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9752B1 - 엘리베이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9752B1
KR101419752B1 KR1020127032874A KR20127032874A KR101419752B1 KR 101419752 B1 KR101419752 B1 KR 101419752B1 KR 1020127032874 A KR1020127032874 A KR 1020127032874A KR 20127032874 A KR20127032874 A KR 20127032874A KR 101419752 B1 KR101419752 B1 KR 101419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stop
cars
shaft
ret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2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1281A (ko
Inventor
베른트 알텐부르거
한스-퍼디난트 본 숄레이
홀거 제렐레스
Original Assignee
티센크루프 엘리베이터 에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센크루프 엘리베이터 에이지 filed Critical 티센크루프 엘리베이터 에이지
Publication of KR20130031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1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9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9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28Buffer-stops for cars, cages, or sk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66B5/0031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for safety rea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28Buffer-stops for cars, cages, or skips
    • B66B5/284Buffer-stops for cars, cages, or skips mounted on cars or counterweights
    • B66B5/286Buffer-stops for cars, cages, or skips mounted on cars or counterweights between two cars or two counterweigh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시스템(elevator system)에 관한 것으로,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적어도 두 개의 엘리베이터 카(elevator car)(14, 16)이 서로 위 아래로 배열되고 서로 개별적으로 위 아래로 움직일 수 있는 샤프트(shaft)(12)로서, 각각의 엘리베이터 카이 상기 엘리베이터 카을 움직이기 위해 구동장치(23, 33)와 결합되고, 브레이크 유닛(55, 57)은 각각의 엘리베이터 카에 배치된, 상기 샤프트를 포함하고, 엘리베이터 카의 작동 거동(operating behavior)을 모니터링 하기 위한 안전 유닛(safety unit)(53)을 더 포함하며, 엘리베이터 카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정지요소(stop element)(54, 56)와, 엘리베이터 카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정지요소와 상호작용하고 상기 샤프트에 배열된 유지요소(retaining element)(60, 64)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제한 유닛(travel limiting unit)을 포함한다. 운송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본 발명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정지요소(54, 56)는 적어도 제 1 엘리베이터 카(14)에 배열되고, 상기 정지요소는 정지 위치에서 엘리베이터 카의 수직 돌출부로부터 옆으로 돌출하고 한정된 유지요소(60, 64)와 협동하며, 상기 유지요소는 상기 정지요소와 결합되고 모든 엘리베이터 카의 수직 돌출부 밖에 배치되며, 샤프트에서 이동하는 다른 모든 엘리베이터 카은 막히지 않고 지날 수 있고, 각각의 엘리베이터 카에 배치된 브레이크 유닛(55, 57), 또는 상기 유닛의 제동 작용은, 엘리베이터 카이 미리 한정된 제한속도 밑으로 떨어지면 작동이 중지될 수 있고, 엘리베이터 카은 제한속도 이하의 속도에서 정지 및 유지요소에 의해 정지하도록 감속될 수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시스템{ELEVATOR SYSTEM}
본 발명은, 적어도 두 개의 카(car)이 서로 위 아래로 배열되고 서로 개별적으로 위 아래로 수직 이동 가능한 샤프트(shaft)로서, 각각의 카이 상기 카을 움직이기 위해 이와 결합된 하나의 구동장치를 갖고, 각각의 카이 이 위에 배열된 하나의 브레이크 장치를 갖는, 상기 샤프트와; 카의 작동 거동(operating behavior)을 모니터링 하기 위한 안전 장치(safety device)와; 카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정지요소(stop element)와, 상기 샤프트에 배열되고 상기 정지요소와 상호작용하는 유지요소(retaining element)를 포함하고, 카의 이동 경로를 제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 경로 제한 장치(travel path limiting device)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설비(elevator installation)에 관한 것이다.
샤프트에서 서로 위 아래로 배열되고 서로 개별적으로 위 아래로 수직 이동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는 적어도 두 개의 카의 사용은, 엘리베이터 설비의 운송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사람과 짐은 이러한 엘리베이터 설비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각각의 카은 상기 카을 위 아래로 수직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와 결합된다. 상기 구동장치는 구동 모터(drive motor)와 구동 브레이크(drive brake)를 포함한다. 고장 발생시 두 개의 카의 제동되지 않은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설비는 안전 장치(safety device)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 장치를 사용하여 카의 작동 거동이 모니터될 수 있고, 필요시, 비상 정지(emergency stop)가 시작될 수 있다. 비상 정지의 경우, 카의 구동 모터가 꺼지고 구동 브레이크가 작동된다. 또한, 각각의 카은 이 위에 브레이크 장치, 예를 들어, 안전 기어(safety gear)를 배열하고, 상기 안전 기어를 사용하여 인접한 카과 카의 거리가 안전 거리 밑으로 좁혀지면 카은 기계적으로 제동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정지요소가 가장 낮은 카에 배열되어 있고 유지요소가 소위 샤프트 피트(shaft pit)에서 샤프트의 하부 단부에 배열되어 있는 이동 경로 제한 장치는 보통 가장 낮은 카을 위해 또한 사용된다. 이동 경로 제한 장치를 사용하여, 가장 낮은 카의 이동 경로를 제한하고 가장 낮은 카과 엘리베이터 설비의 아래에 위치한 엘리베이터 설비 부분 또는 샤프트 피트의 충돌을 감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유지요소(retaining element)는 샤프트 피트에서 가장 낮은 카의 수직 돌출부(vertical projection) 내에 배열된 완충 요소(buffer element) 형태로 일반적으로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카에 배열된 브레이크 장치, 특히, 안전 기어는, 카 앞에서 이동 방향으로 위치한 제 2 카으로부터 카의 거리가 규정된 안전 거리 아래로 좁혀지는 경우, 일반적으로 작동이 시작된다. 안전 거리는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을 시작한 후, 카이 그 앞에 위치한 제 2 카과 충돌하지 않고 안전하게 제동될 수 있도록 선택된다. 그래서, 확실하게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두 개의 인접한 카 사이에서 유지되어야만 하는, 이렇게 행하는데 필요한 안전 거리는, 엘리베이터 설비가 설치되어 있는 건물의 두 개의 바로 인접한 층(floor) 사이의 거리보다 흔히 더 크다. 이것은, 두 개의 카이, 바로 인접한 정지부(stop)에 동시에 위치할 수 없는 결과를 가져와서, 엘리베이터 설비의 운송 용량을 제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그 운송 능력이 증가할 수 있는 방식으로 일반적인 종류의 엘리베이터 설비를 개발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정지요소가 적어도 하나의 제 1 카에 배열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지요소는, 정지 위치(stop position)에서, 상기 제 1 카의 수직 돌출부(vertical projection)로부터 옆으로 돌출하고, 상기 정지요소와 결합되고 샤프트에서 이동 가능한 모든 카의 수직 돌출부 밖에 배열된 특정 유지요소와 상호작용하며, 샤프트에서 이동 가능한 다른 모든 카은 이러한 유지요소를 막히지 않고 통과할 수 있고, 각각의 카에 배열된 브레이크 장치 또는 그 제동 작용은 카이 규정된 제한속도 아래로 떨어지면 작동할 수 없고, 카은 정지 및 유지요소에 의해 최대 상기 제한속도 이하의 속도에서 멈추도록 제동될 수 있다는 점에서, 앞에서 명시된 종류의 엘리베이터 설비에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경우, 카의 수직 돌출은 수평 평면, 예를 들어, 샤프트 바닥(shaft floor)으로 수직 방향의 카의 돌출로 이해된다.
