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7946B1 - 할란기 - Google Patents

할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7946B1
KR101417946B1 KR1020120104746A KR20120104746A KR101417946B1 KR 101417946 B1 KR101417946 B1 KR 101417946B1 KR 1020120104746 A KR1020120104746 A KR 1020120104746A KR 20120104746 A KR20120104746 A KR 20120104746A KR 101417946 B1 KR101417946 B1 KR 101417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gg
unit
fixing
fixed
ext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4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8247A (ko
Inventor
권익섭
Original Assignee
(주)파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머스 filed Critical (주)파머스
Priority to KR1020120104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7946B1/ko
Publication of KR20140038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82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7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7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14Devices or machines for opening raw eggs or separating the contents thereof
    • A47J43/145Machin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J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WORKING-UP PROTEINS FOR FOODSTUFFS; PHOSPHATIDE COMPOSITIONS FOR FOODSTUFFS
    • A23J1/00Obtaining 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Bulk opening of eggs and separation of yolks from whites
    • A23J1/08Obtaining 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Bulk opening of eggs and separation of yolks from whites from eggs
    • A23J1/09Obtaining 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Bulk opening of eggs and separation of yolks from whites from eggs separating yolks from white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할란기는 계란판(1)에 놓인 계란(2)을 흡착 고정시킨 후, 이동하면서 계란(2)의 난각의 확장하여 액란을 추출할 수 있기 때문에, 계란판(1)에 놓인 계란(2)의 고정 및 액란추출과정이 전자동화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할란기{Apparatus for opening egg}
본 발명은 할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계란판(1)에 놓여진 계란(2)을 공기압을 이용해 자동으로 고정시킨 후 크랙 및 할란을 실시하여 액란을 추출할 수 있는 할란기에 관한 것이다.
생란은 단일식품으로서 아미노산 조성이 가장 우수한 식품이며 기타 여러 가지 영양성분들을 함유하고 있는 완전식품에 가까운 식품 중의 하나이다.
그리고 난각을 제거한 가식부에는 특히 칼슘(Ca)과 인(P)의 함량비율이 1:3.5 비율로 함유되어 있으며, 난황에는 동물성 콜레스테롤(cholesterol)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닭의 알인 달걀이라고도 칭하는 계란은, 계란찜, 계란말이, 계란볶음밥, 스크램블 에그, 계란죽 등 다양하게 음식을 조리하여 섭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라이(fry)는, 수육 또는 생선 같은 것을 밀가루를 묻혀 기름에 튀기는 일이나 음식을 말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프라이는 프라이 팬(fan)을 이용하고 있다.
이렇게 조리하게 되는 음식들 중 계란 프라이는, 연탄불이나 가스레인지 등에서 공급받는 불을 이용하여 프라이를 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프라이팬에 일단 계란이 달라붙지 않도록 기름을 발라준 이후 날계란을 깨트려 올려놓고 계란을 익힘으로써 완성하는 음식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특1996-0015946
본 발명은 계란판(1)에 놓여진 계란(2)을 공기압을 이용해 자동으로 고정시킨 후 크랙 및 할란을 실시하여 액란을 추출할 수 있는 할란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계란판(1)에서 낱개의 계란(2)을 고정한 후 할란시키는 할란기에 있어서, 상기 계란판(1)에 적재된 계란(2)을 공기압을 이용하여 흡착 고정시키는 계란고정유닛(10); 상기 계란고정유닛(10)을 정해진 이송경로를 따라 이동시키는 이송유닛(20); 상기 이송유닛(20)을 따라 이동되는 계란(2)의 난각에 크랙을 발생시키는 크래커(60); 상기 계란고정유닛(10)에 설치되고, 공기압을 통해 상기 계란(2)에 흡착 고정되며, 상기 크래커(60)에 의해 발생된 크랙을 확장시켜 상기 계란(2)에서 액란을 분리시키는 추출유닛(50)을 포함하는 할란기를 제공한다.
