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6515A - 양두 내외경 동시 가공 장치 - Google Patents

양두 내외경 동시 가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6515A
KR20220016515A KR1020220010152A KR20220010152A KR20220016515A KR 20220016515 A KR20220016515 A KR 20220016515A KR 1020220010152 A KR1020220010152 A KR 1020220010152A KR 20220010152 A KR20220010152 A KR 20220010152A KR 20220016515 A KR20220016515 A KR 202200165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ork
chucking
processing
outer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0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수
Original Assignee
(주) 카스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카스윈 filed Critical (주) 카스윈
Priority to KR1020220010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6515A/ko
Publication of KR20220016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6515A/ko
Priority to KR1020220136206A priority patent/KR102586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5/0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centres or chucks for holding work
    • B24B5/1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centres or chucks for holding work for grinding cylindrical surfaces both externally and internally with several grinding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7/0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 B23Q17/24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using optics or electromagnetic waves
    • B23Q17/2452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using optics or electromagnetic waves for measuring features or for detecting a condition of machine parts, tools or workpieces
    • B23Q17/2471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using optics or electromagnetic waves for measuring features or for detecting a condition of machine parts, tools or workpieces of work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6Work supports, e.g. adjustable stea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9/00Measuring or gauging equipment for controlling the feed movement of the grinding tool or work; 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equipment, e.g. for indicating the start of the grinding operation
    • B24B49/02Measuring or gauging equipment for controlling the feed movement of the grinding tool or work; 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equipment, e.g. for indicating the start of the grind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instantaneous size and required size of the workpiece acted upon, the measuring or gauging being continuous or intermitt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rinding Of Cylindrical And Plane Surfaces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워크의 양두를 가공하는 장치로서, 특히 워크를 파지하는 처킹부와, 상기 처킹부 양 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워크의 양 측을 각각 가공하는 가공부를 포함하되, 상기 처킹부는 복수 개의 워크를 교환하는 워크 교환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가공부는 워크의 내경과 외경을 가공하는 공구를 각각 포함하여, 한 번의 처킹으로 워크의 양측면 내외경을 동시에 가공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작업 효율과 가공 정밀도를 향상할 수 있는 양두 내외경 동시 가공 장치이다.

Description

양두 내외경 동시 가공 장치{TWO-HEAD SIMULTANEOUS MANUFACTURING DEVICE FOR INNER AND OUTER OF WORK}
본 발명은 워크의 양두를 가공하는 장치로서, 특히 워크를 파지하는 처킹부와, 상기 처킹부 양 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워크의 양 측을 각각 가공하는 가공부를 포함하되, 상기 처킹부는 복수 개의 워크를 교환하는 워크 교환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가공부는 워크의 내경과 외경을 가공하는 공구를 각각 포함하여, 한 번의 처킹으로 워크의 양측면 내외경을 동시에 가공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작업 효율과 가공 정밀도를 향상할 수 있는 양두 내외경 동시 가공 장치이다.
가공 대상물이 되는 워크의 양 측면을 가공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일 예로 일본 공개 특허 제2002-361543호에는 워크를 파지하는 처킹부와 상기 파지부의 양 측에 가공부가 각각 구비되는 기술이 개시된다.
