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5666B1 - 상형성제 수용 용기, 화상 형성 장치, 상형성제 수용 용기의 장착 방법, 및 상형성제 수용 용기의 분리 방법 - Google Patents

상형성제 수용 용기, 화상 형성 장치, 상형성제 수용 용기의 장착 방법, 및 상형성제 수용 용기의 분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5666B1
KR101365666B1 KR1020100010316A KR20100010316A KR101365666B1 KR 101365666 B1 KR101365666 B1 KR 101365666B1 KR 1020100010316 A KR1020100010316 A KR 1020100010316A KR 20100010316 A KR20100010316 A KR 20100010316A KR 101365666 B1 KR101365666 B1 KR 101365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orming
main body
container
forming apparatus
guid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0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2526A (ko
Inventor
가즈노리 고시모리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02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2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5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5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6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mechanical means, e.g. shutter, plu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03G15/0868Toner cartridges fulfilling a continuous function within the electrographic apparatus during the use of the supplied developer material, e.g. toner discharge on demand, storing residual toner, acting as an active closure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7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box like sha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8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having a box like sha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92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using a slidable sealing member, e.g. shutter

Abstract

본 발명은 파손을 생기기 어렵게 할 수 있는 상(像)형성제 수용 용기, 화상 형성 장치, 상형성제 수용 용기의 장착 방법, 및 상형성제 수용 용기의 분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수용 용기(300)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 내에 장착되는 용기 본체(310)와, 용기 본체(310)의 앞쪽의 면(310a)에 설치되고, 구동이 전달되는 기어(370)와, 용기 본체(310)의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 내(內)로의 장착을 안내하는 안내용 돌기(394)를 갖고, 안내용 돌기(394)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 내에 장착되는 장착 방향에서 기어(370)보다 전방 위치에 있고, 용기 본체(310)의 앞쪽의 면(310a)에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상형성제 수용 용기, 화상 형성 장치, 상형성제 수용 용기의 장착 방법, 및 상형성제 수용 용기의 분리 방법{IMAGE FORMING AGENT STORAGE CONTAINER,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OF MOUNTING IMAGE FORMING AGENT STORAGE CONTAINER, AND METHOD OF REMOVING IMAGE FORMING AGENT STORAGE CONTAINER}
본 발명은 상(像)형성제 수용 용기, 화상 형성 장치, 상형성제 수용 용기의 장착 방법, 및 상형성제 수용 용기의 분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내부에 현상제를 수용하고, 상기 현상제를 배출하기 위한 개구부를 갖는 용기 본체와, 상기 개구를 밀봉하는 셔터와, 상기 셔터를 개봉하기 위한 조작부를 갖는 현상제 보급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에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본체측으로부터 상기 용기가 탈착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힘을 받는 부분과, 상기 장치 본체로의 장착과 함께 장치 본체측에 설치된 록(lock) 부재에 탈착 불가능하게 록되는 제 1 고정부를 갖고, 상기 조작부에는 상기 장치 본체측에 설치된 해제 부재와 결합하는 결합부를 갖고, 상기 조작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결합부와 상기 해제 부재가 결합하고, 상기 조작부의 동작에 의해, 상기 해제 부재가 상기 제 1 고정부의 고정을 해제하는 현상제 보급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2007-93697호 공보
본 발명은, 상(像)형성제 수용 용기의 바깥 가장자리를 크게 하지 않고 피구동 전달 부재의 파손을 생기기 어렵게 할 수 있는 상형성제 수용 용기, 화상 형성 장치, 상형성제 수용 용기의 장착 방법, 및 상형성제 수용 용기의 분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관련된 본 발명은, 상(像)형성제가 수용되고,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장착되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측면을 따라 설치되고, 구동이 전달되는 피구동 전달 부재와,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內)로의 장착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갖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용기 본체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되는 장착 방향에서 상기 피구동 전달 부재보다 전방 위치에 있고,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측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는 상형성제 수용 용기이다.
청구항 2에 관련된 본 발명은,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장착 방향에서의 전방 단부측에 배치되어 있는 상형성제 수용 용기이다.
청구항 3에 관련된 본 발명은,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상기 피구동 전달 부재보다 상기 측면으로부터 떨어지도록 돌출해 있는 상형성제 수용 용기이다.
청구항 4에 관련된 본 발명은,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되는 장착 방향에서 상기 피구동 전달 부재보다 후방 위치에 있고,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측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보호용 돌기가 설치되어 있는 상형성제 수용 용기이다.
청구항 5에 관련된 본 발명은,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피구동 전달 부재의 둘레 가장자리에 따른 위치이며 상기 안내부와 상기 보호용 돌기 사이에,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측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제 2 보호용 돌기가 설치되어 있는 상형성제 수용 용기이다.
청구항 6에 관련된 본 발명은,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구동 전달 부재는, 상기 안내부가 상기 용기 본체에 설치된 후에, 상기 용기 본체의 측면을 따라 당해 피구동 전달 부재의 측면을 노출시켜 설치되는 상형성제 수용 용기이다.
청구항 7에 관련된 본 발명은,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에 연속된 상태로 형성되고, 상기 피구동 전달 부재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충돌하는 것을 억제하고, 상기 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상기 안내부의 선단부보다 상기 측면측에 돌출측 선단부가 위치하는 충돌 억제용 돌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용기 본체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장착 방향에서의 전방 단부측에 배치되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상기 피구동 전달 부재보다 상기 측면으로부터 떨어지도록 돌출해 있고, 상기 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상기 충돌 억제용 돌기의 돌출측 선단부는 상기 안내부의 선단부보다 상기 측면측에 위치해 있으며, 상기 안내부와 상기 충돌 억제용 돌기에 의해, 상기 피구동 전달 부재의 최하점을 포함하는 하측을 원호 형상으로 덮고 있는 상형성제 수용 용기이다.
청구항 8에 관련된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와, 상형성제가 수용된 상형성제 수용 용기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설치되고, 상기 상형성제 수용 용기에 수용된 상형성제를 이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상형성부를 갖고, 상기 상형성제 수용 용기는, 상형성제가 수용되고,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장착되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측면을 따라 설치되고, 구동이 전달되는 피구동 전달 부재와,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로의 장착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갖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용기 본체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되는 장착 방향에서 상기 피구동 전달 부재보다 전방 위치에 있고,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측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이다.
청구항 9에 관련된 본 발명은,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형성제 수용 용기는 상기 안내부에 연속된 상태로 형성되고, 상기 피구동 전달 부재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충돌하는 것을 억제하고, 상기 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상기 안내부의 선단부보다 상기 측면측에 돌출측 선단부가 위치하는 충돌 억제용 돌기를 더 갖고, 상기 용기 본체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장착 방향에서의 전방 단부측에 배치되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상기 피구동 전달 부재보다 상기 측면으로부터 떨어지도록 돌출해 있고, 상기 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상기 충돌 억제용 돌기의 돌출측 선단부는 상기 안내부의 선단부보다 상기 측면측에 위치해 있으며, 상기 안내부와 상기 충돌 억제용 돌기에 의해, 상기 피구동 전달 부재의 최하점을 포함하는 하측을 원호 형상으로 덮고 있는 화상 형성 장치이다.