서로 위 아래로 배열되고 서로 개별적으로 이동 가능한 적어도 두 개의 카이 사용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설비에서, 적어도 한 개의 카 위에는, 제 1 카의 수직 돌출부로부터 옆으로 돌출하는 정지 위치를 맡을 수 있는 정지요소가 배열된다. 정지요소는, 이러한 카의 이동 경로를 제한하기 위해, 모든 카의 수직 돌출부 밖의 샤프트에 배열된 특정 유지요소와 상호작용한다. 만일 카이 저속으로, 즉, 명시된 제한속도보다 낮은 속도로, 관련 유지요소에 접근하면, 카에 배열된 브레이크 장치 또는 그 제동 작용은 작동하지 않을 수 있고,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이동 경로는 정지요소 및 관련 유지요소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정지 및 유지요소는, 관련 유지요소에 충돌하는 정지요소에 의해 카을 멈추도록 제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때문에, 정지요소는 카의 수직 돌출부로부터 옆으로 돌출되어 관련 유지요소에 접할 수 있다. 관련 유지요소는 이러한 한 개의 카의 이동 경로만을 제한하는 반면, 다른 카은 이러한 유지요소에 의해 이들의 이동이 방해되지 않는다. 따라서, 카에 배열된 브레이크 장치의 기능은, 저속에서, 즉, 제한속도보다 낮은 속도에서, 정지요소 및 관련 유지요소에 의해 맡겨질 수 있다. 제 2 카이 제 1 카과 결합된 유지요소의 영역에 위치하면, 제 1 카은 제 2 카에 저속으로 매우 근접할 수 있다. 브레이크 장치가 작동하지 않으면서, 브레이크 장치를 작동시키는데 결정적인 안전 거리 미만으로 진행할 수 있다. 브레이크 장치 또는 그 제동 작용은 작동이 멈출 수 있고,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카은 정지 및 유지요소에 의해 정지될 수 있다. 제한속도(이보다 낮은 속도에서 브레이크 장치가 작동을 멈출 수 있는)는, 예를 들어, 알려진 엘리베이터 설비의 종래의 지연 제어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엘리베이터 설비의 완충 요소의 감소된 충격 속도보다 낮을 수 있고, 이러한 감소된 충격 속도는 엘리베이터 설비의 공칭 속도(nominal speed)에 의존할 수 있다.
제 1 카의 정지요소와 결합된 유지요소는 제 1 카의 수직 돌출부 내에 배열되지 않고, 모든 카의 수직 돌출부 밖에 배열되지만, 제 1 카의 정지요소와만 상호작용하기 때문에, 제 1 카의 이동 경로는 샤프트에서 상기 카과 결합된 유지요소의 적절한 배치에 의해 임의의 위치에서 제한될 수 있다. 이 유지요소는 다른 카을 방해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 1 카이 제 2 카 위에 배열되는 것이 규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카이 엘리베이터 설비의 최저 정지부에서 위치를 맡으면, 제 1 카은 정지부가 서로 비교적 짧은 수직 거리에 있더라도 바로 위에 배열된 정지부로 이동할 수 있다. 제 2 카과 제 1 카의 충돌은, 엘리베이터 설비의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제 1 카의 브레이크 장치가 작동될 필요 없이, 제 1 카의 수직 돌출부로부터 옆에서 정지 위치에서 돌출하는 정지요소 및 상기 정지요소와 결합된 유지요소의 제공으로, 확실히 방지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에서, 제 2 카의 수직 돌출부 내에서 제 2 카 아래에 배열된 완충 요소는 제 2 카과 결합될 수 있다. 그 아래 위치한 엘리베이터 설비의 부품 또는 샤프트 피트(shaft pit)와 제 2 카의 충돌은 완충 요소에 의해 감쇠될 수 있다.
상응하는 방식으로, 제 1 카은 제 2 카 아래에 배열되고 제 1 카의 수직 돌출부로부터 옆으로 돌출한 정지요소를 가지며, 이는, 엘리베이터 설비의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제 1 카과 그 위에 배열된 제 2 카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모든 카의 수직 돌출부 밖에서 샤프트에 배열된 특정한 유지요소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제 2 카을 엘리베이터 설비의 최고 정지부에 배치할 수 있고, 그러면, 제 1 카은 바로 아래에 위치한 정지부로 이동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설비의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제 1 카과 이 위에 배열된 제 2 카의 충돌은, 제 1 카의 안전 기어가 작동될 필요 없이, 상기 정지요소와 결합되고 샤프트에서 모든 카의 수직 돌출부 밖에 배열된 유지요소에 충격을 가하는 제 1 카에 배열된 정지요소에 의해 방지된다.
적어도 하나의 카의 이동 경로의 제한은 샤프트의 하부 또는 상부 단부에서 영역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유지요소는, 샤프트 피트와 샤프트 헤드 사이 영역에서 샤프트에서 모든 카의 수직 돌출부 밖에 배열될 수 있다. 유지요소는, 카 중 하나의 카의 이동 경로를 제한하기 위해, 카의 특정 정지요소와 상호작용하고, 특정 정지요소는, 정지 위치에서, 카의 수직 돌출부 밖으로 돌출한다. 이는, 예를 들어, 샤프트를 상부 샤프트 영역과 하부 샤프트 영역으로 분할하는 가능성을 제공하고, 상부 카은 상부 샤프트 영역에서 이동 가능하고, 하부 카은 하부 샤프트 영역에서 이동 가능하다. 두 개의 샤프트 영역은, 개별 바닥에 제공된 정지부 사이의 거리가 짧더라도 서로 직접 접할 수 있다. 상부 샤프트 영역의 최저 정지부는 상부 카에 의해 호출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하부 샤프트 영역의 최고 정지부는 하부 카에 의해 호출될 수 있다. 카의 충돌은, 카의 브레이크 장치가 사용되지 않으면서, 샤프트에서 모든 카의 수직 돌출부 밖에 배열된 특정 유지요소와 상호작용하는, 각각의 카의 수직 돌출부로부터 옆으로 돌출하는 정지요소의 제공에 의해 확실하게 방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설비는, 바닥 사이의 거리가 짧더라도, 두 개의 카을 서로 바로 인접한 정지부에 배치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 설비의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카의 충돌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카을 서로 바로 인접한 정지부에 배치할 가능성은 엘리베이터 설비의 수송 능력의 증가를 가져온다.
카은 일반적으로 서스펜션 수단으로 평형추에 각각 연결된다. 예를 들어, 서스펜션 로프 또는 서스펜션 스트랩(suspension strap)이 서스펜션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평형추는 카이 위 또는 아래로 이동하면 각기 결합된 카에 대한 카운터 운동을 실행한다. 카의 이동 경로를 제한하기 위해, 그 평형추의 이동은 다른 평형추의 이동이 방해를 받지 않으면서 제한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대안 또는 추가 구성에는, 샤프트에서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평형추 상에 적어도 하나의 정지요소가 배열되어 있고, 이는, 정지 위치에서, 평형추의 수직 돌출부로부터 옆에서 돌출하고, 상기 정지요소와 결합되고 모든 평형추의 수직 돌출부 밖에 배열된 특정한 유지요소와 상호작용하며, 다른 모든 평형추는 유지요소를 막히지 않고 지나기 위해 샤프트에서 이동 가능하고, 각각의 카에 배열된 브레이크 장치는 만일 카이 규정된 제한속도 아래로 떨어지면 작동을 하지 않으며, 카은 정지 및 유지요소에 의해 최대 상기 제한속도 이하의 속도에서 멈추도록 제동될 수 있다. 반면에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설비의 구성에서, 특정 카의 이동 경로는 카의 정지요소와 샤프트에서 관련 유지요소에 의해 제한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설비의 대안 또는 추가 구성에서, 특정한 평형추의 이동 경로는 다른 평형추의 이동 경로가 방해되지 않으면서 제한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상기 평형추에는 정지요소가 배열되어 있고, 상기 정지요소는, 정지 위치에서, 평형추의 수직 돌출부로부터 옆으로 돌출하고 샤프트에서 모든 평형추의 수직 돌출부 밖에 배열된 유지요소와 상호작용한다. 평형추의 이동 경로가 제한되면, 관련된 카의 방해를 받지 않은 이동은 이에 의해 또한 방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정지 위치에서, 그 수직 돌출부로부터 옆으로 돌출하는 정지요소를 갖는 제 1 카은 제 2 카 위에 배열된다.
본 발명의 더 유리한 실시예에서, 제 1 카은 제 2 카 아래에 배열된다.
