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5837B1 -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제조 방법 및 이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 Google Patents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제조 방법 및 이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5837B1
KR101425837B1 KR1020120143002A KR20120143002A KR101425837B1 KR 101425837 B1 KR101425837 B1 KR 101425837B1 KR 1020120143002 A KR1020120143002 A KR 1020120143002A KR 20120143002 A KR20120143002 A KR 20120143002A KR 101425837 B1 KR101425837 B1 KR 101425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rite
paste
molded body
common mode
magnetic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3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5111A (ko
Inventor
권기범
박규환
정연수
오수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텍
Priority to KR1020120143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5837B1/ko
Publication of KR20140075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5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5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5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42Networks for transforming balanced signals into unbalanced signals and vice versa, e.g. baluns
    • H03H7/425Balance-balance networks
    • H03H7/427Common-mode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01F17/0013Printed inductances with stacked layers
    • H01F2017/0026Multilayer LC-filt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00Constructional details of impedance networks whose electrical mode of operation is not specified or applicable to more than one type of network
    • H03H2001/0021Constructional details
    • H03H2001/0078Constructional details comprising spiral inductor on a substrat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00Constructional details of impedance networks whose electrical mode of operation is not specified or applicable to more than one type of network
    • H03H2001/0021Constructional details
    • H03H2001/0085Multilayer, e.g. LTCC, HTCC, green sheets

Landscapes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 Manufacturing Cores, Coils, And Magnets (AREA)

Abstract

성형체의 측면에 페라이트 페이스트 또는 페라이트 글라스 혼합 페이스트를 도포하여 사이드 마그네틱 패스를 형성함으로써 소형이면서도 공통 모드 임피던스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제조 방법이 제시된다. 제시된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제조 방법은 성형체의 측면에 페라이트 페이스트 또는 페라이트 글라스 혼합 페이스트를 도포하여 사이드 마그네틱 패스를 형성한 후에, 사이드 마그네틱 패스가 형성된 성형체를 소성한다. 이를 통해,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를 소형화하면서도 공통 모드 임피던스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제조 방법 및 이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MANUFACTURING METHOD OF MULTILAYER COMMON MODE FILTER AND MULTILAYER COMMON MODE FILTER MANUFACTURED BY THEREOF}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필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이드 마그네틱 패스의 구조 개선을 통하여 소형이면서도 공통 모드 임피던스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제조 방법 및 이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휴대전화, 가전제품, PC, PDA, LCD 등과 같은 전자기기가 아날로그 방식에서 디지털 방식으로 변화되고, 처리하는 데이터량의 증가로 인해 고속화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하지만, 디지털화 및 고속화되는 전자기기들은 외부로부터의 자극에 민감하다. 즉, 외부로부터의 작은 이상 전압과 고주파 노이즈가 전자기기의 내부 회로로 유입될 경우 회로가 파손되거나 신호가 왜곡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때, 전자기기의 회로 파손, 신호 왜곡을 발생시키는 이상 전압과 노이즈의 원인으로는 낙뢰, 인체에 대전된 정전기 방전, 회로 내에서 발생하는 스위칭 전압, 전원전압에 포함된 전원 노이즈, 불필요한 전자기신호 또는 전자기잡음 등이 있다.
이러한, 전자기기의 회로 파손이나 신호 왜곡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필터를 설치하여 이상 전압과 고주파 노이즈가 회로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일반적으로 고속 차동신호 라인 등에는 공통 모드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해 공통 모드 필터를 사용한다. 일례로,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12277호(명칭: 임피던스 정합이 가능한 적층형 커먼모드필터),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45071호(명칭: 공통 모드 필터 및 공통 모드 필터의 제조 방법), 한국등록특허 제10-1138078호(명칭: 유전체 자기 조성물, 적층 복합 전자 부품, 적층 커먼 모드 필터, 적층 세라믹 코일 및 적층 세라믹 콘덴서) 등의 선행특허들에서 공통 모드 필터의 구조 및 제조 방법에 관련된 기술을 기재하고 있다.
