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4148B1 - C3g 또는 이를 함유하는 오디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성 방광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C3g 또는 이를 함유하는 오디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성 방광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4148B1
KR101404148B1 KR1020120035089A KR20120035089A KR101404148B1 KR 101404148 B1 KR101404148 B1 KR 101404148B1 KR 1020120035089 A KR1020120035089 A KR 1020120035089A KR 20120035089 A KR20120035089 A KR 20120035089A KR 101404148 B1 KR101404148 B1 KR 101404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betic
bladder
extract
group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5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2592A (ko
Inventor
하유신
김인범
천명훈
김수진
장훈
김세웅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35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4148B1/ko
Publication of KR20130112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2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4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4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0Moraceae (Mulberry family), e.g. breadfruit or fig
    • A61K36/605Morus (mulberry)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204/00Glycosyltransferases (2.4)
    • C12Y204/01Hexosyltransferases (2.4.1)
    • C12Y204/01254Cyanidin-3-O-glucoside 2-O-glucuronosyltransferase (2.4.1.254)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3G (Cyanidin-3-O-β-d-glucopyranoside) 의 당뇨병성 방광병증 개선의 효능에 기초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C3G 를 포함하는 당뇨병성 방광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C3G 를 함유하는 오디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성 방광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C3G 또는 이를 함유하는 오디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성 방광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treating diabetic cystopathy comprising C3G or extract of mulberry containing C3G}
본 발명은 C3G (Cyanidin-3-O-β-d-glucopyranoside) 의 당뇨병성 방광병증 개선의 효능에 기초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C3G 를 포함하는 당뇨병성 방광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C3G 를 함유하는 오디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성 방광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당뇨병성 방광병증 (diabetic cystopathy)은 당뇨병의 대표적인 합병증 중의 하나로, 방광의 기능 부전으로 인해 배뇨 장애를 일으키며, 요로 감염증, 방광요관역류 및 수뇨관신증, 신우신염, 및 신결석증과 같은 이차적인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는 질환이다.
당뇨병성 방광병증은 인슐린의존성 당뇨병의 경우 성별과 나이에 관계없이 유병률이 43~87% 인 것으로 보고되고, 경구 혈당제를 복용하는 2형 당뇨병의 경우에도 유병률이 25% 로 보고될 정도로 비교적 흔한 질환이고, 특히 노인 환자에서는 노화 과정에 따른 비뇨생식기의 변화에 동반되어 증상이나 합병증이 악화될 수 있으나, 아직까지 당뇨병성 방광병증의 정확한 메커니즘은 밝혀지지 않고 있다. 다만, 그 원인이 복합적이고, 신경 조직에 대한 포도당 독성 및 면역학적 기전, 미세혈관 장애, 신경성장인자 결핍, 방광 평활근 세포 또는 요로상피의 기능장애 등이 연관이 있을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당뇨병성 방광병증의 진단은 의사와 환자의 증상에 대한 문진으로 시작하여 방광의 감각저하, 방광의 용적저하, 방광 수축근의 기능저하, 배뇨시 소변 속도 저하 등을 통해 확진하게 되나 조기 발견이 어려운 편이고, 어느 정도 진행된 경우에는 치료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현재 이의 치료는 완치가 아닌 조절 요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예를 들어 요로감염에는 항생제를 투여하고 지속적인 배뇨 장애시에는 방광 검사를 시행하여 적절한 약물 치료를 하며, 방광 하부에 폐색이 동반 시에는 수술에 의한 치료를 하고 있으나, 근본적인 치료는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당뇨병성 방광병증 환자에게 효과적인 약물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오디는 뽕나무과 (Moraceae)에 속하는 뽕나무 (Morus alba L) 및 동속 근연식물의 성숙한 열매로서 한방에서 상심, 상실, 오심, 흑심 등으로 지칭된다. 오디는 전통적으로 당뇨병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한약재로 사용되어 왔으며, 오디 나무의 뿌리 껍질은 항염증제, 이뇨제, 진해제 및 해열제 용도의 한약재로 사용되어 왔다.
