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5832B1 - 슬래그 냉각 장치 및 냉각 방법 - Google Patents

슬래그 냉각 장치 및 냉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5832B1
KR101415832B1 KR1020120071582A KR20120071582A KR101415832B1 KR 101415832 B1 KR101415832 B1 KR 101415832B1 KR 1020120071582 A KR1020120071582 A KR 1020120071582A KR 20120071582 A KR20120071582 A KR 20120071582A KR 101415832 B1 KR101415832 B1 KR 101415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g
cooling water
cooling
infiltration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1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3912A (ko
Inventor
가의현
김계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20071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5832B1/ko
Publication of KR20140003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5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5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3/00Gener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pig-iron
    • C21B3/04Recovery of by-products, e.g. slag
    • C21B3/06Treatment of liquid slag
    • C21B3/08Cooling sla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3/00Gener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pig-iron
    • C21B3/04Recovery of by-products, e.g. slag
    • C21B3/06Treatment of liquid slag
    • C21B3/10Slag pots; Slag c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5/00Handling or treating discharged material; Supports or receiving chambers therefor
    • F27D15/02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7D2099/0085Accessories
    • F27D2099/0095Means to collect the slag or spilled metal, e.g. 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 Furnace Det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래그 냉각 장치에 관한 것으로, 슬래그를 수용하는 슬래그 포트와, 슬래그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냉각수 분사 수단과, 슬래그 내부로 잠입되어 슬래그 상부의 냉각수가 슬래그 내부로 침투되도록 하는 냉각수 침투 수단을 포함하는 슬래그 냉각 장치가 제시된다.

Description

슬래그 냉각 장치 및 냉각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oling slag}
본 발명은 슬래그 냉각 장치 및 냉각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슬래그 포트 내의 슬래그를 신속하게 냉각시킬 수 있는 슬래그 냉각 장치 및 냉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강 공정에서 발생되는 슬래그는 스키머 등의 설비를 이용하여 별도로 준비된 슬래그 포트에 담아 이송대차를 이용 슬래그 야적장으로 이송되고, 야적장에서 일정 시간 냉각시킨 후 슬래그 포트를 뒤집는 형발 작업에 의해 냉각된 슬래그를 슬래그 포트에서 분리시키게 된다. 분리된 슬래그 중 잔여 지금 및 고철은 회수하고 부산물인 생석회류는 2차 제조 공정을 거쳐 재사용된다.
종래의 슬래그 냉각은 대량의 냉각수를 슬래그 포트 내의 슬래그 표면에 분사하여 이루어지게 되는데, 슬래그 위로 분사되는 냉각수에 의해 슬래그는 표면에서부터 내부로 냉각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대량의 냉각수를 이용하여 슬래그를 냉각하면 물과 슬래그가 혼합된 죽탕 상태가 되어 슬래그 배재 시 분말, 예컨데 쇳가루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슬래그 냉각은 슬래그 표면에서부터 슬래그 내부로 서서히 냉각이 되므로 내부의 슬래그가 냉각되기까지 많은 시간 및 냉각수가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예컨데, 종래에는 20톤 가량의 슬래그를 냉각시키기 위해 24시간 정도가 소요되었으며, 이 과정 동안 계속해서 냉각수를 분사해야 하므로 냉각수의 사용량도 많아지고, 냉각수를 공급하는 펌프의 전력 소요도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슬래그 포트가 24 시간 이상의 기간 동안 대기됨에 따라 사용 가능한 슬래그 포트의 공급이 부족해질 뿐만 아니라 처리 물량도 저하되어 작업 능률이 저하된다.
본 발명은 슬래그의 냉각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는 슬래그 냉각 장치 및 냉각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슬래그의 냉각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어 냉각수 사용량 및 슬래그 포트의 회전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슬래그 냉각 장치 및 냉각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슬래그 표면에 분사된 냉각수를 슬래그 내부로 강제로 침투시킴으로써 슬래그 표면으로부터 슬래그 내부까지의 냉각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는 슬래그 냉각 장치 및 냉각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슬래그 냉각 장치는 슬래그를 수용하는 슬래그 포트; 상기 슬래그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냉각수 분사 수단; 및 상기 슬래그 내부로 잠입되어 상기 슬래그 상부의 냉각수가 상기 슬래그 내부로 침투되도록 하는 냉각수 침투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냉각수 침투 수단은, 상기 슬래그 내부로 잠입되는 잠입부; 및 상기 잠입부의 상하 이동을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한다.