최근 공통 모드 필터 시장에서는 소형화, 협대역, 높은 주파수, 높은 감쇠 등의 특성이 요구되고 있다. 즉, 공통 모드 필터를 0806, 0605 사이즈(종래에는 1210 사이즈)로 소형화와, 공통 임피던스 90Ω을 기준으로 ±25% 내지 ±20% 정도의 협대역 특성과, USB 3.0의 주파수에 적용할 수 있는 높은 주파수 특성, 및 -30dB 이상의 높은 감쇠 특성 등이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 기술로는 공통 모드 필터의 소형화로 인해 패턴 구현 면적이 제한되고, 패턴 구현 면적의 제한으로 인해 패턴의 턴(Turn) 수가 증가하여 20um이하의 미세 패턴 형성이 요구되고, 턴 수 증가로 인한 커패시터값(Cp)의 증가로 주파수 특성이 열화되며, 코어(Core)로 사이드 패스(Side Path)를 형성하게 되면 신뢰성에 문제가 발생하는 등 종래의 시장에서 요구되는 특성을 모두 만족시키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공통 모드 필터 관련 업체들은 하기와 같이 다양한 방법의 자성체의 형성 구조를 개발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커버 시트(12) 및 하부 커버 시트(14)를 자성체로 형성하고, 절연층(16; 즉, 유전체층)에 포함된 시트들의 중심에 코어(18)를 형성하고, 내부에 자성체를 삽입하는 구조가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막공정을 통해 생성된 절연층(22; 즉, 폴리머층)에 포함된 시트들에 중심 코일(24) 및 사이드 패스(26)를 형성하는 구조도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층(32)의 코어 형성부분에 펀칭(Punching) 또는 커팅(Cutting)을 통해 홈을 형성하고, 형성된 홈에 맞춰 페라이트 시트(34)를 삽입하는 구조도 있다.
하지만, 상술한 종래의 공통 모드 필터에서 적용되는 자성체의 형성 구조를 이용하는 경우, 시트에 사이드 패스를 형성하거나 절연층에 홈을 형성하여 페라이트 시트를 삽입하기 때문에 공통 모드 필터의 소형화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종래의 공통 모드 필터에서 적용되는 자성체의 형성 구조를 이용하는 경우, 공통 모드 임피던스가 감소하여 시장에서 요구되는 사항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성형체의 측면에 페라이트 페이스트 또는 페라이트 글라스 혼합 페이스트를 도포하여 사이드 마그네틱 패스를 형성함으로써 소형이면서도 공통 모드 임피던스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제조 방법 및 이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제조 방법은, 하나 이상의 자성체 시트와 내부 전극을 갖는 하나 이상의 유전체 시트를 적층하여 성형체를 생성하는 단계; 성형체의 측면에 페라이트 페이스트 또는 페라이트 글라스 혼합 페이스트를 도포하여 사이드 마그네틱 패스를 형성하는 단계; 및 단계에 의해 사이드 마그네틱 패스가 형성된 성형체를 소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사이드 마그네틱 패스를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성형체의 측면들 중에서 단자가 형성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페라이트 페이스트 또는 페라이트 글라스 혼합 페이스트를 도포하여 사이드 마그네틱 패스를 형성한다.
사이드 마그네틱 패스를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성형체의 측면들 중에서 단자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페라이트 페이스트 또는 페라이트 글라스 혼합 페이스트를 도포하여 사이드 마그네틱 패스를 형성한다.
사이드 마그네틱 패스를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측면에 이격되어 형성된 단자들 간의 이격 공간에 페라이트 페이스트 또는 페라이트 글라스 혼합 페이스트를 도포하여 사이드 마그네틱 패스를 형성한다.
사이드 마그네틱 패스를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프린팅 도포, 디핑 도포, 휠 터미네이션 도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공정을 이용하여 페라이트 페이스트 또는 페라이트 글라스 혼합 페이스트를 도포한다.
성형체를 소성하는 단계에서는, 페라이트 페이스트인 경우 800℃ 이상 950℃ 미만의 온도 범위에서 소성한다.
페라이트 페이스트는 고체 함량이 60% 이상 80% 이하이고, 점도가 100Kcps 이상 200Kcps 이하이다.
