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3692B1 - 석고 폐재 재생 원료화 장치 - Google Patents
석고 폐재 재생 원료화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33692B1 KR101433692B1 KR1020137003521A KR20137003521A KR101433692B1 KR 101433692 B1 KR101433692 B1 KR 101433692B1 KR 1020137003521 A KR1020137003521 A KR 1020137003521A KR 20137003521 A KR20137003521 A KR 20137003521A KR 101433692 B1 KR101433692 B1 KR 10143369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ypsum
- paper
- crusher
- particle size
- return passage
- Prior art date
Links
- 229910052602 gypsum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4
- 239000010440 gypsum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4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30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15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5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8
- 239000011505 plas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9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9000011507 gypsum plas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1172 regene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7873 siev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8929 re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1069 regene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419 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35 construc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194 fractio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893 paper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CWYNVVGOOAEACU-UHFFFAOYSA-N Fe2+ Chemical compound [Fe+2] CWYNVVGOOAEAC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61 abrasive gra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24 bea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27 cl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 ferrous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03 fine gran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70 gener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99 gro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48 magnetic separ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70 ref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92 reflux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216 scre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B07B1/20—Stationary drums with moving interior agita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0056—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1/00—Disintegrating plant with or without drying of the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9/00—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 B03B9/06—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 B03B9/061—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the refuse being industrial
- B03B9/065—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the refuse being industrial the refuse being building rub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16—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with material carriers in the form of belts
- B03C1/2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with material carriers in the form of belts with non-movable magn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3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5/00—Combinations of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1/00—Calcium sulfate cements
- C04B11/26—Calcium sulfate cements strating from chemical gypsum; starting from phosphogypsum or from waste, e.g. purification products of smok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8—Construction or demolition [C&D] was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Abstract
파쇄기(1)와, 제 1 압쇄기(3)와, 반송 장치(4)와, 종이 조각 분리기(5)와, 입경 분별기(6)와, 제 2 압쇄기(7)와, 리턴 통로(9)를 구비하고, 입경 분별기(6)에 있어서 재생 원료로서 분별된 규격 입경 이하의 세립 석고(A) 만을 차례 차례 재생 원료 용기(67)에 회수하는 것과 함께, 입경 분별기(6)에서 분별된 조립 석고를 제 2 압쇄기(7)에서 다시 압쇄한 후, 리턴 통로(9)에서 원료로서 되돌리도록 한 석고 폐재 재생 원료화 장치이다.
Description
본원 발명은 석고 폐재(폐석고 보드)를 재이용 가능한 재생 원료로 처리하기 위한 석고 폐재 재생 원료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조물을 해체하면, 석고 폐재(주로, 폐석고 보드)가 다량으로 발생하는데, 이 석고 폐재는 작게(입경이 3㎜ 이하인 세립 석고로) 파쇄하여 재생 원료로서 재이용할 수 있다.
그런데 건축재로서 사용되고 있는 석고 보드에는, 전면에 종이가 부착되어 있으며, 폐석고 보드를 재생 원료화하는 데는, 재생 원료로 되는 세립 석고 중에서 종이를 배제할 필요가 있다. 또한, 건조물로부터 해체한 석고 폐재에는 종이가 부착되어 있는 외에, 석고 폐재에 섞여서 나무 조각이나 금속이나 플라스틱 등의 이물이 혼입되어 있는 일이 많다.
도 8에는 해체한 석고 폐재(폐석고 보드)를 재생 원료로 되는 세립 석고로 가공하기 위한 일반적인 공정을 나타내고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일반적인 석고 폐재의 재생 원료화 공정에서는 우선, 해체 현장으로부터 반입한 대괴(大塊)상의 석고 폐재(A0) 중에 혼입되어 있는 이물을 수선별(手選別)로 제거하고, 그 이물을 제거한 석고 폐재(A0)를 파쇄기로 소정 크기(예를 들면, 1변이 50㎜ 정도의 크기)의 괴상(塊狀) 석고 폐재(A1)로 조(粗)분할한다(S1). 이 때, 석고 폐재(A0)에 부착되어 있는 종이도 분단되는데, 그 종이 조각은 대부분이 괴상 석고 폐재(A1)에 부착된 상태이다.
다음으로, 조분할한 종이 부착 괴상 석고 폐재(A1)를 반송 컨베이어로 반송하고(S2), 해당 반송 컨베이어의 적소에서 종이 부착 괴상 석고 폐재(A1) 중에 혼입되어 있는 철 성분(철 부스러기)을 자선기(磁選機)로 제거한다(S3).
계속해서 종이 부착 괴상 석고 폐재(A1)를 반송 컨베이어의 종단부로부터 종이 분리기로 투입하여, 해당 종이 분리기에서 괴상 석고 폐재(A1)에 부착되어 있는 종이 조각을 박리시키는 것과 함께, 그 박리시킨 종이 조각을 제거한다(S4). 이 종이 분리기는 일반적으로, 종이가 부착되어 있는 석고 폐재를 문질러서 부드럽게 함으로써 석고 폐재로부터 종이 조각을 박리시킨 후, 그 박리시킨 종이 조각을 풍압 등에 의해 제거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종이 제거 공정(S4)을 거친 종이 제거 괴상 석고 폐재(A2)는 압쇄기(壓碎機)에서 규격 입경 이하(예를 들면, 3㎜ 이하의 입경)로 압쇄되어(S5), 재생 원료로 되는 세립 석고(A)로 가공된다. 또한, 압쇄기는 좌우 한쌍의 압쇄 롤러를 갖고, 해당 양 압쇄 롤러 간에 괴상 석고 폐재(A2)를 통과시킴으로써 규격 입경 이하의 세립 석고로 으깨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한 일반적인 석고 폐재의 재생 원료화 공정(도 8)에 있어서, 세립화 공정(S5)에서는 괴상 석고 폐재(A2)가 압쇄기의 압쇄 롤러로 세립 석고로 압쇄되지만, 괴상 석고 폐재(A2)가 양 압쇄 롤러 간을 통과할 때에 그 전량을 확실하게 규격 입경 이하까지 압쇄할 수 있다고 할 수는 없다. 예를 들면, 괴상 석고 폐재(A2) 중에 압쇄할 수 없는 경질의 대직경 이물이 혼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대직경 이물의 근처를 동시에 통과하는 석고 폐재가 양 압쇄 롤러 간에서 으깨어지지 않기 때문에 규격 입경보다 큰 입경의 조립(粗粒) 석고가 재생 원료(세립 석고) 중에 혼입되게 된다.
이와 같이, 규격 입경보다 큰 조립 석고가 재생 원료(세립 석고) 중에 혼입되어 있으면, 가공된 재생 원료의 품질이 나빠진다(재생 원료로서의 상품 가치가 낮아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 도 8의 압쇄 공정(S5)을 거친 후의 재생 원료의 입경을 엄격히 분별하고자 하면(규격 입경 이하의 것만을 양품으로 하는 경우), 규격 입경을 넘은 조립 석고가 다량으로 배제되게 되어, 양품으로서의 가공량이 매우 적어진다(불필요해지는 석고 성분이 많아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한 일반적인 석고 폐재의 재생 원료화 공정(도 8)에 있어서, 종이 조각 제거 공정(S4)에서 사용되는 종이 분리기는 종이 조각 부착의 괴상 석고 폐재(A1)를 문질러서 부드럽게 함으로써 종이 조각을 박리시키는 것인데, 박리해야 할 종이 조각은 석고 폐재에 강고히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그 종이 조각 제거 효율은 낮은 것이고, 상당히 다량의 종이 조각이 석고 폐재에 부착된 채로 다음 공정(압쇄 공정(S5))으로 보내어지게 된다. 따라서, 압쇄 공정(S5)에서는 괴상 석고 폐재(A2)에 상당한 양의 종이 조각이 부착된 채로 세립화되는 관계에서, 가공된 세립 석고(A) 중에는 상당한 양의 종이 부스러기가 혼입되어 있어서, 이 상태로는 품질이 나쁜 세립 석고(재생 원료)로 되어 버린다. 또한, 이와 같이 세립화된 재생 원료 중에 종이 부스러기가 혼입되어 있으면, 양품인 세립 석고 중에 가루상(粉狀)의 것(매우 경량이다)도 포함되어 있는 관계에서, 풍압으로 종이 부스러기 만을 불어 날려서 제거할 수 없어서, 종이 부스러기의 제거 처리가 매우 어려워진다.
그래서 본원 발명은 석고 폐재(폐석고 보드)를, 규격 입경 이하의 세립 석고(품질이 양호한 재생 원료) 만을 회수할 수 있고, 또한, 그 세립 석고로의 가공량(생산성)을 많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함께, 종이가 부착되어 있는 석고 폐재이어도 종이 혼입률을 매우 적게 할 수 있도록(순도를 높이도록) 한 석고 폐재 재생 원료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원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다음의 구성을 갖고 있다.
그런데 해체 건조물로부터 반출되는 석고 폐재(폐석고 보드)를 재생 원료화하기 위해서는, 석고 성분 이외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것과 함께, 석고 폐재를 재생 원료로 되는 규격 입경(3㎜) 이하까지 세립화시킬 필요가 있다. 그래서 본원 발명은 해체 건조물로부터 나오는 석고 폐재를 재생 원료로 하여 고순도로, 또한, 고정밀도로 가공하기 위한 석고 폐재 재생 원료화 장치를 대상으로 한 것이다.
