서리 깨짐현상이나 버어에 의한 파티클 불량 발생을 예방할 수 있으며, 특히 통상적인 라운딩 가공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면서도 라운딩 가공에 비해 면취 가공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고 면취 가공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모깍기장치를 이용하여 빌릿의 양단부를 가공할때는 상기 빌릿의 양단부를 동시에 모깍기 가공을 할 수 없어 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생산성 및 작업의 효율성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빌릿의 양단부를 동시에 모깍기 함으로써 생산성 및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빌릿 양단부를 동시에 가공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빌릿 양단부를 동시에 가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빌릿 양단부를 동시에 가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경사지게 설치된 이송장치에 의해 빌릿(200)을 하부방향으로 굴림이송하는 빌릿이송단계; 상기 이송단계에 의해 이송된 빌릿(200)을 그립하여 가공베드(123)에 안착시키는 빌릿안착단계; 상기 빌릿안착단계에 의해 가공베드(123)에 안착된 빌릿(200)의 양단부를 절삭공구(140)에 의해 모깍기 가공하는 빌릿가공단계; 상기 빌릿가공단계에 의해 모깍기 가공된 빌릿(200)을 배출하는 빌릿 배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릿 양단부를 동시에 가공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빌릿 양단부를 동시에 가공하는 방법은 빌릿의 양단부를 동시에 모깍기 함으로써 생산성 및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빌릿 양단부를 동시에 가공하는 방법의 개략도
도2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빌릿 양단부를 동시에 가공하는 장치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장치의 고정척의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장치의 고정척의 정면도
도5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장치의 고정척의 다른 실시례의 정면도
도6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장치의 고정척의 다른 실시례의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장치의 가공베드 및 브이블록의 사용상태도
도8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장치의 절삭공구의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장치인 챔퍼가공툴을 사용하여 가공한 빌릿 끝단부의 단면도
도10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장치인 라디어스가공툴을 사용하여 가공한 빌릿 끝단부의 단면도
본 발명은 빌릿 양단부를 모따기 가공 하되, 빌릿 양단부를 동시에 가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빌릿 양단부를 동시에 가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경사지게 설치된 이송장치에 의해 빌릿(200)을 하부방향으로 굴림이송하는 빌릿이송단계; 상기 빌릿이송단계에 의해 이송된 빌릿(200)을 그립하여 가공베드(123)에 안착시키는 빌릿안착단계; 상기 빌릿안착단계에 의해 가공베드(123)에 안착된 빌릿(200)의 양단부를 절삭공구(140)에 의해 모깍기 가공하는 빌릿가공단계; 상기 빌릿가공단계에 의해 모깍기 가공된 빌릿(200)을 배출하는 빌릿 배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빌릿가공단계에서 상기 빌릿(200)은 고정척(130)에 의해 고정되어 회전되되, 상기 고정척(130)은 한 쌍의 고정척프레임(131)과, 상기 한 쌍의 고정척프레임(131)의 서로 마주보는 일측에 각각 그 일단이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조우(132)와, 상기 조우(132)의 타단에 결합되어 빌릿(200)에 접촉되는 압착패드(13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삭공구(140)는 빌릿(200)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동시에 빌릿(200)의 양단부를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삭공구(140)는 챔퍼가공을 하는 챔퍼가공툴(141)과, 라운드가공을 하는 라디어스가공툴(142)로 구성되되, 상기 빌릿(200)의 일측단부에는 챔퍼가공툴(141)이 설치되고, 타측단부에는 라디어스가공툴(142)이 설치되어 동시에 빌릿(200)의 양단부를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의 빌릿 양단부를 동시에 가공하는 방법의 개략도, 도2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빌릿 양단부를 동시에 가공하는 장치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장치의 고정척의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장치의 고정척의 정면도, 도5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장치의 고정척의 다른 실시례의 정면도, 도6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장치의 고정척의 다른 실시례의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장치의 가공베드 및 브이블록의 사용상태도, 도8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장치의 절삭공구의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장치인 챔퍼가공툴을 사용하여 가공한 빌릿 끝단부의 단면도, 도10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장치인 라디어스가공툴을 사용하여 가공한 빌릿 끝단부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빌릿 양단부를 동시에 가공하는 방법은 빌릿 양단부를 동시에 가공하는 장치에 의한 것으로, 빌릿 양단부를 동시에 가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빌릿 양단부를 동시에 가공하는 장치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부측에서 