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4568B1 - 세정기용 순간 온수장치 - Google Patents

세정기용 순간 온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4568B1
KR100624568B1 KR1020060024226A KR20060024226A KR100624568B1 KR 100624568 B1 KR100624568 B1 KR 100624568B1 KR 1020060024226 A KR1020060024226 A KR 1020060024226A KR 20060024226 A KR20060024226 A KR 20060024226A KR 100624568 B1 KR100624568 B1 KR 100624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inlet
heat
water device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4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선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노비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노비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노비타
Priority to JP2006172893A priority Critical patent/JP4303263B2/ja
Priority to US11/473,711 priority patent/US7330645B2/en
Priority to CN2006101017005A priority patent/CN1995850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4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4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0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 F24H1/12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 F24H1/14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by tubes, e.g. bent in serpentine form
    • F24H1/142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by tubes, e.g. bent in serpentine form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2Casings; Cover lids; Ornamental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18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1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 F24H9/2028Continuous-flow hea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22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non-flexible
    • H05B3/26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mounted on insulating ba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2Temperature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8Level sensors, e.g. water level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50/00Electrical heat generating means
    • F24H2250/02Resist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tantaneous Water Boilers,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nd Control Of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정기용 순간 온수장치에서 유로를 통과하는 유체를 순간적으로 가열하고, 가열에 따른 유체의 온도가 층류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 세정기용 순간 온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입수구와 출수구가 구비되며, 상기 입수구와 출수구 사이에 유로가 형성 되도록 마련되는 하우징과, 상기 입수구로 공급된 유체가 열 교환되도록 가열경로가 형성된 열교환부와, 상기 열교환부에 마련되며, 입수구로 유입된 유체를 순간 열 교환시키는 히터 및, 상기 열교환부에서 열 교환되어 층류된 유체를 균일하게 혼합하는 혼합부를 포함한다.
층류, 온수, 온수기, 온수장치, 세정기, 비데, 혼합

Description

세정기용 순간 온수장치{WARM WATER DEVICE THE MOMENT FOR IRRIGATO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정기용 순간 온수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정기용 순간 온수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C-C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정기용 순간 온수장치의 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터의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장착판을 통해 히터를 열교환부에 간접 결합시킨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하우징 200: 히터
10: 입수구 20: 출수구
30: 열교환부 31: 유로
32: 격벽 40: 혼합부
41: 유입구 50: 감지부
210; 발열체 201; 열전달부재
202; 리드와이어 204; 컨덕터
본 발명은 세정기용 순간 온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로를 통과하는 유체를 순간적으로 가열하고, 가열된 유체가 층류되는 것을 방지한 세정기용 순간 온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수장치는 유체를 일정온도로 가열하는 것으로 주로 물을 유체로 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온수장치는 온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온수기를 비롯해 실내를 난방 하는 보일러, 온수 세정기, 자동판매기 등에도 설치된다.
여기서, 온수 세정기에는 순간적으로 일정온도로 가열하여 온수를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순간 온수장치가 주로 적용되고 있고 이러한 온수장치는 2005년 국내등록특허 제484344호 "인체 국부 세정장치"제시되고 있다. 그리고 순간 온수장치는 주로 입수구와 출구수가 구비되며 입수구로 공급된 유체를 소정의 온도로 가열할 수 있도록 히터가 마련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온수장치는 히터가 지그재그 형태의 단일 경로상에 마련됨으로서 열 교환 효율은 향상시킬 수 있었으나, 흐르는 유체를 순간적으로 가열함으로서 히터와 접하는 부분(온수층)과 히터와 접하지 않은 부분(냉수층)으로 온도가 구분되는 층류가 발생된다.
그리고 상기 층류상태로 출수구를 통해 공급된다. 즉 층류된 상태로 공급되는 유체에 의해 온수세정을 할 경우에는 온수와 냉수가 동시에 취해짐으로서 온도차에 의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다.
