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6172A - 분체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분체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6172A
KR20130096172A KR1020130005587A KR20130005587A KR20130096172A KR 20130096172 A KR20130096172 A KR 20130096172A KR 1020130005587 A KR1020130005587 A KR 1020130005587A KR 20130005587 A KR20130005587 A KR 20130005587A KR 20130096172 A KR20130096172 A KR 201300961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toner cartridge
opening
toner
powd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5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2275B1 (ko
Inventor
가즈노리 고시모리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96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6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2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22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6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mechanical means, e.g. shutter, plu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28Prevention of damage or soiling, e.g. mechanical abrasion
    • G03G21/1832Shielding members, shutter, e.g. light, heat shielding, prevention of toner scatter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42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 G03G21/1853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the process cartridge being mounted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체 용기 등에 관한 것이며, 내부의 분체를 공급하는 개구를 개폐가능하게 막는 셔터 부재의 각부에 충격이 가해져서 내부의 분체가 새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구비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장치로의 장착 전은 개구를 막는 닫힘 위치에 있으며, 장치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그 장치 측의 이동 가능한 부재의 이동에 의한 작용을 받아서 개구를 개방한 열림 위치까지 동부(310)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 중심선을 회전 중심으로 한 회전 방향으로 이동하는 셔터(340)와, 셔터(340)를 동부에 유지함과 함께 이 셔터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360)와, 회전 중심선 방향에 대해서 셔터와 한쪽 벽부(320)의 외벽면 사이의 위치이며, 또한 회전 방향에 대해서, 닫힘 위치에 있는 셔터의 단부와 나란한 위치에, 회전 중심선으로부터의 반경 방향 바깥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323)를 갖는다.

Description

분체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POWD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DEVICE}
본 발명은 분체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전자 사진 방식의 프린터 등에서는 분체 현상제인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카트리지가 이용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분체를 수용하는 분체 용기가 이용된다.
특허문헌 1에는, 토너 카트리지 내의 토너를 교반하는 교반 부재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걸어 맞춤 부재를 코일 스프링을 끼워서 지지함으로써 낙하시에 코일 스프링으로 충격력을 완화해서 걸어 맞춤 부재의 파손을 방지하는 구조가 나타나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현상제 보급 용기의 개구부를 봉지(封止)하는 봉지 부재와 그 봉지 부재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부재를 갖고, 그 보호 부재에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부를 구비함으로써, 낙하에 의한 충격력에 의한 토너 누출을 방지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는, 현상제 수용 용기의 개구를 막는 유출구 개폐 부재가 외력을 받아서 밀렸을 때에 유출구 개폐 부재가 이동하지 않도록 닫힘 위치에서 로크되는 구조가 나타나 있다.
일본국 특개평7-281519호 공보 일본국 특개2003-280347호 공보 일본국 특개2009-229938호 공보
본 발명은, 내부의 분체를 공급하는 개구를 막는 셔터 부재에 충격이 가해져서 내부의 분체가 새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구비한 분체 용기 및 그 분체 용기가 장착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 1 양태는,
동부(胴部; body)와, 그 동부의 길이 방향의 한쪽 단부(端部) 및 다른 쪽 단부를 각각 막는 한 쌍의 벽부를 갖고 내부에 분체가 수용되며, 분체를 사용하는 장치에 장착되는 분체 용기로서,
상기 동부가, 상기 한쪽 단부 쪽의 위치에, 상기 분체 용기 내의 분체를 상기 장치에 공급하는 개구를 갖고,
상기 분체 용기가 또한,
상기 장치로의 장착 전은 상기 개구를 막는 닫힘 위치에 있고, 상기 장치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개구를 개방한 열림 위치까지 동부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는 셔터와,
상기 셔터를 상기 동부에 유지함과 함께 상기 셔터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와,
길이 방향에 대해서 셔터와 상기 한쪽 벽부의 외벽면 사이의 위치이며, 또한 셔터의 이동 방향에 대해서, 닫힘 위치에 있는 셔터의 단부와 나란한 위치에, 동부의 길이 방향의 중심선으로부터의 반경 방향 바깥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용기이다.
제 2 양태는, 제 1 양태의 분체 용기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가, 상기 셔터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 양태는, 제 1 양태 또는 제 2 양태의 분체 용기에 있어서, 이 분체 용기가 또한, 닫힘 위치에 있는 셔터의 단부와 인접한 위치에, 장치로의 장착 전은, 닫힘 위치에 있는 셔터의, 닫힘 위치로부터 열림 위치를 향하는 이동을 저지하는 높이까지 돌출되며, 장치에 장착됨으로써 장치 측의 부재에 밀려서 셔터의 이동을 허용하는 높이까지 압하(押下)되는 저지 후크를 갖고,
상기 돌기부가, 셔터의 이동 방향에 대해서, 셔터의 단부에 나란해짐과 함께 저지 후크에도 나란해지는, 셔터의 이동 방향의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4 양태는 제 3 양태의 분체 용기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가, 돌출된 상태에 있는 저지 후크의, 상기 중심선으로부터의 반경 방향 선단보다, 그 반경 방향 바깥 방향으로 높게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5 양태는 제 1 양태 내지 제 4 양태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분체 용기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장치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그 장치 측의 이동 가능한 부재로부터의 작용을 받아서 상기 개구를 개방하고,
상기 돌기부는, 이 분체 용기가 장치에 장착된 후의, 장치 측의 부재의 이동에 의해 셔터가 닫힘 위치로부터 열림 위치까지 이동했을 때에 그 부재에 맞닿아서, 그 부재의, 셔터를 더 여는 방향으로의 더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6 양태는 제 1 양태 내지 제 5 양태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분체 용기가 장착되며, 그 분체 용기 내에 수용된 분체로 화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이다.
제 1 양태의 분체 용기 및 제 6 양태의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하면, 내부의 분체를 공급하는 개구를 막는 셔터 부재에 충격이 가해져서 내부의 분체가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2 양태의 분체 용기에 의하면, 안내부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3 양태의 분체 용기에 의하면, 저지 후크에 의한 셔터 부재의 이동의 저지 작용이 기능하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4 양태의 분체 용기에 의하면, 돌기부의 높이가, 저지 후크와 같은 높이 혹은 그것보다 낮은 높이일 경우와 비교하여, 저지 후크에 의한 셔터 부재의 이동의 저지 작용이 기능하지 않게 되는 것을 가일층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 5 양태의 분체 용기에 의하면, 돌기부에 셔터 열림 시의 위치 규제의 역할을 맡는 작용을 겸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체 용기의 일 실시형태인 토너 카트리지가 장착된 프린터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도 1과는 상이한 면에서 단면(斷面)해서, 도 1의 지면(紙面)의 뒤 측에서 보았을 때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단면도.
도 3은 토너 카트리지가 장착된 상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감광체 측에서 보았을 때의 외관 사시도.
도 4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그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장착된 상태의 토너 카트리지 측에서 보았을 때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외관 사시도.
도 5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그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장착된 상태의 토너 카트리지 측에서 보았을 때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외관 사시도.
도 6은 토너 카트리지 단체(單體)의 외관 사시도.
도 7은 토너 카트리지 단체의, 도 6과는 다른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외관 사시도.
도 8은 토너 카트리지의 동부를 반투명하게 해서 내부의 교반 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토너 카트리지를 교반 부재를 포함하는 면에서 단면해서 나타낸 도면.
도 10은 교반 부재의 사시도.
도 11은 교반 부재를 도 10과는 다른 시점에서 보았을 때의 각 사시도.
도 12는 토너 카트리지의 제 2 벽부를 구성하는 덮개를, 그 내면 측에서 보고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교반 부재를 구성하는 수지 성형물의 구동력 받음부 측의 부분 확대 사시도.
도 14는 교반 부재를 구성하는 수지 성형물의 지지 받음부 측의 부분 확대 사시도.
도 15는 교반 부재를 구성하는 축부재를, 그 축부재가 연장되는 방향을 수선으로 하는 평면에서 단면해서 나타낸 도면.
도 16은 토너 카트리지의 조립 공정을 나타낸 모식도.
도 17은 교반 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 18은 돌기부를 제 1 벽부 측에서 회전 중심선 방향으로 본 측면도.
도 19는 돌기부를 제 2 벽부(덮개) 측에서 회전 중심선 방향으로 본 측면도.
도 20은 돌기부를 그 돌기의 선단 방향에서 본 평면도.
도 21은 셔터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의 토너 카트리지의 사시도.
도 22는 토너 카트리지로부터 셔터 자체를 분리해서 동부의 개구 부분을 노출시킨 상태의 사시도.
도 23은 동부에 설치된 개구 부분의 확대 사시도.
도 24는 도 23에 나타내는 화살표X-X를 따르는 단면도.
도 25는 토너 카트리지와 고정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6은 도 25와는 상이한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토너 카트리지와 고정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7은 토너 카트리지가 고정 부재에 들어감으로써 장치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8은 토너 카트리지가 고정 부재에 들어감으로써 장치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9는 장착 전의 토너 카트리지와 그 토너 카트리지를 받아 들이는 고정 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30은 토너 카트리지가 장착된 후, 고정 부재의 회전 전의 상태의 단면 측면도.
도 31은 토너 카트리지가 장착된 후, 고정 부재의 회전 전의 상태의 단면 사시도.
도 32는 도 30, 도 31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고정 부재를 더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측면도.
도 33은 도 30, 도 31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고정 부재를 더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
도 34는 토너 카트리지가 장착되고 있는 상태를, 토너 카트리지의 제 1 벽부 측에서 나타낸 측면도.