상기 조절부는 상기 잠입부에 연결되어 자중에 의해 상기 잠입부를 하강시키는 웨이트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조절부는 상기 웨이트 부재와 연결되는 와이어 로프; 및 상기 와이어 로프의 감김 및 풀림을 조절하는 윈치를 더 포함한다.
상기 웨이트 부재 내부 또는 외부에 마련된 진동 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잠입부는 상기 웨이트 부재와 연결된 지지축; 및 상기 지지축과 연결되어 상기 슬래그 내부로 잠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포크를 포함한다.
상기 냉각수 침투 수단은,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수직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에 연결되며 소정 간격 이격된 제 1 및 제 2 수평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수평 프레임의 일측에 윈치가 마련되고, 타측에 연결 부재를 하방 절곡 및 지지하는 지지 롤러가 마련된다.
상기 제 2 수평 프레임에 마련되어 상기 지지축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슬래그 냉각 방법은 슬래그 포크 내의 슬래그 상부로 냉각수를 분사하는 단계; 냉각수 침투 장치의 상기 슬래그 내부로의 잠입 및 이탈을 반복하여 상기 슬래그 내부로 상기 냉각수를 침투시키는 단계; 및 상기 냉각된 슬래그를 배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냉각수 침투 및 슬래그 배재를 반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슬래그 냉각 장치는 슬래그가 수용된 슬래그 포트의 일측에 냉각수 분사 장치와 냉각수 침투 장치가 마련된다. 냉각수 분사 장치는 슬래그 포트의 슬래그 상에 냉각수를 분사하고, 냉각수 침투 장치는 하강 및 상승하면서 슬래그 포트 내의 슬래그 내부로 잠입을 반복하여 슬래그 상의 냉각수가 슬래그 내부로 침투되도록 한다.
이렇게 냉각수가 슬래그 내부로 강제로 침투되도록 함으로써 슬래그의 냉각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또한, 슬래그의 냉각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어 슬래그 배재 공정을 빠르게 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슬래그 포트의 회전 주기를 단축시킬 수 있어 슬래그 포트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슬래그 배재 시 분말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어 분말의 비산에 의한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래그 냉각 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슬래그 배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흐름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래그 냉각 장치를 이용한 슬래그 냉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래그 냉각 장치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래그 냉각 장치는 슬래그(110)가 수용되는 슬래그 포트(100)와, 슬래그 포트(100)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냉각수 분사 장치(200)와, 냉각수 분사 장치(200)에 의해 슬래그 포트(100)의 슬래그 상에 분사된 냉각수를 슬래그 내부로 침투시키는 냉각수 침투 장치(300)를 포함한다.
슬래그 포트(100)는 래들에 잠입된 용선으로부터 배재된 슬래그(110)를 수용한다. 이러한 슬래그 포트(100)는 슬래그(110)를 수용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래그 포트(100)는 평탄하거나 오목한 바닥으로부터 측면이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슬래그 포트(100)는 내부에 복수의 격벽이 형성되어 다수로 분할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냉각수 분사 장치(200)는 슬래그 포트(100)의 일측에 마련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220)를 슬래그 포트(100) 내부의 슬래그(110) 상에 분사한다. 이러한 냉각수 분사 장치(200)는 냉각수 공급 호스(미도시)와, 공급 호스와 연결되어 슬래그 포트(100) 내의 슬래그(110) 상부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사 노즐(21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복수의 분사 노즐(210)이 마련됨으로써 슬래그(110) 상부의 복수의 영역에 냉각수(220)를 분사할 수 있다. 이때, 분사 노즐(210)은 슬래그 포트(100)보다 높은 위치에서 냉각수(220)를 분사한다. 또한, 분사 노즐(210)은 냉각수(220)가 냉각수 침투 장치(300)를 향해 분사되지 않도록 분사 각도 및 분사 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냉각수 침투 장치(300)는 슬래그 포트(100)의 일측에 마련되어 슬래그 포트(100)의 슬래그(110) 상에 분사된 냉각수(220)를 슬래그(110) 내부로 침투시킨다. 이러한 냉각수 침투 장치(300)는 지지부(310)와, 지지부(310) 상에 마련된 프레임부(320)와, 프레임부(320)의 일측에 마련되어 프레임부(320)를 회전시키는 회전부(330)와, 슬래그 포트(100) 내의 슬래그(110) 내부로 잠입되는 잠입부(340)와, 프레임부(320)의 일측에 마련되며 잠입부(340)의 상하 이동을 조절하는 조절부(350)를 포함한다.
