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9151B1 - 상 형성제 수용 용기, 화상 형성 장치, 상 형성제 수용 용기의 장착 방법, 상 형성제 수용 용기의 분리 방법, 상 형성제의 충전 방법, 및 상 형성제의 재충전 방법 - Google Patents

상 형성제 수용 용기, 화상 형성 장치, 상 형성제 수용 용기의 장착 방법, 상 형성제 수용 용기의 분리 방법, 상 형성제의 충전 방법, 및 상 형성제의 재충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9151B1
KR101429151B1 KR1020100065153A KR20100065153A KR101429151B1 KR 101429151 B1 KR101429151 B1 KR 101429151B1 KR 1020100065153 A KR1020100065153 A KR 1020100065153A KR 20100065153 A KR20100065153 A KR 20100065153A KR 101429151 B1 KR101429151 B1 KR 1014291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orming
container body
container
main body
form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5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9619A (ko
Inventor
마사야 오카모토
고타 후루하타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09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9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91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7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box like sha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8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developer properties or quality, e.g. charge, size, flowability
    • G03G15/0849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 G03G15/0855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the concentration being measured by optical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8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having a box like sha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Ink J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 본체에 형성된 충전 구멍의 밀봉을 행하기 쉽게 할 수 있는 상 형성제 수용 용기, 화상 형성 장치, 상 형성제 수용 용기의 장착 방법, 상 형성제 수용 용기의 분리 방법, 상 형성제의 충전 방법, 및 상 형성제의 재충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상 형성제 수용 용기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착탈되고, 상 형성제의 배출에 이용되는 배출 구멍이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대한 당해 용기 본체의 착탈 방향에서의 한 방향측에 형성되며, 상 형성제의 충전에 이용되는 충전 구멍이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대한 당해 용기 본체의 착탈 방향에서의 다른 방향측에 형성된 용기 본체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대한 상기 용기 본체의 착탈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부터, 상기 충전 구멍을 밀봉하도록 상기 용기 본체에 부착된 밀봉부와, 상기 배출 구멍을 개폐하도록, 상기 용기 본체에 이동할 수 있게 장착된 개폐부와, 상기 충전 구멍에 대향하는 대향부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부에 연결되며, 상기 용기 본체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고, 상기 개폐부를 상기 용기 본체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조작에 이용되는 조작부를 갖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배출 구멍을 개방한 상태로 하고, 상기 밀봉부가 상기 용기 본체에 부착되는 방향에서, 상기 대향부가 상기 용기 본체와 겹치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되는 제 1 위치와, 상기 배출 구멍을 폐쇄한 상태로 하고, 상기 밀봉부가 상기 용기 본체에 부착되는 방향에서, 상기 대향부가 상기 용기 본체와 겹치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되는 제 2 위치와, 상기 배출 구멍을 폐쇄한 상태로 하고, 상기 밀봉부가 상기 용기 본체에 부착되는 방향에서, 상기 대향부가 상기 용기 본체와 겹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되는 제 3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하는 상 형성제 수용 용기이다.

Description

상 형성제 수용 용기, 화상 형성 장치, 상 형성제 수용 용기의 장착 방법, 상 형성제 수용 용기의 분리 방법, 상 형성제의 충전 방법, 및 상 형성제의 재충전 방법{IMAGE FORMING AGENT STORAGE CONTAINER,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OF MOUNTING/DETACHING IMAGE FORMING AGENT STORAGE CONTAINER AND METHOD OF FILLING/REFILLING IMAGE FORMING AGENT}
본 발명은, 상 형성제 수용 용기, 화상 형성 장치, 상 형성제 수용 용기의 장착 방법, 상 형성제 수용 용기의 분리 방법, 상 형성제의 충전 방법, 및 상 형성제의 재충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토너를 수납하는 제 1 토너 수납부와, 상기 제 1 토너 수납부에 설치된 토너를 배출하는 배출구와, 그 배출구를 개폐하는 배출구용 셔터를 갖는 토너 보급 용기와, 토너를 수납하는 제 2 토너 수납부와, 그 제 2 토너 수납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로부터 토너를 수용하는 보급구와, 그 보급구를 개폐하는 보급구용 셔터를 갖고, 상기 토너 보급 용기를 착탈 가능한 토너 수용 용기를 구비한 토너 공급 수단에 있어서, 상기 제 2 토너 수납부는, 상기 보급구에 대한 중력 방향 상측이며 또한 상기 보급구용 셔터를 폐쇄하는 방향인 하류측에 토너 회수구를 갖는 토너 공급 수단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내부에 현상제를 수용하고, 상기 현상제를 배출하기 위한 개구부를 갖는 용기 본체와, 상기 개구를 밀봉하는 셔터와, 상기 셔터를 개봉하기 위한 조작부를 갖는 현상제 보급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에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본체측으로부터 상기 용기가 탈착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힘을 받는 부분과, 상기 장치 본체에의 장착과 함께 장치 본체측에 설치된 로크(lock) 부재에 탈착 불가능하게 로크되는 제 1 걸림부를 갖고, 상기 조작부에는 상기 장치 본체측에 설치된 해제 부재와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부를 갖고, 상기 조작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걸어맞춤부와 상기 해제 부재가 걸어맞춰지고, 상기 조작부의 동작에 의해, 상기 해제 부재가 상기 제 1 걸림부의 걸림을 해제하는 현상제 보급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2006-139013호 공보 일본국 특개2007-93697호 공보
본 발명은, 용기 본체에 형성된 충전 구멍의 밀봉을 행하기 쉽게 할 수 있는 상 형성제 수용 용기, 화상 형성 장치, 상 형성제 수용 용기의 장착 방법, 상 형성제 수용 용기의 분리 방법, 상 형성제의 충전 방법, 및 상 형성제의 재충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본 발명의 어느 관점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착탈되고, 상 형성제의 배출에 이용되는 배출 구멍이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대한 당해 용기 본체의 착탈 방향에서의 한 방향측에 형성되며, 상 형성제의 충전에 이용되는 충전 구멍이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대한 당해 용기 본체의 착탈 방향에서의 다른 방향측에 형성된 용기 본체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대한 상기 용기 본체의 착탈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부터, 상기 충전 구멍을 밀봉하도록 상기 용기 본체에 부착된 밀봉부와, 상기 배출 구멍을 개폐하도록, 상기 용기 본체에 이동할 수 있게 장착된 개폐부와, 상기 충전 구멍에 대향하는 대향부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부에 연결되며, 상기 용기 본체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고, 상기 개폐부를 상기 용기 본체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조작에 이용되는 조작부를 갖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배출 구멍을 개방한 상태로 하고, 상기 밀봉부가 상기 용기 본체에 부착되는 방향에서, 상기 대향부가 상기 용기 본체와 겹치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되는 제 1 위치와, 상기 배출 구멍을 폐쇄한 상태로 하고, 상기 밀봉부가 상기 용기 본체에 부착되는 방향에서, 상기 대향부가 상기 용기 본체와 겹치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되는 제 2 위치와, 상기 배출 구멍을 폐쇄한 상태로 하고, 상기 밀봉부가 상기 용기 본체에 부착되는 방향에서, 상기 대향부가 상기 용기 본체와 겹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되는 제 3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하는 상 형성제 수용 용기이다.
[2] [1]에 기재된 상 형성제 수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는, 상기 용기 본체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개폐부와 간섭하고, 상기 개폐부가 상기 배출 구멍을 개방하도록 이동하는 것을 금지하는 개방 금지부를 가져되 된다.
[3] [1]에 기재된 상 형성제 수용 용기에 있어서, 상 형성제 수용 용기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가 상기 제 1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금지하는 이동 금지 수단을 더 가져도 된다.
[4]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상 형성제 수용 용기에 있어서, 상 형성제 수용 용기는, 상기 조작부를, 상기 제 3 위치에 고정하는 고정 수단을 더 가져도 된다.
[5]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상 형성제 수용 용기에 있어서, 상 형성제 수용 용기는, 상기 조작부가 상기 제 3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장착할 때에,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와 간섭하는 간섭부를 더 가져도 된다.
[6]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상 형성제 수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조작부의 이동 방향에서, 상기 제 2 위치와 상기 제 3 위치가 인접해 있어도 된다.
[7]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상 형성제 수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충전 구멍은, 상기 용기 본체의 중력 방향에서의 상향의 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8]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상 형성제 수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설치되고,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된 상 형성제를 교반하기 위해 이용되는 교반부를 더 가져도 된다. 상기 교반부는, 길이 방향이 상 형성제의 충전되는 방향과 일치하도록 배치 가능하다.
[9]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상 형성제 수용 용기에 있어서, 수용된 상 형성제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부를 더 가져도 된다. 상기 식별부는, 적어도 상기 조작부가 상기 제 2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육안관찰(目視)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10]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 본체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착탈되는 상 형성제 수용 용기와, 상기 상 형성제 수용 용기에 수용된 상 형성제를 이용해서 상을 형성하는 상 형성부를 갖고, 상기 상 형성제 수용 용기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착탈되고, 상 형성제의 배출에 이용되는 배출 구멍이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대한 당해 용기 본체의 착탈 방향에서의 한 방향측에 형성되며, 상 형성제의 충전에 이용되는 충전 구멍이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대한 당해 용기 본체의 착탈 방향에서의 다른 방향측에 형성된 용기 본체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대한 상기 용기 본체의 착탈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부터, 상기 충전 구멍을 밀봉하도록 상기 용기 본체에 부착된 밀봉부와, 상기 배출 구멍을 개폐하도록, 상기 용기 본체에 이동할 수 있게 장착된 개폐부와, 상기 충전 구멍에 대향하는 대향부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부에 연결되며, 상기 용기 본체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고, 상기 개폐부를 상기 용기 본체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조작에 이용되는 조작부를 갖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배출 구멍을 개방한 상태로 하고, 상기 밀봉부가 상기 용기 본체에 부착되는 방향에서, 상기 대향부가 상기 용기 본체와 겹치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되는 제 1 위치와, 상기 배출 구멍을 폐쇄한 상태로 하고, 상기 밀봉부가 상기 용기 본체에 부착되는 방향에서, 상기 대향부가 상기 용기 본체와 겹치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되는 제 2 위치와, 상기 배출 구멍을 폐쇄한 상태로 하고, 상기 밀봉부가 상기 용기 본체에 부착되는 방향에서, 상기 대향부가 상기 용기 본체와 겹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되는 제 3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하는 화상 형성 장치이다.
[11] [10]에 기재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조작부가 상기 제 1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상 형성제 수용 용기를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금지하는 분리 금지 수단을 더 가져도 된다.
