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9895B1 -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9895B1
KR101409895B1 KR1020070101604A KR20070101604A KR101409895B1 KR 101409895 B1 KR101409895 B1 KR 101409895B1 KR 1020070101604 A KR1020070101604 A KR 1020070101604A KR 20070101604 A KR20070101604 A KR 20070101604A KR 101409895 B1 KR101409895 B1 KR 101409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vatar image
avatar
shape
displayed
communication e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1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6423A (ko
Inventor
김미옥
류미경
허한솔
김향숙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1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9895B1/ko
Priority to US12/247,662 priority patent/US8271046B2/en
Priority to JP2008263231A priority patent/JP5460995B2/ja
Publication of KR20090036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6423A/ko
Priority to US13/572,864 priority patent/US867627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9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9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04M1/575Means for retrieving and displaying personal data about calling party
    • H04M1/576Means for retrieving and displaying personal data about calling party associated with a pictorial or graphical represen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6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called number at the calling subscriber's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은 대기화면을 표시하고, 통화 및 메시지 송수신을 포함하는 통신 이벤트의 발생시, 통신 이벤트의 통신상대자에 대응하는 아바타 이미지를 대기화면에 표시하고, 통신 이벤트의 발생량에 따라, 대기화면에 표시된 아바타 이미지 중에서 대응하는 아바타 이미지의 형태를 변화시켜 표시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통신 이벤트의 발생과 발생량 등을 대기화면에 표시된 아바타 이미지를 통해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아바타, 대기화면, 휴대 단말기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화 및 메시지 송수신 등을 포함하는 통신 이벤트와 관련된 아바타 이미지를 대기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동작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그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무선 인터넷 등과 같은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게 되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기기의 형태로 구현된 휴대 단말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적 측면에서 새로운 시도들이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 등이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개인 휴대품으로 여겨지면서,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 변화도 요구되고 있다.
그런데, 휴대 단말기에서 통화나 메시지 송수신 등을 포함하는 통신 이벤트에 대한 기록은, 대기화면에서 별도의 메뉴를 선택하여 확인해야만 한다. 또한, 메시지 송수신이나 통화기록 등의 경우 발생 순서대로 나열된 리스트 형태로 표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어떤 사람과 통화나 메시지 송수신을 하였으며, 또한 얼마나 자주 통화나 메시지 송수신을 하였는지 등을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통화나 메시지 송수신 등을 포함하는 통신 이벤트와 관련된 사항을 대기화면에서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은, 대기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통화 및 메시지 송수신을 포함하는 통신 이벤트의 발생시, 상기 통신 이벤트의 통신상대자에 대응하는 아바타 이미지를 상기 대기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이벤트의 발생량에 따라, 상기 대기화면에 표시된 아바타 이미지 중에서 대응하는 아바타 이미지의 형태를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대기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통화 및 메시지 송수신을 포함하는 통신 이벤트의 발생시, 상기 통신 이벤트의 통신상대자에 대응하는 아바타 이미지가 상기 대기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통신 이벤트의 발생량에 따라, 상기 대기화면에 표시된 아바타 이미지 중에서 대응하는 아바타 이미지의 형태가 변화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화나 메시지 송수신 등을 포함하는 통신 이벤트와 관련된 아바타 이미지를 대기화면에 표시하고, 통신 이벤트의 발생량 등에 따라 표시된 아바타 이미지의 형태를 변화시켜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통화나 메시지 송수신 등을 포함하는 통신 이벤트와 관련된 사항을 대기화면에서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대기화면에 표시된 아바타 이미지를 이용하여 통화나 메시지 송수신 등을 편리하게 실행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휴대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겠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조작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저장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3), 무선 인터넷 모듈(115), 근거리 통신 모듈(117), 및 GPS 모듈(1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이때,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나,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113)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방송수신 모듈(111)은, 이와 같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저장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3)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휴대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7)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 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119)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 모듈(121)과 마이크 모듈(1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1)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모듈(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저장부(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1)은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 모듈(123)은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3)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 모듈(123)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조작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조작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핑거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음향출력 모듈(153), 알람 출력 모듈(155)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되거나 수신된 영상 을 각각 혹은 동시에 표시할 수 있으며,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만일, 디스플레이 모듈(151)이 터치스크 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터치 스크린 패널, 터치 스크린 패널 제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 패널은 외부에 부착되는 투명한 패널로서, 휴대 단말기 내부의 버스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은 접촉 결과를 주시하고 있다가, 터치입력이 있는 경우 대응하는 신호들을 터치 스크린 패널 제어기로 보낸다. 