적어도 하나의 유지요소는 제 1 카의 상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유지요소는, 정지 위치에서, 제 1 카의 수직 돌출부로부터 옆으로 돌출하는 정지요소 위에 배열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유지요소는 제 1 카의 하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유지요소는, 정지 위치에서, 제 1 카의 수직 돌출부로부터 옆으로 돌출하는 정지요소 아래에 위치한다.
정지요소가 제 1 카과 상기 제 1 카 아래에서 직접 움직일 수 있는 제 2 카 위에 배열되면, 정지요소는, 정지 위치에서, 각각의 카의 수직 돌출부로부터 옆으로 돌출하고, 각각의 카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샤프트에 배열된 특정 유지요소와 상호작용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고, 각각의 다른 카은 유지요소를 막히지 않고 지날 수 있다.
제 1 카은, 예를 들어, 제 2 카 위에 배열될 수 있고, 제 1 카의 하향 이동은, 정지 위치에서, 제 1 카의 수직 돌출부로부터 옆으로 돌출하는 정지요소에 의해 제한될 수 있고, 상기 정지요소와 결합된 유지요소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제 2 카의 상향 이동은, 제 2 카의 수직 돌출부로부터 옆으로 돌출하는 정지요소와 상기 정지요소와 결합된 유지요소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구성에서, 카(car)에 배열되거나 평형추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정지요소는 카 또는 평형추에 움직이지 않게 유지된다. 이는, 비용 효율적으로 생산될 수 있는, 구조적으로 특히 간단한 엘리베이터 설비 디자인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유지요소는 샤프트에 움직이지 않게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카에 배열되거나 평형추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정지요소는, 샤프트에서 관련 유지요소가 접촉되지 않을 수 있는 방출 위치와, 관련 유지요소가 접촉될 수 있는 정지 위치 사이에서 관련 유지요소에 대해 앞뒤로 움직일 수 있고, 카에 배열된 브레이크 장치 또는 그 제동 작용은 정지요소가 정지 위치에 있으면 작용할 수 없다. 정지요소의 위치에 따라,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서, 각각의 카의 이동 경로는, 브레이크 장치가 사용될 필요 없이, 정지요소 및 관련 유지요소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정지요소가 카 또는 평형추의 수직 돌출부로부터 돌출한 그 정지 위치를 차지하면, 정지요소는, 엘리베이터 설비의 고장 발생시 유지요소에 충격을 가할 수 있게 되어 이동 경로를 제한하기 위해 관련 유지요소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그러나, 정지요소가 그 방출 위치를 차지하면, 카 또는 평형추의 이동 경로는 정지요소에 의해 방해를 받지 않고,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브레이크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정지 위치와 방출 위치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의 정지요소가 앞뒤로 움직일 가능성은 특정 카의 이동 경로를 일시적으로 제한하는 선택사항(option)을 제공한다. 이는 단지 정지요소가 그 정지 위치로 움직일 것을 요구한다. 이동 경로의 일시적인 제한이 종료되면, 정지요소는 다시 이를 수행하기 위해 그 방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한 가지 대안 또는 추가로서, 적어도 하나의 유지요소는, 카 또는 평형추의 특정 정지요소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유지 위치와, 관련 정지요소가 유지요소를 막히지 않고 지날 수 있는 방출 위치 사이에서 샤프트에서 앞뒤로 움직일 수 있고, 카에 배열된 브레이크 장치 또는 그 제동 작용은, 유지요소가 유지 위치에 있을 때 작동되지 않을 수 있다. 샤프트에 배열된 유지요소가 차지하는 위치에 따라, 특정 카 또는 평형추의 이동 경로는 이에 따라 일시적으로 제한될 수 있다.
정지요소는, 예를 들어, 관련 카 또는 관련 평형추 상에서 선회 또는 이동 가능하도록 유지되어 있는 정지요소에 의해, 카에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유지요소는, 예를 들어, 선회 또는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유지요소에 의해, 샤프트에서 움직일 수 있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에서, 적어도 하나의 유지요소는 카 또는 평형추의 샤프트 벽, 가이드 레일 또는 샤프트 바닥 또는 샤프트 천장 위에 유지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유지요소는 상술한 여러 구성요소 위에 유지될 수 있다.
각각의 카에 배열된 브레이크 장치는 카의 속도 및/또는 장애물로부터 카이 취하는 거리에 따라 독립적으로 작동이 개시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브레이크 장치는, 카의 속도가 최대 속도를 초과하면, 장애물로부터의 거리와 무관하게 작동이 개시될 수 있다. 또한, 카의 속도에 의존하는 것이 바람직한 안전 거리 아래로 거리가 좁혀지면 작동의 개시가 일어날 수 있다.
각각의 카에 배열된 브레이크 장치는 안전 기어로 구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적어도 하나의 유지요소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정지요소가 충격을 감쇠시키는 완충 요소를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다. 완충 요소는 충격 에너지의 적어도 일부를 흡수하여 충격을 감쇠시킨다.
완충 요소는, 예를 들어, 유압식 완충기 또는 엘라스토머 완충기로 구성될 수 있다.
완충 요소는 소성 및/또는 탄성 변형될 수 있는 것이 유리하다.
완충 요소는 엘리베이터 설비의 카의 공칭 속도보다 낮은 충격 속도에 대해서만 설계될 수 있다. 이는 완충 요소의 크기가 작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두 개의 카의 충돌은, 예를 들어, 서로 바로 인접한 엘리베이터 설비의 정지부에 카이 도달하는 경우, 상호작용하는 정지 및 유지요소에 의해 두 개의 카의 충돌이 방지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카은 더 이상 이들의 공칭 속도로 이동하지 않고, 훨씬 감속된 속도로 이동하며, 그렇지 않으면, 엘리베이터 설비의 안전 장치는 정지부에 접근할 때 이미 반응할 것이다. 정지 또는 유지요소가 완충 요소를 가지면, 카의 공칭 속도를 위해 완충 요소를 설계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
예를 들어, 완충 요소는 5 m/s 미만의 충격 속도, 특히, 최대 3 m/s 또는 최대 2 m/s의 충격 속도를 위해 완충 요소가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충 요소는 1 m/s의 충격 속도를 위해 설계될 수 있다. 완충 요소는, 알려진 엘리베이터 설비의 종래의 지연 제어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는 완충 요소의 감소된 속도 속도보다 낮은 충격 속도를 위해 설계될 수 있고, 이러한 감소된 충격 속도는 엘리베이터 설비의 공칭 속도에 의존할 수 있다. 완충 요소의 설계는 완충 요소에 의해 흡수될 수 있는 충격 에너지를 결정한다. 충격 속도가 빠를수록, 충격 에너지는 더 커진다. 더 적은 양의 충격 에너지의 흡수는 완충 요소를 위해 더 작은 공간만을 또한 필요로 할 것이다.
완충 요소는 최대 충격 속도 이하의 충격 속도를 위해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카에 배열된 브레이크 장치 또는 그 제동 작용은, 카의 속도가 제한속도 밑으로 떨어지면 작동이 중지될 수 있다. 그러면, 브레이크 장치의 기능은 완충 요소가 맡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다음 설명은 다음 도면과 함께 추가 설명하도록 작용한다.
본 발명은, 그 운송 능력이 증가할 수 있는 방식으로 일반적인 종류의 엘리베이터 설비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설비의 제 1 실시예의 개략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의 라인 2-2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설비의 제 2 실시예의 개략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설비의 제 3 실시예의 개략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도 4의 라인 5-5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설비의 제 4 실시예의 개략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과 도 2는, 제 1 카(first car)(14)과 제 2 카(second car)(16)이 서로 위 아래로 배열되고 서로 개별적으로 위 아래로 수직 이동하게 될 수 있는 샤프트(shaft)(12)를 구비하는, 일반적으로 참조 번호 10으로 표시된 엘리베이터 설비(elevator installation)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제 1 카(14)는 제 1 서스펜션 로프(suspension rope)(18) 형태의 서스펜션 수단에 의해 제 1 평형추(counterweight)(20)에 연결된다. 제 1 서스펜션 로프(18)는 제 1 트랙션 시브(traction sheave)(22) 위에서 끌리고, 상기 제 1 트랙션 시브는 제 1 구동장치(23)에 의해 회전하게 될 수 있다. 제 1 구동장치(23)는 본래 알려진 방식으로 구동 모터와 구동 브레이크(도면에 미도시)를 포함한다. 제 1 카(14)는 제 1 트랙션 시브(22)에 의해 샤프트(12)에서 수직 가이드 레일(guide rail)(24, 26)을 따라 위 아래로 수직 이동하게 될 수 있다.
