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8581B1 - 다공성 막 - Google Patents

다공성 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8581B1
KR101408581B1 KR1020087015613A KR20087015613A KR101408581B1 KR 101408581 B1 KR101408581 B1 KR 101408581B1 KR 1020087015613 A KR1020087015613 A KR 1020087015613A KR 20087015613 A KR20087015613 A KR 20087015613A KR 101408581 B1 KR101408581 B1 KR 101408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rane
less
sheet material
web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5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0588A (ko
Inventor
데이비드 에이. 올슨
제랄드 엘. 반담
Original Assignee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filed Critical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080080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0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8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8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1/8409Sound-absorbing elements sheet-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the fibres or filaments of a layer being of different substances, e.g. conjugate fibres, mixture of different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45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being a foam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2Selection of materials
    • G10K11/168Plu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e.g. sandwi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53Polyolefin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61Polyamid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76Polyester fibres
    • B32B2262/0284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or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92Polyurethan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2Conjugate fibres, e.g. core/sheath or side-by-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4Mixture of at least two fibre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6Open cell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32B2307/102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8Weight, e.g. weight per square met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ultimedia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신규한 방음 시트 재료는 a) 제1 흡음 시트, 및 b) i) 기류 저항이 약 5000 rayls 이하이며, ii) 본 명세서에 정의된 음향값 비가 3000 이상인 조밀 다공성 막을 적층 조립체 내에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막은 약 200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두께,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50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두께이다. 또한, 음향값 비는 바람직하게는 7,000 이상이다. 기술된 막은 예를 들어, 상기 막을 잡음원으로부터의 잡음을 감쇠시키기 위한 적소에 공기 간극에 걸쳐 평면 어레이로 장착함으로써 공간을 방음하는 데 단독으로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방음, 시트, 흡음, 기류 저항, 다공성 막, 음향값

Description

다공성 막{POROUS MEMBRANE}
본 발명은 대체로 보다 두꺼운 다른 방음 웨브(web)와 종종 조합되어, 방음용으로 사용되는 얇은 다공성 막(porous membrane)에 관한 것이다.
몇몇 방음 과제는 상대적으로 두꺼운 제1 섬유 시트(sheet)와, 보다 얇은 제2 시트 또는 막("막"이라는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얇은 시트를 의미함)의 조합에 의해 가장 양호하게 실행된다. 조합으로, 제1 시트 및 막은 제1 시트 단독에 의한 것보다 우수하게 잡음을 감소시키는데, 예를 들어 막의 포함은 보다 낮은 주파수 범위의 잡음의 감소를 종종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막은 제1 시트에 대한 물리적 보호를 제공할 수 있다.
막은 공기 공간에 걸쳐 평면 어레이로 장착된 상태로(즉, 필름이 공기 공간 또는 공기 간극에 걸쳐 편평하거나 만곡된 평면 내에서 신장된 상태로) 단독으로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막 뒤에 적절한 두께의 공기 간극을 두고, 잡음 감소가 요구되는 방 또는 기타 밀폐 공간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막은 밀폐 공간 내의 소리를 흡수하는 기능을 한다.
두꺼운 제1 방음 시트 및 막-유사 제2 시트의 복합 방음재가 예를 들어, 톤(Thorn) 등의 미국 특허 제6,376,396호에 기술되어 있는데, 상기 미국 특허는 2 개의 순차적인 작업, 즉 제1 기계적 압밀화(compaction) 단계(예를 들어, 니들-태킹(needle-tacking) 또는 하이드로인탱글링(hydroentangling)) 및 프레스 또는 캘린더를 사용한 열 및 압력에 의한 제2 압밀화 단계로 압밀화된 부직포 웨브를 막-유사 시트로서 교시한다. 증가된 흡음은 제2 압밀화의 결과로서 발생된다고들 한다.
다른 종래 기술의 교시는, 빌딩 패널, 천장 타일, 또는 빌딩 구성요소의 외부를 덮기 위해 이전에 사용된 장식 천(fabric)이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조밀화된 표면 단장 층으로 대체되는 유사한 빌딩 구성요소를 교시하는 틸톤(Tilton)의 미국 특허 공개 제2004/0002274 A1호이다. 심미적으로 호감가는 그래픽 또는 기타 표지가 인쇄된 조밀화된 표면 단장 층은 비용을 감소시키고 개선된 방음 특성을 제공한다고들 한다.
