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7632B1 -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비스 방법 및 그 서버,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비스 방법 및 그 서버,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7632B1
KR101397632B1 KR1020120046814A KR20120046814A KR101397632B1 KR 101397632 B1 KR101397632 B1 KR 101397632B1 KR 1020120046814 A KR1020120046814 A KR 1020120046814A KR 20120046814 A KR20120046814 A KR 20120046814A KR 101397632 B1 KR101397632 B1 KR 1013976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character
game
applica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6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3583A (ko
Inventor
이지현
Original Assignee
(주)네오위즈게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네오위즈게임즈 filed Critical (주)네오위즈게임즈
Priority to KR1020120046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7632B1/ko
Publication of KR20130123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3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7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76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22Strategy games; Role-playin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25Fostering virtu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비스 방법은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접속을 요청받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로의 접속이 허용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캐릭터 생성을 요구하여 생성된 캐릭터를 통해 상기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제공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비스 방법 및 그 서버, 및 기록매체{METHOD FOR GAME-TYPE APPLICATION STORE SERVICE AND SERVER THEREOF,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비스 방법 및 그 서버,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사용자에게 흥미를 유발시키면서 이익을 창출도 도모할 수 있는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비스 방법 및 그 서버,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 단말은 어플리케이션 스토어를 이용하여 직접 3G 네트워크 혹은 Wi-Fi를 경유하여 소프트웨어의 다운로드가 가능하다. 현재 국내외 여러 기업들은 사용자 단말에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를 개발, 제공하려고 한다.
이런 시장 상황에서 차별성 없이 기존 어플리케이션 스토어를 답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어플리케이션 스토어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것은 사용자들에게 흥미 유발을 시킬 수 없는 등의 영향력을 줄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사용자에게 흥미를 유발시키면서 이익 창출을 도모할 수 있는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비스 방법 및 그 서버, 및 기록매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비스 방법은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접속을 요청받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로의 접속이 허용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캐릭터 생성을 요구하여 생성된 캐릭터를 통해 상기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제공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제공 서비스는, 상기 캐릭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미리 결정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제공 서비스는, 상기 캐릭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게임을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제공 서비스는, 상기 캐릭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게임을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제공 서비스는, 상기 캐릭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게임상에 광고를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상기 캐릭터가 생성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캐릭터 데이터를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어플리케이션들에 상기 캐릭터를 연동시키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제공 서비스는, 상기 캐릭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게임상에서 다른 사용자 단말의 캐릭터와 어플리케이션을 거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접속을 요청받고, 상기 사용자 단말과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 모듈;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로 접속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캐릭터 생성을 요구하는 제어 모듈; 상기 제어 모듈에 의해 생성된 캐릭터를 이용하여 게임을 진행하도록 하는 게임 진행 모듈; 및 상기 제어 모듈에 의해 생성된 캐릭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의 미리 결정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릭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게임상에서 광고를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광고 관리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상기 캐릭터가 생성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캐릭터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어플리케이션들에 상기 캐릭터를 연동시키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 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캐릭터가 다른 사용자 단말의 캐릭터와 접촉하여 서로 어플리케이션을 거래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보유한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이 보유한 어플리케이션을 교환하는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래는,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의 단말이 다른 단말이 보유한 어플리케이션을 미리 정해진 값으로 결재하는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비스 방법 및 그 서버, 및 기록매체는 새로운 방식의 어플리케이션 스토어를 서비스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비스 방법 및 그 서버, 및 기록매체는 새로운 방식의 어플리케이션 스토어를 서비스하여 수익을 창출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비스 방법 및 그 서버, 및 기록매체는 자신의 디지털기기에 무한한 애정을 가지고 있는 사용자들에게 자신의 기기를 살아있는 존재처럼 인터렉션(Interaction)을 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비스 방법 및 그 서버, 및 기록매체는 온라인상에서만 이루어졌던 게임 한계성에서 벗어나 오프라인에서도 사용자 단말의 하드웨어의 구현능력에 따라 다양한 게임플레이를 연동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비스 방법을 개괄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서 수행되는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비스 방법을 개괄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비스 방법을 개괄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를 통해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이 온라인에 연결되지 않는 경우에 수행되는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비스 방법을 개괄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를 이용하는 경우의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이 온라인에 연결되지 않는 경우의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공지의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균등한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한 식별 기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며, 불필요한 중복적인 설명 및 공지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통신”, “통신망” 및 “네트워크”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세 용어들은, 파일을 사용자 단말, 다른 사용자들의 단말 및 다운로드 서버 사이에서 송수신할 수 있는 유무선의 근거리 및 광역 데이터 송수신망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 휴대 단말은,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휴대 단말을 통해 이용할 수 있는 기능들을 미리 설치된 구동 프로그램뿐 아니라,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이용하는 모든 단말을 의미한다.