청구항 10에 관련된 본 발명은, 상형성제가 수용되고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장착되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측면을 따라 설치되고 구동이 전달되는 피구동 전달 부재와,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로의 장착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갖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용기 본체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되는 장착 방향에서 상기 피구동 전달 부재보다 전방 위치에 있고,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측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는 상형성제 수용 용기를, 상기 안내부에 의해 안내하여,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장착하는 상형성제 수용 용기의 장착 방법이다.
청구항 11에 관련된 본 발명은,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형성제 수용 용기는 상기 안내부에 연속된 상태로 형성되고, 상기 피구동 전달 부재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충돌하는 것을 억제하고, 상기 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상기 안내부의 선단부보다 상기 측면측에 돌출측 선단부가 위치하는 충돌 억제용 돌기를 더 갖고, 상기 용기 본체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장착 방향에서의 전방 단부측에 배치되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상기 피구동 전달 부재보다 상기 측면으로부터 떨어지도록 돌출해 있고, 상기 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상기 충돌 억제용 돌기의 돌출측 선단부는 상기 안내부의 선단부보다 상기 측면측에 위치해 있으며, 상기 안내부와 상기 충돌 억제용 돌기에 의해, 상기 피구동 전달 부재의 최하점을 포함하는 하측을 원호 형상으로 덮고 있는 상형성제 수용 용기의 장착 방법이다.
청구항 12에 관련된 본 발명은, 상형성제가 수용되고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장착되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측면을 따라 설치되고 구동이 전달되는 피구동 전달 부재와,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로의 장착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갖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용기 본체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되는 장착 방향에서 상기 피구동 전달 부재보다 전방 위치에 있고,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측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는 상형성제 수용 용기를, 상기 안내부에 의해 안내하여,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로부터 분리하는 상형성제 수용 용기의 분리 방법이다.
청구항 13에 관련된 본 발명은,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형성제 수용 용기는 상기 안내부에 연속된 상태로 형성되고, 상기 피구동 전달 부재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충돌하는 것을 억제하고, 상기 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상기 안내부의 선단부보다 상기 측면측에 돌출측 선단부가 위치하는 충돌 억제용 돌기를 더 갖고, 상기 용기 본체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장착 방향에서의 전방 단부측에 배치되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상기 피구동 전달 부재보다 상기 측면으로부터 떨어지도록 돌출해 있고, 상기 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상기 충돌 억제용 돌기의 돌출측 선단부는 상기 안내부의 선단부보다 상기 측면측에 위치해 있으며, 상기 안내부와 상기 충돌 억제용 돌기에 의해, 상기 피구동 전달 부재의 최하점을 포함하는 하측을 원호 형상으로 덮고 있는 상형성제 수용 용기의 분리 방법이다.
청구항 1에 관련된 본 발명에 의하면, 상형성제 수용 용기의 바깥 가장자리를 크게 하지 않고 피구동 전달 부재의 파손을 생기기 어렵게 할 수 있는 상형성제 수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관련된 본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관련된 본 발명이 나타내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에 더해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로의 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상형성제 수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관련된 본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관련된 본 발명이 나타내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에 더해서, 기울어진 상태로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장착한 경우일지라도, 피구동 전달 부재의 파손이 생기기 어려운 상형성제 수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관련된 본 발명에 의하면,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로부터 상형성제 수용 용기를 분리하는 경우일지라도, 피구동 전달 부재의 파손이 생기기 어려운 상형성제 수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관련된 본 발명에 의하면, 상형성제 수용 용기를 낙하시키게 되었을 경우일지라도, 피구동 전달 부재의 파손이 생기기 어려운 상형성제 수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관련된 본 발명에 의하면, 피구동 전달 부재를 당해 피구동 전달 부재용의 커버에 의해 덮는 경우와 비교하여, 상형성제 수용 용기의 바깥 가장자리를 크게 하지 않고 피구동 전달 부재를 용기 본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상형성제 수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관련된 본 발명에 의하면, 파손을 생기기 어렵게 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10에 관련된 본 발명에 의하면, 파손을 생기기 어렵게 할 수 있는 상형성제 수용 용기의 장착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12에 관련된 본 발명에 의하면, 파손을 생기기 어렵게 할 수 있는 상형성제 수용 용기의 분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화상 형성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화상 형성 장치를 측면에서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수용 용기를 나타내는 제 1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수용 용기를 나타내는 제 2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수용 용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수용 용기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수용 용기의 단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수용 용기가 갖는 조작 부재의 이동을 설명한 도면으로서, 도 8의 (a)는 조작 부재가 제 1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8의 (b)는 조작 부재가 제 2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8의 (c)는 조작 부재가 제 3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수용 용기가 갖는 조작 부재의 이동을 설명한 도면으로서, 도 9의 (a)는 조작 부재가 제 1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의 (b)는 조작 부재가 제 2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9의 (c)는 조작 부재가 제 3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화상 형성 장치가 갖는 장치 본체에 형성되고, 수용 용기가 장착되는 장착부를 나타내는 제 1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화상 형성 장치가 갖는 장치 본체에 형성되고, 수용 용기가 장착되는 장착부를 나타내는 제 2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수용 용기가 장착 장치에 장착되는 형태를 설명한 도면으로서, 도 12의 (a)는 조작 부재가 제 2 위치에 배치된 상태의 수용 용기를 나타내는 우측면이고, 도 12의 (b)는 수용 용기의 우측면 및 장착 장치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수용 용기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장착되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비교예에 관련된 수용 용기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장착되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다음에,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화상 형성 장치(10)가 나타나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0)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를 갖고,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의 상부가, 화상이 형성된 용지가 배출되는 배출부(22)로서 사용되고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에는 앞쪽에 조작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조작 패널(12)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에는 장착용 개폐부(24)와, 급지(給紙)용 개폐부(26)가 각각 개폐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장착용 개폐부(24)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 내에, 상(像)형성제 수용 용기로서 사용되는 수용 용기(300Y, 300M, 300C, 300K)를 장착하는 경우와,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 내로부터 수용 용기(300Y, 300M, 300C, 300K)를 분리하는 경우에 개방되고, 화상 형성을 행하는 경우에 폐쇄된다. 급지용 개폐부(26)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의 앞쪽으로부터, 화상 형성을 하는 용지를 공급하는 경우에 개방된다. 또한, 장착용 개폐부(24)의 개폐는, 도 1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의 후방을 지점(支點)으로서 회전시키는 형태(장착용 개폐부(24)의 단변(短邊)측에 지점을 형성시키는 형태)이지만, 도 1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의 측방을 지점으로서 회전시키는 형태(장착용 개폐부(24)의 장변(長邊)측에 지점을 형성시키는 형태)여도 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 내에는 수용 용기(300Y, 300M, 300C, 300K)가 장착되는 장착 장치(30)가 설치되어 있다.
수용 용기(300Y, 300M, 300C, 300K)에는 상형성제로서 사용되는 옐로의 토너, 마젠타의 토너, 시안의 토너, 흑색의 토너가 각각 수용되어 있다. 수용 용기(300Y, 300M, 300C)는 형상 및 크기가 각각 동일하고, 동일한 용적의 토너를 수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수용 용기(300K)는 수용 용기(300Y, 300M, 300C)보다 세로로 길게 구성되고, 수용 용기(300Y, 300M, 300C)보다 체적이 크고, 수용 용기(300Y, 300M, 300C)보다 수용할 수 있는 토너의 용적이 크다.
