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8678B1 - 저장 복합체 및 이를 이용한 저장조 및 저장 침투조 - Google Patents

저장 복합체 및 이를 이용한 저장조 및 저장 침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8678B1
KR101408678B1 KR1020137019624A KR20137019624A KR101408678B1 KR 101408678 B1 KR101408678 B1 KR 101408678B1 KR 1020137019624 A KR1020137019624 A KR 1020137019624A KR 20137019624 A KR20137019624 A KR 20137019624A KR 101408678 B1 KR101408678 B1 KR 101408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plate
plate
spacers
cylindrical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9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4220A (ko
Inventor
세이이치로 타카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토오테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토오테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토오테츠
Publication of KR20130114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4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8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8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E03B3/03Special vessels for collecting or storing rain-water for use in the household, e.g. water-but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12Suppor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2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2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 E03F1/005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via box-shap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저장 복합체(11)를 저장조 또는 저장 침투조의 내부에 충전하고, 구획판(12)의 하면 및 상면에 원통 리브(24,28)를 하나씩 돌출 설치한다. 깔대기 형태의 단부 스페이서(13)는 구획판의 상하면에 원통 리브에 끼워 접속되는 대직경 통부(13a)와, 대직경 통부보다 작은 직경의 소직경 통부(13b)를 갖는다. 원통형의 연결 스페이서(14)의 양단을 한 쌍의 단부 스페이서의 소직경 통부에 끼우고, 구획판의 한 변의 길이를 S라고 할 때 원통 리브가 대직경 통부와 끼워지는 부분의 직경(T)을 0.40S ~ 0.95S의 범위 내로 설정한다. 복수 개의 구획판을 동일 수평면 내에 나란히 배열하여 서로 연결함으로써 구성되는 수평 연결체(33)를 복수 단 설치하고, 복수 단의 수평 연결체 사이에 단부 스페이서 및 연결 스페이서를 개재한다. 비교적 간단한 형상의 구획판, 단부 스페이서, 연결 스페이서 등을 이용하여, 저장조 및 저장 침투조의 제작 비용을 낮추고, 이들 부재를 성형하는 금형의 제작 공정 수를 저감한다.

Description

저장 복합체 및 이를 이용한 저장조 및 저장 침투조{STORAGE COMPOSITE, AND STORAGE TANK AND PERMEABLE STORAGE TANK USING SAME}
본 발명은 빗물 등을 저장하는 저장조 또는 빗물 등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저장 침투조의 내부에 충전되는 저장 복합체와, 이 저장 복합체를 이용한 저장조 및 저장 침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평판과 평판에 개구하는 통형상부(筒狀部)로 이루어지는 테이블형 부재가 지하에 배치되어 빗물의 저장 공간이 형성되고, 테이블형 부재의 서로 접하는 평판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뻗는 보강재가 배치된 빗물 등의 저장 침투 시설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이 저장 침투 시설에서는, 복수 개의 테이블형 부재의 통형상부를 서로 맞대도록 포개어 쌓고(중첩하여 쌓고), 이들 통형상부에 수직 방향의 보강재가 관통된다. 또한 수평 방향으로 뻗는 보강재와 수직 방향으로 뻗는 보강재의 재질은 스테인리스 스틸 등의 금속제, 콘크리트제, 혹은 수지 및 섬유로 이루어지는 FRP(Fiber Reinforced Plastics:섬유 강화 플라스틱)제일 수도 있다. 나아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재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재의 형상은 ㄷ자형, 각기둥형, 혹은 L자형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저장 침투 시설의 저장 공간을 형성하려면, 먼저 첫번째 단의 테이블형 부재를 수평 방향으로 뻗는(연장되는) 보강재와 함께 배열하고, 수직 방향으로 뻗는(연장되는) 보강재를 테이블형 부재의 통형상부에 삽입하여 세운다. 이어서 두번째 단의 테이블형 부재를, 그 통형상부를 첫번째 단의 테이블형 부재의 통형상부에 맞대도록 배열하고, 두번째 단의 테이블형 부재의 평판에 설치된 홈에 수평 방향으로 뻗는 보강재를 끼워넣는다. 다음 수평 방향으로 뻗는 보강재에 맞추도록 세번째 단의 테이블형 부재를 포갠다. 나아가 차례로 테이블형 부재와 수평 방향으로 뻗는 보강재를 포개고, 수직 방향으로 뻗는 보강재의 상단과 최상단의 수평 방향으로 뻗는 보강재를 고정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저장 침투 시설에서는, 테이블형 부재를 형성하는 통형상부를 관통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뻗는 보강재를 삽입하고, 테이블형 부재를 형성하는 평판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뻗는 보강재를 삽입함으로써, 저장 침투 시설이 보강된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2008-255767호 공보(청구항 2, 청구항 3, 단락 [0006], 단락 [0007], 단락 [0012], 단락 [0014], 도 4, 도 8)
그러나, 상기 종래의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저장 침투 시설에서는, 테이블형 부재를 구성하는 평판 및 통형상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테이블형 부재가 비교적 복잡한 형상이 되어, 테이블형 부재를 성형하는 금형의 제작 공정 수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저장 침투 시설에서는, 테이블형 부재의 평판의 표면적에 대해 통형상부의 단면적이 비교적 작기 때문에 저장 침투 시설의 조립 작업시에 작업자가 평판 중 수평 방향의 보강재가 지나지 않는 부분에 올라가면, 평판이 변형되거나 혹은 일그러지게 되어 작업 효율이 저하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저장 침투 시설에서는, 인접하는 테이블형 부재의 평판끼리의 어긋남을 수평 방향으로 뻗는 보강재로 방지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저장 침투 시설의 조립 작업시에 작업자가 상기 수평 방향으로 뻗는 보강재를 부설하기 전의 테이블형 부재의 평판에 올라가 작업하려고 하면, 테이블형 부재의 평판이 변형되어 작업이 불안정해져 작업성이 저하하거나 혹은 테이블형 부재의 평판이 손상되어 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저장 침투 시설에서는 포개쌓은 테이블형 부재가 연직 방향에 걸쳐 모두 동일 형상이기 때문에, 하부의 테이블형 부재에 의해 원하는 강도가 얻어졌다고 해도, 상부의 테이블형 부재에서는 필요 이상의 강도가 확보되어 버려 구조적으로 낭비가 생기는 문제점도 있었다. 나아가, 상기 종래의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저장 침투 시설에서는, 이 저장 침투 시설을 구성하는 테이블형 부재, 수평 방향으로 뻗는 보강재 및 수직 방향으로 뻗는 보강재가 모두 전용품이기 때문에, 재료 비용이 상승하는 결점이 있으며, 또한 폐기 처분에 고심하고 있는 염화 비닐제의 파이프 등의 폐재(폐파이프)를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첫번째 목적은, 비교적 간단한 형상의 구획판, 단부 스페이서, 연결 스페이서 등의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이들의 부재를 성형하는 금형의 제작 공정수를 저감할 수 있고, 게다가 낭비 없이 재료를 사용할 수 있는, 저장 복합체 및 이를 이용한 저장조 및 저장 침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조립 작업시에 작업자가 수평 연결체에 올라가도 각 구획판이 각 단부 스페이서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됨으로써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저장 복합체 및 이를 이용한 저장조 및 저장 침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인접하는 구획판끼리가 볼록부 및 오목부에 의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 작업시에 작업자가 수평 연결체에 올라가도 인접하는 구획판끼리의 상하 방향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구획판끼리를 연결할 때 그 방향성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조립 작업성을 해치지 않는, 저장 복합체 및 이를 이용한 저장조 및 저장 침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네 번째 목적은, 복수 단의 수평 연결판의 연직 방향의 간격을 하부보다 상부를 크게 함으로써, 상부의 강도를 작게 하여 구조적인 낭비를 없앨 수 있는, 저장 복합체 및 이를 이용한 저장조 및 저장 침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섯번 째 목적은, 스페이서로서 폐파이프를 사용함으로써 폐기 처분에 고심하고 있는 폐파이프의 유효 이용을 도모할 수 있는, 저장 복합체 및 이를 이용한 저장조 및 저장 침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첫 번째 관점은, 도 1~도 3, 도 6, 도 8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장조 또는 저장 침투조의 내부에 충전되는 저장 복합체(11)에 있어서, 하면에 적어도 하나의 원통 리브(24)가 돌출 설치되고, 상면에 적어도 하나의 원통 리브(28)가 돌출 설치된 복수 개의 정사각형 판형의 구획판(12)와, 구획판(12)의 하면 또는 상면의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에 상기 원통 리브(24, 28)에 끼워져서 접속되는 대직경 통부(13a)와 이 대직경 통부(13a)와 일체로 형성되며 대직경 통부(13a)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 소직경 통부(13b)를 갖는 복수 개의 깔대기형의 단부 스페이서(13)와,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단부 스페이서(13, 13)의 소직경 통부(13b, 13b)에 양단이 각각 끼워지며 연직 방향으로 뻗는(연장되는) 복수 개의 원통형의 연결 스페이서(14)를 구비하며, 구획판(12)의 한 변의 길이를 S라고 할 때 원통 리브(24, 28)가 대직경 통부(13a)와 끼워져 결합하는 부분의 직경(T)이 0.40S~0.95S의 범위 내로 설정되고, 복수 개의 구획판(12)을 동일 수평면 내에 나란히 배열하여 서로 연결함으로써 구성되는 수평 연결체(33)가 복수 단 설치되고, 복수 단의 수평 연결체(33) 사이에 단부 스페이서(13) 및 연결 스페이서(14)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두 번째 관점은, 첫 번째 관점에 따른 발명으로서, 또한 도 1~도 3, 도 6, 도 8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구획판(12)의 중심에 삽입 관통구멍(12a)이 각각 형성되고, 복수 단의 수평 연결체(33)를 구성하는 각 구획판(12)의 삽입 관통구멍(12a)에 주축 파이프(16)가 연직 방향으로 삽입 관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 번째 관점은, 첫 번째 관점에 따른 발명으로서, 또한 도 1, 도 6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하단의 수평 연결체(36)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구획판의 하면을 평평하게 형성함으로써 복수 개의 바닥판(37)이 형성되고, 최상단의 수평 연결체(46)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구획판의 상면을 평평하게 형성함으로써 복수 개의 상판(天板, 47)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네 번째 관점은, 첫 번째 관점에 따른 발명으로서, 또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 단의 수평 연결체(33, 36, 46)의 연직 방향의 간격이 하부보다 상부가 커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섯 번째 관점은, 첫 번째 관점에 따른 발명으로서, 또한 도 2, 도 3, 도 10,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획판(12)의 4개의 측면에 볼록부(12e) 및 오목부(12f)가 각각 설치되고, 구획판(12)의 볼록부(12e)가 이 구획판(12)에 인접하는 구획판(12)의 오목부(12f)에 결합하고, 구획판(12)의 오목부(12f)가 이 구획판(12)에 인접하는 구획판(12)의 볼록부(12e)에 결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여섯 번째 관점은, 다섯 번째 관점에 따른 발명으로서, 또한 도 21~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획판(112)이, 정사각형 판형의 구획판 본체(112b)와, 이 구획판 본체(112b)의 상방 및 하방에 구획판 본체(112b)의 전체 외주에 걸쳐 돌출 설치된 정사각형 틀 형태의 각통 리브(112c)를 가지며, 볼록부(113)가, 각통 리브(112c)의 외주면 중 구획판 본체(112b)보다 상측이며 각통 리브(112c)의 외주면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 개의 직사각형 판형의 제1 볼록부(113a)와, 각통 리브(112c)의 외주면 중 구획판 본체(112b)보다 하측이며 각통 리브(112c)의 외주면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 개의 직사각형 판형의 제2 볼록부(113b)로 이루어지고, 오목부(114)가, 복수 개의 제1 볼록부(113a) 사이에 설치된 제1 오목부(114a)와, 복수 개의 제2 볼록부(113b) 사이에 설치된 제2 오목부(114b)로 이루어지고, 제1 볼록부(113a)가 제2 오목부(114b)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제2 볼록부(113b)가 제1 오목부(114a) 바로 위에 위치함으로써 제1 및 제2 볼록부(113a, 113b)와 제1 및 제2 오목부(114a, 114b)가 각통 리브(112c)의 외주면에 격자형으로 배치되고, 구획판(112)의 제1 볼록부(113a)가 이 구획판(112)에 인접하는 구획판(112)의 제1 또는 제2 오목부(114a, 114b)에 결합하고, 구획판(112)의 제2 볼록부(113b)가 이 구획판(112)에 인접하는 구획판(112)의 제2 또는 제1 오목부(114b, 114a)에 결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곱 번째 관점은, 도 16~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장조 또는 저장 침투조의 내부에 충전되는 저장 복합체(91)에 있어서, 중심에 삽입 관통구멍(12a)이 형성되고 하면에 삽입 관통구멍(12a)과 동심형으로 복수 개의 원통 리브(21~24)가 각각 돌출 설치되며 상면에 삽입 관통구멍(12a)과 동심형으로 복수 개의 원통 리브(25~28)가 각각 돌출 설치된 복수 개의 정사각형 판형의 구획판(12)과, 구획판(12)의 하면 또는 상면의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에 복수 개의 원통 리브(21~28) 사이의 복수 개의 링홈 중 어느 하나에 각각 헐겁게 끼워지도록 접속된 복수 개의 원뿔대 통형 또는 원통형의 스페이서(93)와, 구획판(12)의 삽입 관통구멍(12a)에 삽입 관통되는 주축 파이프(16)를 구비하며, 복수 개의 구획판(12)을 동일 수평면 내에 나란히 배열하여 서로 연결함으로써 구성되는 수평 연결체(33)가 복수 단 설치되고, 복수 단의 수평 연결체(33) 사이에 스페이서(93)가 개재되고, 복수 단의 수평 연결체(33)를 구성하는 각 구획판(12)의 삽입 관통구멍(12a)에 주축 파이프(16)가 연직 방향으로 삽입 관통되고, 구획판(12)의 4개의 측면에 볼록부(12e) 및 오목부(12f)가 각각 설치되고, 구획판(12)의 볼록부(12e)가 이 구획판(12)에 인접하는 구획판(12)의 오목부(12f)에 결합하고, 구획판(12)의 오목부(12f)가 이 구획판(12)에 인접하는 구획판(12)의 볼록부(12e)에 결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여덟 번째 관점은, 여섯 번째 관점에 따른 발명으로서, 추가로 구획판이, 중심에 삽입 관통구멍이 형성된 정사각형 판형의 구획판 본체와, 이 구획판 본체의 상방 및 하방에 구획판 본체의 전체 외주에 걸쳐 돌출 설치된 정사각형 틀 형태의 각통 리브를 가지며, 볼록부가, 각통 리브의 외주면 중 구획판 본체보다 상측이며 각통 리브의 외주면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 개의 직사각형 판형의 제1 볼록부와, 각통 리브의 외주면 중 구획판 본체보다 하측이며 각통 리브의 외주면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 개의 직사각형 판형의 제2 볼록부로 이루어지고, 오목부가, 복수 개의 제1 볼록부 사이에 설치된 제1 오목부와, 복수 개의 제2 볼록부 사이에 설치된 제2 오목부로 이루어지고, 제1 볼록부가 제2 오목부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제2 볼록부가 제1 오목부 바로 위에 위치함으로써 제1 및 제2 볼록부와 제1 및 제2 오목부가 각통 리브의 외주면에 격자형으로 배치되고, 구획판의 제1 볼록부가 이 구획판에 인접하는 구획판의 제1 또는 제2 오목부에 결합하고, 구획판의 제2 볼록부가 이 구획판에 인접하는 구획판의 제2 또는 제1 오목부에 결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아홉 번째 관점은, 도 3, 도 6, 도 8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첫번 째 내지 여섯 번째 관점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저장 복합체(11)를 내부에 충전하고, 이 충전된 저장 복합체(11)의 복수 개의 단부 스페이서(13) 중 최외측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단부 스페이서(13)의 최외면에 발포 스티롤판(57)을 맞닿게 함으로서, 발포 스티롤판(57)이 단부 스페이서(13) 및 연결 스페이서(14)를 복수 단의 수평 연결체(33) 사이마다 에워싸도록 구성된 저장조이다.