휴대 단말에는 최근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등의 단말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상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이라면 어느 단말이나 휴대 단말에 포함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휴대 단말들 중, 스마트폰을 예로 들어 설명할 것이나, 이하의 설명에서 스마트폰은 휴대 단말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언급한 휴대 단말에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고, 휴대 단말의 저장소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휴대 단말의 표시부 및 입력수단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이 구현하는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의 단위를 의미한다.
어플리케이션은 휴대 단말에서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다양한 종류가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 어플리케이션, 지도 어플리케이션, 정보 공유 어플리케이션,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종류의 기능을 구현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비스 시스템(10)은 사용자 단말(100) 및 상기 사용자 단말(100)과 네트워크(300)로 연결되는 서버(200)를 포함한다.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네트워크(300)를 통해 상기 서버(200)에서 지원하는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서버(200)로부터 다운받은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서버(20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접속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게임 및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서버(20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게 원하는 캐릭터를 선택 또는 제작하도록 지원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 의해 선택 또는 제작된 캐릭터를 통해 게임을 수행하도록, 그리고 어플리케이션을 구입 또는 거래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에게 상기 캐릭터를 3D 형태로 보여줄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캐릭터를 이용하여 도 6에서 예시되는 여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서버(200)와의 연결이 중단되어 오프라인 상태를 유지할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 다운된 여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100)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상기 캐릭터가 연동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미리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이 문자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캐릭터가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화면에 등장하여 문자 내용을 알려줄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인터넷, 전화선 등의 네트워크(300)을 통해 서버(200)와의 접속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비스를 구현하는 장치로서, 예컨대 퍼스널 컴퓨터, 핸드헬드 컴퓨터(handheld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폰, 스마트폰 등에 해당할 수 있으며,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소정의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를 통칭하는 컨셉에 해당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비스 서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서버(200)는 송수신 모듈(210), 게임 진행 모듈(220), 어플리케이션 관리 모듈(230), 광고 관리 모듈(240), 제어 모듈(250) 및 데이터 베이스(260)를 포함한다.
상기 서버(200)는 상기 송수신 모듈(210)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100)과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상기 게임 진행 모듈(220)은 상기 사용자 단말(100)이 접속하여 캐릭터를 이용하여 진행하는 게임에 대해 통제할 수 있다. 상기 게임 진행 모듈(220)은, 상기 캐릭터가 게임(RPG 게임) 내에서 무기 또는 방어구를 획득하고, 몬스터를 공격하고, 다른 사용자 캐릭터와 게임상에서 접촉하는 것과 같은 게임에 관련된 모든 통제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 모듈(230)은 사용자 단말(100)이 상기 서버(200)에 접속하여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거나, 검색하거나, 다른 사용자와 서로 어플리케이션을 거래하는 것 등,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모든 관리 및 제어를 수행한다.