수용 용기(300Y, 300M, 300C)와 수용 용기(300K)는 수용할 수 있는 토너의 용적이 상이하지만 가진 부재와 기능이 동일하다. 이하, 특정한 수용 용기를 나타내는 경우를 제외하고, 수용 용기(300Y, 300M, 300C)를 수용 용기(300)로 총칭한다.
도 2에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단면이 나타나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 내에는 상형성부(100)와, 상형성부(100)에 용지를 공급하는 급지 장치(200)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 내에는 용지의 반송에 사용되는 반송로(250)가 형성되어 있다.
상형성부(100)는 상유지체로서 사용되는 감광체 드럼(102Y, 102M, 102C, 102K)과, 감광체 드럼(102Y, 102M, 102C, 102K)을 각각 대전하는 대전 장치(104Y, 104M, 104C, 104K)와, 대전 장치(104Y, 104M, 104C, 104K)에 의해 대전된 감광체 드럼(102Y, 102M, 102C, 102K)에 광을 조사하여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잠상 형성 장치(106)와, 잠상 형성 장치(106)에 의해 감광체 드럼(102Y, 102M, 102C, 102K)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토너를 사용하여 현상하여, 옐로의 토너상(像), 마젠타의 토너상, 시안의 토너상, 흑색의 토너상을 각각 형성하는 현상 장치(110Y, 110M, 110C, 110K)를 갖는다.
현상 장치(110Y, 110M, 110C, 110K)에는 수용 용기(300Y, 300M, 300C, 300K)로부터, 옐로의 토너, 마젠타의 토너, 시안의 토너, 흑색의 토너가 각각에 공급된다.
또한, 상형성부(100)는 현상 장치(110Y, 110M, 110C, 110K)에 의해 각각 형성된 옐로의 토너상, 마젠타의 토너상, 시안의 토너상, 흑색의 토너상을 용지에 전사하는 전사 장치(140)와, 감광체 드럼(102Y, 102M, 102C, 102K)의 표면을 클리닝하는 클리닝 장치(114Y, 114M, 114C, 114K)와, 전사 장치(140)에 의해 전사된 토너상을 용지에 정착하는 정착 장치(116)를 갖는다.
전사 장치(140)는 감광체 드럼(102Y, 102M, 102C, 102K)에 형성된 옐로 토너상, 마젠타 토너상, 시안 토너상, 흑색 토너상이 중첩되도록 전사되고, 전사 매체로서 사용되는 벨트 형상의 중간 전사체(142)를 갖는다. 중간 전사체(142)는 지지 부재로서 사용되는 지지 롤(146, 148, 150, 152)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또한, 전사 장치(140)는 감광체 드럼(102Y, 102M, 102C, 102K)에 각각이 형성된 옐로의 토너상, 마젠타의 토너상, 시안의 토너상, 흑색의 토너상을, 중간 전사체에 전사하는 1차 전사 장치로서 사용되는 1차 전사 롤(156Y, 156M, 156C, 156K)과, 중간 전사체(142)에 전사된 옐로의 토너상, 마젠타의 토너상, 시안의 토너상, 흑색의 토너상을, 용지에 전사하는 2차 전사 장치로서 사용되는 2차 전사 롤(158)을 갖는다. 또한, 전사 장치(150)는 중간 전사체(142)의 표면을 클리닝하는 클리닝 장치(160)를 갖는다.
급지 장치(200)는, 예를 들면 카세트가 사용되는 용지 수납부(202)와, 용지 수납부(202)에 수납된 최상위에 위치하는 용지를 추출하는 추출 롤(204)과, 추출 롤(204)에 의해 추출된 용지를 상형성부(100)를 향하여 반송하는 반송 롤(206)과, 반송 롤(206)에 접촉하고, 반송 롤(206)과의 사이에서 용지를 분리하는 분리 롤(208)을 갖는다. 용지 수납부(202)는,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의 앞쪽(도 2에서의 좌측)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용지 수납부(202) 내에 용지가 보충된다.
반송로(250)는 주(主) 반송로(252)와, 반전 반송로(254)와, 보조 반송로(256)를 갖는다.
주 반송로(252)는 급지 장치(200)로부터 공급된 용지를 배출부(22)를 향하여 반송하는 반송로로서, 주 반송로(252)를 따라 용지의 반송 방향 상류측에서부터 순서대로, 레지스트 롤(260)과, 앞서 설명한 2차 전사 롤(158)과, 앞서 설명한 정착 장치(116)와, 배출 롤(262)이 장착되어 있다. 레지스트 롤(260)은 정지한 상태로부터 소정의 타이밍에서 회전을 개시하고, 중간 전사체(142)에 토너상이 전사되는 타이밍에 합치하도록, 중간 전사체(142)와 2차 전사 롤(158)의 접촉부에 용지를 공급한다.
배출 롤(126)은 정착 장치(116)에 의해, 토너상이 정착된 용지를 배출부(22)에 배출한다. 또한, 배출 롤(126)은 용지의 양면에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에, 배출부(22)에 용지를 배출하는 경우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한쪽 면에 용지에 화상이 형성된 용지를, 후단측으로부터 반전 반송로(254)에 공급한다.
반전 반송로(254)는 한쪽 면에 화상이 형성된 용지를, 반전시키면서, 레지스트 롤(260)의 상류측에 다시 공급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반전 반송로(254)를 따라, 예를 들면 2개의 반전 반송 롤(264, 264)이 장착되어 있다.
보조 반송로(256)는 급지용 개폐부(26)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에 대하여 개방된 상태에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의 앞쪽으로부터 용지를 공급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반송로이다. 보조 반송로(256)를 따라, 레지스트 롤(260)을 향하여 용지를 반송하는 보조 반송 롤(266)과, 보조 반송 롤(266)에 접촉하여, 용지를 분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분리 롤(268)이 장착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7에는 수용 용기(300)가 나타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용 용기(300Y, 300M, 300C)는 형상 및 크기가 각각 동일하고, 수용 용기(300K)는 수용 용기(300Y, 300M, 300C)보다 용적이 크다. 도 3 내지 도 6에는 수용 용기(300Y, 300M, 300C)로서 사용되는 수용 용기(300)가 나타나 있다.
도 3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 용기(300)는 용기 본체(310)와, 개폐부(350)와, 조작부로서 사용되는 조작 부재(380)와, 피구동 전달 부재로서 사용되는 기어(370)를 갖는다. 수용 용기(300)에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도 1 참조)에 장착된 상태에서 중력 방향 아래쪽으로 되는 위치에, 배출 홀(312)이 형성되어 있다. 배출 홀(312)로부터 배출된 토너는 현상 장치(110)에 공급되어, 상형성에 사용된다.
