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3993B1 - 증가한 체인 활용도를 갖는 편향 롤러 - Google Patents

증가한 체인 활용도를 갖는 편향 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3993B1
KR101423993B1 KR1020097001958A KR20097001958A KR101423993B1 KR 101423993 B1 KR101423993 B1 KR 101423993B1 KR 1020097001958 A KR1020097001958 A KR 1020097001958A KR 20097001958 A KR20097001958 A KR 20097001958A KR 101423993 B1 KR101423993 B1 KR 101423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link
chain link
standing
t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1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2906A (ko
Inventor
유르겐 바인가르트너
Original Assignee
코네크레인스 피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네크레인스 피엘씨 filed Critical 코네크레인스 피엘씨
Publication of KR20090042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2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3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3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30Chain-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30Chain-wheels
    • F16H55/303Chain-wheels for round linked chains, i.e. hoisting chains with identical li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18Power-operated hoists
    • B66D3/26Other details, e.g.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s, Cams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Chain Conveyers (AREA)
  • Transmissions By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링크 체인, 예를 들어 둥근 링크 체인 또는 프로파일형 강철 체인을 위한 편향 롤러는 주변에 누워있는 체인 링크(11)에 대한 체인 포켓을 가진다. 서있는 체인 링크에 대한 체인 포켓도 역시 제공된다. 서있는 체인 링크에 대한 체인 포켓(28)은 치형체(36)에 의해서 서로로부터 분리된다. 서있는 체인 링크가 하중 작용 상태에서 지지하는 치형체의 치형체 플랭크(39, 41)는 특정 방식으로 크기설정되고 프로파일된다. 이러한 크기설정은 서있는 체인 링크(11)가 그 돌기에 의해서 치형체 플랭크를 임의의 체인 하중까지 지지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서있는 각 체인 링크의 돌기와 치형체 플랭크 사이의 접촉은 임의의 체인 하중 이상에서만 발생한다.
편향 롤러, 베이스 몸체, 체인 포켓, 치형체, 체인 링크

Description

증가한 체인 활용도를 갖는 편향 롤러{DEFLECTING ROLLER WITH INCREASED CHAIN UTILIZATION}
본 발명은 증가한 체인 활용도를 갖는 편향 롤러에 관한 것이다.
소위 둥근 링크 체인들은 개별적으로 상호체결된 둥근 링크들로 구성된다. 각 경우에 있어서, 인접한 체인 링크들은 체인의 길이방향 축 주위로 서로에 대해 90도 만큼 회전한다. 둥근 링크 체인의 각 체인 링크는 굽혀진 와이어 섹션으로 구성되고, 상기 굽혀진 와이어 섹션의 자유 단부들은 서로에 대해서 스터브 용접(stub weld)된다.
평탄측 상의 상면에서, 체인 링크는 양쪽 모두 각 단부에서 반원형 원호로 변이되는 두 개의 직선형의, 상호 평행한 섹션들로 구성된다. 두 개의 반원형 원호의 반경은 직선형 섹션의 중심 거리에 대응한다. 상기 체인 링크의 평탄측에 평행한 평면 상의 둥근 링크 체인의 평탄하게 놓여진 체인 링크의 돌출부는 두 개의 라인에 의해서 경계가 형성되며, 여기서 하나의 라인은 외부 라인이고 다른 하나의 라인은 내부 라인이다. 결과적으로 외부 라인은 서로 평행한 두 개의 직선형 섹션들과 두 개의 반원형 원호로 구성되고, 그 직경들은 직선형 섹션들의 거리에 대응한다. 내부 라인은 모든 위치들에서 와이어 직경에 따라 외부 라인으로부터 떨어진 동일한 거리에 있다.
이러한 둥근 링크 체인들은 워크피스들(workpieces) 또는 캐리어들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후자는 예를 들어, 운송 경로를 따라 운반되는 펠릿(paletts)이거나, 또는 상기 체인은 소위 체인 호이스트(hoists)의 하중 수용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두 개의 스트랜드 또는 멀티-스트랜드(multi-strand) 체인 호이스트의 경우에, 체인은 편향 롤러들에 의해서 안내되어야 한다. 편향 롤러는 포지티브(positive) 연결부를 갖는 체인 링크와 협력하여 작용한다. 체인이 편향 롤러에 걸쳐서 순환하므로, 서있는(standing) 체인 링크들과 누워있는(lying) 체인 링크들 사이에서 구별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별은 편향 롤러의 관점에서 이루어진다. 누워있는 체인 링크는 평탄한 측면이 편향 롤러의 회전축을 향하는 링크를 의미한다. 서있는 체인 링크는 평탄한 측면이 편향 롤러의 회전축에 수직인 체인 링크이다.
지금까지 알려진 종래의 편향 롤러에서, 누워있는 체인 링크들만이 편향 롤러와 포지티브 접속을 이루도록 사용된다. 누워있는 체인 링크들의 불가피한 자유 운동(free play)으로 인하여, 정점(vertex)에서 편향 롤러 주위의 체인 이동 경로에 위치한 서있는 체인 링크는 이 과정에서 상당한 하중을 받는다.
유럽 특허 공개 공보 제 0 269 557 Al호로부터, 구동을 실행하는 체인 스프로켓이 공지되어 있고, 마모로 인한 체인 분할선(partition)의 변화에 적합하다.
하중 하에 있는 체인이 체인 스프로켓에 걸쳐서 순환하는 중에, 인접한 체인 링크들 사이에서 운동이 발생한다. 이러한 운동은 하중 하에서 스트레칭된 체인이 편향 롤러에 의해 순환 경로로 가압되기 때문에 발생한다.
체인 링크들 간의 상대 운동은 마찰 마모를 발생시키고, 그 결과로 체인 링크의 두께는 대응하는 위치에서 감소된다. 체인 링크의 두께는 당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에게서 관련 지점에 있는 와이어의 직경으로 지칭된다.
체인 링크 두께의 변화로 인하여, 체인은 길이가 증가한다. 즉, 그 주기는 편향 롤러의 분할선과 더 이상 일치하지 않는다. 이것을 고려하여, 공지된 편향 롤러들에서, 체인 포켓들은 서있는 체인 링크들에 대해 특별한 방식으로 성형된다.
서있는 체인 링크들에 대한 체인 포켓들은 체인 스프로켓의 원주 방향으로 이어지는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은 누워있는 체인 링크들에 대한 체인 포켓들을 관통한다. 상기 홈의 바닥은 가장 넓은 의미에서, 정 n각형으로 기술되며, 여기서 n은 누워있는 체인 링크들에 대한 체인 포켓들의 수와 동일하다. 각 경우에 이 정 n각형의 측부들은 개별 체인 링크의 외부 라인의 곡률 반경과 비교하여 매우 큰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갖는 원형 원호 섹션들이다. 포켓 바닥은 그 경로를 따라 어떠한 곡률 변화를 갖지 않는다. 이는 단부에서만 정 n각형의 둥근 모서리로 변이되고, 여기서 서있는 체인 링크의 인접한 체인 포켓에 대한 다음 포켓 바닥이 시작된다. 가장 넓은 의미에서, 상기 모서리는 치형체로 이해될 수 있다. 치형체 팁(tooth tip)은 중심에 위치한다. 즉, 누워있는 체인 링크에 대한 체인 포켓에 중심이 맞추어진다. 그 단부들은 회전축에 인접한 체인 링크의 평탄측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보다 명확하게 아래에 있다.
