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6927B1 -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6927B1
KR101406927B1 KR1020120033082A KR20120033082A KR101406927B1 KR 101406927 B1 KR101406927 B1 KR 101406927B1 KR 1020120033082 A KR1020120033082 A KR 1020120033082A KR 20120033082 A KR20120033082 A KR 20120033082A KR 101406927 B1 KR101406927 B1 KR 101406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tate
switch
touch controller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3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9700A (ko
Inventor
한웬 린
유에링 첸
Original Assignee
티피케이 터치 시스템즈 (씨아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피케이 터치 시스템즈 (씨아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티피케이 터치 시스템즈 (씨아먼)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30049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9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6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6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2Power saving in digitizer or tabl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87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switching off individual functional units in the computer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wer Source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은 입력 및 출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터치 제어기, 및 전원 공급기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이미디 디스플레이 동작을 수행한다. 터치 제어기는 작동 상태에서 터치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전원 공급기는 터치 제어기에 커플링되고 터치 제어기에 동작 전압을 제공한다. 디스플레이 패널이 비 디스플레이 상태일 때, 전원 공급기는 터치 제어기가 비 작동 상태가 되도록 터치 제어기에 동작 전압을 제공하지 않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TOUCH DISPLAY DEVICE}
개시된 본 발명은 입력 및 출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 패널(10), 프로세서(processor, 11), 전원 스위치(12), 터치 센서(13), 터치 제어기(14), 및 입출력 포트(I/O port, 15)를 포함한다.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는 입출력 포트(15)를 통해 외부 호스트(16)와 접속되고 외부 전원 회로(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전원이 공급된다. 호스트(16)와 프로세서(11) 사이의 데이터 전송은 입출력 포트(15)를 통해 수행된다. 또한, 터치 제어기(14)는 터치 제어기(14)를 작동 상태로 만들기 위해 입출력 포트(15)를 통해 호스트(16)로부터 동작 전압(operation voltage) +5V을 수신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온(on)" 및 "오프(off)" 모드는 전원 스위치(12)에 연결되는 프로세서(11)에 의해 제어되며, 한편 터치 제어기(14)의 동작 전압이 입출력 포트(15)를 통해 전원 +5V로 제공되고,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전원 스위치(12)를 통해 사용자들에 의해 턴 오프 될 때 어떠한 이미지도 보여 주지 않는다. 한편, 입출력 포트(15)는 작동 상태에 있도록 터치 제어기(14)에 동작 전압 +5V를 여전히 제공한다. 그러므로, 디스플레이 패널(10)이 오프일 때에도, 임의의 사용자 또는 임의의 물체가 부주의하게/실수로 터치 센서(13)를 터치하면, 터치 제어기(14)는 프로세서(11)가 호스트(16)에 데이터를 전송하게 하도록 터치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이 경우에, 호스트(16)는 원치 않는 프로그램들 또는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어서, 시스템에 장애를 야기한다.
그러므로, 디스플레이 패널이 오프이고 만약 터치 센서가 실수로 터치될 때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되는 호스트에 의한 원치 않는 프로그램들 또는 동작들의 수행을 피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이 오프인 동안에 터치 제어기를 종료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가 필요하다.
개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여기서 터치 제어기가 비 작동 상태(non-working state)에 있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이 비 디스플레이 상태(non-display state)일 때 전원 공급기가 터치 제어기에 동작 전압을 제공하지 않을 수 있게 되며,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이 비 디스플레이 상태이고 터치 센서가 실수로 터치될 때 호스트에 의한 원치 않는 프로그램들 또는 동작들의 수행을 방지한다.
개시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상태(display state)에서 이미지 디스플레이 동작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작동 상태에서 터치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터치 제어기; 및 터치 제어기에 커플링되고(couple) 터치 제어기에 동작 전압을 제공하는 전원 공급기;를 포함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여기서 디스플레이 패널이 비 디스플레이 상태일 때, 터치 제어기가 비 작동 상태이도록, 전원 공급기가 터치 제어기에 동작 전압을 제공하지 않을 수 있게 된다.
