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8133B1 - 나물 증숙 장치 - Google Patents

나물 증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8133B1
KR101808133B1 KR1020160163131A KR20160163131A KR101808133B1 KR 101808133 B1 KR101808133 B1 KR 101808133B1 KR 1020160163131 A KR1020160163131 A KR 1020160163131A KR 20160163131 A KR20160163131 A KR 20160163131A KR 101808133 B1 KR101808133 B1 KR 101808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belt
chamber
water tank
herb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3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용호영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동강들마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동강들마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동강들마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3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81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8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8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2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 A23N12/04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for blan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30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 B65G15/32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made of rubber or plastics
    • B65G15/42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made of rubber or plastics having ribs, ridges, or other surface projections
    • B65G15/44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made of rubber or plastics having ribs, ridges, or other surface projections for impelling the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02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 B65G2201/0211Fruits and vege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4Combination of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숙 챔버 내에 상변 부위의 상하에 상기 상변부위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복수개의 스팀분사노즐이 배치된 3개의 다공 컨베이어벨트를 지그재그로 배치하여 나물의 이송을 지그재그로 이송시키되, 상기 3개의 다공 컨베이어벨트가 나물 이송방향에서 상향 경사진 자세를 가지는 나물 증숙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나물 증숙 장치{vegetables steamimg apparatus}
본 발명은 나물을 증숙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나물에 대하여 탈수와 증숙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나물 증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증숙은 쪄서 익히는 것을 말하며, 나물을 증숙시키는 이유는 나물이 함유한 영양소를 깨뜨리지 않으면서도 나물의 식음성을 좋게 하고 나물의 보관성을 증대시키기 때문이다.
이러한 증숙 처리를 수행하는 나물 증숙 장치가 한국등록특허 제10-1027128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개시된 나물 증숙 장치는 세척된 나물을 증숙 챔버 내에 배치된 다공 켄베이어벨트에 공급하여 상기 다공 컨베이어벨트로 나물을 이송시키면서 상기 다공 컨베이어벨트의 상변부위의 상하에 상기 상변부위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배치된 복수개의 스팀분사노즐을 분사시켜 나물의 윗면과 밑면에 스팀을 먹여 증숙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개시된 나물 증숙 장치는 1회의 직진운동으로 상기 증숙 챔버에서 빠져나오기 때문에 나물에 스팀을 먹이는 시간을 증대시키기 위해 다공 컨베이서벨트의 길이가 수평방향으로 증대되어 챔버의 크기가 수평방향으로 비대해져서 공장 바닥의 점유면적을 많이 차지하여 제조 및 유지보수 비용이 증대되고, 세척된 나물에 함유한 세척물이 다공 컨베이어벨트의 다공을 통해서만 밑으로 배수되는 관계로, 컨베이어벨트의 위를 향한 나물 부위와 컨베이어벨트의 아래를 향한 나물 부위 간에 스팀을 먹이는 정도가 상이하여 균일하게 나물에 대한 증숙 처리가 곤란할 뿐만 아니라, 신속하게 나물에서 탈수가 되지 않아, 제대로 나물에 스팀을 먹일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에 과제를 가진다.
본 발명은 증숙 챔버 내에 상변 부위의 상하에 상기 상변부위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복수개의 스팀분사노즐이 배치된 3개의 다공 컨베이어벨트를 지그재그로 배치하여 나물의 이송을 지그재그로 이송시키되, 상기 3개의 다공 컨베이어벨트가 나물 이송방향에서 상향 경사진 자세를 가지는 나물 증숙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해, 나물을 적시고 있는 세척수가 자중에 의해 3개의 컨베이어벨트에 형성된 다공을 통하여 배수될 뿐만 아니라 3개의 컨베이어벨트의 이송방향에 역방향으로 3개의 컨베이어벨트의 상변을 따라 아래로 흘러 내려서 다량의 세척수가 신속하게 배수되어 나물에 대하여 스팀을 먹이는 효율이 종래보다 증대될 뿐만 아니라 나물이 3개의 컨베이어벨트로 지그재그로 이송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나물의 윗면과 밑면이 뒤 집어지는 자세변경이 반복하게 되어 나물의 모든 부위에 대한 증숙처리가 균일하게 되어 균일하게 증숙 처리된 나물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증숙챔버가 수평방향으로 비대해지지 않고서도 스팀을 먹이는 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어서, 증숙 장치가 공장 바닥의 점유면적을 많이 차지하지 않게 되어 종래보다 제조 및 유지보수 비용이 절감되는 작용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나물 증숙 장치를 도시한 개념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나물 증숙 장치가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일측은 나물이송방향에서의 상류측이고 타측은 나물이송방향에서의 하류측을 의미한다.