또한, 용기 본체(310)의,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에 장착된 상태에서 중력 방향 상향의 위치에는, 토너를 용기 본체(310) 내에 충전하기 위해 사용되는 충전 홀(314)이 형성되어 있다. 충전 홀(314)은 용기 본체(310)의 상향의 면에서의 대략 전역(全域)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충전 홀(314)을 통하여, 중력 방향 상방으로부터 낙하시키도록 하여, 용기 본체(310) 내에 토너가 충전된다. 충전 홀(314)은 중력 방향 상방에서 본 형상은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용기 본체(310)의 상향의 면도, 중력 방향 상방에서 본 형상은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용기 본체(310)의 앞쪽의 면에는, 앞쪽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고정용 돌기(316)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용 돌기(316)는 조작 부재(380)를 후술하는 제 3 위치에 고정하는 고정 수단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용기 본체(310)의 앞쪽의 측면에는, 앞쪽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금지용 돌기(318)가 형성되어 있다(도 5 참조). 금지용 돌기(318)는 조작 부재(380)가, 후술하는 제 2 위치로부터 후술하는 제 1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금지하는 이동 금지 수단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또한, 금지용 돌기(318)는 용기 본체(310)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에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배출 홀(312)이 개방되는 것을 금지하는 개방 금지 수단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용기 본체(310)의 앞쪽으로서, 기어(370)에 근접하는 위치에는, 앞쪽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보호용 돌기(320)가 형성되어 있다. 보호용 돌기(320)는 기어(370)의 이가 형성된 면이 다른 물체에 충돌하기 어렵게 함으로써, 기어(370)를 보호하고 있다.
용기 본체(310)의 내부에는, 용기 본체(310) 내에 수용된 토너를 교반하기 위한 교반부로서 사용되는 교반 장치(330)가 장착되어 있다. 교반 장치(330)는 용기 본체(310)에 회전축(33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부착된 축(322)과, 축(322)에 부착되고, 축(322)에 대략 평행한 평행부(334)와, 축(322)에 부착된 교반판(336)을 갖는다. 교반판(336)은 탄성을 갖는 필름 형상의 시트로 이루어지고, 선단부가 용기 본체(310)의 내측의 면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용기 본체(310)의 뒤쪽의 면에는, 조작 부재(38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원주 형상의 지지용 돌기(32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용기 본체(310)의 앞쪽의 면에는, 지지용 돌기(324)와 마찬가지로, 조작 부재(38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지용 돌기(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교반 장치(330)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길이 방향이, 용기 본체(310) 내에 충전 홀(314)을 통하여 토너가 수용되는 방향인 상하 방향에 일치하도록 배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위치에 교반 장치(330)를 배치한 상태에서, 용기 본체(310) 내에 토너를 충전하면,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의 토너의 이동이 교반 장치(330)에 의해 방해되기 어렵고, 상하 방향으로 세로 길이의 용기 본체(310) 내(內)로의 토너의 수용이 양호해진다.
또한, 용기 본체(310)의 좌측면쪽에는, 식별부로서 사용되는 식별 부재(420)가 장착되어 있다. 식별 부재(420)는, 예를 들면 3개 등의 복수의 볼록부(422)를 갖고, 서로 이웃하는 볼록부(422) 사이에 오목부(424)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424)는 개수, 위치, 및 폭 중 적어도 어느 1개가, 용기 본체(310) 내에 수용되는 토너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용기 본체(310) 내에 수용되어 있는 토너의 색이, 옐로인지, 마젠타인지, 시안인지에 따라, 오목부(424)의 개수, 위치, 및 폭 중 적어도 1개가 달라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동일한 색인 예를 들면 흑색의 토너가 수용된 경우일지라도, 상이한 종류의 기종에 사용하는 토너가 수용되어 있는 경우나 상이한 특성의 토너가 수용되어 있는 경우, 그 기종이나 특성에 따라, 오목부(424)의 개수, 위치, 및 폭 중 적어도 1개가 달라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식별 부재(420)에는 충전되는 토너, 또는 충전된 토너의 종류를 조작자 등이 식별할 수 있는 인자(印字) 등이 이루어져 있고, 이 인자 등은 조작 부재(380)가, 적어도 후술하는 제 2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눈으로 볼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인자 등은 조작 부재(380)나 후술하는 덮개 부재(340)의 상면에도 배치되어 있다.
또한, 용기 본체(310)의 뒤쪽의 면에는 기억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기억 매체(450)가, 용기 본체(310)에 대하여 착탈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기억 매체(450)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측에 설치된 데이터 기입 장치(도시되지 않음)와 접속할 수 있고, 데이터 기입 장치로부터, 예를 들면, 그 수용 용기(300)에 수용된 토너를 사용하여 형성된 화상의 매수 등의 데이터가 기입된다. 기억 매체(450)의 접속 단자(451)는 상하 방향으로 세로 길이로 연장되어 있고, 상하 방향의 하단을 포함하는 아래쪽이 노출되어 설치되고, 좌우의 수평 방향으로 4개 나열되어 설치되어 있다. 후술에 의해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조작 부재(380)와 연결된 개폐부(350)가 배출 홀(312)을 폐쇄한 도 4의 상태(조작 부재(380)가 제 2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기억 매체(450)의 접속 단자의 하방으로부터 조작 부재(380)의 뒤쪽 암(arm)부(386)의 하방측(개폐부(350)측)이 퇴피(退避)해 있다.
개폐부(350)는 용기 본체(310)의 아래쪽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부착되어 있다. 개폐부(350)가 용기 본체(310)에 대하여 이동함으로써, 배출 홀(312)이 개방된 상태로 되거나, 폐쇄된 상태로 된다. 개폐부(350)는 용기 본체(310)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된 개폐 부재(352)와, 개폐 부재(352)와 용기 본체(310) 사이에 설치되고, 배출 홀(312)을 밀봉하기 위해 사용되는 밀봉 부재(354)를 갖는다.
조작 부재(380)는 충전 홀(314)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대향부(382)와, 대향부(382)의 앞쪽의 단부에서부터 연장되는 앞쪽 암부(384)와, 대향부(382)의 뒤쪽의 단부에서부터 연장되는 뒤쪽 암부(386)를 갖는다. 앞쪽 암부(384)에는 용기 본체(310)의 앞쪽에 형성된 지지용 돌기(도시되지 않음)가 끼워넣어지도록 형성된 관통 홀(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뒤쪽 암부(386)에는 용기 본체(310)의 뒤쪽의 면에 형성된 지지용 돌기(324)가 끼워넣어지도록 형성된 관통 홀(408)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앞쪽 암부(384)에 형성된 관통 홀에, 용기 본체(310)의 앞쪽의 면에 형성된 지지용 돌기를 삽입하고, 관통 홀(408)에 지지용 돌기(324)를 삽입하도록 하여, 조작 부재(380)는 회전축(33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고, 후술하는 제 1 위치, 제 2 위치, 및 제 3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앞쪽 암부(384)에는 관통 홀(390)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홀(390)은 조작 부재(380)가 후술하는 제 3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고정용 돌기(316)가 끼워넣어지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조작 부재(380)는 관통 홀(390) 및 고정용 돌기(316)에 의해, 용기 본체(310)에 대하여 제 3 위치에 고정된다.
또한, 앞쪽 암부(384)에는 기어(370)의 위쪽에 위치하도록 보호용 돌기(392)가 형성되어 있다. 보호용 돌기(392)는 기어(370)의 이가 형성된 면을 보호하는 동시에, 수용 용기(300)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 내에 장착된 상태에서, 조작자가 기어(370)에 접촉할 수 없게 되도록 하고 있다. 즉, 보호용 돌기(392)는 기어(370)의 위쪽에 위치하고, 도 8의 (a)에 나타낸 상태인, 수용 용기(300)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 내에 장착되었을 때의 상태에서는, 기어(370)의 적어도 정점을 포함하는 위쪽을 원호 형상으로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8의 (b)에 나타낸 상태인, 수용 용기(300)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 내로부터 분리되었을 때의 상태에서도, 기어(370)의 적어도 정점을 포함하는 위쪽을 원호 형상으로 덮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앞쪽 암부(384)의 하단부측으로서, 수용 용기(300)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 내에 삽입되는 방향에서의 선단측에는, 안내용 돌기(394)가 형성되어 있다. 안내용 돌기(394)는 용기 본체(310)의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 내로의 장착을 안내하는 안내부로서 사용되고 있고,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측에 형성된 안내 홈(46)(도 11 참조)에 끼워넣어져서, 수용 용기(300)의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 내로의 장착과, 수용 용기(300)의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 내로부터의 취출을 안내한다.