[12]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상 형성제의 배출에 이용되는 배출 구멍이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대한 당해 용기 본체의 착탈 방향에서의 한 방향측에 형성되며, 상 형성제의 충전에 이용되는 충전 구멍이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대한 당해 용기 본체의 착탈 방향에서의 다른 방향측에 형성된 용기 본체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대한 상기 용기 본체의 착탈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부터, 상기 충전 구멍을 밀봉하도록 상기 용기 본체에 부착된 밀봉부와, 상기 배출 구멍을 개폐하도록, 상기 용기 본체에 이동할 수 있게 장착된 개폐부와, 상기 충전 구멍에 대향하는 대향부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부에 연결되며, 상기 용기 본체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고, 상기 개폐부를 상기 용기 본체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조작에 이용되는 조작부를 갖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배출 구멍을 개방한 상태로 하고, 상기 밀봉부가 상기 용기 본체에 부착되는 방향에서, 상기 대향부가 상기 용기 본체와 겹치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되는 제 1 위치와, 상기 배출 구멍을 폐쇄한 상태로 하고, 상기 밀봉부가 상기 용기 본체에 부착되는 방향에서, 상기 대향부가 상기 용기 본체와 겹치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되는 제 2 위치와, 상기 배출 구멍을 폐쇄한 상태로 하고, 상기 밀봉부가 상기 용기 본체에 부착되는 방향에서, 상기 대향부가 상기 용기 본체와 겹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되는 제 3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하는 상 형성제 수용 용기를, 상기 조작부가 상기 제 2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삽입하는 공정과, 상기 상 형성제 수용 용기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를 상기 제 2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위치로 이동시키는 공정을 갖는 상 형성제 수용 용기의 장착 방법이다.
[13]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상 형성제의 배출에 이용되는 배출 구멍이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대한 당해 용기 본체의 착탈 방향에서의 한 방향측에 형성되며, 상 형성제의 충전에 이용되는 충전 구멍이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대한 당해 용기 본체의 착탈 방향에서의 다른 방향측에 형성된 용기 본체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대한 상기 용기 본체의 착탈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부터, 상기 충전 구멍을 밀봉하도록 상기 용기 본체에 부착된 밀봉부와, 상기 배출 구멍을 개폐하도록, 상기 용기 본체에 이동할 수 있게 장착된 개폐부와, 상기 충전 구멍에 대향하는 대향부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부에 연결되며, 상기 용기 본체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고, 상기 개폐부를 상기 용기 본체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조작에 이용되는 조작부를 갖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배출 구멍을 개방한 상태로 하고, 상기 밀봉부가 상기 용기 본체에 부착되는 방향에서, 상기 대향부가 상기 용기 본체와 겹치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되는 제 1 위치와, 상기 배출 구멍을 폐쇄한 상태로 하고, 상기 밀봉부가 상기 용기 본체에 부착되는 방향에서, 상기 대향부가 상기 용기 본체와 겹치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되는 제 2 위치와, 상기 배출 구멍을 폐쇄한 상태로 하고, 상기 밀봉부가 상기 용기 본체에 부착되는 방향에서, 상기 대향부가 상기 용기 본체와 겹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되는 제 3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하는 상 형성제 수용 용기의 상기 조작부를, 상기 상 형성제 수용 용기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시키는 공정과, 상기 조작부가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상 형성제 수용 용기를,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로부터 분리하는 공정을 갖는 상 형성제 수용 용기의 분리 방법이다.
[14]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착탈되고, 상 형성제의 배출에 이용되는 배출 구멍이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대한 당해 용기 본체의 착탈 방향에서의 한 방향측에 형성되며, 상 형성제의 충전에 이용되는 충전 구멍이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대한 당해 용기 본체의 착탈 방향에서의 다른 방향측에 형성된 용기 본체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대한 상기 용기 본체의 착탈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부터, 상기 충전 구멍을 밀봉하도록 상기 용기 본체에 부착된 밀봉부와, 상기 배출 구멍을 개폐하도록, 상기 용기 본체에 이동할 수 있게 장착된 개폐부와, 상기 충전 구멍에 대향하는 대향부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부에 연결되며, 상기 용기 본체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고, 상기 개폐부를 상기 용기 본체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조작에 이용되는 조작부를 갖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배출 구멍을 개방한 상태로 하고, 상기 밀봉부가 상기 용기 본체에 부착되는 방향에서, 상기 대향부가 상기 용기 본체와 겹치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되는 제 1 위치와, 상기 배출 구멍을 폐쇄한 상태로 하고, 상기 밀봉부가 상기 용기 본체에 부착되는 방향에서, 상기 대향부가 상기 용기 본체와 겹치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되는 제 2 위치와, 상기 배출 구멍을 폐쇄한 상태로 하고, 상기 밀봉부가 상기 용기 본체에 부착되는 방향에서, 상기 대향부가 상기 용기 본체와 겹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되는 제 3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하는 상 형성제 수용 용기의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상기 조작부가 상기 제 3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충전 구멍을 통해서 상 형성제를 충전하는 공정과, 상 형성제가 충전된 후에, 상기 용기 본체에 상기 밀봉부를 부착하는 공정과, 상기 밀봉부가 상기 용기 본체에 부착된 후에, 상기 조작부를 상기 제 3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시키는 공정을 갖는 상 형성제의 충전 방법이다.
[15]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착탈되고, 상 형성제의 배출에 이용되는 배출 구멍이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대한 당해 용기 본체의 착탈 방향에서의 한 방향측에 형성되며, 상 형성제의 충전에 이용되는 충전 구멍이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대한 당해 용기 본체의 착탈 방향에서의 다른 방향측에 형성된 용기 본체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대한 상기 용기 본체의 착탈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부터, 상기 충전 구멍을 밀봉하도록 상기 용기 본체에 부착된 밀봉부와, 상기 배출 구멍을 개폐하도록, 상기 용기 본체에 이동할 수 있게 장착된 개폐부와, 상기 충전 구멍에 대향하는 대향부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부에 연결되며, 상기 용기 본체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고, 상기 개폐부를 상기 용기 본체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조작에 이용되는 조작부를 갖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배출 구멍을 개방한 상태로 하고, 상기 밀봉부가 상기 용기 본체에 부착되는 방향에서, 상기 대향부가 상기 용기 본체와 겹치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되는 제 1 위치와, 상기 배출 구멍을 폐쇄한 상태로 하고, 상기 밀봉부가 상기 용기 본체에 부착되는 방향에서, 상기 대향부가 상기 용기 본체와 겹치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되는 제 2 위치와, 상기 배출 구멍을 폐쇄한 상태로 하고, 상기 밀봉부가 상기 용기 본체에 부착되는 방향에서, 상기 대향부가 상기 용기 본체와 겹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되는 제 3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하는 상 형성제 수용 용기의 상기 조작부를 상기 제 3 위치로 이동시키는 공정과, 상기 조작부가 상기 제 3 위치로 이동한 후에, 상기 밀봉부를 상기 용기 본체로부터 분리하는 공정과, 상기 밀봉부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충전 구멍을 통해서,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상 형성제를 충전하는 공정과, 상 형성제가 충전된 상기 용기 본체에, 상기 충전 구멍을 밀봉하도록 상기 밀봉부 또는 다른 밀봉부를 부착하는 공정을 갖는 상 형성제의 재충전 방법이다.
[1]에 관련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 본체에 형성된 충전 구멍의 밀봉을 행하기 쉽게 할 수 있는 상 형성제 수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2]에 관련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1]에 관련되는 본 발명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에 더해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현상제를 흘러 내리기 어렵게 할 수 있는 상 형성제 수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3]에 관련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1]에 관련되는 본 발명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에 더해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현상제를 흘러 내리기 어렵게 할 수 있는 상 형성제 수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4]에 관련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되는 본 발명이 나타내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에 더해서, 조작 수단을 충전 구멍의 밀봉의 방해가 되지 않는 위치에 고정할 수 있는 상 형성제 수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5]에 관련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되는 본 발명이 나타내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에 더해서, 배출 구멍을 개방할 수 없는 상태로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상 형성제 수용 용기가 장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상 형성제 수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6]에 관련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되는 본 발명이 나타내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에 더해서, 상 형성제를 충전한 후, 배출 구멍을 폐쇄한 상태인 채로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장착할 수 있는 상 형성제 수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7]에 관련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되는 본 발명이 나타내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에 더해서, 중력 방향 하방으로 밀어넣도록 해서 밀봉부를 부착하는 상 형성제 수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8]에 관련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되는 본 발명이 나타내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에 더해서, 용기 내의 상 형성제가 충전되어 있지 않은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는 상 형성제 수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9]에 관련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되는 본 발명이 나타내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에 더해서, 수용되어 있는 상 형성제의 종류를 식별하기 쉽게 할 수 있는 상 형성제 수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10]에 관련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 본체에 형성된 충전 구멍의 밀봉을 행하기 쉽게 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11]에 관련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10]에 관련되는 본 발명이 나타내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에 더해서, 상 형성제가 흘러내리기 쉬운 상태에서, 상 형성제 수용 용기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금지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12]에 관련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 본체에 형성된 충전 구멍의 밀봉을 행하기 쉽게 할 수 있는 상 형성제 수용 용기의 장착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13]에 관련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 본체에 형성된 충전 구멍의 밀봉을 행하기 쉽게 할 수 있는 상 형성제 수용 용기의 분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14]에 관련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 본체에 형성된 충전 구멍의 밀봉을 행하기 쉽게 할 수 있는 상 형성제의 충전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15]에 관련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 본체에 형성된 충전 구멍의 밀봉을 행하기 쉽게 할 수 있는 상 형성제의 재충전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화상 형성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측면으로부터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수용 용기를, 일부분을 분해해서 나타내는 제 1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수용 용기를 나타내는 제 2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수용 용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수용 용기의 단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수용 용기가 갖는 조작 부재의 이동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7의 (a)는 조작 부재가 제 1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7의 (b)는 조작 부재가 제 2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7의 (c)는 조작 부재가 제 3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수용 용기가 갖는 조작 부재의 이동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8의 (a)는 조작 부재가 제 1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의 (b)는 조작 부재가 제 2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8의 (c)는 조작 부재가 제 3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수용 용기의 본체에 형성되고, 조작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서 형성된 돌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수용 용기가 갖는 조작 부재에 형성된 관통 구멍의 형상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1의 (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수용 용기로서, 옐로의 토너, 마젠타의 토너, 시안의 토너의 수용에 각각 이용되는 수용 용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1의 (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수용 용기로서, 흑의 토너의 수용에 이용되는 수용 용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이용되는 장착용 개폐부의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화상 형성 장치가 갖는 장치 본체에 형성되며, 수용 용기가 장착되는 장착부를 나타내는 제 1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화상 형성 장치가 갖는 장치 본체에 형성되며, 수용 용기가 장착되는 장착부를 나타내는 제 2 사시도.
도 15는 수용 용기가 장착 장치에 장착되는 형상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15의 (a)는 조작 부재가 제 2 위치에 배치된 상태의 수용 용기를 나타내는 우측면이며, 도 15의 (b)는 수용 용기의 우측면 및 장착 장치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수용 용기에 설치된 기억 부재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형성된 접속부의 접속 동작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수용 용기에 토너가 충전되는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수용 용기에 토너가 재충전되는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수용 용기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하는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수용 용기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로부터 분리하는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
다음에,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를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화상 형성 장치(10)가 나타나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0)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를 갖고,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의 상부가, 화상이 형성된 용지가 배출되는 배출부(22)로서 이용되고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에는, 전(前)측에 조작 수단으로서 이용되는 조작 패널(12)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에는, 장착용 개폐부(24)와, 급지용 개폐부(26)가, 각각 개폐할 수 있게 장착되어 있다. 장착용 개폐부(24)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 내에, 상 형성제 수용 용기로서 이용되는 수용 용기(300Y, 300M, 300C, 300K)를 장착할 경우와,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 내로부터 수용 용기(300Y, 300M, 300C, 300K)를 분리할 경우에 개방되고, 화상 형성을 행할 경우에 폐쇄된다. 급지용 개폐부(26)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의 전측으로부터, 화상 형성을 하는 용지를 공급할 경우에 개방된다. 한편, 장착용 개폐부(24)의 개폐는, 도 1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의 후방을 지점(支点)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형태(장착용 개폐부(24)의 단변(短邊)측에 지점을 형성시키는 형태)이지만, 도 1의 형태에 한하지 않고,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의 측방을 지점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형태(장착용 개폐부(24)의 장변(長邊)측에 지점을 형성시키는 형태)여도 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 내에는, 수용 용기(300Y, 300M, 300C, 300K)가 장착되는 장착 장치(30)가 설치되어 있다.
