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6844B1 - 오디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오디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6844B1
KR101416844B1 KR1020140033002A KR20140033002A KR101416844B1 KR 101416844 B1 KR101416844 B1 KR 101416844B1 KR 1020140033002 A KR1020140033002 A KR 1020140033002A KR 20140033002 A KR20140033002 A KR 20140033002A KR 101416844 B1 KR101416844 B1 KR 1014168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udi
washing
uni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3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종상
Original Assignee
산청군양잠농업협동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청군양잠농업협동조합 filed Critical 산청군양잠농업협동조합
Priority to KR1020140033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68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6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68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6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combined with subsequent dr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03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foa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오디 세척장치는 수확한 오디를 수용하기 위한 경사진 플레이트를 형성하는 투입조와, 상기 투입조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오디를 수용하는 몸체 전면에 다수개의 타공이 형성된 제 1세척부와 상기 제 1세척부에서 분리된 이물질을 수용하여 배출하는 제 2세척부를 형성하여 상기 오디를 세척하는 세척조와, 상기 세척조 일측에 구비되어, 경사진 가이드부에 세척된 상기 오디를 수용하여 외부로 이송시키는 이송레일과, 상기 세척조 내부에 구비되어, 파이프 형상의 몸체상에 다수개의 에어분사구가 상기 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 형성되어 상기 오디를 자동으로 상기 이송레일로 이송시키도록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분사부와, 상기 제 1세척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파이프 형상의 몸체상에 다수개의 버블분사구가 상기 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 형성되어 상기 제 1세척부 방향으로 버블을 발생시켜 상기 오디를 세척하는 버블발생부와, 상기 이송레일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오디의 표면에 남아있는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오디 세척장치{A MULBERRY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오디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척수에 버블을 발생시켜 오디의 세척 효율을 향상시키고 상기 오디를 신속하게 세척수로부터 분리하여 수분을 제거할 수 있는 오디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디는 다른 과실에 비하여 영양성분이 풍부하고 보건 및 강장효과를 지닌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에는 오디가 당뇨병의 예방, 위궤양 치료 및 탈모방지 등의 우수한 약리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오디는 향과 맛이 모두 뛰어나 소비자의 선호도가 높고 수출도 유망한 반면, 과육이 무르고 수분함량이 높아 쉽게 변질되기 때문에 저장유통기간이 짧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오디의 표면은 다수개의 알맹이가 촘촘하게 밀집되어 있는 형상으로 알맹이 사이사이에 이물질이 잔존할 수 있으며 세척 시 오디 자체의 연성으로 인해 세척과정에서 짓무르거나 이물질이 잘 제거되지 않아 상품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에는 오디를 세척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는 마련되지 않고, 오디와 과육형태가 비슷한 딸기 세척 장치에 대한 종래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 10-1239886호 '냉동용 딸기 세척시스템'에서는 냉동 보관용으로 사용될 딸기를 냉각수로 세척하고 송풍에 의해 수분을 제거하도록 한 냉동용 딸기 세척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딸기의 세척수로 사용되는 지하수를 공급받아 저온의 온도로 냉각시키는 칠러냉각기와 상기 칠러냉각기로부터 공급된 냉각수가 순환되며 수확한 딸기를 공급받아 딸기에 묻어있는 이물질이나 농약을 제거하는 제1 세척장치와 상기 칠러냉각기로부터 공급된 냉각수가 순환되며 상기 제1 세척장치에 의해 세척된 딸기를 공급받아 상기 제1 세척장치에서 제거되지 못한 작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2 세척장치와 상기 제2 세척장치에 의해 세척된 딸기를 공급받아 딸기에 묻어있는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딸기를 별도로 냉각시키고 여러 번의 세척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냉동시키지 않은 오디에 적용할 경우, 여러 번의 세척공정 및 세척수에서 장시간 잔존하는 것으로 인해 과육이 짓무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오디 알맹이 사이사이의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오디 표면에 잔존하는 미생물 및 농약 등의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면서도, 경도가 약하여 무르기 쉬운 오디의 표면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오디세척장치가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 10-1239886호
