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9717B1 - 위생 세정 장치 - Google Patents

위생 세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9717B1
KR101399717B1 KR1020127022666A KR20127022666A KR101399717B1 KR 101399717 B1 KR101399717 B1 KR 101399717B1 KR 1020127022666 A KR1020127022666 A KR 1020127022666A KR 20127022666 A KR20127022666 A KR 20127022666A KR 101399717 B1 KR101399717 B1 KR 101399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heat transfer
heater
flat plate
wash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2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7476A (ko
Inventor
료이치 고가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1095749A external-priority patent/JP5786129B2/ja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137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7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9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9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0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 F24H1/101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24H1/102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with resistance
    • F24H1/103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with resistance with bare resistances in direct contact with the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0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092Devices for preventing or removing corrosion, slime or sca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4Arrangements for connecting different sections, e.g. in water heaters 
    • F24H9/146Connecting elements of a heat exchang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위생 세정 장치(1)는, 노즐(7)과 급수로(9)와 열 교환기(10)를 구비한다. 상기 열 교환기는, 케이싱(23)과 평판 형상 히터(20)와, 유로 공간(25)을 갖는다. 상기 유로 공간은, 상기 유입부측의 간극의 폭이, 상기 유출부측의 간극의 폭보다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위생 세정 장치{SANITARY WASHING DEVICE}
본 발명은 위생 세정 장치에 관하여, 특히, 온수를 분출하는 노즐을 갖는 위생 세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온수를 노즐로부터 분출하는 위생 세정 장치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두께 치수가 작은 직육면체 형상의 케이싱 내에 평판 형상의 히터가 수직 설치로 수납되어 있다. 평판 형상 히터의 양 전열면의 각각에 따라서, 수평 방향으로 사행(蛇行)시키면서 상방으로 향하는 2개의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이 평판 형상 히터를 구동하고 있는 동안에, 세정수는, 각각의 유로를 따라서 통류하며, 적온까지 온도 상승 한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 1998-220876 호 공보
종래 예에서는 사행하는 유로에 있어서 세정수가 체류하거나 기포가 정체하거나 하는 부분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세정수가 체류하는 부분에서는, 세정수가 국소적으로 비등한다. 이 국부적인 비등 부분에서는 평판 형상 히터의 표면에 세정수에 포함되는 칼슘 성분 등이 고착하여, 스케일이 생성된다. 스케일에 의해서 세정수로의 열 전달이 저해되어, 평판 형상 히터의 국소적인 고온화를 초래한다. 또한, 스케일의 생성이 조장되어, 퇴적한 스케일로 세정수의 유로 저항이 높아진다. 이것에 의해, 필요한 세정수의 유량을 확보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기포가 정체하는 부분에서는, 세정수의 체류 및 평판 형상 히터의 국부적인 고온화 등을 초래하여, 상기의 문제가 생긴다.
또한, 스케일에 의해 평판 형상 히터가 국부적으로 고온이 되면, 평판 형상 히터에 온도 차이가 생긴다. 이 온도 차이에 의한 열응력에 의해서, 세라믹스를 발열체에 이용한 평판 형상 히터에서는, 평판 형상 히터에 균열이나 깨짐 등이 생겨, 평판 형상 히터가 고장나 버린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필요한 세정수의 유량을 확보하고, 또한 고장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위생 세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어느 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는, 노즐과, 급수원에 접속되어야 하는 상류단을 갖고, 하류단이 상기 노즐에 접속된 급수로와, 상기 급수로에 마련되는 열 교환기를 구비하고, 상기 열 교환기가, 유입부와, 상기 유입부보다 상방쪽에 위치하는 유출부와, 하단부가 상기 유입부에 연통하고, 상단부가 상기 유출부에 연통하며, 또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판 형상의 히터 수용 공간을 포함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히터 수용 공간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수용되어, 상기 히터 수용 공간의 주면(主面)에 대향하는 전열면을 포함하는 평판 형상 히터와, 상기 전열면과 상기 히터 수용 공간의 주면과의 사이의 간극에 형성된 유로 공간을 갖고, 상기 유로 공간은, 상기 유입부측의 간극의 폭이, 상기 유출부측의 상기 간극의 폭보다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구성을 갖고, 필요한 세정수의 유량을 확보하며, 또한 고장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위생 세정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 참조 하, 이하의 매우 적합한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가 변기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위생 세정 장치에 탑재되는 열 교환기의 정면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3은 도 2의 열 교환기의 우측 주면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4는 도 2의 A-A선을 따라서 절단한 열 교환기를 도시하는 횡단면도,
도 5는 도 3의 B-B선을 따라서 절단한 열 교환기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6은 도 4의 C의 영역의 확대도,
도 7은 도 4의 열 교환기에 형성된 전열선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8은 도 4의 열 교환기에 형성된 전열선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10은 도 9의 위생 세정 장치에 탑재된 열 교환기를 도시하는 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
(본 발명의 기초가 된 지견)
본 발명자들은 평판 형상 히터의 양 전열면을 따라서 유로를 형성한 열 교환기에 대하여 검토했다.
일반적으로, 세정수에 대한 양 전열면측의 각각 전열량이 거의 동일한 것을 전제로 하여 열 교환기가 설계된다. 만일 양측의 전열량에 큰 차이가 생기면, 한쪽편의 유로에 있어서 국소적인 비등 현상이 발생하여, 기포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기포에 의해 유로 중의 세정수의 통류 저항이 높아져, 양 유로에 있어서의 유량 밸런스가 깨져, 전열량의 차이가 보다 커져 버린다.
또한, 열 교환기의 출수구 근방에 서미스터 등의 온도 센서가 마련되는 일이 있다. 이 경우, 기포가 크게 성장하여 온도 센서에 부착하면, 온도 센서가 세정수에 접촉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온도 센서는 적절하게 검지할 수 없게 된다.
또한, 기포가 전열면에 부착하여 크게 성장하면, 기포는, 전열면과 세정수 사이에 개재하여, 양자를 해리시켜 버린다. 이 경우, 열이 전열면으로부터 세정수에 전달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어, 전열면의 온도가 크게 상승한다. 기포가 부착한 전열면과, 그 반대의 전열면의 온도 차이가 커진다. 이 열응력에 기인하여, 평판 형상 히터에 변형 등이 생겨 열 교환기의 수명이 짧아진다.