지지부(310)는 슬래그 포트(100)의 일측에 마련되어 냉각수 침투 장치(300)를 지지한다. 여기서, 지지부(310)는 슬래그 포트(100)의 높이보다 높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지지부(310)에 의해 지지되는 잠입부(340) 및 조절부(350) 등이 슬래그 포트(100)보다 충분히 높게 마련되어 잠입부(340)가 슬래그 포트(100) 내로 원활하게 잠입될 수 있도록 지지부(310)는 슬래그 포트(100)의 높이보다 높게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지지부(310)가 슬래그 포트(100)의 높이와 같거나 낮게 마련될 수도 있으나, 이 경우에는 프레임부(320)가 충분히 높게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지지부(310)는 슬래그 포트(100)를 사이에 두고 냉각수 분사 장치(200)와 대향되어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지지부(310)는 냉각수 분사 장치(200)로부터 분사되는 냉각수의 분사에 방해되지 않도록 냉각수 분사 장치(200)의 일 측에 마련되는 등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310)의 소정 영역, 예를 들어 하측 외부에 콘트롤러(312)가 마련될 수 있다. 콘트롤러(312)는 냉각수 침투 장치(300)의 구동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콘트롤러(312)는 회전부(330) 및 조절부(350) 등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물론, 콘트롤러(312)는 냉각수 침투 장치(300)를 원격에게 제어하도록 지지부(310)와 이격되어 마련될 수도 있다.
프레임부(320)는 지지부(310) 상에 마련되어 조절부(350) 등을 고정한다. 이러한 프레임부(320)는 지지부(310) 상에 수직하게 마련된 수직 프레임(322)과, 수직 프레임(322)의 소정 영역에 이격되어 마련된 제 1 수평 프레임(324) 및 제 2 수평 프레임(326)을 포함한다. 수직 프레임(322)은 일측이 지지부(310)의 상측에 고정되는데, 예를 들어 일부가 지지부(310)의 소정 깊이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수직 프레임(322)은 일 방향 및 타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부(3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부(310)와 수직 프레임(322) 사이에 베어링(미도시) 등이 마련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수평 프레임(324, 326)은 수직 프레임(322)으로부터 각각 수평 방향으로 마련되고, 서로 수직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마련된다. 즉, 제 1 수평 프레임(324)은 지지부(310)와 접촉되는 수직 프레임(322)의 일측과 대향되는 타측에 마련되고, 제 2 수평 프레임(326)은 지지부(310)와 제 1 수평 프레임(324) 사이에 마련된다. 또한, 제 1 수평 프레임(324)에는 조절부(350)가 마련되고, 제 2 수평 프레임(326)의 소정 영역에는 잠입부(34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328)가 마련된다. 가이드(328)는 예를 들어 제 2 수평 프레임(326)의 소정 영역이 제거된 홀 형상으로 마련되어 잠입부(340)의 일부, 예를 들어 후술할 지지축(342)이 삽입된다. 잠입부(340)의 지지축(342)이 가이드(328) 내에서 이동하므로 지지축(342)의 이탈을 방지하고 이동을 제어한다. 따라서, 가이드(328)에 의해 잠입부(340)가 일정한 영역으로만 상하 운동할 수 있다.