수용 용기(300Y, 300M, 300C, 300K)에는, 상 형성제로서 이용되는 옐로의 토너, 마젠타의 토너, 시안의 토너, 흑의 토너가, 각각 수용되어 있다. 수용 용기(300Y, 300M, 300C)는, 형상 및 크기가 각각 동일해서, 동일한 용적의 토너를 수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수용 용기(300K)는, 수용 용기(300Y, 300M, 300C)보다 세로로 길게 구성되어, 수용 용기(300Y, 300M, 300C)보다 체적이 크고, 수용 용기(300Y, 300M, 300C)보다 수용할 수 있는 토너의 용적이 크다.
수용 용기(300Y, 300M, 300C)와 수용 용기(300K)는, 수용할 수 있는 토너의 용적이 다른지만 갖는 부재와 기능이 동일하다. 이하, 특정한 수용 용기를 나타내는 경우를 제외하고, 수용 용기(300Y, 300M, 300C, 300K)를, 수용 용기(300)라고 총칭한다.
도 2에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단면이 나타나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 내에는, 상 형성부(100)와, 상 형성부(100)에 용지를 공급하는 급지 장치(200)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 내에는, 용지의 반송에 이용되는 반송로(250)가 형성되어 있다.
상 형성부(100)는, 상 유지체로서 이용되는 감광체 드럼(102Y, 102M, 102C, 102K)과, 감광체 드럼(102Y, 102M, 102C, 102K)을 각각 대전하는 대전 장치(104Y, 104M, 104C, 104K)와, 대전 장치(104Y, 104M, 104C, 104K)에 의해 대전된 감광체 드럼(102Y, 102M, 102C, 102K)에 광을 조사해서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잠상 형성 장치(106)와, 잠상 형성 장치(106)에 의해 감광체 드럼(102Y, 102M, 102C, 102K)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토너를 이용해서 현상하여, 옐로의 토너 상, 마젠타의 토너 상, 시안의 토너 상, 흑의 토너 상을 각각이 형성하는 현상 장치(110Y, 110M, 110C, 110K)를 갖는다.
현상 장치(110Y, 110M, 110C, 110K)에는, 수용 용기(300Y, 300M, 300C, 300K)로부터, 옐로의 토너, 마젠타의 토너, 시안의 토너, 흑의 토너가, 각각 공급된다.
또한, 상 형성부(100)는, 현상 장치(110Y, 110M, 110C, 110K)에 의해 각각 형성된 옐로의 토너 상, 마젠타의 토너 상, 시안의 토너 상, 흑의 토너 상을 용지에 전사하는 전사 장치(140)와, 감광체 드럼(102Y, 102M, 102C, 102K)의 표면을 클리닝하는 클리닝 장치(114Y, 114M, 114C, 114K)와, 전사 장치(140)에 의해 전사된 토너 상을 용지에 정착하는 정착 장치(116)를 갖는다.
전사 장치(140)는, 감광체 드럼(102Y, 102M, 102C, 102K)에 형성된 옐로 토너 상, 마젠타 토너 상, 시안 토너 상, 흑 토너 상이 겹치도록 전사되고, 전사 매체로서 이용되는 벨트 형상의 중간 전사체(142)를 갖는다. 중간 전사체(142)는, 지지 부재로서 이용되는 지지 롤(146, 148, 150, 152)에 의해,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전사 장치(140)는, 감광체 드럼(102Y, 102M, 102C, 102K)에 각각이 형성된 옐로의 토너 상, 마젠타의 토너 상, 시안의 토너 상, 흑의 토너 상을, 중간 전사체에 전사하는 1차 전사 장치로서 이용되는 1차 전사 롤(156Y, 156M, 156C, 156K)과, 중간 전사체(142)에 전사된 옐로의 토너 상, 마젠타의 토너 상, 시안의 토너 상, 흑의 토너 상을, 용지에 전사하는 2차 전사 장치로서 이용되는 2차 전사 롤(158)을 갖는다. 또한, 전사 장치(150)는, 중간 전사체(142)의 표면을 클리닝하는 클리닝 장치(160)를 갖는다.
급지 장치(200)는, 예를 들면 카세트가 이용되는 용지 수납부(202)와, 용지 수납부(202)에 수납된 최상위에 위치하는 용지를 추출하는 추출 롤(204)과, 추출 롤(204)에 의해 추출된 용지를 상 형성부(100)를 향해서 반송하는 반송 롤(206)과, 반송 롤(206)에 접촉하고, 반송 롤(206)과의 사이에서 용지를 분리하는 분리 롤(208)을 갖는다. 용지 수납부(202)는,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의 전측(도 2에 있어서의 좌측)으로 인출할 수 있게 되어 있어,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용지 수납부(202) 내에 용지가 보충된다.
반송로(250)는, 주 반송로(252)와, 반전 반송로(254)와, 보조 반송로(256)를 갖는다.
주 반송로(252)는, 급지 장치(200)로부터 공급된 용지를 배출부(22)를 향해서 반송하는 반송로이며, 주 반송로(252)를 따라 용지의 반송 방향 상류측으로부터 차례로, 레지스트레이션 롤(260)과, 전술한 2차 전사 롤(158)과, 전술한 정착 장치(116)와, 배출 롤(262)이 장착되어 있다. 레지스트레이션 롤(260)은, 정지한 상태로부터 소정의 타이밍에 회전을 개시하고, 중간 전사체(142)에 토너 상이 전사되는 타이밍에 합치하도록, 중간 전사체(142)와 2차 전사 롤(158)의 접촉부에 용지를 공급한다.
배출 롤(126)은, 정착 장치(116)에 의해, 토너 상이 정착된 용지를 배출부(22)에 배출한다. 또한, 배출 롤(126)은, 용지의 양면에 화상을 형성할 경우에, 배출부(22)에 용지를 배출하는 경우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용지의 한 쪽의 면에 화상이 형성된 용지를, 후단(後端)측으로부터 반전 반송로(254)에 공급한다.
반전 반송로(254)는, 한 쪽의 면에 화상이 형성된 용지를, 반전시키면서, 레지스트레이션 롤(260)의 상류측에 다시 공급하는 경우에 이용된다. 반전 반송로(254)를 따라, 예를 들면 2개의 반전 반송 롤(264, 264)이 장착되어 있다.
보조 반송로(256)는, 급지용 개폐부(26)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에 대하여 개방된 상태에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의 전측으로부터 용지를 공급하는 경우에 이용되는 반송로이다. 보조 반송로(256)를 따라, 레지스트레이션 롤(260)을 향해서 용지를 반송하는 보조 반송 롤(266)과, 보조 반송 롤(266)에 접촉하고, 용지를 분리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분리 롤(268)이 장착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6에는, 수용 용기(300)가 나타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수용 용기(300Y, 300M, 300C)는 형상 및 크기가 각각 동일하고, 수용 용기(300K)는, 수용 용기(300Y, 300M, 300C)보다 용적이 크다. 도 3 내지 도 6에는, 수용 용기(300Y, 300M, 300C)로서 이용되는 수용 용기(300)가 나타나 있다.
도 3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 용기(300)는, 용기 본체(306)와, 개폐부(350)와, 조작부로서 이용되는 조작 부재(380)와, 구동 전달부로서 이용되는 기어(370)를 갖는다. 수용 용기(300)에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도 1 참조)에 장착된 상태에서 중력 방향 하측으로 되는 위치에, 배출 구멍(312)이 형성되어 있다. 배출 구멍(312)으로부터 배출된 토너는, 현상 장치(110)에 공급되어, 상 형성에 이용된다.
또한, 용기 본체(306)의,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중력 방향 상향의 위치에는, 토너를 용기 본체(306) 내에 충전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충전 구멍(314)이 형성되어 있다. 충전 구멍(314)은, 용기 본체(306)의 상향의 면에 형성되어 있어, 충전 구멍(314)을 통해서, 중력 방향 상방으로부터 낙하시키도록 하여, 용기 본체(306) 내에 토너가 충전된다. 충전 구멍(314)은, 중력 방향 상방으로부터 본 형상은 거의 원형으로 되어 있다.
또한, 용기 본체(306)의 전측의 면에는, 전측을 향해서 돌출하도록 고정용 돌기(316)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용 돌기(316)는, 조작 부재(380)를 후술하는 제 3 위치에 고정하는 고정 수단으로서 이용되고 있다.
또한, 용기 본체(306)의 전측의 측면에는, 전측을 향해서 돌출하도록 금지용 돌기(318)가 형성되어 있다(도 5 참조). 금지용 돌기(318)는, 조작 부재(380)가, 후술하는 제 2 위치로부터 후술하는 제 1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금지하는 이동 금지 수단으로서 이용되고 있다. 또한, 금지용 돌기(318)는, 용기 본체(306)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에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배출 구멍(312)이 개방되는 것을 금지하는 개방 금지 수단으로서 이용되고 있다.
또한, 용기 본체(306)의 전측이며, 기어(370)에 근접하는 위치에는, 전측을 향해서 돌출하도록 보호용 돌기(320)가 형성되어 있다. 보호용 돌기(320)는, 기어(370)의 치(齒)가 형성된 면이 다른 물체에 충돌하기 어렵게 함으로써, 기어(370)를 보호하고 있다.
용기 본체(306)의 내부에는, 용기 본체(306) 내에 수용된 토너를 교반하기 위한 교반부로서 이용되는 교반 장치(330)가 장착되어 있다. 교반 장치(330)는, 용기 본체(306)에 회전축(33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부착된 축(322)과, 축(322)에 부착되며, 축(322)에 거의 평행한 평행부(334)와, 축(322)에 부착된 교반판(336)을 갖는다. 교반판(336)은, 탄성을 갖는 필름 형상의 시트로 이루어지고, 선단부가 용기 본체(306)의 내측의 면에 접촉하게 되어 있다.
또한, 용기 본체(306)의 후측(後側)의 면에는, 조작 부재(38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원기둥 형상의 지지용 돌기(32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용기 본체(306)의 전측의 면에는, 지지용 돌기(324)와 마찬가지로, 조작 부재(38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지지용 돌기(도시 생략)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교반 장치(330)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 방향이, 용기 본체(306) 내에 충전 구멍(314)을 통해서 토너가 수용되는 방향인 상하 방향에 일치하도록 배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위치에 교반 장치(330)를 배치한 상태에서, 용기 본체(306) 내에 토너를 충전하면,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의 토너의 이동이 교반 장치(330)에 의해 방해받기 어려워, 상하 방향으로 세로로 긴 용기 본체(306) 내로의 토너의 수용이 양호해진다.