[본원 청구항 1의 발명]
본원 청구항 1의 석고 폐재 재생 원료화 장치는 종이가 부착되어 있는 대괴상의 해체 석고 폐재를 소정 크기의 괴상으로 조분할하는 파쇄기와, 해당 파쇄기에서 조분할된 괴상 석고 폐재를 재생 원료로 되는 규격 입경 이하까지 압쇄할 수 있는 제 1 압쇄기와, 해당 제 1 압쇄기에서 압쇄한 제 1차 압쇄 석고를 다음 공정측으로 반송하는 반송 장치와, 해당 반송 장치에서 반송된 제 1차 압쇄 석고로부터 종이 조각을 분리시키는 종이 조각 분리기와, 해당 종이 조각 분리기에서 종이 조각을 분리시킨 나머지의 압쇄 석고를 재생 원료로 되는 규격 입경 이하의 세립 석고와 그보다 큰 입경의 조립 석고로 분별하는 입경 분별기와, 해당 입경 분별기에서 분별된 조립 석고를 다시 작게 압쇄하는 제 2 압쇄기와, 해당 제 2 압쇄기에서 압쇄된 제 2차 압쇄 석고를 반송 장치로 되돌리는 리턴 통로를 구비하고 있는 것과 함께, 입경 분별기에 있어서 재생 원료로서 분별된 세립 석고 만을 차례 차례 재생 원료 용기에 회수하도록 한 것이다.
이 청구항 1의 재생 원료화 장치의 각 구성 부분에 대하여, 기능과 함께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파쇄기는 불특정한 크기의 석고 폐재(폐석고 보드)를 제 1 압쇄기에 투입하기 전에, 일변이 예를 들면, 50㎜ 정도 이하의 크기(이 크기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로 맞추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이 파쇄기는 대괴상의 석고 폐재를 소정 크기(일변이 50㎜ 정도 이하)의 괴상으로 조분할했을 때에 석고 폐재에 부착되어 있는 종이도 분단되는데, 분단된 작은 조각상의 종이는 괴상 석고 폐재에 부착된 상태이다.
파쇄기에서 조분할된 괴상 석고 폐재는 반송 컨베이어로 제 1 압쇄기까지 반송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 청구항 1에서는 반송 컨베이어 없이 파쇄기의 출구로부터 괴상 석고 폐재를 직접 제 1 압쇄기에 투입하도록 해도 좋다.
제 1 압쇄기는 좌우 한쌍의 압쇄 롤러를 갖고, 해당 양 압쇄 롤러 간에 괴상 석고 폐재를 통과시킴으로써 규격 입경(약 3㎜) 이하의 세립 석고로 압쇄하는 것이다. 이 양 압쇄 롤러에 의한 압쇄 작용은 괴상 석고 폐재를 세립상으로 부술 수 있는 것인데, 괴상 석고 폐재에 부착되어 있던 종이에 대해서는 분단 작용이 작은 것으로, 석고 폐재가 산산이 압쇄되어도 종이의 대부분은 원래의 크기(일변이 50㎜ 정도)의 상태이다. 또, 압쇄된 세립 석고(산산조각나 있다)는 그 대부분이 종이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또한, 이 제 1 압쇄기의 양 압쇄 롤러는 소정 압력(석고 폐재를 으깰 수 있는 압력)으로 눌러 접합되어 있는데, 해당 양 압쇄 롤러 간에 대직경의 경질 이물이 들어가면, 해당 경질 이물에 의하여 양 압쇄 롤러 간의 간격이 확대되어 해당 경질 이물이 그대로 통과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양 압쇄 롤러 간의 간격이 확대된 순간에는 석고 폐재가 규격 입경보다 큰 입경의 상태로 통과하는 일이 있다.
반송 장치는 제 1 압쇄기에서 압쇄된 제 1차 압쇄 석고(종이 조각 혼입)를 종이 조각 분리기까지 반송시키는 것인데, 제 1 압쇄기의 설치 높이보다 종이 조각 분리기의 설치 높이가 높은 경우에는, 반송 장치로서 수직 컨베이어(청구항 5에서 채용)를 사용하면 좋다.
종이 조각 분리기는 종이 조각 혼입의 제 1차 압쇄 석고 중의 종이 조각을 석고 성분(압쇄 석고)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이다. 이 종이 조각 분리기로서는, 제 1 압쇄기에서 압쇄된 압쇄 석고의 통과를 허용하는 한편, 종이 조각의 통과를 저지하는 메시(예를 들면, 10㎜ 정도의 펀칭 구멍이나 그물코)의 필터를 사용한 것을 채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종이 조각 분리기에 투입된 종이 조각 혼입의 제 1차 압쇄 석고는 해당 필터 상을 통과 중에 메시(10㎜)보다 작은 입경의 것(주로, 압쇄 석고) 만이 필터를 지나서 낙하하고, 종이 조각은 필터 상에 남음으로써 해당 종이 조각을 압쇄 석고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필터 상에 남은 종이 조각은 차례 차례 종이 조각 분리기로부터 배제된다. 또한, 미소하게 분단된 종이 조각은 필터 부분을 이동 시에 그 메시를 통과하여 압쇄 석고에 혼입되는 것이 생각되지만, 그 양은 미미한 것이다.
종이 조각 분리기에서 종이 조각을 제거한 나머지의 제 1차 압쇄 석고는 다음 공정의 입경 분별기에 투입된다. 이 입경 분별기는 앞서의 제 1 압쇄기에 있어서 규격 입경(3㎜) 이하까지 압쇄할 수 없었던 조립 석고를 재생 원료로 되는 세립 석고로부터 분리하는 것이고, 이 입경 분별기로서느 예를 들면, 진동 체질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입경 분별기(진동 체질기)의 체망의 메시는 규격 입경(3㎜) 이하의 세립 석고만 통과시킬 수 있는 것이고, 분별된 세립 석고와 조립 석고는 별도의 출구로부터 배출된다.
그리고 이 입경 분별기에서 규격 입경 이하의 것으로서 분별된 세립 석고는 차례 차례 재생 원료 용기에 회수되는 한편, 규격 입경을 넘는 것으로서 분별된 조립 석고는 다음 공정의 제 2 압쇄기에 보내어진다.
이 제 2 압쇄기는 상기의 제 1 압쇄기와 마찬가지로 좌우 한쌍의 압쇄 롤러를 가진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이 제 2 압쇄기에 투입되는 조립 석고의 양은 입경 분별기에 있어서 규격 입경을 넘는 것뿐이기 때문에 소량이고, 경질 이물 이외는 확실히 규격 입경 이하로 압쇄할 수 있다. 또한, 이 제 2 압쇄기에서도 경질의 이물은 그대로 통과한다.
이 제 2 압쇄기에서 압쇄된 제 2차 압쇄 석고(세립 석고가 대부분이다)는 리턴 통로를 통과하여 상기의 반송 장치로 되돌아간다. 그리고 반송 장치에 되돌아간 제 2차 압쇄 석고는 해당 반송 장치에 의해 종이 조각 분리기를 거쳐서 입경 분별기에 재투입되고, 그곳에서 규격 입경 이하의 세립 석고(양품)가 차례 차례 재생 원료 용기에 회수된다. 또한, 제 2차 압쇄 석고 중에 조립의 경질 이물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조립 경질 이물은 몇 번이나 순환하는데, 어느 정도의 양의 조립 경질 이물이 쌓인 시점에서 후술하는 청구항 4의 구성에 의해 정리하여 배제할 수 있다.
이 청구항 1의 석고 폐재 재생 원료화 장치에서는 종이 조각 분리기에서 압쇄 석고 중의 종이 조각을 제거하고, 입경 분별기에서 규격 입경 이하의 세립 석고(양품) 만을 분별하여 회수하기 때문에 규격 입경을 넘은 조립 석고가 양품 중에 혼입되는 일이 없다. 또, 규격 입경을 넘은 조립 석고는 입경 분별기에서 배제되어 제 2 압쇄기에서 압쇄된 후(세립 석고로 된다), 리턴 통로를 통과하여 다시 입경 분별기에 투입되어 양품측으로 회수되게 되어 있다.
[본원 청구항 2의 발명]
본원 청구항 2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의 석고 폐재 재생 원료화 장치에 있어서, 제 2 압쇄기와 리턴 통로의 사이에 제 2 압쇄기에서 압쇄한 제 2차 압쇄 석고 중에 남아 있는 종이 부스러기를 분리시키는 진동 체질기를 설치하여, 진동 체질기로 종이 부스러기를 제거한 세립 석고 만을 리턴 통로로 되돌리도록 하고 있다.
전(前)공정의 입경 분별기에 있어서 규격 입경을 넘는 것으로서 분별된 조립 석고 중에는 소량이기는 하지만, 종이 조각 분리기에서 분리되지 않은 종이 부스러기(종이 조각 분리기의 필터를 통과한 일변이 10㎜ 미만의 것)가 혼입되어 있는 일이 있으며, 이 청구항 2에서는 그 종이 부스러기 혼입 조립 석고를 제 2 압쇄기에서 압쇄한 후(세립 석고로 된다), 진동 체질기로 종이 부스러기를 제거하도록 하고 있다.
제 2 압쇄기에서는 석고 성분을 작게 압쇄하지만, 종이 부스러기는 압쇄해도 거의 분단되지 않기 때문에 제 2 압쇄기를 통과한 종이 부스러기는 전공정의 종이 조각 분리기의 필터(메시가 10㎜)를 통과한 상태의 크기이다.