스케일이 전열면에 부착하는 가장 지배적인 요인은 전열면의 온도이다. 일반적으로, 스케일의 부착을 억제하기 위해서 전열면의 설정 온도는, 비등이 발생하는 100℃ 이하, 바람직하게는 80℃ 이하로 정해진다. 또한, 전열면의 설정 온도는, 수돗물의 스케일 농도나 히터의 소요 내구 시간 등에 의해서, 적절히 정해진다. 전열면의 일부에서도 설정 온도를 초과하면, 그 부분에 스케일이 부착하여, 스케일이 전열 장애가 된다. 이것을 회피하기 위해, 전열면의 면적을 늘리면 좋다. 그렇지만, 이것은 열 교환기의 비용 증가가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전열면의 온도가 전체적으로 거의 균일하게 되도록, 평판 형상 히터의 와트 밀도 또는 열 전달율의 분포를 설정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열면의 사이즈가 최소, 전열면의 온도를 설정 온도 이하로 할 수 있지만, 평판 형상 히터의 비용이 비싸져 버린다.
또한, 스케일 등의 원인이 되는 기포의 발생을 억제하거나 기포의 배출을 촉진시키거나 하기 위해, 세정수의 속도를 더욱 크게 하는 일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열면으로부터 세정수에의 열 전달율이 향상하여, 전열면의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일반적으로, 온수 세정 변좌에 사용되는 위생 세정 장치에서는, 세정수의 1회당의 사용 수량(水量)이 적다. 이 때문에, 유로의 두께를 매우 얇게 하여, 세정수의 유속을 높여야만 한다. 통상, 세정수의 유량의 최대값은 500cc/min 정도이다. 이 유량값에 대하여 유속을 더욱 높이기 위해서는, 유로 두께를 0.5mm 이내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유로 두께를 매우 얇게 하면, 국소적인 유속의 불균일성이 생기기 쉽다. 이 유로 두께:0.5mm는, 속도 경계층의 두께 : 수mm의 오더보다 작아지기 때문에, 속도 경계층이 유로 전역을 덮는다. 따라서, 유로 두께에 의해 속도 구배가 변화하여, 유로 두께의 불균일에 의한 유속의 불균일이 생기기 쉽다.
또한, 속도 경계층은 전열면에서 속도가 제로이며, 속도가 급격하게 변화하는 유체층이다. 이 때문에, 전열면 상의 거품을 전열면 상으로부터 배출시키는 힘이 약하다. 또한, 유로 두께가 얇으면, 유로 중에 생긴 거품의 크기가 유로 두께보다 커지기 쉽다. 이 경우, 거품은 유로 두께에 대응하여 변형하여, 거품의 표면 장력으로 밀어올림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거품은 움직이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거품이 유로 중에 체류하여, 이 거품에 의해 유속의 불균일이 국부적으로 생기기 쉽다.
이 국소적인 유속의 불균일이 생기면, 와트 밀도가 30W/cm2 이상이 되는 고와트 밀도인 평판 형상 히터에서는, 전열면 온도가 국소적으로 큰 폭으로 상승한다. 이 개소에서 비등이 생겨 더욱 거품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흐름의 불균일이 조장되어, 전열면이 번 아웃(burnout) 한다.
압력 손실이 증가하기 때문에, 세정수의 유속을 큰 폭으로 크게 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속도가 불균일하게 되기 때문에, 유로 두께를 얇게 하는 것도 어렵다. 또한, 유로를 수평 방향으로 사행시키면, 유로를 흐르는 세정수의 거리 및 시간이 길고, 유로 단면적이 작기 때문에, 기포에 의해 세정수의 흐름이 막히기 쉽다. 따라서, 사행하는 유로도 바람직하지 않다.
평판형의 히터를 열 교환기에 이용하면, 열 교환기가 컴팩트하게 되고, 또한, 전열 면적을 크게 하기 쉽다. 그렇지만, 강제 대류에 의해 전열면을 따른 균일하고 빠른 흐름을 생성하는 것이 어려웠다. 또한, 전열면을 따른 빠른 흐름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하는 바와 같이, 유로의 두께를 얇게 하면, 흐름이 불균일하게 되기 쉽다. 이 때문에, 부분적으로 과열부를 일으키면, 이 과열부에 열이 집중하고, 이 부분의 세정수가 증발하여, 기포가 생긴다. 기포가 유출하지 않으면, 이 부분은 더욱 가열된다. 이것에 의해, 기포가 커져, 전열면이 극도로 고온이 되면, 히터가 파괴된다.
또한, 전열면에 따른 얇고 빠른 흐름을 형성하기 위해, 유로의 유입부에 편평한 교축부를 마련하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다. 그렇지만, 교축부에 공기 등이 모이기 쉽고, 이 기포가 흐름을 불균일하게 한다. 이와 같이, 유로의 유입부에 평평한 교축부를 마련하는 일에도 과제가 있다.
또한, 가정의 수도 배관 중에 있어서도, 유체 중에 공기가 포함된다. 이 때문에, 공기 등의 기포를 열 교환기 내에 모이게 하는 일 없이 부드럽게 배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지견에 근거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는, 노즐과, 급수원에 접속되어야 하는 상류단을 갖고, 하류단이 상기 노즐에 접속된 급수로와, 상기 급수로에 마련되는 열 교환기를 구비하며, 상기 열 교환기가, 유입부와, 상기 유입부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유출부와, 하단부가 상기 유입부에 연통하고, 상단부가 상기 유출부에 연통하며, 또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판 형상의 히터 수용 공간을 포함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히터 수용 공간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수용되어, 상기 히터 수용 공간의 주면에 대향하는 전열면을 포함하는 평판 형상 히터와, 상기 전열면과 상기 히터 수용 공간의 주면 사이의 간극에 형성된 유로 공간을 갖고, 상기 유로 공간은 상기 유입부측의 간극의 폭이, 상기 유출부측의 간극의 폭보다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위생 세정 장치에서는, 상기 평판 형상 히터는, 상기 유입부측의 발열 밀도가, 상기 유출부측의 발열 밀도보다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위생 세정 장치에서는, 상기 평판 형상 히터는, 세라믹 기체와, 상기 세라믹 기체상에 패턴 인쇄로 형성된 전열선을 갖고, 상기 유입부측의 상기 전열선의 단면적이, 상기 유출부측의 상기 전열선의 단면적보다 작아도 좋다.