안내용 돌기(394)는, 기어(370)보다, 용기 본체(310)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 내에 장착되는 방향에서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즉,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내용 돌기(394)의 하단부(394a)는, 기어(370)의 하단부(370a)보다 용기 본체(310)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에 장착되는 방향인 중력 방향에서 전방에 있는 하방에 위치해 있다.
또한, 안내용 돌기(394)는 용기 본체(310)의 측면이며, 기어(370)가 설치된 면인 앞쪽의 면(310a)에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안내용 돌기(394)는 앞쪽의 면(310a)에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으면 되고, 본 실시형태와 같이 조작 부재(380)의 앞쪽 암부(384)에 안내용 돌기(394)를 설치해도 되며, 용기 본체(310)의 앞쪽의 면(310a)으로부터 직접적으로 돌출하도록 안내용 돌기를 설치해도 된다.
또한, 안내용 돌기(394)는 용기 본체(310)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 내에 장착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기어(370)보다 앞쪽의 면(310a)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해 있다. 즉,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내용 돌기(394)의 선단부(394b)는 기어(370)의 용기 본체(310)와 반대측의 면(370b)보다 용기 본체(310)의 앞쪽의 면(310a)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앞쪽 암부(384)의 하단부측으로서, 수용 용기(300)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 내에 삽입되는 방향에서의 선단측에는, 안내용 돌기(394)와 연속된 상태로, 충돌 억제용 돌기(396)가 형성되어 있다. 충돌 억제용 돌기(396)도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 내에 수용 용기(300)를 삽입할 때에, 기어(370)의 이가 형성된 면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에 충돌하기 어렵게 하고 있다. 안내용 돌기(394)와 충돌 억제용 돌기(396)에 의해, 기어(370)의 적어도 최하점을 포함하는 아래쪽을 원호 형상으로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을 한 위치에 안내용 돌기(394) 및 충돌 억제용 돌기(396)를 배치함으로써, 안내용 돌기(394) 및 충돌 억제용 돌기(396)는 수용 용기(300)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 내에 장착할 때에, 기어(370)의 예를 들면 이가 형성된 면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에 충돌하기 어렵게 한다는 기능을 발휘한다. 즉,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에 수용 용기(300)를 장착할 때에, 장착 방향에서 기어(370)보다 전방에 있는 안내용 돌기(394) 또는 충돌 억제용 돌기(396)가 앞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에 충돌하여, 기어(370)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에 충돌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안내용 돌기(394)는 용기 본체(310)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에 장착되는 방향에서의 전방 단부측, 즉, 이 실시형태에서는 중력 방향 하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용기 본체(310)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에 장착할 때에, 안내용 돌기(394)를 안내 홈(46)에 삽입하는 조작이 용이하다.
뒤쪽 암부(386)의 하단부측에는, 앞쪽 암부(384)에 안내용 돌기(394)가 형성되어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안내용 돌기(402)가 형성되어 있다. 안내용 돌기(402)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측에 형성된 안내 홈(44)(도 11 참조)에 끼워넣어지고, 수용 용기(300)의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 내로의 착탈을 안내한다.
조작 부재(380)와 개폐 부재(352)는 연결되어 있다. 즉, 앞쪽 암부(384)의 하단부측의 부분이, 개폐 부재(352)의 앞쪽 부분에 연결되어 있는 동시에, 뒤쪽 암부(386)의 하단측의 부분이, 개폐 부재(352)의 뒤쪽 부분에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조작 부재(380)의 이동에 연동하여, 개폐 부재(352)는 이동한다.
기어(370)는 용기 본체(310)의 앞쪽의 면에 장착되어 있고, 수용 용기(300)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 내에 장착되었을 때에,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측에 설치된 기어(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되어, 이 기어로부터 구동 전달을 받도록 되어 있다. 이 때, 기어(370)와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측에 설치된 기어(도시되지 않음)가 연결되는 위치는, 안내용 돌기(394)와 보호용 돌기(320) 사이이다. 안내용 돌기(394)는 기어(370)의 대략 최하점에 위치해 있고, 안내용 돌기(394)의 충돌 억제용 돌기(396)와 반대측은, 충돌 억제용 돌기(396)측 정도로는, 기어(370)의 아래쪽을 원호 형상으로 덮도록 연장되지는 않는다. 이는 도 8의 (a)에 나타낸 상태인, 수용 용기(300)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 내에 장착되었을 때의 상태에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측에 설치된 기어(도시되지 않음)와 안내용 돌기(394)를 간섭시키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기어(370)는 축(322)의 용기 본체(310) 내로부터 돌출된 부분에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구동이 전달되어 기어(370)가 회전을 하면, 용기 본체(310) 내에서 교반 장치(330)가 회전하여, 용기 본체(310) 내에 수용된 토너가 교반된다.
수용 용기(300)는 용기 본체(310)와, 개폐부(350)와, 조작 부재(380)와, 기어(370)를 갖는 것과 함께, 충전 홀(314)을 밀봉하는 밀봉부로서 사용되는 덮개 부재(340)를 갖는다. 덮개 부재(340)는 충전 홀(314)을 통하여 용기 본체(310) 내에 토너를 충전한 후, 충전 홀(314)에 끼워넣어지도록 하여 용기 본체(310)에 장착된다. 덮개 부재(340)가 장착되면, 충전 홀(314)이 밀봉되어, 용기 본체(310)의 방향에 관계없이, 충전 홀(314)로부터 토너가 새어 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도 8 및 도 9에는 조작 부재(380)의 동작이 설명되어 있다.
조작 부재(380)는 도 8의 (a) 및 도 9의 (a)에 나타낸 제 1 위치와, 도 8의 (b) 및 도 9의 (b)에 나타낸 제 2 위치와, 도 8의 (c) 및 도 9의 (c)에 나타낸 제 3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8의 (a) 및 도 9의 (a)에 나타낸 제 1 위치는, 용기 본체(310)에 형성된 배출 홀(312)을 개방된 상태로 하는 위치이다. 즉, 조작 부재(380)가 제 1 위치에 있으면, 조작 부재(380)에 연결된 개폐부(350)는, 배출 홀(312)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된다.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 내에 장착되어, 현상 장치(110)에 토너를 공급할 때에는, 조작 부재(380)는 제 1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되도록 조작된다.
도 8의 (b) 및 도 9의 (b)에 나타낸 제 2 위치는, 배출 홀(312)을 폐쇄한 상태로 하여, 수용 용기에 토너가 충전되는 방향(이 실시형태에서는 상하 방향)에서, 조작 부재(380)의 대향부(382)가 충전 홀(314)과 겹치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이다. 조작 부재(380)가 제 2 위치에 있으면, 조작 부재(380)에 연결된 개폐부(350)는 배출 홀(312)을 덮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되어, 배출 홀(312)이 막힌 상태로 된다.
