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8093B1 - 한방 치료용 약실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한방 치료용 약실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8093B1
KR101418093B1 KR1020130169166A KR20130169166A KR101418093B1 KR 101418093 B1 KR101418093 B1 KR 101418093B1 KR 1020130169166 A KR1020130169166 A KR 1020130169166A KR 20130169166 A KR20130169166 A KR 20130169166A KR 101418093 B1 KR101418093 B1 KR 101418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ture
weight
extract
ginseng
sulfur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9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나영
조상완
Original Assignee
조상완
조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상완, 조나영 filed Critical 조상완
Priority to KR1020130169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80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8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8093B1/ko
Priority to PCT/KR2014/011561 priority patent/WO201510223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36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 A61L27/3637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characterised by the origin of the biological material other than human or animal, e.g. plant extracts, alg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59Cosmetic or alloplastic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1Astragalus (milkvet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28Materials for coating prostheses
    • A61L27/34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36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 A61L27/3641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i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Bio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 디옥사논, 글리콜리드-카토프로락톤중합체, 폴리글리콜산, 글리콜리드-락티드 공중합체 중 어느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70~90중량%의 비율로 혼합되는 매선 실과, 상기 매선 실에 스며들도록 혼합되고, 10~30중량%의 비율로 혼합되는 황기추출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한방 치료용 약실 및 그 제조방법 {MEDICAL THREAD FOR KOREAN MEDICAL TREATMENT AND MAK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한방 치료용 약실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매선요법(약실자입요법)에 의하여 혈위를 자극하는 약실로서, 통증, 피부 미용, 체형과 비만을 교정할 수 있고, 황기 성분이 포함되어 이루어져 피부 재생을 행할 수 있는 한방 치료용 약실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부 미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이마나 눈가의 늘어진 주름, 입가의 팔자 주름, 쳐진 볼과 그로 인해 턱 라인이 두 줄로 흐트러진 경우, 목과 가로로 드리워진 굵은 주름 등 얼굴이나 기타 신체의 각부 피부에 형성되는 주름을 제거하기 위한 시술법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주름 제거 시술법으로는 안면 거상술, 필러 삽입술, 보톡스 주사법, 레이저 피부 재생술 등이 있으나, 최근에는 외과용 수술 칼을 얼굴에 대지 않고도 손쉽게 주름을 제거할 수 있는 시술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 중 대표적인 것으로는 한방성형에서 사용되고 있는 매선요법이 있으며, 매선요법은, 약 7-0[USP] ~ 5-0[USP]의 두께를 갖는 매선용 매선(약실)을 얼굴에 묻어두는 시술로서, 피부가 처지는 혈 자리에 중력의 반대방향으로 침을 놓게 되며, 참고로 USP는 봉합사 실의 굵기 규격 표시이다.
침의 앞부분 코에는 매선(약실)이 끼워져 있어 침을 뺄 때는 그 매선을 피부에 남겨 두게 되어 피부조직을 끌어올려 피부를 탱탱하게 유지시켜주도록 한다.
리프팅 시술을 통해 피부조직에 남아있는 매선은 8개월 ~ 1년여 동안 피부 속에 남아 콜라겐, 엘라스틴 생성을 촉진시켜 피부탄력을 좋게 만들어주며, 더불어 피부에 영양공급을 원활히 해주어 피부 톤을 밝게 해주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05236호(2013년 9월 26일 공개, 발명의 명칭 : 주름 제거 시술용 가시매선)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통증, 피부 미용, 체형과 비만을 교정할 수 있고, 황기 성분이 포함되어 이루어져 피부 재생을 행할 수 있는 한방 치료용 약실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 디옥사논, 글리콜리드-카토프로락톤중합체, 폴리글리콜산, 글리콜리드-락티드 공중합체 중 어느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70~90중량%의 비율로 혼합되는 매선 실; 및 상기 매선 실에 스며들도록 혼합되고, 10~30중량%의 비율로 혼합되는 황기추출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매선 실의 직경은 0.070~0.100mm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약실의 강도는 4.90~5.40kgf/mm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 디옥사논, 글리콜리드-카토프로락톤중합체, 폴리글리콜산, 글리콜리드-락티드 공중합체 중 어느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45~70중량%의 