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9621B1 -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 관련 설사의 치료 방법 - Google Patents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 관련 설사의 치료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9621B1
KR101399621B1 KR1020087012193A KR20087012193A KR101399621B1 KR 101399621 B1 KR101399621 B1 KR 101399621B1 KR 1020087012193 A KR1020087012193 A KR 1020087012193A KR 20087012193 A KR20087012193 A KR 20087012193A KR 101399621 B1 KR101399621 B1 KR 101399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osition according
mcc
day
diarrh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2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4177A (ko
Inventor
파멜라 시어스
유에-콩 슈
스타르 루이스 밀러-샹글
로버트 브라이언 왈시
파라 바바카니
유-훙 치우
알렉스 로메로
셔우드 골바츠
토마스 존 루이에
Original Assignee
옵티머 파마슈티칼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옵티머 파마슈티칼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옵티머 파마슈티칼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80064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41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9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9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2Antidiarrhoe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필요한 환자에게 티아쿠미신 B, 리피아르마이신 A4 및 기타의 거대 고리 분자 중 최소한 1종을 함유하는 혼합물을 유효량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클로스트리듐종, 스타필로코쿠스종, 엔테로코쿠스종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세균의 존재에 의하여 유발되는 질병 또는 장애의 치료 방법.

Description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 관련 설사의 치료 방법 {METHOD OF TREATING CLOSTRIDIUM DIFFICILE-ASSOCIATED DIARRHEA}
관련 출원
이 출원은 2005년 10월 21일자 출원의 미국 임시 특허 출원 제60/729,135호 및 2005년 12월 12일자 출원의 미국의 임시 출원 제60/749,641호로부터 이익을 주장한다.
상기 참고 출원에 개시된 내용은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되어 있다.
1. 본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클로스트리듐종, 스타필로코쿠스종과 엔테로코쿠스종 및 이들의 혼합종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세균의 존재에 의하여 유발되는 질병, 특히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 ("C. difficile"), 클로스트리듐 퍼프린젠스 ("C. perfringens"),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황색포도상구균 "S. aureus") 및 이들의 조합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세균의 존재에 의하여 유발되는 질병, 특히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의 존재에 의하여 유발되는 질병의 치료에 관한 것이다. 이 질병은 대장염, 가성막(假性膜) 대장염 또는 설사일 수 있다.
2. 관련 기술의 설명
항생제 관련 설사 (AAD)는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 메티실린 내성 스타필로 코쿠스 아우레우스 (MRSA)를 비롯한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클로스트리듐 퍼프린젠스 ("C. perfringens")의 독소를 생성하는 균주에 의하여 유발된다. AAD는 건강 관리 시스템에 대한 주요한 경제적 부담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미국에서만 과다 병원비에 있어서 매년 줄잡아 30억 내지 60억 달러로 추산된다.
AAD는 병원 및 장기 보호 시설과 지역 사회에 있어서 심각한 문제이다.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는 병원 환경 중에서 AAD의 가장 일반적인 원인으로서, AAD 환자의 약 20%의 원인이 되고, 항생제 관련 대장염 (AAC) 환자의 대부분의 원인이 된다.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 관련 설사 (CDAD)의 발병 증가는 입원 환자에 대한 광범위 항생제의 빈번한 처방에 기인한다 [Wilcox et al., Lancet 1996, 348:767~8].
상기 질병의 가장 심각한 형태는 가성막 대장염 (PMC)인데, 이는 조직학적으로 점막 플라크 (plaque)를 수반하는 대장염에 의하여, 임상학적으로 중증 설사, 복부 경련 및 전신 독성에 의하여 명백하게 된다. CDAD로부터의 총사망률은 낮지 만, 중증 대장염 또는 전신 독성으로 발전한 환자에 있어서는 매우 더 높다. 최근의 연구에 따르면, 사망이 직접적으로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에 기인하지는 않더라도, 비슷한 경우의 대조군에 비하여 CDAD 환자의 사망률은 훨씬 높다.
설사 및 대장염은 1종 이상의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 독소의 동화에 의하여 유발된다. 광범위 항생제 또는 덜 일반적으로는 항암 화학요법을 제공받아 온 환자의 결장 내에 상기 미생물이 증식한다. 그러한 약제들로 치료한 후에 설사에 걸린 입원 환자의 약 20%에서 CDAD가 진단된다.
현재의 AAD 또는 CDAD용 요법으로서는 관련 항균제 또는 화학 요법 약제의 중단, 비특이성 보조 수단 및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에 저항하도록 처방된 항생제를 이용한 치료를 들 수 있다. 가장 일반적인 항균제 치료의 선택 사항으로서는 반코마이신 및 메트로니다졸을 들 수 있다. 항생제를 사용하는 CDAD의 치료는 그 질병의 임상 재발과 관련이 있다. 재발의 빈도는 5~50%로 보고되고 있는데, 20~30%의 재발률이 가장 일반적으로 인용되는 수치이다. 전술한 항생제 중 어느 한 가지를 이용한 1차 치료의 약물, 투여량 또는 투여 기간에 관계없이 거의 동일한 빈도로 재발이 발생한다. 치료에 있어서 주요한 도전은 여러 번 재발하여서 항생제 통제에 문제가 있는 환자의 관리이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2 가지 특정의 요법은 반코마이신과 메트로니다졸인데, 다만 반코마이신만이 이 적응증용으로 미국 식품의약국 (FDA)으로부터 승인받은 유일한 약물이다. 그러나, 반코마이신은 몇 가지 심각하게 생명을 위협하는 다양한 내약성 세균 대하여 활성인 유일한 항생제이기 때문에 CDAD의 제1선 치 료용으로는 권장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반코마이신 내성 엔테로코쿠스 (VRE) 또는 반코마이신 내성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VRSA)의 출현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에 있어서, 의료계는 절대적으로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 약물의 사용을 지양하고 있다.
반코마이신 내성 장세균군(腸細菌群), 특히 엔테로콕시의 촉진과 선택에 대한 걱정이 없는 최초의 요법으로서 메트로니다졸이 추천되고 있다. 일부 국가에서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 내성의 빈도가 6% 이상일 수 있다는 보고가 있으나, 메트로니다졸은 반코마이신과 거의 동일한 효과가 있고, 매우 저렴하며, 경구로 또는 정맥 주사로 사용될 수 있다. 메트로니다졸은 오심(惡心), 신경병증, 백혈구 감소증, 발작 및 알코올에 대한 독성 반응을 비롯한 심각한 역효과와 관련되어 있다. 그 밖에, 메트로니다졸은 어린이와 임산부가 사용하기에는 안전하지 않다.
두 약제가 모두 상기 감염을 치료하는 데 유효하지만, 치료 실패율이 증가하고 초기에 반응하는 환자의 약 20%에 있어서 설사가 재발하기 때문에, 표준 치료법이 되기에는 부족하다. 메트로니다졸을 사용하는 치료법은 VRE 집락 형성 및 감염에 대한 심각한 위험 인자가 된다고 보고되고 있다. 그 밖에, 상기 현재의 치료 요법은 10 내지 14일간 1일 4회 최대 500 ㎎을 요하므로 다소 성가시다. 따라서, CDAD 환자뿐만 아니라 기타의 AAD 및 AAC 환자를 위하여 더 낳은 치료법이 요망되고 있다.
그러므로, 현존하는 항균제에 대한 교차 내성이 감소되었거나 없고/또는 장기간의 항생제후 효과를 가지며, 내성을 생성하는 성향이 적은 살균성 약물을 개발할 필요성이 있다.
도면에 있어서,
도 1은 1B-MD상 투여 일정을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치료 후의 박테로이데스의 수(數)를 도시하고 있다. 페어즈 사인드-랭크스 테스트 (Pairs signed-ranks test), 양측 검정 (2 tailed). < 3 log10의 수에 대하여는 2.9의 값을 사용하였다.
도 3은 박데로이데스 프라질리스군에 대한 반코마이신 요법의 효과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MCC를 사용한 치료 후에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 증식 수의 양적인 감소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방법에서 사용될 수 있는 혼합물의 일반적인 HPLC 특성을 도시하고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필요한 환자에게 유효량의 혼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클로스트리듐종, 스타필로코쿠스종, 엔테로코쿠스종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세균의 존재에 의하여 유발되는 질병 또는 장애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혼합물은 유효량의 티아쿠미신 B와 다음의 화학식으로 나타내는 화합물 및 그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가의 거대 고리형 분자를 함유한다.
[화학식 3]
(OP-1416, RT비: 0.71)
Figure 112008036182406-pct00001
[화학식 4]
(OP-1415, RT비: 0.81)
Figure 112008036182406-pct00002
[화학식 5]
(OP-1417, RT비: 0.84)
Figure 112008036182406-pct00003
[화학식 9]
(OP-1435, RT비: 1.13)
Figure 112008036182406-pct00004
[화학식 10]
(OP-1437, RT비: 1.19)
Figure 112008036182406-pct00005
[화학식 11]
(OP-1402, RT비: 1.24)
Figure 112008036182406-pct00006
[화학식 12]
(OP-1433, RT비: 1.39)
Figure 112008036182406-pct00007
[화학식 13]
(OP-1438, RT비: 1.48)
Figure 112008036182406-pct00008
[화학식 14]
(리피아르마이신 A4, OP-1405, RT비: 0.89)
Figure 112008036182406-pct00009
화학식 14의 화합물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혼합물은 화학식 14의 화합물을 약 0.1 내지 약 5%의 양으로 함유한다.
좋기로는, 상기 혼합물은 티아쿠미신 B를 90 중량% 이상 함유한다. 더 좋기로는, 상기 혼합물은 티아쿠미신 B를 95 중량% 이상 함유한다.
좋기로는, 상기 혼합물은 추가의 거대 고리형 분자를 1 중량% 이상 함유하고, 더 좋기로는 약 2 중량% 내지 약 5 중량% 함유한다.
좋기로는, 상기 혼합물은 리피아르마이신 A4를 약 0.1 중량% 내지 약 5 중량%, 더 좋기로는 0.3 중량% 내지 3 중량%, 특히 0.3 중량% 내지 1.5 중량%, 특히 약 1 중량% 함유한다.
리아피아르마이신 A4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혼합물은 다음의 화학식으로 나타내는 화합물 중 적어도 1종을 역시 함유하는 것이 좋다.
[화학식 6]
(OP-1431, 티아쿠미신 F, RT비: 0.92)
Figure 112008036182406-pct00010
[화학식 7]
(OP-1432, 티아쿠미신 C, RT비: 0.95)
Figure 112008036182406-pct00011
[화학식 8]
(OP-1434, 티아쿠미신 A, RT비: 1.10)
Figure 112008036182406-pct00012
좋기로는, 상기 혼합물은 도 5에 실질적으로 나타나 있는 HPLC 특성을 나타낸다.
좋기로는, 본 발명에 의하여 치료되는 질병 또는 장애는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 클로스트리듐 퍼프린젠스,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및 이들의 조합과 관련이 있다. 더 좋기로는, 본 발명에 의하여 치료되는 질병 또는 장애는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와 관련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치료되는 질병은 좋기로는 설사 또는 대장염, 특히 설사, 특히 CDAD이다.
좋기로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은,
영양 배지 중에서 미생물을 배양하여 그 영양 배지 중에 상기 혼합물을 축적시키는 단계와,
상기 영양 배지로부터 상기 혼합물을 단리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데, 상기 영양 배지는 상기 혼합물을 흡착하는 흡착제를 함유한다.
상기 영양 배지는 상기 흡착제를 0.5~15 중량% 함유하는 것이 좋다. 상기 흡착제는 흡착제 수지인 것이 좋다. 상기 흡착제 수지는 Amberlite® XAD16, XAD16HP, XAD2, XAD7HP, XAD1180, XAD1600, IRC50 및 Duolite® XAD761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더욱 좋다. 상기 미생물은 닥틸로스포란지움 아우란티아쿰 (Dactylosporangium aurantiacum) 아종 함데넨시스 ( hamdenensis )가 좋다. 상기 영양 배지는, 0.2 중량% 내지 10 중량%의 글루코스, 0.02 중량% 내지 0.5 중량%의 K2HPO4, 0.02 중량% 내지 0.5 중량%의 MgSO4·7H2O, 0.01 중량% 내지 0.3 중량%의 KCl, 0.1 중량% 내지 2 중량%의 CaCO3, 0.05 중량% 내지 2 중량%의 카사미노산, 0.05 중량% 내지 2 중량%의 효모 추출물 및 0.5 중량% 내지 15 중량%의 XAD-16 수지를 함유한다. 상기 배양 단계는 약 6.0 내지 약 8.0의 pH에서 약 25 내지 약 35℃의 온도로 수행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의하여 치료되는 질병은, 좋기로는 항생제 또는 항암 화학 요법들 또는 항바이러스 요법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한 가지 양호한 실시 상태에 따르면, 상기 혼합물은 약 50 ㎎ 내지 1000 ㎎의 양으로, 더 좋기로는 100 ㎎ 내지 400 ㎎, 특히 200 ㎎, 1일 1회 내지 3회, 더 좋기로는 1일 1회 또는 2회, 특히 1일 2회, 3일 내지 15일간, 특히 약 10일간 투여된다. 경구 투여도 좋다.