또한, 용기 본체(306)의 좌측면 측에는, 식별부로서 이용되는 식별 부재(420)가 장착되어 있다. 식별 부재(420)는, 예를 들면 3개 등의 복수의 볼록부(422)를 갖고, 서로 이웃하는 볼록부(422) 사이에, 오목부(424)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424)는, 개수, 위치, 및 폭 중 적어도 어느 1개가, 용기 본체(306) 내에 수용되는 토너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용기 본체(306) 내에 수용되어 있는 토너의 색이, 옐로인지, 마젠타인지, 시안인지에 따라, 오목부(424)의 개수, 위치, 및 폭 중 적어도 1개가 다르게 되어 있다. 또한, 동일한 색인, 예를 들면 흑의 토너가 수용되었을 경우에도, 다른 종류의 기종에 이용되는 토너가 수용되어 있을 경우나 다른 특성의 토너가 수용되어 있을 경우, 그 기종이나 특성에 따라, 오목부(424)의 개수, 위치, 및 폭 중 적어도 1개가 다르게 되어 있다.
또한, 식별 부재(420)에는, 충전되는 토너, 또는 충전된 토너의 종류를 조작자 등이 식별할 수 있는 인자(印字) 등이 되어 있고, 이 인자 등은, 조작 부재(380)가, 적어도 후술하는 제 2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육안관찰(目視)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인자 등은, 조작 부재(380)나 후술하는 덮개 부재(340)의 상면에도 배치되어 있다.
또한, 용기 본체(306)의 후측의 면에는 기억 수단으로서 이용되는 기억 매체(450)가, 용기 본체(306)에 대하여 착탈할 수 있게 장착되어 있다. 기억 매체(450)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측에 설치된 데이터 기입 장치(도시 생략)와 접속할 수 있고, 데이터 기입 장치로부터, 예를 들면, 그 수용 용기(300)에 수용된 토너를 이용해서 형성된 화상의 매수(枚數) 등의 데이터가 기입된다. 기억 매체(450)의 접속 단자(451)는, 상하 방향으로 세로로 길게 연장되어 있고, 상하 방향의 하단을 포함하는 하측이 노출해서 설치되고, 좌우의 수평 방향으로 4개 나열되어 설치되어 있다. 후술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조작 부재(380)와 연결된 개폐부(350)가 배출 구멍(312)을 폐쇄한 도 4의 상태(조작 부재(380)가 제 2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기억 매체(450)의 접속 단자의 하방으로부터 조작 부재(380)의 후측 암부(arm portion)(386)의 하방측(개폐부(350)측)이 퇴피하고 있다.
개폐부(350)는, 용기 본체(306)의 하측의 위치에 이동할 수 있게 부착되어 있다. 개폐부(350)가 용기 본체(306)에 대하여 이동함으로써, 배출 구멍(312)이 개방된 상태로 되고, 폐쇄된 상태로 된다. 개폐부(350)는, 용기 본체(306)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게 장착된 개폐 부재(352)와, 개폐 부재(352)와 용기 본체(306) 사이에 설치되어, 배출 구멍(312)을 실링(sealing)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실링 부재(354)를 갖는다.
조작 부재(380)는, 충전 구멍(314)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대향부(382)와, 대향부(382)의 전측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전측 암부(384)와, 대향부(382)의 후측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후측 암부(386)를 갖는다. 전측 암부(384)에는, 용기 본체(306)의 전측에 형성된 지지용 돌기(도시 생략)가 끼워넣어지도록 형성된 관통 구멍(도시 생략)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후측 암부(386)에는, 용기 본체(306)의 후측의 면에 형성된 지지용 돌기(324)가 끼워넣어지도록 형성된 관통 구멍(408)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측 암부(384)에 형성된 관통 구멍에, 용기 본체(306)의 전측의 면에 형성된 지지용 돌기를 삽입하고, 관통 구멍(408)에 지지용 돌기(324)를 삽입하도록 하고, 조작 부재(380)는, 회전축(32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고, 후술하는 제 1 위치, 제 2 위치, 및 제 3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전측 암부(384)에는, 관통 구멍(390)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390)은, 조작 부재(380)가 후술하는 제 3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고정용 돌기(316)가 끼워넣어지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조작 부재(380)는, 관통 구멍(390) 및 고정용 돌기(316)에 의해, 용기 본체(306)에 대하여 제 3 위치에 고정된다.
또한, 전측 암부(384)에는, 기어(37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보호용 돌기(392)가 형성되어 있다. 보호용 돌기(392)는, 기어(370)의 치가 형성된 면을 보호하는 동시에, 수용 용기(300)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 내에 장착된 상태에서, 조작자가 기어(370)에 접촉할 수 없게 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전측 암부(384)의 하단부 측이며, 수용 용기(300)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 내에 삽입되는 방향에서의 선단측에는 안내용 돌기(394)가 형성되어 있다. 안내용 돌기(394)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측에 형성된 안내 홈(46)(도 14 참조)에 끼워넣어지고, 수용 용기(300)의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 내로의 착탈을 안내한다.
또한, 전측 암부(384)의 하단부 측이며, 수용 용기(300)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 내에 삽입되는 방향에서의 선단측에는, 예를 들면 안내용 돌기(394)와 연속한 상태로, 충돌 억제용 돌기(396)가 형성되어 있다. 충돌 억제용 돌기(396)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 내에 수용 용기(300)를 삽입할 때에, 기어(370)의 치가 형성된 면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에 충돌하기 어렵게 하고 있다. 한편, 충돌 억제용 돌기(396)와 마찬가지로, 안내용 돌기(394)에도, 기어(370)의 치가 형성된 면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측에 충돌하기 어렵게 하는 기능이 있다.
후측 암부(386)의 하단부 측에는, 전측 암부(384)에 안내용 돌기(394)가 형성되어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안내용 돌기(402)가 형성되어 있다. 안내용 돌기(402)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에 측부에 형성된 안내 홈(44)(도 14 참조)에 끼워넣어지고, 수용 용기(300)의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 내로의 착탈을 안내한다.
조작 부재(380)와 개폐 부재(352)는 연결되어 있다. 즉, 전측 암부(384)의 하단부 측의 부분이, 개폐 부재(352)의 전측의 부분에 연결되어 있는 동시에, 후측 암부(386)의 하단부 측의 부분이, 개폐 부재(352)의 후측의 부분에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조작 부재(380)의 이동에 연동하여, 개폐 부재(352)는 이동한다.
기어(370)는, 용기 본체(306)의 전측의 면에 장착되어 있어서, 수용 용기(300)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 내에 장착되었을 때에,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측에 설치된 기어(도시 생략)와 연결되고, 이 기어로부터 구동 전달을 받게 되어 있다. 또한, 기어(370)는, 축(322)의 용기 본체(306) 내로부터 돌출한 부분에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구동이 전달되어서 기어(370)가 회전을 하면, 용기 본체(306) 내에서 교반 장치(330)가 회전하고, 용기 본체(306) 내에 수용된 토너가 교반된다.
수용 용기(300)는, 용기 본체(306)와, 개폐부(350)와, 조작 부재(380)와, 기어(370)를 갖는 것에 더불어, 충전 구멍(314)을 밀봉하는 밀봉부로서 이용되는 덮개 부재(340)를 갖는다. 덮개 부재(340)는, 충전 구멍(314)을 통해서 용기 본체(306) 내에 토너를 충전한 후, 충전 구멍(314)에 끼워넣어지도록 해서 용기 본체(306)에 장착된다. 덮개 부재(340)가 장착되면, 충전 구멍(314)이 밀봉되어, 용기 본체(306)의 방향에 관계없이, 충전 구멍(314)으로부터 토너가 흘러내리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수용 용기(300)는, 커버 부재(342)를 갖는다. 커버 부재(342)는, 용기 본체(306)에 장착된 덮개 부재(340)를 외측으로부터 덮도록, 용기 본체(306)에 부착된다. 커버 부재(342)가 부착되면, 예를 들어 덮개 부재(340)가 충전 구멍(314)으로부터 분리되었다고 해도, 덮개 부재(340)가 충전 구멍(314)으로부터 완전히 탈락해버리는 것을 막아, 충전 구멍(314)을 통해서 용기 본체(306)로부터 흘러내린 토너가 주위로 확산하는 것이, 커버 부재(342)에 의해 억제된다.
도 7 및 도 8에는, 조작 부재(380)의 동작이 설명되어 있다.
조작 부재(380)는, 도 7의 (a) 및 도 8의 (a)에 나타내는 제 1 위치와, 도 7의 (b) 및 도 8의 (b)에 나타내는 제 2 위치와, 도 7의 (c) 및 도 8의 (c)에 나타내는 제 3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7의 (a) 및 도 8의 (a)에 나타내는 제 1 위치는, 용기 본체(306)에 형성된 배출 구멍(312)을 개방한 상태로 하는 위치이다. 즉, 조작 부재(380)가 제 1 위치에 있으면, 조작 부재(380)에 연결된 개폐부(350)는, 배출 구멍(312)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된다.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 내에 장착되어서, 현상 장치(110)에 토너를 공급할 때는, 조작 부재(380)는, 제 1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되도록 조작된다.
도 7의 (b) 및 도 8의 (b)에 나타내는 제 2 위치는, 배출 구멍(312)을 폐쇄한 상태로 하고, 덮개 부재(340)가 용기 본체(306)에 부착되는 방향(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조작 부재(380)의 대향부가 용기 본체(306)와 겹치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이다. 조작 부재(380)가 제 2 위치에 있으면, 조작 부재(380)에 연결된 개폐부(350)는 배출 구멍(312)을 덮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되어, 배출 구멍(312)이 막힌 상태가 된다.
도 7의 (c) 및 도 8의 (c)에 나타내는 제 3 위치는, 배출 구멍(312)을 폐쇄한 상태로 하고, 덮개 부재(340)가 용기 본체(306)에 부착되는 방향(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조작 부재(380)의 대향부가 용기 본체(306)와 겹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이다. 조작 부재(380)가 제 3 위치에 있으면, 조작 부재(380)에 연결된 개폐부(350)는 배출 구멍(312)을 덮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되어, 배출 구멍(312)이 막힌 상태가 된다. 조작 부재(380)와 개폐부(350)는 연결되어 있으므로, 조작 부재(380)를 제 2 위치로부터 제 3 위치로 이동시키면, 개폐부(350)도 조작 부재(380)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지만, 배출 구멍(312)의 크기에 대하여 개폐부(350)의 크기를 크게 형성시키고 있으므로, 배출 구멍(312)이 막힌 상태인 채로, 즉 개폐부(350)의 실링 부재(354)가 배출 구멍(312)을 실링한 상태인 채로 개폐부(350)가 이동한다. 또한, 조작 부재(380)가 제 3 위치에 있으면, 대향부(382)는, 덮개 부재(340)가 용기 본체(306)에 부착되는 방향인 상하 방향에서, 용기 본체(306)와 겹치지 않는 상태로 된다.