성형체를 소성하는 단계에서는, 페라이트 글라스 혼합 페이스트인 경우, 500℃ 이상 750℃ 미만의 온도 범위에서 소성한다.
성형체를 소성하는 단계에서는, 은(Ag) 터미네이션 완료 후에 500℃ 이상 750℃ 미만의 온도 범위에서 사이드 마그네틱 패스가 형성된 성형체를 소성한다.
페라이트 글라스 혼합 페이스트는 고체 함량이 40% 이상 75% 이하이고, 점도가 40Kcps 이상 150Kcps 이하이다.
페라이트 글라스 혼합 페이스트는 글라스의 함유량이 5wt% 이상 20wt% 이하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는, 하나 이상의 자성체 시트와 내부 전극을 갖는 하나 이상의 유전체 시트가 적층되어 형성되는 성형체; 및 성형체의 측면에 페라이트 페이스트 또는 페라이트 글라스 혼합 페이스트를 도포하여 형성되는 사이드 마그네틱 패스를 포함한다.
사이드 마그네틱 패스는, 성형체의 측면들 중에서 단자가 형성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형성된다.
사이드 마그네틱 패스는, 성형체의 측면들 중에서 단자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형성된다.
사이드 마그네틱 패스는, 성형체의 측면에 이격되어 형성된 단자들 간의 이격 공간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제조 방법 및 이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는 복수의 자성체 시트 및 유전체 시트가 적층되어 구성된 성형체의 측면에 페라이트 페이스트를 도포하여 사이드 마그네틱 패스를 형성함으로써,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를 소형화하면서도 공통 모드 임피던스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최근 시장에서 요구하는 특성을 만족하는 공통 모드 필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공통 모드 필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4의 생성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 및 도 7은 도 4의 도포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의 임피던스 및 산포를 측정하여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제조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생성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 및 도 7은 도 4의 도포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제조 방법은 생성 공정(100), 도포 공정(200), 소성 공정(300)을 포함한다.
생성 공정(100)에서는 성형체를 생성한다. 즉, 생성 공정(100)은 하나 이상의 자성체 시트 및 하나 이상의 유전체 시트를 적층하여 성형체를 형성한다. 이때, 성형체는 자성체층 및 유전체층으로 구성된다. 자성체층 및 유전체층 각각은 하나 이상의 시트가 적층되어 형성되며, 일부 시트에는 코일 형상의 내부 전극이 형성된다.
생성 공정(100)에서는 형성된 성형체를 소정 크기로 절단한다. 또한, 생성 공정(100)에서는 절단된 성형체의 측면에 하나 이상의 단자를 형성한다. 도 5에서는 상기한 성형체 생성 공정(100)을 통해 생성된 성형체를 도시한다. 이때, 도 5에서는 성형체(400)의 제1측면(412) 및 제2측면(414)에 각각 2개의 단자(480)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각 측면에 2개 이상의 단자(480)가 형성될 수도 있다.
도포 공정(200)에서는 생성한 성형체(400)의 측면에 페라이트 페이스트를 도포하여 사이드 마그네틱 패스(500)를 형성한다. 이때, 페라이트 페이스트는 페라이트 분말에 바인더(예를 들면, PVGB, Acryl 등), 분산제, 솔벤트(Solvent; 예를 들면, BCA, Terphiol 등), 가소제 등을 혼합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페라이트 분말은 대략 5wt% 내지 15wt% 정도의 NiO,대략 10wt% 내지 25wt% 정도의 ZnO, 대략 5wt% 내지 10wt% 정도의 Cu2O3, 대략 50wt% 내지 70wt% 정도의 Fe2O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통해, 페라이트 페이스트는 고체 함량이 60% 이상 80% 이하이고, 점도가 100Kcps 이상 200Kcps 이하인 특성을 갖는다. 여기서, 도포 공정(200)에서는 프린팅(Printing) 도포, 디핑(Dipping) 도포, 휠 터미네이션(Wheel Termination) 도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공정으로 페라이트 페이스트를 도포하여 사이드 마그네틱 패스(500)를 형성한다.