도 35는 토너 카트리지가 장치에 장착된 후, 고정 부재를 회전시키기 전의 상태를 토너 카트리지의 제 1 벽부 측에서 나타낸 측면도.
도 36은 도 35와 마찬가지로, 토너 카트리지를 장착한 후, 고정 부재를 돌리기 전의 상태를, 지지 부재의 앞쪽 측의 측면을 분리해서 나타낸 도면.
도 37은 도 36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고정 부재를 화살표(F) 방향으로 회전시킨 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8은 토너 카트리지의 제 2 벽부(덮개) 측의 빠짐 방지부를 나타낸 도면.
도 39는 도 38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고정 부재를 돌려서 셔터를 연 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전체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분체 용기의 일 실시형태인 토너 카트리지가 장착된 프린터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프린터(1)는, 용지(P) 위에 전자 사진 방식에 의해 화상을 프린트하는 프린터이며, 도 1에 있어서 우측의 측면이 장치의 전면(前面)으로 되어 있다. 이 프린터(1)는, 프린터 본체(11)에, 프로세스 카트리지(2)가 장치의 전면 측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2)에는,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2)가 프린터 본체(1)에 장착된 상태인 채이더라도, 토너 카트리지(3)가 장치의 전면 측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여기서, 이 토너 카트리지(3)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분체 용기의 일례에 상당하고, 프린터 본체(11)와, 프로세스 카트리지(2) 중 토너 카트리지(3)를 제외하는 부분을 합친 구성이 본 발명에서 말하는 장치의 일례에 상당한다.
토너 카트리지(3)에는, 보급용 토너가 수용되어 있으며, 이 토너 카트리지(3) 내의 토너는 교반 부재(31)의 회전에 의해 교반되어 응집이 방지되어 있다. 이 교반 부재(31)에는, 프린터 본체(11)에 구비된 모터(111)로부터 기어(도시 생략)를 통해서 구동력이 전달된다. 이 토너 카트리지(3) 내의 토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에 구비되어 있는 현상기(21)에 공급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2)에는, 현상기(21) 외에, 감광체(22), 대전기(23), 클리너(24)가 구비되어 있고, 그들 현상기(21)나 감광체(22)와 토너 카트리지(3) 사이에는, 클리너(24)로 감광체(22) 위로부터 긁어내진 폐토너를 수용하는 폐토너 수용실(25)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프린터 본체(11)에는, 감광체(22)를 향해서 노광 광(112a)을 조사하는 노광기(112) 및, 감광체(22)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전사기(113)가 구비되어 있다.
감광체(22)는,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하에 설명하는 각종 작용을 받는다.
대전기(23)는, 감광체(22)의 표면을 미리 정해진 전위로 대전한다.
노광기(112)는, 감광체(22)의, 대전된 표면에 화상 신호에 따른 노광 광(112a)을 조사해서 감광체(22)의 표면에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현상기(21)에는 캐리어와 토너를 포함하는 현상제가 수용되어 있으며, 두 개의 오거(211, 212)의 회전으로 도 1의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순환 이동하고 있다. 이 현상기(21) 내의 현상제는, 화살표(B) 방향으로 회전하는 현상롤(213)에 의해 감광체(22)에 대향한 현상 위치로 운반되어, 그 현상제 중의 토너에 의해 감광체(22) 위의 정전 잠상이 현상되어서 감광체(22) 위에 토너상이 형성된다. 감광체(22) 위에 형성된 토너상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해서 반송되어 온 용지(P) 위에, 전사기(113)의 작용에 의해 전사된다. 그 용지(P) 위의 토너상은, 프린터 본체(11)에 구비되어 정착기(114)에 의해 가열 및 가압을 받아서 그 용지(P) 위에 정착된다.
이 프린터 본체(11)의 하부에는, 용지 카트리지(115)가, 도 1 중 우측으로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이 용지 카트리지(115)에는, 프린트 전의 용지(P)가 복수매 겹쳐 쌓여진 상태로 수용되어 있다. 프린트에 있어서는, 이 용지 카트리지(115) 내에 수용되어 있는 용지(P) 중 가장 위에 겹쳐 쌓여져 있는 용지(P)가 취출롤(116)에 의해 취출되어, 용지(P)가 복수매 겹쳐진 채 취출된 경우여도 분리롤(117)에 의해 확실하게 한장으로만 분리되어서 반송로(d1) 위를 반송되고, 레지스트레이션롤(118)에 이른다. 이 레지스트레이션롤(118)은, 반송되어 온 용지의 자세를 바로잡음과 함께 그 후의 반송 타이밍을 조정해서, 그 용지를 더 하류 측에 송출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이 레지스트레이션롤(118)로부터는, 감광체(22) 위의 토너상의 전사 타이밍에 맞도록 용지가 송출되고, 감광체(22) 위의 토너상이 그 용지 위에 전사된다. 토너상의 전사를 받은 용지는, 반송로(d2) 위를 더 반송되어 정착기(114)를 통과해서 토너상의 정착을 받고, 배지(排紙)롤(119)에 의해, 프린터 본체(11)의 상부에 설치된 배지대(120) 위에 배출된다.
용지의 양면에 프린트할 때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해서 한 면에 프린트된 용지가 배지롤(119)에 의해 중도까지 송출되고, 그 후 배지롤(119)이 역회전하고, 다음에는 반송로(d3) 위를 반송되어서, 다시 레지스트레이션롤(118)에 도달한다. 그 후는, 상기의 프린트 동작이 다시 반복되어, 양면에 프린트된 용지가 배지롤(119)에 의해 배지대(120) 위에 배출된다.
이 프린터 본체(11)의 커버 중 일부의 커버(121)는, 힌지부(121a)를 중심으로 화살표(C-D) 방향, 즉 장치의 전면 측에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커버(121)를 열고,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2)에 구비된 반원통형 고정 부재(26)의 손잡이(261)를 손에 쥐고 그 고정 부재(26)를 화살표(E)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토너 카트리지(3)를 착탈하기 위한 착탈 개구가 열려, 토너 카트리지(3)의 손잡이(32)를 잡아당겨 토너 카트리지(3)를 취출할 수 있다. 이 토너 카트리지(3)를 프로세스 카트리지(2)에 장착할 때는 상기와 역조작이 행해진다. 즉, 토너 카트리지(3)의 손잡이(32)를 손에 쥐고 그 토너 카트리지(3)를 프로세스 카트리지(2)에 장착하고, 그 프로세스 카트리지(2)의 고정 부재(26)의 손잡이(261)로 바꿔 쥐고 고정 부재(26)를 화살표(F) 방향으로 돌린다. 고정 부재(26)를 화살표(F) 방향으로 돌리면 토너 카트리지(3)가 프로세스 카트리지(2) 내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고정된다. 그 후, 커버(121)를 화살표(D) 방향으로 닫는다.
또한 예를 들면 감광체(22)가 열화했을 때 등, 프로세스 카트리지(2) 자체를 교환할 때는, 커버(121)를 연 후, 그 프로세스 카트리지(2)의 손잡이(27)를 쥐고, 토너 카트리지(3)의 유무에 관계없이, 프로세스 카트리지(2)를 빼내서, 그것과는 역조작에 의해 새로운 프로세스 카트리지(2)를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도 1과는 상이한 면에서 단면하고, 도 1의 지면의 뒤측에서 보았을 때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단면도이다.
토너 카트리지(3)에는, 장착 상태에 있어서의 하부에, 내부의 토너를 현상기(21)를 향해서 공급하기 위한 개구(310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310a)는, 토너 카트리지(3)가 단체로 존재하고 있을 때는 셔터로 닫혀 있고, 그 토너 카트리지(3)가 프로세스 카트리지(2)에 장착되어서 그 프로세스 카트리지(2)의 고정 부재(26)를 화살표(F) 방향으로 돌리면, 그 셔터가 열리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구조에 관한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토너 카트리지(3)에 수용되어 있는 토너는, 개구(310a)를 통과하여 화살표(G) 방향으로 낙하하고, 회전하는 반송 부재(270)의 회전에 의해 화살표(H) 방향으로 운반되어, 화살표(J) 방향으로 낙하해서 현상기(21) 내에 공급된다.
도 3은, 토너 카트리지가 장착된 상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감광체 측에서 보았을 때의 외관 사시도이다.
이 도 3에는, 좌하(左下)에 원통형의 감광체(22)가 나타나 있고, 우상(右上)에는 토너 카트리지(3)와 그 손잡이(32)가 나타나 있다. 이 토너 카트리지(3)는 그 대부분의 부분이 프로세스 카트리지(2)에 구비되어 있는 반원통형 고정 부재(26)에 의해 덮어져 있다. 이 고정 부재(26)는, 이 도 3에서는, 도 1, 도 2에 나타내는 화살표(F) 방향으로 회전해서 토너 카트리지(3)를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2)에 고정한 상태에 있다. 이 도 3에는, 그 고정 부재(26)를 돌리기 위한 손잡이(261)나, 프로세스 카트리지(2)의 전체를 프린터 본체(11)(도 1 참조)로부터 빼내기 위한 손잡이(27)도 나타나 있다.