회전부(330)는 지지부(310) 상에 마련되어 수직 프레임(322)을 회전시킨다. 회전부(330)에 의해 수직 프레임(322)이 회전됨으로써 제 1 및 제 2 수평 프레임(324, 326)이 회전하고, 그에 따라 잠입부(340) 및 조절부(350) 등을 회전시킬 수 있어 잠입부(340)의 잠입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래그(110)가 수용된 슬래그 포트(100)가 냉각수 분사 장치(200)와 냉각수 침투 장치(300) 사이의 작업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회전부(330)가 회전하여 잠입부(340)가 슬래그 포트(100)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슬래그 포트(100)의 슬래그(110) 냉각이 완료되어 슬래그 포트(100)를 슬래그 배재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회전부(330)가 회전하여 잠입부(340)를 외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회전부(330)는 예를 들어 모터와 회전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잠입부(340)는 슬래그 포트(100)의 소정 깊이까지 잠입되어 슬래그(110) 상으로 분사된 냉각수(220)를 슬래그(110) 내부로 침투되도록 한다. 이러한 잠입부(340)는 조절부(350)와 연결된 지지축(342)과, 지지축(342) 하측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포크(344)를 포함한다. 지지축(342)은 제 2 수평 프레임(326)의 소정 영역에 마련된 가이드(328)을 관통하여 상하 이동한다. 지지축(342)이 가이드(328)를 통해 이동하므로 지지축(342)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포크(344)의 수가 많을수록 포크(344)와 슬래그(110)가 접촉하는 면적이 넓어지고, 그에 따라 포크(344)를 따라 슬래그(110) 내부로 침투되는 냉각수(220)의 양이 많아진다. 따라서, 포크(344)는 지지축(342)로부터 복수로 분기될 수 있도록 지지축(342)와 포크(344) 사이에 수평부(346)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지지축(342) 하측에 수평으로 수평부(346)가 마련되고 수평부(346)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복수의 포크(344)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수평부(346)가 막대 모양으로 마련되고 복수의 포크(344)가 수평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수평부(346)가 예를 들어 대략 원형의 판 형상으로 마련되고 복수의 포크(344)가 수평부(346)의 복수의 영역에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포크(344)는 적어도 하나의 길이를 다르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부의 포크(344)를 다른 포크(344)보다 길게 마련할 수 있다. 물론, 중앙부의 포크(344)를 다른 포크(344)보다 짧게 할 수 있으며, 포크(344)의 길이를 서로 다르게 할 수도 있다. 한편, 잠입부(340)의 소정 영역에는 잠입부(340)의 잠입을 검출하는 검출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축(342)의 소정 영역에 포크(344)의 하한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가 마련될 수 있다. 센서에 의해 포크(344)의 하한을 검출하는 경우 조절부(350)의 구동을 제어하여 포크(344)의 잠입을 중지시킬 수 있다.
