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8084A - 설글리코타이드의 피부 상처 치유 촉진 용도, 및 이를 포함하는 외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설글리코타이드의 피부 상처 치유 촉진 용도, 및 이를 포함하는 외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8084A
KR20170088084A KR1020160007977A KR20160007977A KR20170088084A KR 20170088084 A KR20170088084 A KR 20170088084A KR 1020160007977 A KR1020160007977 A KR 1020160007977A KR 20160007977 A KR20160007977 A KR 20160007977A KR 20170088084 A KR20170088084 A KR 201700880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wound healing
skin
wound
h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7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0519B1 (ko
Inventor
박석용
조성완
최성업
지현구
방민혁
김준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트로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트로팜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트로팜텍
Priority to KR1020160007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0519B1/ko
Publication of KR20170088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80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0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0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703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A61K38/1709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Immunology (AREA)
  • Zo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글리코타이드의 피부 상처 치유 촉진 용도, 및 유효성분으로서 설글리코타이드를 포함하는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천연유래 물질인 설글리코타이드를 피부 상처 치유의 유효성분으로 사용함으로써, 보다 높은 약물 안전성을 기대할 수 있고 생산 비용이 비교적 저렴할 뿐 아니라, 유효성분의 낮은 농도에서도 상처 치유 촉진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다른 유효성분과 조합되어 보다 더 높은 상처 치유 촉진 시너지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설글리코타이드의 피부 상처 치유 촉진 용도, 및 이를 포함하는 외용제 조성물{USE OF SULGLYCOTIDE FOR PROMOTING SKIN-WOUND-HEALING, AND COMPOSITION FOR EXTERNAL APPLICATION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재) 경기과학기술진흥원의 “천연물 유래 글리코펩타이드 화합물의 상처치유 효능 연구 및 신규 의약품 개발”과제의 결과물로서, 설글리코타이드의 피부 상처 치유 촉진 용도, 및 이를 포함하는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처(Wound)’는 이러한 피부가 물리적인 신체손상으로 인해, 피부 구조물의 정상적인 연속성이 붕괴된 것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좌상(contusion or bruise), 열상(laceration), 결출상(avulsion), 관통상(penetrated wound), 비-치유외상성 상처, 방사선조사에 의한 조직의 파괴, 찰과상(abrasion), 골괴저, 총상(gun shot wound), 절상, 화상·동상, 피부궤양, 피부 건조, 피부각화증, 갈라짐, 터짐, 피부염, 피부사상균증에 의한 통증, 수술상, 혈관질환상처, 각막상처 등의 상처, 욕창, 와창, 당뇨병 및 순환불량에 관련된 상태, 만성궤양, 성형수술 후 봉합부위, 척추상해성 상처, 부인과적 상처, 화학적 상처 및 여드름 등 개체의 일부에 대한 손상을 포괄적으로 의미한다.
‘상처치유(wound healing)’는 상처 후, 피부 또는 신체 조직이 그 불연속성을 저절로 회복하는 복합 과정으로, 크게 다음의 4가지 단계를 거치게 된다.
즉, 상처 후 수분 이내에 혈액 냉의 혈소판과 피브린이 응집되어, 상처를 메우고 추가적인 출혈을 막는 지혈단계(Hemostasis; blood clotting); 손상되거 죽은 세포가 박테리아나 다른 병원체들과 함께 제거되는 염증단계(inflammation); 백혈구가 분비한 성장인자의 자극에 의해 상처주의 상피세포가 이동, 증식하여 손상된 부위를 덮고 진피층의 섬유세포가 콜라겐과 일라스틴 등의 섬유질을 생산하여 육아조직이라는 새살을 만드는 증식단계(proliferation); 및 콜라겐이 재편되고 세포가 더 이상 증식하지 않거나 세포자살(apoptosis)등이 일어나 염증세포가 사라지고 임시로 생선되 육아조직이 원래의 피부조직에 가깝게 재편되는 성숙단계(maturation)가 그것이다.
