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8793B1 - 사과부산물을 이용한 이유식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사과부산물을 이용한 이유식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8793B1
KR101408793B1 KR1020120071718A KR20120071718A KR101408793B1 KR 101408793 B1 KR101408793 B1 KR 101408793B1 KR 1020120071718 A KR1020120071718 A KR 1020120071718A KR 20120071718 A KR20120071718 A KR 20120071718A KR 101408793 B1 KR101408793 B1 KR 101408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e
juice
baby
weight
r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1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4342A (ko
Inventor
강철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충주신선편이사과사업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충주신선편이사과사업단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충주신선편이사과사업단
Priority to KR1020120071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8793B1/ko
Publication of KR20140004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4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8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87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40Complete food formulations for specific consumer groups or specific purposes, e.g. infant formul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3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sisting of whole pieces or fragments without mashing the original pieces
    • A23L19/07Fruit waste products, e.g. from citrus peel or see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9Mashed or comminuted products, e.g. pulp, purée, sauce, or products made therefrom, e.g. snack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0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L3/345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L3/3463Organic compounds; Microorganisms; Enzymes
    • A23L3/3472Compound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btained from animals or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L3/44Freeze-d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04Colour
    • A23V2200/048Preventing colour chang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과부산물을 이용하여 이유식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유기의 영유아가 소화를 잘 시킬 수 있도록 사과부산물을 이용하여 이유식을 제조하고 이유식에 사과부산물이 첨가되어 보관과정에서 쉽게 변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유식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사과이유식은 사과와 단호박에 함유된 유용성분을 함유하면서 무즙에 함유된 녹말분해효소인 아밀라아제가 쌀과 현미의 소화를 도와주므로 영유아의 영양흡수가 향상되고 소화가 촉진되며, 또한 무즙에 함유된 비타민 C가 사과의 폴리페놀 성분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유식의 갈변 및 변질을 억제하고, 무즙과 단호박에 함유된 천연 당 성분이 이유식의 당도를 높이고 섭취시 입안에서 느껴지는 맛과 감촉을 향상시킴으로써 영유아의 식욕을 자극하여 섭취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사과부산물을 이용한 이유식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weaning food using by-product of apple}
본 발명은 사과부산물을 이용하여 이유식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유기의 영유아가 소화를 잘 시킬 수 있도록 사과부산물을 이용하여 이유식을 제조하고 이유식에 사과부산물이 첨가되어 보관과정에서 쉽게 변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유식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과는 향미성분과 육즙이 풍부하여 널리 애용되는 과일로서 숙성함에 따라 상당량의 전분이 당분으로 분해되므로 잘 익은 것은 당도가 높다.
사과 과일에는 비타민류와 유기산 등이 함유되어 있고 대표적인 유기산은 말산(malic acid)이며, 사과껍질에 함유된 성분들인 트리테르페노이드(triterpenoid)와 폴리페놀 성분들이 암세포 성장을 막고 암 세포를 사멸시키는 것으로 학계에 보고되어 있다.
폴리페놀류는 항산화 기능을 갖고 있어서 이들이 생체 내에서도 항산화제로 작용하여 건강유지와 질병예방 등에 기여할 수 있으며, 또한 콜레스테롤이 소화관으로 흡수되는 것을 막기 때문에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 작용도 한다.
또한, 사과껍질에는 과육에 함유된 식이섬유 함량보다 15배 정도 더 많이 식이섬유가 함유되어 있으며, 조지방, 조단백, 탄수화물, 비타민 및 기타 미네랄 성분(칼슘, 인, 나트륨, 철 등) 등도 다량 함유되어 있다.
식이섬유는 몸속의 지방을 흡착하여 체외로 배출하고 포만감을 유발하여 과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사과껍질에 많이 함유된 수용성 식이섬유인 펙틴은 탄수화물의 중합체로서 식품의 응고제, 증점제, 안정제, 고화방지제, 유화제 등으로 사용된다.
사과는 국내 과일 중에서 생산과 소비가 가장 많고 재배면적이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주로 생과로 소비되고 상품성이 떨어지는 중품 이하의 것은 음료용, 양조, 잼, 건과 및 통조림 등의 가공용 원료로 이용되고 있으며, 과일의 비대기에 장마, 태풍 등의 영향으로 많은 중하품이 발생하여 재배농가에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주고 있다.
