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6689B1 - 공작 기계 - Google Patents

공작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6689B1
KR101396689B1 KR1020127026783A KR20127026783A KR101396689B1 KR 101396689 B1 KR101396689 B1 KR 101396689B1 KR 1020127026783 A KR1020127026783 A KR 1020127026783A KR 20127026783 A KR20127026783 A KR 20127026783A KR 101396689 B1 KR101396689 B1 KR 101396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machining
standby position
workpiece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6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6473A (ko
Inventor
주니치 우에노
유타카 시부이
Original Assignee
시티즌 마쉬나리 미야노 가부시키가이샤
시티즌홀딩스 코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티즌 마쉬나리 미야노 가부시키가이샤, 시티즌홀딩스 코리미티드 filed Critical 시티즌 마쉬나리 미야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06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6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6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5/00Automatic control or regulation of feed movement, cutting velocity or position of tool or work
    • B23Q15/20Automatic control or regulation of feed movement, cutting velocity or position of tool or work before or after the tool acts upon the workpiece
    • B23Q15/22Control or regulation of position of tool or workpiece
    • B23Q15/24Control or regulation of position of tool or workpiece of linear posi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19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or contouring control systems, e.g. to control position from one programmed point to another or to control movement along a programmed continuous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5/00Automatic control or regulation of feed movement, cutting velocity or position of tool or work
    • B23Q15/20Automatic control or regulation of feed movement, cutting velocity or position of tool or work before or after the tool acts upon the workpiece
    • B23Q15/22Control or regulation of position of tool or workpiece
    • B23Q15/26Control or regulation of position of tool or workpiece of angular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00General-purpose turning-machines or devices, e.g. centre lathes with feed rod and lead screw; Sets of turning-machines
    • B23B3/06Turning-machines or devices characterised only by the special arrangement of constructional units
    • B23B3/065Arrangements for performing other machining operations, e.g. milling, dr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7/00Automatic or semi-automatic turning-machines with a single working-spindle, e.g. controlled by cams; Equipment therefor; Features common to automatic and semi-automatic turning-machines with one or more working-spindles
    • B23B7/02Automatic or semi-automatic machines for turning of stock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5Nc in input of data, input till input file format
    • G05B2219/35316Interference checking between tool, machine, part, chuck, machining rang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45Nc applications
    • G05B2219/45136Turning, lath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1Plural diverse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ing means for metal shaping or assembling
    • Y10T29/5104Type of machine
    • Y10T29/5109Lathe
    • Y10T29/5114Lathe and to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1Plural diverse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ing means for metal shaping or assembling
    • Y10T29/5124Plural diverse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ing means for metal shaping or assembling with means to feed work intermittently from one tool station to another
    • Y10T29/5125Stock turret
    • Y10T29/5126Swiss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2/00Turning
    • Y10T82/25Lathe
    • Y10T82/2502Lathe with program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Numerical Control (AREA)
  • Turning (AREA)
  • Automatic Control Of Machine Tools (AREA)

Abstract

워크피스(200)를 가공하는 공구(40)를 장착 유지한 제 2 공구 장착부(37)와, 공구(40)의 날끝이 워크피스(200)에 대해 경사지도록 제 2 공구 장착부(37)를 선회시키는 모터(53)와, 워크피스(200)의 가공시에, 공구(40)의 날끝이 워크피스(200)의 표면에 근접하는 가공 대기 위치 x2에 위치하도록 공구(40)를 대기시키고, 가공 대기 위치 x2로부터 가공 이동을 개시시키는 제어 수단(70)을 구비하는 공작 기계에 있어서, 제어 수단(70)을 모터(53)에 의한 선회 상태에서 공구(40)를 가공 대기 위치 x2에 대기시킬 때, 공구(40)의 지름 d와 제 2 공구 장착부(37)의 선회 각도 θ에 상응하여, 공구(40)가 워크피스(200)에 간섭하지 않도록, 공구 대기 위치 x2를 보정후 가공 대기 위치 x3으로 보정하는 가공 대기 위치 보정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공작 기계{MACHINE TOOL}
본 발명은 공작 기계에 관한 것이다.