본 발명은 버블을 발생시켜 오디 표면에 잔존하는 미생물 및 농약 등의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면서도, 오디를 세척수로부터 신속하게 분리하여 경도가 약하여 무르기 쉬운 오디의 표면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오디 세척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디 세척장치는, 수확한 오디를 수용하기 위한 경사진 플레이트를 형성하는 투입조와, 상기 투입조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오디를 수용하는 몸체 전면에 다수개의 타공이 형성된 제 1세척부와 상기 제 1세척부에서 분리된 이물질을 수용하여 배출하는 제 2세척부를 형성하여 상기 오디를 세척하는 세척조와, 상기 세척조 일측에 구비되어, 경사진 가이드부에 세척된 상기 오디를 수용하여 외부로 이송시키는 이송레일과, 상기 세척조 내부에 구비되어, 파이프 형상의 몸체상에 다수개의 에어분사구가 상기 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 형성되어 상기 오디를 자동으로 상기 이송레일로 이송시키도록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분사부와, 상기 제 1세척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파이프 형상의 몸체상에 다수개의 버블분사구가 상기 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 형성되어 상기 제 1세척부 방향으로 버블을 발생시켜 상기 오디를 세척하는 버블발생부와, 상기 이송레일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오디의 표면에 남아있는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디 세척장치에서 상기 에어분사구는 상기 세척조의 수면과 일직선상의 위치에 형성되는 제 1에어분사구와 상기 제 1에어분사구에서 하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 1에어분사구와 지그재그로 형성되는 제 2에어분사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시시예에 따른 오디 세척장치는, 상기 에어분사부의 일측에 상기 오디의 양에 따라 상기 에어분사구의 공기량, 공기 세기를 제어하여 상기 오디를 물의 유동에 의해 자동으로 상기 이송레일로 이송시키는 제 1컨트롤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시시예에 따른 오디 세척장치에서 상기 버블발생부는 상기 세척조의 하부에 횡방향으로 형성되며, 다수개의 파이프가 종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버블분사구가 상기 파이프 상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시시예에 따른 오디 세척장치는, 상기 이송레일의 일측에 상기 오디의 양을 감지하여 상기 이송레일의 속도, 상기 건조부의 송풍 동작을 제어하는 제 2컨트롤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버블을 발생시켜 세척수의 난류현상을 이용하여 오디 표면에 잔존하는 미생물 및 농약 등의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면서도, 오디를 세척수로부터 신속하게 분리하여 경도가 약하여 무르기 쉬운 오디의 표면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오디 세척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디 세척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디 세척장치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디 세척장치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디 세척장치 에어분사부 동작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디 세척장치 버블발생부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디 세척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디 세척장치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디 세척장치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디 세척장치 에어분사부 동작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디 세척장치 버블발생부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디 세척장치는 수확한 오디를 수용하는 투입조(10), 오디를 세척하는 세척조(20), 세척된 오디를 외부로 이송시키는 이송레일(30), 오디를 이송시키도록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분사부(40), 버블을 발생시켜 오디를 세척하는 버블발생부(50), 오디 표면의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투입조(10)는 수확한 오디를 수용하기 위한 평탄한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플레이트가 일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오디가 슬라이딩하여 아래에서 설명할 세척조(20) 내부로 용이하게 투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세척조(20)는 상기 투입조(10) 일측에 구비된다. 상기 세척조(20)는 상기 투입조(10)의 플레이트 단부와 연통되어 상기 투입조(10)에서 공급되는 상기 오디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세척조(20)는 상기 오디를 수용할 수 있도록 사각형의 몸체를 형성하는 제 1세척부(21)를 구비한다. 