본 발명의 열 번째 관점은, 도 18~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곱 번째 또는 여덟 번째 관점에 기재된 저장 복합체(91)를 내부에 충전하고, 이 충전된 저장 복합체(91)의 복수 개의 스페이서(93) 중 최외측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스페이서(93)의 최외면에 발포 스티롤판(57)을 맞닿게 함으로써, 발포 스티롤판(57)이 복수 개의 스페이서(93)를 복수 단의 수평 연결체(33) 사이마다 에워싸도록 구성된 저장조이다.
본 발명의 열 한번째 관점은, 첫 번째 내지 여섯 번째 관점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저장 복합체를 내부에 충전하고, 이 충전된 저장 복합체의 복수 개의 단부 스페이서 중 최외측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단부 스페이서의 최외면에 발포 스티롤판을 맞닿게 함으로써, 발포 스티롤판이 단부 스페이서 및 연결 스페이서를 복수 단의 수평 연결체 사이마다 에워싸도록 구성된 저장 침투조이다.
본 발명의 열 두번째 관점은, 일곱 번째 또는 여덟 번째 관점에 기재된 저장 복합체를 내부에 충전하고, 이 충전된 저장 복합체의 복수 개의 스페이서 중 최외측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스페이서의 최외면에 발포 스티롤판을 맞닿게 함으로써, 발포 스티롤판이 복수 개의 스페이서를 복수 단의 수평 연결체 사이마다 에워싸도록 구성된 저장 침투조이다.
본 발명의 첫 번째 관점의 저장 복합체에서는, 구획판의 한 변의 길이를 S라고 할 때 구획판의 원통 리브가 단부 스페이서의 대직경 통부와 끼워져 결합되는 부분의 직경(T)을 0.40S ~ 0.95S의 범위 내로 설정하고, 복수 개의 구획판을 동일 수평면 내에 나란히 배열하여 서로 연결함으로써 구성된 수평 연결체를 복수 단 설치하고, 추가로 복수 단의 수평 연결체 사이에 단부 스페이서 및 연결 스페이서를 개재했으므로, 저장 복합체에 작용하는 외력 중 연직 방향의 분압을 구획판, 단부 스페이서 및 연결 스페이서가 받고, 저장 복합체에 작용하는 외력 중 수평 방향의 분압을 수평 연결체가 주로 받는다. 이 결과, 비교적 간단한 형상의 부재를 조립하여 형성된 저장 복합체라 하더라도 비교적 큰 구조체로서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테이블형 부재를 구성하는 평판 및 통형상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테이블형 부재가 비교적 복잡한 형상이 되어 테이블형 부재를 성형하는 금형의 제작 공정 수가 증가하는 종래의 저장 침투 시설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서는 비교적 간단한 형상의 구획판, 단부 스페이서 및 연결 스페이서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이들 부재를 성형하는 금형의 제작 공정 수를 저감할 수 있다. 나아가 테이블형 부재의 평판의 표면적에 대해 통형상부의 단면적이 비교적 작기 때문에 저장 침투 시설의 조립 작업시에 작업자가 평판 중 수평 방향의 보강재가 지나지 않는 부분에 올라가면, 평판이 변형되거나 혹은 일그러져 버려 작업 효율이 저하해 버리는 종래의 저장 침투 시설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서는 저장 복합체의 조립 작업시에 작업자가 수평 연결체에 올라가도 각 구획판이 각 단부 스페이서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므로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상하의 단부 스페이서의 대직경 통부보다 작은 직경의 연결 스페이서를 사용함으로써 스페이서 제조를 위한 원료를 삭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두 번째 관점의 저장 복합체에서는, 복수 개의 구획판의 중심에 삽입 관통구멍을 각각 형성하고, 복수 단의 수평 연결체를 구성하는 각 구획판의 삽입 관통구멍에 주축 파이프를 연직 방향으로 삽입 관통했으므로, 저장 복합체에 작용하는 외력 중 연직 방향의 분압을 주축 파이프, 구획판, 단부 스페이서 및 연결 스페이서가 받고, 저장 복합체에 작용하는 외력 중 수평 방향의 분압을 주축 파이프에 의해 상하 복수 단이 서로 연결되어 일체화된 수평 연결체가 받는다. 이 결과, 비교적 간단한 형상의 부재를 조립하여 형성된 저장 복합체라 하더라도 첫 번째 관점의 저장 복합체보다 대형으로 조립해도, 특히 첫 번째 관점의 저장 복합체보다 높이를 높게 해도 구조체로서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 번째 관점의 저장 복합체에서는, 최하단의 수평 연결체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구획판의 하면을 평평하게 형성함으로써 복수 개의 바닥판을 형성하고, 최상단의 수평 연결체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구획판의 상면을 평평하게 형성함으로써 복수 개의 상판을 형성했으므로, 저장 복합체를 차수 시트 또는 투수 시트로 감싸는 경우, 바닥판의 하면에 돌출하는 원통 리브나 상판의 상면에 돌출하는 원통 리브가 없어져, 이들 리브의 가장자리에서 차수 시트 또는 투수 시트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닥판 및 상판을 동일 형상으로 성형하면, 금형의 제작 공정수를 저감할 수 있음과 아울러, 부품 수를 삭감할 수 있어 부품 관리가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네 번째 관점의 저장 복합체에서는, 복수 단의 수평 연결체의 연직 방향의 간격이 하부보다 상부가 커지도록 구성했으므로, 상부의 강도를 작게 하여 구조적인 낭비를 없앨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섯 번째 관점의 저장 복합체에서는, 구획판의 4개의 측면에 볼록부 및 오목부를 각각 설치하고, 구획판의 볼록부가 이 구획판에 인접하는 구획판의 오목부에 결합하고, 구획판의 오목부가 이 구획판에 인접하는 구획판의 볼록부에 결합하도록 구성했으므로, 인접하는 구획판이 연직 방향으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서로 이웃하는 구획판들을 더 강고하게 연결할 수 있다. 이 결과, 복수 개의 구획판을 동일 수평면 내에 나란히 배열하여 서로 연결된 수평 연결체를 구조적으로 보다 훨씬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저장 침투 시설의 조립 작업시에 작업자가 수평 방향으로 뻗는 보강재를 부설하기 전의 테이블형 부재의 평판에 올라가 작업하려고 하면, 테이블형 부재의 평판이 자빠져서 변형되거나 손상되어 버리는 종래의 저장 침투 시설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서는 저장 복합체의 조립 작업시에 작업자가 수평 연결체에 올라가도 각 구획판이 각 단부 스페이서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됨과 아울러, 인접하는 구획판끼리가 볼록부 및 오목부에 의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인접하는 구획판끼리의 상하 방향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각 구획판을 연결할 때에 그 방향성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므로 저장 복합체의 조립 작업성을 해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여섯 번째 또는 여덟 번째 관점의 저장 복합체에서는, 제1 볼록부를 제2 오목부 바로 아래에 위치시키고 제2 볼록부를 제1 오목부 바로 위에 위치시킴으로써, 제1 및 제2 볼록부와 제1 및 제2 오목부를 각통 리브의 외주면에 격자형으로 배치했으므로, 구획판을 뒤집거나 혹은 구획판의 4개의 외주면 중 어느 것을 이 구획판에 인접하는 구획판에 밀착시켜도 구획판의 제1 볼록부가 이 구획판에 인접하는 구획판의 제1 또는 제2 오목부에 결합하고, 구획판의 제2 볼록부가 이 구획판에 인접하는 구획판의 제2 또는 제1 오목부에 결합한다. 이 결과, 구획판을 비교적 용이하게 부설할 수 있다. 또한, 인접하는 구획판의 연직 방향으로의 어긋남 이외에, 인접하는 구획판의 수평 방향으로의 어긋남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므로, 서로 이웃하는 구획판들을 더 강고하게 연결할 수 있다. 나아가 복수 개의 구획판을 동일 수평면 내에 나란히 배열하여 서로 연결된 수평 연결체의 외주면에 돌출하는 제1 및 제2 볼록부의 선단면이 비교적 면적이 넓은 평면이기 때문에 수평 연결체의 외주면을 따라 삽입되는 부재(예를 들면, 발포 스티롤판)나, 수평 연결체의 외주면에 대향하는 부재(예를 들면, 차수 시트 또는 투수 시트)를 손상시킬 우려는 없다.