상기 광고 관리 모듈(240)은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의 캐릭터가 상기 서버(200)에 접속하여 원하는 여러 광고를 수행할 수 있도록 광고에 대한 전반적인 관리를 수행한다. 예컨대, 상기 사용자는 상기 캐릭터를 이용하여, 상기 게임 내에 원하는 지역에 광고판을 세워 여러 분야의 홍보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는 특정 비용을 서버(200)에 결재하면, 상기 광고 관리 모듈(240)이 이를 인식하여 관리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가 하길 원하는 홍보를 상기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상에서 지원하고, 홍보해 주도록 통제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260)는 상기 여러 어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하고, 상기 게임을 저장하며, 사용자들로부터 결재가 이루어지면 결재 데이터를 저장하는 등, 상기 서버(200)에 저장될 모든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250)은 상기 사용자 단말(100)이 접속되면 캐릭터를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송수신 모듈(210), 게임 진행 모듈(220), 어플리케이션 관리 모듈(230), 광고 관리 모듈(240) 및 데이터 베이스(260)의 동작을 제어하여 각 모듈들이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비스 방법을 개괄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3의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비스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비스 시스템(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서버(200)에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접속을 요청한다(S110). 상기 서버(20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접속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서버(20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접속을 허용한다(S120).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서버(200)의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에서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을 수 있고, 다른 사용자들과 서로 보유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거래할 수 있다(S130).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서버(200)에서 캐틱터를 이용하여 게임을 수행할 수 있고, 다른 사용자들과 게임에 관한 거래도 할 수 있다(S140).
이후,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서버(200)로부터 접속을 끊고 오프라인이 된 경우, 상기 서버(200)로부터 다운받은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할 수 있고,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상기 캐릭터가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내용에 대해 도우미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서 수행되는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비스 방법을 개괄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의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는 도 1에 도시된 서버(2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접속 요청을 수신한다(S210). 상기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접속 요청을 수신하면,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접속을 허용한다(S220).
상기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이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에 접속한 것이 확인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 상기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탐색을 지원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100)이 게임 또는 어플리케이션 다운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S230).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비스 방법을 개괄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의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1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서버(200)가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접속을 허용하면, 상기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에 접속한다(S310).
이후,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는 상기 게임형 어플리케이션이 지원하는 게임을 수행할 수 있고,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고 싶을 경우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에 입장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을 수 있다(S320).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를 통해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서비스는 도 1의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비스 시스템(10)의 서버(200)에서 수행되는 서비스의 예시일 뿐이며, 게시된 서비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는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에 접속하면, 자신의 캐릭터를 이용할 수 있다(610).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는 상기 캐릭터를 조종하여 어플리케이션 스토어를 이용할 수 있다(620). 예컨대,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는 캐릭터를 조종하여 화면 내의 특정 길을 거쳐 어플리케이션 스토어로 향할 수 있으며, 상기 캐릭터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스토어로 입장시키면, 사용자 단말(100)에 여러가지 어플리케이션이 나열되어 그 중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는 상기 캐릭터를 이용하여 RPG(Role-Playing Game)을 즐길 수 있다(630). 예컨대, 화면상에 여러 형태의 몬스터가 등장할 수 있고, 사용자는 상기 캐릭터를 이용하여 상기 몬스터를 사냥할 수도 있고, 다른 사용자의 캐릭터와 게임 퀘스트를 수행할 수 있으며, 게임상의 무기, 방어구 등의 아이템을 얻을 수도 있어 RPG 게임의 즐거움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는 자신의 캐릭터를 이용하여, 다른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캐릭터와 서로 가지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거래할 수도 있다(640).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는 상기 캐릭터를 이용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내에서 여러가지 광고를 수행할 수도 있다(650). 예컨대, 상기 사용자는 상기 캐릭터를 이용하여, 상기 게임 내에 원하는 지역에 광고판을 세워 여러 분야의 홍보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는 특정 비용을 서버(200)에 결재하면, 상기 서버(20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가 하길 원하는 홍보를 상기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상에서 지원하고, 대신 홍보해 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이 온라인에 연결되지 않는 경우에 수행되는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비스 방법을 개괄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의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비스 방법은 도 1의 사용자 단말(1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100)이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에 접속되어 있다가 접속을 해제하면 오프라인이 유지된다(S410). 이 경우, 상기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100)이 조종한 캐릭터는 오프라인이 유지되더라도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어플리케이션들과 연동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가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S420), 상기 캐릭터가 등장할 수 있고, 상기 캐릭터는 상기 사용자에게 여러가지 도우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S430).