또한, 자동차용 흡음 방음재로서 유용한 다층 제품 또는 라미네이트에 중점을 둔, 반벰멜(Vanbemmel) 등의 미국 특허 제6,720,068호를 참고하기 바란다. 저렴하고 얇으며 경량인 방음재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여, 상기 특허는 미세섬유(microfiber)의 매우 얇은 층으로 도포된 배킹(backing) 층 - 개방-셀 폼(open-cell foam) 또는 약간 압밀화된 부직포 섬유 웨브 - 을 포함하는 제품을 기술한다(칼럼 2, ll. 7-9). 미세섬유의 코팅은 "단지 0.2 내지 1.0 ㎜, 특히 0.3 내지 0.7 ㎜의 두께를 얻으며, 20 내지 200 g/㎡, 특히 30 내지 100 g/㎡의 단위 면적당 중량을 갖는다"(컬럼 1, ll. 62-64). 반벰멜 발명의 라미네이트의 특허에는 구체적인 실시예 또는 유사한 설명이 없다.
다른 상업적 방음재 형태는 열 및 압력으로 점 접합되고 제1 방음 시트와 조합되어 조립되는 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spunbond-meltblown-spunbond, SMS) 라미네이트와 같은 다층 시트를 포함하는 막-유사 시트를 사용한다.
기술된 종래의 방음 복합물 각각에서의 단점은 요구되는 수준의 방음을 상기 복합물에 추가하기 위해서는 막-유사 제2 시트가 원치 않는 비용 및 중량을 전체 방음 패키지에 추가시킬 만큼 충분히 두껍고 무겁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적어도 동등한 방음 성능을 제공하면서 종래의 막에 비해 저렴하고 보다 간단한 구성의 것인 신규한 막이 제공된다. 바람직한 막은 매우 치밀화된 부직포 섬유 웨브, 예를 들어 부직포 출발 시트 재료를 매우 얇은 두께, 바람직하게는 200 마이크로미터 미만으로 압밀화함으로써 제조된 웨브를 포함한다. 신규한 막은 조밀하지만, 소리를 감쇠하기에 효과적인 다공성을 보유하는데; 대체로 다공성은 막의 비 기류 저항(specific airflow resistance)이 약 10,000 rayls 이하이고, 보다 광범위한 용도를 위해서는 약 5000 rayls 이하이면 충분하다(산업계에서는 흔히 "비 기류 저항"을 간단히 "기류 저항"으로 칭하며, 본 명세서에서는 그 관례에 따른다; 동일한 특성이 또한 때때로 "음향 저항"으로 칭해지는데, 예를 들어 방음에 중점을 두는 경우, 본 명세서에서 후속하여 설명되는 동일한 시험 절차가 기류 저항 및 음향 저항 둘 모두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며; 측정된 특성에 대한 단위는 본 명세서에서 mks 시스템의 rayls로서 보고되고; 산업계에서 사용되는 다른 단위는 Ns/㎥ 및 Pa·s/m를 포함한다).
본 발명자들은 유용한 막이 고형성(막의 고형 성분이 차지하는 막의 체적의 비율을 의미하는 무차원 분수), rayls 단위의 다공성(즉, 기류 저항 또는 음향 저항) 및 막의 두께와 관련된 음향값 비(Acoustic Value Ratio)라고 칭해지는 새로운 관계로 밀도, 두께 및 다공성의 특성을 요약함으로써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음을 알았다:
Figure 112008046254362-pct00001
본 발명자들은 방음 재료 전체에 비용 및 중량을 거의 부가하지 않으면서, 3000 이상의 음향값 비(AVR)를 나타내는 다공성 막이 고품질의 방음 성능을 가능하게 함을 알았다. 바람직하게는, 음향값 비는 7,000 이상이다. 또한, 막은 바람직하게는 약 150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두께인데, 다시 말하면, 놀랍도록 얇은 막이 유용하고 바람직하다.
기술된 바와 같은 막은 제1 흡음 시트와 함께 적층 조립체 내에 사용되어 놀랍도록 효과적인 방음재를 제조할 수 있다. 복합 방음재에서의 그의 사용에 더하여, 기술된 바와 같은 막은 막 후방의 공기 간극 또는 공기 공간과 평면 어레이로 배열된 때 소리 감쇠를 단독으로 제공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9는 비교 웨브 및 본 발명의 대표적인 막들에 대한 흡음률(sound absorption coefficient) 대 주파수의 플롯(plot).
섬유 웨브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막의 제조를 위한 출발 시트 재료로서 사용된다. 스펀본드 웨브(느슨하게 인탱글링된 웨브로서 랜덤 등방성 방식으로 형성 표면 상에서 냉각, 인발, 수집되고 나서 캘린더링 또는 통기 결합(through-air bonding)에 의해 접합되는 멜트스펀 섬유를 대체로 포함함); 멜트블로운 웨브(용융된 열가소성 중합체를 다이(die) 내의 일렬의 오리피스를 통해 고속 공기 스트림 내로 압출함으로써 형성되며, 여기서 압출된 중합체 스트림은 대체로 미세 직경 섬유 - 종종 직경이 평균 10 마이크로미터 이하 - 로 가늘어지며, 수집기(collector)로 운반되고, 수집기에서 섬유들은 응집성의 인탱글링된 웨브로서 수집됨); 스펀레이스드 웨브(일반적으로 하이드로인탱글링된 건식-레이드 웨브); 카디드 또는 에어-레이드 스테이플 섬유 웨브; 직조 웨브; 습식-레이드 웨브; 및 그러한 웨브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다양한 종래의 잘 알려진 형태의 웨브들 중 어느 것도 사용될 수 있다. 웨브는 종종 자체 유지 형태(self-sustaining form)이지만, 오히려 느슨하며, 본 발명의 막을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웨브-치밀화(densification) 동안에만 자체 유지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막은 개방-셀형 폼 또는 망과 같은 다른 다공성 시트 재료로부터 또한 제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다공성 열가소성 시트 재료는 본 발명의 막을 제조하기 위한 출발 시트 재료로서 사용되기 위한 후보 재료이다.