위생 세정 장치에서는, 상기 평판 형상 히터는, 세라믹 기체와, 상기 세라믹 기체상에 패턴 인쇄하여 형성된 전열선을 갖고, 상기 유입부측의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전열선의 간격이 상기 유출부측의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전열선의 간격보다 작아도 좋다.
위생 세정 장치에서는, 열 교환기가 입수구와, 상기 입수구와 상기 유입부의 사이에 형성된 헤더부를 더 갖고, 상기 헤더부는, 주 유로와, 상기 주 유로로부터 상기 유입부를 향하여 서서히 좁아지는 교축 유로를 갖고 있어도 좋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모든 도면을 통하여 동일 또는 상당하는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평판 형상 히터(20)의 전열면(20a, 20b)이 연직 방향이 되도록, 열 교환기(10)를 수직 설치한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에 도시하는 Z 방향은 연직 방향을 나타낸다. X 방향은 연직 방향으로 직교하고 또한, 평판 형상 히터(20)의 전열면(20a, 20b)에 평행한 방향을 나타낸다. Y 방향은 Z 방향 및 X 방향의 어느 쪽에도 직교하는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단면적은 세정수의 흐름에 직교하는 평면에 있어서의 면적을 나타낸다.
(실시형태 1)
도 9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1)의 주요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위생 세정 장치(1)는, 노즐(7)과, 급수원(8)에 접속되어야 할 상류단을 갖고, 하류단이 노즐(7)에 접속된 급수로(9)와, 급수로(9)에 마련되는 열 교환기(10)를 구비한다.
도 10은 도 9의 위생 세정 장치(1)에 탑재된 열 교환기(10)를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
열 교환기(10)는, 유입부(10a)와, 유입부(10a)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유출부(10b)와, 하단부가 유입부(10a)에 연통하고, 상단부가 유출부(10b)에 연통하며, 또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판 형상의 히터 수용 공간(23c)을 포함하는 케이싱(23)과, 케이싱(23)의 히터 수용 공간(23c)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수용되어, 히터 수용 공간(23c)의 주면(30a, 40a)에 대향하는 전열면(20a, 20b)을 포함하는 평판 형상 히터(20)와, 전열면(20a, 20b)과 히터 수용 공간(23c)의 주면(30a, 40a) 사이의 간극에 형성된 유로 공간(25)을 갖는다. 유로 공간(25)은 유입부(10a)측의 간극의 폭이, 유출부(10b)측의 간극의 폭보다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하 방향」이란, 연직 방향과 연직 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의 쌍방을 포함한 개념이다. 「히터 수용 공간」은 케이싱으로부터 히터를 제거했다고 가정했을 경우에, 히터가 존재하고 있던 영역과 해당 영역에 접하는 공간을 포함한 공간을 의미한다. 「유로 공간」은 케이싱 내에, 평판 형상 히터의 한쌍의 전열면을 따라서 유체(여기에서는 물)를 인도하도록 형성된 유로라 환언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위생 세정 장치(1)에서는, 세정수는 급수원(8)으로부터 급수로(9)를 흐른다. 세정수는, 급수로(9)에 있어서 열 교환기(10)에 유입하고, 여기서 가열된다. 고온이 된 세정수는, 열 교환기(10)로부터 유출하여, 노즐(7)로 공급된다. 이것에 의해, 온수가 노즐(7)로부터 분출한다.
또한, 열 교환기(10)에 있어서는, 세정수는, 유입부(10a)로부터 케이싱(23)의 히터 수용 공간(23c)에 유입한다. 세정수는, 히터 수용 공간(23c)의 평면상의 주면(30a, 40a)과 평판 형상 히터(20)의 전열면(20a, 20b) 사이에 들어가 유로 공간(25)을 통과한다. 이 때 세정수는, 전열면(20a, 20b)에 의해 가열되며, 그 온도가 상승한다.
이 유로 공간(25)에서는, 유입부(10a)측의 간극의 폭이, 유출부(10b)측의 간극의 폭보다 작아져 있다. 이 때문에, 유로 공간(25)을 흐르는 세정수는 유입부(10a)측에서 강제 대류가 빨라진다. 여기서, 전열면(20a, 20b)으로부터 세정수와의 경계층의 속도 구배가 커져, 열 전달율이 높아진다. 전열면(20a, 20b)으로부터 세정수에 열이 부여되고, 전열면(20a, 20b)의 온도가 낮아, 전열면(20a, 20b)에 스케일이 부착하는 것이 방지된다.
세정수는, 강제 대류에 의해, 유입부(10a)측으로부터 유출부(10b)측으로 흐른다. 유출부(10b)측에 있어서도, 세정수는 전열면(20a, 20b)에 더욱 가열된다. 이것에 의해, 세정수에 혼입되어 있던 공기가 팽창하여 기포가 발생한다. 이 유출부(10b)측의 간극의 폭이 크기 때문에, 기포가 유로 공간(25)에 모여있지 않고, 유출부(10b)로 나온다.
또한, 세정수가 온도 상승하여, 그 밀도가 작아지는 것에 의해, 자연 대류의 상승류가 생겨, 세정수가 유출부(10b)로 흐른다. 이 유출부(10b)측의 간극의 폭이 크기 때문에, 자연 대류의 상승류에 의해 기포가 배제되기 쉽고, 또한 전열면(20a, 20b)으로부터 세정수로의 열 전달율이 향상한다.
상기 구성의 위생 세정 장치(1)에 의하면, 기포가 원활히 배출되는 것에 의해, 기포에 의해서 세정수와 전열면(20a, 20b)의 열 교환이 저해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실행된다.
또한, 기포에 의해 세정수가 일부에 체류하여, 스케일이 국부적으로 생기는 것이 저감된다. 이 때문에, 스케일이 유로 공간(25)을 좁혀버리는 일 없이, 세정수가 원활히 흐르기 때문에, 필요한 유량의 세정수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전열면(20a, 20b)에 기포가 부착하지 않고, 이 부분이 고온이 되어, 전열면(20a, 20b)에 있어서 온도 차이가 생기는 것이 방지된다. 이것에 의해, 온도 차이에 의한 열응력에 의해 전열면(20a, 20b)이 변형하거나 파손하거나 하지 않으며, 평판 형상 히터(20)가 고장나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위생 세정 장치의 구성]
도 1은 실시형태 2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1)를 변기(2)에 장착한 화장실을 도시한다.
위생 세정 장치(1)는, 변기(2)의 상면에 배설되어 있다. 위생 세정 장치(1)는, 본체부(3), 변좌부(4), 변기 덮개부(5) 및 조작부(6)를 구비한다.
