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3540A - 마늘 껍질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마늘 껍질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3540A
KR20150113540A KR1020140037622A KR20140037622A KR20150113540A KR 20150113540 A KR20150113540 A KR 20150113540A KR 1020140037622 A KR1020140037622 A KR 1020140037622A KR 20140037622 A KR20140037622 A KR 20140037622A KR 20150113540 A KR20150113540 A KR 201501135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hell
garlic
passage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7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1684B1 (ko
Inventor
백성기
백도웅
Original Assignee
백성기
백도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성기, 백도웅 filed Critical 백성기
Priority to KR1020140037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1684B1/ko
Publication of KR20150113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3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1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1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 A23N15/08Devices for topping or skinning onions or flower bulb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7/00Peeling vegetables or frui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물질과 껍질의 분리 배출이 가능해지도록 하고 껍질의 안정적이면서 정밀한 제거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마늘 껍질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마늘 껍질 제거 장치는 다수의 지지대를 가지는 베이스와;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상단에 설치되고, 내측에 일단이 폐쇄되면서 타단이 개방되고 내부면이 평평하면서 양측이 경사진 이송통로가 설치되며, 이물질이 배출되도록 상기 이송통로의 선단 상면에 메시망이 설치되고, 상기 메시망에 대응하여 상기 이송통로의 하면에 포집구가 부착되는 이송대와; 상기 이송대의 양측면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진동모터와; 상기 베이스와 지지판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통로의 상면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껍질을 상기 이송통로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껍질배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마늘 껍질 제거 장치{APPARATUS FOR REMOVING THE SKIN OF GARLIC}
본 발명은 마늘 껍질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물질과 껍질의 분리 배출이 가능해지도록 하고 껍질의 안정적이면서 정밀한 제거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마늘 껍질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늘은 특유의 매운 맛과 향이 나는 취식이 가능한 식물로, 우리나라에서는 한국 고유음식의 특성상 대부분 마늘을 넣어 음식을 조리하고 또한 취식을 한다. 이에 따라,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는 마늘의 껍질을 손으로 일일이 벗겨내어 음식을 만드는데 사용하였다.
특히, 마늘은 모든 음식물에 양념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그 약리효과가 과학적으로 입증됨에 따라 우리나라 이외에도 일본, 미국 등에서 마늘을 이용한 식품의 개발에 많은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마늘은 통마늘로 수확된 후에 쪽분리기와 같은 장치를 통해 쪽마늘로 분리되고, 마늘 박피기와 같은 장치를 통해 껍질을 벗겨낸 깐마늘을 식용으로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마늘은 몸체의 주위를 보호층인 껍질이 감싸고 있으므로 이를 마늘의 몸체로부터 분리하여 사용해야 하며, 이와 같이 마늘로부터 껍질을 분리해내는 것을 통상 마늘을 박피(剝皮)한다고 한다.
이와 같이 통마늘의 쪽을 분리하여 쪽마늘로 형성하는 쪽분리기나 쪽마늘의 껍질을 벗겨내는 마늘 박피기를 사용하는 중에 흙이나 먼지와 같은 이물질과 껍질이 다량으로 배출되는데, 이와 같은 이물질과 껍질을 제거하기 위해 다양한 마늘 껍질 제거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마늘 껍질 제거 장치는 흙과 같은 이물질과 마늘 껍질을 분리하여 배출시키지 못하여 마늘 껍질을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이물질 제거 작업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마늘의 껍질을 제거하는 중에 쪽마늘이나 깐마늘 자체가 껍질과 함께 제거되어 마늘 자체의 많은 손실이 발생하거나 제거된 껍질과 이물질에서 마늘을 다시 분리시키는 별도의 작업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0689112호 "마늘껍질배출장치"(2007.02.23)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물질과 껍질의 분리 배출이 가능해지도록 하고 껍질의 안정적이면서 정밀한 제거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마늘 껍질 제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기를 순환시키면서 껍질을 제거하도록 하여 껍질의 제거를 위한 풍량과 풍속의 조절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마늘 껍질 제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돌출부를 통해 좁은 공기 유동로를 형성하여 껍질의 제거가 보다 안정적이면서 