개시된 본 발명의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원 스위치 및 프로세서를 더 포함한다. 전원 스위치는 턴 온 상태(turn-on state)와 턴 오프 상태(turn-off state) 사이에서 스위칭(switch)되고, 프로세서는 전원 스위치의 상태를 검출하고 전원 스위치의 상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 및 전원 공급기를 제어한다. 프로세서가 전원 스위치가 턴 온 상태라고 검출할 때, 터치 제어기에 동작 전압을 제공하도록 전원 공급기를 제어하여, 터치 제어기가 작동 상태가 되게 한다.
개시된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이 오프이고 터치 센서가 실수로 터치될 때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되는 호스트에 의한 원치 않는 프로그램들 또는 동작의 수행을 방지하도록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오프인 동안에 터치 제어기를 종료한다.
이 개시된 발명을 당업자들에게 이해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면과 연결하여 하기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은 단지 예시용일 뿐이고 어떠한 식으로도 개시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도 1은 종래의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다.
도 2는 개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다.
도 3은 개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다.
도 4는 개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닛을 도시한다.
개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가 하기에서 기술된다. 그러나, 개시된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실시예는 단지 개시된 본 발명에 대한 제조, 사용 및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개시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은 아님이 쉽게 이해될 수 있다.
도 2는 개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2)는 다수의 디스플레이 기능들 및 터치 기능들을 갖는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2)는 디스플레이 패널(20), 터치 제어기(24) 및 전원 공급기(25)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20)은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기능에 상응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동작을 수행하는데, 그렇게 함으로써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터치 제어기(24)는 작동 상태에서 터치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터치 제어기(24)에 커플링되는 전원 공급기(25)는 터치 제어기(24)에 동작 전압을 제공한다. 터치 패널(20)이 비 디스플레이 상태일 때, 전원 공급기(25)는 터치 제어기(24)가 비 작동 상태에 있도록 하기 위해 터치 제어기(24)에 동작 전압을 제공하지 않을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디스플레이 패널이 비 디스플레이 상태인 중에 실수로 터치될 때 터치 제어 동작의 수행을 방지하기 위해 터치 제어기(24)도 종료된다.
개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2)는 프로세서(21), 전원 스위치(22), 터치 센서(23), 및 입출력 포트(26)를 더 포함한다.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2)는 입출력 포트(26)를 통한 연결로 호스트(27)와 접속한다.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2)와 호스트(27) 사이의 신호 전송은 입출력 포트(26)를 통해 수행된다. 프로세서(21)는 입출력 포트(26)를 통해 호스트(27)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이 디스플레이 상태일 때, 프로세서(21)는, 디스플레이 패널(20)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들에 대한 변경 또는 결정과 같은 이미지 디스플레이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20)을 제어하기 위해 호스트(27)로부터의 신호들에 따라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S210)를 발생시킨다.
디스플레이 패널(20) 앞에 배치되는 터치 센서(23)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2) 상의 터치들을 감지하고 복수의 감지 신호들(S23)을 발생시키는데 사용된다. 터치 제어기(24)는 작동 상태에서 터치 기능에 상응하는 터치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터치 제어기(24)는 감지 신호들(S23)을 수신하기 위해 터치 센서(23)와 결합되고 그 다음에 감지 신호들(S23)에 기초하여 터치 센서(23)의 터치 상태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터치 제어기(24)는 터치 센서(23)가 터치되었는지 아닌지 여부에 대한 결정, 또는/및 터치 센서(23)가 물체에 의해 터치될 때 터치 센서(23) 상에서의 물체의 위치 또는 좌표를 획득한다. 