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3187A - 듀얼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듀얼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133187A KR20140133187A KR1020130052922A KR20130052922A KR20140133187A KR 20140133187 A KR20140133187 A KR 20140133187A KR 1020130052922 A KR1020130052922 A KR 1020130052922A KR 20130052922 A KR20130052922 A KR 20130052922A KR 20140133187 A KR20140133187 A KR 2014013318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play
- support
- inner edge
- displays
- fold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는, 접혀지고 펼쳐질 수 있는 접힘부, 상기 접힘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제1 지지부, 및 상기 접힘부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된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지지커버; 상기 제1 지지부의 내측면에 장착되며, 상기 접힘부를 향하도록 배치된 내측 모서리를 가진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지지부의 내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의 내측 모서리를 마주하는 내측 모서리를 가지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제1 위치와 상기 제1 디스플레이의 내측 모서리에 밀착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제2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특정적으로는, 듀얼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기술의 발전, 부품들의 소형화 등에 힘입어 휴대용 전자기기들의 성능이 향상되고 있음은 물론 그 유형 또한 다양화되고 있다.
예를 들어 듀얼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새로운 유형의 휴대용 전자기기가 등장하였으며, 이러한 휴대용 전자기기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가 서로 포개지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힌지 구조를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두 개의 디스플레이가 서로 포개짐으로써 보관 및 이동에 편리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 선택에 따라 두 개의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 만을 영상 표시용으로 사용하거나 둘 모두를 영상 표시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사용 모드의 다양성이 있다.
이러한 휴대용 전자기기는 힌지 구조를 통해 일자로 펼쳐짐으로써 두 개의 디스플레이를 가지고 하나의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능은 보다 큰 화면으로 영상을 보고자하는 사용자 요구에 따른 것이다.
이처럼 힌지 구조를 가진 휴대용 전자기기가 일자로 펼쳐진 배치를 가질 때, 두 개의 디스플레이 간의 경계 부근에 힌지 구조에 따른 이격 거리가 존재함으로써 그 경계 부근에서 영상이 매끄럽게 연결되지 못하고 분리감이 나타나는 경우가 흔하다. 이는 영상 품질을 저해하는 하나의 요인이 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두 개의 디스플레이로 하나의 영상이 표시되는 배치에서도 디스플레이들의 경계 부근에서 디스플레이들 간의 이격 거리가 최소화시킬 수 있는 휴대용 전자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접혀지고 펼쳐질 수 있는 접힘부, 상기 접힘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제1 지지부, 및 상기 접힘부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된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지지커버; 상기 제1 지지부의 내측면에 장착되며, 상기 접힘부를 향하도록 배치된 내측 모서리를 가진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지지부의 내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의 내측 모서리를 마주하는 내측 모서리를 가지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제1 위치와 상기 제1 디스플레이의 내측 모서리에 밀착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제2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제1 디스플레이의 내측 모서리에는 오목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디스플레이의 내측 모서리에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롯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 리브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힘부는 접혀지고 펼쳐질 수 있도록 연성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 각각은, 상기 접힘부와 동일 재질의 외피 부재; 및 상기 외피 내에 삽입된 경성 재질의 삽입 부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디스플레이의 내측 모서리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의 내측 모서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적어도 하나의 충격 흡수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커버는, 상기 지지커버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성인쇄회로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대해 둔각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상기 제2 디스플레이를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스탠드 부재를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지지커버의 제2 지지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위치 고정용 자석이 구비되며,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될 때 상기 제1 위치 고정용 자석에 달라붙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자성체가 구비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지지커버의 제2 지지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위치 고정용 자석이 구비되며,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2 위치에 배치될 때 상기 제2 위치 고정용 자석에 달라붙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자성체가 구비된 것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지지커버로부터 디스플레이들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 1의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휴대용 전자기기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점선으로 표시된 A 영역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지지커버의 Ⅰ-Ⅰ 선을 따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시도로서 두 개의 디스플레이가 밀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6의 점선으로 표시된 B 영역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시도로서 두 개의 디스플레이가 서로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9은 도 1의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시도로서 두 개의 디스플레이가 포개지도록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는 지지커버로부터 디스플레이들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 1의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휴대용 전자기기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점선으로 표시된 A 영역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지지커버의 Ⅰ-Ⅰ 선을 따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시도로서 두 개의 디스플레이가 밀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6의 점선으로 표시된 B 영역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시도로서 두 개의 디스플레이가 서로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9은 도 1의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시도로서 두 개의 디스플레이가 포개지도록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지지커버로부터 디스플레이들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 1의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휴대용 전자기기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 점선으로 표시된 A 영역의 확대도이며,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지지커버의 Ⅰ-Ⅰ 선을 따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100)는, 지지커버(110), 제1 디스플레이(120), 및 제2 디스플레이(13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커버(110)는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130)가 다양한 상대적인 배치들을 가질 수 있도록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120, 130)를 지지한다. 예로써,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커버(110)는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120, 130)가 일자로 펼쳐진 상대적인 배치를 갖도록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120, 130)를 지지하거나, 후술하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커버(110)는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120, 130)가 서로 경사진 배치를 갖도록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120, 130)를 지지하거나, 또는 후술하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120, 130)가 서로 포개진 배치를 갖도록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120, 130)를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커버(110)는 접힘부(140), 제1 지지부(150), 및 제2 지지부(160)를 포함한다.