본 발명의 치료는 전신성 항생제와 타협하는 일이 없이 그리고 장 내에서 반코마이신 내성 엔테로콕시 (VRE)를 증가시키는 일이 없이 장독소 생성 균주인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클로스트리듐 퍼프린젠스 관련 설사의 효율적인 치료를 가능하게 해준다. 본 발명은 장 내의 VRE의 존재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기타 목적 및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도면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으로만 작성된 것이며 첨부된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설정되는 본 발명의 한계를 정하려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들 도면은 반드시 일정한 축척으로 그려진 것은 아니고, 즉 다른 지시가 없는 한, 이들 도면은 단지 본 명세서에 기재된 구조물 및 과정을 개념적으로 묘사하려는 것이라는 사실도 역시 이해하여야 한다.
현재 양호한 실시 상태의 상세한 설명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임의의 약자 또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이 제공된다.
AAD = 항생제 관련 설사 (antibiotic-associated diarrhea)
ATCC = 아메리칸 타입 컬쳐 콜렉션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13C = 원자량이 13인 탄소
CO2 = 이산화탄소
N2 = 질소
H2 = 수소
TAPS = N-트리스(히드록시메틸)메틸-3-아미노프로판술폰산
MOPS = 3-(N-모르폴리노)프로판술폰산
CDAD =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 관련 설사
CLSI = 임상 및 실험 표준원, 종전의 NCCLS
ED50 = 50%의 반응을 나타내기에 효율적인 투여량
HPLC =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IR = 적외선 분광법
LLOQ = 정량화의 하한
MCC = 거대 고리형 분자 함유 화합물
MIC = 최소 억제 농도
MIC50 = 피시험 세균성 균주의 50%를 억제하기 위한 최소 억제 농도
MIC90 = 피시험 세균성 균주의 90%를 억제하기 위한 최소 억제 농도
MRSA = 메티실린 내성 스타필로코쿠스 우아레우스
NCCLS = 임상 실험 표준을 위한 국가 위원회로서, 현재는 CLSI
PMC = 가성막 대장염
VRE = 반코마이신 내성 엔테로콕시
VRSA = 반코마이신 내성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항생제 관련 조건"이라는 용어는 항생제 요법이 장세균군의 균형을 방해하는 경우,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클로스트리듐 프린젠스의 장독소를 생성하는 균주 등의 병원성 미생물이 번성하게 하는 결과를 초래하는 조건을 말한다. 이들 미생물은 설사, 가성막 대장염 및 대장염을 일으킬 수 있고, 기타의 증후 중에 설사, 절박증, 복부 경련, 뒤무직 (tenesmus) 및 열에 의하여 나타나게 된다. 설사는 심한 경우, 탈수 및 탈수와 관련된 의학적 합병증을 일으킨다.
"MCC"라는 용어는 모든 항생제 물질에 대하여 일차적으로 티아쿠미신 B를 함유하는 (예컨대, HPLC 분석에 의하여 최소한 90%, 좋기로는 95%~98%) 조제약을 말한다. MCC는 소량의 (예컨대, 최소한 1%, 좋기로는 2%~5%) 티아쿠미신 B 관련 화합물, 즉 리피아르마이신 A4 및 전술한 화학식 3~14의 화합물 중 적어도 1종을 역시 함유한다. 국제 공개 번호가 WO 2004/014295 A2인, PCT 출원 PCT/US03/21977은 티아쿠미신 B를 함유하는 혼합물의 제조법을 제공하고 있다. 이 PCT 출원의 모든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전적으로 비인간용으로 의도된 MCC는 티아쿠미신 B를 80% 이하로 함유할 수 있다 (HPLC 분석에 의하여, 전체 항생제 물질에 대하여).
"부형제"라는 용어는 화합물의 투여를 더 용이하게 하도록 약리학적 조성물에 첨가되는 불활성 물질을 말한다. 부형제의 예로서는 탄산칼슘, 인산칼슘, 각종 당류(糖類) 및 전분류, 셀룰로오스 유도체, 젤라틴, 식물성 기름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류를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할로겐"이라는 용어는 F, Cl, Br 및 I를 포함한다.
"거대 고리 분자"라는 용어는 보통 10개 이상의 원자를 함유하는 큰 고리 구조의 유기 분자를 말한다.
"18 원(員) 거대 고리 분자"라는 용어는 18개의 원자를 함유하는 고리 구조의 유기 분자를 말한다.
"원(員) 고리"라는 용어는 전술한 탄소 고리 및 이종 고리를 비롯한 임의의 고리형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원(員)"이라는 용어는 그 고리를 구성하는 골격 원자들의 수를 가리키는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예컨대 피리딘, 피란 및 티오피란은 6원(員) 고리이고, 피롤 퓨란 및 티오펜은 5원(員) 고리이다.
"MIC" 또는 "최소 억제 농도"라는 용어는 시험관내 분리 균주의 성장을 억제하는 데 필요한 항생제의 최저 농도를 말한다. 항생제의 "MIC"를 결정하기 위한 일반적인 방법은 일련의 항생제 희석액을 포함하는 여러 개의 시험관을 준비하고, 이어서 관심 있는 분리 균주를 주입하는 것이다. 적당한 분위기와 온도에서 배양한 다음, 혼탁도를 보이지 않는 (성장을 보이지 않는) 최저 농도의 시험관으로부터 항생제의 MIC를 측정할 수 있다.
"MIC50"이라는 용어는 주어진 균종 내의 피검 균주의 50%의 성장을 억제하는 데 필요한 항생제의 최저 농도를 말한다.
"MIC90"이라는 용어는 주어진 균종 내의 피검 균주의 90%의 성장을 억제하는 데 필요한 항생제의 최저 농도를 말한다.
"환자"라는 용어는 의학적 처치를 요하는 인간 또는 동물을 말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하여, 인간 환자는 일반적으로 병원 또는 요양원 등의 1차 의료 진료 시설에 수용된다. 그러나, 항생제의 사용 또는 항암 화학 요법 또는 항바이러스 요법과 관련된 질병의 치료는 1차 진료 시설로부터 퇴원 후의 외래 환자를 기초로 하여 일어날 수 있고 또는 1차 의료 진료 시설과 관계없이, 가정 치료를 위하여 의사에 의하여 처방될 수도 있다. 의료 치료를 요하는 동물은 일반적으로 수의사가 치료한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라는 용어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희석제를 말한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라는 용어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무기 염기 또는 유기 염기로부터 유도되는 것들을 말한다. 적절한 염기로부터 유도되는 염류로서는 알칼리 금속 (예컨대, 나트륨 또는 칼륨), 알칼리 토금속 (예컨대, 마그네슘), 암모늄염 및 N(C1-C4 알킬)4 + 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몇 가지 실례로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콜린, 탄산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약학 조성물"이라는 용어는 생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및/또는 부형제 등의 기타 화학 성분이 첨가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1개 이상의 티아쿠미신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들의 염의 혼합물을 말한다. 약학 조성물의 목적은 미생물에 대한 화합물의 투여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생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라는 용어는 미생물에 심각한 자극을 유발하지 않고 투여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및 특성을 소멸시키지 않는 담체 또는 희석제를 말한다.
"가성막 대장염" 또는 "장염"이라는 용어는 소장 및 대장 양자의 점막의 염증에 기인하는 가성막 물질 (즉, 피브린, 점액, 괴사성 상피 세포 및 백혈구로 이루어진 물질)의 형성을 말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티아쿠미신"이라는 용어는 아래의 화학식 1로 나타내는 18원 거대 고리 분자를 포함하는 화합물들의 집합 모두를 말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8036182406-pct00013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티아쿠미신 B"라는 용어는 아래의 화학식 2로 나타내는 18원 거대 고리 분자를 말한다.
[화학식 2] (RT 비율 1.0)
Figure 112008036182406-pct00014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리피아르마이신 A4"라는 용어는 아래의 화학식 14로 나타내는 18원 거대 고리 분자를 말한다.
[화학식 14]
Figure 112008036182406-pct00015
본 발명의 한 가지 실시 상태에 따르면, 복수회 투여량의 경구 투여 후에, 혈장 중에서 낮은 농도의 MCC가 검출되는데, 이들의 대부분은 정량화의 한계 이하로 떨어졌다. 반면에, 모든 연구에 있어서, 배설물의 농도는 매우 높아서, 클로스 트리듐 디피실리에 대한 MIC90 (0.125 ㎍/㎖)의 10,000배를 초과하였다.
본 발명의 한 가지 실시 상태에 따르면, MCC를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의 재발을 억제하는 데 효율적인 양으로, 효율적인 기간 동안, 그러나 환자 내의 정상 장세균군에 영향을 미치는 일이 없도록 투여함으로써 환자에게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 관련 설사가 재발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 가지 실시 상태에 따르면, CDAD를 위한 MCC의 1일 경구 투여량은 1일 활성 약제 약 50 ㎎ 내지 약 1.0 g 범위로 되는데, 좋기로는 1일 약 100 ㎎ 내지 약 600 ㎎ 범위이다. 일반적으로, 치료는 약 3일 내지 약 15일 범위의 기간 동안 계속되게 된다. 필요한 경우에는 약물의 양 및 치료 간격은 더 증가될 수도 더 감소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이하에 보고되어 있는 임상적 연구 결과에 따르면, 1일 약 100~400 ㎎의 MCC를 약 10일의 기간에 걸쳐 투여하면 임상적인 재발을 최소화하면서 CDAD를 치료하는 데 효율적이라는 사실이 입증되었다.
본 발명의 한 가지 실시 상태에 따르면, 상기 혼합물은 다음의 일반적인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진탕 플라스크로부터 대형의 "배치 (batch)" 발효통에 이르는 용기 중에서 MCC 생성균을 배양하였다. 실질적인 양의 MCC를 제조하기 위하여, 탱크 중에서 침액형 호기성 발효법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진탕 플라스크 배양으로는 소량을 얻을 수 있다. 탱크 발효용으로는, 증식형 접종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소량의 배양 배지에 미생물을 포자형, 균사상 조각 또는 동결 건조 과립으로 접종시켜 신선하고 활동적으로 생장하는 미생물의 배양을 얻음으로써 증식형 접종 재료가 마련된다. 이어서, 상기 증식형 접종 재료를 더 큰 탱크에 이동시키는데, 이 곳에서 적당한 배양 시간 후에, 상기 MCC 항생제가 훨씬 향상된 수율로 제조된다. 발포(發泡)가 문제가 되는 경우에는, 대규모의 발효 배지에 소량의 발포 방지제를 첨가할 필요가 있는 경우도 있다.
상기 제조 방법은 생산량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기타의 첨가제/성분을 사용하는 대조 배지 중에서 진행된다. 침액형의 교반식 배양법이 MCC의 제조에 사용된다. 발효는 25℃ 내지 37℃ 범위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탄소원의 소비량을 주의하여 관찰하고, 필요시 추가량의 탄소원을 가한다. 발효시 pH는 약 6.0 내지 약 8.0 범위에서 유지되는 것이 좋다. MCC는 발효 접종 후 3일 내지 15일 후에 생성 및 축적된다.
시판 중인 흡착제 수지가 발효 중에 MCC의 수율 및 회수율을 증가시킨다는 사실이 밝혀져 있다. 흡착제는 0.5~15 중량% 범위로 존재하는 것이 좋다. MCC는 수지 흡착에 의하여 발효 브로스 (broth)로부터 높은 수율 (> 100 ㎎/ℓ 브로스)로 회수되고, 각종 극성의 용매로 세척함으로써 수지 및 균사체로부터 용리되었다.
먼저 Amberlite 수지 (XAD-16) 등의 흡착제 수지를 사용하여 발효 중에 브로스로부터 MCC를 포획하였다. 발효 종료시, 체질하여 상기 브로스로부터 고체 덩어리 (상기 흡착제 수지를 포함하는)를 분리시킨다. 상기 고체 덩어리를 에틸아세테이트로 용리시킨 다음, 감압하에서 농축시킨다.
