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7807B1 - 커피 로스팅 장치 - Google Patents

커피 로스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7807B1
KR101427807B1 KR1020130066973A KR20130066973A KR101427807B1 KR 101427807 B1 KR101427807 B1 KR 101427807B1 KR 1020130066973 A KR1020130066973 A KR 1020130066973A KR 20130066973 A KR20130066973 A KR 20130066973A KR 101427807 B1 KR101427807 B1 KR 101427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unit
tray
inner cylinder
o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6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기석
엄은미
Original Assignee
서기석
엄은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기석, 엄은미 filed Critical 서기석
Priority to KR1020130066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78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7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7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23N12/083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with stirring, vibrating or grin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23N12/10Rotary roas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7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rotating drums or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과 관련된 커피 로스팅 장치는, 장치 본체; 상기 장치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원두가 담겨지는 밀폐된 공간을 갖되 일측에 개구가 구비된, 회전내통; 스크루 방식으로 조작될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개구를 개방 또는 밀폐시킬 수 있게 형성된, 제1개방유닛; 상기 제1개방유닛을 지지할 수 있게 구성되고, 슬라이드 이동에 의하여 상기 제1개방유닛을 상기 개구에 대하여 이동시킬 수 있게 구성된, 제2개방유닛; 및 상기 개구의 하측에 배치되며, 로스팅이 완료된 상기 원두를 송풍에 의해 식힐 수 있게 형성된 쿨링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커피 로스팅 장치{COFFEE BEAN ROASTER}
본 발명은 커피원두를 볶을 수 있게 구성된 커피 로스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커피 로스팅(coffee roasting)은 생두(green bean)에 열을 가하여 볶는 것으로 커피 특유의 맛과 향을 생성하는 공정이다. 전용화된 커피 로스팅을 위하여 커피 로스팅 장치가 고안되었으며, 역사적으로도 다양한 장치가 활용되었다. 12~13세기 아랍에서는 찰흙이나 돌로 만든 그릇에 생두를 올린 후 불 위에서 로스팅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7세기에 들어 원통형의 로스터가 출현하였으며, 19세기에 이르러 오늘날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드럼형 로스팅 기기가 등장하였다. 사용 연료 또한 예전에는 나무나 석탄, 숯 등을 사용하였으나, 최근에는 전기나 가스 등이 주로 활용되고 있다.
로스팅의 방법에 따라 종래의 커피 로스팅 장치는 크게 직화식, 반열풍식 및 열풍식 방법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직화식은 원통형 드럼의 회전에 의한 로스팅방법으로서, 통 속에 생두를 넣고 열을 가하여 생두를 볶는다. 이 방법은 장치가 간단하여 경제적이고, 커피의 맛과 향이 직접적으로 표현되므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생두의 팽창이 적고, 균일한 로스팅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반열풍식은 직화식 로스터의 변형으로서, 드럼 뒤쪽에서 내부로 열풍이 전달되어 연소가스가 드럼 내부를 순환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열효율이 높은 장점이 있으나, 균일한 로스팅에 한계가 있다.