도 1에는 본 실시예의 나물 증숙 장치가 부호 100으로서 지시되어 있다.
상기 나물 증숙 장치(100)는 세척부(10)와 냉각부(2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세척부(10)는, 온수조(11); 도시되지 않은 공기공급원에 접속되어 상기 온수조(11)의 바닥에 배설된 폭기관(12); 및 나물이송방향에서의 상류부위가 온수조(11)의 온수에 침수되어 수평방향으로 뻗어 있고, 나물이송방향에서의 중간부위가 상기 온수조(11)의 수면 위로 상향 경사져 있고, 나물이송방향에서의 하류부위가 상기 온수조(11)의 밖으로 돌출되어 수평방향으로 뻗어 있는 상태에서 무한궤도운동방향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칸막이벽(13)가 마련되어 있는 다공의 컨베이어벨트(14)를 구비한 컨베이어(15)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냉각부(20)는 냉수조(21); 도시되지 않은 공기공급원에 접속되어 상기 냉수조(21)의 바닥에 배설된 폭기관(22); 및 나물이송방향에서의 상류부위가 냉수조(21)의 냉수에 침수되어 수평방향으로 뻗어 있고, 나물이송방향에서의 중간부위가 상기 냉수조(21)의 수면 위로 상향 경사져 있고, 나물이송방향에서의 하류부위가 상기 냉수조(21)의 밖으로 돌출되어 수평방향으로 뻗어 있는 상태에서 무한궤도운동방향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칸막이벽(23)가 마련되어 있는 다공의 컨베이어벨트(24)를 구비한 컨베이어(25)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나물 증숙 장치(100)는 서로 유통한 제1챔버(110)와 제2챔버(12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챔버(110)의 상단 일측에는 상기 다공의 컨베이어벨트(14)의 상기 상류부위 타단이 삽입 관통되는 입구(1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챔버(110)의 천장에는 스팀이 외부로 빠져나가게 하는 배기덕트(112)가 구비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제1챔버(110)의 바닥 타측에는 나물이 자연낙하게 의해 상기 제1챔버(110) 밖으로 나가게 하는 출구(1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챔버(120)는 상기 출구(113)와 내부가 유통하게 상기 제1챔버(110)의 타측 하반부를 에워싸고 있는 상태에서 타측 벽부 상단에 나물이 빠져나오는 제2출구(12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챔버(110) 내에는 3개의 컨베이어(131, 132, 133)가 지그재그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3개의 컨베이어(131, 132, 133) 각각은, 다공의 컨베이어벨트(134a, 134b, 134c)로 되어 있고, 그리고 무한궤도 운동하는 상기 컨베이어벨트(134a, 134b, 134c) 각각은 무한궤도 궤적의 상변 부위의 상하에 상기 상변부위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복수개의 스팀분사노즐(135)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복수개의 스팀분사노즐(135)은 도시되지 않은 스팀공급원에 접속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134a, 134b, 134c) 각각의 상기 상변 부위의 윗면과 밑면에 스팀을 분사시켜 상기 컨베이어벨트(134a, 134b, 134c) 각각을 따라 이동하는 나물에 스팀을 먹이는 작용을 한다.