접힘부(140)는 제1 지지부(150)와 제2 지지부(160) 사이에 배치되어 제1 지지부(150)와 제2 지지부(160)를 연결한다. 접힘부(140)는 얇고 길다란 직사각 형상을 가지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120, 130)의 폭 방향(즉, Y 방향)을 따라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120, 130)의 폭에 대응하는 거리 만큼 연장된다.
접힘부(140)는 접혀지거나 펼쳐짐이 가능한 재질을 가짐으로써 힌지와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접힘부(140)는 다양한 연성(flexible) 재료로 제조될 수 있으며, 예로써 폴리우레탄, 인공 가죽 또는 천연 가죽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처럼 접힘부(140)가 연성 재료로 제조되어 접힘 및 펼침 동작이 가능하므로, 접힘부(140)에 연결된 제1 지지부(150) 및 제2 지지부(160)는 접힘부(140)를 중심으로 서로 피봇 움직임을 가질 수 있다.
제1 지지부(150)는 접힘부(14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다. 접힘부(140)와 마찬가지로, 제1 지지부(150)는 얇고 길다란 직사각 형상을 갖는다. 제1 지지부(150)의 폭 및 두께는 각각 접힘부(140)의 폭 및 두께보다 약간 더 크게 설계된다.
제1 지지부(150)의 내측면(151)에 제1 디스플레이(120)의 하면(121)이 부착된다.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디스플레이(120)의 하면 전체가 제1 지지부(150)에 부착되는 것이 아니라 제1 디스플레이(120)의 하면 일부분이 제1 지지부(150)에 부착된다. 대안적으로 제1 디스플레이(120)의 하면(121) 전체가 제1 지지부(150)에 부착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제1 지지부(150)의 크기는 제1 디스플레이(120)의 크기에 대응되게 확장되어야 할 것이다.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부(150)에 부착되는 제1 디스플레이(120) 부분은 나머지 부분의 두께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갖는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부(150)는 연성 재질의 외피 부재(153)와, 경성 재질의 삽입 부재(155)를 포함한다.
외피 부재(153)는 접힘부(140)와 동일 재질을 가지며 접힘부(140)와 일체로 형성된다. 예로써, 접힘부(140)와 마찬가지로, 외피 부재(153)는 폴리우레탄, 인공 가죽 또는 천연 가죽으로 제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외피 부재(153)는 접힘부(140)와 다른 재질을 가질 수도 있다.
삽입 부재(155)는 제1 지지부(150)가 평평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제1 지지부(15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삽입 부재(155)는 외피 부재(153)의 강성(rigidity)보다 더 큰 강성을 지닌 재질을 갖는다. 예로써 삽입 부재(155)는 아크릴, 에폭시와 같은 높은 강성을 가진 고분자 수지로 제조될 수 있다.
제2 지지부(160)는 접힘부(140)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된다. 제2 지지부(160)는 제2 디스플레이(130)의 크기와 대략 같은 크기를 가짐으로써 제2 디스플레이(130)의 하면(131)을 전체적으로 커버한다.