비율로 혼합되는 매선 실; 상기 매선 실에 스며들도록 혼합되고, 5~30중량%의 비율로 혼합되는 황기추출액; 및 마황, 계지, 석고, 지모, 치자, 대황, 금은화, 녹두, 백렴, 노회, 욱리인, 초오, 모과, 섬수, 오공, 자하거, 녹용, 오가피, 창출, 후박, 부자, 연교, 인삼, 당귀, 두충, 우황추출액, 후시딘산, 바시트라신계열 약물 중 어느 하나 또는 2개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20~40중량% 비율로 첨가되는 첨가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황기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b) 폴리 디옥사논, 글리콜리드-카토프로락톤중합체, 폴리글리콜산, 글리콜리드-락티드 공중합체 중 어느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혼합물을 가열하여 겔상태로 변환시키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겔상태로 변환된 혼합물에 상기 (a) 단계에서 제조되는 상기 황기 추출액을 혼합하여 황기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d) 상기 황기혼합물을 냉각시키는 단계; (e) 냉각된 상기 황기혼합물을 압출시켜 약실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a) 단계는, 10~25중량%의 비율로 첨가되는 황기를 75~90중량%의 비율로 첨가되는 증류수에 10~50분 동안 담그고, 1~2시간 동안 가열하여 거즈로 걸러 황기약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황기약액을 플라스크에 담아 섭씨 65~85도로 가열하고, 로터리 진공 증발 건조기를 이용하여 상기 황기약액을 감압 농축시키는 단계; 감압 농축한 상기 황기약액을 급속 냉동 냉장고에 넣어 냉각시켜 저장하고, 동결건조기에서 60~80시간 동안 동결 건조시키는 단계; 동결 건조되고 5~15중량%의 비율로 첨가되는 황기가루와, 85~95중량%의 비율로 첨가되는 증류수를 혼합하고, 8000~17000rpm으로 10~5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취하여 0.25~0.65㎛필터로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a) 단계는, 2~8중량%의 비율로 첨가되는 황기를 92~98중량%의 비율로 첨가되는 증류수에 10~50분 동안 담그고, 1~2시간 동안 가열하여 거즈로 걸러 황기약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황기약액을 초음파 추출기에 넣고 추출하여 황기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a) 단계는, 2~8중량%의 비율로 첨가되는 황기를 92~98중량%의 비율로 첨가되는 증류수에 10~50분 동안 담그고, 1~2시간 동안 가열하여 거즈로 걸러 황기약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황기약액과 이산화탄소를 혼합하여 추출기에 공급하는 단계; 상기 추출기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황기약액과 이산화탄소의 혼합액의 온도와 압력을 배압조절기에 의해 조절하여 초임계 상태로 상태 변화시키는 단계; 및 초임계 상태의 상기 황기약액과 이산화탄소의 혼합액을 분류기에 공급하여 황기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a) 단계는, 2~8중량%의 비율로 첨가되는 황기를 92~98중량%의 비율로 첨가되는 증류수에 10~50분 동안 담그고, 1~2시간 동안 가열하여 거즈로 걸러 황기약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황기약액을 알코올, 아세톤, 에테르 클로로폼 및 벤젠 중 어느 하나 또는 2개 이상과 혼합하는 혼합단계; 및 상기 혼합단계에서 제공되는 혼합물을 설정시간 경과 후에 농축시켜 황기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한방 치료용 약실 및 그 제조방법은, 매선용 약실에 황기 추출액을 혼합하여 약실이 제조되므로 황기의 피부 재생 능력으로 인하여 주름 개선 효과 및 상처 치료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황기추출액에 의한 창상 치유 정도가 비교되도록 흰쥐실험이 도시된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황기추출액에 의한 상처 복원력을 비교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황기추출액의 의한 상처 복원력을 비교하는 위한 상처가 도시된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황기추출액의 의한 상처 복원력을 비교하는 위한 상처가 도시된 확대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방 치료용 약실이 도시된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한방 치료용 약실 및 그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황기추출액에 의한 창상 치유 정도가 비교되도록 흰쥐실험이 도시된 사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황기추출액에 의한 상처 복원력을 비교하기 위한 그래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황기추출액의 의한 상처 복원력을 비교하는 위한 상처가 도시된 사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황기추출액의 의한 상처 복원력을 비교하는 위한 상처가 도시된 확대 사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방 치료용 약실이 도시된 사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방 치료용 약실은, 폴리 디옥사논, 글리콜리드-카토프로락톤중합체, 폴리글리콜산, 글리콜리드-락티드 공중합체 중 어느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70~90중량%의 비율로 혼합되는 매선 실과, 매선 실에 스며들도록 혼합되고, 10~30중량%의 비율로 혼합되는 황기추출액을 포함한다.
매선 실과 황기 추출액을 혼합하여 제조하는 본 실시예의 약실은, 체내 흡수에 이상이 없고, 체내에 삽입된 약실이 완전히 녹는데 소요되는 기간은 다소 줄어드는 경향이 있으며,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디옥사논으로 이루어지는 매선 실과, 본 실시예에 따른 약실이 체내에서 중량 감소되는 실험을 행한 결과 본 실시예의 약실이 효과적으로 중량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중량 감소 실험의 폴리디옥사논 매선 실의 성분은 폴리디옥사논 100%를 사용하였으며, 본 실시예의 약실의 성분은 폴리디옥사논 80중량%와, 황기 추출액 20중량%를 사용하였으며, 표 1에 기재된 수치는 나중무게/처음무게 x 100(%)로 환산하여 기재하였으며, 실험조건은 PBS( PH 7.2-7.4, 온도 섭씨37도)이다.