예컨대,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스케쥴러인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스케쥴러를 실행할 경우, 상기 캐릭터가 등장하여, 오늘, 이번주, 이번달 등의 스케쥴에 대해서 알려줄 수 있다.
또는,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문자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사용자가 문자 확인을 위하여 상기 문자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경우, 상기 캐릭터가 음성 또는 말풍선의 형태로 문자 내용에 대해서 알려줄 수 있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를 이용하는 경우의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사용자의 캐릭터(830)가 다른 사용자의 캐릭터(840)와 어플리케이션 거래를 수행하는 경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사용자는 서버(200)에 접속하여, 고유의 캐릭터(830)를 이용하여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화면(800)을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다.
사용자는 고유의 캐릭터(830)를 이용하여 다른 사용자의 캐릭터(840)와 접촉하고, 본인이 소유한 어플리케이션들과 다른 사용자가 소유한 어플리케이션을 거래할 수 있다. 이때, 거래의 형태는 교환이 될 수도 있고, 결재의 형태가 될 수도 있다.
예컨대, 화면(800)에서, 사용자의 캐릭터(830)가 다른 사용자의 캐릭터(840)에 접촉하면, 각각의 캐릭터에 말풍선(810, 820)이 나타날 수 있고, 각각의 말풍선(810, 820)은 각자가 소유한 어플리케이션들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 캐릭터(830)의 말풍선(810)에는 사용자 단말(100)에 저장된 제1 어플리케이션(812), 제2 어플리케이션(814), 제3 어플리케이션(816), 제4 어플리케이션(817) 및 제5 어플리케이션(818)이 표시될 수 있고, 다른 사용자 캐릭터(840)의 말풍선(820)에는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제6 어플리케이션(822), 제7 어플리케이션(824), 제8 어플리케이션(826) 및 제9 어플리케이션(828)이 표시될 수 있다.
이를 참조하여, 사용자 및 다른 사용자는 서로 거래를 할 수 있다.
도 9는 서버(200)가 사용자에게 지원하는 서비스들을 나타낸 화면(900)이다.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화면(900)에는 사용자의 캐릭터(950),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박스(910), RPG 게임 박스(920), 광고 수행 박스(930), 출구 박스(940)가 도시된다.
사용자는 캐릭터(950)를 조종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박스(910), RPG 게임 박스(920), 광고 수행 박스(930), 출구 박스(940) 중 어느 하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캐릭터(950)가 해당 박스로 이동되면, 서버(200)는 해당 박스가 지원하는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한다.