도포 공정(200)에서는 성형체(400)의 측면들 중에서 단자가 형성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페라이트 페이스트를 도포한다. 도 5에 도시된 성형체(400)를 예로 들면, 단자가 형성되지 않은 제3측면(416) 및 제4측면(418)에 페라이트 페이스트를 도포한다. 그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체(400)의 측면에 사이드 마그네틱 패스(500)가 형성된다.
물론, 도포 공정(200)에서는 성형체(400)의 측면들 중에서 단자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페라이트 페이스트를 도포할 수도 있다. 즉, 도포 공정(200)에서는 성형체(400)의 측면에 이격되어 형성된 단자들 간의 이격 공간에 페라이트 페이스트를 도포한다. 도 5에 도시된 성형체(400)를 예로 들면, 단자가 형성된 제1측면(412) 및 제2측면(414)에 페라이트 페이스트를 도포한다. 이때, 제1측면(412)에 형성된 두 단자들 사이의 이격 공간과, 제2측면(414)에 형성된 두 단자들 사이의 이격 공간에 페라이트 페이스트를 도포한다. 그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체(400)의 측면에 사이드 마그네틱 패스(500)가 형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포 공정(200)에서 단자가 형성된 성형체의 측면에 사이드 마그네틱 패스(500)를 형성하면 단자가 형성되지 않은 성형체의 측면에 사이드 마그네틱 패스(500)를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의 임피던스 특성 및 LR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소성 공정(300)에서는 사이드 마그네틱 패스(500)가 형성된 성형체(400)를 소성한다. 즉, 소성 공정(300)에서는 페이스트 도포를 통해 측면에 사이드 마그네틱 패스(500)가 형성된 성형체(400)를 800℃ 이상 950℃ 미만의 온도 범위에서 동시 소성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제조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제조 방법은 도포 공정에서 페라이트 글라스 혼합 페이스트를 도포하는 것에서 제1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제조 방법은 제1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제조 방법과 동일하게 생성 공정(100), 도포 공정(200), 소성 공정(300)을 포함한다(도 4 참조). 이하에서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생성 공정(100)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포 공정(200)에서는 생성한 성형체(400)의 측면에 페라이트 글라스 혼합 페이스트를 도포하여 사이드 마그네틱 패스(500)를 형성한다. 이때, 페라이트 글라스 혼합 페이스트는 페라이트 분말과 글라스 분말을 혼합하여 형성된다. 페라이트 분말은 대략 5wt% 내지 15wt% 정도의 NiO,대략 10wt% 내지 25wt% 정도의 ZnO, 대략 5wt% 내지 10wt% 정도의 Cu2O3, 대략 50wt% 내지 70wt% 정도의 Fe2O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글라스 분말은 B2O3-SiO2, Bi2O3-ZnO-SiO2, BaO-CaO-SiO2 등의 조성을 갖는 글라스 분말로 구성된다. 페라이트 글라스 혼합 페이스트는 페라이트 분말과 글라스 분말에 바인더(예를 들면, PVGB, Acryl 등), 분산제, 솔벤트(Solvent; 예를 들면, BCA, Terphiol 등), 가소제 등을 혼합한다. 이를 통해, 페라이트 글라스 혼합 페이스트는 글라스의 중량비가 대략 5wt% 이상 20wt% 정도이고, 고체 함량이 40% 이상 75% 이하이고, 점도가 40Kcps 이상 150Kcps 이하인 특성을 갖는다. 여기서, 도포 공정(200)에서는 프린팅(Printing) 도포, 디핑(Dipping) 도포, 휠 터미네이션(Wheel Termination) 도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공정으로 페라이트 글라스 혼합 페이스트를 도포하여 사이드 마그네틱 패스(500)를 형성한다.
도포 공정(200)에서는 성형체(400)의 측면들 중에서 단자가 형성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페라이트 글라스 혼합 페이스트를 도포한다. 도 5에 도시된 성형체(400)를 예로 들면, 단자가 형성되지 않은 제3측면(416) 및 제4측면(418)에 페라이트 글라스 혼합 페이스트를 도포한다. 그에 따라, 성형체(400)의 측면에 사이드 마그네틱 패스(500)가 형성된다(도 6 참조).