제 2 카(16)은 제 2 서스펜션 로프(28) 형태의 서스펜션 수단에 의해 제 2 평형추(30)에 연결된다. 제 2 서스펜션 로프(28)는 제 2 트랙션 시브(32) 위에서 끌리고, 상기 제 2 트랙션 시브는 제 2 구동장치(33)에 의해 회전하게 될 수 있다. 제 2 구동장치는 본래 알려진 방식으로 구동 모터와 구동 브레이크를 포함한다. 제 2 카(16)은 제 2 트랙션 시브(32)에 의해 제 1 카(14)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샤프트(12)에서 가이드 레일(24, 26)을 따라 위 아래로 수직 이동하게 될 수 있다.
도시의 이해를 단순화하고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두 개의 평형추(20과 30)는 도 1에서 카(14와 16)의 대향 면에 도시된다. 이는 단지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한 것이다. 실제로는, 엘리베이터 설비(10)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형추(20과 30)는, 수직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샤프트 후방 벽(42) 상에, 각각, 가이드 레일(34, 36, 38, 40)에 의해 고정된다. 따라서, 두 개의 평형추(20, 30)는 서로 나란히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배열이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 평형추(20과 30)는 또한 카(14와 16)의 서로 다른 면에 배열되거나, 이와 달리, 모두 하나의 샤프트 측벽(shaft side wall)에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서로 위 아래로 이동 가능하도록 평형추(20, 30)를 배열할 수 있다.
제 1 카(14)와 제 2 카(16)가 이동하게 될 수 있는 가이드 레일(24, 26)은 대향하는 샤프트 측벽(44, 46)에 고정된다. 이는 도 2에서 또한 분명할 것이다. 그러나, 가이드 레일(24, 26)은 또한 샤프트 후방 벽(42)에 부착될 수 있다.
도시된 엘리베이터 설비(10)에서, 제 1 서스펜션 로프(18)는 제 1 카(14)의 지붕 위에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유지된 중앙 편향 풀리(central deflection pulley)(48)에 의해 제 1 카(14)에 결합되고, 제 2 서스펜션 로프(28)는 제 2 카(16)의 지붕 위에서 서로 외면하는 면 위에 배열된 두 개의 측면 평향 풀리(lateral deflection pulley)(50, 52)에 의해 제 2 카(16)에 결합된다. 이는 특히 도 2에서 분명할 것이다. 제 1 카(14)는 제 2 카(16) 위에 배열된다. 대안적으로, 제 1 서스펜션 로프(18)는 제 1 카(14)의 로프 단부 부착물(rope end attachment)에 의해 제 1 카(14)에 또한 결합될 수 있다. 당업자는 이러한 로프 단부 부착물에 익숙하다.
두 개의 카의 작동 거동을 모니터하기 위해서, 엘리베이터 설비(10)는, 구동장치(23과 33)에 결합되고 또한 본래 알려져 있어서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거리 및 속도 센서(distance and speed sensor)에 결합된 전기 안전 장치(electronic safety device)(53)를 포함한다. 상기 거리 및 속도 센서는 카(14, 16) 및/또는 다른 이동 가능한 엘리베이터 구성요소 및/또는 샤프트(12)에 배열되어 있다. 카(14, 16)의 작동 거동이 허용 가능한 작동 거동에 따르지 않으면, 결합된 카의 비상 정지가 안전 장치에 의해 개시될 수 있다. 이 때문에, 카(14, 16)의 구동 모터가 꺼지고 구동 브레이크가 작동된다.
각각의 카(14, 16)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안전 기어(safety gear)로 구성된 브레이크 장치(55와 57)를 각각 갖춘다. 각각의 카(14, 16)는, 카(14, 16)의 속도가 규정된 최고 속도를 넘거나 장애물, 특히, 인접 카으로부터 카(14, 16)의 거리가 규정된 안전 거리 아래로 좁혀지면, 브레이크 장치(55와 57)에 의해 각각 매우 짧은 시간 안에 기계적으로 제동될 수 있다.
서로 외면하는 면에서, 제 1 카(14)는 샤프트 측벽(44와 46)과 각기 결합된 제 1 정지요소(54)와 제 2 정지요소(56)를 갖춘다. 제 1 정지요소(54)는 제 1 카(14)에 움직이지 않게 고정되고 제 1 카(14)의 수직 돌출부로부터 샤프트 측벽(44)의 방향으로 옆으로 돌출한다. 제 2 정지요소(56)는 제 1 카(14)에서 움직이지 않게 유지되고, 도시된 실시예에서, 도 1에 도시된, 경사면에서 위쪽으로 향하는 방출 위치(release position)와 도 2에 도시된, 수평으로 배향된 정지 위치(stop position) 사이에서 제 1 선회 축(pivot axis)(58)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다.
두 개의 카(14, 16)의 수직 돌출부 밖의 샤프트(12)에 배열되고,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샤프트 측벽(44)에 부착되어 있는 제 1 유지요소(retaining element)(60)가 제 1 정지요소(54)와 결합된다.
모든 카(14, 16)의 수직 돌출부 밖의 샤프트(12)에 배열되고,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샤프트(12)의 샤프트 바닥(68)에 부착되어 있는 제 2 유지요소(64)가 제 2 정지요소(56)와 결합된다.
제 1 유지요소(60)와 또한 제 2 유지요소(64)는 모든 카(14, 16)의 돌출부 밖의 샤프트(12)에 고정된 완충 요소(buffer element)(70)를 포함한다. 완충 요소(70)는, 예를 들어, 유압식 완충기(hydraulic buffer) 또는 이와 달리 엘라스토머 완충기(elastomer buffer)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카(14)의 하부 단부 위치(lower end position)에 하향 이동 동안 도달하면, 제 1 정지요소(54)는 제 1 유지요소(60)에 부딪쳐서 제 1 카(14)의 이동 경로를 수직으로 아래쪽으로 제한한다.
상응하는 방식으로, 제 2 정지요소(56)는, 그 수평으로 배향된 정지 위치를 취하면, 제 1 카(14)의 하부 단부 위치가 제 1 카(14)의 하향 이동 동안 도달되면 제 2 유지요소(64)에 부딪쳐서, 제 1 카(14)의 이동 경로를 수직으로 아래쪽으로 또한 제한한다.
제 2 카(16)에 움직이지 않게 고정되고 제 2 카(16)의 수직 돌출부로부터 옆으로 돌출한 제 3 정지요소(72)는 제 2 카(16)과 결합된다. 제 3 정지요소(72)는 샤프트 측벽(44)에 면한다. 이는, 특히, 도 2에서 분명할 것이다. 또한, 제 4 정지요소(74)는 제 2 카(16)에 움직이지 않게 고정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 4 정지요소(74)는, 도 1에 도시된, 경사면에서 위쪽으로 향하는 방출 위치와 도 2에 도시된, 수평으로 배향된 정지 위치 사이에서 제 2 선회 축(76)을 중심으로 앞뒤로 이동 가능하다.
모든 카(14, 16)의 수직 돌출부 밖의 샤프트(12)에 배열된 제 3 유지요소(78)는 제 3 정지요소(72)와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 3 유지요소(78)는 샤프트 측벽(44)에 고정된다.
모든 카(14, 16)의 수직 돌출부 밖의 샤프트(12)에 배열되고 샤프트(12)의 샤프트 천장(shaft ceiling)(86) 위에 고정된 제 4 유지요소(82)는 제 4 정지요소(74)와 결합된다.
제 2 카(16)가 위로 이동하는 동안, 제 2 카(16)의 상 단부 위치가 도달하면, 제 3 정지요소(72)는 제 3 유지요소(78)에 부딪친다. 그래서, 제 2 카(16)의 이동 경로는 수직 위쪽으로 제한된다.