폴리디옥사논 폴리디옥사논+황기 추출액
시료1 2 3 4 5 평균 시료1 2 3 4 5 평균
1주 97 96 97 94 95 95.8 96 94 94 95 92 94.2
1월 92 93 93 88 88 90.8 91 88 87 89 87 88.4
2월 72 73 69 68 70 70.4 68 65 63 63 61 64.0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약실은 폴리디옥사논으로 제조되는 매선 실과 비교하여 시술 후 1주일이 경과되면 평균 1.6이 더 감소되고, 1개월이 경과되면 평균 1.6이 감소되고, 2개월이 경과되면 평균 5.6이 더 감소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황기 추출액을 포함하는 약실은 종래의 매선 실과 비교하여 시술 후에 중량이 감소되는 시간이 단축됨을 알 수 있으며, 매선 실 또는 봉합사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황기는 피부 재생 능력으로 인하여 주름 개선 및 상처 치료에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이는 하기하는 실험에 의해 입증할 수 있다.
실험동물은 삼육동물센터로부터 구입한 웅성 Sprague-Dawley계 200g 중량의 흰쥐를 사용하였다.
동물은 일정한 온도(섭씨 23±1도)와 규칙적인 조명(12시간 명/암)이 자동적으로 조절되는 동물실에서 각 케이지당 한 마리씩 사육되었고, 사료와 음수가 자유롭게 공급되었으며, 일주일간의 적응기간을 거친 후에 본 실험에 사용되었다.
황기추출액은 5000ml 규격의 ball flask를 이용하여 동국대 한방변원으로부터 구입한 황기 600g을 증류수 3L에 30분 동안 담가놓은 후에 Multiple Roat Mantle(Tops Co., Korea)에서 1.5시간을 끓이고 거즈로 걸러 약액만 용기에 모았다.
황기약액을 플라스크에 담아 섭씨 65~85도로 가열하면서 rotatory vacuum evaporator(R-124A, Buchi Co., Switzerland)를 이용하여 감압 농축하였다.
감압 농축한 황기약액을 식혀 deep freezer(Thermo Electron Co., OH, USA)에 오버나이트 저장하여 충분히 얼린 후에 동결건조기(Telstar Lioalfa-6, Telstar Co., Spain)에서 72시간 동안 동결건조 시켰다.
동결건조된 황기가루 5g을 50ml의 3차 증류수에 녹인 후 12000rpm으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취한 다음 0.45㎛ 필터로 여과하여 사용한다.
실험군은 비처리군(n=5), 대조군A(n=6), 대조군B(n=6), 실험군(n=6)의 4개 그룹으로 나우었고, 비처리군(CON)은 창상 유발 후 아무런 치료를 하지 않았고, 대조군A(N.F)는 후시딘산 나트륨 연고제(동화제약, 한국)를 창상에 0.2g씩 발라주었고, 대조군B(EGF)는 EGF(Upstate Biotech Co., GA, USA) 100ug을 5㎍/ml의 농도로 PBS에 녹여 창상에 100㎕씩 micro-pipette를 이용하여 도포하였으며, 실험군은 본 발명에 따른 황기추출액을 도포하였다.
창상 유발은, 실험동물을 70% N2/30% O2에 혼합된 5% isoflurane을 이용하여 흡입마취 유도를 한 후에 2% isoflurane으로 마취상태를 계속 유지시켰다.
쥐의 등을 제모기로 깨끗하게 제모한 후 경추와 고관절 중앙에 2×2cm2의 크기로 정사각형을 작도하고 소독된 scissors를 이용하여 근막 위까지 제거하여 전층 피부 결손창을 만들었다.
창상을 가진 쥐들은 일동제약의 습윤 드레싱제를 사용하여 창상을 덮어 주었으며 각 케이지에 한 마리씩 수용하여 매일 14시에 치료하였다.
상처 피료의 진행 과정을 관찰하기 위해 창상 유발 후 1, 4, 8일째에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여 각 군별로 일정 거리에서 촬영하여 상처의 변화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창상이 유발되면 상처 발생 즉시 염증반응이 시작되어 삼출액이 분비되며 이 과정은 염증기가 끝날 때까지 지속된다.
동시에 혈관수축, 혈소판응고, 응혈괴 형성이 일어나고, 그 후 육아과정이라 불리는 증식과정이 시작되는데 상처 발생 2일째부터 지속되어 육아조직들이 흠을 채우기 시작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창상 유발 후 치료 4일째에 비처리군은 상처 전체적으로 부종이 발견되었으며 대조군B는 부분적으로만 부종이 발견되었다.
A,R군(본 발명에 따른 황기추출액을 도포한 실험군 : Astragali Radix)은 CON군에 비해 상처의 면적이 더 많이 수축되었고, 부종의 크기도 작았으며, 다른 군들에 비해 삼출액의 양이 가장 적게 분비되었다.