물론, 도포 공정(200)에서는 성형체(400)의 측면들 중에서 단자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페라이트 글라스 혼합 페이스트를 도포할 수도 있다. 즉, 도포 공정(200)에서는 성형체(400)의 측면에 이격되어 형성된 단자들 간의 이격 공간에 페라이트 글라스 혼합 페이스트를 도포한다. 도 5에 도시된 성형체(400)를 예로 들면, 단자가 형성된 제1측면(412) 및 제2측면(414)에 페라이트 글라스 혼합 페이스트를 도포한다. 이때, 제1측면(412)에 형성된 두 단자들 사이의 이격 공간과, 제2측면(414)에 형성된 두 단자들 사이의 이격 공간에 페라이트 글라스 혼합 페이스트를 도포한다.
그에 따라, 성형체(400)의 측면에 사이드 마그네틱 패스(500)가 형성된다(도 7 참조). 여기서, 도포 공정(200)에서 단자가 형성된 성형체의 측면에 사이드 마그네틱 패스(500)를 형성하면 단자가 형성되지 않은 성형체의 측면에 사이드 마그네틱 패스(500)를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의 임피던스 특성 및 LR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소성 공정(300)에서는 사이드 마그네틱 패스(500)가 형성된 성형체(400)를 소성한다. 이때, 페라이트 글라스 혼합 페이스를 도포해 사이드 마그네틱 패스(500)를 형성함으로써, 성형체(400)는 페라이트 페이스트를 도포해 사이드 마그네틱 패스(500)를 형성한 제1실시예의 성형체(400)에 비해 낮은 온도로 소성된다. 따라서, 소성 공정(300)에서는 페라이트 글라스 혼합 페이스트 도포를 통해 측면에 사이드 마그네틱 패스(500)가 형성된 성형체(400)를 500℃ 이상 750℃ 미만의 온도 범위에서 동시 소성한다. 여기서, 소성 공정(300)에서는 은 터미네이션(Ag Termination) 완료 후에 소성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이하,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는 성형체(400), 사이드 마그네틱 패스(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성형체(400)는 하부 커버층(420), 유전체층(440), 상부 커버층(460)으로 구성된다. 즉, 성형체(400)는 하부 커버층(420)의 상부에 유전체층(440)을 적층한 후, 상부 커버층(460)을 적층하여 형성된다.
하부 커버층(420)은 하나 이상의 자성체 시트로 구성된다. 즉, 하부 커버층(420)은 하나 이상의 페라이트 시트가 적층되어 구성된다.
유전체층(440)은 하부 커버층(420)의 자성체 시트 상부에 복수의 유전체 시트(442)들이 적층되어 구성된다. 이때, 유전체층(440)을 구성하는 유전체 시트(442)에는 코일 형상의 내부 전극(444)이 형성된다. 물론, 각 유전체 시트(442)에는 서로 다른 형상으로 내부 전극(444)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유전체층(440)을 구성하는 유전체 시트(442)들에는 각 유전체 시트(442)에 형성된 내부 전극을 연결하는 코어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부 커버층(460)은 하나 이상의 자성체 시트로 구성되어 유전체층(440)의 상부에 적층된다. 즉, 상부 커버층(460)은 유전체층(440)의 최상부에 적층된 유전체 시트(442)의 상부에 하나 이상의 페라이트 시트가 적층되어 구성된다.
사이드 마그네틱 패스(500)는 성형체(400)의 양 측면에 페이스트(예를 들면, 페라이트 페이스트, 페라이트 글라스 혼합 페이스트)를 도포하여 형성된다.
사이드 마그네틱 패스(500)는 성형체(400)의 측면들 중에서 단자(480)가 형성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페이스트를 도포하여 형성된다. 즉, 사이드 마그네틱 패스(500)는 단자(480)가 형성되지 않은 성형체의 측면에 페이스트를 도포하여 형성된다.