종래 기술에 관한 상기 공보의 도 2는 미사용된 둥근 링크 체인을 사용할 때, 서있는 체인 링크 및 대응하는 체인 포켓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다. 인접하는 누워있는 체인 링크들은 대응하는 서있는 체인 링크에 대한 체인 포켓의 포켓 바닥으로부터 분리된 위치에 서있는 체인 링크를 유지한다. 이는 단지 체인 길이가 마모로 인하여 증가할 때, 서있는 체인 링크가 약간 돌출하며, 그 결과로 체인 링크는 하중 방향을 향하여 돌기(nose)를 포켓 바닥에 대해 접촉시킨다.
체인 링크의 외부 라인 및 포켓 바닥 사이의 접촉 위치에서의 접선(tangent)은 서있는 체인 링크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매우 작은 예각으로 연장하며, 그에 의해 첨단형(point-shaped) 접촉 위치를 통해서 편향 롤러로부터 둥근 링크 체인으로 또는 그 반대로 힘의 전달이 실제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러한 현안에서 출발하여, 본 발명의 문제는 종래 기술에 따른 편향 롤러와 상기 체인 링크의 조합과 비교하여, 체인에 걸리는 응력이 보다 적은 편향 롤러를 생성하고, 따라서 주어진 재료로 만드는 링크 체인의 보다 높은 하중을 허용하는 것이다.
출원인의 설계자는 서있는 체인 링크가 편향에 의해서 소정의 하중에서 시작하여 길이방향으로 편향 롤러에 의해 지지되면, 체인의 높은 하중/활용이 가능하게 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서있는 체인 링크가 하중 하에서 돌기와 접촉하는 인접한 치형체 플랭크들은 특정 방식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종래 기술 분야의 편향 롤러와 같은 신규의 편향 롤러는 링크 체인들, 특히 체인 호이스트의 둥근 링크 체인 또는 프로파일형 강철 체인의 편향을 목적으로 계획된다. 링크 체인의 각 체인 링크는 굽혀진 와이어 섹션으로 구성되고, 평면 형상을 갖는다. 그 형상은 두 개의 상호 평행한 섹션들 및 두 개의 반원형 원호들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편향 롤러는 외부 주위면과 이 외부 주위면에 대해 중심설정된 회전축을 갖는 베이스 몸체를 제공한다.
상기 베이스 몸체는 체인 포켓을 포함하고, 이 체인 포켓은 외부 주위면에 위치되고, 또한 누워있는 체인 링크들을 수용할 목적으로 배열되므로, 상기 누워있는 체인 링크는 횡방향 측 또는 평탄측에 대해 편향되는 동안 굽혀지지 않는다.
또한, 상기 편향 롤러는 체인 포켓을 포함하고, 이 체인 포켓은 외부 주위면 상에 위치하고, 또한 서있는 체인 링크를 수용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서있는 체인 링크에 대한 체인 포켓들의 수는 누워있는 체인 링크에 대한 체인 포켓들의 수에 대응한다. 서있는 체인 링크에 대한 각 체인 포켓은 주어진 체인 링크가 원형 원호 뒤를 추종하는 직선형 섹션의 적어도 일부에 놓여 질 수 있는 지지 영역을 갖는다. 각 경우에 서있는 체인 링크에 대한 체인 포켓은 누워있는 체인 링크에 대한 인접한 체인 포켓들 사이에 각각 배열되고, 후자의 체인 포켓들에 중첩된다.
서있는 체인 링크들에 대한 인접한 체인 포켓들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서있는 체인 링크를 챔버수용하도록 배열된 반경방향의 치형체가 돌출한다. 각 치형체는 주위 방향으로 향하는 두 개의 치형체 플랭크에 의해 경계가 형성된다.
각 치형체 플랭크는 서있는 체인 링크에 대한 체인 포켓을 통과하고 회전축에 수직으로 서있는 대칭면에 놓여있는 치형체 플랭크 곡률 라인을 형성한다. 상기 대칭면은 서있는 체인 링크의 대칭면과 일치한다. 여기서, 플랭크 표면은 주어진 플랭크 상에서 체인 링크들과 접선방향으로 접촉하는 평면을 지칭한다.
치형체 플랭크의 위치는 대칭면에서 치형체 플랭크 곡률 라인이 하중방향으로 향하는 반원형 원호의 외부 라인으로부터 분리 거리를 갖고 체인 포켓에 배열된 체인 링크에 속하도록 크기 설정된다. 이러한 분리 거리는 두 개의 인접하게 누워있는 체인 링크들이 대응하는 체인 포켓에서 외력의 영향 없이 중심설정되어 놓여질 때 존재한다.
회전축과 직각으로 교차하는 동일 평면에 모두 놓여지는 반원형 원호의 외부 라인 및 치형체 플랭크 곡률 라인 사이의 분리 거리로 인하여, 원호형으로 굴곡지고 쐐기형으로 성형된 슬릿(slit)은 체인 링크의 주어진 돌기와 인접한 치형체 플랭크 사이에 형성되고, 이 슬릿의 폭은 치형체의 팁(tip)을 향하는 방향으로 넓어진다. 상기 슬릿은 링크 체인에서 작용하는 소정의 힘이 초과될 때 폐쇄되도록 크기설정된다. 이러한 폐쇄는 체인 링크의 대응하는 반원형 원호의 탄성 변형에 기인하여 발생한다.
서있는 체인 링크를 위한 지지를 가능한 양호하게 달성하기 위하여, 치형체는 반경방향의 높이를 가능한 크게 가져야 한다. 그러나, 반경방향의 높이는 편향 롤러로부터의 링크 체인의 접선방향 이탈이 방해되지 않아야 한다는 사실에 의해서 제한된다. 그 표면이 회전축에 인접하고 치형체가 돌출하는 누워있는 체인 링크의 플랭크 표면에 의해서 형성되는 표면에 걸쳐서 치형체가 체인 링크의 두께의 0.16배 내지 0.75배의 높이를 갖는다면, 유리한 조건들이 달성된다.
어려움 없이 볼 수 있는 치형체 높이는 체인 링크들을 위해 사용되는 와이어의 두께에 따른다.
치형체 플랭크가 2축으로 굴곡지면, 치형체 플랭크에 의한 체인 링크의 양호한 지지가 달성된다. 결과적으로, 큰 지지면으로 인하여, 치형체 플랭크 및 체인 링크의 돌기 양자에서 유리한 힘 분배가 얻어진다.
여기서, 2축으로 굴곡된 것은 관련하는 곡률 중심이 적합한 분리 거리에서 치형체 플랭크 곡률 라인과 평행하게 연장하는 라인 상에 놓여지는 곡률을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상기 라인에 대해서 측정되는 곡률 반경은 유리하게는 체인 링크가 제조되는 와이어 직경의 1/2 보다 작지 않다.
체인 링크의 주어진 돌기 및 치형체 플랭크의 주어진 돌기 사이 또는 외부 라인 및 치형체 플랭크 곡률 라인 사이의 거리는 두 개의 접원에서 근사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접원들 중 하나는 편향 롤러에 놓여지는 서있는 체인 링크의 반원형 원호의 외부 라인의 근사값이다. 결과적으로, 접원의 중심이 형성된다.