본 발명의 일곱 번째 관점의 저장 복합체에서는, 복수 개의 구획판을 동일 수평면 내에 나란히 배열하여 서로 연결함으로써 구성된 수평 연결체를 복수 단 설치하고, 복수 단의 수평 연결체 사이에 스페이서를 개재하고, 복수 단의 수평 연결체를 구성하는 각 구획판의 삽입 관통구멍에 주축 파이프를 연직 방향으로 삽입 관통했으므로, 저장 복합체에 작용하는 외력 중 연직 방향의 분압을 주축 파이프 및 스페이서가 받고, 저장 복합체에 작용하는 외력 중 수평 방향의 분압을 주축 파이프에 의해 상하 복수 단이 서로 연결되어 일체화된 수평 연결체가 받는다. 이 결과, 비교적 간단한 형상의 부재를 조립하여 형성된 저장 복합체라 하더라도, 비교적 큰 구조체로서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테이블형 부재를 구성하는 평판 및 통형상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테이블형 부재가 비교적 복잡한 형상이 되고, 테이블형 부재를 성형하는 금형의 제작 공정 수가 증가하는 종래의 저장 침투 시설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서는 비교적 간단한 형상의 구획판 및 스페이서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이들 부재를 성형하는 금형의 제작 공정 수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구획판의 하면에 삽입 관통구멍과 동심형으로 복수 개의 원통 리브를 각각 돌출 설치하고, 구획판의 상면에 삽입 관통구멍과 동심형으로 복수 개의 원통 리브를 각각 돌출 설치하고, 나아가 구획판의 하면 또는 상면의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에 복수 개의 원통 리브 사이의 복수 개의 링홈 중 어느 하나에 각각 헐겁게 끼워지도록 스페이서를 접속했으므로, 복수 개의 링홈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헐겁게 끼울 수 있는 스페이서라면, 스페이서로서 직경이 서로 다른 폐파이프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결과, 폐기 처분에 고심하고 있는 폐파이프의 유효 이용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구획판의 4개의 측면에 볼록부 및 오목부를 각각 설치하고, 구획판의 볼록부가 이 구획판에 인접하는 구획판의 오목부에 결합하고, 구획판의 오목부가 이 구획판에 인접하는 구획판의 볼록부에 결합하도록 구성했으므로, 인접하는 구획판이 연직 방향으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서로 이웃하는 구획판들을 더 강고하게 연결할 수 있다. 이 결과, 복수 개의 구획판을 동일 수평면 내에 나란히 배열하여 서로 연결된 수평 연결체를 구조적으로 보다 훨씬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저장 침투 시설의 조립 작업시에 작업자가 수평 방향으로 뻗는 보강재를 부설하기 전의 테이블형 부재의 평판에 올라가 작업하려고 하면, 테이블형 부재의 평판이 자빠져서 변형되거나 손상되어 버리는 종래의 저장 침투 시설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서는, 저장 복합체의 조립 작업시에 작업자가 수평 연결체에 올라가도, 인접하는 구획판끼리가 볼록부 및 오목부에 의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인접하는 구획판끼리의 상하 방향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각 구획판을 연결할 때 그 방향성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므로 저장 복합체의 조립 작업성을 해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아홉 번째 관점의 저장조 또는 본 발명의 열 한번째 관점의 저장 침투조에서는, 저장 복합체를 내부에 충전하고, 이 충전된 저장 복합체의 복수 개의 단부 스페이서 중 최외측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단부 스페이서의 최외면에 발포 스티롤판을 맞닿게 함으로써, 발포 스티롤판이 단부 스페이서 및 연결 스페이서를 복수 단의 수평 연결체 사이마다 에워싸도록 구성했으므로, 저장 복합체를 발포 스티롤판과 함께 차수 시트로 감싸는 경우, 저장 복합체에 작용하는 외압 중 수평 방향의 분압이 차수 시트에 압접되는 방향으로 작용해도, 이 외압을 발포 스티롤판의 면적이 큰 평면이 받는다. 이 결과, 차수 시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열 번째 관점의 저장조 또는 본 발명의 열 두번째 관점의 저장 침투조에서는, 저장 복합체를 내부에 충전하고, 이 충전된 저장 복합체의 복수 개의 스페이서 중 최외측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스페이서의 최외면에 발포 스티롤판을 맞닿게 함으로써, 발포 스티롤판이 스페이서를 복수 단의 수평 연결체 사이마다 에워싸도록 구성했으므로, 저장 복합체를 발포 스티롤판과 함께 차수 시트로 감싸는 경우, 저장 복합체에 작용하는 외압 중 수평 방향의 분압이 차수 시트에 압접되는 방향으로 작용해도, 이 외압을 발포 스티롤판의 면적이 큰 평면이 받는다. 이 결과, 차수 시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제1 실시 형태의 저장조 내부에 저장 복합체를 충전한 상태를 도시한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2는 그 저장조 내부에 저장 복합체를 수평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한 상태를 도시한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C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저장 복합체의 동일 수평면 내에서 인접하는 4장의 구획판의 각 코너부를 서로 연결하는 제1연결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저장 복합체의 동일 수평면 내에서 최외측에 위치하여 인접하는 2장의 구획판의 각 코너부를 서로 연결하는 제2 연결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D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서로 인접하는 바닥판을 제1 또는 제2 연결 부재에 의해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E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서로 인접하는 상판을 제1 또는 제2 연결 부재에 의해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구획판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서로 인접하는 구획판을 제1 또는 제2 연결 부재에 의해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F-F선 단면도 및 G-G선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0의 H-H선 단면도 및 I-I선 단면도이다.
도 14는 저장 복합체의 최외측에 위치하는 단부 스페이서의 외측면에 발포 스티롤판을 맞닿게 한 상태를 도시한 저장조 내부의 요부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 제2 실시 형태의 저장조 내부에 저장 복합체를 충전한 상태를 도시한 도 1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 제3실시 형태의 저장조 내부에 저장 복합체를 충전한 상태를 도시한 도 17의 J-J선 단면도이다.
도 17은 그 저장조 내부에 저장 복합체를 수평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한 상태를 도시한 도 16의 K-K선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L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6의 M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20은 저장 복합체의 최외측에 위치하는 스페이서의 외측면에 발포 스티롤판을 맞닿게 한 상태를 도시한 저장조 내부의 요부 측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 제4 실시 형태의 저장조 내부에 저장 복합체를 충전한 상태를 도시한 도 1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N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21의 P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24는 그 저장 복합체의 구획판을 비스듬히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다음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빗물 등을 저장하는 저장조의 내부에 저장 복합체(11)가 충전된다. 저장 복합체(11)는, 하면에 적어도 하나의 원통 리브(24)가 돌출 설치되고 상면에 적어도 하나의 원통 리브(28)가 돌출 설치된 복수 개의 구획판(12)과, 구획판(12)의 하면의 원통 리브(24) 및 상면의 원통 리브(28)에 끼워져서 접속되는 대직경 통부(13a)와 이 대직경 통부(13a)보다 작은 직경의 소직경 통부(13b)를 갖는 복수 개의 깔대기형의 단부 스페이서(13)와,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단부 스페이서(13, 13)의 소직경 통부(13b, 13b)에 양단이 각각 끼워지며 연직 방향으로 뻗는 복수 개의 원통형의 연결 스페이서(14)를 구비한다.
구획판(12)은, 도 3, 도 6, 도 8 및 도 10~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에 삽입 관통구멍(12a)이 형성된 정사각형 판형의 구획판 본체(12b)와, 이 구획판 본체(12b)의 전체 외주에 걸쳐 하방으로 돌출되어 설치된 정사각형 틀 형태의 각통 리브(12c)와, 구획판 본체(12b)의 하면에 각통 리브(12c)의 돌출 방향과 동일한 방향(하방)으로서 삽입 관통구멍(12a)과 동심형으로 각각 돌출 설치된 4개의 제1 내지 제4 원통 리브(21~24)와, 구획판 본체(12b)의 상면에 각통 리브(12c)의 돌출 방향과 반대 방향(상방)으로서 삽입 관통구멍(12a)과 동심형으로 각각 돌출 설치된 4개의 제5 내지 제8 원통 리브(25~28)를 갖는다. 구획판 본체(12b), 각통 리브(12c) 및 제1 내지 제8 원통 리브(21~28)는 폴리올레핀 수지(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 염화 비닐 수지 등의 플라스틱에 의해 일체로 성형된다. 또한 구획판(12)의 하면에 돌출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원통 리브는 제4 원통 리브(24)에 해당하고, 구획판(12)의 상면에 돌출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원통 리브는 제8 원통 리브(28)에 해당한다.
구획판(12)의 각통 리브(12c)의 높이는 제1 내지 제8 원통 리브(21~28)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다(도 6, 도 8 및 도 10~도 13). 또한 제1 내지 제8 원통 리브(21~28) 중 제1 및 제5 원통 리브(21, 25)는 삽입 관통구멍(12a)의 전체 가장자리에 걸쳐 돌출 설치된 직경이 가장 작은 원통 리브이다. 제2 내지 제4 원통 리브(22~24)는 제2 원통 리브(22)로부터 제4 원통 리브(24)를 향함에 따라 직경이 단계적으로 커지도록 형성되고, 제6 내지 제8 원통 리브(26~28)는 제6 원통 리브(26)로부터 제8 원통 리브(28)를 향함에 따라 직경이 단계적으로 커지도록 형성된다. 나아가 제1 원통 리브(21)와 제5 원통 리브(25)는 동일 직경이고, 제2 원통 리브(22)와 제6 원통 리브(26)는 동일 직경이며, 제3 원통 리브(23)와 제7 원통 리브(27)는 동일 직경이고, 제4 원통 리브(24)와 제8 원통 리브(28)는 동일 직경이다. 여기서, 구획판(12)의 한 변의 길이를 S라고 할 때, 제4 및 제8 원통 리브(24, 28)가 단부 스페이서(13)의 대직경 통부(13a)와 끼워져 결합되는 부분의 직경(T)이 0.40S~0.95S, 바람직하게는 0.75S~0.90S의 범위 내로 설정된다. 직경(T)을 0.40S~0.95S의 범위 내로 한정한 것은, 0.40S 미만에서는 저장 복합체(11)의 조립 작업시에 작업자가 후술하는 수평 연결체(33)에 올라갔을 때에 각 구획판(12)을 각 단부 스페이서(13)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없고, 0.95S를 초과하면, 제4 및 제8 원통 리브(24, 28)가 구획판 본체(12b)의 외측에 돌출하여, 이웃하는 구획판(12)과의 사이에 틈새가 생겨 버리기 때문이다. 또한, 구획판 본체(12b) 중 각 원통 리브(21~28) 사이에는 복수 개의 부채꼴의 통공(12d)이 형성된다(도 3, 도 6, 도 8 및 도 10). 이들 통공(12d)은 저장조에 저장되는 빗물 등을 각 부분에 골고루 미치게 하여 저장조 내에 공기 고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다.
구획판(12)의 4개의 측면에는, 볼록부(12e) 및 오목부(12f)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각각 설치된다(도 10, 도 12 및 도 13). 구체적으로는, 구획판(12)의 평면에서 보아 각 측면을 상측에 위치시켰을 때에, 이 상측에 위치하는 측면의 좌측에 볼록부(12e)가 설치되고 우측에 오목부(12f)가 설치된다(도 10). 즉, 볼록부(12e) 및 오목부(12f)는 구획판(12)의 4개의 각 측면에 삽입 관통구멍(12a)의 코어를 중심으로 하여 점대칭으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볼록부(12e)의 돌출 방향에 있어서 종단면 형상은, 구획판(12)의 측면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과 구획판(12)의 측면으로부터 수평으로 뻗는 하면을 갖는 대략 직각 삼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면의 선단 가장자리에는 이 선단 가장자리를 따라 하방으로 뻗는 돌기(12g)가 설치된다(도 12 및 도 13). 나아가 상기 오목부(12f)는 각통 리브(12c)의 상부를 잘라내어 형성된 연직 오목부(12h)와, 이 연직 오목부(12h)에 연속되도록 구획판 본체(12b)의 측부를 잘라내어 형성된 수평 오목부(12i)를 갖는다. 이에 따라 구획판(12)의 일측면의 볼록부(12e)가 이 구획판(12)의 일측면에 인접하는 구획판(12)의 일측면의 오목부(12f)에 결합하고, 구획판(12)의 일측면의 오목부(12f)가 이 구획판(12)에 인접하는 구획판(12)의 일측면의 볼록부(12e)에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구획판의 평면에서 보아 각 측면을 상측에 위치시켰을 때 이 상측에 위치하는 측면의 좌측에 볼록부를 설치하고 우측에 오목부를 설치했으나, 상측에 위치하는 측면의 좌측에 오목부를 설치하고 우측에 볼록부를 설치해도 좋다.
한편, 단부 스페이서(13)의 대직경 통부(13a)와 소직경 통부(13b)는 테이퍼 통부(13c)에 의해 접속되고, 소직경 통부(13b)와 테이퍼 통부(13c)와의 접속부 내면에는 스토퍼 링(13d)이 돌출 설치된다(도 6 및 도 8). 대직경 통부(13a)는 구획판(12)의 제4 원통 리브(24) 또는 제8 원통 리브(28)에 삽입함으로써 끼워진다. 또한 대직경 통부(13a)와 테이퍼 통부(13c)와의 접속부 외면에는 링형의 단차부(13e)가 형성되고, 이 단차부(13e)의 외주 가장자리에는 등간격으로 즉 각도로 90도의 간격을 두고 4개의 원호형의 받침 리브(13f)가 소직경 통부(13b) 측을 향해 각각 돌출 설치된다(도 3, 도 6 및 도 8). 이들 받침 리브(13f)의 외면은 대직경 통부(13a)의 외면보다 약간 바깥쪽으로 돌출 설치되고, 받침 리브(13f)의 외면은 후술하는 발포 스티롤판(57)을 받치도록 구성된다. 상기 링형의 단차부(13e)에는 다른 단부 스페이서(13)의 대직경 통부(13a)를 헐겁게 끼울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단부 스페이서(13)를 부품으로서 운반할 때, 단부 스페이서(13)의 링형의 단차부(13e)에 다른 단부 스페이서(13)의 대직경 통부(13a)를 헐겁게 끼워 복수 개의 단부 스페이서(13)를 포개쌓음으로써 운반시에 있어서 단부 스페이서(13)가 차지하는 스페이스가 작아져 운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나아가 상기 대직경 통부(13a), 소직경 통부(13b), 테이퍼 통부(13c), 스토퍼 링(13d), 단차부(13e) 및 받침 리브(13f)는 폴리올레핀 수지(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 염화 비닐 수지 등의 플라스틱에 의해 일체로 성형된다. 또한, 도 3의 부호 13g는 테이퍼 통부(13c)에 형성된 타원 구멍이다. 이 타원 구멍(13g)은 저장조에 저장되는 빗물 등을 단부 스페이서(13) 내에 신속하게 도입함으로써, 단부 스페이서(13) 내에 공기 고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단부 스페이서의 단차부의 외주 가장자리에 등간격으로 4개의 받침 리브를 돌출 설치했으나, 단부 스페이서의 단차부의 외주 가장자리 전체에 링형의 받침 리브를 돌출 설치해도 좋다.