터치 스크린 패널 제어기는 그 신호들을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하여, 제어부(180)가 터치입력이 있었는지 여부와 터치스크린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과 내부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이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음향출력 모듈(153)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저장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출력 모듈(153)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 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153)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 출력 모듈(155)은 휴대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휴대 단말기(100)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 출력 모듈(155)은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알람 출력 모듈(153)은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알람 출력 모듈(155)은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진동 출력을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이나 음향출력 모듈(153)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저장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 상에서 저장부(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 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의 예로는,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과 같은 카드 소켓,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상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더욱 살펴보겠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휴대 단말기들 중에서 전면 터치스크린이 구비되어 있는, 바 타입 휴대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바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휴대 단말기(10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0A-1)와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다. 프론트 케이스(100A-1)와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0A-1)와 리어 케이스(100A-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본체, 구체적으로 제1 프론트 케이스(100A-1)에는 디스플레이모듈(151), 제 1 음향출력모듈(153a), 제1 카메라모듈(121a), 제1 조작부(130a)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리어 케이스(100A-2)의 측면에서는 제2 조작부(130b), 제3 조작부(130), 및 마이크 모듈(123)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151)은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모듈(151)에는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디스플레이모듈(151)이 터치 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1 음향출력 모듈(153a)은 리시버 또는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카메라모듈(121a)은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 모듈(123)은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조작부(130a, 130b, 130c)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130)라 통칭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작부(13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조작부(130a)는 시작, 종료, 통화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조작부(130b)는 동작 모드의 선택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3 조작부(130c)는 휴대 단말기(100)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도 3는 도 2에 도시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리어케이스(100A-2)의 측면에서는 제4 조작부(130d), 제5 조작부(130e), 및 인터페이스부(170)가 배치될 수 있으며, 리어 케이스(100A-2)의 후면에는 제2 카메라 모듈(121b)이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제2 카메라 모듈(121b)은 제1 카메라 모듈(121a)과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카메라 모듈(121a)과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카메라 모듈(121a)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 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 카메라 모듈(121b)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카메라 모듈(121b)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5)와 거울(126)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플래쉬(125)는 제2 카메라 모듈(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6)은 사용자가 제2 카메라 모듈(121b)을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리어 케이스(100A-2)에는 제2 음향출력 모듈(미도시)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음향출력 모듈은 제1 음향출력 모듈(153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리어 케이스(100A-2)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는 리어 케이스(100A-2)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7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 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 드 소켓일 수도 있다.
그리고, 리어 케이스(100A-2) 측에는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리어 케이스(100A-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 카메라모듈(121b) 등이 리어 케이스(100A-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2 카메라 모듈(12b)이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카메라 모듈(121a)을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카메라 모듈(121b)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먼저, 도 4a를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해 대기화면 꾸미기 등과 같은 메뉴를 통해 아바타 모드가 설정되면(S200), 아바타 대기 모드로 진입하게 되고,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에 아바타 대기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S205).
아바타 대기화면에서는, 통화나 메시지 송수신 등을 포함하는 이벤트 발생시, 통화 상대방이나 메시지 송수신자 등을 포함하는 통신 이벤트의 발생시, 통화 상대방이나 메시지 송수신자 등과 같은 통신상대자에 대응하는 아바타 이미지(avatar image)가 대기화면에 표시된다. 또한, 하루 단위나 혹은 설정된 시간 단위로 발생한 통신 이벤트의 발생량에 따라 대기화면에 표시된 아바타 이미지 중에서 대응하는 아바타 이미지의 형태를 변화시켜 표시한다.