또한, 사과는 수분함량이 매우 많고 영양성분이 풍부하기 때문에 사과를 가공하고 남은 부산물은 잡균이 번식하여 쉽게 부패하고 갈변현상이 심하여 일부 동물사료로 사용되고 있을 뿐 대부분이 폐기되어, 폐기처분과 이에 따른 오염문제로 인하여 농가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이 식품으로서 우수한 영양소재임에도 불구하고 상품성이 떨어져 폐기처분되는 사과부산물을 이용하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방안 중에는 이유기의 영유아에 필요한 비타민류와 유기산 등의 성분이 사과에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것을 이용하여 사과부산물로 이유식을 제조하는 방안이 제안되어 있다.
이유식은 젖을 떼는 시기의 아기에게 먹이는 젖 이외의 부드러운 음식으로서, 영유아기 초기에는 모유나 분유만으로 필요한 영양을 얻을 수 있으나 생후 6 개월 정도가 되면 모유나 분유만으로는 충분한 영양공급이 어려워진다.
따라서 아기에게 연하고 소화가 잘 되는 반고형 상태의 음식을 주어 부족한 영양을 보충하고 고형식에 익숙해지도록 하는 역할의 이유식이 필요한데, 통상의 시판되는 이유식은 마쇄된 곡물류에 여러 가지 영양성분을 첨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소화력과 흡수력이 낮은 아기들은 여러 가지 재료를 단순 배합시킨 것만으로는 영양분을 충분히 흡수 이용할 수 없으며, 이러한 방식으로 배합된 기존의 이유식은 그동안 접해보지 않던 음식에 대한 이질감 등으로 아기의 소화불량과 위장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336111호에는 현미와 콩을 발아시켜 분쇄하는 공정과, 야채, 과일, 올리고당, 흑설탕을 함께 넣고 발효시켜 발효 효소를 제조하는 공정과, 상기 제조한 발아 현미, 발아 콩 및 발효 효소와 기타 부재료를 함께 발효시키는 공정과, 상기 발효가 완료된 발효액을 멸균하여 건조, 분쇄 후 포장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발효 이유식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의 발효 효소는 호박, 당근, 토마토, 꽃양배추, 시금치, 완두콩, 샐러리, 바나나, 오렌지, 배, 사과, 비트를 동일한 비율로 준비하여 미분쇄한 후 야채와 과일 전체 투입량 기준 약 30 중량%의 올리고당액과 약 90 중량%의 흑설탕을 넣고 1 개월~3 년간 발효시켜 제조된다.
상기 발명은 곡류, 두류 및 야채 효소액을 발효시킴으로써 함유된 영양소들이 발아 및 발효공정에 의해 저분자화되어 유아들이 쉽게 소화할 수 있고, 또한 기존 영양소가 고급 영양소로 변화되어 유아들의 영양 공급과 면역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나, 발효시키기 위하여 과량의 당류를 첨가해야 한다.
이유기의 유아가 당류를 과잉 섭취하게 되면 영양 불균형, 혈당치 상승, 젖니의 충치 및 비만 등을 유발하며, 특히 소아비만은 소아당뇨, 성조숙증, 고지혈증, 지방간, 종양, 고혈압, 심혈관 질환, 호흡기 질환 등 질병의 직간접적인 원인이 되고, 또한 성장하는데 있어서도 문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930996호에는 아기용 분유제품 또는 이유식에 건조 녹차 또는 녹차추출물을 첨가하고 유산균, 낙산균 또는 효모균을 배합하여 아기용 분유 또는 이유식을 제조하는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발명은 아기용 분유 또는 이유식에 녹차성분이 함유되어 아기의 아토피 예방과 치료효과뿐만 아니라 정장소화기능을 정상화하고 소아비만을 예방하는 등의 효과를 제공하나, 녹차에는 각성제 효능이 있는 카페인이 함유되어 있어서 지속적으로 섭취할 경우 발달과정에 있는 유아의 신경계와 신진대사 기능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며, 심할 경우 카페인 중독을 유발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유식이 영유아의 성장에 해를 주지 않으면서 균형있는 영양분을 함유하고 모유나 분유에서 자연스럽게 고형식에 익숙해지도록 하여 접해보지 않던 음식에 대한 이질감을 손쉽게 극복할 수 있는 이유식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유기의 영유아가 고형음식에 대한 이질감을 최소화하면서 소화가 잘 될 수 있는 사과이유식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사과부산물이 첨가된 이유식이 보관과정에서 산화되고 변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과부산물을 세척하고 불가식부위를 제거한 다음, 사과입자의 지름이 30~150 ㎛가 되도록 습식분쇄방식으로 마쇄하여 사과 마쇄액을 준비하는 단계; 잎을 제거한 무의 뿌리를 깨끗이 세척한 다음 물기를 제거하고 압착하여 무즙을 추출하는 단계; 쌀밥 100 중량부에 현미밥 20~50 중량부 및 찐 단호박 10~30 중량부를 혼합하고 마쇄하여 점증제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사과 마쇄액 100 중량부에 상기 무즙 5~10 중량부 및 상기 점증제 5~20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100~400 메시의 체를 이용하여 여과하는 단계; 및 상기 여과된 혼합물을 수분함량이 10.0 중량% 이하가 되도록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과부산물을 이용한 이유식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사과이유식은 사과와 단호박에 함유된 유용성분을 함유하면서 무즙에 함유된 녹말분해효소인 아밀라아제가 쌀과 현미의 소화를 도와주므로 영유아의 영양흡수가 향상되고 소화가 촉진된다.