또한, 온수장치에서는 층류된 유체 상태에서 출수구의 온도센서가 냉수층의 온도를 감지하게 되면 그 냉수층의 온도를 기준으로 열 교환 되도록 히터를 발열시키게 되어 온수층의 유체는 더욱 고온으로 열 교환 되어 공급됨으로 사용자가 화상을 입을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온수층의 온도를 감지하여 그 온수층의 온도를 기준으로 가열하게 되면, 냉수층의 온도는 더욱 저온이 되어 공급됨으로서 신체에 접할 경우 놀라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단점을 개선하는 국내특허 제420081호 "비데용 순간식 온수공급장치"가 제시되었다. 그런데 종래특허는 층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유출구를 형성한 판체형의 재료를 열교환부에 형성하고 있으나 이는 유체가 유출구 이전까지 가열수단과 접하는 상태이므로 층류된 상태로 유출구를 통해 온수세정기로 공급되므로 그 층류가 해소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세정기내의 유체 공급로에 판형의 히터를 적용하여 유체의 순간적인 가열이 가능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열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세정기용 순간 온수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열 교환되어 공급되는 유체가 온수층과 냉수층으로 층류되어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세정기용 순간 온수장치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세정기용 순간 온수장치는, 입수구와 출수구가 구비되며, 상기 입수구와 출수구 사이에 유로가 형성되도록 마련되는 하우징; 상기 입수구로 공급된 유체가 유로내에 유입시 열 교환시키는 열교환부; 상기 열교환부에 마련되며, 입수구로 유입된 유체를 순간 열 교환시키도록 가열부인 히터; 및, 상기 열교환부에서 열 교환되어 층류된 유체를 균일하게 혼합하는 혼합부; 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열교환부는 하우징에 마련되며, 상기 유로는 지그재그로 형성되도록 일측이 관통된 격벽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혼합부는 열 교환된 유체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와, 혼합된 유체의 온도를 감지하는 출수센서가 마련되며, 상기 출수센서는 출수구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혼합부는 상기 가열부에서 열 교환된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의 직경은 혼합부에서 역부하를 발생시켜 열 교환된 유체가 혼합될 수 있도록 상기 출수구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입구는 상기 혼합부에서 혼합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상기 출수구의 반대편에 마련되고, 상기 출수구와 어긋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히터는 이상과열을 방지하기 위해 퓨즈가 설치되며, 상기 퓨즈는 상기 히터의 발열체에 직접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히터에는 열 교환된 유체의 온도를 일정하게 제어하는 바이메탈이 설치되며, 상기 바이메탈은 열교환부의 출수구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안전장치인 퓨즈와 바이메탈은 그 부착에 있어, 별도 부재를 이용하여 스크류로 체결할 수 있으나 더 간단하고 신뢰성 있게 부착하기 위해서는 열전도성이 뛰어난 고온용 실리콘 계열 접착제를 이용하여 절연성능 및 열전도성능, 부착성 등의 성능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입수구를 통해 입수되는 유체의 온도를 감지하여 히터의 발열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입수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입수센서는 입수구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입수센서에서 감지된 온도와 연산하여 보정치를 구하고, 상기 보정치에 의해 발열량을 보정할 수 있도록 출수센서가 더 설치되며, 상기 출수센서는 혼합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열부인 히터는 판형의 히터로서, 이는 전류 공급으로부터 발열하는 루테늄(Ruthenium) 계열의 발열체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고온에서 소성되어 열전달부재의 일면에 부착되고, 각각의 발열체는 전류가 공급될 수 있도록 리드와이어와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각각의 발열체에 상기 리드와이어로부터 전류가 동시에 공급될 수 있도록 각각의 발열체의 양단을 연결하는 컨덕터가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정기용 순간 온수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정기용 순간 온수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B-B선 단면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C-C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정기용 순간 온수장치의 평면단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터의 구조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장착판을 통해 히터를 열교환부에 간접 결합시킨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세정기용 순간 온수장치는 하우징(100)과 가열부인 히터(200)로 구성된다. 히터(200)는 판형으로 마련되며 하우징(100)과 결합하여 견고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그 사이에는 미도시한 패킹 또는 가스킷 등으로 내부를 밀폐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하우징(100)은 입수구(10)와 출수구(20)가 마련되며, 입수구(10)와 출수구(20) 사이에는 상기 히터(200)와 열 교환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으로 되는 열교환부(30)가 마련된다.