제 2 근사값은 치형체 플랭크 곡률 라인에 근사한 원이고, 따라서 다른 중심을 형성한다. 치형체 플랭크 접원의 중심은 체인 링크 접원의 중심에 대해 하중 방향으로 변위된다. 이 변위량은 체인 링크의 길이 및 체인 링크의 와이어 두께에 따라 좌우된다.
접원의 두 중심은 유리하게는 서있는 체인 링크의 직선형 섹션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직선에 놓여진다.
체인 링크의 유형에 따라서, 예각의 프로파일이 유리할 수 있다.
치형체 플랭크 곡률 라인은 정확한 원일 수 있고, 이것은 편향 롤러의 제조를 간단하게 한다. 치형체 플랭크 곡률 라인은 체인 링크가 임의의 하중, 예를 들어 공칭 하중을 받을 때, 외부 라인에 의해 형성된 것과 동일한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더욱 상세히 보면, 프로파일은 대략 포물선이고, 그러나 이것은 접원도 역시 치형체 플랭크 곡률 라인의 섹션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접원은 치형체 플랭크 곡률 라인으로부터의 거리가 최소로 되는 원형 라인으로 형성되고, 이 원형 라인은 복귀 라인이다. 상기 거리는 접원의 대응하는 반경에서 측정된다.
편향 롤러의 가능한 긴 유효 수명을 얻기 위하여, 편향 롤러가 일정한 탄성과 적응성을 얻는 한편, 내마모성이 높은 경화 강철, 양호하게는 케이스 경화 강철로 제조되는 것이 유리하다.
액슬 보어(axle bore)가 편향 롤러를 횡단하는 것이 유리하고, 이 보어는 편향 롤러가 샤프트/액슬 상에 놓여지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누워있는 체인 링크에 대한 체인 포켓들은 트레이 형태로 디자인된다.
서있는 체인 링크에 대한 체인 포켓들은 두 개의 상호 대면하는 치형체 플랭크들 및 포켓 바닥에 의해서 경계가 형성된다.
포켓 바닥은 또한 굴곡질 수 있으며, 여기서 곡률 축은 회전축과 직각을 형성한다. 다른 가능성은 평면형이고 상술한 바와 같이 치형체 플랭크들을 적합한 곡률로 접촉하는 영역에서 변이되는 포켓 바닥을 사용하는 것이다.
용접 위치의 영역에서 체인 링크의 과도한 하중을 방지하기 위하여, 포켓 바닥은 체인 링크의 용접 시임이 제거되는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치형체 플랭크 곡률 라인의 접원의 반경은 반원형 원호의 외부 라인의 접원의 반경과 동일하거나 또는 더 클 수 있다. 서로에 대한 중심의 위치는 포켓 바닥이 치형체 플랭크 안으로 버클링(buckling)없이 접선방향으로 개방되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결과로, 두 반경의 비율은 체인 링크의 크기와 와이어 직경에 따라 좌우되며 1.0배 내지 1.2배 사이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치형체 플랭크 상에 서있는 체인 링크에 및 이 체인 링크로부터 이어지는 것을 개선하기 위하여, 치형체 플랭크는 양호하게는 모따기형 표면으로 치형체 헤드 부근에서 변이된다. 상기 모따기형 표면은 굴곡지거나 또는 평면일 수 있다. 치형체의 반경방향으로 측정된 모따기의 높이는 양호하게는 0.1 내지 2mm, 양호하게는 0.2 내지 1.5mm일 수 있다.
하기에 기술되는 도면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형태의 설명으로 국한되지 않는다. 다수의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음이 명백하다. 당기술에 숙련된 기술자는 도면에서 일반적인 방식으로 기술되지 않은 상세 구성에 대해서 도면을 보충하는 정도까지 이해할 수 있다.
도면에는, 본 발명의 목적의 예시적인 보기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두 스트랜드 체인 호이스트를 크게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체인 링크 플랭크 상의 체인 링크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편향 롤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편향 롤러를 회전축에 수직으로 그리고 체인 포켓의 대칭면을 따른 횡단면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회전축에 대해 직각으로 편향 롤러를 통한 횡단면을 사용하여, 하중이 걸리지 않은 체인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편향 롤러 및 둥근 링크 체인 사이의 상호작용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에 따른 확대 상세도.
도 7은 치형체 플랭크 곡률 라인의 다른 경로를 갖는 도 5에 따른 확대 상세도.
도 8은 체인 변수의 함수로서 편향 롤러를 크기설정하기 위한 양호한 값의 표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적용 보기로서, 도 1은 두 스트랜드 체인 호이스트(1)의 간략화된 사시도를 도시한다. 체인 호이스트(1)는 대략 입방형 구동 하우징(2)을 갖고, 비동기식 모터 형태의 전기 모터(3)가 이 하우징의 전방측에 플랜지 설치된다. 구동 하우징(2) 및 모터(3) 양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 냉각 리브를 구비한다. 구동 하우징(2)으로부터 떨어진 측에서, 커버(4)가 모터(3)에 제공되며, 이 커버는 제어 장치 또는 제어 장치의 핵심 부품들을 포함한다. 제어 장치의 커버(4) 및 구동 하우징의 대향하는 전방측 사이에는, 체인 호이스트(1)를 매달 목적으로 상측으로 돌출하는 브라켓(6)을 갖는 체인 스프로켓 하우징(5)이 위치한다. 둥근 링크 체인(7)은 체인 스프로켓 하우징(6)으로부터 편향 롤러(8)로 아래로 안내되고, 편향 롤러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방식으로 후크 하우징(9)에 끼워 넣어진다. 후크 하우징(9)의 하부측에는 후크(10)가 부착된다. 편향 후에, 둥근 링크 체인은 그 자유 단부가 고정되는 체인 스프로켓 하우징(5)으로 상향으로 다시 안내된다.
도 1의 설명으로 쉽게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수직으로 지향된 힘만이 임의의 시간에 둥근 링크 체인(7)의 두 스트랜드에서 작용한다. 힘의 방향은 후크(10) 상에 걸린 하중(load)이 위로 당겨지거나 또는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과는 무관하다. 또한, 둥근 링크 체인(7)의 힘은 아래로 이동하는 동안, 초기 이동을 제외하고는 들어올려지는 동안과 동일 크기 및 동일 방향으로 작용한다.
둥근 링크 체인(7)은 복수의 동일한 체인 링크(11)로 구성되고, 상기 링크들중 하나는 평탄측 상의 평면도로서 도 2에 보기로서 도시된다. 체인 링크(11)는 적합한 직경을 갖는 타원형으로 굽혀진 둥근 와이어 섹션(12)으로 구성된다. 와이어 섹션은 충돌에 의해 그 단부에서 함께 접혀져서 도면부호 "13"에서 스터브 용접(stub welede)된다. 체인 링크의 굽힘 유형으로 인하여, 두 개의 상호 평행한 섹션(14, 15)이 형성되고, 두 개의 반원형 원호들(16, 17)도 동일하게 형성된다. 반원형 원호들(16, 17)은 점선(18, 19)에서 직선형 섹션(14, 15)으로 변이된다. 따라서, 체인 링크(11)의 외부 윤곽은 체인 링크 주위로 이어지는 외부 라인(20)을 형성한다. 이러한 형상으로 인하여, 외부 라인(20)은 두 개의 반원형 원호들(16, 17)의 영역에서 반원형으로 도시되어 있고, 그 중심은 점선(18 또는 19)에 있고 두 개의 직선형 섹션들(14, 15) 사이의 중간에 위치한다. 이 중심은 도 2에서 도면부호 "21, 22"로 표시된다.