하부측으로 빌릿을 굴림이송시키는 굴림이송수단(110)과, 상기 굴림이송수단(110)에 의해 이송된 빌릿을 그립(grip)하여 가공베드(123)로 안착시키는 그리퍼(120)와, 상기 가공베드(123)로 안착된 빌릿(200)을 고정하여 회전시키는 고정척(130)과, 상기 고정척(130)에 의해 회전되는 빌릿(200)의 단부를 모깍기 가공하는 절삭공구(140)와, 상기 절삭공구(140)에 의해 가공된 빌릿(200)을 배출하는 배출이송수단(150)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척(130)은 한 쌍의 고정척프레임(131)과, 상기 한 쌍의 고정척프레임(131)의 서로 마주보는 일측에 각각 그 일단이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조우(132)와, 상기 조우(132)의 타단에 결합되어 빌릿(200)에 접촉되는 압착패드(133)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절삭공구(140)는 빌릿(200)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동시에 빌릿(200)의 양단부를 가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절삭공구(140)는 챔퍼가공을 하는 챔퍼가공툴(141)과, 라운드가공을 하는 라디어스가공툴(142)로 구성되되, 상기 빌릿(200)의 일측단부에는 챔퍼가공툴(141)이 설치되고, 타측단부에는 라디어스가공툴(142)이 설치되어 동시에 빌릿(200)의 양단부를 가공하는 것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빌릿 양단부를 동시에 가공하는 방법은 경사지게 설치된 이송장치에 의해 빌릿(200)을 하부방향으로 굴림이송하는 빌릿이송단계; 상기 이송단계에 의해 이송된 빌릿(200)을 그립하여 가공베드(123)에 안착시키는 빌릿안착단계; 상기 빌릿안착단계에 의해 가공베드(123)에 안착된 빌릿(200)의 양단부를 절삭공구(140)에 의해 모깍기 가공하는 빌릿가공단계; 상기 빌릿가공단계에 의해 모깍기 가공된 빌릿(200)을 배출하는 빌릿 배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빌릿 양단부를 동시에 가공하는 방법에서 빌릿(200)을 하부방향으로 굴림이송하는 빌릿이송단계는 굴림이송수단에 의한 것으로, 상기 굴림이송수단은 양단부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설치되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굴림이송수단의 상부측에는 적재대가 구성되며, 상기 적재대에 적재된 빌릿이 굴림이송수단의 기울기를 따라서 굴림이송수단의 상부에서 하부로 굴림이송되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굴림이송단계에 의해 하부측으로 이송된 빌릿(200)은 그리퍼에 의해 그립되어 가공베드에 안착되며, 상기 가공베드(123)에 안착된 빌릿(200)의 양단부에는 절삭공구가 설치되어, 상기 빌릿의 양끝단부를 모깍기 가공하는 하게 되는 것이다.
그 후 상기 절삭공구에 의해 모깍기 가공된 빌릿(200)은 배출이송수단에 의해 배출되어지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빌릿 양단부를 동시에 가공하는 방법은 빌릿 양단부를 동시에 가공하는 장치에 의해 빌릿이 가공되어 지는 것으로, 상기 빌릿 양단부를 동시에 가공하는 장치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부측에서 하부측으로 빌릿을 굴림이송시키는 굴림이송수단과, 상기 굴림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된 빌릿을 그립(grip)하여 가공베드로 안착시키는 그리퍼와, 상기 가공베드로 안착된 빌릿을 고정하여 회전시키는 고정척과, 상기 고정척에 의해 회전되는 빌릿의 단부를 모깍기 가공하는 절삭공구와, 상기 절삭공구에 의해 가공된 빌릿을 배출하는 배출이송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굴림이송수단은 하부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굴림이송수단의 상부측에는 적재대가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적재대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에는 빌릿이 배출되도록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즉, 굴림이송수단은 굴림이송수단의 일단과 타단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설치되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빌릿은 굴림이송수단의 기울기를 따라서 굴림이송수단의 상부에서 하부로 이송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굴림이송수단의 하부에는 스토퍼가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스토퍼는 힌지에 의해 회동하는 구성으로서 빌릿이 굴림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어질때 발생할 수 있는 파손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빌릿이 한꺼번에 굴림이송수단의 하부로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토퍼의 전체적인 형상은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의 수직단면은 ‘
Figure 112013010722910-pat00001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스토퍼에는 삼각형상으로 형성된 이송홈이 형성되어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토퍼는 원기둥형상의 길이방향으로 중심축이 구성되고,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 회동되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의 이송홈은 굴림이송수단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굴림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된 빌릿이 상기 스토퍼의 이송홈에 안착되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이송홈에 안착된 빌릿의 하중에 의해 스토퍼는 시계방향(도2를 참조하면 화살표방향)으로 회동되고, 이에 따라 빌릿이 이송되어지는 것으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홈에는 굴림이송수단에 의해 굴림이송된 빌릿이 안착되고, 상기 빌릿의 하중에 의해 스토퍼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빌릿이 작업대의 공간부로 이송되어지는 것이다.