상기 히터(200)는 도 7과 같이 판형의 히터로서, 발열체(210), 열전달부재(201), 리드와이어(202), 그리고 컨덕터(203)의 결합 구조로 구성된다.
상기 발열체(210)는 리드와이어(202)를 통한 전류 공급시 발열하는 루테늄(Ruthenium) 계열로서, 이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고온에서 소성된 상태에서 상기 열전달부재(201)의 일면에 프린팅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상기 열전달부재(201)는 열교환부(30)의 외측면에 직접 부착되거나, 또는 도 8에서와 같이 플레이트 형상의 장착판(204) 일면에 프린팅된 후 열교환부(30)의 외측면에 간접 부착되는 방식의 결합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열교환부(30)의 외측면에 직접 부착하는 것이 좋다.
더불어, 상기 열전달부재(201)는 하우징(100)내의 유로(31)에 배치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유체로 부터 발열체(210)와 리드와이어(202)를 보호하도록, 상기 열전달부재(201)의 표면에는 절연재(미도시)의 도포에 의한 절연층을 형성하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열전달부재(201)는 산화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강으로 이루어진 판형의 플레이트이지만, 이러한 것에 한정하지 않고 열 전도율이 높은 세라믹이나 동 등의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히터(200)에는 상기 발열체(210)가 유체와의 열교환 효율을 높이도록 열교환용 방열판(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리드와이어(202)는 상기 발열체(210)로 전류가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발열체(210)에 연결되며, 상기 컨덕터(203)는 상기 각각의 발열체(210)에 상기 리 드와이어(202)로부터 전류가 동시에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각각의 발열체(210)의 양단을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열교환부(30)는 유입된 유체가 순간 열교환될 수 있도록 하우징(100)을 일정두께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마련되며, 그 하부에는 판형으로되는 히터(200)가 부착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의 열교환부(3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입된 유체가 열 교환 접촉면적을 늘려 충분히 열 교환 될 수 있도록 지그재그 형태의 유로(31)가 형성된다. 이때 지그재그 형태의 유로(31)는 상기 열교환부(30)의 일측이 관통된 격벽(32)을 형성하여서 해결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교환부(30)에서 열교환된 냉수층과 온수층으로 구분되는 층류상태의 유체가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도록 소정 공간을 갖는 혼합부(40)가 마련된다. 그리고 혼합부(40)에는 열교환부(30)에서 가열된 유체가 유입될 수 있게 유입구(41)가 마련된다.
여기서 유입구(41)의 직경은 출수구(2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한다. 그 이유는 유입구(41)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출수구(20)를 통해 미도시한 세정기로 공급되는 유체보다 많아 혼합부(40) 내부에서 일정한 압이 형성된다. 그리고 일정한 압이 형성됨과 동시에 유체의 흐름이 적층되어 유속을 둔화시킴으로서 혼합부(40)의 내부에서 유체의 혼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혼합부(40)에서는 열 교환된 유체가 적절히 혼합될 수 있게 유입구(41)를 일측에 형성하여 와류가 발생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즉 유입구(41)와 출수구(20)의 중심선이 어긋나게 한다.
또한, 혼합부(40)는 소정의 공간을 형성함으로서 내부에는 열 교환된 일정량의 유체가 담수될 수 있다. 그리고 혼합부(40)의 면적은 열교환부(30)의 면적보다 작게 형성한다. 따라서 혼합부(40)에서 적절히 혼합되어 온도가 균일한 유체는 출수구(20)를 통해 미도시한 온수 세정기로 공급된다.