인접한 체인 링크들은 도시된 체인 링크(11)로 상호 연결될 때, 이들의 평탄한 측면은 도면의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서있다.
도 3 및 도 4는 후크 하우징(9)에 배열된 편향 롤러(8)를 도시한다. 둥근 링크 체인(7)과 포지티브 접속으로 협력하여 작용하는 이 편향 롤러(8)의 도움으로, 후크(10)로부터 발생한 힘은 체인(7)의 두 스트랜드로 도입되거나 또는 링크 체인(7)이 편향된다. 여기서, 서있는 체인 링크는 길이방향 힘이 체인 링크(11)의 길이방향 축과 결합하지 않기 때문에 특정 하중을 받기 쉽고, 오히려 반원형 원호들(16, 17) 상의 하중을 받는 지점들이 두 개의 직선형 섹션(14 또는 15)을 향하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편향 롤러(8)는 두 개의 상호 평행한 평면형 표면들(25)에 의해서 경계가 형성되는 짧은 원통형 형상을 가지는 베이스 몸체(24)를 제공하며, 상기 표면들 중 하나만이 도시과정에서 인식할 수 있다. 평면형 표면들(25) 사이로 원통형의 주위 표면(26)이 연장한다. 통로 개방부(27)는 주위 표면(26)에 대해서 동축방향으로 제공되고, 한 평면(25)에서 다른 평면으로 편향 롤러(8)를 횡단한다. 개방부(27)의 도움으로, 편향 롤러(8)는 액슬에 부착된다.
외부 주위 표면(26)에는, 도시된 실시예의 보기에서 하나 뒤에 다른 하나가 놓이는 체인 링크들을 위한 전체 5개의 체인 포켓들(28)이 있다. 체인 포켓(28)은 통로 개방부(27)에 대해서 동축방향으로 주위를 따라서 동일 간격으로 분배된다. 서로로부터의 분리 거리는 대응하는 둥근 링크 체인(7)이 팽팽한 상태로 그러나 장력없이 삽입되면, 체인 포켓(28)에 누워있는 체인 링크(11)에 의해서 취해진 분리 거리에 대응한다.
누워있는 체인 링크라는 표현은 도 2에서 관찰자를 향하는 평탄측이 회전축 즉, 천공 개방부(27)의 중심축을 향하는 방식으로 배향되는 체인 링크로서 당기술 분야에 숙련된 기술자들에게 이해된다.
체인 포켓(28)은 상호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체인 포켓들은 트레이 형상이고 벽(31)과 평면형 포켓 바닥(29)에 의해서 경계가 형성된다. 벽(31)은 외부 주위면(26)의 높이에서 끝난다.
벽(31)의 프로파일은 이에 위치한 체인 링크(11)의 외부 라인(20)의 프로파일에 대응한다. 주위 방향으로 횡단하여, 벽(31)은 지지면 또는 전방면(32, 33)을 형성하고, 이들 면에 대해 하중이 작용하는 동안 관련 체인 링크(11)는 반원형 원호(16 또는 17)의 외측에 적용될 수 있다.
포켓 바닥(29)은 누워있는 체인 링크(11)의 평면형 평탄측에 따라서 평면이다.
둥근 링크 체인의 체인 링크의 횡단 구성으로 인하여, 연결하는 체인 링크들을 갖는 두 개의 누워있는 체인 링크는 이들이 서있도록 배열되어야만 한다. 즉, 도 2의 평면에 평행한 플랭크 표면은 편향 롤러(8)의 회전축에 수직으로 서있다. 서있는 체인 링크(11)를 수용하기 위하여, 편향 롤러(8)는 그 수가 누워있는 체인 링크에 대한 체인 포켓(28)과 일치하는 추가 체인 포켓(35)을 수용한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체인 포켓(35)은 체인 포켓(28)과 원주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열된다. 개념적으로, 체인 포켓(35)은 체인 링크(11)의 두께에 대응하는 폭과 함께 원주 방향으로 이어지는 홈으로 구성되고, 치형체(36)는 홈으로부터 적합한 분리 간격으로 반경방향으로 돌출한다. 따라서, 포켓(35)은 대략 트레이 형상으로 제공되며, 도 3 및 도 4에서 단지 하나만이 도시된 두 개의 상호 평행한 평탄한 측면(37)에 의해서 경계가 형성된다. 측면들(37) 사이의 상호 거리는 체인 링크(11)의 두께보다 약간 크다.
체인 포켓(35)은 포켓 바닥(38) 및 두 개의 치형체 플랭크 표면(39, 41)에 의해서 추가로 경계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서있는 체인 링크는 하중 방향으로 모따기되거나 또는 지지되어야 한다.
단순히 완벽함을 위하여, 용접 시임(13)을 수용하기 위해 리세스(42)가 포켓 바닥(28)에 포함될 수 있다는 것도 설명되어야 한다. 따라서, 리세스(42)는 예외로 하고, 각 체인 포켓(35)의 경계는 양 단부에서 치형체 플랭크(39, 41) 안으로 매끄럽게 변이되는 평면형 포켓 바닥(38)으로 구성된다. 리세스(42)의 양측에서, 포켓 바닥(38)은 직선형 섹션 즉, 접선에 놓여지는 섹션들을 형성한다. 이 경우, 직선은 반드시 평면인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치형체 플랭크(39, 41)와 같은 포켓 바닥(38)은 도 4의 평면에 놓이는 축에 대해서 곡률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포켓 바닥(38)은 중공 플루트(hollow flute)를 제공할 수 있으며, 그 곡률 반경은 체인 링크(11)가 제조되는 와이어의 곡률 반경보다 약간 크다.
둥근 링크 체인(7)과 편향 롤러(8)의 협력 관계가 도 5에 도시된다.
편향 롤러(8)의 회전축에 수직으로 서있는 체인 포켓(28)의 대칭면은 동시에 체인 포켓(35)의 대칭면이고 또한 체인 링크(11)가 체인 포켓(28 또는 35)에 놓여질 때 체인 링크(11)의 대칭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대칭면을 따른 편향 롤러(8)의 횡단면을 도시한다. 누워있는 체인 링크(11)는 상기 대칭면 즉, 도 2의 평면에 수직으로 서있고 중심(21, 22)을 통과하는 평면에서 분할되어 있다.
도 5에서, 체인 링크들은 도면부호 "11"로 표시되고, 서로를 보다 용이한 구별하기 위해 영문 소문자가 추가로 표시된다. 도 2와 관련하여 주어진 설명은 그들 모두에 적용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둥근 링크 체인은 편향 롤로(8)로부터 접선방향으로 좌우 상방으로 이어지고, 스트랜드가 앵커링(anchoring)으로 안내되고 스트랜드가 구동 체인 스프로켓에 연결되는 추가 고려에 대해서 중요하지 않으며, 본 발명에 관한 한 이 조건들은 대칭이다. 도시된 위치에서, 서있는 체인 링크(11d)에 최대 하중이 발생된다. 체인 링크(11d)는 체인 경로의 정점에 놓여있다.