이와 같은 아바타 대기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통화나 메시지 송수신을 포함 하는 통화 이벤트가 발생하게 되면(S210), 처음 발생한 통화 이벤트인 경우, 대기화면에 통화 이벤트와 관련된 통신상대자에 대응하는 아바타 이미지를 표시한다(S220). 그리고, 이미 발생한 통화 이벤트와 통신상대자가 동일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대기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아바타 이미지 중에서 대응하는 아바타 이미지를 통화량이나 처리상태 등에 따라 대응하는 아바타 이미지의 형태를 변화시켜 표시한다(S225).
만일,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모듈(151)에 표시된 아바타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터치입력 등에 의해 선택한 경우에는(S230), 선택된 아바타 이미지가 다른 아바타 이미지와 식별가능하도록 모양을 변화시켜 표시한다(S235). 예를 들어, 선택된 아바타 이미지의 경우, 다른 아바타 이미지와 달리 손을 들고 있는 아바타 이미지로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아바타 이미지가 선택된 상태에서 통화가 요청된 경우(S240), 제어부(180)는 이동통신 모듈(113)을 제어하여, 선택된 아바타 이미지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로 통화가 요청되는 통화 송신 모드를 처리한다(S245). 또한, 메시지 송신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80)는 선택된 아바타 이미지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로 작성한 메시지가 전송되도록 하는 메시지 송신모드가 처리되도록 제어한다(S255). 그리고, 폰 북을 선택한 경우에는, 제어부(180)는 선택된 아마타 이미지와 관련된 전화번호부 목록이 표시되어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거나 편집하는 폰 북 처리 모드가 수행되도록 제어한다(S265).
도 4c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모듈(151)에 표시된 아바타 이미지 중에서 폰 북에 날씨나 기념일 등이 등록된 아바타 이미지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날씨나 기념일 등의 도래에 따라, 설정사항에 맞도록 아바타 이미지의 모양을 변환한다(S275).
만일, 아바타 이미지의 선택 외에, 다른 메뉴를 선택한 경우에는 선택된 메뉴에 대응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S285). 그리고, 다시 S255 단계의 아바타 대기화면을 표시하는 상태로 복귀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통화나 메시지 송수신 등의 발생에 따라 통신상대자에 대응하는 아바타 이미지를 표시하고, 통신 이벤트의 발생량에 따라 아바타 이미지의 형태를 변화시킴으로써, 사용자는 어떤 사람과 어느 정도의 통신이 수행되었는지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을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되는 화면과 함께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5는 아바타 모드가 설정된 경우 표시되는 아바타 대기화면의 초기화면(300)을 나타낸 것이다. 대기 화면 꾸미기 등의 메뉴에서 아바타 모드가 선택되면, 아바타 대기화면의 초기화면(300)이 표시될 수 있다. 아바타 대기화면에는 통화나 메시지 송수신 등을 포함하는 통신 이벤트에 발생시, 통신 이벤트와 관련된 통신상대자에 대응하는 아바타 이미지가 표시되고, 정해진 기간 동안의 통신 이벤트의 발생량에 따라 표시된 아바타 이미지의 형태가 변화하게 된다. 이에 의해, 기본적으로 하루 단위의 통신 이벤트에 대한 히스토리를 나타낼 수 있으며, 사용환경에 따라 아바타 이미지가 초기화되는 시간단위를 변환할 수 있다.
만일, 하루 단위로 히스토리를 나타내는 경우, 자정이나 혹은 사용자의 수면 시간을 기준으로 초기화될 수 있다. 또한, 아바타 대기화면에 표시된 아바타 이미지를 선택한 후 통화 메뉴를 선택하여 통화를 요청할 수 있으며, 기타 메시지 송신이나 폰 북(phonebook) 관련 메뉴의 실행도 가능하다.
