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7184A - 히타를 사용한 슬림구조를 갖는 정수기의 온수공급을 위한 순간 가온기 - Google Patents

히타를 사용한 슬림구조를 갖는 정수기의 온수공급을 위한 순간 가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7184A
KR20140057184A KR1020130133216A KR20130133216A KR20140057184A KR 20140057184 A KR20140057184 A KR 20140057184A KR 1020130133216 A KR1020130133216 A KR 1020130133216A KR 20130133216 A KR20130133216 A KR 20130133216A KR 20140057184 A KR20140057184 A KR 201400571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means
water
main body
flow path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3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7210B1 (ko
Inventor
김영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은성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은성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은성산업
Publication of KR20140057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7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7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7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0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 F24H1/101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0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 F24H1/12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 F24H1/14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by tubes, e.g. bent in serpentine fo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tantaneous Water Boilers,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nd Control Of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의 온수 공급을 위한 순간 가온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히팅수단에 의하여 가열되어 지면서도 소형화가 가능하고, 순간적인 가열이 가능토록 하여 별도의 저장탱크가 불필요하면서도 지속적으로 가온된 온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2장의 판체를 사용하여 차열블럭에 의한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유로에는 히팅수단을 구비토록 한 후 상기 유로에 정수된 물의 하단에서의 주입과 상단에서의 토출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정수된 물리 유로를 통과하면서 히팅수단과 직접적인 접촉에 의하여 신속하게 가열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차열판이나 본체의 형태변화를 가함으로서 정수된 물이 히팅수단과 직접적으로 접촉할 경우에 발생되는 기포를 제거토록 함으로서 가온의 용이성과 토출의 용이성은 물론 사용자의 안정성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히타를 사용한 슬림구조를 갖는 정수기의 온수공급을 위한 순간 가온기{A heating device that slim type}
본 발명은 정수기의 온수 공급을 위한 순간 가온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히팅수단에 의하여 가열되어 지면서도 소형화가 가능하고, 순간적인 가열이 가능토록 하여 별도의 저장탱크가 불필요하면서도 지속적으로 가온된 온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에는 필터에 의하여 정수된 물을 냉수 또는 온수로 제공하게 되는데 통상적인 온수제공구조는 히팅수단에 의하여 가열되어 저장되는 온수통을 구비토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럴 경우에 장시간 사용시 또는 일정시간 온수통의 물을 사용치 아니할 경우에 온수통에 스케일(일명 물때)이 끼이게 되면서 이물질의 발생은 물론 이러한 것들에서의 유해균의 서식원인이 된다라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온수통을 사용할 경우에는 정수기의 대형화로 인하여 소형화가 불가능하여 다양한 디자인과 소형화를 요구하는 현대인의 요구에 부응할 수 없다라는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 2장의 스텐레스 판체(111,112)을 사용하여 좁은 내공간(110)을 갖는 가온통(120)을 구비한 후 상기 가온통(120)을 형성하는 어느 일면 또는 양면에 위치되는 스텐레스 판체(111,112)의 외부 표면에 발열수단(130)을 열처리 방식에 의하여 고착토록 한 순간 가온기(100)가 제공되고 있으나 이러한 가온기(100)의 제조를 위한 방식이 스텐레스 판체(111,112)의 외부 표면에 프린팅되어지는 발열수단(130)의 고착을 위한 열처리를 위하여는 별도의 시설(가열로 등)이 요구되어진다라는 것이고, 또한 이러한 발열수단이 고착된 상태에서 스텐레스 판체에는 열에 의하여 결정입계에 탄화물이 형성되면서 전해연마에 어려움을 제공하게 된다라는 것이고, 또한 이러한 스텐레스 판체를 내공간의 형성을 위하여 용접토록 할 경우에 용접열에 의하여 스텐레스 판체의 일면에 고착된 발열수단이 훼손되어진다라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스텐레스 판체는 고온의 열처리과정에서의 컬링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대부분 스텐레스 판체(111,112)의 두께를 1.5㎜ 이상의 것을 사용함으로서 재료비의 상승은 물론 가공비의 증가와 이러한 두께로 인하여 열전달이 저하된다라는 것이어서 비경제적임은 물론 실질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라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프린팅 방식에 의하여 스텐레스 판체에 고착되는 발열수단이 없이 히팅수단을 사용하면서도 박형의 슬림형이면서도 소형화가 가능토록 함은 물론 제조의 용이성과 가온의 용이성은 물론 지속성을 구비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2장의 판체를 