상기 3개의 컨베이어(131, 132, 133) 중 제일 위에 배치된 하나의 컨베이어(131)의 제1다공의 컨베이어벨트(134a)는 일측이 상기 다공 컨베이어벨트(14)의 상기 상류부위 타단 밑에 배치된 상태에서 타측이 타측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뻗어서 상향 경사진 자세를 가지며, 다른 하나의 컨베이어(132)의 제2다공의 컨베이어벨트(134b)는 일측이 상기 제1다공의 컨베이어벨트(134a)의 타측 밑에 배치된 상태에서 타측이 타측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뻗어서 상기 제1다공의 컨베이어벨트(134a)의 일측 밑에 배치되어 역 상향 경사진 자세를 가지며, 그리고 또 다른 하나의 컨베이어(133)의 제3다공의 컨베이어벨트(134c)는 일측이 상기 제2다공의 컨베이어벨트(134b)의 타측 밑에 배치된 상태에서 타측이 타측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뻗어서 상기 제2다공의 컨베이어벨트(134b)의 일측 밑에 그리고 상기 출구(113) 위에 배치되어 상향 경사진 자세를 가져서, 나물이 상기 3개의 컨베이어(131, 132, 133)에 의해 지그재그로 이송되게 된다.
상기 제2챔버(120) 내에는 이송컨베이어(121)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컨베이어(121)의 이송컨베이어벨트(122)는 일측이 상기 출구(113) 밑에 배치되어 수평방향으로 뻗은 상태에서 중간부위가 상향 경사지게 뻗어 있고 그리고 타측이 수평방향으로 뻗어서 제2출구(123)을 관통하여 상기 제2챔버(120)의 타측 벽 밖으로 돌출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122)는 무한궤도운동방향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기립된 복수개의 칸막이벽(124)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나물 증숙 장치(100)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먼저, 세척부(10)의 다공 컨베이어벨트(14) 일측 위에 투입된 나물은 세척수인 온수에 침수되어 온수에 세척되면서 폭기관(12)에서 분출되는 공기에 타격을 받아 나물에 붙어 있는 이물질이 털어지면서 상기 다공 컨베이어벨트(14)를 타고 제1챔버(110)의 입구(111) 내로 진입하여 상기 3개의 컨베이어(131, 132, 133) 중 제일 위에 배치된 하나의 컨베이어(131)의 제1다공의 컨베이어벨트(134a) 일측에 자연낙하여 안착되게 된다.
상기 제1다공의 컨베이어벨트(134a)에 안착된 나물은 상기 제1다공의 컨베이어벨트(134a)를 타고 위로 이송되면서 상기 제1다공의 컨베이어벨트(134a)의 다공을 통하여 나물을 적시고 있는 온수가 배수됨과 동시에 상기 제1다공의 컨베이어벨트(134a)가 상향 경사진 관계로 상기 제1다공의 컨베이어벨트(134a)의 타측에서 일측으로 온수가 자중에 의해 역류되어 다량 배수되는 상태에서 상기 복수개의 스팀분사노즐(135)에서 토출되는 스팀에 접촉되어 1차로 증숙처리되어 상기 제1다공의 컨베이어벨트(134a)의 타측으로 진입하여 상기 제2다공의 컨베이어벨트(134b)의 일측에 자연낙하하여 뒤집혀서 안착되게 된다.
상기 제1다공의 컨베이어벨트(134a)의 타측과 상기 제2다공의 컨베이어벨트(134b) 일측 간에는 높이차가 커서 나물과 나물을 적시고 있는 온수 간의 중량차로 인하여 용이하게 나물에서 온수가 분리되어 배수되게 되며 아울러 나물이 상기 제2다공의 컨베이어벨트(134b) 일측에 큰 충력력을 가지고 부딪치게 되어 다시 한번 나물을 적시고 있는 온수가 나물에서 분리되어 배수되게 된다.