치료 8일째에 CON군은 4일째에 비해 상처는 수축되었으나 삼출액이 아직 분비되었고, A,R군은 삼출액이 분비되지 않았으며, CON군에 비해 상처가 더욱 수축되었다.
EGF군은 상처가 가장 많이 수축되었으며, 삼출액은 분지되지 않았다.
상처치료 과정에서 염증반응이 억제되고 재상피화가 완료되면 상처는 수축을 시작하는데, A.R군과 EGF군은 2일에서 회복율을 보이기 시작하여 5일째에 가장 큰 회복율을 보인 반면 CON군은 실험종료일인 11일째에 86%의 상처 회복율을 보였고, 상처 면적이 50%까지 치료되는데 6.5일이 걸렸다.
이에 비해 A.R군은 11일째에 92%까지 상처가 치료되었으며, 50%까지 도달하는데 5일이 경과되었다.
CON군에 비해서 3일째부터 차이를 내기 시작하였으며, 5일째 가장 큰 증가량을 보였으나 7일 이후로는 큰 증가폭을 나타내지는 않았다.
양성대조군인 EGF군은 50%까지 치료되는데 4.5일로서 가장 빠른 회복율을 보였으며 11일째에는 97%로 거의 치료가 완료되었다.
또 다른 대조군인 N.F군은 4일째까지 CON군과 비슷한 회복율을 보였지만 5일째부터 급격히 증가하여 6일째에 50%까지 치료되고 11일째에는 91%까지 회복되어 A.R군과 비슷해졌다.(도 2 참조)
조직 생검을 실시한 결과, 치료 11일째에 상처부위를 근막 윗부분까지 떼어내어 생검을 행하였으며, H-E 염색 하에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A.R군의 피부는 표피층 형성이 완료되어 상처부위까지 덮고 있고 상처부위는 육아조직들이 채우고 있으며 상처 가장자리 쪽부터 재형성 과정을 거쳐 신생조직으로 채우지고 있었다.
CON군과 N.F군 피부의 조직학적 결과도 유사하게 표피부근은 신생조직이 채워지고 있었으나 근막층 부근은 아직 재형성 과정이 진행되지 않아 육아조직으로 채우져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EGF군은 A.R군과 비슷한 결과를 보였으며, 표피부준과 마찬가지로 근막부위도 육아조직이 신생조식으로 채워져 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도 3 참조)
상처 치료 과정 중 A.R군과 EFG군이 가장 높은 회복율을 보인 유발 후 치료 5일째 흰쥐의 등 피부조직을 면역 조직화학법으로 관찰하였다.
A.R군의 상처조직에서 면역 조직화학법에 의해 collagen type1로 표지된 조직들 사이에 평행하게 일자로 늘어난 모양으로 분포하고 있었고, 표피와 진피의 경계면 근처의 세포들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다.
CON군도 표피에서는 비슷한 발현양상을 보였으나 진피에서는 각 군중 가장 적게 나타났으며, 세포 주위에 원형을 이루고 존재하였다.
EGF군은 진피에 전체적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평행하게 일직선으로 늘어나는 발현양상을 보이면서 collagen type1이 가장 고르게 분포되어 있다.(도 4 참조)
상기한 바와 같이 황기추출액이 상처 치료과정 초기에 CON군에 비해 염증을 억제시켜 삼출액의 분비가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황기 추출액은 재상피화 과정 후 재형성과정을 촉진시켜 육아조직에서 신생조직으로 변화를 촉진시켰으며 Type1 콜라겐 섬유를 증식시켜 상처를 수축시켰다.
또한, 황기추출액은 상처치료 과정 초기에 염증반응을 억제하여 빠른 재상피화 과정으로 진행시켜 주고, 콜라겐 섬유를 증식시켜 세포 기질의 형성을 촉진해 결합조직의 재배치와 상처수축에 도움을 주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매선 실의 직경은 0.070~0.100mm로 이루어지는데, 매선 실의 직경이 0.070mm미만인 경우에는 매선 실에 의한 피부 탄력도 및 수분 함유량의 향상 효과가 현저하게 나타나지 않는 문제점이 있고, 매선 실의 직경이 0.100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황기 추출액이 매선 실에 스며들기 어려우며 인체 내에서 쉽게 녹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약실 강도는 4.90~5.40kgf/mm2로 이루어지며, 약실의 강도가 4.90kgf/mm2미만인 경우에는 황기 추출액이 스며든 후에 인체에 삽입하기 어려우며, 약실의 강도가 5.40kgf/mm2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황기 추출액을 포함하는 약실을 인체에 삽입하였을 때에 약실이 쉽게 녹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한방 치료용 약실은 피부재생 능력이 좋고, 인체 삽입된 후에 쉽게 녹기 때문에 매선 실 또는 봉합사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방 치료용 약실의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방 치료용 약실의 제조방법은, 황기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폴리 디옥사논, 글리콜리드-카토프로락톤중합체, 폴리글리콜산, 글리콜리드-락티드 공중합체 중 어느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혼합물을 가열하여 겔상태로 변환시키는 단계와, 겔상태로 변환시키는 단계에서 겔상태로 변환된 혼합물에 황기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제조되는 황기추출액을 혼합하여 황기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황기혼합물을 냉각시키는 단계와, 냉각된 황기혼합물을 압출시켜 약실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황기추출액은 5000ml 규격의 ball flask를 이용하여 동국대 한방변원으로부터 구입한 황기 600g을 증류수 3L에 30분 동안 담가놓은 후에 Multiple Roat Mantle(Tops Co., Korea)에서 1.5시간을 끓이고 거즈로 걸러 약액만 용기에 모았다.