또한, 터치 제어기(24)는 프로세서(21)로 터치 결과 신호들(S24)을 발생시키기 위해 터치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프로세서(21)는 호스트(27)로부터의 신호들에 기초하여서 뿐만 아니라 터치 제어기(24)로부터의 터치 결과 신호들(S24)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들(S210)을 발생시키는데, 그렇게 함으로써 이미지 디스플레이 동작을 수행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20)을 제어한다. 하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20)이 디스플레이 상태이며, 터치 제어기(24)가 작동 상태이고, 터치 센서(23)가 물체에 의해 터치된 상황 하에서, 터치 제어기(24)는 감지 신호들(S23)에 따라 물체에 의해 터치 센서(23)가 터치되었다는 정보를 제공받고 그 결과로서 상응하는 터치 결과 신호들(S24)을 발생시킨다. 프로세서(21)는 입출력 포트(26)를 통해 호스트(27)와 결합되고 호스트(27)에 터치 결과 신호들(S24)로 응답하여, 호스트(27)의 상응하는 프로그램들 또는 동작들에 대한 수행을 가져온다. 프로그램들 또는 동작들의 수행에 기초하여, 호스트(27)는 프로세서(21)로 피드백 신호들을 보낸다. 프로세서(21)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동작의 수행 중에 디스플레이 패널(20)을 제어하기 위해 터치 결과 신호들(S24) 및 호스트(27)로부터의 피드백 신호들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들(S210) 발생시키는데, 그렇게 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20)에 의해 보여지는 이미지들을 변경하고 결정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는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들(S210)을 통해 새로운 이미지들을 스위칭하여 보여주기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20)을 제어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공급기(25)는 입출력 포트(26)를 통해 호스트(27)로부터 동작 전압(Vop)을 수신한다. 동작 전압(Vop)은 터치 제어기(24)에 의해 적용되는 전압으로 역할할 수 있다. 개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동작 전압(Vop)은 높은 전압 레벨을 갖는 +5V이다. 전압 공급기(25)는 제어 단자(control terminal, CON), 입력 단자(input terminal, IN), 및 출력 단자(output terminal, OUT)를 더 포함하는 스위치 유닛(250)을 포함한다. 스위치 유닛(250)의 입력 단자(IN)는 동작 전압(Vop)을 수신하고 출력 단자(OUT)는 터치 제어기(24)에 커플링된다.
또한, 전원 스위치(22)는 턴 온 상태와 턴 오프 상태 사이에서 스위칭되는데, 이는 디스플레이 상태 또는 비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패널(20)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프로세서(21)는 전원 스위치(22)의 상태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20)에 상태 스위칭된 신호(state-switched signal, S211)를 그리고 스위치 유닛(250)의 제어 단자(CON)에 스위치 신호(S212)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1)가 전원 스위치(22)의 턴 온 상태를 검출할 때, 프로세서(21)가 상태 스위칭된 신호(S211)를 통해 디스플레이 상태로 디스플레이 패널(20)을 제어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0)이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들(S210)에 따라 이미지들을 보여주게 한다. 프로세서(21)는 또한 스위치 신호(S212)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스위치 신호(S212)는 높은 전압 레벨을 갖는다. 이러한 모드에서, 스위치 유닛(250)은 스위치 신호들(S212)에 따라 입력 단자(IN)로부터 출력 단자(OUT)로 동작 전압(Vop)을 전송하는데, 그렇게 함으로써 터치 제어기(24)에 동작 전압(Vop)을 제공하고 동작 전압(Vop)에 기초하여 터치 제어기(24)가 작동 상태에 있게 한다. 보통 디스플레이 패널(20)이 디스플레이 상태로 있고 터치 제어기(24)가 작동 상태로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20)은 보통 이미지 디스플레이 동작을 수행하고 터치 제어기(24)는 터치 제어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터치 센서(23)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가 전원 스위치(22)가 턴 오프 상태라고 검출할 때, 프로세서(21)는 상태 스위칭된 신호들(S211)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20)이 비 디스플레이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이 이미지들을 보여주지 않게 한다. 그때, 프로세서(21)는 스위치 신호들(S212)를 불가능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스위치 신호(S212)는 낮은 전압 레벨을 갖는다. 이러한 모드에서, 스위치 유닛(250)은 스위치 신호들(S212)에 기초하여 입력 단자(IN)로부터 출력 단자(OUT)로 동작 전압(Vop)을 전송할 수 없다. 터치 제어기(24)에서의 구동 전압 부족으로 인해, 터치 제어기(24)는 비 작동 상태이고, 그 결과, 터치 제어기(24)는 터치 제어기(24)가 비 작동 상태이므로 터치 센서(23)와의 결합을 중지한다. 그러므로, 터치 제어기(24)는 터치 제어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프로세서(21)로 상응하는 터치 결과 신호들(S24)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물체가 터치 센서(23)를 터치할 때, 프로세서(21)는 발생된 터치 결과 신호가 없으므로 동작을 행하지 않을 것이고, 그러므로 호스트(27)의 시스템 장애를 초래하지 않는다.
