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2007B1 - 상형성제 수용 용기, 화상 형성 장치, 및 상형성제의 충전 방법 - Google Patents

상형성제 수용 용기, 화상 형성 장치, 및 상형성제의 충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2007B1
KR101302007B1 KR1020100020746A KR20100020746A KR101302007B1 KR 101302007 B1 KR101302007 B1 KR 101302007B1 KR 1020100020746 A KR1020100020746 A KR 1020100020746A KR 20100020746 A KR20100020746 A KR 20100020746A KR 101302007 B1 KR101302007 B1 KR 101302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orming
container
forming agent
main body
contai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0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7391A (ko
Inventor
마사야 오카모토
고타 후루하타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07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7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2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2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6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mechanical means, e.g. shutter, plu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8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developer properties or quality, e.g. charge, size, flowability
    • G03G15/0849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 G03G15/0855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the concentration being measured by optical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7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box like sha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92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using a slidable sealing member, e.g. shutt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8Details of powder developing device not concerning the development directly
    • G03G2215/0802Arrangements for agitating or circulating developer material
    • G03G2215/085Stirring member in developer contain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형성제를 원활하게 교반하여, 반송할 수 있는 상형성제 수용 용기, 화상 형성 장치 및 상형성제의 충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수용 용기(300)는, 용기 본체(310)와, 회전축(700)과, 회전축(700)과 함께 회전하는 교반 부재(500)와, 가요성을 갖고, 회전축(700)과 함께 회전하는 반송 부재(600)를 갖고, 반송 부재(600)는, 용기 본체(310)의 아래쪽 내면(330)에 접촉하는 옆쪽 단부(602)와, 아래쪽 내면(330)과 교차하는 용기 본체(310)의 뒤쪽 내면(334)과 접촉하는 뒤쪽 단부(606)와, 옆쪽 단부(602)와 뒤쪽 단부(606) 사이에 형성된 슬릿(610R)을 구비하고, 슬릿(610R)은, 옆쪽 단부(602)의 선단과 뒤쪽 단부(606)의 선단으로 형성되어야 할 모서리(612R)를 제거하고, 모서리(612R)가 제거된 제거부(614R)로부터 반송 부재(600)의 내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상형성제 수용 용기, 화상 형성 장치, 및 상형성제의 충전 방법{IMAGE FORMING AGENT STORAGE CONTAINER,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FILLING IMAGE FORMING AGENT}
본 발명은 상(像)형성제 수용 용기, 화상 형성 장치, 및 상형성제의 충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토너를 수납하는 제 1 토너 수납부와, 상기 제 1 토너 수납부에 설치된 토너를 배출하는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배출구용 셔터를 갖는 토너 보급 용기와, 토너를 수납하는 제 2 토너 수납부와, 상기 제 2 토너 수납부에 설치되고, 상기 배출구로부터 토너를 수용하는 보급구와, 상기 보급구를 개폐하는 보급구용 셔터를 갖고, 상기 토너 보급 용기를 착탈 가능한 토너 수용 용기를 구비한 토너 공급 수단에 있어서, 상기 제 2 토너 수납부는, 상기 보급구에 대한 중력 방향 상측이고 또한 상기 보급구용 셔터를 폐쇄하는 방향인 하류측에 토너 회수구를 갖는 토너 공급 수단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내부에 현상제를 수용하고, 상기 현상제를 배출하기 위한 개구부를 갖는 용기 본체와, 상기 개구를 밀봉하는 셔터와, 상기 셔터를 개봉하기 위한 조작부를 갖는 현상제 보급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에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본체측으로부터 상기 용기가 탈착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힘을 받는 부분과, 상기 장치 본체로의 장착과 함께 장치 본체측에 설치된 록(lock) 부재에 탈착 불가능하게 록되는 제 1 고정부를 갖고, 상기 조작부에는 상기 장치 본체측에 설치된 해제 부재와 결합하는 결합부를 갖고, 상기 조작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결합부와 상기 해제 부재가 결합하고, 상기 조작부의 동작에 의해, 상기 해제 부재가 상기 제 1 고정부의 고정을 해제하는 현상제 보급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는, 현상제를 상담지체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 수단과, 현상제를 수용하기 위한 용기와, 상기 용기 내의 현상제를 상기 공급 수단에 반송하기 위하여, 상기 용기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가요성(可撓性) 판 형상의 반송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반송 부재에 슬릿이 포함되어 있는 현상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4에는, 현상제를 수용하는 수용 용기와, 이 수용 용기 내에 설치되고, 현상제를 반송하는 반송 부재를 갖고, 상기 반송 부재는, 길이 방향 에지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수용 용기의 내벽면에 맞닿고 있는 화상 형성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2006-139013호 공보 일본국 특개2007-93697호 공보 일본국 실개평7-32661호의 CD-ROM 일본국 특개2008-90105호 공보
본 발명은 상(像)형성제를 원활하게 교반(攪拌)하여, 반송할 수 있는 상형성제 수용 용기, 화상 형성 장치 및 상형성제의 충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관련된 본 발명은, 상형성제의 배출에 사용되는 배출 홀이 형성된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 내에서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고,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된 상형성제를 교반하는 교반부와, 가요성을 갖고,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고, 상기 용기 본체 내에서 상형성제를 반송하는 반송 부재를 갖고, 상기 반송 부재는, 상기 용기 본체의 하방의 내면에 접촉하는 단부(端部)이며, 상기 반송 부재가 회전하는 방향에서의 상기 배출 홀이 형성된 부분의 상류측 및 하류측과 접촉하는 제 1 단부와, 상기 하방의 내면과 교차하는 상기 용기 본체의 내면과 접촉하는 제 2 단부와, 상기 제 1 단부와 상기 제 2 단부 사이에 형성된 슬릿을 구비하고, 상기 슬릿은, 상기 제 1 단부와 상기 제 2 단부 사이의, 상기 제 1 단부의 선단과 상기 제 2 단부의 선단이 일치하여 형성되어야 할 모서리를 제거하고, 상기 모서리가 제거된 부분으로부터 상기 반송 부재의 내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상형성제 수용 용기이다.
청구항 2에 관련된 본 발명은,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부재 및 상기 반송 부재는, 상기 회전축을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쪽으로 되도록 상기 회전축에 장착되어 있는 상형성제 수용 용기이다.
청구항 3에 관련된 본 발명은,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부재는, 이동시에 상형성제가 통과하는 통과 홀이 형성되어 있는 상형성제 수용 용기이다.
청구항 4에 관련된 본 발명은,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는, 상단부측에 상형성제의 충전에 사용되는 충전 홀이 형성되어 있는 상형성제 수용 용기이다.
청구항 5에 관련된 본 발명은,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홀은, 상기 용기 본체의 하단부측에 형성되어 있는 상형성제 수용 용기이다.
청구항 6에 관련된 본 발명은,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착탈되는 상형성제 수용 용기이다.
청구항 7에 관련된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착탈되는 상형성제 수용 용기와, 상기 상형성제 수용 용기에 수용된 상형성제를 이용하여 상을 형성하는 상형성부를 갖고, 상기 상형성제 수용 용기는, 상형성제의 배출에 사용되는 배출 홀이 형성된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 내에서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고,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된 상형성제를 교반하는 교반부와, 가요성을 갖고,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고, 상기 용기 본체 내에서 상형성제를 반송하는 반송 부재를 갖고, 상기 반송 부재는, 상기 용기 본체의 하방의 내면에 접촉하는 단부이며, 상기 반송 부재가 회전하는 방향에서의 상기 배출 홀이 형성된 부분의 상류측 및 하류측과 접촉하는 제 1 단부와, 상기 하방의 내면과 교차하는 상기 용기 본체의 내면과 접촉하는 제 2 단부와, 상기 제 1 단부와 상기 제 2 단부 사이에 형성된 슬릿을 구비하고, 상기 슬릿은, 상기 제 1 단부와 상기 제 2 단부 사이의, 상기 제 1 단부의 선단과 상기 제 2 단부의 선단이 일치하여 형성되어야 할 모서리를 제거하고, 상기 모서리가 제거된 부분으로부터 상기 반송 부재의 내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이다.