‘상처치유(wound healing)’는 이러한 복잡한 과정을 거치므로, 그 과정 중에 방해를 받거나, 진행과정이 붕괴되어 회복되지 않는 만성적 상처를 형성하기 쉽다. 비회복성 만성 상처를 형성시키는 요인으로는, 당뇨병, 정맥 또는 동맥 질환, 감염, 및 노년의 대사성 결핍 등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상처치유 촉진(promoting wound healing)’은, 이러한 상처치유 과정을 촉발시키거나, 외부 인자에 의해 상처치유의 과정이 방해되는 것을 차단하여 상처치유 과정을 견고히 하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세계적으로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노령화 인구층이 증가할수록 피부 상처 치유 효능을 가진 상처치유제 시장은 지속적인 성장을 이루고 있다. 글로벌인포메이션의 보고서(Markets for Advanced Wound Management Technologies, 2014)에 따르면 2013년 세계의 첨단 상처관리 시장 총액은 2011년 79억 달러로부터 상승하여 86억 달러에 이르렀으며, 시장 가치는 향후 CAGR(연평균성장률) 5.6%로 전망하여 2018년까지 113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국내의 피부 상처치유제 시장규모는 약 500억원대 수준이며, 시판 중인 연고제로서 2차 감염을 막는 상처치유 항생약품으로 동화약품의 ‘후시딘 연고’와 동국제약의 ‘마데카솔’이 200억원대의 시장을 양분하고 있다. 그 외 EGF가 들어간 대웅제약 ‘EGF 새살연고’가 새롭게 시장진출을 하고 있는 양상이다. 최근에는 상처치유와 구분이 모호했던 흉터치유제가 ‘흉터에 자신 있게’ 라는 ‘더마틱스겔‘ 등의 대대적인 공중파 TV 광고를 선보이면서 일반인뿐만 아니라 약사도 흉터치유제의 인식률이 높아져 상처치유제 시장 전체가 성장하는 효과를 낳고 있다.
기존 시장에서 드레싱제는 2차 감염 등 상처 치유의 부정적인 요소를 수비적으로 차단하는 방식이므로, 상처가 보다 빨리 회복되거나 흉터 등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치유로서는 부족한 면이 있고, 스테로이드성/비스테로이성 약물군은 장기 투약에 대한 부작용이 우려되며, 줄기세포를 이용한 세포(cell)제는 환자가 부담하기에 무리가 있는 고비용이 문제되고 있다. 따라서 가격이 높지 않으며, 상처 치유를 촉진하는 신규 물질의 개발이나, 기존에 대한 물질용도 연구가 필요하다.
상처 치유 촉진하거나 흉터의 치유에 관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대한 종래의 기술에 대해서는, 나프토칼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것(대한민국 등록특허10-1587233; 특허문헌 1), 고농도 포타슘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것(대한민국 등록특허10-0855635; 특허문헌 2) 등이 있지만, 약물 안전성, 치유효과나 약물 선택 폭 확대 측면에서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이로써, 특허문헌 1 내지 2의 내용 전부는, 본 명세서상의 종래기술로서, 전부 인용·합체된다.)
설글리코타이드(Sulglycotide)로, 돼지 십이지장으로부터 추출하여 정제 및 후속 황산화 반응을 통해 수득하는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황산화 당펩타이드이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분자량은 약 900,000~1,000,000 dalton이며, 이미 인체의약품에 적용되어 상용화가 이루어진 물질이다.
즉, 국내에서는 삼일제약에서 설글리코타이드 200 mg 용량의 ‘글립타이드 정’이란 제품명으로 전문의약품으로 시판되고 있으며, 글립타이드의 보건복지부 분류 효능효과는 위·십이지장궤양 및 위·십이지장염 치유의 소화성궤양용제로 구분되고 있다.