상기 제 1세척부(21)는 몸체 전면에 다수개의 타공이 형성되어, 세척수의 유동 및 이물질의 배출을 원활하게 함과 동시에 상기 제 1세척부(21) 내벽면과의 마찰에 의한 상기 오디의 세척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 1세척부(21) 상부에는 덮개(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덮개로 인하여 상기 오디가 상기 제 1세척부(21) 내부에서 상면, 하면, 양측면에 원활하게 부딪히며 마찰에 의한 세척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척조(20)는 상기 제 1세척부(21)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제 2세척부(22)를 구비한다. 상기 제 2세척부(22)는 상기 제 1세척부(21)의 양측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판(22a)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22a)은 상부면에 다수개의 타공이 관통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세척조(20)에는 별도의 배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세척조(20)에 일정 높이의 상기 세척수가 채워지고, 상기 제 1세척부(21)에서 상기 오디를 세척한 후, 분리된 이물질과 상기 세척수가 상기 제 2세척부(22)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송레일(30)은 상기 세척조(20) 일측에 구비된다. 상기 이송레일(30)은 일방향으로 경사진 가이드부가 상기 제 1세척부(21)의 단부와 연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오디를 수용하여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실리콘, 고무, 합성수지재 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세척수를 제거하기 위한 격자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제 1세척부(21)로부터 상기 오디를 공급받아 외부 즉, 아래에서 설명할 건조부(60)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에어분사부(40)는 상기 세척조(20)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에어분사부(40)는 파이프 형상의 몸체가 상기 제 1세척부(21)의 종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파이프 몸체상에 다수개의 에어분사구(41)가 상기 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 형성된다. 상기 에어분사구(41)는 상기 세척조(20) 내부에 채워지는 상기 세척수의 수면과 일직선상의 위치에 형성되는 제 1에어분사구(41a)와 상기 제 1에어분사구(41a)에서 하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세척수의 수면과 일정각도 기울어진 위치에 상기 제 1에어분사구(41a)와 지그재그로 형성되는 제 2에어분사구(41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에어분사구(41a)는 상기 제 1세척부(21)에서 상기 오디를 직선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공기를 공급하고, 상기 제 2에어분사구(41b)는 상기 제 1세척부(21) 바닥면을 향하여 공기를 공급하여 바닥에 가라앉아 있는 상기 오디들까지도 상기 이송레일(30) 방향으로 이송시킴과 더불어 아래에서 설명할 버블발생부(50)와 같이 상기 오디의 세척효율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 1컨트롤러(70)는 상기 에어분사부(40)의 일측에 구비된다. 상기 제 1컨트롤러(70)는 상기 오디의 양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가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오디의 양에 따라 상기 에어분사구(41)의 공기량, 공기 세기를 제어하여 빠른 시간 내(ex.3초 이내)에 상기 세척수의 유동에 의해 상기 오디를 자동으로 상기 이송레일(30)로 이송시키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버블발생부(50)는 상기 제 1세척부(21)의 하부에 구비된다. 상기 버블발생부(50)는 파이프 형상의 몸체 하나가 상기 세척조(20)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횡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파이프 몸체 하나 이외의 다수개가 상기 세척조(20)의 종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파이프 몸체상에는 다수개의 버블분사구(51)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버블분사구(51)는 상기 제 1세척부(21)를 향해 버블분사구(51)가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세척부(22)의 하부면에 형성된 타공을 통과하여 상기 제 1세척부(21)의 내벽면 방향으로 버블이 난류 또는 와류를 발생시켜, 상기 난류 또는 와류 유동에 의해 상기 오디를 세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건조부(60)는 상기 이송레일(30)의 일측에 구비된다. 상기 건조부(60)는 내부에 별도의 송풍기, 적외선 장치 등을 구비하여 상기 오디의 표면에 남아있는 수분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제 2컨트롤러(80)는 상기 이송레일(30)의 일측에 구비된 별도의 감지센서를 통해 상기 오디의 양을 감지하여 상기 이송레일(30)의 속도 및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건조부(60)의 송풍 세기 및 적외선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1컨트롤러(70)와 상기 제 2컨트롤러(80)를 통합제어하는 컨트롤러부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스위치, 조절 밸브, 리모컨 등의 다양한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오디 세척장치의 작용에 대해서 아래와 같이 설명한다.
세척조(20)에 일정 높이의 세척수를 공급하고, 수확한 오디를 투입조(10)의 경사진 플레이트 상에 투입한다. 상기 오디는 상기 플레이트에서 슬라이딩되어 제 1세척부(21) 내부로 공급된다. 이 때, 상기 제 1세척부(21)의 하부에 구비된 버블발생부(50)는 별도로 구비된 버블발생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버블방생장치의 온오프 동작으로 인해 버블을 발생시킨다.