정밀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마늘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마늘 껍질 제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마늘 껍질 제거 장치"는, 다수의 지지대를 가지는 베이스와;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상단에 설치되고, 내측에 일단이 폐쇄되면서 타단이 개방되고 내부면이 평평하면서 양측이 경사진 이송통로가 설치되며, 이물질이 배출되도록 상기 이송통로의 선단 상면에 메시망이 설치되고, 상기 메시망에 대응하여 상기 이송통로의 하면에 포집구가 부착되는 이송대와; 상기 이송대의 양측면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진동모터와; 상기 베이스와 지지판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통로의 상면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껍질을 상기 이송통로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껍질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늘 껍질 제거 장치"의 상기 껍질배출부는,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설치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의 일측에 연결되고 공기가 분사되는 공기분사관과, 상기 송풍팬의 타측에 연결되고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흡입관과, 상기 공기분사관과 공기흡입관이 일측면과 타측면에 연통되게 연결되고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통로의 상면 일부를 커버하여 상기 공기분사관에서 분사되는 공기가 상기 이송통로를 거쳐 상기 공기흡입관으로 유도되도록 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늘 껍질 제거 장치"의 상기 껍질배출부는, 상기 이송통로의 상면으로 상대적으로 좁은 공기 유동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이송통로의 내부면에 대응하여 상기 커버부재의 하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늘 껍질 제거 장치"의 상기 껍질배출부는, 상기 공기분사관이 두 개로 분지되어 상기 커버부재의 선단과 후단에 연결되고, 상기 분지된 공기분사관의 끝단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이송통로의 경사면을 따라 하부측으로 공기를 분사시키는 한 쌍의 분사노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늘 껍질 제거 장치"의 상기 껍질배출부는, 상기 공기흡입관에 대응되는 상기 커버부재의 하면에 부착되고 상기 이송통로를 넘어 상기 공기흡입관 측으로 배출되는 껍질을 포집하는 껍질포집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이물질과 껍질의 분리 배출이 가능해지고, 껍질의 안정적이면서 정밀한 제거가 원활히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를 순환시키면서 껍질을 제거하도록 하여 껍질의 제거를 위한 풍량과 풍속의 조절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껍질 제거 시에 마늘의 배출이 원활히 방지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돌출부를 통해 좁은 공기 유동로를 형성하여 껍질의 제거가 보다 안정적이면서 정밀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늘 껍질 제거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늘 껍질 장치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 선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 선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5는 도 2의 C-C 선의 개략적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늘 껍질 제거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늘 껍질 장치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 선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B-B 선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2의 C-C 선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늘 껍질 제거 장치는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지판(20)과, 상기 지지판(20)의 상면에 설치되는 스프링(30)과, 상기 스프링(30)의 상단에 설치되는 이송대(40)와, 상기 이송대(40)의 양측면에 장착되는 진동모터(50)와, 상기 이송대(40)의 상부로 상기 지지판(20)에 설치되는 껍질배출부(6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10)는 다수의 지지대(11)를 가지고 지면에 지지된 상태로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대(11)를 통해 상기 지지판(20)이 지면에서 상부측으로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지지대(11)는 상기 지지판(20)의 네 모서리 부위를 지지하도록 4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판(20)은 상기 지지대(11)의 상단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스프링(30)이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면서 상기 껍질배출부(60)가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프링(30)은 상기 지지판(20)의 상면에 다수개가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판(20)의 상면으로 상기 이송대(40)가 상하로 진동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스프링(30)은 상기 이송대(40)의 네 모서리에 대응하여 통상적으로 4개가 설치된다.
상기 이송대(40)는 상기 스프링(30)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그 내측에 일단이 폐쇄되면서 타단이 개방되고 내부면이 평평하면서 양측이 경사진 이송통로(41)가 설치되고, 이물질이 배출되도록 상기 이송통로(41)의 선단 상면에 메시망(42)이 설치되며, 상기 메시망(42)에 대응하여 상기 이송통로(41)의 하면에 포집구(43)가 부착된다.