도 6은 예를 들어, 체인 링크(11d)의 서있는 체인 링크의 돌기 및 인접한 치형체(36)의 치형체 플랭크(39) 사이의 상호연결 결합의 확대된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다. 결합 조건들의 설명에 필요하지 않은 임의의 구성들은 도 6의 도시에서 생략했다. 또한, 크기 비율은 필수 형태를 도시하기 위하여 크게 확대되었다. 편향 롤러(8)를 따른 단면은 편향 롤러의 회전축 상에 수직으로 서있는 대칭면에 놓여진다. 상기 대칭면은 체인 포켓(35)의 두 개의 측면들(37) 사이의 중심에서 연장한다. 따라서, 이는 경사 자유 운동을 제외하고, 체인 링크(11d)의 두 개의 상호 평행한 플랭크 표면들 사이의 중심에서 연장한다. 상기 표면들은 도 2 또는 도 6에 따른 평면과 평행한 양 측부 상에서 체인 링크(11d)를 연장시키는 접선방향 평면에 의해서 형성된다. 상기 인식가능한 절단 평면에서, 하중 수용 플랭크 표면(39)은 (재차, 경사 자유 운동을 제외하고) 주위 방향으로 외부 라인 또는 외부 윤곽 라인(20)에 직접 대향하는 치형체 플랭크 곡률 라인(45)을 형성한다.
치형체 플랭크 곡률 라인(45)은 인접한 치형체(36)의 팁까지 연장되고 포켓 바닥(38) 안으로 접선방향으로 접촉하는 원형 원호이다. 상기 치형체 플랭크 곡률 라인(45)을 형성하는 상기 원의 중심은 도면부호 "46"에 위치한다. 즉, 중심(46)은 포켓 바닥(38)에 평행한 어떤 거리에 대해서 하중 방향으로 중심(21)에 대향하게 위치된다. 변위 크기 즉, 두 개의 중심들(21, 46) 사이의 거리는 체인 링크(11)의 크기의 함수이다. 도 8의 하기 표에서, 체인 링크(11)의 크기설정의 함수로서 중심들 사이의 거리에 대해서 양호한 값이 표시된다. 치형체 플랭크 곡률 라인에 의해서 기재되는 원의 직경은 반원형 원호들(16, 17)과 동일한 직경을 가진다.
치형체 플랭크(41)는 동일 방식으로 설계되고, 따라서 치형체 플랭크 곡률 라인에 대해서 동일 도면부호 "45"가 사용된다. 대면하는 치형체(36)의 치형체 플랭크(41)의 치형체 플랭크 곡률 라인(45)은 중심(47)을 형성하는 원형 원호이다. 체인 링크(11d)가 체인 링크들(11c, 11e) 사이에 중심설정되어 놓여질 때, 중심(47)은 중심(22)으로부터 중심(21, 46) 사이의 거리와 동일 거리에 있다.
상기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둥근 링크 체인은 사용되지 않으며 마모의 표시를 갖지 않는다는 사실을 추정할 수 있다. 체인 링크가 힘없이 편향 롤러(8)에 걸쳐서 놓여질 수 있다. 즉, 누워있는 체인 링크들(11c, 11e)은 체인 포켓(28)에 대칭으로 놓여진다. 서있는 체인 링크(11d)는 체인 포켓들(28) 사이에 교대로 대칭으로 삽입되어서, 여기서 중심(21)의 위치를 외부 윤곽 라인(20)의 곡률 중심으로서 생성한다.
도 8의 표에 제시된 바와 같이, 각 경우에 두 개의 인접한 원의 중심에서의 변위로부터 발생하는 쐐기(wedge)는 매우 작다. 최종적으로, 도 5에 도시된 상황에서 공칭 하중을 갖는 체인에 하중이 작용하는 동안, 정점에 놓여있는 서있는 체인 링크(11d)는 동시 탄성 변형 상태에서, 평탄하게 누워있는 체인 링크들(11c, 11e)에 의해서 길이 방향으로 당겨지도록 크기설정된다. 이러한 변형으로 인하여, 돌기를 갖는 서있는 체인 링크(11d) 즉, 하중 방향으로 향하는 반원형 원호의 부분이 치형체 플랭크(39)에 대해서 적용된다. 즉, 상기 하중값으로 누워있는 체인 링크(11e)로부터 발생하는 힘은 편향 롤러를 통해서 누워있는 체인 링크(11c)에 추가로 전달된다. 편향 롤러(8)의 베이스 몸체(24)는 체인 링크(11d)에 대한 바이패스에 효과적으로 놓여진다.
링크 체인(7)의 공칭 인장 하중의 100%와 75% 사이의 소정 인장 하중에서, 치형체 플랭크 곡률 라인(45) 및 반원형 원호(16, 17)의 외부 라인(20) 사이의 거리는 영(0; zero)에 도달한다. 공칭 인장 하중은 320N/mm2 내지 80 N/mm2일 수 있다. 공칭 인장 하중은 체인 링크의 와이어 단면 및 체인 구동부의 공칭 하중 용량으로부터 계산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결과로 체인은 동일한 체인 품질로 보다 높은 하중값까지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다르게 적용되는 공칭 하중과 비교하여 25%까지 위험없이 하중을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규의 편향 롤러는 안정성을 증가시키고 체인의 마모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기술에서, 체인(8)은 둥근 링크 체인으로 가정하였으며, 반복 설명하는 바와 같이, 개별 체인 링크들은 둥근 와이어 부재로 제조된다. 따라서, 치형체 플랭크(39, 41)는 2축으로 굴곡지는 것이 유리하다. 이것은 한편으로는 치형체 플랭크들이 접원을 따라 굴곡지고, 다른 한편으로는 하중 수용 치형체 플랭크 표면(39, 41)에 대한 발생 라인이 둥근 링크 체인이 제조되는 와이어의 직경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갖는 원형 원호라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표면 압력의 크기가 감소한다.
따라서, 포켓 바닥의 영역에서 동일하게 실행된다.
링크 체인의 지지 하중을 증가시키는 관점에서, 체인 링크들의 제조를 위해 둥근 와이어를 대신하여 프로파일형 와이어를 사용하려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프로파일형 와이어는 원형 원호 섹션 및 사각형 섹션으로 구성된다. 또는, 다시 말해서, 일측 상에서 인접한 모서리들이 원의 1/4로 대체되는 사각 횡단면이다.
마찬가지로 이러한 유형의 체인에서, 본 발명에 따른 하중 수용의 치형체 플랭크(39)의 설계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런 다음, 하중 수용 치형체 플랭크 표면(39)은 둥근 링크 체인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더 이상 2축으로 굴곡지지 않으며; 오히려, 표면에 대한 발생 라인은 회전축과 평행한 치형체 곡률 라인을 따라 안내되는 직선이다.
결국, 편향 롤러로서, 2 차적으로 열처리되지 않은 충분한 강도의 비처리 강철을 사용하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여기서, 비용은 크게 절감된다.