본 발명에서의 사용되는 출발 시트 재료는 대체로 열에 의해 연화될 수 있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섬유 또는 다른 유용한 웨브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임의의 열가소성 중합체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가장 전형적으로는, 선택된 중합체는 폴 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나일론 및 우레탄과 같은 섬유 형성에 흔히 사용되는 것이다. 탄성 재료는 순응성, 가요성 및 성형성에 있어서 유용하고 이점을 제공한다. 안료 또는 염료와 같은 첨가제가 블렌딩된 중합체 재료뿐만 아니라 중합체들의 블렌드를 포함하는 재료들의 블렌드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출발 시트 재료는 코어-외피(sheath) 또는 나란한 2성분 섬유(본 명세서에서의 "2성분"은 2개 이상의 성분을 갖는 섬유를 포함함)와 같은 2성분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상이한 재료의 섬유와 같은 상이한 재료는 블렌딩된 웨브를 제조하도록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4,118,531호에 교시된 방식으로 스테이플 섬유가 멜트블로운 섬유 내로 블렌딩될 수 있거나; 미국 특허 제3,971,373호에 교시된 방식으로 미립자 재료가 웨브 내로 도입되어 포집될 수 있거나; 미국 특허 제4,813,948호에 교시된 바와 같은 마이크로웨브가 웨브 내로 블렌딩될 수 있다. 비-열가소성 재료의 도입이 일반적으로는 덜 바람직하지만, 열가소성 섬유 및 목재 펄프 섬유와 같은 다른 섬유의 블렌드인 웨브가 또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유리하게는 단독의 단일층을 포함하는 웨브로 실시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출발 시트 재료는 또한 하나 초과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섬유 층들, 예를 들어 층 내에 사용된 섬유의 직경에 따라 상이한 층들을 조합함으로써 섬유 직경 또는 다공성의 점진적 변화를 제공하는 웨브가 사용될 수 있는 것처럼, SMS(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웨브가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막은 전형적으로 열 및 압력 하에서 캘린더를 이용하여 출발 시트 재료를 치밀화함으로써 제조된다. 잘 알려진 캘린더링 절차가 사용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캘린더의 롤은 매끄러운 표면으로 되어 있지만, 예를 들어, 웨브 또는 시트의 점 접합을 달성하기 위해 낮은 돋을새김 돌출부(low-relief projection)를 구비한 롤이 사용될 수 있다. 시트를 압밀화하기 위해 충분한 열 및 압력이 사용되어 시트 재료의 변형 및/또는 용융을 야기하지만, 기공을 완전히 막도록 시트 재료가 유동하게 할 가열 조건은 피하여야 한다. 시트의 신장 또는 가열은 과도하게 폐쇄된 개구를 재개방하거나 과도하게 좁은 개구를 확장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막은 캘린더링 후에 막 내에 남아있는 다공성의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특정 주파수 범위를 보다 양호하게 감쇠시키도록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5000 내지 6000 rayls의 기류 저항을 갖는 막은 400 내지 1000 헤르쯔의 주파수를 갖는 음향을 최상으로 감쇠시킬 수 있다. 보다 넓고 보다 높은 주파수 범위에 걸쳐 보다 큰 유효성을 갖기 위해, 캘린더링되거나 치밀화된 막의 다공성은 약 2000 미만, 또는 심지어 약 1000 이하의 기류 저항을 최상으로 가질 것이다.