한편, 개폐부(350)가 용기 본체(306)에 대하여 이동하기 위해서, 용기 본체(306)에 개폐부(350)를 안내시키는 안내부를 하는 개폐부 안내 홈(351)이 설치되어 있다. 개폐부 안내 홈(351)은, 개폐부(350)가 제 2 위치에 있을 때에 개폐부(350)의 개폐 방향의 쌍방, 즉, 개폐부(350)의 개방 방향으로도 개폐부(350)의 폐쇄 방향으로도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다. 개폐부(350)가 제 2 위치와 제 3 위치를 이동할 때는, 개폐부(350)의 실링 부재(354)가 배출 구멍(312)을 실링한 상태인 채로 개폐부(350)가 개폐부 안내 홈(351)에 안내된다.
조작 부재(380)가 제 3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수용 용기(300)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 내에 장착하려고 하면, 조작 부재(380)와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는 간섭한다. 즉, 조작 부재(380)는, 조작 부재(380)가 제 3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수용 용기(300)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 내에 장착할 때에,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와 간섭하는 간섭부로서 이용되고 있다.
조작 부재(380)가 제 3 위치에 있으면, 용기 본체(306) 내에 토너를 충전할 때에, 대향부(382)가, 토너의 이동(낙하)의 장해로 되기 어렵다. 또한, 조작 부재(380)가 제 3 위치에 있으면, 덮개 부재(340)를, 위치 맞춤, 타전(打栓) 등에 의해 밀어넣는 등 해서 용기 본체(306)에 부착될 때의 장해로 되기 어려워, 덮개 부재(340)의 용기 본체(306)에의 부착을 행하기 쉽다. 또한, 조작 부재(380)가 제 3 위치에 있으면, 덮개 부재(340)가 용기 본체(306)에 부착되는 방향(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커버 부재(342)를, 위치 맞춤 등 해서 용기 본체(306)에 부착될 때의 장해로 되기 어려워, 커버 부재(342)의 용기 본체(306)에의 부착을 행하기 쉽다. 조작 부재(380)를 제 3 위치에 배치해서 토너를 용기 본체(306)에 충전한 후, 용기 본체(306)의 충전 구멍(314)이 덮개 부재(340)에 의해 폐쇄되며, 덮개 부재(340)를 덮도록 용기 본체(306)에 커버 부재(342)가 부착된다.
도 9에는, 지지용 돌기(324)(도 4 참조)가 나타나 있다.
지지용 돌기(324)는, 전술한 바와 같이, 용기 본체(306)의 전측의 면에 형성되어 있고, 거의 원기둥 형상이며, 조작 부재(380)의 후측 암부(386)에 형성된 관통 구멍(408)에 삽입되어, 조작 부재(380)를 용기 본체(306)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하는 것이다.
지지용 돌기(324)의 원주 방향에서의 일부이며, 용기 본체(306)의 전측의 면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는, 원주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326)가 설치되어 있다.
도 10에는, 조작 부재(380)의 후측 암부(386)의 관통 구멍(408)이 형성된 부분이 확대해서 나타나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통 구멍(408)의 원주 방향에서의 일부분에는, 다른 부분보다 구멍의 직경이 커지도록 대직경부(410)가 형성되어 있다. 대직경부(410)는, 관통 구멍(408)에 지지용 돌기(324)를 삽입할 경우에, 지지용 돌기(324)의 돌출부(326)가 끼워넣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조작 부재(380)는, 대직경부(410)가, 돌출부(326)에 들어가는 바와 같은 위치 관계에 있을 경우에만, 용기 본체(306)에 장착할 수 있다. 그리고, 용기 본체(306)에 대하여 장착할 수 있는 조작 부재(380)의 위치는, 제 3 위치(도 7의 (c), 도 8의 (c) 참조)로 되어 있다. 즉, 조작 부재(380)는, 용기 본체(306)에 대하여 장착된 시점에 있어서, 제 3 위치에 배치된 상태가 된다.
도 11의 (a)에는, 수용 용기(300Y, 300M, 300C)의 단면도가, 도 11의 (b)에는, 수용 용기(300K)의 단면도가 나타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수용 용기(300K)의 용적은, 수용 용기(300Y, 300M, 300C)의 용적보다 크다.
도 11의 (a) 및 도 1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 용기 본체(306Y, 306M, 306C, 306K)는, 각각이, 하부 용기(308Y, 308M, 308C, 308K)에 대하여, 상부 용기(310Y, 310M, 310C, 310K)가 장착되도록 해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 용기(308)의 크기는, 옐로 토너용, 마젠타 토너용, 시안 토너용의 하부 용기(308Y, 308M, 308C)와, 흑 토너용의 하부 용기(308K)에서 동일하며, 동일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옐로 토너용, 마젠타 토너용, 시안 토너용, 흑 토너용으로, 하부 용기(308)로서 공통의 부품을 이용할 수 있다.
상부 용기(310)의 크기는, 옐로 토너용, 마젠타 토너용, 시안 토너용의 상부 용기(310Y, 310M, 310C)보다, 흑 토너용의 상부 용기(310K)가 크고, 흑 토너용의 상부 용기(310K)의 내부에는, 하부 용기(308K)에 장착된 상태에서, 토너를 수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식별 부재(420Y, 420M, 420C)의 크기는, 식별 부재(420K)의 크기보다 크다. 이것에 의해, 수용 용기(300Y, 300M, 300C)의 상단부의 높이와, 수용 용기(300K)의 상단부의 높이가 동일해지도록 수용 용기(300Y, 300M, 300C, 300K)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 내에 장착했을 경우, 식별 부재(420Y, 420M, 420C)의 하단부의 높이와, 식별 부재(420K)의 하단부의 높이가 동일해지게 되어 있다.
도 12에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에 대하여 폐쇄된 상태에 있어서의 장착용 개폐부(24)의 단면이 나타나 있다.
장착용 개폐부(24)에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 내에 장착되는 수용 용기(300)의 수(數)에 상당하는 4개의 오목부(25)가 형성되어 있다(도 12에서는 3개를 도시하고 있다). 4개의 오목부(25)는, 각각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 내에 장착된 수용 용기(300)의 제 1 위치에 배치된 조작 부재(380)의 상단 부분이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12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부재(380)가 제 2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면, 조작 부재(380)의 상단측과, 장착용 개폐부(24)가 간섭한다. 즉,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장착된 모든 수용 용기(300)의 조작 부재(380)가 제 1 위치에 배치된 상태가 아니면, 장착용 개폐부(24)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에 대하여 폐쇄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수용 용기(300)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 내에 장착한 시점에, 조작 부재(380)를 제 1 위치로 이동시키는 동작이 확실해져서, 수용 용기(300)에 형성된 배출 구멍(312)이 확실하게 개방되어, 수용 용기(300)로부터 현상 장치(110)에, 확실하게 토너가 보급되는 상태로 된다. 한편, 장착용 개폐부(24)의 개폐를 검출하는 개폐 센서를 설치하고, 장착용 개폐부(24)가 개방해 있는 것을 개폐 센서가 검출했을 경우에, 예를 들면, 조작 패널(12)에 경고의 표시를 하거나, 상 형성 동작을 금지하거나 하도록 해도 된다.
도 13은, 장착 장치(30)의 사시도이다. 장착 장치(30)는, 우측판(40)과, 좌측판(42)과, 우측판(40) 및 좌측판(42)을 연결하는 연결판(36Y, 36M, 36C, 36K)을 갖고, 이들 부재에 의해, 상측이 개방된 장착실(32Y, 32M, 32C, 32K)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장착실(32Y, 32M, 32C, 32K)에는, 수용 용기(300Y, 300M, 300C, 300K)가, 각각 상방으로부터 장착된다.
장착실(32Y, 32M, 32C, 32K)의 하방에는, 토너 반송로(34Y, 34M, 34C, 34K)가 부착되어 있다. 토너 반송로(34Y, 34M, 34C, 34K)는, 수용 용기(300Y, 300M, 300C, 300K) 내의 토너를, 현상 장치(110Y, 110M, 110C, 110K)에 각각 반송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연결판(36Y, 36M, 36C, 36K)은, 각각이 본체측 식별 수단으로서 이용되고 있고, 각각에, 수, 위치, 및 폭 중 적어도 어느 1개가 서로 다르도록, 단수 또는 복수의 볼록부(38)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38)는, 각각의 장착실(32)에 장착되어야 할 수용 용기(300)에 설치된 오목부(424)(도 4 참조)에 끼워넣는 위치에, 끼워넣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장착실(32Y)에는, 장착실(32Y)에 장착되어야 할 옐로의 수용 용기(300Y)에 형성된 오목부(424)에 끼워넣도록 볼록부(38)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 수용 용기(300)에 형성된 오목부(424)의 위치는, 예를 들면 토너의 색 등, 수용 용기(300)에 수용되어 있는 토너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이 때문에, 특정한 장착실(32)에, 그 장착실(32)에 장착되어야 할 올바른 수용 용기(300)의 장착은 할 수 있지만, 그 장착실(32)에 수용되어야 할 것이 아닌 종류의 다른 토너가 수용된 수용 용기(300)를 장착하려고 해도, 수용 용기(300)의 볼록부(422)와, 식별 부재(420)의 볼록부(38)가 간섭하여, 수용 용기(300)를, 그 장착실(32)에 장착할 수 없다.
도 14는, 장착 장치(30)의 단면도이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착 장치(30)의 우측판(40)에는, 4개의 안내 홈(44Y, 44M, 44C, 44K)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 홈(44Y, 44M, 44C, 44K)에는, 수용 용기(300Y, 300M, 300C, 300K)를 장착실(32Y, 32M, 32C, 32K)에 장착할 때에, 안내용 돌기(402)(도 4 참조)가 끼워넣어진 상태로 되고, 수용 용기(300Y, 300M, 300C, 300K)의 장착을 안내한다.
좌측판(42)에는, 4개의 안내 홈(46Y, 46M, 46C, 46K)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 홈(46Y, 46M, 46C, 46K)에는, 수용 용기(300Y, 300M, 300C, 300K)를 장착실(32Y, 32M, 32C, 32K)에 장착할 때에, 안내용 돌기(394)(도 3 참조)가 끼워넣어진 상태로 되고, 수용 용기(300Y, 300M, 300C, 300K)의 각 장착실(32)로의 장착을 안내한다. 각각의 안내 홈(44)은, 입구측의 폭이 넓고, 수용 용기(300)의 장착 방향을 향해서 점차 좁아지고, 그 후, 동일한 폭으로 되는 장착 방향 안내부(48)와, 장착 방향 안내부(48)의 안쪽의 단부에서 거의 원호 형상으로 연장되는 원호부(50)를 갖는다. 장착실(32)에 수용 용기(300)를 장착한 후에, 제 1 위치로 이동하도록 조작 부재(380)를 조작했을 때에, 원호부(50)에 안내용 돌기(402)가 들어간다.
원호부(50)는, 각각이, 조작 부재(380)가 제 1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수용 용기(300)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의 외부로 분리하는 것을 금지하는 분리 금지 수단으로서 이용되고 있다. 즉, 조작 부재(380)가 제 1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안내용 돌기(394)가 원호부(50) 내에 들어가고, 수용 용기(300)를 취출하려고 수용 용기(300)를 상방으로 들어 올리려고 해도, 안내용 돌기(394)가 좌측판(42)의 원호부(50)를 형성하는 부분에 간섭하여, 수용 용기(300)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로부터 분리할 수 없다.