열풍식은 열풍을 원두 사이로 순환시켜 로스팅 방법으로서, 균일하고 단시간에 로스팅이 가능하며 대량으로 생두를 볶을 때 유용한 방법이나, 드럼로스터보다 개성의 표현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한 것으로, 종래의 직화식 또는 열풍식 방법 대신 압력을 이용하여 원두를 볶을 수 있게 구성된 커피 로스팅 장치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과 관련된 커피 로스팅 장치는, 장치 본체; 상기 장치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원두가 담겨지는 밀폐된 공간을 갖되 일측에 개구가 구비된, 회전내통; 스크루 방식으로 조작될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개구를 개방 또는 밀폐시킬 수 있게 형성된, 제1개방유닛; 상기 제1개방유닛을 지지할 수 있게 구성되고, 슬라이드 이동에 의하여 상기 제1개방유닛을 상기 개구에 대하여 이동시킬 수 있게 구성된, 제2개방유닛; 및 상기 개구의 하측에 배치되며, 로스팅이 완료된 상기 원두를 송풍에 의해 식힐 수 있게 형성된 쿨링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회전내통은 실린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내통의 내부에는, 상기 제1개방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제1개방유닛에 따라 인출 가능하게 형성된 트레이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트레이부는 대향되는 양 측면을 포함하되, 어느 한 측면의 상단라인은 다른 한 측면의 상단라인과 반대방향의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트레이부의 상단에는 원두를 섞을 수 있도록 교반날개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교반날개부에는 개방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트레이부의 내측 단부에는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엔드플레이트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커피 로스팅 장치는 상기 회전내통의 일측으로부터 연결되며, 상기 회전내통의 내부 압력 및 온도를 모니터링할 수 있게 구성된 컨트롤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컨트롤패널은 상기 회전내통을 회전지지하는 회전중심축을 통과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2개방유닛은, 상기 제1개방유닛을 둘러쌀 수 있는 형태로서, 상기 회전내통의 일 측면과 타 측면을 따라 연장된 한 쌍의 연장부를 포함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연장부를 안내할 수 있게 상기 회전내통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레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1개방유닛은, 상기 개구를 덮을 수 있게 형성된 덮개부; 상기 덮개부를 가압할 수 있게 형성된 가압브라켓; 및 회전조작될 수 있게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를 통과하여 상기 가압브라켓을 작동시키는 조작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커피 로스팅 장치는 상기 제2개방유닛을 상기 회전내통에 대하여 잠금 또는 잠금해제시킬 수 있게 구성된 록킹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록킹유닛은, 상기 가이드레일에 형성되는 걸림홈부; 회전각에 따라 상기 걸림홈부에 걸려지거나 걸림해제될 수 있게 형성된 록킹돌기; 상기 지지부재를 통과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록킹돌기에 대하여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게 형성되는 작동로드; 및 상기 작동로드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작동로드를 회전시킬 수 있게 형성되는 록킹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쿨링유닛은, 상기 트레이부로부터 낙하된 원두를 받칠 수 있게 형성되는 통기성 트레이; 상기 통기성 트레이의 내부에 배치되는 송풍팬; 및 상기 송풍팬에 의해 열교환된 가스 및 은피를 배출할 수 있게 형성된 배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커피 로스팅 장치는 상기 장치 본체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통기성 트레이로부터 연결되어 냉각된 상기 원두를 배출시킬 수 있게 형성된 배출슈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커피 로스팅 장치에 의하면, 밀폐된 회전내통에 담겨진 원두는 수분이 회전내통 내에 있는 상태에서 고압에서 가열되어 로스팅되는 것이므로 원두의 풍미와 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커피 로스팅 장치는 압력용기인 회전내통의 사용과 함께 쿨링유닛을 함께 설치한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다양한 기능을 가지면서도 컴팩트한 구성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커피 로스팅 장치(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개념적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회전내통(120)에 제1개방유닛(130) 및 제2개방유닛(140)가 구비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트레이부(160)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커피 로스팅 장치(100)의 동작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측면도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커피 로스팅 장치(100)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커피 로스팅 장치(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개념적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회전내통(120)에 제1개방유닛(130) 및 제2개방유닛(140)가 구비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트레이부(160)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과 관련된 커피 로스팅 장치(100)는 압력식으로 커피를 로스팅하기 위한 세부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커피 로스팅 장치(100)는 장치 본체(110), 회전내통(120), 제1개방유닛(130), 제2개방유닛(140), 록킹유닛(150), 트레이부(160), 쿨링유닛(170) 및 배출슈트(180) 등을 구비하고 있다. 다만, 이들 구성 모두가 갖추어질 필요는 없으며, 이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생략되는 것도 가능하다.