상기 한 쌍의 가공부 중 하나의 가공부가 워크의 일 측 내경을 가공하고, 나머지 가공부가 워크의 반대측 내경을 가공한다. 상기 가공부와 처킹부는 테이블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처킹부에 의해 워크가 고정된 상태에서 가공부를 전후 방향 이송하면서 워크의 양 측면 내경을 동시에 가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워크의 내경과 외경을 가공하기 위해서 종래 기술은 처킹부에 의해 워크를 파지하고 나서 워크를 내경을 가공한 후 워크를 분리하여 외경을 가공할 수 있는 다른 가공 장치로 이송하게 되어 작업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술된 바와 같이 처킹부로부터 워크를 분리한 후 다시 고정해야 해서 워크의 장착 위치가 다소 변경될 수 있어 동심도 등 가공 정밀도가 하락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종래 기술 자체는 널리 알려진 것으로서,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는 바, 이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일본 공개 특허 제2002-361543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워크를 파지하는 처킹부와, 상기 처킹부 양 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워크의 양 측을 각각 가공하는 가공부를 포함하되, 상기 처킹부는 복수 개의 워크를 교환하는 워크 교환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가공부는 워크의 내경과 외경을 가공하는 공구를 각각 포함하여, 한 번의 처킹으로 워크의 양측면 내외경을 동시에 가공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작업 효율과 가공 정밀도를 향상할 수 있는 양두 내외경 동시 가공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워크를 파지하는 처킹부와, 상기 처킹부 양 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워크의 양 측을 각각 가공하는 가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처킹부는 테이블 상에 배치되는 처킹부 하우징과, 상기 처킹부 하우징 중 가공부 방향 측면에 구비되고 복수 개의 워크가 파지되는 워크 교환 플레이트와 상기 처킹부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워크 교환 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공부는 상기 테이블 상에 배치되고, 처킹부 하우징으로부터 워크의 길이 방향 양 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가공부 하우징과, 상기 가공부 하우징 중 워크 방향 측면에 구비되는 외경 가공부 및 내경 가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내경 가공부는 상기 복수 개의 워크 중 하나의 워크의 외경을 가공하고, 상기 외경 가공부는 상기 복수 개의 워크 중 다른 하나의 워크의 내경을 가공하는 양두 내외경 동시 가공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처킹부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회전력 발생부와, 상기 회전력 발생부에 연동되고 상기 워크 교환 플레이트가 설치되는 구동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워크 교환 플레이트는 상기 구동 샤프트에 구비되는 플레이트 본체와 상기 플레이트 본체 중 가공부 방향 측면에 구비되어 워크를 파지하는 다수 개의 척과 상기 플레이트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척을 회전하는 척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상기 외경 가공부는 상기 가공부 하우징에 구비되어 회전하는 제1주축과 상기 제1주축에 구비되어 상기 워크의 외경을 가공하는 외경 가공 공구를 포함하고, 상기 내경 가공부는 상기 제1추축의 인근에 베치되어 회전하는 제2주축과 상기 제2주축에 구비되어 상기 워크(W)의 내경을 가공하는 내경 가공 공구(233)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상기 처킹부 하우징 일 측에 구비되어 워크의 가공량을 측정하는 측정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정 장치는 상기 처킹부 하우징 중 가공부 방향 측면에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서 처킹부 하우징의 높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접촉자와, 상기 본체와 접촉자의 일 측면을 연결하는 탄성판과, 상기 본체에 공급되는 유체의 양을 측정하는 유량계와 상기 유량계가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유량계를 통과한 유체가 유동하는 유체 투입로가 형성되고, 상기 접촉자는 상기 탄성판에 설치되는 접촉자 본체와, 상기 접촉자 본체에서 워크 방향으로 연장되고 워크 내측면에 접하는 접촉 프로브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접촉자 본체와 대향되는 대향부와, 상기 대향부의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대향부의 폭보다 큰 폭을 갖는 광폭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판은 상기 접촉자 본체와 대향부의 측면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광폭부의 측면에는 누름판이 고정되고, 상기 누름판의 상단은 상기 탄성판 중 접촉자 본체에 고정되는 탄성판을 가압한다.
상기에서, 상기 제1주축 또는 제2주축에 구비되어 휨을 감지하는 휨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한다.