발효 종료시, 상기 고체 덩어리 (흡착제 수지를 포함하는)를 체질하여 브로스로부터 분리한다. MCC를 에틸아세테이트, 메탄올, 아세토니트릴 또는 2개 이상의 유기 용매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상기 수지로부터 용리시킨다. 이어서, 상기 추출액을 감압 농축시킨다. 이 잔사는 헥산, 헵탄, 메틸시클로헥산 등의 극성이 낮은 용매를 사용하여 분쇄하거나 또는 에틸아세테이트/물, 에틸아세테이트/수용성 염화나트륨 용액, 메탄올/헥산, 아세토니트릴/헥산 또는 다양한 비율 및 조합의 2종 이상의 용매의 기타 혼합물 등의 이상(二相)의 용매계 사이에서 분배하거나 또는 적합한 유기 용매계를 사용하여 용리시키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함으로써 더 정제된다. 현재의 MCC 정제법은 50:50:1의 CH3CN/H2O/AcOH 또는 70:30:1의 MeOH/H2O/AcOH를 용리액으로 사용하는 중압 역상 (C-18) 칼럼에 기초한다. 필요한 MCC를 함유하는 분획은 식염수 및 그 농축액으로 세척하였다. 잔사를 에틸아세테이트에 용해시켜, 물로 세척하고, 유기층을 증발 건조시켜서 연황색 발포체를 얻고, 이를 다시 이소프로필알코올로 세척하여 감압 건조시켜서 백색 분말을 얻었다. 순도 >88%의 분획을 한 데 모았다. 분획들을 원래 부피의 절반으로 농축시킨다. 침전물을 여과하고 여과기 케익을 물로 세척하였다. 이 고체를 고진공하에서 철야 건조시켜서 백색 분말을 얻고, HPLC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일반적으로, 이 혼합물은 주성분인 90% 내지 99% 범위의 티아쿠미신 B, 리피아르마이신 A4 (0.1% 내지 5%) 및 적어도 1종의 전술한 화학식 3~14의 거대 고리 분자로 조성된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어떠한 방식으로도 한정하려고 의도하는 일이 없이 본 발명의 특정의 실시 상태들을 설명하는 방식으로 제공된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혼합물은 전술한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다. 다음의 표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몇 가지 예시적인 혼합물의 조성을 나타내고 있다.
API 혼합물의 특성
균주 야생 타입 야생 타입 야생 타입 야생 타입 야생 타입 야생 타입 야생 타입 돌연변이 돌연변이 화합물 티이쿠미신B에 대한 MIC의 상대적 증가
시험 1A 1B 1B 1B 2A 2A 2A n/a
(조질)
2B
로트 # 92161001 92161901 92161902 92161903 93161001 93161901 93161002 F7502 B-0660041
RRT % % % % % % % % %
0.32 - 0.06 0.07 - - 0.06 - - 0.06    
0.39 - - 0.07 - - - - - 0.02
0.49 - 0.19 0.13 - - - 0.15 - 0.05
0.71 - - - - - - - 3.23 0.02 OP-1416 2-4x
0.75 0.48 0.28 0.16 0.17 0.32 0.08 0.12 0.49 0.35    
0.79 0.11 0.09 0.07 0.06 0.05 0.08 - 0.72 0.21    
0.81 0.08 - - - - - - 1.01 0.08 OP-1415 8-16x
0.84 0.05 0.04 0.18 0.12 - 0.87 - 3.96 0.25 OP-1417 2-4x
0.86 - - - - - - - - -
0.88 - - - - - - - 3.20 -    
0.89 0.24 0.37 0.61 0.32 0.69   0.50 4.85 1.13 OP-1405 (리피아르마이신 A4) 1-4x
0.92 0.44 0.51 0.42 0.21 0.19 0.16 0.17 1.74 0.15 OP-1431 (티아쿠미신 F) 8x
0.95 - - - - - - 0.08 0.63 0.06 OP-1432 (티아쿠미신 C) 8-16x
0.96 0.27 0.44 0.65 0.35 - - 0.15 - -
0.98 0.25 - - - - - - - -    
1.00 95.54 97.26 96.40 98.78 98.16 98.55 98.36 73.61 95.6 OP-1441 (티아쿠미신 B) 1x
1.03 - - - - - - 0.22 - 0.22
1.04 0.29 - - - - - - - -
1.05 0.37 0.24 0.60 - - - - - -
1.07 0.43 - 0.16 - 0.08 - - - 0.09    
1.10 0.90 0.31 0.36 - 0.26 0.10 0.10 0.37 - OP-1434 (티아쿠미신 A) >32x
1.11 - - - - - - - - 0.81
1.13 - - - - - - - - 0.55
1.13 0.32 0.20 0.13 - 0.24 0.11 0.14 1.64 - OP-1435 2x
1.14 0.19 - - - - - - - -    
1.19 0.04 - - - - - - 1.50 - OP-1437 2x
1.23 - - - - - - - 2.61 0.30 OP-1402 2-4x
다음의 절차에 따라서 HPLC 분석을 수행한다.
이동상 A: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2.0 ㎖를 HPLC 2ℓ에 가하고, 여과하여 탈기시킨다.
칼럼: 다공성 실리카 또는 직경이 3 내지 10 ㎛인 세라믹 미립자 (예컨대, 조르박스 이클립스 (Zorbax Eclipse) XDB-C8, 3.5 ㎛)에 화학적으로 결합된 옥틸실란을 포함하는 4.6X150 ㎜ 칼럼.
검출기: 230 ㎚.
유속: 약 1.0 ㎖/min.
주입량: 약 10 ㎕.
작업 시간: 약 10분.
희석제: 100% 아세토니트릴.
기울기 프로그램:
시간 (분) % 이동상 A % 이동상 B
0 60 40
3.0 50 50
14.0 39 61
14.5 60 40
주의: 혼합물의 체류 시간은 8~12분 이내이어야 한다.
표준 제제: 정확하게 약 20 ㎎의 혼합물을 100 ㎖ 부피의 플라스크에 넣고 희석제를 사용하여 용해시켜 용량까지 희석시킨다.
시료 제제: 정확하게 약 20 ㎎의 혼합물을 100 ㎖ 부피의 플라스크에 넣는다. 약 60 ㎖의 희석제를 가하고 진탕시켜 용해시킨다. 희석제를 사용하여 희석시키고 혼합한다.
계의 적합성: 상기 표준 제제를 크로마토그래피하고 후술하는 절차에 지시된 바와 같이 피크 반응을 기록한다. 5회의 반복 주입을 위한 티아쿠미신 B 피크 면적의 상대적인 표준 편차는 NMT 2.0%이고, 티아쿠미신 B 면적의 테일링 (tailing) 인 자는 NMT 2.0이다.
절차: 약 10 ㎕의 희석제를 주입한다. 동일한 부피 (약 10 ㎕)의 표준 제제 및 시료 제제를 별도로 주입하고, 크로마토그램을 기록하여 주(主)피크에 대한 검출기 반응을 측정한다.
상대 체류 시간:
관련 물질 RT 비
화학식 2의 화합물 (티아쿠미신 B) 1.0
화학식 3의 화합물 0.71
화학식 4의 화합물 0.81
화학식 5의 화합물 0.84
화학식 6의 화합물 (티아쿠미신 F) 0.92
화학식 7의 화합물 (티아쿠미신 C) 0.95
화학식 8의 화합물 (티아쿠미신 A) 1.10
화학식 9의 화합물 1.13
화학식 10의 화합물 1.19
화학식 11의 화합물 1.24
화학식 12의 화합물 1.39
화학식 13의 화합물 1.48
화학식 14의 화합물 (리피아르마이신 A4) 0.89
계산: 다음의 공식을 사용하여 분석치를 계산한다.
Figure 112008036182406-pct00016
여기서: Ru=분석 제제로부터 얻은 티아쿠미신 B 피크 면적.
Rs=표준 제제로부터 얻은 티아쿠미신 B 피크 면적.
P=수분 인자를 비롯한 대조 표준의 순도.
Wstd=표준 중량 (㎎).
StdDil=표준 희석제 (㎖)
Wsmp=시료 중량 (㎎).
WF=시료 수분 인자.
희석제로부터 유래하는 피크들을 버리고, 다음 공식에 의하여 개별 및 전체 관련 물질의 % w/w를 계산한다.
Figure 112008036182406-pct00017
여기서: Ri=시료 제제로부터 얻은 관련 물질 피크 면적.
Ru=시료 제제로부터 얻은 티아쿠미신 B 피크 면적.
RFi=관련 물질 반응 인자 (모든 관련 물질에 있어서 RFi=1.0).
그 밖에,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의 일반적인 HPLC 특성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혼합물에 함유되어 있는 화합물은, 예컨대 화학식 2~14의 화합물은 그들의 RT비를 기준으로 하여 HPLC 특성 중에서 발견될 수 있다. 도 5의 Par-101은 RT비가 1.0인 티아쿠미신 B를 나타내고 있다.
이어서, 상기 혼합물 (50 ㎎)을 규격 1의 캡슐 외각 중에 100 ㎎의 아비셀 피에이치 102 (Avicel PH 102), FMC (미세 결정형 셀룰로오스)와 혼합시킨다.
실시예 1. 접종 재료, pH 및 양이온이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 대한 MCC 의 시험관내 활성에 미치는 영향
각종 항생제에 대하여 측정된 MIC 값들은 pH, 칼슘 및 마그네슘 등의 2가 양이온의 농도 및 세균 밀도 등의 환경 변수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고 알려져 있다. 이들 인자에 대한 항균 활성의 의존도는 특히 장 내의 세균을 목표로 하는 항생제 를 위하여 중요한 고려 사항이고, 여기서 이들 파라미터는 식이 및 질병 상태에 따라 크게 달리질 수 있다.
또한, MIC의 이들 환경 변수들에 대한 민감도는 장래 시험관내 시험을 위한 방법론을 설계하는 경우 중요한 고려 사항이 될 수 있다. 임상 및 실험 표준원, CLSI (종전의 NCCLS)는 무산소성균의 최소 억제 농도 (MIC) 측정을 위하여 K1 및 헤민을 보충한 브루셀라 아가 (Brucella agar)의 사용을 권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배지 중의 2가 양이온의 농도는 표준화되어 있지 않다. 더욱이, 무산소성 글러브 박스 (glove box)에서 사용되는 배지의 pH는 역시 상이한 기체 혼합물하에서 달라질 수 있다. 무산소성균은 일반적으로 질소, 수소 및 이산화탄소의 혼합물 중에서 배양되고, CO2의 존재는 상기 배지를 산성으로 되게 하며 가변성의 중요한 원천이 될 수 있다. 접종 재료의 규격 역시 무산소 감수성 시험법 (H2/CO2 발생기, 증발/치환법 또는 무산소 챔버)에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분위기 조건을 표준화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 각 실험실에 이용할 수 있는 무산소성 조건이 미생물을 벤치 탑 조작 (bench top manipulation) 및 무산소 평형 도중의 무산소성 분위기에 대한 미생물의 노출 기간을 결정하게 되고, 따라서 배양 생육력 및 실험 결과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 연구에 있어서, 본 발명자들은 2가 양이온 칼슘 및 마그네슘의 농도, pH (5 내지 8), 접종 재료의 밀도 (3위(位) 이상의 크기) 및 브루셀라 브로스의 로트(lot)로부터 로트까지의 가변성이 MIC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재료 및 방법
균주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 9689, 700057, 43255, 17857 및 유박테리움 렌텀 (Eubacterium lentum ) 43055의 실험실 균주를 아메리칸 타입 컬쳐 콜렉션 (ATCC)으로부터 얻었다. 이들 균주를 모두 브루셀라 아가 플레이트 위에 획선(劃線)하고, 헤민과 사용 전에 10% 글리세롤 중에서 -78℃로 유지시킨 냉동 원료로부터 얻은 비타민 K를 보충시켰다.
MIC 시험
무산소성 브로스 및 아가를 희석하기 위한 현재의 CLSI 절차 (4)를 MIC 측정에 이용하였다. 브로스 희석은 클로스트리듐의 MIC 시험용으로 유효성이 입증된 방법은 아니지만, 무산소성 챔버 내부에서의 평형 후에 고체 아가의 pH 측정의 잠재적인 부정확성 때문에, 양방법을 사용하고 비교하여 pH 효과를 평가하였다.
접종 재료의 밀도가 MIC 값에 미치는 영향
아가 희석법 (4)을 사용하여 접종 재료의 밀도가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의 MCC 및 반코마이신에 대한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접종 재료는 먼저 ~108 cfu/㎖의 현탁액을 조제한 다음, 이 현탁액을 연속하여 10배로 희석시켜서 105 ~ 108 cfu/㎖ 범위의 배양 밀도를 얻고, 102 ~ 105 cfu/spot의 스팟 (spot) 밀도를 얻음으로써 마련되었다.
pH 가 MIC 값에 미치는 영향
아가 희석법 및 브로스 미세 희석법의 양방법을 사용하여 pH 6~8 범위에 걸쳐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의 MCC에 대한 감수성을 평가하였다.
상기 아가 희석법을 사용하여, 2 가지 별도의 실험 중에 pH 6.2~8.0에서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 균주에 대한 MCC의 MIC를 측정하였다. 감수성 시험용으로 목적하는 무산소성 pH를 달성하기 위하여, 각각 pH 7 및 8에서 배지에 완충제 (100 mM의 NaH2PO4 또는 TAPS [N-트리스(히드록시메틸)메틸-3-아미노프로판술폰산])를 가하였다. 강한 완충제를 사용하더라도, 무산소성 기체 중에서의 평형 후에 pH는 약간 이동하고, 따라서 일부의 경우에 있어서 배지를 주위의 공기 중에서 상기 목적하는 무산소성 pH까지 적정시켰다. 실제의 pH는 항상 무산소성 챔버 내부에서 평형 후에 확인되었다. 대조군으로 사용된 반코마이신은 pH 7에서만 시험하였다.