청구항 8에 관련된 본 발명은, 상형성제의 배출에 사용되는 배출 홀이 형성된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 내에서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고,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된 상형성제를 교반하는 교반부와, 가요성을 갖고,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고, 상기 용기 본체 내에서 상형성제를 반송하는 반송 부재를 갖고, 상기 반송 부재는, 상기 용기 본체의 하방의 내면에 접촉하는 단부이며, 상기 반송 부재가 회전하는 방향에서의 상기 배출 홀이 형성된 부분의 상류측 및 하류측과 접촉하는 제 1 단부와, 상기 하방의 내면과 교차하는 상기 용기 본체의 내면과 접촉하는 제 2 단부와, 상기 제 1 단부와 상기 제 2 단부 사이에 형성된 슬릿을 구비하고, 상기 슬릿은, 상기 제 1 단부와 상기 제 2 단부 사이의, 상기 제 1 단부의 선단과 상기 제 2 단부의 선단이 일치하여 형성되어야 할 모서리를 제거하고, 상기 모서리가 제거된 부분으로부터 상기 반송 부재의 내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상형성제 수용 용기에서의, 상기 교반부 및 상기 반송 부재를 길이 방향이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상형성제가 충전되는 방향에 일치하도록 이동시키는 공정과,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상형성제를 삽입하는 공정을 갖는 상형성제의 충전 방법이다.
청구항 1에 관련된 본 발명에 의하면, 본 구성을 갖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상형성제를 원활하게 교반하여, 반송할 수 있는 상형성제 수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관련된 본 발명에 의하면, 본 구성을 갖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간단한 구성으로 교반부 및 반송 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는 현상제 수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관련된 본 발명에 의하면, 본 구성을 갖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반송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는 상형성제 수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관련된 본 발명에 의하면, 중력 방향으로 낙하시키도록 하여 용기 본체 내에 상형성제를 충전할 수 있는 상형성제 수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관련된 본 발명에 의하면, 중력 방향으로 낙하시키도록 하여 용기 본체로부터 상형성제를 배출할 수 있는 상형성제 수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관련된 본 발명에 의하면,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장착함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에 상형성제를 보충할 수 있는 상형성제 수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관련된 본 발명에 의하면, 본 구성을 갖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상형성제를 원활하게 교반하여, 반송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관련된 본 발명에 의하면, 본 구성을 갖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상형성제를 원활하게 교반하여, 반송할 수 있는 상형성제의 충전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화상 형성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화상 형성 장치를 측면에서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수용 용기를 나타내는 제 1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수용 용기를 나타내는 제 2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수용 용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수용 용기의 단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수용 용기가 갖는 조작 부재의 이동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7의 (a)는 조작 부재가 제 1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7의 (b)는 조작 부재가 제 2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7의 (c)는 조작 부재가 제 3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수용 용기가 갖는 조작 부재의 이동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8의 (a)는 조작 부재가 제 1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의 (b)는 조작 부재가 제 2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8의 (c)는 조작 부재가 제 3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수용 용기가 갖는 반송 부재 및 교반 부재가, 용기 본체 내에 장착된 상태를 수용 용기의 좌측면에서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와 관련된 수용 용기가 갖는 반송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반송 부재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11의 (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와 관련된 수용 용기가 갖는 반송 부재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도이고, 도 11의 (b)는 비교예와 관련된 반송 부재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수용 용기가 갖는 반송 부재, 교반 부재, 및 회전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수용 용기가 갖는 교반 부재 및 회전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3의 (a)는 우측면도이고, 도 13의 (b)는 도 13의 (a)에서의 A-A선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수용 용기가 갖는 반송 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수용 용기에 토너가 충전되는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
다음에,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화상 형성 장치(10)가 나타나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0)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를 갖고,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의 상부가, 화상이 형성된 용지가 배출되는 배출부(22)로서 사용되고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에는 앞쪽에 조작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조작 패널(12)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에는 장착용 개폐부(24)와, 급지(給紙)용 개폐부(26)가 각각 개폐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장착용 개폐부(24)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 내에, 상(像)형성제 수용 용기로서 사용되는 수용 용기(300Y, 300M, 300C, 300K)를 장착하는 경우와,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 내로부터 수용 용기(300Y, 300M, 300C, 300K)를 분리하는 경우에 개방되고, 화상 형성을 행하는 경우에 폐쇄된다. 급지용 개폐부(26)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의 앞쪽으로부터, 화상 형성을 하는 용지를 공급하는 경우에 개방된다. 또한, 장착용 개폐부(24)의 개폐는, 도 1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의 후방을 지점(支點)으로서 회전시키는 형태(장착용 개폐부(24)의 단변(短邊)측에 지점을 형성시키는 형태)이지만, 도 1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의 측방을 지점으로서 회전시키는 형태(장착용 개폐부(24)의 장변(長邊)측에 지점을 형성시키는 형태)여도 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 내에는 수용 용기(300Y, 300M, 300C, 300K)가 장착되는 장착 장치(30)가 설치되어 있다.
수용 용기(300Y, 300M, 300C, 300K)에는 상형성제로서 사용되는 옐로의 토너, 마젠타의 토너, 시안의 토너, 흑색의 토너가 각각 수용되어 있다. 수용 용기(300Y, 300M, 300C)는 형상 및 크기가 각각 동일하고, 동일한 용적의 토너를 수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수용 용기(300K)는 수용 용기(300Y, 300M, 300C)보다 세로로 길게 구성되고, 수용 용기(300Y, 300M, 300C)보다 체적이 크고, 수용 용기(300Y, 300M, 300C)보다 수용할 수 있는 토너의 용적이 크다.
수용 용기(300Y, 300M, 300C)와 수용 용기(300K)는 수용할 수 있는 토너의 용적이 상이하지만 가진 부재와 기능이 동일하다. 이하, 특정한 수용 용기를 나타내는 경우를 제외하고, 수용 용기(300Y, 300M, 300C, 300K)를 수용 용기(300)로 총칭한다.
도 2에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단면이 나타나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 내에는 상형성부(100)와, 상형성부(100)에 용지를 공급하는 급지 장치(200)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 내에는 용지의 반송에 사용되는 반송로(250)가 형성되어 있다.
상형성부(100)는 상유지체로서 사용되는 감광체 드럼(102Y, 102M, 102C, 102K)과, 감광체 드럼(102Y, 102M, 102C, 102K)을 각각 대전하는 대전 장치(104Y, 104M, 104C, 104K)와, 대전 장치(104Y, 104M, 104C, 104K)에 의해 대전된 감광체 드럼(102Y, 102M, 102C, 102K)에 광을 조사하여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잠상 형성 장치(106)와, 잠상 형성 장치(106)에 의해 감광체 드럼(102Y, 102M, 102C, 102K)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토너를 사용하여 현상하여, 옐로의 토너상(像), 마젠타의 토너상, 시안의 토너상, 흑색의 토너상을 각각 형성하는 현상 장치(110Y, 110M, 110C, 110K)를 갖는다.
현상 장치(110Y, 110M, 110C, 110K)에는 수용 용기(300Y, 300M, 300C, 300K)로부터, 옐로의 토너, 마젠타의 토너, 시안의 토너, 흑색의 토너가 각각에 공급된다.
또한, 상형성부(100)는 현상 장치(110Y, 110M, 110C, 110K)에 의해 각각 형성된 옐로의 토너상, 마젠타의 토너상, 시안의 토너상, 흑색의 토너상을 용지에 전사하는 전사 장치(140)와, 감광체 드럼(102Y, 102M, 102C, 102K)의 표면을 클리닝하는 클리닝 장치(114Y, 114M, 114C, 114K)와, 전사 장치(140)에 의해 전사된 토너상을 용지에 정착하는 정착 장치(116)를 갖는다.
전사 장치(140)는 감광체 드럼(102Y, 102M, 102C, 102K)에 형성된 옐로 토너상, 마젠타 토너상, 시안 토너상, 흑색 토너상이 중첩되도록 전사되고, 전사 매체로서 사용되는 벨트 형상의 중간 전사체(142)를 갖는다. 중간 전사체(142)는 지지 부재로서 사용되는 지지 롤(146, 148, 150, 152)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또한, 전사 장치(140)는 감광체 드럼(102Y, 102M, 102C, 102K)에 각각이 형성된 옐로의 토너상, 마젠타의 토너상, 시안의 토너상, 흑색의 토너상을, 중간 전사체에 전사하는 1차 전사 장치로서 사용되는 1차 전사 롤(156Y, 156M, 156C, 156K)과, 중간 전사체(142)에 전사된 옐로의 토너상, 마젠타의 토너상, 시안의 토너상, 흑색의 토너상을, 용지에 전사하는 2차 전사 장치로서 사용되는 2차 전사 롤(158)을 갖는다. 또한, 전사 장치(150)는 중간 전사체(142)의 표면을 클리닝하는 클리닝 장치(160)를 갖는다.