상기 버블발생부(50)는 파이프 형상으로 하나의 파이프가 상기 세척조(20)의 횡방향으로 설치되고, 또 다른 파이프 다수개가 상기 세척조(20)의 종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 1세척부(21)의 하단부로 버블 공급량을 증가시켜 세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이프상에 버블분사구(51)가 상기 제 1세척부(21)를 향하여 방사상으로 복수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버블이 제 1세척부(21)의 하부에 형성된 타공을 통과하여 상기 제 1세척부(21)의 내벽면을 향해 난류 또는 와류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난류 또는 와류의 유동으로 인해 상기 오디가 상기 제 1세척부(21)의 내벽면과 부딪히면서 마찰되어 세척됨으로써, 상기 오디의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분리된 상기 이물질은 상기 난류 또는 와류의 유동으로 인해 상기 제 1세척부(21)의 측면에 형성된 타공을 통해 상기 제 2세척부(22)로 용이하게 유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척조(20) 내부에 구비된 에어분사부(40)에서 상기 제 1세척부(21)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게 되는데, 상기 에어분사부(40)는 상기 세척조(20)의 세척수 수면과 일직선상의 위치에 형성된 제 1에어분사구(41a)와, 상기 제 1에어분사구(41a)에서 하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세척수의 수면과 일정각도 기울어진 위치에 상기 제 1에어분사구(41a)와 지그재그로 제 2에어분사구(41b)가 형성된다.
상기 제 1에어분사구(41a)는 상기 제 1세척부(21)에 직선방향의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오디를 상기 제 1세척부(21)에서 이송레일(30)로 신속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 2에어분사구(41b)는 상기 제 1세척부(21) 바닥면을 향하여 공기를 공급하여 바닥에 가라앉아 있는 상기 오디들까지도 상기 이송레일(30)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버블발생부(50)에서 발생되는 버블과 같이 동작하면서 상기 오디의 세척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오디는 과육의 경도가 약해 장시간 물에 잔류하는 경우, 표면이 물러지거나 손상되기 쉬우므로, 단시간내에 세척이 완료되어 한다. 따라서, 상기 제 1세척부(21)에서 상기 오디를 단시간(ex.3초이내)에 이송시키기 위해서 상기 에어분사부(40)의 공기량 및 세기를 제 1컨트롤러(70)를 통해 제어하여 상기 오디를 신속하게 이송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이송된 상기 오디를 상기 이송레일(30)을 통해 건조부(60)로 공급하여 상기 오디 표면에 남아있는 수분을 완벽하게 제거하여 상기 오디를 용이하게 세척하되 과육이 손상되지 않도록 세척하고 건조시켜 상품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투입조 20. 세척조
21. 제 1세척부 22. 제 2세척부
22a. 지지판 30. 이송레일
40. 에어분사부 41. 에어분사구
41a. 제 1에어분사구 41b. 제 2에어분사구
50. 버블발생부 51. 버블분사구
60. 건조부 70. 제 1컨트롤러
80. 제 2컨트롤러

Claims (5)

  1. 수확한 오디를 수용하기 위한 경사진 플레이트를 형성하는 투입조;
    상기 투입조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오디를 수용하는 몸체 전면에 다수개의 타공이 형성된 제 1세척부와 상기 제 1세척부에서 분리된 이물질을 수용하여 배출하는 제 2세척부를 형성하여 상기 오디를 세척하는 세척조;
    상기 세척조 일측에 구비되어, 경사진 가이드부에 세척된 상기 오디를 수용하여 외부로 이송시키는 이송레일;
    상기 세척조 내부에 구비되어, 파이프 형상의 몸체상에 다수개의 에어분사구가 상기 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 형성되어 상기 오디를 자동으로 상기 이송레일로 이송시키도록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분사부;
    상기 제 1세척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파이프 형상의 몸체상에 다수개의 버블분사구가 상기 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 형성되어 상기 제 1세척부 방향으로 버블을 발생시켜 상기 오디를 세척하는 버블발생부;
    상기 이송레일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오디의 표면에 남아있는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 세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분사구는 상기 세척조의 수면과 일직선상의 위치에 형성되는 제 1에어분사구와 상기 제 1에어분사구에서 하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 1에어분사구와 지그재그로 형성되는 제 2에어분사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 세척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분사부의 일측에 상기 오디의 양에 따라 상기 에어분사구의 공기량, 공기 세기를 제어하여 상기 오디를 물의 유동에 의해 자동으로 상기 이송레일로 이송시키는 제 1컨트롤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 세척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블발생부는 상기 세척부 내부에 횡방향으로 형성되며, 다수개의 파이프가 종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버블분사구가 상기 파이프 상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 세척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레일의 일측에 상기 오디의 양을 감지하여 상기 이송레일의 속도, 상기 건조부의 송풍 동작을 제어하는 제 2컨트롤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 세척장치.