진동 체질기의 체망으로서는, 메시가 5㎜ 정도의 것이 적당하다. 그리고 이 청구항 2에서는 해당 진동 체질기에 의하여 나머지의 종이 부스러기를 제거한 제 2차 압쇄 석고 만을 리턴 통로측으로 통과시킬 수 있다.
[본원 청구항 3의 발명]
본원 청구항 3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 또는 2의 석고 폐재 재생 원료화 장치에 있어서, 파쇄기와 제 1 압쇄기의 사이에 괴상 석고 폐재를 반송하는 반송 컨베이어를 설치하고 있는 것과 함께, 반송 컨베이어의 적소에 괴상 석고 폐재 중의 철 성분을 제거하는 자선기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자선기에서 제거되는 철 성분을 철 부스러기라 부른다.
그런데 해체 건조물로부터 반출되는 석고 폐재 중에는 철 부스러기가 혼입되어 있는 일이 많이 있지만, 이 청구항 3에서는 괴상 석고 폐재를 제 1 압쇄기에 투입하기 전에 해당 괴상 석고 폐재 중에 혼입되어 있는 철 부스러기를 자선기에서 제거함으로써 해당 제 1 압쇄기 이하의 각 장치 부분에 철 부스러기가 보내어지지 않도록 하고 있다.
[본원 청구항 4의 발명]
본원 청구항 4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에서 3 중 어느 한 항의 석고 폐재 재생 원료화 장치에 있어서, 리턴 통로에, 해당 리턴 통로를 지나는 통과물을 리턴 통로 밖으로 유도하는 댐퍼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이 댐퍼 부분에는 리턴 통로로부터 분기하는 배출 통로를 설치하고 있으며, 통상은 댐퍼가 리턴 통로를 개방하고 있지만(배출 통로가 닫힘), 해당 댐퍼를 전환하는 것으로 리턴 통로를 지나는 통과물을 배출 통로측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본원의 재생 원료화 장치에서는 규격 입경 이하로 압쇄할 수 없는 경질 이물(예를 들면, 석립(石粒)이나 플라스틱 부스러기나 비철 금속)이 리턴 통로를 통하여 몇 번이나 순환하게 되어 있는데, 장기간 운전하고 있으면 처리 경로 중을 경질 이물이 다량으로 순환하게 되어, 양품의 처리 효율이 나빠진다.
그래서 이 청구항 4의 재생 원료화 장치에서는 정기적으로(또는 필요에 따라서) 댐퍼를 전환하는 것으로 리턴 통로를 지나는 통과물(주로 경질 이물)을 배출 통로로부터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 경우(댐퍼를 배출 통로 열림측으로 전환하는 경우)에는 새로운 괴상 석고 폐재의 공급을 정지한 상태로 실시한다.
[본원 청구항 5의 발명]
본원 청구항 5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에서 4 중 어느 한 항의 석고 폐재 재생 원료화 장치에 있어서, 반송 장치에 수직 컨베이어를 사용하는 한편, 수직 컨베이어의 케이싱 하단에 입경체 저장부를 설치하여, 입경체 저장부의 전후 대향 위치에 제 1 압쇄기로부터의 입경체 통로와 리턴 통로를 접속시키고 있다.
이 청구항 5의 재생 원료화 장치에서 사용하고 있는 수직 컨베이어는 다수의 버킷을 상하로 순환시키는 형식의 것을 채용하고 있으며, 케이싱 하단에 설치하고 있는 입경체 저장부에 있는 입경체를 차례 차례 버킷으로 퍼올려서 다음 공정(종이 조각 분리기)측으로 반송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청구항 5에서는 케이싱 하단의 입경체 저장부에 제 1 압쇄기로부터의 제 1차 압쇄 석고와 리턴 통로로부터의 압쇄 석고를 합류시키도록 하고 있다.
[본원 청구항 1의 발명의 효과]
본원 청구항 1의 발명의 재생 원료화 장치는 파쇄기와, 제 1 압쇄기와, 반송 장치와, 종이 조각 분리기와, 입경 분별기와, 제 2 압쇄기와, 리턴 통로를 구비하여, 입경 분별기에 있어서 재생 원료로서 분별된 세립 석고 만을 차례 차례 세립 석고 통로를 통하여 재생 원료 용기에 회수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이 청구항 1의 재생 원료화 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우선, 종이가 부착되어 있는 해체 석고 폐재이어도 파쇄기에 투입하는 것만으로 전자동으로 종이를 제거한 순도가 높은 세립 석고(재생 원료)로 가공할 수 있다.
또, 최종 가공된 세립 석고 중에 규격 입경 이상의 조립의 것이 혼입되지 않기 때문에 고정밀도의 재생 원료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입경 분별기에서 분별된 규격 입경 이상의 조립 석고를 제 2 압쇄기에서 다시 압쇄하여, 그 압쇄 석고를 리턴 통로를 통하여 반송 장치에 되돌리도록(그 후, 다시 입경 분별기에 보낸다) 하고 있기 때문에 재생 원료로 되는 세립 석고로의 가공량을 많게 할 수 있다(불필요해지는 석고 성분이 적어져서 생산량이 많아진다). 즉, 종래에는 불필요해지는 석고 성분이 전체의 20% 정도 있었지만, 본원과 같이 입경 분별기에서 분별한 조립 석고를 제 2 압쇄기에서 다시 압쇄한 것을 리턴 통로에서 반송 장치로 되돌려서 입경 분별기에서 재분별하도록 한 것에서는 불필요해지는 석고 성분을 전체의 약 2% 정도로 할 수 있다.
[본원 청구항 2의 발명의 효과]
본원 청구항 2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의 재생 원료화 장치에 있어서, 제 2 압쇄기와 리턴 통로의 사이에 제 2 압쇄기에서 압쇄한 제 2차 압쇄 석고 중에 남아 있는 종이 부스러기를 분리시키는 진동 체질기를 설치하여, 진동 체질기로 종이 부스러기를 제거한 세립 석고 만을 리턴 통로로 되돌리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이 청구항 2의 재생 원료화 장치에서는 상기 청구항 1의 효과에 추가하여 진동 체질기에 의한 더한층의 종이 부스러기 제거를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한층 고순도의 재생 원료(세립 석고)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원 청구항 3의 발명의 효과]
본원 청구항 3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 또는 2의 재생 원료화 장치에 있어서, 파쇄기와 제 1 압쇄기의 사이에 설치하고 있는 반송 컨베이어의 적소에 괴상 석고 폐재 중의 철 성분(철 부스러기)을 제거하는 자선기를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이 청구항 3의 재생 원료화 장치에서는 괴상 석고 폐재가 제 1 압쇄기에 보내어지기 전에 자선기에서 철 부스러기를 배제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청구항 1∼2의 효과에 추가하여 제 1 압쇄기 이하의 각 장치 부분을 철 부스러기 맞물림에 의한 트러블(파손 등)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철 부스러기가 혼입되지 않기 때문에 재생 원료의 순도가 양호하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
[본원 청구항 4의 발명의 효과]
본원 청구항 4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에서 3 중 어느 한 항의 재생 원료화 장치에 있어서, 리턴 통로에, 해당 리턴 통로를 지나는 통과물(규격 입경 이하로 압쇄할 수 없는 경질 이물)을 리턴 통로 밖으로 유도하는 댐퍼를 설치하고 있다. 이 청구항 4의 재생 원료화 장치에서는 정기적으로(또는 필요에 따라서) 댐퍼를 전환함으로써 규격 입경 이하로 압쇄할 수 없는 경질 이물(불순물)을 정규의 순환 통로로부터 배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청구항 4의 재생 원료화 장치에서는 상기 청구항 1∼3의 효과에 추가하여 경질 이물(불순물)을 배제하는 데 댐퍼의 전환 만으로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그 경질 이물의 배제 조작이 간단하다는 효과가 있다.
[본원 청구항 5의 발명의 효과]
본원 청구항 5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에서 4 중 어느 한 항의 재생 원료화장치에 있어서, 반송 장치에 수직 컨베이어를 사용하는 한편, 수직 컨베이어의 케이싱 하단에 입경체 저장부를 설치하여, 입경체 저장부의 전후 대향 위치에 제 1 압쇄기로부터의 입경체 통로와 리턴 통로를 접속시키고 있다.
따라서, 이 청구항 5의 재생 원료화 장치에서는 상기 청구항 1∼4의 효과에 추가하여 리턴 통로로부터의 세립 석고를 다시 입경 분별기로 되돌리는 데 반송 장치(수직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어서, 특별한 환류 장치(컨베이어)가 불필요하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원 실시예에 관련되는 석고 폐재 재생 원료화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반송 컨베이어의 종단부 부근 및 수직 컨베이어의 시단부 부근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어서의 수직 컨베이어의 종단부 부근 및 종이 조각 분리기의 시단부 부근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어서의 종이 조각 분리기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에 있어서의 입경 분별기 부분 및 제 2 압쇄기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1에 있어서의 진동 체질기 부분 및 리턴 통로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1의 석고 폐재 재생 원료화 장치의 처리 방법 설명도이다.
도 8은 종래의 일반적인 석고 폐재 재생 원료화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반송 컨베이어의 종단부 부근 및 수직 컨베이어의 시단부 부근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어서의 수직 컨베이어의 종단부 부근 및 종이 조각 분리기의 시단부 부근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어서의 종이 조각 분리기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에 있어서의 입경 분별기 부분 및 제 2 압쇄기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1에 있어서의 진동 체질기 부분 및 리턴 통로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1의 석고 폐재 재생 원료화 장치의 처리 방법 설명도이다.