급지 장치(200)는, 예를 들면 카세트가 사용되는 용지 수납부(202)와, 용지 수납부(202)에 수납된 최상위에 위치하는 용지를 추출하는 추출 롤(204)과, 추출 롤(204)에 의해 추출된 용지를 상형성부(100)를 향하여 반송하는 반송 롤(206)과, 반송 롤(206)에 접촉하고, 반송 롤(206)과의 사이에서 용지를 분리하는 분리 롤(208)을 갖는다. 용지 수납부(202)는,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의 앞쪽(도 2에서의 좌측)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용지 수납부(202) 내에 용지가 보충된다.
반송로(250)는 주(主) 반송로(252)와, 반전 반송로(254)와, 보조 반송로(256)를 갖는다.
주 반송로(252)는 급지 장치(200)로부터 공급된 용지를 배출부(22)를 향하여 반송하는 반송로로서, 주 반송로(252)를 따라 용지의 반송 방향 상류측에서부터 순서대로, 레지스트레이션 롤(260)과, 앞서 설명한 2차 전사 롤(158)과, 앞서 설명한 정착 장치(116)와, 배출 롤(262)이 장착되어 있다. 레지스트레이션 롤(260)은 정지한 상태로부터 소정의 타이밍에서 회전을 개시하고, 중간 전사체(142)에 토너상이 전사되는 타이밍에 합치하도록, 중간 전사체(142)와 2차 전사 롤(158)의 접촉부에 용지를 공급한다.
배출 롤(126)은 정착 장치(116)에 의해, 토너상이 정착된 용지를 배출부(22)에 배출한다. 또한, 배출 롤(126)은 용지의 양면에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에, 배출부(22)에 용지를 배출하는 경우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한쪽 면에 용지에 화상이 형성된 용지를, 후단측으로부터 반전 반송로(254)에 공급한다.
반전 반송로(254)는 한쪽 면에 화상이 형성된 용지를, 반전시키면서, 레지스트레이션 롤(260)의 상류측에 다시 공급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반전 반송로(254)를 따라, 예를 들면 2개의 반전 반송 롤(264, 264)이 장착되어 있다.
보조 반송로(256)는 급지용 개폐부(26)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에 대하여 개방된 상태에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의 앞쪽으로부터 용지를 공급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반송로이다. 보조 반송로(256)를 따라, 레지스트레이션 롤(260)을 향하여 용지를 반송하는 보조 반송 롤(266)과, 보조 반송 롤(266)에 접촉하여, 용지를 분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분리 롤(268)이 장착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6에는 수용 용기(300)가 나타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용 용기(300Y, 300M, 300C)는 형상 및 크기가 각각 동일하고, 수용 용기(300K)는 수용 용기(300Y, 300M, 300C)보다 용적이 크다. 도 3 내지 도 6에는 수용 용기(300Y, 300M, 300C)로서 사용되는 수용 용기(300)가 나타나 있다.
도 3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 용기(300)는 용기 본체(310)와, 개폐부(350)와, 조작부로서 사용되는 조작 부재(380)와, 피구동 전달 부재로서 사용되는 기어(370)를 갖는다. 수용 용기(300)에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도 1 참조)에 장착된 상태에서 중력 방향에서의 하단부측에 배출 홀(312)이 형성되어 있다. 배출 홀(312)은 용기 본체(310) 내로부터의 토너의 배출에 사용되고, 배출 홀(312)을 통하여 낙하하도록 토너가 배출된다. 배출 홀(312)로부터 배출된 토너는 현상 장치(110)에 공급되어, 상형성에 사용된다.
또한, 수용 용기(300)는 용기 본체(310) 내에 수납된 토너를 교반하는 교반부로서 사용되는 교반 부재(500)와, 용기 본체(310) 내에서 토너를 반송하는 반송부로서 사용되는 반송 부재(600)와, 용기 본체(310) 내에서 회전하는 회전축(700)을 갖는다. 교반 부재(500), 반송 부재(600), 및 회전축(700)은 용기 본체(310) 내에 장착되어 있다. 교반 부재(500), 반송 부재(600), 및 회전축(700)은 용기 본체(310) 내에서 일체(一體)로서 회전한다.
또한, 용기 본체(310)의,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에 장착된 상태에서 중력 방향에서의 상단부측에는, 토너를 용기 본체(310) 내에 충전하기 위해 사용되는 충전 홀(314)이 형성되어 있다. 충전 홀(314)은 용기 본체(310)의 상향의 면의 대략 전역(全域)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충전 홀(314)을 통하여, 중력 방향 상방으로부터 낙하시키도록 하여, 용기 본체(310) 내에 토너가 충전된다. 충전 홀(314)은 중력 방향 상방에서 본 형상은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용기 본체(310)의 상향의 면도, 중력 방향 상방에서 본 형상은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용기 본체(310)의 앞쪽의 면에는, 앞쪽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고정용 돌기(316)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용 돌기(316)는 조작 부재(380)를 후술하는 제 3 위치에 고정하는 고정 수단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용기 본체(310)의 앞쪽의 측면에는, 앞쪽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금지용 돌기(318)가 형성되어 있다(도 5 참조). 금지용 돌기(318)는 조작 부재(380)가, 후술하는 제 2 위치로부터 후술하는 제 1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금지하는 이동 금지 수단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또한, 금지용 돌기(318)는 용기 본체(310)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에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배출 홀(312)이 개방되는 것을 금지하는 개방 금지 수단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용기 본체(310)의 앞쪽으로서, 기어(370)에 근접하는 위치에는, 앞쪽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보호용 돌기(320)가 형성되어 있다. 보호용 돌기(320)는 기어(370)의 이가 형성된 면이 다른 물체에 충돌하기 어렵게 함으로써, 기어(370)를 보호하고 있다.
또한, 용기 본체(310)의 뒤쪽의 면에는, 조작 부재(38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원주 형상의 지지용 돌기(32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용기 본체(310)의 앞쪽의 면에는, 지지용 돌기(324)와 마찬가지로, 조작 부재(38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지용 돌기(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용기 본체(310)의 좌측면쪽에는, 식별부로서 사용되는 식별 부재(420)가 장착되어 있다. 식별 부재(420)는, 예를 들면 3개 등의 복수의 볼록부(422)를 갖고, 서로 이웃하는 볼록부(422) 사이에 오목부(424)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424)는 개수, 위치, 및 폭 중 적어도 어느 1개가, 용기 본체(310) 내에 수용되는 토너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용기 본체(310) 내에 수용되어 있는 토너의 색이, 옐로인지, 마젠타인지, 시안인지에 따라, 오목부(424)의 개수, 위치, 및 폭 중 적어도 1개가 달라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동일한 색인 예를 들면 흑색의 토너가 수용된 경우일지라도, 상이한 종류의 기종에 사용하는 토너가 수용되어 있는 경우나 상이한 특성의 토너가 수용되어 있는 경우, 그 기종이나 특성에 따라, 오목부(424)의 개수, 위치, 및 폭 중 적어도 1개가 달라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식별 부재(420)에는 충전되는 토너, 또는 충전된 토너의 종류를 조작자 등이 식별할 수 있는 인자(印字) 등이 이루어져 있고, 이 인자 등은 조작 부재(380)가, 적어도 후술하는 제 2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눈으로 볼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인자 등은 조작 부재(380)나 후술하는 덮개 부재(340)의 상면에도 배치되어 있다.
또한, 용기 본체(310)의 뒤쪽의 면에는 기억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기억 매체(450)가, 용기 본체(310)에 대하여 착탈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기억 매체(450)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측에 설치된 데이터 기입 장치(도시되지 않음)와 접속할 수 있고, 데이터 기입 장치로부터, 예를 들면, 그 수용 용기(300)에 수용된 토너를 사용하여 형성된 화상의 매수 등의 데이터가 기입된다. 기억 매체(450)의 접속 단자(451)는 상하 방향으로 세로 길이로 연장되어 있고, 상하 방향의 하단을 포함하는 아래쪽이 노출되어 설치되고, 좌우의 수평 방향으로 4개 나열되어 설치되어 있다. 조작 부재(380)와 연결된 개폐부(350)가 배출 홀(312)을 폐쇄한 도 4의 상태(조작 부재(380)가 제 2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기억 매체(450)의 접속 단자의 하방으로부터 조작 부재(380)의 뒤쪽 암(arm)부(386)의 하방측(개폐부(350)측)이 퇴피(退避)해 있다.