뽕나무 오디에 함유된 천연 색소는 안토시아닌의 한 형태인 C3G (Cyanidin-3-O-β-d-glucopyranoside)로서, 안정적이고 분리방법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과실 전체에 색소를 함유하여 그 함량이 높고 분리수율 또한 높다. 오디의 C3G 의 함량은 포도의 23배, 유색미의 2.3배에 달한다. 오디에 다량 함유된 C3G 는 자유 라디칼 소기 작용을 하며 염증을 억제하는 활성을 보인다고 알려져 왔다.
C3G 와 관련하여, 국내등록특허 제0601320호는 흑미에서 추출한 C3G 의 고지혈증 치료 용도에 관하여 기술하고 있고, 국내등록특허 제0880876호는 검정콩에서 추출한 C3G 의 허혈-재관류 손상 치료 용도에 관하여 기술하고 있으며, 국내공개특허 제 2011-0014401호는 C3G 를 함유하는 복분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위염 및 위궤양 치료 용도에 관하여 기술하고 있다. 이와 같이, C3G 의 다양한 약리활성은 보고되어 있지만, 당뇨병성 방광병증의 개선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알려져 있지 않으며, 이에 대한 연구도 전무한 상태이다.
본 발명자들은 인체에 무해하며 당뇨병성 방광병증에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갖는 약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생약재를 탐색하던 중, 오디에 다량 함유된 C3G 가 당뇨병 랫트 모델에서 방광 조직 내 세포사멸을 최소화하고 Akt 및 Bad 인산화를 증가시킴으로써 최대 방광 내압을 개선시키고, 동시에 산화적 손상의 감소를 최소화함으로써, 방광 기능을 향상시키는데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C3G (Cyanidin-3-O-β-d-glucopyranoside) 를 포함하는 당뇨병성 방광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C3G 를 포함하는 당뇨병성 방광병증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C3G 를 함유하는 오디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성 방광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C3G 를 함유하는 오디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성 방광병증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C3G (Cyanidin-3-O-β-d-glucopyranoside) 를 포함하는 당뇨병성 방광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C3G 는 안토시아닌계 색소 성분으로, 시아니딘(cyanidin)이 포도당(glucose)과 결합된 형태이다. 본 발명에 따른 C3G 는 천연으로부터 분리 정제하거나, 상업적으로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C3G 는 오디에서 추출 및 분리한 것일 수 있다. 오디는 뽕나무과 (Moraceae)에 속하는 뽕나무 (Morus alba L) 및 동속 근연식물의 성숙한 열매로서, 오디의 C3G 의 함량은 포도의 23배, 유색미의 2.3배에 달하며, 오디에 함유된 C3G 는 안정적이고 분리방법이 간단할 뿐 아니라 과실 전체에 색소를 함유하여 그 함량이 높고 분리수율 또한 높다.
본 발명의 C3G 는 오디 추출물에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으므로, C3G 를 함유하는 오디 추출물 역시 당뇨병성 방광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C3G 를 함유하는 오디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성 방광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오디 추출물은 C3G 를 함유하는 한, 추출 방법 및 추출 용매를 불문하고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오디 추출물은, 오디를 물, C3 내지 C5의 케톤, 및 C1 내지 C4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 그 추출물에서 물, C5 내지 C7의 알칸, C1 내지 C4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코올,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분획된 추출물을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된다. 바람직한 추출용매는 물 또는 에탄올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구연산 및 70% 에탄올이다.