연결 스페이서(14)는 VU관(내압이 작용하지 않는 하수도용 경질 염화 비닐관) 등의 시판하는 플라스틱관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형성된다(도 1, 도 6 및 도 8). 이 연결 스페이서(14)는 단부 스페이서(13)의 소직경 통부(13b)에 삽입함으로써 끼워진다. 단부 스페이서(13)의 소직경 통부(13b)에 삽입된 연결 스페이서(14)의 선단면은 스토퍼 링(13d)에 맞닿도록 구성된다. 또한 연결 스페이서(14)에는 연직 방향으로 뻗는 장공(14a)이 형성된다. 이 장공(14a)은 저장조에 저장되는 빗물 등을 연결 스페이서(14) 내에 신속하게 도입함으로써, 연결 스페이서(14) 내에 공기 고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다. 또한, 연결 스페이서에 구조적인 강도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VU관이 아니라 VP관(내압이 작용하는 상수도용 경질 염화 비닐관) 등의 플라스틱관을 사용할 수 있다. VP관은 VU관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구획판(12)의 삽입 관통구멍(12a)에는 주축 파이프(16)가 연직 방향으로 삽입 관통된다. 이 주축 파이프(16)는 폴리염화 비닐(PVC)이나 폴리프로필렌(PP) 등의 플라스틱에 의해 형성된다. 주축 파이프(16)의 외경은 구획판(12)의 삽입 관통구멍(12a)의 직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된다(도 3, 도 6 및 도 8). 이에 따라 주축 파이프(16)는 삽입 관통구멍(12a)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주축 파이프(16)의 외주면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주축 파이프(16)의 길이 방향으로 뻗는 복수 개의 장공(16a)이 형성된다(도 6 및 도 8). 이들 장공(16a)은 저장조에 저장되는 빗물 등을 주축 파이프(16) 내에 도입함으로써, 주축 파이프(16) 내에 공기 고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다. 나아가 주축 파이프(16)의 길이는 저수조의 바닥면부터 상면까지 연장되어 설치된다(도 1). 저수조의 깊이가 주축 파이프(16)의 길이보다 깊은 경우에는 파이프 이음매(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연결된다. 또한, 저장조가 비교적 소형이어서 비교적 작은 강도밖에 요구되지 않는 경우에는 주축 파이프를 생략해도 좋다.
복수 개의 구획판(12)을 동일 수평면 내에 나란히 배열하여 서로 제1 또는 제2 연결 부재(31, 32)로 연결함으로써 수평 연결체(33)가 구성된다(도 2~도 5 및 도 11). 즉, 저장 복합체(11)의 동일 수평면 내에서 인접하는 4장의 구획판(12)의 각 코너부를 제1 연결 부재(31)에 의해 서로 연결하고, 저장 복합체(11)의 동일 수평면 내에서 최외측에 위치하여 인접하는 2장의 구획판(12)의 각 코너부를 제2 연결 부재(32)에 의해 서로 연결함으로써, 수평 연결체(33)가 구성된다. 제1 연결 부재(31)는 정사각형 판형으로 형성된 제1 연결 본체(31a)와, 제1 연결 본체(31a)의 일측면에 있어서 4개의 코너부에 각각 돌출 설치된 제1 결합 돌기(31b)를 갖는다. 제1 결합 돌기(31b)는 원통형의 돌기 본체(31c)와, 돌기 본체(31c)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4개의 결합 리브(31d)로 이루어진다(도 4 및 도 11). 이들 결합 리브(31d)는 돌기 본체(31c)의 베이스단(基端)으로부터 선단(先端)을 향함에 따라 돌기 본체(31c) 외주면으로부터의 돌출 높이가 점차 작아지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된다. 구획판(12)의 구획판 본체(12b)의 4개의 코너부에는 상기 제1 결합 돌기(31b)에 대향하는 결합구멍(12j)이 각각 형성된다. 제1 결합 돌기(31b)의 돌기 본체(31c)의 주위에 설치된 4개의 결합 리브(31d)의 외면을 연결하는 가상원(도 4의2점 쇄선으로 도시한 원)의 직경은, 제1 결합 돌기(31b)의 베이스단측에서 결합구멍(12j)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제1 결합 돌기(31b)의 선단측에서 결합구멍(12j)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가상원 직경이 작은 제1 결합 돌기(31b)의 선단부를 결합구멍(12j)에 삽입하여, 제1 결합 돌기(31b)를 결합구멍(12j)에 박아넣음으로써 가상원 직경이 큰 제1 결합 돌기(31b)의 베이스단부가 결합구멍(12j)에 억지 끼워맞춤 상태로 결합하고, 제1 결합 돌기(31b)가 결합구멍(12j)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구성된다. 한편, 제2 연결 부재(32)는 2개의 코너부에 비교적 큰 모따기가 실시된 직사각형 판형의 제2 연결 본체(32a)와, 제2 연결 본체(32a)의 일측 면에 있어서 2개의 코너부에 각각 돌출 설치된 제2 결합 돌기(32b)를 갖는다(도 5 및 도 11). 제2 결합 돌기(32b)는 돌기 본체(32c) 및 결합 리브(32d)로 이루어지며, 제1 결합 돌기(31b)와 동일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연결 부재(31, 32)는 폴리올레핀 수지(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 염화 비닐 수지 등의 플라스틱에 의해 성형된다. 또한, 상기 수평 연결체(33)는 복수 단 설치된다.
한편, 최하단의 수평 연결체(36)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구획판의 하면을 평평하게 형성함으로써 복수 개의 바닥판(37)이 형성되고, 최상단의 수평 연결체(46)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구획판의 상면을 평평하게 형성함으로써 복수 개의 상판(47)이 형성된다(도 1 및 도 6~도 9). 바닥판(37)에는 구획판(12)을 뒤집어서 각통 리브(12c)가 상방으로 뻗도록 설치한 상태에서 구획판 본체(12b)의 하면에 돌출 설치된 제1 내지 제4 원통 리브(21~24)는 형성되지 않으며, 또한 삽입 관통구멍(12a) 및 부채꼴의 통공(12d)도 형성되지 않는다. 즉, 바닥판(37)은 구획판 본체(12b)와 동일 형상으로 형성된 정사각형 판형의 바닥판 본체(37a)와, 바닥판 본체(37a)의 외주면을 따라 상방으로 돌출 설치된 정사각형 틀 형태의 바닥판용 각통 리브(37b)와, 서로 동심형으로 형성된 제1 내지 제4 바닥판용 원통 리브(41~44)를 갖는다(도 1, 도 6 및 도 7). 또한 바닥판의 4개의 측면에는 구획판(12)과 동일하게 볼록부(37c) 및 오목부(도시하지 않음)가 각각 설치되며, 바닥판(37)의 4개의 코너부에는 결합구멍(37e)(도 7)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서로 인접하는 바닥판(37)은 서로 인접하는 구획판(12)과 동일하게 볼록부(37c)와 오목부가 결합됨과 아울러, 제1 또는 제2 연결 부재(31, 32)에 의해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저장조의 바닥면에 복수 개의 바닥판(37)이 빈틈없이 깔려 최하단의 수평 연결체(36)가 구성된다.
상판(47)에는 각통 리브(12c)가 하방으로 뻗도록 설치한 상태에서 구획판 본체(12b)의 상면에 돌출 설치된 제5 내지 제8 원통 리브(25~28)가 형성되지 않고, 또한 삽입 관통구멍(12a) 및 부채꼴의 통공(12d)도 형성되지 않는다. 즉, 상판(47)은 구획판 본체(12b)와 동일 형상으로 형성된 정사각형 판형의 상판 본체(47a)와, 상판 본체(47a)의 외주면을 따라 하방으로 돌출 설치된 정사각형 틀 형태의 상판용 각통 리브(47b)와, 서로 동심형으로 형성된 제1 내지 제4 상판용 원통 리브(51~54)를 갖는다(도 1, 도 8 및 도 9). 또한 상판(47)의 4개의 측면에는, 구획판(12)과 동일하게, 볼록부(47c) 및 오목부(도시하지 않음)가 각각 설치되고, 상판(47)의 4개의 코너부에는 결합구멍(47e)(도 9)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서로 인접하는 상판(47)은, 서로 인접하는 구획판(12)과 동일하게, 볼록부(47c)와 오목부가 결합됨과 아울러, 제1 또는 제2 연결 부재(31, 32)에 의해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저장조의 상면에 복수 개의 상판(47)이 밀착된 상태에서 배치되어 최상단의 수평 연결체(46)가 구성된다. 상기 바닥판(37) 및 상판(47)은 폴리올레핀 수지(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 염화 비닐 수지 등의 플라스틱에 의해 동일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바닥판(37) 및 상판(47)의 금형의 제작 공정 수를 저감할 수 있음과 아울러, 부품 수를 삭감할 수 있고, 부품 관리가 용이해진다. 또한, 도 3 및 도 10의 부호 12k는 구획판(12)의 4개의 코너부 중 결합구멍(12j)보다 내측에 각각 형성된 투공이다. 수평 연결체(33)의 최외측에 위치하는 구획판(12) 중 최외측에 위치하는 투공(12k)에는 소직경의 받침 파이프(56)가 삽입 관통된다. 이 받침 파이프(56)는 염화 비닐로 된 파이프 등에 의해 형성되고, 후술하는 발포 스티롤판(57)을 단부 스페이서(13)의 받침 리브(13f)와 함께 받치도록 구성된다. 또한 받침 파이프(56)는 주축 파이프(16)와 동일 길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저장 복합체(11)를 조립하여 저장조에 충전하는 순서를 설명한다. 먼저 지면을 소정의 깊이의 직육면체 형태로 굴삭하고, 이 굴삭부의 바닥면을 자갈이나 모래로 다진 후, 이 굴삭부의 바닥면 및 측면을 덮도록 차수 시트를 편다. 이 상태에서 굴삭부의 바닥면에 차수 시트를 개재하고 바닥판(37)을 굴삭부의 코너부터 나란히 배열하여 빈틈없이 깔면서, 서로 인접하는 바닥판(37)의 볼록부(37c)와 오목부를 결합함과 아울러, 서로 인접하는 4장의 바닥판(37)의 각 코너부를 제1 연결 부재(31)에 의해 연결하고, 최외측에 위치하여 인접하는 2장의 바닥판(37)의 각 코너부를 제2 연결 부재(32)에 의해 서로 연결한다. 이에 따라 최하단의 수평 연결체(36)가 형성된다. 또한 서로 인접하는 바닥판(37)의 볼록부(37c)와 오목부를 결합할 때, 바닥판(37)의 방향성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므로 저장 복합체(11)의 조립 작업성을 해치지 않는다.
이어서 단부 스페이서(13)의 대직경 통부(13a)를, 최하단의 수평 연결체(36)를 구성하는 바닥판(37)의 제4 바닥판용 원통 리브(44)에 삽입하고, 이 단부 스페이서(13)의 소직경 통부(13b)에 연결 스페이서(14)의 하단을 삽입하고, 이 연결 스페이서(14)의 상단에 새로 준비한 단부 스페이서(13)의 소직경 통부(13b)를 끼워넣은 후에, 이 단부 스페이서(13)의 대직경 통부(13a)에 새로 준비한 구획판(12)의 제4 원통 리브(24)를 끼워넣는다. 그리고 서로 인접하는 구획판(12)의 볼록부(12e)와 오목부(12f)를 결합함과 아울러, 서로 인접하는 4장의 구획판(12)의 각 코너부를 제1 연결 부재(31)에 의해 연결하고, 최외측에 위치하여 인접하는 2장의 구획판(12)의 각 코너부를 제2 연결 부재(32)에 의해 서로 연결한다. 이에 따라 아래로부터 두번째 단의 수평 연결체(33)가 형성된다. 여기서 서로 인접하는 구획판(12)의 볼록부(12e)와 오목부(12f)를 결합할 때, 구획판(12)의 방향성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므로 저장 복합체(11)의 조립 작업성을 해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주축 파이프(16)를 구획판(12)의 삽입 관통구멍(12a)에 삽입 관통한 후에, 주축 파이프(16)의 하단을 바닥판(37)의 제1 바닥판용 원통 리브(41)에 삽입함으로써, 주축 파이프(16)를 세워 설치한다. 이 때 주축 파이프(16)의 하단이 바닥판(37)의 바닥판 본체(37a)에 맞닿기 때문에 주축 파이프(16)의 차수 시트에의 접촉이 저지된다. 이에 따라 주축 파이프(16)의 엣지에 의해 차수 시트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아래로부터 두번째 단의 수평 연결체(33)의 최외측에 위치하는 구획판(12) 중 최외측에 위치하는 투공(12k)에 소직경의 받침 파이프(56)를 삽입 관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획판(12)의 볼록부(12e)가 이 구획판(12)에 인접하는 구획판(12)의 오목부(12f)에 결합하고, 구획판(12)의 오목부(12f)가 이 구획판(12)에 인접하는 구획판(12)의 볼록부(12e)에 결합하므로, 인접하는 구획판(12)이 연직 방향으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서로 이웃하는 구획판(12)들을 강고하게 연결할 수 있다. 이 결과, 복수 개의 구획판(12)을 동일 수평면 내에 나란히 배열하여 서로 연결된 수평 연결체(33)를 구조적으로 보다 훨씬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아래로부터 두 번째 단의 수평 연결체(33)에 올라가도 각 구획판(12)이 각 단부 스페이서(13)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됨과 아울러, 인접하는 구획판(12)끼리가 볼록부(12e) 및 오목부(12f)에 의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인접하는 구획판(12)끼리의 상하 방향의 어긋남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상하의 단부 스페이서(13)를 이들 단부 스페이서(13)의 대직경 통부(13a)보다 작은 직경의 연결 스페이서(14)로 연결했으므로, 스페이서(13, 14) 제조를 위한 원료를 삭감할 수 있다.