장치 본체(110)는 가열원(118)을 포함하는 형태로서, 나머지의 구성들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가열원(118)은 회전내통(120)에 열을 가하기 위한 것으로, 전열, 가스, 유도가열 또는 기름버너 등의 다양한 열원이 사용될 수 있다. 장치 본체(110)의 상부에는 회전내통(120)의 일측으로부터 연결되며 회전내통(120)의 내부 압력 및 온도를 모니터링할 수 있게 구성된 컨트롤패널(115)이 구비되어 있다. 컨트롤패널(115)은 이외에도 회전내통(120)의 내부에 일정 한도 이상의 압력이 측정된 경우 안전을 위하여 내압을 배출하기 위한 벤트(vent)와 같은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컨트롤패널(115)은 회전내통(120)을 회전지지하는 회전중심축(121)을 통과하여 연장되는 연결라인(116)에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다. 장치 본체(110)의 하부에는 본 발명과 관련된 커피 로스팅 장치(100)가 필요에 따라 이동성을 가질 수 있도록 이동바퀴(117)가 구비될 수 있다.
장치 본체(110)의 내부에는 회전내통(120)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동모터(113)가 구비될 수 있다. 구동모터(113)는 회전내통(120)의 회전에 충분한 회전수를 제공할 수 있게 감속기어류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내통(120)은 장치 본체(1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원두가 담겨지는 밀폐된 공간을 갖도록 형성하되 일측에 개구(122)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회전내통(120)은 실린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내통(120)의 내부에는 제1개방유닛(130)에 연결되어 제1개방유닛(130)에 따라 인출 가능하게 형성된 트레이부(160)가 구비될 수 있다. 회전내통(120)은 밀폐된 상태로 가열되는 것으로서 고압을 견딜 수 있도록 금속, 주물류, 또는 강화유리나 내열유리 등에 의하여 구성될 수 있다. 회전내통(120)의 일측에 구비된 회전중심축(121) 지지력을 보완하고 장치의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장치 본체(110)와 회전내통(120)의 사이에는 보조회전지지부(125)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회전지지부(125)는 회전내통(120)의 일 위치에 존재하거나 회전내통(120)의 끝단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은 이중 전자의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보조회전지지부(125)는 회전내통(120)을 지지하는 복수의 롤러 또는 볼 등이 될 수 있다. 보조회전지지부가 회전내통(120)의 끝단에 배치되는 경우, 보조회전지지부는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형태로도 구성이 가능하다.
제1개방유닛(130)은 스크루 방식으로 조작될 수 있게 구성된 것으로, 회전내통(120)의 개구(122)를 개방 또는 밀폐시킬 수 있게 형성된다. 이에 대하여, 제2개방유닛(140)은 제1개방유닛(130)을 지지할 수 있게 구성된 것으로, 슬라이드 이동에 의하여 제1개방유닛(130)을 개구(122)에 대하여 이동시킬 수 있게 형성된다. 제1개방유닛(130)을 설명하기 위해, 먼저 제2개방유닛(140)의 구성을 설명하면, 제2개방유닛(140)은 지지부재(141)와 가이드레일(142)을 포함한다. 지지부재(141)는 제1개방유닛(130)을 둘러쌀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회전내통(120)의 일 측면과 타 측명을 따라 연장된 한 쌍의 연장부를 포함하는 형태로 되어 있다. 가이드레일(142)은 상기 한 쌍의 연장부를 안내할 수 있게 회전내통(120)에 형성된 것으로 연장부와 같이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개방유닛(130)은 개구(122)를 덮을 수 있게 형성된 덮개부(131)와, 덮개부(131)를 가압할 수 있게 형성된 가압브라켓(132) 및 조작핸들(133)을 포함하는 형태로 되어 있다. 덮개부(131)는 밀폐시 기밀을 유지하고 압력이 새지 않도록 개구(122)와의 사이에 밀착하는 실링을 포함할 수 있다. 덮개부(131) 역시 회전내통(120)과 같이 고압에 견딜 수 있도록 금속, 주물류, 또는 강화유리나 내열유리 등에 의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가압브라켓(132)은 조작핸들(133)로부터 입력된 외력을 덮개부(131)에 균등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넓은 플레이트와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조작핸들(133)은 지지부재(141)를 통과하여 가압브라켓(132)을 작동시키는 요소로서, 회전조작될 수 있게 구성된다. 형태면에 있어서, 조작핸들(133)은 'V'자 형이나 'I'자형 또는 도 2와 같이 'X'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조작핸들(133)은 로스팅을 위하여 재료가 투입된 후에는 제2개방유닛(140)이 닫혀진 후 마지막으로 조작핸들(133)을 회전조작하여 압력이 새지 않도록 하고, 반대로 로스팅을 마친 후에는 먼저 회전조작하여 회전내통(120)의 압력이 서서히 낮아지도록 한다.
