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1994B1 - 방향전환밸브장치 - Google Patents

방향전환밸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1994B1
KR101431994B1 KR1020137000205A KR20137000205A KR101431994B1 KR 101431994 B1 KR101431994 B1 KR 101431994B1 KR 1020137000205 A KR1020137000205 A KR 1020137000205A KR 20137000205 A KR20137000205 A KR 20137000205A KR 101431994 B1 KR101431994 B1 KR 101431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supply
valve seat
switch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0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1320A (ko
Inventor
아키라 아리사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코스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코스멕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코스멕
Publication of KR20130031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1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1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1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4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 F15B13/0401Valve members; Fluid interconnections therefor
    • F15B13/0402Valve members; Fluid interconnections therefor for linearly sliding valves, e.g. spool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1/00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 F15B11/08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with only one servo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4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 F15B13/0401Valve members; Fluid interconnections therefor
    • F15B13/0405Valve members; Fluid interconnections therefor for seat valves, i.e. poppe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30Directional control
    • F15B2211/305Directional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valves
    • F15B2211/3056Assemblies of multiple valves
    • F15B2211/30565Assemblies of multiple valves having multiple valves for a single output member, e.g. for creating higher valve function by use of multiple valves like two 2/2-valves replacing a 5/3-valve
    • F15B2211/3057Assemblies of multiple valves having multiple valves for a single output member, e.g. for creating higher valve function by use of multiple valves like two 2/2-valves replacing a 5/3-valve having two valves, one for each port of a double-acting output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70Output members, e.g.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or control therefor
    • F15B2211/705Output members, e.g.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or control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utput members or actuators
    • F15B2211/7051Linear output members
    • F15B2211/7053Double-acting output mem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837Direct response valves [i.e., check valve type]
    • Y10T137/7904Reciprocating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 Check Valves (AREA)

Abstract

제1 공급위치(X1)와 제1 배출위치(Y1)로 전환되는 제1 전환밸브(11)와, 제2 배출위치(Y2)와 제2 공급위치(X2)로 전환되는 제2 전환밸브(12)를 구비한다. 제2 전환기구(22)가 제2 전환밸브(12)를 제2 배출위치(Y2)로 전환한 상태에서는, 제1 전환기구(21)는 제1 전환밸브(11)가 제1 공급위치(X1)로 전환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공급위치(X1)에서의 제1 전환밸브(11) 내와, 압력포트(P)로부터 제1 전환밸브(11)까지의 사이 중, 적어도 한쪽에, 역지밸브(31, 32)를 배치한다. 제2 전환기구(22)가 제2 전환밸브(12)를 제2 공급위치(X2)로 전환한 상태에서는, 그 제2 공급위치(X2)에서 제2 전환밸브(12)에 공급된 압력 유체가 제1 전환기구(21)를 통하여 제1 전환밸브(11)를 상기 제1 배출위치(Y1)로 전환된다.

Description

방향전환밸브장치{DIRECTIONAL CONTROL VALVE DEVICE}
본 발명은 압유(壓油) 등의 압력 유체의 공급 및 배출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밸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방향전환밸브장치에는, 종래에는 아래와 같은 특허문헌 1(일본 실용신안공개 평4-38144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은 같은 형식의 2방 전환밸브를 병렬로 배치함으로써, 방향전환밸브장치를 구성하고, 상기 각 전환밸브에 각각 설치한 조작레버의 전환 위치를, 기계식 인터로크(interlock) 장치에 의해 서로 견제하도록 한 것이다.
일본 실용신안공개 평4-38144호 공보
상기 종래 기술은 다음의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남아 있었다.
병렬로 배치한 전환밸브마다 조작레버를 설치할 필요가 있으므로, 조작레버가 2개나 필요하게 되어, 방향전환밸브장치가 대형으로 된다. 또한, 2개의 조작레버를 조작할 필요가 있으므로, 전환 조작이 번거롭다. 또한, 상기 2개의 조작레버를 서로 견제하는 기계식 인터로크 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있으므로, 구성이 복잡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환 조작이 용이하고 컴팩트하고 간소한 구성의 방향전환밸브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도 1 및 도 2∼도 4(또는 도 5a로부터 도 5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방향전환밸브장치를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제1 급배(給排)포트(A)에 압력포트(P)를 연통시키는 제1 공급위치(X1)와 상기 제1 급배포트(A)에 리턴포트(return port)(R)를 연통시키는 제1 배출위치(Y1)로 전환되는 제1 전환밸브(11)와, 제2 급배포트(B)에 상기 리턴포트(R)를 연통시키는 제2 배출위치(Y2)와 상기 제2 급배포트(B)에 상기 압력포트(P)를 연통시키는 제2 공급위치(X2)로 전환되는 제2 전환밸브(12)와, 상기 제1 전환밸브(11)를 전환하는 제1 전환기구(21)와, 상기 제2 전환밸브(12)를 전환하는 제2 전환기구(22)와, 상기 제1 전환기구(21)의 압력실(56)에 제2 전환밸브(12)의 제2 밸브실(62)을 연통시키는 연통로(75)를 구비한다. 제2 전환기구(22)가 상기 제2 전환밸브(12)를 상기 제2 배출위치(Y2)로 전환한 상태에서는, 상기 제1 전환기구(21)는, 상기 제1 전환밸브(11)가 상기 제1 공급위치(X1)로 전환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1 공급위치(X1)에서의 상기 제1 전환밸브(11) 내와, 상기 압력포트(P)로부터 상기 제1 전환밸브(11)까지의 사이 중, 적어도 한쪽에, 상기 압력포트(P)로부터 상기 제1 급배포트(A)로의 흐름을 허용함과 함께 상기 흐름과는 역방향의 흐름을 저지하는 역지밸브(check valve)(31, 32)를 배치한다. 상기 제2 전환기구(22)가 상기 제2 전환밸브(12)를 상기 제2 공급위치(X2)로 전환한 상태에서는, 그 제2 공급위치(X2)와 상기 제2 전환밸브(12)의 상기 제2 밸브실(62)에 공급된 압력 유체가 상기 연통로(75)를 통하여 상기 제1 전환기구(21)의 상기 압력실(52)에 공급되고, 그 압력유체가 상기 제1 전환기구(21)를 통하여 상기 제1 전환밸브(11)를 상기 제1 배출위치(Y1)로 전환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은 다음의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제2 전환기구에 의해 제2 전환밸브를 제2 공급위치로 전환함으로써, 그 제2 전환밸브에 공급된 압력 유체가 제1 전환기구(21)를 통하여 제1 전환밸브(11)를 전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2개의 전환밸브를 전환 조작함에 있어서, 조작레버 등의 구동기구를 제2 전환기구만 설치하면 좋다. 따라서, 상기 조작레버 등의 구동기구를 전환밸브마다 설치할 필요가 없어져, 방향전환밸브장치를 컴팩트하게 만들 수 있다.
또한, 조작레버 등의 구동기구가 1개로 좋기 때문에, 방향전환밸브장치의 전환 조작이 번거롭지 않다.