그 다음, 상기 제2다공의 컨베이어벨트(134b)에 안착된 나물은 상기 제2다공의 컨베이어벨트(134b)를 타고 위로 이송되면서 상기 제2다공의 컨베이어벨트(134b)의 다공을 통하여 상기 제1다공의 컨베이어벨트(134a)에서 배수되지 않고 남아 있는 나물을 적시고 있는 온수가 배수됨과 동시에 상기 제2다공의 컨베이어벨트(134b)가 상향 경사진 관계로 상기 제2다공의 컨베이어벨트(134b)의 타측에서 일측으로 온수가 자중에 의해 역류되어 다량 배수되는 상태에서 상기 복수개의 스팀분사노즐(135)에서 토출되는 스팀에 접촉되어 2차로 증숙처리되어 상기 제2다공의 컨베이어벨트(134b)의 타측으로 진입하여 상기 제3다공의 컨베이어벨트(134c)의 일측에 자연낙하하여 다시 한번 원상태로 뒤집혀서 안착되게 된다.
상기 제2다공의 컨베이어벨트(134b)의 타측과 상기 제3다공의 컨베이어벨트(134c) 일측 간에는 높이차가 커서 나물과 나물을 적시고 있는 온수 간의 중량차로 인하여 용이하게 나물에서 온수가 분리되어 배수되게 되며 아울러 나물이 상기 제3다공의 컨베이어벨트(134c) 일측에 큰 충력력을 가지고 부딪치게 되어 다시 한번 나물을 적시고 있는 온수가 나물에서 분리되어 배수되게 된다.
그 다음, 상기 제3다공의 컨베이어벨트(134c)에 안착된 나물은 상기 제3다공의 컨베이어벨트(134c)를 타고 위로 이송되면서 상기 제3다공의 컨베이어벨트(134c)의 다공을 통하여 상기 제2다공의 컨베이어벨트(134b)에서 배수되지 않고 남아 있는 나물을 적시고 있는 온수가 배수됨과 동시에 상기 제3다공의 컨베이어벨트(134c)가 상향 경사진 관계로 상기 제3다공의 컨베이어벨트(134c)의 타측에서 일측으로 온수가 자중에 의해 역류되어 다량 배수되는 상태에서 상기 복수개의 스팀분사노즐(135)에서 토출되는 스팀에 접촉되어 3차로 증숙처리되어 상기 제3다공의 컨베이어벨트(134c)의 타측으로 진입하여 상기 출구(113)를 경유하여 상기 제2챔버(120)의 컨베이어벨트(122)의 일측에 자연낙하하여 안착되게 된다.
상기 복수개의 스팀분사노즐(135)에서 토출되는 스팀은 나물에 스팀을 먹인 후 상기 배디덕트(112)를 통하여 상기 제1챔버(110) 밖으로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챔버(110)에서 발생한 온수는 상기 제1챔버(110)의 바닥이 일측으로 구배져 있어서, 바닥 일측에 마련된 드레인관(115)을 경유하여 상기 제1챔버(110) 밖으로 드레인되게 된다.
