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8987B1 - 힌지식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유연성 디스플레이 - Google Patents

힌지식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유연성 디스플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8987B1
KR101408987B1 KR1020097010960A KR20097010960A KR101408987B1 KR 101408987 B1 KR101408987 B1 KR 101408987B1 KR 1020097010960 A KR1020097010960 A KR 1020097010960A KR 20097010960 A KR20097010960 A KR 20097010960A KR 101408987 B1 KR101408987 B1 KR 101408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support
flexible display
stick
rigid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0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6996A (ko
Inventor
데이비드 제이.이. 베멜만스
헨드릭 디르크 비서르
미하엘 요하네스 안나 마리아 발터스
요하네스 코르넬리스 안토니우스 뮐러
조제프 크리스티안 마티유 베르슬레거스
Original Assignee
크리에이터 테크놀로지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리에이터 테크놀로지 비.브이. filed Critical 크리에이터 테크놀로지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090076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6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8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8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Display Devices Of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랩 디스플레이 시스템(50)은 스틱(70), 스틱(70) 둘레로 랩핑되도록 구조적으로 구성된 유연성 디스플레이(60), 및 유연성 디스플레이(60)를 지지하도록 구조적으로 구성된 힌지식 프레임을 채택한다. 유연성 디스플레이(60)는, 유연성 디스플레이(60)의 저장을 위하여 스틱(70) 둘레로 랩핑되고, 또한 유연성 디스플레이의 작동을 위하여 스틱(70) 둘레로부터 랩핑해제된다. 힌지식 프레임은, 유연성 디스플레이(60)가 스틱(70) 둘레에 랩핑됨에 대응하여 스틱(70)에 대한 저장 위치에 유연성 디스플레이(6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곡선형 구성형태, 및 유연성 디스플레이(60)가 스틱(70) 둘레로부터 랩핑해제되는 것에 대응하여 스틱(70)에 대한 작동 위치에 유연성 디스플레이(60)를 고정시키기 위한 평면적 구성형태를 갖는다.

Description

힌지식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유연성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supported by hinged fram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유연성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유연성 디스플레이를 랩 디스플레이 시스템(wrap display system)으로 효과적으로 통합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
롤링 디스플레이 시스템(rolling display system)은 현재 유연성 디스플레이를 채택하는데, 그 유연성 디스플레이는 내부에의 저장을 위하여 케이스 내로 롤링(rolling)되어 들어가고 또한 유연성 디스플레이의 작동을 위하여 케이스 밖으로 롤링해제(unrolling)되어 나온다. 이러한 롤링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일 예는 미국특허출원공개 2002/0196205 A1에 개시되어 있다. 케이스 내에서, 유연성 디스플레이는 케이스 내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구동 구성요소 주위로 롤링될 수 있는바, 유연성 디스플레이의 롤링 반경은 케이스 내의 움직일 수 없는 디스플레이 구동 구성요소를 지원하기에 충분히 크거나, 그리고/또는 케이스 내의 디스플레이 구동 구성요소들 간의 움직임이 유연성 디스플레이의 롤링/롤링해제를 허용할 것이 요구된다. 유연성 디스플레이의 이와 같은 롤링/롤링해제에 관한 단점은, 최소의 비용으로 최고의 케이스 휴대성을 달성하는 목적에 있어서, 최소의 치수들을 갖는 케이스의 최적 형상의 구성에 있어서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상기 단점에 대한 일 해결안은 랩 디스플레이 시스템(wrap display system)인데, 랩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유연성 디스플레이의 저장을 위하여 스틱(stick) 둘레로 랩핑(wrapping)되고 또한 유연성 디스플레이의 작동을 위하여 스틱으로부터 랩핑해제(unwrapping)되는 유연성 디스플레이를 갖는다. 스틱으로부터 유연성 디스플레이가 랩핑해제되는 것은, 유연성 디스플레이의 적합한 가독성(readability)을 좋게 하기 위하여, 유연성 디스플레이가 편평하고 또한 직선 형태일 것을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디스플레이 산업계는 유연성 디스플레이의 적합한 가독성을 달성하기 위한 측면에서, 유연성 디스플레이를 디스플레이 시스템 내로 통합시키는 것을 개선하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새롭고 독창적인 구조적 형태를 갖는 랩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하는바, 그 랩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유연성 디스플레이의 저장을 위하여 스틱 둘레로 랩핑되고 또한 유연성 디스플레이의 작동을 위하여 스틱으로부터 랩핑해제되는 유연성 디스플레이를 구비한다. 랩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유연성 디스플레이를 지지하도록 구조적으로 구성된 힌지식 프레임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에서, 그 힌지식 프레임은, 유연성 디스플레이가 스틱 둘레로 랩핑됨에 대응하여 유연성 디스플레이를 스틱에 대한 저장 위치에 고정시키는 곡선형 구성형태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에서, 그 힌지식 프레임은, 유연성 디스플레이가 스틱으로부터 랩핑해제됨에 대응하여 유연성 디스플레이를 스틱에 대한 작동 위치에 고정시키는 평면적 구성형태를 갖는다.
본 발명의 앞선 형태들은 물론 다른 특징과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는, 하기의 다양한 실시예에 관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명확하게 될 것이다. 상세한 설명과 도면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 및 청구범위에 기재된 것과 동등한 것에 의하여 정의된다.