도 4, 도 5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그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장착된 상태의 토너 카트리지 측에서 보았을 때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외관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 4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에 토너 카트리지(3)를 장착한 후, 고정 부재(26)가 아직 화살표(E) 방향(도 1, 도 2 참조)으로 열린 상태에 있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5는, 토너 카트리지(3)를 장착하고, 또한 고정 부재(26)를 화살표(F) 방향(도 1, 도 2 참조)으로 돌려서 토너 카트리지(3)를 프로세스 카트리지(2)에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토너 카트리지(3)에는, 그 손잡이(32)의 하부에 평면 형상의 쉴드(shield)(33)가 확장되어 있다. 토너 카트리지(3)를 프로세스 카트리지(2)에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그 쉴드(33)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의, 토너 카트리지(3)를 받아들이는 공간을 형성하는 내벽면 중 저면(28)에 근접한 위치까지 확장되어 있다.
도 6, 도 7은, 토너 카트리지 단체의, 각각 다른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외관 사시도이다.
이 토너 카트리지(3)는, 대략 원통형 내주면을 갖고, 외주면도 전체적으로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된 동부(310)와, 그 대략 원통형 길이 방향의 한쪽 단부 및 다른 쪽 단부를 각각 막는 한 쌍의 벽부(320, 330)를 갖는다. 이 토너 카트리지(3)는, 내부에 분체인 토너가 수용된 것이다. 여기서, 한쪽 단부를 막는 제 1 벽부(320)는, 동부(310)와 함께, 다른 한쪽 단부가 개구한 상태로 내부에 토너를 받아 들이는 용기 본체(300)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용기 본체(300)의 개구(301)(도 16 참조)를 막는 제 2 벽부(330)는, 용기 본체(300)에 토너를 수용한 후에 그 개구(301)를 막는 덮개이다.
이 토너 카트리지(3)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부(310)의 대략 원통형 길이 방향이 가로 방향이 되는 자세로, 프린터 본체(11)에 장착되어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에 장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토너 카트리지(3)를 제외한 프로세스 카트리지(2)가 프린터 본체(11)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의 구조체를, 여기서는 「장치」라고 칭한다.
전술한 손잡이(32)는, 장치로의 착탈시에 파지되는 부분이고, 동부(310)의 외주면이며, 도 1, 도 4,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치에 장착되는 자세에 있어서의, 그 장치로의 장착 방향 후단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쉴드(33)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장치에 장착되는 자세에 있어서의 손잡이(32) 아래로부터, 이 토너 카트리지(3)를 받아들이는 장치 측의 공간을 형성하는 내벽면 중 저면(28)(도 6, 도 7 참조) 근접한 위치까지 확장되어 있다.
동부(310)에는, 셔터(340)가 부착되어 있다. 이 동부(310)의, 셔터(340)에 가려진 위치에는, 이 토너 카트리지(3)에 수용되어 있는 토너를 장치에 공급하기 위한 개구(310a)(도 8, 도 9 참조)가 설치되어 있고, 셔터(340)는, 그 개구(310a)를 개폐하도록 덮고 있다.
도 6,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토너 카트리지(3)가 장치에 장착되어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는, 셔터(340)는 개구(310a)를 막은 닫힘 위치에 있고, 장치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고정 부재(26)를 회전시킴으로써 동부(310)의 외주면을 따라 화살표(G) 방향, 즉 동부(310)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 셔터(340)에 설치된 창(341)이 개구(310a)와 겹친 열림 위치까지 이동해서, 동부(310)의 개구(310a)를 개방한다. 토너 카트리지(3)를 장착하면 그 고정 부재(26)의 돌기(후술함)가 셔터(340)의 홈(342)에 들어가고, 고정 부재(26)를 도 1의 화살표(F)로 돌리는 조작에 의해, 그 고정 부재(26)로부터 힘을 받아서 셔터(340)가 화살표(G) 방향으로 열림 위치까지 이동한다. 고정 부재(26)를 화살표(E) 방향으로 조작하면, 셔터(340)는, 그 고정 부재(26)로부터 힘을 받아서 화살표(E) 방향으로 닫힘 위치까지 이동한다.
또한 도 6, 도 7에 나타내는 닫힘 위치에 있는 셔터(340)의, 닫힘 위치로부터 열림 위치로의 이동 방향(화살표(G) 방향) 전단보다 그 이동 방향 전방이며, 셔터(340)의 전단과 대응한 위치에, 이동 저지 후크(34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이동 저지 후크(343)는, 동부(310)의 외주면으로부터, 토너 카트리지(3)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동 저지 후크(343)는, 셔터(340)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에는, 셔터(340)의 전단과 간섭하고, 토너 카트리지(3)가 장치에 장착되지 않고 단체로 존재하고 있을 때에는 셔터(340)가 닫힘 위치로부터 열림 위치를 향해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해서, 셔터(340)를 닫힘 위치에 정지시켜 두는 역할을 맡고 있다. 이 토너 카트리지(3)가 장치에 장착되면, 그 장치 측의 부재에 밀려서 셔터(340)의 열림 위치를 향하는 이동을 허용하는 높이 위치까지 탄성 변형해서 압하된다. 또한 맞닿는 위치에 있는 셔터(340)의 가장자리(340c)가 맞닿는 위치에, 탄성체(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펀지(344))가 설치되어 있다.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이 토너 카트리지(3)의 동부(310)의 외주면에는, 그 동부(310)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셔터(340)에 나란한 위치에, 회로 기판(350)이 배치되어 있고, 전술한 쉴드(33)는, 셔터(340)나 회로 기판(350)에 근접한 위치까지 확장되어 있다. 이 회로 기판(350)에는, 토너 카트리지(3)의 제조 정보나 토너의 소비량 등의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또한 이 토너 카트리지(3)의, 동부(310)와 함께 용기 본체(300)를 구성하고 있는 제 1 벽부(320)에는, 기어(321)가 설치되어, 또한 그 기어(321)의 일부를 노출시킨 상태로 캡(322)이 씌워져 있다. 기어(321)는, 도 1에 나타내는 모터(111)의 구동력을 이 토너 카트리지(3)의 내부의 교반 부재(31)(도 1 참조)에 전달해서 교반 부재(31)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맡고 있다. 한편, 교반 부재(31)의 회전 중심선 방향을 간단히 회전 중심선 방향이라고 할 경우가 있다.
또한 캡(322)에는, 돌기부(323)와 빠짐 방지부(324)가 설치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322)에는 화살표가 마킹되어 있지만, 이 화살표는, 토너 카트리지(3)의 장착 방향을 유저에게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돌기부(323)는, 이 토너 카트리지(3)를 부주의하게 낙하시켰을 때에 셔터(340)의 각부(角部)가 충격을 받음으로써 셔터(340)가 기울어 토너가 흘러 내리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이동 저지 후크(343)가 충격으로 압하되어서 셔터(340)가 열림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또한 이 돌기부(323)는, 이 토너 카트리지(3)가 장치에 장착되어서 셔터(340)가 열림 위치까지 이동했을 때에 장치 측의 고정 부재(26)(도 1 참조)에 맞닿아, 셔터(340)를 열림 방향으로 그 이상 이동시키지 않기 위한 스토퍼로서의 역할도 맡고 있다. 이 돌기부(323)의 상세 설명은 뒤로 미룬다.
또한 빠짐 방지부(324)는, 제 1 빠짐 방지부(324a)와 제 2 빠짐 방지부(324b)로 이루어지고, 이 토너 카트리지(3)를 장치에 장착했을 때에 이 토너 카트리지(3)가 장치로부터 빠져 나오지 않도록, 빠지는 것을 막는 역할을 맡고 있다. 빠짐 방지부는 제 2 벽부(덮개)(330)에도 존재하지만, 제 1 벽부(320) 측의 빠짐 방지부와는 형상이 상이하다. 빠짐 방지부에 관한 상세 설명도 뒤로 미룬다.
이상에서 전체 설명을 종료하고, 이하에서는 본 실시형태의 각 부의 특징적인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교반 부재)
여기서는 토너 카트리지(3)의 내부에 배치되어서 내부의 토너를 교반하는 교반 부재(31)(도 1 참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토너 카트리지의 동부를 반투명하게 해서 내부의 교반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9는, 토너 카트리지를, 교반 부재를 포함하는 면에서 단면해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토너 카트리지(3)에는, 교반 부재(31)가 내장되어 있다.
여기서는, 도 8, 도 9는 필요에 따라 참조하는 것으로 하고, 우선은 교반 부재(31) 자체의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0, 도 11은, 교반 부재를 각각 다른 시점에서 보았을 때의 각 사시도이다.
이 교반 부재(31)는, 축부재(311)와, 시트 형상 부재(312)와,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두 개)의 제 1 아암 부재(313)와,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두 개)의 제 2 아암 부재(314)를 갖는다.
축부재(311)는 도 8,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부(310)의 내주면의 중심선 위로 연장되는 부재이며, 제 1 벽부(320) 측의 단부에, 외부로부터의 구동력을 받는 구동력 받음부(311a)를 갖는다. 또한 이 축부재(311)는, 제 2 벽부(덮개)(330) 측의 단부에는, 그 제 2 벽부(덮개)(33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 받음부(311b)를 갖는다. 이 축부재(311)는 구동력 받음부(311a)로 구동력을 받아서 회전한다.