상기 계란고정유닛(10)은 상기 계란(2)이 삽입되도록 고정홈(11)이 형성된 고정바디(12); 상기 고정홈(11)에 음압을 제공하여 상기 계란(2)을 흡착 고정시키는 진공펌프(14); 상기 진공펌프(14) 및 상기 고정홈(11)을 연결시켜 상기 고정홈(11)에 음압을 제공하는 흡입관(16); 상기 고정바디(12)를 상기 계란판(1) 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계란(2)이 상기 고정홈(11)에 삽입되게 하는 직선이동유닛(18)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직선이동유닛(18)은 유압실린더일 수 있다.
상기 이송유닛(20)은 상기 계란고정유닛(10)이 이동되는 이동레일(22); 상기 계란고정유닛(10)이 상기 이동레일(22)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2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유닛(25)은 상기 계란고정유닛(10)이 고정되는 체인(24); 상기 체인(24)과 치합되어 상기 체인(24)을 이동시키는 스프라킷(26); 상기 스프라킷(26)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유닛(50)은 상기 고정바디(12)와 힌지(13) 연결되고, 상기 고정바디(12)에 고정된 상기 계란(2) 측으로 회전되는 회전부(51); 상기 회전부(51)에 설치되어 상기 계란(2)에 흡착 고정되는 흡착부(52); 상기 회전부(51)가 회전되는 구동력 및 상기 회전부(51)가 원위치 되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추출구동부; 상기 흡착부(52)에 설치되고 상기 진공펌프(14)에서 생성된 음압을 제공하는 음압제공튜브(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착부(52)에는 상기 계란(2)과의 밀착력을 향상시키도록 탄성재질로 형성된 흡착판(52a)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추출구동부는 상기 고정바디(12)에 설치되는 추출모터(54); 상기 추출모터(54)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드럼(55); 상기 드럼(55) 및 상기 회전부(51)를 연결시키는 작동와이어(56); 상기 회전부(51)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추출탄성부재(5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탄성부재(57)는 상기 회전부(51) 및 상기 고정바디(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계란판(1)에서 낱개의 계란(2)을 고정한 후 할란시키는 할란기에 있어서, 상기 계란판(1)에 적재된 계란(2)을 공기압을 이용하여 흡착 고정시키는 계란고정유닛(10); 상기 계란고정유닛(10)을 정해진 이송경로를 따라 이동시키는 이송유닛(20); 상기 이송유닛(20)을 따라 이동되는 계란(2)의 난각에 크랙을 발생시키는 크래커(60); 상기 계란고정유닛(10)에 설치되고, 공기압을 통해 상기 계란(2)에 흡착 고정되며, 상기 크래커(60)에 의해 발생된 크랙을 확장시켜 상기 계란(2)에서 액란을 분리시키는 추출유닛(50); 상기 추출유닛(50)에서 낙하된 액란을 받아 이송시키는 액란이송유닛(40)을 포함하고, 상기 계란고정유닛(10)은 상기 계란(2)이 삽입되도록 고정홈(11)이 형성된 고정바디(12); 상기 고정홈(11)에 음압을 제공하여 상기 계란(2)을 흡착 고정시키는 진공펌프(14); 상기 진공펌프(14) 및 상기 고정홈(11)을 연결시켜 상기 고정홈(11)에 음압을 제공하는 흡입관(16); 상기 고정바디(12)를 상기 계란판(1) 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계란(2)이 상기 고정홈(11)에 삽입되게 하는 직선이동유닛(18)을 포함하며, 상기 추출유닛(50)은 상기 고정바디(12)와 힌지(13) 연결되고, 상기 고정바디(12)에 고정된 상기 계란(2) 측으로 회전되는 회전부(51); 상기 회전부(51)에 설치되어 상기 계란(2)에 흡착 고정되는 흡착부(52); 상기 회전부(51)가 회전되는 구동력 및 상기 회전부(51)가 원위치 되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추출구동부; 상기 흡착부(52)에 설치되고 상기 진공펌프(14)에서 생성된 음압을 제공하는 음압제공튜브(53)를 포함하는 할란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할란기는 계란판(1)에 놓인 계란(2)을 흡착 고정시킨 후, 이동하면서 계란(2)의 난각의 확장하여 액란을 추출할 수 있기 때문에, 계란판(1)에 놓인 계란(2)의 고정 및 액란추출과정이 전자동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할란기는 계란(2)의 고정 및 난각의 확장이 공기압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계란(2)에 물리적인 충격이 최소화되고, 이를 통해 계란(2)의 이동과정 중에서 깨지는 현상을 최소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할란기가 도시된 평면도
도 2는 도 1은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이송유닛이 도시된 정면도
도 4는 도 2의 추출유닛 작동과정이 도시된 예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추출유닛이 도시된 단면도