황기약액을 플라스크에 담아 섭씨 65~85도로 가열하면서 rotatory vacuum evaporator(R-124A, Buchi Co., Switzerland)를 이용하여 감압 농축하였다.
감압 농축한 황기약액을 식혀 deep freezer(Thermo Electron Co., OH, USA)에 오버나이트 저장하여 충분히 얼린 후에 동결건조기(Telstar Lioalfa-6, Telstar Co., Spain)에서 72시간 동안 동결건조 시켰다.
동결건조된 황기가루 5g을 50ml의 3차 증류수에 녹인 후 12000rpm으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취한 다음 0.45㎛ 필터로 여과하여 사용한다.
겔상태로 변화시키는 단계는, 폴리 디옥사논, 글리콜리드-카토프로락톤중합체, 폴리글리콜산, 글리콜리드-락티드 공중합체 중 어느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혼합물을 가열하여 겔상태로 변환시키고, 게상태로 변환된 혼합물에 황기추출액을 혼합하여 냉각시킨 후에 냉각된 황기혼합물을 고압으로 압출시켜 약식을 제조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한방 치료용 약실은, 폴리 디옥사논, 글리콜리드-카토프로락톤중합체, 폴리글리콜산, 글리콜리드-락티드 공중합체 중 어느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45~70중량%의 비율로 혼합되는 매선 실과, 매선 실에 스며들도록 혼합되고, 5~30중량%의 비율로 혼합되는 황기추출액과, 마황, 계지, 석고, 지모, 치자, 대황, 금은화, 녹두, 백렴, 노회, 욱리인, 초오, 모과, 섬수, 오공, 자하거, 녹용, 오가피, 창출, 후박, 부자, 연교, 인삼, 당귀, 두충, 우황추출액, 후시딘산, 바시트라신계열 약물 중 어느 하나 또는 2개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20~40중량% 비율로 첨가되는 첨가물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일 실시예와 비교하여 첨가물이 더 포함되는 것이 특징이며, 첨가물을 이루는 다수의 조성물 중에 마황은, 풍한(風寒)을 소산시키고, 발한해표, 오한발열, 두통, 천식, 해수, 수종, 신체상부 마비, 피부마비, 충혈, 어혈에 사용되는 약재이다.
계지는, 초기 감기에 피부의 땀구멍을 열어 땀을 내며, 어깨와 등의 통증, 사지관절의 동통을 완화시켜 주며 기혈의 순환을 촉진 시키고 양기부족을 치료하는 약재이다.
또한, 계지의 약리작용은 대장균, 고초간균, 황색포도균, 폐렴쌍구균 등의 발육을 억제하고 유행성감기바이러스를 억제하며 이뇨작용을 이룬다.
석고의 생것은, 기아증을 제거하고 열을 내리며 번조(煩燥)를 제거하고 갈증을 멈추게 하는 효능이 있는 약재이다.
지모는, 열을 내리고 갈증과 가슴이 답답하고 팔다리를 가만히 두지 못하는 증상에 쓰이며 해수, 마른기침, 뼛골이 쑤시고 조열이 나며 식은땀이 나는 증상에 진액을 생성하여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모의 약리작용으로 해열, 신경계통진정, 진통, 진정, 부신피질호르몬 자극억제, 만성기관지염치료, 담증분비, 억균, 혈당강하작용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첨가물로 사용되는 약재는 한의학에서 사용되는 약재들이며,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약재가 혼합되어 첨가물을 이룰 수 있다.
또한, 황기추출액이 생략되고 상기한 첨가물 중에 어느 하나 또는 2개이 이상의 약재가 혼합되어 제조되는 추출액이 매선 실에 스며들도록 약실을 제조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인지한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한방 치료용 약실 제조방법의 황기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2~8중량%의 비율로 첨가되는 황기를 92~98중량%의 비율로 첨가되는 증류수에 10~50분 동안 담그고, 1~2시간 동안 가열하여 거즈로 걸러 황기약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황기약액을 초음파 추출기에 넣고 추출하여 황기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다.