개폐부(350)는 용기 본체(310)의 아래쪽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부착되어 있다. 개폐부(350)가 용기 본체(310)에 대하여 이동함으로써, 배출 홀(312)이 개방된 상태로 되거나, 폐쇄된 상태로 된다. 개폐부(350)는 용기 본체(310)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된 개폐 부재(352)와, 개폐 부재(352)와 용기 본체(310) 사이에 설치되고, 배출 홀(312)을 밀봉하기 위해 사용되는 밀봉 부재(354)를 갖는다.
조작 부재(380)는 충전 홀(314)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대향부(382)와, 대향부(382)의 앞쪽의 단부(端部)에서부터 연장되는 앞쪽 암부(384)와, 대향부(382)의 뒤쪽의 단부에서부터 연장되는 뒤쪽 암부(386)를 갖는다. 앞쪽 암부(384)에는 용기 본체(310)의 앞쪽에 형성된 지지용 돌기(도시되지 않음)가 끼워넣어지도록 형성된 관통 홀(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뒤쪽 암부(386)에는 용기 본체(310)의 뒤쪽의 면에 형성된 지지용 돌기(324)가 끼워넣어지도록 형성된 관통 홀(408)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앞쪽 암부(384)에 형성된 관통 홀에, 용기 본체(310)의 앞쪽의 면에 형성된 지지용 돌기를 삽입하고, 관통 홀(408)에 지지용 돌기(324)를 삽입하도록 하여, 조작 부재(380)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고, 후술하는 제 1 위치, 제 2 위치, 및 제 3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앞쪽 암부(384)에는 관통 홀(390)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홀(390)은 조작 부재(380)가 후술하는 제 3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고정용 돌기(316)가 끼워넣어지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조작 부재(380)는 관통 홀(390) 및 고정용 돌기(316)에 의해, 용기 본체(310)에 대하여 제 3 위치에 고정된다.
또한, 앞쪽 암부(384)에는 기어(370)의 위쪽에 위치하도록 보호용 돌기(392)가 형성되어 있다. 보호용 돌기(392)는 기어(370)의 이가 형성된 면을 보호하는 동시에, 수용 용기(300)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 내에 장착된 상태에서, 조작자가 기어(370)에 접촉할 수 없게 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앞쪽 암부(384)의 하단부측으로서, 수용 용기(300)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 내에 삽입되는 방향에서의 선단측에는 안내용 돌기(394)가 형성되어 있다. 안내용 돌기(394)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측에 형성된 안내 홈(도시되지 않음)에 끼워넣어져서, 수용 용기(300)의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 내로의 착탈을 안내한다.
또한, 앞쪽 암부(384)의 하단부측으로서, 수용 용기(300)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 내에 삽입되는 방향에서의 선단측에는, 예를 들면 안내용 돌기(394)와 연속된 상태로, 충돌 억제용 돌기(396)가 형성되어 있다. 충돌 억제용 돌기(396)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 내에 수용 용기(300)를 삽입할 때에, 기어(370)의 이가 형성된 면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에 충돌하기 어렵게 하고 있다. 또한, 충돌 억제용 돌기(396)와 마찬가지로, 안내용 돌기(394)에도, 기어(370)에 이가 형성된 면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측에 충돌하기 어렵게 하는 기능이 있다.
뒤쪽 암부(386)의 하단부측에는, 앞쪽 암부(384)에 안내용 돌기(394)가 형성되어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안내용 돌기(402)가 형성되어 있다. 안내용 돌기(402)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측에 형성된 안내 홈(도시되지 않음)에 끼워넣어지고, 수용 용기(300)의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 내로의 착탈을 안내한다.
조작 부재(380)와 개폐 부재(352)는 연결되어 있다. 즉, 앞쪽 암부(384)의 하단부측의 부분이, 개폐 부재(352)의 앞쪽 부분에 연결되어 있는 동시에, 뒤쪽 암부(386)의 하단측의 부분이, 개폐 부재(352)의 뒤쪽 부분에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조작 부재(380)의 이동에 연동하여, 개폐 부재(352)는 이동한다.
기어(370)는 용기 본체(310)의 앞쪽의 면에 장착되어 있고, 수용 용기(300)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 내에 장착되었을 때에,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측에 설치된 기어(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되어, 이 기어로부터 구동 전달을 받도록 되어 있다. 기어(370)는 회전축의 부분이 용기 본체(310) 내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어서, 이 용기 본체(310)에 삽입된 축의 부분이 회전축(700)에 장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기어(370)로부터 구동 전달을 받아서, 교반 부재(500), 반송 부재(600), 및 회전축(700)이 기어(370)와 일체로서 회전한다.
기어(370)에는 위치 검지부(檢知部)로서 사용되는 관통 홀(372)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홀(372)은 기어(370)의 용기 본체(310) 밖에서 눈으로 볼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서, 수용 용기 내에서의 교반 부재(500)와 반송 부재(600)의 위치를, 관통 홀(372)을 사용하여 용기 본체(310) 밖에서 알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 홀(372)이 가장 상방에 위치하는 경우,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교반 부재(500)가 상방에 위치하고, 반송 부재(600)가 하방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수용 용기(300)는 용기 본체(310)와, 개폐부(350)와, 조작 부재(380)와, 기어(370)를 갖는 것과 함께, 충전 홀(314)을 밀봉하는 밀봉부로서 사용되는 덮개 부재(340)를 갖는다. 덮개 부재(340)는 충전 홀(314)을 통하여 용기 본체(310) 내에 토너를 충전한 후, 충전 홀(314)에 끼워넣어지도록 하여 용기 본체(310)에 장착된다. 덮개 부재(340)가 장착되면, 충전 홀(314)이 밀봉되어, 용기 본체(310)의 방향에 관계없이, 충전 홀(314)로부터 토너가 새어 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회전축(700)은 용기 본체(310)에, 예를 들면 베어링(도시되지 않음)을 사용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회전축(700)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어(370)가 장착되어 있어서, 기어(370)로부터의 회전 구동을 받아 회전한다. 회전축(700)에는 반송 부재(600)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700)은 교반 부재(500)와 일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700)과 교반 부재(500)를 별체(別體)로서, 회전축(700)에 교반 부재(500)를 장착하도록 해도 된다.
교반 부재(500)와 반송 부재(600)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축(70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측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교반 부재(500)와 반송 부재(600)는 길이 방향이 수용 용기(300) 내에 토너가 수용되는 방향과 일치하도록 배치할 수 있게 되어 있다(도 6에 나타낸 상태). 보다 구체적으로는, 교반 부재(500)와 반송 부재(600)는 회전축(700)과 함께 회전시킴으로써, 토너가 용기 본체(310)에 충전되는 방향인 상하 방향과 길이 방향을 일치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교반 부재(500) 및 반송 부재(600)의 길이 방향을 토너가 충전되는 방향과 일치시킨 상태로 토너를 충전하면, 교반 부재(500) 및 반송 부재(600)가 용기 본체(310) 내에 토너를 충전할 때의 장해로 되기 어렵다. 즉,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의 토너의 이동이 교반 부재(500) 및 반송 부재(600)에 의해 방해받기 어려워, 상하로 세로로 긴 용기 본체(310) 내로의 토너의 수용이 양호해진다.
또한, 교반 부재(500)와 반송 부재(600) 중 강도가 강한 쪽의 부재를 토너가 충전되는 쪽(위쪽)에 배치되도록 하여 용기 본체(310) 내에 토너를 충전하면, 교반 부재(500)와 반송 부재(600) 중 강도가 약한 쪽의 부재의 파손을 생기기 어렵게 할 수 있다. 교반 부재(500)는 소정의 강도를 갖는 수지로 이루어지고, 반송 부재(600)는 가요성(可撓性)을 갖는 필름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강도가 비교적 강한 교반 부재(500)가 위쪽에 배치되고, 강도가 비교적 약한 반송 부재(600)가 아래쪽에 배치된 상태에서 용기 본체(310) 내에 토너가 상방향으로부터 낙하하도록 충전된다. 반송 부재(600)가 가요성을 갖는 필름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당해 반송 부재(600)를 아래쪽에 배치하여 토너를 상방향으로부터 낙하하도록 충전시키면, 가요성을 갖는 필름 형상의 부재가 토너의 압력에 의해 변형하여 토너의 충전을 방해할 우려를 저감시킨다. 또한, 토너의 압력에 의해 변형한 필름 형상의 부재에 의해 토너가 튀어서, 토너가 용기 본체(310)에 들어가지 않고 흘러 내리게 되는 것도 억제된다.