또한 이 교반 부재(31)를 구성하는 시트 형상 부재(312)는, 축부재(311)를 따라, 동부(310)의 한쪽 벽부(320)로부터 다른 쪽 벽부(덮개)(330)를 향하는 방향으로 확장되어서 축부재(311)에 지지되어 있는 가요성의 플라스틱 필름이다. 이 시트 형상 부재(312)는, 또한, 그 축부재(311)로부터 동부(310)의 내주면을 향하는 직경 방향으로도 확장되어 있고, 축부재(311)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하며, 이 토너 카트리지(3) 내에 수용된 토너를 교반한다. 시트 형상 부재(312)는, 축부재(311)로부터 동부(310)의 내주면까지의 거리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고, 축부재(311)가 회전했을 때, 항상 내주면과 접촉한다. 도 10, 11에 있어서 시트 형상 부재(312)의 직경 방향 선단 부분이 만곡하고 있는 것은, 그 선단 부분이 동부(310)의 내주면에 접촉한 상태로 회전하고, 그 결과,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만곡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축부재(311)는, 시트 형상 부재(312)를 지지하는 부분이 평면으로 형성되고, 그 평면에 위치 결정용 보스(311c)와 고정용 보스(311d)가 설치되어 있다. 시트 형상 부재(312)에는 그들 보스(311c, 311d)에 대응한 위치에 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이 시트 형상 부재(312)는, 위치 결정용 보스(311c)가 삽입되어서 위치 결정되며, 고정용 보스(311d)가 삽입되어서 축부재(311)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 1 아암 부재(313)는, 축부재(311)의 길이 방향 중앙보다 제 1 벽부(320) 쪽에 있어서 축부재(311)로부터 동부(310)의 내주면을 향해서 연장되어 있고, 축부재(311)와 일체로 회전하는 부재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아암 부재(313) 및 후술하는 제 2 아암 부재(314) 모두가, 축부재(311)와 일체로 성형된 한 개의 수지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복수의 제 1 아암 부재(313)는, 시트 형상 부재(312)의 선단이 향하는 방향과 상이한 방향이며, 또한 서로 축부재(311)의 회전 방향에 대해서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체적으로는, 시트 형상 부재(312)와 두 개의 제 1 아암 부재(313)가, 축부재(311)의 회전 방향에 대해서 120°씩 상이한 방향으로 방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아암 부재(314)는, 축부재(311)의 길이 방향 중앙보다 제 2 벽부(덮개)(330) 쪽에 있어서, 축부재(311)로부터 동부(310)의 내주면을 향해서 연장되어 있고, 축부재(311)와 일체로 회전하는 부재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아암 부재(314)도, 제 1 아암 부재(313)와 마찬가지로 축부재(311)와 일체로 성형된 부품이다.
이들 복수의 제 2 아암 부재(314)는, 시트 형상 부재(312)의 선단이 향하는 방향과 상이한 방향이고, 또한 서로 축부재(311)의 회전 방향에 대해서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체적으로는, 두 개의 제 2 아암 부재(314)는, 두 개의 제 1 아암 부재(313)와 각각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즉, 시트 형상 부재(312)와 두 개의 제 2 아암 부재(313)는, 축부재(311)의 회전 방향에 대해서 120°씩 상이한 방향으로 방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아암 부재(313), 제 2 아암 부재(314)의 길이는, 축부재(311)로부터 동부(310)의 내주면까지의 거리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다.
도 12는 토너 카트리지의 제 2 벽부를 구성하는 덮개를, 그 내면 측에서 보고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 덮개는 토너 카트리지(3)의 용기 본체(300)에 개구(301)로부터 교반 부재(31)가 삽입되고, 또한 개구(301)로부터 토너가 충전된 후, 그 용기 본체(300)에 씌어진 제 2 벽부(330)(도 6∼도 9 참조)가 되는 부재이다. 이 덮개의 내면 중앙에는 교반 부재(31)를 구성하는 축부재(311)의 지지 받음부(311b)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의 일례인 지지 구멍(33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그 지지 구멍(331)의 주위에는, 그 지지 구멍(331)을 향해서 오목해져서, 축부재(311)의 지지 받음부(311b)를 그 지지 구멍(331)에 안내하는 원추 형상의 안내 사면(斜面)(332)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벽부(320)에는, 기어(321)에 전달되어 온 구동력을 축부재(311)의 구동력 받음부(311a)에 전해주는 구동력 전달 기구(325)가 설치되어 있다.
교반 부재(31)는, 제 2 벽부(덮개)(330)의 부분이 개구한 상태의 용기 본체(300) 내에, 축부재(311)의 구동력 받음부(311a)가 구동력 전달 기구(325)와 맞물리는 방향으로 삽입되어서 설치된다.
교반 부재(31)가 용기 본체(300) 내에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시트 형상 부재(312)가 내주면과 접촉하고 있으므로, 축부재(311)는 동체(胴體)(310)의 중심으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이때, 제 2 아암 부재(314)는, 축부재(311)가 동체(310)의 대략 원통형 중심으로부터 크게는 쓰러지지 않도록 축부재(311)를 지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2 아암 부재(314)와 동체(310)의 내주면이 접촉한 상태에서, 지지 받음부(311b)가 안내 사면(332)의 직경 내에 위치한다. 그 상태에서 제 2 벽부(덮개)(330)를 씌우면, 축부재(311)의 지지 받음부(311b)는, 안내 사면(332)에 안내되어서 지지 구멍(331)으로 들어가고, 그 지지 구멍(33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 교반 부재(31)는, 구동력 받음부(311a)에, 기어(321)를 통해서 전달되어 온 구동력을 받아서 회전하고, 내부의 토너를 교반한다. 이때, 제 1 아암 부재(313), 제 2 아암 부재(314)는, 축부재(311)와 일체로 회전한다. 또한, 제 1 아암 부재(313), 제 2 아암 부재(314)의 길이는, 축부재(311)로부터 동부(310)의 내주면까지의 거리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축부재(311)의 회전시에, 제 1 아암 부재(313), 제 2 아암 부재(314) 모두, 내주면과는 접촉하지 않는다. 여기서, 토너 카트리지(3)는, 장치로의 장착시는 길이 방향이 가로 방향이 되는 자세로 장착되어서, 장치 내에서 그 자세로 사용되지만, 토너 카트리지(3)가 단체로 존재하고 있는 상태, 예를 들면 토너 카트리지(3)의 운반시나 보관시에는, 길이 방향이 세로 방향이 되는 자세로 놓여지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 내부의 토너가 하방으로 밀려서 응집될 우려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아암 부재(313), 제 2 아암 부재(314)가 제 1 벽부(320) 및 제 2 벽부(330)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 개시시에 교반 부재(31)가 회전하면, 제 1 아암 부재(313) 혹은 제 2 아암 부재(314) 중 응집하고 있는 측의 아암 부재에 의해 그 응집이 부서진다.
용기 본체(300)를 구성하는 동부(310)에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치에 장착되는 자세에 있어서의 축부재(311)보다 하부의 위치에, 내부의 토너를 장치를 향해서 공급하기 위한 개구(310a)가 형성되고, 그 개구(310a)는 셔터(340)로 막혀 있다. 여기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아암 부재(313)는, 이 교반 부재(31)가 회전했을 때에, 그 개구(310a)에 대면한 위치를 통과하도록 축부재(311) 위의 고정 위치가 정해져 있다. 제 1 아암 부재(313)가 그 개구(310a)에 대면한 위치에 통과함으로써, 그 개구(310a)의 부근에 응집 토너가 남아있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아암 부재(313)는 축부재(311)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축부재(311)의 동일 위치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이 때문에, 두 개의 제 1 아암 부재(313)의 쌍방이 개구(310a)에 대면한 위치를 통과하게 된다. 단, 두 개의 제 1 아암 부재(313)가 축부재(311)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서로 다른 위치로부터 연장된 구성으로 해서, 제 1 아암 부재(313) 중 한 개만이 개구(310a)에 대향하는 위치를 통과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여기서는 축부재(311)의 양단부에 아암 부재가 설치되어 있지만, 아암 부재는 반드시 양단부가 아니라, 예를 들면 축부재(311)의 중앙 부근에 설치해서, 조립시에 축부재가 크게는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해도 된다.
도 13, 도 14는 교반 부재를 구성하는 수지 성형품의, 각각, 구동력 받음부 측, 지지 받음부 측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이들 도 13, 도 14의 화살표(I)는, 축부재(311)의 회전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도 13, 도 14에 각각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아암 부재(313), 제 2 아암 부재(314)에는 각 사면(313a, 314a)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사면(313a, 314a)은, 화살표(I)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 간섭한 토너를, 축부재(311)의, 회전 중심선 방향의 중앙 쪽으로 미는 분력(分力)을 발생시킨다. 상술한 대로, 토너 카트리지(3)가 회전 중심선이 세로로 연장되는 자세로 놓여지면 내부의 토너가 하방으로 밀려서 응집 기미가 생길 우려가 있다. 제 1 아암 부재(313), 제 2 아암 부재(314)에 사면(313a, 314a)이 형성되어 있으면, 교반 부재(31)의 회전시에 응집 기미가 있는 토너가 단부로부터 벗어나는 측, 즉 축부재(311)의, 회전 중심선 방향의 중앙 쪽으로 미는 분력이 발생해서, 토너를 중앙 쪽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사면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아암 부재로 교반하는 것보다, 축부재의 회전 토크가 저감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두 개의 제 1 아암 부재(313) 및 두 개의 제 2 아암 부재(314) 모두 사면(313a, 314a)이 형성되어 있지만, 두 개의 제 1 아암 부재(313) 중 한 개에만, 및 두 개의 제 2 아암 부재(314) 중 한 개에만 사면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15는, 교반 부재를 구성하는 축부재를, 그 축부재가 연장되는 방향을 수선으로 하는 평면에서 단면해서 나타낸 도면이다.