또한, 상기 종래예의 기계식 인터로크 장치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방향전환밸브장치의 구성이 간소하게 된다.
또한, 제1 전환밸브를 제1 공급위치로 전환한 상태에 있어서, 방향전환밸브장치의 압력포트를 압력 유체원으로부터 분리한 경우라도, 역지밸브에 의해, 제1 급배포트의 압력 유체가 압력포트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제1 급배포트에 접속된 유체압 실린더 등의 작동실의 압력을 소정 압력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의 구성을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공급위치(X1)에서의 상기 제1 전환밸브(11) 내에 상기 역지밸브(31)를 배치하고, 그 역지밸브(31)를 역지부재(51)와 역지스프링(check spring)(52)에 의해 구성한다. 상기 제1 전환밸브(11)는 제1 밸브실(valve chamber)(41)과, 그 제1 밸브실(41)에 축심(軸心)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한 제1 밸브부재(42)와, 상기 제1 밸브실(41)의 양단벽(兩端壁) 중 상기 압력포트(P)측의 단벽에 설치한 제1 공급밸브자리(supply valve seat)(43)와, 상기 양단벽 중 상기 리턴포트(R)측의 단벽에 설치한 제1 배출밸브자리(44)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밸브부재(42)를, 상기 제1 배출밸브자리(44)에 대면하는 폐쇄부재(closing member)(50)와, 상기 제1 공급밸브자리(43)에 대면(對面)하는 상기 역지부재(51)와, 그 역지부재(51)를 상기 제1 공급밸브자리(43)로 밀어붙이는 상기 역지스프링(check spring)(52)에 의해 구성한다. 상기 제1 전환기구(21)는 상기 제1 배출밸브자리(44) 내를 상기 리턴포트(R)에 연통시키도록 상기 제1 밸브실(41) 및 상기 제1 배출밸브자리(44)에 대하여 직선 형상으로 배치된 제1 구멍(53)과, 그 제1 구멍(53)에 삽입된 피스톤(54)으로서, 상기 폐쇄부재(50)가 상기 제1 배출밸브자리(44)에 폐지(閉止)되어 접촉되는 것을 허용하는 상태와 그 피스톤(54)이 상기 폐쇄부재(50)를 통하여 상기 역지부재(51)를 상기 제1 공급밸브자리(43)에 폐지하여 접촉시키는 상태로 이동되는 피스톤(54)과, 그 피스톤(54)을 상기 제1 밸브실(41)을 향하여 누르는 상기 압력실(56)을 구비한다. 상기 제2 전환밸브(12)는 제2 밸브실(62)과, 그 제2 밸브실(62)에 축심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한 제2 밸브부재(63)와, 상기 제2 밸브실(62)의 양단벽 중 상기 압력포트(P)측의 단벽에 설치한 제2 공급밸브자리(64)와, 상기 양단벽 중 상기 리턴포트(R)측의 단벽에 설치한 제2 배출밸브자리(65)를 구비한다. 상기 제2 전환기구(22)는 상기 제2 배출밸브자리(65) 내를 상기 리턴포트(R)에 연통시키도록 상기 제2 밸브실(62) 및 상기 제2 배출밸브자리(65)에 대하여 직선 형상으로 배치된 제2 구멍(72)과, 그 제2 구멍(72)에 삽입된 조작부재(73)로서, 상기 제2 공급밸브자리(64)에 상기 제2 밸브부재(63)을 폐지하여 접촉시킴과 함께 제2 배출밸브자리(65)로부터 상기 제2 밸브부재(63)을 이간시키는 위치와 상기 제2 공급밸브자리(64)로부터 상기 제2 밸브부재(63)가 이간됨과 함께 제2 배출밸브자리(65)에 상기 제2 밸브부재(63)가 폐지되어 접촉되는 것을 허용하는 위치로 이동되는 조작부재(73)와, 그 조작부재(73)의 상기 위치를 전환하는 구동기구(74)와, 상기 제1 전환기구(21)의 상기 압력실(56)에 상기 제2 밸브실(62)를 연통시키는 상기 연통로(75)를 구비한다.
상기 구성의 발명은 상기 발명과 같은 작용 효과를 발휘하여, 방향전환밸브장치를 더 간소하면서 컴팩트하게 만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음의 구성을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력포트(P)로부터 상기 제1 전환밸브(11)까지의 사이에 상기 역지밸브(32)를 배치하고, 그 역지밸브(32)를 역지부재(58)와 역지스프링(59)과 역지밸브자리(60)에 의해 구성한다. 상기 압력포트(P)를 상기 역지밸브자리(60)와 역지밸브실(32a)을 순서대로 통하여 제1 공급밸브자리(43)에 연통시키고, 상기 역지밸브실(32a)에 삽입한 상기 역지부재(58)를 상기 역지스프링(59)에 의해 상기 역지밸브자리(60)로 밀어붙인다. 상기 제1 전환밸브(11)는 제1 밸브실(41)과, 그 제1 밸브실(41)에 축심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한 제1 밸브부재(42)와, 상기 제1 밸브실(41)의 양단벽 중 상기 압력포트(P)측의 단벽에 설치한 상기 제1 공급밸브자리(43)와, 상기 양단벽 중 상기 리턴포트(R)측의 단벽에 설치한 제1 배출밸브자리(44)를 구비한다. 상기 제1 전환기구(21)는 상기 제1 배출밸브자리(44) 내를 상기 리턴포트(R)에 연통시키도록 상기 제1 밸브실(41) 및 상기 제1 배출밸브자리(44)에 대하여 직선 형상으로 배치된 제1 구멍(53)과, 그 제1 구멍(53)에 삽입된 피스톤(54)으로서, 상기 제1 밸브부재(42)가 상기 제1 배출밸브자리(44)에 폐지되어 접촉되는 것을 허용하는 상태와 그 피스톤(54)이 상기 제1 밸브부재(42)를 상기 제1 공급밸브자리(43)에 폐지하여 접촉시키는 상태로 이동되는 피스톤(54)과, 그 피스톤(54)을 상기 제1 밸브실(41)을 향하여 누르는 상기 압력실(56)을 구비한다. 상기 제2 전환밸브(12)는 상기 제2 밸브실(62)와, 그 제2 밸브실(62)에 축심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한 제2 밸브부재(63)와, 상기 제2 밸브실(62)의 양단벽 중 상기 압력포트(P)측의 단벽에 설치한 제2 공급밸브자리(64)와, 상기 양단벽 중 상기 리턴포트(R)측의 단벽에 설치한 제2 배출밸브자리(65)를 구비한다. 상기 제2 전환기구(22)는 상기 제2 배출밸브자리(65) 내를 상기 리턴포트(R)에 연통시키도록 상기 제2 밸브실(62) 및 상기 제2 배출밸브자리(65)에 대하여 직선 형상으로 배치된 제2 구멍(72)과, 그 제2 구멍(72)에 삽입된 조작부재(73)로서, 상기 제2 공급밸브자리(64)에 상기 제2 밸브부재(63)을 폐지하여 접촉시킴과 함께 제2 배출밸브자리(65)로부터 상기 제2 밸브부재(63)를 이간시키는 위치와 상기 제2 공급밸브자리(64)로부터 상기 제2 밸브부재(63)가 이간됨과 함께 제2 배출밸브자리(65)에 상기 제2 밸브부재(63)가 폐지되어 접촉되는 것을 허용하는 위치로 이동되는 조작부재(73)와, 그 조작부재(73)의 상기 위치를 전환하는 구동기구(74)와, 상기 제1 전환기구(21)의 상기 압력실(56)에 상기 제2 밸브실(62)를 연통시키는 상기 연통로(75)를 구비한다.