본 발명의 오디 추출물은 통상의 식물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열수 추출, 가압 추출, 환류 추출, 온침 추출, 초음파 추출 등에 의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제조된 추출물은 이후 감압 여과과정을 수행하거나 추가로 농축 및/또는 동결건조를 수행하여 농축하거나 용매를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오디 추출물은 통상적 방법으로 건조된 건조물과 추출 용매가 제거된 농축된 액상의 추출물 또는 고형상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당뇨병성 방광병증이란 당뇨병 하에서 나타나는 방광의 기능 부전으로, 구체적으로는 방광의 감각저하, 방광의 용적저하, 방광 수축근의 기능저하, 및 배뇨시 소변 속도 저하 등의 배뇨 장애를 나타내는 질환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진성 당뇨병(diabetes mellitus), 특히 제1형 및 제2형 당뇨병을 가진 대상체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C3G 포함 조성물의 당뇨병성 방광병증에 대한 예방 또는 치료 활성은, 당뇨병성 방광병증의 동물 모델을 통하여 직접적으로 입증되었다.
우선,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는, 당뇨병 랫트에서 방광 내압 측정 (cystometrograms, CMG) 결과 당뇨 실험군에서 최대 방광 내압의 유의적인 감소 및 수축 간격의 증가가 나타났음에 반하여, 오디 색소로부터 추출된 C3G 처리군에서는 최대 방광 내압이 유의적으로 향상되고 수축 간격을 유의적으로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다 (표 2 및 도 1 참조).
또한, 본 발명자들은 당뇨병 랫트 모델에서 C3G 가 방광 조직 내 세포사멸을 최소화함으로써 방광기 기능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2). 세포사멸에 대한 TUNEL 분석 결과 당뇨병 랫트군과 비교하여 당뇨병 랫트에 C3G 를 투여한 경우 양성으로 염색된 세포가 유의적으로 적었으므로 방광 조직 내 세포사멸이 감소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C3G 가 방광 조직에서 DNA 의 산화적 손상에 대한 마커인 8-OHdG를 하향 발현시키며 SOD 를 상향 발현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는데, 이는 C3G가 방광 조직의 산화적 스트레스 환경 하에서 산화적 손상을 감소시키고 세포를 회복시켜 방광병증의 진행을 저해함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3A 및 B).
아울러, 본 발명자들은 웨스턴 블랏을 통하여, 당뇨 실험군에 비하여 C3G 처리군에서 방광 조직 내 Akt 및 Bad 의 인산화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나며, 당뇨 실험군에서 감소되었던 NGF (Nerve growth factor)의 발현이 C3G 처리군에서 유의적으로 복구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3A 및 B). Akt 의 인산화는 항-세포사멸 단백질(anti-apoptotic protein)의 발현은 증가시키고 Bad 와 같은 세포사멸유발 단백질(pro-apoptotic protein)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세포의 생존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또한 Akt 의 인산화는 Bad 의 인산화를 유도하여 세포사멸 경로(apoptotic cascade)를 저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C3G 는 Akt 및 Bad 신호 전달을 조절하여 방광 조직 내 세포사멸을 저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NGF의 축삭 수송의 장애가 당뇨병성 신경병증을 유도하여 종국적으로 당뇨병성 방광병증을 유도하며, NGF 의 복구가 방광 기능 보호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 보고되고 있는데, 본 발명에서 C3G 가 당뇨병에서 감소되었던 NGF 의 발현을 증가시킨다는 것은 C3G 가 방광병증을 개선시킨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당뇨병성 방광병증 랫트 모델을 통하여 C3G 는 방광 조직 내 세포 사멸을 억제함으로써 방광 수축성을 개선시키고 동시에 산화적 스트레스를 최소화함으로써 방광 기능을 보호 및 향상시킬 수 있음을 처음으로 규명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C3G 또는 이를 함유하는 오디 추출물 외에,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중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성분들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추가될 수 있다. 상기 추가성분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C3G 또는 이를 함유하는 오디 추출물 100 중량부 당 0.1 내지 20 중량부 범위 또는 리코리시딘 100 중량부 당 100 내지 10,000,000 중량부 범위에서 추가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조성물 내의 상기 C3G 또는 오디 추출물의 함량은 질환의 증상, 증상의 진행 정도, 환자의 상태 등에 따라서 적절히 조절 가능하며, 예컨대, 전체 조성물 중량을 기준으로 0.0001 내지 99.9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50중량%인 것이 좋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함량비는 용매를 제거한 건조량을 기준으로 한 값이다.