이 축부재(311)는 재료의 절약 및 경량화를 위해 오목부(311e, 311f)를 갖는다. 이들 오목부(311e, 311f)는 축부재(311)의 축심 중앙 쪽은 좁고, 외측만큼 열린 형상을 갖는다. 이것도 토너의 응집을 막는 방안 중 한 개이다. 즉, 오목부(311e, 311f)에 들어간 토너가 들어간 채 응집 기미가 생기더라도, 오목부(311e, 311f)는, 축심으로부터 벗어날수록 열린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오목부(311e, 311f) 내의 토너는 밖으로 이동하기 쉽고, 오목부(311e, 311f)가 응집 토너로 막힌 채가 되는 것이 억제된다.
도 16은, 토너 카트리지의 조립 공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단 여기서는, 토너의 충전에 관한 공정은 생략되어 있다.
이 토너 카트리지의 조립에 있어서는, 동부(310)와 한쪽 단부를 막는 제 1 벽부(320)로 이루어지고, 다른 한쪽 단부의 개구(301)로부터 용기 본체(300)에, 교반 부재(31)가, 그 축부재(311)의 구동력 받음부(311a)를 선두로 해서 삽입된다(도 16의 (A), (B)).
용기 본체(300)에 교반 부재(31)가 삽입된 상태에서는, 축부재(311)는 구동력 받음부(311a) 측의 단부만 지지되고 지지 받음부(311b)는 지지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지만, 시트 형상 부재(312)와 제 2 아암 부재(314)의 작용에 의해, 축부재(311)의 지지 받음부(311b)는 동부(310)의 중심 부근에 유지된다(도 16의 (C-1), (C-2)). 또한, (C-1)은, (A), (B)와 마찬가지로 동부(310)를 투명하게 해서 나타낸 도면, (C-2)는 (C-1)과 같은 상태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따라서 제 2 벽부(덮개)(330)를 씌웠을 때, 지지 받음부(311b)는 제 2 벽부(덮개)(330)의 안내 사면(332)에 안내되어서 지지 구멍(331)에 들어가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도 17은 교반 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 17에 나타내는 교반 부재(31´)의, 지금까지 설명해 온 교반 부재(31)와의 차이점은, 시트 부재(312´)에 있다.
이 시트 부재(312´)에는, 비스듬한 절단선(312a)이 형성되어 있다. 이 도면에 나타내는 방향으로 절단선(312a)을 마련함으로써, 이 교반 부재가 축부재(311)를 가로 방향으로 해서 회전했을 때에, 토너를 지지 받음부(311b) 측으로부터 구동력 받음부(311a) 측을 향해서 이동시키는 힘이 발생한다. 이 것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토너를 장치에 공급하는 개구(310a)(도 8 참조)가 구동력 받음부(311a) 측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토너를 그 개구(310a)를 향해서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이 시트 부재(312´)는, 동부(310)의 내주면을 향하는 방향의 길이(축부재(311)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의 길이)에 관한 것으로서, 지지 받음부(311b) 측이 길고, 도중에 조금 짧아져 있다. 이것은, 지지 받음부(311b) 측의 토너를 보다 강하게, 개구(310a)(도 8 참조)를 향해서 이동시키는데도 도움이 되고 있다.
또한, 이 시트 부재(312´)는 절단선(312a)과는 역으로 비스듬히 형성된 절단선(312b)을 갖고, 이에 따라 구동력 받음부(311a) 측에 양측이 거의 삼각형 형상으로 절단된 정상부(312c)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정상부(312c)는, 축부재(311)의 길이 방향에 관한 것으로서, 제 1 아암 부재(313)와 같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와 같이 제 1 아암 부재(313)는, 토너 공급용 개구(310a)에 대면한 위치를 통과해서 회전한다. 따라서 시트 형상 부재(312´)의 정상부(312c)도 그 개구(310a)를 통과한다. 이 시트 부재(312´)는 동부(310)의 내주면과 접촉하면서 회전하는 만큼의 길이를 갖고, 따라서 이 정상부(312c)는 그 개구(310a)의 내부에 들어가도록 해서 그 개구(310a)를 지나친다. 이 정상부(312c)가 설치되어 있으면, 개구(310a) 내측에 있는 토너를 개구(310a)로부터 압출하는 힘이 작용한다.
(돌기부)
전술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벽부(320)의 외벽면을 형성하는 캡(322)에는, 돌기부(323)가 형성되어 있다.
도 18은, 그 돌기부(323)를 제 1 벽부 측에서 회전 중심선 방향으로 본 측면도이다. 또한 도 19는 그 돌기부(323)를 제 2 벽부(덮개) 측에서 회전 중심선 방향으로 본 측면도이다.
또한, 도 20은, 그 돌기부(323)를 그 돌기의 선단 방향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돌기부(323)는, 도 7 및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원통형 동부(310)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셔터(340)와 제 1 벽부(320)의 외벽면 사이의 위치이며, 또한, 축부재(311)를 회전 중심으로 한 회전 방향에 대해서, 닫힘 위치에 있는 셔터(340)의, 열림 위치를 향하는 이동 방향(화살표(G) 방향) 전단에 나란한 위치에 있다. 또한 이 돌기부(323)는, 도 19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셔터(340)의 전단과 함께, 전술한 이동 저지 후크(343)에도 나란한 회전 방향의 폭을 갖는다. 또한, 이 돌기부(323)는, 동부(310)의 회전 중심선으로부터의 반경 방향에 대해서는, 도 18, 도 19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동 저지 후크(343)보다 그 반경 방향 바깥 방향으로 높게 돌출되어 있다.
셔터(340)는, 그 셔터(340)의 외면으로부터 전체가 밀렸을 때는 내부의 토너가 새는 것을 발생시키기 어렵지만, 셔터(340)의 각부가 밀리면 그 각부로부터 벗어난 부분이 들뜰 기미가 생기고, 그러면서 내부의 토너가 새어 나갈 우려가 있다.
여기서는, 돌기부(323)가 셔터(340)의 각부(340a)의 근처에 설치되어 있고, 셔터(340)의 각부(340a)를 하향으로 해서 이 토너 카트리지(3)를 낙하시켰을 때, 낙하에 의한 충격을 돌기부(323)가 받아내고, 셔터(340)의 각부(340a)가 밀려서 셔터가 벗어난 측이 부상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동 저지 후크(343)는, 토너 카트리지(3)가 단체 상태에 있을 때는 셔터(340)를 닫힘 위치에 정지시키고, 장치에 장착되었을 때에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해 밀려서 셔터(340)의 움직임을 허용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낙하 등에 의해 이 이동 저지 후크(343)가 밀리면 셔터(340)가 열림 위치를 향해서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되고, 낙하의 충격 등으로 셔터(340)가 열림 위치를 향해서 다소 이동하여, 동부(310)의 개구(310a)(도 8, 도 16 참조)로부터 나온 토너가 밖으로 누출될 우려가 있다.
본 실시형태의 돌기부(323)는, 이동 저지 후크(343)와 상기의 관계에 있어, 낙하 충격 등으로 이동 저지 후크(343)가 밀리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 토너 카트리지(3)가 장치에 장착된 후의, 장치 측의 고정 부재(26)(도 1 참조)의 화살표(F)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셔터(340)가 닫힘 위치로부터 열림 위치로 이동한다. 돌기부(323)는, 셔터(340)가 열림 위치까지 이동했을 때 그 고정 부재(26)에 맞닿으며, 그 고정 부재(26)의, 셔터(340)를 더 여는 방향으로, 더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스토퍼로서의 역할도 맡고 있다. 이 점에 대해서는 더 나중의 설명으로 미룬다.
또한 도 7,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벽부(320)를 구성하는 캡(322)에는, 제 1 빠짐 방지부(324a)와 제 2 빠짐 방지부(324b)로 이루어지는 빠짐 방지부(324)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벽부(덮개)(330)에도, 제 1 빠짐 방지부(334a)와 제 2 빠짐 방지부(334b)로 이루어지는 빠짐 방지부(334)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벽부(320) 측의 제 1 빠짐 방지부(324a)는, 캡(322)의 외면, 즉 회전 중심선과 교차하는 평면을 따라 연장되는 외팔보 형상을 갖고, 한편 제 2 벽부(덮개)(330) 측의 제 1 빠짐 방지부(334a)는, 그 제 1 벽부(덮개)(330)로부터 회전 중심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된 외팔보 형상을 갖는다. 이들 빠짐 방지부(324, 334)에 관한 상세한 설명도 뒤로 미룬다.
(쉴드)
도 4∼도 7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토너 카트리지(3)의 동부(310)에는 쉴드(3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쉴드(33)는 장치에 장착되는 자세에 있어서의 손잡이(32)의 하부에 있어서, 동부(310)의 외면의 일부를 이루는 평면을 형성하고 있다(도 4, 도 5 참조). 쉴드(33)를 평면으로 형성함으로써 수지 성형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이 쉴드(33)는, 닫힘 위치에 있는 셔터(340)의, 회전 방향에 대한 손잡이(32) 측의 단부(340b)(도 7, 도 18, 도 19 참조)의 근방이고, 또한 회전 중심선으로부터의 반경 방향에 대해서 셔터(340)의 손잡이(32) 측의 단부(340b)보다 높은 위치에 확장되어 있고, 동부(310)의 외면의 일부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이 쉴드(33)는 낙하시에 셔터(340)의 단부(340b)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이 쉴드(33)는 회전 중심선 방향에 대해서, 셔터(340)에 나란한 위치, 및 회로 기판(350)에 나열되는 위치의 쌍방으로 확장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이 쉴드(33)는 손잡이(32)를 쥔 손이 셔터(340)나 회로 기판(350)에 부주의하게는 닿지 않도록, 유저의 손이 닿는 영역과 셔터(340)나 회로 기판(350)이 배치된 영역을 분리하는 역할도 맡고 있다.