도 6은 도 1의 크랙커가 도시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용어가 동일하더라도 표시하는 부분이 상이하면 도면 부호가 일치하지 않음을 미리 말해두는 바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실험자 및 측정자와 같은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 계란은 난백과 난황을 포함하는 것을 액란이라 하고, 상기 액란을 둘러싼 껍질을 난각이라 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할란기가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은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이송유닛이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추출유닛 작동과정이 도시된 예시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추출유닛이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크랙커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할란기는 계란판(1)에 적재된 계란(2)을 공기압을 이용하여 흡착 고정시키는 계란고정유닛(10)과, 상기 계란고정유닛(10)을 정해진 이송경로를 따라 이동시키는 이송유닛(20)과, 상기 이송유닛(20)을 따라 이동되는 계란(2)의 난각에 크랙을 발생시키는 크래커(60)와, 상기 계란고정유닛(10)에 설치되어 공기압을 통해 상기 계란(2)에 흡착 고정되고, 상기 계란고정유닛(10)을 기준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크래커(60)에 의해 발생된 크랙을 확장시켜 상기 계란(2)에서 액란을 분리시키는 추출유닛(50)과, 상기 추출유닛(50)에서 낙하된 액란을 받아 이송시키는 액란이송유닛(40)을 포함한다.
상기 계란판(1)에는 다수개의 계란(2)이 적재되고, 상용으로 사용되는 30개입 또는 10개입의 계란판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계란고정유닛(10)은 계란(2)이 흡입되도록 고정홈(11)이 형성된 고정바디(12)와, 상기 고정홈(11)에 음압을 제공하여 상기 계란(2)을 흡착 고정시키는 진공펌프(14)와, 상기 진공펌프(14) 및 상기 고정홈(11)을 연결시켜 상기 고정홈(11)에 음압을 제공하는 흡입관(16)과, 상기 고정바디(12)를 상기 계란판(1) 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계란(2)이 상기 고정홈(11)에 삽입되게 하는 직선이동유닛(18)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바디(12)에는 오목한 형태의 상기 고정홈(11)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11)에 상기 계란(2)이 삽입된다.
상기 직선이동유닛(18)은 본 실시예에서 유압실린더가 사용되고, 상기 유압실린더의 피스톤(19)에 상기 고정바디(12)가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직선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직선이동유닛(18)은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일반적인 구조이고, 상기 계란(2)과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피스톤(19)의 최대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최대 이동 후에도 상기 계란(2)과 소정의 이격거리를 형성하도록 한 후 상기 진공펌프(14)의 압력에 의해 상기 계란(2)을 이동시키는 것이 보다 안전하다.
상기 진공펌프(14)는 상기 고정바디(12)에 연결되어 공기의 음압을 제공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흡입관(16)이 상기 고정홈(11)에 연결되게 제작된다.
상기 진공펌프(14) 및 상기 유압실린더의 구조 및 작동은 당업자에게 일반적인 기술인 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이송유닛(20)은 상기 계란고정유닛(10)을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계란고정유닛(10)이 이동되는 이동레일(22)과, 상기 계란고정유닛(10)의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25)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계란고정유닛(10)은 상기 이동레일(22)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접촉되는 부분에 롤러(11)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유닛(25)은 본 실시예에서 체인/스프라킷 구조가 사용되고, 상기 계란고정유닛(10)을 이동시키는 체인(24)과, 상기 체인(24)과 치합되어 상기 체인(24)을 이동시키는 스프라킷(26)과, 상기 스프라킷(26)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미도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체인(24)은 상기 이동레일(22)을 따라 순환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스프라킷(26)이 상기 체인(24)과 치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구동모터는 스프라킷(26)을 회전시켜 상기 체인(24)에 고정된 상기 계란고정유닛(10)을 이동시키고, 상기 이동되는 계란고정유닛(10)은 상기 이동레일(22)에 지지되면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계란고정유닛(10)은 상기 이동과정에서 상기 유압실린더(18)를 작동시켜 상기 계란(2)을 고정시킨다.