조절부(350)는 제 1 수평 프레임(324)에 지지되고 잠입부(340)에 연결되어 잠입부(340)의 상하 이동을 조절한다. 이러한 조절부(350)는 와이어 로프(352)와, 와이어 로프(352)의 풀림 및 감김을 조절하는 윈치(winch)(354)와, 와이어 로프(352)의 하방 절곡을 용이하게 하는 지지 롤러(356)과, 와이어 로프(352)의 말단에 연결되고 잠입부(340)의 지지축(342)과 연결된 웨이트 부재(358)을 포함한다. 또한, 웨이트 부재(358)에 마련된 진동 부재(35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 로프(352)는 웨이트 부재(358)와 연결되는 연결 부재로서, 와이어 로프(352) 이외에 체인, 로프 등의 윈치(354)와 웨이트 부재(358)를 연결하는 다양한 부재가 이용될 수 있다. 윈치(354)는 제 1 수평 프레임(324)의 일측에 마련되며, 예를 들어 원통형의 드럼을 포함하여 드럼에 감긴 와이어 로프(352)의 풀림 및 감김을 조절한다. 그에 따라, 와이어 로프(252)의 말단에 연결된 웨이트 부재(348)가 하강하거나 상승하게 된다. 또한, 윈치(354)에는 클러치, 브레이크 등이 장착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와이어 로프(352)의 풀림 및 감김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지지 롤러(356)는 와이어 로프(352)의 하방 절곡 부위, 즉 제 1 수평 프레임(324)의 윈치(354)가 마련되는 일측과 대향되는 타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지지 롤러(356)는 와이어 로프(352)가 하방 절곡되는 것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와이어 로프(352)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지지 롤러(356)는 지름이 너무 작으면 와이어 로프(352)에 지나친 굽힘 응력이 작용할 수 있고, 폭이 너무 넓으면 와이어 로프(352)가 지지되는 영역이 일정하지 않게 되고 그에 따라 웨이트 부재(358)가 흔들릴 수 있다. 따라서, 지지 롤러(356)는 와이어 로프(352)에 굽힘 응력이 작용하지 않는 지름과 웨이트 부재(358)가 흔들리지 않을 정도의 폭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웨이트 부재(358)는 상측이 와이어 로프(352)에 연결되고 하측이 잠입부(340)의 지지축(342)에 연결된다. 웨이트 부재(358)는 그 자체의 하중으로 인하여 잠입부(340)가 다운되도록 하는 일종의 추이다. 따라서, 윈치(354)에 의해 와이어 로프(352)가 풀리면 웨이트 부재(358)가 하강하고 그에 따라 잠입부(340)가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웨이트 부재(358) 내부 또는 외부에는 진동 부재(359)가 마련될 수 있다. 진동 부재(359)에 의해 웨이트 부재(358)가 진동하고 그에 따라 잠입부(340)가 자연 하강하도록 한다. 또한, 웨이트 부재(358)의 진동에 의해 잠입부(340)가 진동하고, 잠입부(340)가 진동하면서 슬래그(110) 내에 잠입함으로써 냉각수의 침투을 더욱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래그 냉각 장치는 슬래그(110)가 수용된 슬래그 포트(100)의 일측에 냉각수 분사 장치(200)와 냉각수 침투 장치(300)가 마련된다. 냉각수 분사 장치(200)는 슬래그 포트(100)의 슬래그(110) 상에 냉각수를 분사하고, 냉각수 침투 장치(300)는 하강 및 상승하면서 슬래그 포트(100) 내의 슬래그(110) 내부로 잠입을 반복하여 슬래그(110) 상의 냉각수가 슬래그(110) 내부로 침투되도록 한다. 이렇게 냉각수가 슬래그(110) 내부로 강제로 침투되도록 함으로써 슬래그(110)의 냉각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고, 쇠가루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어 쇠가루에 의한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슬래그(110)의 냉각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어 슬래그 배재 공정을 빠르게 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슬래그 포트(100)의 회전 주기를 단축시킬 수 있어 슬래그 포트(100)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슬래그 배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흐름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래그 냉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빈 장입 래들을 천정형 크레인 등과 같은 크레인을 이용하여 대차에 안착시키고, 대차에 안착된 장입 래들에 정해진 용선량에 맞게 토피도 카 등과 같은 용선 운반 용기로부터 용선을 수선한다(S110). 이어서, 용선 탈류 작업이 수행될 수 있는데(S120), 탈류 작업에 의해 슬래그가 용선 상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용선의 상부에 위치하는 슬래그는 슬래그 배재기를 이용하여 배재되어 슬래그 포트에 수용된다(S130). 그리고, 슬래그를 수용한 슬래그 포트는 이송대차에 실려 이송되어 슬래그 냉각 장치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S140). 