도 3은 개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부호들로 표시될 수 있다. 도 2에서의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와 도 3에서의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차이는 도 3에서는 전원 공급기(25)가 입출력 포트(26)를 통해 호스트(27)로부터 동작 전압들(Vop)을 수신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도 3의 실시예에서, 입출력 포트(26)는 오직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2)와 호스트(27) 사이의 신호 전송을 위해서만 사용된다. 도 3의 실시예에서, 전원 공급기(25)는 외부 전원 전압(V30)을 수신하고 전압(V30)을 동작 전압(Vop)으로 변환하는 변환 유닛(3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외부 전원 전압(V30)은 +110V 또는 +220V 교류 전압(alternative current voltage)일 수 있다. 변환 유닛(30)은 스위치 유닛(250)의 입력 단자(IN)에 변환을 통해 획득되는 동작 전압(Vop)을 전송한다.
도 4는 개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닛(250)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유닛(250)은 전압 분배 및 전류 제한 유닛(40), 버퍼 유닛(41), 트랜지스터(42), 필터 커패시터들(43-44), 및 필터 인덕터(45)를 포함한다. 전압 분배 및 전류 제한 유닛(40)은 저항들(400 및 401)을 포함하며, 여기서 저항(400)은 스위치 유닛(250)의 제어 단자(CON)와 노드(N40) 사이에 커플링된다. 저항(401)은 노드 포인트(N40)와 낮은 전압 레벨을 갖는 기준 접지(GND) 사이에 커플링된다.
버퍼 유닛(41)은 트랜지스터(410) 및 저항(411)을 포함하고, 버퍼 유닛(41)은 버퍼 출력 신호(S41)를 발생시킨다. 개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트랜지스터(410)는 NPN 바이폴라 트랜지스터(NPN bipolar transistor)이다. 트랜지스터(410)의 베이스(제어 단자)는 노드 N40에 커플링되며, 컬렉터(collector)(입력 단자)는 노드 N41에 커플링되고, 에미터(emitter)(출력 단자)는 기준 접지(GND)에 커플링된다. 저항(411)은 노드 포인트 N41과 스위치 유닛(250)의 입력 단자(IN) 사이에 커플링된다. 버퍼 출력 신호(S41)가 노드 N41 상에서 발생된다.
개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트랜지스터(42)는 P-MOSFET 트랜지스터이다. 트랜지스터(42)의 게이트(gate)(제어 단자)는 노드 N41에 커플링되며, 드레인 단자(drain terminal)(입력 단자)는 스위치 유닛(250)의 입력 단자(IN)에 커플링되고, 소스(source)는 필터 인덕터(45)를 통해 스위치 유닛(250)의 출력 단자(OUT)에 커플링된다. 필터 커패시터 43은 스위치 유닛(250)의 입력 단자(IN)와 기준 접지(GND) 사이에 커플링된다. 필터 커패시터 44는 트랜지스터(42)의 소스와 기준 접지(GND) 사이에 커플링된다.
개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가 전원 스위치가 턴 온 상태라고 검출할 때, 프로세서(21)는 스위치 신호들(S212)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러한 상태에서, 스위치 신호들(S212)은 높은 전압 레벨을 가지고, 그러므로 트랜지스터(410)는 높은 전압 레벨의 스위치 신호들(S212)에 따라 전도성을 띤다. 또한, 이러한 상태에서, 노드(N41) 상에서의 버퍼 출력 신호들(S41)은 낮은 전압 레벨을 갖는다. 트랜지스터(42)는 낮은 전압 레벨의 버퍼 출력 신호들(S41)에 따라 전도성을 띤다. 스위치 유닛(250)의 입력 단자(IN)로부터의 동작 전압(Vop)은 트랜지스터(42) 및 필터 인덕터(45)의 전도를 통해 스위치 유닛(250)의 출력 단자(OUT)로 전송된다. 그러므로, 터치 제어기(24)는 동작 전압(Vop)을 수신하고 작동 상태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가 전원 스위치가 턴 오프 상태라고 검출할 때, 프로세서(21)는 스위치 신호들(S212)을 불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경우에, 스위치 신호들(S212)은 낮은 전압 레벨을 갖는다. 그러므로, 트랜지스터(410)는 낮은 전압 레벨의 스위치 신호들(S212)에 따라 닫힌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 노드 포인트(N41) 상에서의 버퍼 출력 신호들(S41)은 스위치 유닛(250)의 입력 단자(IN)로부터의 동작 전압(Vop)에 준하는 높은 전압 레벨을 갖는다. 트랜지스터(42)는 높은 전압 레벨의 버퍼 출력 신호(S41)에 따라 닫힌다. 스위치 유닛(250)의 입력 단자(IN)로부터의 동작 전압들(Vop)은 출력 단자(OUT)로 전송되지 않는다. 동작 전압(Vop)이 없기 때문에, 터치 제어기(24)는 비 작동 상태이다.