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또는 멸균 주사용액 등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을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의 부형제 및/또는 윤활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 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량은 유효성분을 기준으로 1일 0.1 mg/kg 내지 20 mg/kg으로 하는 것이 좋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동물, 바람직하게는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정맥, 근육, 피하주사 등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유효성분의 약학적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C3G 를 포함하는 당뇨병성 방광병증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C3G 를 함유하는 오디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성 방광병증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식품은 영양소를 한 가지 또는 그 이상 함유하고 있는 천연물 또는 가공품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어느 정도의 가공 공정을 거쳐 직접 먹을 수 있는 상태가 된 것을 의미하며, 통상적인 의미로서, 각종 식품, 건강기능 식품, 음료, 식품 첨가제 및 음료 첨가제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상기 식품의 예로서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기능성 식품 등이 있다. 추가로, 본 발명에서 식품에는 특수영양식품(예, 조제유류, 영,유아식 등), 식육가공품, 어육제품, 두부류, 묵류, 면류(예, 라면류, 국수류 등), 건강보조식품, 조미식품(예, 간장, 된장, 고추장, 혼합장 등), 소스류, 과자류(예, 스넥류), 유가공품(예, 발효유, 치즈 등), 기타 가공식품, 김치, 절임식품(각종 김치류, 장아찌 등), 음료(예, 과실,채소류 음료, 두유류, 발효음료류, 아이스크림류 등), 천연조미료(예, 라면 스프 등), 비타민 복합제, 알코올 음료, 주류 및 그 밖의 건강보조식품류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음료, 식품첨가제 또는 음료첨가제는 통상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능성 식품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에 있어서, 상기 C3G 또는 오디 추출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0001 중량%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식품이 음료인 경우에는 식품 전체의 부피 100 ml 를 기준으로 0.001 g 내지 50 g, 바람직하게는 0.01 g 내지 10 g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C3G 또는 이를 함유하는 오디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당뇨병성 방광병증에 대한 치료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독성과 부작용이 없는 천연물 유래의 조성물이므로, 당뇨병성 방광병증의 치료에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대조군(Control), 당뇨균(DM) 및 C3G 를 처리한 당뇨군(DM+C3G)에서 방광 내압 측정 (cystometrograms, CMG)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대조군(Control), 당뇨균(DM) 및 C3G 를 처리한 당뇨군(DM+C3G)의 방광 조직에서 세포사멸(apoptosis)에 대한 면역조직화학(immunohistochemical) 인 시추 TUNEL 검출 결과를 나타낸다. 세포사멸이 일어난 세포는 TUNEL 분석에서 검은색 또는 어두운 갈색으로 보여지고, 살아있는 세포는 밝은 점으로 나타나 있다. 배율: 400x.
도 3은 대조군(Control), 당뇨균(DM) 및 C3G 를 처리한 당뇨군(DM+C3G)의 방광 조직에서 Akt/Bad 인산화 및 SOD 및 NGF 의 발현 수준을 비교한 결과이다. (A) 는 방광 조직에서 Akt/Bad 인산화 및 SOD 및 NGF 의 발현에 대한 웨스턴 블랏 분석 결과를 나타내고, (B) 는 베타 액틴에 대한 상대적인 농도 분석(densitometric analysis)을 나타낸다. 각 데이터는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내었으며, * 는 대조군 및 DM 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고, ** 는 DM군 및 C3G+DM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오디 열매와 천연 색소의 준비
본 실험에서 사용한 오디 열매 색소에서 추출한 C3G 농축물을 대한민국 수원에 위치한 농촌진흥청에서 공급받아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생오디, 냉동 오디 및 동결건조된 오디에서 오디 색소 C3G 를 추출하기 위하여 0.1% 구연산 및 70% 에탄올로 추출하여 여과하였다. 오디에 추출용매를 가한 후 손으로 직접 오디를 짓이겨 추출하거나 진탕기(shaking incubator)를 이용하여 4℃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된 여과액은 대용량 회전진공 농축기를 이용하여 40℃에서 85mbar, 50rpm으로 대량으로 농축물을 분리하여 사용하였다 (Kim HB, et al.. Korean J Crop Sci. 2011; 56:18-22).