이어서, 슬래그 냉각 장치를 이용하여 슬래그 포트 내의 슬래그를 냉각시킨다(S15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래그 냉각 장치를 이용한 슬래그 냉각을 도 3 및 도 4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슬래그 포트(100)가 슬래그 냉각 장치에 위치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수 분사 장치(200)로부터 슬래그 포트 내의 슬래그(110) 상부로 냉각수가 분사되고, 냉각수 침투 장치(300)의 회전부(330)에 의해 잠입부(340)가 슬래그 포트(100) 상에 위치되도록 한다. 즉, 슬래그 포트(100)가 냉각수 분사 장치(200)와 냉각수 침투 장치(300) 사이의 냉각 위치에 위치하기 이전에는 냉각수 침투 장치(300)의 잠입부(340)는 잠입 위치 외측에 마련될 수 있고, 슬래그 포트(100)가 냉각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잠입부(340)가 슬래그 포트(100) 상의 잠입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부(350)에 의해 잠입부(340)가 하측으로 이동하여 잠입부(340)가 슬래그(110) 내부로 잠입하게 된다. 이때, 잠입부(340)는 수평부(346)와 복수의 포크(344)를 포함하고, 수평부(346)과 포크(344)가 잠입할 때 이들과 맞닿는 냉각수(220)가 잠입부(340)와 함께 슬래그(110) 내부로 잠입된다. 따라서, 슬래그(110) 상부의 냉각수(220)가 슬래그(110) 내부로 침투하게 된다. 그리고, 조절부(350)에 의해 잠입부(340)가 상승하여 슬래그(110) 외부로 배출되고, 잠입부(340)의 잠입 및 배출을 반복하여 냉각수가 슬래그 내부로의 침투을 더욱 원활하게 한다. 따라서, 슬래그의 냉각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예컨데, 종래에는 20톤의 슬래그를 냉각시키는데 약 16 시간이 필요하였으나, 본 발명을 이용하는 경우 약 10시간에 슬래그를 냉각시킬 수 있다. 한편, 슬래그 냉각 장치에 의해 냉각된 슬래그는 슬래그 포트로부터 배재하게 된다(S160). 그런데, 배재된 슬래그 중 냉각되지 않은 슬래그가 남아 있을 경우에는 냉각 및 배재를 반복 실시하게 된다. 이러한 슬래그 냉각 및 배재는 모든 슬래그가 냉각될 때까지 반복할 수 있는데, 슬래그가 모두 냉각되어 배재될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본 발명의 경우 약 20 시간 정도 소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차 배재에 16 시간이 소요되며, 2차 배재 및 3차 배재에 모두 4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이때, 슬래그 냉각을 반복할 때에도 냉각수 침투 장치를 이용하여 슬래그의 냉각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이렇게 냉각된 슬래그는 재화용 처리 공장으로 이송되어 재활용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 실시 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지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슬래그 포트 200 : 냉각수 분사 장치
300 : 냉각수 침투 장치 310 : 지지부
320 : 프레임부 330 : 회전부
340 : 잠입부 350 : 조절부

Claims (10)

  1. 슬래그를 수용하는 슬래그 포트;
    상기 슬래그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냉각수 분사 수단; 및
    상기 슬래그 내부로 잠입되어 상기 슬래그 상부의 냉각수가 상기 슬래그 내부로 침투되도록 하는 냉각수 침투 수단을 포함하는 슬래그 냉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침투 수단은,
    상기 슬래그 내부로 잠입되는 잠입부; 및
    상기 잠입부의 상하 이동을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슬래그 냉각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잠입부에 연결되어 자중에 의해 상기 잠입부를 하강시키는 웨이트 부재를 포함하는 슬래그 냉각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웨이트 부재와 연결되는 연결 부재; 및
    상기 연결 부재의 감김 및 풀림을 조절하는 윈치를 더 포함하는 슬래그 냉각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 부재 내부 또는 외부에 마련된 진동 부재를 더 포함하는 슬래그 냉각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잠입부는 상기 웨이트 부재와 연결된 지지축; 및
    상기 지지축과 연결되어 상기 슬래그 내부로 잠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포크를 포함하는 슬래그 냉각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침투 수단은,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수직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에 연결되며 소정 간격 이격된 제 1 및 제 2 수평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수평 프레임의 일측에 상기 윈치가 마련되고, 타측에 상기 연결 부재를 하방 절곡 및 지지하는 지지 롤러가 마련되는 슬래그 냉각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평 프레임에 마련되어 상기 지지축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슬래그 냉각 장치.