사이드 마그네틱 패스(500)는 성형체(400)의 측면들 중에서 단자(480)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페이스트를 도포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사이드 마그네틱 패스(500)는 성형체(400)의 측면에 이격되어 형성된 단자(480)들 간의 이격 공간에 페이스트를 도포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사이드 마그네틱 패스(500)는 프린팅(Printing) 도포, 디핑(Dipping) 도포, 휠 터미네이션(Wheel Termination) 도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공정으로 페이스트를 도포하여 형성된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의 임피던스 및 산포를 측정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서 실선 A는 성형체(400)의 측면에 사이드 마그네틱 패스(500)를 형성한 경우 각 주파수에서 Zcm의 측정값이며, 실선 B는 성형체(400)의 측면에 사이드 마그네틱 패스(500)를 형성한 경우 각 주파수에서 Zdm의 측정값이다. 점선 C는 성형체(400)의 측면에 사이드 마그네틱 패스(500)를 형성하지 않은 경우 각 주파수에서 Zcm의 측정값이며, 점선 D는 성형체(400)의 측면에 사이드 마그네틱 패스(500)를 형성하지 않은 경우 각 주파수에서 Zdm의 측정값이다. 이를 통해, 성형체(400)의 측면에 사이드 마그네틱 패스(500)를 형성하지 않은 경우 100㎒에서 Zcm이 대략 71.33Ω 정도이고, Zdm이 대략 7.52Ω 정도이고, 성형체(400)의 측면에 사이드 마그네틱 패스(500)를 형성한 경우 100㎒에서 Zcm이 대략 79.89Ω 정도이고, Zdm이 대략 7.48Ω 정도임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제조 방법을 이용하면 종래의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제조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동일 크기에서 대략 10% 내지 20% 정도의 공통 모드 임피던스가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체(400)의 측면에 사이드 마그네틱 패스(500)를 형성하지 않은 경우 산포(즉, 도 10의 E)가 대략 66 내지 73 정도의 범위이고, 성형체(400)의 측면에 사이드 마그네틱 패스(500)를 형성한 경우 산포(즉, 도 10의 F)가 대략 74 내지 80 정도의 범위임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제조 방법을 이용하면 종래의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제조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산포가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제조 방법 및 이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은 복수의 자성체 시트 및 유전체 시트가 적층되어 구성된 성형체의 측면에 페라이트 페이스트를 도포하여 사이드 마그네틱 패스를 형성함으로써,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를 소형화하면서도 공통 모드 임피던스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 생성 공정 200: 도포 공정
300: 소성 공정 400: 성형체
420: 하부 커버층 440: 유전체층
442: 유전체 시트 444: 내부 전극
460: 상부 커버층 480: 단자
500: 사이드 마그네틱 패스

Claims (15)

  1. 하나 이상의 자성체 시트와 내부 전극을 갖는 하나 이상의 유전체 시트를 적층하여 성형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성형체의 측면에 페라이트 페이스트 또는 페라이트 글라스 혼합 페이스트를 도포하여 사이드 마그네틱 패스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에 의해 사이드 마그네틱 패스가 형성된 성형체를 소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 마그네틱 패스를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성형체의 측면들 중에서 단자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페라이트 페이스트 또는 페라이트 글라스 혼합 페이스트를 도포하여 상기 사이드 마그네틱 패스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제조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마그네틱 패스를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성형체의 측면들 중에서 단자가 형성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페라이트 페이스트 또는 페라이트 글라스 혼합 페이스트를 도포하여 상기 사이드 마그네틱 패스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제조 방법.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마그네틱 패스를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측면에 이격되어 형성된 단자들 간의 이격 공간에 페라이트 페이스트 또는 페라이트 글라스 혼합 페이스트를 도포하여 상기 사이드 마그네틱 패스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제조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마그네틱 패스를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프린팅 도포, 디핑 도포, 휠 터미네이션 도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공정을 이용하여 상기 페라이트 페이스트 또는 페라이트 글라스 혼합 페이스트를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제조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성형체를 소성하는 단계에서는,
    페라이트 페이스트인 경우 800℃ 이상 950℃ 미만의 온도 범위에서 소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제조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 페이스트는 고체 함량이 60% 이상 80% 이하이고, 점도가 100Kcps 이상 200Kcps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제조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성형체를 소성하는 단계에서는,
    페라이트 글라스 혼합 페이스트인 경우, 500℃ 이상 750℃ 미만의 온도 범위에서 소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제조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성형체를 소성하는 단계에서는,
    은(Ag) 터미네이션 완료 후에 500℃ 이상 750℃ 미만의 온도 범위에서 상기 사이드 마그네틱 패스가 형성된 성형체를 소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제조 방법.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 글라스 혼합 페이스트는 고체 함량이 40% 이상 75% 이하이고, 점도가 40Kcps 이상 150Kcps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제조 방법.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 글라스 혼합 페이스트는 글라스의 함유량이 5wt% 이상 20wt%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제조 방법.