본체부(3)는, 변좌부(4)의 후방측, 즉 착석한 사용자에서 보아 배후측에 배설되어 있다. 본체부(3)는, 횡장의 하우징(3a)에 있어서, 도 9에 도시하는 급수로(9) 및 열 교환기(10)를 수용한다. 또한, 이것 이외에도, 본체부(3)는, 도시하지 않는 세정 유닛, 건조 유닛 및 이들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 등이 수납되어 있다.
급수로(9)는, 변기(2)의 설치 건물에 부수의 수도 설비[급수원(8)]로부터 수돗물(유체, 액체, 세정수)을 열 교환기(10)를 거쳐서 노즐(7)에 도입한다. 사용자가 조작부(6)를 조작하여 소정의 입력을 실행하면, 세정 유닛이 구동한다. 세정수가 열 교환기(10)에서 따뜻해져, 온수가 노즐(7)로부터 샤워 형상으로 변기(2)의 개구를 향하여 토출한다.
[열 교환기의 구성]
도 2는 열 교환기(10)의 정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열 교환기(10)의 우측 주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선을 따라서 절단한 열 교환기(10)를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B-B선을 따라서 절단한 열 교환기(10)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C의 영역의 확대도이다.
열 교환기(10)는, Y 방향의 두께 치수가 작으며, X-Z 방향으로 장방형 형상을 이룬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열 교환기(10)는, 평판 형상 히터(20)와 제 1 유로 형성 부재(21)와 제 2 유로 형성 부재(22)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유로 형성 부재(21) 및 제 2 유로 형성 부재(22)에 의해 케이싱(23)이 형성된다. 제 1 유로 형성 부재(21) 및 제 2 유로 형성 부재(22)는, 예를 들어, 각각 ABS 수지에 유리 섬유를 컴파운드 한 강화 ABS 수지로 형성된다.
제 1 유로 형성 부재(21)는 평판 형상 히터(20)의 제 1 전열면(20a)측에 배치된다. 제 1 유로 형성 부재(21)는 베이스부(30) 및 선반 단부(31)를 포함한다. 베이스부(30)는 베이스면(주면)(30a)을 포함하고, 베이스면(30a)은 평면 형상이며 제 1 전열면(20a)에 대향한다. 선반 단부(31)에 있어서, 베이스부(30)의 Y 방향의 두께가 바뀐다. 선반 단부(31) 보다 유출부(10b)측에 있어서의 베이스부(30)의 두께는, 선반 단부(31)보다 유입부(10a)측보다 작다. 이 때문에, 선반 단부(31)보다 유입부(10a)측의 베이스면(30a)은, 유출부(10b)측의 베이스면(30a)에 비해, 제 1 전열면(20a)에 근접한다. 유입부(10a)측의 베이스면(30a)과 제 1 전열면(20a) 사이의 폭은 유출부(10b)측의 베이스면(30a)과 제 1 전열면(20a) 사이의 폭보다 좁다.
제 1 유로 형성 부재(21)는 베이스부(30)의 주연부에 전체 둘레에 벽 형상의 플랜지부(32)가 마련되어 있다. 플랜지부(32)의 선단부에 결합 홈(33)이 형성되며, 결합 홈(33)은 플랜지부(32)를 따라서 그 전체 둘레에 형성되어 있다.
제 2 유로 형성 부재(22)는, 평판 형상 히터(20)의 제 2 전열면(20b)측에 배치된다. 제 2 유로 형성 부재(22)는, 베이스부(40) 및 선반 단부(41)를 포함한다. 베이스부(40)는 베이스면(주면)(40a)을 포함하고, 베이스면(40a)은 평면 형상이며 제 2 전열면(20b)에 대향한다. 선반 단부(41)에 있어서, 베이스부(40)의 Y 방향의 두께가 바뀐다. 선반 단부(41)보다 유출부(10b)측에 있어서의 베이스부(40)의 두께는, 선반 단부(41)보다 유입부(10a)측보다 작다. 이 때문에, 선반 단부(41)보다 유입부측의 베이스면(40a)은, 유출부(10b)측의 베이스면(40a)에 비해, 제 2 전열면(20b)에 근접한다. 유입부(10a)측의 베이스면(40a)와 제 2 전열면(20b) 사이의 폭은 유출부(10b)측의 베이스면(40a)과 제 2 전열면(20b) 사이의 폭보다 좁다.
제 2 유로 형성 부재(22)는, 베이스부(40)의 주연부에 전체 둘레에 벽 형상의 플랜지부(42)가 마련되어 있다. 플랜지부(42)는, 베이스면(40a)의 반대 측을 향하여 돌출한다. 그리고 플랜지부(42)의 선단부는, 베이스면(40a)측으로 뒤집어져 있다. 이 선단부의 끝에 결합 돌기(43)가 마련되며, 결합 돌기(43)가 플랜지부(42)의 전체 둘레에 형성되어 있다.
제 1 유로 형성 부재(21)의 플랜지부(32) 중에 제 2 유로 형성 부재(22)의 플랜지부(42)가 들어가고, 제 1 유로 형성 부재(21)의 결합 홈(33)에 제 2 유로 형성 부재(22)의 결합 돌기(43)가 끼워진다. 예를 들면, 결합 돌기(43)는 초음파 용착에 의해 결합 홈(33)에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제 1 유로 형성 부재(21)와 제 2 유로 형성 부재(22)는 수밀적으로 접합되며, 케이싱(23)이 형성된다.
케이싱(23)은 2개의 측면과 2개의 주면과 천장면와 저면을 갖고, 이들에 둘러싸이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중공부를 포함한다. 이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중공부는, 판 형상의 히터 수용 공간(23c)을 구성한다. 히터 수용 공간(23c)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히터 수용 공간(23c)의 하단부가 유입부(10a)에 연통하고, 상단부가 유출부(10b)에 연통한다. Y-Z 방향의 2개의 측면 중, 1개의 측면에 입수구(23a) 및 출수구(23b)가 개구된다. 출수구(23b)의 개구가 유출부(10b)가 된다. 입수구(23a)는, 측면의 일단 하부에 마련되며, 급수로(9)(도 9)의 상류측 단부에 접속된다. 출수구(23b)는, 측면의 일단 상부에 마련되며, 급수로(9)(도 9)의 하류측 단부에 접속된다. X-Z 방향의 2개의 주면은 베이스면(30a, 40a)에 각각 형성된다. 천장면은, 평판 형상 히터(20)의 상단과 대향한다. 천장면은, 출수구(23b)에 가까울수록 천장면과 평판 형상 히터(20)의 상단의 간극이 넓어지도록 경사진다. 저면은 평판 형상 히터(20) 하단과 대향한다. 저면에 유로 공간(25)의 유입부(10a)가 개구되고, 유입부(10a)는 X 방향으로 연장된다. 케이싱(23)의 내부에 유로 공간(25) 및 헤더부(45)가 형성된다.