상기 구성의 발명은 상기 발명과 같은 작용 효과를 발휘하여, 방향전환밸브장치를 더 간소하면서 컴팩트하게 만들 수 있다.
상기 발명에는, 다음의 구성을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공급위치(X1)에서의 상기 제1 전환밸브(11) 내에 상기 역지밸브(31)를 배치하고, 그 역지밸브(31)를 역지부재(51)와 역지스프링(52)에 의해 구성한다. 상기 제1 밸브부재(42)를, 상기 제1 배출밸브자리(44)에 대면하는 폐쇄부재(50)와, 상기 제1 공급밸브자리(43)에 대면하는 상기 역지부재(51)와, 그 역지부재(51)를 상기 제1 공급밸브자리(43)로 밀어붙이는 상기 역지스프링(52)에 의해 구성하고, 상기 피스톤(54)이 상기 폐쇄부재(50)를 통하여 상기 역지부재(51)를 상기 제1 공급밸브자리(43)에 폐지하여 접촉시키도록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폐쇄부재(50) 내에 상기 역지부재(51)를 삽입하고, 이들 폐쇄부재(50)와 역지부재(51) 사이에 상기 역지스프링(52)를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폐쇄부재와 역지부재로 이루어지는 제2 밸브부재를 컴팩트하게 만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1 밸브실(41) 및 제1 구멍(53)과 상기 제2 밸브실(62) 및 제2 구멍(72)을 직선 형상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방향전환밸브장치는 하우징의 높이를 작게 하여, 더 컴팩트하게 만들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내며, 본 발명의 전환밸브장치를 이용한 유압 시스템의 회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상기 전환밸브장치의 단면도이며, 압력포트를 제1 급배포트에 연통시킴과 함께 리턴포트를 제2 급배포트에 연통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상기 전환밸브장치의 단면도이며, 상기 도 2에서 도 4로의 전환 도중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전환밸브장치의 단면도이며, 압력포트를 제2 급배포트에 연통시킴과 함께 리턴포트를 제1 급배포트에 연통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에서 도 5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를 나타내며, 도 5a는 상기 도 2와 유사한 도면, 도 5b는 상기 도 3과 유사한 도면, 도 5c는 상기 도 4와 유사한 도면이다.
도 1∼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복동식(複動式)의 유압 실린더를 구동하는 유압 시스템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먼저, 도 1의 모식도에 의해 상기 유압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한다.
참조숫자 1은 복동식의 유압 실린더이다. 참조숫자 2는 방향전환밸브장치이다. 또한, 참조숫자 3은 방향전환밸브장치(2)의 하우징이다.
상기 방향전환밸브장치(2)는 제1 전환밸브(11)와 제2 전환밸브(12)를 갖고 있다.
상기 제1 전환밸브(11)는 제1 전환기구(21)에 의하여, 제1 급배포트(A)에 압력포트(P)를 연통시키는 제1 공급위치(X1)와 해당 제1 급배포트(A)에 리턴포트(R)를 연통시키는 제1 배출위치(Y1)로 전환된다.
또한, 상기 제2 전환밸브(12)는 제2 전환기구(22)에 의해, 제2 급배포트(B)에 상기 리턴포트(R)를 연통시키는 제2 배출위치(Y2)와 상기 제2 급배포트(B)에 상기 압력포트(P)를 연통시키는 제2 공급위치(X2)로 전환된다. 그 제2 전환기구(22)는 조작레버(23)를 갖고 있다.
상기 제1 전환밸브(11)와 제2 전환밸브(12)와 제1 전환기구(21)와 제2 전환기구(22)가 상기 하우징(3)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전환기구(22)가 제2 전환밸브(12)를 제2 배출위치(Y2)로 전환한 상태에서는, 제1 전환기구(21)는 제1 전환밸브(11)가 제1 공급위치(X1)로 전환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전환기구(22)가 상기 제2 전환밸브(12)를 제2 공급위치(X2)로 전환한 상태에서는, 그 제2 공급위치(X2)에서 상기 제2 전환밸브(12)에 공급된 압유가 제1 전환기구(21)를 통하여 제1 전환밸브(11)를 제1 배출위치(Y1)로 전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 공급위치(X1)에서의 제1 전환밸브(11)에는, 압력포트(P)로부터 제1 급배포트(A)로의 흐름을 허용함과 함께 그 흐름과는 역방향의 흐름을 저지하는 역지밸브(이하, 제1 역지밸브 라고 함)(31)가 배치된다. 또한, 압력포트(P)로부터 제1 전환밸브(11)까지의 사이에도, 상기와 같은 기능의 역지밸브(이하, 제2 역지밸브 라고 함)(32)가 배치된다.
상기 구성의 방향전환밸브장치(2)의 구체적인 구조를 도 2의 단면도에 의해 설명한다.
상기 제1 급배포트(A)와 제2 급배포트(B)와 압력포트(P)와 리턴포트(R)는, 이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3)의 하면에 개구되어 있다.
상기 제1 전환밸브(11)는 상기 하우징(3)의 좌측부에 설치되고, 제1 밸브실(41)과 그 제1 밸브실(41)에 좌우 방향(축심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한 제1 밸브부재(42)와, 상기 제1 밸브실(41)의 좌우의 양단벽 중 우단벽에 설치한 제1 공급밸브자리(43)와, 상기 양단벽 중 좌단벽에 설치한 제1 배출밸브자리(44)를 구비한다.
상기 제1 공급밸브자리(43)가 상기 제2 역지밸브(32)의 역지밸브실(32a)과 역T자 형상의 통로(45)와 원통형의 공급 필터(46)와 종로(縱路)(47)를 통하여 압력포트(P)에 연통된다. 또한, 제1 배출밸브자리(44)가 후술하는 제1 구멍(53)과 횡로(橫路)(48)를 통하여 리턴포트(R)에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밸브실(41)의 우단벽이 압력포트(P)측의 단벽으로 되어 있고, 상기 제1 밸브실(41)의 좌단벽이 리턴포트(R)측의 단벽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전환밸브(11)에 상기 제1 역지밸브(31)가 설치된다. 즉, 상기 제1 밸브부재(42)는 제1 배출밸브자리(44)에 대면하는 폐쇄부재(50)와, 제1 공급밸브자리(43)에 대면하는 역지부재(51)와, 그 역지부재(51)를 제1 공급밸브자리(43)로 밀어붙이는 역지스프링(52)에 의해 구성된다.