도시된 편향 롤러는 샤프트 상에 설치하기 위한 보어를 제공한다. 단일 부재의 기존 샤프트를 갖는 편향 롤러를 디자인하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상황에 따라서, 치형체 플랭크 곡률 라인(45)의 반경이 외부 윤곽 라인(20)의 반경보다 큰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도시에 대한 중심(46 또는 47)은 추가로 상향으로 변위된다. 변위의 크기는 치형체 플랭크 곡률 라인(45)이 포켓 바닥(38)에 접선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개방하는 것을 보장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보기를 도시한다. 체인 링크(11d)의 외부 윤곽 라인(20) 및 인접한 치형체 플랭크(39 또는 41) 사이의 필요한 거리는 도 6에 따른 상기 실시예의 보기와 같이 접원의 변위에 의해서는 얻어지지 않는다. 오히려, 이 분리 거리는 반원형 원호의 영역에서 외부 윤곽 라인(20)의 반경과 비교하여, 예를 들어 표 8에 따라 반경이 증가하는 접원을 형성하는 치형체 플랭크 곡률 라인(45)에 의해서 생성된다.
존재한다면 체인 링크(11)의 외측 상에 압인을 유도할 수 있는 굴곡점들은 체인 포켓(35)의 영역에서 회피되어야 하기 때문에, 분리 직선 라인(18 또는 19) 상의 중심(46)은 포켓 바닥(38)으로부터 떨어지게 변위된다. 결과적으로, 포켓 바닥(38)은 직선형 섹션과 직접 접하고 그에 따라서 굽힘이 없는 치형체 플랭크 곡률 라인(45)으로 개방된다. 따라서, 중심(21, 46)은 반원형 원호(16)를 직선형 섹션(14, 15)으로부터 분리하는 개별 직선 라인(18) 상에 놓여지는 한편, 곡률 라인의 중심(22, 47)은 직선형 섹션(14, 15)을 반원형 원호(17)로부터 분리하는 개별 직선 라인(19) 상에 놓여진다. 서로로부터 중심들(21, 46 또는 22, 47) 사이의 거리는 반경 차이에 대응한다.
나머지에 대해서, 효과는 상술한 바와 같다.
마지막으로, 치형체 플랭크 곡률 라인을 원형 원호 섹션으로 크기설정하지 않고 외부 윤곽 라인(20)이 하중 하에서 상기 영역에서 취하는 형태를 부여하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 경우에, 도 6 및 상술한 표에 따라 서로 변위되는 접원은 외부 윤곽 라인(20) 및 치형체 플랭크 곡률 라인(45) 양자에 대해서 형성될 수 있다. 이들 접원은 예를 들어, 최소 에러 자승(least error squares)에 기초하는 회귀 분석(regression analysis)의 유형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는 근접 곡선을 나타낸다. 접원에 대한 적응 및 거리의 측정은 주어진 가상원의 반경으로부터 시작된다. 표는 160N/mm2의 하중에 대해서 계산되고 시험된다.
각 치형체(36)의 높이는 편향 롤러 및 서있는 체인 링크 사이에 힘이 전달되는 회전 경로의 극대화 및 체인(8)의 양호한 이동 특성 사이의 장력장(tension field)에서 움직인다. 치형체(36)의 높이에 대한 양호한 값은 체인 링크(11)가 제조되는 와이어 두께의 0.16배 내지 0.75배 사이에 있다. 그 높이는 평면 및 치형체 팁 사이의 거리로서 측정된다. 기준 평면은 치형체(36)가 관통하는 누워있는 체인 링크의 하부 플랭크 표면 상의 접선방향 평면이다.
치형체(36)가 치형체 팁에 모따기를 제공하면, 런 인(run in) 및 런 오프(run off)의 상태가 개선될 수 있다. 모따기의 높이 또는 폭은 0.1mm 내지 1.5mm 사이이다.
링크 체인, 예를 들어, 둥근 링크 체인 또는 프로파일형 강철 체인에 대한 편향 롤러는 상황에 따라서 누워있는 체인 링크들을 위한 체인 포켓들을 제공한다. 또한, 서있는 체인 링크들을 위한 체인 포켓들이 제공된다. 서있는 체인 링크들을 위한 체인 포켓들은 치형체에 의해서 서로로부터 분리된다. 서있는 체인 링크가 하중 작용 하에서 지지하는 치형체의 치형체 플랭크 표면은 특정 방식으로 크기설정되어서 프로파일된다. 크기설정은 서있는 체인 링크가 임의의 체인 하중까지는 치형체 플랭크에 대해 돌기에 지지하지 않는 방식으로 실행된다. 치형체 플랭크 표면 및 대응하는 서있는 체인 링크의 돌기 사이의 접촉은 임의의 체인 하중에서만 발생한다.

Claims (29)

  1. 체인 호이스트(1)의 둥근 링크 체인들 또는 프로파일형 강철 체인들과 같은 링크 체인들(7)을 편향시키기 위한 편향 롤러(8)로서, 각 체인 링크(11)는 굽혀진 와이어로 구성되고 두 개의 상호 평행한 섹션들(14, 15) 및 두 개의 반원형 원호들(16, 17)로 이루어지는 누워있는 또는 서있는 평탄한 형상을 구비하는, 편향 롤러(deflecting roller)(8)로서,
    외부 주위면(26) 및 회전축을 구비하는 베이스 몸체(24);
    상기 외부 주위면(26)에 위치하고, 누워있는 상기 체인 링크들(11)을 수용하여 상기 편향 롤러(8)로부터 상기 누워있는 체인 링크들(11)로 힘을 전달하도록 배열된 체인 포켓들(28);
    상기 외부 주위면(26)에 위치하고, 서있는 상기 체인 링크들(11)을 수용하도록 배열되는 체인 포켓들(35)로서, 그 수가 상기 누워있는 체인 링크들(11)을 위한 상기 체인 포켓들(28)의 수에 대응하고, 상기 체인 포켓들(35) 각각은 상기 각 체인 링크(11)가 상기 반원형 원호(16, 17)에 이어지는 직선형 섹션(14, 15)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서 지지되는 상기 서있는 체인 링크를 위한 지지 영역(38)을 제공하고, 각 경우에 상기 체인 포켓들(35) 중 하나가 상기 체인 포켓들(28)과 중첩되는 방식으로 상기 누워있는 체인 링크들(11)을 위한 인접한 상기 체인 포켓들(28) 사이에 배열되는, 상기 체인 포켓들(35);
    치형체(36)로서, 그 중 하나가 상기 서있는 체인 링크들(11)을 위한 두 개의 인접한 체인 포켓들(35) 사이에 배열되고, 상기 서있는 체인 링크(11)를 챔버에 수용하도록 배열되고, 주위 방향으로 향하는 두 개의 치형체 플랭크들(tooth flank)(39, 41)에 의해서 각각 경계가 형성되는, 상기 치형체(36)를 포함하고,
    상기 체인 포켓(35)의 경계를 형성하는 상기 인접한 치형체(36)의 상기 두 개의 치형체 플랭크들(39, 41) 각각은, 상기 서있는 체인 링크들(11)을 위한 상기 체인 포켓들(35)의 상기 회전축에 수직으로 서있는 대칭면에서, 치형체 플랭크 곡률 라인(45)을 형성하고, 상기 치형체 플랭크 곡률 라인(45)은 대응하는 상기 체인 포켓(35)에 위치되는 상기 서있는 체인 링크(11)의 하중(load) 방향을 향해 인접한 상기 반원형 원호(16, 17)의 외부 라인(20)에 의해 나타나는 굴곡 프로파일에 적어도 대응하며,
    두 개의 인접한 상기 체인 링크들(11)이 외력의 영향 없이 대응하는 상기 체인 포켓들(28) 내의 중앙에 놓이면, 또한 상기 체인 링크들(11) 사이에 자유 운동(free play)이 없으면, 대칭면에서 측정된 상기 치형체 플랭크 곡률 라인(45)이 대응하는 상기 체인 포켓(35)에 위치한 상기 서있는 체인 링크(11)의 상기 반원형 원호(16, 17)의 외부 라인(20)에서 하중이 가해진 방향으로 분리 거리를 적어도 상기 치형체의 팁 부근에서 갖도록, 상기 두 개의 치형체 플랭크들(39, 41)의 위치가 설정되는, 편향 롤러(deflecting roller).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 인접하는 상기 누워있는 체인 링크(11)의 상기 플랭크 표면에 의해서 형성된 표면에 걸쳐서, 상기 치형체(36)는 상기 체인 링크 두께의 0.16배 내지 0.75배 사이의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롤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치형체 플랭크(39, 41)는 2축으로 굴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롤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 링크의 와이어의 둘레로 굴곡되는 상기 치형체 플랭크(tooth flank)의 곡률들 중 하나는 상기 체인 링크의 반원형 원호의 반원형 곡률과는 다르고, 상기 체인 링크(11)가 제조되는 와이어 직경의 1/2 보다 작지 않은 반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롤러(deflecting roller).