도 15에는, 수용 용기(300)가 장착 장치(30)에 장착되는 형태가 설명되어 있고, 도 15의 (a)에는, 조작 부재(380)가 제 2 위치에 배치된 상태의 수용 용기(300)의 우측면이, 도 15의 (b)에는, 수용 용기(300)의 우측면 및 장착 장치(30)의 단면도가 나타나 있다.
도 1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 용기(300)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에 장착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조작 부재(380)가 제 2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금지용 돌기(318)(도 5도 참조)가, 조작 부재(380)의 전측 암부(384)의 이동의 궤적에 간섭하는 위치에 있어, 조작 부재(380)를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로 이동시킬 수 없다.
이에 대하여, 수용 용기(300)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 내에 삽입하면, 도 1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착 장치(30)의 저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돌출하도록 설치된 삽입 부재(56)가, 용기 본체(306)와, 전측 암부(384)의 사이에 삽입되어, 전측 암부(384)가, 용기 본체(306)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형하고, 금지용 돌기(318)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 내에 수용 용기(300)를 장착하면, 조작 부재(380)를,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6에는, 장착 장치(30)에 장착된 상태에서, 수용 용기(300)에 장착된 기억 매체(450)와,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측을 접속하는 구성이 나타나 있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착 장치(30)의 우측판(40)에는, 변형 가능한 전극(58)이 장착되어 있고, 전극(58)이 기억 매체(450)의 전극(452)에 밀어붙여지게 해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측과 기억 매체(450)가 접속된다.
도 17에는, 예를 들면 제조의 과정에서, 수용 용기(300) 내에 토너가 충전되는 공정이 설명되어 있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 용기(300)에 토너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최초의 공정 S10에 있어서, 용기 본체(306)에 조작 부재(380)가 조립된다. 이때, 용기 본체(306)의 지지용 돌기(324)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326)가, 조작 부재(380)의 관통 구멍(408)에 형성된 대직경부(410)에 끼워넣어지는 것을 필요로 하고, 조작 부재(380)는, 용기 본체(306)에 대하여 제 3 위치로 되도록 조립된다.
이때, 조작 부재(380)는, 고정용 돌기(316)가 관통 구멍(390)에 들어가도록 해서 제 3 위치에 고정된다. 이 때문에, 후술하는 공정 S30에서 토너를 용기 본체(306) 내에 삽입할 때에 조작 부재(380)가 움직이는 것이 방지되어, 조작 부재(380)가 움직이는 것에 의한 토너의 삽입 불량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다음 공정 S20에서는, 용기 본체(306)가, 충전 구멍(314)이 상향으로 되도록 지그(도시 생략)에 세트된다. 이때, 교반 장치(330)는, 길이 방향이 상하 방향으로 되도록 조정된다.
다음 공정 S30에서는, 충전 구멍(314)을 통해서, 상방향으로부터 낙하시키듯이, 용기 본체(306) 내에 토너가 삽입된다. 이때, 조작 부재(380)는 제 3 위치에 있고, 조작 부재(380)의 대향부(382)는, 토너가 충전되는 방향(상하 방향)에 있어서 충전 구멍(314)과 겹치지 않는 위치에 있기 때문에, 조작 부재(380)가 토너의 충전에 방해가 될 일이 없다.
또한, 교반 장치(330)의 길이 방향이 상하 방향으로 되도록 조정하면, 용기 본체(306) 내에서의 토너의 낙하를 방해하기 어렵고, 용기 본체(306)의 저부까지 토너가 도달하기 쉬워서, 용기 본체(306) 내의 공간을 헛되게 하지 않고 토너가 충전된다.
다음 공정 S40에서는, 충전 구멍(314)에 덮개 부재(340)가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밀어넣어지도록 장착되어, 충전 구멍(314)이 밀봉된다. 이때, 조작 부재(380)는 제 3 위치에 있고, 조작 부재(380)의 대향부(382)는, 덮개 부재(340)가 용기 본체(306)에 부착되는 방향(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조작 부재(380)의 대향부가 용기 본체(306)와 겹치지 않는 위치에 있기 때문에, 조작 부재(380)는, 용기 본체(306)에 덮개 부재(340)를 장착하는데 방해가 되지 않는다.
다음 공정 S45에서는, 덮개 부재(340)를 덮도록, 용기 본체(306)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커버 부재(342)가 장착된다. 이때, 조작 부재(380)는 제 3 위치에 있고, 조작 부재(380)의 대향부(382)는, 덮개 부재(340)가 용기 본체(306)에 부착되는 방향(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조작 부재(380)의 대향부가 용기 본체(306)와 겹치지 않는 위치에 있기 때문에, 조작 부재(380)는, 용기 본체(306)에 커버 부재(342)를 장착하는데 방해가 되지 않는다.
다음 공정 S50에서는, 조작 부재(380)가 제 3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된다. 조작 부재(380)를 제 2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조작 부재(380)의 전측 암부(384)를 변형시키는 등 해서, 고정용 돌기(316)를 관통 구멍(390)으로부터 분리한다. 조작 부재(380)를 제 2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조작 부재(380)의 대향부(382)는, 덮개 부재(340)가 용기 본체(306)에 부착되는 방향에서, 조작 부재(380)의 대향부가 용기 본체(306)와 겹치는 위치로 이동한다. 덮개 부재(340)가 용기 본체(306)에 부착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수용 용기(300)의 폭이 작아져서, 수용 용기(300)의 반송이 용이해진다. 또한, 제 2 위치로 이동된 조작 부재(380)를 다시 제 3 위치로 이동시키려고 해도, 조작 부재(380)의 전측 암부(384)와 고정용 돌기(316)가 맞닿아서 간섭하므로, 필요가 없을 때에 조작 부재(380)가 제 3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조작 부재(380)를 제 3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시킬 때, 잘못하여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로 조작 부재(380)가 이동해버려, 배출 구멍(312)이 개방된 상태로 되어, 배출 구멍(312)으로부터 토너가 배출될 우려가 있지만,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 내에 장착되지 않는 한, 금지용 돌기(318)에 의해, 조작 부재(380)는,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로 이동할 수 없게 되어 있다.
도 18에는, 사용 완료로 된 수용 용기(300) 내에, 다시 토너를 충전하는 공정이 설명되어 있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초의 공정 S12에서, 회수된 상태에서는 제 2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조작 부재(380)를 제 3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때, 조작 부재(380)의 전측 암부(384)와 고정용 돌기(316)가 맞닿아서 간섭하고 있으므로, 예를 들면, 조작 부재(380)의 전측 암부(384)를 변형시키는 등 해서 고정용 돌기(316)와 전측 암부(384)의 간섭을 피하고, 조작 부재(380)를 제 3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관통 구멍(390)에 고정용 돌기(316)가 삽입된 상태로 된다.
다음 공정 S13에서는, 커버 부재(342)가 용기 본체(306)로부터 분리된다. 이때, 조작 부재(380)가 제 3 위치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 부재(380)는, 커버 부재를 분리하는 조작의 방해로 되기 어렵다.
다음 공정 S14에서는, 덮개 부재(340)가 용기 본체(306)로부터 분리된다. 이때, 조작 부재(380)가 제 3 위치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 부재(380)는, 덮개 부재(340)를 분리하는 조작의 방해로 되기 어렵다.
다음 공정 S20에서는, 필요에 따라 용기 본체(306) 내에 잔류한 토너를 제거하는 등의 청소를 행한 후, 앞서 설명한 수용 용기(300)에 토너를 충전할 경우와 마찬가지로, 수용 용기(300)가 지그에 세트되고, 공정 S30에서 용기 본체(306) 내에 토너가 삽입되며, 다음의 공정 S40에서 충전 구멍(314)을 밀봉하도록 덮개 부재(340)가 용기 본체(306)에 장착되고, 다음의 공정 S45에서 커버 부재(342)가 용기 본체(306)에 장착되며, 다음의 공정 S50에서, 조작 부재(380)가, 제 3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된다.
도 19에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 내에 수용 용기(300)를 장착하는 공정이 설명되어 있다.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초의 공정 S110에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에 부착된 장착용 개폐부(24)가 개방되어, 장착 장치(30)의 상방이 개방된다.
다음의 공정 S120에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 내의 장착 장치(30)에 상방으로부터 수용 용기(300)가 삽입된다. 이때, 장착 장치(30)의 저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돌출하도록 설치된 삽입 부재(56)가, 용기 본체(306)와 전측 암부(384) 사이에 삽입되고, 전측 암부(384)가, 용기 본체(306)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형하여, 금지용 돌기(318)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조작 부재(380)를,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의 공정 S130에서, 조작 부재(380)가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로 이동되고, 배출 구멍(312)이 개방된 상태가 되어, 수용 용기(300)로부터 현상 장치(110)에 토너를 보급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다음의 공정 S140에서, 장착용 개폐부(24)가 폐쇄된다. 이때, 조작 부재(380)가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로 이동하고 있지 않은 수용 용기가 1개라도 있으면, 제 2 위치에 배치된 조작 부재(380)와 장착용 개폐부(24)가 간섭하여, 장착용 개폐부(24)를 폐쇄할 수 없다.
도 20에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 내로부터 용기 본체(306)를 분리하는 공정이 설명되어 있다.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초의 공정 S210에서, 장착용 개폐부(24)가 개방되고, 장착 장치(30)의 상방이 개방된다.
다음의 공정 S220에서, 조작 부재(380)를,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시키고, 배출 구멍(312)을 폐쇄한 상태로 한다. 이 때문에, 수용 용기(300)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로부터 분리할 때에, 배출 구멍(312)으로부터 잔류한 토너가 배출될 일이 없다.