도 5에 도시한 아바타 대기화면의 초기화면(300)의 경우, 초기화 후, 아직 아무런 통신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이 경우 사용자에 대응하는 아바타 이미지와, 날짜, 시간정보, 간단한 그날의 메시지 제공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아바타 대기화면의 초기화면(300)의 하단에는, 다른 메뉴 선택을 위한 아이콘(305), 통화를 위한 아이콘(310), 메시지 메뉴 선택을 위한 아이콘(315), 폰 북 메뉴 선택을 위한 아이콘(320) 등이 표시된다.
아바타 대기화면에 표시되는 아바타 이미지는,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족, 친구, 직장, 학교, 미지정 등과 같이 폰 북에서 그룹별로 각각 특정 아바타 이미지가 지정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새로운 형태의 아바타 이미지가 설정되어 사용할 수도 있다. 아바타 이미지는 전화번호 등록시 설정되는 그룹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지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7은 아바타 대기 화면에서 통화가 수신되는 경우 화면 변화를 나타낸다.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바타 대기화면에서 통화가 수신되면, 통화가 수신을 알리는 화면(350)이 표시된다. 이때, 하단의 통화 아이콘(357)을 선택하여, 통화 상대방과 통화가 이루어진다.
통화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통신상대자에 대응하는 아바타 이미지를 대기화 면에 표시한다. 이 경우, 통화가 이루어진 번호가 폰 북에 등록된 전화번호인 경우에는,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폰 북 등록시 지정한 그룹에 대응하는 아바타 이미지와 폰 북에 저장된 이름(365)을 표시한다. 만일, 통화가 이루어진 번호가 폰 북에 등록되지 않은 전화번호일 경우에는, 도 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지정그룹에 해당하는 아바타 이미지와 대응하는 전화번호(375)를 표시한다.
동일한 통신상대자와 여러 번의 통화가 있는 경우에는, 아바타 이미지 주변에 강아지 등과 같은 이미지를 통화 횟수에 대응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강아지 등과 같은 애완 동물의 이미지를 표시하는 대신, 통화 횟수에 따라 아바타 이미지가 다른 아바타 이미지에 비해 커지도록 표시할 수도 있다.
도 8은 아바타 대기화면에서 부재중 통화가 이루어진 경우 화면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재중 통화가 있었던 경우 이를 알리는 화면(400)이 표시된다. 사용자가 하단 'X' 아이콘(410)을 선택하게 되면 대응하는 아바타 이미지가 대기화면에 표시된다.
이 경우 부재중 통화의 전화번호가 폰 북에 등록된 전화번호인 경우,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폰 북 저장시 지정한 그룹에 해당하는 아바타 이미지, 대응하는 이름, 및 부재중 통화를 표시에 아이콘(415)을 표시한다. 또한, 부재중 통화의 전화번호가 폰 북에 등록되지 않은 전화번호인 경우, 도 8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지정 그룹에 대응하는 아바타와, 전화번호, 및 부재중 전화 표시를 나타내는 아이콘(425)을 표시한다.
또한, 도 8의 (b) 및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아바타 이미지는 앉아서 기다리는 자세로 나타낼 수 있다. 만일, 여러 개의 부재중 통화가 있는 경우에는 가장 최근의 부재중 통화정보를 보여줄 수 있다.
이와 같이, 아바타 이미지를 통해 부재중 통화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부재중 통화인 경우에도, 표시된 아바타 이미지를 선택하여, 통화요청이나 메시지 송신을 할 수 있다.
도 9는 아바타 대기화면에서 통화를 요청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51)에 표시된 아바아 이미지 중에서 어느 하나(505)를 터치입력에 의해 선택하고, 통화 아이콘(515) 을 터치하게 되면, 선택된 아바타 이미지(505)에 대응하는 통신상대자의 전화번호로 통화 연결이 요청된다.