브로스 미세 희석법을 사용하여, 3 가지 별도의 시리즈로 pH 6~8의 범위에 걸쳐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 균주에 대한 MCC 및 반코마이신의 MIC 값을 측정하였다. 제1 시리즈에서는, 미완충 브루셀라 브로스를 주위의 공기 중에서 적정하여 5~9 범위의 pH를 얻었다. 그러나, 글러브 박스 환경 (10% H2 / 5% CO2 / 85% N2) 내의 배지의 무산소 평형이 그 배지의 pH를 저하시키고, 그 결과로 무산소 pH가 5~7.5의 범위로 되었다 (글러브 박스의 외부에서 표준 완충제로 조절된 바닥이 평평한 탐침을 구비한 휴대식 pH 미터를 사용하여 시험하고, 이어서 내부에 옮겨 놓았다). 후속 실험을 위하여, 완충제를 배지에 가하여 무산소 평형에 의하여 유발되는 pH 이동을 억제하였다. 제2 시리즈에서는, 완충제 (pH 7.0의 NaH2PO4ㆍH2O, pH 8.0의 MOPS 또는 pH 9.0의 TAPS, 주변 공기 중의 pH값) 10 mM를 pH 값이 6 이상인 배지에 가하여 무산소 평형 후에 6~7.6 범위의 pH를 얻었다. 제3 시리즈에서는, 6 이상의 pH 처리를 위하여 상기 완충제의 농도를 100 mM로 증가시켜서 6~8.1 범위의 무산소 pH를 얻었다.
2가 양이온의 농도가 MIC 값에 미치는 영향
상기 아가 희석법을 사용하여, 칼슘 및 마그네슘 이온의 농도가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 균주의 MCC에 대한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라보라토리 스페셜리스트 인크 (Laboratory Specialists, Inc)에 의하여 제조사로부터 얻은 것과 동일한 브루셀라 브로스 중의 2가 양이온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추가량의 2가 양이온을 가하여 2.1, 3.0 및 5.7 ㎎/㎗의 칼슘 이온 농도와 3.3, 4.5 및 7.5 ㎎/㎗의 마그네슘 이온 농도를 얻었다 (염화칼슘 또는 염화마그네슘의 형태로).
상이한 시판용 로트의 배지를 사용하는 MCC MIC 값의 재현성
CLSI 아가 희석법을 사용하여, 상이한 로트의 비타민 K (Sigma lot # V-3501 및 0214010) 및 헤민 (Sigma lot # 072K1221 및 034K7656)이 보충된 BBL (lot #30768960, 211086 및 3167036)로부터 3 가지 상이한 로트의 시판용 브루셀라 아가를 이용하여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의 MCC에 대한 감수성도 역시 조사하였다.
결과
접종 재료의 밀도가 MIC 값에 미치는 영향
표1 및 2는 접종 재료의 밀도가 2종의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 균주 (ATCC 9689 및 ATCC 700057)에 대한 MCC와 반코마이신의 MIC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고 있다. 시험된 모든 접종 재료의 농도에 대하여 얻은 동일한 MIC 값들에 의하여 나타나는 바와 같이, 2종의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 균주의 MCC에 대한 감수성은 105~108 cfu/㎖ (102~105 cfu/spot)의 접종 재료 농도에 의하여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그러나, 반코마이신의 MIC는 접종 재료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MIC는 접종 재료 밀도 최저치에서보다 접종 재료 밀도 최고치에서 4배 증가를 나태내었다. 이들 결과는 접종 재료 밀도는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의 MCC 감수성 시험의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자가 아니라는 사실을 입증하는 것이다.
표 1.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 ATCC 9689 (102~105 cfu/spot)의 상이한 접종 재료 밀도에 대한 MCC의 시험관내 활성 (㎍/㎖)
접종 재료 밀도 접종 재료 밀도 ATCC 9689
( cfu / ml ) cfu / spot MCC vanc
1.92 x 108 1.92 x 105 0.063 2
1.92 x 107 1.92 x 104 0.063 1
1.92 x 106 1.92 x 103 0.063 1
1.92 x 105 1.92 x 102 0.063 0.5
표 2.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 ATCC 700057 (102~105 cfu/spot)의 상이한 접종 재료 밀도에 대한 MCC의 시험관내 활성 (㎍/㎖)
접종 재료 밀도 접종 재료 밀도 ATCC 700057
( cfu / ml ) cfu / spot MCC vanc
1.48 x 108 1.48 x 105 0.125 1, 2
1.48 x 107 1.48 x 104 0.125 1
1.48 x 106 1.48 x 103 0.125 1
1.48 x 105 1.48 x 102 0.125 0.5
pH 가 MIC 값에 미치는 영향
표 3은 별도의 이틀에 아가 희석법에 의하여 측정된 여러 가지 pH 값이 클로 스트리듐 디피실리의 MCC에 대한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고 있다. 최초의 작업 중의 MIC 값에 있어서, 2종의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 균주에 대한 가장 높은 pH 처리 (pH 7.9)는 가장 낮은 pH 처리 (pH 6.2 & pH 7.2)에 비하여 8배 증가를 나타내었다. 가장 높은 pH (pH 8.0)에서 확인 작업을 반복하는 경우, MIC 값은 양쪽 균주에 대하여 모두 높게 유지되었다. pH 6.2 및 pH 7 사이에서 어떠한 균주에 대하여도 MCC의 MIC의 증가는 관찰되지 않았다.
pH에 따른 MIC 값의 증가는 증가된 생육성과 일관되게 상호 관련되지 않으며, 따라서 pH가 MIC에 대하여 미치는 영향은 단순히 더 높은 pH에서 미생물의 생육성이 증가되기 때문이라고 보이지는 않았다. pH 7 처리는 pH 6.2 및 pH 7.9 처리에 비하여 미생물 스팟 (spot) 생육성이 덜 조밀하였다.
표 3. pH가 아가 희석 MIC 값에 미치는 영향 (완충 배지)

무산소성 pH
6.2 7 7.9 8.0
미생물 약물  비완충 100 mM NaH2PO4
pH 7.2 (공기)
100 mM TAPS
pH 9.2 (공기)
100 mM TAPS
pH 9.2 (공기)
ATCC 9689
 
MCC 0.063 0.063 0.5 1
반코마이신 1 (pH 6.7)  4    
ATCC 700057
 
MCC 0.125 0.125 1 2
반코마이신 2 (pH 6.7)  4    
표 4, 5 및 6은 각각 별도의 사흘에 5 내지 8.1의 pH 범위로 수행된 브로스 미세 희석 감수성 방법으로부터 얻은 MIC 자료를 나타내고 있다. 제1 시리즈에서는, 배지는 완충시키지 않고, pH 7.5에서 MCC의 MIC는 2종의 클로스트리듐 디피실 균주에 있어서 pH 5.9에서의 MIC보다 8배 높았다 (표 4). pH 5에서는 미생물이 생장하지 못하기 때문에, 이 pH에서의 MIC는 측정할 수 없었다. 클로스트리듐 디피 실리 ATCC 9689 및 ATCC 700057에 있어서 완충 (10 mM) pH 7.6 처리시 MCC의 MIC는 pH 6 처리시 MCC의 MIC에 비하여 각각 8배 및 16배 증가하였음을 나타내었다 (표 5). 강하게 완충된 (100 mM) 제3의 시리즈에서는, 2종의 미생물에 대하여 최저의 pH 처리 (pH 6)에서의 MIC에 비하여 16배 증가를 나타내는 최고 pH 처리 (pH 8.1)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표 6). 반코마이신은 3 가지 모든 실험에 있어서 최저 pH 처리보다 4배 내지 8배 높은 MIC를 나타내는 최고 pH 처리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표 4. pH가 미완충 배지를 사용하는 MIC에 미치는 영향
   무산소 pH (미완충)
미생물 약물 5 5.9 6.6 7.1 7.5
ATCC 9689 MCC 생장되지 않음 ≤ 0.016 ≤ 0.016 0.063 0.125
  MCC ≤ 0.016 0.031 0.063 0.125
  vanc 0.5, 1 0.5, 1 2 4
  vanc 1 0.5, 1 2 4
ATCC 700057 MCC 생장되지 않음 0.031 0.063 0.125 0.25
  MCC 0.031 0.063 0.125 0.25
  vanc 0.5 1 1 2, 4
  vanc 0.5 1 1, 2 2, 4
표 5. pH가 약하게 완충된 배지 (10 mM)를 사용하는 MIC에 미치는 영향

무산소 pH
6 6.7 7.2 7.6
미생물 약물  pH 6.0
(공기)
10 mM NaH2PO4
pH 7.0
(공기)
10 mM MOPS
pH 8.0
(공기)
10 mM TAPS
pH 9.0
(공기)
ATCC 9689 MCC ≤ 0.016 0.031 0.063 0.125
  MCC ≤ 0.016 0.031 0.063 0.125
  vanc 0.5 1 2 4
  vanc 0.5 1 2 4
ATCC 700057 MCC 0.031 0.063 0.125 0.5
  MCC 0.031 0.063 0.25 0.5
  vanc 0.5 1 2 4
  vanc 0.5 1 2 4
표 6. pH가 강하게 완충된 배지 (100 mM)를 사용하는 MIC에 미치는 영향

무산소 pH
6 6.8 7.5 8 8.1
미생물 약물  pH 6.0 (Air) 100mM NaH2PO4
pH 7.0 (공기)
100mM MOPS
pH 8.0 (공기)
100 mM TAPS
pH 9.0
(공기)
100 mM TAPS
pH 9.5
(공기)
ATCC 9689 MCC ≤ 0.016, 0.031 0.031 0.125 0.25, 0.5 0.25, 0.5
  MCC ≤ 0.016 0.031 0.125 0.25 0.25
  vanc 1 1 4 >8 >8
  vanc 0.5 1, 2 4 >8 >8
ATCC 700057 MCC 0.031, 0.063 0.063, 0.125 0.25 1 0.5
  MCC 0.031 0.063, 0.125 0.25 0.5, 1 0.5
  vanc 1 2 4 8 8
  vanc 1 2 4 8 8
총생장을 위하여 모든 pH 처리에서의 분석 플레이트도 역시 시각적으로 검사하였다. 미완충 브로스를 사용하는 제1 시리즈에서는, 총배양 혼탁도는 pH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다. 10 mM로 완충된 브로스를 사용하는 제2 시리즈에서는, pH 7.2와 pH 7.6에 대한 배양 혼탁도가 동일하다는 사실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경향이 관찰되었다. 제3 시리즈에서는, 배양 혼탁도는 가장 혼탁한 pH 7.5를 제외하고는, 모든 pH 처리에 걸쳐 보다 동등하였다.
종합적으로 보면, 2 가지 감수성 시험법을 사용하고 완충염의 농도의 변화에 걸쳐 MCC 및 반코마이신의 MIC 값은 2종의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의 균주에 대하여 pH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다.
2가 양이온의 농도가 MIC 값에 미치는 영향
시판 중인 브루셀라 브로스 중의 칼슘 및 마그네슘의 농도 측정은 각각 21 및 33 ㎎/ℓ의 칼슘 및 마그네슘 이온 농도를 나타내었다. 2가 양이온을 다양한 첨가량으로 가하고,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 균주에 대한 MCC의 MIC 값을 3 가지 상이한 칼슘 이온 농도 (21, 30 및 57 ㎎/ℓ) 및 3 가지 상이한 마그네슘 이온 농도 (33, 45 및 75 ㎎/ℓ)에서 시험하였다. MIC 값은 모든 종류의 배지에서 동일하게 유지시켰다. 양이온의 농도가 다양한 배지 중에서의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 9689의 MIC 값은 0.063 ㎍/㎖이고,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 700057의 MIC 값은 0.125 ㎍/㎖이었다. 실험 중에 대조군으로서 추가의 칼슘 및 마그네슘이 존재하지 않는 보충 브루셀라 아가에 의하여 대조군으로서 시험한 반코마이신은 모든 작업에 대하여 MIC 예상 값인 1 ㎍/㎖를 나타내었다 (표 7 및 8).
표 7. 2가 양이온의 농도가 상이한 보충 브루셀라 아가에 있어서 MCC의 시험관내 활성
약물 브루셀라 아가 배지 중의 칼슘 농도 ( mg /L)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
( ATCC 700057)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
( ATCC 9689)
MIC ( mg / mL ) MIC ( mg / mL )


MCC
33 0.125 0.063
45 0.125 0.063
75 0.125 0.063
반코마이신 33 1 1
표 8. 2가 양이온의 농도가 상이한 보충 브루셀라 아가에 있어서 MCC의 시험관내 활성
약물 브루셀라 아가 배지 중의 마그네슘 농도 ( mg /L)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
( ATCC 700057)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
( ATCC 9689)
MIC ( mg / mL ) MIC ( mg / mL )


MCC
21 0.125 0.063
30 0.125 0.063
57 0.125 0.063
반코마이신 21 1 1
상이한 시판 로트의 배지를 사용하는 MCC MIC
3 가지 상이한 로트의 보충 브루셀라 아가 배지를 별도의 사흘에 사용하여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에 균주에 대한 MCC의 활성을 비교하였다. CLSI (NCCLS)가 허용하는 범위, 즉 0.06~0.25 ㎍/㎖ 이내의 클린다마이신 (clindamycin)에 대한 QC 미생물, 유박테리움 렌텀의 활성을 시험함으로써 MIC 분석을 조절하였다. MIC 분석을 위한 또 다른 조절 단계는 메트로니다졸 및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 균주에 대한 그의 활성을 관찰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었는데, 이는 본 발명자들의 실험실에서, 0.25~0.5 ㎍/㎖의 범위의 MIC 값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표 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에 대한 MCC의 활성은 상이한 로트의 보충 브루셀라 아가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았다. 모든 대조군은 확립된 범위 내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표 9. 3 가지 상이한 로트의 배지를 사용하여 시험한 MCC의 시험관내 활성
세균 (ATCC #) MIC 값 (㎍/㎖)
메트로니다졸 클린다마이신 MCC
1일 2일 3일 1일 2일 3일 1일 2일 3일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 (9689)
0.5 0.5 0.5 4 4 4 0.25 0.25 0.125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
(43255)
0.5 0.5 0.5 8 4, 8 8 0.25 0.5 0.25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
(17857)
0.25 0.5 0.5 4 2 4 0.125
0.25
0.25 0.125
유박테리움 렌텀
(43055)
1 0.25 1 0.25 0.25 0.125 0.125
0.25
0.25 0.06
0.125
결론
반코마이신에 비하여,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에 대한 MCC의 활성은 102~105 cfu/spot의 범위에서 접종 재료의 농도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았다.