종래, 선반 등의 공작 기계는 주축에 파지된 원형봉 등의 가공 대상물(워크피스)에 대해, 절삭 가공용 바이트나 구멍뚫기 가공용 드릴날 등의 공구를 가압 접촉시켜, 워크피스에 다양한 가공을 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공작 기계에는, 드릴날과 같은 회전 공구를 사용하여, 워크피스의 축(주축이 연장되는 방향과 일치)에 대해 90도 이외의 경사 각도를 따라 구멍 등을 뚫을 수 있도록, 공구 장착부를, 이른바 B축(JIS: Japanese Industrial Standards에 준거)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구성한 것도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154034호 공보
그러나, 상술한 공작 기계에 의해 워크피스를 가공할 때에는, 워크피스로부터 멀리 떨어진 동작 개시 위치에서 갑자기 워크피스의 진공을 진행하는 가공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공구를 워크피스의 표면의 최근방까지 이동시켜, 이 위치(가공 대기 위치)에서 일시적으로 대기시키고, 그 후 공구를 워크피스에 가압 접촉시켜 실제의 가공을 개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가공 대기 위치는, 워크피스의 표면에 가까울수록 가공의 사이클 타임을 단축할 수 있기 때문에, 워크피스의 표면에 가급적으로 가까운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공구가 B축을 중심으로 선회하도록 구성된 공작 기계에 있어서는, 공구의 선회 상태로 가공 대기 위치에 대기할 때, 실제 가공의 개시 전임에도 불구하고, 공구가 워크피스에 간섭할 우려가 있다.
특히, 가공 대기 위치를, 워크피스의 표면에 매우 근접한 위치에 설정되어 있는 공작 기계에서는, 그 간섭의 가능성이 현저하게 큰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작 기계는, 가공 대상물을 가공하는 공구를, 날끝이 상기 가공 대상물에 대해 경사지도록 선회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공구에 의해 상기 가공 대상물의 가공을 진행할 때, 상기 공구의 날끝이 상기 가공 대상물의 표면에 근접하는 가공 대상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공구를 대기시키고, 상기 가공 대기 위치로부터 상기 공구를 이동 개시시켜 상기 가공 대상물의 가공을 진행하는 공작 기계에 있어서, 상기 공구를 선회 상태로 상기 가공 대기 위치에 대기시킬 때, 상기 공구의 지름과 공구의 선회 각도에 상응하여, 상기 공구가 상기 가공 대상물에 간섭하지 않도록, 상기 가공 대기 위치를 보정하는 가공 대기 위치 보정 수단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공의 사이클 타임을 크게 손상시키지 않고, 공구의 선회에 의한 가공 대기 위치에서의 공구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작 기계로서의 자동 선반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xz 평면에 평행인 면이고, 주축을 통과하는 면에 있어서의 공구와 워크피스의 위치 관계(동작 개시 위치, 가공 위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2에 상당하는 평면도이고, 가공 대기 위치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는 가공 대기 위치에 있어서의 공구의 선회에 의해 공구가 워크피스에 간섭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동작 개시 위치의 방향으로, 가공 대기 위치를 후퇴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가공 대기 위치에 있어서의 공구의 선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선회 각도가 작고, (b)는 선회 각도가 큰 것을 각각 나타낸다.
도 7은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 장치가 실행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8은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하드웨어로 간주되는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도면에 나타내는 실시예를 바탕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작 기계의 일 실시형태로서의 자동 선반(100)을 나타낸다.
이 자동 선반(100)은, 베드(10) 상에, 가공 대상물의 일례로서의 가늘고 긴 원형봉 형상의 워크피스(200)를 파지하는 주축(21)을,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 자유롭게 지지하는 주축대(20)가 마련되어 있다. 이 주축대(20)는, 주축(21)의 축선 방향과 동일 방향의 z축을 따라 직선적으로 슬라이딩 이동 자유롭게 되어 있다.
베드(10) 상에는, 가이드 부시(31)를 지지하는 가이드 부시 지지대(30)가 고정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가이드 부시(31)는, 워크피스(200)를 z축을 따른 직진 이동, z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을 허용하고 안내한다.
가이드 부시 지지대(30)의, 주축대(20)를 향한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는, z축에 횡방향으로 교차하는 x축을 따라 연장되는 x슬라이딩 레일(32)이 장착된다.