상기 제2챔버(120)의 컨베이어벨트(1220)에 안착된 나물은 세척수인 냉수에 침수되어 냉수에 세척되면서 냉각되고 폭기관(22)에서 분출되는 공기에 타격을 받아 나물에 붙어 있는 이물질이 다시 한번 털어지면서 상기 다공의 컨베이어벨트(24)를 타고 상기 냉각부(20)를 벗어나서 다음 공정으로 이송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작동하게 구성된 상기 나물 증숙 장치(100)는 나물을 적시고 있는 세척수가 자중에 의해 3개의 컨베이어벨트(134a, 134b, 134c) 에 형성된 다공을 통하여 배수될 뿐만 아니라 3개의 컨베이어벨트(134a, 134b, 134c)의 이송방향에 역방향으로 3개의 컨베이어벨트(134a, 134b, 134c)의 상변을 따라 아래로 흘러 내려서 다량의 세척수가 신속하게 배수되어 나물에 대하여 스팀을 먹이는 효율이 종래보다 증대될 뿐만 아니라 나물이 3개의 컨베이어벨트(134a, 134b, 134c)로 지그재그로 이송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나물의 윗면과 밑면이 뒤 집어지는 자세변경이 반복하게 되어 나물의 모든 부위에 대한 증숙 처리가 균일하게 되어 균일하게 증숙 처리된 나물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증숙을 위한 제1 및 제2챔버(110, 120)가 수평방향으로 비대해지지 않고서도 스팀을 먹이는 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어서, 증숙 장치가 공장 바닥의 점유면적을 많이 차지하지 않게 되어 종래보다 제조 및 유지보수 비용이 절감되는 작용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10; 세척부, 20; 냉각부, 100; 나물 증숙 장치

Claims (3)

  1. 온수조(11);
    공기공급원에 접속되어 상기 온수조(11)의 바닥에 배설된 폭기관(12); 및
    나물이송방향에서의 상류부위가 온수조(11)의 온수에 침수되어 수평방향으로 뻗어 있고, 나물이송방향에서의 중간부위가 상기 온수조(11)의 수면 위로 상향 경사져 있고, 나물이송방향에서의 하류부위가 상기 온수조(11)의 밖으로 돌출되어 수평방향으로 뻗어 있는 상태에서 무한궤도운동방향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칸막이벽(13)가 마련되어 있는 다공의 컨베이어벨트(14)를 구비한 컨베이어(15)를 포함하는 세척부(10)와
    냉수조(21);
    공기공급원에 접속되어 상기 냉수조(21)의 바닥에 배설된 폭기관(22); 및
    나물이송방향에서의 상류부위가 냉수조(21)의 냉수에 침수되어 수평방향으로 뻗어 있고, 나물이송방향에서의 중간부위가 상기 냉수조(21)의 수면 위로 상향 경사져 있고, 나물이송방향에서의 하류부위가 상기 냉수조(21)의 밖으로 돌출되어 수평방향으로 뻗어 있는 상태에서 무한궤도운동방향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칸막이벽(23)가 마련되어 있는 다공의 컨베이어벨트(24)를 구비한 컨베이어(25)를 포함하는 냉각부(20) 사이에 배치된 나물 증숙 장치로서,
    서로 유통한 제1챔버(110)와 제2챔버(120)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1챔버(110)의 상단 일측에는 상기 다공의 컨베이어벨트(14)의 상기 상류부위 타단이 삽입 관통되는 입구(1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챔버(110)의 천장에는 스팀이 외부로 빠져나가게 하는 배기덕트(112)가 구비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제1챔버(110)의 바닥 타측에는 나물이 자연낙하게 의해 상기 제1챔버(110) 밖으로 나가게 하는 출구(11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챔버(120)는 상기 출구(113)와 내부가 유통하게 상기 제1챔버(110)의 타측 하반부를 에워싸고 있는 상태에서 타측 벽부 상단에 나물이 빠져나오는 제2출구(12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챔버(110) 내에는 3개의 컨베이어(131, 132, 133)가 상향으로 경사져서 지그재그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3개의 컨베이어(131, 132, 133) 각각은, 다공의 컨베이어벨트(134a, 134b, 134c)로 되어 있고, 그리고 무한궤도 운동하는 상기 컨베이어벨트(134a, 134b, 134c) 각각은 무한궤도 궤적의 상변 부위의 상하에 상기 상변부위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복수개의 스팀분사노즐(135)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물 증숙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컨베이어(131, 132, 133) 중 제일 위에 배치된 하나의 컨베이어(131)의 제1다공의 컨베이어벨트(134a)는 일측이 상기 다공 컨베이어벨트(14)의 상기 상류부위 타단 밑에 배치된 상태에서 타측이 타측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뻗어서 상향 경사진 자세를 가지며,
    다른 하나의 컨베이어(132)의 제2다공의 컨베이어벨트(134b)는 일측이 상기 제1다공의 컨베이어벨트(134a)의 타측 밑에 배치된 상태에서 타측이 타측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뻗어서 상기 제1다공의 컨베이어벨트(134a)의 일측 밑에 배치되어 역 상향 경사진 자세를 가지며, 그리고
    또 다른 하나의 컨베이어(133)의 제3다공의 컨베이어벨트(134c)는 일측이 상기 제2다공의 컨베이어벨트(134b)의 타측 밑에 배치된 상태에서 타측이 타측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뻗어서 상기 제2다공의 컨베이어벨트(134b)의 일측 밑에 그리고 상기 출구(113) 위에 배치되어 상향 경사진 자세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물 증숙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챔버(120) 내에는 이송컨베이어(121)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컨베이어(121)의 이송컨베이어벨트(122)는 일측이 상기 출구(113) 밑에 배치되어 수평방향으로 뻗은 상태에서 중간부위가 상향 경사지게 뻗어 있고 그리고 타측이 수평방향으로 뻗어서 제2출구(123)을 관통하여 상기 제2챔버(120)의 타측 벽 밖으로 돌출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122)는 무한궤도운동방향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기립된 복수개의 칸막이벽(124)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물 증숙 장치.