사용하여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유로에는 히팅수단을 구비토록 한 후 상기 유로에 정수된 물을 하단에서 주입하여 상단으로 토출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정수된 물이 힝팅수단이 구비된 유로를 통과하면서 히팅수단과 직접적인 접촉에 의하여 신속하게 가열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차열판을 사용하여 정수된 물이 히팅수단과 직접적으로 접촉할 경우에 발생되는 기포를 제거토록 함으로서 가온의 용이성과 토출의 용이성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가열시 발생되는 기포를 제거하기 위하여 에어벤트를 사용함으로서 좀더 간단한 구조를 갖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유로를 원형으로 형성하여 물의 흐름을 용이토록 함으로서 소음의 발생을 억제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박형의 슬림이면서도 소형화가 가능한 상태에서도 히팅수단에 의하여 정수된 물이 직접접촉함으로서 지속적인 가온이 가능하게 되면서 제작의 용이성과 경제성을 갖도록 한 것이다.
또한 기포의 발생을 제거토록 함으로서 효율을 우수하게 함은 물론 소음의 발생도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본체에 차열판이 장착된 상태에서 유로가 형성된 상태의 정면도.
도2는 본 발명의 도1의 본체에 유입관이 형성된 상태도.
도3은 본 발명의 정수된 물이 유로를 통과하는 상태도.
도4는 본 발명의 유로에 수용되어지는 히팅수단을 나타낸 평면도.
도5는 본 발명의 도4의 히팅수단이 다층으로 코일링된 상태의 측면도.
도6은 본 발명의 도4의 히팅수단의 저면도.
도7은 본 발명의 도1의 유로에 히팅수단이 장착된 상태의 정면도.
도8은 본 발명의 도3의 유로에 히팅수단이 장착된 상태에서의 물의 흐름도.
도9는 본 발명의 도2의 유로에 코일링 된 히팅수단이 장착된 상태에서의 일부를 절개한 상태도.
도10은 본 발명의 차열판에 통공이 형성된 평면도.
도11은 본 발명의 본체의 또 다른 구조를 나타낸 조립도.
도12는 본 발명의 본체를 구성하는 기판과 덮개판의 조립상태에서 히팅수단이 장착된 상태도.
도13은 본 발명의 본체의 유로와 히딩수단이 원형으로 이루어진 상태도.
도14는 본 발명의 본체에 차열판이 장착된 일 실시 예의 사시도.
도15는 본 발명의 본체의 또 다른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은 내공간(11)을 갖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공간(11)에는 차열블럭(14)이 형성되어 유로(1)를 형성하고, 상기 본체(10)의 외부로는 일정길이로 돌출되는 유입관(12)과 유출관(13)형성되고, 상기 유로(1)에는 히팅수단(2)이 형성되어 상기 히팅수단(2)의 양단이 본체(10)의 외부로 노출되어 히팅수단(2)의 가열을 위한 전원이 각각 연결되어지는 것이다.
이때 히팅수단(2)이 형성된 유로(1)에 가열을 위한 물이 유입되는 유입관(12)은 본체(10)의 하단에 위치되고 유출관(13)은 본체(10)의 상단에 위치되어져 물이 차오르게 되면서 서서히 가온토록 하는 것이다.
이때 본체(10)는 차열블럭(14)이 일체로 형성되는 덮개판(10a)과 히팅수단(2)이 장착되는 기판(10b)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원가를 절갑토록 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기판(10b)에 히팅수단(2)의 장착을 위하여 직립되는 외벽(16)을 형성토록 하여 제작시 조립의 용이성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기판(10b)과 덮개판(10a)의 결합은 테두리를 컬링에 의하여 마감토록 하거나 용접에 의하여 마감토록 하는 것이고, 또한 차열블럭(14)에 의하여 유로(1)를 형성할 경우에 덮개판(10a)에 형성된 차열블럭(14)의 상면의 중앙에 요입부(14a)를 형성하여 기판(10b)과 결합될 경우에 밀착면(14b)을 적게 형성한 후 용접에 의하여 고정토록 하는 것이고, 이러한 요입부(14a)에 의하여 용접시 발생되는 열에 의한 팽창시 완충토록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체(10)의 유로(1)상의 유출관(13)이 형성된 부분으로는 일정각도로 절곡된 절곡면(22)을 갖고 각각의 절곡면(22)에는 통공(21)을 갖는 차열판(20)을 장착하여 공간부(3)를 구비토록 함으로서 유입관(12)으로 유입된 물이 유로(1)를 흐르면서 히팅수단(2)에 의하여 가열될 경우에 발생되는 기포를 절곡면(22)의 외부에 형성되는 공간부(3)로 토출토록 하는 것이다.
이때 절곡면(22)에 형성되는 통공(21)은 차열판(20)이 절곡된 상태에서 절곡면(22)의 선단(외측)으로 위치토록 하여 유로(1)를 통하여 가열되면서 상승되는 물에 함유된 기포가 통공(21)을 통하여 공간부(3)로 토출되어지면서 절곡된 차열판(20)의 중앙으로는 물이 모아지도록 하여 유출관(13)을 통하여 기포가 함유되지 않은 물만이 토출토록 하는 것이어서 사용자가 물을 받을 경우에 튀는 현상이 방지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차열판(20)을 사용치 아니할 경우에는 도11 및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상면의 유출관(13)이 형성된 부분에 경사지게 경사면(15)을 형성하여 경사면(15)의 꼭지점(15a)에는 에어벤트(4)를 장착함으로서 기포에 의하여 발생되는 증기를 본체(10)의 외부로 배기토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유로(1)를 형성하기 위한 덮개판(10a)에 형성된 차열블럭(14)은 본체(10)의 내공간(11)의 중앙을 점유토록 함으로서 유로(1)가 본체(10)의 외곽테두리에 형성토록 함으로서 히팅수단(2)의 면적을 크게 유도토록 한 것이고 이를 위한 히팅수단(2)은 다층으로 코일링되어짐으로서 히팅수단(2)의 면적을 크게 하여 가열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차열블럭(14)을 원형으로 형성할 경우에 본체(10)를 구성하는 기판(10b)과 덮개판(10a)의 가공이 용이하게 되고 또한 히팅수단(2)의 코일링도 용이하게 됨으로 제품의 원가를 절감함은 물론 하자발생을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히팅수단(2)만을 사용하면서도 박형이면서 슬림화가 가능하게 제조가 가능함은 물론 히팅수단(2)이 유로(1)내에 위치토록 함으로서 유입관(12)을 통하여 유입된 물이 유로(1)를 흐르게 되면서(차오르게 되면서) 히팅수단(2)과 직접적인 접촉에 의하여 가열효율을 우수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히팅수단(2)이 장착된 유로(1)가 차열블럭(14)에 의하여 구획됨으로 유로(1)를 흐르는 물이 즉시 가열이 이루어지게 되어 지속적으로 온수의 토출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1:유로 2:히팅수단
3:공간부 4:에어벤트
10:본체 10a:덮개판
10b:기판 11:내공간
12:유입관 13:유출관
14:차열블럭 14a:요입부
14b:밀착면 15:경사면
15a:꼭지점 16:외벽
20:차열판 21:통공
22:절곡면