도 1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유연성 디스플레이 포일(flexible display foil)의 일 실시예에 관한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유연성 디스플레이 포일을 지지하는 힌지식 견고 베이스(hinged rigid base)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 및 도 4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유연성 디스플레이 포일의 평면적 구성형태 및 곡선형 구성형태의 측면도들이 도시되어 있고;
도 5 및 도 6 에는 본 발명에 따라서,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유연성 디스플레이를 곡선 위치 및 평면 위치에 각각 지지하는 힌지식 견고 베이스의 제1 실시예의 측면도들이 도시되어 있고;
도 7 및 도 8 에는 본 발명에 따라서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유연성 디스플레이를 곡선 위치 및 평면 위치에 각각 지지하는 힌지식 견고 베이스의 제2 실시예의 측면도들이 도시되어 있고;
도 9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틱의 제1 실시예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틱의 제2 실시예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 및 도 12 에는 본 발명에 따른 랩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1 실시예가 저장 상태 및 작동 상태 각각에 있는 사시도들이 도시되어 있고;
도 13 및 도 14 에는 도 11 및 도 12 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랩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개별적 측면도들이 도시되어 있고;
도 15 에는 본 발명에 따른 랩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2 실시예가 작동 상태에 있는 것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6 및 도 17 에는 도 15 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랩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저장 상태 및 작동 상태 각각에 있는 것의 측면도들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독창적인 일 원리는, 스틱 둘레로 랩핑 및 랩핑해제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커버(display cover)와 유연성 디스플레이의 통합을 포함하는 유연성 디스플레이 포일을 구조적으로 형태구성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유연성 디스플레이와 디스플레이 커버의 통합에 관하여 어떠한 제한이나 한계를 두지 않는다. 따라서, 여기에서 "통합(integration)"이라는 용어는, 널리 유연성 디스플레이와 디스플레이 커버를 단일의 유닛(unit)으로 조립하는 것으로 정의되는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커버의 외부 표면 상에 유연성 디스플레이를 장착시키는 것, 다층으로된 디스플레이 커버 내에 유연성 디스플레이를 배치시키는 것(이 경우, 유연성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커버의 투명 창 또는 개방 창을 통하여 보여질 수 있음)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커버와 유연성 디스플레이의 구조 형태 및 재료 조성에 관하여 어떠한 제한이나 한계를 두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유연성 디스플레이는 현재 폴리머 비젼(Polymer Vision Ltd.)이라 불리는 회사에 의해 제공되는 기기일 수 있는데, 그것은 베이스로서 기능하는 얇은/유기성 필름의 후방층, 유연성 디스플레이의 이미지를 구동하기 위한 능동형 매트릭스(active matrix)로서 기능하는 유기성 전극들의 중간층, 및 플라스틱 시트 상에 인쇄된 전자 잉크의 상부층으로 구성된다.
실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유연성 디스플레이 포일의 특정 구현예는 본 발명의 상업적 구현에 의존적이고, 따라서 한계가 없다. 하기의 도 1 에 관한 설명은 앞서 언급된 본 발명의 제1의 독창적 원리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유연성 디스플레이 포일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제시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연성 디스플레이 포일(20)은 디스플레이 커버(22)의 디스플레이 섹션(display section; 23)에 대해 통합된 디스플레이 커버(22)와 유연성 디스플레이(21)를 채택한다. 디스플레이 커버(22)의 부착 섹션(attachment section; 24)은 스틱에 대해 유연성 디스플레이 포일(20)을 임의의 통상적인 방식으로 결합시킴을 가능하게 한다. 부착 섹션(24)은, 스틱의 주변부보다 크거나 같거나 또는 작게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부착 섹션(24)의 일부분은 스틱의 인터페이스 표면 및/또는 외부 표면에 결합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부착 섹션(24)의 일부분 또는 전체는 스틱 둘레로 영구적으로 랩핑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커버(22)의 선택적인 제어 섹션(control section; 25)은 필요에 따라 유연성 디스플레이(21)의 제어를 위한 키보드 또는 임의의 다른 형태의 메카니즘의 구성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독창적인 원리는, 유연성 디스플레이가 스틱 둘레로 랩핑된 때에, 유연성 디스플레이를 스틱(즉, 원형, 타원형, 둥근 모서리를 갖는 사각형, 둥근 모서리를 갖는 정사각형, 또는 임의의 다른 곡선형 단면을 갖는 튜브 형태를 갖는 몸체)에 대한 저장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곡선형 구성형태를 갖는 힌지식 프레임을 구조적으로 형태구성하는 것이다. 힌지식 프레임은 본 발명의 두 번째 창의적인 원리에 따라 구조적으로 더 형태구성되는바, 그것은 유연성 디스플레이가 스틱 둘레로부터 랩핑해제된 때에 유연성 디스플레이를 스틱에 대한 작동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평면적 구성형태(즉, 유연성 디스플레이의 관찰 스크린이 단일 평면 내에 있는 편평하고 직선형의 구성형태)를 갖는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힌지식 프레임의 구조적 구성형태 및 재료 조성에 관하여 어떠한 제한이나 한계를 두지 않는다. 따라서, 실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힌지식 프레임의 특정 구현예가 본 발명의 상업적 구현에 의존할 수 있고, 그러므로 제한이 없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힌지식 프레임은 유연성 디스플레이를 지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힌지 지지부(hinge support) 및 하나 이상의 견고 베이스 지지부(rigid base support)를 채택한다. 도 2 에 관한 하기의 설명은, 두 개의 견고 베이스 지지부와 두 개의 힌지 지지부를 채택하는 힌지식 프레임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제공한다.