특정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개시된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며 다양한 변경들이 대체들이 그것에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개시된 본 발명은 예시로써 기술되었으며 제한하는 것이 아님이 이해될 것이다.

Claims (12)

  1.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이미지 디스플레이 동작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작동 상태에서 터치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터치 제어기(touch controller); 및
    상기 터치 제어기에 커플링되고(couple) 상기 터치 제어기에 동작 전압을 제공하기 위해 구성되는 전원 공급기(power supplier);
    를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비-디스플레이 상태(non-display state)일 때, 상기 전압 공급기가 상기 터치 제어기에 상기 동작 전압을 제공하지 않을 수 있게 되고 상기 터치 제어기는 비-작동 상태(non-working sta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touch display device).
  2. 청구항 1에 있어서,
    턴 온 상태(turn-on state)와 턴 오프 상태(turn-off state) 사이에서 스위칭하기 위한 전원 스위치(power switch); 및
    상기 전원 스위치의 상태를 검출하고 상기 전원 스위치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전원 공급기를 제어하는 프로세서(processor);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전원 스위치가 턴 온 상태라고 검출할 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비 디스플레이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터치 제어기가 비 작동 상태이도록, 상기 전원 공급기가 상기 터치 제어기에 상기 동작 전압을 공급하지 않게 제어하고;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전원 스위치가 턴 온 상태라고 검출할 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디스플레이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터치 제어기가 작동 상태이도록, 상기 전원 공급기가 상기 터치 제어기에 상기 동작 전압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기는,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스위치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 단자(control terminal)를 갖는 스위치 유닛(switch unit);
    상기 동작 전압을 수신하는 입력 단자; 및
    상기 터치 제어기에 커플링되는 출력 단자;
    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전원 스위치가 턴 오프 상태라고 검출할 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 제어기가 비 작동 상태이도록 상기 스위치 유닛이 상기 스위치 유닛의 상기 출력 단자로 상기 동작 전압을 전송하지 않게 상기 스위치 신호를 제어할 수 없고;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전원 스위치가 턴 온 상태라고 검출할 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 제어기가 상기 동작 전압을 수신하고 작동 상태이도록 상기 스위치 유닛이 상기 스위치 유닛의 상기 출력 단자로 상기 동작 전압을 전송하게 상기 스위치 신호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유닛은,
    상기 스위치 유닛의 상기 제어 단자에 커플링되는 전압 분배 및 전류 제한 회로;
    상기 전압 분배 및 전류 제한 회로를 통해 상기 스위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스위치 신호에 기초하여 버퍼 출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버퍼 회로(buffer circuit); 및
    상기 버퍼 출력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 단자, 상기 스위치 유닛의 상기 입력 단자에 커플링되는 입력 단자, 및 상기 스위치 유닛의 상기 출력 단자에 커플링되는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제1 트랜지스터;
    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스위치 신호를 역으로 가능하게 할 때, 상기 버퍼 회로는 상기 제1 트랜지스터를 닫기 위해 상기 버퍼 출력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스위치 신호를 가능하게 할 때, 상기 버퍼 회로는 상기 제1 트랜지스터를 턴 온 하기 위해 상기 버퍼 출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전압 분배 및 전류 제한 회로는,
    상기 스위치 유닛의 상기 제어 단자와 제1 노드 사이에 커플링되는 제1 저항(resistor); 및
    상기 제1 노드와 기준 접지(reference grounding) 사이에 커플링되는 제2 저항;
    을 포함하고,
    상기 버퍼 회로는,
    상기 제1 노드에 커플링되는 제어 단자, 제2 노드에 커플링되는 입력 단자 및 상기 기준 접지에 커플링되는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제2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 노드와 상기 스위치 유닛의 상기 입력 단자 사이에 커플링되는 제3 저항;
    을 포함하되,
    상기 버퍼 출력 신호는 상기 제2 노드 상에서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유닛은,
    상기 스위치 유닛의 상기 입력 단자와 상기 기준 접지 사이에 커플링되는 제1 커패시터(capacitor);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상기 출력 단자와 상기 기준 접지 사이에 커플링 되는 제2 커패시터; 및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상기 출력 단자와 상기 스위치 유닛의 상기 출력 단자 사이에 커플링되는 인덕터(inductor);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입출력 포트(I/O port);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전원 공급기는 상기 입출력 포트를 통해 상기 동작 전압을 수신하고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는 호스트로부터 상기 동작 전압을 수신하고 상기 호스트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입출력 포트를 통해 호스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기는,