스토퍼의 회동에 의해 빌릿이 작업대의 공간부로 이송되면 스토퍼에는 빌릿의 하중이 없어지게 되므로 스토퍼는 다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이송홈이 굴림이송수단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것으로, 이 때 상기 스토퍼는 스토퍼에 결합된 관용의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반시계방향(도2를 참조하면 화살표 반대방향)으로 회동되어지는 것이다.
즉, 상기 스토퍼가 빌릿의 하중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동 되고, 스토퍼에 결합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며, 상기와 같은 과정이 반복됨에 따라 상기 빌릿은 작업대의 공간부로 이송되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는 빌릿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완충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스토퍼에 의해 작업대의 공간부로 이송된 빌릿은 그리퍼(gripper)에 의해 가공베드로 이송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그리퍼는 관용의 이송장치로서 일반적으로 부품 등을 안정하고 용이하게 운반하여 생산속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상기 그리퍼는 부품 등을 움켜잡는 핑거와, 상기 핑거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와, 상기 핑거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그리퍼레일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공베드의 상부에는 관용의 브이블록이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브이블록의 수직단면은 ‘
Figure 112013010722910-pat00002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브이블록의 상부에 형성된 브이홈에 원통형의 빌릿이 안착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빌릿이 그리퍼에 의해 가공베드의 브이블록에 안착되면 빌릿은 고정척에 의해 고정 및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공베드를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 상기 가공베드가 수직으로 움직임에 따라 가공베드의 상부에 구성된 브이블록도 함께 수직이동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작업자는 상기 빌릿의 크기에 따라 가공베드의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빌릿이 고정척에 의해 고정되어 회전되어질 때, 가공베드 및 브이블록의 높이를 낮춰줌으로써, 빌릿이 회전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마찰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빌릿을 고정시키는 고정척은 공압 또는 유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중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관한 것이나, 본 발명에서는 실시례로서 유압으로 작동하는 유압척을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유압척은 유압을 이용하여 척의 조우(jaw)를 조절하여 공작물을 단단히 죄는 공구로서, 공작물을 균일하게 조일 수 있어 비교적 강한 힘으로 공작물을 고정시키는 것으로, 곧 빌릿은 척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고정척은 한 쌍의 고정척프레임과, 상기 고정척프레임의 일측에 그 일단이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조우와, 상기 조우의 타단에 결합된 압착패드로 구성되되, 상기 조우는 유압으로 수평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회전 가능한 것이다.
즉, 상기 한 쌍의 조우 사이에 빌릿이 끼임으로서 끼임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빌릿의 고정시, 상기 빌릿의 양단부면에는 조우가 접촉되는 것으로, 상기 한 쌍의 조우를 사이에 두고 빌릿이 위치하고, 상기 조우가 빌릿의 양단부면을 압박함으로써 빌릿은 고정되어지는 것이다.
즉, 상기 빌릿은 가공베드 상부에 구성된 브이블록의 브이홈에 안착되며, 상기 브이블록에 안착된 빌릿의 양단부면에 조우가 접촉되어 빌릿을 압박함으로서 상기 빌릿은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조우의 끝단부에 압착패드를 결합함으로써, 조우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빌릿의 손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압착패드가 빌릿에 압착됨에 따라 상기 빌릿을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압착패드는 조우의 끝단부에 결합되며, 사각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압착패드가 빌릿의 양단부면에 압착되어 빌릿을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빌릿의 양측면에는 압착패드가 각각 하나씩 접촉되며, 상기 압착패드가 빌릿을 압박함으로써 빌릿이 고정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빌릿은 압착패드 없이 조우에 의해서만 고정 및 회전되어질 수도 있다.