상기 제1 전환기구(21)는 제1 배출밸브자리(44) 내를 상기 리턴포트(R)에 연통시키도록 제1 밸브실(41) 및 제1 배출밸브자리(44)에 대하여 직선 형상으로 배치된 제1 구멍(53)과, 그 제1 구멍(53)에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밀폐 상태로 삽입된 피스톤(54)과, 상기 피스톤(54)을 왼쪽(상기 폐쇄부재(5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붙이는 스프링(55)과, 상기 피스톤(54)을 오른쪽(상기 제1 밸브실(41)로 향하는 방향)으로 누르는 압력실(56)을 구비한다.
그리고, 이 도 2의 상태에서는, 상기 피스톤(54)의 우단(右端)과 폐쇄부재(50)의 좌단(左端) 사이에는, 소정의 접촉틈새(contact gap)(G1)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폐쇄부재(50)가 제1 배출밸브자리(44)에 폐지되어 접촉되는 것이 허용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후술하는 도 4의 상태에서는, 상기 피스톤(54)이 폐쇄부재(50)를 통하여 상기 역지부재(51)를 제1 공급밸브자리(43)에 폐지하여 접촉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폐쇄부재(50)의 밸브면은 합성수지 등의 탄성부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역지밸브(32)는 역지밸브실(32a)에 삽입한 역지부재(58)를 역지스프링(59)에 의해 역지밸브자리(60)에 폐지하여 접촉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 역지부재(58)의 밸브면은 도시한 바와 같이 합성수지나 고무 등의 탄성부재(58a)에 의해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전환밸브(12)는 상기 하우징(3)의 우측부에 설치되고, 제2 밸브실(62)과, 그 제2 밸브실(62)에 좌우 방향(축심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한 제2 밸브부재(63)와, 상기 제2 밸브실(62)의 양단벽 중 좌단벽에 설치한 제2 공급밸브자리(64)와, 상기 양단벽 중 우단벽에 설치한 제2 배출밸브자리(65)와, 제2 밸브부재(63)를 오른쪽으로 밀어붙이는 스프링(66)을 구비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2 밸브부재(63)는 슬리브(68)와, 그 슬리브(68)의 좌단에 끼워넣어 고정한 소경(小徑) 볼(69)과, 상기 슬리브(68)의 우단에 끼워넣어 고정한 대경(大徑) 볼(7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66)은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2 공급밸브자리(64)가 상기 역T자 형상의 통로(45)를 통하여 압력포트(P)에 연통된다. 또한, 제2 배출밸브자리(65)가 후술하는 제2 구멍(72)을 통하여 리턴포트(R)에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제2 밸브실(62)의 좌단벽이 압력포트(P)측의 단벽으로 되어 있고, 상기 제2 밸브실(62)의 우단벽이 리턴포트(R)측의 단벽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제2 전환기구(22)는 제2 배출밸브자리(65) 내를 상기 리턴포트(R)에 연통시키도록 제2 밸브실(62) 및 제2 배출밸브자리(65)에 대하여 직선 형상으로 배치된 제2 구멍(72)과, 그 제2 구멍(72)에 삽입된 조작부재(73)와, 그 조작부재(73)를 좌우 방향의 소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구동기구(74)와, 상기 제1 전환기구(21)의 상기 압력실(56)에 제2 밸브실(62)을 연통시키는 연통로(75)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 도 2의 상태에서는, 상기 조작부재(73)가 제2 밸브부재(63)의 소경 볼(69)을 제2 공급밸브자리(64)에 폐지하여 접촉시킴과 함께 상기 제2 밸브부재(63)의 대경 볼(70)을 제2 배출밸브자리(65)로부터 이간시키고 있다. 이에 대하여, 후술하는 도 4 상태에서는, 상기 조작부재(73)의 좌단과 대경 볼(70) 사이에는, 소정의 접촉틈새(G2)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대경 볼(70)이 제2 배출밸브자리(65)에 폐지되어 접촉되는 것이 허용되어 있다.
상기 구동기구(74)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3)의 우측부 내에 통(筒)부재(77)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그 통부재(77) 내에 조작부재(73)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통부재(77)와 조작부재(73) 사이에, 그 조작부재(73)를 왼쪽으로 밀어붙이는 누름스프링(78)이 장착된다. 또한, 하우징(3)과 조작부재(73) 사이에는, 그 조작부재(73)를 오른쪽으로 밀어붙이는 복귀스프링(79)이 장착된다.
또한, 하우징(3)의 우측부에 브라켓(81)이 고정되고, 그 브라켓(91)에 세로 방향의 샤프트(82)가 종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샤프트(82)의 상하 방향의 중간부에 축경부(縮徑部)(83)가 형성되고, 그 축경부(83)의 좌측 편심 위치에 핀(84)이 가설(架設)된다. 이 핀(84)에 외측에서 끼운 롤러(85)가 상기 통부재(77)의 우단에 접촉된다.
상기 도 1 중의 조작레버(23)는 도 2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샤프트(82)에 장착되어, 상기 샤프트(82)를 소정의 회전 위치에서 로크(lock) 및 로크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점은 상기 종래 기술(일본 실용신안공개 평 4-38144)에서 나타난 조작레버와 같다.
상기 방향전환밸브장치(2)의 작동에 관하여, 도 1을 참조하면서 도 2∼도 4에 의해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유압 실린더(1)를 신장(伸張)시킬 때에는, 상기 제2 전환기구(22)의 조작레버(23)가 제2 전환밸브(12)를 제2 배출위치(Y2)로 전환함과 함께, 상기 제1 전환기구(21)는 제1 전환밸브(11)가 제1 공급위치(X1)로 전환되는 것을 허용하고 있다(여기에서는, 제1 전환밸브(11)가 제1 공급위치(X1)로 전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때문에, 압력포트(P)의 압유가 제2 역지밸브(32)와 제1 역지밸브(31)와 제1 급배포트(A)를 통하여 상기 유압 실린더(1)의 제1 작동실(1a)에 공급됨과 함께, 그 유압 실린더(1)의 제2 작동실(1b)의 압유가 제2 급배포트(B)를 통하여 리턴포트(R)로 배출된다. 이에 의해, 유압 실린더(1)의 피스톤 로드(1c)가 오른쪽으로 진출하고, 그 피스톤 로드(1c)가 워크(도시하지 않음)를 고정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방향전환밸브장치(2)의 압력포트(P)를 유압원으로부터 분리한 경우라도, 상기 2개의 역지밸브(31, 32)에 의해, 제1 급배포트(A)의 압유가 압력포트(P)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제1 작동실(1a)의 압력이 소정 압력으로 유지된다.
상기 신장 조작 상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레버(23)(도 1을 참조)가 샤프트(82)를 도시한 회전 위치로 회전시켜, 롤러(85)가 통부재(77)와 누름스프링(78)을 통하여 조작부재(73)를 왼쪽의 진출위치로 이동시키고 있다. 여기서, 상기 조작레버(23)가 샤프트(82)를 상기 회전 위치에 로크시키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조작부재(73)가 상기 진출위치에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진출위치의 조작부재(73)가 제2 밸브부재(63)의 대경 볼(70)을 제2 배출밸브자리(65)로부터 이간시킴과 함께, 소경 볼(69)을 제2 공급밸브자리(64)에 접촉시킨다. 즉, 제2 전환밸브(12)가 제2 배출위치(Y2)로 전환되어 있다.