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롤러(8)에 삽입되는 상기 서있는 체인 링크(11)의 상기 반원형 원호(16, 17)의 상기 외부 라인(20)은 중심(21, 22)을 갖는 체인 링크 접원을 적어도 형성하고, 상기 치형체 플랭크(39, 41)의 상기 치형체 플랭크 곡률 라인(45)은 중심(46, 47)을 갖는 치형체 플랭크 접원을 형성하며, 상기 각 치형체 플랭크 접원의 상기 중심(46, 47)은 상기 체인 링크(11)의 관점에서 보면 인접한 상기 체인 링크 접원의 중심(21, 22)에 대해서 상기 하중 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롤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는 상기 하중 방향으로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롤러.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인접한 중심들(21, 46; 22, 47) 사이의 연결 직선은 상기 서있는 체인 링크(11)의 상기 직선형 섹션들(14, 15)과 평행하게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롤러.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인접한 중심들(21, 46; 22, 47) 사이의 연결 직선은 상기 서있는 체인 링크의 상기 직선형 섹션들(14, 15)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예각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롤러.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인접한 중심들(21, 46; 22, 47) 사이의 연결 직선은 상기 서있는 체인 링크(11)의 상기 직선형 섹션들(14, 15)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롤러.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원의 중심들(21, 46; 22, 47) 사이의 거리는 체인 링크(11)의 와이어 직경의 0.06 배와 0.1 배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롤러.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치형체 플랭크 곡률 라인(45)은 정확한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롤러.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치형체 플랭크 곡률 라인(45)은 공칭 하중에 의해 하중 상태에 있는 상기 체인 링크(11)의 상기 치형체 플랭크(39, 41)에 각각 인접하는 상기 반원형 원호들(16, 17)의 상기 외부 라인(20)과 동일한 프로파일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롤러.
  13. 제 1 항에 있어서,
    경화 강철, 케이스 경화 강철 또는 비처리 강철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롤러.
  14. 제 1 항에 있어서,
    축방향 보어(27)를 포함하고, 상기 보어에 의해 샤프트/액슬 상에 놓여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롤러.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 포켓들(28)은 상기 누워있는 체인 링크들(11)에 대한 트레이 형상으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롤러.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있는 체인 링크들(11)에 대한 상기 체인 포켓들(35)은 주위 방향으로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두 개의 치형체 플랭크들(39, 41) 및 포켓 바닥(38)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롤러.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 바닥(38)은 굴곡지고, 상기 곡률 축은 상기 회전축과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롤러.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 바닥(38)은 평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롤러.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 바닥(38)은 상기 체인 링크(11)의 용접 시임(13)을 제거하기 위해 중간에 리세스(4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롤러.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치형체 플랭크 곡률 라인(45)의 접원의 반경은 상기 반원형 원호(16, 17)의 외부 라인(20)의 접원의 반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롤러.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두 접원의 반경의 비율은 1.0배 내지 1.2배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롤러.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두 접원의 반경의 비율은 와이어 직경의 0.08배 내지 0.3배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롤러.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치형체 플랭크(39, 41)는 상기 치형체의 팁의 방향으로 향하여 모따기형 표면으로 변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롤러.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모따기형 표면의 높이는 상기 체인 링크의 와이어 직경에 따라 0.1 내지 1.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롤러.
  2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형 롤러(8)는 일체형 액슬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롤러.
  2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워있는 체인 링크(11)에 대한 상기 포켓 바닥(38)의 위로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영역에서, 상기 치형체(36)는 상기 체인 링크(11)의 상기 직선형 섹션들(14, 15) 사이의 상호 거리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롤러.
  2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체인(7)의 공칭 인장 하중의 100%와 75% 사이의 소정의 인장 하중에서, 상기 치형체 플랭크 곡률 라인(45) 및 상기 반원형 원호(16, 17)의 외부 라인(20) 사이의 거리는 영(0;zero)에 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롤러.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공칭 인장 하중은 320 내지 80 N/m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롤러.
  29.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공칭 인장 하중은 상기 체인 링크의 와이어 단면 및 체인 구동부의 공칭 하중 용량으로부터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롤러.