또한 이 쉴드(33)는, 도 4, 도 5를 참조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 토너 카트리지(3)가 장치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그 장치의, 이 토너 카트리지(3)를 받아 들이는 공간을 형성하는 내벽면 중 저면(28)(도 4, 도 5 참조)에 근접한 위치까지 확장되어 있다. 따라서, 토너 카트리지(3)가 장치에 장착되면, 쉴드(33)가 장치 외부와 회로 기판(350) 사이를 차폐하고, 유저가 토너 카트리지(3)의 장착 방향에서 보아도, 개구(310a)나 회로 기판(350)이 보이지 않는다. 또한, 쉴드(33)와 저면(28)의 극간에 손가락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손가락이 회로 기판(350) 등으로 가까이 와서 회로가 정전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개구부의 형상)
도 21은, 셔터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의 토너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셔터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의 토너 카트리지는 도 6에 나타나 있다.
또한, 셔터 개폐의 메커니즘에 관한 설명은 후술하는 것으로 하고, 여기서는 셔터가 개폐하는 것을 다룬다.
또한, 도 22는 토너 카트리지로부터 셔터 자체를 분리해서 동부의 개구 부분을 노출시킨 상태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23은 동부에 설치된 개구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24는 도 23에 나타내는 화살표(X-X)를 따르는 단면도이다.
이 토너 카트리지(3)의 동부(310)에는, 도 8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토너 카트리지(3)가 장치에 장착되는 자세에 있을 때의 회전 중심선보다 하방이며, 또한 제 1 벽부(320) 쪽의 위치에, 토너 카트리지(3)의 내부의 토너를 장치에 공급하는 개구(310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동부(310)에는, 그 개구(310a)보다, 셔터(340)가 도 21에 나타내는 열림 위치로부터 도 6에 나타내는 닫힘 위치를 향해서 이동하는 이동 방향(화살표(H) 방향) 전방에, 셔터(340)에 의해 그 이동 방향으로 밀려 온 토너를 모으는 저장실(310b)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저장실(310b)은, 닫힘 위치까지 이동해 온 셔터(340)에 의해 덮인다.
이렇게, 이 위치에 저장실(310b)을 설치함으로써, 열림 위치로부터 닫힘 위치를 향하는 셔터(340)에 의해 토너가 셔터(340)의 이동 방향으로 밀려도, 그 밀린 토너는 저장실(310b)에 모아져, 밖으로 누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 저장실(310b)은,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중심선 방향에 관해서, 개구(310a)와 동일 폭(d)을 갖고, 또한 개구(310a)와의 사이에, 셔터(340)의 이동 방향으로, 그 회전 중심선 방향 전체 폭(d), 및 저장실(310b)의, 회전 중심선으로부터의 반경 방향 전체 높이(h)에 걸쳐서 열린 통로(310e)를 갖는다. 통로(310e)가 이렇게 열려있으므로, 저장실(310b)이 토너로 가득 차도 그 토너는 개구(310a) 측으로 이동해서 그 토너가 밖으로 넘쳐 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이 저장실(310b)의, 셔터(340)가 열림 위치로부터 닫힘 위치를 향해서 이동하는 이동 방향 전방에 탄성체(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펀지(344))가 배치되어 있어서,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닫힘 위치까지 이동해 온 셔터(340)의 가장자리(340c)가 맞닿는다. 이 스펀지(344)가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저장실(310b) 내의 토너가 밖으로 흘러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셔터 개폐 기구)
도 25, 도 26은 서로 상이한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토너 카트리지와 고정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 고정 부재(26)는 장치 측인 프로세스 카트리지(2)(도 1 참조)에 조립 부착되어, 유저가 손잡이(261)를 쥐고 도 1에 나타내는 화살표(E-F)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부재이다.
여기서는, 장치 측으로부터 고정 부재(26)만을 분리해서, 토너 카트리지(3)와 함께 나타내고 있다.
이 고정 부재(26)의 양측면에는, 장치 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리브(262)와, 토너 카트리지(3)의 제 1 벽부(320)에 설치된 빠짐 방지부(324)(예를 들면 도 7 참조), 및 제 2 벽부(330)에 설치된 빠짐 방지부(334)를 받아들이는 노치부(263, 26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고정 부재(26)의 내면에는, 돌기(265) 및 사면(266)이 설치되고, 또한 이 고정 부재(26)에는, 내외면으로 관통하는 슬릿(267)이 형성되어 있다.
돌기(265)는 토너 카트리지(3)의 장착시에 셔터(340)의 홈(342)(도 7 참조)으로 들어가서, 고정 부재(26)의 회전에 의해 셔터(340)를 개폐시키는 돌기이다.
또한 사면(266)은, 토너 카트리지(3)가 장착되었을 때에 이동 저지 후크(343)(도 7, 도 25 참조)가 맞닿는 위치에 있으며, 이동 저지 후크(343)는 그 사면(266)에 의해, 셔터(340)가 닫힘 위치로부터 열림 위치를 향해서 이동 가능한 위치까지 압하된다.
또한, 슬릿(267)에는 토너 카트리지(3)에 설치된 돌기부(323)(도 7, 도 25 참조)가 들어가고, 고정 부재(26)의 회전 범위를 정하는 슬릿이다.
도 27, 도 28은 토너 카트리지(3)가 고정 부재(26)에 들어감으로써 장치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7은, 토너 카트리지(3)가 장착된 후이며, 고정 부재(26)를 회전시키기 전의 도면이고, 도 28은 고정 부재(26)를 더 회전시킨 후의 도면이다.
토너 카트리지(3)가 장착되면,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기부(323)가 슬릿(267)에 들어간다. 또한 손잡이(261)를 쥐고 고정 부재(26)를 화살표(F) 방향으로 돌리면,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기부(323)가 슬릿(267) 내를 이동해서(실제로는 슬릿(267) 쪽이 이동해서), 돌기부(323)가 그 슬릿(267)의 단연(端緣)에 맞닿아서, 고정 부재(26)는 화살표(F) 방향으로는 더 이상 회전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이때 셔터(340)(예를 들면 도 7 참조)는 열림 위치로 이동해 있다.
또한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너 카트리지(3)가 장착되면, 빠짐 방지부(324)는 노치부(263)에 들어간다.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른 한쪽 빠짐 방지부(334)도, 노치부(264)에 들어간다. 이 고정 부재(26)가 화살표(F) 방향으로 회전하면,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빠짐 방지부(324) 중 제 2 빠짐 방지부(324b)가 노치부(263)에 밀려, 토너 카트리지(3)가 장치로부터 발출되지 않는 상태로 고정된다. 다른 한쪽 빠짐 방지부(334)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 빠짐 방지부(324, 334)에 관한 상세 설명은 뒤로 더 미룬다.
다음에는 토너 카트리지(3)의 셔터 부분의 단면을 이용하여 셔터의 개폐 기구를 또 한번 설명한다.
도 29는 장착 전의 토너 카트리지와 그 토너 카트리지를 받아 들이는 고정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 29에는 이동 저지 후크(343)와, 그 이동 저지 후크(343)을 압하하는 사면(266)이 나타나 있다. 또한 이 도 29에는 셔터(340)를 개폐시키기 위한 돌기(265)도 나타나 있다. 이동 저지 후크(343)는 외팔보 형상으로 연장된 부분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 이동 저지 후크(343)는 셔터(340)의 열림 위치로의 이동 방향 선단부에 걸리는 위치까지 들려 올려져 있다. 또한 토너 공급용 개구(310a)는 셔터(340)에 의해 닫혀 있다.
도 30, 도 31은 토너 카트리지(3)가 장착된 후, 고정 부재의 회전 전의 상태의, 각각 단면 측면도 및 단면 사시도이다. 단, 도 30은 이동 저지 후크(343)의 부분을 단면해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1은 돌기(265)의 부분을 단면해서 나타낸 도면이다.
이 단계에서는, 이동 저지 후크(343)는 사면(266)에 밀려서 압하되어, 셔터(340)가 이동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돌기(265)는 셔터(340)의 홈(342)(도 7을 합쳐서 참조)에 들어가 고정 부재(26)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하는 상태로 되어 있다. 토너 공급용 개구(310a)는 셔터(340)에 의해 막힌 상태에 있다.
도 32, 도 33은, 도 30, 도 31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고정 부재(26)를 더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각각 단면 측면도 및 단면 사시도이다.
고정 부재(26)를 화살표(F)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홈(342)(도 7을 합쳐서 참조)에 들어간 돌기(265)가 셔터(340)를 같은 회전 방향으로 열림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그러면, 도 3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310a)가 개방되어, 토너 카트리지(3) 내의 토너가 장치 측에 공급되는 상태가 된다.
(빠짐 방지부)
다음으로, 토너 카트리지(3)의 제 1 벽부(320)와 제 2 벽부(덮개)(330)에 설치된 빠짐 방지부의 작용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34는 토너 카트리지(3)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토너 카트리지의 제 1 벽부 측으로부터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 도 34에는, 토너 카트리지(3)와, 고정 부재(26)와 그 고정 부재(26)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도 1 참조)를 구성하는 지지 부재(410)가 나타나 있다.