록킹유닛(150)은 제2개방유닛(140)을 회전내통(120)에 대하여 잠금 또는 잠금해제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록킹유닛(150)은 걸림홈부(154), 록킹돌기(151), 작동로드(152) 및 록킹바(153)를 구비할 수 있다.
걸림홈부(154)는 가이드레일(142)에 형성되는 것으로, 록킹돌기(151)의 걸림이 용이하도록 만곡된 홈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록킹돌기(151)는 회전각에 따라 걸림홈부(154)에 걸려지거나 걸림해제될 수 있게 형성된다. 작동로드(152)는 지지부재(141)의 연장부를 각각 통과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록킹돌기(151)에 대하여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게 형성된다. 록킹바(153)는 작동로드(152)의 단부에 형성되며, 작동로드(152)를 회전시킬 수 있게 형성된다. 록킹유닛(150)에 의하여 제2개방유닛(140)을 잠그기 위해서는 먼저 지지부재(141)를 가이드레일(142)의 끝까지 슬라이드 이동시킨 후 록킹바(153)를 90도 회전시킨다. 그에 따라 록킹돌기(151)도 90도 회전하여 걸림홈부(154)에 걸려진다.
트레이부(160)는 회전내통(120)의 내부에서 제1개방유닛(130)에 연결되어 일개구(122)에 따라 인출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트레이부(160)는 대향되는 양 측면을 포함하는 형태로서, 어느 한 측면의 상단라인은 다른 한 측면의 상단라인과 반대방향의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트레이부(160)의 어느 한 측면의 상단라인에는 제1교반날개부(161)가 형성되고, 다른 한 측면의 상단라인에는 제2교반날개부(16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1교반날개부(161)와 제2교반날개부(162)의 엇갈린 기울기의 조합은 회전내통(120)의 회전과정에서 제1교반날개부(161)와 제2교반날개부(162)에 의하여 내부의 원두가 골고루 열을 전달받을 수 있게 된다. 제1교반날개부(161) 또는 제2교반날개부(162)에 원두가 잔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교반날개부(161) 및 제2교반날개부(162)에는 개방슬롯(163)이 형성될 수 있다.
트레이부(160)의 내측 단부에는 복수의 관통홀(165)이 형성된 엔드플레이트(164)가 형성된다. 이러한 관통홀(165)은 연결라인(116)으로 압력을 전달시켜 줌으로써 컨트롤패널(115)의 압력센서에 의하여 압력이 감지된다.
쿨링유닛(170)은 회전내통(120)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로스팅이 완료된 원두를 송풍에 의해 식힐 수 있게 구성된다. 이러한 쿨링유닛(170)은, 도 1과 같이, 통기성 트레이(171), 송풍팬(172), 배기부(173), 배기팬(174) 및 덮개부(175)를 구비하고 있다.