본 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황기약액을 제조하고, 황기약액을 초음파 추출기에 제공하여 황기약액으로부터 황기추출액을 제조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한방 치료용 약실 제조방법의 황기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2~8중량%의 비율로 첨가되는 황기를 92~98중량%의 비율로 첨가되는 증류수에 10~50분 동안 담그고, 1~2시간 동안 가열하여 거즈로 걸러 황기약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황기약액과 이산화탄소를 혼합하여 추출기에 공급하는 단계와, 추출기로부터 제공되는 황기약액과 이산화탄소의 혼합액의 온도와 압력을 배압조절기에 의해 조절하여 초임계 상태로 상태 변화시키는 단계와, 초임계 상태의 황기약액과 이산화탄소의 혼합액을 분류기에 공급하여 황기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초임계 추출법으로 황기추출액을 제조하는 방법이며, 분류기에서 분류되는 이산화탄소는 냉각기를 통과하면서 액체 상태로 변환되어 탱크에 저장되고, 다시 펌프로 가압하여 추출기로 순환되면서 재활용된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한방 치료용 약실 제조방법의 황기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2~8중량%의 비율로 첨가되는 황기를 92~98중량%의 비율로 첨가되는 증류수에 10~50분 동안 담그고, 1~2시간 동안 가열하여 거즈로 걸러 황기약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황기약액을 알코올, 아세톤, 에테르 클로로폼 및 벤젠 중 어느 하나 또는 2개 이상과 혼합하는 혼합단계와, 혼합단계에서 제공되는 혼합물을 설정시간 경과 후에 농축시켜 황기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황기약액을 제조한 후에 황기약액을 알코올, 아세톤, 에테르 클로로폼 및 벤젠 중 어느 하나 또는 2개 이상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혼합물과 혼합하여 설정시간을 경과시키고, 혼합물을 농축시켜 황기추출액을 제조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로써, 매선요법(약실자입요법)에 의하여 혈위를 자극하는 약실로서, 통증, 피부 미용, 체형과 비만을 교정할 수 있고, 황기 성분이 포함되어 이루어져 피부 재생을 행할 수 있는 한방 치료용 약실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한방 치료용 약실 및 그 제조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한방 치료용 약실 및 그 제조방법이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약실 및 그 제조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9)

  1. 폴리 디옥사논, 글리콜리드-카토프로락톤중합체, 폴리글리콜산, 글리콜리드-락티드 공중합체 중 어느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70~90중량%의 비율로 혼합되는 매선 실; 및
    10~25중량%의 비율로 첨가되는 황기를 75~90중량%의 비율로 첨가되는 증류수에 10~50분 동안 담그고, 1~2시간 동안 가열하여 거즈로 걸러 황기약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황기약액을 플라스크에 담아 섭씨 65~85도로 가열하고, 로터리 진공 증발 건조기를 이용하여 상기 황기약액을 감압 농축시키는 단계와, 감압 농축한 상기 황기약액을 급속 냉동 냉장고에 넣어 냉각시켜 저장하고, 동결건조기에서 60~80시간 동안 동결 건조시키는 단계와, 동결 건조되고 5~15중량%의 비율로 첨가되는 황기가루, 및 85~95중량%의 비율로 첨가되는 증류수를 혼합하고, 8000~17000rpm으로 10~5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취하여 0.25~0.65㎛필터로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으로 제조되고, 상기 매선 실에 스며들도록 혼합되고, 10~30중량%의 비율로 혼합되는 황기추출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 치료용 약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선 실의 직경은 0.070~0.100mm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 치료용 약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실의 강도는 4.90~5.40kgf/mm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 치료용 약실.
  4. 폴리 디옥사논, 글리콜리드-카토프로락톤중합체, 폴리글리콜산, 글리콜리드-락티드 공중합체 중 어느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45~70중량%의 비율로 혼합되는 매선 실;
    10~25중량%의 비율로 첨가되는 황기를 75~90중량%의 비율로 첨가되는 증류수에 10~50분 동안 담그고, 1~2시간 동안 가열하여 거즈로 걸러 황기약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황기약액을 플라스크에 담아 섭씨 65~85도로 가열하고, 로터리 진공 증발 건조기를 이용하여 상기 황기약액을 감압 농축시키는 단계와, 감압 농축한 상기 황기약액을 급속 냉동 냉장고에 넣어 냉각시켜 저장하고, 동결건조기에서 60~80시간 동안 동결 건조시키는 단계와, 동결 건조되고 5~15중량%의 비율로 첨가되는 황기가루, 및 85~95중량%의 비율로 첨가되는 증류수를 혼합하고, 8000~17000rpm으로 10~5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취하여 0.25~0.65㎛필터로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으로 제조되고, 상기 매선 실에 스며들도록 혼합되고, 5~30중량%의 비율로 혼합되는 황기추출액; 및
    마황, 계지, 석고, 지모, 치자, 대황, 금은화, 녹두, 백렴, 노회, 욱리인, 초오, 모과, 섬수, 오공, 자하거, 녹용, 오가피, 창출, 후박, 부자, 연교, 인삼, 당귀, 두충, 우황추출액, 후시딘산, 바시트라신계열 약물 중 어느 하나 또는 2개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20~40중량% 비율로 첨가되는 첨가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 치료용 약실.