고정 부재(26)의 측면에 설치된 리브(262)는, 지지 부재(410)에 설치된 원호 형상의 슬릿(411)에 끼워져 있고, 고정 부재(26)는 지지 부재(4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여기에는 제 1 벽부(320) 측이 나타나있지만, 제 2 벽부(덮개)(330) 측에 관해서도 이와 마찬가지로, 고정 부재(26)는 지지 부재(4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지지 부재(410)에는 빠짐 방지부(324)를 받아들이는 길게 연장되는 긴 홈(412)이 형성되어 있고, 그 긴 홈(412)에는 단차부(413)가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벽부(320)에는, 그 제 1 벽부(320)의 외벽면을 형성하는 캡(322)에, 제 1 빠짐 방지부(324a)와 제 2 빠짐 방지부(324b)로 이루어지는 빠짐 방지부(324)가 설치되어 있다. 이 빠짐 방지부(324)는,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322)의 외면으로부터 회전 중심선 방향 바깥 방향으로 돌출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빠짐 방지부(324)를 구성하는 제 1 빠짐 방지부(324a)는, 캡(322)의 외벽면을 따르는 방향, 즉 회전 중심선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팔보 형상을 갖는다. 캡(322)에는 관통한 구멍(326)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멍(326)은, 이 외팔보 형상의 제 1 빠짐 방지부(324a)를 포함하는 빠짐 방지부(324)를 수지 성형에 의해 형성하는 필요상 설치된 구멍이다.
도 35는 토너 카트리지가 장치에 장착된 후, 고정 부재를 회전시키기 전의 상태를, 토너 카트리지의 제 1 벽부 측으로부터 나타낸 측면도이다.
토너 카트리지를 장착하면, 빠짐 방지부(324)는 지지 부재(410)의 긴 홈(412)에 들어가서, 제 1 빠짐 방지부(324a)의 선단이 긴 홈(412) 내의 단차부(413)에 걸린다. 이 상태에서는 토너 카트리지(3)를 어느 정도 강하게 빼내면, 그 제 1 빠짐 방지부(324a)가 탄성 변형해서 단차부(413)로부터 벗어나, 토너 카트리지(3)를 빼낼 수 있다. 단 토너 카트리지(3)를 빼내려고 하지 않는 한, 제 1 빠짐 방지부(324a)는 단차부(413)에 걸린 채의 상태로 남아있다.
상술한 대로, 제 1 벽부(320)에는, 교반 부재(31)(도 1 참조)를 회전시키기 위한 기어(321)(예를 들면 도 7 참조)나, 이동 저지 후크(343)(도 7 참조)를 미는 사면(266)(도 26 참조) 등이 배치되어 있으며, 토너 카트리지(3)를 장치에 장착하면 어느 정도의 반력을 받는다. 이 때문에, 제 1 빠짐 방지부(324a)가 없으면 한쪽 손으로 토너 카트리지(3)를 장착한 상태로 민 채, 다른 한쪽 손으로 고정 부재(26)를 돌릴 필요가 있다.
제 1 빠짐 방지부(324a)가 단차부(413)에 걸린 상태는, 이동 저지 후크(343)가 사면(266)에 의해 밀려서 셔터(340)를 이동시킬 수 있는 상태에 있고, 토너 카트리지(3)를 제 1 빠짐 방지부(343a)가 단차부(413)에 걸릴 때까지 장착하면, 토너 카트리지(3)로부터 손을 떼고, 고정 부재(26)의 손잡이(261)로 바꿔 쥐어서 고정 부재(26)를 돌림으로써, 토너 카트리지(3)의 장착이 완료된다.
도 36은, 도 35와 같이, 토너 카트리지를 장착한 후, 고정 부재를 돌리기 전의 상태를, 지지 부재(410)의 앞쪽 측의 벽면을 분리해서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 36에는 지지 부재(410)의 내측에 있는 고정 부재(26)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상태에서는, 빠짐 방지부(324)는 고정 부재(26)의 노치부(263)에 받아들여지고 있지만, 노치부(263)와는 간섭하고 있지 않다. 도 3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상태에서는, 빠짐 방지부(324) 중 제 1 빠짐 방지부(324a)는, 고정 부재(26)의 외측에 위치하는 지지 부재(410)의 단차부(413)에 걸린 상태에 있다.
도 37은, 도 36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고정 부재(26)를 화살표(F) 방향으로 회전시킨 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 37도, 도 36과 마찬가지로, 지지 부재(410)는 제거해서 나타내고 있다.
고정 부재(26)를 화살표(F) 방향으로 돌리면, 상술한 대로 셔터가 열림 위치로 이동함과 함께, 도 3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빠짐 방지부(324b)가 고정 부재(26)의 노치부(263)에 의해 장착 방향으로 밀려, 토너 카트리지(3)는 확실하게 빠짐 방지된 상태가 된다.
도 38은, 토너 카트리지의 제 2 벽부(덮개) 측의 빠짐 방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 38, 및 다음에 설명하는 도 39는, 토너 카트리지의 내측으로부터 제 2 벽부(덮개) 측을 보았을 때의 도면으로서, 토너 카트리지 자체는, 빠짐 방지부만을 남기고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토너 카트리지(3)의 제 2 벽부(덮개)에도 제 1 빠짐 방지부(334a)와 제 2 빠짐 방지부(334b)로 이루어지는 빠짐 방지부(334)가 설치되어 있다. 이 빠짐 방지부(334)는, 제 2 벽부(덮개)(330)로부터 회전 중심선 방향 바깥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도 25, 도 26 참조). 여기서, 이 빠짐 방지부(334)를 구성하는 제 1 빠짐 방지부(334a)는, 제 1 벽부(320) 측의 제 1 빠짐 방지부(324a)(예를 들면 도 27 참조)와 상이하고, 회전 중심선 방향 바깥 방향으로 연장된 외팔보 형상을 갖는다. 이것은, 토너를 밀봉할 필요상, 제 2 벽부(덮개)(330)에는, 제 1 벽부(320)를 구성하는 캡(322)과 같이 성형을 위한 구멍(326)(도 34 참조)을 설치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또한 이 제 2 벽부(덮개)(330) 측의 제 1 빠짐 방지부(334a)는, 제 1 벽부(320) 측의 제 1 빠짐 방지부(324a)와 비교하여, 고정단과 자유단 사이의 길이가 짧다. 이것은, 토너 카트리지(3)를 장치에 장착했을 때에, 제 2 벽부(330) 측 쪽이 제 1 벽부(320) 측보다 반력이 작고, 따라서 제 1 빠짐 방지부(334a)의 길이를 짧게 해서 반력의 밸런스를 잡기 위해서이다. 즉, 반력의 약한 쪽을 약하게 걸어둠으로써, 토너 카트리지(3)를 빼낼 때에, 회전 중심선과 평행하게 빼내기 쉬워진다.
지지 부재(410)는 제 2 벽부(덮개)(330) 측에도 긴 홈(414)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제 1 빠짐 방지부(334a)가 걸리는 단차부(415)가 형성되어 있다. 토너 카트리지(3)를 장착하면 제 1 빠짐 방지부(334a)가 그 단차부(415)에 걸린 상태가 된다. 여기서, 이 제 2 벽부(덮개)(330) 측의 제 1 빠짐 방지부(334a)는, 단차부(415)에, 제 1 벽부(320) 측의 제 1 빠짐 방지부(324a)의 단차부(413)에 걸림에 의한 빠짐 방지력의 강도보다 약한 빠짐 방지력으로 걸려 있다. 이것은, 상술한 대로, 토너 카트리지(3)를 빼낼 때에, 제 1 빠짐 방지부(324a, 334a)가 단부(413, 415)로부터 좌우 동일한 레벨의 힘으로 빠지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도 39는 도 38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고정 부재를 돌려서 셔터를 연 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고정 부재(26)를 화살표(F) 방향으로 돌리면, 제 2 빠짐 방지부(334b)가 고정 부재(26)의 노치부(264)에 의해 밀리고, 토너 카트리지(3)가 확실하게 빠짐 방지된다.
(셔터 유지 구조)
다음으로 셔터(340)가 동부(310)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유지되는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부(310)에는, 셔터(340)를 동부에 유지함과 함께 이 셔터(340)의 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안내부(360)가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안내부(360)는 개구(310a)를 사이에 끼워서 동부(310)의 길이 방향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안내부(360)의 각각은, 개구(310a)의 가장자리를 따라, 도 21에 나타내는 셔터(340)가 이동하는 이동 방향(화살표(H,G)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한 쌍의 안내부(360)는 개구(310a)의 가장자리보다 길게 연장되어 있고, 한쪽 안내부(360)의 H방향 선단에는, 이동 저지 후크(343)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다시 도 9도 참조해서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한 쌍의 안내부(360)는, 동부(3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길이 방향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튀어나온 형상을 갖고 있다. 안내부(360)는 동부(310)의 외면 사이에 극간을 두고 튀어나와 있다. 셔터(340)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튀어나온 한 쌍의 안내부(360)를, 동부(310)의 길이 방향 양쪽 외측으로부터 움켜쥐도록 해서, 동부(310)의 외면에 위치하도록 안내부(360)에 지지되어 있다. 즉, 안내부(360)는 셔터(340)의 내측에 위치해 있다. 그리고, 안내부(360)는 궤조(레일)로서 기능해서, 안내부(360)가 연장되는 방향, 즉 도 21에 나타내는 이동 방향(화살표(H, G) 방향)으로, 셔터(340)의 내측을 유지한 상태로 이동을 안내한다.