상기 추출유닛(50)은 상기 고정바디(12)에 설치되어 상기 계란(2)의 하측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바디(12)와 힌지(13) 연결되고 상기 고정바디(12)에 고정된 상기 계란(2) 측으로 회전되는 회전부(51)와, 상기 회전부(51)에 설치되어 상기 계란(2)에 흡착 고정되는 흡착부(52)와, 상기 회전부(51)가 회전되는 구동력 및 상기 회전부(51)가 원위치 되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추출구동부와, 상기 흡착부(52)에 설치되고 상기 진공펌프(14)에서 생성된 음압을 제공하는 음압제공튜브(53)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부(51)는 본 실시예에서 판 형태로 형성되고, 힌지(13)를 통해 상기 고정바디(12)에 연결되어 회전된다.
상기 흡착부(52)는 일단이 상기 회전부(51)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계란(2)에 흡착 고정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호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흡착부(52) 내부에는 상기 음압제공튜브(53)와 연통되도록 중공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흡착부(52)의 타단에는 상기 계란(2)과의 흡착력을 높이기 위한 흡착판(52a)이 설치되고, 상기 흡착판(52a)은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상기 음압제공튜브(53)를 통해 제공되는 음압은 상기 흡착부(52)를 거쳐 상기 흡착판(52a)에 제공되어 상기 계란(2)을 공기의 압력차를 통해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음압제공튜브(53)에는 개폐밸브(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계란(2)의 흡착 및 분리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추출구동부는 상기 회전부(51)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바디(12)에 설치되는 추출모터(54)와, 상기 추출모터(54)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드럼(55)과, 상기 드럼(55) 및 상기 회전부(51)를 연결시키는 작동와이어(56)와, 상기 회전부(51)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추출탄성부재(57)를 포함한다.
상기 추출모터(54)는 모터축(미도시)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는 스텝모터가 바람직하다.
상기 드럼(55)은 상기 추출모터(54)의 모터축에 연결되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작동와이어(56)는 일단이 상기 드럼(55)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부(51)에 고정되며, 상기 드럼(55)의 회전될 때 작동력이 상기 회전부(51)에 전달되어 상기 회전부(51)가 상기 힌지(13)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상기 추출탄성부재(57)는 상기 회전부(51) 및 상기 고정바디(12)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부(51)에 탄성력을 제공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추출탄성부재(57)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회전부(51)가 상기 계란(2) 측으로 급속 이동되게 설치되며, 상기 추출모터(54)에 의해 상기 회전부(51)가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설치된다.
그래서 상기 작동와이어(56)가 상기 드럼(55)에 감겨진 상태에서 상기 추출모터(54)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가 상기 추출모터(54)에 의해 유지되던 상기 드럼(55)의 지지력이 해방되면 상기 추출탄성부재(57)에 의해 상기 회전부(51)가 급속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51)의 회전에 의해 상기 흡착부(52)가 회전될 때, 상기 계란(2)에 접촉되는 과정에서 상기 흡착판(52a)에 음압이 제공되면 상기 계란(2)의 표면에 상기 흡착부(52)가 고정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계란(2)의 상측은 상기 고정바디(12)에 고정되고, 상기 계란(2)의 타측은 상기 흡착부(52)에 의해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바디(12)에 제공된 음압에 의해서 상기 계란(2)은 충분히 고정된 상태가 유지된다.