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힌지식 프레임(30)은 부착 섹션(24)이 힌지식 프레임(30)에 의하여 방해받지 않은 채로 유연성 디스플레이 포일(20)을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힌지식 프레임(30)은 두 개의 견고 베이스 지지부들(31, 32) 및 두 개의 힌지 지지부들(33, 34)을 채택하며, 각 지지부(31-34)는 유연성 디스플레이 포일(20)을 가로질러 수직으로 연장된다. 힌지 지지부(33)는 견고 베이스 지지부(31)에 힌지결합되는바, 이로써 힌지 지지부(33)가 견고 베이스 지지부(31)에 대해 피봇할 수 있다. 또한 힌지 지지부(33)는 스틱에 힌지 결합될 수 있는바, 이로써 힌지 지지부(33)는 스틱에 대해서도 추가적으로 피봇가능할 수 있다. 힌지 지지부(34)는 견고 베이스 지지부들(31, 32)에 힌지결합되는바, 이로써 힌지 지지부(33)는 견고 베이스 지지부들(31, 32)에 대해 피봇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힌지식 프레임의 힌지 지지부들 및 견고 베이스 지지부들 간의 피봇적인 상호작용을 상세히 도시하기 위하여, 도 3 에는 유연성 디스플레이의 곡선형 프로파일(profile)로 있는 유연성 디스플레이의 세 개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display segment)들(DS1-DS3)이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에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들(DS1, DS3)은 평면적 형상을 가지며 디스플레이 세그먼트(DS2)는 스틱 둘레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DS2)를 균일하게 랩핑하도록 설계된, 대략적으로 일정한 반경(R1)을 갖는 곡선형 형상으로 있다. "대략적으로 일정한 반경(R1)"이라 함은, 디스플레이 세그먼트(D2)의 반경(R1)이 일정한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반경은 인접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DS1, DS3)와의 연결부와 양 연결부들 사이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D2)의 중간부 사이에서 대략 최대 35%의 편차를 보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편차가 있는 채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DS2)의 프로파일은 스틱의 단부 부분의 프로파일에 부합하게 되고, 디스플레이 세그먼트(DS2)를 스틱 둘레로 균일하게 랩핑하는 것이 여전히 가능하다. 더 큰 편차는 디스플레이의 손상 위험이 너무 커지게 되고 스틱의 체적이 허용되지 못할 정도로 되는 것을 초래할 것이다. 제조상의 이유로 인하여 R1 의 편차는 대략 3-6% 이다. 대안적으로는, 디스플레이 세그먼트(DS2)가 실질적으로 타원형의 아치를 보일 수 있는데, 이 때 이웃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들(DS1, DS3)과의 연결부로부터는 대략적으로 일정하게 국부적으로 작은 R1 을 가지고, 세그먼트(DS2)의 중간부에서는 보다 큰 R1 을 가질 수 있다. 이 구성형태에서도, 디스플레이 세그먼트의 프로파일은 스틱의 단부 부분의 프로파일에 부합하게 되는데, 그것은 상측에서 어느 정도 평탄하게 된 표면을 보인다. 한편, 도 4 에는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들(DS1-DS3) 모두가 평면적 형상을 갖는, 평면형 프로파일에 있는 유연성 디스플레이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들(DS1 ,DS3)은 힌지식 프레임의 견고 베이스 지지부들에 인접하여 부착되고, 그러므로 유연성 디스플레이가 스틱 둘레로 랩핑되어 있는지 또는 그 둘레로부터 랩핑해제되어 있는지에 무관하게 언제나 평면적 프로파일로 있을 것이다. 이와는 달리, 디스플레이 세그먼트(DS2)는 힌지식 프레임의 힌지 지지부에 인접하되 부착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세그먼트(DS2)의 단부지점들로서 부착 지점들(AP1, AP2)을 식별하는 것이, 디스플레이 세그먼트(DS2)가 도 3 에 도시된 곡선형 프로파일로 됨에 대응하여 그 전체 길이(L1)에 걸쳐서 인접한 힌지 지지부 내로 균일하게 넣어지는 것을 확실하게 하고, 또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DS2)가 도 4 에 도시된 평면형 프로파일로 됨에 대응하여 그 전체 길이(L1)에 걸쳐서 인접한 힌지 지지부에 대해 편평하고 직선적으로 되는 것을 확실하게 하는 것에 필수적이다.
구체적으로, 도 5 에는, 힌지 지점(HP1)에서 견고 베이스 지지부(BS1)에 힌지결합된 아치 세그먼트(arch segment)(AS1), 및 힌지 지점(HP3)에서 견고 베이스 지지부(BS2)에 힌지결합된 아치 세그먼트(AS2)를 구비한 힌지 지지부가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아치 세그먼트들(AS1, AS2)은 힌지 지점(HP2)에서 힌지결합된다. 힌지 지점들(HP1, HP3) 간의 거리(D1)는 아치 세그먼트(AS1)를 가로질러 연장된다. 힌지 지점들(HP2, HP3) 간의 거리(D2)는 아치 세그먼트(AS2)를 가로질러 연장된다. 부착 지점(AP1)과 힌지 지점(HP1) 사이의 거리(D3)(도 6 에 도시됨)는 견고 베이스 지지부(BS1)를 따라 연장되는데, 여기에서 D3 > 0 이다. 그리고 부착 지점(AP2)과 힌지 지점(HP3) 사이의 거리(D4)(도 6 에 도시됨)는 견고 베이스 지지부(BS2)를 따라 연장되는데, 거리(D4)는 거리(D3)과 동등한 것이 바람직하다.
아치 세그먼트들(AS1, AS2)이 닫힌 상태에 있음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세그먼트(DS2)가 도 5 에 도시된 곡선형 형상을 갖는 때에 디스플레이 세그먼트(DS2)가 그 전체 길이(L1)에 걸쳐서 아치 세그먼트들(AS1, AS2) 내로 균일하게 넣어지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그리고 아치 세그먼트들(AS1, AS2)이 열린 상태에 있음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세그먼트(DS2)가 도 6 에 도시된 평면형 형상을 갖는 때에 디스플레이 세그먼트(DS2)가 그 전체 길이(L1)에 걸쳐서 아치 세그먼트들(AS1, AS2)에 대해 편평하고 직선형으로 있게 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거리들(D1-D4)의 합은 디스플레이 세그먼트(DS2)의 길이(L1)와 동등하여야 한다.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 의 지식을 가진 자는 아치 세그먼트(AS1) 및 아치 세그먼트(AS2)의 랩핑된 반경이 디스플레이 세그먼트(DS1)(도 3 참조)의 랩핑된 반경(R1)에 기초하고 또한 거리(D3, D4)를 결정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추가적인 예로서, 도 7 및 도 8 에는 힌지 지점(HP4)에서 견고 베이스 지지부(BS1)에 힌지결합되고 또한 힌지 지점(HP5)에서 견고 베이스 지지부(BS2)에 힌지결합된 단일의 아치 세그먼트(AS3)를 구비한 힌지 지지부가 도시되어 있다. 힌지 지점들(HP4, HP5) 사이의 거리(D5)는 아치 세그먼트(AS3)를 가로질러 연장된다. 부착 지점(AP3)과 힌지 지점(HP4) 사이의 거리(D6)는 견고 베이스 지지부(BS1)를 따라 연장되는데, D6 > 0 이다. 그리고, 부착 지점(AP4)과 힌지 지점(HP5) 간의 거리(D7)는 견고 베이스 지지부(BS2)를 따라 연장되며, 거리(D7)는 거리(D6)와 동등한 것이 바람직하다.