이처럼, 설글리코타이드는 위 점막 보호 작용 및 방어 인자 증강 작용으로 항 궤양 효과 및 H. pylori 억제 효과가 있으며, 다양한 임상시험에서 위 및 십이지장염 치유, 소화성 궤양의치유 및 재발방지,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 약물에 의한 위장관계 질환의 치유와 예방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비특허문헌 1; J. Physiol. Pharmacol. 1999 June; 50(2):197-210).
그러나, 설글리코타이드의 위장 내에서의 점막 보호 작용 및 방어 인자 증강 작용 효과가 상처에 대한 피부 재생효과(특히, 위장 등의 내장 이외의 외부 조직,이를 테면, 피부 등)를 포함하는 것은 아니다. 위장 점막 세포는 내배엽 유래 세포로 케라틴, 각질 등을 형성하지 않는데 반해, 피부세포는 외배엽 유래 세포로 케라틴, 각질 등이 형성되며, 또한, 점막 등의 방어 인자 증강 효과는 새살을 만드는 증식단계를 촉발시키는 것과는 다르기 때문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창상 치유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던 중, 놀랍게도 위장관계 질환의 치유와 예방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는 설글리코타이드를 함유시킨 제제를 창상에 적용한 결과, 손상된 피부가 대조군보다 더 빨리 회복됨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설글리코타이드는 천연유래물질이므로 안전성 측면에서도 큰 독성이나 부작용이 보고되지 않았는 바, 이를 이용한 피부 상처치유제 시장 개척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지금까지 설글리코타이드를 이용한 피부 창상 치유 접근은 보고된 바 없다.
(2016.01.14.) (특허문헌 2) KR 10-0855635 B1 (2008.08.26.) J. Physiol. Pharmacol. 1999 June; 50(2):197-210.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은 설글리코타이드의 피부 상처 치유 촉진 용도, 및 유효성분으로서 설글리코타이드를 포함하는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유효성분으로서 설글리코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상처 치유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설글리코타이드는, 조성물 전체 대비, 0.1 w/v% 이하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상처 치유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설글리코타이드는, 조성물 전체 대비, 0.01 w/v% 이하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상처 치유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콘드로이친,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히알루론산,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상처 치유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설글리코타이드는, 유효성분 전체 대비, 50 중량%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상처 치유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설글리코타이드는, 유효성분 전체 대비, 80 중량%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상처 치유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상처 치유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을 포함하고, 액제, 연고제, 크림제, 로션제, 스프레이제, 패취제, 겔제, 또는 에어로졸제 제형인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천연유래 물질인 설글리코타이드를 피부 상처 치유의 유효성분으로 사용함으로써, 보다 높은 약물 안전성을 기대할 수 있고 생산 비용이 비교적 저렴할 뿐 아니라, 유효성분의 낮은 농도에서도 상처 치유 촉진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다른 유효성분과 조합되어 보다 더 높은 상처 치유 촉진 시너지 효과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22는, 각각, Blank(비교예), A-1(실시예), A-2(실시예), A-3(실시예), B-1(실시예), B-2(실시예), B-3(실시예), C-1(실시예), C-2(실시예), C-3(실시예), D-1(실시예), D-2(실시예), D-3(실시예), E-1(실시예), E-2(실시예), E-3(실시예), F-1(실시예), F-2(실시예), F-3(실시예), G-1(실시예), G-2(실시예), G-3(실시예)의 세포이동성 평가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23은, 농도 0.1~0.01% 단일 유효성분 처리 검체별 손상 세포 회복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4는, 농도 0.1~0.01% 복합 유효성분(1:1 비율) 처리 검체별 손상 세포 회복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5는, 농도 0.1~0.01% 복합 유효성분(5:1 비율) 처리 검체별 손상 세포 회복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재) 경기과학기술진흥원의 “천연물 유래 글리코펩타이드 화합물의 상처치유 효능 연구 및 신규 의약품 개발”과제의 결과물이다.
우선, 본 발명 명세서 상의 용어를 정의한다.