KR1020160163131A 2016-12-02 2016-12-02 나물 증숙 장치 KR1018081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131A KR101808133B1 (ko) 2016-12-02 2016-12-02 나물 증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131A KR101808133B1 (ko) 2016-12-02 2016-12-02 나물 증숙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8133B1 true KR101808133B1 (ko) 2018-01-18

Family

ID=61028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3131A KR101808133B1 (ko) 2016-12-02 2016-12-02 나물 증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813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8088A (ko) * 2020-10-12 2022-04-19 권혁산 나물 세척장치
CN114831245A (zh) * 2022-05-05 2022-08-02 张瑜 一种预制菜智能加工装置及其加工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0952B2 (ja) 1996-09-19 2000-05-15 株式会社サンテック ラベル貼付装置
JP2002034537A (ja) 2000-07-26 2002-02-05 Daisey Machinery Co Ltd もやし類の水切り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0952B2 (ja) 1996-09-19 2000-05-15 株式会社サンテック ラベル貼付装置
JP2002034537A (ja) 2000-07-26 2002-02-05 Daisey Machinery Co Ltd もやし類の水切り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8088A (ko) * 2020-10-12 2022-04-19 권혁산 나물 세척장치
KR102501664B1 (ko) 2020-10-12 2023-02-17 권혁산 나물 세척장치
CN114831245A (zh) * 2022-05-05 2022-08-02 张瑜 一种预制菜智能加工装置及其加工方法
CN114831245B (zh) * 2022-05-05 2024-01-05 临沂明安食品有限公司 一种预制菜智能加工装置及其加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55293A (en) Continuous cooking apparatus and process
KR101808133B1 (ko) 나물 증숙 장치
CN1972624A (zh) 传送带式餐具清洗机及其运行方法
US20150265133A1 (en) Dishwasher
GB248378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ashing food product
US6707010B2 (en) Oven with fluid jet device
CN103908000A (zh) 自动去核桃仁皮清洗机及其清洗方法
US4403425A (en) Apparatus for drying and smoothing articles of clothing
JP2019105410A (ja) ノンフライ麺製造用乾燥装置
US1149274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laundry
JP5708274B2 (ja) 洗浄装置
JP2023053984A (ja) ノンフライ麺製造用乾燥装置
JP2008271883A (ja) 過熱水蒸気による食品の加熱調理方法及び加熱調理装置
JP4781983B2 (ja) トンネル式蒸し機
JP2016198255A (ja) 加熱処理装置
CN104431847A (zh) 气泡清洗、漂烫、挑选和输送一体机
KR101416844B1 (ko) 오디 세척장치
JP7393353B2 (ja) 物体を処理する方法及びそ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装置
JP6795755B2 (ja) 加熱処理装置
US4185647A (en) Container cleaning machine
CN207613158U (zh) 蔬菜清洗装置
JP5884492B2 (ja) 排熱利用型炊飯設備
EP2298092B1 (en) Machine and method for processing fruit or vegetables
KR20160116127A (ko) 추로스의 기름 제거기
JP7411973B2 (ja) 食品加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