상응하는 방식으로, 제 4 정지요소(74)는, 그 수평으로 배향된 정지 위치를 취하면, 제 2 카(16)의 상부 단부 위치가 제 2 카(16)의 상향 이동 동안 도달되면 제 4 유지요소(82)에 부딪쳐서, 제 2 카(16)의 이동 경로는 수직으로 위쪽으로 또한 제한된다.
제 3 유지요소(78)와 또한 제 4 유지요소(82)는, 충격 에너지의 적어도 일부를 흡수하여 정지요소(72, 74)가 유지요소(78, 82)에 부딪칠 때 충격을 감쇠하는 완충 요소(buffer element)(70)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지요소(60, 64, 78, 82)는 카(14와 16)의 수직 돌출부 밖에 배열되고, 물론, 또한 평형추(20과 30)의 수직 돌출부 밖에 배열된다. 유지요소(60, 64, 78, 82)는, 상기 정지요소가 그 정지 위치를 취하면, 카(14와 16)의 특정 정지요소와만 각각 상호작용한다. 각각의 경우, 정지요소가 각각의 카(14와 16)의 수직 돌출부에서 옆으로 각각 돌출하는 그 정지 위치를 취하면 특정 정지요소가 특정 유지요소와 부딪치도록, 상호작용이 일어난다. 이는, 적어도 하나의 정지요소 및 상기 정지요소와 결합된 유지요소에 의해, 특정 카(14와 16)의 이동 경로를 각기 구체적으로 제한할 수 있도록 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 2 정지요소(56)와 제 4 정지요소(74)로 예시된 바와 같이, 이동 가능한 정지요소만 사용되면, 각 카(14와 16)의 이동 경로는, 각기, 각각의 정지요소(56과 74)에 의해 일시적으로 감소할 수 있고, 상기 각각의 정지요소는, 각각의 경우, 특정 유지요소(64와 82)와 각기 상호작용하여 이동 경로를 제한할 수 있는 그 정지 위치로 각각 선회된다. 이동 경로가 제한되지 않으면, 각각의 정지요소(56과 74)는, 각기, 도 1에 도시된 그 방출 위치로 선회될 수 있고, 상기 위치에서 샤프트에 배열된 임의의 유지요소와 상호작용할 수 없다. 한 가지 대안 또는 추가로서, 유지요소가 또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각기 결합된 정지요소와 협동하는 유지 위치에서 카의 이동 경로를 일시적으로 제한할 수 있는 반면, 방출 위치에서는 이동 경로를 제한하지 않는다.
카(14, 16)의 속도가 규정된 제한속도 미만이면, 각각의 카(14, 16)에 배열된 브레이크 장치 또는 그 제동 작용(braking action)은 정지된다. 브레이크 장치(55, 57)의 속도 의존성 작동정지(speed-dependent deactivation)와 함께 상기 정지요소와 각기 결합된 제 1 정지요소(54)와 제 2 정지요소(56) 및 유지요소(60과 64)의 제공은, 엘리베이터 설비(10)의 최저 정지부(lowest stop)에 바로 인접한 정지부에 제 1 카(14)을 배치할 수 있도록 하고, 제 2 카(16)은 최저 정지부에 위치하며, 카(14와 16) 사이의 거리는 안전 거리보다 짧다. 제 1 카(14)는, 브레이크 장치(55)가 안전 거리보다 짧은 거리에 의해 작동이 개시되지 않으면서 규정된 제한속도보다 낮은 속도로 제 2 카(16)에 매우 근접할 수 있다. 오히려, 엘리베이터 설비(10)의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정지 및 유지요소(54, 56, 60, 64)의 제공은, 제 1 카(14)이 그 아래 위치한 제 2 카(16)과 충돌할 수 없음을 보장한다. 충돌이 일어나기 전에, 정지요소(54와 56)가 유지요소(60과 64)에 부딪쳐서 제 1 카(14)의 추가 하향 이동을 막는다.
상응하는 방식으로, 이러한 정지요소와 각기 결합된 유지요소(78과 82)와 함께 제 2 카(16)에 배열된 정지요소(72와 74)는, 제 2 카(16)가 엘리베이터 설비(10)의 최고 정지부(highest stop)에 바로 인접한 정지부에 위치를 취할 수 있음을 보장하고, 제 1 카(14)는 상기 최고 정지부 아래에 위치한다. 제 2 카(16)은, 브레이크 장치(57)가 안전 거리보다 짧은 거리에 의해 작동이 개시되지 않으면서 규정된 제한속도보다 낮은 속도로 제 1 카(14)에 매우 근접할 수 있다. 제 1 카(14)와 제 2 카(16)의 충돌은 유지요소(78과 82)와 함께 정지요소(72, 74)에 의해 확실하게 방지된다.
관련 유지요소(60, 64와 78, 82)에 정지요소(54, 56, 72, 74)가 각각 충돌하는 경우, 카(14, 16)의 운동 에너지를 흡수하고 카(14, 16)을 멈추도록 제동할 수 있기 위해서, 유지요소(60, 64, 78, 82)의 완충기(70)는 규정된 제한속도에 해당하는 최대 충격 속도를 위해 설계된다. 이는, 예를 들어, 3m/s 또는 2m/s 또는 단지 1m/s일 수 있다. 따라서, 필요한 완충 경로는 비교적 낮게 유지될 수 있다. 카(14, 16)의 속도가 관련 유지요소에 접근시 제한속도 아래로 떨어지면, 브레이크 장치(55와 57)는 각각 작동이 멈추고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카(14, 16)는 완충 요소(70)에 의해 확실하게 정지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참조 번호 100으로 표시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설비의 제 2 실시예는 도 3에 도시된다. 이는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상술된 엘리베이터 설비(10)와 구성이 대부분 동일하다. 따라서, 도 1과 도 2에서와 동일한 참조 번호가 도 3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사용되고, 이러한 구성요소에 관해서는 반복하지 않기 위해 상기 설명이 참조된다.
엘리베이터 설비(100)는, 완충 요소(70)가 유지요소(60, 64, 78, 82)에 배열되지 않는 대신, 도 3에 도시된 엘리베이터 설비(100)에서, 완충 요소(70)가 정지요소(54, 56, 72, 74)에 유지되어 있다는 점에서, 엘리베이터 설비(10)와 차이가 있다. 다시 한번, 정지요소(54, 56)가 유지요소(60과 64)에 각각 부딪치고, 정지요소(72와 74)가 유지요소(78과 82)에 부딪치면, 충격 에너지는, 유지요소(60, 64, 78, 82)에 천천히 접근하여 브레이크 장치(55, 57)가 작동이 멈춘 후 완충 요소(70)에 의해 흡수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설비(100)에서, 또한 카(14와 16)의 이동 경로는, 그 수평 배향된 정지 위치로 선회되는 정지요소(56, 74)에 의해, 이동 가능한 정지요소(56과 74)만을 사용하여 일시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이동 경로의 일시적인 감소가 필요하지 않으면, 정지요소(56과 74)는 이들의 방출 위치로 선회될 수 있다.
상술한 엘리베이터 설비(10과 100)와 구성이 대부분 동일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설비(110)의 제 3 실시예가 도 4와 도 5에 도시된다. 따라서, 도 4와 도 5에 도시된 엘리베이터 설비(110)와 또한 도 6에 도시되고 아래 설명된 엘리베이터 설비(130)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도 1, 2, 3에서와 같이, 동일한 참조 번호가 사용될 것이고, 이러한 구성요소에 관하여, 반복하지 않기 위해 상기 설명이 참조된다.
엘리베이터 설비(110과 130)는 도 4와 도 6에 단면으로 도시되고, 이는 샤프트 후방 벽(42)에 수직이어서, 서로 나란한 평형추(20, 30)의 배열과 평형추(20, 30)와 샤프트 후방 벽(42) 사이의 영역을 보다 분명하게 한다. 상술한 엘리베이터 설비(10과 100)와 달리, 엘리베이터 설비(110과 130)에서, 정지요소는 카(14, 16)에 배열되지 않고, 각각의 평형추(20과 30)에 각기 배열된다. 이러한 정지요소는 또한 각각 샤프트(12)에 배열된 특정 유지요소와 상호작용하여 각각의 평형추(20과 30)의 이동 경로를 각기 제한하고, 이에 따라, 또한 각기 결합된 카(14와 16)의 이동 경로를 각각 제한한다.