상기 이송대(40)는 상기 진동모터(5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스프링(30)에 지지된 상태로 상하로 진동되면서 그 일측 상면에 투입된 껍질을 포함하는 마늘을 타측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송통로(41)는 껍질을 포함한 마늘이 그 일측 상면에서 타측 상면으로 이송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면서 그 양 내측에 형성되는 경사면 중에 일측에 형성되는 경사면을 따라 공기가 유도되면서 타측에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분사된 공기에 의해 날린 껍질이 그 외측으로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이송통로(41)는 내측 하면이 평평하고 양측이 경사진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메시망(42)은 상기 이송통로(41)의 선단 상면에 투입된 마늘과 껍질에 포함되는 흙이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상기 진동모터(50)에 의한 상기 이송통로(41)의 진동과 함께 그 하부로 통과되어 제거되도록 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철망으로 구비된다. 즉, 상기 메시망(42)은 마늘과 그 껍질에 포함되는 이물질이 진동과 함께 털리어 하부측으로 배출되고, 마늘과 껍질에서 이물질이 분리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메시망(42)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후에 마늘과 껍질만이 상기 이송통로(41)를 통해 상기 이송대(40)의 타측 단부로 이송된다.
상기 포집구(43)는 상기 메시망(42)을 통과한 이물질이 포집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상기 포집구(43)의 하부로 상기 베이스(10)의 상면에 포집통을 배치하여 상기 포집구(43)를 통해 하부측으로 배출되는 이물질을 수집하게 된다.
상기 진동모터(50)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이송대(40)의 양측면에 각각 장착되는 것으로, 전원의 공급에 의해 진동되면서 상기 스프링(30)의 상단에 지지되는 상기 이송대(40)를 진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진동모터(50)에 의해 상기 이송대(40)가 진동되면, 상기 이송대(40)에 부착된 상기 이송통로(41)가 진동되면서 상기 이송통로(41)의 상면 일측에 투입된 마늘과 껍질이 그 상면 타측으로 상기 이송통로(41)를 따라 천천히 이송된다. 상기 진동모터(50)에 의한 진동으로 상기 이송통로(41)를 통해 마늘과 껍질이 이송될 때 마늘과 껍질은 상하로 진동되면서 상호 분리되어 상기 껍질배출부(60)에 의해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 껍질이 보다 손쉽게 날리어 원활히 제거된다.
상기 껍질배출부(60)는 상기 베이스(10)와 지지판(20)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이송통로(41)의 상면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껍질을 상기 이송통로(41)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상기 껍질배출부(60)는 상기 베이스(10)와 지지판(20)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대(40)의 진동을 방해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이송통로(41)의 상면을 따라 이송되는 마늘과 껍질에서 껍질만을 신속하게 제거하여 배출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껍질배출부(60)는 상기 베이스(10)의 상면에 설치되는 송풍팬(61)과, 상기 송풍팬(61)의 일측에 연결되고 공기가 분사되는 공기분사관(62)과, 상기 송풍팬(61)의 타측에 연결되고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흡입관(63)과, 상기 공기분사관(62)과 공기흡입관(63)이 일측면과 타측면에 연통되게 연결되고 상기 지지판(20)의 상면에 설치되는 커버부재(64)를 포함한다.