    외부 전원 전압을 수신하고 상기 외부 전원 전압을 상기 동작 전압으로 변환하는 변환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입출력 포트;
    를 더 포함하되,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는 호스트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상기 입출력 포트를 통해 호스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11.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상의 터치를 센싱하고 복수의 센서 신호들을 발생시키는 터치 센서(touch sensor);
    를 더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전원 스위치가 턴 온 상태라고 검출할 때, 상기 터치 제어기는 작동 상태이며 상기 센서 신호들에 기초하여 터치 결과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터치 제어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전원 스위치가 턴 오프 상태라고 검출할 때, 상기 터치 제어기는 비 작동 상태이고 상기 터치 제어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전원 스위치가 턴 온 상태라고 검출할 때, 상기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며 상기 터치 결과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 디스플레이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고;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전원 스위치가 턴 오프 상태라고 검출할 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비 디스플레이 상태로 제어하고 그러면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는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20033082A 2011-11-04 2012-03-30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KR1014069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110361856.8 2011-11-04
CN201110361856.8A CN103092388B (zh) 2011-11-04 2011-11-04 触控显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9700A KR20130049700A (ko) 2013-05-14
KR101406927B1 true KR101406927B1 (ko) 2014-06-12

Family

ID=45855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3082A KR101406927B1 (ko) 2011-11-04 2012-03-30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92221B2 (ko)
EP (1) EP2590053A3 (ko)
JP (1) JP5669803B2 (ko)
KR (1) KR101406927B1 (ko)
CN (1) CN103092388B (ko)
TW (2) TWM439213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33707B2 (en) 2012-03-22 2017-08-15 Honeywell International Inc. Touch screen display user interface and method for improving touch interface utility on the same employing a rules-based masking system
US8581876B1 (en) * 2012-06-28 2013-11-12 Dutch Eugene Wickes Stand alone active storage unit for memory devices
CN103970351A (zh) * 2014-04-24 2014-08-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彩膜基板、显示面板和触摸显示装置
KR102251542B1 (ko) * 2014-11-25 2021-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TWI570621B (zh) * 2015-05-19 2017-02-11 宏達國際電子股份有限公司 電子系統、穿戴式電子裝置及其電源控制方法
US9652015B2 (en) * 2015-06-15 2017-05-16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Low-power touch button sensing system
TWI598783B (zh) 2015-09-30 2017-09-11 鴻海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及其觸控顯示面板
KR102404391B1 (ko) * 2015-12-31 2022-06-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센서 내장형 표시장치
WO2020091795A1 (en) 2018-11-01 2020-05-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ultifunction display por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5699A (ko) * 2010-02-19 2011-08-25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단말기의 동작제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4813A (en) 1990-06-08 1993-04-20 Assessment Systems, Inc. Computer-controlled testing process and device for administering an examination
JPH06119090A (ja) * 1992-10-07 1994-04-28 Hitachi Ltd 省電力制御方式
EP0626633B1 (en) * 1993-05-28 2001-03-14 Sun Microsystems, Inc. Touch screen power control in a computer system
JPH0756685A (ja) * 1993-08-13 1995-03-03 Ricoh Co Ltd タッチパネルを備えた電子機器
FI100280B (fi) * 1994-10-07 1997-10-31 Nokia Mobile Phones Ltd Menetelmä tehonkulutuksen minimoimiseksi tietokonelaitteessa
SE0001771D0 (sv) * 2000-05-15 2000-05-15 Ericsson Telefon Ab L M A portable phone
JP2002123366A (ja) * 2000-10-17 2002-04-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タッチスクリーン入力制御システム
JP4358427B2 (ja) * 2000-10-31 2009-11-04 日本水産株式会社 魚用漬け込み調味料