박화(thinness)의 결과로서, 본 발명의 막은 또한 대체로 낮은 평량(basis weight), 즉 바람직하게는 제곱 미터당 약 100 그램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곱 미터당 약 50 그램 이하를 갖는다. 출발 재료를 선택하는 주요 기준은 최종 막의 양호한 연속성 또는 균일성을 달성하는 것이다. 양호한 막 특성은 종종 출발 시트 재료 내의 섬유의 직경에 상관없이 얻어질 수 있다. 그러나, 미세섬유 웨브는 이점, 예를 들어, 미세섬유가 평균 10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직경인 출발 재료 웨브라 는 이점을 가질 수 있으며, 그러한 웨브는 통상적으로 멜트블로운 웨브이다. 섬유 직경은 주사형 전자 현미경사진(scanning electron micrograph, SEM)에 의한 것처럼 실제 시각적으로 측정된 직경을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섬유 직경 측정은 미국 특허 제5,298,694호(칼럼 2, 35-43 행 및 칼럼 12, 33-39 행)에 기술된 바와 같은 절차에 의해 측정된 "유효 섬유 직경"(effective fiber diameter, EFD)이다. 설명의 용이성을 위해, 본 발명에서는 실시예에서 EFD 측정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이점은 저비용의 출발 재료가 유용한 막 특성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막을 갖는 적층 조립체에 사용된 제1 흡음 시트는 대체로,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5,298,694호에 교시된 바와 같이 미세섬유 및 미세섬유 내에 블렌딩된 주름형 스테이플 섬유를 포함하는 웨브를 비롯한 공지된 방음 시트 재료들 중 어느 것일 수 있다. 다른 유용한 흡음 시트 재료는 개방-셀 폼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제품은 막 단독으로 시판되거나, 막 및 제1 흡음 시트의 적층 조립체를 포함하는 시트 상품으로 시판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품은 다른 방식, 예를 들어 특정 응용을 위해 형상화된 제1 방음 시트 및 막의 성형된 용품으로서 또한 시판될 수 있다.
시험 절차
본 발명의 웨브를 정의하고 그 성능을 측정하는 시험은 다음과 같다.
시편 고형성(specimen solidity)은 시편(통상적으로는 섬유 웨브)의 벌크 밀 도를 시편(웨브)의 구성 재료의 밀도로 나눔으로써 결정된다. 웨브 시편의 벌크 밀도는 웨브의 10㎝ × 10㎝ 섹션의 중량 및 두께를 먼저 측정함으로써 결정된다. 시편의 두께는 각각의 샘플의 정면 상으로 2.9 ㎪/㎡(0.4213 lb/in2)의 압력을 가하도록 150 그램의 질량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수정된 ASTM D 5729 표준 시험 방법에서 규정된 바와 같이 평가된다. 샘플의 크기가 ASTM D 5729에서 추천되는 크기 미만인 것으로 한정된 때, 압력 푸트(foot) 상의 질량은 비례적으로 감소되어 2.9 ㎪/㎡(0.4213 lb/in2)의 로딩 힘을 유지한다. 시편은 22 +/- 5℃에서 그리고 50% +/- 5% 상대 습도의 분위기에서 먼저 예비 컨디셔닝된다. 그램 단위의 시편의 중량을 제곱 센티미터 단위의 샘플 면적으로 나눔으로써 g/㎡ 단위로 보고되는 시편의 평량이 도출된다. 웨브의 벌크 밀도는 평량을 시편의 두께로 나눔으로서 결정되며, g/㎥ 단위로 보고된다. 고형성은 시편의 벌크 밀도를 시편의 구성 재료의 밀도로 나눔으로써 계산되는, 주어진 시편 내의 고형물 함량의 비율을 나타내는 무차원 분수이다. (중합체의 밀도는 공급자가 재료 밀도를 명시하지 않은 경우 표준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기류 저항(airflow resistance)은 ASTM C 522 표준 시험 방법에서 규정되는 바와 같이 평가된다. 비 기류 저항(r)의 값은 mks rayl(㎩·s/m) 단위로서 보고된다. 13.33㎝(5.25인치) 직경의 원형 샘플을 다이 절단함으로써 샘플을 준비하였다. 에지가 다이 절단 작업에 의해 약간 압축된다면, 에지는 시험 전에 최초의 또는 본래의 두께로 되돌아 가야한다. 예비 컨디셔닝된 샘플을 시편 홀더에 배치하 였으며, 100 ㎠ 정면 면적에 걸쳐 압력차를 측정하였다.
음향 재료의 흡음은 제목이 "튜브, 2개의 마이크로폰 및 디지털 주파수 분석 시스템을 사용한 임피던스 및 흡수(Impedance and Absorption Using A Tube, Two Microphones and A Digital Frequency Analysis System)"인 ASTM 지정 E 1050-98에 기술된 시험 방법에 의해 결정된다. 예비 컨디셔닝된 샘플을 29 밀리미터 직경의 튜브를 사용하여 시험하였다. 160 내지 6300 헤르쯔의 1/3 옥타브 밴드 흡음률이 보고되었다. 실시예 9-11에 대해, 샘플을 63 밀리미터 직경의 튜브를 사용하여 시험하였다. 100 내지 3150 헤르쯔의 1/3 옥타브 밴드 흡음률이 보고되었다.
실시예 1-8
표 1-3 및 도 1 내지 도 8에서의 데이터의 플롯에서 요약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막을 제조하여 시험하였다. 실시예의 각각의 막에 대한 출발 시트 재료는 다음과 같았다.