  12. 하나 이상의 자성체 시트와 내부 전극을 갖는 하나 이상의 유전체 시트가 적층되어 형성되는 성형체; 및
    상기 성형체의 측면에 페라이트 페이스트 또는 페라이트 글라스 혼합 페이스트를 도포하여 형성되는 사이드 마그네틱 패스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 마그네틱 패스는,
    상기 성형체의 측면들 중에서 단자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마그네틱 패스는,
    상기 성형체의 측면들 중에서 단자가 형성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14. 삭제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마그네틱 패스는,
    상기 성형체의 측면에 이격되어 형성된 단자들 간의 이격 공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KR1020120143002A 2012-12-10 2012-12-10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제조 방법 및 이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KR101425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3002A KR101425837B1 (ko) 2012-12-10 2012-12-10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제조 방법 및 이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3002A KR101425837B1 (ko) 2012-12-10 2012-12-10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제조 방법 및 이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5111A KR20140075111A (ko) 2014-06-19
KR101425837B1 true KR101425837B1 (ko) 2014-08-04

Family

ID=51127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3002A KR101425837B1 (ko) 2012-12-10 2012-12-10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제조 방법 및 이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583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6566A (ja) * 1999-10-04 2001-04-17 Murata Mfg Co Ltd フェライト焼結体および積層フェライト部品
JP2005220248A (ja) * 2004-02-06 2005-08-18 Murata Mfg Co Ltd 樹脂硬化型ペース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セラミック電子部品
WO2007111122A1 (ja) * 2006-03-29 2007-10-04 Hitachi Metals, Ltd. コイル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1009445A (ja) * 2009-06-25 2011-01-13 Murata Mfg Co Ltd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6566A (ja) * 1999-10-04 2001-04-17 Murata Mfg Co Ltd フェライト焼結体および積層フェライト部品
JP2005220248A (ja) * 2004-02-06 2005-08-18 Murata Mfg Co Ltd 樹脂硬化型ペース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セラミック電子部品
WO2007111122A1 (ja) * 2006-03-29 2007-10-04 Hitachi Metals, Ltd. コイル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1009445A (ja) * 2009-06-25 2011-01-13 Murata Mfg Co Ltd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5111A (ko) 2014-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36526B2 (ja) コモンモードノイズフィルタ
KR20180071999A (ko) 적층 인덕터
US9633773B2 (en) Thin film common mode filt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156987B1 (ko) 전자 부품
KR20130077400A (ko) 박막형 코일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JP2013140929A (ja) 共通モードフィルタ及びその製造方法
US9881726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magnetic substrate and common mode filter
JP2020194807A (ja) 積層型コイル部品
JP7259545B2 (ja) 積層型コイル部品
KR101425837B1 (ko)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제조 방법 및 이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JP2020194806A (ja) 積層型コイル部品
JP5733572B2 (ja) セラミック電子部品、及び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2007227611A (ja) コモンモードノイズフィルタ
JP2006216636A (ja) 複合積層型電子部品
JP2006245258A (ja) 複合積層型電子部品
KR101432788B1 (ko)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JP2006066848A (ja) 複合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JP2007234755A (ja) Lc複合フィルタ部品の製造方法及びlc複合フィルタ部品
JPH0493006A (ja) 積層型ビーズインダクタ
KR101207663B1 (ko) Hdmi용 공통 모드 필터 제조 방법
JP2020145222A (ja) 積層型コイル部品
JP7107250B2 (ja) 積層型コイル部品
JP2008289111A (ja) 積層型フィルタ
JPH10294218A (ja)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7326871B2 (ja) 積層型コイル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