아치 세그먼트(AS3)가 닫힌 상태에 있음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세그먼트(DS2)가 도 7 에 도시된 곡선형 형상을 갖는 때에 디스플레이 세그먼트(DS2)가 그 전체 길이(L1)에 걸쳐서 아치 세그먼트(AS3) 내로 균일하게 넣어지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그리고 아치 세그먼트(AS3)가 열린 상태에 있음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세그먼트(DS2)가 도 8 에 도시된 평면형 형상을 갖는 때에 디스플레이 세그먼트(DS2)가 그 전체 길이(L1)에 걸쳐서 아치 세그먼트(AS3)에 대해 편평하고 직선형으로 있게 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거리들(D5-D7)의 합은 디스플레이 세그먼트(DS2)의 길이(L1)와 동등하여야 한다.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아치 세그먼트(AS3)의 반경이 디스플레이 세그먼트(DS2)의 랩핑된 반경(R1)(도 3 참조)에 기초하고 또한 거리(D2, D3)를 결정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세 번째 독창적인 원리는, 스틱 둘레로부터 유연성 디스플레이 포일을 랩핑해제시키거나 스틱 상에 유연성 디스플레이 포일(예를 들어, 도 1 참조)을 랩핑할 때에 스틱의 내부 구성요소들 및 외부 구성요소들의 어떠한 움직임도 필요로 하지 않고 그 외부 구성요소들(예를 들어, 버튼들 및 인터페이스 슬롯들)과 그 내부 구성요소들(예를 들어, 구동 전자부품들, 커넥터들, 등)의 최적의 구조적 구성형태를 지원하도록 스틱(예를 들어, 둘레에 물체를 랩핑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형태의 중공형 몸체)을 구조적으로 형태구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스틱의 구성요소들의 구조적 구성형태 및 재료 조성에 대하여 어떠한 제한이나 한계를 두지 않는다. 따라서, 실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스틱의 특정적 구현예가 본 발명의 상업적 구현에 의존적일 수 있고, 그러므로 제한이 없다. 도 9 및 도 10 에 관한 하기의 설명은 앞서 언급된 본 발명의 세번째 독창적인 원리를 포함하는 스틱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제시한다.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 실시예에서, 스틱(40)은 내부에 공동(cavity; 42)을 한정하는 원통형 하우징(41)을 채택하는데, 이것은 내부 구성요소들을 표준적 구성형태(예를 들어, 인쇄 회로 기판)로 고정하여 통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원통형 하우징(41)의 단면은 원형, 타원형, 둥근 모서리를 구비한 사각형, 둥근 모서리를 구비한 정사각형, 또는 임의의 다른 곡선형 단면일 수 있고, 임의의 지점에서 원통형 하우징(41)의 외측 반경은 본 발명에서 채택된 유연성 디스플레이의 최소 롤-업 반경(roll-up radius)보다 작지 않아야 한다. 또한, 하우징(41)은 그것의 내부 구성요소들 중 임의의 것을 교체 또는 수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분리가능한 둘 이상의 세그먼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 실시예에서, 스틱(43)은 하우징(41)을 둘러싸는 플랫폼(platform; 44)을 더 채택하는데, 여기에서 플랫폼(44)은 예를 들어 유연성 디스플레이 포일(20)(도 1 참조)이 스틱(43) 둘레로 랩핑된 때와 같이 유연성 디스플레이 포일이 스틱(43) 둘레로 랩핑된 때에 유연성 디스플레이를 차폐하기 위한 구조적 구성형태를 갖는다. 이와 함께 또는 대안적으로, 플랫폼(44)은 예를 들어 유연성 디스플레이 포일의 후방면과 일체로 된 제2의 디스플레이와 같은, 추가적인 디스플레이 및/또는 디스플레이 제어 메카니즘을 지지할 수도 있다.
도 9 내지 도 12 에는 본 발명의 세가지 독창적인 원리들 모두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랩 디스플레이 시스템(50)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랩 디스플레이 시스템(50)은 스틱(70)에 결합된 유연성 디스플레이 포일(60)을 채택한다. 힌지식 프레임(80)의 견고 베이스 지지부들(81, 82)에 인접한 유연성 디스플레이 포일(60)의 부분들은 견고 베이스 지지부들(81, 82)에 안정적으로 연결된다. 힌지식 프레임(80)의 힌지 지지부(83)는, 유연성 디스플레이 포일(60)에 부착되지 않고 한 쌍의 브라켓들(이들 중 하나의 브라켓(85)만이 도시되어 있음)을 거쳐서 스틱(70)에 힌지결합된 하나의 아치 세그먼트를 구비한다. 힌지 지지부(83)는, 유연성 디스프르레이 포일(60)에 부착되지 않고 견고 베이스 지지부(81)에 힌지결합된 다른 하나의 아치 세그먼트를 더 구비한다. 힌지식 프레임(80)의 힌지 지지 부(85)는, 유연성 디스플레이 포일(60)에 부착되지 않고 견고 베이스 지지부(81)에 힌지결합된 하나의 아치 세그먼트를 구비한다. 힌지 지지부(83)는 유연성 디스플레이 포일(60)에 부착되지 않고 견고 베이스 지지부(82)에 힌지결합된 다른 하나의 아치 세그먼트를 더 구비한다. 대안적으로는 힌지 지지부들(83, 85)이 둘 이상, 예를 들어 세 개의 아치 세그먼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도 9 및 도 11 에는 곡선형 구성형태에 있는 힌지식 프레임(80)이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에서 유연성 디스플레이 포일(60)은 힌지식 프레임(80)의 지지부들(81-84)에 의하여 한정된 저장 위치에서 스틱(70) 둘레로 랩핑되어 있다. 반대로, 도 10 및 도 12 에는 평면적 구성형태에 있는 힌지식 프레임(80)이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에서 유연성 디스플레이 포일(60)은 힌지식 프레임(80)의 지지부들(81-84)에 의하여 한정된 작동 위치에서 스틱(70) 둘레로 부터 랩핑해제되어 있다.
도 15 내지 도 17 에는 본 발명의 세 가지 독창적인 원리들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은 스틱(120)에 결합된 유연성 디스플레이 포일(110)을 채택한다. 힌지식 프레임(130)의 견고 베이스 지지부들(131, 132)에 인접한 유연성 디스플레이 포일(110)의 부분들은 견고 베이스 지지부들(131, 132)에 안정적으로 연결된다. 힌지식 프레임(130)의 힌지 지지부(133)는, 유연성 디스플레이 포일(110)에 부착되지 않고 한쌍의 브라켓들(이들 중의 하나인 브라켓(135)만이 도시됨)을 거쳐서 스틱(120)에 힌지결합되며 또한 견고 베이스 지지부(131)에 힌지결합된 단일의 아치 세그먼트를 구비한다. 힌지식 프레임(130)의 힌지 지지부(133)는, 유연성 디스플레이 포일(110)에 부착되지 않고 베이스 지지부들(131, 132)에 힌지결합된 단일의 아치 세그먼트를 구비한다.