도 8은 종래의 일반적인 석고 폐재 재생 원료화 방법의 설명도이다.
[실시예]
이하, 도 1∼도 7을 참조하여 본원 실시예의 석고 폐재 재생 원료화 장치를 설명하면, 도 1에는 그 전체 개략도를 나타내고, 도 2∼도 6에는 각각 도 1의 부분 확대도를 나타내고, 도 7에는 도 1의 석고 폐재 재생 원료화 장치의 처리 방법 설명도를 나타내고 있다.
그런데 건조물을 해체하면 석고 폐재(주로, 폐석고 보드)가 다량으로 발생하는데, 이 석고 폐재는 작게(입경이 3㎜ 이하인 세립 석고로) 파쇄하여 재생 원료로서 재이용할 수 있다.
또, 건축재로서 사용되고 있는 석고 보드에는 전면에 종이가 부착되어 있으며, 폐석고 보드를 재생 원료화하는 데는, 재생 원료로 되는 세립 석고 중에서 종이를 배제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도 1에 나타내는 실시예의 석고 폐재 재생 원료화 장치는 상기의 종이 부착 석고 폐재(주로, 폐석고 보드)로부터 종이를 제거한 재생 원료(세립 석고)로 가공하기 위한 것으로, 다음의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즉, 이 실시예의 석고 폐재 재생 원료화 장치는,
종이가 부착되어 있는 대괴상의 해체 석고 폐재(A0)를 소정 크기의 괴상으로 조분할하는 파쇄기(1)와,
파쇄기(1)에서 조분할된 괴상 석고 폐재(A1)를 다음 공정(제 1 압쇄기(3))으로 반송하는 반송 컨베이어(2)와,
반송 컨베이어(2)에서 반송되어 있는 괴상 석고 폐재(A1) 중에 혼입되어 있는 철 성분(이하, 철 부스러기라 한다)을 제거하는 자선기(21)와,
반송 컨베이어(2)의 종단부로부터 낙하하는 괴상 석고 폐재(A1)를 재생 원료(A)로 되는 규격 입경 이하까지 압쇄할 수 있는 제 1 압쇄기(3)와,
제 1 압쇄기(3)에서 압쇄한 종이 조각 혼입의 제 1차 압쇄 석고(A2)를 다음 공정(종이 조각 분리기(5))측으로 반송하는 반송 장치(4)와,
반송 장치(4)에서 반송된 종이 조각 혼입의 제 1차 압쇄 석고(A2)로부터 종이 조각(P1)을 분리시키는 종이 조각 분리기(5)와,
종이 조각 분리기(5)에서 종이 조각(P1)을 분리시킨 나머지의 압쇄 석고(A3)를 재생 원료로 되는 규격 입경 이하의 세립 석고(A)와 그보다 큰 입경의 조립 석고(A4)로 분별하는 입경 분별기(6)와,
입경 분별기(6)에서 분별된 조립 석고(A4)를 다시 작게 압쇄하는 제 2 압쇄기(7)와,
제 2 압쇄기(7)에서 압쇄된 제 2차 압쇄 석고(A5) 중에 혼입되어 있는 나머지의 종이 부스러기(P2)를 제거하는 진동 체질기(8)와,
진동 체질기(8)에서 분별된 분별 완료 압쇄 석고(A6)를 반송 장치(4)로 되돌리는 리턴 통로(9)를 기본 구성으로 하고 있는 것과 함께, 입경 분별기(6)에 있어서 재생 원료로서 분별된 세립 석고(A) 만을 차례 차례 재생 원료 용기(67)에 회수하도록 한 것이다.
해체 현장으로부터 반출되는 석고 폐재(폐석고 보드)에는 종이가 부착되어 있는 외에, 석고 폐재에 섞여서 나무 조각이나 금속이나 플라스틱 등의 이물이 혼입되어 있는 일이 많다. 그리고 해체 석고 폐재(A0)를 파쇄기(1)에 투입하기 전에는 미리 수선별에 의해 해체 석고 폐재(A0)로부터 나무 조각이나 금속이나 플라스틱 등의 이물을 제거해 둔다. 또한, 해체 석고 폐재(A0)는 불특정한 형상으로 상당한 크기를 갖고 있다.
파쇄기(1)는 불특정한 형상으로 대괴상의 해체 석고 폐재(폐석고 보드)(A0)를 일변이 예를 들면, 50㎜ 정도 이하의 크기(이 크기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로 조분할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이 파쇄기(1)에는 그 호퍼(11)에 해체 석고 폐재(A0)를 중기(重機)로 퍼올려서 투입한다.
이 파쇄기(1)에서는 대괴상(불특정 형상)의 석고 폐재를 소정 크기(일변이 50㎜ 정도 이하)의 괴상으로 조분할하고, 그 때에 석고 폐재에 부착되어 있는 종이도 분단되는데, 분단된 작은 조각상의 종이는 괴상 석고 폐재(A1)에 부착된 상태이다. 그리고 파쇄기(1)에서 조분할된 괴상 석고 폐재(A1)는 투입 컨베이어(스크류 컨베이어)(12)에서 차례 차례 소정량씩 반송 컨베이어(2)의 시단부 상에 투입된다.
반송 컨베이어(2)에는 컨베이어 벨트가 사용되고 있다. 이 반송 컨베이어(2)의 적소에는 해당 반송 컨베이어(2)에 의하여 반송되는 괴상 석고 폐재(A1) 중의 철 성분(철 부스러기)을 제거하기 위한 자선기(21)를 설치하고 있다.
이 자선기(21)는 실시예에서는 도 2에 확대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송 컨베이어(2)의 종단측 롤러 부분에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반송 컨베이어(2)에서 반송되는 괴상 석고 폐재(A1) 중에 철 부스러기가 있으면, 반송 컨베이어(컨베이어 벨트) 종단부에 있어서 해당 철 부스러기(F)를 자선기(21)에서 자기 흡착시키는 것으로 정상적인 괴상 석고 폐재(A1)로부터 분리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정상적인 괴상 석고 폐재(A1)로부터 분리된 철 부스러기(F)는 철 부스러기 통로(22)를 통하여 철 부스러기 용기(23) 내에 저장된다. 또한, 이 자선기(21)는 반송 컨베이어(컨베이어 벨트)(2)의 상면 주행 부분에 설치한 것이어도 좋다.
반송 컨베이어(2)의 종단부 아래쪽에는 해당 컨베이어 종단부로부터 차례 차례 낙하해 오는 괴상 석고 폐재(A1)를 작게 압쇄하기 위한 제 1 압쇄기(3)(도 2에 확대 도시하고 있다)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 1 압쇄기(3)는 케이싱 내에 좌우 한쌍의 압쇄 롤러(31, 31)를 갖고, 해당 양 압쇄 롤러(31, 31) 간에 괴상 석고 폐재(A1)를 통과시킴으로써 규격 입경(약 3㎜) 이하의 세립 석고(A2)로 압쇄하는 것이다. 이 양 압쇄 롤러(31, 31)에 의한 압쇄 작용은 괴상 석고 폐재(A1)를 세립상으로 부술 수 있는 것인데, 괴상 석고 폐재(A1)에 부착되어 있던 종이에 대해서는 분단 작용이 작은 것이다. 따라서, 석고 폐재가 산산이 압쇄되어도 종이의 대부분은 원래의 크기(일변이 50㎜ 정도)의 상태인데, 압쇄된 세립 석고(산산조각나 있다)는 그 대부분이 종이로부터 분리하게 된다.
또한, 이 제 1 압쇄기(3)의 양 압쇄 롤러(31, 31)는 소정 압력(석고 폐재를 으깰 수 있는 압력)으로 눌러 접합되어 있는데, 해당 양 압쇄 롤러(31, 31) 간에 큰 입경의 경질 이물이 들어가면, 해당 큰 입경 경질 이물에 의하여 양 압쇄 롤러(31, 31) 간의 간격이 확대되어 해당 큰 입경 경질 이물이 그대로 통과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양 압쇄 롤러(31, 31) 간의 간격이 확대된 순간에는 석고 폐재가 규격 입경보다 큰 입경의 상태로 통과하는 일이 있다.
반송 장치(4)는 제 1 압쇄기(3)에서 압쇄된 종이 조각 혼입의 제 1차 압쇄 석고(A2)를 다음 공정의 종이 조각 분리기(5)까지 반송시키는 것인데, 이 실시예에서는 반송 장치(4)로서 수직 컨베이어(41)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이 반송 장치(4)(수직 컨베이어(41))는 도 2 및 도 3에 확대 도시하고 있다.
수직 컨베이어(41)는 세로로 긴 케이싱(42) 내에, 상하로 순환하는 체인(43)에 다수의 버킷(44, 44ㆍㆍ)을 부착한 것을 수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케이싱(42)의 하부는 입경체 저장부(42a)로 되는 것으로, 해당 입경체 저장부(42a)에는 제 1 압쇄기(3)로부터의 제 1차 압쇄 석고(A2)가 입경체 통로(32)를 지나서 차례 차례 낙하ㆍ저장된다.