도 8의 (c) 및 도 9의 (c)에 나타낸 제 3 위치는, 배출 홀(312)을 폐쇄한 상태로 하여, 수용 용기에 토너가 충전되는 방향(이 실시형태에서는 상하 방향)에서, 조작 부재(380)의 대향부(382)와 충전 홀(314)이 서로 겹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이다. 조작 부재(380)가 제 3 위치에 있으면, 조작 부재(380)에 연결된 개폐부(350)는 배출 홀(312)을 덮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되어, 배출 홀(312)이 막힌 상태로 된다. 조작 부재(380)와 개폐부(350)는 연결되어 있으므로, 조작 부재(380)를 제 2 위치로부터 제 3 위치로 이동시키면, 개폐부(350)도 조작 부재(380)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지만, 배출 홀(312)의 크기에 대하여 개폐부(350)의 크기를 크게 형성시키고 있으므로, 배출 홀(312)이 막힌 상태인 채로, 즉 개폐부(350)의 밀봉 부재(354)가 배출 홀(312)을 밀봉한 상태인 채로 개폐부(350)가 이동한다. 또한, 조작 부재(380)가 제 3 위치에 있으면, 대향부(382)는 용기 본체(310)에 토너가 충전되는 방향인 상하 방향에서, 충전 홀(314)과 겹치지 않는 상태로 된다.
또한, 개폐부(350)가 용기 본체(310)에 대하여 이동하기 위해서, 용기 본체(310)에 개폐부(350)를 안내하게 하는 안내부를 위한 개폐부 안내 홈(351)이 설치되어 있다. 이 개폐부 안내 홈(351)은 개폐부(350)가 제 2 위치에 있을 때에 개폐부(350)의 개폐 방향의 양쪽, 즉, 개폐부(350)의 개방 방향으로도 개폐부(350)의 폐쇄 방향으로도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다. 개폐부(350)가 제 2 위치와 제 3 위치를 이동할 때에는, 개폐부(350)의 밀봉 부재(354)가 배출 홀(312)을 밀봉한 상태인 채로 개폐부(350)가 개폐부 안내 홈(351)으로 안내된다.
조작 부재(380)가 제 3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수용 용기(300)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 내에 장착하려고 하면, 조작 부재(380)와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는 간섭한다. 즉, 조작 부재(380)는 조작 부재(380)가 제 3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수용 용기(300)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 내에 장착할 때에,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와 간섭하는 간섭부로서 사용되고 있다.
조작 부재(380)가 제 3 위치에 있으면, 용기 본체(310) 내에 토너를 충전할 때에, 대향부(382)가 토너의 이동(낙하)의 장해로 되기 어렵다. 조작 부재(380)를 제 3 위치에 배치하여 토너를 용기 본체(310)에 충전한 후, 용기 본체(310)의 충전 홀(314)이 덮개 부재(340)에 의해 폐쇄된다.
도 10은 장착 장치(30)의 사시도이다.
장착 장치(30)는 앞쪽 측판(40)과, 뒤쪽 측판(42)과, 앞쪽 측판(40) 및 뒤쪽 측판(42)을 연결하는 연결판(36Y, 36M, 36C, 36K)을 갖고, 이들 부재에 의해, 위쪽이 개방된 장착실(32Y, 32M, 32C, 32K)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장착실(32Y, 32M, 32C, 32K)에는 수용 용기(300Y, 300M, 300C, 300K)가 각각 상방으로부터 장착된다.
장착실(32Y, 32M, 32C, 32K)의 하방에는, 토너 반송로(34Y, 34M, 34C, 34K)가 부착되어 있다. 토너 반송로(34Y, 34M, 34C, 34K)는 수용 용기(300Y, 300M, 300C, 300K) 내의 토너를, 현상 장치(110Y, 110M, 110C, 110K)에 각각 반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연결판(36Y, 36M, 36C, 36K)은 각각이 본체측 식별 수단으로서 사용되고 있고, 각각에, 수, 위치, 및 폭 중 적어도 어느 1개가 서로 달라지도록 단수 또는 복수의 볼록부(38)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38)는 각각의 장착실(32)에 장착되어야 할 수용 용기(300)에 설치된 오목부(424)(도 4 참조)에 끼워넣어지는 위치에, 끼워넣어지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장착실(32Y)에는 장착실(32Y)에 장착되어야 할 옐로의 수용 용기(300Y)에 형성된 오목부(424)에 끼워넣어지도록 볼록부(38)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용 용기(300)에 형성된 오목부(424)의 위치는, 예를 들면 토너의 색 등, 수용 용기(300)에 수용되어 있는 토너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이 때문에, 특정한 장착실(32)에, 그 장착실(32)에 장착되어야 할 올바른 수용 용기(300)의 장착은 할 수 있지만, 그 장착실(32)에 수용되어야 할 것이 아닌 종류가 다른 토너가 수용된 수용 용기(300)를 장착하려고 하여도, 수용 용기(300)의 볼록부(422)와, 식별 부재(420)의 볼록부(38)가 간섭하여, 수용 용기(300)를 그 장착실(32)에 장착할 수 없다.
도 11은 장착 장치(30)의 단면도이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착 장치(30)의 앞쪽 측판(40)에는 4개의 안내 홈(44Y, 44M, 44C, 44K)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 홈(44Y, 44M, 44C, 44K)에는 수용 용기(300Y, 300M, 300C, 300K)를 장착실(32Y, 32M, 32C, 32K)에 장착할 때에, 안내용 돌기(402)(도 4 참조)가 끼워넣어진 상태로 되고, 수용 용기(300Y, 300M, 300C, 300K)의 장착을 안내한다.
뒤쪽 측판(42)에는 4개의 안내 홈(46Y, 46M, 46C, 46K)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 홈(46Y, 46M, 46C, 46K)에는 수용 용기(300Y, 300M, 300C, 300K)를 장착실(32Y, 32M, 32C, 32K)에 장착할 때에, 안내용 돌기(394)(도 3 참조)가 끼워넣어진 상태로 되고, 수용 용기(300Y, 300M, 300C, 300K)의 각 장착실(32)로의 장착을 안내한다. 각각의 안내 홈(44)은 입구측의 폭이 넓고, 수용 용기(300)의 장착 방향을 향하여 점차 좁아지고, 그 후, 동일한 폭으로 되는 장착 방향 안내부(48)와, 장착 방향 안내부(48)의 안쪽의 단부에서부터 대략 원호 형상으로 연장되는 원호부(50)를 갖는다. 장착실(32)에 수용 용기(300)를 장착한 후에, 제 1 위치로 이동하도록 조작 부재(380)를 조작했을 때에, 원호부(50)에 안내용 돌기(402)가 인입된다.
원호부(50)는 각각이 조작 부재(380)가 제 1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수용 용기(300)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 밖으로 취출하는 것을 금지하는 금지 수단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즉, 조작 부재(380)가 제 1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안내용 돌기(394)가 원호부(50) 내에 입인하고, 수용 용기(300)를 취출하려고 하여 수용 용기(300)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려고 하여도, 안내용 돌기(394)가 뒤쪽 측판(42)의 원호부(50)를 형성하는 부분에 간섭하여, 수용 용기(300)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로부터 분리시킬 수 없다.