또한, 압착패드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압착패드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반원형상으로 형성되되, 재질은 합성고무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압착패드가 빌릿을 압박할 때, 압착패드내부가 진공상태가 되므로 상기 빌릿이 압착패드에 의해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어지는 것이다. 즉, 압착패드가 빌릿에 압착되어질 때, 압착패드 내부의 공기가 압착패드 외부로 빠져나가게되고, 이에 따라 상기 압착패드 내부와 외부의 기압차이가 발생되므로, 상기 빌릿이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어 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압착패드는 빌릿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구성하여 빌릿의 모깍기 가공시 상기 압착패드에 의한 간섭을 줄일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상기 압착패드가 빌릿을 압박하여 상기 빌릿을 회전시킬 때, 빌릿의 양단부에 설치된 절삭공구가 빌릿의 양단부를 모깍기 하게 되는 것으로, 이 때 압착패드의 직경이 빌릿의 직경과 동일하면, 절삭공구가 빌릿의 양단부를 가공할 때 방해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착패드 및 고정척에는 압착패드 및 고정척을 관통하여 공기공급관이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공기공급관의 일측은 압착패드의 내부에 위치하고, 타측은 공기공급장치와 연결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공기공급관은 고정척프레임과 조우의 내부를 관통하여 구성되되, 상기 고정척프레임과 조우의 이음부분에는 관용의 조인트를 사용하는 것으로, 상기 조인트는 구성품 간의 회전에 서로 간섭을 주지 않는 관용의 조인트를 사용하는 것이다.
즉, 상기 공기공급장치에의해 공급되는 공기는 공기공급관을 통해 압착패드 내부로 유입되는 것으로, 상기 압착패드가 빌릿과 해제되어야할 때, 상기 압착패드 내부에 공기를 유입시킴으로서 압착패드와 빌릿을 용이하게 분리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척에 의해 고정된 빌릿은 고정척의 조우에 의해 회전되는 것으로, 상기 조우는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회전하며, 이에 따라 빌릿도 함께 회전되어지는 것이다.
즉, 상기 고정척에 의해 고정된 빌릿은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고정척의 조우가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면, 상기 조우가 회전함에 따라 조우에 의해 고정된 빌릿도 함께 회전되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빌릿이 고정척에서 분리되어야 하는 경우, 압착패드의 내부에 공기를 유입시켜 압착패드의 압착력을 감소시킴으로서 상기 빌릿은 용이하게 분리 되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척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수개 설치되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실시례로서 두 개의 고정척을 사용하였으며, 상기 두 개의 고정척이 설치됨에 따라 두 개의 빌릿이 동시에 가공됨으로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척에 의해 고정 및 회전되는 빌릿은 상기 빌릿의 양끝단부에 설치되는 절삭공구에 의해 가공되어지는 것으로, 상기 절삭공구는 챔퍼가공을 하는 챔퍼가공툴과, 라운드가공을 하는 라디어스(radius)가공툴로 구성되는 것으로, 곧, 상기 빌릿의 일측에는 챔퍼가공툴이 설치되고, 타측에는 라디어스가공툴이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절삭공구는 복수개의 인서트들이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챔퍼가공툴에는 챔퍼가공을하는 인서트가 장착되고, 라디어스가공툴에는 라디어스가공을 하는 인서트가 장착되어 지는 것이다.
즉, 상기 절삭공구는 인서트가 장착되는 복수개의 안착홈을 가지며, 상기 안착홈에 교환하능한 인서트를 장착하는 것으로, 상기 인서트는 교환식으로 바꿔 갈아끼울 수 있게 만들어진 조각으로서 상기 인서트가 마모됨에 따라 교체가 용이한 것이다.