다음 새로 준비한 단부 스페이서(13)의 대직경 통부(13a)를 아래로부터 두번째 단의 수평 연결체(33)를 구성하는 구획판(12)의 제8 원통 리브(28)에 삽입하고, 이 단부 스페이서(13)의 소직경 통부(13b)에 새로 준비한 연결 스페이서(14)의 하단을 삽입하고, 이 연결 스페이서(14)의 상단에 새로 준비한 단부 스페이서(13)의 소직경 통부(13b)를 끼워넣은 후에, 이 단부 스페이서(13)의 대직경 통부(13a)에 새로 준비한 구획판(12)의 제4 원통 리브(24)를 끼워넣는다. 이 때 구획판(12)의 삽입 관통구멍(12a)을 주축 파이프(16)에 끼워넣음과 아울러, 구획판(12)의 투공(12k)을 소직경의 받침 파이프에 끼워넣는다. 그리고 서로 인접하는 구획판(12)의 볼록부(12e)와 오목부(12f)를 결합함과 아울러, 서로 인접하는 4장의 구획판(12)의 각 코너부를 제1 연결 부재(31)에 의해 연결하고, 최외측에 위치하여 인접하는 2장의 구획판(12)의 각 코너부를 제2 연결 부재(32)에 의해 서로 연결한다. 이에 따라 아래로부터 세 번째 단의 수평 연결체(33)가 형성된다.
다음 새로 준비한 단부 스페이서(13)의 대직경 통부(13a)를 아래로부터 세 번째 단의 수평 연결체(33)를 구성하는 구획판(12)의 제8 원통 리브(28)에 삽입하고, 이 단부 스페이서(13)의 소직경 통부(13b)에 새로 준비한 연결 스페이서(14)의 하단을 삽입하고, 이 연결 스페이서(14)의 상단에 새로 준비한 단부 스페이서(13)의 소직경 통부(13b)를 끼워넣은 후에, 이 단부 스페이서(13)의 대직경 통부(13a)에 상판(47)의 제4 상판용 원통 리브(54)를 끼워넣는다. 이 때 상판(47)의 제1 상판용 원통 리브(51)를 주축 파이프(16)에 끼워넣는다. 그리고 서로 인접하는 상판(47)의 볼록부(47c)와 오목부를 결합함과 아울러, 서로 인접하는 4장의 상판(47)의 각 코너부를 제1 연결 부재(31)에 의해 연결하고, 또한 최외측에 위치하여 인접하는 2장의 상판(12)의 각 코너부를 제2 연결 부재(32)에 의해 서로 연결한다. 이에 따라 최상단의 수평 연결체(46)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여 굴삭부 내에 저장 복합체(11)가 충전된다.
나아가 발포 배율이 20 ~ 30배로 비교적 작고, 인성(靭性)이 비교적 높은 발포 스티롤판(57)을 준비한다. 그리고 상기 굴삭부 내에 충전된 저장 복합체(11)의 복수 개의 단부 스페이서(13) 중 최외측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단부 스페이서(13)의 받침 리브(13f)의 최외면과 소직경의 받침 파이프(56)의 외면에 발포 스티롤판(57)을 맞닿게 한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발포 스티롤판(57)이 최하단의 수평 연결체(36)와 아래로부터 두 번째 단의 수평 연결체(33) 사이의 단부 스페이서(13) 및 연결 스페이서(14)를 에워싸고, 아래로부터 두 번째 단의 수평 연결체(33)와 아래로부터 세 번째 단의 수평 연결체(33) 사이의 단부 스페이서(13) 및 연결 스페이서(14)를 에워싸고, 아래로부터 세 번째 단의 수평 연결체(33)와 최상단의 수평 연결체(46) 사이의 단부 스페이서(13) 및 연결 스페이서(14)를 에워싼다. 여기서, 발포 스티롤판(57)이 자빠져 버릴 우려가 있을 때에는, 점착 테이프 등으로 임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상태에서 차수 시트의 외주부를 저장 복합체(11)의 상면에 올려놓아 중첩시킴으로써, 발포 스티롤판(57)과 함께 차수 시트에 의해 저장 복합체(11)를 감싼다. 이때 주축 파이프(16)의 상단이 상판(47)의 상판 본체(47a)에 맞닿기 때문에 주축 파이프(16)의 차수 시트에의 접촉이 저지된다. 이에 따라 주축 파이프(16)의 엣지에 의해 차수 시트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굴삭부의 측면과 차수 시트와의 틈새에 모래 또는 흙을 충전한다.
이와 같이 저장조에 충전된 저장 복합체(11)에서는, 복수 개의 구획판(12)을 동일 수평면 내에 나란히 배열하여 서로 연결함으로써 구성된 수평 연결체(36, 33, 33, 46)를 복수 단 (4단) 설치하고, 복수 단의 수평 연결체(36, 33, 33, 46) 사이에 단부 스페이서(13) 및 연결 스페이서(14)를 개재하고, 복수 단의 수평 연결체(33, 33)를 구성하는 각 구획판(12)의 삽입 관통구멍(12a)에 주축 파이프(16)를 연직 방향으로 삽입 관통했으므로, 저장 복합체(11)에 작용하는 외력 중 연직 방향의 분압을 주축 파이프(16), 단부 스페이서(13) 및 연결 스페이서(14)가 받고, 저장 복합체(11)에 작용하는 외력 중 수평 방향의 분압을 수평 연결체(33, 33, 46)가 주로 받는다. 이 결과, 비교적 간단한 형상의 부재를 조립하여 형성된 저장 복합체(11)라 하더라도, 비교적 큰 구조체로서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비교적 간단한 형상의 구획판(12), 단부 스페이서(13) 및 연결 스페이서(14)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이들 부재를 성형하는 금형의 제작 공정 수를 저감할 수 있다. 나아가 저장 복합체(11)를 발포 스티롤판(57)과 함께 차수 시트로 감싸므로, 저장 복합체(11)에 작용하는 외압 중 수평 방향의 분압이 차수 시트에 압접되는 방향으로 작용해도, 이 외압을 발포 스티롤판(57)의 면적이 큰 평면이 받는다. 이 결과, 차수 시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한다. 도 15에 있어서, 도 1과 동일 부호는 동일 부품을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 단의 수평 연결체(36, 33, 46)의 연직 방향의 간격이 하부보다 상부가 커지도록 구성된다. 즉, 제1 실시 형태의 아래로부터 세 번째 단의 수평 연결체(33)가 생략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의 아래로부터 세 번째 단의 수평 연결체(33)의 하면 및 상면에 접속된 단부 스페이서(13, 13)와, 이들 단부 스페이서(13, 13)에 접속된 연결 스페이서(14, 14) 대신, 길다란 연결 스페이서(74)가 사용된다. 이 길다란 연결 스페이서(74)의 하단은 아래로부터 두 번째 단의 수평 연결체(33)를 구성하는 구획판(12)의 상면에 접속된 단부 스페이서(13)의 소직경 통부(13b)에 삽입되고, 길다란 연결 스페이서(74)의 상단은 최상단의 수평 연결체(46)를 구성하는 상판(47)의 하면에 접속된 단부 스페이서(13)의 소직경 통부(13b)에 삽입된다. 나아가 길다란 연결 스페이서(74)에는 복수 개의 장공(74a)이 형성된다. 이들 장공(74a)은 저장조에 저장되는 빗물 등을 길다란 연결 스페이서(74) 내에 도입함으로써, 길다란 연결 스페이서(74) 내에 공기 고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다. 상기 이외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저장 복합체(71)에서는, 복수 단의 수평 연결체(36, 33, 46)의 연직 방향의 간격이 하부보다 상부가 커지도록 구성했으므로, 상부의 강도를 작게 하여 구조적인 낭비를 없앨 수 있다. 상기 이외의 동작 및 효과는 제1 실시 형태의 동작 및 효과와 대략 동일하기 때문에 반복 설명을 생략한다.
<제3 실시 형태>
도 16~도2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를 도시한다. 도 16~도 20에 있어서, 도 1~도 14와 동일 부호는 동일 부품을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의 단부 스페이서(13) 및 연결 스페이서(14) 대신 원통형의 스페이서(93)가 사용된다. 그리고, 구획판(12), 주축 파이프(16), 바닥판(37), 상판(47), 제1 연결 부재(31), 제2 연결 부재(32), 수평 연결체(33), 최하단의 수평 연결체(36), 최상단의 수평 연결체(46) 및 받침 파이프(56)는 제1 실시 형태의 것과 각각 동일하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저장 복합체(91)는 중심에 삽입 관통구멍(12a)이 형성된 복수 개의 정사각형 판형의 구획판(12)과, 구획판(12)의 하면 및 상면에 접속된 복수 개의 원통형의 스페이서(93)와, 구획판(12)의 삽입 관통구멍(12a)에 삽입 관통되는 주축 파이프(16)를 구비한다. 구획판(12)의 하면에는 삽입 관통구멍(12a)과 동심형으로 제1 내지 제4 원통 리브(21~24)가 각각 돌출 설치되고, 구획판(12)의 상면에는 삽입 관통구멍(12a)과 동심형으로 제5 내지 제8 원통 리브(25~28)가 각각 돌출 설치된다.
또한 스페이서(93)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직경이 서로 다른 3종류의 제1 내지 제3 스페이서(93a~93c)가 사용된다(도 16 및 도 17). 가장 두꺼운 제1 스페이서(93a)는 구획판(12)의 하면의 제3 원통 리브(23) 및 제4 원통 리브(24) 사이의 링홈에 헐겁게 끼워지거나, 혹은 구획판(12)의 상면의 제7 원통 리브(27) 및 제8 원통 리브(28) 사이의 링홈에 헐겁게 끼워지거나, 또는 바닥판(37)의 상면의 제3 바닥판용 원통 리브(43) 및 제4 바닥판용 원통 리브(44) 사이의 링홈에 헐겁게 끼워지거나, 혹은 상판(47)의 하면의 제3 상판용 원통 리브(53) 및 제4 상판용 원통 리브(54) 사이의 링홈에 헐겁게 끼워진다. 또한 중간 굵기의 제2 스페이서(93b)는 구획판(12)의 하면의 제2 원통 리브(22) 및 제3 원통 리브(23) 사이의 링홈에 헐겁게 끼워지거나, 혹은 구획판(12)의 상면의 제6 원통 리브(26) 및 제7 원통 리브(27) 사이의 링홈에 헐겁게 끼워지거나, 또는 바닥판(37)의 상면의 제2 바닥판용 원통 리브(42) 및 제3 바닥판용 원통 리브(43) 사이의 링홈에 헐겁게 끼워지거나, 혹은 상판(47)의 하면의 제2 상판용 원통 리브(52) 및 제3 상판용 원통 리브(53) 사이의 링홈에 헐겁게 끼워진다. 나아가 가장 가는 제3 스페이서(93c)는, 구획판(12)의 하면의 제1 원통 리브(21) 및 제2 원통 리브(22) 사이의 링홈에 헐겁게 끼워지거나, 혹은 구획판의 상면의 제5원통 리브(25) 및 제6 원통 리브(26) 사이의 링홈에 헐겁게 끼워지거나, 또는 바닥판(37)의 상면의 제1 바닥판용 원통 리브(41) 및 제2 바닥판용 원통 리브(42) 사이의 링홈에 헐겁게 끼워지거나, 혹은 상판(47)의 하면의 제1 상판용 원통 리브(51) 및 제2 상판용 원통 리브(52) 사이의 링홈에 헐겁게 끼워진다. 즉, 스페이서(13)는 구획판(12)의 상면 또는 하면에 복수 개의 원통 리브(21~28) 사이의 복수 개의 링홈 중 어느 하나에 각각 헐겁게 끼워지도록 접속되거나, 바닥판(37)의 상면에 복수 개의 바닥판용 원통 리브(41~44) 사이의 복수 개의 링홈 중 어느 하나에 각각 헐겁게 끼워지도록 접속되거나, 혹은 상판(47)의 하면에 복수 개의 상판용 원통 리브(51~54) 사이의 복수 개의 링홈 중 어느 하나에 각각 헐겁게 끼워지도록 접속된다.