유로 공간(25)은, 제 1 전열면(20a)과 베이스면(30a) 사이의 유로와 제 2 전열면(20b)과 베이스면(40a) 사이의 유로를 포함한다. 이들 2개의 유로는, 평판 형상 히터(20)의 양측에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2개의 유로는, 입구측 유로(25a) 및 출구측 유로(25b)를 각각 갖는다. 입구측 유로(25a)는 선반 단부(31, 41)보다 하부의 입수구(23a)에 가까운 측에 마련된다. 출구측 유로(25b)는, 선반 단부(31, 41)보다 상부의 출수구(23b)에 가까운 측에 마련된다. 입구측 유로(25a)에 있어서의 Y축 방향의 두께는, 출구측 유로(25b)에 있어서의 Y축 방향의 두께보다 작다.
헤더부(45)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로 공간(25)의 유입부(10a)와 입수구(23a) 사이에 마련되어 X 방향으로 연장된다. 헤더부(45)는, 헤더부 주 유로(45a) 및 헤더부 교축 유로(45b)를 포함한다. 헤더부 주 유로(45a)에 있어서의 X-Y 방향의 유로 단면적은 헤더부 교축 유로(45b) 보다 넓다. 즉, 이 X-Y 방향의 유로 단면적은 입수구(23a)로부터 유입부(10a)로 흐르는 세정수의 흐름에 대하여 직교한다. 헤더부 교축 유로(45b)의 유로 단면적은 헤더부 주 유로(45a)로부터 유입부(10a)로부터 유입부(10a)를 향하여 서서히 좁아진다. 헤더부 교축 유로(45b)는 크랭크 형상을 갖는다. 헤더부 교축 유로(45b)는, 수직부(45bb), 수평부(45bc) 및 수직부(45bd)를 포함한다. 수직부(45bb), 수평부(45bc) 및 수직부(45bd)의 순으로, 그 단면적이 작아진다(즉 좁아짐).
평판 형상 히터(20)는 케이싱(23)의 히터 수용 공간(23c)에 수용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평판 형상 히터(20)는 직사각형 평판 형상을 갖고, 양면에 제 1 및 제 2 전열면(20a, 20b)을 포함한다. 평판 형상 히터(20)는 세라믹 기체(20k), 저항체 패턴(20p) 및 전극(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한다. 전열면(20a, 20b)의 온도는, 국부적으로 소정 온도보다 고온이 되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이 소정 온도는, 일반적으로는 전열면(20a, 20b)의 온도를 비등이 발생하는 100℃ 이하, 바람직하게는 80℃ 이하로 설정된다. 또한, 소정 온도는, 수돗물의 스케일 농도나, 히터의 소요 내구 시간 등에 의해 적절히 정해진다.
저항체 패턴(20p)은, 세라믹 기체(20k) 상에 저항체가 인쇄되어 있다. 저항체 패턴(20p)은, 전열선(히터선)을 구성하고, 전극으로부터의 통전에 의해 발열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히터선은 X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사행하면서, Z 방향의 상방으로 넓어진다. 입구측 유로(25a)에 있어서의 히터선의 폭(20s)은, 출구측 유로(25b)에 있어서의 히터선의 폭(20s)보다 가늘고, 이 히터선의 단면적이 작다. 이 히터선의 폭(20s)이 가늘고, 히터선의 단면적이 작을수록, 히터선의 저항값이 크다. 따라서, 입구측 유로(25a)에 있어서의 히터선의 저항값은 출구측 유로(25b)에 있어서의 히터선의 저항값보다 높다. 이것에 의해, 입구측 유로(25a)에 있어서의 저항체의 패턴(20p)에 있어서의 발열 밀도는, 출구측 유로(25b)에 있어서의 저항체의 패턴(20p)에 있어서의 발열 밀도보다 높다.
[위생 세정 장치에 있어서의 세정수의 흐름]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자 밸브가 열리면, 세정수는, 급수원(8)의 수도 배관으로부터 분기수 마개를 거쳐서 급수로(9)로 흐른다. 도 3 및 도 4에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정수는, 급수로(9)로부터 입수구(23a)를 거쳐서 케이싱(23) 내에 유입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정수는, 헤더부(45)의 헤더부 주 유로(45a)에 진입한다. 헤더부 교축 유로(45b)의 단면적이 헤더부 주 유로(45a)의 단면적보다 매우 작기 때문에, 헤더부 주 유로(45a)로부터 헤더부 교축 유로(45b)으로의 저항은 헤더부 주 유로(45a)의 X 방향으로의 저항보다 크다. 따라서, 세정수의 상당수는 헤더부 주 유로(45a)의 X 방향으로 흐르고, 세정수는 헤더부 주 유로(45a)를 균일하게 채운다. 그리고, 세정수는, 헤더부 주 유로(45a)로부터 헤더부 교축 유로(45b)로 흐른다. 이 헤더부 교축 유로(45b)의 유로 단면적이 서서히 좁아지기 때문에, 세정수의 흐름은 점차 빨라진다. 또한, 헤더부 교축 유로(45b)에 공기가 체류하는 장소가 없다. 이 때문에, 세정수 중에 공기가 혼입해도, 공기는 모이는 일 없이, 유입부(10a)측을 향하여 옮겨진다. 세정수가 유입부(10a)로부터 입구측 유로(25a)로 흘러 들어가면, 기포는, 수직 방향의 유로 공간(25)을 따라서 부력에 의해서 부드럽게 상승한다. 또한, 기포는, 유출부(10b)를 향하여 높아지는 케이싱(23)의 천장면을 따라서, 유출부(10b)로 흐른다. 그리고, 기포는, 유출부(10b)로부터 출수구(23b)를 거쳐서 외부로 배출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정수는, 유입부(10a)로부터 유로 공간(25)의 입구측 유로(25a)에 유입한다. 유로 두께가 얇은 영역인 입구측 유로(25a)에서는 세정수의 유속이 빠르다. 이 때문에, 평판 형상 히터(20)의 각 전열면(20a, 20b)과 세정수의 경계층의 속도 구배가 크고, 각 전열면(20a, 20b)과 세정수와의 열 전달율이 크다. 게다가, 각 전열면(20a, 20b)에 있어서, 입구측 유로(25a)에 있어서의 저항체의 패턴(20p)에 있어서의 발열 밀도가 높다. 따라서, 세정수는, 각 전열면(20a, 20b)에 의해 가열되어 고온이 되는 동시에, 그 밀도가 작아진다. 이것에 의해, 세정수는 상승하여, 입구측 유로(25a)로부터 출구측 유로(25b)에 유입한다.