본 고안의 세정기용 순간 온수장치는 다수의 감지부(50)가 마련된다. 감지부(50)는 감지위치가 각각 달리 설치되므로 도 3 내지 도 5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입수구(10)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입된 유체의 온도를 측정하여 세정기로 공급되는 설정 온도까지 히터(200)의 발열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입수센서(51)가 마련된다. 즉 입수센서(51)의 온도를 측정하여 온도가 너무 낮으면 히터(200)의 발열량을 높이고, 입수센서(51)의 온도가 너무 높으면 히터(200)의 발열을 낮춘다.
이때 입수센서(51)는 입수구(10)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입수구(10)로 유입되는 유체의 온도가 감지되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입수구(10)는 열 교환된 유체가 역류되어 입수센서(51)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열교환부(30)까지의 소정의 거리를 갖도록 마련된다.
또한, 히터(200)에는 이상 과열을 차단할 수 있도록 퓨즈(52)가 전기적으로 연결 구성된다.
즉, 상기 퓨즈(52)는 리드와이어(202)에 연결되어, 상기 발열체(210)가 급격한 이상발열이 되어 이상과열 감지되면, 상기 발열체(210)로의 전류공급을 차단한 다.
그리고 히터(200)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이메탈(53)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상기 바이메탈(53)은 열교환부(30)의 출수구(20)가 위치하는 곳에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발열체(201)에 직접 연결된다.
그래서 열교환부(30)에서 충분히 열 교환된 유체가 혼합부(40)로 유입되기 전의 온도를 감지하여 바이메탈(53)의 정격온도 이상이면 상기 발열체(210)로의 전류공급을 차단하고, 정격온도 이하이면 전류를 공급하도록 한다.
따라서 바이메탈(53)에서 일정온도로 유지하고, 퓨즈(52)에서 이상과열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안전장치인 퓨즈(52)와 바이메탈(53)은 그 부착에 있어, 별도 부재를 이용하여 스크류로 체결할 수 있으나 더 간단하고 신뢰성 있게 부착하기 위해서는 열전도성이 뛰어난 고온용 실리콘 계열 접착제(미도시)를 이용하여 절연성능 및 열전도성능, 부착성 등의 성능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부(4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담수된 유체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게 수위센서(54)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수위센서(54)와 함께 혼합부(40)의 출수구(20)에는 균일하게 혼합된 유체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게 출수센서(55)가 마련된다. 즉, 출수구(20)를 통해 공급되는 유체가 균일하게 혼합된 상태로 온도가 감지됨으로서 온도의 정확성을 기대할 수 있다.
여기서, 출수센서(55)에서 감지된 온도를 감지하고, 입수센서(51)에서 온도 를 감지함으로서 보정치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보정치에 따라 히터의 발열량을 보정할 수 있다.
즉, 입수센서(51)의 온도 측정을 통해 히터(200)의 발열량을 조절하여 유체를 가열시, 상기 가열된 유체의 온도는 출수센서(55)에 의해 감지되는 바,
상기 출수센서(55)는 가열상태의 유체온도와 목표온도와의 보정치를 산출하게 되고, 이에따라 상기 목표온도보다 출수센서(55)가 높게 감지될 경우 보정치 만큼 히터(200)의 발열량을 낮추고, 목표 온도보다 낮을 경우 보정치 만큼 히터(200)의 발열량을 높이는 것이다.
다시말해, 상기 입수센서(51)와 출수센서(55)로부터 감지되는 정보를 토대로, 상기 출수센서(55)는 출수되는 유체가 적정온도에서 출수되는지를 판단한 후 그 결과를 토대로 보정치를 산출하여 상기 히터(200)의 발열량을 조절하는 것으로, 상기 발열량 조절을 위한 프로그램이 탑재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세정기용 순간 온수장치의 작용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미도시한 세정기의 마이컴의 제어를 받는다. 따라서 사용자가 세정기의 세정버튼을 누를 경우에 입수장치(예; 가압펌프, 감압밸브, 역류방지밸브, 지수 장치 등)가 작동하여 입수구(10)로 유체가 유입된다.