- 실시예 1에 대해, 스펀본드 나일론 웨브(웨스턴 넌우븐스(Western Nonwovens)에 의해 공급된 #G066380).
- 실시예 2에 대해, 스펀본드 폴리프로필렌 웨브(BBA 넌우븐스에 의해 공급된 #83149006-01).
- 실시예 3에 대해, 스펀본드 PET 웨브(BBA 넌우븐스에 의해 공급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리메이 패브릭(Reemay Fabric)).
- 실시예 4에 대해, 평균 8 마이크로미터 직경(EFD)의 섬유를 포함하는 멜트블로운 폴리프로필렌 웨브; 미세섬유의 평균 실제 직경은 약 10 마이크로미터 미만 이었다.
- 실시예 5에 대해, 20 마이크로미터의 평균 (EFD) 직경을 갖는 섬유의 멜트블로운 폴리우레탄 웨브.
- 실시예 6에 대해, 평균 8 마이크로미터 직경(EFD)의 65 중량%의 멜트블로운 폴리프로필렌 섬유와 35 중량%의 베라텍(Veratec) "이지 스트리트(Easy Street)" 면 스테이플 섬유의 복합 웨브.
- 실시예 7에 대해, 95 중량%의 쿠라레이(Kurraray) W102 3.4-데니어 분할가능 복합 섬유 - 각각의 섬유는 약 50% PET 및 50% 나일론을 포함함 - 및 5 중량% KoSa 타입-254 2-데니어 주름형 "멜티(Melty)" 2성분 섬유를 포함하는 스펀레이스드 웨브.
- 실시예 8에 대해, 파이버 비젼(Fiber Vision)에 의해 공급된 타입 196 1.9-데니어, 1.5 인치 길이의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포함하는 카디드 웨브.
개시된 출발 시트 재료를 표 2에 요약된 바와 같은 조건 하에서 2개의 매끄러운 롤러들 사이에서 캘린더링하였다.
시험은 본 발명의 최종적인 막과 출발 시트 재료 단독에 대해, 그리고 방음을 위해 일반적으로는 사용되지 않는 보다 두꺼운 카디드-웨브 시트 재료(20 ㎜ 두께)와 조합된 막에 대해 시험을 수행하여, 본 발명의 막과 그러한 시트 재료를 조합함으로써 얻어지는 개선점을 예시하였다(보다 두꺼운 웨브는 라텍스 결합제가 7g/㎡의 중량으로 적용된, 85 중량% 2-데니어 주름형 스테이플 섬유 및 15 중량% 2-데니어 주름형 "멜티" 2성분 섬유의 블렌드였다). 기류 저항 및 웨브 고형성에 대한 결과는 출발 시트 재료에 대해서는 표 1에 그리고 완성된 막에 대해서는 표 3에 나타나 있다.
다양한 시험 샘플에 대한 흡음 측정이 도 1-8에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서, 헤르쯔 단위의 주파수가 가로축에 좌표로 나타나 있고, 흡음률이 세로축에 좌표로 나타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의 시험 웨브에 대한 데이터를 나타내며, 도 2는 실시예 2에 대한 것이며, 도 8과 실시예 8까지 마찬가지이다. 도 1-8의 각각에 있어서, 플롯 A는 20 밀리미터 공기 간극을 가지고 측정된 출발 시트 재료에 대한 것이며, 플롯 B는 20 밀리미터 공기 간극을 가지고 측정된 본 발명의 캘린더링된 막에 대한 것이고, 플롯 C는 본 발명의 캘린더링된 막과 전술된 20 밀리미터의 보다 두꺼운 웨브의 적층 조립체에 대한 것이다. 도 1에서, 플롯 D는 보다 두꺼운 웨브 단독에 대한 데이터이다. 도 8에는 플롯 A가 없는데, 이는 해당 실시예의 캘린더링 되지 않은 출발 시트 재료 상에서 흡음이 측정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실시예 9-11
실시예 9-11을 SM1700008로서 퍼스트 퀄리티 넌우븐스(First Quality Nonwovens, FQN)에 의해 공급되는 17 그램/제곱 미터(0.5 oz/yd2)의 평량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SMS(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웨브)로부터 제조하였다. 기술된 웨브를 표 2에 개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9-11 각각에 대한 상이한 조건을 사용하여 2개의 매끄러운 강철 롤들 사이에서 캘린더링하였다. 출발 시트 재료 및 완성된 막에 대해 측정 및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가 표 1 및 표 3에 나타나 있다. 55 중량%의 멜트블로운 섬유 및 35 중량%의 주름형 스테이플 섬유로 이루어진 유용한 방음 시트 재료(쓰리엠(3M)에 의해 공급되고 미국 특허 제5,298,694호에 기술된 바와 같은 씬슐레이트 어쿠스틱 인슐레이션(Thinsulate Acoustic Insulation), 이하 TAI함)와 조합하여 시험 막에 대해 흡음 측정을 수행하였다. 추가의 비교를 위해, 제곱 미터당 51 그램의 중량인 상업적 웨브(SM150으로서 킴벌리 클라크(Kimberly Clark)로부터 입수가능한 폴리프로필렌 SMS) 및 쓰리엠에 의해 공급되는 방음 시트 재료(TAI)를 포함하는 적층 조립체(비교예 C1)에 대해 흡음 측정을 수행하였다. 비교예 C1의 SMS 웨브와 TAI 웨브의 추가 설명이 표 1에 나타나 있다. 흡음 측정이 도 9에 나타나 있는데, 여기서 플롯 A는 TAI 웨브 단독에 대한 것이고, 플롯 B는 캘린더링 되지 않은 출발 시트 재료 및 TAI 웨브의 적층 조립체에 대한 것이며, 플롯 C는 실시예 11의 완성된 캘린더링된 막 및 TAI 웨브의 적층 조립체에 대한 것이고, 플롯 D는 비교예 C1에 대한 것이다.