체인(43)은 화살표 방향으로 순환하는 것이고, 각 버킷(44, 44ㆍㆍ)이 최하부에 있어서 차례 차례 오른쪽(화살표 R)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입경체 저장부(42a)에 저장된 제 1차 압쇄 석고(A2)는 각 버킷(44, 44ㆍㆍ)으로 차례 차례 퍼올려져서 위쪽으로 반송된다.
케이싱(42)의 상부에는 종이 조각 분리기(5)의 시단부에 연속되는 연통로(4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버킷(44, 44ㆍㆍ)으로 위쪽으로 반송된 제 1차 압쇄 석고(A2)는 수직 컨베이어(41)의 상단부에 있어서 차례 차례 연통로(45)에 방출된 후, 종이 조각 분리기(5)의 시단부에 공급된다.
종이 조각 분리기(5)는 종이 조각 혼입의 제 1차 압쇄 석고(A2)를 종이 조각(P1)과 압쇄 석고(A3)로 분리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이 종이 조각 분리기(5)는 저부에 필터(52)를 가진 가로로 긴 케이싱(51)과, 가로로 긴 케이싱(51) 내에 투입된 종이 조각 혼입의 제 1차 압쇄 석고(A2)를 차례 차례 후송하기 위한 이송 막대(53)를 갖고 있다.
가로로 긴 케이싱(51)의 시단부(51a)에는 상기 연통로(45)가 접속되어 있고, 해당 가로로 긴 케이싱(51)의 종단부(51b)에는 종이 조각 통로(55)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 종이 조각 통로(55)의 아래쪽에는 종이 조각 용기(56)가 설치되어 있다.
필터(52)는 제 1 압쇄기(3)에서 압쇄된 제 1차 압쇄 석고(A2)의 압쇄 석고(A3)를 통과시킬 수 있는 한편, 종이 조각(P1)의 통과를 저지하는 메시(예를 들면, 10㎜ 정도의 펀칭 구멍이나 그물코)를 갖고 있다.
이송 막대(53)는 가로로 긴 케이싱(51)의 전체 길이에 걸친 길이를 갖고 있다. 이 이송 막대(53)의 외주에는 다수의 누름 날개(54, 54ㆍㆍ)가 부착되어 있다.
이 종이 조각 분리기(5)는 이송 막대(53)를 모터로 송출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가로로 긴 케이싱(51)의 시단부(51a)에 투입된 종이 조각 혼입의 제 1차 압쇄 석고(A2)를 차례 차례 후송해 간다. 그리고 그 이송 중에 필터(52)의 메시보다 작은 입경의 압쇄 석고(A3)는 해당 필터(52)의 메시를 통하여 아래쪽으로 낙하하는 한편, 해당 필터(52)의 메시보다 큰 종이 조각(P1)은 가로로 긴 케이싱(51)의 종단부(51b)까지 이송되어 해당 케이싱 종단부(51b)로부터 종이 조각 통로(55) 내로 배출된다.
필터(52)의 메시를 지나서 낙하하는 압쇄 석고(A3)는 그 대부분이 석고 성분이고, 또한, 해당 압쇄 석고(A3)는 세립상으로 압쇄되어 있기 때문에, 그 대부분이 필터(52) 부분을 통과한다.
한편, 필터(52)의 메시를 지나지 않는 종이 조각(P1)은 케이싱 종단부(51b)로부터 종이 조각 통로(55) 내로 배출된 후, 해당 종이 조각 통로(55)를 지나서 종이 조각 용기(56) 내에 저장된다. 또한, 미소하게 분단된 종이 조각은 필터(52) 부분을 이동 시에 그 메시를 통과하여 압쇄 석고(3) 중에 혼입되는 것이 생각되지만, 그 양은 미미한 것이다.
또, 제 1차 압쇄 석고(A2) 중에 필터(52)의 메시(10㎜ 정도)보다 큰 이물이 혼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큰 입경 이물도 종이 조각(P1)과 함께 케이싱 종단부(51b)로부터 종이 조각 통로(55) 내로 배출된다(종이 조각 용기(56)에 저장된다).
필터(52) 부분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낙하한 압쇄 석고(A3)는 해당 필터(52)의 아래쪽에 설치하고 있는 수집 컨베이어(스크류 컨베이어)(57)에 의하여 입경 분별기(6)의 투입 통로(58) 상에 모이고, 해당 투입 통로(58) 내로 낙하한다. 또한, 수집 컨베이어(57)는 좌우의 스크류 날개가 역방향으로 부착되어 있고, 필터(52) 부분으로부터 낙하해 오는 압쇄 석고(A3)를 중앙측(투입 통로(58) 상)에 모을 수 있게 되어 있다.
투입 통로(58) 내로 낙하한 압쇄 석고(A3)는 입경 분별기(6)에 투입된다. 이 입경 분별기(6)는 앞서의 제 1 압쇄기(3)에 있어서 규격 입경(3㎜) 이하까지 압쇄할 수 없었던 조립 석고(A4)를 재생 원료로 되는 세립 석고(A)로부터 분리하는 것이고, 이 실시예에서는 진동 체질기를 사용하고 있다.
이 입경 분별기(진동 체질기)(6)는, 그 케이싱(61) 내를 체망(62)으로 상실(上室)(63)과 하실(下室)(64)로 구획하고 있는 것과 함께, 도시하지 않는 진동 모터로 케이싱(61)마다 상하로 진동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체망(62)의 메시는 3㎜ 정도이고, 규격 입경(3㎜) 이하의 세립 석고(재생 원료로 된다)(A)만 체망(62)을 통과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상실(63)에는 조립 통로(65)가 접속되어 있는 한편, 하실(64)에는 세립 통로(66)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 입경 분별기(6)는 케이싱(61)의 상실(63)에 투입된 압쇄 석고(A3)를 체망(62)으로 조립 석고(A4)와 세립 석고(A)로 분별하여, 해당 조립 석고(A4)를 조립 통로(65)로 배출하는 한편, 해당 세립 석고(A)를 세립 통로(66)로 배출하게 되어 있다. 또한, 입경 분별기(6)에 투입되는 압쇄 석고(A3)는, 그 대부분이 앞서의 제 1 압쇄기(3)에서 규격 입경 이하로 압쇄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 통로(65)측으로 배출되는 조립 석고(A4)는 소량이다.
세립 통로(66)로 배출된 세립 석고(A)(압쇄 석고(A3)의 대부분의 양)는 그대로 재생 원료로 되는 것이고, 해당 세립 석고(A)는 세립 통로(66)를 지나서 재생 원료 용기(67)에 저장된다.
한편, 규격 입경을 넘는 것으로서 분별된 조립 석고(A4)는 다음 공정의 제 2 압쇄기(7)에 투입된다. 이 제 2 압쇄기(7)는 상기의 제 1 압쇄기(3)와 마찬가지로, 좌우 한쌍의 압쇄 롤러(71, 71)를 가진 것이 채용되어 있다. 이 제 2 압쇄기(7)에 투입되는 조립 석고(A4)의 양은 입경 분별기(6)에서 규격 입경을 넘는 것뿐이기 때문에 소량이고, 해당 제 2 압쇄기(7)에서는 경질 이물 이외는 확실하게 규격 입경 이하로 압쇄할 수 있다. 또한, 이 제 2 압쇄기(7)에서도 경질의 이물은 그대로 통과한다.
이 제 2 압쇄기(7)에서 압쇄된 제 2차 압쇄 석고(A5)는 제품(양품)으로 되는 세립 석고(A)가 대부분인데, 이 제 2차 압쇄 석고(A5) 중에는 극히 소량이기는 하지만, 미소한 종이 부스러기(P2)가 혼입되어 있는 일이 있다. 즉, 입경 분별기(6)에서 규격 입경을 넘는 것으로서 분별된 조립 석고(A4) 중에는 소량이기는 하지만, 종이 조각 분리기(5)에서 분리되지 않은 종이 부스러기(일변이 10㎜ 미만인 것)가 혼입되어 있는 일이 있는데, 이 종이 부스러기는 제 2 압쇄기(7)(양 압쇄 롤러(71, 71))에서 압쇄해도 거의 분단되지 않은 채로 제 2차 압쇄 석고(A5)에 혼입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 2 압쇄기(7)에서 압쇄된 제 2차 압쇄 석고(A5)는 종이 부스러기 분리용의 진동 체질기(8)에 투입되어, 해당 진동 체질기(8)에 의해 종이 부스러기(P2)를 제거하게 되어 있다.
이 진동 체질기(8)는 상기 입경 분별기(6)와 마찬가지로, 케이싱(81) 내를 체망(82)으로 상실(83)과 하실(84)로 구획하고 있는 것과 함께, 도시하지 않는 진동 모터로 케이싱(81)마다 상하로 진동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상실(83)에는 종이 부스러기 통로(85)가 접속되어 있는 한편, 하실(84)에는 입체 통로(86)가 접속되어 있다.
이 진동 체질기(8)의 체망(82)의 메시는 5㎜ 정도이지만, 상실(83) 내에 투입된 제 2차 압쇄 석고(A5) 중의 종이 부스러기(P2)는 5㎜보다 큰 것(10㎜보다 작다)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해당 종이 부스러기(P2)의 대부분은 체망(82)을 통과하지 않고 상실(83)측의 종이 부스러기 통로(85)로 배출된다. 종이 부스러기 통로(85)의 아래쪽에는 종이 부스러기 용기(87)가 설치되어 있으며, 종이 부스러기 통로(85)로 배출된 종이 부스러기(P2)는 종이 부스러기 용기(87)에 저장된다. 또한, 5㎜를 넘는 이물도 체망(82)을 통과할 수 없기 때문에 종이 부스러기(P2)와 함께 종이 부스러기 용기(87)에 저장된다.