다음의 공정 S230에서는, 수용 용기(300)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로부터 인출된다. 조작 부재(380)를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시키지 않고 수용 용기(300)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로부터 인출하려고 했을 경우, 안내용 돌기(394)가 좌측판(42)의 원호부(50)를 형성하는 부분에 간섭해서, 수용 용기(300)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로부터 분리할 수 없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에서는, 개폐부(350)의 일례로서, 개폐 부재(352)와 실링 부재(354)의 2개의 부재를 조합시킨 것을 나타냈지만, 개폐부(350)는 단일의 부품으로 해도 되고, 3개 이상의 부품을 조합시켜서 구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에서는, 조작 부재(380)의 동작의 일례로서, 제 1 위치, 제 2 위치, 및 제 3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설명했지만, 조작 부재(380)를, 제 1 위치, 제 2 위치, 및 제 3 위치와 아울러서, 다른 단수 또는 복수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조작 부재(380)를 제 4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하고, 제 4 위치에서 복수의 부품으로 구성되는 조작 부재(380)의 복수의 부품을 조립하도록 하거나, 제 4 위치에서 조작 부재(380)를 용기 본체(306)에 조립하도록 하거나 해도 된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에서는, 충전 구멍(314)을 밀봉하도록 용기 본체(306)에 부착된 밀봉부로서 덮개 부재(340)를 이용하고, 덮개 부재(340)를 충전 구멍(314)에 끼워넣도록 해서 충전 구멍(314)을 밀봉하며, 덮개 부재(340)를 덮도록 커버 부재(342)를 용기 본체(306)에 더 장착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커버 부재(342)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덮개 부재(340)를 충전 구멍(314)에 끼워넣는 것에 대신하여, 예를 들면 접착부를 갖는 테이프를 밀봉부로서 이용하고, 그 테이프를 충전 구멍(314)을 덮도록 부착함으로써 충전 구멍(314)을 밀봉하도록 해도 된다. 이렇게 테이프를 이용해서 충전 구멍(314)을 밀봉할 경우, 테이프를 덮도록 용기 본체(306)에 대하여 커버 부재(342)를 장착해도 되고, 커버 부재(342)를 용기 본체(306)에 장착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충전 구멍(314)을 밀봉하도록 용기 본체(306)에 부착된 덮개 부재(340)나 상술한 테이프, 또는 덮개 부재(340)나 테이프를 덮도록 부착된 커버 부재(342)에, 수용 용기(300)를 식별하는 식별 부재를 부착해도 된다. 그 식별 부재의 일례로서는, 예를 들면 덮개 부재(340) 등에 부착되는 식별용 라벨을 들 수 있다. 식별 부재에는, 예를 들면, 수용 용기(300)의 형(型) 번호, 수용 용기(300)를 장착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형 번호, 수용 용기(300)의 상품명, 수용 용기(300)를 장착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상품명, 용기 본체(306)에 충전되어 있는 토너의 색(충전되어 있는 토너가 옐로인지, 마젠타인지, 시안인지, 흑인지) 등이 표시된다.
또한, 예를 들면 충전 구멍(314)을 밀봉하도록 용기 본체(306)에 부착된 덮개 부재(340)나 상술한 테이프, 또는 덮개 부재(340)나 테이프를 덮도록 부착된 커버 부재(342)에, 수용 용기(300)의 사용 방법을 설명한 설명용 부재를 부착해도 된다. 그 외 설명용 부재의 일례로서는, 예를 들면 덮개 부재(340) 등에 부착되는 설명용 라벨을 들 수 있다. 설명 부재에는,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 내에 수용 용기(300)를 장착하고,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 내로부터 수용 용기(300)를 취출하는 방법이 표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 내에 수용 용기(300)를 장착할 때의 조작 부재(380)의 조작 방법이나,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 내로부터 수용 용기(300)를 취출할 때의 조작 부재(380)의 조작 방법이 표시된다. 이러한 설명용 부재는, 전술한 식별 부재를 겸용하도록 1개의 부재로 해도 되고, 설명용 부재와 식별용 부재를 별도의 부재로 해도 된다.
또한, 식별 부재나 설명용 부재를 별도로 부착하는 것으로 바꾸고, 식별용 라벨이나 설명용 라벨 자체를 상술한 테이프로서 이용해도 된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에서는, 상 형성제의 일례로서 분체(粉體)로 이루어지는 토너를 용기에 충전하는 형태를 설명했지만, 예를 들면 액체로 이루어지는 잉크 등을 용기에 충전할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로서 프린터를 이용하는 경우를 설명했지만, 복사기, 팩시밀리 장치 등의 상 형성제를 이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다른 단기능의 장치나, 프린터, 스캐너 등의 복수의 기능을 갖고, 상 형성제를 이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다른 장치도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에 포함되는 것이며, 이들 화상 형성 장치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 DVD 플레이어, HDD 등의 영상 기기 등의 장치로서, 상 형성제를 이용해서 화상을 형성하는 구성이 갖추어진 장치도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에 포함되는 것이며, 이들 화상 형성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책상, 선반, 벽 등에 갖추어져, 상 형성제를 이용해서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도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에 포함되는 것이며, 이들 화상 형성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 형성제 수용 용기, 화상 형성 장치, 상 형성제 수용 용기의 장착 방법, 상 형성제 수용 용기의 분리 방법, 상 형성제의 충전 방법, 및 상 형성제의 재충전 방법에 적용할 수 있다.
10 : 화상 형성 장치
20 : 화상 형성 장치 본체
24 : 장착용 개폐부
30 : 장착 장치
46 : 안내 홈
50 : 원호부
100 : 상 형성부
110 : 현상 장치
300 : 수용 용기
306 : 수용 용기 본체
308 : 하부 용기
310 : 상부 용기
312 : 배출 구멍
314 : 충전 구멍
316 : 고정용 돌기
318 : 금지용 돌기
330 : 교반 장치
340 : 덮개 부재
342 : 커버 부재
350 : 개폐부
380 : 조작 부재
382 : 대향부
394 : 안내용 돌기
402 : 안내용 돌기

Claims (15)

  1.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착탈되고, 상 형성제의 배출에 이용되는 배출 구멍이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대한 당해 용기 본체의 착탈 방향에서의 한쪽 면에 형성되며, 상 형성제의 충전에 이용되는 충전 구멍이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대한 당해 용기 본체의 착탈 방향에서 상기 배출 구멍과 대향하는 측에 형성된 용기 본체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대한 상기 용기 본체의 착탈 방향으로부터, 상기 충전 구멍을 밀봉하도록 상기 용기 본체에 부착된 밀봉부와,
    상기 배출 구멍을 개폐하도록, 상기 용기 본체에 이동할 수 있게 장착된 개폐부와,
    상기 충전 구멍에 대향하는 대향부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부에 연결되며, 상기 용기 본체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고, 상기 개폐부를 상기 용기 본체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조작에 이용되는 조작부,
    를 갖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배출 구멍을 개방한 상태로 하고, 상기 밀봉부가 상기 용기 본체에 부착되는 방향에서, 상기 대향부가 상기 용기 본체와 겹치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되는 제 1 위치와,
    상기 배출 구멍을 폐쇄한 상태로 하고, 상기 밀봉부가 상기 용기 본체에 부착되는 방향에서, 상기 대향부가 상기 용기 본체와 겹치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되는 제 2 위치와,
    상기 배출 구멍을 폐쇄한 상태로 하고, 상기 밀봉부가 상기 용기 본체에 부착되는 방향에서, 상기 대향부가 상기 용기 본체와 겹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되는 제 3 위치,
    의 사이에서 이동하는 상 형성제 수용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개폐부와 간섭하고, 상기 개폐부가 상기 배출 구멍을 개방하도록 이동하는 것을 금지하는 개방 금지부가 상기 용기 본체의 측면에 형성된 상 형성제 수용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가 상기 제 1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금지하는 이동 금지 수단을 더 갖는 상 형성제 수용 용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를, 상기 제 3 위치에 고정하는 고정 수단을 더 갖는 상 형성제 수용 용기.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가 상기 제 3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장착할 때에,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와 간섭하는 간섭부를 더 갖는 상 형성제 수용 용기.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조작부의 이동 방향에서, 상기 제 2 위치와 상기 제 3 위치가 인접해 있는 상 형성제 수용 용기.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구멍은, 상기 용기 본체의 중력 방향에서의 상향의 면에 형성되어 있는 상 형성제 수용 용기.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설치되고,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된 상 형성제를 교반하기 위해 이용되는 교반부를 더 갖고, 상기 교반부는, 길이 방향이 상 형성제의 충전되는 방향과 일치하도록 배치 가능한 상 형성제 수용 용기.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용된 상 형성제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부를 더 갖고, 상기 식별부는, 적어도 상기 조작부가 상기 제 2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육안관찰(目視)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상 형성제 수용 용기.
  10. 화상 형성 장치 본체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착탈되는 상 형성제 수용 용기와,
    상기 상 형성제 수용 용기에 수용된 상 형성제를 이용해서 상을 형성하는 상 형성부,
    를 갖고,
    상기 상 형성제 수용 용기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착탈되고, 상 형성제의 배출에 이용되는 배출 구멍이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대한 당해 용기 본체의 착탈 방향에서의 한쪽 면에 형성되며, 상 형성제의 충전에 이용되는 충전 구멍이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대한 당해 용기 본체의 착탈 방향에서 상기 배출 구멍과 대향하는 측에 형성된 용기 본체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대한 상기 용기 본체의 착탈 방향으로부터, 상기 충전 구멍을 밀봉하도록 상기 용기 본체에 부착된 밀봉부와,
    상기 배출 구멍을 개폐하도록, 상기 용기 본체에 이동할 수 있게 장착된 개폐부와,
    상기 충전 구멍에 대향하는 대향부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부에 연결되며, 상기 용기 본체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고, 상기 개폐부를 상기 용기 본체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조작에 이용되는 조작부,
    를 갖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배출 구멍을 개방한 상태로 하고, 상기 밀봉부가 상기 용기 본체에 부착되는 방향에서, 상기 대향부가 상기 용기 본체와 겹치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되는 제 1 위치와,
    상기 배출 구멍을 폐쇄한 상태로 하고, 상기 밀봉부가 상기 용기 본체에 부착되는 방향에서, 상기 대향부가 상기 용기 본체와 겹치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되는 제 2 위치와,
    상기 배출 구멍을 폐쇄한 상태로 하고, 상기 밀봉부가 상기 용기 본체에 부착되는 방향에서, 상기 대향부가 상기 용기 본체와 겹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되는 제 3 위치,
    의 사이에서 이동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가 상기 제 1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상 형성제 수용 용기를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금지하는 분리 금지 수단을 더 갖는 화상 형성 장치.
  12. 상 형성제의 배출에 이용되는 배출 구멍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대한 당해 용기 본체의 착탈 방향에서의 한쪽 면에 형성되며, 상 형성제의 충전에 이용되는 충전 구멍이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대한 당해 용기 본체의 착탈 방향에서 상기 배출 구멍과 대향하는 측에 형성된 용기 본체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대한 상기 용기 본체의 착탈 방향으로부터, 상기 충전 구멍을 밀봉하도록 상기 용기 본체에 부착된 밀봉부와, 상기 배출 구멍을 개폐하도록, 상기 용기 본체에 이동할 수 있게 장착된 개폐부와, 상기 충전 구멍에 대향하는 대향부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부에 연결되며, 상기 용기 본체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고, 상기 개폐부를 상기 용기 본체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조작에 이용되는 조작부를 갖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배출 구멍을 개방한 상태로 하고, 상기 밀봉부가 상기 용기 본체에 부착되는 방향에서, 상기 대향부가 상기 용기 본체와 겹치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되는 제 1 위치와, 상기 배출 구멍을 폐쇄한 상태로 하고, 상기 밀봉부가 상기 용기 본체에 부착되는 방향에서, 상기 대향부가 상기 용기 본체와 겹치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되는 제 2 위치와, 상기 배출 구멍을 폐쇄한 상태로 하고, 상기 밀봉부가 상기 용기 본체에 부착되는 방향에서, 상기 대향부가 상기 용기 본체와 겹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되는 제 3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하는 상 형성제 수용 용기를, 상기 조작부가 상기 제 2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삽입하는 공정과,
    상기 상 형성제 수용 용기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를 상기 제 2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위치로 이동시키는 공정,
    을 갖는 상 형성제 수용 용기의 장착 방법.