MCC에 대한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의 감수성은 양이온의 농도 (2.1~5.7 ㎎/㎗ 범위의 칼슘 이온 및 3.3~7.5 ㎎/㎗의 마그네슘 농도)에 의하여, 각종 시판용 로트의 배지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았다.
MCC 및 반코마이신의 양자에 대한 MIC 값은 pH 6~8의 범위에서 pH의 증가에에 따라 증가하였다. 염기성 pH에서 MIC 값이 높은 이유는, 세균 세포에 대한 투과성이 낮은 것으로 기대되는 하전종(荷電種)을 형성하는 pKa 이상에서 양화합물의 페놀릭 히드록실기의 탈양성자형 때문이라 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pKa 이하 (MCC에 대하여 7.22)에서, 항생제는 대부분 양성자화를 일으키게 되고, 따라서 세포막을 더 효율적으로 투과하여야 한다.
pH가 증가함에 따라 일반적으로 미생물의 밀도도 증가하였는데, 완충제가 존재하는 경우, MIC가 아닌, 생장 밀도의 pH에 대한 의존도는 감소하였다. 완충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미생물의 밀도는 염기성에 비례하는 관계에 있었지만, MIC의 경향은 독자적인 미생물 밀도에 대한 pH의 효과의 결과라는 사실은 비유사하다. 이는 미생물의 밀도가 pH 처치에 걸쳐서 더 동등하게 된 완충제를 사용한 실험에서 MIC와 pH 사이의 동일한 관계가 관찰되었기 때문인데, 아마도 미생물 생장에 대한 완충제류의 상이한 효과에 기인할 것이다.
실시예 2. 건강한 대상자 및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 관련 설사 ( CDAD ) 환자에 있어서 MCC 의 안전성, 약물 동태학 및 결과.
1B-MB상(相).
개요. 이는 플로리다주 마이애미시의 마이애미 대학 임상 약리학과에서 수행 된 경구 복수회 투여량의 이중 맹검식 무작위 추출 위약(僞藥) 대조군을 설치한 용량 증가 연구이었다. 리차드 프레스톤 (Richard Preston) 박사는 이번 시험에서 총괄 책임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MCC의 복수회의 경구 투여의 내약성 및 약물 동태학은 총24명의 건강한 지원자 대상 중에서 평가되었다. 평가된 (각 8명의 환자로 구성된 3개군으로서, 이들 중 6명은 활성약이고 2명은 위약이다) MCC의 경구 투여량은 150, 300 및 450 ㎎ (50 ㎎의 연구 약물을 함유하는 분말로 채운 캡슐 중에)이었고, 10일간 연속하여 매일 아침 식사 후에 투여하였다. 대상자에게 투여되었고 입원 환자/외래 환자를 합한 것에 기초하여 관찰되었다. 대상자들을 10일간의 투여 기간 중 제0일과 다시 제9일에 연구 유닛에 입원시켰고, 각 입원 후에는 최대 48 시간 체류시켰다. 계획한 일과 절차를 완료한 후에 대상자들을 제2일 및 제11일에 퇴원시켰다. 외래 환자 기간 중에, 대상자들은 투여에 대하여 연구 유닛에 매일 보고하고 관찰하에 3 시간 체류하였다.
복수회의 투여 기간 중에 일련의 혈액, 소변 및 배설물 시료를 다양한 시점 및 간격에서 채취하였다. 약물 동태학 분석을 위하여 혈장, 소변 및 배설물 중의 MCC 농도를 측정하였다. 추적 조사를 대상자들을 연구로부터 퇴거시키기 전의 각 연구 기간의 제17일째에 계획하였다. 처치 기간 내내 그리고 추적 연구에서 어떤 유해 사례의 발생 또는 비정상적인 실험실 시험 판단 소견에 대하여 연구 대상자들을 면밀히 관찰하였다. 도 1, 1B-MB상 투여 계획 참조.
2A상
개요. 이는 MCC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투여량을 선택하기 위한 투여량 판단 (dose-finding)연구이었다. 환자를 무작위로 나누어 100 ㎎/일 (12 시간마다 50 ㎎), 200 ㎎/일 (12 시간마다 100 ㎎) 또는 400 ㎎/일 (12 시간마다 200 ㎎) 중의 어느 하나의 양을 10일간 투여하고, 이어서 임상 평가를 행하였다. 대상자들은 모든 증상을 매일 일지 카드에 기록하였다. 대변의 빈도 및 경도, 대변 중에 혈액의 존재 및 복부 불쾌감에 특히 주의를 기울였다. 등록 스크리닝 (Screening for entry)과 치료의 최종 단계 (End of Treatment, 제10~12일)에서 또는 철회시 (어느 것이든 더 먼저인 것)의 평가를 수행하였다. 치료의 최종 단계 (제10~12일)에서 임상 관찰 및 일지 카드의 평가를 수행하였다. 제2일부터 제9일, 제17일 및 제52일에 치료에 대하여 환자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등록 포함 기준을 위하여,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 독소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MCC 치료에 대하여 반응하는 데 실패한 대상자들에 대하여 그리고 임상적 재발의 경우에,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 독소 분석 및 배양의 양자를 모두 수행하였다. 임상적, 실험적 및 미생물학적 분석 역시 치료에 대한 반응에 실패한 대상자들에 대하여 종료시에 수행하였다. 투여 2 시간 전 및 투여 첫 날과 마지막 날의 투여 2 시간 후에 약물 동태학적 혈장 시료를 채취하였다.
주요 포함 기준 . 대상자들은 1) 설사 (24 시간 이내에 3회 이상의 비정형 배변 또는 36 시간 이내에 6회 이상의 묽은 대변 또는 물 모양 대변으로 나타나는 배변 습관의 변화)와 2) 대변 중에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의 독소 A 또는 B 중 어느 하나의 존재에 의하여 정의되는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 관련 설사 환자이었다.
주요 배제 기준 . 대상자들은 1) 중증 또는 생명을 위협하는 CDAD, 2) CDAD와 무관한 생명을 위협하거나 심각한 질병, 3) 반코마이신, 메트로니다졸, 바시트라신 또는 CDAD의 치료용으로 사용된 임의의 약물 또는 기타의 항생제인 관련 약물의 동시 사용 (연구자가 배변 독소에 대한 실험 결과를 알기 전에 치료를 시작해야 할 필요를 인지하는 경우, 메트로니다졸 및/또는 반코마이신을 사용하여 최대 24 시간, 3회를 초과하지 않도록 투여하여 치료하는 것을 허용하였다.), 4) 지난 3개월 이내에 궤양 대장염 또는 크론병 (Crohn's disease) 및 CDAD의 복수회 재발 (1회를 초과하는 재발로서 정의되는)의 병력이 있는 대상자 (CDAD가 1회 재발한 대상자는 등록을 허용하였다.)을 가질 수 없었다.
사례의 일정
표 10. 2A상 연구에 있어서 평가 절차의 일정
평가 제1일
스크린/ 등록
치료 제2일 내지 제9일 치료의 최종 단계 또는 제10일 종료
제17일
추적 연구
제52일
정보 동의 X
포함/배제 X
의학적 병력 X
물리적 조사 X X
활력 징후 X X
12-Lead ECG X X
임상적 실험적 시험 X X
대변 시료 X X
PK 혈액 시료 추출a X X
배설물 PK 시료추출 X
유해 사례 X X X
수반되는 약 X X X X X
임신 테스트 X
일지 카드 검토 X X X
약 투여 연구 X X X
대상자 인터뷰 X X X X X
a약물 동태학을 위하여 투여 첫 날 및 마지막 날의 투여 0.5 시간 전 및 투여 2 시간 후에 채취된 혈액 시료
종료점 . 치료의 최종 단계에서, 연구원은 대상자들이 치료되었는지, 치료에 실패하였는지의 여부를 결정하였다. 그 밖에, 설사의 해소 시간 (묽은 대변 또는 물 모양 대변이 1일 3회 미만으로의 해소로서 정의되는) 및 치료 제10일까지의 CDAD 증상의 완벽한 이완 (완벽한 이완은 대변이 묽거나 단단한지와 무관하게, 대변의 1일 총3회 이하로의 해소와 열, 백색 혈액 세포의 증가 또는 복부 통증의 부존재이었다)가 제1 종료점으로서 관측되었고, 치료 이후 6주 이내의 재발 (독소 시험에 양성인, 1일 3회 이상의 묽은/물 모양 대변으로서 정의되는 설사의 재발)이 제2 종료점으로서 관측되었다.
분석
안전성 모집단:
안전 모집단에는 1회 이상 연구 의약을 투여받고, 이용 가능한 안전성 정보를 가진 무작위로 추출된 대상자들이 전부 포함되었다.
효능 모집단:
연구 계획서마다 처치된 환자에 있어서 임상적 성공 또는 실패를 결정하였다. 설사의 해소 및 증상의 완벽한 이완에 대한 시간을 위하여 분석된 모집단은 연구 의약을 최소한 1회 투여받았고, 설사 병력이 있었고, 24 시간 이내에 3회 이상의 묽은 대변을 경험하였으며 기저선에서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에 양성인, 무작위로 추출된 모든 대상자들로 이루어진, 치료 목적으로 변형된 모집단 (mITT)이었다.
설사의 해소 시간은 연구 의약의 최초 복용으로부터 설사가 해소되기까지의 시간 (일(日)로서)으로서 정의되고, 설사의 해소 시간을 3개의 치료군 중에서 비교 하였다. 설사의 중단일은 24 시간 이내에 비정형 대변 (물 모양 대변 또는 묽은 대변)이 3회 미만으로 일어나고, 이 상태가 연구 제10일까지의 치료 기간 중에 유지되는 첫 번째 날로서 정의된다. 대상자 일지 자료를 이용하여 제10일부터 제12일의 기간 중에 설사의 해소를 평가하였다.
CDAD 증상의 완벽한 이완:
CDAD 증상의 완벽한 이완은 연구 제10일까지 열 (≥37.7℃), 복부 통증 (일지상에 아무런 응답이 없는 경우) 및 증가된 WBC (WBC의 보통의 실험적 범위) 등의 기타 관련 징후/증상이 없는, 배변의 1일 3회 (환자의 일지 기록에 의함) 이하로의 해소로서 정의된다. 어떠한 변수가 기록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 이 결과는 미상으로 인정하였다.
임상적 재발률:
임상적 재발은 치료후 6주 이내에 3회 이상의 비정형 대변 (묽은 대변 또는 물 모양 대변) 및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 독소 A 또는 B에 대한 양성 대변으로서 정의된다.
결과
등록 및 인적통계
다음 단락은 1B-MD상 및 2A상 시험 중의 연구 모집단의 등록 및 인적통계 특성을 요약하고 있다. 총24명의 건강한 대상자들을 1B-MD상 연구를 위하여 등록시켰다. 남성과 여성을 교대로 등록시켜서 성별로 공평하게 분할하였다. 대상자들의 연령은 38~62세 (평균 51.6 ± 7.5세), 체중은 55.5~90 ㎏ (평균 71.5 ± 9.2 ㎏), 신장은 147~183 cm (평균 164.8 ± 10.8 ㎝)이었다.
2B상 연구에 있어서, 총49명의 대상자를 등록시켰다. 1명의 대상자가 동의를 철회하여 어떠한 약물도 받기 전에 연구로부터 탈락시켰으며, 안전성 또는 효능 중 어떠한 것을 위하여도 평가될 수 없었다. 1명의 대상자 (400 ㎎ 투여군)는 이전 24 시간 동안에는 배변 운동이 3회 미만이었으나, 이후 36 시간 내에 배변이 6회를 초과하였고, 설사의 해소 시간을 위하여는 평가될 수 있었으나, 임상적 반응 및 안전성 분석을 위하여는 평가될 수 없었다. 3명의 환자를 1 또는 2회의 투여 후에 중단시켰는데, 이는 동의 거부 (1명의 대상자, 100 ㎎ 투여군), 폐렴용 추가 항생제의 요구 (1명의 대상자, 100 ㎎ 투여군) 및 연구 의약 섭취 불능 (1명의 대상자 200 ㎎ 투여군) 때문이었다. 대상자 인적통계는 표 11에 열거되어 있다.