‘상처(Wound)’는 이러한 피부가 물리적인 신체손상으로 인해, 피부 구조물의 정상적인 연속성이 붕괴된 것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좌상(contusion or bruise), 열상(laceration), 결출상(avulsion), 관통상(penetrated wound), 비-치유외상성 상처, 방사선조사에 의한 조직의 파괴, 찰과상(abrasion), 골괴저, 총상(gun shot wound), 절상, 화상·동상, 피부궤양, 피부 건조, 피부각화증, 갈라짐, 터짐, 피부염, 피부사상균증에 의한 통증, 수술상, 혈관질환상처, 각막상처 등의 상처, 욕창, 와창, 당뇨병 및 순환불량에 관련된 상태, 만성궤양, 성형수술 후 봉합부위, 척추상해성 상처, 부인과적 상처, 화학적 상처 및 여드름 등 개체의 일부에 대한 손상을 포괄적으로 의미한다.
‘상처치유(wound healing)’는 상처 후, 피부 또는 신체 조직이 그 불연속성을 저절로 회복하는 복합 과정을 말한다.
‘상처치유 촉진(promoting wound healing)’은, 협의적으로는, 상처치유 과정의 메커니즘을 적극적으로 활성화 내지 촉발시키것이고, 광의적으로는, 외부 인자에 의해 상처치유의 과정이 방해되는 것을 차단하는 수동적인 것도 포함하는 것이지만, 본 명세서 상의 의미는 협의적인 의미를 반드시 내포하는 것이다.
‘피부(skin cell)’는, 피부세포는 외배엽 유래 세포로 구성되고 케라틴, 각질 등이 형성되는 외피(integument)를 말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피부 상처 치유를 위해 유효성분으로서 설글리코타이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창상 치유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던 중, 놀랍게도 위장관계 질환의 치유와 예방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는 설글리코타이드를 함유시킨 제제를 창상에 적용한 결과, 손상된 피부가 대조군보다 더 빨리 회복됨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설글리코타이드는 천연유래물질이므로 안전성 측면에서도 큰 독성이나 부작용이 보고되지 않았고, 지금까지 설글리코타이드를 이용한 피부 창상 치유 접근은 보고된 바 없다.
활성성분인 설글리코타이드는 치유학적으로 유효한 양(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로 알려져 있는 함량으로 사용될 수 있고, 설글리코타이드의 함량은 다른 첨가제의 사용량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나, 전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0.0001 내지 10%(w/v) 범위일 수 있다. 물론, 상기 설글리코타이드의 함량은 액상 제제 총 용적에 따라 변화 될 수 있다.
다만, 싱기 설글리코타이드는, 조성물 전체 대비, 0.1 w/v% 이하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1 w/v% 이하로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는 설글리코타이드가 낮은 농도에서 보다 더 높은 피부 창상 치유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설글리코타이드가 낮은 농도에서 보다 높은 피부 창상 치유효과를 갖는다는 점은, 유효성분을 농도를 낮출 수 있도록 허용하기 때문에, 제제의 독성, 부작용 안전성 측면에서 매우 유리할 뿐 아니라, 제제의 안정성(형상유지성, 보관성 등), 및 제조공정 상의 편의성, 경제성 등 많은 이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설글리코타이드 이외에도 창상 치유 촉진 유효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대한 비제한적인 예시로, 콘드로이친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나, 히알루론산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들 수 있다. 이들 성분을 포함함으로써, 설리코타이드의 보다 높은 상처 치유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설리코타이드에 창상 치유 촉진 유효성분을 복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설글리코타이드는, 유효성분 전체 대비, 50 중량%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80 중량% 이상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설글리코타이드의 비율이 높은 경우에,보다 높은 상처 치유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상처 치유 촉진용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여러 제형의 의약품, 치유 보조제, 의료기구(연고제, 겔제 등의 반고형 제제, 마스크팩, 드레싱제, 밴드/거즈, 액제 등)으로 제형 적용이 가능한 물질이고, 특별히 제형의 종류가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분야 통상의 기술자에 자명한 기술에 의해 자명한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비제한적 예시로, 액제, 연고제, 크림제, 로션제, 스프레이제, 패취제, 겔제, 또는 에어로졸제 제형 등을 들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실시예를 들어 보다 더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위한 것일 뿐, 이에 의해 권리범위를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분명히 한다.