상기에서, 상기 가공부를 워크의 길이 방향으로 이송하는 가공부 이송 유닛과, 상기 처킹부를 이송하는 처킹부 이송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처킹부 이송 유닛은 상기 가공부의 이송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처킹부를 이송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해 종래보다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가공 정밀도 역시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두 내외경 동시 가공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두 내외경 동시 가공 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두 내외경 동시 가공 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두 내외경 동시 가공 장치의 처킹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두 내외경 동시 가공 장치의 측정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두 내외경 동시 가공 장치의 휨 감지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두 내외경 동시 가공 장치(1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크(W)를 파지하는 처킹부(100)와, 상기 처킹부(100) 양 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워크(W)의 양 측을 각각 가공하는 가공부(200)를 포함한다. 즉, 상기 가공부(200)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처킹부(100)의 도면상 좌측에 구비되는 제1가공부(200-1)와 처킹부(100)의 도면상 우측에 구비되는 제2가공부(20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처킹부(100)는 테이블(T) 상에 배치되는 처킹부 하우징(110)과, 상기 처킹부 하우징(110) 중 가공부 방향 측면에 구비되고 복수 개의 워크가 파지되는 워크 교환 플레이트(120)와 상기 처킹부 하우징(11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워크 교환 플레이트(120)를 회전시키는 회전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부(130)는 상기 처킹부 하우징(110) 내부에 구비되는 회전력 발생부(131)와, 상기 회전력 발생부(131)에 연동되고 상기 워크 교환 플레이트(120)가 설치되는 구동 샤프트(13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워크 교환 플레이트(120)는 상기 구동 샤프트(132)에 구비되는 플레이트 본체(121)와 상기 플레이트 본체(121) 중 가공부(200) 방향 측면에 구비되어 워크(W)를 파지하는 다수 개의 척(C)과 상기 플레이트 본체(121)에 구비되어 상기 척(C)을 회전하는 척 구동부(122)를 포함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워크(W)는 2개(W1,W2) 구비되고, 척(C) 역시 2개(C1,C2) 구비된다. 상기 2개의 워크(W1,W2)는 상기 2개의 척(C1,C2)에 의해 플레이트 본체(121)에 설치된다. 상기 플레이트 본체(121)는 회전부(130)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회전부(130)는 상기 처킹부 하우징(110) 내부에 전동 모터 등을 이용하는 회전력 발생부(131)와 상기 회전력 발생부(131)에 설치되는 구동 샤프트(132)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 샤프트(132)에는 플레이트 본체(121)가 설치되어 상기 회전력 발생부(131)에서 발생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워크(W) 역시 가공 시 회전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플레이트 본체(121)에 구비되어 상기 척(C)을 회전하는 척 구동부(1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공부(200)는 상기 테이블(T) 상에 배치되고, 처킹부 하우징(210)으로부터 워크(W)의 길이 방향 양 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가공부 하우징(210)과, 상기 가공부 하우징(210) 중 워크 방향 측면에 구비되는 외경 가공부(220) 및 내경 가공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외경 가공부(220)는 상기 복수 개의 워크 중 하나의 워크의 외경을 가공하고, 상기 내경 가공부(230)는 상기 복수 개의 워크 중 다른 하나의 워크의 내경을 가공한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상기 워크(W)는 2개(W1,W2) 구비되고, 상기 외경 가공부(220)와 내경 가공부(230)는 상기 2개의 워크(W1,W2)를 각각 가공한다.
이때, 하나의 워크(W1)(이하 제1워크라 함)에는 상기 외경 가공부(220)가 접하여 상기 워크(W1)의 외경을 가공하고 나머지 워크(W2)(이하 제2워크라 함)에는 내경 가공부(230)가 접하여 워크(W2)의 내경을 가공한다. 이후, 상기 워크 교환 플레이트(120)를 회전하여 제1워크(W1)와 제2워크(W2)의 위치를 상호 변경한다. 이에 의해 상기 제1워크(W1)에는 내경 가공부(230)가 접하여 제1워크(W1)의 내경을 가공하게 하고, 제2워크(W2)에는 외경 가공부(220)가 접하여 제2워크(W2)의 외경을 가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해 워크의 내외경을 동시에 가공할 수 있고 별도로 처킹부를 해제할 필요가 없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킴은 물론 가공 정밀도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외경 가공부(220)는 상기 가공부 하우징(210)에 구비되어 회전하는 제1주축(221)과 상기 제1주축(221)에 구비되어 상기 워크(W)의 외경을 가공하는 외경 가공 공구(223)를 포함한다. 상기 내경 가공부(230)는 상기 제1추축(221)의 인근에 베치되어 회전하는 제2주축(231)과 상기 제2주축(231)에 구비되어 상기 워크(W)의 내경을 가공하는 내경 가공 공구(23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주축(221) 또는 제2주축(231)은 널리 알려진 빌트인 스핀들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주축(221) 또는 제2주축(231)에는 고정부(222, 232)가 구비되어 상기 외경 가공 공구(223)를 제1주축(221)에 고정하고, 내경 가공 공구(233)를 제2주축(231)에 고정한다.
또한, 상기 워크 교환 플레이트(120)는 처킹부(100)의 양 측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양두 내외경 동시 가공 장치(10)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처킹부 하우징(110) 일 측에 구비되어 워크의 가공량을 측정하는 측정 장치(5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측정 장치(5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였으며 도 6 내지 도 8에서는 도면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도 5에 도시된 측정 장치를 상하 방향 반대로 도시하였다.