Claims (11)

  1. 내공간(11)을 갖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공간(11)에는 차열블럭(14)이 형성되어 유로(1)를 형성하고,
    상기 본체(10)의 외부로는 일정길이로 돌출되는 유입관(12)과 유출관(13)형성되고,
    상기 유로(1)에는 히팅수단(2)이 형성되고,
    상기 히팅수단(2)의 양단은 본체(10)의 외부로 노출되어 히팅수단(2)의 가열을 위한 전원이 각각 연결되어지는 히타를 사용한 슬림구조를 갖는 정수기의 온수공급을 위한 순간 가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의 히팅수단이 형성된 본체(10)의 상면의 유출관(13)이 형성된 부분에 경사지게 경사면(15)을 형성하여 경사면(15)의 꼭지점(15a)에는 에어벤트(4)를 장착함으로서 기포에 의하여 발생되는 증기를 본체(10)의 외부로 배기토록 하는 히타를 사용한 슬림구조를 갖는 정수기의 온수공급을 위한 순간 가온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수단(2)이 형성된 유로(1)에 가열을 위한 물이 유입되는 유입관(12)은 본체(10)의 하단에 위치되고 유출관(13)은 본체(10)의 상단에 위치되어져 물이 차오르게 되면서 서서히 가온토록 하는 히타를 사용한 슬림구조를 갖는 정수기의 온수공급을 위한 순간 가온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차열블럭(14)이 일체로 형성되는 덮개판(10a)과 히팅수단(2)이 장착되는 기판(10b)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히타를 사용한 슬림구조를 갖는 정수기의 온수공급을 위한 순간 가온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1)를 형성하기 위한 덮개판(10a)에 형성된 차열블럭(14)은 본체(10)의 내공간(11)의 중앙을 점유토록 함으로서 유로(1)가 본체(10)의 외곽테두리에 형성토록 함으로서 히팅수단(2)의 면적을 크게 유도토록 한 히타를 사용한 슬림구조를 갖는 정수기의 온수공급을 위한 순간 가온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수단(2)은 다층으로 코일링되어짐으로서 히팅수단(2)의 면적을 크게 하여 가열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히타를 사용한 슬림구조를 갖는 정수기의 온수공급을 위한 순간 가온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10b)에 히팅수단(2)의 장착을 위하여 직립되는 외벽(16)을 형성토록 하여 제작시 조립의 용이성을 제공하게 되는 히타를 사용한 슬림구조를 갖는 정수기의 온수공급을 위한 순간 가온기.