시험 결과를 검토하면, 특히 실시예 2, 3 및 8뿐만 아니라, 실시예 9-11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넓은 주파수 스펙트럼에 걸친 개선을 위해서는, 완성된 막의 기류 저항이 1500 rayls 미만이고, 심지어는 1000 rayls 미만이며, 이는 그러한 넓은 스펙트럼 개선을 위한 요구되는 기류 저항 범위를 제시함을 알 수 있다. 별도의 관점에서, 실시예 2, 3 및 8에서의 막의 중량은 50 g/㎡미만이며, 실시예 9-11에서의 막의 중량은 20 g/㎡ 미만이고, 두께는 100 마이크로미터 미만이며, 5가지 경우에서는 50 마이크로미터 미만이고, 음향값 비는 7,000 이상이고, 몇몇 실시예 에서는 10,000 이상이다.
Figure 112008046254362-pct00002
Figure 112008046254362-pct00003
Figure 112008046254362-pct00004

Claims (15)

  1. a) 제1 흡음 시트, 및 b) i) 기류 저항이 10,000 rayls 이하이며, ii) 하기 정의된 음향값 비가 3000 이상인 조밀 다공성 막을 적층 조립체 내에 포함하는 방음 시트 재료.
    Figure 112013031372813-pct00014
  2. 제1항에 있어서, 막은 두께가 150 마이크로미터 이하인 시트 재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막은 음향값 비가 10,000 이상인 시트 재료.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막은 기류 저항이 2000 rayls 이하인 시트 재료.
  5. 기류 저항이 5000 rayls 이하이고 음향값 비가 3000 이상인 조밀 다공성 자체-지지 막을 잡음원으로부터의 잡음을 감쇠시키기 위한 적소에 공기 간극에 걸쳐 평면 어레이로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간 방음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막을 구비한 적층 조립체 내에 보다 로프트형(lofty)인 부직포 섬유 시트 재료를 장착하는 추가의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087015613A 2005-12-29 2006-12-20 다공성 막 KR1014085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321,189 US7686132B2 (en) 2005-12-29 2005-12-29 Porous membrane
US11/321,189 2005-12-29
PCT/US2006/048648 WO2007078966A1 (en) 2005-12-29 2006-12-20 Porous membra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0588A KR20080080588A (ko) 2008-09-04
KR101408581B1 true KR101408581B1 (ko) 2014-06-17

Family

ID=38223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5613A KR101408581B1 (ko) 2005-12-29 2006-12-20 다공성 막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686132B2 (ko)
EP (1) EP1968789B1 (ko)
JP (1) JP5586851B2 (ko)
KR (1) KR101408581B1 (ko)
CN (1) CN101351328B (ko)
BR (1) BRPI0621145A2 (ko)
CA (1) CA2635536A1 (ko)
RU (1) RU2008126455A (ko)
WO (1) WO20070789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96686A1 (en) * 2007-07-30 2010-08-05 Van Dam Gerald L Porous facing material, acoustically attenuating composite,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US20090173570A1 (en) * 2007-12-20 2009-07-09 Levit Natalia V Acoustically absorbent ceiling tile having barrier facing with diffuse reflectance
US8403108B2 (en) * 2009-06-12 2013-03-26 Precision Fabrics Group, Inc. Acoustically tunable sound absorption articl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WO2010144798A2 (en) * 2009-06-12 2010-12-16 Precision Fabrics Group, Inc. Acoustically tunable sound absorption articl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8439161B2 (en) * 2009-06-12 2013-05-14 Precision Fabrics Group, Inc. Acoustically tunable sound absorption articles
AU2009206197B2 (en) * 2009-08-07 2012-11-29 Megasorber Pty Ltd Non-combustible sound-absorbing facing
CN102237079A (zh) * 2010-05-06 2011-11-09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具有隔音隔震结构的单元、阵列结构及其二者的制造方法
GB2483266B (en) * 2010-09-01 2013-03-06 Echo Barrier Ltd Sound absorbent barrier
WO2016051527A1 (ja) * 2014-09-30 2016-04-07 コンパニー ゼネラール デ エタブリッスマン ミシュラン 吸音体
AU2015357086A1 (en) * 2014-12-05 2017-06-08 Eleda S.R.L. Sound-absorbing element and system
WO2017006993A1 (ja) * 2015-07-08 2017-01-12 名古屋油化株式会社 表皮材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吸音材
US10460714B1 (en) 2016-02-05 2019-10-29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Broadband acoustic absorbers
BR112020016891B8 (pt) * 2018-03-02 2023-12-26 Fibertex Nonwovens As Método de fabricação de um tecido não tecido, tecido não tecido, e seu uso para isolamento acústico