제2 지지부(160)의 내측면(161)에 제2 디스플레이(13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지지부(160)의 내측면(161)에는 제2 지지부(160)의 길이 방향(X 방향)을 따라 배열된 한 쌍의 슬라이딩 안내 부재(166a, 166b)가 구비되어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2 디스플레이(130)의 하면(131)에는 한 쌍의 슬라이딩 안내 부재(166a, 166b)에 상응하는 한 쌍의 슬라이딩 부재(미도시)가 구비됨으로써, 제2 디스플레이(130)가 제2 지지부(160) 상에서 X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움직임을 가질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는, 본 실시예에서와는 반대로 지지커버(110)의 제2 지지부(160)에 슬라이딩 부재가 구비되고 제2 디스플레이(130)에 슬라이딩 안내 부재가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한 쌍의 슬라이딩 부재(미도시)로는 다양한 형태의 통상적인 슬라이딩 부재가 적용될 수 있는데, 슬라이딩 부재의 구체적 형태는 본 발명의 본질적 특징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지지부(160)는 연성 재질의 외피 부재(163)와, 경성 재질의 삽입 부재(165)를 포함한다.
외피 부재(163)는 접힘부(140)와 동일 재질을 가지며 접힘부(140)와 일체로 형성된다. 예로써, 접힘부(140)와 마찬가지로, 외피 부재(163)는 폴리우레탄, 인공 가죽 또는 천연 가죽으로 제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외피 부재(153)는 접힘부(140)와 다른 재질을 가질 수도 있다.
삽입 부재(165)는 제2 지지부(160)가 평평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제2 지지부(16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삽입 부재(165)는 외피 부재(163)의 강성보다 더 큰 강성을 지닌 재질을 갖는다. 예로써 삽입 부재(165)는 아크릴, 에폭시와 같은 높은 강성의 수지로 제조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커버(110) 내에는 제1 디스플레이(120)와 제2 디스플레이(1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성인쇄회로보드(FPCB: 170)가 구비된다. FPCB(170)는 지지커버(110)의 접힘부(140)를 가로지르도록 연장된 연성 재질의 보드 몸체(171)와, 보드 몸체(171)의 일단에 구비되어 제1 디스플레이(120)와 연결되는 제1 단자(172)와, 보드 몸체(171)의 타단에 구비되어 제2 디스플레이(130)와 연결되는 제2 단자(173)로 구성된다. 이러한 FPCB(170)를 통해 제1 디스플레이(120)로부터 제2 디스플레이(130)로 전력 및 제어 신호들이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1 디스플레이(120)는 지지커버(110)의 제1 지지부(150)에 장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디스플레이(120)는 접착제와 같은 공지의 결합수단에 의해 제1 지지부(150)에 부착된다. 제1 디스플레이(120)로는 액정디스플레이(LCD), 유기발광디스플레이(OLED) 등의 일반적인 디스플레이가 적용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120)의 전면은 터치 스크린 방식의 표시 화면(122)으로 구성된다.
제1 디스플레이(120)는 지지커버(110)가 일자로 펼쳐진 상태에서 제2 디스플레이(130)를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내측 모서리(123)를 갖는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120)는 그 내측 모서리(123)로부터 일정 깊이 오목하게 형성되며 내측 모서리(123)를 따라 균일하게 연장된 하나의 슬롯(125)을 갖는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제1 디스플레이(120)는 내측 모서리(123)를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슬롯을 가질 수도 있다.
제1 디스플레이(120)는 제어부(미도시)와 전력공급부(예로써, 배터리)(미도시)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제1 디스플레이(120) 내부에 하나 이상의 기판 형태로 내장되어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120, 13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전력공급부 또한 제1 디스플레이(120)에 내장되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120, 130)에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각각 공급한다. 제2 디스플레이(130)는 전술한 FPCB(170, 도 5 참조)를 통해 제어부가 제공하는 제어 신호 및 전력공급부가 제공하는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제2 디스플레이(130)는 지지커버(110)의 제2 지지부(160)에 X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2 지지부(160)에 구비된 전술한 한 쌍의 슬라이딩 안내 부재(166a, 166b)와 제2 디스플레이(130)에 구비된 전술한 한 쌍의 슬라이딩 부재(미도시)의 결합에 의해 제2 디스플레이(130)와 제2 지지부(16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제2 디스플레이(130)로는 액정디스플레이(LCD), 유기발광디스플레이(OLED) 등의 일반적인 디스플레이가 적용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130)의 전면은 터치 스크린 방식의 표시 화면(132)으로 구성된다.