또한, 무즙에 함유된 비타민 C가 사과의 폴리페놀 성분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유식의 갈변 및 변질을 억제하고, 무즙과 단호박에 함유된 천연 당 성분이 이유식의 당도를 높이고 섭취시 입안에서 느껴지는 맛과 감촉을 향상시킴으로써 영유아의 식욕을 자극하여 섭취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과이유식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생과로 이용되기에 부적합한 사과 또는 신선편이 식품 등으로 이용하고 남은 사과부산물을 수거하여 깨끗이 세척한다.
사과부산물 중 부패부위 등의 불가식부위를 제거한 다음 마쇄하는데, 사과의 과피와 씨에 식이섬유, 폴리페놀 등의 유용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과피, 씨방 등을 분리하지 않고 그대로 마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씨의 경우 마쇄하여도 영유아의 소화흡수능력이 낮은 점을 고려하여 씨방을 제거하고 마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쇄는 습식분쇄기를 이용하여 사과입자의 지름이 30~150 ㎛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습식분쇄방식을 이용할 경우 사과 미세입자의 응집현상이 방지되고 분산효과가 큰 이점이 있다.
그런데 사과에는 폴리페놀 산화효소(polyphenol oxidase)가 존재하고 상기 산화효소는 공기 중의 산소와 반응하여 사과에 함유된 폴리페놀, 비타민 C 등을 산화시켜 갈변을 일으키고 인체에 유익한 영양성분을 변질시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과 마쇄액에 갈변방지제를 첨가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갈변방지제로서 천연소재인 무를 이용한다.
무는 쌍떡잎식물 양귀비목 십자화과의 한해살이풀 또는 두해살이풀로서, 뿌리에는 포도당, 자당, 과당의 당분 및 각종의 유기산과 아미노산이 함유되어 있고, 녹말을 분해하여 소화흡수를 촉진하는 아밀라아제, 발암물질을 분해·해독하고 위벽을 보호하는 오게시타제 등의 효소 및 비타민 C가 다량 함유되어 있다.
무에 함유된 비타민 C는 사과의 갈변을 방지하여 이유식의 영양성분을 보호하고 갈변에 의한 품질저하를 방지하며, 또한 무에 가장 많이 함유된 아밀라아제 효소는 소화력과 흡수력이 낮은 영유아의 소화 흡수력을 도와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잎을 제거한 무의 뿌리를 깨끗이 세척한 다음 물기를 제거하고 이를 압착하여 무즙을 추출한다.
상기 무즙을 상기 사과 마쇄액 100 중량부 기준 5~10 중량부 혼합하며, 5 중량부 미만이면 갈변방지 및 소화촉진 효과가 미미하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무의 매운맛 성분인 이소티오시안산염(isothiocyanate)의 함량이 증가하여 영유아의 민감한 미각에 자극을 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다음은 점증제를 준비한다.
본 발명에서 점증제의 소재는 쌀, 현미 및 단호박을 이용하며, 쌀과 현미는 통상의 밥짓는 방법으로 쌀밥 및 현미밥을 지은 후 마쇄하고, 단호박은 찐 다음 마쇄한다.
쌀에는 탄수화물ㆍ단백질ㆍ지방ㆍ무기질ㆍ비타민 등 많은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으며, 현미에는 쌀의 영양성분에 더하여 쌀눈의 비타민과 미네랄 성분, 쌀겨의 섬유질과 식물성 지방이 더 함유되어 있으며, 단호박에는 전분, 미네랄, 비타민 등의 함량이 높고 단맛이 있어서 영유아의 식욕을 증진한다.