도 4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제 5 정지요소(114)는 샤프트 후방 벽(42)에 면하는 제 1 평형추(20)의 후방 면(rear side)(112)에 고정된다. 제 5 정지요소(114)는, 제 1 평형추(20)의 수직 돌출부에서 옆으로 돌출하고 제 1 카(14)의 하향 이동 동안, 즉, 제 1 평형추(20)가 수직으로 위쪽으로 이동할 때, 제 1 카(14)의 하부 단부 위치가 도달되면, 샤프트 후방 벽(42)에 고정되고 완충 요소(70)를 갖는 제 5 유지요소(116)와 상호작용하고, 이는 이미 도 1, 2, 3을 참조하여 앞에서 설명되었다.
제 5 정지요소(114)는 제 1 평형추(20)에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고, 경사면에서 위쪽으로 배향되고 도 4에 도시된 방출 위치와, 수평으로 배향되고 샤프트 후방 벽(42)에 면하며 도 5에 도시된 정지 위치 사이에서 앞뒤로 움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 5 정지요소(114)는 제 3 선회축(118)을 중심으로 한 선회 운동을 위해 제 1 평형추(20)에 장착된다. 제 5 정지요소(114)는, 제 1 평형추(20)의 이동 경로의 일시적인 제한과, 이에 따라, 또한 제 1 카(14)의 이동 경로의 일시적인 제한을 위해, 그 정지 위치로 선회될 수 있다. 제 1 평형추(20)의 이동 경로와, 이에 따라, 또한 제 1 카(14)의 이동 경로가 제한되지 않으면, 제 5 정지요소(114)는 그 방출 위치를 맡을 수 있다.
제 1 카(14)의 속도가 제한속도 미만이면, 브레이크 장치(55)는 작동이 멈출 수 있다. 제 2 카(16)가 엘리베이터 설비(110)의 최저 정지부에 위치하면, 제 1 카(14)는, 브레이크 장치(55)가 작동을 시작하지 않으면서, 저속으로, 즉, 제한속도 미만의 속도로 제 2 카에 접근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설비(110)의 고장이 일어나는 경우, 제 1 카(14)는 제 5 유지요소(116)의 완충기(70)에 충격을 가하는 제 5 정지요소(114)에 의해 제동된다. 이는 평형추(20)의 이동 경로와, 이에 따라, 또한 제 1 카(14)의 이동 경로를 제한한다.
도 4에 도시된 엘리베이터 설비(110)의 엘리베이터 설비(110)의 제 2 평형추(30)는 샤프트 후방 벽(42)에 면하는 그 후방 면(120)에 제 6 정지요소(122)를 갖고, 상기 제 6 정지요소는, 제 2 카(16)의 상향 이동 동안, 즉, 제 2 평형추(30)가 수직으로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동안, 제 2 카(16)의 상부 단부 위치가 도달되면, 엘리베이터 설비(110)의 샤프트 바닥(68)에 고정되고 완충 요소(70)를 갖는 제 6 유지요소(124)와 상호작용한다. 제 2 카(16)의 상향 이동 동안, 제 6 정지요소(122)는, 제 6 유지요소(124)의 배치에 의해 규정된 단부 위치가 도달되면, 제 6 유지요소(124)의 완충 요소(70)에 부딪쳐서 제 2 평형추(30)의 이동 경로를 제한하고, 이에 따라, 또한 제 2 카(16)의 이동 경로를 제한한다.
제 2 카(16)의 속도가 제한속도 미만이면, 브레이크 장치(57)는 작동이 멈출 수 있다. 제 1 카(14)이 엘리베이터 설비(110)의 최고 정지부에 위치하면, 제 2 카(16)은 브레이크 장치(57)가 작동을 시작하지 않으면서 제한속도보다 낮은 속도로 제 1 카(14)에 접근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설비(110)의 고장이 일어나는 경우, 제 2 카(16)은 제 6 유지요소(124)의 완충기(70)에 충격을 가하는 제 6 정지요소(122)에 의해 제동된다. 이는 평형추(30)의 이동 경로를 제한하고, 이에 따라, 제 2 카(16)의 이동 경로를 제한한다.
제 6 정지요소(122)는 제 6 유지요소(124)와만 상호작용하여, 구체적으로 제 2 평형추(30)의 이동 경로와, 이에 따라, 또한 구체적으로 제 2 카(16)의 이동 경로는 이러한 두 개의 구성요소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상응하는 방식으로, 제 5 정지요소(114)는 제 5 유지요소(116)와만 상호작용하여 제 1 평형추(20)의 이동 경로와, 이에 따라, 또한 제 1 카(14)의 이동 경로가 이러한 두 개의 구성요소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엘리베이터 설비(130)는 도 4에 도시된 엘리베이터 설비(110)와 그 구성이 대부분 동일하다. 엘리베이터 설비(130)는, 완충 요소(70)가 제 5 및 제 6 유지요소(116과 124)에 각각 배열되지 않고, 각기 결합된 정지요소(114와 122)에 배열된 것을 제외하고는, 엘리베이터 설비(110)와 차이가 있다. 엘리베이터 설비(130)의 경우, 평형추와 카의 이동 경로는 평형추에 배열된 정지요소와 이와 각기 결합된 유지요소에 의해 또한 제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정지요소는 평형추의 수직 돌출부로부터 옆에서 돌출하고, 유지요소는 샤프트(12)에서 모든 평형추의 수직 돌출부 밖에 위치한다.

Claims (23)

  1. 엘리베이터 설비(elevator installation)로서,
    적어도 두 개의 카(car)(14, 16)이 서로 위 아래로 배열되고 서로 개별적으로 위 아래로 수직 이동 가능한 샤프트(shaft)로서, 각각의 카(14, 16)가 상기 카(14, 16)을 움직이기 위해 이와 결합한 구동장치(23, 33)를 갖고, 각각의 카(14, 16)는 이 위에 배열된 브레이크 장치(55, 57)를 갖는, 상기 샤프트와,
    상기 카(14, 16)의 작동 거동(operating behavior)을 모니터링 하기 위한 안전 장치(safety device)(53)와,
    카(14, 16)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정지요소(stop element)(54, 56)와, 상기 샤프트(12)에 배열되고 상기 정지요소(54, 56)와 상호작용하는 유지요소(retaining element)(60, 64)를 포함하여, 상기 카(14, 16)의 이동 경로를 제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 경로 제한 장치(travel path limiting device)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설비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정지요소(54, 56)는 적어도 제 1 카(14)에 배열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지요소(54, 56)는 정지 위치에서 상기 제 1 카(14)의 수직 돌출부로부터 옆으로 돌출하고, 상기 정지요소(54, 56)와 결합되고 모든 엘리베이터 카(14, 16)의 수직 돌출부 밖에 배열된 특정 유지요소(60, 64)와 상호작용하며, 상기 샤프트(12)에서 이동 가능한 다른 모든 카(16)은 막히지 않고 상기 유지요소(60, 64)를 지날 수 있고, 상기 각각의 카(14, 16)에 배열된 브레이크 장치(55, 57) 또는 그 제동 작용은, 상기 카(14, 16)가 규정된 제한속도 밑으로 떨어지면 작동이 중지될 수 있고, 상기 카(14, 16)는 최대 상기 제한속도 이하의 속도에서 상기 정지요소(54, 56) 및 상기 유지요소(60, 64)에 의해 정지하도록 제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비.