표 11. 2A상 연구를 위한 인적통계 요약; 안전성을 평가할 수 있는 모집단 중의 48명의 대상자들에 대한 인구학을 나타내고 있다.
MCC
100 mg/일
MCC
200 mg/일
MCC
400 mg/일
모든 대상자
(N=16) (N=16) (N=16) (N=48)
여성 10 (62.5%) 11 (68.8%) 9 (56.3%) 30 (62.5%)
남성 6 (37.5%) 5 (31.3%) 7 (43.8%) 18 (37.5%)
인종
백인 14 (87.5%) 15 (93.8%) 14 (87.5%) 43 (89.6%)
흑인 1 (6.3%) 1 (6.3%) 0 (0.0%) 2 (4.2%)
아시아인 0 (0.0%) 0 (0.0%) 1 (6.3%) 1 (2.1%)
히스패닉 0 (0.0%) 0 (0.0%) 0 (0.0%) 0 (0.0%)
기타a 1 (6.3%) 0 (0.0%) 1 (6.3%) 2 (4.2%)
나이(연령)
평균±SD 56.3±17.78 53.1±22.97 55.3±17.69 54.9±19.26
중앙값 54.5 55.5 56.0 56.0
범위 28.0-89.0 18.0-88.0 18.0-90.0 18.0-90.0
체중(Kg)
평균±SD 69.2±14.00 68.4±11.46 67.5±13.56 68.4±12.82
중앙값 69.3 66.0 65.2 66.0
범위 38.0-89.0 52.0-96.0 40.0-88.2 38.0-96.0
신장(cm)
평균±SD 163.8±15.52 166.4±9.48 166.2±13.18 165.5±12.80
중앙값 162.1 170.0 163.8 165.0
범위 122.0-187.5 150.0-178.0 142.0-193.0 122.0-193.0
계산된 신체 질량 지수b
평균±SD 25.8±3.89 24.9±4.50 24.3±2.52 25.0±3.68
중앙값 25.0 24.0 24.5 25.0
범위 17.0-34.0 17.0-32.0 20.0-28.0 17.0-34.0
주의: 다른 지시가 없는 한 수치는 대상자의 수를 나타낸다.
a 기타는 동(東)인도인, 인디안을 포함한다.
b 계산된 신체 질량 지수는 (kg 체중)/(미터 신장)2으로서 정의된다.
효능
요법의 종료시에 치료의 성공 또는 실패 여부를 임상적으로 평가함에 있어서, 낮은 투여군 중 2명의 환자 (2/14), 중간 투여군 중 2명의 환자 (2/15) 및 최고 투여군 중 0명의 환자 (0/16)가 연구원에 의하여 치료 실패로 간주되었다. 치료에 성공한 대상자 (n=41) 중, 100 ㎎/일 투여군 중 1명의 대상자 (1/12)와 최고 투여군 중 1명의 대상자 (1/16)에서 CDAD가 재발하였고, 전체 재발률은 2/41 (5%)이었다. 재발은 모두 요법의 종료 이후 대략 1개월에 발생하였다.
표 12. 프로토콜마다 피검 모집단 중의 임상 치료율 및 재발률
MCC
100 mg/일
MCC
200 mg/일
MCC
400 mg/일
N % N % N %
전체 14 100 15 100 16 100
치료 성공 12 86 13 87 16 100
치료 실패 2 14 2 13 0 0
임상적 재발a 1 8.3 0 0 1 6.3
a임상적으로 성공이었던 환자 중에서 평가된, 치료 후 6주 이내의 독소 양성 설사의 재발.
설사의 해소 시간은 환자의 일지 카드에 따라서, 환자에 있어서 비정형 대변이 1일 3회 미만으로 해소된 시간으로서 정의된다. mITT 모집단에 있어서, 이완의 평균 시간은 MCC 100 mg/일, 200 mg/일 및 400 mg/일의 치료군에서 각각 5.5일, 3.5일 및 3.0일이었다. 평균 설사 해소 시간은 100 mg/일 치료 대상자에서 6.3±3.66일, 200 mg/일 치료 대상자에서 4.8±3.56일 및 400 mg/일 치료 대상자에서 3.6±2.03이었다. 설사의 해소 시간에 있어서, 100 mg/일과 200 mg/일의 치료군간 및 200 mg/일과 400 mg/일의 치료군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존재하지 않았으나, 100 mg/일과 400 mg/일 치료군간의 차이는 통계학적 유의성에 근접하였다 (p=0.0506 Kaplan Meier estimate 및 p=0.0503 Kruskal-Wallis test).
표 13. 비정형 배변이 1일 3회 미만으로 (환자의 일지 카드에 따라서) 해소되는 시간으로서 정의되는 설사의 해소 시간 (mITT 모집단)
MCC
100 mg/일
MCC
200 mg/일
MCC
400 mg/일
P 수치
N 16 16 15
N (설사 해소) 10 12 14
N (Censored: 해소되지 않음)a 4 3 1
N (Censored: 연구에서 탈락) 2 1 0
N (Censored: 전체) 6 4 1
중간 시간 (일)b 5.5 3.5 3.0
P-Valuec 0.1912
MCC 100-MCC 200c 0.2901
MCC 100-MCC 400c 0.0506
MCC 200-MCC 400c 0.6143
a 제10일까지 묽은 대변이 1일 3회 미만으로 설사가 해소되지 않는 대상자
b Kaplan-Meier 추정치
c 일반화된 Wilcoxon Test로부터 얻은 P-수치.
연구 제10일까지 열, WBC 수 증가 또는 복부 통증이 없고 (환자의 일지 카드 상의 응답에 따라서), 1일 총 3회 이하의 배변 (정형 또는 비정형 여부에 무관하게, 환자의 일지 카드상의 기록에 의하여)으로서 정의되는 치료 종료시까지의 CDAD 증상의 완벽한 이완을 표 14에 나타내고 있다. 완벽한 이완은 100 mg/일 치료군에서 37.5%, 200 mg/일 치료군에서 50.0% 및 400 mg/일 치료군에서 86.7% 달성되었다. 제10일까지 완벽한 이완을 보이지 않았더라도 환자는 대부분 치료에 성공하여 제17일까지는 증상이 해소되었고, 더 이상의 치료를 요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인식할 가치가 있다. 연구에서 이탈한 3명의 환자들 (동의를 철회한 1명, 배제 항생제를 요구한 1명 및 경구 의약 섭취가 불가능한 1명) 역시 완벽한 이완을 겪지 않은 것으로 기록된다.
표 14. 배변이 1일 3회 이하로 해소되고 (정형 또는 비정형, 환자의 일지 카드상에 기록된 바에 따라), 연구 제10일까지 열, 복부 통증 및 증가된 WBC 등의 기타 관련 징후/증상이 없는 것으로서 정의되는, mITT 모집단 중에서 요법의 종료시 까지 CDAD 증상의 완벽한 이완
MCC
100 mg/일
n %
MCC
200 mg/일
n %
MCC
400 mg/일
n %
완벽한 이완 6 (37.5) 8 (50.0) 13 (86.7)
완벽하지 못한 이완 9 (56.3) 6 (37.5) 2 (13.3)
추가 치료 필요 2 (12.5) 2 (12.5) 0 (0)
추가 치료 불필요 5 (31.3) 3 (18.8) 2 (13.3)
연구에서 이탈 2 (12.5) 1 (6.3) 0 (0)
미상 1 (6.3) 2 (12.5) 0 (0.0)
단지 2명의 대상자 (100 mg/일 치료군에서 1명의 대상자 및 400 mg/일 치료군에서 1명의 대상자)만이 임상적 재발을 경험하였다.
안전성
1B-MD상 연구에 있어서, MCC는 모든 대상자에 대하여 모든 투여량에서 내성이 양호하였다. 150 ㎎ 군에서 7회, 450 ㎎ 군에서 2회 및 속임약 군에서 5회, 총14회의 유해 사례가 보고되었다. 상기 유해 사례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두통 (2), 현기증 (1), 쇠약 (1), 피로 (1), 비(鼻)충혈 (1), 연하(嚥下) 장애 (1), 인두염 (1), 결막염 (1), 상기도(上氣道) 감염 (2), 발진 (1) 및 가려움증 (1). MCC를 복용한 어떠한 대상자도 약물에 관련된 것으로 생각되는 유해 사례를 겪지 않았다.
상태 2A 연구에 있어서, 표 15에 나타내진 바와 같이, 100 mg/일 치료군에서 4/16 (25.0%) 대상자, 200 mg/일 치료군에서 4/16 (25.0%) 대상자 및 400 mg/일 치료군에서 1/16 (6.3%) 대상자가 연구 중에 1개 이상의 유해 사례를 보고하였다. 유해 사례들 중의 최고 빈도는 100 mg/일 치료군에서의 감염 및 신체계 침투로 보고 되었다 (3/16, 18.8% 대상자). 100 mg/일 치료군에서 혈관 장애를 보고한 대상자가 2/16 (12.5%), 200 mg/일 치료군에서 위장 장애를 보고한 대상자가 2/16 (12.5%) 있었다.
표 15. 계통 기관류 및 양호한 용어에 의하여 요약되는, 2A상 연구의 안전성 모집단에 있어서의 유해 사례 발생률
MCC 100 ㎎/일 MCC 200 ㎎/일 MCC 400 ㎎/일
계통 기관류 (N=16) (N=16) (N=16)
양호한 용어 n (%) n (%) n (%)
유해 사례를 경험한 총대상자 4 (25.0) 4 (25.0) 1 (6.3)
심장 장애 1 (6.3) 0 (0.0) 0 (0.0)
울혈성 심장 기능 상실 1 (6.3) 0 (0.0) 0 (0.0)
장장애 0 (0.0) 2 (12.5) 0 (0.0)
장출혈 0 (0.0) 1 (6.3) 0 (0.0)
만성 췌장염 0 (0.0) 1 (6.3) 0 (0.0)
전신 장애 및 투여 부위 이상 1 (6.3) 1 (6.3) 0 (0.0)
흉부 통증 1 (6.3) 1 (6.3) 0 (0.0)
감염 및 침투 3 (18.8) 1 (6.3) 0 (0.0)
기관지염 1 (6.3) 0 (0.0) 0 (0.0)
감염 1 (6.3) 0 (0.0) 0 (0.0)
폐렴 1 (6.3) 0 (0.0) 0 (0.0)
포도상구균 패혈증 0 (0.0) 1 (6.3) 0 (0.0)
요로 감염증 1 (6.3) 0 (0.0) 0 (0.0)
손상, 중독 및 절차상 합병증 0 (0.0) 1 (6.3) 0 (0.0)
Fall 0 (0.0) 1 (6.3) 0 (0.0)
대사 및 영양 장애 0 (0.0) 0 (0.0) 1 (6.3)
체액 과부하 0 (0.0) 0 (0.0) 1 (6.3)
근골격 및 결합 조직 장애 1 (6.3) 0 (0.0) 0 (0.0)
팔다리 통증 1 (6.3) 0 (0.0) 0 (0.0)
신경계 장애 0 (0.0) 1 (6.3) 0 (0.0)
뇌출혈 0 (0.0) 1 (6.3) 0 (0.0)
신장 및 비뇨기 장애 1 (6.3) 0 (0.0) 0 (0.0)
콩팥돌증 1 (6.3) 0 (0.0) 0 (0.0)
호흡, 흉부및 세로칸 장애 1 (6.3) 0 (0.0) 0 (0.0)
호흡 곤란 1 (6.3) 0 (0.0) 0 (0.0)
혈관 장애 2 (12.5) 0 (0.0) 0 (0.0)
저혈압 2 (12.5) 0 (0.0) 0 (0.0)
주의: 백분율은 그 범주 내에 있는 대상자의 비율이다.
5명의 대상자가 이 연구 중에 심각한 유해 사례 (SAE)를 겪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표 16). 100 ㎎/일 치료군에 있어서, 1명의 대상자가 중등도의 중증 설사를 나타내었고, 또 다른 대상자는 울혈성 심장 기능 상실 (CHF)를 나타내었다. 200 ㎎ /일 치료군에 있어서, 1명의 대상자는 중증 포도상구균 패혈증 및 중증 뇌출혈을 나타내었고, 또 다른 대상자는 중등도의 중증 위창자 출혈을 나타내었으며, 세 번째 대상자는 중등도의 중증 흉부 통증을 나타내었다. 400 ㎎/일 치료군에서는 어떠한 대상자도 SAE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SAE들은 모두 연구 약물에 무관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표 16. 2A상 연구의 안전성 모집단에 있어서 심각한 유해 사례의 발생률
치료 대상자 번호 나이(연령) 성별 인종 요법의 총지속 기간(일)a 유해 사례 (양호한 용어) 연구일b 유해 사례의 지속 기간(일) 심각성 연구 약물과의 관련성c 결과
MCC100 mg/일
314 34 남성 백인 10 설사 33 3 중등도 무관 후유증 없이 회복되었음
400 52 남성 흑인 10 울혈성 심장 기능 상실 39 12 중증 무관 회복후 후유증이 발생하였음
MCC 200 mg/일
200 85 여성 백인 10 포도상구균 패혈증 10 7 중증 무관 아직 회복되지 않았음d
뇌출혈 10 7 중증 무관 아직 회복되지 않았음d
208 71 여성 백인 10 위창자 출혈 15 14 중등도 무관 후유증 없이 회복되었음
304 59 여성 백인 11 흉부 통증 23 6 중등도 무관 후유증 없이 회복되었음
a 연구 의약의 마지막 투여일에서 연구 의약의 최초 투여일을 빼고 1을 더한 날.
b 연구일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즉, 개시일에서 연구 의약의 최초 투여일을 빼고 1을 더한 날.
c 연구원의 평가에 기초하였음.
d 사망한 대상자.