통기성 트레이(171)는 트레이(160)로부터 낙하된 원두를 받칠 수 있게 형성된 것으로 체 또는 네트 등과 같은 형태로 형성된다. 송풍팬(172)은 통기성 트레이(171)의 내부에 배치된 것으로서, 흡입된 공기가 통기성 트레이(171)에 낙하된 원두를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배기부(173)는 송풍팬(172)에 의해 흡입된 가스를 배출할 수 있게 구성되며, 배출되는 가스는 원두의 표면에 부착된 표피(은피; chaff) 또는 탄화된 가루와 함께 뜨거운 원두와 열교환된 가스를 포함한다. 배기부(173)에 모여진 가스 및 은피는 배기팬(174)에 의하여 통로를 따라 외부로 배출되거나 특정 위치로 모여진다. 덮개부(175)는 로스팅이 완료된 원두가 낙하되면 이를 닫아서 송풍팬(172)에 의하여 날려진 은피가 외부로 새어가지 않도록 한다. 이외에도, 송풍팬(172)은 직접 통기성 트레이(171)에 낙하된 원두를 식힌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관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배기판(174) 및 덮개부(175)는 생략될 수 있다.
배출슈트(180)는 장치 본체(110)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통기성 트레이(171)로부터 연결되어 냉각된 원두를 배출시킬 수 있게 형성된다. 배출슈트(180)에는 쿨링유닛(170)에 의하여 냉각이 완료된 후에 이를 열어 주는 도어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통기성 트레이(171) 및 배출슈트(180)는 압력식으로 로스팅된 원두가 빠른 속도로 냉각된 후 용이하게 취출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커피 로스팅 장치(100)의 동작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4를 중심으로 본 발명과 관련된 커피 로스팅 장치(100)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도 1은 제1개방유닛(130) 및 제2개방유닛(140)이 원두가 장입된 회전내통(120)에 잠겨진 상태로서, 록킹유닛(150)에 의하여 제2개방유닛(140)은 회전내통(120)에 대하여 걸림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가열원(118)을 통하여 가열하는 동안 구동모터(113)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내통(120), 제1개방유닛(130) 및 제2개방유닛(140)도 함께 회전한다. 회전내통(120)의 내부 압력과 온도는 컨트롤패널(115)에 의하여 모니터링될 수 있으며, 적절한 압력 조건에 이를 수 있도록 조절한다. 만약, 일정치 이상의 압력이 발생하면 컨트롤패널(115)의 벤트 수단에 의하여 감압된다.
로스팅에 적절한 온도와 압력으로서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먼저 제1개방유닛(130)의 조작핸들(133)을 돌려서 내압이 서서히 대기압 정도가 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록킹바(153)를 회전시키면 작동로드(152) 및 록킹돌기(151)도 회전하여 잠금상태가 해제된다. 록킹유닛(150)의 조작으로 제2개방유닛(140)이 잠금해제되면, 제1개방유닛(130) 및 제2개방유닛(140)에 연결되어 있는 트레이부(160)을 인출할 수 있다. 도 4는 그와 같은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트레이부(160)를 회전시켜 로스팅이 완료된 원두를 쿨링유닛(170)으로 낙하시킨다. 송풍팬(172)이 동작하면 원두의 열과 함께 탄화된 원두의 박피 등을 배기부(173)를 통하여 배출시킨다. 냉각이 완료된 로스팅 원두는 배출슈트(180)를 통하여 취출된다.
이와 같은 압력식의 커피 로스팅 장치(100)는 수분과 함께 열 및 압력이 회전내통(120)에 혼재된 상태로 로스팅이 되는 것으로서 원두에 대한 열전달이 균일할 뿐 아니라 원두가 갖는 풍미가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직화식이나 열풍식에 비해 장치 구성도 복잡하지 않으므로 활용성이 높다.