실시예 2. 동물 그룹 및 처리 프로토콜
12주령의 수컷 Sprague-Dawley 랫트 36마리를 동물실험윤리위원회(Institutional Animal Care and Use Committee)(CUMC-2010-0137-02)에서 승인된 프로토콜에 따라 처리하였으며 미국국립보건원(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NIH)의 가이드라인을 준수하였다. 랫트를 균등하게 세 그룹으로 나누었다 (각각 n=12): 대조군(control), 당뇨균(DM), 및 C3G 농축 물질을 처리한 당뇨균(DM+C3G). DM 군 및 DM+C3G 군에 속한 모든 랫트에 대하여 스트렙토조토신 50 mg/kg 을 단 회 복강내 투여하여 당뇨병을 유발하였다. 1주일 안에 모든 랫트가 유의하게 당뇨 상태(혈청 포도당 > 250mg/dl) 임을 확인하였으며, 매 주마다 혈당 및 체중을 측정하였다. 당뇨의 혈청 수준은 실험 내내 유지하였다. 당뇨를 유발한 지 4주 후에, DM+C3G 군의 랫트에 대하여 C3G (10 mg/kg) 를 물에 녹여 8주 동안 매일 경구 투여하였다. 12주 후에 방광 내압 측정 (cystometrograms, CMG)을 수행하였다. CMG 완료 후, 각 랫트의 방광의 요관구를 절제하고 무게를 측정하였다. 방광 체부(bladder body)를 수직으로 잘라 오픈하고 2 부분으로 분할하였다 (4분의 1은 아포토시스 평가에 사용하고, 4분의 3은 ELISA 및 웨스턴 블랏에 사용함). 분할된 조직은 실험 수행시까지 액체 질소 내에 보관하였다.
실시예 3. 방광 내압 측정 ( cystometrograms , CMG )
랫트에 1.2 mg/kg 의 우레탄을 피하 주사하여 마취시켰다. 치골위 정중앙 개복술 (suprapubic midline laparotomy) 로 방광을 노출시키고, 방광 원개부(bladder dome)를 통하여 폴리에틸렌 튜빙에 연결된 25G 바늘을 방광에 삽입하였다. 튜빙을 3-way stopcock 를 통하여 Harvard 주사기 펌프(Harvard syringe pump) 및 압력 변환기에 연결하여 방광내압을 측정하고 식염수를 방광 안으로 주입하였다. 방광이 비워진 후, 0.04 ml/min 의 식염수 주입을 이용하여 방광 내압 측정 (CMG)을 수행하였다. 폴리그래프(Grass 7D, Grass Institute Co., Quincy, MA, USA)를 사용하여 수축 간격(contraction interval) 및 수축압(contraction pressure)을 기록하였다.
실시예 4. TUNEL ( terminal deoxynucleotidyl transferase mediated dUTP nick end labeling) 분석
방광 조직 내 세포사멸(apoptosis)를 관찰하기 위하여, Apop In Situ Apoptosis Detection Kits (Millipore Co., MA, US) 를 사용하여 TUNEL 분석을 수행하였다. 제조자의 프로토콜에 따라 세포사멸을 검출하기 위한 조직을 준비하였다. TUNEL 분석 후에, 방광 조직 절편을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TUNEL 분석을 위하여 양성 세포의 수를 계수하고 각 실험군 간의 차이를 평가하였다. TUNEL 분석을 위한 양성 세포의 계수를 위하여, 각 실험군의 슬라이드에서 5개 부위를 무작위적으로 선별하였으며, TUNEL 분석을 위한 양성 세포의 수는 5개 부위를 광학현미경에서 400x 배율로 측정한 평균값으로 하였다.
