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6381B1 - 연마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연마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6381B1
KR101406381B1 KR1020120151547A KR20120151547A KR101406381B1 KR 101406381 B1 KR101406381 B1 KR 101406381B1 KR 1020120151547 A KR1020120151547 A KR 1020120151547A KR 20120151547 A KR20120151547 A KR 20120151547A KR 101406381 B1 KR101406381 B1 KR 101406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ishing
fixing means
workpiece
insertion port
mag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1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강희
이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20151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63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6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6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1/00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 B24B21/18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7/00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 B24B27/0069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with means for feeding the work-pieces to the grinding tool, e.g. turntables, transfe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6Work supports, e.g. adjustable stea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 Constituent Portions Of Griding Lathes, Driving, Sensing And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마기의 주변부에 배치되는 고정프레임 및 상기 고정프레임에 배치되며, 연마기에 소재 표면을 수평하게 공급토록 제공되는 소재공급부를 포함하는 연마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연마기에 자성소재 또는 비자성소재를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공급함으로써, 소재 표면이 균일하게 연마되도록 하여 소재 성분을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마 보조장치{Apparatus for supporting polishment }
본 발명은 연마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연마기에 소재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연마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두께가 비교적 얇은 박판 자성소재 또는 비자성소재는 그 성분 분석을 위해 소재의 표면을 연마토록 한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마기(2)에 장착된 고속으로 회전하는 그라인더 벨트(grinder belt;3)에 성분 분석을 하고자 하는 소재(5)의 표면을 밀착시켜 연마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그런데, 박판 소재(5)는 그 두께가 통상 1~5mm 로 매우 얇은 관계로 작업자가 직접 손(4)을 이용하여 연마작업을 실시하는 경우에 박판 소재(5)를 정확히 그라인더 벨트(3)에 수평하게 밀착시키는 것은 상당한 어려움이 따른다.
이 과정에서 작업자는 날카로운 그라인더 벨트(3)에 의해 손 부상 등의 안전사고의 위험에 노출되며(B), 박판 소재(5)는 표면이 전반적으로 균일하며 평탄하게 연마되지 않으므로(A) 정밀한 성분 분석 데이터를 얻지 못할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신강종 및 소재 개발에 따른 Mg, TWIP(Twinning Induced Plasticity) 등의 비철금속 또는 비자성소재의 성분 분석을 위한 박판소재의 표면 연마작업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므로, 보다 정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자성소재뿐만 아니라 비자성소재도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균일, 평탄하게 연마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연마기에 자성소재 또는 비자성소재를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공급함으로써, 소재 표면이 균일하게 연마되도록 하여 소재 성분을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연마 보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연마기의 주변부에 배치되는 고정프레임과 및 상기 고정프레임에 배치되며, 연마기에 소재 표면을 수평하게 공급토록 제공되는 소재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소재공급부는, 소재 표면이 균일하게 연마되도록, 소재를 연마기에 수평하게 고정시키는 소재 고정수단 및 상기 고정프레임과 상기 소재 고정수단간에 연결되며, 상기 소재 고정수단을 연마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소재 고정수단은, 적어도 일면에 장착홈에 형성된 장치몸체 및 자력을 발생시켜 상기 장치몸체에 자성소재가 부착되도록, 상기 장착홈에 삽입되는 자력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소재 고정수단은, 상기 장치몸체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고 소재가 삽입되는 삽입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삽입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장착홈과 연결되되, 상기 삽입구에 비자성소재가 삽입된 때에는, 상기 자력블록을 비자성소재 방향으로 밀어 상기 삽입구의 일면과 상기 자력블록간의 가압력으로 비자성소재가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소재 고정수단은, 상기 장치몸체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고 소재가 삽입되는 삽입구 및 상기 장치몸체에서 상기 삽입구와 연결되며 설치되고, 상기 삽입구에 삽입된 소재를 가압시켜 고정토록 제공되는 가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삽입구의 일면에 배치되고, 소재를 상기 삽입구의 타면으로 가압하여 밀착 고정되도록 제공되는 가압판 및 상기 가압판과 연결되며 상기 장치몸체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가압판을 소재 방향으로 이동토록 제공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소재 고정수단은, 상기 삽입구의 내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배치되고, 소재가 마찰력에 의해 고정되도록 제공되는 마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고정프레임에 형성된 이동홈에 승강 또는 회전되도록 장착되는 이동블록 및 상기 이동블록의 움직임을 상기 장치몸체에 전달토록, 상기 이동블록과 상기 장치몸체를 연결하며 배치되는 연결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인 연마 보조장치의 일 실시예는 자성소재의 경우에는 자력블록의 자력을 이용하여 고정하고 연마기에 공급함으로써, 자성소재의 표면이 균일하게 