USD894429S1 (en) 2018-04-13 2020-08-25 Caimi Brevetti S.P.A. Sound absorbing panel
USD895158S1 (en) 2018-04-13 2020-09-01 Caimi Brevetti S.P.A. Sound absorbing panel
USD895159S1 (en) 2018-04-13 2020-09-01 Caimi Brevetti S.P.A. Sound absorbing panel
FR3090471A1 (fr) * 2018-12-24 2020-06-26 Airbus Operations (S.A.S.) Procédé de fabrication d’une structure d’absorption acoustique comprenant un panneau alvéolaire intégrant des éléments acoustiques et structure d’absorption acoustique obtenue à partir dudit procédé
DE102019108169A1 (de) * 2019-03-29 2020-10-01 Röchling Automotive SE & Co. KG Kfz-Unterbodenverkleidung zur Absorption von Abrollgeräuschen am damit verkleideten Fahrzeu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32999A (ja) 1998-12-15 2002-10-02 フラウンホーファー−ゲゼルシャフト・ツア・フォルデルング・デア・アンゲヴァンテン・フォルシュング・エー・ファウ 吸音のための制御音響導波管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32589A (en) 1965-04-12 1970-10-06 Du Pont Differentially bonded non-woven sheet
US3971373A (en) 1974-01-21 1976-07-2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article-loaded microfiber sheet product and respirators made therefrom
CA1073648A (en) 1976-08-02 1980-03-18 Edward R. Hauser Web of blended microfibers and crimped bulking fibers
DE3039651C2 (de) 1980-10-21 1985-07-25 Fa. Carl Freudenberg, 6940 Weinheim Luftschallschluckende, verformte Platte
US4421203A (en) 1982-08-25 1983-12-20 Bergamini John V W Roll-out layered expansible membranes (ROLEM)
JPS59186750A (ja) 1983-04-07 1984-10-23 Nippon Tokushu Toryo Kk ボンネツトフ−ド用吸音板
CH668282A5 (de) 1985-07-31 1988-12-15 Fibraconsult Management Und Be Akustische daemmplatte,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selben sowie einrichtung zur durchfuehrung dieses verfahrens.
US4813948A (en) 1987-09-01 1989-03-2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icrowebs and nonwoven materials containing microwebs
US5409573A (en) 1988-05-10 1995-04-2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omposites from wet formed blends of glass and thermoplastic fibers
ES2122001T3 (es) 1992-05-08 1998-12-16 Gates Formed Fibre Products Compuesto moldeable sin tejer y metodo de fabricacion mejorados.
US5824973A (en) * 1992-09-29 1998-10-20 Johns Manville International, Inc. Method of making sound absorbing laminates and laminates having maximized sound absorbing characteristics
US5298694A (en) 1993-01-21 1994-03-2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Acoustical insulating web
US5848509A (en) 1995-08-31 1998-12-15 Certainteed Corporation Encapsulated insulation assembly
JP3326057B2 (ja) 1995-09-13 2002-09-17 カネボウ株式会社 吸音性繊維製品
EP0895551B1 (en) 1996-04-23 2001-09-26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Bonded polyolefin sheet
WO1998018656A1 (de) 1996-10-29 1998-05-07 Rieter Automotive (International) Ag Ultraleichter multifunktionaler, schallisolierender bausatz
DE19708188C2 (de) 1997-02-28 2001-05-10 Lohmann Gmbh & Co Kg Schallschutzmaterial
JP3213252B2 (ja) 1997-03-03 2001-10-02 カネボウ株式会社 吸音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886306A (en) 1997-07-22 1999-03-23 Kg Fibers, Inc. Layered acoustical insulating web
US6062997A (en) 1998-02-06 2000-05-16 Elenco Electronics, Inc. Magnetic dart system
PT1058618E (pt) 1998-03-03 2004-04-30 Rieter Automotive Int Ag Laminado de camadas finais para a absorcao de sons
IL126741A0 (en) 1998-10-25 1999-08-17 Yam Daniel Solidification of fluid oils and their use
US6217691B1 (en) 1998-12-24 2001-04-17 Johns Manville International, Inc. Method of making a meltblown fibrous insulation
US6296075B1 (en) * 2000-06-02 2001-10-02 Lear Corporation Lightweight acoustical system
US6669265B2 (en) 2000-06-30 2003-12-30 Owens Corning Fiberglas Technology, Inc. Multidensity liner/insulator