이 x슬라이딩 레일(32)에는 베이스 부재(33)가 슬라이딩 자유롭게 장착된다.
베이스 부재(33)는 모터에 의해 x슬라이딩 레일(32) 상을 x축을 따라 이동된다.
베이스 부재(33)의, 주축대(20)를 향한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는, z축 및 x축에 직교하는 y축을 따라 연장되는 y슬라이딩 레일(34)이 장착된다.
이 y슬라이딩 레일(34)에는, 복수의 공구(40)(41, 42, …, 46, …)가 장착되어 유지되는 공구대(35)가 슬라이딩 자유롭게 장착된다.
이 공구대(35)는 모터에 의해 y슬라이딩 레일(34) 상을 y축을 따라 이동된다.
공구대(35)는 종래와 동일하게, 가이드 부시 지지대(30)에 대해, x슬라이딩 레일(32)과 y슬라이딩 레일(34)을 통해,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임의의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공구대(35)는, 복수의 공구(40)를 x축을 따른 배열로 장착 유지한 제 1 공구 장착부(36)(공구 장착부)와 복수의 공구를 y축을 따른 배열로 장착 유지한 제 2 공구 장착부(37)(공구 장착부)를 구비한다.
이들 제 1 공구 장착부(36) 및 제 2 공구 장착부(37)는, 각각에 배치된 각 공구(40)를 그 종류에 따라 고정적으로 유지하고(예를 들면, 바이트 등의 절삭 공구), 또는 공구(40)의 지름을 중심으로 회전 자유롭게 유지하고 있다(예를 들면, 엔드밀이나 리머, 드릴날 등의 날).
제 2 공구 장착부(37)는, 제 2 공구 장착부(37)에 장착 유지된 각 공구(40)를 y축과 평행한 B축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도록, 제 1 공구 장착부(36)에 대해 회전 자유롭게 지지된다.
공구대(35)에는 제 2 공구 장착부(37)를 회전시키는 모터(선회 수단)(53)가 마련되어 있다. 이 모터(53)의 구동에 의해 제 2 공구 장착부(37)는 회동되고, 제 2 공구 장착부(37)에 장착 유지된 각 공구(40)는 B축을 중심으로 선회된다.
공구대(35)의 이동에 의해, 제 1 공구 장착부(36) 또는 제 2 공구 장착부(37)에 장착 유지된 복수의 공구(40) 중의 임의의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공구대(35)의 이동 및 주축(21)의 이동에 의해, 워크피스(200)의 가이드 부시(31)로부터 공구대(35) 측으로 돌출된 부분을, 선택된 임의의 하나의 공구(40)에 의해 가공할 수 있다.
가공시에, 제 2 공구 장착부(37)가 B축을 중심으로 선회되는 것에 의해, 제 2 공구 장착부(37)에 장착 유지된 공구(40)(엔드밀(41), 드릴날(42) 등)가 워크피스(200)의 축선에 대해 90도 이외의 각도로 경사지고, 워크피스(200)의 축선에 대해 90도 이외의 각도로 연장된 구멍을 뚫는 등의 가공을 진행할 수 있다.
공구대(35)와 주축(20)(각 모터) 및 제 2 공구 장착부(37)(모터(53))는, NC 장치로 이루어지는 제어 장치(제어 수단)(70)(도 8 참조)에 의해 구동 제어되고 있다.
이 제어 장치(70)는, NC 프로그램을 제어 프로그램으로 하고, 이 제어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워크피스(200)의 가공을 진행한다.
제어 장치(70)는, 워크피스(200)를 가공할 때는 공구(40)(예를 들면, 엔드밀(41))를 선택하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선택된 공구(40)의 날끝(공구(40)의 축선에 직교하면서 공구(40)의 날끝을 통과하는 직선과 공구(40)의 축선이 교차하는 점(C))이 워크피스(200)로부터 떨어진 동작 개시 위치 x0(실선으로 나타냄)과, 워크피스(200)의 표면에 접촉하여 실제로 가공이 개시되는 가공 위치 x1(이점쇄선으로 나타냄) 사이의,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워크피스(200)의 표면에 근접한 가공 대기 위치 x2에 위치하도록, 선택된 공구(40)를 이동시키고, 일시적으로 정지(대기)시켜, 워크피스(200)의 가공을 진행시킨다.