상기와 같은 커피 로스팅 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커피 로스팅 장치
110: 장치 본체 113: 구동모터
115: 컨트롤패널 116: 연결라인
117: 이동바퀴 118: 가열원
120: 회전내통 121: 회전중심축
122; 개구 125: 보조회전지지부
130: 제1개방유닛 131: 덮개부
132: 가압브라켓 133: 조작핸들
140: 제2개방유닛 141: 지지부재
142: 가이드레일 150: 록킹유닛
151: 록킹돌기 152: 작동로드
153: 록킹바 154: 걸림홈부
160: 트레이부 161: 제1교반날개부
162: 제2교반날개부 163: 개방슬롯
164: 엔드플레이트 165: 관통홀
170: 쿨링유닛 171: 통기성 트레이
172: 송풍팬 173: 배기부
174: 배기팬 175: 덮개부
180: 배출슈트

Claims (14)

  1. 가열원이 구비된 장치 본체;
    상기 장치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원두가 담겨지는 밀폐된 공간을 갖되 일측에 개구가 구비된, 회전내통;
    스크루 방식으로 조작될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개구를 개방 또는 밀폐시킬 수 있게 형성된, 제1개방유닛;
    상기 제1개방유닛을 지지할 수 있게 구성되고, 슬라이드 이동에 의하여 상기 제1개방유닛을 상기 개구에 대하여 이동시킬 수 있게 구성된, 제2개방유닛; 및
    상기 개구의 하측에 배치되며, 로스팅이 완료된 상기 원두를 송풍에 의해 식힐 수 있게 형성된 쿨링유닛을, 포함하는, 커피 로스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내통은 실린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내통의 내부에는, 상기 제1개방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제1개방유닛에 따라 인출 가능하게 형성된 트레이부가 더 포함된, 커피 로스팅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부는 대향되는 양 측면을 포함하되, 어느 한 측면의 상단라인은 다른 한 측면의 상단라인과 반대방향의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된, 커피 로스팅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부의 상단에는 원두를 섞을 수 있도록 교반날개부가 더 구비된, 커피 로스팅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날개부에는 개방슬롯이 형성된, 커피 로스팅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부의 내측 단부에는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엔드플레이트가 더 구비된, 커피 로스팅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내통의 일측으로부터 연결되며, 상기 회전내통의 내부 압력 및 온도를 모니터링할 수 있게 구성된 컨트롤패널을 더 포함하는, 커피 로스팅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패널은 상기 회전내통을 회전지지하는 회전중심축을 통과하여 연결된, 커피 로스팅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개방유닛은,
    상기 제1개방유닛을 둘러쌀 수 있는 형태로서, 상기 회전내통의 일 측면과 타 측면을 따라 연장된 한 쌍의 연장부를 포함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연장부를 안내할 수 있게 상기 회전내통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레일를 포함하는, 커피 로스팅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방유닛은,
    상기 개구를 덮을 수 있게 형성된 덮개부;
    상기 덮개부를 가압할 수 있게 형성된 가압브라켓; 및
    회전조작될 수 있게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를 통과하여 상기 가압브라켓을 작동시키는 조작핸들을 포함하는, 커피 로스팅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개방유닛을 상기 회전내통에 대하여 잠금 또는 잠금해제시킬 수 있게 구성된 록킹유닛을, 더 포함하는, 커피 로스팅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유닛은,
    상기 가이드레일에 형성되는 걸림홈부;
    회전각에 따라 상기 걸림홈부에 걸려지거나 걸림해제될 수 있게 형성된 록킹돌기;
    상기 지지부재를 통과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록킹돌기에 대하여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게 형성되는 작동로드; 및
    상기 작동로드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작동로드를 회전시킬 수 있게 형성되는 록킹바를 포함하는, 커피 로스팅 장치.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쿨링유닛은,
    상기 트레이부로부터 낙하된 원두를 받칠 수 있게 형성되는 통기성 트레이;
    상기 통기성 트레이의 내부에 배치되는 송풍팬; 및
    상기 송풍팬에 의해 열교환된 가스 및 은피를 배출할 수 있게 형성된 배기부를 포함하는, 커피 로스팅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통기성 트레이로부터 연결되어 냉각된 상기 원두를 배출시킬 수 있게 형성된 배출슈트를 더 포함하는, 커피 로스팅 장치.