곧, 상기 빌릿의 끝단부와 접촉되는 인서트에는 절삭날이 형성되며, 상기 빌릿은 절삭날과의 마찰에 의해 모깍기 가공되어지는 것으로, 작업자는 상기 절삭날이 마모되면 인서트를 교환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절삭공구는 ‘절삭 인서트, 공구 홀더 및 이들의 조립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10-1130466)와, ‘공구홀더’(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10-104194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이미 널리 알려진 관용수단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상기 절삭공구는 빌릿의 양끝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빌릿의 일단에는 빌릿을 챔퍼가공할 수 있는 챔퍼가공툴이 결합되고, 타단에는 빌릿을 라운드가공 할 수 있는 라디어스가공툴이 결합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챔퍼가공툴과 라디어스가공툴은 회전가능 하게 구성되어, 인서트가 마모 되었을경우 일정각도 회전하여 다른 인서트를 즉각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작업시간을 단축시켜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곧, 상기 빌릿은 고정척(chuck)에 의해 고정된 후 구동모터에 의해 고정척이 회전됨에 따라 같이 회전되며, 이에 따라 빌릿의 양 끝단부에 설치된 절삭공구에 의해 빌릿(billet)의 양단부가 동시에 챔퍼 또는 라운드 가공되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절삭공구에 의해 양 끝단부가 절삭된 빌릿은 그리퍼에 의해 배출이송수단으로 이송되게 된다. 상기 배출이송수단은 상기 굴림이송수단과 마찬가지로 양단부의 높이가 다르게 설치됨으로서 경사지게 형성되어 빌릿을 하부로 이송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출이송수단의 하부에는 스토퍼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는 상술한 굴림이송수단의 하부에 설치되면 것과 동일하게 힌지에 의해 회동하는 구성으로서 빌릿이 배출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어질 때 발생할 수 있는 파손과, 상기 빌릿이 한꺼번에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의 하부에는 빌릿을 적재하여 보관할 수 있는 보관함 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참조하여 빌릿의 양단부가 가공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빌릿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부측에서 하부측으로 빌릿을 굴림이송시키는 굴림이송수단에 의해 굴림이송수단의 하부로 이송되며, 상기 빌릿은 굴림이송수단의 하부에 설치된 스토퍼에 의해 작업대의 공간부로 이송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공간부로 이송된 빌릿을 그리퍼가 그립하여 가공베드에 안착시키고, 상기 가공베드에 안착된 빌릿의 양측단부면은 고정척에 의해 끼임고정되어지고, 상기 끼임고정된 빌릿은 상기 빌릿을 고정하는 고정척의 조우가 회전함에 따라 같이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빌릿의 양측끝단부에는 각각 챔퍼가공툴과 라디어스가공툴이 빌릿의 양측끝단부와 접촉되게 설치되며 상기 빌릿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챔퍼가공툴 및 라디어스가공툴은 빌릿과의 마찰에 의해 빌릿을 가공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빌릿의 일단은 챔퍼가공되고, 타단은 라디어스가공되어지는 것이다.
그 후 상기 빌릿을 고정하던 고정척이 해제되면 상기 빌릿은 그리퍼에 의해 배출이송수단으로 이송되며, 상기 빌릿은 배출이송수단에 의해 배출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빌릿 양단부를 동시에 가공하는 방법은 빌릿의 양단부를 동시에 모깍기 함으로써 생산성 및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0:빌릿양단부를 동시에 가공하는 장치 200:빌릿
110:굴림이송수단 111:적재대
112:스토퍼 113:이송홈
120:그리퍼 121:핑거
122:그리퍼레일 123:가공베드
124:브이블록 125:브이홈
130:고정척 131:고정척프레임
132:조우(jaw) 133:압착패드
140:절삭공구 141:챔퍼가공툴
142:라디어스가공툴 143:인서트
150:배출이송수단
160:공기공급장치 161:공기공급관
170:작업대 171:공간부

Claims (4)