약물 동태학
혈장 농도 자료
상태 1B-MD 연구에 있어서, 복수회 투여량의 경구 투여 후에, MCC의 혈장 농도는 투여량 범위 전체에서 거의 정량화의 한계 이하이다.
측정 가능한 혈장 농도는 단지 6명의 대상자로부터의 12개의 시료에서만 발견되었다.
12개의 측정 가능한 농도 중에서, 단지 2개만이 현저하게 LLOQ를 초과하였고, 반면에 나머지들은 5 ng/㎖의 LLOQ를 거의 초과하지 않았다.
이들 2개의 농도 (11/1 및 48.0 ng/㎖)는 대상자 021에 있어서 제1일, 1 시간및 제10일의 10번째 투여 직전에 각각 관찰되었다.
150 ㎎ 투여는 측정 가능한 농도를 형성하지 못하였음에 주의하여야 한다.
상기 투여 범위 전체에서 MCC의 혈장 농도가 낮기 때문에, 약물동태학 분석을 위한 LLOQ를 넘는 혈장 자료가 불충분하였다.
2A상 연구에 있어서, 복수회 투여량의 경구 투여 후에, MCC의 혈장 농도는 거의 정량화의 한계 이하이었지만 투여량은 시료의 수 및 대상자의 수의 증가에 의존하고 혈장 농도는 측정 가능하였다.
검출 가능한 혈장 농도는 MCC 100 ㎎/일 치료군 중의 대상자 2/15 (13.3%), MCC 200 ㎎/일 치료군 중의 대상자 9/16 (56.3%) 및 MCC 400 ㎎/일 치료군 중의 대상자 13/17 (76.5%)에서 발견되었다.
관찰 가능한 MCC 농도는 MCC 100 ㎎/일 치료군 중에서 9.45 내지 12.3 ng/㎖, MCC 200 ㎎/일 치료군 중에서 5.12 내지 93.7 ng/㎖ 및 MCC 400 ㎎/일 치료군 중에서 5.32 내지 84.9 ng/㎖의 범위이었다.
모든 치료군에 있어서 MCC의 검출 가능한 농도 중에서, 대부분 (35/41; 85.4%)은 21 ng/㎖ 이하이었다.
50 ng/㎖을 초과하는 MCC의 농도는 200 ㎎/일 치료군 및 400 200 ㎎/일 치료군에서 각각 1명씩, 단지 2명의 대상자에서만 관찰되었다.
MCC 의 비뇨기 배설 자료
1B-MD상 연구에 있어서 소변 중의 MCC 농도는 모두 정량화의 한계 미만이었다 (LLOQ = 5 ng/㎖).
MCC 의 대변 농도 자료
표 17은 150 ㎎ 투여량으로 표준화한 대변의 MCC의 평균치가 916.0 ㎍/g (138.4~1768.9 ㎍/g)인, 1B-MD 연구로부터의 대변 농도를 나타내고 있다.
표 17. 150 ㎎ 투여량으로 표준화한 1B-MD상 연구에 있어서의 MCC의 대변 농도.
대상자 투여량 [ MCC ] [ MCC ]
(표준화)
(mg) (㎍/g) (㎍/g)
범위 150-450 415.1 - 5306.8 138.4 -1768.9
평균: 916.0
SD : 450.2
2A상 연구를 위하여, MCC 100 ㎎/일 치료군에 있어서 (n=11 충분한 표본), 대변 MCC의 평균치는 치료 종료시에 255.6 ㎍/g (범위: 81.9~558.3 ㎍/g)이었다. MCC 200 ㎎/일 치료군에 있어서 (n=9 충분한 표본), 대변의 MCC의 평균치는 441.7 ㎍/g (범위: 11.7~786.7 ㎍/g)이었다. 400 ㎎/일 치료군에 있어서 (n=13 충분한 표본), 대변 MCC의 평균치는 1433.3 ㎍/g (범위: 389.0~3974.8 ㎍/g)이었다.
표 18. 2A상 연구에 있어서, 치료 종료시에 MCC의 대변 농도.
투여량 N [ MCC ]
범위
[ MCC ]
평균
(mg/일) (㎍/g) (㎍/g)
100 11 81.9-558.3 255.6 
200 9 11.7-786.7  441.7 
400 13 389.0-3974.8  1433.3 
결론
요약하자면, 본 연구는 MCC가 최대 450 ㎎의 복수회의 경구 투여 후에 내성이 좋고, 작용 부위에서 고농도를 달성하며,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 관련 설사의 치료에 장래성 있는 결과를 보여준다를 사실을 나타내고 있다.
이 연구는 1) 어떠한 연구에서도 약물에 관련될 수 있다고 느껴지는, 치료 중에 출현하는 유해 사례가 없었다는 사실, 2) 복수회 투여량의 경구 투여 후에, MCC의 농도가 혈장 중에서 낮게 검출되었고, 이들 중 대부분은 정량화의 한계 이하로 떨어졌다. 저혈장 농도의 결과로서, 1B-MD 연구에서 수집된 소변 중에서 온전한 MCC는 검출되지 않았다는 사실, 3) 반대로, 양연구에 있어서의 대변 농도는 매우 높아서,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에 대한 MIC90 (0.125 ㎍/㎖)의 10,000배를 넘었다는 사실, 4) 요법의 전과정으로 치료된 45명의 대상자 중에, 10일 간의 요법의 종료시 또는 그 전에 단지 4명 (12 시간마다 (q12hr) 50 ㎎ 투여군에서 2명, 12 시간마다 100 ㎎ 투여군에서 2명)의 대상자만이 실패로 간주되었고 200 ㎎ 12 시간마다 투여군에서는 실패가 알려지지 않았다 (0/16)는 사실, 5) 성공적인 치료 이후에 단지 2명의 대상자에서만 재발이 관찰되었고, 둘 다 치료 종료 약 1개월 후에 재발했다는 사실 및 6)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지만, 설사의 중단에 대한 평균 시간은 투여량이 높을수록 더 효율적일 수 있다는 사실을 제시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는 사실, 설사 중단 시간은 12 시간마다 50 ㎎ 투여군에서 5.5일, 12 시간마다 100 ㎎ 투여군에서 3.5일 및 12 시간마다 200 ㎎ 투여군에서 3.0일로 측정되었다는 사실을 역시 발견하였다.
실시예 3. MCC 생체내에서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 대하여 선택적으로 효율적이고, 무산소 대변 세균군의 주요 구성원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낮은 재발률의 핵심.
MCC가 클로스트르듐 디피실리에 대하여 생체내에서 선택적으로 활성이고 정상의 무산소성 대변 세균군을 상대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는 가설을 시험하기 위하여, MCC (현재 지정된 MCC)의 임상 시험에 이르는 2A상 투여에 진입한 환자로부터 얻은 일련의 대변 시료로 정량적인 대변 배양을 수행하였다.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 설사의 최적의 항생제 요법은 병원균의 증식형을 박멸하지만, 집락 형성 내성을 책임지는 것으로 추정되는 정상 세균군의 주요 구성원은 남겨두어야 한다.
방법
환자 (n=32)를 무작위 표본 추출하여, 10일간 1일 2회 50, 100 또는 200 ㎎의 MCC를 투여하였다. 24명의 환자에게는 사전에 어떠한 요법도 행하지 않았고, 8명에는 1 또는 2회 투여량의 표준 요법을 받았다. 생태적 대조군으로서, 추가 환자 7명을 반코마이신을 125 ㎎ 1일 4회 10일간 사용하여 치료하였다.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의 증식형 및 포자형에 대하여 금방 마련한 대변 시료를 10-2, 4, 6, 8로 배양하고, 대변 여과액을 시토토신 B를 위하여 세포 분석에 의하여 시험하였다. 연구 시작 및 제10일에, 10-3, 5, 7, 9로 희석된 산소성 및 무산소성 대변 세균군 배양을 주요 세균군 이동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박테로이데스군 미생물은 어디에나 존재하고 배양 가능하기 때문에, 이 속(屬)은 미생물 세균군의 일체성의 지표로서 선택하였다.
자세한 방법은 이하에 나타나 있다.
1) 캘거리 보건국 (Calgary Health Region)의 인구 수 약 1백만의 관할 구역에서 단일 센터 연구.
2) 무작위형 개방 라벨 (label), CDAD의 요법으로서 10일간 경구로 50 ㎎, 100 ㎎ 또는 200 ㎎의 MCC를 12 시간마다 비교하는 2A상 연구에 걸친 투여.
3) 시험 모집을 완료한 다음, 이 시험에 적격인 환자의 별도의 생태학적 대조군을 치료 / 생태학 대조군으로서 반코마이신 125 ㎎을 1일 4회 10일간 사용하여 치료시켰다.
4) 중등도 CDAD에 대하여 온화한: 연구 시작시에 24 시간마다 >3이지만 <12인 설사 시료 양성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 독소 분석, 열 <39℃, WBC <30,000/㎣, 구토 없음, 심각한 복부 불쾌감 없음.
5) 원발성 CDAD 또는 오직 제1 재발 에피소드.
6) 가능하다면 투약하지 않고 치료. 이 연구 계획서는 표준 요법의 최대 투여 3회 이전까지 허용하였지만, 이 평가를 위하여는, 표준 요법의 최대 2회 투여량까지 허용되었다. 이 연구 모집단에 있어서, 24명의 환자를 투약하지 않고 치료하였다.
7) 어떠한 조건에서도 비경구적 항생제 요법을 병행하지 않았다.
8) 연속 대변 시료: 원래의 진단 시료 이외에, > 5 g (보통 10~30 g)의 반 복 대변 수집물을 연구 진입시, 연구 진입 후 제4, 7, 10, 14, 21, 28 및 42일에 얻었다.
9) 이 보고서를 위하여, 제0일 및 제10일의 대변의 결과를 클로스트리듐 피실리 수 및 정상의 결장 세균군의 주요 속(屬)의 수에 있어서의 변화에 대한 비교를 행한다.
10) 냉장이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 정량적 수의 결정에 유해하기 때문에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의 정량적인 수 및 HeLa 세포 분석에 의한 클로트스리듐 피실리 시토토신 B의 대변 침전물 농도를 금방 통과시킨 시료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11) 박테로이데스군 미생물은 대상자 중에 고르게 그리고 높은 수로 존재하고, "집락 형성 저항"을 수여하는 정상 세균군의 주성분 중 하나와 같을 수 있기 때문에, 이 군을 무산소성 대변 세균군의 억제 지표로서 사용하였다. 제10일에 박테로이드군 종의 복귀를 나타내는 데 실패한 환자에 대하여, 후속 시료를 가공하여 이 군의 복귀 시간을 기록하였다. 시료가 즉시 가공되지 않은 경우, 후속 가공을 위하여 15% 글리세롤/브레인 헛 인퓨전 브로스 (Brain Heart Infusion Broth)를 사용하여 -80℃에서 일정 부분을 동결시켰다.
12) 무산소성 세균군 배양을 위한 배지 및 방법은 와즈월쓰 (Wadsworth-KTL Anaerobic Manual, 6th ed, 2002)에 기초하고 있다.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의 수는 CCFA 아가 표면의 그람 대변 습식 중량당 시료 10-2, 4, 6, 8을 희석함으로써 측정하였 다. 포자 수는 대변의 일정 분획을 동일 부피의 100% 에틸알코올을 사용하여 1 시간 처리하여 측정하고, 원심 분리, 2회 세척 및 재현탁시켜 정량적인 수를 얻었다.
13) 정상 세균군 배지는 최초의 조사 전에 48 시간 배양되고 최대 7일간 더 배양된 MacConkey, BAP, m-Enterococcus 아가, Lab M 무산소성 혈액 아가, BAP, BBE, KVLB, PEA 아가를 사용하여 10-3, 5, 7, 9로 희석함으로써 정량화하였다.
14) 반코마이신 생태 대조군을 위하여, 반코마이신의 대변 침전물 농도를 클로스트리듐 퍼프린젠스를 표지 미생물로서 사용하여 생분석함으로써 3회 측정하였다.
15) 미생물 수의 차이는 비모수 검정법 (wilcoxon matched)을 사용함으로써 log10 변형 후에 측정되었다.