제2 디스플레이(130)는 지지커버(110)가 일자로 펼쳐진 상태에서 제1 디스플레이(120)를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내측 모서리(133)를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제2 디스플레이(130)의 내측 모서리(133)는 지지커버(110)가 일자로 펼쳐진 상태에서 제1 디스플레이(120)의 전술한 내측 모서리(123)와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디스플레이(130)는 그 내측 모서리(133)를 따라 연장된 직사각 플레이트 형상을 가진 하나의 삽입 리브(135)를 갖는다. 대안적으로, 제2 디스플레이(130)는 내측 모서리(133)를 따라 배열된 복수의 삽입 리브를 가질 수도 있다. 전술한 제1 디스플레이(120)의 내측 모서리(123)에 구비된 슬롯(125)은 이러한 삽입 리브(135)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제2 디스플레이(130)가 제1 디스플레이(120)를 향해 슬라이딩될 때, 제2 디스플레이(130)의 삽입 리브(135)가 제1 디스플레이(120)의 슬롯(125) 안으로 삽입됨으로써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120, 130)의 내측 모서리들(123, 133)이 서로 밀착되는 배치가 유지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디스플레이(130)의 내측 모서리(133)는 적어도 하나의 충격 흡수 부재(137)가 구비된다. 제2 디스플레이(130)가 제1 디스플레이(120)를 향해 슬라이딩될 때, 충격 흡수 부재(137)는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120, 130)의 내측 모서리들(123, 133) 사이에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120, 130)를 보호한다. 예로써 충격 흡수 부재(137)는 천연 고무, 폴리우레탄 등과 같이 높은 탄성을 지닌 물질로 제조된다. 본 실시예에서 충격 흡수 부재(137)는 제2 디스플레이(130)에 구비되지만, 대안적으로 충격 흡수 부재(137)는 제1 디스플레이(120)에 구비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디스플레이(130)는 전술한 FPCB(170, 도 5 참조)를 통해 제1 디스플레이(120) 내의 제어부(미도시)가 제공하는 제어 신호 및 제1 디스플레이(120) 내의 전력공급부(미도시)가 제공하는 전력을 공급받는다. 제2 디스플레이(130)는 별도로 제어부 및 전력공급부를 갖지 않고 제1 디스플레이(120)의 제어부 및 전력공급부에 의해 동작하므로, 제2 디스플레이(130)는 제1 디스플레이(120)보다 얇게 제작된다.
전술한 휴대용 전자기기(100)에 구비된 제2 디스플레이(130)의 슬라이딩 동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디스플레이(130)는 X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커버(110)의 제2 지지부(160)에 장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지커버(110)가 일자로 펼쳐진 상태에서, 제2 디스플레이(130)는, 도 1,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120)로부터 이격된 "제1 위치" 와,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120)의 내측 모서리(123)에 밀착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디스플레이(130)가 제1 디스플레이(1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X1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제2 디스플레이(130)가 제1 디스플레이(120)로부터 이격된 제1 위치에 배치될 경우, 지지커버(110)의 제2 지지부(160)에 구비된 제1 위치 고정용 자석들(167a, 167b)(도 2 참조)에 제2 디스플레이(130)에 구비된 그에 상응하는 제1 자성체들(미도시)이 달라붙음으로써, 제2 디스플레이(130)가 제1 디스플레이(120)로부터 이격된 제1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자성체는 제1 위치 고정용 자석에 자력에 의해 달라붙는 금속 또는 자석으로 구비된다.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전자기기(100)가 대화면 표시 모드로 사용될 경우, 제2 디스플레이(130)는 제1 디스플레이(120)를 향하는 방향(X2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제1 디스플레이(120)의 내측 모서리(123)에 밀착되는 제2 위치로 이동된다.