연마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비자성소재의 경우에는 삽입구에 삽입한 후 자력블록의 가압력으로 고정하여 연마기에 공급함으로써, 자성소재의 표면이 균일하게 연마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가압부재 및 마찰부재를 이용하여 자성소재 또는 비자성소재의 일측을 가압하거나 또는 마찰력을 통해 고정함으로써,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로써 소재의 성분을 정밀하게 분석하여 데이터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작업자 부상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작업자가 손을 이용하여 소재를 잡고 연마기에 소재를 안착시켜 연마 작업을 수행하는 상태가 도시된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연마 보조장치에 의한 일 실시예가 도시된 개략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인 소재 고정수단에 의한 일 실시예가 도시된 정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발명에서 자성소재를 부착하는 상태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3c는 도 3a에 도시된 발명에서 비자성소재를 부착하는 상태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인 소재 고정수단에 의한 다른 실시예가 자성소재를 부착하는 상태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발명에서 절곡된 길이가 긴 비자성소재를 부착하는 상태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4c는 도 4a에 도시된 발명에서 절곡된 길이가 짧은 비자성소재를 부착하는 상태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인 이동수단의 작동상태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연마 보조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연마기에 자성소재 또는 비자성소재를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공급함으로써, 소재 표면이 균일하게 연마되도록 하여 소재 성분을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는 것을 기초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인 연마 보조장치에 의한 일 실시예가 도시된 개략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인 소재 고정수단에 의한 일 실시예가 도시된 정단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발명에서 자성소재를 부착하는 상태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며, 도 3c는 도 3a에 도시된 발명에서 비자성소재를 부착하는 상태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a는 본 발명인 소재 고정수단에 의한 다른 실시예가 자성소재를 부착하는 상태가 도시된 측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발명에서 절곡된 길이가 긴 비자성소재를 부착하는 상태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며, 도 4c는 도 4a에 도시된 발명에서 절곡된 길이가 짧은 비자성소재를 부착하는 상태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c를 참고하면, 본 발명인 연마 보조장치의 일 실시예는 연마기(90)의 주변부에 배치되는 고정프레임(20) 및 상기 고정프레임(20)에 배치되며, 연마기(90)에 소재 표면을 수평하게 공급토록 제공되는 소재공급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상기 연마기(90)는 장치바디(91) 및 그라인더 벨트(grinder belt;9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그라인더 벨트(93)는 구동모터 등에 의해 고속회전하며 접촉되는 소재의 표면을 연마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그라인더 벨트(9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종류의 소재를 동시 작업할 수 있도록 상기 장치몸체(41) 양측에 한 쌍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프레임(20)은 상기 연마기(90)의 주변부에 배치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한 쌍의 그라인더 벨트(93)의 중앙부에 볼트체결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20)의 하부는 상기 연마기(90)의 중앙부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판 형태(21)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프레임(20)의 상부는 상기 소재공급부(30)와 연결될 수 있도록 상방향으로 돌출된 신장부(25)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소재공급부(30)는 상기 고정프레임(20)의 신장부(25)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연마기(90)의 그라인더 벨트(93)에 소재 표면을 공급토록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소재공급부(30)는 소재 고정수단(40) 및 이동수단(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상기 소재 고정수단(40)은 소재 표면이 균일하게 상기 그라인더 벨트(93)에 의해 연마될 수 있도록, 소재를 상기 그라인더 벨트(93)에 수평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기 소재 고정수단(40)은 장치몸체(41), 자력블록(43) 및 삽입구(41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장치몸체(41)는 직육면체의 블록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자력블록(43)이 장착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면에는 상기 자력블록(43)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 장착홈(41a)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장착홈(41a)은 상기 장치몸체(41)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자력블록(43)이 수평하게 삽입되며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력블록(43)은 상기 장치몸체(41)의 장착홈(41a)에 삽입되고, 자력을 발생시켜 상기 장치몸체(41)의 하면에 자성소재(S1)가 부착되도록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자력블록(43)은 전자석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류제어를 통해 자성소재(S1)의 부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영구자석 등 기타 자성물질로도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삽입구(41b)는 상기 장치몸체(41)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며, 상기 삽입구(41b)의 적어도 일면은 상기 장착홈(41a)과 연결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장치몸체(41)상에 상기 자력블록(43)과 상기 삽입구(41b)를 이용하여 소재를 고정시키는데, 우선 자성소재(S1)의 경우에는 별도의 가공없이 도 3a 및 도 3b에서와 같이 상기 자력블록(43)를 이용하여 상기 장치몸체(41)의 하단에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비자성소재(S2)의 경우에는 수직하게 절곡시키고, 절곡된 부분을 상기 삽입구(41b)에 삽입하고 상기 자력블록(43)을 상기 삽입구(41b)의 일면 방향으로 밀어 가압력에 의해 비자성소재(S2)가 빠지지 않도록 고정시키게 된다.