도 9의 (c)는 선택된 아바타 이미지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로 통화 연결을 요청중인 화면(520)을 나타낸다. 도 9의 (d)는 대기화면에 표시된 여러 개의 아바타이미지를 선택한 후(535), 통화 아이콘(540)을 선택하여 다중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또한, 아바타 이미지에 통신 이벤트의 발생량에 따라 강아지 등의 이미지를 주위에 배치시켜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은 아바타 대기화면에서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시지가 수신된 상태를 나타내는 화면(600)이 표시된다. 이 경우에도, 도 10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폰 북에 등록된 번호일 경우에는 폰 북 저장시 지정한 그룹에 해당하는 아바타 이미지, 명칭, 및 메시지 아이콘(615)을 표시한다. 만일, 폰 북에 저장된 전화번호가 아닌 경우에는, 미지정 그룹에 해당하는 아바타 이미지, 메시지 아이콘, 및 전화번호(625)가 표시된다.
수신된 메시지를 읽지 않은 경우에는, 도 10의 (b) 및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바타 이미지는 앉아서 기다리는 자세로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아바타 이미지를 선택하면, 도 10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앉아있던 아바타 이미지의 자세가 손을 흔들며 서있는 상태로 바뀌고 메시지 내용을 표시한다(635).
메시지가 확인된 경우 앉아 있던 아바타 이미지는 서 있는 아바타 이미지로 표시한다. 그리고, 여러 개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에는 가장 최근의 메시지 순으로 정보를 보여줄 수 있다.
도 11은 아바타 대기화면에서 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1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된 아바타 이미지 중에서 어느 하나(655)를 터치입력에 의해 선택하고, 메시지 아이콘(605)을 터치하면, 도 11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은, 메시지 작성 화면(670)이 표시된다. 메시지 작성 화면(670)에서 메시지 작성이 끝난 후, 메시지 전송(675)이 선택되면, 선택된 아바타 이미지에 대응하는 통신상대자에게 메시지가 전송된다. 도 11의 (d)는 메시지가 전송중인 상태를 나타내는 화면(680)을 표시한다.
도 11의 (d)는 대기화면에 표시된 여러 개의 아바타를 선택한 후(695), 메시지 아이콘(697)을 선택하여 여러 사람에게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12는 폰 북 관련 메뉴를 선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된 아바타 이미지 중에서 어느 하나(705)를 터치입력에 의해 선택한 후, 폰 북 아이콘(710)을 터치하게 되면, 도 12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택한 아바타 이미지에 대응하는 통신상대자의 프로필(profile )정보를 보여준다. 이때, 프로필 정보는 전화번호부 등록시 입력된 정보이다. 만일, 화면 하단의 'Edit'(725)을 선택하게 되면, 입력필드로 바뀌고 정보를 수정할 수 있다.
또한, tab 영역에서 'You & me'를 선택하면, 도 12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와 통신상대자와의 통화/메시지 히스토리를 모두 볼 수 있다. 옵션메뉴를 통해 리스트형과 대화문자형으로 보기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상대방 중심의 정보 페이지이므로 리스트 정렬시 시선이 먼저 가는 왼쪽에 상대방 아바타 이미지를 위치시키고, 오른쪽에 사용자 아바타 이미지를 위치시킬 수 있다. 읽을 메시지를 리스트에서 선택하면 리스트상태에서 메시지내용이 표시된다. 이때, 다음 리스트들 아래 방향으로 밀리면서 보여주기 혹은 확인하면 메시지 보기화면으로 이동 등다양한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13은 생일과 같은 특정 날씨에 연동된 아바타 이미지가 존재하는 경우 화면(800)을 나타낸다. 도 13을 참조하면, 폰 북 저장시 생일정보가 입력된 경우, 등록된 생일에 연동하여, 도 13의 (a)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생일인 아바타 이미지에 생일 정보를 알리는 풍선 등이(805) 등이 표시된다.
도 13의 (b)는 날씨 정보에 연동하여 아바타 이미지가 변경되는 화면(810)을 나타낸다, 도 13의 (b)의 경우, 비오는 날에 비오는 테마로서, 아바타 이미지에 우산 씌우기 등으로 나타낸 경우이다. 이외에도, 바람 부는 날은 바람부는 테마로서, 아바타 이미지의 배경으로 바람에 흔들리는 나무를 표시하거나, 머리가 휘날리는 아바타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고, 맑은 날에는 맑은 날 테마로, 아바타 이미지에 그림자가 생기도록 표시할 수 있다.