또한, 제1 전환기구(21)의 스프링(55)이 피스톤(54)을 왼쪽으로 후퇴시켜, 제1 전환밸브(11)의 역지부재(51)가 역지스프링(52)에 저항하여 제1 공급밸브자리(43)로부터 이간하는 것을 허용함과 함께, 그 역지스프링(52)가 폐쇄부재(50)를 제1 배출밸브자리(44)에 접촉시킨다. 즉, 제1 전환밸브(11)가 제1 공급위치(X1)로 전환되어 있다.
따라서, 압력포트(P)의 압유는 종로(47)와 공급 필터(46)와 역T자 형상의 통로(45)를 통하고, 그 후, 제2 역지밸브(32)의 역지부재(58)를 눌러 열고, 이어서, 제1 역지밸브(31)의 역지부재(51)를 눌러 열고, 그 후, 제1 밸브실(41)과 제1 밸브부재(42)의 횡홈(42a)과 원통 형상의 제1 필터(91)를 통하여, 제1 급배포트(A)에 공급된다.
또한, 제2 급배포트(B)의 압유는 원통 형상의 제2 필터(92)와 제2 밸브실(62)과 제2 구멍(72)을 통하여, 리턴포트(R)로 배출된다.
상기 상태에서, 상기 압력포트(P)를 유압원으로부터 분리한 경우라도, 제1 역지밸브(31)의 역지부재(51)가 제1 공급밸브자리(43)에 접촉되고, 또한, 제2 역지밸브(32)의 역지부재(58)의 탄성부재(58a)가 역지밸브자리(60)에 접촉되기 때문에, 제1 급배포트(A)의 압유가 압력포트(P)에 유출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도 1에 있어서, 상기 유압 실린더(1)를 도시한 신장 상태로부터 수축 상태로 전환할 때에는, 조작레버(23)에 의해 제2 전환밸브(12)를 제2 공급위치(X2)로 전환한다. 그러면, 그 제2 공급위치(X2)에서 제2 전환밸브(12)에 공급된 압유가 제1 전환기구(21)를 통하여 제1 전환밸브(11)를 제1 배출위치(Y1)로 전환한다. 이 때문에, 압력포트(P)의 압유가 제2 급배포트(B)를 통하여 제2 작동실(1b)에 공급됨과 함께, 제1 작동실(1a)의 압유가 제1 급배포트(A)를 통하여 리턴포트(R)로 배출된다. 이에 의해, 유압 실린더(1)의 피스톤 로드(1c)가 왼쪽으로 후퇴된다.
상기 전환시에서의 방향전환밸브장치(2)의 동작을 도 2∼도 4에 의해 설명한다.
상기 조작레버(23)(도 1을 참조)가 상기 샤프트(82)를 도 2의 회전 위치로부터 도 4의 회전 위치로 전환 도중의 도 3 상태에서는, 샤프트(82)의 회전에 따라 상기 롤러(85)가 오른쪽으로 이동하므로, 복귀스프링(79)이 조작부재(73)(및 통부재(77))를 오른쪽으로 후퇴시켜 간다. 그러면, 상기 스프링(66)에 의해, 제2 밸브부재(63)의 소경 볼(69)가 제2 공급밸브자리(64)로부터 멀어짐과 함께 대경 볼(70)이 제2 배출밸브자리(65)에 접촉되기 시작한다.
이 때문에, 압력포트(P)의 압유는 역T자 형상의 통로(45)와 제2 밸브실(62)과 제2 필터(92)를 통하여, 제2 급배포트(B)에 공급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제2 밸브실(62)로부터 상기 연통로(75)를 통하여 제1 전환기구(21)의 압력실(56)에 공급된다. 그러면, 그 압력실(56)의 압유가 상기 스프링(55)에 저항하여 피스톤(54)을 오른쪽으로 진출시켜, 그 피스톤(54)의 우단이 제1 밸브부재(42)가 폐쇄부재(50)의 좌면에 접촉된다.
계속하여,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롤러(85)가 더 오른쪽으로 이동함으로써, 조작부재(73)(및 통부재(77))가 더 오른쪽으로 후퇴하고, 그 조작부재(73)의 좌단과 대경 볼(70) 사이에 접촉틈새(G2)가 형성되면, 상기 스프링(66)에 의해, 대경 볼(70)이 제2 배출밸브자리(65)에 확실히 접촉된다. 즉, 제2 전환밸브(12)가 제2 공급위치(X2)로 전환된다. 또한, 오른쪽으로 진출된 상기 피스톤(54)이 폐쇄부재(50)를 제1 배출밸브자리(44)로부터 이간시킴과 함께, 그 폐쇄부재(50)를 통하여 역지부재(51)를 제1 공급밸브자리(43)에 접촉시킨다. 즉, 제1 전환밸브(11)가 제1 배출위치(Y1)로 전환된다.
이에 의해, 제1 급배포트(A)의 압유는 제1 필터(91)와 제1 밸브실(41)과 제1 구멍(53)과 횡로(48)를 통하여, 리턴포트(R)로 배출된다.
상기 도 4의 상태로부터 도 2 상태로 전환할 때에는, 조작레버(23)(도 1을 참조)에 의해, 제2 전환밸브(12)를 제2 배출위치(Y2)로 전환하면 좋다(도 2 중의 오른쪽 반을 참조). 그러면, 제1 전환기구(21)의 압력실(56)의 압유가 연통로(75)와 제2 밸브실(62)과 제2 구멍(72)을 통하여 리턴포트(R)로 배출된다. 이 때문에, 제1 전환기구(21)의 스프링(55)이 피스톤(54)을 왼쪽으로 후퇴시켜, 제1 전환밸브(11)가 제1 공급위치(X1)로 전환된다(도 2 중의 왼쪽 반을 참조).
상기 실시형태의 장치는 다음의 장점을 발휘한다.
2개의 전환밸브(11, 12)를 하나의 조작레버(23)에 의해 전환 조작할 수 있으므로, 전환밸브마다 조작레버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져, 방향전환밸브장치(2)를 컴팩트하게 만들 수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밸브실(41) 및 제1 구멍(53)과 상기 제2 밸브실(62) 및 제2 구멍(72)을 좌우 방향에 직선 형상으로 배치하였으므로, 하우징(3)의 높이를 작게 할 수 있어, 방향전환밸브장치(2)를 더 컴팩트하게 만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2에 있어서, 압력포트(P)를 유압원으로부터 분리한 상기 압력 유지 상태에서, 조작레버(23)(도 1을 참조)를 잘못 조작한 경우에는, 샤프트(82)(및 조작부재(73)와 제2 밸브부재(63))가 도 2의 오른쪽 반 상태로부터 도 4의 오른쪽 반 상태로 전환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서도, 도 2의 왼쪽 반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급배포트(A)의 압유가 압력포트(P)로 유출되는 것을 상기 2개의 역지부재(51, 58)가 확실히 방지한다. 따라서, 방향전환밸브장치(2)가 페일 세이프(fail-safe)로 구성되어 있다.