다만, 가공 대기 위치 x2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공구 장착부(37)를 B축을 중심(도 2 참조)으로 선회시키고, 제 2 공구 장착부(37)에 장착된 공구(40)를 선택한 경우에, 공구(40)가 워크피스(200)의 표면에 간섭하는 경우가 있는 정도로 가까운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또한, 가공 대기 위치 x2와 동작 개시 위치 x0 사이는, 단순한 공구(40)의 이동이기 때문에, 공구대(35)를 비교적 고속의 빠른 전송 속도로, 신속하게 전진 또는 후퇴시킨다.
가공 대기 위치 x2에서 가공 위치 x1을 통과하는 가공 이동 속도는, 공구(40)의 전송 속도(절삭 속도)이고, 워크피스(200)의 재질이나 주축(21)의 회전 속도, 워크피스(200)와 공구(40)의 날끝의 접촉 각도, 절삭유의 온도에 따라, 빠른 전송 속도에 비해 저속의 속도로 미리 정해진다.
제어 장치(70)는 가공의 필요에 따라 제 2 공구 장착부(37)를 B축을 중심으로 각도 0[도]~90[도]의 범위에서 선회시킨다.
제 2 공구 장착부(37)를 B축을 중심으로 선회시켜, 그 제 2 공구 장착부(37)에 장착 유지된 공구(40)를 선택하면, 공구(40)의 축선에 직교하면서 날끝을 통과하는 직선이, 공구(40)의 외주 에지에 접하는 부분(K)(도 4 참조)에 있어서, 공구(40)가 워크피스(200)의 표면에 간섭할 우려가 있다.
여기서, 제어 장치(70)는, 제 2 공구 장착부(37)를 B축을 중심으로 선회시켜 가공을 진행할 때는, 가공 대기 위치 x2에 있어서의 공구(40)와 워크피스(200)의 간섭을 미리 회피하기 위해,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가공 대기 위치 x2를, 워크피스(200)로부터 멀어지는 x축 방향의 보정후 가공 대기 위치 x3으로 보정하도록 설정되어 있다(가공 대기 위치 보정 수단(76)(도 8 참조)으로서 기능을 함).
가공 대기 위치 x2를 후퇴시키는 양(보정량)은, 그 공구(40)의 지름 d에 상응하여, 제어 장치(70)가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그 보정량 △x(=x2-x3)로서는, 공구(40)의 지름 d의 절반인 d/2를 적용하면 된다.
이 자동 선반(100)이, 제 2 공구 장착부(37)를 B축을 중심으로 각도 θ(=0[도]~90[도])로 선회 가능하게 하고 있기 때문에, 공구(40)가 각도 θ=90[도] 선회했을 때, 공구(40)의 날끝의 중심과 워크피스(200) 사이의 거리가 공구(40)의 반경(d/2)만큼만 가공 대기 위치 x2로부터 x축 방향으로 떨어져 있으면 공구(40)와 워크피스(200)의 표면이 간섭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 2 공구 장착부(37)가 선회하지 않는 상태(선회 각도 θ=0[도])으로 미리 설정된 기준의 가공 대기 위치 x2에 대해, 선회 각도 θ가 0[도]를 넘는 90[도]까지의 모든 선회 각도의 각각에 대응하여, 공구(40)의 지름 d의 1/2의 길이 d/2만큼 x축 방향으로 후퇴시킨 위치를, 보정후 가공 대기 위치 x3(=x2-△x)으로 함으로써, 각도 90[도] 이내의 어떠한 선회 각도 θ[도]에 의해서도, 공구(40)와 워크피스(200)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고, 선회 각도 θ별로 보정량 △x를 산출할 필요가 없다.