  13. 상 형성제의 배출에 이용되는 배출 구멍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대한 당해 용기 본체의 착탈 방향에서의 한쪽 면에 형성되며, 상 형성제의 충전에 이용되는 충전 구멍이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대한 당해 용기 본체의 착탈 방향에서 상기 배출 구멍과 대향하는 측에 형성된 용기 본체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대한 상기 용기 본체의 착탈 방향으로부터, 상기 충전 구멍을 밀봉하도록 상기 용기 본체에 부착된 밀봉부와, 상기 배출 구멍을 개폐하도록, 상기 용기 본체에 이동할 수 있게 장착된 개폐부와, 상기 충전 구멍에 대향하는 대향부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부에 연결되며, 상기 용기 본체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고, 상기 개폐부를 상기 용기 본체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조작에 이용되는 조작부를 갖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배출 구멍을 개방한 상태로 하고, 상기 밀봉부가 상기 용기 본체에 부착되는 방향에서, 상기 대향부가 상기 용기 본체와 겹치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되는 제 1 위치와, 상기 배출 구멍을 폐쇄한 상태로 하고, 상기 밀봉부가 상기 용기 본체에 부착되는 방향에서, 상기 대향부가 상기 용기 본체와 겹치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되는 제 2 위치와, 상기 배출 구멍을 폐쇄한 상태로 하고, 상기 밀봉부가 상기 용기 본체에 부착되는 방향에서, 상기 대향부가 상기 용기 본체와 겹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되는 제 3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하는 상 형성제 수용 용기의 상기 조작부를, 상기 상 형성제 수용 용기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시키는 공정과,
    상기 조작부가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상 형성제 수용 용기를,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로부터 분리하는 공정,
    을 갖는 상 형성제 수용 용기의 분리 방법.
  14.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착탈되고, 상 형성제의 배출에 이용되는 배출 구멍이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대한 당해 용기 본체의 착탈 방향에서의 한쪽 면에 형성되며, 상 형성제의 충전에 이용되는 충전 구멍이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대한 당해 용기 본체의 착탈 방향에서 상기 배출 구멍과 대향하는 측에 형성된 용기 본체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대한 상기 용기 본체의 착탈 방향으로부터, 상기 충전 구멍을 밀봉하도록 상기 용기 본체에 부착된 밀봉부와, 상기 배출 구멍을 개폐하도록, 상기 용기 본체에 이동할 수 있게 장착된 개폐부와, 상기 충전 구멍에 대향하는 대향부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부에 연결되며, 상기 용기 본체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고, 상기 개폐부를 상기 용기 본체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조작에 이용되는 조작부를 갖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배출 구멍을 개방한 상태로 하고, 상기 밀봉부가 상기 용기 본체에 부착되는 방향에서, 상기 대향부가 상기 용기 본체와 겹치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되는 제 1 위치와, 상기 배출 구멍을 폐쇄한 상태로 하고, 상기 밀봉부가 상기 용기 본체에 부착되는 방향에서, 상기 대향부가 상기 용기 본체와 겹치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되는 제 2 위치와, 상기 배출 구멍을 폐쇄한 상태로 하고, 상기 밀봉부가 상기 용기 본체에 부착되는 방향에서, 상기 대향부가 상기 용기 본체와 겹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되는 제 3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하는 상 형성제 수용 용기의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상기 조작부가 상기 제 3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충전 구멍을 통해서 상 형성제를 충전하는 공정과,
    상 형성제가 충전된 후에, 상기 용기 본체에 상기 밀봉부를 부착하는 공정과,
    상기 밀봉부가 상기 용기 본체에 부착된 후에, 상기 조작부를 상기 제 3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시키는 공정,
    을 갖는 상 형성제의 충전 방법.
  15.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착탈되고, 상 형성제의 배출에 이용되는 배출 구멍이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대한 당해 용기 본체의 착탈 방향에서의 한쪽 면에 형성되며, 상 형성제의 충전에 이용되는 충전 구멍이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대한 당해 용기 본체의 착탈 방향에서 상기 배출 구멍과 대향하는 측에 형성된 용기 본체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대한 상기 용기 본체의 착탈 방향으로부터, 상기 충전 구멍을 밀봉하도록 상기 용기 본체에 부착된 밀봉부와, 상기 배출 구멍을 개폐하도록, 상기 용기 본체에 이동할 수 있게 장착된 개폐부와, 상기 충전 구멍에 대향하는 대향부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부에 연결되며, 상기 용기 본체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고, 상기 개폐부를 상기 용기 본체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조작에 이용되는 조작부를 갖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배출 구멍을 개방한 상태로 하고, 상기 밀봉부가 상기 용기 본체에 부착되는 방향에서, 상기 대향부가 상기 용기 본체와 겹치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되는 제 1 위치와, 상기 배출 구멍을 폐쇄한 상태로 하고, 상기 밀봉부가 상기 용기 본체에 부착되는 방향에서, 상기 대향부가 상기 용기 본체와 겹치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되는 제 2 위치와, 상기 배출 구멍을 폐쇄한 상태로 하고, 상기 밀봉부가 상기 용기 본체에 부착되는 방향에서, 상기 대향부가 상기 용기 본체와 겹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되는 제 3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하는 상 형성제 수용 용기의 상기 조작부를 상기 제 3 위치로 이동시키는 공정과,
    상기 조작부가 상기 제 3 위치로 이동한 후에, 상기 밀봉부를 상기 용기 본체로부터 분리하는 공정과,
    상기 밀봉부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충전 구멍을 통해서,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상 형성제를 충전하는 공정과,
    상 형성제가 충전된 상기 용기 본체에, 상기 충전 구멍을 밀봉하도록 상기 밀봉부 또는 다른 밀봉부를 부착하는 공정,
    을 갖는 상 형성제의 재충전 방법.
KR1020100065153A 2009-07-22 2010-07-07 상 형성제 수용 용기, 화상 형성 장치, 상 형성제 수용 용기의 장착 방법, 상 형성제 수용 용기의 분리 방법, 상 형성제의 충전 방법, 및 상 형성제의 재충전 방법 KR1014291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71018 2009-07-22
JP2009171018A JP4433095B1 (ja) 2009-07-22 2009-07-22 像形成剤収容容器、画像形成装置、像形成剤収容容器の装着方法、像形成剤収容容器の取り外し方法、像形成剤の充填方法、及び像形成剤の再充填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619A KR20110009619A (ko) 2011-01-28
KR101429151B1 true KR101429151B1 (ko) 2014-08-12

Family

ID=42193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5153A KR101429151B1 (ko) 2009-07-22 2010-07-07 상 형성제 수용 용기, 화상 형성 장치, 상 형성제 수용 용기의 장착 방법, 상 형성제 수용 용기의 분리 방법, 상 형성제의 충전 방법, 및 상 형성제의 재충전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437668B2 (ko)
JP (1) JP4433095B1 (ko)
KR (1) KR101429151B1 (ko)
CN (1) CN101963775B (ko)
AU (1) AU2010202943B8 (ko)
MY (1) MY151362A (ko)
SG (1) SG168485A1 (ko)
TW (1) TWI41896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56248B1 (ja) 2010-03-10 2010-10-0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像形成剤収容容器、画像形成装置、及び像形成剤の充填方法
EP2492756B1 (en) * 2011-02-28 2020-05-06 Oki Data Corporation Developer cartridge,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P2691817B1 (en) * 2011-03-30 2021-06-30 Ricoh Company, Ltd. Powder storage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760643B2 (ja) * 2011-03-30 2015-08-12 株式会社リコー 粉体収納容器、その再生方法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9335723B2 (en) * 2013-09-02 2016-05-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ainer mounting groove thereof
JP2016206523A (ja) * 2015-04-27 2016-12-0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現像剤収容容器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に装着される現像剤収容容器
CN107479348B (zh) * 2016-06-08 2020-08-11 京瓷办公信息系统株式会社 调色剂容器和图像形成装置
JP2023111252A (ja) * 2022-01-31 2023-08-1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のリサイクル方法
US20240094657A1 (en) * 2022-09-15 2024-03-21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ontainer hand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9065A (ja) 2004-11-12 2006-06-01 Canon Inc 現像剤補給容器
JP2007041104A (ja) 2005-08-01 2007-02-15 Canon Inc 現像剤供給容器
JP2007086622A (ja) 2005-09-26 2007-04-05 Canon Inc 現像剤補給容器
KR20070113947A (ko) * 2006-05-25 2007-11-29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토너 수용기 및 토너 충전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20168B2 (ja) * 2002-12-24 2009-08-26 京セラミタ株式会社 トナー補給容器
JP4208645B2 (ja) * 2003-06-03 2009-01-14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JP4603859B2 (ja) * 2004-11-11 2010-12-22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供給手段及び画像形成装置
JP4636853B2 (ja) * 2004-11-12 2011-02-23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供給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579655B2 (ja) * 2004-11-12 2010-11-10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7093697A (ja) * 2005-09-27 2007-04-12 Canon Inc 現像剤供給容器
USD661344S1 (en) * 2010-03-17 2012-06-05 Fuji Xerox Co., Ltd. Toner cartridg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9065A (ja) 2004-11-12 2006-06-01 Canon Inc 現像剤補給容器
JP2007041104A (ja) 2005-08-01 2007-02-15 Canon Inc 現像剤供給容器
JP2007086622A (ja) 2005-09-26 2007-04-05 Canon Inc 現像剤補給容器
KR20070113947A (ko) * 2006-05-25 2007-11-29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토너 수용기 및 토너 충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0202943A1 (en) 2011-02-10
KR20110009619A (ko) 2011-01-28
US20110020014A1 (en) 2011-01-27
JP4433095B1 (ja) 2010-03-17
US8437668B2 (en) 2013-05-07
TW201126288A (en) 2011-08-01
MY151362A (en) 2014-05-15
AU2010202943B8 (en) 2011-12-22
CN101963775B (zh) 2014-06-25
TWI418960B (zh) 2013-12-11
SG168485A1 (en) 2011-02-28
AU2010202943B2 (en) 2011-12-15
JP2011027823A (ja) 2011-02-10
CN101963775A (zh) 2011-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9151B1 (ko) 상 형성제 수용 용기, 화상 형성 장치, 상 형성제 수용 용기의 장착 방법, 상 형성제 수용 용기의 분리 방법, 상 형성제의 충전 방법, 및 상 형성제의 재충전 방법
TWI748591B (zh) 色料匣及色料供給系統
KR100282827B1 (ko) 토너 병, 토너 공급 시스템 및 이를 사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1441471B1 (ko) 상 형성제 수용 용기, 화상 형성 장치, 및 상 형성제의 충전 방법
JP2006139069A (ja) 現像剤供給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TWI673579B (zh) 碳粉匣及碳粉供給機構
JP5304124B2 (ja) トナー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KR101302007B1 (ko) 상형성제 수용 용기, 화상 형성 장치, 및 상형성제의 충전 방법
TWI490670B (zh) 影像形成劑儲存容器,影像形成裝置,影像形成劑儲存容器之安裝方法,影像形成劑儲存容器之移除方法,及影像形成劑之填充方法
JP4370540B1 (ja) 像形成剤収容容器、画像形成装置、像形成剤収容容器の装着方法、及び像形成剤収容容器の取り外し方法
TW201925930A (zh) 碳粉匣及碳粉供給機構
JP6783522B2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