상기 측정 장치(500)는 상기 처킹부 하우징(110) 중 가공부(200) 방향 측면에 구비되는 본체(510)와, 상기 본체(510)에서 처킹부 하우징(110)의 높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접촉자(520)와, 상기 본체(510)와 접촉자(520)의 일 측면을 연결하는 탄성판(530)과, 상기 본체(510)에 공급되는 유체의 양을 측정하는 유량계(560)와 상기 유량계(560)가 연결되는 제어부(CON)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본체(510)에는 상기 유량계(560)를 통과한 유체가 유동하는 유체 투입로(511)가 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판(530)은 접촉자(520)와 본체(510)의 우측면에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접촉자(5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판(530)이 절곡됨에 따라 접촉자(520) 일부가 승하강하며 이에 대해 따로이 설명한다.
상기 본체(510)에는 유체가 공급된다. 상기 유체는 공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공기는 널리 알려진 펌프 등을 이용하는 유체 투입부(570)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유체는 유량계(560)를 거쳐 본체(510)의 유체 토입로(511)를 통해 접촉자(520) 측으로 토출된다.
상기 토출되는 유체의 양은 상기 접촉자(520)가 들려지는 양에 따라 변경된다. 즉, 상기 접촉자(520)가 많이 들려지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각도(Θ)가 증가하여 보다 많은 양의 유체가 토출되고, 접촉자(520)가 보다 작은 각도로 들려지면 작은 양의 유체가 토출된다. 이러한 유체의 토출량은 상기 유량계(560)에서 측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토출량에 따라 워크의 가공량을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촉자(520)는 상기 탄성판(530)에 설치되는 접촉자 본체(521)와, 상기 접촉자 본체(521)에서 워크 방향으로 연장되고 워크 내측면에 접하는 접촉 프로브(523)를 포함한다. 상기 접촉 프로브(523)와 접촉자 본체(521)사이에는 연장판(52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워크(W)의 내측면을 가공 공구(TT)를 통해 가공하는 경우 가공 초반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크의 두께(TH)가 두꺼운 관계로 접촉 프로브(523)이 들려있는 상태이며, 가공기 진행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크(W)의 두께(TH)가 감소하여 접촉 프로브(523)가 하강한다. 즉, 가공량에 따라 접촉 프로브(523)의 들려지는 각도(Θ)가 변경된다. 즉, 상기 각도(Θ)가 큰 경우 많은 유체가 투입되어 토출되고 가공이 진행됨에 따라 각도(Θ)가 감소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유체가 투입되어 토출된다.
이러한 유체의 유량을 측정하면 상기 각도(Θ)를 측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가공량을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접촉 프로브(523)는 워크(W) 내측면에 접하여 있으므로 가공 도중의 가공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량계(560)에는 제어부(CON)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CON)에 의해 상기 유량계(560)에 측정된 유량에 의해 가공량을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측정부(500)의 상기 본체(510)는 상기 접촉자 본체(521)와 대향되는 대향부(513)와, 상기 대향부(513)의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대향부(513)의 폭보다 큰 폭을 갖는 광폭부(512)를 포함한다. 이때, 탄성판(530)은 상기 접촉자 본체(521)와 대향부(513)의 측면(도 7에서 우측면)에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접촉자 본체(521)가 상기 탄성판(530)의 절곡에 의해 도면상 좌측이 상승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광폭부(512)의 측면에는 누름판(550)이 고정되고, 상기 누름판(550)의 상단은 상기 탄성판(530) 중 접촉자 본체(521)에 고정되는 탄성판을 가압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접촉자 본체(521)가 들려진 후 원래 위치로 복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누름판(550)과 탄성판(530) 사이에는 고정부(54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540)는 상기 접촉자(520) 측에 설치되는 제1고정부(541)와 본체(510)의 대향부(513) 측면에 설치되는 제2고정부(541)를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누름판(550)과 고정부(540) 그리고 접촉자 본체(521)에는 널리 알려진 고정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양두 내외경 동시 가공 장치는 상기 제1주축(221) 또는 제2주축(231)에 구비되어 상기 주축의 휨을 감지하는 휨 감지 센서(260)를 포함한다. 이는 공구(TT)가 워크(W)에 접하여 가공을 할 때 공구(TT)에 힘이 가해지는 관계로 공구(TT)가 휘어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공구(TT)의 휨 량이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가공의 정밀도가 하락하는 관계로 상기 휨 량을 확인해서 상기 휨 량이 설정된 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휨 감지 센서(260)는 널리 알려진 스트레인 게이지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휨 감지 센서(260)는 상기 측정 장치(500, 도 6참조)가 연결되는 제어부(CON,도 6참조)에 연결되어 휨 량이 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주축(221,231)은 널리 알려진 전동 모터 등을 이용하는 구동부(250)에 의해 구동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부(250)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양두 내외경 동시 가공 장치(10)는 상기 가공부(200)를 워크의 길이 방향(방향1)으로 이송하는 가공부 이송 유닛(300)과, 상기 처킹부(100)를 이송하는 처킹부 이송 유닛(4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처킹부 이송 유닛(400)은 상기 가공부(200)의 이송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방향2)으로 처킹부(100)를 이송한다.