상기 송풍팬(61)은 전원의 공급에 의해 작동되면서 상기 공기흡입관(63)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공기분사관(62)을 통해 공기를 분사시키는 공지의 팬이다. 상기 공기분사관(62)은 상기 이송통로(41)로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이송통로(41)를 통해 진동되면서 이송되는 마늘과 껍질 중에 보다 가벼운 껍질을 공기로 불어서 상기 이송통로(41)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공기흡입관(63)은 상기 송풍팬(61)으로 공기가 흡입되는 배관으로, 상기 커버부재(64)와 연결되어 상기 공기분사관(62)을 통해 상기 이송통로(41)로 배출된 공기가 상기 공기흡입관(63)을 통해 상기 송풍팬(61)으로 흡입되어 대략 공기가 순환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부재(64)는 상기 공기분사관(62)과 공기흡입관(63)이 일측면과 타측면에 상호 대응되면서 연통되게 연결된 상태로 상기 이송통로(41)의 상면 일부를 커버함으로써, 상기 공기분사관(62)에서 분사되는 공기가 상기 이송통로(41)를 거쳐 상기 공기흡입관(63)으로 유도되고, 그에 따라 상기 이송통로(41)를 따라 이송되는 껍질이 손쉽게 날리어 상기 이송통로(41)의 일측을 넘어서 상기 이송통로(41)의 외측으로 배출되면서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껍질배출부(60)는 상기 이송통로(41)의 내부면에 대응하여 상기 커버부재(64)의 하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부(65)를 더 포함한다. 상기 돌출부(65)는 상기 이송통로(41)에 대응되는 형상, 즉 하부면이 평평하고 그 양측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이송통로(41)의 상면으로 상대적으로 좁은 공기 유동로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돌출부(65)에 의해 상기 이송통로(41)의 상면으로 상대적으로 좁은 공기 유동로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공기분사관(62)에 의해 분사되는 소량의 공기로도 껍질을 상기 이송통로(41)의 내측의 경사면을 따라 그 외측으로 손쉽게 날려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껍질배출부(60)는 상기 공기분사관(62)이 두 개로 분지되어 상기 커버부재(64)의 선단과 후단에 연결되고, 상기 분지된 공기분사관(62)의 끝단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이송통로(41)의 경사면을 따라 하부측으로 공기를 분사시키는 한 쌍의 분사노즐(66)을 더 포함한다.
상기 분사노즐(66)은 상기 공기분사관(62)을 통해 상기 이송통로(41)로 분사되는 공기를 상대적으로 좁은 배출구를 통해 보다 빠른 속도로 분사되도록 하면서 상기 커버부재(64)의 선단과 후단의 두 곳에서 각각 분사하여 껍질의 제거가 보다 정밀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껍질배출부(60)는 상기 공기흡입관(63)에 대응되는 상기 커버부재(64)의 하면에 부착되는 껍질포집부재(67)를 더 포함한다. 상기 껍질포집부재(67)는 상기 이송통로(41)를 넘어 상기 공기흡입관(63) 측으로 배출되는 껍질이 자중에 의해 낙하되면서 손쉽게 포집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할 것이다.
10 : 베이스
11 : 지지대
20 : 지지판
30 : 스프링
40 : 이송대
41 : 이송통로 42 : 메시망
43 : 포집구
50 : 진동모터
60 : 껍질배출부
61 : 송풍팬 62 : 공기분사관
63 : 공기흡입관 64 : 커버부재
65 : 돌출부 66 : 분사노즐
67 : 껍질포집부재

Claims (5)

  1. 다수의 지지대(11)를 가지는 베이스(10)와;
    상기 지지대(11)의 상단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지지판(20)과;
    상기 지지판(20)의 상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스프링(30)과;
    상기 스프링(30)의 상단에 설치되고, 내측에 일단이 폐쇄되면서 타단이 개방되고 내부면이 평평하면서 양측이 경사진 이송통로(41)가 설치되며, 이물질이 배출되도록 상기 이송통로(41)의 선단 상면에 메시망(42)이 설치되고, 상기 메시망(42)에 대응하여 상기 이송통로(41)의 하면에 포집구(43)가 부착되는 이송대(40)와;
    상기 이송대(40)의 양측면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진동모터(50)와;
    상기 베이스(10)와 지지판(20)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통로(41)의 상면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껍질을 상기 이송통로(41)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껍질배출부(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껍질 제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껍질배출부(60)는,
    상기 베이스(10)의 상면에 설치되는 송풍팬(61)과,
    상기 송풍팬(61)의 일측에 연결되고 공기가 분사되는 공기분사관(62)과,
    상기 송풍팬(61)의 타측에 연결되고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흡입관(63)과,
    상기 공기분사관(62)과 공기흡입관(63)이 일측면과 타측면에 연통되게 연결되고 상기 지지판(20)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통로(41)의 상면 일부를 커버하여 상기 공기분사관(62)에서 분사되는 공기가 상기 이송통로(41)를 거쳐 상기 공기흡입관(63)으로 유도되도록 하는 커버부재(6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껍질 제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껍질배출부(60)는,
    상기 이송통로(41)의 상면으로 상대적으로 좁은 공기 유동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이송통로(41)의 내부면에 대응하여 상기 커버부재(64)의 하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부(6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껍질 제거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껍질배출부(60)는,
    상기 공기분사관(62)이 두 개로 분지되어 상기 커버부재(64)의 선단과 후단에 연결되고,
    상기 분지된 공기분사관(62)의 끝단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이송통로(41)의 경사면을 따라 하부측으로 공기를 분사시키는 한 쌍의 분사노즐(6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껍질 제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껍질배출부(60)는,
    상기 공기흡입관(63)에 대응되는 상기 커버부재(64)의 하면에 부착되고 상기 이송통로(41)를 넘어 상기 공기흡입관(63) 측으로 배출되는 껍질을 포집하는 껍질포집부재(6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껍질 제거 장치.