도 5a∼도 5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를 나타내며, 각각, 상기 도 2∼도 4와 유사한 도면이다. 이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1 실시형태의 구성 부재와 같은 부재 또는 유사한 부재에는 원칙으로서 동일한 참조숫자를 붙여 설명한다.
이 제2 실시형태는, 사용되는 압유가 고압의 경우를 나타내며, 상기 제1 실시형태와는 다음의 점에서 다르다.
제1 구멍(53)에 외통(外筒)(95)이 좌우 방향으로 밀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그 외통(95)에 상기 피스톤(54)이 밀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도 5a의 상태에서는, 외통(95)이 상기 스프링(55)에 의해 왼쪽으로 밀어 붙여져, 피스톤(54)의 우단과 폐쇄부재(50) 사이에 접촉틈새(G1)가 형성되어 있다.
도 5b의 상태에서는, 압력실(56)의 압유가 상기 외통(95)및 피스톤(54)을 오른쪽으로 진출시켜, 그 피스톤(54)의 우단이 폐쇄부재(50)의 좌면에 접촉되어 있다.
도 5c의 상태에서는, 외통(95)의 플랜지(96)가 하우징(3)에 받쳐져, 그 외통(95)에 대하여 피스톤(54)이 오른쪽으로 진출하고, 그 피스톤(54)이 폐쇄부재(50)를 통하여 역지부재(51)를 제1 공급밸브자리(43)에 접촉시킨다.
상기 구성에 의해, 사용되는 압유가 고압의 경우라도 피스톤(54)에 작용하는 힘이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역지부재(51)는 제1 공급밸브자리(43)에 과도하게 압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수명이 길어진다.
또한, 상기 도면 5a에 있어서, 제1 전환밸브(11)의 제1 공급위치(X1)에서는, 폐쇄부재(50)가 제1 배출밸브자리(44)에 접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면 좋고, 그 폐쇄부재(50)의 좌면에 피스톤(54)의 우단이 접촉해도 상관없다.
상기 각 실시형태는 다음과 같이 변경 가능하다.
상기 제1 역지밸브(31)와 제2 역지밸브(32)의 2개의 역지밸브 중, 어느 한쪽의 역지밸브를 생략해도 좋다.
제1 역지밸브(31)를 생략한 경우에는, 상기 제1 밸브부재(42)가 폐쇄부재(50)만으로 구성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폐쇄부재(50)의 우단을 제1 공급밸브자리(43)에 접촉시키도록 구성하면 좋다. 또한, 이 경우, 상기 역지스프링(52)을 대신하여, 상기 폐쇄부재(50)를 제1 배출밸브자리(44)로 밀어붙이는 폐쇄 스프링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역지밸브(31)를 생략하는 경우에 있어서, 역지부재(51) 및 역지스프링(52)를 대신하여, 제1 공급밸브자리(43)에 대면하는 볼을 폐쇄부재(50) 내에 삽입하여, 상기 폐쇄부재(50)를 폐쇄 스프링에 의해 제1 배출밸브자리(44)로 밀어붙이도록 해도 좋다.
또한, 제2 역지밸브(32)를 생략한 경우에는, 상기 제1 역지밸브(31)의 역지부재(51)와 제1 공급밸브자리(43)의 양쪽 사이의 밀봉 성능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양쪽을 예시한 메탈 터치(metal touch)로 접촉시키는 것을 대신하여, 상기 양쪽 중 어느 한쪽에 탄성 씰부재를 장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환기구(22)의 조작부재(73)를 구동하는 수단은 조작레버(23)를 이용한 구조를 대신하여, 공압 실린더 또는 유압 실린더 등의 유체압 액츄에이터나 솔레노이드 등을 이용해도 좋다.
본 발명의 방향전환밸브장치에 사용되는 압력 유체는 예시한 압유를 대신하여, 압축 공기 등이어도 좋다.
그 이외에, 당업자가 상정(想定)할 수 있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을 행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11:제1 전환밸브
12:제2 전환밸브
21:제1 전환기구
22:제2 전환기구
31:역지밸브(제1 역지밸브)
32:역지밸브(제2 역지밸브)
32a:역지밸브실
41:제1 밸브실
42:제1 밸브부재
43:제1 공급밸브자리
44:제1 배출밸브자리
50:폐쇄부재
51:역지부재
52:역지스프링
53:제1 구멍
54:피스톤
55:스프링
56:압력실
58:역지부재
59:역지스프링
60:역지밸브자리
62:제2 밸브실
63:제2 밸브부재
64:제2 공급밸브자리
65:제2 배출밸브자리
72:제2 구멍
73:조작부재
74:구동기구
75:연통로
A:제1 급배포트
B:제2 급배포트
P:압력포트
R:리턴포트
X1:제1 공급위치
X2:제2 공급위치
Y1:제1 배출위치
Y2:제2 배출위치

Claims (6)

  1. 제1 급배(給排)포트(A)에 압력포트(P)를 연통시키는 제1 공급위치(X1)와 상기 제1 급배포트(A)에 리턴포트(R)를 연통시키는 제1 배출위치(Y1)로 전환되는 제1 전환밸브(11)와, 제2 급배포트(B)에 상기 리턴포트(R)를 연통시키는 제2 배출위치(Y2)와 상기 제2 급배포트(B)에 상기 압력포트(P)를 연통시키는 제2 공급위치(X2)로 전환되는 제2 전환밸브(12)와, 상기 제1 전환밸브(11)를 전환하는 제1 전환기구(21)와, 상기 제2 전환밸브(12)를 전환하는 제2 전환기구(22)와, 상기 제1 전환기구(21)의 압력실(56)에 제2 전환밸브(12)의 제2 밸브실(62)을 연통시키는 연통로(75)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전환기구(22)가 상기 제2 전환밸브(12)를 상기 제2 배출위치(Y2)로 전환한 상태에서는, 상기 제1 전환기구(21)는 상기 제1 전환밸브(11)가 상기 제1 공급위치(X1)로 전환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1 공급위치(X1)에서의 상기 제1 전환밸브(11) 내와, 상기 압력포트(P)로부터 상기 제1 전환밸브(11)까지의 사이 중, 적어도 한쪽에, 상기 압력포트(P)로부터 상기 제1 급배포트(A)로의 흐름을 허용함과 함께 이 흐름과는 역방향의 흐름을 저지하는 역지밸브(31, 32)를 배치하고,
    상기 제2 전환기구(22)가 상기 제2 전환밸브(12)를 상기 제2 공급위치(X2)로 전환한 상태에서는, 상기 제2 공급위치(X2)에서 상기 제2 전환밸브(12)의 상기 제2 밸브실(62)에 공급된 압력 유체가 상기 연통로(75)를 통하여 상기 제1 전환기구(21)의 상기 압력실(56)에 공급되고, 그 압력유체가 상기 제1 전환기구(21)를 통하여 상기 제1 전환밸브(11)를 상기 제1 배출위치(Y1)로 전환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할 방향전환밸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급위치(X1)에서의 상기 제1 전환밸브(11) 내에 상기 역지밸브(31)를 배치하고, 상기 역지밸브(31)를 역지부재(51)와 역지스프링(52)에 의해 구성하고,