도 12에는 수용 용기(300)가 장착 장치(30)에 장착되는 형태가 설명되어 있고, 도 12의 (a)에는 조작 부재(380)가 제 2 위치에 배치된 상태의 수용 용기(300)의 우측면이, 도 12의 (b)에는 수용 용기(300)의 우측면 및 장착 장치(30)의 단면도가 나타나 있다.
도 1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 용기(300)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에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조작 부재(380)가 제 2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금지용 돌기(318)(도 5도 참조)가, 조작 부재(380)의 앞쪽 암부(384)의 이동 궤적에 간섭하는 위치에 있어, 조작 부재(380)를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로 이동시킬 수 없다.
이에 대하여, 수용 용기(300)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 내에 삽입하면, 도 1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착 장치(30)의 저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설치된 삽입 부재(56)가, 용기 본체(310)와, 앞쪽 암부(384) 사이에 삽입되고, 앞쪽 암부(384)가, 용기 본체(3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형하여, 금지용 돌기(318)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 내에 수용 용기(300)를 장착하면, 조작 부재(380)를,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3에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수용 용기(300)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 내에 장착하는 도중의 상태가 나타나 있다.
뒤쪽 측판(42)에 형성된 안내 홈(46)이 형성된 부분에 안내용 돌기(394)가 끼워넣어지도록 수용 용기(300)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 내에 삽입해야 할 곳을, 예를 들면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내 홈(46)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안내용 돌기(394)가 이르도록 수용 용기(300)를 장착하게 된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안내용 돌기(394)는 뒤쪽 측판(42)에 충돌하지만, 기어(370)는 뒤쪽 측판(42)에 충돌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수용 용기(300)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에 장착할 때의 오조작을 원인으로 하는 기어(370)의 파손이 생기기 어렵다.
도 14에는 본 발명의 비교예에 관련된 수용 용기(300)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 내에 장착하는 도중의 상태가 나타나 있다. 이 비교예에 관련된 수용 용기(300)에서는, 안내용 돌기(394)가 기어(370)의 하단부(370a)보다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 비교예에 관련된 수용 용기(300)를, 뒤쪽 측판(42)에 형성된 안내 홈(46)이 형성된 부분에 안내용 돌기(394)가 끼워넣어지도록 화상 형성 장치 본체(20) 내에 삽입해야 할 곳을, 예를 들면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내 홈(46)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안내용 돌기(394)가 이르도록 수용 용기(300)를 장착하려고 한 것으로 한다. 이 경우, 기어(370)의 예를 들면 이가 형성된 부분이 뒤쪽 측판(42)에 충돌하기 쉬워, 기어(370)가 파손하기 쉽다.
이상에서 설명을 한 실시형태에서는, 상형성제의 일례로서 분체(粉體)로 이루어지는 토너를 용기에 충전하는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예를 들면 액체로 이루어지는 잉크 등을 용기에 충전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을 한 실시형태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로서 프린터를 사용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복사기, 팩시밀리 장치 등의 상형성제를 이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다른 단기능의 장치나, 프린터, 스캐너 등의 복수의 기능을 갖고, 상형성제를 이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다른 장치도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에 포함되는 것이며, 이들 화상 형성 장치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 DVD 플레이어, HDD 등의 영상 기기 등의 장치로서, 상형성제를 이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구성이 조립된 장치도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에 포함되는 것이며, 이들 화상 형성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책상, 선반, 벽 등에 조립되고, 상형성제를 이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도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에 포함되는 것이며, 이들 화상 형성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을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형성제 수용 용기, 화상 형성 장치, 상형성제 수용 용기 장착 방법, 및 상형성제 수용 용기의 분리 방법에 적용할 수 있다.
10 : 화상 형성 장치
20 : 화상 형성 장치 본체
46 : 안내 홈
100 : 상형성부
300 : 수용 용기
310 : 용기 본체
310a : 앞쪽의 면
370 : 기어
394 : 안내용 돌기

Claims (13)

  1. 상(像)형성제가 수용되고,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장착되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측면을 따라 설치되고, 구동이 전달되는 피구동 전달 부재와,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內)로의 장착을 안내하는 안내부
    를 갖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용기 본체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되는 장착 방향에서 상기 피구동 전달 부재보다 전방 위치에 있고,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측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고,
    상기 안내부에 연속된 상태로 형성되고, 상기 피구동 전달 부재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충돌하는 것을 억제하고, 상기 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상기 안내부의 선단부보다 상기 측면측에 돌출측 선단부가 위치하는 충돌 억제용 돌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용기 본체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장착 방향에서의 전방 단부측에 배치되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상기 피구동 전달 부재보다 상기 측면으로부터 떨어지도록 돌출해 있고,
    상기 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상기 충돌 억제용 돌기의 돌출측 선단부는 상기 안내부의 선단부보다 상기 측면측에 위치해 있으며,
    상기 안내부와 상기 충돌 억제용 돌기에 의해, 상기 피구동 전달 부재의 최하점을 포함하는 하측을 원호 형상으로 덮고 있는 상형성제 수용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장착 방향에서의 전방 단부측에 배치되어 있는 상형성제 수용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상기 피구동 전달 부재보다 상기 측면으로부터 떨어지도록 돌출해 있는 상형성제 수용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되는 장착 방향에서 상기 피구동 전달 부재보다 후방 위치에 있고,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측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보호용 돌기가 설치되어 있는 상형성제 수용 용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피구동 전달 부재의 둘레 가장자리에 따른 위치이며 상기 안내부와 상기 보호용 돌기 사이에,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측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제 2 보호용 돌기가 설치되어 있는 상형성제 수용 용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구동 전달 부재는, 상기 안내부가 상기 용기 본체에 설치된 후에, 상기 용기 본체의 측면을 따라 당해 피구동 전달 부재의 측면을 노출시켜 설치되는 상형성제 수용 용기.
  7. 삭제
  8. 화상 형성 장치 본체와,
    상형성제가 수용된 상형성제 수용 용기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설치되고, 상기 상형성제 수용 용기에 수용된 상형성제를 이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상형성부
    를 갖고,
    상기 상형성제 수용 용기는,
    상형성제가 수용되고,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장착되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측면을 따라 설치되고, 구동이 전달되는 피구동 전달 부재와,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로의 장착을 안내하는 안내부
    를 갖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용기 본체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되는 장착 방향에서 상기 피구동 전달 부재보다 전방 위치에 있고,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측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고,
    상기 상형성제 수용 용기는 상기 안내부에 연속된 상태로 형성되고, 상기 피구동 전달 부재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충돌하는 것을 억제하고, 상기 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상기 안내부의 선단부보다 상기 측면측에 돌출측 선단부가 위치하는 충돌 억제용 돌기를 더 갖고,
    상기 용기 본체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장착 방향에서의 전방 단부측에 배치되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상기 피구동 전달 부재보다 상기 측면으로부터 떨어지도록 돌출해 있고,
    상기 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상기 충돌 억제용 돌기의 돌출측 선단부는 상기 안내부의 선단부보다 상기 측면측에 위치해 있으며,
    상기 안내부와 상기 충돌 억제용 돌기에 의해, 상기 피구동 전달 부재의 최하점을 포함하는 하측을 원호 형상으로 덮고 있는 화상 형성 장치.