이때, 제2 디스플레이(130)의 내측 모서리(133)에 구비된 삽입 리브(135)가 제1 디스플레이(120)의 내측 모서리(123)에 구비된 슬롯(125)에 삽입되는 한편, 지지커버(110)의 제2 지지부(160)에 구비된 제2 위치 고정용 자석들(168a, 168b)에 제2 디스플레이(130)에 구비된 그에 상응하는 제2 자성체들(미도시)이 달라붙는다. 따라서 제1 디스플레이(120)에 밀착되는 제2 위치에 제2 디스플레이(130)가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자성체는 제1 위치 고정용 자석에 자력에 의해 달라붙는 금속 또는 자석으로 구비된다.
이러한 대화면 표시 모드에서 제1 디스플레이(120)의 표시 화면(122)과 제2 디스플레이(130)의 표시 화면(132)이 하나로 이어짐으로써, 연결된 두 개의 표시 화면(122, 132)을 통해 하나의 영상이 표시됨으로써 보다 큰 사이즈로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대화면 표시 모드에서 제2 디스플레이(130)의 내측 모서리(133)가 제1 디스플레이(120)의 내측 모서리(123)에 밀착되므로,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120, 130) 간의 이격 거리가 최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두 개의 디스플레이 간의 경계 부근에서 영상이 매끄럽게 연결되지 못함으로써 나타날 수 있는 영상의 분리감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대화면 표시 모드에서의 영상 품질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휴대용 전자기기(100)의 접힘 및 펼침 동작에 대해 추가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지커버(110)는 연성 재질의 접힘부(140)를 구비함으로써 그 접힘부(140)를 중심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다.
그리하여, 도 1 또는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전자기기(100)는 제1 디스플레이(120)의 표시 화면(122)과 제2 디스플레이(130)의 표시 화면(132)이 동일 방향을 향하도록 완전히 펼쳐진 배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전자기기(100)는 지지커버(110)의 접힘을 통해 제2 디스플레이(130)가 제1 디스플레이(120)에 대해 둔각으로 경사진 배치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사 배치가 유지될 수 있도록 지지커버(110)의 제2 지지부(160)에는 제2 디스플레이(130)를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스탠드 부재(169a)가 구비되며, 이러한 스탠드 부재(169a)는 비사용시에 지지커버(110)의 제2 지지부(160)에 형성된 수용홈(169a) 내에 수납된다.
이러한 경사 배치에서,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120, 130)는 각기 다른 영상을 표시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제2 디스플레이(130)는 영상을 표시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한편 제1 디스플레이(120)는 터치 패널 방식의 키보드 자판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전자기기(100)는 지지커버(110)의 접힘을 통해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120, 130)가 서로 포개진 배치를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배치는 휴대용 전자기기(100)를 보관하거나 이동할 때 적합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에 의하면, 두 개의 디스플레이로 하나의 영상을 표시하는 대화면 표시 모드에서 하나의 디스플레이가 다른 디스플레이를 향해 슬라이딩되어 양자 간의 이격 거리가 최소화되므로 대화면 표시 모드에서의 영상 품질이 종래에 비해 크게 개선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 휴대용 전자기기 110 : 지지커버
140: 굽힘부 150 : 제1 지지부
160 : 제2 지지부 166a,166b : 슬라이딩 안내 부재
167a,167b : 제1 위치 고정용 자석 168a,168b : 제2 위치 고정용 자석
169a : 스탠드 부재 170 : FPCB
120 : 제1 디스플레이 122 : 표시 화면
123 : 내측 모서리 125 : 슬롯
130 : 제2 디스플레이 132 : 표시 화면
133 : 내측 모서리 135 : 삽입 리브
137 : 충격 흡수 부재
140: 굽힘부 150 : 제1 지지부
160 : 제2 지지부 166a,166b : 슬라이딩 안내 부재
167a,167b : 제1 위치 고정용 자석 168a,168b : 제2 위치 고정용 자석
169a : 스탠드 부재 170 : FPCB
120 : 제1 디스플레이 122 : 표시 화면
123 : 내측 모서리 125 : 슬롯
130 : 제2 디스플레이 132 : 표시 화면
133 : 내측 모서리 135 : 삽입 리브
137 : 충격 흡수 부재
Claims (10)
- 접혀지고 펼쳐질 수 있는 접힘부, 상기 접힘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제1 지지부, 및 상기 접힘부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된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지지커버;
상기 제1 지지부의 내측면에 장착되며, 상기 접힘부를 향하도록 배치된 내측 모서리를 가진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지지부의 내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의 내측 모서리를 마주하는 내측 모서리를 가지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제1 위치와 상기 제1 디스플레이의 내측 모서리에 밀착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제2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의 내측 모서리에는 오목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디스플레이의 내측 모서리에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롯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 리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부는 접혀지고 펼쳐질 수 있도록 연성 재질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 각각은,