실시예 5. 방광 조직 내 산화적 스트레스의 측정
산화적으로 변형된 DNA 로서 8-OHdG 의 수준을 정량함으로써 방광 조직의 산화적 스트레스를 측정하였다. DNeasy Blood & Tissue kit (Qiagen, Valencia, CA, USA) 를 사용하여, 제조자의 지침서에 따라 조직에서 총 DNA 를 추출하였다. 또한, DNA oxidation kit (Highly Sensitive 8-OHdG Check ELISA; Japan Institute for the Control of Aging, Fukuroi, Japan) 를 사용하여, 제조자의 지침서에 따라 8-OHdG 의 수준을 측정하였다. 8-OHdG 표준(0.5~40 ng/mL) 또는 조직에서 정제한 15~20 ug 의 DNA 를, 8-OHdG 로 프리코팅(precoating)된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에서 1시간 동안 8-OHdG 에 대한 단클론항체와 함께 배양하였다. 3,3',5,5'-테트라메틸벤지딘을 첨가하여 최종 색상이 발색된 후, 450 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 곡선으로부터 조직 샘플 농도를 계산하였고 DNA 농도로 보정하였다.
실시예 6. 웨스턴 블랏
동결된 조직을 분쇄하고, 25 mM Tris·HCl (pH 7.6), 150 mM NaCl, 1% NP-40, 1% sodium deoxycholate, 0.1% SDS(sodium dodecyl sulfate) 및 프로테아제 저해제 혼합물 (Roche, Mannheim, Germany) 을 포함하는 RIPA 버퍼 내에서 4℃ 조건 하에 균질화하였다. 균질화된 버퍼 용액을 4℃ 에서 15분간 13000 rpm 으로 원심분리하였다. 펠렛을 제거하고 상층액을 즉시 사용하거나 추가 분석을 위하여 -75℃ 에서 보관하였다. 총 단백질을 radford protein assay kit (Bio-Rad Laboratories Inc., Hertfordshire, CA, USA) 를 사용하여 제조자의 프로토콜에 따라 측정하였다. 50 mg 총 단백질 당량을 95℃에서 10분간 변성시키고 8% 또는 15% 불연속적인 SDS-PAGE (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gel) 젤에서 전기영동하였다. 다음으로 단백질을 0.45 um 의 PVDF(polyvinylidenedifluoride) (Immobilon-P; Millipore, Bedford, MA, USA) 멤브레인 상에서 70V 에서 2시간 일렉트로 블랏팅 하였다. 상기 멤브레인은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차단 버퍼(5% skim milk in TBS containing 0.1% Tween 20) 와 반응시켰으며, phospho-Akt (Ser-473) 항체 (1:500; Cell Signaling Technology, Beverly, MA, USA), phospho-Bad (Ser-136) 항체 (1:200; Cell Signaling Technology, Beverly, MA, USA), 항-NGF 항체 (1:1,000; Abcamplc, Cambridge, UK) 및 항-SOD 항체 (1:1000; Abcam, Cambridge, UK)를 처리하여 4℃에서 밤새 배양하였다. 멤브레인을 TBS-T (TBS, 0.1% Tween 20)로 세척한 후 horseradish peroxidase와 결합된 2차 항-마우스 또는 항-래빗 항체 (Invitrogen Corporation, Paisley, UK)를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로딩 차이를 조정하기 위하여, 멤브레인을 β-액틴 항체(Santa Cruz Biotechnology, Santa Cruz, CA, USA)로 다시 처리하였다. 화학발광 검출 시스템 (GE Healthcare, Pittsburgh, PA, USA)을 사용하여 반응을 분석하였다. Image J software (NIH, Bethesda, MD, USA) 를 사용하여 Densitometry 를 분석하였다.
실시예 7. 통계적 분석
데이터는 통계적으로 분석하였으며 평균±표준편차로 표시하였다. ANOVA 와 다중 비교를 위한 Tukey's test 를 사용하여 각 실험군을 비교하였다. 유의성 정도는 p < 0.05 로 설정하였다.