물론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소재 고정수단(40)은 가압부재(45) 및 마찰부재(47)를 더 포함하여 소재를 고정토록 제공될 수 있다.
우선 상기 가압부재(45)는 상기 장치몸체(41)에서 상기 삽입구(41b)의 일면에 연결되며 설치되고, 상기 삽입구(41b)에 삽입된 비자성소재(S2)를 상기 삽입구(41b)의 타면으로 밀어 가압력으로 고정토록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재(45)는 가압판(45a) 및 손잡이부(45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판(45a)은 상기 삽입구(41b)의 내측 일면에 배치되고, 상기 장치몸체(41)를 관통하는 연결바(45c)에 의해 상기 장치몸체(41)의 외측에 배치되는 상기 손잡이부(45b)와 연결될 수 있다.
작업자가 상기 손잡이부(45b)를 잡고 일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상기 장치몸체(41)에 나사체결된 상기 연결바(45c)가 이동하게 되며, 상기 삽입구(41b)에 삽입된 소재 방향으로 상기 가압판(45a)을 이동시켜 가압하게 된다.
이때 상기 마찰부재(47)는 상기 삽입구(41b)의 내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배치되고, 소재가 마찰력에 의해 하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자성소재(S1)의 경우에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력블록(43)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다. 만약 비자성소재(S2)인 경우에 절곡된 부분의 길이가 긴 때에는 도 4b에서와 같이 상기 가압판(45a)으로 절곡된 부분의 상단부를 가압하고 상기 마찰부재(47)에 접촉되도록 하여 고정할 수 있으며, 비자성소재(S2)의 절곡된 부분 길이가 짧은 때에는 도 4c에서와 같이 상기 자력블록(43)으로 절곡된 부분을 상기 삽입구(41b)의 일면으로 밀어 가압하고 상기 마찰부재(47)에 접촉되도록 하여 고정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이동수단(50)은 상기 고정프레임(20)과 상기 소재 고정수단(40)간에 연결되어 배치되며, 상기 소재 고정수단(40)을 상기 연마기(90)의 그라인더 벨트(93)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수단(50)은 이동홈(51), 이동블록(53) 및 연결빔(5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홈(5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프레임(20)의 신장부(25)상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블록(53)의 일측에는 연결축(54a)이 용접접합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축(54a)은 상기 이동홈(51)의 내측으로 신장되어 너트부재(54b)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블록(53)은 상기 이동홈(51)에서 이탈되지 않고 상하이동 또는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블록(53)의 중앙부는 관통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빔(55)의 일측이 상기 이동블록(53)의 중앙부에 결합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블록(53)이 움직임이 상기 연결빔(55)의 타측에 반영되게 된다. 상기 연결빔(55)의 타측은 상기 장치몸체(41)의 상부의 연결블록(57)에 볼트체결된다.
도 5a 및 도 5b를 참고하면, 작업자는 상기 소재 고정수단(40)에 장착된 소재를 상기 그라인더 벨트(93)로 공급할 때 우선 거치대(70)로부터 상기 연결빔(55)의 단부를 들어 올려 빼내고, 상기 이동블록(53)을 회전시켜 상기 소재 고정수단(40)을 상기 그라인더 벨트(93)의 상부로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장치몸체(41)의 하면에 부착된 소재는 상기 그라인더 벨트(93)에 수평하게 안착되게 되고, 상기 그라인더 벨트(93)에 의해 표면이 균일하게 연마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동상태를 가지며, 연마기에 자성소재 또는 비자성소재를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공급함으로써, 소재 표면이 균일하게 연마되도록 하여 소재 성분을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사항은 연마 보조장치의 특정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한 형태로 치환, 변형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혀 두고자 한다.