도 13의 (c)는 이벤트 데이(event day) 정보에 연동하여 아바타 이미지가 변경된 화면(820)을 나타낸다. 도 13의 (c)의 경우, 할로윈 데이(halloween day)의 경우, 호박 가명을 쓴 아바타 이미지로 표시된 화면을 나타낸다. 이외에도, 12 월 25일 크리스마스에 도달한 경우, 눈 내리는 테마와 아바타 이미지, 혹은 산타 모자를 쓴 아바타 이미지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이외에도, 아이들(Idle) 상태에서, 아바타 이미지가 랜덤한 동작을 나타내도록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바타 이미지가 풍선 불기, 강아지 먹이 먹이기, 강아지 오줌싸기, 강아지 땅파기, 낙서하기, 휘파람 불기, 체조하기, 하트 날리기 등과 같은 재미있는 아바타 이미지 동작들이 표시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살아있는 재미 요소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MSM(Mobile Station Modem)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 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그리고
도 5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을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되는 화면과 함께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무선 통신부 120 : A/V 입력부
130 : 조작부 140 : 센싱부
150 : 출력부 160 : 저장부
170 : 인터페이스부 180 : 제어부

Claims (20)

  1. 폰 북에 등록된 제1 상대방을 나타내는 제1 아바타 이미지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복수의 아바타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아바타 이미지와 관련된 통신 이벤트의 발생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이벤트 검출 시, 상기 통신 이벤트의 발생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상기 제1 아바타 이미지의 모양을 제1 액션을 지시하는 제1 모양에서 제2 액션을 지시하는 제2 모양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바타 이미지는 대기 화면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바타 이미지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경우, 상기 제1 아바타 이미지의 모양을 상기 제2 모양에서 상기 제1 모양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바타 이미지는 사람의 액션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바타 이미지는, 상기 제1 아바타 이미지와 관련된 통신 이벤트의 발생량에 따라 서로 다른 방식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바타 이미지와 함께, 상기 제1 아바타 이미지와 관련된 통신 이벤트의 발생량에 대응하는 복수의 객체들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미리 결정된 날 도래 시, 상기 제1 아바타 이미지의 모양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날씨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아바타 이미지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폰 북에 등록된 전화 번호 그룹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모양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바타 이미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이벤트의 상대방 전화 번호가 상기 폰 북 내에 등록된 경우, 상기 폰 북 내에 등록된 전화 번호 그룹을 나타내는 아바타 이미지와, 상기 폰 북 내에 등록된 이름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이벤트의 상대방 전화 번호가 상기 폰 북 내에 미등록된 경우, 상기 폰 북 내에 미등록된 전화 번호임을 나타내는 아바타 이미지와 상기 상대방 전화번호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이벤트는 통화 또는 메시지 송/수신 이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복수의 아바타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아바타 이미지에 대응하는 상대방에게 통화를 개시하거나 혹은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복수의 아바타 이미지들 중 적어도 두 개의 아바타 이미지들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아바타 이미지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상대방들에게 통화를 동시에 개시하거나 혹은 메시지를 동시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복수의 아바타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아바타 이미지와 관련된 폰 북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및
    상기 폰 북 모드에서, 상기 선택된 아바타 이미지에 대응하는 상대방의 프로필 정보를 편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와 상기 선택된 아바타 이미지에 대응하는 상대방 사이에 발생한 통신 이벤트의 이력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17. 적어도 하나의 타 단말기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
    폰 북에 등록된 제1 상대방을 나타내는 제1 아바타 이미지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복수의 아바타 이미지들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1 아바타 이미지와 관련된 통신 이벤트의 발생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통신 이벤트의 발생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상기 제1 아바타 이미지의 모양을 제1 액션을 지시하는 제1 모양에서 제2 액션을 지시하는 제2 모양으로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바타 이미지는 대기 화면에 표시되고, 사람의 액션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바타 이미지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아바타 이미지의 모양을 상기 제2 모양에서 상기 제1 모양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아바타 이미지와 관련된 통신 이벤트의 발생량에 따라 상기 제1 아바타 이미지를 서로 다른 방식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070101604A 2007-10-09 2007-10-09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409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1604A KR101409895B1 (ko) 2007-10-09 2007-10-09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US12/247,662 US8271046B2 (en) 2007-10-09 2008-10-08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JP2008263231A JP5460995B2 (ja) 2007-10-09 2008-10-09 携帯端末機及びその動作制御方法