4단의 수평 연결체(36, 33, 33, 46)의 최외측에 위치하는 바닥판(37) 및 구획판(12) 사이, 구획판(12) 및 구획판(12) 사이, 혹은 구획판(12) 및 상판(47) 사이에는 가장 굵은 제1 스페이서(93a)가 개재되는데, 그 밖의 위치에는 제2 또는 제3 스페이서(93b, 93c) 중 어느 하나가 개재된다. 또한, 제1 내지 제3 스페이서(93a~93c)에는 연직 방향으로 뻗는 복수 개의 장공(93d~93f)이 각각 형성된다(도 16 및 도 18~도 20). 이들 장공(93d~93f)은 저장조에 저장되는 빗물 등을 제1 내지 제3 스페이서(93a~93c) 내에 신속하게 도입함으로써, 제1 내지 제3 스페이서(93a~93c) 내에 공기 고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직경이 서로 다른 3종류의 원통형의 스페이서를 사용했으나, 직경이 서로 다른 2종류의 스페이서 또는 1종류의 원통형의 스페이서를 사용해도 좋고, 혹은 상단 및 하단의 직경이 서로 다른 원뿔대(圓錐臺) 통형의 스페이서를 사용해도 좋다. 상기 이외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저장 복합체(91)를 조립하여 저장조에 충전하는 순서를 설명한다. 먼저 지면을 소정의 깊이의 직육면체 형태로 굴삭하고, 이 굴삭부의 바닥면을 자갈이나 모래로 다진 후, 이 굴삭부의 바닥면 및 측면을 덮도록 차수 시트를 펼친다. 이 상태에서 굴삭부의 바닥면에 차수 시트를 개재하고 바닥판(37)을 굴삭부의 코너부터 나란히 배열하여 빈틈없이 깔면서 서로 인접하는 바닥판(37)의 볼록부(37c)와 오목부(도시하지 않음)를 결합함과 아울러, 서로 인접하는 4장의 바닥판(37)의 각 코너부를 제1 연결 부재(31)에 의해 연결하고, 최외측에 위치하여 인접하는 2장의 바닥판(37)의 각 코너부를 제2 연결 부재(32)에 의해 서로 연결한다. 이에 따라 최하단의 수평 연결체(36)가 형성된다. 또한 서로 인접하는 바닥판(37)의 볼록부(37c)와 오목부를 결합할 때 바닥판(37)의 방향성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므로 저장 복합체의 조립 작업성을 해치지 않는다.
이어서 가장 굵은 제1 스페이서(93a)를 최하단의 수평 연결체(36)의 최외측에 위치하는 바닥판(37)의 제3 및 제4 바닥판용 원통 리브(43, 44) 사이의 링홈에 헐겁게 끼우고, 그 이외에 위치하는 바닥판(37)에는 제2 또는 제3 스페이서(93b, 93c) 중 어느 하나를 제1 내지 제4 바닥판용 원통 리브(41~44) 사이의 3개의 링홈 중 어느 하나에 헐겁게 끼운 후에, 이들 스페이서(93a~93c)의 상단에 구획판(12)의 제1 내지 제4 원통 리브(21~24) 사이의 3개의 링홈 중 어느 하나를 헐겁게 끼운다. 그리고 서로 인접하는 구획판(12)의 볼록부(12e)와 오목부(12f)를 결합함과 아울러, 서로 인접하는 4장의 구획판(12)의 각 코너부를 제1 연결 부재(31)에 의해 연결하고, 최외측에 위치하여 인접하는 2장의 구획판(12)의 각 코너부를 제2 연결 부재(32)에 의해 서로 연결한다. 이에 따라 아래로부터 두 번째 단의 수평 연결체(33)가 형성된다. 여기서 서로 인접하는 구획판(12)의 볼록부(12e)와 오목부(12f)를 결합할 때, 구획판(12)의 방향성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므로 저장 복합체(91)의 조립 작업성을 해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주축 파이프(16)를 구획판(12)의 삽입 관통구멍(12a)에 삽입 관통한 후에, 주축 파이프(16)의 하단을 바닥판(37)의 제1 바닥판용 원통 리브(41)에 삽입함으로써, 주축 파이프(16)를 세워 설치한다. 이 때 주축 파이프(16)의 하단이 바닥판(37)의 바닥판 본체(37a)에 맞닿기 때문에 주축 파이프(16)의 차수 시트에의 접촉이 저지된다. 이에 따라 주축 파이프(16)의 엣지에 의해 차수 시트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아래로부터 두 번째 단의 수평 연결체(33)의 최외측에 위치하는 구획판(12) 중 최외측에 위치하는 투공(12k)에 주축 파이프(16)와 동일 길이의 소직경의 받침 파이프(56)를 삽입 관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획판(12)의 볼록부(12e)가 이 구획판(12)에 인접하는 구획판(12)의 오목부(12f)에 결합하고, 구획판(12)의 오목부(12f)가 이 구획판(12)에 인접하는 구획판(12)의 볼록부(12e)에 결합하므로, 인접하는 구획판(12)이 연직 방향으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서로 이웃하는 구획판(12)들을 강고하게 연결할 수 있다. 이 결과, 복수 개의 구획판(12)을 동일 수평면 내에 나란히 배열하여 서로 연결된 수평 연결체(33)를 구조적으로 보다 훨씬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인접하는 구획판(12)끼리가 볼록부(12e) 및 오목부(12f)에 의해 결합하고 있기 때문에, 인접하는 구획판(12)끼리의 상하 방향의 어긋남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내지 제3 스페이서(93a~93c)로서 폐파이프를 사용함으로써 폐기 처분에 고심하고 있는 폐파이프의 유효 이용도 도모할 수 있다.
다음 새로 준비한 제1 내지 제3 스페이서(93a~93c)를 아래로부터 두 번째 단의 수평 연결체(33)를 구성하는 구획판(12)의 제5 내지 제8 원통 리브(25~28) 사이의 3개의 링홈 중 어느 하나에 헐겁게 끼운다. 이 때 가장 굵은 제1 스페이서(93a)를 아래로부터 두 번째 단의 수평 연결체(33)의 최외측에 위치하는 구획판(12)의 제3 및 제4 바닥판용 원통 리브(23, 24) 사이에 헐겁게 끼운다. 상기 제1 내지 제3 스페이서(93a~93c)의 상단에 새로 준비한 구획판(12)의 제1 내지 제4 원통 리브(21~24) 사이의 3개의 링홈 중 어느 하나를 헐겁게 끼운다. 이 때 구획판(12)의 삽입 관통구멍(12a)을 주축 파이프(16)에 끼워넣음과 아울러, 구획판(12)의 투공(12k)을 소직경의 받침 파이프(56)에 끼워넣는다. 그리고 서로 인접하는 구획판(12)의 볼록부(12e)와 오목부(12f)를 결합함과 아울러, 서로 인접하는 4장의 구획판(12)의 각 코너부를 제1 연결 부재(31)에 의해 연결하고, 최외측에 위치하여 인접하는 2장의 구획판(12)의 각 코너부를 제2 연결 부재(32)에 의해 서로 연결한다. 이에 따라 아래로부터 세 번째 단의 수평 연결체(33)가 형성된다.
다음 새로 준비한 제1 내지 제3 스페이서(93a~93c)를 아래로부터 세 번째 단의 수평 연결체(33)를 구성하는 구획판의 제5 내지 제8 원통 리브(25~28) 사이의 3개의 링홈 중 어느 하나에 헐겁게 끼운다. 이 때 가장 굵은 제1 스페이서(93a)를 아래로부터 세 번째 단의 수평 연결체(33)의 최외측에 위치하는 구획판의 제3 및 제4 바닥판용 원통 리브(23~24) 사이에 헐겁게 끼운다. 상기 제1 내지 제3 스페이서(93a~93c)의 상단에 상판(47)의 제1 내지 제4 상판용 원통 리브(53~54) 사이의 3개의 링홈을 헐겁게 끼운다. 이 때 상판(47)의 제1 상판용 원통 리브(51)를 주축 파이프(16)에 끼워넣는다. 그리고 서로 인접하는 상판(47)의 볼록부(47c)와 오목부(도시하지 않음)를 결합함과 아울러, 서로 인접하는 4장의 상판(47)의 각 코너부를 제1 연결 부재(31)에 의해 연결하고, 최외측에 위치하여 인접하는 2장의 상판(12)의 각 코너부를 제2 연결 부재(32)에 의해 서로 연결한다. 이에 따라 최상단의 수평 연결체(46)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여 굴삭부 내에 저장 복합체(91)가 충전된다.
나아가 발포 배율이 20~30배로 비교적 작고 인성이 비교적 높은 발포 스티롤판(57)을 준비한다. 그리고 상기 굴삭부 내에 충전된 저장 복합체(91)의 제1 내지 제3 스페이서(93a~93c) 중 최외측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제1 스페이서(93a)의 최외면과, 소직경의 받침 파이프(56)의 외면에 발포 스티롤판(57)을 맞닿게 한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발포 스티롤판(57)이 최하단의 수평 연결체(36)와 아래로부터 두 번째 단의 수평 연결체(33) 사이의 제1 내지 제3 스페이서(93a~93c)를 에워싸고, 아래로부터 두 번째 단의 수평 연결체(33)와 아래로부터 세 번째 단의 수평 연결체(33) 사이의 제1 내지 제3 스페이서(93a~93c)를 에워싸고, 아래로부터 세 번째 단의 수평 연결체(33)와 최상단의 수평 연결체(46) 사이의 제1 내지 제3 스페이서(93a~93c)를 에워싼다. 여기서, 발포 스티롤판(47)이 자빠져 버릴 우려가 있을 때에는, 점착 테이프 등으로 임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상태에서 차수 시트의 외주부를 저장 복합체(91)의 상면에 올려놓아 중첩시킴으로써, 저장 복합체(91)를 발포 스티롤판(57)과 함께 차수 시트에 의해 감싼다. 이 때 주축 파이프(16)의 상단이 상판(47)의 상판 본체(47a)에 맞닿기 때문에, 주축 파이프(16)의 차수 시트에의 접촉이 저지된다. 이에 따라 주축 파이프(16)의 엣지에 의해 차수 시트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굴삭부의 측면과 차수 시트와의 빈틈에 모래 또는 흙을 충전한다.
이와 같이 저장조에 충전된 저장 복합체(91)에서는, 복수 개의 구획판(12)을 동일 수평면 내에 나란히 배열하여 서로 연결함으로써 구성된 수평 연결체(36, 33, 33, 46)를 복수 단 (4단) 설치하고, 복수 단의 수평 연결체(36, 33, 33, 46) 사이에 제1 내지 제3 스페이서(93a~93c)를 개재하고, 복수 단의 수평 연결체(33, 33)를 구성하는 각 구획판(12)의 삽입 관통구멍(12a)에 주축 파이프(16)를 연직 방향으로 삽입 관통했으므로, 저장 복합체(91)에 작용하는 외력 중 연직 방향의 분압을 주축 파이프(16) 및 스페이서(13)가 받고, 저장 복합체(91)에 작용하는 외력 중 수평 방향의 분압을 주축 파이프(16)에 의해 상하 복수 단이 서로 연결되어 일체화된 수평 연결체(33)가 받는다. 이 결과, 비교적 간단한 형상의 부재를 조립하여 형성된 저장 복합체(91)라 하더라도, 비교적 큰 구조체로서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저장 복합체(91)를 발포 스티롤판(57)과 함께 차수 시트로 감싸므로, 저장 복합체(91)에 작용하는 외압 중 수평 방향의 분압이 차수 시트에 압접되는 방향으로 작용해도, 이 외압을 면적이 큰 발포 스티롤판(57)의 평면이 받는다. 이 결과, 차수 시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도 21~도 2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를 도시한다. 도 21~도 24에 있어서 도 1, 도 6 및 도8과 동일 부호는 동일 부품을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구획판(112)이, 중심에 삽입 관통구멍(112a)이 형성된 정사각형 판형의 구획판 본체(112b)와, 이 구획판 본체(112b)의 상방 및 하방에 구획판 본체(112b)의 전제 외주에 걸쳐 돌출 설치된 정사각형 틀 형태의 각통 리브(112c)를 갖는다(도 22~도 24). 또한 구획판 본체(112b)의 하면에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각통 리브(112c)의 돌출 방향과 동일한 방향(하방)으로서 삽입 관통구멍(112a)과 동심형으로 4개의 제1 내지 제4 원통 리브(21~24)가 각각 돌출 설치되고, 구획판 본체(112b)의 상면에는 각통 리브(112c)의 돌출 방향과 반대 방향(상방)으로서 삽입 관통구멍(112a)과 동심형으로 4개의 제5 내지 제8 원통 리브(25~28)가 각각 돌출 설치된다. 구획판 본체(112b), 각통 리브(112c) 및 제1 내지 제8 원통 리브(21~28)는 폴리올레핀 수지(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 염화 비닐 수지 등의 플라스틱에 의해 일체로 성형된다. 또한 구획판(112)의 하면에 돌출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원통 리브는 제4 원통 리브(24)에 해당하고, 구획판(112)의 상면에 돌출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원통 리브는 제8 원통 리브(28)에 해당한다.