  8. 상기 차열블럭(14)에 의하여 유로(1)를 형성할 경우에 덮개판(10a)에 형성된 차열블럭(14)의 상면의 중앙에 요입부(14a)를 형성하여 기판(10b)과 결합될 경우에 밀착면(14b)을 적게 형성한 후 용접에 의하여 고정토록 하는 히타를 사용한 슬림구조를 갖는 정수기의 온수공급을 위한 순간 가온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유로(1)상의 유출관(13)이 형성된 부분으로는 일정각도로 절곡된 절곡면(22)을 갖고 각각의 절곡면(22)에는 통공(21)을 갖는 차열판(20)을 장착하여 공간부(3)를 구비토록 하여 유입관(12)으로 유입된 물이 유로(1)를 흐르면서 히팅수단(2)에 의하여 가열될 경우에 발생되는 기포를 절곡면(22)의 외부에 형성되는 공간부(3)로 토출토록 하는 히타를 사용한 슬림구조를 갖는 정수기의 온수공급을 위한 순간 가온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면(22)에 형성되는 통공(21)은 차열판(20)이 절곡된 상태에서 절곡면(22)의 선단(외측)으로 위치토록 하여 유로(1)를 통하여 가열되면서 상승되는 물에 함유된 기포가 통공(21)을 통하여 공간부(3)로 토출되어지면서 절곡된 차열판(20)의 중앙으로는 물이 모아지도록 하여 유출관(13)을 통하여 기포가 함유되지 않은 물만이 토출토록 하는 히타를 사용한 슬림구조를 갖는 정수기의 온수공급을 위한 순간 가온기.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열블럭(14)을 원형으로 형성하고, 코일링된 히팅수단(2)도 원형으로 형성하여 제품의 원가를 절감함은 물론 하자발생을 줄일 수 있게 되는 히타를 사용한 슬림구조를 갖는 정수기의 온수공급을 위한 순간 가온기.

KR1020130133216A 2012-11-02 2013-11-04 히타를 사용한 슬림구조를 갖는 정수기의 온수공급을 위한 순간 가온기 KR1016372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23819 2012-11-02
KR1020120123819 2012-11-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7184A true KR20140057184A (ko) 2014-05-12
KR101637210B1 KR101637210B1 (ko) 2016-07-07

Family

ID=50888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3216A KR101637210B1 (ko) 2012-11-02 2013-11-04 히타를 사용한 슬림구조를 갖는 정수기의 온수공급을 위한 순간 가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7210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99382A1 (en) * 2014-06-26 2015-12-30 Lg Electronics Inc. Home appliance
KR20160125926A (ko) * 2016-05-24 2016-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도 가열 장치에 의해 가열되는 가열유로를 구비한 정수기
CN106132499A (zh) * 2014-06-26 2016-11-16 Lg电子株式会社 家用电器
US20170050835A1 (en) * 2015-08-21 2017-02-23 Lg Electronics Inc. Induction heater and water dispenser
KR20170063451A (ko) * 2017-02-17 2017-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20170125562A (ko) * 2016-05-04 2017-1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도 가열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
KR20180042199A (ko) * 2018-04-17 2018-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도 가열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
KR20180042200A (ko) * 2018-04-17 2018-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도 가열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
KR20180042198A (ko) * 2018-04-17 2018-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도 가열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
KR20180042201A (ko) * 2018-04-17 2018-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도 가열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
KR20190139177A (ko) * 2016-05-24 2019-1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도 가열 장치에 의해 가열되는 가열유로를 구비한 정수기
US10962282B2 (en) 2015-11-30 2021-03-30 Lg Electronics Inc. Liquid pur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0888B1 (ko) * 2018-10-11 2021-05-11 코웨이 주식회사 비데용 온수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장치
KR20220114217A (ko) 2021-02-08 2022-08-17 코웨이 주식회사 온수 생성 장치,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및 온수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3502U (ja) * 1992-05-22 1993-12-21 東京瓦斯株式会社 溶存空気の分離除去装置
JP2010112571A (ja) * 2008-11-04 2010-05-20 Nissan Motor Co Ltd 流体加熱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3502U (ja) * 1992-05-22 1993-12-21 東京瓦斯株式会社 溶存空気の分離除去装置
JP2010112571A (ja) * 2008-11-04 2010-05-20 Nissan Motor Co Ltd 流体加熱装置