한편, 상실(83)에 투입된 제 2차 압쇄 석고(A5)는 제 2 압쇄기에서 압쇄된 것이기 때문에, 그 경질 이물을 제외한 대부분이 규격 입경 이하(3㎜ 이하)의 세립 석고(A6)로 되어 있으며, 체망(82)을 스무드하게 통과하게 된다.
진동 체질기(8)의 체망(82)을 통과한 세립 석고(A6)는 하실(84)로부터 입경체 통로(86)로 배출되는데, 이 입경체 통로(86)의 하부에는 리턴 통로(9)가 접속되어 있다.
이 리턴 통로(9)의 하부는 수직 컨베이어(41)의 케이싱(72)의 하부에 있는 입경체 저장부(42a)에 접속되어 있고, 해당 리턴 통로(9)를 유하하는 압쇄 석고(A6)는 그대로 입경체 저장부(42a) 내로 되돌아간다. 이 리턴 통로(9)의 입경체 저장부(42a)에 대한 접속 부분은 상기 제 1 압쇄기(3)의 입경체 통로(32)가 접속되어 있는 부분의 전후 대향 위치이고, 해당 입경체 저장부(42a)에는 제 1 압쇄기(3)로부터의 제 1차 압쇄 석고(A2)와 리턴 통로(9)로부터의 세립 석고(A6)가 합류하게 된다.
그리고 리턴 통로(9)로부터 입경체 저장부(42a)에 되돌아간 압쇄 석고(A6)는 제 1 압쇄기(3)로부터 공급되는 제 1차 압쇄 석고(A2)와 합류한 후, 해당 제 1차 압쇄 석고(A2)와 함께 수직 컨베이어(41)의 버킷(44)으로 퍼올려져서 다시 종이 조각 분리기(5)에 공급되고, 계속해서 종이 조각 분리기(5)의 필터(52)를 지나서 입경 분별기(6)로 낙하하고, 해당 입경 분별기(6)에서의 분별 대상으로 된다(석고 원료로 된다).
그런데 처리해야 할 석고 폐재 중에는 입경 분별기(6)의 체망(62)(메시가 3㎜)을 통과할 수 없고, 또한, 진동 체질기(8)의 체망(82)(메시가 5㎜)을 통과하는 크기(3㎜ 초과이고 5㎜ 이하)의 경질 이물(예를 들면, 석립이나 플라스틱 부스러기나 비철 금속)이 혼입되어 있는 일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크기(3㎜ 이상이고 5㎜ 이하)의 경질 이물은 제 1 압쇄기(3) 및 제 2 압쇄기(7)에서 작게 압쇄할 수 없기 때문에 수직 컨베이어(41)→종이 조각 분리기(5)의 필터(52)→입경 분별기(6)의 체망(62)→제 2 압쇄기(7)→진동 체질기(8)의 체망(82)→리턴 통로(9)→수직 컨베이어(41)의 입경체 저장부(42a)라는 경로를 몇 번이나 순환하게 된다. 따라서, 장기간 운전하고 있으면, 상기 순환 경로 중에 상기 경질 이물의 양이 늘어가기 때문에 그만큼 양품(석고 성분)의 처리 능력이 저하하게 된다.
그래서 이 실시예의 석고 폐재 재생 원료화 장치에서는 리턴 통로(9)에, 해당 리턴 통로(9)를 지나는 통과물(이 경우, 주로 경질 이물)을 리턴 통로(9) 밖으로 유도하는 댐퍼(91)를 설치하고 있다. 이 댐퍼(91)의 설치 부분에는 리턴 통로(9)로부터 분기하는 배출 통로(92)를 설치하고 있으며, 통상은 댐퍼(91)가 리턴 통로(9)를 개방하고 있지만(배출 통로(92)가 닫힘), 해당 댐퍼를 전환하는(부호 91’의 상태) 것으로 리턴 통로(9)를 지나는 통과물(A6)을 부호 A6’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출 통로(92)측으로 유도할 수 있게 하고 있다. 또한, 배출 통로(92)측으로 유도한 이물(주로, 경질 이물)(A6’)은 이물 용기(93)에 수용된다.
이 댐퍼(91)는 수동 레버나 신축 실린더로 전환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순환 경로 중의 경질 이물(A6’)을 외부로 배제하는 데는, 파쇄기(1) 및 반송 컨베이어(2)를 정지시켜서 반송 장치(4)(수직 컨베이어(41))로의 원료의 공급을 중단시킨 상태에서(이 때, 댐퍼(91)는 리턴 통로 열림측으로 유지시켜 둔다) 수직 컨베이어(41), 종이 조각 분리기(5), 입경 분별기(6), 제 2 압쇄기(7) 및 진동 체질기(8)를 일정 시간 작동시켜서 상기 순환 경로 중의 원료로부터 석고 성분(재생 원료(A))을 회수한 후(나머지는 대부분이 경질 이물로 된다), 댐퍼(91)를 쇄선 도시(도 6의 부호 91’)하는 바와 같이 리턴 통로 닫힘측(배출 통로(92) 개방측)으로 전환한다. 그러면 진동 체질기(8)의 입경체 통로(86)로부터 리턴 통로(9)측으로 배출되는 경질 이물(통과물)(A6’)이 댐퍼(91’)에 의해 배출 통로(92)를 지나서 외부(이물 용기(93))로 배출된다. 그리고 배출 통로(92)로부터 경질 이물(A6’)의 배출이 끝난 후, 댐퍼(91’)를 원래의 통로측으로 전환하면(배출 통로(92)가 닫힘이고, 리턴 통로(9)를 열림으로 하면), 통상의 운전을 재개시킬 수 있다.
이 실시예(도 1∼도 6)의 석고 폐재 재생 원료화 장치의 작동 방법에 대하여 도 7을 병용해서 설명한다.
우선, 해체 현장으로부터 반출된 대괴상의 석고 폐재(A0)는 도 1에 나타내는 파쇄기(1)의 호퍼(11)에 투입하고, 그곳에서 해당 석고 폐재(A0)가 소정 크기(일변이 50㎜ 정도의 크기)의 괴상으로 조분할한다(도 7의 S1). 이 공정(S1)에서 대괴상 석고 폐재(A0)가 조분할되면 종이 부착 괴상 석고 폐재(A1)로 된다.
다음으로, 해당 종이 부착 괴상 석고 폐재(A1)는 투입 컨베이어(12)(도 1)에 의해 반송 컨베이어(2)의 시단부에 투입되고, 해당 반송 컨베이어(2)에서 반송된다(도 7의 S2). 그리고 해당 종이 부착 괴상 석고 폐재(A1) 중에 철 부스러기가 혼입되어 있으면, 반송 컨베이어(2)의 종단부에 있어서 자선기(21)로 해당 철 부스러기(F)를 제거한다(도 7의 S3). 이 제거된 철 부스러기(F)는 철 부스러기 통로(22)를 지나서 철 부스러기 용기(23) 내에 저장된다.
반송 컨베이어(2)의 종단부로부터 낙하한 괴상 석고 폐재(A1)는 제 1 압쇄기(3)의 양 압쇄 롤러(31, 31)(도 2)에서 규격 입경(3㎜) 이하로 압쇄된다(도 7의 S4). 이 때, 괴상 석고 폐재(A1)는 제 1차 압쇄 석고(A2)로 되는데, 이 제 1차 압쇄 석고(A2)는 석고 성분의 대부분이 세립상(재생 원료로 되는 입경)으로 압쇄되어 있지만, 일부의 석고 성분은 규격 입경(3㎜)보다 큰 입경의 상태(조립 석고)로 통과하는 일이 있다. 또, 이 제 1 압쇄기(3)에서는 괴상 석고 폐재(A1)에 부착되어 있던 종이는 거의 분단되지 않기 때문에 석고 성분이 분리된 종이 조각 상태로 혼입되어 있다(도 7의 종이 조각 혼입 세립 석고(A2)로 된다). 그리고 제 1 압쇄기(3)를 통과한 제 1차 압쇄 석고(A2)는 입경체 통로(32)를 지나서 수직 컨베이어(41)의 입경체 저장부(42a)에 저장된다.
입경체 저장부(42a)에 저장된 제 1차 압쇄 석고(A2)는 수직 컨베이어(41)의 버킷(44)이 최하부를 통과할(도 2의 화살표 R) 때에 해당 버킷(44)으로 퍼올려져서 위쪽으로 반송된다(도 7의 S5). 그리고 제 1차 압쇄 석고(A2)들이의 버킷(44)이 수직 컨베이어(41)의 상단부를 통과할 때에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킷(44) 내의 제 1차 압쇄 석고(A2)가 연통로(45)로 방출된다. 연통로(45)로 방출된 제 1차 압쇄 석고(A2)는 차례 차례 종이 조각 분리기(5)(가로로 긴 케이싱(51))의 시단부(51a)에 투입된다.
종이 조각 분리기(5)의 시단부(51a)에 투입된 제 1차 압쇄 석고(종이 조각 혼입 세립 석고)(A2)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송 막대(53)에 의해 가로로 긴 케이싱(51) 내를 그 종단부(51b)측으로 이송되는데, 그 때, 석고 성분은 세립상(압쇄 석고(A3))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필터(52)의 메시 성분(10㎜) 부분을 지나서 낙하하는 한편, 종이 조각(P1)은 필터(52)의 메시보다 크기 때문에 그대로 가로로 긴 케이싱(51)의 종단부(51b)까지 이송되어 종이 조각 통로(55)를 지나서 종이 조각 용기(56) 내에 수용된다(도 7의 S6, S7).