상기 접힘부와 동일 재질의 외피 부재; 및
상기 외피 내에 삽입된 경성 재질의 삽입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의 내측 모서리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의 내측 모서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적어도 하나의 충격 흡수 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커버는,
상기 지지커버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성인쇄회로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대해 둔각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상기 제2 디스플레이를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스탠드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커버의 제2 지지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위치 고정용 자석이 구비되며,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될 때 상기 제1 위치 고정용 자석에 달라붙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자성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커버의 제2 지지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위치 고정용 자석이 구비되며,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2 위치에 배치될 때 상기 제2 위치 고정용 자석에 달라붙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자성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52922A KR102127980B1 (ko) | 2013-05-10 | 2013-05-10 | 듀얼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52922A KR102127980B1 (ko) | 2013-05-10 | 2013-05-10 | 듀얼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33187A true KR20140133187A (ko) | 2014-11-19 |
KR102127980B1 KR102127980B1 (ko) | 2020-06-29 |
Family
ID=52453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52922A KR102127980B1 (ko) | 2013-05-10 | 2013-05-10 | 듀얼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27980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486010A (zh) * | 2015-08-31 | 2017-03-08 | 乐金显示有限公司 | 用于柔性显示器的支撑框架和包括其的柔性显示装置 |
US9936138B2 (en) | 2015-07-29 | 2018-04-0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KR200494901Y1 (ko) * | 2020-09-09 | 2022-01-20 | 센젠 이-테크 디지털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 노트북 컴퓨터 스크린 화면분할 디스플레이 장치 |
US11284003B2 (en) | 2015-07-29 | 2022-03-2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KR102444734B1 (ko) * | 2022-06-14 | 2022-09-16 | 이청림 | 스마트폰 케이스 |
Citation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50062A (ko) * | 2001-03-20 | 2002-06-26 | 김시환 | 접이식 멀티 표시장치용 케이스 |
KR20030034300A (ko) * | 2001-10-22 | 2003-05-09 | 김시환 | 휴대용 멀티표시장치 |
KR20040025624A (ko) * | 2002-09-19 | 2004-03-24 | 송민규 | 듀얼 슬라이드 표시장치 |
KR20060020796A (ko) * | 2004-09-01 | 2006-03-07 | 주식회사 쏠리테크 | 이동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
KR20070107499A (ko) * | 2006-05-03 | 2007-11-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멀티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 |
US20080253073A1 (en) * | 2007-04-16 | 2008-10-1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Foldable multi-display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
KR20100092220A (ko) * | 2009-02-12 | 2010-08-20 | 삼성전자주식회사 |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
KR101139866B1 (ko) * | 2010-12-10 | 2012-05-02 | (주) 프렉코 | 폴딩 방식 휴대 단말기의 힌지 장치 |
KR20120126198A (ko) * | 2011-05-11 | 2012-11-21 | (주) 프렉코 | 폴딩 방식의 휴대 단말기용 힌지 장치 |
KR20130013942A (ko) * | 2011-07-29 | 2013-02-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 기기의 거치 장치 |
KR101260044B1 (ko) * | 2011-11-21 | 2013-04-30 |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 와이드 디스플레이를 구현하기 위한 폴더형 휴대단말기 |
-
2013
- 2013-05-10 KR KR1020130052922A patent/KR10212798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50062A (ko) * | 2001-03-20 | 2002-06-26 | 김시환 | 접이식 멀티 표시장치용 케이스 |
KR20030034300A (ko) * | 2001-10-22 | 2003-05-09 | 김시환 | 휴대용 멀티표시장치 |
KR20040025624A (ko) * | 2002-09-19 | 2004-03-24 | 송민규 | 듀얼 슬라이드 표시장치 |