이후 입수구(10)에 유입된 유체의 온도를 입수센서(51)에서 감지한 후 히터(200)내의 발열체(210)로 리드와이어(202)를 통해 전기를 공급한다. 이때 입수센서(51)의 감지온도에 따라 미도시된 마이컴은 상기 발열체(201)의 발열량을 조절한 다.
이후, 유체는 도 6에 도시한 열교환부(30)의 지그재그 형태의 유로(31)를 지나면서 히터(200)의 발열체(210)와 충분히 열 교환 된다. 그리고 열 교환된 유체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히터(200)와 접한 부분의 온수층과 접하지 못한 냉수층이 층류된 상태로 혼합부(40)로 유입된다.
다음으로, 상기 혼합부(40)로 유입된 유체가 소정의 공간 내부에서 와류가 발생되면서 층류상태의 유체가 충분히 혼합되어 균일한 온도의 유체로 된다.
그러면, 상기 균일한 온도로 혼합된 유체가 출수구를 통해 세정기(미도시)로 공급된다. 그리고 균일한 온도로 혼합된 유체는 출수구(20)측에서 출수센서(55)에 의해 온도가 감지된다.
이때, 충분히 혼합된 상태이므로 감지위치에 무관하게 유체의 온도는 일정하다. 그리고 정확한 온도감지가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출수센서(55)에서 감지된 온도를 목표하는 온도와 연산하여 보정치를 산출한 후, 상기 산출된 보정치에 따라 히터(200)내의 발열체(210)에 대한 발열량을 보정하는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이렇게 실행된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출수구(20)측에서는 목표하는 온도로 유체의 출수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바이메탈(53)에서는 상기 발열체(210)가 규정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 리드와이어(202)를 통해 상기 발열체(210)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게 되고, 전류를 차단하여 규정온도 이하로 저하되면 다시 상기 발열체(210)에 전류를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히터(200)의 발열체(210)에서 이상과열이 발생되면 퓨즈(52)가 리드와이어(202)를 통해 발열체(210)로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함으로써 안전사고에 대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정기용 순간 온수장치는 미도시한 온수 세정기에 설치되어 순간 온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여기에 한정하지 않고 온수가 공급되는 정수기 및 커피 자동판매기 등에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세정기용 순간 온수장치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수 및 모양 그리고 구조 등의 다양한 변형 및 모방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세정기용 순간 온수장치의 열교환부를 지그재그 형태로 가열경로를 형성하고 그 가열경로에 판형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히터를 적용함으로써, 유체가 흐르는 상태에서 순간적으로 가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정기용 순간 온수장치 열교환부에서 열 교환되어 공급되는 유체가 온수층과 냉수층으로 층류되어 공급되는 유체를 균일하게 혼합할 수 있 도록 함으로서 일정한 온도의 유체를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3)

  1. 입수구와 출수구가 구비되며, 상기 입수구와 출수구 사이에 유로가 형성 되도록 마련되는 하우징;
    상기 입수구로 공급된 유체가 열 교환되도록 가열경로가 형성된 열교환부;
    상기 열교환부에 마련되며, 입수구로 유입된 유체를 순간 열 교환시키는 히터; 및,
    상기 열교환부에서 열 교환되어 층류된 유체를 균일하게 혼합하는 혼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용 순간 온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는 하우징에 마련되며, 가열경로가 지그재그로 형성되도록 일측이 관통된 격벽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용 순간 온수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부는 열 교환된 유체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와, 혼합된 유체의 온도를 감지하는 출수센서가 마련되며,
    상기 출수센서는 출수구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용 순간 온수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부는 상기 가열부에서 열 교환된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의 직경은 혼합부에서 역부하를 발생시켜 열 교환된 유체가 충분히 혼합될 수 있도록 상기 출수구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용 순간 온수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상기 혼합부에서 혼합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상기 출수구의 반대편에 마련되고, 상기 출수구와 어긋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용 순간 온수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이상과열을 방지하기 위해 퓨즈가 설치되며, 상기 퓨즈는 상기 히터의 발열체에 직접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용 순간 온수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에는 열 교환된 유체의 온도를 일정하게 제어하는 바이메탈이 설치되며, 상기 바이메탈은 상기 열교환부의 출수구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용 순간 온수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입수구를 통해 입수되는 유체의 온도를 감지하여 히터의 발열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입수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입수센서는 입수구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용 순간 온수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입수센서에서 감지된 온도와 연산하여 보정치를 구하고, 상기 보정치에 의해 발열량을 보정할 수 있도록 출수센서가 더 설치되며, 상기 출수센서는 혼합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용 순간 온수장치.