도 16 에는 곡선형 구성형태에 있는 힌지식 프레임(130)이 도시되어 있는바, 여기에서 유연성 디스플레이 포일(110)은 힌지식 프레임(130)의 지지부들(131-134)에 의하여 한정된 저장 위치에서 스틱(120) 둘레로 랩핑되어 있다. 한편, 도 15 및 도 17 에는 평면적 구성형태에 있는 힌지식 프레임(130)이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에서 유연성 디스플레이 포일(110)은 힌지식 프레임(130)의 지지부들(131-134)에 의하여 한정된 작동 위치에서 스틱(120) 둘레로부터 랩핑해제되어 있다.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힌지식 프레임이 유연성 디스플레이 포일의 아래에서 완전히 연장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을 수 있는 견고 베이스 지지부들 및 힌지 지지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수많은 장점들과 잇점들에는, 유연성 디스플레이가 어떤 영역들에서 견고 베이스 지지부들에 부착되고, 여기에서는 유연성 디스플레이가 견고 베이스 지지부들을 움직이기 위한 힌지 지지부들 및 견고 베이스 지지부들을 따라 선택된 힌지 위치들을 필요로 하지 않아서 유연성 디스플레이와 힌지 지지부들의 랩핑된 반경의 차이로 인한 임의의 길이 차이가 보상된다는 것이 포함되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유연성 디스플레이 포일은 본 발명의 스틱 둘레에 랩핑된 때에 통 상적인 방식으로 잠겨질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커버 상에 통합된 벨크로 조립체(Velcro? assembly) 또는 스냅 조립체(snap assembly)에 의하여 잠겨질 수 있다.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상기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다양한 장점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특히 유연성 디스플레이를 위한 적당한 저장 및 적합한 가독성을 제공하는 힌지식 프레임의 구성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 기재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현재로서 바람직한 것으로 고려되지만, 본 발명의 범위 및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는바, 그와 동등한 것의 의미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변화들은 그 안에 포괄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다.

Claims (21)

  1. 스틱(stick; 40);
    스틱(40) 둘레로 랩핑(wrapping)되도록 구조적으로 구성된 유연성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21)로서, 유연성 디스플레이(21)의 저장을 위하여 스틱(40) 둘레로 랩핑되고, 유연성 디스플레이의 작동을 위하여 스틱(40) 둘레로부터 랩핑해제(unwrapping)되는, 유연성 디스플레이(21); 및
    유연성 디스플레이(21)를 지지하도록 구조적으로 구성된 힌지식 프레임(hinged frame; 30)으로서, 유연성 디스플레이(21)가 스틱(40) 둘레로 랩핑됨에 대응하여 유연성 디스플레이(21)를 스틱(40)에 대한 저장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곡선형 구성형태를 가지고, 유연성 디스플레이(21)가 스틱(40) 둘레로부터 랩핑해제됨에 대응하여 유연성 디스플레이(21)를 스틱(40)에 대한 작동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평면적 구성형태를 가지는, 힌지식 프레임;을 포함하는, 랩 디스플레이 시스템으로서,
    상기 힌지식 프레임(30)은, 곡선형 구성형태와 평면 위치 사이로의 힌지식 프레임(30)의 움직임을 허용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견고 베이스 지지부(31, 32)에 힌지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힌지 지지부(33, 3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힌지 지지부(33, 34)의 제1 힌지 지지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견고 베이스 지지부(31, 32)의 제1 견고 베이스 지지부에 힌지결합된 제1 아치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랩 디스플레이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유연성 디스플레이(21)의 저장 위치는, 각 힌지 지지부(33, 34)가 닫힌 상태에 있는 것에 대응하여 힌지식 프레임(30)에 의해 한정되는 곡선형 프로파일인, 랩 디스플레이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유연성 디스플레이(21)의 작동 위치는, 각 힌지 지지부(33, 34)가 열린 상태에 있는 것에 대응하여 힌지식 프레임(30)에 의해 한정되는 평면형 프로파일인, 랩 디스플레이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유연성 디스플레이의 저장 위치에서, 유연성 디스플레이(20)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DS2)는 적어도 국부적으로 일정한 반경(R1)을 갖는 곡선형 프로파일이고, 그 프로파일은 스틱의 프로파일에 부합하게 된, 랩 디스플레이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제1 힌지 지지부(34)는, 제1 힌지 위치(HP1)에서 제1 견고 베이스 지지부(31)에, 그리고 제2 힌지 위치(HP2)에서 제2 견고 베이스 지지부(32)에 힌지결합되고,
    유연성 디스플레이(20)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DS2)는, 제1 힌지 지지부(34)에 인접하고, 힌지식 프레임(30)에 부착되지 않는, 랩 디스플레이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제1 디스플레이 세그먼트(DS2)의 길이에 대한, 열린 상태에서의 제1 힌지 지지부(34)를 가로지르는 제1 힌지 위치(HP1)와 제2 힌지 위치(HP2) 간의 거리는, 힌지식 프레임(30)이 곡선형 구성형태에 있음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세그먼트(DS2)가 제1 힌지 지지부(34) 내에 균일하게 넣어짐을 허용하는, 랩 디스플레이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제1 디스플레이 세그먼트(DS2)의 길이에 대한, 열린 상태에서의 제1 힌지 지지부(34)를 가로지르는 제1 힌지 위치(HP1)와 제2 힌지 위치(HP2) 간의 거리는, 힌지식 프레임(30)이 평면적 구성형태에 있음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세그먼트(DS2)가 제1 힌지 지지부(34)를 가로질러 편평하고 직선형으로 있게 됨을 허용하게 하는, 랩 디스플레이 시스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제1 아치 세그먼트는 제1 견고 베이스 지지부에 대해 피봇(pivot)가능하여, 제1 힌지 지지부를 열린 상태와 닫힌 상태 간으로 움직이는, 랩 디스플레이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제1 아치 세그먼트는 적어도 하나의 견고 베이스 지지부(31, 32)의 제2 견고 베이스 지지부에 추가적으로 힌지결합되는, 랩 디스플레이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제1 아치 세그먼트는 제1 견고 베이스 지지부 및 제2 견고 베이스 지지부에 대해 피봇가능하여, 제1 힌지 지지부가 열린 상태와 닫힌 상태 간으로 움직임을 허용하는, 랩 디스플레이 시스템.