교반 부재(500)는 회전축(700)과 함께 용기 본체(310) 내에서 도 6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용기 본체(310) 내에 수용된 토너를 교반한다. 교반 부재(500)에 의해 교반됨으로써, 예를 들면 용기 본체(310)의 내측의 측면에 고착한 토너가 무너진다. 또한, 교반 부재(500)에 의해, 다수의 입자가 굳어진 상태로 된 토너가 풀어진다.
반송 부재(600)는, 예를 들면 필름 형상의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등의 가요성을 갖는 재료가 사용된다. 반송 부재(600)는 그 단부가 용기 본체(310)의 내측의 면 중 적어도 일부에 접촉하여, 용기 본체(310)의 내면 중 적어도 일부를 마찰하도록 하여 회전함으로써 토너를 배출 홀(312)을 향하여 반송한다. 반송 부재(600)는 적어도 용기 본체(310)의 내측으로서 배출 홀(312)이 형성된 부분 근방에 접촉하여, 적어도 용기 본체(310)의 내측으로서 배출 홀(312)이 형성된 부분 근방을 마찰하도록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배출 홀(312)이 형성된 부분에 대하여, 반송 부재(600)가 회전하는 방향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 접촉하여 마찰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용기 본체(310)의 하방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곡면 형상의 부분(도 6의 화살표의 부분)에 반송 부재(600)가 접촉하여 마찰하도록 되어 있다. 반송 부재(600)의 형상 등, 반송 부재(600)의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용기 본체(310)는 옆쪽 및 아래쪽의 내면인 아래쪽 내면(330)과, 앞쪽에 위치하는 내면인 앞쪽 내면(332)(도 9 참조)과, 뒤쪽에 위치하는 내면인 뒤쪽 내면(334)을 갖는다. 아래쪽 내면(330)은 용기 본체(310) 내측의 제 1 내면으로서 사용되고, 용기 본체(310)의 하방의 내면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앞쪽 내면(332) 및 뒤쪽 내면(334)은 아래쪽 내면(330)에 교차하는 용기 본체(310)의 제 2 면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용기 본체(310)에는 개폐부(350)를 용기 본체(310)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하기 위하여, 앞쪽에 안내 홈(351F)이 설치되고, 뒤쪽에 안내 홈(351R)이 설치되어 있다(도 9도 참조). 또한, 용기 본체(310)의 내측의 면에는, 앞쪽의 위치에 안내 홈(351F)을 설치하는 것에 수반하여, 용기 본체(310)의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볼록부(360F)가 형성되어 있다(도 9 참조). 또한, 용기 본체(310)의 내측의 면에는, 뒤쪽의 위치에 안내 홈(351R)을 설치하는 것에 수반하여, 용기 본체(310)의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볼록부(360R)가 형성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에는 조작 부재(380)의 동작이 설명되어 있다.
조작 부재(380)는 도 7의 (a) 및 도 8의 (a)에 나타낸 제 1 위치와, 도 7의 (b) 및 도 8의 (b)에 나타낸 제 2 위치와, 도 7의 (c) 및 도 8의 (c)에 나타낸 제 3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7의 (a) 및 도 8의 (a)에 나타낸 제 1 위치는, 용기 본체(310)에 형성된 배출 홀(312)을 개방한 상태로 하는 위치이다. 즉, 조작 부재(380)가 제 1 위치에 있으면, 조작 부재(380)에 연결된 개폐부(350)는, 배출 홀(312)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된다.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 내에 장착되어, 현상 장치(110)에 토너를 공급할 때에는, 조작 부재(380)는 제 1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되도록 조작된다.
도 7의 (b) 및 도 8의 (b)에 나타낸 제 2 위치는, 배출 홀(312)을 폐쇄한 상태로 하여, 수용 용기에 토너가 충전되는 방향(이 실시형태에서는 상하 방향)에서, 조작 부재(380)의 대향부(382)가 충전 홀(314)과 겹치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이다. 조작 부재(380)가 제 2 위치에 있으면, 조작 부재(380)에 연결된 개폐부(350)는 배출 홀(312)을 덮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되어, 배출 홀(312)이 막힌 상태로 된다.
도 7의 (c) 및 도 8의 (c)에 나타낸 제 3 위치는, 배출 홀(312)을 폐쇄한 상태로 하여, 수용 용기에 토너가 충전되는 방향(이 실시형태에서는 상하 방향)에서, 조작 부재(380)의 대향부(382)와 충전 홀(314)이 서로 겹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이다. 조작 부재(380)가 제 3 위치에 있으면, 조작 부재(380)에 연결된 개폐부(350)는 배출 홀(312)을 덮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되어, 배출 홀(312)이 막힌 상태로 된다. 조작 부재(380)와 개폐부(350)는 연결되어 있으므로, 조작 부재(380)를 제 2 위치로부터 제 3 위치로 이동시키면, 개폐부(350)도 조작 부재(380)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지만, 배출 홀(312)의 크기에 대하여 개폐부(350)의 크기를 크게 형성시키고 있으므로, 배출 홀(312)이 막힌 상태인 채로, 즉 개폐부(350)의 밀봉 부재(354)가 배출 홀(312)을 밀봉한 상태인 채로 개폐부(350)가 이동한다. 또한, 조작 부재(380)가 제 3 위치에 있으면, 대향부(382)는 용기 본체(310)에 토너가 충전되는 방향인 상하 방향에서, 충전 홀(314)과 겹치지 않는 상태로 된다.
상술한 안내 홈(351F, 351R)은 개폐부(350)가 제 2 위치에 있을 때에 개폐부(350)의 개폐 방향의 양쪽, 즉, 개폐부(350)의 개방 방향으로도 개폐부(350)의 폐쇄 방향으로도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다. 개폐부(350)가 제 2 위치와 제 3 위치를 이동할 때에는, 개폐부(350)의 밀봉 부재(354)가 배출 홀(312)을 밀봉한 상태인 채로 개폐부(350)가 안내 홈(351F, 351R)으로 안내된다.
조작 부재(380)가 제 3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수용 용기(300)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 내에 장착하려고 하면, 조작 부재(380)와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는 간섭한다. 즉, 조작 부재(380)는 조작 부재(380)가 제 3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수용 용기(300)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 내에 장착할 때에,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와 간섭하는 간섭부로서 사용되고 있다.
조작 부재(380)가 제 3 위치에 있으면, 용기 본체(310) 내에 토너를 충전할 때에, 대향부(382)가 토너의 이동(낙하)의 장해로 되기 어렵다. 조작 부재(380)를 제 3 위치에 배치하여 토너를 용기 본체(310)에 충전한 후, 용기 본체(310)의 충전 홀(314)이 덮개 부재(340)에 의해 폐쇄된다.
도 9에는 교반 부재(500), 반송 부재(600), 및 회전축(700)이 나타나 있다. 도 10에는 반송 부재(600)가 나타나 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교반 부재(500)는 회전축(700)과 연결된 암부(502, 502)와, 2개의 암부(502, 502)를 연결하는 연결부(504)를 갖는다. 연결부(504)는 회전축(700)과 대략 평행하게 되어 있다. 암부(502, 502)와 용기 본체(310)의 내측의 면 사이에는, 약간의 공간(극간(隙間))(S1, S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결부(504)와 용기 본체(310)의 내측의 면 사이에는, 약간의 공간(S2)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교반 부재(500)는 용기 본체(310)의 내측의 면 근방을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교반 부재(500)가 용기 본체(310)의 내측의 면의 근방을 이동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용기 본체(310)의 내측의 면에 고착한 토너 등, 용기 본체(310)의 내측의 면 근방에 위치하는 토너를 양호하게 교반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 부재(600)는 회전축(700)과 대략 병행한 옆쪽 단부(602)와, 앞쪽에 위치하는 앞쪽 단부(604)와, 뒤쪽에 위치하는 뒤쪽 단부(606)를 갖는다. 옆쪽 단부(602)는 용기 본체(310)의 아래쪽 내면(330)에 접촉하는 단부로서, 반송 부재(600)의 회전하는 방향에서의 배출 홀(312)(도 6 참조)이 형성된 부분의 상류측 및 하류측과 접촉하는 제 1 단부로서 사용되고 있다. 앞쪽 단부(604)는 용기 본체(310)의 앞쪽 내면(332)에 접촉하는 제 2 단부로서 사용되고 있다. 또한, 뒤쪽 단부(606)는 용기 본체(310)의 뒤쪽 내면(334)에 접촉하는 제 2 단부로서 사용되고 있다. 또한, 반송 부재(600)는 슬릿(610F)과, 슬릿(610R)을 구비한다.