  9. 슬래그 포크 내의 슬래그 상부로 냉각수를 분사하는 단계;
    냉각수 침투 장치의 상기 슬래그 내부로의 잠입 및 이탈을 반복하여 상기 슬래그 내부로 상기 냉각수를 침투시키는 단계; 및
    상기 냉각된 슬래그를 배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슬래그 냉각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침투 및 슬래그 배재를 반복하는 슬래그 냉각 방법.
KR1020120071582A 2012-07-02 2012-07-02 슬래그 냉각 장치 및 냉각 방법 KR101415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1582A KR101415832B1 (ko) 2012-07-02 2012-07-02 슬래그 냉각 장치 및 냉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1582A KR101415832B1 (ko) 2012-07-02 2012-07-02 슬래그 냉각 장치 및 냉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912A KR20140003912A (ko) 2014-01-10
KR101415832B1 true KR101415832B1 (ko) 2014-07-04

Family

ID=50140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1582A KR101415832B1 (ko) 2012-07-02 2012-07-02 슬래그 냉각 장치 및 냉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58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4595B1 (ko) * 2016-07-22 2017-11-07 주식회사 포스코 냉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냉각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03137A (zh) * 2016-01-11 2016-05-25 广东华欣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炼钢还原渣滴水粉化控制装置及炼钢还原渣滴水粉化处理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23991A (en) * 1976-04-12 1977-10-18 Kawasaki Heavy Ind Ltd Cooling method for slag
JPH0637343U (ja) * 1992-10-22 1994-05-17 株式会社神戸製鋼所 溶融スラグの強制冷却装置
JPH06221776A (ja) * 1992-11-13 1994-08-12 Astec Irie:Kk 電気炉還元滓処理方法及び装置
JP2005256083A (ja) 2004-03-11 2005-09-22 Nippon Steel Corp 製鉄スラグの冷却処理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23991A (en) * 1976-04-12 1977-10-18 Kawasaki Heavy Ind Ltd Cooling method for slag
JPH0637343U (ja) * 1992-10-22 1994-05-17 株式会社神戸製鋼所 溶融スラグの強制冷却装置
JPH06221776A (ja) * 1992-11-13 1994-08-12 Astec Irie:Kk 電気炉還元滓処理方法及び装置
JP2005256083A (ja) 2004-03-11 2005-09-22 Nippon Steel Corp 製鉄スラグの冷却処理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4595B1 (ko) * 2016-07-22 2017-11-07 주식회사 포스코 냉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냉각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912A (ko) 2014-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27585B2 (ja) 昇降機能付き受湯台車および受湯搬送方法
KR101415832B1 (ko) 슬래그 냉각 장치 및 냉각 방법
CN110923601B (zh) 加锌装置及自动加锌锭系统
KR101667294B1 (ko) 원료 공급장치
CN103171050A (zh) 用于处理混凝土制品的方法和设备
JP2009285689A (ja) 鍋蓋搬送装置
KR101528772B1 (ko) 래들 경동식 자동주탕장치
EP3315615A1 (en) Manipulator for a ladle
EP4082689A1 (en) Molten material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KR20230031018A (ko) 운반 장치
KR101368432B1 (ko) 슬래그 냉각장치 및 냉각방법
CN203373386U (zh) 一种可实现真空室升降的rh真空精炼装置
KR101398955B1 (ko) 원심주조 시스템의 이동식 주입장치
CN106494902A (zh) 发酵池翻转出料装置
KR101423605B1 (ko) 이송 설비
KR101663190B1 (ko) 투입장치
KR200306640Y1 (ko) 쇳물 주입용 리프트
JPH08174196A (ja) 溶湯搬送装置
KR100472965B1 (ko) 쇳물 주입용 리프트
CN220334588U (zh) 基于悬臂电动葫芦机构的吊运系统
KR100868504B1 (ko) 연속주조설비의 주형내 용강 비산 방지장치
KR101321851B1 (ko) 슬래그 제거용 치구
JP4150694B2 (ja) 取鍋搬送用ローラーテーブル
CN207713332U (zh) 一种混凝土输送架
KR101470490B1 (ko) 연속주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