  5. (a) 황기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b) 폴리 디옥사논, 글리콜리드-카토프로락톤중합체, 폴리글리콜산, 글리콜리드-락티드 공중합체 중 어느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혼합물을 가열하여 겔상태로 변환시키는 단계와, (c) 상기 (b) 단계에서 겔상태로 변환된 혼합물에 상기 (a) 단계에서 제조되는 상기 황기 추출액을 혼합하여 황기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d) 상기 황기혼합물을 냉각시키는 단계와, (e) 냉각된 상기 황기혼합물을 압출시켜 약실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한방 치료용 약실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10~25중량%의 비율로 첨가되는 황기를 75~90중량%의 비율로 첨가되는 증류수에 10~50분 동안 담그고, 1~2시간 동안 가열하여 거즈로 걸러 황기약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황기약액을 플라스크에 담아 섭씨 65~85도로 가열하고, 로터리 진공 증발 건조기를 이용하여 상기 황기약액을 감압 농축시키는 단계;
    감압 농축한 상기 황기약액을 급속 냉동 냉장고에 넣어 냉각시켜 저장하고, 동결건조기에서 60~80시간 동안 동결 건조시키는 단계; 및
    동결 건조되고 5~15중량%의 비율로 첨가되는 황기가루와, 85~95중량%의 비율로 첨가되는 증류수를 혼합하고, 8000~17000rpm으로 10~5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취하여 0.25~0.65㎛필터로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 치료용 약실 제조방법.
  6. 삭제
  7. (a) 황기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b) 폴리 디옥사논, 글리콜리드-카토프로락톤중합체, 폴리글리콜산, 글리콜리드-락티드 공중합체 중 어느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혼합물을 가열하여 겔상태로 변환시키는 단계와, (c) 상기 (b) 단계에서 겔상태로 변환된 혼합물에 상기 (a) 단계에서 제조되는 상기 황기 추출액을 혼합하여 황기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d) 상기 황기혼합물을 냉각시키는 단계와, (e) 냉각된 상기 황기혼합물을 압출시켜 약실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한방 치료용 약실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2~8중량%의 비율로 첨가되는 황기를 92~98중량%의 비율로 첨가되는 증류수에 10~50분 동안 담그고, 1~2시간 동안 가열하여 거즈로 걸러 황기약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황기약액을 초음파 추출기에 넣고 추출하여 황기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 치료용 약실 제조방법.
  8. (a) 황기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b) 폴리 디옥사논, 글리콜리드-카토프로락톤중합체, 폴리글리콜산, 글리콜리드-락티드 공중합체 중 어느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혼합물을 가열하여 겔상태로 변환시키는 단계와, (c) 상기 (b) 단계에서 겔상태로 변환된 혼합물에 상기 (a) 단계에서 제조되는 상기 황기 추출액을 혼합하여 황기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d) 상기 황기혼합물을 냉각시키는 단계와, (e) 냉각된 상기 황기혼합물을 압출시켜 약실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한방 치료용 약실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2~8중량%의 비율로 첨가되는 황기를 92~98중량%의 비율로 첨가되는 증류수에 10~50분 동안 담그고, 1~2시간 동안 가열하여 거즈로 걸러 황기약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황기약액과 이산화탄소를 혼합하여 추출기에 공급하는 단계;
    상기 추출기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황기약액과 이산화탄소의 혼합액의 온도와 압력을 배압조절기에 의해 조절하여 초임계 상태로 상태 변화시키는 단계; 및
    초임계 상태의 상기 황기약액과 이산화탄소의 혼합액을 분류기에 공급하여 황기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 치료용 약실 제조방법.
  9. (a) 황기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b) 폴리 디옥사논, 글리콜리드-카토프로락톤중합체, 폴리글리콜산, 글리콜리드-락티드 공중합체 중 어느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혼합물을 가열하여 겔상태로 변환시키는 단계와, (c) 상기 (b) 단계에서 겔상태로 변환된 혼합물에 상기 (a) 단계에서 제조되는 상기 황기 추출액을 혼합하여 황기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d) 상기 황기혼합물을 냉각시키는 단계와, (e) 냉각된 상기 황기혼합물을 압출시켜 약실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한방 치료용 약실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2~8중량%의 비율로 첨가되는 황기를 92~98중량%의 비율로 첨가되는 증류수에 10~50분 동안 담그고, 1~2시간 동안 가열하여 거즈로 걸러 황기약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황기약액을 알코올, 아세톤, 에테르 클로로폼 및 벤젠 중 어느 하나 또는 2개 이상과 혼합하는 혼합단계; 및
    상기 혼합단계에서 제공되는 혼합물을 설정시간 경과 후에 농축시켜 황기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 치료용 약실 제조방법.