슬릿(610F)은 옆쪽 단부(602)와 앞쪽 단부(604)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슬릿(610F)은 옆쪽 단부(602)와 앞쪽 단부(604) 사이의, 옆쪽 단부(602)의 선단과 앞쪽 단부(604)의 선단이 일치하여 형성되어야 할 모서리(612F)를 제거하고, 모서리(612F)가 제거된 부분으로부터 반송 부재(600)의 내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슬릿(610F)은 반송 부재(600)의 옆쪽 단부(602)와 앞쪽 단부(604) 사이의 위치(모서리(612F)의 위치)에 사각형 형상의 슬릿을 형성하고, 이 사각형 형상의 슬릿의 부분으로부터, 비스듬히, 예를 들면 직선 형상의 슬릿을 형성하도록 하여 이루어진다. 즉, 슬릿(610F)은 사각형 형상으로 제거된 제거부(614F)와, 예를 들면 직선 형상의 슬릿인 선 형상부(616F)를 갖는다.
슬릿(610R)은 옆쪽 단부(602)와 뒤쪽 단부(606)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슬릿(610R)은 옆쪽 단부(602)와 뒤쪽 단부(606) 사이의, 옆쪽 단부(602)의 선단과 뒤쪽 단부(606)의 선단이 일치하여 형성되어야 할 모서리(612R)를 제거하고, 모서리(612R)가 제거된 부분으로부터 반송 부재(600)의 내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슬릿(610R)은 반송 부재(600)의 옆쪽 단부(602)와 뒤쪽 단부(606) 사이의 위치(모서리(612R)의 위치)에 사각형 형상의 슬릿을 형성하고, 이 사각형 형상의 슬릿의 부분으로부터, 비스듬히, 예를 들면 직선 형상의 슬릿을 형성하도록 하여 이루어진다. 즉, 슬릿(610R)은 사각형 형상으로 제거된 제거부(614R)와, 예를 들면 직선 형상의 슬릿인 선 형상부(616R)를 갖는다.
슬릿(610F)을 형성함으로써, 반송 부재(600)는 슬릿(610F)이 형성된 부분이 겹치도록 변형하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반송 부재(600)가 변형함으로써, 서로 교차하는 위치 관계에 있는 아래쪽 내면(330)과 앞쪽 내면(332)의 양쪽에 대하여, 반송 부재(600)가 접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마찬가지로, 슬릿(610R)을 형성함으로써, 반송 부재(600)가 서로 교차하는 위치에 있는 아래쪽 내면(330)과 뒤쪽 내면(334)의 양쪽에 접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교반 부재(500)가 용기 본체(310)의 내측의 면의 근방을 이동함으로써, 용기 본체(310)의 내측의 면 근방에 위치하는 토너가 양호하게 교반되고, 이에 이어서, 반송 부재(600)가 용기 본체(310)의 내측의 면에 접촉하여 마찰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용기 본체(310)의 내측의 면에 고착한 토너 등, 용기 본체(310)의 내측의 면 근방에 위치하는 토너를 양호하게 반송할 수 있다.
도 11에는 반송 부재(600)의 동작이 설명되어 있고, 도 11의 (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와 관련된 반송 부재(600)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도이고, 도 11의 (b)는 비교예와 관련된 반송 부재(600)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와 관련된 반송 부재(600)에서는, 슬릿(610R)은 모서리(612R)의 위치의 제거부(614R)와, 선 형상부(616R)를 갖고 있었다. 이에 대하여, 도 11의 (b)에 나타낸 비교예와 관련된 반송 부재(600)에서는, 슬릿(610R)은 제거부(614R)를 갖지 않고, 모서리(612R)의 부분으로부터 형성된 선 형상부(616R)만을 갖는다. 또한, 도 11의 (a), 도 11의 (b) 모두, 반송 부재(600)의 옆쪽 단부(602)가 용기 본체(310)의 내측의 면인 아래쪽 내면(330)에 접촉하여 휜 상태에 있고, 반송 부재(600)의 뒤쪽 단부(606)가 용기 본체(310)의 뒤쪽의 내면인 뒤쪽 내면(334)에 접촉하여 휜 상태를 나타낸 상태에 있는 반송 부재(600)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와 관련된 반송 부재(600)에서는 모서리(612R)의 위치의 제거부(614F)를 갖지 않기 때문에, 뒤쪽 단부(606)의 옆쪽 단부(602)측의 부위가, 옆쪽 단부(602)의 뒤쪽 단부(606)측의 부위 아래에 인입할 우려가 있다. 그리고, 이 경우, 옆쪽 단부(602)의 뒤쪽 단부(606)측이 뒤쪽 단부(606)에 의해 들어올려져서, 옆쪽 단부(602)가 용기 본체(310)의 내측의 면으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옆쪽 단부(602)와 용기 본체(310)의 내측의 면이 떨어지게 되면, 옆쪽 단부(602)와 용기 본체(310)의 내측의 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형성된 간극으로부터 토너가 빠져나가게 되고, 토너의 양호한 교반 반송을 행할 수 없어, 일정한 위치에 잔류하게 되는 토너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도 11의 (b)에는 옆쪽 단부(602)가 들어올려진 경우가 일례로서 나타나 있으나, 옆쪽 단부(602)가 뒤쪽 단부(606) 아래에 인입하게 되는 반대의 경우도 일어날 수 있다. 이 경우는, 뒤쪽 단부(606)가 옆쪽 단부(602)에 들어올려져서, 뒤쪽 단부(606)가 용기 본체(310)의 내측의 면으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이 경우, 뒤쪽 단부(606)와 용기 본체(310)의 내측의 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형성된 간극으로부터 토너가 빠져나가게 되고, 토너의 양호한 교반 반송을 행할 수 없어, 일정한 위치에 잔류하게 되는 토너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와 관련된 반송 부재(600)에서는, 슬릿(610R)이 제거부(614R)를 가지므로, 옆쪽 단부(602) 및 뒤쪽 단부(606)의 한쪽이 다른쪽을 들어올려서, 반송 부재(600)가 용기 본체(310)의 내측의 면으로부터 떨어지게 된다는 사태가 생기기 어렵고, 도 1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옆쪽 단부(602)가 용기 본체(310)의 내측의 면인 아래쪽 내면(330)에 접촉하고, 뒤쪽 단부(606)가 용기 본체(310)의 뒤쪽 내면(334)에 접촉한 상태가 유지되기 쉽고, 토너가 빠져나가기 어려워, 토너의 양호한 교반과 반송으로 되기 쉽다.
이와 같이, 모서리(612R)의 위치에 예를 들면 사각형 형상의 슬릿인 제거부(614R)를 형성함으로써, 반송 부재(600)와 용기 본체(310)의 내측의 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기 어려워져, 토너의 양호한 교반과 반송을 행할 수 있도록 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모서리(612F)의 위치에 예를 들면 사각형 형상의 슬릿인 제거부(614F)를 형성함으로써, 모서리(612F)의 위치에 제거부(614F)를 형성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반송 부재(600)와 용기 본체(310)의 내측의 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기 어려워져, 토너의 양호한 교반과 반송이 이루어지기 쉬워진다.
또한, 제거부(614F)와 제거부(614R)의 크기나 형상은, 반송 부재(600)의 단부가 들어올려져서, 반송 부재(600)와 용기 본체(310) 사이에 생기는 간극으로부터 토너가 빠져나가게 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설정 가능하다. 또한, 선 형상부(616F)와 선 형상부(616R)의 형상과 길이는, 반송 부재(600)의 단부가 들어올려져서, 용기 본체(310)와의 사이에 생기는 간극으로부터 토너가 빠져나가게 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설정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거부(614F)와 제거부(614R)는 삼각 형상, 오각 형상 등의 다각 형상, 원호 형상, 타원호 형상 등의 곡면 형상 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선 형상부(616F)와 선 형상부(616R)를 곡선 모양으로 해도 된다.