셔터(340)의 내측에는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는 시일 부재(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고, 셔터(340)가 개구(310a)를 닫은 상태에서, 시일 부재는 셔터(340)의 내측의 개구(310a)와 대향한다. 셔터(340)를 안내부(360)에 유지시킨 상태에서, 시일 부재는 자유장(自由長)보다 찌그려뜨려진 상태가 되고, 토너가 새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셔터(340)의 이동에 대하여 항력을 발생시키고 있다.
또한, 상술한 돌기부(323)는 안내부(360)와는 별개의 부분이며, 안내부(360)로부터 벗어난 위치에서 돌출되어 있다. 또한, 돌기부(323)는 안내부(360)에 유지된 셔터(340)로부터도 벗어난 위치가 되며, 셔터(340)와는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돌기부(323)가 받아낼 때에, 안내부(360) 및 셔터(340)에 전달되는 충격은, 돌기부(323)가 안내부(360)나 셔터(340)와 접촉하도록 설치되었을 경우와 비교해서 저감된다. 또한 안내부(360)는 셔터(340)의 내측에 위치하고, 토너 카트리지(3)의 외면에는 노출되어 있지 않다.
또한 돌기부(323)는, 닫힘 위치에 위치하는 셔터(340)의 단부와 나란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동부(310)의 길이 방향에서 보면, 돌기(323)와 셔터(340)의 단부 및 이동 저지 후크(343)가 겹친다.
또한, 도 7, 도 8에 나타난 방향 표지(327)는, 토너 카트리지(3)가, 장치에 장착되는 장착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안내부의 예로서, 동부(310)와 일체로 형성되며, 서로 반대 방향으로 튀어나온 한 쌍의 안내부(360)가 나타나 있다. 단,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안내부는 예를 들면 동부와는 다른 부재로 동부에 접합된 것이어도 된다. 또한 안내부는, 예를 들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튀어나오거나, 대향하는 면에 홈 등을 갖고, 셔터를 양측으로부터 끼우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어도 된다.
1 프린터
2 프로세스 카트리지
3 토너 카트리지
11 프린터 본체
26 고정 부재
27, 32, 261 손잡이
28 저면
31 교반 부재
33 쉴드
121a 힌지부
262 리브
263, 264 노치부
265 돌기
266 사면
300 용기 본체
301, 310a 개구
310 동부
310b 저장실
310e 통로
311 축부재
311a 구동력 받음부
311b 지지 받음부
311c 위치 결정용 보스
311d 고정용 보스
311e, 311f 오목부
312, 312´시트 형상 부재
312a, 312b 절단선
312c 정상부
313 제 1 아암 부재
313a, 314a 사면
314 제 2 아암 부재
320 제 1 벽부
321 기어
322 캡
323 돌기부
324, 334 빠짐 방지부
324a, 334a 제 1 빠짐 방지부
324b, 334b 제 2 빠짐 방지부
325 구동력 전달 기구
326 구멍
327 방향 표지
330 제 2 벽부(덮개)
331 지지 구멍
332 안내 사면
340 셔터
340a 각부
340b 단부
340c 가장자리
341 창
342 홈
343 이동 저지 후크
344 스펀지
350 회로 기판
360 안내부
410 지지 부재
411 슬릿
412, 414 긴 홈
413, 415 단차부

Claims (6)

  1. 동부(胴部; body)와, 상기 동부의 길이 방향의 한쪽 단부(端部) 및 다른 쪽 단부를 각각 막는 한 쌍의 벽부를 갖고 내부에 분체가 수용되며, 상기 분체를 사용하는 장치에 장착되는 분체 용기로서,
    상기 동부가, 상기 한쪽 단부 쪽의 위치에, 상기 분체 용기 내의 분체를 상기 장치에 공급하는 개구를 갖고,
    상기 분체 용기가 또한,
    상기 장치로의 장착 전은 상기 개구를 막는 닫힘 위치에 있고, 상기 장치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개구를 개방한 열림 위치까지 상기 동부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는 셔터와,
    상기 셔터를 상기 동부에 유지함과 함께 상기 셔터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와,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해서 상기 셔터와 상기 한쪽 벽부의 외벽면 사이의 위치이며, 또한 상기 셔터의 이동 방향에 대해서, 상기 닫힘 위치에 있는 상기 셔터의 단부와 나란한 위치에, 상기 동부의 길이 방향의 중심선으로부터의 반경 방향 바깥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셔터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체 용기가 또한, 상기 닫힘 위치에 있는 상기 셔터의 단부와 인접한 위치에, 상기 장치로의 장착 전은, 상기 닫힘 위치에 있는 상기 셔터의, 상기 닫힘 위치로부터 상기 열림 위치를 향하는 이동을 저지하는 높이까지 돌출되며, 상기 장치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장치 측의 부재에 밀려서 상기 셔터의 당해 이동을 허용하는 높이까지 압하(押下)되는 저지 후크를 갖고,
    상기 돌기부가, 상기 셔터의 이동 방향에 대해서, 상기 셔터의 단부에 나란함과 함께 상기 저지 후크에도 나란한, 상기 셔터의 이동 방향의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가, 돌출된 상태에 있는 상기 저지 후크의, 상기 중심선으로부터의 반경 방향 선단보다, 상기 반경 방향 바깥 방향으로 높게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상기 장치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장치 측의 이동 가능한 부재로부터의 작용을 받아서 상기 개구를 개방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분체 용기가 상기 장치에 장착된 후의, 상기 장치 측의 상기 부재의 이동에 의해 상기 셔터가 상기 닫힘 위치로부터 상기 열림 위치까지 이동했을 때에 상기 부재에 맞닿아서, 상기 부재의, 상기 셔터를 더 여는 방향으로 더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용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분체 용기가 장착되며, 상기 분체 용기 내에 수용된 분체로 화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130005587A 2012-02-21 2013-01-17 분체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13322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35557 2012-02-21
JP2012035557 2012-02-21
JP2012162032A JP5110219B1 (ja) 2012-02-21 2012-07-20 粉体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JP-P-2012-162032 2012-07-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6172A true KR20130096172A (ko) 2013-08-29
KR101332275B1 KR101332275B1 (ko) 2013-11-22

Family

ID=47528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5587A KR101332275B1 (ko) 2012-02-21 2013-01-17 분체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676096B2 (ko)
JP (1) JP5110219B1 (ko)
KR (1) KR101332275B1 (ko)
CN (1) CN103257549B (ko)
AU (1) AU2013200135B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58725B2 (en) * 2012-02-21 2015-02-17 Fuji Xerox Co., Ltd. Powder container having shield for shutt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mounted with the same
JP5564612B1 (ja) 2013-12-27 2014-07-3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現像剤収容容器、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6547340B2 (ja) * 2015-03-12 2019-07-2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粉体搬送部材、粉体収容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1543379S (ko) * 2015-07-22 2016-02-08
USD781376S1 (en) * 2015-08-27 2017-03-14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Toner cartridg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04246B2 (ja) 1994-04-08 2007-04-11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補給装置及び現像装置
JP3267879B2 (ja) 1996-11-13 2002-03-25 京セラミタ株式会社 トナー補給装置および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3445202B2 (ja) * 1999-03-29 2003-09-08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補給容器
JP2003280347A (ja) 2002-03-26 2003-10-02 Canon Inc 現像剤補給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3854893B2 (ja) 2002-04-25 2006-12-0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容器
JP4109177B2 (ja) 2003-09-30 2008-07-02 京セラミタ株式会社 トナー供給装置およびシャッタ構造
JP4037390B2 (ja) * 2004-07-07 2008-01-23 シャープ株式会社 現像剤供給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134061B2 (ja) 2005-02-14 2008-08-13 シャープ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それが装着される画像形成装置
JP4328773B2 (ja) * 2005-03-04 2009-09-09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KR100694128B1 (ko) * 2005-06-20 2007-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토너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4525782B2 (ja) 2008-03-24 2010-08-1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剤収容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EP3623873B1 (en) 2008-09-09 2022-03-09 Ricoh Company, Ltd. Ton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600560B2 (ja) * 2008-09-26 2010-12-1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収容容器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4396867B1 (ja) * 2009-05-15 2010-01-1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像形成剤収容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413251B2 (ja) * 2010-03-05 2014-02-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720955B2 (ja) * 2010-09-28 2011-07-1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収容容器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216273A1 (en) 2013-08-22
AU2013200135A1 (en) 2013-09-05
CN103257549B (zh) 2019-01-11
US8676096B2 (en) 2014-03-18
CN103257549A (zh) 2013-08-21
JP5110219B1 (ja) 2012-12-26
KR101332275B1 (ko) 2013-11-22
JP2013200545A (ja) 2013-10-03
AU2013200135B2 (en) 201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40067B2 (ja) 粉体案内装置及びその粉体案内装置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KR101332275B1 (ko) 분체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1717464B1 (ko) 분체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EP2597533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mechanism for restricting removal of developing device
KR101441471B1 (ko) 상 형성제 수용 용기, 화상 형성 장치, 및 상 형성제의 충전 방법
JP2004258472A (ja) トナー補給装置
US911040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toner case
CN103558743A (zh) 图像形成装置
KR101302007B1 (ko) 상형성제 수용 용기, 화상 형성 장치, 및 상형성제의 충전 방법
US10295958B2 (en) Packing member
KR101065285B1 (ko) 수용 용기 및 이것을 사용한 화상 형성 장치
JP5024491B1 (ja) 粉体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083473B1 (ja) 粉体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024492B1 (ja) 粉体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3171202A (ja) 粉体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978508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developer container, and the developer container
JP2012203241A (ja) 画像形成装置の開閉機構、現像剤の収容容器、画像形成装置
JP2017198921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