종이 조각 분리기(5)의 필터(52)를 지나서 낙하한 압쇄 석고(A3)는 수집 컨베이어(57)에서 투입 통로(58) 부분에 모이고, 해당 투입 통로(58)를 지나서 입경 분별기(6)(상실(63) 내)에 투입된다(도 5 참조). 또한, 입경 분별기(6)에 투입되는 압쇄 석고(A3)는, 그 대부분이 앞서의 제 1 압쇄기(3)에서 규격 입경(3㎜) 이하의 세립 석고로 압쇄되어 있는데, 해당 압쇄 석고(A3) 중에는 소량이기는 하지만, 규격 입경보다 큰 입경(3㎜∼10㎜)의 조립 석고도 혼입되어 있는 일이 있다.
입경 분별기(6)에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실(63) 내에 투입된 압쇄 석고(A3) 중의 규격 입경(3㎜) 이하의 세립 석고(A) 만이 체망(62)을 지나서 하실(64) 내로 낙하하는 한편, 해당 체망(62)을 통과할 수 없는 조립 석고(A4)는 상실(63)로부터 조립 통로(65)측으로 배출된다(도 7의 S8). 그리고 하실(64) 내로 낙하한 세립 석고(A)는 해당 하실(64)로부터 세립 통로(66)를 지나서 재생 원료 용기(67)에 수용된다(도 7의 S9). 이 재생 원료 용기(67)에 수용되는 세립 석고(A)는 규격 입경(3㎜) 이하의 입경의 것뿐이고, 따라서, 조립 석고(및 이물)가 섞여 있지 않은 고정밀도의 재생 원료로 된다.
한편, 체망(62)을 통과할 수 없는 나머지의 조립 석고(A4)는 상실(63)로부터 조립 통로(65)를 지나서 제 2 압쇄기(7)에 공급된다(도 5 참조). 이 제 2 압쇄기(7)측에 공급되는 조립 석고(A4)는 체망(62)의 메시(3㎜)를 통과할 수 없었던 소량이다. 또한, 해당 조립 석고(A4) 중에는 극히 소량이기는 하지만, 종이 부스러기나 경질 이물이 혼입되어 있는 일이 있다.
제 2 압쇄기(7)에서는 조립 통로(65)로부터 공급된 세립 석고(A4)를 양 압쇄 롤러(71, 71)에서 다시 압쇄한다(도 7의 S10). 이 때, 제 2 압쇄기(7)에 공급되는 세립 석고(A4)는 소량이기 때문에 해당 세립 석고(A4) 중의 석고 성분은 확실하게 규격 입경 이하로 압쇄된다. 또한, 이 제 2 압쇄기(7)에서 압쇄된 제 2차 압쇄 석고(A5) 중에는 극히 소량이기는 하지만, 종이 부스러기가 혼입되어 있는 일이 있다.
제 2 압쇄기(7)에서 다시 압쇄된 제 2차 압쇄 석고(A5)는 진동 체질기(8)(도 6 참조)에 공급되어, 그곳에서 종이 부스러기(P2)가 분리된다(도 7의 S11). 또한, 이 진동 체질기(8)의 체망(82)의 메시는 5㎜이고, 해당 메시보다 큰 종이 부스러기(P2)는 상실(83)의 종이 부스러기 통로(85)를 지나서 종이 부스러기 용기(87)에 저장된다(도 7의 S12). 한편, 제 2차 압쇄 석고(A5)의 석고 성분(압쇄 석고(A6))은 체망(82)의 메시보다 작기 때문에 해당 체망(82)을 지나서 하실(84) 내로 낙하한 후, 입경체 통로(86)를 지나서 리턴 통로(9)에 공급되고, 해당 리턴 통로(9) 중을 유하한다(도 7의 S13).
리턴 통로(9)의 댐퍼(91)는 통상은 리턴 통로 열림측에 위치해 있으며, 해당 리턴 통로(9)에 공급된 잔류물(압쇄 석고(A6))은 수직 컨베이어(41)의 입경체 저장부(42a)에 되돌아간다(도 7의 S14). 그리고 입경체 저장부(42a)에 되돌아간 잔류물(압쇄 석고(A6))은 해당 입경체 저장부(42a)에서 제 1 압쇄기(3)로부터 공급된 제 1차 압쇄 석고(A2)와 합류하고, 다시 원료로서 이용된다(도 7의 S5 이하의 각 공정에 공급된다).
또, 장기간 운전하고 있으면 상기와 같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 경질 이물의 양이 증가하는 일이 있는데, 그 경우에는, 리턴 통로(9)에 있는 댐퍼(91)를 리턴 통로 닫힘측으로 전환하는 것으로 해당 경질 이물을 화살표 A6’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의 석고 폐재 재생 원료화 장치는 상기한 본원 청구항 1∼5의 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1: 파쇄기
2: 반송 컨베이어
3: 제 1 압쇄기
4: 반송 장치
5: 종이 조각 분리기
6: 입경 분별기
7: 제 2 압쇄기
8: 진동 체질기
9: 리턴 통로
21: 자선기
41: 수직 컨베이어
42a: 입경체 저장부
67: 재생 원료 용기
91: 댐퍼
A: 세립 석고(재생 원료)
A1: 괴상 석고 폐재
A2: 제 1차 압쇄 석고
A3: 압쇄 석고
A4: 조립 석고
A5: 제 2차 압쇄 석고
A6: 압쇄 석고
A6’: 경질 이물
P1: 종이 조각
P2: 종이 부스러기
F: 철 부스러기
2: 반송 컨베이어
3: 제 1 압쇄기
4: 반송 장치
5: 종이 조각 분리기
6: 입경 분별기
7: 제 2 압쇄기
8: 진동 체질기
9: 리턴 통로
21: 자선기
41: 수직 컨베이어
42a: 입경체 저장부
67: 재생 원료 용기
91: 댐퍼
A: 세립 석고(재생 원료)
A1: 괴상 석고 폐재
A2: 제 1차 압쇄 석고
A3: 압쇄 석고
A4: 조립 석고
A5: 제 2차 압쇄 석고
A6: 압쇄 석고
A6’: 경질 이물
P1: 종이 조각
P2: 종이 부스러기
F: 철 부스러기
Claims (5)
- 종이가 부착되어 있는 괴상의 해체 석고 폐재(A0)를 사전에 결정된 크기의 괴상으로 조분할하는 파쇄기(1)와, 상기 파쇄기(1)에서 조분할된 괴상 석고 폐재(A1)를 재생 원료로 되는 규격 입경 이하까지 압쇄할 수 있는 제 1 압쇄기(3)와, 상기 제 1 압쇄기(3)에서 압쇄한 제 1차 압쇄 석고(A2)를 다음 공정측으로 반송하는 반송 장치(4)와, 상기 반송 장치(4)에서 반송된 제 1차 압쇄 석고(A2)로부터 종이 조각(P1)을 분리시키는 종이 조각 분리기(5)와, 상기 종이 조각 분리기(5)에서 종이 조각(P1)을 분리시킨 나머지의 압쇄 석고(A3)를 재생 원료로 되는 규격 입경 이하의 세립 석고(A)와 그보다 큰 입경의 조립 석고(A4)로 분별하는 입경 분별기(6)와, 상기 입경 분별기(6)에서 분별된 조립 석고(A4)를 다시 작게 압쇄하는 제 2 압쇄기(7)와, 상기 제 2 압쇄기(7)에서 압쇄된 제 2차 압쇄 석고(A5)를 상기 반송 장치(4)로 되돌리는 리턴 통로(9)를 구비하고 있는 것과 함께, 상기 입경 분별기(6)에 있어서 재생 원료로서 분별된 세립 석고(A) 만을 차례 차례 재생 원료 용기(67)에 회수하도록 하고 있는
석고 폐재 재생 원료화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압쇄기(7)와 상기 리턴 통로(9)의 사이에 상기 제 2 압쇄기(7)에서 압쇄한 제 2차 압쇄 석고(A5) 중에 남아 있는 종이 부스러기(P2)를 분리시키는 진동 체질기(8)를 설치하여, 상기 진동 체질기(8)로 종이 부스러기(P2)를 제거한 세립 석고(A6) 만을 리턴 통로(9)로 되돌리도록 하고 있는
석고 폐재 재생 원료화 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기(1)와 상기 제 1 압쇄기(3)의 사이에 괴상 석고 폐재(A1)를 반송하는 반송 컨베이어(2)를 설치하고 있는 것과 함께, 상기 반송 컨베이어(2)의 사전에 결정된 위치에 괴상 석고 폐재(A1) 중의 철 부스러기(F)를 제거하는 자선기(21)를 설치하고 있는
석고 폐재 재생 원료화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 통로(9)에, 상기 리턴 통로(9)를 지나는 통과물을 리턴 통로(9) 밖으로 유도하는 댐퍼(91)를 설치하고 있는
석고 폐재 재생 원료화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장치(4)에 수직 컨베이어(41)를 사용하는 한편, 상기 수직 컨베이어(41)의 케이싱 하단에 입경체 저장부(42a)를 설치하여, 상기 입경체 저장부(42a)의 전후 대향 위치에 상기 제 1 압쇄기(3)로부터의 입경체 통로(32)와 상기 리턴 통로(9)를 접속시키고 있는
석고 폐재 재생 원료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0180458A JP5574876B2 (ja) | 2010-08-11 | 2010-08-11 | 石膏廃材再生原料化装置 |
JPJP-P-2010-180458 | 2010-08-11 | ||
PCT/JP2011/064446 WO2012020607A1 (ja) | 2010-08-11 | 2011-06-23 | 石膏廃材再生原料化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37717A KR20130037717A (ko) | 2013-04-16 |
KR101433692B1 true KR101433692B1 (ko) | 2014-08-25 |
Family
ID=45567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7003521A KR101433692B1 (ko) | 2010-08-11 | 2011-06-23 | 석고 폐재 재생 원료화 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5574876B2 (ko) |
KR (1) | KR101433692B1 (ko) |
WO (1) | WO2012020607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111423B (zh) * | 2013-01-29 | 2015-05-06 | 江苏超威电源有限公司 | 铅挂条自动分离和回收利用方法及其系统 |
CN103111420B (zh) * | 2013-02-25 | 2014-04-16 | 湖北杉树垭矿业科技开发有限公司 | 磷矿多级筛分装置 |