  13.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힌지 지지부(33, 34)의 제1 힌지 지지부는, 적어도 하나의 견고 베이스 지지부(31, 32)의 제2 견고 베이스 지지부에 힌지결합된 제2 아치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랩 디스플레이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제1 아치 세그먼트는 제1 견고 베이스 지지부에 대해 피봇가능하고 제2 아치 세그먼트는 제2 견고 베이스 지지부에 대해 피봇가능하여, 제1 힌지 지지부가 열린 상태와 닫힌 상태 간으로 움직임을 허용하는, 랩 디스플레이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제1 아치 세그먼트는 제2 아치 세그먼트에 힌지결합되어서, 제1 힌지 지지부가 열린 상태와 닫힌 상태 간으로 움직임을 허용하는, 랩 디스플레이 시스템.
  16. 스틱(40);
    스틱(40) 둘레로 랩핑되도록 구조적으로 구성된 유연성 디스플레이(21)로서, 유연성 디스플레이의 저장을 위하여 스틱(40) 둘레로 랩핑되는, 유연성 디스플레이(21); 및
    유연성 디스플레이(21)를 지지하도록 구조적으로 구성된 힌지식 프레임(30);을 포함하는 랩 디스플레이 시스템으로서,
    힌지식 프레임(30)은, 유연성 디스플레이(21)가 스틱(40) 둘레에 랩핑됨에 대응하여 유연성 디스플레이(21)를 스틱(40)에 대한 저장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곡선형 구성형태를 가지며,
    상기 힌지식 프레임(30)은, 곡선형 구성형태와 평면 위치 사이로의 힌지식 프레임(30)의 움직임을 허용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견고 베이스 지지부(31, 32)에 힌지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힌지 지지부(33, 3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힌지 지지부(33, 34)의 제1 힌지 지지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견고 베이스 지지부(31, 32)의 제1 견고 베이스 지지부에 힌지결합된 제1 아치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랩 디스플레이 시스템.
  17. 삭제
  18. 제 16 항에 있어서,
    제1 힌지 지지부(34)는, 제1 힌지 위치(HP1)에서 제1 견고 베이스 지지부(31)에, 그리고 제2 힌지 위치(HP2)에서 제2 견고 베이스 지지부(32)에 힌지결합되고,
    유연성 디스플레이(20)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DS2)는, 제1 힌지 지지부(34)에 인접하며, 힌지식 프레임(30)에 부착되지 않고,
    제1 디스플레이 세그먼트(DS2)의 길이에 대한, 열린 상태에서의 제1 힌지 지지부(34)를 가로지르는 제1 힌지 위치(HP1)와 제2 힌지 위치(HP2) 간의 거리는, 힌지식 프레임(30)이 곡선형 구성형태에 있음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세그먼트(DS2)가 제1 힌지 지지부(34) 내에 균일하게 넣어짐을 허용하고, 또한 힌지식 프레임(30)이 평면적 구성형태에 있음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세그먼트(DS2)가 제1 힌지 지지부(34)를 가로질러 편평하고 직선형으로 있게 됨을 허용하는, 랩 디스플레이 시스템.
  19. 스틱(40);
    스틱(40) 둘레로 랩핑되도록 구조적으로 구성된 유연성 디스플레이(21)로서, 유연성 디스플레이의 작동을 위하여 스틱(40) 둘레로부터 랩핑해제되는, 유연성 디스플레이(21); 및
    유연성 디스플레이(21)를 지지하도록 구조적으로 구성된 힌지식 프레임(30)으로서, 유연성 디스플레이(21)가 스틱(40) 둘레로부터 랩핑해제됨에 대응하여 유연성 디스플레이(21)를 스틱(40)에 대한 작동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평면적 구성형태를 갖는, 힌지식 프레임(30);을 포함하는, 랩 디스플레이 시스템으로서,
    상기 힌지식 프레임(30)은, 곡선형 구성형태와 평면 위치 사이로의 힌지식 프레임(30)의 움직임을 허용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견고 베이스 지지부(31, 32)에 힌지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힌지 지지부(33, 3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힌지 지지부(33, 34)의 제1 힌지 지지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견고 베이스 지지부(31, 32)의 제1 견고 베이스 지지부에 힌지결합된 제1 아치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랩 디스플레이 시스템.
  20. 삭제
  21. 제 19 항에 있어서,
    제1 힌지 지지부(34)는, 제1 힌지 위치(HP1)에서 제1 견고 베이스 지지부(31)에, 그리고 제2 힌지 위치(HP2)에서 제2 견고 베이스 지지부(32)에 힌지결합되고,
    유연성 디스플레이(20)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DS2)는, 제1 힌지 지지부(34)에 인접하고, 힌지식 프레임(30)에 부착되지 않으며;
    제1 디스플레이 세그먼트(DS2)의 길이에 대한, 열린 상태에서의 제1 힌지 지지부(34)를 가로지르는 제1 힌지 위치(HP1)와 제2 힌지 위치(HP2) 간의 거리는, 힌지식 프레임(30)이 곡선형 구성형태에 있음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세그먼트(DS2)가 제1 힌지 지지부(34) 내에 균일하게 넣어짐을 허용하고, 또한 힌지식 프레임(30)이 평면적 구성형태에 있음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세그먼트(DS2)가 제1 힌지 지지부(34)를 가로질러 편평하고 직선형으로 있게 됨을 허용하는, 랩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0097010960A 2006-10-31 2007-10-31 힌지식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유연성 디스플레이 KR1014089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6359906P 2006-10-31 2006-10-31
US60/863,599 2006-10-31
PCT/NL2007/050523 WO2008054206A2 (en) 2006-10-31 2007-10-31 Flexible display supported by hinged fr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6996A KR20090076996A (ko) 2009-07-13
KR101408987B1 true KR101408987B1 (ko) 2014-06-20

Family

ID=39167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0960A KR101408987B1 (ko) 2006-10-31 2007-10-31 힌지식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유연성 디스플레이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151501B2 (ko)
EP (1) EP2087411B1 (ko)
JP (1) JP5186507B2 (ko)
KR (1) KR101408987B1 (ko)
CN (1) CN101681183B (ko)
AR (1) AR063763A1 (ko)
AT (1) ATE507519T1 (ko)
DE (1) DE602007014253D1 (ko)
TW (1) TWI370419B (ko)
WO (1) WO2008054206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85100B2 (en) 2014-11-12 2017-06-20 Samsung Display Co., Ltd. Rollable display
US9836088B2 (en) 2015-07-23 2017-12-05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US10193095B2 (en) 2016-07-27 2019-01-2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13037B (zh) * 2007-06-15 2013-10-21 Creator Technology Bv 具有可改變角度的可撓性顯示器的電子裝置
US8385055B2 (en) 2008-12-26 2013-02-26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Electric device and display panel thereof
KR101227644B1 (ko) 2010-08-10 2013-01-30 유상규 두루마리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029935B1 (ko) * 2011-03-02 2011-04-21 오은석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고정 장치
TWI449991B (zh) * 2011-03-21 2014-08-21 Wistron Corp 顯示器及具有該顯示器的電子裝置
BR112013022703B1 (pt) * 2011-03-21 2022-08-16 Apple Inc. Dispositivos eletrônicos com displays flexíveis
US9178970B2 (en) 2011-03-21 2015-11-03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convex displays
TWI416444B (zh) 2011-03-21 2013-11-21 Wistron Corp 顯示器
NL2006862C2 (en) * 2011-05-30 2012-12-03 Polymer Vision Bv Display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US20130002114A1 (en) 2011-06-29 2013-01-03 Polymer Vision B.V. Flexible Display With Cover Positioning Means