또한, 도 9, 도 10에서는 슬릿(610F)과 슬릿(610R)은 형상, 크기, 길이, 및 방향이 동일하고, 앞쪽 단부(604)에 대한 모서리(612F)의 위치와, 뒤쪽 단부(606)에 대한 모서리(612R) 위치가 동일하도록 나타나 있지만, 슬릿(610F)과 슬릿(610R)은, 예를 들면 용기 본체(310)의 내측의 형상에 맞춰, 크기, 길이, 방향, 형상 등을 서로 상이한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록부(360F)가 원호 형상이고, 볼록부(360R)가 대략 직선 형상이며, 볼록부(360F)와 볼록부(360R)가 서로 상이한 형상을 하고 있지만, 실험 결과, 반송 부재(600)의 옆쪽 단부(602), 앞쪽 단부(604), 및 뒤쪽 단부(606) 중 어느 하나가 들어올려져, 반송 부재(600)와 용기 본체(310) 사이에 간극이 생기고, 이 간극으로부터 토너가 빠져나간다는 결함은 생기지 않았다. 이 때문에, 볼록부(360F)와 볼록부(360R)가 서로 상이한 형상을 하고 있지만, 제거부(614F)와 제거부(614R)의 형상을, 볼록부(360F)의 형상과 볼록부(360R)의 형상에 합치되도록 서로 상이한 것으로 하지 않고,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거부(614F)와 볼록부(360F)는 형상, 크기가 대략 동일하고, 제거부(614R)와 볼록부(360R)는 형상, 크기가 대략 동일하다. 여기서, 가령 용기 본체에, 볼록부(360F)와 볼록부(360R)가 형성되어 있지 않았다고 해도, 모서리(612F)의 위치에 제거부(614F)를 형성하고, 모서리(612R)의 위치에 제거부(614F)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반송 부재(600)와 용기 본체(310)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이 간극을 토너가 빠져나간다는 폐해가 생기기 어려워진다.
도 12에는 분해된 상태의 회전축(700) 및 반송 부재(600)가 나타나 있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 부재(600)에는 관통 홀(620, 622, 624, 626, 62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700)에는 관통 홀(620, 622, 624, 626, 628)에 상당하는 형상의 돌기(720, 722, 724, 726, 728)가 형성되어 있다. 반송 부재(600)는 관통 홀(620, 622, 624, 626, 628)에, 돌기(720, 722, 724, 726, 728)가 각각 삽입되도록 하여 회전축(700)에 장착되어 있다.
슬릿(610F, 610R)과, 반송 부재(600)의 옆쪽 단부(602)가 이루는 각도(θ)는 서로 동일하고, θ는 예를 들면 대략 30°이다.
도 13에는 교반 부재(500) 및 회전축(700)이 나타나 있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교반 부재(500)의 연결부(504)의 단면은, 이동하는 방향에서의 전방측의 단면적이 작아지는 방향의 쐐기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토너 내에서의 교반 부재(500)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도 13 중에서의 화살표는 용기 본체(310) 내에서 반송 부재(600)가 이동하는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도 14에는 반송 부재(600)의 변형예가 나타나 있다. 이 변형예에 관련된 반송 부재(600)에는, 통과 홀(632, 632)이 형성되어 있다. 반송 부재(600)가 토너 내로 이동할 때에, 통과 홀(632, 632)을 토너가 통과한다.
도 15에는, 예를 들면 제조의 과정에서, 수용 용기(300) 내에 토너가 충전되는 공정이 설명되어 있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 용기(300)에 토너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최초의 공정 S10에서, 용기 본체(310)에 조작 부재(380)가 부착된다. 이 때, 용기 본체(310)의 지지용 돌기(324)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326)가, 조작 부재(380)의 관통 홀(408)에 형성된 대경부(大徑部; 410)에 끼워넣어지는 것을 요하고, 조작 부재(380)는 용기 본체(310)에 대하여 제 3 위치로 되도록 부착된다.
이 때, 조작 부재(380)는 고정용 돌기(316)가 관통 홀(390)에 인입하도록 하여 제 3 위치에 고정된다. 이 때문에, 후술하는 공정 S30에서 토너를 용기 본체(310) 내에 삽입할 때에 조작 부재(380)가 움직이는 것이 방지되어, 조작 부재(380)가 움직이는 것에 의한 토너의 삽입 불량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다음의 공정 S20에서는, 용기 본체(310)가 충전 홀(314)이 상향으로 되도록 지그(jig)(도시되지 않음)에 세트된다.
다음의 공정 S30에서는, 기어(370)에 형성된 관통 홀(372)의 위치를 용기 본체(310)의 외측에서 확인하면서, 예를 들면 기어(370)를 회전시킴으로써, 교반 부재(500) 및 반송 부재(600)의 길이 방향을, 용기 본체(310)에 토너가 충전되는 방향인 상하 방향과 일치시키도록, 교반 부재(500) 및 반송 부재(600)를 이동시킨다.
다음의 공정 S40에서는, 충전 홀(314)을 통하여 상방향으로부터 낙하시키도록 용기 본체(310) 내에 토너가 삽입된다. 이 때, 조작 부재(380)는 제 3 위치에 있고, 조작 부재(380)의 대향부(382)는 토너가 충전되는 방향(상하 방향)에서 충전 홀(314)과 겹치지 않는 위치에 있기 때문에, 조작 부재(380)가 토너의 충전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
또한, 교반 부재(500) 및 반송 부재(600)의 길이 방향이 상하 방향으로 되도록, 교반 부재(500) 및 반송 부재(600)가 이동하고 있기 때문에, 용기 본체(310) 내에서의 토너의 낙하를 방해하기 어렵고, 용기 본체(310)의 저부(底部)까지 토너가 도달하기 쉬워, 용기 본체(310) 내의 공간을 낭비하지 않고 토너가 충전된다.
다음의 공정 S50에서는, 충전 홀(314)에 덮개 부재(340)가 장착되어, 충전 홀(314)이 밀봉된다. 이 때, 조작 부재(380)는 제 3 위치에 있고, 조작 부재(380)의 대향부(382)는 토너가 충전되는 방향(상하 방향)에서 충전 홀(314)과 겹치지 않는 위치에 있기 때문에, 조작 부재(380)는 용기 본체(310)에 덮개 부재(340)를 장착하는 데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
다음의 공정 S60에서는, 조작 부재(380)가 제 3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된다. 조작 부재(380)를 제 2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조작 부재(380)의 앞쪽 암부(384)를 변형시키는 등 하여, 고정용 돌기(316)를 관통 홀(390)로부터 분리한다. 조작 부재(380)를 제 2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조작 부재(380)의 대향부(382)는 토너가 충전되는 방향에서 충전 홀(314)과 겹치는 위치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토너가 충전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수용 용기(300)의 폭이 작아져서, 수용 용기(300)의 반송이 용이해진다. 또한, 제 2 위치로 이동된 조작 부재(380)를 다시 제 3 위치로 이동시키려고 하여도, 조작 부재(380)의 앞쪽 암부(384)와 고정용 돌기(316)가 맞닿아서 간섭하므로, 필요가 없을 때에 조작 부재(380)가 제 3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조작 부재(380)를 제 3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시킬 때에, 잘못하여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로 조작 부재(380)가 이동하게 되어, 배출 홀(312)이 개방된 상태로 되어, 배출 홀(312)로부터 토너가 배출될 우려가 있지만,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 내에 장착되지 않는 한, 금지용 돌기(318)에 의해, 조작 부재(380)는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로 이동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을 한 실시형태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로서 프린터를 사용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복사기, 팩시밀리 장치 등의 상형성제를 이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다른 단기능의 장치나, 프린터, 스캐너 등의 복수의 기능을 갖고, 상형성제를 이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다른 장치도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에 포함되는 것이며, 이들 화상 형성 장치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 DVD 플레이어, HDD 등의 영상 기기 등의 장치로서, 상형성제를 이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구성이 조립된 장치도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에 포함되는 것이며, 이들 화상 형성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책상, 선반, 벽 등에 조립되고, 상형성제를 이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도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에 포함되는 것이며, 이들 화상 형성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을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형성제 수용 용기, 화상 형성 장치, 및 상형성제의 충전 방법에 적용할 수 있다.