쌀, 현미 및 단호박의 혼합비율은 영양성분의 균형 및 점성과 단맛의 조절 면에서 쌀밥 100 중량부 기준 현미밥 20~50 중량부 및 찐 단호박 10~30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상기 점증제는 상기 사과 마쇄액 100 중량부 기준 5~20 중량부 혼합하며, 5 중량부 미만이면 점도가 낮아 식감이 저하되고 20 중량부를 초과하면 탄수화물의 함량이 높아서 영유아의 소화에 부담을 줄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유식은 영양보충식의 역할뿐만 아니라 일반 식재료를 다양하게 경험해 가면서 젖을 뗄 수 있도록 유동식에서 반고형식, 고형식으로 점차적인 식습관의 개선을 통해 평상식에 익숙해지도록 훈련을 하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상기 점증제의 혼합량을 상기 범위 내에서 이유기 초반에는 적은 량을 혼합하고 후반에는 많은 량을 혼합하여 영유아의 월령별 단계에 맞는 이유식을 제조할 필요가 있다.
상기 사과 마쇄액, 무즙 및 점증제를 혼합한 혼합물을 미음 또는 죽의 물성에 적합하도록 입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하여 상기 혼합물을 여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과에 사용되는 체로서 이유기 초반에는 미세 입자용 250~400 메시(mesh)가 바람직하고 이유기 후반에는 거친 입자용 100~200 메시가 바람직하다.
상기 여과과정을 거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유식의 제조가 완료되며, 이를 포장하고 초고압 살균하거나, 또는 건조하여 분말화함으로써 이유식의 저장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건조하여 이유식 분말로 제조할 경우 이유식의 영양성분의 파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동결건조방식이 바람직하며, 건조 후 수분함량은 식품공전의 영·유아식 분말·고형제품 수분기준인 10.0 % 이하가 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에 의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예로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실시예 1>
먼저, 잎을 제거한 무의 뿌리를 깨끗이 세척한 다음 물기를 제거하고 이를 압착 및 고형물을 제거하여 무즙을 추출하였다.
다음은 쌀과 현미 각각을 통상의 방법으로 취사하여 쌀밥과 현미밥을 지었다.
단호박을 가로방향으로 절단하고 씨를 파낸 후 절단된 단호박을 원래 모양으로 합치고 찜기를 이용하여 15 분간 쪄낸 다음 껍질을 제거하였다.
상기 쌀밥 1 ㎏, 현미밥 300 g 및 찐 단호박 200 g을 혼합하고 마쇄기(MC-1, (주)영진코퍼레이션, 한국)로 마쇄하여 점증제를 제조하였다.
다음은 사과를 신선편이 식품으로 이용하고 남은 사과부산물을 수거하여 깨끗이 세척하였다.
세척된 사과부산물 중 부패부위 등의 불가식부위와 씨방을 제거한 다음 습식분쇄기(MKZA 6-5, 코엔, 한국)를 이용하여 100 ㎛의 입자크기로 마쇄하였다.
상기 사과 마쇄액 10 ㎏에 무즙 0.7 ㎏과 점증제 1 ㎏을 혼합하고 250 메시의 체를 통과시켜 반고형 이유식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의 이유식을 초고압 처리기(215L, Avure Inc., 미국)를 이용하여 500 ㎫에서 4분간 살균처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고형 이유식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의 이유식을 동결건조하여 수분함량 6 중량%의 이유식 분말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말 이유식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사과 마쇄액에 무즙을 혼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고형 이유식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점증제 중 단호박을 제외하고 쌀밥과 현미밥 마쇄물 1 ㎏을 사과 마쇄액에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고형 이유식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색상 분석
시판되는 이유식을 대조군으로 하여,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사과 이유식을 10 일간 냉장저장한 후 갈색도 및 색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갈색도의 측정은 분광광도계(Optizen 2120UV, Mecasys, 한국)를 이용하여 42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색도는 색차계(CM-3600D, Konica Minolta, 일본)를 이용하여 L(명도), a(적색도), b(황색도) 값을 측정하였으며, 색차(△E)는 Hunter-Scofield 식{ΔE=(ΔL2+Δa2+Δb2)½}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색도 측정시 대조구로서 증류수(L=100.00, a=0.00, b=0.00)를 사용하였다.