또한, 구획판 본체(112b) 중 각통 리브(112c)와 제4 및 제8 원통 리브(24, 28)와의 사이로서 4개의 코너부 이외의 부분에는 복수 개의 보강 리브(112d)가 대략 우물정(井)자 형태로 뻗어 설치되고, 이들 보강 리브(112d) 사이에는 복수 개의 대략 사각형상의 통공(112e)이 각각 형성된다(도 24). 또한 구획판 본체(112b) 중 4개의 코너부에는 복수 개의 보강 리브(112f)가 방사형으로 뻗어 설치되고, 이들 보강 리브(112f) 사이의 구획판 본체(112b)에는 복수 개의 원형의 통공(112g)이 형성된다. 이들 통공(112e, 112g)은 저장조에 저장되는 빗물 등을 각 부분에 골고루 미치게 하여, 저장조 내에 공기 고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다. 또한 도 24 중의 부호 112h는 구획판 본체(112b)의 4개의 코너부에 설치되고, 인접하는 구획판끼리(112)를 연결하는 제1 또는 제2 연결 부재의 제1 또는 제2 결합 돌기가 결합하는 결합구멍이다.
한편, 구획판(112)의 4개의 측면에는 볼록부(113) 및 오목부(114)가 각각 설치된다. 볼록부(113)는 각통 리브(112c)의 외주면 중 구획판 본체(112b)보다 상측이며 각통 리브(112c)의 외주면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 개의 직사각형 판형의 제1 볼록부(113b)와, 각통 리브(112c)의 외주면 중 구획판 본체(112b)보다 하측이며 각통 리브(112c)의 외주면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 개의 직사각형 판형의 제2 볼록부(113a)로 이루어진다(도 22~도 24). 또한 오목부(114)는 복수 개의 제1 볼록부(113b) 사이에 설치된 제1 오목부(114b)와, 복수 개의 제2 볼록부(113a) 사이에 설치된 제2 오목부(114a)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 볼록부(113b)는 제2 오목부(114a)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제2 볼록부(113a)는 제1 오목부(114b) 바로 위에 위치하고, 이에 따라 제1 및 제2 볼록부(113b, 113a)와 제1 및 제2 오목부(114b, 114a)가 각통 리브(112c)의 외주면에 격자형으로 배치된다(도 24). 또한 제1 오목부(114b)는 제1 또는 제2 볼록부(113b, 113a)에 상응하는 비교적 얕은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 오목부(114a)는 제1 또는 제2 볼록부(113b, 113a)에 상응하는 비교적 얕은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나아가 구획판(112)의 제1 볼록부(113b)가 이 구획판(112)에 인접하는 구획판(112)의 제1 또는 제2 오목부(114b, 114a)에 결합하고, 구획판(112)의 제2 볼록부(113a)가 이 구획판(112)에 인접하는 구획판(112)의 제2 또는 제1 오목부(114a, 114b)에 결합하도록 구성된다(도 22~도 24). 또한, 도시는 하지 않으나, 제1 또는 제2 연결 부재에 의해 인접하는 구획판(112)끼리를 연결하기 위해, 구획판(112)의 4개의 코너부의 보강 리브(112f) 및 각통 리브(112c)의 높이를 낮게 함과 아울러, 제1 또는 제2 연결 부재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 보강 리브(112f) 및 각통 리브(112c)에 대향하는 부분에 오목홈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최하단의 수평 연결체(117)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바닥판(118)은 정사각형 판형의 바닥판 본체(118a)와, 이 바닥판 본체(118a)의 상방에 바닥판 본체(118a)의 전체 외주에 걸쳐 돌출 설치된 정사각형 틀 형태의 바닥판용 각통 리브(118b)를 갖는다(도 21 및 도 22). 바닥판용 각통 리브(118b)의 외주면에는 바닥판용 볼록부(118c) 및 바닥판용 오목부(118d)가 바닥판용 각통 리브(118b)의 외주면의 길이 방향으로 각각 교대로 형성된다(도 22). 바닥판용 볼록부(118c)는 상기 제1 볼록부(113b)와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고, 바닥판용 오목부(118d)는 상기 제1 오목부(114a)와 동일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최상단의 수평 연결체(121)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상판(122)은 정사각형 판형의 상판 본체(122a)와, 이 상판 본체(122a)의 하방에 상판 본체(122a)의 전 외주에 걸쳐 돌출 설치된 정사각형 틀 형태의 상판용 각통 리브(122b)를 갖는다(도 21 및 도 23). 상판용 각통 리브(122b)의 외주면에는 상판용 볼록부(122c) 및 상판용 오목부(122d)가 상판용 각통 리브(122b)의 외주면의 길이 방향으로 각각 교대로 형성된다(도 23). 상판용 볼록부(122c)는 상기 제2 볼록부(113a)와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판용 오목부(122d)는 상기 제2 오목부(114a)와 동일 형상으로 형성된다. 나아가 바닥판(118)의 바닥판용 볼록부(118c) 및 바닥판용 오목부(118d)는 이 바닥판(118)에 인접하는 바닥판(118)의 바닥판용 오목부(118d) 및 바닥판용 볼록부(118c)에 각각 결합하고, 상판(122)의 상판용 볼록부(122c) 및 상판용 오목부(122d)는 이 상판(122)에 인접하는 상판(122)의 상판용 오목부(122d) 및 상판용 볼록부(122c)에 각각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외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저장 복합체(111)에서는, 구획판(112)을 뒤집거나 혹은 구획판(112)의 4개의 외주면 중 어느 것을 이 구획판(112)에 인접하는 구획판(112)에 밀착시켜도, 구획판(112)의 제1 볼록부(113b)가 이 구획판(112)에 인접하는 구획판(112)의 제1 또는 제2 오목부(114b, 114a)에 결합하고, 구획판(112)의 제2 볼록부(113a)가 이 구획판(112)에 인접하는 구획판(112)의 제2 또는 제1 오목부(114a, 114b)에 결합한다. 이 결과, 구획판(112)을 비교적 용이하게 부설할 수 있다. 또한 인접하는 구획판(112)의 연직 방향으로의 어긋남 이외에 수평 방향으로의 어긋남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므로, 서로 이웃하는 구획판(112)끼리를 더 강고하게 연결할 수 있다. 나아가 복수 개의 구획판(112)을 동일 수평면 내에 나란히 배열하여 서로 연결된 수평 연결체(116)의 외주면에 돌출하는 제1 및 제2 볼록부(113b, 113a)의 선단면이 비교적 면적이 넓은 평면이기 때문에 수평 연결체(116)의 외주면을 따라 삽입되는 부재(예를 들면 발포 스티롤판(57))나, 수평 연결체(116)의 외주면에 대향하는 부재(예를 들면 차수 시트 또는 투수 시트)를 손상시킬 우려는 없다.
한편, 바닥판(118)의 4개의 외주면 중 어느 것을 이 바닥판(118)에 인접하는 바닥판(118)에 밀착시켜도, 바닥판(118)의 바닥판용 볼록부(118c) 및 바닥판용 오목부(118d)가 이 바닥판(118)에 인접하는 바닥판(118)의 바닥판용 오목부(118d) 및 바닥판용 볼록부(118c)에 각각 결합한다. 이 결과, 바닥판(118)을 비교적 용이하게 부설할 수 있다. 또한, 상판(122)의 4개의 외주면의 어느 것을 이 상판(122)에 인접하는 상판(122)에 밀착시켜도, 상판(122)의 상판용 볼록부(122c) 및 상판용 오목부(122d)가 이 상판(122)에 인접하는 상판(122)의 상판용 오목부(122d) 및 상판용 볼록부(122c)에 각각 결합한다. 이 결과, 상판(122)을 비교적 용이하게 부설할 수 있다. 상기 이외의 동작은 제1 실시 형태의 동작과 대략 동일하므로 반복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1~제4 실시 형태에서는, 저장 복합체를 내부에 충전한 저장조를 예로 들었으나, 저장 복합체를 내부에 충전한 저장 침투조이어도 좋다. 이 저장 침투조는 지면을 굴삭하여 형성된 굴삭부의 바닥면 및 측면에 자갈을 빈틈없이 깔아 투수층을 형성하거나, 혹은 굴삭부의 바닥면 및 측면을 투수 시트(빗물이 서서히 통과 가능한 시트)로 덮음으로써 형성된다. 이 저장 침투조는 강우 강도가 하수도 관거 등의 흘러내림 능력을 뛰어넘는 대규모의 강우시에 침투조에 흘러들어온 빗물을 일단 이 침투조에 저장한 후, 지중에 침투하여 확산된다. 이 결과, 하수도 관거나 하천이 범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저장 침투조의 내부에는 본 발명의 저장 복합체가 충전되고, 이 충전된 저장 복합체의 복수 개의 단부 스페이서 중 최외측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단부 스페이서의 최외면에 발포 스티롤판을 맞닿게 함으로써, 발포 스티롤판이 복수 개의 단부 스페이서 및 연결 스페이서를 복수 단의 수평 연결체 사이마다 에워싸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저장 복합체를 발포 스티롤판과 함께 투수 시트로 감싸는 경우, 저장 복합체에 작용하는 외압 중 수평 방향의 분압이 투수 시트에 압접되는 방향으로 작용해도, 이 외압을 발포 스티롤판의 면적이 큰 평면이 받는다. 이 결과, 차수 시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제4 실시 형태에서는, 구획판의 하면 및 상면에 원통 리브를 4개씩 설치하고, 바닥판의 상면에 바닥판용 원통 리브를 4개 설치하고, 상판의 하면에 상판용 원통 리브를 4개 설치했으나, 각각 3개씩이어도 좋고, 또는 각각 5개씩이어도 좋으며, 혹은 그 이상의 수씩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제1, 제3 및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수평 연결체를 4단으로 했으나, 3단 또는 5단 이상이어도 좋고, 상기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수평 연결체를 3단으로 했으나, 4단 이상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제1~제4 실시 형태에서는 지하에 완전히 매설된 지하 저장조를 예로 들었으나, 지하에 전혀 매설하지 않고 지상에 설치된 지상 저장조, 혹은 하부가 지하에 매설되고 상부가 지상에 돌출하도록 설치된 반지하 저장조이어도 좋다. 나아가, 상기 제1~제4 실시 형태에서는, 바닥판 및 상판을 사용했으나, 저장 복합체를 감싸기 위한 시트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바닥판 및 상판 대신 구획판을 그 대로 사용해도 좋다.
본 발명의 저장 복합체는 비교적 간단한 형상의 구획판, 스페이서 등의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이들 부재를 성형하는 금형의 제작 공정 수를 저감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저장조 및 저장 침투조의 내부의 충전재로서 이용할 수 있다.
11, 71, 91, 111 저장 복합체
12, 112 구획판
12a, 112a 삽입 관통구멍
12e, 113 볼록부
12f, 114 오목부
13 단부 스페이서
13a 대직경 통부
13b 소직경 통부
14, 74 연결 스페이서
16 주축 파이프
21~28 원통 리브
33, 36, 46, 116 수평 연결체
37 바닥판
47 상판
57 발포 스티롤판
93 스페이서
113a 제1 볼록부
113b 제2 볼록부
114a 제1 오목부
114b 제2 오목부

Claims (12)

  1. 저장조 또는 저장 침투조의 내부에 충전되는 저장 복합체에 있어서,
    하면에 적어도 하나의 원통 리브가 돌출 설치되고 상면에 적어도 하나의 원통 리브가 돌출 설치된 복수 개의 정사각형 판형의 구획판과,
    상기 구획판의 하면 또는 상면의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에 상기 원통 리브에 끼워져서 접속되는 대직경 통부와 이 대직경 통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대직경 통부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 소직경 통부를 갖는 복수 개의 깔대기형의 단부 스페이서와,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상기 단부 스페이서의 소직경 통부에 양단이 각각 끼워지고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원통형의 연결 스페이서
    를 구비하며,
    상기 구획판의 한 변의 길이를 S라고 할 때 상기 원통 리브가 상기 대직경 통부와 끼워져 결합되는 부분의 직경(T)이 0.40S ~ 0.95S의 범위 내로 설정되고,
    상기 복수 개의 구획판을 동일 수평면 내에 나란히 배열하여 서로 연결함으로써 구성되는 수평 연결체가 복수 단 설치되고,
    상기 복수 단의 수평 연결체 사이에 상기 단부 스페이서 및 상기 연결 스페이서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복합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구획판의 중심에 삽입 관통구멍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복수 단의 수평 연결체를 구성하는 각 구획판의 삽입 관통구멍에 주축 파이프가 연직 방향으로 삽입 관통된 저장 복합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최하단의 수평 연결체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구획판의 하면을 평평하게 형성함으로써 복수 개의 바닥판이 형성되고,
    최상단의 수평 연결체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구획판의 상면을 평평하게 형성함으로써 복수 개의 상판이 형성된 저장 복합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 단의 수평 연결체의 연직 방향의 간격이 하부보다 상부가 커지도록 구성된 저장 복합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의 4개의 측면에 볼록부 및 오목부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구획판의 볼록부가 이 구획판에 인접하는 구획판의 오목부에 결합하고, 상기 구획판의 오목부가 이 구획판에 인접하는 구획판의 볼록부에 결합하도록 구성된 저장 복합체.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이, 정사각형 판형의 구획판 본체와, 이 구획판 본체의 상방 및 하방에 상기 구획판 본체의 전체 외주에 걸쳐 돌출 설치된 정사각형 틀 형태의 각통 리브를 가지며,
    상기 볼록부가, 상기 각통 리브의 외주면 중 상기 구획판 본체보다 상측이며 상기 각통 리브의 외주면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 개의 직사각형 판형의 제1 볼록부와, 상기 각통 리브의 외주면 중 상기 구획판 본체보다 하측이며 상기 각통 리브의 외주면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 개의 직사각형 판형의 제2 볼록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오목부가, 상기 복수 개의 제1 볼록부 사이에 설치된 제1 오목부와, 상기 복수 개의 제2 볼록부 사이에 설치된 제2 오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볼록부가 상기 제2 오목부 바로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제2 볼록부가 상기 제1 오목부 바로 위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볼록부와 상기 제1 및 제2 오목부가 상기 각통 리브의 외주면에 격자형으로 배치되고,
    상기 구획판의 제1 볼록부가 이 구획판에 인접하는 구획판의 제1 또는 제2 오목부에 결합하고, 상기 구획판의 제2 볼록부가 이 구획판에 인접하는 상기 구획판의 제2 또는 제1 오목부에 결합하도록 구성된 저장 복합체.