보정후 가공 대기 위치 x3은 원래의 기준이 되는 가공 대기 위치 x2를 크게 후퇴시키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가공의 사이클 타임을 크게 손상시키지(가공의 사이클 타임이 길게 연장되지) 않는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자동 선반(1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그 제어 장치(70)에 입력된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되는, 이른바 NC 공작 기계이기 때문에, 각 공구(40)가 장착되어 있는 제 1 공구 장착부(36)에 있어서의 장착 위치, 제 2 공구 장착부(37)에 있어서의 장착 위치, 공구의 종류, 지름(d), 길이 등은 제어 장치(70)에 기억되어 있다.
이 제어 장치(70)가,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워크피스(200)의 가공(각 모터의 구동 제어)을 진행할 때, 어느 한의 공구(40)를 선택하고, 그 공구(40)가 B축을 중심으로 선회될 때는, 그 공구(40)의 지름 d를 제어 장치(70)(공구 지름 취득 수단의 일부)가 판독하여 공구(40)의 지름을 취득하고, 보정후 가공 대기 위치 x3을 산출하고, 그 후 공구(40)의 날끝의 점(C)을, 보정후 가공 대기 위치 x3으로 이동시키도록 공구대(35)를 제어하여, 공구(40)를 B축을 중심으로 한 선회 상태로 보정후 가공 대기 위치 x3에 대기시킨다.
그 후, 공구(40)의 날끝의 점(C)을 보정후 가공 대기 위치 x3으로부터 이동시키고, 공구(40)에 의한 가공을 진행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자동 선반(100)에 의하면, 제어 장치(70)가 공구(40)의 지름 d를 취득하고, 이 취득된 공구(40)의 지름 d에 상응하여, 공구(40)와 워크피스(200)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가공 대기 위치 x2를 보정후 가공 대기 위치 x3으로 보정하기 때문에, 공구(40)(공구(40)의 축선에 직교하면서 날끝을 통과하는 직선이, 공구(40)의 외주 에지에 접하는 부분(K))와 워크피스(200)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종래와 동일하게, 공구(40)를 워크피스(200)에 근접시킨 위치(보정후 가공 대기 위치 x3)에서 일시적으로 정지시키기 때문에, 가공의 사이클 타임을 크게 손상시키지 않고, 또한 공구(40)의 선회에 의한 그 위치에서의 공구(40)와 워크피스(200)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공구(40)가 드릴 등과 같이, 그 날끝이 공구(40)의 외주 에지에 대해 돌출되어 있는 경우에는, 공구(40)의 축선에 직교하면서 날끝을 통과하는 직선과 외주 에지의 연장선이 교차하는 부분에서 워크피스(200)와의 간섭이 방지되기 때문에, 공구(40)와 워크피스(200)의 간섭이 방지된다.
본 실시형태의 자동 선반(100)에 있어서, 공구(40)의 B축을 중심으로 하는 선회가 진행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어 장치(70)는 상술한 가공 대기 위치 x2의 보정을 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의 자동 선반(100)은, B축을 중심으로 하는 선회에 의해, 공구(40)와 워크피스(200)의 간섭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경우에만 가공 대기 위치 x2의 보정을 하는 것에 의해, 간섭이 발생할 우려가 없는(B축을 중심으로 하는 선회가 진행되지 않는) 경우에는 가공 대기 위치 x2의 보정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이에 의해 B축을 중심으로 하는 선회가 진행되지 않을 때는, 가공의 사이클 타임이 아주 약간 연장되는 것마저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자동 선반(100)은, 제어 장치(70)가 설정하는 보정량 △x로서, 공구(40)의 지름 d의 1/2을 적용했지만, B축을 중심으로 진행될 수 있는 선회 각도 θ의 최대한이 90[도] 미만인 각도 θmax(<90)[도]일 때는, 공구(40)를 그 선회 가능 범위의 최대한의 각도 θmax[도]까지 선회시킨 상태에서, 공구(40)가 워크피스(200)에 간섭하지 않는 위치까지 가공 대기 위치 x2를 보정하도록, 공구(40)의 지름 d 및 선회 가능 각도의 최대한 θmax[도]에 상응하여, 보정량 △x를 (d/2)×sinθmax로 해도 좋다(△x=(d/2)×sinθmax).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선회 가능 각도 범위의 최대한 θmax이 90[도]였기 때문에, sinθmax=1이 되고, 보정량 △x는 공구(40)의 지름 d의 1/2(=d/2)이 되지만, 선회 가능 각도 범위의 최대한 θmax가 90[도] 미만의 자동 선반(100)에 있어서는, 보정량 △x를 d/2까지 크게 하지 않고, 보정량 △x를 상술한 (d/2)×sinθmax로 설정함으로써, 공구(40)와 워크피스(200)의 간섭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보정량 △x를 필요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고, 가공의 사이클 타임의 증대량도 필요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공구(40)가 선회하는 것에 의해 공구(40)가 워크피스(200)에 접근하는 양은, 도 6(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구(40)의 지름 d와 공구(40)의 선회 각도 θ에 상응하여 변화한다.