US13/572,864 US8676272B2 (en) 2007-10-09 2012-08-13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1604A KR101409895B1 (ko) 2007-10-09 2007-10-09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6423A KR20090036423A (ko) 2009-04-14
KR101409895B1 true KR101409895B1 (ko) 2014-06-20

Family

ID=40534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1604A KR101409895B1 (ko) 2007-10-09 2007-10-09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8271046B2 (ko)
JP (1) JP5460995B2 (ko)
KR (1) KR1014098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0168A (ko) * 2021-05-03 2022-11-10 박윤학 온라인 친구관리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880B1 (ko) * 2006-12-13 2008-06-19 (주)이엑스쓰리디 아이콘을 이용한 사용자별 통신량 표시 방법 및 이를이용한 통신 단말기
US8775391B2 (en) * 2008-03-26 2014-07-08 Zett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anonymous user profiles with a third party
US20100131878A1 (en) * 2008-09-02 2010-05-27 Robb Fujioka Widgetized Avatar And A Method And System Of Creating And Using Same
US9313309B2 (en) * 2008-12-11 2016-04-12 Nokia Technologies Oy Access to contacts
US20100269053A1 (en) * 2009-04-15 2010-10-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Method for security and market surveillance of a virtual world asset through interactions with a real world monitoring center
KR101590340B1 (ko) * 2009-10-09 2016-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송수신 장치 및 방법
JP5327017B2 (ja) * 2009-11-24 2013-10-30 ソニー株式会社 遠隔操作装置、遠隔操作システム、遠隔操作装置による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1160375A (ja) * 2010-02-04 2011-08-18 Fujitsu Toshiba Mobile Communications Ltd 通信端末
JP5134653B2 (ja) * 2010-07-08 2013-01-30 株式会社バンダイナムコゲームス プログラム及びユーザ端末
US8929956B2 (en) * 2010-09-28 2015-01-06 Nec Casio Mobile Communications, Ltd. Data communication terminal,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data processing method therefor
JP2012079073A (ja) * 2010-09-30 2012-04-19 Nifty Corp ブログ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
JP2012114897A (ja) * 2010-11-02 2012-06-14 Nikon Corp 通信システムおよび電子機器
US9007421B2 (en) * 2011-06-21 2015-04-14 Mitel Networks Corporation Conference call user interface and methods thereof
US8559980B2 (en) * 2011-09-02 2013-10-15 John J. Pujol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ed messaging and location services
US20130212184A1 (en) * 2012-02-10 2013-08-15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Pertaining to the Use of Identifying Images for Social Content Sources
EP2627045A1 (en) * 2012-02-10 2013-08-14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pertaining to the use of identifying images for social content sources
KR101442551B1 (ko) * 2012-10-15 2014-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40122458A (ko) * 2013-04-10 2014-10-2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 장치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JP6225469B2 (ja) * 2013-04-26 2017-11-08 株式会社ニコン 装置、情報処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397720B1 (ja) * 2013-04-26 2014-01-22 株式会社Kpiソリューションズ プログラム、情報処理端末、及び情報処理方法
US9325936B2 (en) 2013-08-09 2016-04-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Hybrid visual communication
US9998705B2 (en) * 2013-08-09 2018-06-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Hybrid visual communication
RU2633597C2 (ru) * 2013-08-30 2017-10-16 Йота Девайсез Ипр Лтд Система отображения оповещений и способ замены контента оповещения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изображений
US20150287403A1 (en) * 2014-04-07 2015-10-08 Neta Holzer Zaslansky Device, system, and method of automatically generating an animated content-item
KR101610872B1 (ko) * 2014-08-04 2016-05-12 티더블유모바일 주식회사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20766B1 (ko) * 2014-09-03 2021-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메시지를 구성하는 전자 장치와 방법 및 메시지를 수신하여 실행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와 방법
CN106713811B (zh) * 2015-11-17 2019-08-13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视频通话方法和装置
KR101695706B1 (ko) * 2016-01-25 2017-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송수신 장치 및 방법