한편, 상기 크래커(60)는 상기 추출모듈(80)에 고정된 상태로 회전되는 상기 계란(2)의 난각을 타격하여 크랙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추출유닛(50)에 고정되어 회전되는 계란(2)의 난각에 크랙을 발생시키는 크랙나이프(62)와, 상기 크랙나이프(62)를 지지하는 나이프프레임(64)과, 상기 크랙나이프(62)가 회전되도록 상기 크랙나이프(62)를 상기 나이프프레임(64)에 연결시키는 나이프축(66)을 포함한다.
상기 크랙나이프(62)는 상기 계란(2)의 회전과 연동되어 작동되고, 상기 가이드바디(72)와 상기 추출유닛(80)의 간섭 전에 상기 난각에 크랙을 발생시키도록 배치된다.
상기 액란이송유닛(40)은 상기 계란(2)에서 추출된 액란을 받아 이송시키기 위한 것이고,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액란을 수용하고, 수용된 액란을 일 방향으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할란기의 작동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계란고정유닛(10)은 이송유닛(20)에 의해 상기 계란판(1) 상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계란판(1) 상측에서 일시 정지된다. 이후 상기 계란고정유닛(10)의 직선이동유닛(18)에 의해 고정바디(12)가 상기 계란(2) 상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진공펌프(14)의 작동에 의해 상기 고정바디(12)의 고정홈(11)에 계란판(1)의 계란(2)이 흡착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바디(12)에 상기 계란(2)이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추출유닛(50)의 흡착부(52)가 상기 계란(2)의 타측에 흡착 고정됨으로써, 상기 계란(2)의 상측은 상기 고정홈(11)에 삽입되어 흡착 고정되고 상기 계란(2)의 하측은 상기 흡착부(52)에 의해 흡착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계란(2)이 상기 계란고정유닛(1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이송유닛(20)의 작동에 의해 상기 계란고정유닛(10)이 이동레일(22)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이동레일(22)을 따라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크래커(60)에 의해 상기 고정된 계란(2)의 난각에 크랙을 발생시킨다.
여기서 상기 난각에 크랙이 발생되더라고 상기 계란(2)은 상기 추출유닛(50)의 흡착부(52)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이기 때문에 액란이 난각 밖으로 유출되지는 않는다.
이후 상기 계란(2)이 상기 액란이송유닛(40)의 상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계란(2)의 액란을 추출하기 위해 상기 흡착부(52)를 회전시키면, 상기 발생된 크랙을 중심으로 상기 크랙이 확장되면서 내부의 액란이 중력방향으로 낙하되고, 낙하된 액란은 상기 액란이송유닛(40)에 수용된다.
상기 액란이 추출된 후 상기 고정바디(12)에 고정된 난각은 상기 이동레일(22)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진공펌프(14)의 압력을 해방함으로서 상기 고정바디(12)에서 분리된 후 미도시된 바스켓에 담겨진다.
이후 상기 계란고정유닛(10)은 상기 이동레일(22)을 따라 순환하면서 상기 계란판(1)의 상측으로 다시 이동되고 상술한 과정을 반복하면서 계란(2)에서 액란을 추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계란고정유닛(10)이 상기 계란판(1)의 상측에 위치되는 과정 및 원리는 당업자에게 일반적인 기술인 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계란고정유닛(10)이 한 개만 설치된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본 실시예와 달리 복수개의 계란고정유닛(10)이 설치되어 상기 계란판(1)에 적재된 복수개의 계란(2)을 동시에 흡착 고정하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계란이송유닛 11 : 고정홈
12 : 고정바디 14 : 진공펌프
16 : 흡입관 18 : 직선이동유닛
20 : 이송모듈 22 : 이동레일
24 : 체인 25 : 구동유닛
26 : 스프라킷 40 : 액란이송유닛
50 : 추출유닛 51 : 회전부
52 : 흡착부 52a : 흡착판
53 : 음압제공튜브 54 : 추출모터
55 : 드럼 56 : 작동와이어
57 : 추출탄성부재 60 : 크래커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계란판(1)에서 낱개의 계란(2)을 고정한 후 할란시키는 할란기에 있어서,
    상기 계란판(1)에 적재된 계란(2)을 공기압을 이용하여 흡착 고정시키는 계란고정유닛(10); 상기 계란고정유닛(10)을 정해진 이송경로를 따라 이동시키는 이송유닛(20); 상기 이송유닛(20)을 따라 이동되는 계란(2)의 난각에 크랙을 발생시키는 크래커(60); 상기 계란고정유닛(10)에 설치되고, 공기압을 통해 상기 계란(2)에 흡착 고정되며, 상기 크래커(60)에 의해 발생된 크랙을 확장시켜 상기 계란(2)에서 액란을 분리시키는 추출유닛(50)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유닛(20)은
    상기 계란고정유닛(10)이 이동되는 이동레일(22); 상기 계란고정유닛(10)이 상기 이동레일(22)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25)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유닛(25)은
    상기 계란고정유닛(10)이 고정되는 체인(24); 상기 체인(24)과 치합되어 상기 체인(24)을 이동시키는 스프라킷(26); 상기 스프라킷(26)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할란기.