상기 가공부 이송 유닛(300)은 제1가공부(200-1)를 이송하는 제1가공부 이송 유닛(300-1)과 제2가공부(200-2)를 이송하는 제2가공부 이송 유닛(300-2)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가공부(200-1) 또는 제2가공부(200-2) 중 하나를 고정하고 나머지를 이동하는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가공부 이송 유닛(300)과 처킹부 이송 유닛(400)은 모두 리니어 가이드와 상기 리니어 가이드에 암수 결합하는 무빙 블록과 상기 무빙 블록을 이송하는 볼 스크류 및 상기 볼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전동 모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널리 알려진 관계로 자세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처킹부 110 : 처킹부 하우징
120 : 워크 교환 플레이트 121 : 플레이트 본체
122 : 척 구동부 130 : 회전력 발생부
200 : 가공부 210 : 가공부 하우징
220 : 외경 가공부 230 : 내경 가공부
300 : 가공부 이송 유닛 400 : 처킹부 이송 유닛
500 : 측정 장치 510 : 본체
520 : 접촉자 530 : 탄성판
540 : 고정부 550 : 누름판
560 : 유량계 570 : 유체 투입부

Claims (7)

  1. 워크를 파지하는 처킹부와, 상기 처킹부 양 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워크의 양 측을 각각 가공하는 가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처킹부는 테이블 상에 배치되는 처킹부 하우징과, 상기 처킹부 하우징 중 가공부 방향 측면에 구비되고 복수 개의 워크가 파지되는 워크 교환 플레이트와 상기 처킹부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워크 교환 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공부는 상기 테이블 상에 배치되고, 처킹부 하우징으로부터 워크의 길이 방향 양 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가공부 하우징과, 상기 가공부 하우징 중 워크 방향 측면에 구비되는 외경 가공부 및 내경 가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내경 가공부는 상기 복수 개의 워크 중 하나의 워크의 외경을 가공하고, 상기 외경 가공부는 상기 복수 개의 워크 중 다른 하나의 워크의 내경을 가공하는 양두 내외경 동시 가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처킹부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회전력 발생부와, 상기 회전력 발생부에 연동되고 상기 워크 교환 플레이트가 설치되는 구동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워크 교환 플레이트는 상기 구동 샤프트에 구비되는 플레이트 본체와 상기 플레이트 본체 중 가공부 방향 측면에 구비되어 워크를 파지하는 다수 개의 척과 상기 플레이트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척을 회전하는 척 구동부를 포함하는 양두 내외경 동시 가공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경 가공부는 상기 가공부 하우징에 구비되어 회전하는 제1주축과 상기 제1주축에 구비되어 상기 워크의 외경을 가공하는 외경 가공 공구를 포함하고,
    상기 내경 가공부는 상기 제1추축의 인근에 베치되어 회전하는 제2주축과 상기 제2주축에 구비되어 상기 워크(W)의 내경을 가공하는 내경 가공 공구(233)를 포함하는 양두 내외경 동시 가공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킹부 하우징 일 측에 구비되어 워크의 가공량을 측정하는 측정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정 장치는 상기 처킹부 하우징 중 가공부 방향 측면에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서 처킹부 하우징의 높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접촉자와, 상기 본체와 접촉자의 일 측면을 연결하는 탄성판과, 상기 본체에 공급되는 유체의 양을 측정하는 유량계와 상기 유량계가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유량계를 통과한 유체가 유동하는 유체 투입로가 형성되고,
    상기 접촉자는 상기 탄성판에 설치되는 접촉자 본체와, 상기 접촉자 본체에서 워크 방향으로 연장되고 워크 내측면에 접하는 접촉 프로브를 포함하는 양두 내외경 동시 가공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접촉자 본체와 대향되는 대향부와, 상기 대향부의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대향부의 폭보다 큰 폭을 갖는 광폭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판은 상기 접촉자 본체와 대향부의 측면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광폭부의 측면에는 누름판이 고정되고, 상기 누름판의 상단은 상기 탄성판 중 접촉자 본체에 고정되는 탄성판을 가압하는 양두 내외경 동시 가공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주축 또는 제2주축에 구비되어 휨을 감지하는 휨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는 양두 내외경 동시 가공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부를 워크의 길이 방향으로 이송하는 가공부 이송 유닛과, 상기 처킹부를 이송하는 처킹부 이송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처킹부 이송 유닛은 상기 가공부의 이송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처킹부를 이송하는 양두 내외경 동시 가공 장치.