Cited B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19965A (ja) * 2014-06-26 2017-07-20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家電製品
CN106132499B (zh) * 2014-06-26 2019-11-08 Lg电子株式会社 家用电器
CN106132499A (zh) * 2014-06-26 2016-11-16 Lg电子株式会社 家用电器
US10327283B2 (en) 2014-06-26 2019-06-18 Lg Electronics Inc. Home appliance
EP3160613A4 (en) * 2014-06-26 2018-08-08 LG Electronics Inc. Home appliance
AU2015280916B2 (en) * 2014-06-26 2017-08-17 Lg Electronics Inc. Home appliance
WO2015199382A1 (en) * 2014-06-26 2015-12-30 Lg Electronics Inc. Home appliance
CN106468474A (zh) * 2015-08-21 2017-03-01 Lg电子株式会社 感应加热模块和水分配器
WO2017034201A1 (en) * 2015-08-21 2017-03-02 Lg Electronics Inc. Induction heater and water dispenser
US11014800B2 (en) 2015-08-21 2021-05-25 Lg Electronics Inc. Induction heater and water dispenser
US10472223B2 (en) 2015-08-21 2019-11-12 Lg Electronics Inc. Induction heater and water dispenser
AU2016310968B2 (en) * 2015-08-21 2019-05-30 Lg Electronics Inc. Induction heater and water dispenser
US20170050835A1 (en) * 2015-08-21 2017-02-23 Lg Electronics Inc. Induction heater and water dispenser
CN106468474B (zh) * 2015-08-21 2019-10-01 Lg电子株式会社 感应加热模块和水分配器
US10962282B2 (en) 2015-11-30 2021-03-30 Lg Electronics Inc. Liquid pur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70125562A (ko) * 2016-05-04 2017-1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도 가열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
US10883742B2 (en) 2016-05-04 2021-01-05 Lg Electronics Inc. Induction heating module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KR20190139177A (ko) * 2016-05-24 2019-1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도 가열 장치에 의해 가열되는 가열유로를 구비한 정수기
KR20160125926A (ko) * 2016-05-24 2016-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도 가열 장치에 의해 가열되는 가열유로를 구비한 정수기
KR20170063451A (ko) * 2017-02-17 2017-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20180042201A (ko) * 2018-04-17 2018-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도 가열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
KR20180042198A (ko) * 2018-04-17 2018-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도 가열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
KR20180042200A (ko) * 2018-04-17 2018-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도 가열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
KR20180042199A (ko) * 2018-04-17 2018-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도 가열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7210B1 (ko) 2016-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57184A (ko) 히타를 사용한 슬림구조를 갖는 정수기의 온수공급을 위한 순간 가온기
JP2007183087A (ja) 洗浄機用瞬間式温水装置
KR200430701Y1 (ko) 순간가열식 전기 보일러
CN110114621A (zh) 具有热风发生功能的储水式电热水器
KR101231317B1 (ko) 전기식 온수탱크
TWI550240B (zh) The use of hot and cold cycle to achieve cooling and waste heat heating water dispenser structure
JP5534117B2 (ja) 熱交換器の製造方法
US20130302020A1 (en) Heating device for electric water heater
KR101399717B1 (ko) 위생 세정 장치
JP5747165B2 (ja) 熱交換器
JP2012522620A (ja) スチーム殺菌装置
JP2012024445A (ja) 茹麺器
KR20160026502A (ko) 순간 온수기 및 이를 이용한 온수 보일러
CN215127321U (zh) 加热体及速热饮水机
KR101574264B1 (ko) 무동력순환식 난방장치
JP2007135664A (ja) ミラー装置
JP6114613B2 (ja) 蓄電池の温度調整装置
JP5381340B2 (ja) 温水システム
US20160348942A1 (en) Fluid circulation type heating apparatus
KR101415957B1 (ko) 보일러용 인덕션 가열기의 폐열을 이용한 온수 가열장치
KR20120097824A (ko) 전기보일러
JP2005034625A (ja) めん類の茹で装置
KR101405519B1 (ko) 온수탱크
CN112146267A (zh) 即热式电热水器
KR20110113852A (ko) 온수 가열용 히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1207

Effective date: 20160624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