공구(40)의 지름 d 및 공구(40)의 선회 각도 θ에 상응한 양만큼 가공 대기 위치 x2를 보정함으로써, 보정량 △x를 세밀하게 적절한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러한 보정량 △x로서 지름 d의 공구(40)가 워크피스(200)에 간섭하지 않도록, 공구의 지름 d 및 공구(40)의 선회 각도 θ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값 d×(sinθ)/2를 적용할 수 있다.
제어 장치(70)가 상기 값 d×(sinθ)/2를 보정량 △x로서 설정하는 것에 의해, 자동 선반(100)은, 지름 d의 공구(40)를 각도 θ만큼 B축을 중심으로 선회시켰을 때, 선회 각도 θ에 상응하여 공구(40)를 워크피스(200)에 간섭시키지 않는 필요 최소한의 보정량으로, 가공 대기 위치 x2를 보정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형태의 자동 선반(100)에 있어서의 제어 장치(70)는, 제어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선택되는 공구(40)에 대한 B축을 중심으로 하는 선회의 지령이 있는 경우, 선택되는 공구(40)가 가공 대기 위치 x2에 대기할 때 하기 순서 (1)~(3)(도 7 참조)의 실행에 의해 가공 대기 위치 x2를 보정한다.
(1) 공구(40)의 지름 d를 취득하는 공구 지름 취득 순서
(2) 취득된 공구(40)의 지름 d 및 선회 각도 θ에 기초하여, 연산식 △x=d/2 또는 연산식 △x=(d/2)×sinθ에 의해 보정량 △x를 산출하고, 산출된 보정량 △x 및 가공 대기 위치 x2에 기초하여, 연산식 x3=x2-△x에 의해 보정후 가공 대기 위치 x3을 산출하는 보정후 가공 대기 위치 산출 순서
(3) 가공 대기 위치 x2를 보정후 가공 대기 위치 x3으로 치환하는 가공 대기 위치 보정 순서
제어 장치(70)에, 순서 (1)~(3)을 실행시키는 제어 프로그램에 의하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 장치(70)는, 선택되는 공구(40)가 가공 대기 위치 x2에 대기할 때, 선택되는 공구(40)에 대한 B축을 중심으로 하는 선회 각도 θ를 취득하고(S1), 선회의 지령이 있는지(선회 각도 θ=0[도]인가) 여부를 판정하고(S2), B축을 중심으로 하는 선회의 지령이 있는 경우(선회 각도 θ=0[도] 이외의 경우)에는, 공구 지름 취득 순서에 의해 공구(40)의 지름 d를 취득하고(S3), 보정후 가공 대기 위치 산출 순서에 의해 보정후 가공 대기 위치 x3을 산출하고(S4), 가공 대기 위치 보정 순서에 의해 가공 대기 위치 x2를 보정후 가공 대기 위치 x3으로 치환하고(S5), 그 치환된 보정후 가공 대기 위치 x3으로 공구(40)를 이동시킨다.
한편, 선회 지령의 유무 판정(S2)에 있어서, B축을 중심으로 하는 선회 지령이 없는 경우(선회 각도 θ=0[도]의 경우)에는, 가공 대기 위치 x2를 보정하지 않고(S6), 가공 대기 위치 x2로 공구(40)를 이동시킨다.
상술한 제어 장치(70)는, 이 제어 장치(70)에 입력된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하드웨어로 간주할 수도 있다.
제어 장치(70)는, 입력된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하기 수단 (11)~(16)(도 8 참조)으로서 동작한다.