KR20060020796A (ko) * | 2004-09-01 | 2006-03-07 | 주식회사 쏠리테크 | 이동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
KR20070107499A (ko) * | 2006-05-03 | 2007-11-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멀티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 |
US20080253073A1 (en) * | 2007-04-16 | 2008-10-1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Foldable multi-display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
KR20100092220A (ko) * | 2009-02-12 | 2010-08-20 | 삼성전자주식회사 |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
KR101139866B1 (ko) * | 2010-12-10 | 2012-05-02 | (주) 프렉코 | 폴딩 방식 휴대 단말기의 힌지 장치 |
KR20120126198A (ko) * | 2011-05-11 | 2012-11-21 | (주) 프렉코 | 폴딩 방식의 휴대 단말기용 힌지 장치 |
KR20130013942A (ko) * | 2011-07-29 | 2013-02-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 기기의 거치 장치 |
KR101260044B1 (ko) * | 2011-11-21 | 2013-04-30 |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 와이드 디스플레이를 구현하기 위한 폴더형 휴대단말기 |
Cited B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936138B2 (en) | 2015-07-29 | 2018-04-0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US10645292B2 (en) | 2015-07-29 | 2020-05-0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US10701273B1 (en) | 2015-07-29 | 2020-06-3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US11284003B2 (en) | 2015-07-29 | 2022-03-2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CN106486010A (zh) * | 2015-08-31 | 2017-03-08 | 乐金显示有限公司 | 用于柔性显示器的支撑框架和包括其的柔性显示装置 |
US10345858B2 (en) | 2015-08-31 | 2019-07-09 | Lg Display Co., Ltd. | Supporting frame for flexible display and flexible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
CN106486010B (zh) * | 2015-08-31 | 2020-06-05 | 乐金显示有限公司 | 用于柔性显示器的支撑框架和包括其的柔性显示装置 |
US10921856B2 (en) | 2015-08-31 | 2021-02-16 | Lg Display Co., Ltd. | Supporting frame for flexible display and flexible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
KR200494901Y1 (ko) * | 2020-09-09 | 2022-01-20 | 센젠 이-테크 디지털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 노트북 컴퓨터 스크린 화면분할 디스플레이 장치 |
KR102444734B1 (ko) * | 2022-06-14 | 2022-09-16 | 이청림 | 스마트폰 케이스 |
WO2023243758A1 (ko) * | 2022-06-14 | 2023-12-21 | 이청림 | 스마트폰 케이스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27980B1 (ko) | 2020-06-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250733B2 (en) | Hinge device and foldable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 |
CN210091604U (zh) | 柔性设备 | |
CN209804146U (zh) | 柔性设备 | |
KR101911047B1 (ko) | 케이스 및 표시 장치 | |
KR102587879B1 (ko) |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 |
KR20210143147A (ko) |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 |
CN108363458B (zh) | 一种柔性显示设备 | |
KR20140133187A (ko) | 듀얼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 |
CN104317459B (zh) | 支撑盖板、触控显示面板和触控显示装置 | |
JP6255113B2 (ja) | 表示装置 | |
JP4857824B2 (ja) | 表示装置 | |
KR102667174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EP3493022B1 (en) |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KR20160009726A (ko) |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 |
CN104900149A (zh) | 可折叠显示装置 | |
WO2014057241A1 (en) | Foldable electronic display | |
KR20140090921A (ko) |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 |
US20120287356A1 (en) | Television and electronic device | |
US10725499B1 (en) | Display device | |
KR20200049925A (ko) | 디스플레이 패널 지지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 |
JP5232287B2 (ja) | 電子機器 | |
US20190302914A1 (en) | Display screen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 |
CN209199502U (zh) | 显示面板和显示装置 | |
KR102053902B1 (ko) | 모바일 기기 및 이에 사용되는 힌지 모듈 | |
EP4373061A1 (en) |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flexible displa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