또한, 입구측 유로(25a)에 있어서의 저항체의 패턴(20p)에 있어서의 발열 밀도가 높기 때문에, 각 전열면(20a, 20b)의 온도는 높아지려고 한다. 단, 입구측 유로(25a)에 있어서의 세정수의 온도는 낮기 때문에, 서브 쿨(물의 비등 온도에 대해서의 냉각도)은 커져 세정수는 각 전열면(20a, 20b)으로부터 열을 많이 빼앗는다. 또한, 입구측 유로(25a)에서는, 유로 두께가 얇고, 세정수의 유속이 빠르다. 따라서, 세정수가 열 전달율이 높으며, 국소적인 비등 현상이 생길 정도의 고온이 되지 않는다.
출구측 유로(25b)에서는, 입구측 유로(25a)에 있어서의 강제 대류에 부가하여, 밀도의 차이로부터 자연 대류도 생긴다. 이들에 의해, 세정수는, 각 전열면(20a, 20b)을 따라서 상승한다. 이 세정수는, 입구측 유로(25a)에 있어서 가열되어 있기 때문에, 온도가 높다. 이 세정수에 의해 각 전열면(20a, 20b)으로부터 빼앗기는 열은 적고, 서브 쿨의 값은 작다. 이 때문에, 출구측 유로(25b)에 있어서의 각 전열면(20a, 20b)의 온도는 상승하기 쉽다. 그렇지만, 출구측 유로(25b)에 있어서의 발열 밀도가 작기 때문에, 출수구(23b)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세정수의 온도가 점차 상승하지만, 급격한 비등은 발생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스케일이 각 전열면(20a, 20b)의 일부에 부착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만일 각 전열면(20a, 20b)상에 발생하는 기포가 일어나도, 출구측 유로(25b)에 있어서의 유로 두께가 두꺼운 출구측 유로(25b)를 기포가 따라서 상승한다. 그리고, 기포는 출수구(23b)로부터 배출된다.
이와 같이 고온이 된 세정수가 출수구(23b)로부터 급수로(9)에 유입한다. 세정수는, 탱크(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해 온도가 조정된다. 그리고, 전자 밸브가 열리면, 노즐(7)로부터 따뜻한 세정수가 토출된다.
[효과]
단면적이 서서히 좁아지는 헤더부 교축 유로(45b)에 의해, 유속이 서서히 빨라진다. 이 때문에, 수도 배관 중에 공기가 혼입되었을 경우라도, 기포가 크게 성장하기 전에, 기포가 하류로 압출되어, 헤더부(45) 및 유로 공간(25)으로부터 신속하게 배출된다. 이것에 의해, 기포에 의해서, 각 전열면(20a, 20b)에 있어서의 세정수의 흐름이 불균일하게 되어, 각 전열면(20a, 20b)이 국소적으로 과열 상태가 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스케일이 각 전열면(20a, 20b)에 국부적으로 부착하여, 유로를 좁히는 것이 방지된다. 이것에 의해, 필요한 유량이 확보된다. 또한, 스케일에 의한 각 전열면(20a, 20b)의 온도 차이에 의해서, 열응력으로 평판 형상 히터(20)가 고장 나는 것이 회피된다.
또한, 헤더부 교축 유로(45b)가 크랭크 형상을 갖는 것에 의해, 헤더부 교축 유로(45b)에 있어서의 유로가 길어진다. 이 때문에, 만일, 헤더부 교축 유로(45b)에 있어서의 단면적이 조금 넓어져도, 헤더부 교축 유로(45b)에 있어서 유로 저항을 확보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세정수가 헤더부 주 유로(45a)의 전체 길이에 균일하게 헤더부 교축 유로(45b)에 유입할 수 있다.
헤더부 교축 유로(45b)에 의해 유로 공간(25)에 있어서 각 전열면(20a, 20b)을 따른 세정수의 균일한 빠른 흐름이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각 전열면(20a, 20b)과 세정수의 열 전달율이 커진다. 이 때문에, 세정수를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또한, 각 전열면(20a, 20b)의 온도를 낮게 억제하여, 각 전열면(20a, 20b)에 스케일이 부착하는 것을 저감 할 수 있다. 또한, 각 전열면(20a, 20b) 상에 발생하는 기포가 빠지기 쉬워, 국부적인 스케일의 발생 및 열응력에 의한 평판 형상 히터(20)의 파손이 방지되는 동시에, 전열면(20a, 20b)과 세정수의 열 교환이 저해되지 않고, 안정된 열 교환이 가능해진다.
특히, 입구측 유로(25a)에서는, 헤더부 교축 유로(45b)에 가깝고, 또한 유로 두께가 얇다. 이 때문에, 입구측 유로(25a)에서는, 헤더부 교축 유로(45b)로부터의 빠른 흐름이 유지된다. 따라서, 각 전열면(20a, 20b)과 세정수와의 경계층에 있어서의 속도 구배가 크고, 각 전열면(20a, 20b)과 세정수의 강제 대류에 의한 열 전달율이 크다. 세정수가 효율적으로 가열되어, 평판 형상 히터(20)의 파손이 방지된다.
또한, 출구측 유로(25b)에 있어서의 각 전열면(20a, 20b)의 발열 밀도가 작기 때문에, 국소적인 비등 현상이 방지되는 것에 의해, 평판 형상 히터(20)의 파손이 방지된다.
또한, 평판 형상 히터(20)는 표리의 양면의 전열면(20a, 20b)으로 세정수를 가열하기 때문에, 방열 로스가 거의 없다. 이 때문에, 열 교환기(10)의 높은 열효율을 실현할 수 있으며, 또한 컴팩트화 할 수 있다.