실시예
하기 표 1과 같이 유효물질의 종류, 배합비율(단위:중량비), 및 사용농도(단위:w/v%)를 달리하여, 여러 실시예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02
실험예
- HaCat 세포 배양
본 연구에 사용된 세포주는 인체 피부각질형성세포주인 HaCat 세포를 사용하였다. HaCat 세포는 일정한 습도(50% RH)와 온도(37℃)가 유지되는 배양기에서 95% O2와 5% CO2의 혼합기체를 공급하여 주면서 초기배양(2 × 107 cells/mL) 농도로 배양하였다. HaCat 세포는 세포배양용 6 well plate 용기표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충분히 배양하였으며, 배양된 세포의 표면적이 70% 정도 되었을 때 계대배양을 실시하였다.
- HaCat Cell Migration Assay
세포배양용 6 well plate에 HaCat 세포를 1.5 × 106 cells/2mL로 배양한 후 PBS로 세척하여 DMEM 배지로 overnight 배양하였다. 200 ㎕ yellow tip을 이용하여 배양된 세포층에 스크래칭(scratching)한 후, 아래 실험군 및 대조군의 각 검체별 활성물질의 종류 및 혼합비율에 따라 각 well에 처리하여 배양하였다. 손상된 세포층의 회복 정도(세포이동성) 평가는 0시간, 10시간, 20시간 단위로 현미경을 사용하여 사진 촬영하였다. 세포이동성 평가는 촬영된 사진의 긁혀진 간격을 측정하여 10시간, 20시간 동안의 이동 거리를 측정하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유효성분 미처리 한 비교예의 경우,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세포이동이 크게 증가하지 않아 손상된 세포층의 회복이 없었다.
도 23은, 농도 0.1~0.01% 단일 유효성분 처리 검체별 손상 세포 회복율을 나타낸 것으로서 여기에 나타나 있듯이, 각 활성물질을 단일처리 하였을 경우 세포이동성은 콘드로이친설페이트나트륨>히알루론산나트륨>설글리코타이드 순서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설글리코타이드는 고농도보다 낮은 농도에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 24는, 농도 0.1~0.01% 복합 유효성분(1:1 비율) 처리 검체별 손상 세포 회복율을 나타낸 것으로서 여기에 나타나 있듯이, 각 활성물질을 1:1 비율로 혼합처리 하였을 경우 세포이동성은 설글리코타이드/콘드로이친설페이트나트륨>설글리코타이드/히알루론산나트륨 시험군의 순서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각 시험군도 낮은 농도에서 세포이동성 효과가 다소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25는, 농도 0.1~0.01% 복합 유효성분(5:1 비율) 처리 검체별 손상 세포 회복율을 나타낸 것으로서 여기에 나타나 있듯이, 각 활성물질을 5:1 비율로 혼합처리 하였을 경우 세포이동성은 설글리코타이드/콘드로이친설페이트나트륨>설글리코타이드/히알루론산나트륨 시험군의 순서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5:1 비율 혼합 처리한 시험군의 경우 설글리코타이드를 단일처리한 시험군 보다 세포이동성이 크게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설글리코타이드를 단일사용하는 것보다 콘드로이친설페이트나트륨과 병용처방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되었다.

Claims (7)

  1. 유효성분으로서 설글리코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상처 치유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설글리코타이드는, 조성물 전체 대비, 0.1 w/v% 이하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상처 치유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설글리코타이드는, 조성물 전체 대비, 0.01 w/v% 이하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상처 치유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콘드로이친,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히알루론산,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상처 치유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설글리코타이드는, 유효성분 전체 대비, 50 중량%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상처 치유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
  6. 청구항 5에 있어서, 설글리코타이드는, 유효성분 전체 대비, 80 중량%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상처 치유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
  7. 청구항 1 내지 6의 어느 한 청구항의 조성물을 포함하고,
    액제, 연고제, 크림제, 로션제, 스프레이제, 패취제, 겔제, 또는 에어로졸제 제형인 외용제 조성물.