결과
연구 진입시에, 평균 log10 CFU ± SD의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 (모든 MCC 환자)의 증식성 수는 제10일에 2~10.95 범위에서 6.8 ± 3.6이고, 50 ㎎을 투여받은 환자 1명을 예외로 하고, 나머지 모든 환자는 < 2 log10/g 배설물로 감소된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의 정량적 수를 나타내었다. 반코마이신은 유효하게 효율적이었다. 연구 진입시, 박테로이데스군의 수는 환자 각각의 1/3에 있어서 <3, 3~8 및 8.5~10 log10 CFU/g이고, 보통의 수는 >11이었다. 박데로이데스군에 있어서의 이동 은 표 19에 나타나 있다.
표 19. log10(박테로이데스군 수의 CFU / g, 배설물 습식 중량)의 평균±SD
MCC, 50 mg (n=10) MCC, 100 mg (n=8) MCC, 200 mg (n=11) 반코마이신 (n=7)
제0일 6.64 + 2.82 6.64 + 2.82 7.04 + 2.87 7.39 + 2.67
제10일 8.23 + 2.60 6.30 + 2.53 7.34 + 3.06 3.62** + 1.90
p * 0.11 0.44 0.56 0.03
* 비모수 (wilcoxon matched pairs signed-ranks) 시험, 양측 검정 (2 tailed)
** 수<3 log10 =2.90
다음의 수치들은 이 연구로부터의 결과를 더 설명하고 있다.
결론
정량적인 박테로이데스군의 수를 기초로 하여,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 설사 환자는 연구 진입시에 대략 1/3은 3 log10 CFU/g 범위내이고, 1/3은 4~7 log10 CFU의 범위내이고, 나머지는 수가 더 많은 범위에 존재하는 (11~12 log10 CFU의 보통 범위 중에는 아무것도 없음) 일정치 않게 손상된 정상 세균군을 나타내고 있다. MCC의 복용은 모두 반코마이신이 그러하였던 것처럼,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의 수가 감소하는 것처럼 보였다. MCC의 투약 증가에 따른 투여량 의존성 박테로이데스 수 감소는 관찰되지 않았다. 반코마이신은 치료 동안에 박테로이데스의 수를 심각하게 감소시키지만 대부분의 환자가 그들의 수를 회복하고, 소수의 환자는 부재를 연장시켰다.
이들 데이터와 낮은 재발률을 동반하는 고반응률을 나타내는 임상적 결과를 기초로 하여, MCC 200 ㎎의 투여는 임상적 조사를 더 수행하는 데 적절한 투여량으 로 된다는 사실이 나타나게 된다.
본 발명은 오직 예시로서만 제시된 전술한 실시 상태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하여 정해지는 보호 범위 내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수정될 수 있다.

Claims (46)

  1. 클로스트리듐종, 스타필로코쿠스종, 엔테로코쿠스종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세균의 존재에 의하여 야기되는 설사 또는 대장염을 치료하기 위한 약학적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은 유효량의 티아쿠미신 B:
    Figure 112013070846182-pct00047
    화학식 9 (OP-1435):
    Figure 112013070846182-pct00048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활성 성분은 티아쿠미신 B를 90 중량% 이상 100 중량% 미만으로 함유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활성 성분은 티아쿠미신 B를 95 중량% 이상 100 중량% 미만으로 함유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활성 성분은 티아쿠미신 B를 98 중량% 이상 100 중량% 미만으로 함유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활성 성분은 상기 화학식 9 (OP-1435)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1 중량% 내지 5 중량%로 함유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활성 성분은 전체에 있어서 추가의 거대 고리 분자를 2 중량% 내지 5 중량%로 함유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로서, 상기 추가의 거대 고리 분자는,
    [화학식 3]
    (OP-1416)
    Figure 112013070846182-pct00049
    [화학식 4]
    (OP-1415)
    Figure 112013070846182-pct00050
    [화학식 5]
    (OP-1417)
    Figure 112013070846182-pct00051
    [화학식 10]
    (OP-1437)
    Figure 112013070846182-pct00052
    [화학식 11]
    (OP-1402)
    Figure 112013070846182-pct00053
    [화학식 12]
    (OP-1433)
    Figure 112013070846182-pct00054
    [화학식 13]
    (OP-1438)
    Figure 112013070846182-pct00055
    [화학식 14]
    (리피아르마이신 A4)
    Figure 112013070846182-pct00056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활성 성분은 화학식 14의 화합물을 0.3 중량% 내지 5 중량%로 함유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활성 성분은 화학식 14의 화합물을 0.3 중량% 내지 3 중량%로 함유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활성 성분은 화학식 14의 화합물을 0.3 중량% 내지 1.5 중량%로 함유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활성 성분은 화학식 14의 화합물을 1 중량%로 함유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활성 성분은 다음 화합물 중 1종 이상을 더 함유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6]
    (OP-1431, 티아쿠미신 F)
    Figure 112013070846182-pct00027
    [화학식 7]
    (OP-1432, 티아쿠미신 C)
    Figure 112013070846182-pct00028
    [화학식 8]
    (OP-1434, 티아쿠미신 A)
    Figure 112013070846182-pct00029
    .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균은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 클로스트리듐 퍼프린젠스,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균은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인 것인 약학적 조성물.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환자 중의 무산소성 장세균군의 주요 구성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사 또는 대장염의 재발률이 감소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18. 삭제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사는 감염성 설사인 것인 약학적 조성물.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사는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 관련 설사인 것인 약학적 조성물.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미생물을 영양 배지 중에서 배양하여 상기 조성물을 그 영양 배지 중에 축적시키는 단계와,
    그 조성물을 상기 배지로부터 단리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하여 조제되고 상기 영양 배지는 상기 조성물을 흡착하는 흡착제를 함유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영양 배지는 상기 흡착제를 0.5 내지 15 중량% 함유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제는 흡착제 수지인 것인 약학적 조성물.
  24. 삭제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은 닥틸로스포란지움 아우란티아쿰 아종 함데넨시스인 것인 약학적 조성물.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사 또는 대장염은 항생제 또는 항암 요법들 또는 항바이러스 요법과 관련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2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필로코쿠스종은 메티실린 내성 스타필로코쿠스종인 것인 약학적 조성물.
  2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필로코쿠스종은 메티실린 내성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인 것인 약학적 조성물.
  2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테로코쿠스종은 반코마이신 내성 엔테로코쿠스인 것인 약학적 조성물.
  3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3일 내지 15일 내에 1일 1회 내지 3회, 50 ㎎ 내지 1000 ㎎의 양으로 투여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3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1일 1회 또는 2회, 100 ㎎ 내지 400 ㎎의 양으로 투여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3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1일 1회, 200 ㎎의 양으로 투여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3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1일 2회, 200 ㎎의 양으로 투여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3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환자의 혈장에서 상기 조성물의 혈장 농도가 0 ng/ml 초과 5 ng/㎖ 미만으로 되는 방식으로 투여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KR1020087012193A 2005-10-21 2006-10-23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 관련 설사의 치료 방법 KR1013996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2913505P 2005-10-21 2005-10-21
US60/729,135 2005-10-21
US74964105P 2005-12-12 2005-12-12
US60/749,641 2005-12-12
PCT/US2006/041436 WO2007048059A2 (en) 2005-10-21 2006-10-23 Method of treating clostridium difficile-associated diarrhe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4177A KR20080064177A (ko) 2008-07-08
KR101399621B1 true KR101399621B1 (ko) 2014-06-18

Family

ID=37963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2193A KR101399621B1 (ko) 2005-10-21 2006-10-23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 관련 설사의 치료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1940417A4 (ko)
JP (1) JP2009512691A (ko)
KR (1) KR101399621B1 (ko)
CN (2) CN101340919B (ko)
AU (1) AU2006304868B2 (ko)
CA (1) CA2626698C (ko)
HK (1) HK1126410A1 (ko)
WO (1) WO200704805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06489B2 (en) 2004-05-14 2011-03-15 Optimer Pharmaceuticals, Inc. 18-membered macrocycles and analogs thereof
US7378508B2 (en) 2007-01-22 2008-05-27 Optimer Pharmaceuticals, Inc. Polymorphic crystalline forms of tiacumicin B
TWI523654B (zh) 2007-11-27 2016-03-01 默沙東藥廠 抗生素巨環化合物以及其製造及使用之方法
JO3464B1 (ar) 2013-01-15 2020-07-05 Astellas Pharma Europe Ltd التركيبات الخاصة بمركبات التياكوميسين
CN104846044B (zh) * 2014-02-17 2019-02-01 上海医药工业研究院 一种提高非达霉素产量的发酵培养基
CN105237599B (zh) * 2015-10-09 2018-10-02 华北制药集团新药研究开发有限责任公司 闰年霉素a4晶体及其制备方法
CN107970253B (zh) * 2017-10-25 2020-05-26 中山大学 台勾霉素衍生物在制备治疗寨卡病毒感染引起的相关疾病和/或症状的药物中的应用
CN107714713B (zh) * 2017-10-25 2020-05-26 中山大学 台勾霉素衍生物在制备治疗登革病毒感染引起的相关疾病和/或症状的药物中的应用
BR112020024798B1 (pt) * 2018-06-07 2023-05-02 Artugen Therapeutics Ltd Composição compreendendo cepas bacteriana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8174A (en) 1986-09-26 1990-04-17 Abbott Laboratories Tiacumicin compounds
KR20050053598A (ko) * 2002-07-29 2005-06-08 옵티머 파마슈티칼즈, 인코포레이티드 티아쿠미신 제조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3115A (en) * 1995-05-09 1996-12-10 Abbott Laboratories Dialkyltiacumicin compounds
EP2305244B1 (en) * 2004-05-14 2016-10-12 Merck Sharp & Dohme Corp. Treatment of diseases associated with the use of antibiotics
AU2005327308B2 (en) * 2005-01-31 2011-11-10 Merck Sharp & Dohme Llc 18-membered macrocycles and analogs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8174A (en) 1986-09-26 1990-04-17 Abbott Laboratories Tiacumicin compounds
KR20050053598A (ko) * 2002-07-29 2005-06-08 옵티머 파마슈티칼즈, 인코포레이티드 티아쿠미신 제조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40919A (zh) 2009-01-07
AU2006304868B2 (en) 2013-02-21
CN102503994A (zh) 2012-06-20
JP2009512691A (ja) 2009-03-26
EP1940417A4 (en) 2010-07-07
WO2007048059A3 (en) 2007-05-31
CA2626698C (en) 2015-12-01
WO2007048059A2 (en) 2007-04-26
KR20080064177A (ko) 2008-07-08
EP1940417A2 (en) 2008-07-09
HK1126410A1 (en) 2009-09-04
CN101340919B (zh) 2011-12-07
AU2006304868A1 (en) 2007-04-26
CA2626698A1 (en) 2007-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9621B1 (ko)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 관련 설사의 치료 방법
Liu et al. Baicalin synergy with β‐lactam antibiotics against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and other β‐lactam‐resistant strains of S. aureus
Eykyn et al. Metronidazole and anaerobic sepsis.
EP2826473B1 (en) Antibacterial use of patchoulol
US20140107054A1 (en) Method of treating clostridium difficile-associated diarrhea
CN101128114B (zh) 18元环大环化合物及其类似物
EP2070530B1 (en) Treatment of diseases associated with the use of antibiotics
US7807622B2 (en) Composition and use of phyto-percolate for treatment of disease
Wang et al. Ceragenin CSA13 reduces Clostridium difficile infection in mice by modulating the intestinal microbiome and metabolites
US20190307744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clofazimine analog compound b746 or clofazimine analog compound b826
US20110319485A1 (en) Composition Having Anti-Helicobacter Pylori Activity And Its Application To Inhibit Helicobacter Pylori
KR0145553B1 (ko)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레 하리증 및 위막성 대장염의 예방 및 치료용 의약조성물
Batzias et al. Clindamycin bioavailability and pharmacokinetics following oral administration of clindamycin hydrochloride capsules in dogs
WO2012050826A1 (en) Methods for treating clostridium difficile infections
DE60110908T2 (de) Antibiotische tripropeptine und verfahren ihrer herstellung
CN107823204B (zh) 一种吉米沙星的新用途
KR101849424B1 (ko) 발효된 대두 추출물의 프리바이오틱 조성물 제조를 위한 용도
Stein et al. Human serum activity of telithromycin, azithromycin and amoxicillin/clavulanate against common aerobic and anaerobic respiratory pathogens
EP1670496B1 (en) A glycopeptide composition with improved antibiotic activity
WO2015063711A1 (en) Use of a thiopeptide compound in the treatment of clostridium difficile associated infections
KR101790296B1 (ko) 네트롭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그람음성 세균에 대한 폴리믹신의 항균 활성을 증가시키는 조성물
Katara et al. Role of bacteria and fungi in antibiotic production
Mahmoud et al. Biochemical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Klebsiella species isolated from neoplastic patients under Irradiation therapy
Muhammad et al. Study the Inhibitory Effect of Torilis arvensis (Huds.) Link Extracts and Antibiotics on Biofilm Formation of Pseudomonas aeruginosa Isolated from Burns and Wounds
TW202112386A (zh) 乳酸菌17064用於吸附鉛能力之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