  10. 입수구와 출수구가 구비되고, 상기 입수구와 출수구 사이에 유로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입수구를 통해 공급된 유체를 열 교환시켜 출수구로 안내하도록 가열부를 포함하는 열교환부;
    상기 열교환부에서 열 교환된 유체가 출수구로 안내시 층류된 유체를 균일하게 혼합하는 혼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용 순간 온수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일측이 관통된 격벽에 의해 지그재그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용 순간 온수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입수구로 유입된 유체를 순간 열 교환시키도록 유로에 배치되는 판형의 히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용 순간 온수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의 히터는,
    전류 공급으로부터 발열하도록 루테늄 계열로서 구성되는 다수의 발열체;
    상기 발열체가 형성되는 열전달부재;
    상기 발열체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리드와이어; 및,
    상기 리드와이어를 통한 전류공급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상기 다수의 발열체 양단을 연결하는 컨덕터의 결합구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용 순간 온수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열전달부재의 일면에 프린팅에 의해 다수개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용 순간 온수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부재는 세라믹 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용 순간 온수장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부재는 스테인레스강 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용 순간 온수장치.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부재는 유로 내부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용 순간 온수장치.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부재는 일면에 프린팅 방식으로 다수의 발열체를 부착하고, 상기 발열체는 리드와이어와 연결시키되, 상기 발열체와 리드와이어가 형성된 열전달부재는 절연재에 의해 절연처리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용 순간 온수장치.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부재는 유로 외부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용 순간 온수장치.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부재는 플레이트 형상의 장착판 일면에 프린팅에 의해 부착되고, 상기 장착판의 타면은 열교환부의 유로 외측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용 순간 온수장치.
  21.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의 히터는 이상과열을 방지하기 위한 퓨즈가 전기적으로 연결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용 순간 온수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의 히터는 발열체와 리드와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퓨즈는 발열체에 전류를 공급하는 리드와이어에 전기적으로 연결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용 순간 온수장치.
  23.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의 히터는 열 교환된 유체의 온도를 일정하게 제어하는 바이메탈이 전기적으로 연결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용 순간 온수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메탈은 열교환부의 출수구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용 순간 온수장치.
  25. 제 13 항 또는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의 히터는 발열체를 포함하되, 상기 바이메탈은 상기 발열체에 연결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용 순간 온수장치.
  2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부에는 열 교환된 유체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 그리고 혼합된 유체의 온도를 감지하는 출수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용 순간 온수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센서는 출수구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용 순간 온수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센서는 입수센서에서 감지된 온도와 연산하여 유체의 온도 보정치를 구하고, 상기 보정치에 의해 히터의 발열량을 보정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용 순간 온수장치.
  29.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부는 상기 히터에서 열 교환된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용 순간 온수장치.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의 직경은 혼합부에서 역부하를 발생시켜 열 교환된 유체가 충분히 혼합될 수 있도록 출수구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용 순간 온수장치.
  31.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혼합부에서 혼합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출수구의 반대편에 마련되고, 상기 출수구와 어긋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용 순간 온수장치.
  3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입수구를 통해 입수되는 유체의 온도를 감지하여 히터의 발열량을 조절하는 입수센서를 설치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용 순간 온수장치.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센서는 입수구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용 순간 온수장치.