실험결과
1. 당뇨병의 일반적인 특징
하기 표 1은 대조군 및 실험군에서 혈당 및 체중의 변화를 나타낸다. 실험을 수행하는 동안, 2 개의 DM 군에서의 혈청 포도당 수준이 유지되었으며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DM 군의 체중의 경우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당뇨 유발 전 4 주 후 8 주 후 12 주 후
체중 (g) 대조군 408 ± 32 484 ± 47 647 ± 76 675 ± 92
DM군 415 ± 23 384 ± 55* 422 ± 74* 467 ± 97*
DM + C3G군 441 ± 29 418 ± 78* 408 ± 68* 441 ± 85*
혈청 포도당 (mg/dl) 대조군 120 ± 7 123 ± 5 128 ± 10 122 ± 2
DM군 127 ± 10 469 ± 70* 532 ± 42* 501 ± 71*
DM + C3G군 141 ± 13 462 ± 90* 448 ± 143* 469 ± 163*
* :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냄(p < 0.05)
2. 방광 기능의 인 비보 평가
하기 표 2 및 도 1은 각 실험군의 랫트에서 방광 기능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다. 방광 내압 측정(CMG) 결과, 대조군과 비교하여 DM 군에서 최대 방광 내압의 유의적인 감소 및 수축 간격의 증가가 나타났고, C3G 처리군에서는 DM 군과 비교하여 최대 방광 내압 및 수축 간격에 유의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대조군 DM군 DM + C3G군
빈도 (수축/h) 8.0±2.3 6.0±2.59* 7.8±1.7
최대 방광내압(평균±표준편차) 27.9±4.3 14.6±3.3* 21.3±6.6
수축 간격(초)(평균±표준편차) 457.4±62.2 596.8±202.2* 460.2±57.7
*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유의적인 통계적 차이 (p < 0.05)
+ DM 군과 비교했을 때 유의적인 통계적 차이 (p < 0.05)
3. 방광 조직 내 세포사멸에 대한 TUNEL 분석 결과
TUNEL 분석으로 검출된 세 그룹의 평균 세포사멸 지수±표준편차는 11.4±2.9 (대조군), 41.9±18.2 (DM군), 및 20.9±7.7 (DM+C3G군) 이었다. DM 군은 대조군보다 더 높은 평균 세포사멸 지수를 나타내었다 (p < 0.05). DM 군과 비교하여, C3G 투여 군에서 TUNEL 분석 결과 양성으로 염색된 세포가 유의적으로 적었으며(p < 0.05), 대표 도면을 도 2에 나타내었다.
4. 방광 조직에서 Akt / Bad 인산화 및 NGF 발현의 비교
DM 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Akt 및 Bad 의 인산화가 더 낮게 나타난 반면, DM+C3G 군에서는 DM 군에 비하여 Akt 및 Bad 의 인산화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도 3A, B). β-액틴에 관한 웨스턴 블랏을 통하여, DM 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NGF 의 발현이 유의적으로 감소하나 (p < 0.001), C3G 처리군에서는 당뇨 조건에서 NGF 의 발현의 유의적으로 증가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3 A, B).
6. 방광 조직 내 산화적 스트레스의 비교
방광 조직에서 ELISA 를 통하여 8-OHdG 를 측정함으로써 방광 조직 내 산화적 스트레스의 정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였다. 정상군, DM군 및 DM+C3G 군에서 8-OHdG는 각각 1.684±0.406, 3.177±0.351 및 2.069±0.311 였다. 정상 대조군과 비교하여 DM 군에서 산화적 스트레스의 유의적인 증가가 나타났다 (p < 0.001). 그러나, C3G 로 처리한 DM 군에서는 DM 군과 비교했을 때 산화적 스트레스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 < 0.001). 또한, 웨스턴 블랏 분석 결과, 대조군과 비교하여 DM 군에서 SOD 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C3G 로 처리한 DM 군의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더 많이 발현되었다 (도 3A 및 B).