20...고정프레임 30...소재공급부
40...소재 고정수단 41...장치몸체
41a...장착홈 41b...삽입구
43...자력블록 45...가압부재
45a...가압판 45b...손잡이부
47...마찰부재 50...이동수단
51...이동홈 53...이동블록
55...연결빔 57...연결블록
70...거치대

Claims (8)

  1. 연마기의 주변부에 배치되는 고정프레임; 및
    연마기의 연마면에 소재 표면을 평행하게 공급토록 소재를 연마기에 수평하게 고정시키는 소재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프레임에 배치되는 소재공급부;
    를 포함하며,
    상기 소재 고정수단은,
    적어도 일면에 장착홈에 형성된 장치몸체; 및
    자력을 발생시켜 상기 장치몸체에 자성소재가 부착되도록, 상기 장착홈에 삽입되는 자력블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 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공급부는,
    상기 고정프레임과 상기 소재 고정수단간에 연결되며, 상기 소재 고정수단을 연마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 보조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 고정수단은, 상기 장치몸체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고 소재가 삽입되는 삽입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삽입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장착홈과 연결되되,
    상기 삽입구에 비자성소재가 삽입된 때에는, 상기 자력블록을 비자성소재 방향으로 밀어 상기 삽입구의 일면과 상기 자력블록간의 가압력으로 비자성소재가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 보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 고정수단은,
    상기 장치몸체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고 소재가 삽입되는 삽입구; 및
    상기 장치몸체에서 상기 삽입구와 연결되며 설치되고, 상기 삽입구에 삽입된 소재를 가압시켜 고정토록 제공되는 가압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 보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삽입구의 일면에 배치되고, 소재를 상기 삽입구의 타면으로 가압하여 밀착 고정되도록 제공되는 가압판; 및
    상기 가압판과 연결되며 상기 장치몸체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가압판을 소재 방향으로 이동토록 제공되는 손잡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 보조장치.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 고정수단은, 상기 삽입구의 내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배치되고, 소재가 마찰력에 의해 고정되도록 제공되는 마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 보조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고정프레임에 형성된 이동홈에 승강 또는 회전되도록 장착되는 이동블록; 및
    상기 이동블록의 움직임을 상기 장치몸체에 전달토록, 상기 이동블록과 상기 장치몸체를 연결하며 배치되는 연결빔;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 보조장치.
KR1020120151547A 2012-12-21 2012-12-21 연마 보조장치 KR101406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1547A KR101406381B1 (ko) 2012-12-21 2012-12-21 연마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1547A KR101406381B1 (ko) 2012-12-21 2012-12-21 연마 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6381B1 true KR101406381B1 (ko) 2014-06-13

Family

ID=51132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1547A KR101406381B1 (ko) 2012-12-21 2012-12-21 연마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63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63380A (zh) * 2021-05-27 2021-08-17 宿州市正辰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地面打磨机的辅助打磨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8357A (ja) * 1993-05-21 1994-11-29 Olympus Optical Co Ltd レンズ保持方法及び装置
JP2000094316A (ja) * 1998-09-18 2000-04-04 Sony Corp 平坦化研磨装置
KR200274202Y1 (ko) 2002-01-21 2002-05-06 이재근 부품 연마용 지그
KR20110046641A (ko) * 2009-10-29 2011-05-06 현대제철 주식회사 시편 연삭기용 시편 지그와 이를 사용한 시편 연삭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8357A (ja) * 1993-05-21 1994-11-29 Olympus Optical Co Ltd レンズ保持方法及び装置
JP2000094316A (ja) * 1998-09-18 2000-04-04 Sony Corp 平坦化研磨装置
KR200274202Y1 (ko) 2002-01-21 2002-05-06 이재근 부품 연마용 지그
KR20110046641A (ko) * 2009-10-29 2011-05-06 현대제철 주식회사 시편 연삭기용 시편 지그와 이를 사용한 시편 연삭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63380A (zh) * 2021-05-27 2021-08-17 宿州市正辰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地面打磨机的辅助打磨装置
CN113263380B (zh) * 2021-05-27 2022-05-24 宿州市正辰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地面打磨机的辅助打磨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7385B1 (ko) 금형 가공 장치
KR101406381B1 (ko) 연마 보조장치
KR101245174B1 (ko) 볼트압입용 프레스기
KR20120052007A (ko) 스크라이버 홀더
CN110842779A (zh) 磨削装置的原点位置设定机构和原点位置设定方法
KR100927208B1 (ko) 고체연마제 공급장치
CN211688818U (zh) 边料去除装置
KR101677393B1 (ko) 시편연마장치
CN209774274U (zh) 一种3d打印骨骼抛光机
KR102145570B1 (ko) 홀 가공장치
CN113977414A (zh) 一种具有断带报警的超精抛光机
CN112388509A (zh) 磨样夹持装置
CN214622492U (zh) 一种酸碱中和滴定装置
CN210060707U (zh) 一种平衡轴抛光装置
KR20100056827A (ko) 다이캐스팅 부품의 연마장치
CN205325433U (zh) 带自动装卸料装置的手机外壳抗磨检测装置
CN209970459U (zh) 夹持装置
CN112672971A (zh) 移动扶手损伤检测装置
CN210638975U (zh) 一种分层处理器
CN216029949U (zh) 一种锻件打磨设备
CN219310991U (zh) 一种五金产品加工用抛光设备
CN217384096U (zh) 一种用于铁路钢轨磨损的检测装置
KR20140026006A (ko) 백킹플레이트 표면 라운드 재성형 장치
KR101315997B1 (ko) 연마부재 고정용 지그
KR101535832B1 (ko) 건드릴 연삭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