  9. 삭제
  10. 상형성제가 수용되고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장착되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측면을 따라 설치되고 구동이 전달되는 피구동 전달 부재와,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로의 장착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갖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용기 본체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되는 장착 방향에서 상기 피구동 전달 부재보다 전방 위치에 있고,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측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는 상형성제 수용 용기를, 상기 안내부에 의해 안내하여,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장착하고,
    상기 상형성제 수용 용기는 상기 안내부에 연속된 상태로 형성되고, 상기 피구동 전달 부재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충돌하는 것을 억제하고, 상기 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상기 안내부의 선단부보다 상기 측면측에 돌출측 선단부가 위치하는 충돌 억제용 돌기를 더 갖고,
    상기 용기 본체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장착 방향에서의 전방 단부측에 배치되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상기 피구동 전달 부재보다 상기 측면으로부터 떨어지도록 돌출해 있고,
    상기 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상기 충돌 억제용 돌기의 돌출측 선단부는 상기 안내부의 선단부보다 상기 측면측에 위치해 있으며,
    상기 안내부와 상기 충돌 억제용 돌기에 의해, 상기 피구동 전달 부재의 최하점을 포함하는 하측을 원호 형상으로 덮고 있는 상형성제 수용 용기의 장착 방법.
  11. 삭제
  12. 상형성제가 수용되고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장착되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측면을 따라 설치되고 구동이 전달되는 피구동 전달 부재와,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로의 장착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갖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용기 본체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되는 장착 방향에서 상기 피구동 전달 부재보다 전방 위치에 있고,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측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는 상형성제 수용 용기를, 상기 안내부에 의해 안내하여,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로부터 분리하고,
    상기 상형성제 수용 용기는 상기 안내부에 연속된 상태로 형성되고, 상기 피구동 전달 부재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충돌하는 것을 억제하고, 상기 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상기 안내부의 선단부보다 상기 측면측에 돌출측 선단부가 위치하는 충돌 억제용 돌기를 더 갖고,
    상기 용기 본체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장착 방향에서의 전방 단부측에 배치되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상기 피구동 전달 부재보다 상기 측면으로부터 떨어지도록 돌출해 있고,
    상기 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상기 충돌 억제용 돌기의 돌출측 선단부는 상기 안내부의 선단부보다 상기 측면측에 위치해 있으며,
    상기 안내부와 상기 충돌 억제용 돌기에 의해, 상기 피구동 전달 부재의 최하점을 포함하는 하측을 원호 형상으로 덮고 있는 상형성제 수용 용기의 분리 방법.
  13. 삭제
KR1020100010316A 2009-03-11 2010-02-04 상형성제 수용 용기, 화상 형성 장치, 상형성제 수용 용기의 장착 방법, 및 상형성제 수용 용기의 분리 방법 KR1013656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57987 2009-03-11
JP2009057987A JP4370540B1 (ja) 2009-03-11 2009-03-11 像形成剤収容容器、画像形成装置、像形成剤収容容器の装着方法、及び像形成剤収容容器の取り外し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2526A KR20100102526A (ko) 2010-09-24
KR101365666B1 true KR101365666B1 (ko) 2014-02-21

Family

ID=41443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0316A KR101365666B1 (ko) 2009-03-11 2010-02-04 상형성제 수용 용기, 화상 형성 장치, 상형성제 수용 용기의 장착 방법, 및 상형성제 수용 용기의 분리 방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8369742B2 (ko)
EP (1) EP2228689A3 (ko)
JP (1) JP4370540B1 (ko)
KR (1) KR101365666B1 (ko)
CN (1) CN101833270B (ko)
AU (1) AU2010200496B2 (ko)
BR (1) BRPI1000324A2 (ko)
CA (1) CA2692214A1 (ko)
MX (1) MX2010001751A (ko)
MY (1) MY150377A (ko)
NZ (1) NZ583231A (ko)
RU (1) RU2439642C2 (ko)
SG (1) SG165233A1 (ko)
TW (1) TWI43005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38118B (zh) 2011-07-27 2016-08-10 株式会社理光 显影剂容器、显影装置、处理单元和成像设备
JP5568597B2 (ja) * 2012-05-31 2014-08-0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トナー容器
KR102129834B1 (ko) * 2012-06-03 2020-07-03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분체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JP5663689B2 (ja) * 2014-06-06 2015-02-04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トナー容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8862A (ko) * 2002-10-31 2004-05-08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토너 공급 용기를 위한 재생 방법
JP2007178971A (ja) * 2005-03-04 2007-07-12 Canon Inc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受け入れ装置
JP2007322992A (ja) * 2006-06-05 2007-12-13 Canon Inc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受入れ装置
JP2008203830A (ja) 2007-01-24 2008-09-04 Kyocera Mita Corp トナーコンテナ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8712A (ja) * 2000-02-14 2001-08-24 Konica Corp 画像形成装置
JP4459025B2 (ja) * 2004-11-12 2010-04-28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供給容器
KR101556871B1 (ko) * 2005-03-04 2015-10-01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현상제 공급 용기
JP2007093697A (ja) 2005-09-27 2007-04-12 Canon Inc 現像剤供給容器
JP4411554B2 (ja) * 2007-03-01 2010-02-1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8862A (ko) * 2002-10-31 2004-05-08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토너 공급 용기를 위한 재생 방법
JP2007178971A (ja) * 2005-03-04 2007-07-12 Canon Inc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受け入れ装置
JP2007322992A (ja) * 2006-06-05 2007-12-13 Canon Inc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受入れ装置
JP2008203830A (ja) 2007-01-24 2008-09-04 Kyocera Mita Corp トナーコンテナ及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369742B2 (en) 2013-02-05
AU2010200496B2 (en) 2011-10-27
TW201033764A (en) 2010-09-16
CN101833270A (zh) 2010-09-15
JP2010211025A (ja) 2010-09-24
BRPI1000324A2 (pt) 2011-03-22
CN101833270B (zh) 2014-04-30
TWI430054B (zh) 2014-03-11
US20100232829A1 (en) 2010-09-16
EP2228689A2 (en) 2010-09-15
MX2010001751A (es) 2010-09-30
AU2010200496A1 (en) 2010-09-30
NZ583231A (en) 2011-08-26
CA2692214A1 (en) 2010-09-11
MY150377A (en) 2013-12-31
KR20100102526A (ko) 2010-09-24
EP2228689A3 (en) 2012-04-04
JP4370540B1 (ja) 2009-11-25
RU2010104833A (ru) 2011-08-20
RU2439642C2 (ru) 2012-01-10
SG165233A1 (en) 2010-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9151B1 (ko) 상 형성제 수용 용기, 화상 형성 장치, 상 형성제 수용 용기의 장착 방법, 상 형성제 수용 용기의 분리 방법, 상 형성제의 충전 방법, 및 상 형성제의 재충전 방법
KR20110102128A (ko) 상 형성제 수용 용기, 화상 형성 장치, 및 상 형성제의 충전 방법
KR101365666B1 (ko) 상형성제 수용 용기, 화상 형성 장치, 상형성제 수용 용기의 장착 방법, 및 상형성제 수용 용기의 분리 방법
US1047406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movable shutter member
KR101302007B1 (ko) 상형성제 수용 용기, 화상 형성 장치, 및 상형성제의 충전 방법
KR101344798B1 (ko) 상형성제 수용용기, 화상형성장치, 상형성제 수용용기의 장착 방법, 상형성제 수용용기의 취출 방법 및 상형성제의 충전 방법
US926185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llecting container
JP2010054946A (ja) 収容容器及び装置
JP6783522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0054947A (ja) 収容容器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