10 : 화상 형성 장치
100 : 상형성부
300 : 수용 용기
310 : 용기 본체
312 : 배출 홀
314 : 충전 홀
330 : 아래쪽 내면
332 : 앞쪽 내면
334 : 뒤쪽 내면
351F, 351R : 안내 홈
360F, 360R : 볼록부
370 : 기어
372 : 관통 홀
500 : 교반 부재
502 : 암부
504 : 연결부
600 : 반송 부재
610F, 610R : 슬릿
612F, 612R : 모서리
614F, 614R : 제거부
616F, 616R : 선 형상부
632 : 통과 홀
700 : 회전축

Claims (8)

  1. 상(像)형성제의 배출에 사용되는 배출 홀이 형성된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 내에서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고,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된 상형성제를 교반(攪拌)하는 교반부와,
    가요성(可撓性)을 갖고,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고, 상기 용기 본체 내에서 상형성제를 반송하는 반송 부재
    를 갖고,
    상기 반송 부재는,
    상기 용기 본체의 하방의 내면에 접촉하는 단부(端部)이며, 상기 반송 부재가 회전하는 방향에서의 상기 배출 홀이 형성된 부분의 상류측 및 하류측과 접촉하는 제 1 단부와,
    상기 하방의 내면과 교차하는 상기 용기 본체의 내면과 접촉하는 제 2 단부와,
    상기 제 1 단부와 상기 제 2 단부 사이에 형성된 슬릿
    을 구비하고,
    상기 슬릿은, 상기 제 1 단부와 상기 제 2 단부 사이의, 상기 제 1 단부의 선단과 상기 제 2 단부의 선단이 일치하여 형성되어야 할 모서리를 제거하고, 상기 모서리가 제거된 부분으로부터 상기 반송 부재의 내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상형성제 수용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부재 및 상기 반송 부재는, 상기 회전축을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쪽으로 되도록 상기 회전축에 장착되어 있는 상형성제 수용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부재는, 이동시에 상형성제가 통과하는 통과 홀이 형성되어 있는 상형성제 수용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는, 상단부측에 상형성제의 충전에 사용되는 충전 홀이 형성되어 있는 상형성제 수용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홀은, 상기 용기 본체의 하단부측에 형성되어 있는 상형성제 수용 용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착탈되는 상형성제 수용 용기.
  7. 화상 형성 장치 본체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착탈되는 상형성제 수용 용기와,
    상기 상형성제 수용 용기에 수용된 상형성제를 이용하여 상을 형성하는 상형성부
    를 갖고,
    상기 상형성제 수용 용기는,
    상형성제의 배출에 사용되는 배출 홀이 형성된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 내에서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고,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된 상형성제를 교반하는 교반부와,
    가요성을 갖고,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고, 상기 용기 본체 내에서 상형성제를 반송하는 반송 부재
    를 갖고,
    상기 반송 부재는,
    상기 용기 본체의 하방의 내면에 접촉하는 단부이며, 상기 반송 부재가 회전하는 방향에서의 상기 배출 홀이 형성된 부분의 상류측 및 하류측과 접촉하는 제 1 단부와,
    상기 하방의 내면과 교차하는 상기 용기 본체의 내면과 접촉하는 제 2 단부와,
    상기 제 1 단부와 상기 제 2 단부 사이에 형성된 슬릿
    을 구비하고,
    상기 슬릿은, 상기 제 1 단부와 상기 제 2 단부 사이의, 상기 제 1 단부의 선단과 상기 제 2 단부의 선단이 일치하여 형성되어야 할 모서리를 제거하고, 상기 모서리가 제거된 부분으로부터 상기 반송 부재의 내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
  8. 상형성제의 배출에 사용되는 배출 홀이 형성된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 내에서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고,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된 상형성제를 교반하는 교반부와, 가요성을 갖고,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고, 상기 용기 본체 내에서 상형성제를 반송하는 반송 부재를 갖고, 상기 반송 부재는, 상기 용기 본체의 하방의 내면에 접촉하는 단부이며, 상기 반송 부재가 회전하는 방향에서의 상기 배출 홀이 형성된 부분의 상류측 및 하류측과 접촉하는 제 1 단부와, 상기 하방의 내면과 교차하는 상기 용기 본체의 내면과 접촉하는 제 2 단부와, 상기 제 1 단부와 상기 제 2 단부 사이에 형성된 슬릿을 구비하고, 상기 슬릿은, 상기 제 1 단부와 상기 제 2 단부 사이의, 상기 제 1 단부의 선단과 상기 제 2 단부의 선단이 일치하여 형성되어야 할 모서리를 제거하고, 상기 모서리가 제거된 부분으로부터 상기 반송 부재의 내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상형성제 수용 용기에서의, 상기 교반부 및 상기 반송 부재를 길이 방향이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상형성제가 충전되는 방향에 일치하도록 이동시키는 공정과,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상형성제를 삽입하는 공정
    을 갖는 상형성제의 충전 방법.
KR1020100020746A 2009-03-25 2010-03-09 상형성제 수용 용기, 화상 형성 장치, 및 상형성제의 충전 방법 KR1013020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73065 2009-03-25
JPJP-P-2009-073065 2009-03-25
JP2010028691A JP4497250B1 (ja) 2009-03-25 2010-02-12 像形成剤収容容器、画像形成装置、及び像形成剤の充填方法
JPJP-P-2010-028691 2010-02-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7391A KR20100107391A (ko) 2010-10-05
KR101302007B1 true KR101302007B1 (ko) 2013-08-30

Family

ID=42575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0746A KR101302007B1 (ko) 2009-03-25 2010-03-09 상형성제 수용 용기, 화상 형성 장치, 및 상형성제의 충전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290405B2 (ko)
JP (1) JP4497250B1 (ko)
KR (1) KR101302007B1 (ko)
CN (1) CN101846931B (ko)
AU (1) AU2010200937B2 (ko)
TW (1) TWI42026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56248B1 (ja) * 2010-03-10 2010-10-0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像形成剤収容容器、画像形成装置、及び像形成剤の充填方法
CN106019898B (zh) 2011-07-27 2020-02-28 株式会社理光 显影剂容器、显影装置、处理单元和成像设备
US20150063872A1 (en) * 2013-09-02 2015-03-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JP6332989B2 (ja) * 2014-02-07 2018-05-30 キヤノン株式会社 撹拌部材、現像剤収納ユニット、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18290B1 (en) * 1999-10-29 2002-07-09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er agitating sheet and developer container
JP2003177598A (ja) * 1997-06-19 2003-06-27 Canon Inc トナー補給容器
JP2008164676A (ja) * 2006-12-27 2008-07-17 Kyocera Mita Corp トナー収容システム,トナー収容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661U (ja) * 1993-11-12 1995-06-16 ミノルタ株式会社 現像装置
JP2002040788A (ja) * 2000-07-28 2002-02-06 Seiko Epson Corp 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攪拌器
US6704533B2 (en) * 2000-12-08 2004-03-09 Canon Kabushiki Kaisha Toner supply container and stirring rotation member
JP4091898B2 (ja) * 2003-10-31 2008-05-28 京セラミタ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およびそれを用いるトナー供給装置
JP4603859B2 (ja) * 2004-11-11 2010-12-22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供給手段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276615A (ja) * 2005-03-30 2006-10-12 Kyocera Mita Corp トナー供給装置
JP2007093697A (ja) * 2005-09-27 2007-04-12 Canon Inc 現像剤供給容器
JP4867558B2 (ja) * 2006-10-04 2012-02-0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現像装置、現像剤搬送装置、現像剤撹拌装置、画像形成ユニット、及び粉体搬送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7598A (ja) * 1997-06-19 2003-06-27 Canon Inc トナー補給容器
US6418290B1 (en) * 1999-10-29 2002-07-09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er agitating sheet and developer container
JP2008164676A (ja) * 2006-12-27 2008-07-17 Kyocera Mita Corp トナー収容システム,トナー収容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7391A (ko) 2010-10-05
TW201039078A (en) 2010-11-01
JP2010250282A (ja) 2010-11-04
US20100247153A1 (en) 2010-09-30
JP4497250B1 (ja) 2010-07-07
CN101846931A (zh) 2010-09-29
TWI420264B (zh) 2013-12-21
CN101846931B (zh) 2013-12-18
AU2010200937B2 (en) 2011-05-19
AU2010200937A1 (en) 2010-10-14
US8290405B2 (en) 2012-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9151B1 (ko) 상 형성제 수용 용기, 화상 형성 장치, 상 형성제 수용 용기의 장착 방법, 상 형성제 수용 용기의 분리 방법, 상 형성제의 충전 방법, 및 상 형성제의 재충전 방법
JP2009122559A (ja) 現像剤収容容器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4556248B1 (ja) 像形成剤収容容器、画像形成装置、及び像形成剤の充填方法
US1047406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movable shutter member
KR101302007B1 (ko) 상형성제 수용 용기, 화상 형성 장치, 및 상형성제의 충전 방법
KR101365666B1 (ko) 상형성제 수용 용기, 화상 형성 장치, 상형성제 수용 용기의 장착 방법, 및 상형성제 수용 용기의 분리 방법
KR101344798B1 (ko) 상형성제 수용용기, 화상형성장치, 상형성제 수용용기의 장착 방법, 상형성제 수용용기의 취출 방법 및 상형성제의 충전 방법
KR20130096172A (ko) 분체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JP2009122626A (ja) 現像剤収容容器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