KR1020060024226A 2006-01-02 2006-03-16 세정기용 순간 온수장치 KR100624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72893A JP4303263B2 (ja) 2006-01-02 2006-06-22 洗浄機用瞬間式温水装置
US11/473,711 US7330645B2 (en) 2006-01-02 2006-06-23 Instant water heating apparatus for cleaning machine
CN2006101017005A CN1995850B (zh) 2006-01-02 2006-07-03 用于清洗机的即时水加热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0232 2006-01-02
KR20060000232 2006-01-02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7094U Division KR200419043Y1 (ko) 2006-03-16 2006-03-16 세정기용 순간 온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4568B1 true KR100624568B1 (ko) 2006-09-15

Family

ID=37631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4226A KR100624568B1 (ko) 2006-01-02 2006-03-16 세정기용 순간 온수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24568B1 (ko)
CN (1) CN1995850B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692B1 (ko) 2007-03-28 2008-05-29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순간식 전기보일러용 열교환기
KR101199743B1 (ko) 2012-08-01 2012-11-08 명성희 순간식 온수 생성 장치
WO2012165812A3 (en) * 2011-05-27 2013-01-24 Woongjin Coway Co., Ltd Instantaneous heating apparatus
CN103884088A (zh) * 2012-12-21 2014-06-25 科勒诺维达株式会社 温水洁身器中的温水加热装置及包括其的温水供应装置
KR101493744B1 (ko) 2013-07-07 2015-02-16 삼명엔지니어링(주) 비데용 온수 생성 장치
KR20160021928A (ko) 2014-08-18 2016-02-29 (주)신우엠테크 가열 효율과 수밀성이 향상된 용접작업이 필요 없는 순간온수 생성기
KR20160033874A (ko) * 2014-09-18 2016-03-29 동인하이텍주식회사 온수히터 및 온수히터 가공장치 및 온수히터 가공방법
KR101686923B1 (ko) * 2016-05-20 2016-12-16 (주) 태인테크 저전력 순간온수기
KR20170002714A (ko) 2015-06-29 2017-01-09 리빙케어소재기술(주) 순간온수 히팅장치
KR20170100191A (ko) * 2016-02-25 2017-09-04 코웨이 주식회사 순간온수기
KR20180025474A (ko) * 2016-08-31 2018-03-09 (주) 존인피니티 온수공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0773B1 (ko) * 2008-01-23 2009-02-02 (주) 씨엠테크 유체 가열장치
CN102859086B (zh) * 2011-04-22 2015-01-21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卫生清洗装置
JP5979892B2 (ja) 2012-02-01 2016-08-3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熱媒体加熱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車両用空調装置
CN108716241A (zh) * 2018-06-01 2018-10-30 广东美的环境电器制造有限公司 智能马桶人体冲洗过热保护装置及智能马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7476A (ko) * 1992-09-14 1994-04-27 윤병원 발열장치가 내장된 열교환기
KR200347966Y1 (ko) * 2004-01-30 2004-05-03 주식회사 인터텍 급속가열장치
KR200364824Y1 (ko) * 2004-07-28 2004-10-15 박광식 순간온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84889Y (zh) * 1993-11-23 1994-12-07 梁永德 密孔消声气水混合加热器
CN2190255Y (zh) * 1994-05-13 1995-02-22 杨渝生 燃油汽化热水器
JP2003294311A (ja) * 2002-01-31 2003-10-15 Toto Ltd 給湯装置