KR1020097001958A 2006-08-01 2007-05-25 증가한 체인 활용도를 갖는 편향 롤러 KR1014239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6036163A DE102006036163A1 (de) 2006-08-01 2006-08-01 Umlenkrolle mit höherer Kettenausnutzung
DE102006036163.6 2006-08-01
PCT/EP2007/004680 WO2008014836A2 (de) 2006-08-01 2007-05-25 Umlenkrolle mit höherer kettenausnutz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2906A KR20090042906A (ko) 2009-05-04
KR101423993B1 true KR101423993B1 (ko) 2014-08-01

Family

ID=38440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1958A KR101423993B1 (ko) 2006-08-01 2007-05-25 증가한 체인 활용도를 갖는 편향 롤러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8157246B2 (ko)
EP (1) EP2047142B1 (ko)
JP (2) JP5313140B2 (ko)
KR (1) KR101423993B1 (ko)
CN (1) CN101495781B (ko)
AT (1) ATE556252T1 (ko)
BR (1) BRPI0714977B1 (ko)
DE (1) DE102006036163A1 (ko)
RU (1) RU2421642C2 (ko)
TW (1) TWI392819B (ko)
WO (1) WO200801483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36163A1 (de) * 2006-08-01 2008-02-07 Stahl Crane Systems Gmbh Umlenkrolle mit höherer Kettenausnutzung
DE102006036162A1 (de) * 2006-08-01 2008-02-07 Stahl Crane Systems Gmbh Kettennuss mit höherer Tragkraft
KR20140079815A (ko) * 2011-11-03 2014-06-27 바덱스 코퍼레이션 체인 세그먼트들의 조작 방법 및 장치
DE102011055204A1 (de) * 2011-11-10 2013-05-16 Rud Ketten Rieger & Dietz Gmbh U. Co. Kg Spritzgegossenes Taschenkettenrad aus faserverstärktem Kunststoff
US8851455B2 (en) * 2012-09-13 2014-10-07 Ventra Group, Inc. Reel assembly for chain hoist
NO339887B1 (no) * 2014-11-14 2017-02-13 Macgregor Norway As En kjedeføring og en vinsj omfattende en slik kjedeføring
FR3061753B1 (fr) * 2017-01-10 2019-05-31 Serapid - France Dispositif de chaine de pousse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425974A1 (de) * 1963-07-23 1969-02-20 King Ltd Kettenrad
DD244609A1 (de) * 1985-12-19 1987-04-08 Suhl Hebezeugwerk Kettenrad
JPH05231500A (ja) * 1992-02-24 1993-09-07 Nissan Motor Co Ltd チェーン用スプロケット
JPH08133684A (ja) * 1994-11-08 1996-05-28 Eagle Kuranpu Kk チェ−ンスプロケットホイ−ル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648940A (en) 1948-08-31 1951-01-17 Yale & Towne Mfg Co Improvements in idler sheaves for chain blocks and the like
DE1273915B (de) 1963-11-05 1968-07-25 Rud Ketten Rieger & Dietz Kettentriebrad
US3376756A (en) * 1964-04-13 1968-04-09 Sanko Kiki Kabushiki Kaisha Chain drive and housing arrangement
DE1943689U (de) * 1966-05-17 1966-08-04 Rud Ketten Rieger & Dietz Zahn-triebrad fuer rundstahl-ketten.
DE2856099B1 (de) * 1978-12-23 1980-04-30 Kloeckner-Werke Ag, 4100 Duisburg Kettenrad mit Kettentaschen
DE3115927A1 (de) * 1981-04-22 1982-11-11 Gewerkschaft Eisenhütte Westfalia, 4670 Lünen Kettenrad, insbesondere fuer kettenfoerderer, kettengezogene gewinnungsmaschinen u.dgl.
DE3115916A1 (de) * 1981-04-22 1982-11-11 Gewerkschaft Eisenhütte Westfalia, 4670 Lünen Kettenrad, insbesondere fuer foerder- und gewinnungsanlagen in bergbaubetrieben
DE3201210A1 (de) 1982-01-16 1983-07-28 Hans-Jürgen Dipl.-Ing. 5130 Geilenkirchen Klein "kettenrad"
DE3245396A1 (de) * 1982-12-08 1984-06-14 Fa. August Thiele, 5860 Iserlohn Spannratsche fuer rundstahlketten
JPS59126159A (ja) * 1983-01-07 1984-07-20 Masaru Yasukawa チエンホイル
JPS62251564A (ja) * 1986-04-21 1987-11-02 Yamaha Motor Co Ltd 複列式チエ−ン装置
DE3639784A1 (de) * 1986-11-21 1988-06-01 Rud Ketten Rieger & Dietz Kettenrad mit taschen
DE8631190U1 (ko) 1986-11-21 1987-02-05 Rud-Kettenfabrik Rieger & Dietz Gmbh U. Co, 7080 Aalen, De
DE9103725U1 (ko) * 1991-03-22 1992-07-23 Rud-Kettenfabrik Rieger & Dietz Gmbh U. Co, 7080 Aalen, De
DE4130073C2 (de) 1991-09-06 1996-10-17 Rud Ketten Rieger & Dietz Taschenkettenrad als Umlenkrad
US5275379A (en) * 1992-02-14 1994-01-04 Mcaleer Roger W Wildcat chain hoist with whelps, pockets, and movable drum halves
JP3507096B2 (ja) * 1993-04-20 2004-03-15 株式会社大正製作所 変速式自転車の後輪側被駆動トップ用スプロケット
US7284745B2 (en) * 2003-02-18 2007-10-23 British Columbia Institute Of Technology Portable raising and lowering device and equipment therefor
DE102004004691B3 (de) * 2004-01-29 2005-10-06 Dbt Gmbh Kettenrad für den untertägigen Bergbau
DE102006030984B4 (de) * 2005-08-17 2016-08-04 Caterpillar Global Mining Europe Gmbh Kettenantriebs- oder Umlenkanordnung sowie dabei eingesetztes Kettenband
DE102006036163A1 (de) * 2006-08-01 2008-02-07 Stahl Crane Systems Gmbh Umlenkrolle mit höherer Kettenausnutzung
DE202007002119U1 (de) * 2007-02-08 2008-06-26 Bucyrus Dbt Europe Gmbh Kettenrad für Kettenantrieb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425974A1 (de) * 1963-07-23 1969-02-20 King Ltd Kettenrad
DD244609A1 (de) * 1985-12-19 1987-04-08 Suhl Hebezeugwerk Kettenrad
JPH05231500A (ja) * 1992-02-24 1993-09-07 Nissan Motor Co Ltd チェーン用スプロケット
JPH08133684A (ja) * 1994-11-08 1996-05-28 Eagle Kuranpu Kk チェ−ンスプロケットホイ−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497227B2 (ja) 2014-05-21
KR20090042906A (ko) 2009-05-04
WO2008014836A2 (de) 2008-02-07
US8157246B2 (en) 2012-04-17
DE102006036163A1 (de) 2008-02-07
JP5313140B2 (ja) 2013-10-09
ATE556252T1 (de) 2012-05-15
CN101495781A (zh) 2009-07-29
RU2009107195A (ru) 2010-09-10
JP2009545709A (ja) 2009-12-24
BRPI0714977A8 (pt) 2017-01-31
TW200827592A (en) 2008-07-01
TWI392819B (zh) 2013-04-11
EP2047142A2 (de) 2009-04-15
BRPI0714977A2 (pt) 2012-12-25
RU2421642C2 (ru) 2011-06-20
US20090309083A1 (en) 2009-12-17
BRPI0714977B1 (pt) 2019-01-29
CN101495781B (zh) 2013-08-14
JP2013200040A (ja) 2013-10-03
WO2008014836A3 (de) 2008-04-10
EP2047142B1 (de) 2012-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3993B1 (ko) 증가한 체인 활용도를 갖는 편향 롤러
KR101423994B1 (ko) 증가한 하중 용량을 갖는 체인 스프로켓
KR100391837B1 (ko) 에너지 안내 체인
JP4121029B2 (ja) エネルギー案内チェーン
JP5160444B2 (ja) 騒音改善を伴う高強度、高剛性のサイレントチェーン
JP5496665B2 (ja) 改良された剛性を有する半径ベルト
EP1054825B1 (en) Conveyor device
JP2005162488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S5999143A (ja) 改良された動力伝達チエ−ン
US5562559A (en) Rocker joint chain with crescent shaped aperture
JP2009545709A5 (ko)
CA2287074C (en) Power supply chain
JP7406318B2 (ja) チェーン
US20020025867A1 (en) Rocker joint silent chain
US20090305829A1 (en) Pocket-type sprocket, and chain drive comprising a pocket-type sprocket
KR20230113810A (ko) 특히 롤러를 구비한, 장거리 이동을 위한 에너지 체인
EP1544503A1 (en) A cha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