또한, 출구측 유로(25b)에 있어서도, 평판 형상 히터(20)는 국소적인 비등 현상이 생길 정도의 고온이 되는 것이 억제되어, 국부적인 스케일의 생성이 방지된다. 이 때문에, 금속과 비교하여 열 용량이 작지만, 깨지기 쉬우면 세라믹을 평판 형상 히터(20)에 이용해도, 그 분열이 방지되어, 위생 세정 장치(1)의 장기 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만일, 평판 형상 히터(20)에 양 전열면(20a, 20b)의 각각에 있어서의 전열량에 큰 차이가 생겨, 한쪽의 유로의 세정수가 국소적으로 비등하여, 기포가 생겼다고 해도, 기포가 원활히 배출된다. 따라서, 세정수의 유로 저항이 높아지거나 2개의 유로의 유량 밸런스가 무너지거나 2개의 유로의 전열량에 큰 차이가 생기거나 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만일, 유로 공간(25)의 유출부(10b) 근방에 서미스터 등의 온도 센서가 배치되어 있어도, 온도 센서는 적절히 온도를 검지할 수 있다. 즉, 기포가 배출되는 것에 의해, 기포가 커지는 일이 없다. 따라서, 큰 기포가 온도 센서에 붙어, 온도 센서가 큰 기포에 의해서 세정수와 접촉하지 못하여 세정수의 온도를 검출할 수 없다는 상황이 회피된다.
또한, 세정수의 강제 대류 및 기포의 배출에 의해, 스케일이 전열면(20a, 20b)에 부착하는 것이 억제된다. 이것에 의해, 스케일에 의한 전열 장애를 회피하기 위해, 전열면(20a, 20b)의 면적을 늘릴 필요가 없다. 따라서, 위생 세정 장치(1)의 비용 상승이 방지되며, 또한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헤더부 교축 유로(45b)의 단면적이 서서히 좁아지며, 또한 유로 공간(25)에 있어서 입구측 유로(25a)의 단면적이 출구측 유로(25b)보다 좁다. 이것에 의해, 유로 두께를 얇게 하지 않아도, 각 전열면(20a, 20b)을 따른 세정수의 균일한 빠른 흐름이 형성된다.
또한, 단면적이 서서히 좁아지는 헤더부 교축 유로(45b)와, 단면적이 좁은 입구측 유로(25a)에 의해, 강제 대류가 생겨, 전열면(20a, 20b) 상의 기포가 빠르게 상방으로 밀어 올려진다. 게다가, 단면적이 넓은 출구측 유로(25b)에 있어서, 큰 기포라도 이동하기 쉽다. 따라서, 기포는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된다. 이것에 의해, 세정수의 흐름은 균일하게 된다.
또한, 각 전열면(20a, 20b)의 발열 밀도는, 출구측 유로(25b)가 입구측 유로(25a)보다 작다. 이것에 대하여, 세정수의 유속은 입구측 유로(25a)가 출구측 유로(25b)보다 크다. 이 때문에, 각 전열면(20a, 20b)의 열 유속은 입구측 유로(25a)가 출구측 유로(25b)보다 높다. 이것에 의해, 전열면(20a, 20b)의 온도의 균일화를 도모할 수 있어서, 국소적으로 스케일이 부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이외의 예]
상기 실시형태 2에서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입구측 유로(25a)에 있어서의 히터선의 폭(20s)은, 출구측 유로(25b)에 있어서의 히터선의 폭(20s)보다 가늘게 형성되어 있다. 단, 입구측 유로(25a)에 있어서의 저항체의 패턴(20p)에 있어서의 발열 밀도가, 출구측 유로(25b)에 있어서의 저항체의 패턴(20p)에 있어서의 발열 밀도보다 높아지면, 이 히터선의 폭(20s)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저항체의 패턴(20p)에서는, 입구측 유로(25a)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히터선의 간격(20h)이, 출구측 유로(25b)보다 좁다. 이것에 의해, 입구측 유로(25a)에 있어서의 저항체의 패턴(20p)에 있어서의 발열 밀도가 출구측 유로(25b)에 있어서의 저항체의 패턴(20p)에 있어서의 발열 밀도보다 높아져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2에서는, 헤더부 교축 유로(45b)는, 대략 크랭크 형상을 갖고, 그 유로 단면적이 서서히 좁혀졌다. 헤더부 교축 유로(45b)의 형상은 대략 크랭크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하는 수직부(45bb) 및 수평부(45bc)의 2변으로 형성되고, 그 2변이 각각 경사진 대략 「<」형상의 단면에서 헤더부 교축 유로가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유로 단면적이 단계적으로 좁혀지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방으로 향하여 간격이 좁아지는 삼각형 형상의 단면에서 헤더부 교축 유로가 형성되어도 좋다. 이 경우, 유로 단면적은 연속적으로 점점 좁혀진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2에서는, 각 부재(21, 22)에 있어서 선반 단부(31, 41)에 의해 베이스부(30, 40)의 Y 방향의 두께가 단계적으로 바뀌었다. 이것에 의해, 유로 공간(25)에 단면적이 다른 2개의 유로(25a, 25b)가 마련되었다. 이것에 대하여,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부(30, 40)의 Y 방향의 두께가 서서히 바뀌도록 각 부재(21, 22)가 형성되어도 좋다. 이 경우, 유로 공간(25)에는 단면적이 서서히 바뀌는 1개의 유로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전체 실시형태는, 서로 상대를 배제하지 않는 한, 서로 조합시켜도 좋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이 많은 개량이나 다른 실시형태가 분명하다. 따라서, 상기 설명은 예시로서만 해석되어야만 하며, 본 발명을 실행하는 최선의 형태를 당업자에게 교시하는 목적으로 제공된 것이다. 본 발명의 정신을 일탈하는 일 없이, 그 구조 및/또는 기능의 상세를 실질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위생 세정 장치는, 필요한 세정수의 유량을 확보하고, 또한 고장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위생 세정 장치 등으로서 유용하다.