7. 방광 조직 내 NGF 활성의 비교
β-액틴에 관한 웨스턴 블랏을 통하여, DM 군에서 NGF 의 발현이 대조군보다 감소하며, C3G 처리군에서는 당뇨 조건에서 NGF 의 발현의 유의적으로 복구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p < 0.001) (도 3).
8. 결과 종합
C3G 는 당뇨병에서 방광 조직 내 세포사멸을 최소화하고 Akt 및 Bad 인산화를 증가시킴으로써 최대 방광 내압을 개선시키는 동시에 산화적 스트레스를 최소화함으로써 방광 기능을 보호하며, 본 연구는 당뇨병성 방광병증 랫트 모델을 통해서 C3G 가 방광기능의 보호 및 향상시킬 수 있음을 처음으로 규명한 것이다.

Claims (7)

  1. C3G (Cyanidin-3-O-β-d-glucopyranoside) 를 포함하는 당뇨병성 방광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3G 는 오디에서 유래한 것인, 당뇨병성 방광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당뇨병성 방광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5. C3G (Cyanidin-3-O-β-d-glucopyranoside) 를 포함하는 당뇨병성 방광병증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당뇨병성 방광병증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20120035089A 2012-04-04 2012-04-04 C3g 또는 이를 함유하는 오디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성 방광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04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089A KR101404148B1 (ko) 2012-04-04 2012-04-04 C3g 또는 이를 함유하는 오디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성 방광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089A KR101404148B1 (ko) 2012-04-04 2012-04-04 C3g 또는 이를 함유하는 오디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성 방광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2592A KR20130112592A (ko) 2013-10-14
KR101404148B1 true KR101404148B1 (ko) 2014-06-05

Family

ID=49633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5089A KR101404148B1 (ko) 2012-04-04 2012-04-04 C3g 또는 이를 함유하는 오디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성 방광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414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5434A (ko) * 2002-07-10 2004-01-16 학교법인 경희대학교 신경세포 보호 활성을 갖는 오디의 조추출물을 함유한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5434A (ko) * 2002-07-10 2004-01-16 학교법인 경희대학교 신경세포 보호 활성을 갖는 오디의 조추출물을 함유한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2592A (ko) 2013-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991742A1 (en) Coronavirus therapeutic agent comprising elaeocarpus sylvestris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KR101341648B1 (ko) 검정콩으로부터 추출한 안토시아닌을 포함하는 정계정맥류 또는 남성 불임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734896B1 (ko) 감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각막 손상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76941B1 (ko) 토종 보리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05074961A1 (ja) 体脂肪調整剤
KR101404150B1 (ko) 검정콩으로부터 추출한 안토시아닌을 포함하는 비세균성 전립선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926454B1 (ko) 옻나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상기 분획물에서 분리한화합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합병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404148B1 (ko) C3g 또는 이를 함유하는 오디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성 방광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86960B1 (ko) 감태 추출물을 포함하는 전립선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80082921A (ko) 위염 또는 소화성궤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79105B1 (ko) 대추나무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장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50079256A (ko) 어성초와 복분자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309137B1 (ko) C3g 또는 이를 함유하는 오디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성 발기부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RU2780346C1 (ru) Терапевтический агент против коронавируса, включающий экстракт elaeocarpus sylvestris
KR20150113709A (ko) 삼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556444B1 (ko) 산초 알코올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면역억제용 조성물
KR20190083071A (ko) 모과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836711B1 (ko) 아라자임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 보호용 약학적조성물
KR102261920B1 (ko) 황기 및 지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손상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978572B1 (ko) 증숙 삼채 추출물을 포함하는 역류성 식도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40078103A (ko) 대복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만성 췌장염의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860510B1 (ko) 지치 추출물을 이용한 망막질환 개선용 조성물
KR20210133463A (ko) 시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19552B1 (ko) 조각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및 당뇨병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52959B1 (ko) 천연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 간질환 또는 뇌 손상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