KR1020140033002A 2014-03-20 2014-03-20 오디 세척장치 KR1014168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3002A KR101416844B1 (ko) 2014-03-20 2014-03-20 오디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3002A KR101416844B1 (ko) 2014-03-20 2014-03-20 오디 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6844B1 true KR101416844B1 (ko) 2014-07-09

Family

ID=51741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3002A KR101416844B1 (ko) 2014-03-20 2014-03-20 오디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68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41116A (zh) * 2021-01-18 2021-04-13 重庆优久酒业有限公司 一种果酒用水果预处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5974A (ja) * 1998-02-02 1999-08-10 Denkousha Keisoku Kk 食材の洗浄・殺菌・鮮度保持方法および装置
JP2006191829A (ja) 2005-01-12 2006-07-27 Yamachu:Kk 海藻・小魚・野菜又は山菜から異物を除去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2006333820A (ja) 2005-06-03 2006-12-14 Als Co Ltd 異物除去装置
KR20120068433A (ko) * 2010-12-17 2012-06-27 논산시(관리부서:논산시농업기술센터) 냉동용 딸기 세척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5974A (ja) * 1998-02-02 1999-08-10 Denkousha Keisoku Kk 食材の洗浄・殺菌・鮮度保持方法および装置
JP2006191829A (ja) 2005-01-12 2006-07-27 Yamachu:Kk 海藻・小魚・野菜又は山菜から異物を除去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2006333820A (ja) 2005-06-03 2006-12-14 Als Co Ltd 異物除去装置
KR20120068433A (ko) * 2010-12-17 2012-06-27 논산시(관리부서:논산시농업기술센터) 냉동용 딸기 세척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41116A (zh) * 2021-01-18 2021-04-13 重庆优久酒业有限公司 一种果酒用水果预处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31676B2 (ja) ボトル又はそれと同等の容器を処理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1557047B1 (ko) 소과류의 공기 세척 및 탈수 장치
JP2013251409A5 (ko)
KR101121141B1 (ko) 과일 및 야채 세척기
KR20180010412A (ko) 농산물 세척 장치
KR101416844B1 (ko) 오디 세척장치
KR101814094B1 (ko) 무거운 세척대상물의 효율적 세척을 위한 버블 세척장치
JP5319361B2 (ja) 食器洗浄機
KR200421409Y1 (ko) 양파처리시스템용 양파세척장치
US1281864A (en) Washing apparatus for dishes, &c.
JP3560562B2 (ja) 食品洗浄装置
KR20150113540A (ko) 마늘 껍질 제거 장치
KR101808133B1 (ko) 나물 증숙 장치
KR101692239B1 (ko) 작물 세척기
JP6325899B2 (ja) 水耕パネルの洗浄装置および方法
JP2006333820A (ja) 異物除去装置
CN104431847A (zh) 气泡清洗、漂烫、挑选和输送一体机
JPH0347062A (ja) 食品の洗浄殺菌装置
JPH05199975A (ja) 連続洗浄装置
KR101447164B1 (ko) 버블을 이용한 친환경 식기세척시스템
KR102052251B1 (ko) 소과류 다목적 버블세척장치
AU2004227004A1 (en) Assembly for washing, drying and polishing cutlery, and washing device intended for such an assembly
JP3811493B1 (ja) 洗浄装置
KR101465541B1 (ko) 배수 트렌치
JP2004315187A (ja) 物品の自動搬送水切り装置および自動搬送水切り方法、並びに物品の自動洗浄装置及び自動洗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