KR1020220010152A 2019-12-09 2022-01-24 양두 내외경 동시 가공 장치 KR2022001651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0152A KR20220016515A (ko) 2019-12-09 2022-01-24 양두 내외경 동시 가공 장치
KR1020220136206A KR102586943B1 (ko) 2019-12-09 2022-10-21 양두 내외경 동시 가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411A KR20210072287A (ko) 2019-12-09 2019-12-09 양두 내외경 동시 가공 장치
KR1020220010152A KR20220016515A (ko) 2019-12-09 2022-01-24 양두 내외경 동시 가공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2411A Division KR20210072287A (ko) 2019-12-09 2019-12-09 양두 내외경 동시 가공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6206A Division KR102586943B1 (ko) 2019-12-09 2022-10-21 양두 내외경 동시 가공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6515A true KR20220016515A (ko) 2022-02-09

Family

ID=76603630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2411A KR20210072287A (ko) 2019-12-09 2019-12-09 양두 내외경 동시 가공 장치
KR1020220010152A KR20220016515A (ko) 2019-12-09 2022-01-24 양두 내외경 동시 가공 장치
KR1020220136206A KR102586943B1 (ko) 2019-12-09 2022-10-21 양두 내외경 동시 가공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2411A KR20210072287A (ko) 2019-12-09 2019-12-09 양두 내외경 동시 가공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6206A KR102586943B1 (ko) 2019-12-09 2022-10-21 양두 내외경 동시 가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2021007228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42077B (zh) * 2022-07-18 2024-02-13 海盐猛凌汽车配件有限公司 一种汽车前副车架用减震套管抛光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1543A (ja) 2001-06-07 2002-12-18 Teijin Seiki Co Ltd 内面研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9842A (ja) * 1986-08-05 1988-02-20 Asahi Chem Ind Co Ltd ビス(4−ジフエニルアミノフエニル)エ−テルおよびその製法
KR200421325Y1 (ko) * 2006-03-06 2006-07-12 이병순 내경연삭기용 공압 인프로세스 게이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1543A (ja) 2001-06-07 2002-12-18 Teijin Seiki Co Ltd 内面研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6943B1 (ko) 2023-10-10
KR20220148774A (ko) 2022-11-07
KR20210072287A (ko) 2021-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15214B2 (en) Workpiece gripping method and workpiece centering apparatus
CN104608015A (zh) 一种带机械手上下料的全自动数控外圆磨床
PL341276A1 (en) Apparatus for chucking a workpiece to be machined
CN200974171Y (zh) 键槽铣刀对中装置
TWM444904U (zh) 硬質脆性板的周緣加工裝置
KR20220148774A (ko) 양두 내외경 동시 가공 장치
US11806794B2 (en) Processing device and processing method
CN202088008U (zh) 一种夹棒料外圆工装
CN101468425B (zh) 激光加工设备上薄板状工件的定位方法及其定位装置
CN102581698A (zh) 一种机床尾座顶尖测力装置
CN204413774U (zh) 一种带机械手上下料的全自动数控外圆磨床
CN110450017B (zh) 卡尺专用一次装夹内径磨削机
JP2023041653A (ja) クランプ装置
CN214350876U (zh) 一种用于数控钻平板类和回转类工件的工作台
CN213080195U (zh) 一种卷曲式电机壳对接端面铣削加工夹具
JP2010188446A (ja) ワークの保持方法及びワークの加工方法
EP1258320B1 (en) Drilling and milling machine for applying metal elements to furniture pieces
CN208147063U (zh) 一种滚齿机工件组合式定位工装
KR102020413B1 (ko) 표면 연마 장치
JP2008110419A (ja) 静圧案内テーブルおよびこれを備えた工作機械
JP7316665B2 (ja) 研削盤における偏心ワークの機外心出し方法、及びその機外心出し装置、並びに研削盤のチャック
CN214560244U (zh) 一种浮动夹紧机构
CN218050713U (zh) 双工位攻牙机
CN215317254U (zh) 一种平台基板用工装
CN215546983U (zh) 一种双工位加工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