    상기 제1 전환밸브(11)는 제1 밸브실(41)과, 이 제1 밸브실(41)에 축심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한 제1 밸브부재(42)와, 상기 제1 밸브실(41)의 양단벽(兩端壁) 중 상기 압력포트(P) 측의 단벽에 설치한 제1 공급밸브자리(43)와, 상기 양단벽 중 상기 리턴포트(R) 측의 단벽에 설치한 제1 배출밸브자리(44)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밸브부재(42)를, 상기 제1 배출밸브자리(44)에 대면(對面)하는 폐쇄부재(50)와, 상기 제1 공급밸브자리(43)에 대면하는 상기 역지부재(51)와, 상기 역지부재(51)를 상기 제1 공급밸브자리(43)로 밀어붙이는 상기 역지스프링(52)에 의해 구성하고,
    상기 제1 전환기구(21)는 상기 제1 배출밸브자리(44) 내를 상기 리턴포트(R)에 연통시키도록 상기 제1 밸브실(41) 및 상기 제1 배출밸브자리(44)에 대하여 직선 형상으로 배치된 제1 구멍(53)과, 이 제1 구멍(53)에 삽입된 피스톤(54)으로서, 상기 폐쇄부재(50)가 상기 제1 배출밸브자리(44)에 폐지(閉止)되어 접촉되는 것을 허용하는 상태와 상기 피스톤(54)이 상기 폐쇄부재(50)를 통하여 상기 역지부재(51)를 상기 제1 공급밸브자리(43)에 폐지하여 접촉시키는 상태로 이동되는 피스톤(54)과, 상기 피스톤(54)을 상기 제1 밸브실(41)을 향하여 누르는 상기 압력실(56)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전환밸브(12)는 상기 제2 밸브실(62)과, 이 제2 밸브실(62)에 축심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한 제2 밸브부재(63)와, 상기 제2 밸브실(62)의 양단벽 중 상기 압력포트(P) 측의 단벽에 설치한 제2 공급밸브자리(64)와, 상기 양단벽 중 상기 리턴포트(R) 측의 단벽에 설치한 제2 배출밸브자리(65)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전환기구(22)는 상기 제2 배출밸브자리(65) 내를 상기 리턴포트(R)에 연통시키도록 상기 제2 밸브실(62) 및 상기 제2 배출밸브자리(65)에 대하여 직선 형상으로 배치된 제2 구멍(72)과, 이 제2 구멍(72)에 삽입된 조작부재(73)로서, 상기 제2 공급밸브자리(64)에 상기 제2 밸브부재(63)를 폐지하여 접촉시킴과 함께 제2 배출밸브자리(65)로부터 상기 제2 밸브부재(63)를 이간시키는 위치와 상기 제2 공급밸브자리(64)로부터 상기 제2 밸브부재(63)가 이간됨과 함께 제2 배출밸브자리(65)에 상기 제2 밸브부재(63)가 폐지되어 접촉되는 것을 허용하는 위치로 이동되는 조작부재(73)와, 이 조작부재(73)의 상기 위치를 전환하는 구동기구(74)와, 상기 제1 전환기구(21)의 상기 압력실(56)에 상기 제2 밸브실(62)을 연통시키는 상기 연통로(75)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할 방향전환밸브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포트(P)로부터 상기 제1 전환밸브(11)까지의 사이에 상기 역지밸브(32)를 배치하고, 상기 역지밸브(32)를 역지부재(58)와 역지스프링(59)과 역지밸브자리(60)에 의해 구성하고,
    상기 압력포트(P)를 상기 역지밸브자리(60)와 역지밸브실(32a)을 순서대로 통하여 제1 공급밸브자리(43)에 연통시키고, 상기 역지밸브실(32a)에 삽입한 상기 역지부재(58)를 상기 역지스프링(59)에 의해 상기 역지밸브자리(60)로 밀어붙이고,
    상기 제1 전환밸브(11)는 제1 밸브실(41)과, 이 제1 밸브실(41)에 축심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한 제1 밸브부재(42)와, 상기 제1 밸브실(41)의 양단벽 중 상기 압력포트(P) 측의 단벽에 설치한 상기 제1 공급밸브자리(43)와, 상기 양단벽 중 상기 리턴포트(R) 측의 단벽에 설치한 제1 배출밸브자리(44)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전환기구(21)는 상기 제1 배출밸브자리(44) 내를 상기 리턴포트(R)에 연통시키도록 상기 제1 밸브실(41) 및 상기 제1 배출밸브자리(44)에 대하여 직선 형상으로 배치된 제1 구멍(53)과, 이 제1 구멍(53)에 삽입된 피스톤(54)으로서, 상기 제1 밸브부재(42)가 상기 제1 배출밸브자리(44)에 폐지되어 접촉되는 것을 허용하는 상태와 상기 피스톤(54)이 상기 제1 밸브부재(42)를 상기 제1 공급밸브자리(43)에 폐지하여 접촉시키는 상태로 이동되는 피스톤(54)과, 이 피스톤(54)을 상기 제1 밸브실(41)을 향하여 누르는 상기 압력실(56)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전환밸브(12)는 상기 제2 밸브실(62)과, 이 제2 밸브실(62)에 축심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한 제2 밸브부재(63)와, 상기 제2 밸브실(62)의 양단벽 중 상기 압력포트(P) 측의 단벽에 설치한 제2 공급밸브자리(64)와, 상기 양단벽 중 상기 리턴포트(R) 측의 단벽에 설치한 제2 배출밸브자리(65)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전환기구(22)는 상기 제2 배출밸브자리(65) 내를 상기 리턴포트(R)에 연통시키도록 상기 제2 밸브실(62) 및 상기 제2 배출밸브자리(65)에 대하여 직선 형상으로 배치된 제2 구멍(72)과, 이 제2 구멍(72)에 삽입된 조작부재(73)로서, 상기 제2 공급밸브자리(64)에 상기 제2 밸브부재(63)를 폐지하여 접촉시킴과 함께 제2 배출밸브자리(65)로부터 상기 제2 밸브부재(63)를 이간시키는 위치와 상기 제2 공급밸브자리(64)로부터 상기 제2 밸브부재(63)가 이간됨과 함께 제2 배출밸브자리(65)에 상기 제2 밸브부재(63)가 폐지되어 접촉되는 것을 허용하는 위치로 이동되는 조작부재(73)와, 이 조작부재(73)의 상기 위치를 전환하는 구동기구(74)와, 상기 제1 전환기구(21)의 상기 압력실(56)에 상기 제2 밸브실(62)을 연통시키는 상기 연통로(75)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할 방향전환밸브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급위치(X1)에서의 상기 제1 전환밸브(11) 내에 상기 역지밸브(31)를 배치하고, 그 역지밸브(31)를 역지부재(51)와 역지스프링(52)에 의해 구성하고,
    상기 제1 밸브부재(42)를, 상기 제1 배출밸브자리(44)에 대면하는 폐쇄부재(50)와, 상기 제1 공급밸브자리(43)에 대면하는 상기 역지부재(51)와, 상기 역지부재(51)를 상기 제1 공급밸브자리(43)로 밀어붙이는 상기 역지스프링(52)에 의해 구성하고, 상기 피스톤(54)이 상기 폐쇄부재(50)를 통하여 상기 역지부재(51)를 상기 제1 공급밸브자리(43)에 폐지하여 접촉시키도록 구성것을 특징으로 할 방향전환밸브장치.