갈색도 및 색도 측정
갈색도 색도
L a b △E
실시예 1 0.325 55.30 7.64 36.82 69.87
실시예 2 0.277 58.64 6.21 34.35 71.24
실시예 3 0.293 52.66 8.01 37.26 68.00
비교예 1 0.406 48.92 9.63 40.05 66.95
비교예 2 0.259 65.24 5.72 31.92 75.86
대조군 0.352 51.81 6.53 33.96 65.29
상기 표 1의 결과, 갈색도는 실시예가 0.277~0.325의 수치를 보이는데 비하여, 무즙이 혼합되지 않은 비교예 1이 0.406이고 단호박이 첨가되지 않은 비교예 2가 0.259이며, 대조군이 0.352로 나타났다.
상기 결과로 보면, 무즙이 첨가되지 않았을 경우 변색이 좀더 빨리 진행되고 단호박이 이유식의 색을 좀더 진하게 하며, 무즙이 첨가되면 시판되는 이유식에 비하여 변색이 억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색도에서는 비교예 2가 가장 밝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단호박이 첨가되지 않은 결과이며, 이외에는 전체적으로 실시예가 비교예 1 및 대조군에 비하여 밝은 색을 띠어 시간경과에 따른 변색이 천천히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상기 결과는 무에 함유된 비타민 C가 사과에 함유된 폴리페놀 화합물들과 당분의 산화를 막아 변색을 억제한 결과로 판단되므로, 사과이유식 제조과정에서 무즙의 첨가는 갈변 방지 및 아밀라아제 효소에 의한 소화촉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시험예 2> 당도 분석
시판되는 이유식을 대조군으로 하여,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사과이유식을 10 일간 냉장저장한 후 당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당도측정은 휴대용 굴절당도계(digital refractometer, PR-101, ATAGO co., 일본)를 이용하여 상온에서 측정하였다.
당도 측정
당도(Brix %)
실시예 1 23.5
실시예 2 23.6
실시예 3 22.1
비교예 1 19.8
비교예 2 15.2
대조군 14.0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과이유식의 당도는 무즙과 단호박이 첨가된 실시예 > 무즙을 혼합하지 않은 비교예 1 > 단호박을 혼합하지 않은 비교예 2 > 시판 이유식의 순으로 당도가 높게 측정되었다.
실시예에서 당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나 영유아의 식욕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당도 증가는 인공감미료가 아닌 천연재료인 무와 단호박에 의하므로 영유아의 건강을 해칠 우려가 없다.
<시험예 3> 관능검사
시판되는 이유식을 대조군으로 하여,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사과이유식을 10 일간 냉장저장한 후 식감을 분석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전문평가요원 30명을 대상으로 상기 제조된 이유식의 달콤한 맛, 새콤한 맛, 구수한 맛, 끈적이는 느낌 및 부드러운 느낌을 5점 척도법으로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관능검사 측정결과
달콤한 맛 새콤한 맛 구수한 맛 끈적이는 느낌 부드러운 느낌
실시예 1 4.6 3.5 3.7 3.6 4.6
실시예 2 4.6 3.5 3.6 3.7 4.4
실시예 3 4.4 3.2 4.0 3.0 4.3
비교예 1 4.3 3.3 4.3 3.8 4.0
비교예 2 4.0 4.0 3.2 3.3 4.3
대조군 2.8 2.4 3.2 3.6 3.7
5:매우 좋음, 4:좋음, 3:보통, 2:나쁨, 1:매우 나쁨
각 군별 관능검사 결과를 보면, 달콤한 맛은 실시예 1, 2, 새콤한 맛은 단호박을 첨가하지 않은 비교예 2, 구수한 맛과 끈적이는 느낌은 무즙을 첨가하지 않은 비교예 1, 부드러운 느낌은 실시예 1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분석하면, 단호박이 이유식의 구수한 맛과 끈적이는 느낌을 강하게 하고 새콤한 맛을 상쇄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무즙과 단호박이 모두 첨가되었을 경우 달콤한 맛과 부드러운 느낌을 살릴 수 있어 영유아의 식감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사과이유식은 사과에 함유된 유용성분을 함유하면서 무즙에 함유된 비타민 C가 사과의 폴리페놀 성분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유식의 갈변 및 변질을 억제하고, 무즙과 단호박에 함유된 천연 당 성분이 이유식의 당도를 높이고 섭취시 입안에서 느껴지는 맛과 감촉을 향상시킴으로써 영유아의 식욕을 자극하여 섭취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Claims (5)

  1. 사과부산물을 세척하고 불가식부위를 제거한 다음, 사과입자의 지름이 30~150 ㎛가 되도록 습식분쇄방식으로 마쇄하여 사과 마쇄액을 준비하는 단계;
    잎을 제거한 무의 뿌리를 깨끗이 세척한 다음 물기를 제거하고 압착하여 무즙을 추출하는 단계;
    쌀밥 100 중량부에 현미밥 20~50 중량부 및 찐 단호박 10~30 중량부를 혼합하고 마쇄하여 점증제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사과 마쇄액 100 중량부에 상기 무즙 5~10 중량부 및 상기 점증제 5~20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100~400 메시의 체를 이용하여 여과하는 단계; 및