  6. 계란판(1)에서 낱개의 계란(2)을 고정한 후 할란시키는 할란기에 있어서,
    상기 계란판(1)에 적재된 계란(2)을 공기압을 이용하여 흡착 고정시키는 계란고정유닛(10); 상기 계란고정유닛(10)을 정해진 이송경로를 따라 이동시키는 이송유닛(20); 상기 이송유닛(20)을 따라 이동되는 계란(2)의 난각에 크랙을 발생시키는 크래커(60); 상기 계란고정유닛(10)에 설치되고, 공기압을 통해 상기 계란(2)에 흡착 고정되며, 상기 크래커(60)에 의해 발생된 크랙을 확장시켜 상기 계란(2)에서 액란을 분리시키는 추출유닛(50)을 포함하고,
    상기 계란고정유닛(10)은 상기 계란(2)이 삽입되도록 고정홈(11)이 형성된 고정바디(12); 상기 고정홈(11)에 음압을 제공하여 상기 계란(2)을 흡착 고정시키는 진공펌프(14); 상기 진공펌프(14) 및 상기 고정홈(11)을 연결시켜 상기 고정홈(11)에 음압을 제공하는 흡입관(16); 상기 고정바디(12)를 상기 계란판(1) 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계란(2)이 상기 고정홈(11)에 삽입되게 하는 직선이동유닛(18)을 포함하며,
    상기 추출유닛(50)은
    상기 고정바디(12)와 힌지(13) 연결되고, 상기 고정바디(12)에 고정된 상기 계란(2) 측으로 회전되는 회전부(51); 상기 회전부(51)에 설치되어 상기 계란(2)에 흡착 고정되는 흡착부(52); 상기 회전부(51)가 회전되는 구동력 및 상기 회전부(51)가 원위치 되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추출구동부; 상기 흡착부(52)에 설치되고 상기 진공펌프(14)에서 생성된 음압을 제공하는 음압제공튜브(53)를 포함하는 할란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52)에는 상기 계란(2)과의 밀착력을 향상시키도록 탄성재질로 형성된 흡착판(52a)이 더 배치된 할란기.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추출구동부는
    상기 고정바디(12)에 설치되는 추출모터(54);
    상기 추출모터(54)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드럼(55);
    상기 드럼(55) 및 상기 회전부(51)를 연결시키는 작동와이어(56);
    상기 회전부(51)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추출탄성부재(57)를 포함하는 할란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추출탄성부재(57)는 상기 회전부(51) 및 상기 고정바디(12) 사이에 배치된 할란기.