예컨대, 상기 캐릭터(950)가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박스(910)로 이동하면, 상기 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 어플리케이션 구입에 관련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캐릭터(950)가 RPG 게임 박스(920)로 이동하면, 상기 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 RPG 게임에 관련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캐릭터(950)가 광고 수행 박스(930)로 이동하면, 상기 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 광고 수행과 관련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릭터(950)가 출구 박스(940)로 이동하면, 상기 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과의 온라인 접속을 끊을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이 온라인에 연결되지 않는 경우의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가 서버(200)로부터 다운받은 문자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100)의 화면(1000)에는 캐릭터(1010) 및 말풍선(1020)이 도시된다. 사용자 단말(100)에는 문자가 수신된 상태이며, 사용자는 상기 문자 어플리케이션의 푸시 알림을 설정시켜놓은 경우, 캐릭터(1010)가 문자가 도착하면 도 10과 같이 말풍선(1020)을 통해 사용자에게 문자가 도착했음을 알릴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에 자신이 선택한 또는 제작한 캐릭터와 연동되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기 때문에, 자신의 사용자 단말을 하나의 캐릭터로 인식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의해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되고 컴퓨터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전술한 기능들이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전술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전술한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컴퓨터의 통신 모듈(예: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만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과 이와 관련된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 등은, 기록매체를 읽어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컴퓨터의 시스템 환경 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되거나 변경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일 예로,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미디어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커넥션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분산된 컴퓨터 중 어느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는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 중 적어도 하나에 그 실행 결과를 전송할 수 있으며, 그 결과를 전송받은 컴퓨터 역시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여, 그 결과를 역시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에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Application Store Server),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Application Provider Server)에 포함된 저장매체(예: 하드디스크 등)이거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 그 자체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는, 일반적인 데스크 탑이나 노트북 등의 일반 PC 뿐만 아니라,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뿐만 아니라, 컴퓨팅(Computing) 가능한 모든 기기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가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인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에서 일반 PC로 다운로드 되어 동기화 프로그램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적어도 하나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비스 시스템
100: 사용자 단말
200: 서버
210: 송수신 모듈
220: 게임 진행 모듈
230: 어플리케이션 관리 모듈
240: 광고 관리 모듈
250: 제어 모듈
260: 데이터 베이스
300: 네트워크
610: 캐릭터 이용
620: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이용
630: RPG 게임 수행
640: 어플리케이션 거래
650: 여러가지 광고 수행
800,900,1000: 사용자 단말의 화면
810,1020: 사용자 단말의 캐릭터 말풍선
812~818: 사용자 단말의 보유 어플리케이션들
820: 다른 사용자 단말의 캐릭터 말풍선
822~828: 다른 사용자 단말의 보유 어플리케이션들
830, 950, 1010: 사용자 단말의 캐릭터
840: 다른 사용자 단말의 캐릭터
910: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박스
920: RPG 게임 박스
930: 광고 수행 박스
940: 출구 박스

Claims (13)

  1.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접속을 요청받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로의 접속이 허용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캐릭터 생성을 요구하여 생성된 캐릭터를 통해 상기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제공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제공 서비스는,
    상기 캐릭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선택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고, 상기 캐릭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에서 게임을 수행하도록 지원하며, 상기 캐릭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게임상에서 다른 사용자 단말의 캐릭터와 어플리케이션을 거래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상기 거래는,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의 단말이 다른 단말이 보유한 어플리케이션을 미리 정해진 값으로 결재하여 상기 다른 단말이 보유한 어플리케이션을 구매하는 형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비스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제공 서비스는,
    상기 캐릭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게임상에 광고를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서비스를 포함하는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비스 방법.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상기 캐릭터가 생성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캐릭터 데이터를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어플리케이션들에 상기 캐릭터를 연동시키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비스 방법.
  6. 삭제
  7. 사용자 단말로부터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접속을 요청받고, 상기 사용자 단말과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 모듈;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로 접속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캐릭터 생성을 요구하는 제어 모듈;
    상기 제어 모듈에 의해 생성된 캐릭터를 이용하여 상기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에서 게임을 진행하도록 하는 게임 진행 모듈; 및