JP6250779B1 (ja) * 2016-12-26 2017-12-20 株式会社コロプラ 仮想空間を介して通信するためにコンピュータで実行される方法、当該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CN109358923B (zh) * 2018-08-29 2024-04-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虚拟机器人形象的呈现方法及装置
US10964082B2 (en) 2019-02-26 2021-03-30 Snap Inc. Avatar based on weath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9469A (ja) * 2000-05-26 2001-12-07 Fujitsu Ltd 通信装置
JP2005078427A (ja) * 2003-09-01 2005-03-24 Hitachi Ltd 携帯端末及びコンピュータ・ソフトウエア
JP2007074652A (ja) * 2005-09-09 2007-03-22 Nikon Corp プロジェクタ付き携帯電話機、プロジェクタ付きカメラ
JP2007129609A (ja) * 2005-11-07 2007-05-24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通信端末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03533B2 (ja) * 1997-06-20 2007-04-11 ソニー株式会社 表示方法及び通信装置
JPH11285043A (ja) * 1998-03-27 1999-10-15 Kokusai Electric Co Ltd 無線選択呼出受信機
JP2000341396A (ja) * 1999-05-31 2000-12-08 Denso Corp 通信端末装置
JP2001309074A (ja) * 2000-04-21 2001-11-02 Cybird Co Ltd 携帯電話機
JP2002208994A (ja) * 2001-01-04 2002-07-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情報端末、携帯情報端末における画面表示方法および記録媒体
JP2002278891A (ja) * 2001-03-16 2002-09-27 Ntt Docomo Kansai Inc 電子メール着信通知システム、携帯端末装置、中央装置、メールクライアント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03248841A (ja) * 2001-12-20 2003-09-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バーチャルテレビ通話装置
JP2004304719A (ja) * 2003-04-01 2004-10-28 Nec Corp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移動端末装置
JP2005072958A (ja) * 2003-08-25 2005-03-17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携帯端末
US7697960B2 (en) * 2004-04-23 2010-04-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displaying status information on a mobile terminal
KR100557130B1 (ko) * 2004-05-14 200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아바타 움직임 편집이 가능한 단말기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9469A (ja) * 2000-05-26 2001-12-07 Fujitsu Ltd 通信装置
JP2005078427A (ja) * 2003-09-01 2005-03-24 Hitachi Ltd 携帯端末及びコンピュータ・ソフトウエア
JP2007074652A (ja) * 2005-09-09 2007-03-22 Nikon Corp プロジェクタ付き携帯電話機、プロジェクタ付きカメラ
JP2007129609A (ja) * 2005-11-07 2007-05-24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通信端末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0168A (ko) * 2021-05-03 2022-11-10 박윤학 온라인 친구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615480B1 (ko) * 2021-05-03 2023-12-19 박윤학 온라인 친구관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271046B2 (en) 2012-09-18
US8676272B2 (en) 2014-03-18
JP5460995B2 (ja) 2014-04-02
US20120309460A1 (en) 2012-12-06
JP2009095030A (ja) 2009-04-30
KR20090036423A (ko) 2009-04-14
US20090098911A1 (en) 2009-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9895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341504B1 (ko)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에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생성방법
KR101470543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487528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090032559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90107793A (ko) 가변 메뉴 아이콘을 사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00505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529222B1 (ko) 상대 단말기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KR101418510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47629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521220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484785B1 (ko) 휴대 단말기 및 이의 동작 제어 방법
KR10149023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공유방법
KR101412148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617285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00046574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590358B1 (ko) 블록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381934B1 (ko) 모드 설정키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506487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02810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450548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09138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632880B1 (ko) 분리형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392923B1 (ko) 간편한 정보 입력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1488392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