  1. 빌릿 양단부를 모따기 가공하되, 빌릿 양단부를 동시에 가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경사지게 설치된 이송장치에 의해 빌릿(200)을 하부방향으로 굴림이송하는 빌릿이송단계; 상기 빌릿이송단계에 의해 이송된 빌릿(200)을 그립하여 가공베드(123)에 안착시키는 빌릿안착단계; 상기 빌릿안착단계에 의해 가공베드(123)에 안착된 빌릿(200)의 양단부를 절삭공구(140)에 의해 모깍기 가공하는 빌릿가공단계; 상기 빌릿가공단계에 의해 모깍기 가공된 빌릿(200)을 배출하는 빌릿 배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빌릿가공단계에서 상기 빌릿(200)은 고정척(130)에 의해 고정되어 회전되되, 상기 고정척(130)은 한 쌍의 고정척프레임(131)과, 상기 한 쌍의 고정척프레임(131)의 서로 마주보는 일측에 각각 그 일단이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조우(132)와, 상기 조우(132)의 타단에 결합되어 빌릿(200)에 접촉되는 압착패드(133)로 구성되며, 상기 압착패드(133)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반원형상으로 형성되며, 조우(132)에 의해 빌릿(200)에 압착되어질 때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므로 상기 빌릿(200)이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며,
    또한, 상기 절삭공구(140)는 빌릿(200)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동시에 빌릿(200)의 양단부를 가공하되,
    상기 절삭공구(140)는 챔퍼가공을 하는 챔퍼가공툴(141)과, 라운드가공을 하는 라디어스가공툴(142)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빌릿(200)의 일측단부에는 챔퍼가공툴(141)이 설치되고, 타측단부에는 라디어스가공툴(142)이 설치되어 동시에 빌릿(200)의 양단부를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릿 양단부를 동시에 가공하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30012829A 2013-02-05 2013-02-05 빌릿 양단부를 동시에 가공하는 방법 KR101433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2829A KR101433807B1 (ko) 2013-02-05 2013-02-05 빌릿 양단부를 동시에 가공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2829A KR101433807B1 (ko) 2013-02-05 2013-02-05 빌릿 양단부를 동시에 가공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0064A KR20140100064A (ko) 2014-08-14
KR101433807B1 true KR101433807B1 (ko) 2014-08-25

Family

ID=51746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2829A KR101433807B1 (ko) 2013-02-05 2013-02-05 빌릿 양단부를 동시에 가공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380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7975Y1 (ko) 2000-12-19 2001-09-25 강정석 슬라이드 파워 면취기
KR20080090829A (ko) * 2007-04-06 2008-10-09 세광볼트공업 주식회사 면취 및 마킹 가공기기
KR100978357B1 (ko) 2008-05-29 2010-08-26 (주)태웅 파이프의 양단부 가공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7975Y1 (ko) 2000-12-19 2001-09-25 강정석 슬라이드 파워 면취기
KR20080090829A (ko) * 2007-04-06 2008-10-09 세광볼트공업 주식회사 면취 및 마킹 가공기기
KR100978357B1 (ko) 2008-05-29 2010-08-26 (주)태웅 파이프의 양단부 가공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0064A (ko) 2014-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125231A1 (ja) 加工装置及びバリ取り装置
CN111113180A (zh) 灯罩打磨机构及其组装设备
CN115609458B (zh) 一种建筑工程用钢材抛光装置
US20210069843A1 (en) Autonomous processing station
CN114639626A (zh) 一种用于晶圆的定位搬运装置
CN211889301U (zh) 一种全自动短管倒角设备
KR101433807B1 (ko) 빌릿 양단부를 동시에 가공하는 방법
KR20170009060A (ko) 터닝 센터의 소재 교환 장치
KR101433804B1 (ko) 빌릿 양단부를 동시에 가공하는 장치
CN210968306U (zh) 一种晶硅粗磨精磨一体机
WO2021102983A1 (zh) 灯罩打磨机构及其组装设备
WO2021102982A1 (zh) Led灯座组装设备
KR101939952B1 (ko) 절삭품 연마방법
JP2016016485A (ja) インゴットブロックの複合面取り加工装置および面取り加工方法
CN111069871A (zh) Led灯座组装设备
JP6955669B2 (ja) ガラス板の端面加工方法及び端面加工装置
KR101356061B1 (ko) 충격시험편용 가공편 자동 제조장치
JP2004106149A (ja) 加工物自動研削装置及び加工物自動研削法
CN212398339U (zh) 锯片刀头自动打磨装置
KR101748935B1 (ko) 모따기 방법
KR20160129132A (ko) 모따기 장치
KR20220016515A (ko) 양두 내외경 동시 가공 장치
JP2014087897A (ja) ワークの端部加工装置
CN218169735U (zh) 一种机械零部件加工毛边打磨装置
KR101939951B1 (ko) 절삭품 연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