KR1020140037622A 2014-03-31 2014-03-31 마늘 껍질 제거 장치 KR101591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7622A KR101591684B1 (ko) 2014-03-31 2014-03-31 마늘 껍질 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7622A KR101591684B1 (ko) 2014-03-31 2014-03-31 마늘 껍질 제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3540A true KR20150113540A (ko) 2015-10-08
KR101591684B1 KR101591684B1 (ko) 2016-02-04

Family

ID=54346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7622A KR101591684B1 (ko) 2014-03-31 2014-03-31 마늘 껍질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168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6518B1 (ko) * 2018-11-28 2019-03-11 해나래 영농조합법인 마늘 박피 기능을 가진 마늘 가공장치
ES2711998A1 (es) * 2017-11-04 2019-05-08 Maqu Zocapi Sl Maquina peladora de ajo desgranado
CN111642758A (zh) * 2020-06-10 2020-09-11 钟春连 一种竹笋剥壳分类一体机
KR102567358B1 (ko) * 2022-05-10 2023-08-16 배성원 과일의 품질 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15148A (ja) 2008-11-13 2010-05-27 Masayoshi Yagyu ギンナン皮剥き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711998A1 (es) * 2017-11-04 2019-05-08 Maqu Zocapi Sl Maquina peladora de ajo desgranado
KR101956518B1 (ko) * 2018-11-28 2019-03-11 해나래 영농조합법인 마늘 박피 기능을 가진 마늘 가공장치
CN111642758A (zh) * 2020-06-10 2020-09-11 钟春连 一种竹笋剥壳分类一体机
CN111642758B (zh) * 2020-06-10 2021-06-18 湖南味到舌足食品有限公司 一种竹笋剥壳分类一体机
KR102567358B1 (ko) * 2022-05-10 2023-08-16 배성원 과일의 품질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1684B1 (ko) 2016-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1684B1 (ko) 마늘 껍질 제거 장치
KR101545400B1 (ko) 기포를 이용한 농산물 세척장치
KR101653244B1 (ko) 마늘 박피 시스템
KR101431199B1 (ko) 양파 탈피장치
NL8005139A (nl) Inrichting voor het onttrekken van water aan aard- appelschijfjes.
KR101600814B1 (ko) 마늘 껍질 제거 장치
JP4030849B2 (ja) むき海老の洗浄装置
US20060096470A1 (en) Apparatus for peeling outer skins of garlic using wet process
KR100431665B1 (ko) 습식 마늘박피장치
EP1232695A3 (en) Apparatus for the removal of the stone from fruits
KR20170133777A (ko) 마늘 탈피장치
KR102629804B1 (ko) 마늘 박피 시스템
KR101222944B1 (ko) 대파탈피기
JP2009072758A (ja) 食品運搬薄型容器の洗浄方法及び洗浄装置
JP6557813B2 (ja) ニンニク鱗茎の皮剥ぎ装置
JP2006333820A (ja) 異物除去装置
CN209201805U (zh) 一种带粪便清理功能的肉兔自动喂养生产线
KR101692239B1 (ko) 작물 세척기
KR102288058B1 (ko) 마늘 쪽 분리 및 박피 시스템
GB228651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lavouring a food product
JP3811493B1 (ja) 洗浄装置
KR20020045454A (ko) 습식 마늘박피장치 및 방법
US10302358B2 (en) Food heating device
KR20160056228A (ko) 견과류의 껍질 분리 회수장치
JP2016131960A (ja) 小魚選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