1 : 위생 세정 장치 7 : 노즐
8 : 급수원 9 : 급수로
10 : 열 교환기 10a : 유입부
10b : 유출부 20 : 평판 형상 히터
20a : 제 1 전열면(전열면) 20b : 제 2 전열면(전열면)
20k : 세라믹 기체 20p : 패턴(전열선)
23 : 케이싱 23a : 입수구
25 : 유로 공간 30a : 베이스면(주면)
40a : 베이스면(주면) 45 : 헤더부
45a : 헤더부 주 유로(주 유로) 45b : 헤더부 교축 유로(교축 유로)

Claims (8)

  1. 노즐과, 급수원에 접속되어야 하는 상류단을 갖고, 하류단이 상기 노즐에 접속된 급수로와, 상기 급수로에 마련되는 열 교환기를 구비하고,
    상기 열 교환기는,
    입수구와, 유입부와, 상기 입수구와 상기 유입부 사이에 형성된 헤더부와, 상기 유입부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유출부와, 하단부가 상기 유입부에 연통하고, 상단부가 상기 유출부에 연통하며, 또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판 형상의 히터 수용 공간을 포함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히터 수용 공간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수용되고, 상기 히터 수용 공간의 주면에 대향하는 전열면을 포함하는 평판 형상 히터와,
    상기 전열면과 상기 히터 수용 공간의 주면 사이의 간극에 형성된 유로 공간을 갖고,
    상기 헤더부는, 주 유로와, 상기 주 유로로부터 상기 유입부를 향하여 서서히 좁아지는 교축 유로를 갖고,
    상기 유로 공간은, 상기 간극의 폭이 상기 유입부측으로부터 상기 유출부측을 향하여 단계적 또는 연속적으로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입부는, 상기 평판 형상 히터의 하단에 대향하는 상기 히터 수용 공간의 하단면에 상기 히터 수용 공간의 하단면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개구되어 있는
    위생 세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 형상 히터는 상기 유입부측의 발열 밀도가 상기 유출부측의 발열 밀도보다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위생 세정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 형상 히터는 세라믹 기체와, 상기 세라믹 기체상에 패턴 인쇄로 형성된 전열선을 갖고,
    상기 유입부측의 상기 전열선의 단면적이 상기 유출부측의 상기 전열선의 단면적보다 작은
    위생 세정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 형상 히터는 세라믹 기체와, 상기 세라믹 기체상에 패턴 인쇄하여 형성된 전열선을 갖고,
    상기 유입부측의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전열선의 간격이 상기 유출부측의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전열선의 간격보다 작은
    위생 세정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27022666A 2011-04-22 2012-03-06 위생 세정 장치 KR1013997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95749A JP5786129B2 (ja) 2011-04-22 2011-04-22 熱交換器
JPJP-P-2011-095750 2011-04-22
JPJP-P-2011-095749 2011-04-22
JP2011095750 2011-04-22
PCT/JP2012/001522 WO2012144122A1 (ja) 2011-04-22 2012-03-06 衛生洗浄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7476A KR20120137476A (ko) 2012-12-21
KR101399717B1 true KR101399717B1 (ko) 2014-05-27

Family

ID=47041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2666A KR101399717B1 (ko) 2011-04-22 2012-03-06 위생 세정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1399717B1 (ko)
CN (1) CN102859086B (ko)
TW (1) TWI504370B (ko)
WO (1) WO20121441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11479B (zh) * 2012-12-17 2015-05-13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热交换器及具备该热交换器的卫生清洗装置
JP6155972B2 (ja) * 2013-08-27 2017-07-05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熱交換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備える人体局部洗浄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8159A (ja) * 1995-09-21 1997-03-31 Toto Ltd 衛生洗浄装置
JP2000054463A (ja) 1998-08-10 2000-02-22 Toto Ltd 衛生洗浄装置
KR100804303B1 (ko) 2007-04-25 2008-02-18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순간 가열 장치
KR20100007386U (ko) * 2009-01-12 2010-07-21 주식회사 지노아이앤티 비데용 순간 가열 히터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45693A (en) * 1991-03-15 1993-09-14 In-Touch Products Co. Parenteral fluid warmer apparatus and disposable cassette utilizing thin, flexible heat-exchange membrane
TW373047B (en) * 1997-04-02 1999-11-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pparatus for washing human private
KR100624568B1 (ko) * 2006-01-02 2006-09-15 주식회사 노비타 세정기용 순간 온수장치
CN201190322Y (zh) * 2008-05-23 2009-02-04 浙江星星便洁宝有限公司 智能座便器瞬间加热装置
JP2012002491A (ja) * 2009-09-07 2012-01-05 Panasonic Corp 熱交換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8159A (ja) * 1995-09-21 1997-03-31 Toto Ltd 衛生洗浄装置
JP2000054463A (ja) 1998-08-10 2000-02-22 Toto Ltd 衛生洗浄装置
KR100804303B1 (ko) 2007-04-25 2008-02-18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순간 가열 장치
KR20100007386U (ko) * 2009-01-12 2010-07-21 주식회사 지노아이앤티 비데용 순간 가열 히터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7476A (ko) 2012-12-21
CN102859086B (zh) 2015-01-21
TWI504370B (zh) 2015-10-21
WO2012144122A1 (ja) 2012-10-26
TW201242561A (en) 2012-11-01
CN102859086A (zh) 2013-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03263B2 (ja) 洗浄機用瞬間式温水装置
JP2014228252A (ja) 熱交換ユニットおよび人体局部洗浄装置
KR20140057184A (ko) 히타를 사용한 슬림구조를 갖는 정수기의 온수공급을 위한 순간 가온기
KR101399717B1 (ko) 위생 세정 장치
JP5534117B2 (ja) 熱交換器の製造方法
JP3675249B2 (ja) 瞬間加熱温水装置
JP5945722B2 (ja) 熱交換器とそれを備えた衛生洗浄便座
JP5747165B2 (ja) 熱交換器
JP2012007764A (ja) 燃焼装置
KR20160117966A (ko) 보일러
WO2013150696A1 (ja) 熱交換器とそれを備えた衛生洗浄装置
KR20210056966A (ko) 비데용 온수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장치
JP5786129B2 (ja) 熱交換器
US8687952B2 (en) Heating apparatus
US20120148220A1 (en) Heat exchanger
EP3012549B1 (en) Heating device and sanitary washing device with such a heating device
JP3241659U (ja) スペーサー板を有する縦型電気温水器
JPH0674557A (ja) 純水加温装置
JP5460937B1 (ja) 熱交換器およびそれを備える衛生洗浄装置
JP6114613B2 (ja) 蓄電池の温度調整装置
KR20030063065A (ko) 비데용 순간식 온수공급장치
JP4194906B2 (ja) 人体局部洗浄装置
KR20200045649A (ko) 순간온수방식 히터 장치
JP2005090872A (ja) 流体加熱装置
JPH04155183A (ja) 熱交換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