KR1020130169166A 2013-12-31 2013-12-31 한방 치료용 약실 및 그 제조방법 KR101418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9166A KR101418093B1 (ko) 2013-12-31 2013-12-31 한방 치료용 약실 및 그 제조방법
PCT/KR2014/011561 WO2015102236A1 (ko) 2013-12-31 2014-11-28 한방 치료용 약실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9166A KR101418093B1 (ko) 2013-12-31 2013-12-31 한방 치료용 약실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8093B1 true KR101418093B1 (ko) 2014-07-10

Family

ID=51741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9166A KR101418093B1 (ko) 2013-12-31 2013-12-31 한방 치료용 약실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18093B1 (ko)
WO (1) WO201510223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06988A (zh) * 2018-08-15 2019-01-01 杭州市萧山区中医院 黄芪多糖用于组织工程皮肤中促进新生皮肤血管网络再生的应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2009A (ko) * 1998-07-13 1998-10-26 하권익 착색 봉합사 및 그의 제조방법
CN101559178A (zh) * 2008-04-17 2009-10-21 王守东 一种治疗急、慢性肾炎、慢性肾功能衰竭疾病的药线及其应用
KR20120117609A (ko) * 2011-04-14 2012-10-24 김병건 피부삽입용 기능성 시술 실, 및 이를 포함하는 시술장치
KR101200396B1 (ko) 2010-10-07 2012-11-12 주식회사 엠에이에스 한방약침용 약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2009A (ko) * 1998-07-13 1998-10-26 하권익 착색 봉합사 및 그의 제조방법
CN101559178A (zh) * 2008-04-17 2009-10-21 王守东 一种治疗急、慢性肾炎、慢性肾功能衰竭疾病的药线及其应用
KR101200396B1 (ko) 2010-10-07 2012-11-12 주식회사 엠에이에스 한방약침용 약실
KR20120117609A (ko) * 2011-04-14 2012-10-24 김병건 피부삽입용 기능성 시술 실, 및 이를 포함하는 시술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06988A (zh) * 2018-08-15 2019-01-01 杭州市萧山区中医院 黄芪多糖用于组织工程皮肤中促进新生皮肤血管网络再生的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02236A1 (ko) 2015-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030826A (zh) 一种复合型血小板凝胶及其制备方法
Khorasani et al. The effects of Aloe Vera cream on split-thickness skin graft donor site management: a randomized, blinded, placebo-controlled study
Dini et al. Eyebrow regrowth in patient with atrophic scarring alopecia treated with an autologous fat graft
US20230218712A1 (en) Topical application of polypeptide in the treatment of skin damage
KR20190121630A (ko) 키토산 섬유성 스폰지 구조의 의료용 드레싱재 및 그 제조 방법
Fredman et al. Skin-sparing mastectomy flap ischemia salvage using urgent hyperbaric chamber oxygen therapy: a case report
KR101418093B1 (ko) 한방 치료용 약실 및 그 제조방법
CN108686103A (zh) 一种止血中药组合物以及多功能紧急止血复合材料
CN102228554B (zh) 一种治疗烧伤烫伤的药物及其制备方法
CN105031622A (zh) 一种促进伤口愈合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4189304B (zh) 一种用于治疗外科伤口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9010906B (zh) 一种促进术后伤口局部止血及促进术后创面上皮化的生物胶水及其工作方法
KR20170088084A (ko) 설글리코타이드의 피부 상처 치유 촉진 용도, 및 이를 포함하는 외용제 조성물
RU2629527C1 (ru) Способ коррекции возрастных изменений мягких тканей лица и/или тела
CN112057681B (zh) 含生物玻璃陶瓷的组合物及其在疤痕修复中的应用
CN115137751B (zh) 一种富血小板血浆的处理方法及其在抑制妊娠纹中的应用
CN108210983A (zh) 一种鼻腔用琼脂糖接枝透明质酸海绵及其制备方法
CN105232856B (zh) 一种用于术后伤口愈合的药物组合物及其应用
LU501050B1 (en) Chinese medicinal ointment for treating animal trauma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1080290B1 (ko) 자가혈 필러 제조방법
Feng Clinical Application of Platelet-Rich Plasma (PRP) in the Treatment of Osteoarthritis and Refractory Wounds
KR100592429B1 (ko) 대나무 표피 분말을 포함하는 화상치료제 및 이의 제조방법
RU2355411C1 (ru) Ранозаживляющая мазь
Fabbrocini et al. Hyaluronic Acid, Platelet-Rich Plasma, and Polylactic Reasorbable Threads in Acne Scars
CN105168722A (zh) 一种生肌祛印软膏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