  7. 저장조 또는 저장 침투조의 내부에 충전되는 저장 복합체에 있어서,
    중심에 삽입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하면에 상기 삽입 관통구멍과 동심형으로 복수 개의 원통 리브가 각각 돌출 설치되며 상면에 상기 삽입 관통구멍과 동심형으로 복수 개의 원통 리브가 각각 돌출 설치된 복수 개의 정사각형 판형의 구획판과,
    상기 구획판의 하면 또는 상면의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에 상기 복수 개의 원통 리브 사이의 복수 개의 링홈 중 어느 하나에 각각 헐겁게 끼워지도록 접속된 복수 개의 원뿔대 통형 또는 원통형의 스페이서와,
    상기 구획판의 삽입 관통구멍에 삽입 관통되는 주축 파이프
    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 개의 구획판을 동일 수평면 내에 나란히 배열하여 서로 연결함으로써 구성되는 수평 연결체가 복수 단 설치되고,
    상기 복수 단의 수평 연결체 사이에 상기 스페이서가 개재되고,
    상기 복수 단의 수평 연결체를 구성하는 각 구획판의 삽입 관통구멍에 상기 주축 파이프가 연직 방향으로 삽입 관통되고,
    상기 구획판의 4개의 측면에 볼록부 및 오목부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구획판의 볼록부가 이 구획판에 인접하는 구획판의 오목부에 결합하고,
    상기 구획판의 오목부가 이 구획판에 인접하는 구획판의 볼록부에 결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복합체.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이, 중심에 삽입 관통구멍이 형성된 정사각형 판형의 구획판 본체와, 이 구획판 본체의 상방 및 하방에 상기 구획판 본체의 전 외주에 걸쳐 돌출 설치된 정사각형 틀 형태의 각통 리브를 가지며,
    상기 볼록부가, 상기 각통 리브의 외주면 중 상기 구획판 본체보다 상측이며 상기 각통 리브의 외주면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 개의 직사각형 판형의 제1 볼록부와, 상기 각통 리브의 외주면 중 상기 구획판 본체보다 하측이며 상기 각통 리브의 외주면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 개의 직사각형 판형의 제2 볼록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오목부가, 상기 복수 개의 제1 볼록부 사이에 설치된 제1 오목부와, 상기 복수 개의 제2 볼록부 사이에 설치된 제2 오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볼록부가 상기 제2 오목부 바로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제2 볼록부가 상기 제1 오목부 바로 위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볼록부와 상기 제1 및 제2 오목부가 상기 각통 리브의 외주면에 격자형으로 배치되고,
    상기 구획판의 제1 볼록부가 이 구획판에 인접하는 구획판의 제1 또는 제2 오목부에 결합하고, 상기 구획판의 제2 볼록부가 이 구획판에 인접하는 상기 구획판의 제2 또는 제1 오목부에 결합하도록 구성된 저장 복합체.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저장 복합체를 내부에 충전하고, 이 충전된 저장 복합체의 복수 개의 단부 스페이서 중 최외측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단부 스페이서의 최외면에 발포 스티롤판을 맞닿게 함으로써, 상기 발포 스티롤판이 상기 단부 스페이서 및 상기 연결 스페이서를 상기 복수 단의 수평 연결체 사이마다 에워싸도록 구성된 저장조.
  10.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기재된 저장 복합체를 내부에 충전하고, 이 충전된 저장 복합체의 복수 개의 스페이서 중 최외측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스페이서의 최외면에 발포 스티롤판을 맞닿게 함으로써, 상기 발포 스티롤판이 상기 복수 개의 스페이서를 상기 복수 단의 수평 연결체 사이마다 에워싸도록 구성된 저장조.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저장 복합체를 내부에 충전하고, 이 충전된 저장 복합체의 복수 개의 단부 스페이서 중 최외측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단부 스페이서의 최외면에 발포 스티롤판을 맞닿게 함으로써, 상기 발포 스티롤판이 상기 단부 스페이서 및 상기 연결 스페이서를 상기 복수 단의 수평 연결체 사이마다 에워싸도록 구성된 저장 침투조.
  12.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기재된 저장 복합체를 내부에 충전하고, 이 충전된 저장 복합체의 복수 개의 스페이서 중 최외측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스페이서의 최외면에 발포 스티롤판을 맞닿게 함으로써, 상기 발포 스티롤판이 상기 복수 개의 스페이서를 상기 복수 단의 수평 연결체 사이마다 에워싸도록 구성된 저장 침투조.
KR1020137019624A 2011-02-14 2012-02-06 저장 복합체 및 이를 이용한 저장조 및 저장 침투조 KR1014086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28530 2011-02-14
JPJP-P-2011-028530 2011-02-14
PCT/JP2012/052610 WO2012111465A1 (ja) 2011-02-14 2012-02-06 貯留複合体並びにこれを用いた貯留槽及び貯留浸透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4220A KR20130114220A (ko) 2013-10-16
KR101408678B1 true KR101408678B1 (ko) 2014-06-17

Family

ID=46672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9624A KR101408678B1 (ko) 2011-02-14 2012-02-06 저장 복합체 및 이를 이용한 저장조 및 저장 침투조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9079708B2 (ko)
JP (1) JP5384757B2 (ko)
KR (1) KR101408678B1 (ko)
CN (1) CN103370482B (ko)
AU (1) AU2012218761B2 (ko)
BR (1) BR112013014850B1 (ko)
CA (1) CA2822601C (ko)
MX (1) MX2013009294A (ko)
MY (1) MY164287A (ko)
SG (1) SG191775A1 (ko)
TW (1) TWI453326B (ko)
WO (1) WO20121114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040956B1 (en) * 2014-09-19 2016-09-29 Wavin Bv A plastic infiltration unit, a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plastic infiltration units,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jection molded plastic pillar for an infiltration unit, a plastic base plate for use with a plastic infiltration unit, and a plastic infiltration system for deployment underground comprising a plastic infiltration unit and a plastic base plate.
NL1040958B1 (en) * 2014-09-19 2016-09-29 Wavin Bv A plastic infiltration unit, a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plastic infiltration units.
JP6579917B2 (ja) 2015-10-29 2019-09-25 株式会社トーテツ 貯留槽及びその施工方法
US11041297B2 (en) * 2019-11-15 2021-06-22 Pre-Con Products Wat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s
US11980835B2 (en) * 2020-07-27 2024-05-14 Foley Products Company, Llc Double-filter basket for stormwater retention system drain
US20220281678A1 (en) * 2021-03-04 2022-09-08 The Dragon Group, LLC Hinge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e
MX2024002392A (es) * 2021-08-23 2024-03-14 Oscar Larach Tanques de agua subterraneas que utilizan cajas modulares.
CN116923900B (zh) * 2023-09-13 2023-11-17 山西明普科技有限公司 一种样品储存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0696A (ja) 2001-07-05 2003-01-24 Shinichiro Hayashi 貯水装置
JP2007056611A (ja) * 2005-08-26 2007-03-08 Takiron Co Ltd 地下水槽の充填材及び充填構造
JP2008038457A (ja) 2006-08-07 2008-02-21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雨水等の貯水施設用の樹脂製骨格ブロック及び雨水等の貯水施設
JP2008255767A (ja) * 2006-10-24 2008-10-23 Hayashi Bussan Hatsumei Kenkyusho:Kk 補強を施した雨水等の貯留浸透施設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992C (zh) 1999-10-21 2004-06-09 株式会社环境企画二十一 雨水储存渗透结构
CA2596587A1 (en) 2005-02-04 2007-05-18 Cubeco Systems Limited Subsurface stormwater system
DE202006011483U1 (de) * 2006-07-21 2006-09-21 Rewatec Gmbh Erdtank
JP5032867B2 (ja) * 2007-03-16 2012-09-26 岐阜プラスチック工業株式会社 水貯留槽用の構造部材
FR2916774A1 (fr) 2007-05-30 2008-12-05 Sogemap Injectin Soc Par Actio Plaque de renfort pour cellule de recuperation d'eau
CN101476386A (zh) * 2009-01-21 2009-07-08 张江恩 多功能建筑塑料模板水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0696A (ja) 2001-07-05 2003-01-24 Shinichiro Hayashi 貯水装置
JP2007056611A (ja) * 2005-08-26 2007-03-08 Takiron Co Ltd 地下水槽の充填材及び充填構造
JP2008038457A (ja) 2006-08-07 2008-02-21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雨水等の貯水施設用の樹脂製骨格ブロック及び雨水等の貯水施設
JP2008255767A (ja) * 2006-10-24 2008-10-23 Hayashi Bussan Hatsumei Kenkyusho:Kk 補強を施した雨水等の貯留浸透施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3014850B1 (pt) 2020-12-15
CA2822601C (en) 2015-10-20
WO2012111465A1 (ja) 2012-08-23
JPWO2012111465A1 (ja) 2014-07-03
MY164287A (en) 2017-11-30
AU2012218761B2 (en) 2015-04-30
JP5384757B2 (ja) 2014-01-08
TWI453326B (zh) 2014-09-21
US9079708B2 (en) 2015-07-14
CA2822601A1 (en) 2012-08-23
MX2013009294A (es) 2013-09-13
CN103370482A (zh) 2013-10-23
BR112013014850A2 (pt) 2016-10-18
SG191775A1 (en) 2013-08-30
KR20130114220A (ko) 2013-10-16
TW201250089A (en) 2012-12-16
CN103370482B (zh) 2014-11-26
US20130284750A1 (en) 2013-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8678B1 (ko) 저장 복합체 및 이를 이용한 저장조 및 저장 침투조
EP0135584B1 (en) Environmental cut-off for deep excavations
US8104994B1 (en) Subsoil drainage system
TWI716542B (zh) 蓄積單元
WO2011129019A1 (ja) 貯留材並びにこれを用いた貯留槽及び貯留浸透槽
KR100885384B1 (ko) 분리형 원형관로 받침블럭
JP2007016555A (ja) 雨水貯留浸透槽用の構成部材及び雨水貯留浸透槽
CN108350687B (zh) 贮存槽及其施工方法
KR101881577B1 (ko) 강재와 콘크리트로 보강된 중공형 말뚝을 활용한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0740052B1 (ko) 지중 송전용 조립식 맨홀
JP6069260B2 (ja) 貯留複合体の構造並びにこれを用いた貯留槽及び貯留浸透槽
JP2002115278A (ja) 水の貯留装置
JP2010127052A (ja) 浸透側溝構造体
KR101680199B1 (ko) 합성수지로 성형된 옹벽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102554653B1 (ko) 변위억제 기능을 갖는 대형축조형 식생블럭 구조물
JP2012052349A (ja) 雨水貯留槽、雨水貯留槽充填構造
JP2006274701A (ja) 雨水貯留浸透槽
CN114059600B (zh) 一种高防护柔性垂直防渗系统的施工方法
KR101356816B1 (ko) 옹벽용 보강재의 고정방법
JP4055119B2 (ja) 槽内の充填構造及び充填材
KR20230045161A (ko) 조립식 저류조 구조물
JP2004011376A (ja) 雨水等の貯留及び浸透槽用充填材の連結具とこれを用いた該充填材の連結構造
JP2007332608A (ja) 雨水貯留浸透槽用の構成部材及び雨水貯留浸透槽
JP2002213012A (ja) 水の貯留施設
JP2005002620A (ja) 地下貯留及び/又は浸透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