    상기 여과된 혼합물을 수분함량이 10.0 중량% 이하가 되도록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과부산물을 이용한 이유식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20071718A 2012-07-02 2012-07-02 사과부산물을 이용한 이유식 제조방법 KR1014087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1718A KR101408793B1 (ko) 2012-07-02 2012-07-02 사과부산물을 이용한 이유식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1718A KR101408793B1 (ko) 2012-07-02 2012-07-02 사과부산물을 이용한 이유식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342A KR20140004342A (ko) 2014-01-13
KR101408793B1 true KR101408793B1 (ko) 2014-06-23

Family

ID=50140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1718A KR101408793B1 (ko) 2012-07-02 2012-07-02 사과부산물을 이용한 이유식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87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5560B1 (ko) * 2016-08-22 2018-01-11 주식회사 홀리스틱바이오 단계적 비가열 공정을 통한 식품 분말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9372A (ko) * 2020-04-20 2021-10-28 (재)전북바이오융합산업진흥원 고령농민 맞춤형 블랙베리 앤 사과 스무디 및 이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ttp://blog.naver.com/20060520love?Redirect=Log&logNo=130091010164(2010.07.29.) *
http://prinjeal.com/80065144769(2009.03.17.)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5560B1 (ko) * 2016-08-22 2018-01-11 주식회사 홀리스틱바이오 단계적 비가열 공정을 통한 식품 분말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342A (ko) 2014-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0579B1 (ko) 수삼을 함유한 식물성 건강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793933B1 (ko) 항산화활성 및 미백효과가 있는 기능성 고추장 및 그 제조방법
KR101261823B1 (ko) 미생물발효에 의한 활성 효소식품의 제조방법
KR20180033381A (ko) 기능성 식초의 제조방법
KR101917115B1 (ko) 발아 현미 여주 흑초 제조 방법
CN103271158B (zh) 谷物养生奶及其制备方法
KR101386259B1 (ko) 추출 발효액을 함유하는 체중감량 및 대사성 질환 개선용 기능성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77483A (ko) 백색식품 및 흑색식품 재료를 이용한 선식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408793B1 (ko) 사과부산물을 이용한 이유식 제조방법
KR100871568B1 (ko) 식물성 건강 음료 및 그 제조방법
CN103749797B (zh) 保健型糙米红茶饮料的制作方法
CN109938252A (zh) 一种抗衰老、降血糖的食叶草米排粉及其制备方法
KR101220131B1 (ko) 효소 현미 및 효소 현미의 제조 방법
KR20090019964A (ko) 치아 종자를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1660764B1 (ko) 베타글루칸 이유식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베타글루칸 이유식
KR102006255B1 (ko) 고구마볼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고구마볼
CN113229452A (zh) 一种天然健康燕麦粥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883787B1 (ko) 초석잠분말 및 gaba강화 발아곡물분말을 주재로 한 선식 및 선식 주재 제조방법
KR20100103122A (ko) 고구마 함유 즉석식품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구마 함유 즉석식품
KR20080024778A (ko) 유기셀레늄 함유 곡물을 이용한 아이스크림의 제조 방법
KR102587601B1 (ko) 커피 및 귀리와 메밀껍질액상발효액을 포함하는 커피막걸리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되는 커피막걸리
KR20180000873A (ko) 체질개선 및 체중 감량에 도움을 주는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KR102557893B1 (ko) 농촌 고령 농민을 위한 블랙베리 앤 사과 스무디의 제조방법
CN112998198B (zh) 一种富硒谷胚芽米粉加工工艺
RU2735552C1 (ru) Свекловичная клетчатка в батончике с различными вкусами фруктов и яго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