KR1020130066973A 2013-06-12 2013-06-12 커피 로스팅 장치 KR101427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6973A KR101427807B1 (ko) 2013-06-12 2013-06-12 커피 로스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6973A KR101427807B1 (ko) 2013-06-12 2013-06-12 커피 로스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7807B1 true KR101427807B1 (ko) 2014-08-07

Family

ID=51749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6973A KR101427807B1 (ko) 2013-06-12 2013-06-12 커피 로스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780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4140B1 (ko) 2015-11-05 2017-08-02 김영득 용적 가변형 커피 로스터 장치
KR101861606B1 (ko) * 2017-10-23 2018-05-28 이승왕 가변형 커피 로스팅 장치
KR102073658B1 (ko) * 2019-05-20 2020-02-05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보성코퍼레이션 알갱이 로스팅 장치
JP2022015107A (ja) * 2020-07-08 2022-01-21 エジソンハード株式会社 焙煎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9835A (ja) 2001-12-26 2003-07-08 Kansai Tech Corp 焙煎方法および焙煎装置
KR20050035559A (ko) * 2003-10-13 2005-04-19 김우용 곡물 볶음장치
KR101036997B1 (ko) 2008-10-06 2011-05-25 송유진 커피볶음기
KR20130040079A (ko) * 2011-10-13 2013-04-23 가스텍코리아 주식회사 커피 원두의 로스팅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9835A (ja) 2001-12-26 2003-07-08 Kansai Tech Corp 焙煎方法および焙煎装置
KR20050035559A (ko) * 2003-10-13 2005-04-19 김우용 곡물 볶음장치
KR101036997B1 (ko) 2008-10-06 2011-05-25 송유진 커피볶음기
KR20130040079A (ko) * 2011-10-13 2013-04-23 가스텍코리아 주식회사 커피 원두의 로스팅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4140B1 (ko) 2015-11-05 2017-08-02 김영득 용적 가변형 커피 로스터 장치
KR101861606B1 (ko) * 2017-10-23 2018-05-28 이승왕 가변형 커피 로스팅 장치
KR102073658B1 (ko) * 2019-05-20 2020-02-05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보성코퍼레이션 알갱이 로스팅 장치
JP2022015107A (ja) * 2020-07-08 2022-01-21 エジソンハード株式会社 焙煎装置
JP7244023B2 (ja) 2020-07-08 2023-03-22 エジソンハード株式会社 焙煎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7807B1 (ko) 커피 로스팅 장치
US10448663B2 (en) Coffee roaster
KR101121242B1 (ko) 숯불구이기
KR100583386B1 (ko) 원두커피 배전방법 및 원두커피 배전기
KR20140107850A (ko) 온도 프로파일에 따른 커피 로스터 제어방법
KR101289347B1 (ko) 원두커피 배전기
KR950005901B1 (ko) 커피콩 볶음장치
KR101650736B1 (ko) 근적외선을 이용한 반열풍식 커피로스터
JP2006204737A (ja) コーヒー焙煎粉砕装置
KR200489004Y1 (ko) 회전식 구이기
KR101961559B1 (ko) 스티어러가 내부에 설치되며 마이크로파와 열풍에 의한 커피로스팅방법
KR101167254B1 (ko) 곡물 볶음기
CN112089078A (zh) 一种小型的封闭式咖啡豆烘焙机
KR200452706Y1 (ko) 농산물용 볶음장치
KR101854990B1 (ko) 커피 로스팅 냉각장치 및 냉각장치가 구비된 커피 로스팅 시스템
CN209915000U (zh) 咖啡豆烘焙机结构
CN209090010U (zh) 一种咖啡烘焙机
KR20080074487A (ko) 황토 가마 및 고기구이기의 구조
TWM344743U (en) Coffee bean baking machine
KR102592400B1 (ko) 커피 원두 로스팅 장치
CN219398217U (zh) 一种中药饮片炒制机
CN213486835U (zh) 一种小型的封闭式咖啡豆烘焙机
CN213246833U (zh) 手摇式咖啡豆烘豆装置
CN212590184U (zh) 一种咖啡豆烘焙搅拌装置
CN216416890U (zh) 提升熟制食品口感用旋风烤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