JP3962640B2 (ja) * 2002-07-08 2007-08-22 株式会社ノーリツ 給湯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7476A (ko) * 1992-09-14 1994-04-27 윤병원 발열장치가 내장된 열교환기
KR200347966Y1 (ko) * 2004-01-30 2004-05-03 주식회사 인터텍 급속가열장치
KR200364824Y1 (ko) * 2004-07-28 2004-10-15 박광식 순간온수장치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692B1 (ko) 2007-03-28 2008-05-29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순간식 전기보일러용 열교환기
WO2012165812A3 (en) * 2011-05-27 2013-01-24 Woongjin Coway Co., Ltd Instantaneous heating apparatus
CN103562650A (zh) * 2011-05-27 2014-02-05 豪威株式会社 瞬时加热设备
CN103562650B (zh) * 2011-05-27 2018-12-28 豪威株式会社 瞬时加热设备
KR101199743B1 (ko) 2012-08-01 2012-11-08 명성희 순간식 온수 생성 장치
CN103884088B (zh) * 2012-12-21 2016-09-14 科勒诺维达株式会社 温水洁身器中的温水加热装置及包括其的温水供应装置
CN103884088A (zh) * 2012-12-21 2014-06-25 科勒诺维达株式会社 温水洁身器中的温水加热装置及包括其的温水供应装置
KR101493744B1 (ko) 2013-07-07 2015-02-16 삼명엔지니어링(주) 비데용 온수 생성 장치
KR20160021928A (ko) 2014-08-18 2016-02-29 (주)신우엠테크 가열 효율과 수밀성이 향상된 용접작업이 필요 없는 순간온수 생성기
KR20160033874A (ko) * 2014-09-18 2016-03-29 동인하이텍주식회사 온수히터 및 온수히터 가공장치 및 온수히터 가공방법
KR101678274B1 (ko) 2014-09-18 2016-11-22 동인하이텍주식회사 온수히터 가공장치
KR20170002714A (ko) 2015-06-29 2017-01-09 리빙케어소재기술(주) 순간온수 히팅장치
KR20170100191A (ko) * 2016-02-25 2017-09-04 코웨이 주식회사 순간온수기
KR102560383B1 (ko) * 2016-02-25 2023-07-27 코웨이 주식회사 순간온수기
KR101686923B1 (ko) * 2016-05-20 2016-12-16 (주) 태인테크 저전력 순간온수기
KR20180025474A (ko) * 2016-08-31 2018-03-09 (주) 존인피니티 온수공급장치
KR101895808B1 (ko) * 2016-08-31 2018-09-10 (주) 존인피니티 온수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95850A (zh) 2007-07-11
CN1995850B (zh) 2010-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4568B1 (ko) 세정기용 순간 온수장치
JP4303263B2 (ja) 洗浄機用瞬間式温水装置
KR100511498B1 (ko) 인체 국부 세정 장치
KR100786217B1 (ko) 온수 세정기 및 그 세정방법
US8515268B2 (en) Boiler for heating water in coffee machines
ES2857575T3 (es) Dispositivo de calentamiento para calentar líquidos, evaporador para un aparato de cocción eléctrico y método para operar un dispositivo de calentamiento
KR100804303B1 (ko) 순간 가열 장치
KR200419043Y1 (ko) 세정기용 순간 온수장치
US9494311B2 (en) Flow heaters
US20110041705A1 (en) Compact spiral-throughflow heating unit which can operate at high pressures
JP4407687B2 (ja) 人体局部洗浄装置
KR101470395B1 (ko) 순간 온수용 히팅장치
KR101552643B1 (ko) 순간 온수화를 위한 가열장치
CN201209952Y (zh) 多风机暖风装置的超温防护结构
KR200364824Y1 (ko) 순간온수장치
KR20100031710A (ko) 저전력 순간 온수기
CN104197515B (zh) 一种水箱、热泵热水器及控制方法
CN108591988B (zh) 蒸汽发生装置及其控制方法
CN220867800U (zh) 蒸汽发生装置及熨烫机
KR20150015701A (ko) 물가열장치
JP2001263813A (ja) 熱交換器及びそれを用いた温水供給装置
CN219913442U (zh) 一种带有热敏电阻的加热组件及加热器
CN211178031U (zh) 配水装置和液体加热器具
JP4194906B2 (ja) 人体局部洗浄装置
CN110617615A (zh) 热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