  2. 제 1항에 기재된 엘리베이터 설비로서,
    각각의 카(14, 16)는 샤프트에서 이동 가능한 평형추(counterweight)(20, 30)에 서스펜션 수단(suspension means)(18, 28)에 의해 연결되는, 엘리베이터 설비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정지요소(114)는 적어도 하나의 평형추(20)에 배열되고, 적어도 하나의 정지요소(114)는 정지 위치에서 상기 평형추(20)의 수직 돌출부로부터 옆으로 돌출하고, 상기 정지요소(114)와 결합되고 모든 평형추(20, 30)의 수직 돌출부 밖에 배열된 특정 유지요소(116)와 상호작용하며, 상기 샤프트에서 이동 가능한 다른 모든 평형추(30)는 막히지 않고 상기 유지요소(116)를 지날 수 있고, 상기 각각의 카(14, 16)에 배열된 브레이크 장치(55, 57)는, 상기 카(14, 16)가 규정된 제한속도 밑으로 떨어지면 작동이 중지될 수 있고, 상기 카은 최대 상기 제한속도 이하의 속도에서 상기 정지 및 유지요소(114, 116)에 의해 정지하도록 제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비.
  3. 엘리베이터 설비(elevator installation)로서,
    적어도 두 개의 카(car)(14, 16)이 서로 위 아래로 배열되고 서로 개별적으로 위 아래로 수직 이동 가능한 샤프트(shaft)로서, 각각의 카(14, 16)가 상기 카(14, 16)을 움직이기 위해 이와 결합한 구동장치(23, 33)를 갖고, 각각의 카(14, 16)는 이 위에 배열된 브레이크 장치(55, 57)를 갖는, 상기 샤프트와,
    상기 카(14, 16)의 작동 거동(operating behavior)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안전 장치(safety device)(53)와,
    카(14, 16)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정지요소(stop element)(54, 56)와, 상기 샤프트(12)에 배열되고 상기 정지요소(54, 56)와 상호작용하는 유지요소(retaining element)(60, 64)를 포함하여, 상기 카(14, 16)의 이동 경로를 제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 경로 제한 장치(travel path limiting device)를 포함하며, 각각의 카(14, 16)는 서스펜션 수단(18, 28)에 의해 상기 샤프트에서 이동 가능한 평형추(20, 30)에 연결되는 엘리베이터 설비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정지요소(114)는 적어도 하나의 평형추(20) 위에 배열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지요소(114)는 정지 위치에서 상기 평형추(20)의 수직 돌출부로부터 옆으로 돌출하고, 상기 정지요소(114)와 결합되고 모든 상기 평형추들 (20, 30)의 수직 돌출부 밖에 배열된 특정 유지요소(116)와 상호작용하며, 상기 샤프트에서 이동 가능한 다른 모든 평형추들(30)은 막히지 않고 상기 유지요소(116)를 지날 수 있고, 상기 각각의 카(14, 16)에 배열된 상기 브레이크 장치(55, 57)는 상기 카(14, 16)가 규정된 제한속도 밑으로 떨어지면 작동이 중지될 수 있고, 상기 카가 최대 상기 제한속도 이하의 속도에서 상기 정지요소(114) 및 상기 유지요소(116)에 의해 정지하도록 제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비.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14)는 제 2 카(16) 위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비.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14)는 제 2 카(16) 아래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비.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유지요소(60, 116)는 상기 제 1 카(14)의 하향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비.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유지요소(78, 82)는 상기 제 1 카의 상향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비.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정지요소들(54, 56, 72, 74)은 제 1 카(14)와 상기 제 1 카(14) 바로 아래에서 이동 가능한 제 2 카(16)에 배열되고, 상기 정지요소들은, 정지 위치에서, 상기 각각의 카(14, 16)의 수직 돌출부로부터 옆으로 돌출하고, 상기 각각의 카(14, 16)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샤프트(12)에 배열된 특정 유지요소(60, 64, 78, 82)와 상호작용하며, 상기 각각의 다른 카(14, 16)는 상기 유지요소(60, 64, 78, 82)를 막히지 않고 지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비.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카(14, 16)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정지요소(54, 114)는 움직이지 않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비.
  10.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평형추(20, 30) 상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정지요소(54, 114)는 움직이지 않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비.
  11. 제 1항 또는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유지요소(60, 64, 78, 82, 116, 124)는 상기 샤프트(12)에 움직이지 않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비.
  12.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카(14, 16)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정지요소(56, 74, 114)는 각기 결합된 유지요소가 접촉할 수 없는 방출 위치(releas -e position)와, 각기 결합된 유지요소(64, 82, 116)가 접촉할 수 있는 정지 위치 사이에서 관련 유지요소(64, 82, 116)에 대해 앞뒤로 움직일 수 있고, 상기 카 (14, 16)에 배열된 브레이크 장치(55, 57) 또는 그 제동 작용(braking action)은 상기 정지요소(56, 74, 114)가 상기 정지 위치에 있을 때 작동이 중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비.
  13.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평형추(20, 30)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정지요소(56, 74, 114)는 상기 각기 결합된 유지요소(64, 82, 116)가 접촉할 수 없는 방출 위치(release positio -n)와, 상기 각기 결합된 유지요소(64, 82, 116)가 접촉할 수 있는 정지 위치 사이에서 상기 관련 유지요소(64, 82, 116)에 대해 앞뒤로 움직일 수 있고, 상기 카 (14, 16)에 배열된 상기 브레이크 장치(55, 57) 또는 그 제동 작용(braking actio -n)은 상기 정지요소(56, 74, 114)가 상기 정지 위치에 있을 때 작동이 중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비.
  1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유지요소는, 상기 유지요소가 카의 특정 정지요소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유지 위치와, 상기 관련 정지요소가 상기 유지요소를 막히지 않고 지날 수 있는 방출 위치 사이의, 상기 샤프트에서 앞뒤로 움직일 수 있고, 상기 카(14, 16)에 배열된 상기 브레이크 장치(55, 57) 또는 그 제동 작용은, 상기 유지요소가 상기 유지 위치에 있을 때 작동이 중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비.
  15.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유지요소는, 상기 유지요소가 평형추의 특정 정지요소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유지 위치와, 상기 관련 정지요소가 상기 유지요소를 막히지 않고 지날 수 있는 방출 위치 사이의, 상기 샤프트에서 앞뒤로 움직일 수 있고, 상기 카(14, 16)에 배열된 상기 브레이크 장치(55, 57) 또는 그 제동 작용은, 상기 유지요소가 상기 유지 위치에 있을 때 작동이 중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비.
  16. 제 1항 또는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유지요소(60, 64, 78, 82, 116, 124)는, 샤프트 벽(shaft wall)(44, 46, 42), 가이드 레일(guide rai -l), 샤프트 바닥(shaft floor)(68), 샤프트 천장(shaft ceiling)(86)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 위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비.
  17. 제 1항 또는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유지요소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정지요소는 충격을 감쇠시키는 완충 요소(buffer element)(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비.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요소(70)는 유압식 완충기(hydraulic buffer) 또는 엘라스토머 완충기(elastomer buffer)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비.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요소(70)는 소성 또는 탄성 변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비.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요소(70)는, 상기 엘리베이터 설비(10)의 상기 카들(14, 16)의 공칭 속도(nominal speed)보다 느린 충격 속도(impact speed)를 위해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비.
  21.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요소(70)는, 최대 상기 제한속도 이하의 충격 속도를 위해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비.
  22. 제 1항 또는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각각의 카(14, 16)에 배열된 상기 브레이크 장치(55, 57)는 상기 카(14, 16)의 속도에 따르거나 장애물로부터 상기 카(14, 16)의 거리에 따라 작동이 개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비.
  23. 제 1항 또는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각각의 카(14, 16)에 배열된 상기 브레이크 장치(55, 57)는 안전 기어(safety gear)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비.