    상기 제어 모듈에 의해 생성된 캐릭터를 이용하여 상기 게임상에서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 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캐릭터가 다른 사용자 단말의 캐릭터와 접촉하여 서로 어플리케이션을 거래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상기 거래는,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의 단말이 다른 단말이 보유한 어플리케이션을 미리 정해진 값으로 결재하여 상기 다른 단말이 보유한 어플리케이션을 구매하는 형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비스 서버.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게임상에서 광고를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광고 관리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비스 서버.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상기 캐릭터가 생성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캐릭터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어플리케이션들에 상기 캐릭터를 연동시키도록 하는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비스 서버.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사용자 단말로부터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접속을 요청받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로의 접속이 허용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캐릭터 생성을 요구하여 생성된 캐릭터를 통해 상기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제공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제공 서비스는,
    상기 캐릭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선택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고, 상기 캐릭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에서 게임을 수행하도록 지원하며, 상기 캐릭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게임상에서 다른 사용자 단말의 캐릭터와 어플리케이션을 거래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상기 거래는,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의 단말이 다른 단말이 보유한 어플리케이션을 미리 정해진 값으로 결재하여 상기 다른 단말이 보유한 어플리케이션을 구매하는 형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비스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20046814A 2012-05-03 2012-05-03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비스 방법 및 그 서버, 및 기록매체 KR1013976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6814A KR101397632B1 (ko) 2012-05-03 2012-05-03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비스 방법 및 그 서버, 및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6814A KR101397632B1 (ko) 2012-05-03 2012-05-03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비스 방법 및 그 서버, 및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3583A KR20130123583A (ko) 2013-11-13
KR101397632B1 true KR101397632B1 (ko) 2014-05-26

Family

ID=49852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6814A KR101397632B1 (ko) 2012-05-03 2012-05-03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비스 방법 및 그 서버,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763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0862A (ko) * 2004-12-21 2006-06-26 토브시스템주식회사 알피지 기반의 쇼핑몰 운영 시스템
KR20060083034A (ko) * 2005-01-14 2006-07-20 정치영 온라인 게임 및 아바타를 이용한 온라인 쇼핑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 쇼핑방법
KR20090072595A (ko) * 2007-12-28 2009-07-02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제휴사 쇼핑몰과 연계한 온라인 게임 서비스 방법
KR20120009834A (ko) * 2010-07-21 2012-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0862A (ko) * 2004-12-21 2006-06-26 토브시스템주식회사 알피지 기반의 쇼핑몰 운영 시스템
KR20060083034A (ko) * 2005-01-14 2006-07-20 정치영 온라인 게임 및 아바타를 이용한 온라인 쇼핑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 쇼핑방법
KR20090072595A (ko) * 2007-12-28 2009-07-02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제휴사 쇼핑몰과 연계한 온라인 게임 서비스 방법
KR20120009834A (ko) * 2010-07-21 2012-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3583A (ko) 2013-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34295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рекламы, сервер управления рекламой и моби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EP2609556A1 (en) Providing offers based on locations within virtual environments and/or the real world
JP2014174912A (ja) コンテンツ共有システム、コンテンツ共有サーバ装置、コンテンツ共有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9539193A (ja) ネットワークサービスリクルートメントアーキテクチュア
KR20130104574A (ko) 유료 아이템 구매에 따른 보상 방법 및 서버
KR101213338B1 (ko) 온라인 게임의 접속 시간에 따른 보상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KR20090076319A (ko) 온라인 게임에 있어서의 엔피시를 이용한 광고 방법
KR101398099B1 (ko)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단말
KR101397632B1 (ko) 게임형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비스 방법 및 그 서버, 및 기록매체
KR101413481B1 (ko) 온라인 대전형 게임에서의 광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30083077A (ko) 온라인 게임에서의 아이템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서버
KR101182564B1 (ko) 메시지 방송 아이템을 적용한 축구 게임 제공 방법, 축구 게임 서버, 축구 게임 제공 시스템 및 기록 매체
US20150248687A1 (en) Systems and methods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internet advertising
KR101385089B1 (ko) 특정 게임을 통해 경품을 제공하는 게임 방법
KR101319955B1 (ko) 게임 아이템 강화 방법 및 그 서버, 및 기록매체
WO2008030926A2 (en) Contextual content rendering
KR101216781B1 (ko) 게임 아이템 강화 방법 및 그 서버, 및 기록매체
KR101297728B1 (ko) 온라인 게임에서의 정액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JP2015053009A (ja) アプリケーション販促装置、アプリケーション販促システム、アプリケーション販促方法、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販促プログラム
KR101264629B1 (ko) 아이템 사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KR20130104568A (ko) 그룹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US20230419354A1 (en)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keyboard service that pays cryptocurrency rewards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529269B1 (ko) 모바일 메신저의 포인트 보상을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30106154A (ko) 동적 아이템 구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JP6391774B1 (ja) 決定装置、決定方法、及び決定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