  5.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재(50) 내에 상기 역지부재(51)를 삽입하고, 이들 폐쇄부재(50)와 역지부재(51) 사이에 상기 역지스프링(52)을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할 방향전환밸브장치.
  6.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실(41) 및 제1 구멍(53)과 상기 제2 밸브실(62) 및 제2 구멍(72)을 직선 형상으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할 방향전환밸브장치.
KR1020137000205A 2010-08-23 2011-08-05 방향전환밸브장치 KR1014319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02430 2010-08-23
JP2010202430 2010-08-23
PCT/JP2011/004472 WO2012026075A1 (ja) 2010-08-23 2011-08-05 方向切換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1320A KR20130031320A (ko) 2013-03-28
KR101431994B1 true KR101431994B1 (ko) 2014-08-20

Family

ID=45723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0205A KR101431994B1 (ko) 2010-08-23 2011-08-05 방향전환밸브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115728B2 (ko)
JP (1) JP5827624B2 (ko)
KR (1) KR101431994B1 (ko)
CN (1) CN103080565B (ko)
WO (1) WO20120260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96754A1 (en) * 2012-10-08 2014-04-10 Serge V. Monros Pcv valve and pollution control system
EP3034890B1 (de) 2014-12-17 2019-06-12 dormakaba Deutschland GmbH Hydraulikventil und Antriebssteuereinheit, umfassend ein derartiges Hydraulikventil
DE102017117335A1 (de) * 2017-07-31 2019-01-31 Bürkert Werke GmbH & Co. KG Betätigungseinheit für ein Prozessventil sowie Prozessventil
JP6550520B1 (ja) * 2018-11-09 2019-07-24 川崎重工業株式会社 Egrユニット及びエンジンシステム
CN113230739A (zh) * 2021-05-17 2021-08-10 广东韶钢松山股份有限公司 一种降低三通阀卡滞的旁滤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0707A (ja) * 1998-12-02 2000-06-20 Hitachi Constr Mach Co Ltd 方向切換弁装置
JP3144914B2 (ja) * 1992-10-29 2001-03-12 日立建機株式会社 油圧制御弁装置
JP4276491B2 (ja) * 2003-08-04 2009-06-10 日立建機株式会社 方向切換弁ブロック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21694B1 (ko) * 1967-09-30 1974-06-03
US3722540A (en) * 1971-05-20 1973-03-27 Commercial Shearing Sectional control valves
BE790334A (fr) * 1971-12-08 1973-02-15 Koehring Co Soupape de commande a deux tiroirs pour installations a commande par fluide sous pression
JPS5323956B2 (ko) 1972-06-21 1978-07-18
DE2318962C3 (de) * 1973-04-14 1978-09-07 Danfoss A/S, Nordborg (Daenemark) Ventileinrichtung für Hydraulikanlagen
JPH0438144Y2 (ko) * 1987-03-06 1992-09-07
JPH0431302U (ko) * 1990-07-10 1992-03-13
JPH10169805A (ja) * 1996-12-05 1998-06-26 Smc Corp パイロット式切換弁
US5918631A (en) * 1998-04-14 1999-07-06 Ross Operating Valve Company Ball-poppet pneumatic control valve
JP2001317654A (ja) * 2000-05-08 2001-11-16 Smc Corp シリンダー操作形切換弁
JP4322399B2 (ja) * 2000-05-31 2009-08-26 株式会社東芝 液圧操作装置
JP2004247179A (ja) * 2003-02-14 2004-09-02 Hitachi Ltd 遮断器の流体圧駆動装置
JP4439253B2 (ja) * 2003-12-17 2010-03-24 旭有機材工業株式会社 バルブ
NL1026393C2 (nl) 2004-06-11 2005-12-14 Actuant Corp Hydraulische bedieningsinrichting.
JP4711328B2 (ja) * 2005-01-18 2011-06-29 武蔵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液体吐出方法および装置
EP1857719B1 (en) * 2005-03-10 2014-12-03 Taiyo Limited Switching valve device and fluid pressure cylinder device
JP2006283785A (ja) * 2005-03-31 2006-10-19 Nabtesco Corp 油圧回路およびその弁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4914B2 (ja) * 1992-10-29 2001-03-12 日立建機株式会社 油圧制御弁装置
JP2000170707A (ja) * 1998-12-02 2000-06-20 Hitachi Constr Mach Co Ltd 方向切換弁装置
JP4276491B2 (ja) * 2003-08-04 2009-06-10 日立建機株式会社 方向切換弁ブロッ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46158A1 (en) 2013-06-13
CN103080565A (zh) 2013-05-01
CN103080565B (zh) 2015-03-11
KR20130031320A (ko) 2013-03-28
US9115728B2 (en) 2015-08-25
JPWO2012026075A1 (ja) 2013-10-28
WO2012026075A1 (ja) 2012-03-01
JP5827624B2 (ja) 2015-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1994B1 (ko) 방향전환밸브장치
US6807895B2 (en) 3-position stopping cylinder
EP1048854B1 (en) Servo-driving pilot-type solenoid valve
US9057448B2 (en) Internal relief valve for a valve actuator
US20130020519A1 (en) Dual piston actuator and method of use
KR101444574B1 (ko) 제어 밸브
US20160230900A1 (en) Valve device
KR20020050707A (ko) 포핏식 전자밸브
JP6159629B2 (ja) 流体圧制御装置
KR101188227B1 (ko) 3-방향 다목적 전환 밸브
JP3542299B2 (ja) 空気圧流体制御弁装置
KR101397218B1 (ko) 제어 밸브
US10006474B2 (en) Flow passage unit and switching valve
EP2497958A2 (en) Fluid operated actuation system
KR102207185B1 (ko) 유량 제어 밸브 장치
KR20130011804A (ko) 피스톤 타입의 브레이크 액추에이터
JP5048696B2 (ja) エアシリンダ
CN110925255A (zh) 一种比例流量阀
KR102198509B1 (ko) 중장비용 카운터 밸런스 밸브
CN211343539U (zh) 一种比例流量阀
JP6796291B2 (ja) エアシリンダ
US20140352826A1 (en) Directional poppet valve
JP2023174496A (ja) 電磁弁マニホールド
JPS63243464A (ja) 増圧器
JP4504144B2 (ja) 開閉弁及びこの開閉弁を用いた射出制御用油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