ES2702795T3 (es) * 2011-07-11 2019-03-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Pantalla flexible con soporte de pantalla
EP3826278A1 (en) 2011-07-11 2021-05-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isplay with guided plates to support the display in the open position
US8605421B2 (en) * 2011-08-17 2013-12-10 Creator Technology B.V. Display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KR20130028453A (ko) * 2011-09-09 2013-03-19 유상규 유압식펌프를 구비한 두루마리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NL2007427C2 (en) * 2011-09-15 2013-03-18 Polymer Vision Bv Display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US20130335929A1 (en) * 2012-06-19 2013-12-19 Motorola Mobility, Inc.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with flexible display
US8908365B2 (en) 2012-06-25 2014-12-09 Creator Technology B.V. Display system having a continuous flexible display with display supports
KR101386220B1 (ko) * 2012-06-26 2014-04-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US8971031B2 (en) 2012-08-07 2015-03-03 Creator Technology B.V. Display system with a flexible display
US9120290B2 (en) * 2012-10-10 2015-09-01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Flexible screen backed with rigid ribs
KR101452871B1 (ko) * 2013-01-11 2014-10-22 (주) 프렉코 접철 가능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TWI524996B (zh) 2013-01-25 2016-03-1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可撓性電子裝置
USD745006S1 (en) * 2013-07-10 2015-12-0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Image display device
JP1486470S (ko) * 2013-07-12 2016-12-05
JP1486469S (ko) * 2013-07-12 2016-12-05
USD761254S1 (en) * 2013-07-12 2016-07-1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JP1488013S (ko) * 2013-07-12 2016-12-26
TWI688850B (zh) 2013-08-13 2020-03-21 飛利斯有限公司 具有電子顯示器之物品
WO2015031426A1 (en) 2013-08-27 2015-03-05 Polyera Corporation Flexible display and detection of flex state
WO2015031501A1 (en) 2013-08-27 2015-03-05 Polyera Corporation Attachable device having a flexible electronic component
WO2015038684A1 (en) 2013-09-10 2015-03-19 Polyera Corporation Attachable article with signaling, split display and messaging features
US11829203B2 (en) * 2013-09-20 2023-11-28 Michael J Ure Mobile electronic device enabling screen size variation
WO2015100224A1 (en) 2013-12-24 2015-07-02 Polyera Corporation Flexible electronic display with user interface based on sensed movements
JP6639400B2 (ja) 2013-12-24 2020-02-05 フレックステラ,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Flexterra, Inc. 取り付け可能な二次元可撓性電子デバイスのための支持構造
CN106030688B (zh) 2013-12-24 2020-01-24 飞利斯有限公司 可挠性电子物品
CN106030687B (zh) 2013-12-24 2020-08-14 飞利斯有限公司 动态可挠物品
US20150227245A1 (en) 2014-02-10 2015-08-13 Polyera Corporation Attachable Device with Flexible Electronic Display Orientation Detection
KR102244807B1 (ko) * 2014-03-07 2021-04-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CN103915041B (zh) * 2014-03-14 2016-03-02 河海大学常州校区 柔性显示屏曲面自动调节装置和方法
CN203838989U (zh) * 2014-05-15 2014-09-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装置
WO2015184045A2 (en) 2014-05-28 2015-12-03 Polyera Corporation Device with flexible electronic components on multiple surfaces
USD784945S1 (en) * 2014-07-08 2017-04-25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WO2016018300A1 (en) * 2014-07-30 2016-02-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isplay with shape changing support panel
KR102269135B1 (ko) 2014-10-06 2021-06-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01500B1 (ko) 2015-01-22 2021-09-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JP6428312B2 (ja) 2015-01-28 2018-11-28 富士通株式会社 構造体および電子機器
WO2016138356A1 (en) 2015-02-26 2016-09-01 Polyera Corporation Attachable device having a flexible electronic component
CN104900156B (zh) * 2015-06-16 2017-03-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EP3400590A4 (en) 2016-06-01 2019-08-1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ELECTRONIC DEVICES WITH FLEXIBLE DISPLAYS
KR102522148B1 (ko) 2016-06-09 2023-04-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34579B1 (ko) * 2016-06-17 2023-05-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47146B1 (ko) * 2016-07-07 2023-06-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28024B1 (ko) * 2016-10-07 2024-01-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KR20180046422A (ko) 2016-10-27 2018-05-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7044478B (zh) * 2017-03-15 2019-07-26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转轴
CN112860018A (zh) 2017-05-19 2021-05-28 伊英克公司 包含数字化及触控感测的可折叠电光显示器
CN107424517B (zh) * 2017-05-24 2019-10-29 黎德智 一种可收展的柔性显示器
KR102343573B1 (ko) 2017-05-26 2021-12-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24651B1 (ko) * 2017-12-29 2023-04-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CN208463107U (zh) * 2018-04-09 2019-02-05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腕式设备及其腕带组件
US10660221B2 (en) * 2018-05-21 2020-05-19 Yungu (Gu'an) Technology Co., Ltd. Display box and display device
KR102623425B1 (ko) 2018-07-10 2024-01-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168409B1 (ko) 2018-07-23 2020-10-22 강신범 이동식 대형 스크린 장치
KR20200130574A (ko) * 2019-05-10 2020-11-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0494740Y1 (ko) 2019-06-27 2021-12-15 강신범 대형 스크린 장치
KR20210041665A (ko) 2019-10-07 2021-04-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모듈 지지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모듈 지지부의 제조 방법