JP3994071B2 (ja) * 2003-06-12 2007-10-17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コンピュータ装置、システムの稼働状態の切り換え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7353413B2 (en) * 2003-08-18 2008-04-01 Intel Corporation Computer system power policy adjustment in response to an affirmative indication from a user
US20050289363A1 (en) * 2004-06-28 2005-12-29 Tsirkel Aaron M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realtime power management
JP2007243410A (ja) * 2006-03-07 2007-09-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高周波用スイッチ回路及びこれを用いた半導体装置
JP4829070B2 (ja) * 2006-10-23 2011-11-30 光洋電子工業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へのタッチ操作無効化方法およびタッチパネル式電子機器
CN101339450B (zh) * 2007-07-04 2011-08-17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触控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TWM328010U (en) * 2007-07-19 2008-03-01 Abocom Sys Inc Display device of combining power line communication transmission
TW200949638A (en) * 2008-05-22 2009-12-01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Touch detecting device capable of saving electricity
WO2010053034A1 (ja) * 2008-11-05 2010-05-14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携帯電子機器の節電方法及び、節電プログラム
JP5206551B2 (ja) * 2009-03-31 2013-06-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情報端末装置
JP2011018287A (ja) * 2009-07-10 2011-01-27 Hitachi Ltd プラント監視制御装置およびシステム
JP2011095913A (ja) * 2009-10-28 2011-05-12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省電力方法
KR20110092802A (ko) * 2010-02-10 2011-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개의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의 데이터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101642725B1 (ko) * 2010-04-14 2016-08-11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잠금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CN202394198U (zh) * 2011-11-04 2012-08-22 宝宸(厦门)光学科技有限公司 触控显示装置
CN103312166A (zh) * 2012-03-13 2013-09-1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源管理电路及电子设备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5699A (ko) * 2010-02-19 2011-08-25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단말기의 동작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90053A3 (en) 2015-10-14
JP5669803B2 (ja) 2015-02-18
JP2013097791A (ja) 2013-05-20
CN103092388A (zh) 2013-05-08
CN103092388B (zh) 2014-08-20
US20130113727A1 (en) 2013-05-09
TWM439213U (en) 2012-10-11
TW201319794A (zh) 2013-05-16
US9092221B2 (en) 2015-07-28
EP2590053A2 (en) 2013-05-08
TWI595352B (zh) 2017-08-11
KR20130049700A (ko) 2013-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6927B1 (ko)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US8913017B2 (en) Touch sensing system, electronic touch apparatus, and touch sensing method
US20140225558A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harging path of mobile terminal
US8006107B2 (en) Method for remote power control and the circuit thereof
US20090251433A1 (en) Touch sensing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ouch sensing apparatus thereof
US20120217823A1 (en) Display device and power-supply necessity determination method of branch device connected to display device
TWI521336B (zh) 顯示裝置
US20170288558A1 (en) Voltage discharge circuit
CN109271054B (zh) 触控显示驱动电路
US8345035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display apparatus
CN202394198U (zh) 触控显示装置
US7831848B2 (en) Power management system for use in laptop computer and management method thereof
CN106888396B (zh) 一种分离电视控制电路、方法及分离电视
KR100711006B1 (ko) Usb 장치에서의 vbus 전력 제어 장치
JP2007233719A (ja) Usbシステム、usbホスト、usbデバイス
JPH07505004A (ja) モニタの電源節約装置及び方法
CN220492848U (zh) 一种电源输出转换装置
CN113630022B (zh) Atx电源控制电路及atx电源装置
KR101564339B1 (ko) Rs232 포트를 이용한 입출력 보드회로
TW201321989A (zh) 輸出入裝置以及使用其之顯示設備
US20090089461A1 (en) Image input/output switching method for a notebook computer and related notebook computer
KR200351353Y1 (ko) 멀티탭 장치
CN111930260A (zh) 压力触发装置和无线翻页笔
TW202014840A (zh) 電腦系統
KR20050077054A (ko) 모니터용 마이컴의 리셋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