  10. 계란판(1)에서 낱개의 계란(2)을 고정한 후 할란시키는 할란기에 있어서,
    상기 계란판(1)에 적재된 계란(2)을 공기압을 이용하여 흡착 고정시키는 계란고정유닛(10); 상기 계란고정유닛(10)을 정해진 이송경로를 따라 이동시키는 이송유닛(20); 상기 이송유닛(20)을 따라 이동되는 계란(2)의 난각에 크랙을 발생시키는 크래커(60); 상기 계란고정유닛(10)에 설치되고, 공기압을 통해 상기 계란(2)에 흡착 고정되며, 상기 크래커(60)에 의해 발생된 크랙을 확장시켜 상기 계란(2)에서 액란을 분리시키는 추출유닛(50); 상기 추출유닛(50)에서 낙하된 액란을 받아 이송시키는 액란이송유닛(40)을 포함하고,
    상기 계란고정유닛(10)은
    상기 계란(2)이 삽입되도록 고정홈(11)이 형성된 고정바디(12); 상기 고정홈(11)에 음압을 제공하여 상기 계란(2)을 흡착 고정시키는 진공펌프(14); 상기 진공펌프(14) 및 상기 고정홈(11)을 연결시켜 상기 고정홈(11)에 음압을 제공하는 흡입관(16); 상기 고정바디(12)를 상기 계란판(1) 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계란(2)이 상기 고정홈(11)에 삽입되게 하는 직선이동유닛(18)을 포함하며,
    상기 추출유닛(50)은
    상기 고정바디(12)와 힌지(13) 연결되고, 상기 고정바디(12)에 고정된 상기 계란(2) 측으로 회전되는 회전부(51); 상기 회전부(51)에 설치되어 상기 계란(2)에 흡착 고정되는 흡착부(52); 상기 회전부(51)가 회전되는 구동력 및 상기 회전부(51)가 원위치 되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추출구동부; 상기 흡착부(52)에 설치되고 상기 진공펌프(14)에서 생성된 음압을 제공하는 음압제공튜브(53)를 포함하는 할란기.
KR1020120104746A 2012-09-20 2012-09-20 할란기 KR101417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4746A KR101417946B1 (ko) 2012-09-20 2012-09-20 할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4746A KR101417946B1 (ko) 2012-09-20 2012-09-20 할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8247A KR20140038247A (ko) 2014-03-28
KR101417946B1 true KR101417946B1 (ko) 2014-07-10

Family

ID=50646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4746A KR101417946B1 (ko) 2012-09-20 2012-09-20 할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794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9170A (ja) * 1994-04-28 1995-11-07 Mitaka Denki:Kk 卵自動割り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70017275A (ko) * 2005-08-06 2007-02-09 임원규 액란 자동추출방법 및 그 장치
KR101223165B1 (ko) 2012-07-30 2013-01-17 (주)파머스 할란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9170A (ja) * 1994-04-28 1995-11-07 Mitaka Denki:Kk 卵自動割り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70017275A (ko) * 2005-08-06 2007-02-09 임원규 액란 자동추출방법 및 그 장치
KR101223165B1 (ko) 2012-07-30 2013-01-17 (주)파머스 할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8247A (ko) 2014-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44036B2 (en) Apparatus for processing and grading food articles and related methods
JP2014171444A (ja) 2枚貝加工装置
JP6910644B2 (ja) 果菜の皮剥装置
JP2009044998A (ja) 串刺し装置
CN111149840A (zh) 食材加工设备
JP4497479B2 (ja) 食品の盛り付け方法及び装置
WO2007079751A1 (en) Method and a system for transferring of items
KR20130128297A (ko) 계란말이장치
KR101417946B1 (ko) 할란기
US9345251B2 (en) Food fryer
EP1643884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xtracting pomegranate seeds from pomegranates
KR101223165B1 (ko) 할란기
KR200435783Y1 (ko) 김구이기용 컨베이어
KR101223166B1 (ko) 할란기
KR20160010249A (ko) 패육 자숙 및 분리 장치
CN107156691A (zh) 一种鸡蛋剥皮机
JP2013158282A (ja) 剥き身貝柱の臓物取出し機
JP2022083956A (ja) 被処理体の表面に孔を穿孔する装置
CN206821913U (zh) 一种剥皮机装置
TWI693912B (zh) 蛋體敲擊裝置
CN113170865B (zh) 一种卤蛋类加工用快速去皮装置
JP5688716B2 (ja) 載置台
KR200478355Y1 (ko) 자동 회전식 바베큐 장치
CN218778347U (zh) 一种水产转移装置
JP4121610B2 (ja) 油揚げ払出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