CN103934102B (zh) * | 2014-02-25 | 2016-04-06 | 超威电源有限公司 | 一种铅粉回收设备 |
DE102014115409B3 (de) * | 2014-10-22 | 2015-12-17 | Neuenhauser Maschinenbau Gmbh | Recyclinganlage für Gipskarton |
CN104353607B (zh) * | 2014-11-05 | 2016-02-03 | 重庆市綦江区公信建材有限公司 | 工业副产磷石膏渣筛分处理装置 |
CN106391271A (zh) * | 2016-12-13 | 2017-02-15 | 宜春银锂新能源有限责任公司 | 一种石膏加工用粉碎磨粉生产装置 |
JP2019084494A (ja) * | 2017-11-07 | 2019-06-06 | 中央環境開発株式会社 | 廃石膏ボードのリサイクルシステム、リサイクル方法、ペレットの原材料、ペレットの製造方法及びペレット |
US10814522B2 (en) * | 2017-11-13 | 2020-10-27 | United States Gypsum Company | Stucco paper screen assembly |
CN108043723B (zh) * | 2018-01-22 | 2020-08-28 | 安徽智杰建筑工程有限公司 | 一种建筑工程用循环式筛沙装置 |
CN108580276A (zh) * | 2018-04-18 | 2018-09-28 | 芜湖天梦信息科技有限公司 | 一种坚果生产中废弃果壳环保处理装置 |
CN108543626B (zh) * | 2018-05-14 | 2019-06-11 | 合肥职业技术学院 | 一种剔除金属粉的药用固体物筛分装置 |
CN108636606B (zh) * | 2018-05-14 | 2019-10-22 | 合肥职业技术学院 | 一种具备三级筛分机构的药用固体物筛分装置 |
CN109396015A (zh) * | 2018-09-04 | 2019-03-01 | 徐州光环新能源科技有限公司 | 一种化肥转运装置 |
JP6938450B2 (ja) * | 2018-10-31 | 2021-09-22 | Jx金属株式会社 | 原料供給装置、電子・電気機器部品屑の処理装置及び電子・電気機器部品屑の処理方法 |
CN110125147B (zh) * | 2019-05-28 | 2021-04-23 | 湖南广义节能装备有限公司 | 一种利用煤矸石生产机制砂和煤粉的工艺方法 |
CN110252510A (zh) * | 2019-06-18 | 2019-09-20 | 孙哲西 | 一种建筑废弃物分离破碎装置 |
CN110434147B (zh) * | 2019-08-08 | 2022-04-22 | 广东新瑞龙生态建材有限公司 | 一种建筑废弃物的资源化处理方法 |
CN110433959B (zh) * | 2019-08-16 | 2020-11-24 | 谢秀英 | 一种建筑垃圾筛拣分类装置 |
CN111729755B (zh) * | 2020-07-07 | 2022-03-22 | 应后民 | 一种电子机械式磁感应装置 |
CN112170171A (zh) * | 2020-08-31 | 2021-01-05 | 玉溪红塔新型建材有限公司 | 一种废弃铝渣回收用铝灰分离机 |
CN112439685B (zh) * | 2020-11-18 | 2022-02-22 | 珠海市振业混凝土有限公司 | 建筑垃圾制备再生骨料混凝土的筛分装置 |
CN112791790B (zh) * | 2020-12-23 | 2022-03-18 | 广东金颖农业科技孵化有限公司 | 一种农业生产用小麦精磨设备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21764B1 (ko) | 2002-01-10 | 2005-10-17 | 주식회사 대호에코텍 |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부순모래 제조방법 |
KR20060116214A (ko) * | 2003-12-22 | 2006-11-14 | 요시노 셋고 가부시키가이샤 | 석고보드용 원지의 회수방법 및 석고보드용 원지의회수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818404B2 (ja) * | 1996-06-24 | 1998-10-30 | 株式会社御池鐵工所 | 石膏ボードの粉砕選別機 |
JP2000070915A (ja) * | 1998-08-27 | 2000-03-07 | Harada Sangyo Kk | 石膏ボードのリサイクル処理方法及び装置 |
JP3831552B2 (ja) * | 1999-09-06 | 2006-10-11 | 株式会社カネト製作所 | 廃石膏ボ−ド破砕分別処理装置 |
JP2002011373A (ja) * | 2000-06-30 | 2002-01-15 | Hirosumi Sangyo:Kk | 石膏ボード破砕分別設備 |
JP2004313896A (ja) * | 2003-04-15 | 2004-11-11 | Kobayashi Shoten:Kk | 石膏ボードの分別処理方法及び分別処理装置 |
JP5052020B2 (ja) * | 2006-03-16 | 2012-10-17 | 株式会社御池鐵工所 | 廃石膏ボードのリサイクル装置 |
JP2009172498A (ja) * | 2008-01-23 | 2009-08-06 | Chuo Kankyo Kaihatsu Co Ltd | 廃石膏ボードの分別リサイクルシステム、分別リサイクル装置及び分別リサイクル方法 |
-
2010
- 2010-08-11 JP JP2010180458A patent/JP5574876B2/ja active Active
-
2011
- 2011-06-23 KR KR1020137003521A patent/KR10143369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1-06-23 WO PCT/JP2011/064446 patent/WO2012020607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21764B1 (ko) | 2002-01-10 | 2005-10-17 | 주식회사 대호에코텍 |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부순모래 제조방법 |
KR20060116214A (ko) * | 2003-12-22 | 2006-11-14 | 요시노 셋고 가부시키가이샤 | 석고보드용 원지의 회수방법 및 석고보드용 원지의회수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2020607A1 (ja) | 2012-02-16 |
KR20130037717A (ko) | 2013-04-16 |
JP2012035239A (ja) | 2012-02-23 |
JP5574876B2 (ja) | 2014-08-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33692B1 (ko) | 석고 폐재 재생 원료화 장치 | |
KR100497318B1 (ko) | 건설 폐기물을 이용한 재생 세 골재 제조방법 및 장치 | |
DE69816070T2 (de) | Verfahren zur Behandlung von Schredderstaub | |
HU218834B (hu) | Eljárás és elrendezés többféle műanyagot tartalmazó anyagkeverékek feldolgozására | |
JP2012024690A (ja) | 廃石膏ボード分別処理システム | |
CN103567209A (zh) | 一种装潢建筑垃圾资源化处理系统及其处理方法 | |
CN205199724U (zh) | 一种橡胶粉粒中钢丝的分离和回收输送设备 | |
CN109137594A (zh) | 一种废纸制浆尾渣的回收利用工艺 | |
EP3275551B1 (en) | Machine for recycling laminated plasterboard, separation method performed by said machine and use of same | |
CN112827641B (zh) | 一种极细粒萤石选矿重选工艺及其设备 | |
KR101550491B1 (ko) | 산업 폐기물 및 지금고철 순도를 극대화하기 위한 파쇄 및 선별 시스템 | |
CN210474947U (zh) | 一种利用装修垃圾制造再生砖的生产线 | |
KR20040104058A (ko) |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양질의 골재 생산장치 및 방법 | |
KR100434799B1 (ko) | 건설 폐기물의 재활용을 통한 재생 모래의 제조 방법 및그 장치 | |
KR100649953B1 (ko) |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골재 및 토분 생산장치 | |
KR20030067411A (ko) | 건설폐기물 처리와 추출 및 투입골재를 위한 가공장치 | |
KR200311094Y1 (ko) | 건설 폐기물을 이용한 재생 세 골재 제조장치 | |
KR20030064185A (ko) | 건설폐기물 골재화 장치 및 재생모래 생산장치 | |
CN102310071A (zh) | 建筑垃圾分选回收处理一体化装置 | |
CN107486340B (zh) | 一种造纸废渣浮选机构 | |
JP2004188695A (ja) | 廃ポリオレフィン類のリサイクル方法とそのシステム | |
CN219540546U (zh) | 一种建筑垃圾及装修垃圾处理系统 | |
KR100549295B1 (ko) |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쇄석 생산장치 및 방법 | |
CN113351633B (zh) | 垃圾资源化处置系统 | |
CN111732408B (zh) | 一种报废pc预制构件回收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11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