AUPQ883000A0 (en) 2000-07-19 2000-08-10 I.N.C. Corporation Pty Ltd A thermoformable acoustic sheet
US6598584B2 (en) 2001-02-23 2003-07-29 Clean Air Partners, Inc. Gas-fueled, compression ignition engine with maximized pilot ignition intensity
EP1392547A1 (en) 2001-06-01 2004-03-03 Owens Corning Under carpet heat shield and floor pan insulator
US6659223B2 (en) * 2001-10-05 2003-12-09 Collins & Aikman Products Co. Sound attenuating material for use within vehicl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20030176131A1 (en) 2002-03-15 2003-09-18 Tilton Jeffrey A. Insulating material
US20040002274A1 (en) 2002-06-27 2004-01-01 Tilton Jeffrey A. Decorative laminate for fibrous insulation products
US7000729B2 (en) 2002-07-08 2006-02-21 Acoustek Nonwovens Five-layer sound absorbing pad: improved acoustical absorber
US7618907B2 (en) 2002-08-02 2009-11-17 Owens Corning Intellectual Capital, Llc Low porosity facings for acoustic applications
US6893711B2 (en) 2002-08-05 2005-05-1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coustical insulation material containing fine thermoplastic fibers
WO2004022645A1 (de) 2002-08-21 2004-03-18 Hp-Chemie Pelzer Research And Development Ltd. Dämpfungsmaterial
US20040077247A1 (en) 2002-10-22 2004-04-22 Schmidt Richard J. Lofty spunbond nonwoven laminate
US6878427B2 (en) 2002-12-20 2005-04-12 Kimberly Clark Worldwide, Inc. Encased insulation article
US7320739B2 (en) * 2003-01-02 2008-01-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ound absorptive multilayer composite
US20040131836A1 (en) * 2003-01-02 2004-07-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coustic web
DE10324257B3 (de) * 2003-05-28 2004-09-30 Clion Ireland Ltd., Newton Schallabsorber, Verfahren zur Herstellung, und Verwendung
JP4691388B2 (ja) * 2004-04-28 2011-06-01 株式会社タケヒロ 超軽量な防音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32999A (ja) 1998-12-15 2002-10-02 フラウンホーファー−ゲゼルシャフト・ツア・フォルデルング・デア・アンゲヴァンテン・フォルシュング・エー・ファウ 吸音のための制御音響導波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621145A2 (pt) 2011-11-29
EP1968789A1 (en) 2008-09-17
CN101351328B (zh) 2011-04-06
CA2635536A1 (en) 2007-07-12
RU2008126455A (ru) 2010-02-10
EP1968789B1 (en) 2013-07-17
US7686132B2 (en) 2010-03-30
US20070151800A1 (en) 2007-07-05
JP5586851B2 (ja) 2014-09-10
JP2009522597A (ja) 2009-06-11
CN101351328A (zh) 2009-01-21
WO2007078966A1 (en) 2007-07-12
KR20080080588A (ko) 2008-09-04
EP1968789A4 (en) 2012-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8581B1 (ko) 다공성 막
EP2231948B1 (en) Acoustically absorbent ceiling tile having barrier facing with diffuse reflectance and use of said tile
EP2231942B1 (en) Acoustic absorber with barrier facing
KR101367509B1 (ko) 흡음 특성을 갖는 다층 용품과 이의 제조 및 사용 방법
US20040023586A1 (en) Low porosity facings for acoustic applications
JP2001513217A (ja) 防音材およびその使用
JP2003535228A (ja) 防音及び断熱用不織合成シート材料
Patnaik Materials used for acoustic textiles
Tascan et al. Effect of glass-beads on sound insulation properties of nonwoven fabrics
JP2007083923A (ja) ダッシュインシュレーター
JP2021515260A (ja) 複合吸音層
JP3494332B2 (ja) 防音材料
JP2008231596A (ja) 吸音性に優れた繊維構造体
MX2008008387A (es) Membrana porosa
Yilmaz et al. Biocomposite Structures as Sound Absorber Materials
JP2023114375A (ja) 複合吸音材
Allampalayam Jayaraman Acoustical absorptive properties of nonwovens
PL226278B1 (pl) Dźwiękochłonny kompozyt na osnowie termoplastycznej oraz sposób wytwarzania tego kompozytu
PL227652B1 (pl) Dźwiękochłonny kompozyt na osnowie termoplastycznej oraz sposób wytwarzania tego kompozytu
PL227654B1 (pl) Dźwiękochłonny kompozyt na osnowie termoplastycznej oraz sposób wytwarzania tego kompozytu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