CN113107957B (zh) * 2021-03-31 2022-07-12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轴体及显示装置
KR20230111654A (ko) * 2022-01-17 2023-07-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50963A1 (en) 2001-12-12 2003-06-19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Intelligent multi-media display communication system
KR20050085090A (ko) * 2002-11-21 2005-08-29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WO2006085271A2 (en) * 2005-02-11 2006-08-17 Polymer Vision Limited Wrap display system having a flexible display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1672A (en) * 1895-06-25 Advertising-sign
US1520896A (en) * 1922-05-13 1924-12-30 Fred Moore T Display device
US2887983A (en) * 1957-11-22 1959-05-26 Marshall M Budd Emergency road flag
US3322093A (en) * 1966-09-13 1967-05-30 Marc B Goland Highway directional device
US4875302A (en) * 1988-04-07 1989-10-24 Noffsinger Alfred A Collapsible display sign
SE501771C2 (sv) * 1993-10-05 1995-05-08 Christer Zarelius Bildexponerande enhet
US6309076B1 (en) * 1994-12-29 2001-10-30 Mcvicker Richard E. Light barrier, screen or reflector
JP3029852U (ja) * 1996-04-05 1996-10-11 ヒビノ株式会社 吊り下げ式映像表示装置
US6092319A (en) * 1998-04-13 2000-07-25 Hicks; Charles H. Apparatus for connecting advertising substrate to trucks
JP2001100661A (ja) * 1999-09-29 2001-04-13 Sanyo Electric Co Ltd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US7158111B1 (en) * 2000-03-30 2007-01-02 Intel Corporation Flexible display
JP4655368B2 (ja) * 2000-12-12 2011-03-23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体端末
US7050835B2 (en) * 2001-12-12 2006-05-23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Intelligent multi-media display communication system
US6762929B2 (en) * 2002-09-12 2004-07-13 Gateway, Inc. Display support apparatus
CA2427885C (en) * 2003-05-01 2006-04-11 William Kochan Display device
US7463238B2 (en) * 2003-08-11 2008-12-09 Virtualblue, Llc Retractable flexible digital display apparatus
CN101995727B (zh) * 2004-05-21 2013-07-17 创造者科技有限公司 应变降低的可卷曲显示设备
JP2006053678A (ja) * 2004-08-10 2006-02-23 Toshiba Corp ユニバーサルヒューマンインタフェースを有する電子機器
ATE539429T1 (de) * 2004-10-05 2012-01-15 Creator Technology Bv Aufrollbare anzeigevorrichtung
TWI391732B (zh) * 2005-05-23 2013-04-01 Creator Technology Bv 部分可撓顯示裝置
US8477250B2 (en) * 2005-12-16 2013-07-02 Creator Technology B.V. Circular displays
US7639237B2 (en) * 2006-03-03 2009-12-29 Perkins Michael T Roll-out touch screen support system (ROTS3)
KR100781708B1 (ko) * 2006-10-12 2007-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부 및 그를 갖는 휴대 단말기
USD580928S1 (en) * 2007-07-19 2008-11-18 Polymer Vision Limited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US7647718B2 (en) * 2008-01-18 2010-01-19 Burtch Richard A Multi-panel fold out device, blank, and method of making the device
JP2010002515A (ja) * 2008-06-18 2010-01-07 Shinoda Plasma Kk 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50963A1 (en) 2001-12-12 2003-06-19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Intelligent multi-media display communication system
KR20050085090A (ko) * 2002-11-21 2005-08-29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JP2006507543A (ja) 2002-11-21 2006-03-02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
WO2006085271A2 (en) * 2005-02-11 2006-08-17 Polymer Vision Limited Wrap display system having a flexible display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85100B2 (en) 2014-11-12 2017-06-20 Samsung Display Co., Ltd. Rollable display
US9836088B2 (en) 2015-07-23 2017-12-05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US10193095B2 (en) 2016-07-27 2019-01-2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54206A3 (en) 2008-06-05
ATE507519T1 (de) 2011-05-15
EP2087411A2 (en) 2009-08-12
DE602007014253D1 (de) 2011-06-09
AR063763A1 (es) 2009-02-18
CN101681183A (zh) 2010-03-24
CN101681183B (zh) 2013-01-02
EP2087411B1 (en) 2011-04-27
JP5186507B2 (ja) 2013-04-17
TWI370419B (en) 2012-08-11
KR20090076996A (ko) 2009-07-13
US8151501B2 (en) 2012-04-10
TW200826007A (en) 2008-06-16
US20100064564A1 (en) 2010-03-18
WO2008054206A2 (en) 2008-05-08
JP2010508557A (ja) 2010-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8987B1 (ko) 힌지식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유연성 디스플레이
EP3657297B1 (en) Foldable display device
ES2967039T3 (es) Dispositivo electrónico plegable que incluye una estructura de prevención/reducción del hundimiento del bisel
US10386886B2 (en) Portable information device
EP3518219B1 (en) Display apparatus
EP3739854B1 (en) Foldable terminal device
EP3046313B1 (en) Display system having a continuous flexible display with display supports
US8035577B2 (en) Wrap display system having a flexible display
CN111614804B (zh) 便携用信息设备
JP2019067279A (ja) 携帯用情報機器
US10001811B1 (en) Portable information device
US20060058687A1 (en) Sphygmomanometer
US11181951B1 (en) Information device system and input device
WO2022037286A1 (zh) 支撑装置以及可折叠装置
KR20140133187A (ko) 듀얼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EP1887422B1 (en) Portable screen and portable screen device
US20190354144A1 (en) Hinge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JP2006106750A5 (ko)
JP3885994B2 (ja) 表示拡大装置
US20140185252A1 (en) Image display device
JP2000111115A (ja) 換気扇用フイルター
KR20240076662A (ko)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EP4012690A1 (en) Rollable display device
JP2017113321A (ja) 表示装置
JP2004271706A (ja) カメラの実装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