KR1020127032874A 2010-06-23 2011-06-21 엘리베이터 시스템 KR1014197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30436A DE102010030436A1 (de) 2010-06-23 2010-06-23 Aufzuganlage
DE102010030436.0 2010-06-23
PCT/EP2011/060347 WO2011161104A1 (de) 2010-06-23 2011-06-21 Aufzuganl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1281A KR20130031281A (ko) 2013-03-28
KR101419752B1 true KR101419752B1 (ko) 2014-07-15

Family

ID=44559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2874A KR101419752B1 (ko) 2010-06-23 2011-06-21 엘리베이터 시스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130118837A1 (ko)
EP (1) EP2585395B1 (ko)
JP (1) JP2013529585A (ko)
KR (1) KR101419752B1 (ko)
CN (1) CN102947209B (ko)
BR (1) BR112012032805A2 (ko)
DE (1) DE102010030436A1 (ko)
MX (1) MX2012015216A (ko)
RU (1) RU2552387C2 (ko)
SG (1) SG186340A1 (ko)
WO (1) WO20111611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30210B2 (en) * 2011-01-19 2013-04-30 Smart Lifts, Llc System having multiple cabs in an elevator shaft
US8925689B2 (en) 2011-01-19 2015-01-06 Smart Lifts, Llc System having a plurality of elevator cabs and counterweights that move independently in different sections of a hoistway
DE102012222972A1 (de) 2012-12-12 2014-06-12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Ermittlung einer Trajektorie eines Fahrmanövers
ES2549795T3 (es) * 2013-07-04 2015-11-02 Kone Corporation Un sistema de ascensor
JP6539267B2 (ja) * 2013-07-26 2019-07-03 スマートリフツ、エルエルシーSmart Lifts, Llc 昇降路の異なる区画内で独立して移動する複数のエレベータかごおよびつり合いおもりを有するシステム
CN105517935B (zh) * 2013-09-03 2017-06-23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系统
US10053332B2 (en) * 2016-03-25 2018-08-21 Smart Lifts, Llc Independent traction drive and suspension systems for a plurality of elevator cabs and counterweights in a hoistway
US20180170714A1 (en) * 2016-12-16 2018-06-21 Otis Elevator Compan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vator car movement into a transfer space associated with multiple vertical pathways
CN107067934B (zh) * 2017-04-07 2019-03-26 泉州理工职业学院 一种安全帽撞击体验设备
DE102017110275A1 (de) * 2017-05-11 2018-11-15 Thyssenkrupp Ag Aufzugssystem mit zwei Schächten
US11623845B2 (en) * 2017-08-17 2023-04-11 Inventio Ag Elevator system
CN108445245B (zh) * 2018-06-06 2024-02-23 迈克医疗电子有限公司 试剂盒加载和卸载装置、样本分析仪
CN109879136B (zh) * 2019-02-19 2021-08-10 浙江省特种设备检验研究院 安全电梯
CN110884974B (zh) * 2019-11-15 2021-04-27 重庆特斯联智慧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智慧社区的电梯
DE102022119470A1 (de) 2022-08-03 2024-02-08 Tk Elevator Innovation And Operations Gmbh Aufzugsanlage mit zwei übereinander angeordneten Fahrkörben in einem Aufzugschach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6050A (ja) 2000-02-17 2001-08-21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2004018178A (ja) 2002-06-17 2004-01-22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4155519A (ja) 2002-11-01 2004-06-03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96776A (en) * 1928-02-17 1933-02-07 Westinghouse Electric & Mfg Co Multiple elevator system
SU1138379A1 (ru) * 1983-05-05 1985-02-07 Центральное Проектно-Конструкторское Бюро По Лифтам Всесоюзного Промышленного Объединения "Союзлифтмаш" Концевое предохра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 кабины лифта
SU1266828A1 (ru) * 1985-06-07 1986-10-30 Центральное Проектно-Конструкторское Бюро По Лифтам Всесоюзного Промышленного Объединения "Союзлифтмаш" Лифт
DE19833772A1 (de) * 1998-07-17 2000-01-20 Giesen Leana Absturzsicherung für schienengeführte Aufzüge
US6173814B1 (en) * 1999-03-04 2001-01-16 Otis Elevator Company Electronic safety system for elevators having a dual redundant safety bus
FR2795060B1 (fr) * 1999-06-17 2001-08-17 Gilles Antras Dispositif de securite pour technicien ascensoriste permettant d'eviter l'ecrasement de celui-ci entre la cabine et le plafond de la cage
JP2001146370A (ja) * 1999-11-19 2001-05-29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装置
CN1313346C (zh) * 2001-06-29 2007-05-02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紧急制动装置
CA2458221C (en) * 2001-09-03 2010-11-09 Inventio Ag Situation-dependent reaction in the case of a fault in the region of a door of a lift system
ATE352509T1 (de) * 2002-11-09 2007-02-15 Thyssenkrupp Elevator Ag Sicherheitseinrichtung für aufzugssystem mit mehreren aufzugskabinen in einem schacht
CN1668521A (zh) * 2002-11-26 2005-09-14 蒂森克虏伯电梯股份有限公司 用于控制电梯装置的方法及用于执行该方法的电梯装置
JP4673574B2 (ja) * 2003-05-07 2011-04-20 インベンテイオ・アクテイエンゲゼルシヤフト 一時的保護スペースを供給するための装置を用いたエレベータ設備、該装置の実装方法、および一時的保護スペースを供給するための方法
US7073632B2 (en) * 2003-05-27 2006-07-11 Invento Ag Safety system for restraining movement of elevator car when car doors are open
EP1688383A4 (en) * 2003-11-21 2011-09-21 Mitsubishi Electric Corp ELEVATOR SYSTEM
US7353916B2 (en) * 2004-06-02 2008-04-08 Inventio Ag Elevator supervision
JP2006315796A (ja) * 2005-05-11 2006-11-24 Toshiba Elevator Co Ltd マルチカーエレベータ装置
CN101296855B (zh) * 2005-10-25 2010-05-26 奥蒂斯电梯公司 电梯安全系统、电梯系统及保持多轿厢间最小间距的方法
JP2008127180A (ja) * 2006-11-24 2008-06-05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FI120906B (fi) * 2007-12-21 2010-04-30 Kone Corp Hissi
EP2252537B1 (de) * 2008-02-29 2018-12-19 Inventio AG Messeinrichtung für eine aufzugsanlage sowie eine aufzugsanlage mit einer solchen messeinrichtung
CN201506664U (zh) * 2009-10-09 2010-06-16 好厝边科技股份有限公司 节省空间的电梯升降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6050A (ja) 2000-02-17 2001-08-21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2004018178A (ja) 2002-06-17 2004-01-22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4155519A (ja) 2002-11-01 2004-06-03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86340A1 (en) 2013-01-30
RU2013102751A (ru) 2014-07-27
EP2585395B1 (de) 2016-03-23
DE102010030436A1 (de) 2011-12-29
US20130118837A1 (en) 2013-05-16
WO2011161104A1 (de) 2011-12-29
CN102947209A (zh) 2013-02-27
JP2013529585A (ja) 2013-07-22
RU2552387C2 (ru) 2015-06-10
BR112012032805A2 (pt) 2016-11-08
EP2585395A1 (de) 2013-05-01
MX2012015216A (es) 2013-01-24
DE102010030436A8 (de) 2012-03-08
CN102947209B (zh) 2017-02-15
KR20130031281A (ko) 2013-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9752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CN102887409B (zh) 一种垂直升降电梯防坠落保护装置
JP4712314B2 (ja) エレベータ設備に保護帯域を形成するためのバッファを備えたエレベータ設備および保護帯域形成方法
KR101456403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7222611B2 (ja) エレベータロープガイドシステム
KR100909304B1 (ko) 엘리베이터 장치
CN105539391B (zh) 一种胶轮车跑车防护装置
CN107662865B (zh) 随行电缆晃动的防止
US20110120809A1 (en) Collision brake for two elevator bodies moving independently of one another
CA2899121C (en) Integrated catching device on overtravel brake devices
CN110182672B (zh) 电梯轿厢护脚板系统
CN110294385B (zh) 电梯耗能减震装置
CN115258864B (zh) 一种防坠落施工升降机
JP6138348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6315796A (ja) マルチカーエレベータ装置
KR101900599B1 (ko)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WO2013095408A1 (en) Elevator system including a car stop for maintaining overhead clearance
US11713212B2 (en) Vehicle with shock absorption for transporting passengers on a variable slope track and installation comprising said vehicle
KR20190025688A (ko) 엘리베이터 장치
CN110612266B (zh) 具有两个井道的电梯系统
WO2016047314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H05147857A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CN215326276U (zh) 电梯轿厢
CN117303159B (zh) 主动安全电梯
ES2305913T3 (es) Dispositivo de seguridad para un ascen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