KR1020160007977A 2016-01-22 2016-01-22 설글리코타이드의 피부 상처 치유 촉진 용도, 및 이를 포함하는 외용제 조성물 KR101820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7977A KR101820519B1 (ko) 2016-01-22 2016-01-22 설글리코타이드의 피부 상처 치유 촉진 용도, 및 이를 포함하는 외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7977A KR101820519B1 (ko) 2016-01-22 2016-01-22 설글리코타이드의 피부 상처 치유 촉진 용도, 및 이를 포함하는 외용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8084A true KR20170088084A (ko) 2017-08-01
KR101820519B1 KR101820519B1 (ko) 2018-01-19

Family

ID=59650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7977A KR101820519B1 (ko) 2016-01-22 2016-01-22 설글리코타이드의 피부 상처 치유 촉진 용도, 및 이를 포함하는 외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05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73289A (zh) * 2022-12-29 2023-05-30 海南众森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包含重组人胶原蛋白的功能性敷料及其制备方法和用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8179A (ko) 2022-07-11 2024-01-18 삼일제약주식회사 생체이용률이 개선된 설글리코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73289A (zh) * 2022-12-29 2023-05-30 海南众森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包含重组人胶原蛋白的功能性敷料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16173289B (zh) * 2022-12-29 2023-11-17 海南众森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包含重组人胶原蛋白的功能性敷料及其制备方法和用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0519B1 (ko) 2018-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78219B2 (ja) 皮膚の炎症を抑制するイガイ接着タンパク質製品及びその適用
RU2308954C2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лечения ран, содержащая плазму или сыворотку крови
KR20210120026A (ko) 피부 재생 및 치유 펩티드 성분들의 혼합물 및 이의 용도
WO2008094061A1 (fr)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et cosmétiques servant à accélérer le processus de cicatrisation de plaies et autres lésions superficielles
US9370533B2 (en) Wound healing compositions comprising microspheres
CN103458914B (zh) 皮肤伤口愈合组合物及其使用方法
KR101820519B1 (ko) 설글리코타이드의 피부 상처 치유 촉진 용도, 및 이를 포함하는 외용제 조성물
CN112891615B (zh) 一种液体创口贴及其制备方法
WO2016090892A1 (zh) 一种治疗糖尿病足的水溶性凝胶
CN104490760B (zh) 辣椒碱‑胶原蛋白海绵的制备方法及其应用
CN107446018B (zh) 促进伤口愈合的肽及其应用
WO2007033591A1 (fr) Substance active pour prothese en cas de blessures
RU2522214C1 (ru) Способ стимуляции заживления ран различного генеза природным антиоксидантом дигидрокверцетином
WO2008125872A1 (en) Wif-1 for accelerating wound healing
RU2209074C2 (ru) Состав для лечения ожогов
RU2481115C1 (ru) Средство для заживления ран "целльгель",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и способ лечения ран различной этиологии полученным средством
KR101607229B1 (ko) 말기름을 함유하는 상처 치료용 조성물
RU2270007C2 (ru) Средство для заживления кожных ран первичным натяжением
CN1515315A (zh) 一种含表皮生长因子和白及的稳定组合物
UA138600U (uk) Фармацевтична композиція у формі гелю нашкірного для місцевого лікування опіків
KR101490345B1 (ko) 유기금속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상 치료제 및 그 제조방법
WO2020032902A2 (en) Aksolotl blastema for use in the treatment of wounds and burns
RU2552336C1 (ru) Средство для лечения гнойных ран, гнойных полостей и трофических язв
CN115770318A (zh) 一种复合多孔止血敷贴及其应用
RU41613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лечения трофических язв и длительно заживающих гнойных ра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