즉, 제어 장치(70)는,
(11) 복수의 공구(40) 중에서 워크피스(200)의 가공을 진행하는 하나의 공구(40)를 선택하는 공구 선택 수단(71)과,
(12) 공구(40)별로 그 공구(40)의 지름 d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73)과,
(13) 기억 수단으로부터, 선택된 공구(40)의 지름 d를 취득하는 공구 지름 취득 수단(72)과,
(14) 공구(40)에 대한 B축을 중심으로 하는 선회의 유무(선회 각도 θ가 0[도] 이외인지 여부)를, 취득한 선회 각도 θ에 기초하여 판정하는 선회 가공 판정 수단(75)과,
(15) 선회 가공 판정 수단(76)에 의한 판정 결과가 "선회 있음"일 때는, 공구 지름 취득 수단(72)에 의해 취득된 공구의 지름 d 및 선회 가공 판정 수단(76)에 의해 취득된 선회 각도 θ에 기초하여 보정량 △x를 산출하고, 산출된 보정량 △x 및 가공 대기 위치 x2에 기초하여, 보정후 가공 대기 위치 x3을 산출하는 보정후 가공 대기 위치 산출 수단(74)과,
(16) 가공 대기 위치 x2를 보정후 가공 대기 위치 x3으로 치환하는 가공 대기 위치 보정 수단(76)으로서 동작한다.
제어 장치(70)를 (11)~(16)의 각 수단으로서 동작시키는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 장치(70)는 도 7에 나타내는 순서를 실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를 구성한다.

Claims (4)

  1. 가공 대상물을 가공하는 공구를, 날끝이 상기 가공 대상물에 대해 경사지도록 선회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공구에 의해 상기 가공 대상물의 가공을 진행할 때, 상기 공구의 날끝이 상기 가공 대상물의 표면에 근접하는 가공 대기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공구를 대기시키고, 상기 가공 대기 위치로부터 상기 공구를 이동 개시시켜 상기 가공 대상물의 절삭 가공을 진행하는 공작 기계에 있어서,
    상기 공구를 선회 상태로 상기 가공 대기 위치에 대기시킬 때, 상기 공구의 지름과 공구의 선회 각도에 상응하여, 상기 공구가 상기 가공 대상물에 간섭하지 않도록, 상기 가공 대기 위치를 보정하는 가공 대기 위치 보정 수단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 기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를 유지하는 공구 장착부와, 상기 공구 장착부를 선회시키는 선회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선회 수단에 의한 공구 장착부의 선회에 의해 상기 공구가 선회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 기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는, 상기 공구의 축선에 직교하면서 상기 공구의 날끝을 통과하는 직선과 상기 공구의 축선이 교차하는 점이, 상기 가공 대기 위치에 위치하도록 대기하고,
    상기 가공 대상물의 가공면에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 상기 공구의 축선이 경사지도록 선회 지지되고,
    상기 가공 대기 위치 보정 수단은, 각 선회 각도에 대해 상기 공구의 지름의 1/2의 길이만큼, 상기 가공 대기 위치를, 상기 가공 대상물의 가공면에 직교하여 상기 가공 대상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 기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는, 상기 공구의 축선에 직교하면서 상기 공구의 날끝을 통과하는 직선과 상기 공구의 축선이 교차하는 점이, 상기 가공 대기 위치에 위치하도록 대기하고,
    상기 가공 대상물의 가공면에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 상기 공구의 축선이 경사지도록 선회 지지되고,
    상기 가공 대기 위치 보정 수단은, 상기 공구의 지름의 1/2에 상기 공구의 상기 선회 각도의 사인값을 곱한 거리만큼, 상기 가공 대기 위치를, 상기 가공 대상물의 가공면에 직교하여 상기 가공 대상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 기계.
KR1020127026783A 2010-03-17 2011-02-23 공작 기계 KR1013966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60150 2010-03-17
JP2010060150A JP5373675B2 (ja) 2010-03-17 2010-03-17 工作機械
PCT/JP2011/053899 WO2011114843A1 (ja) 2010-03-17 2011-02-23 工作機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473A KR20130006473A (ko) 2013-01-16
KR101396689B1 true KR101396689B1 (ko) 2014-05-16

Family

ID=44648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6783A KR101396689B1 (ko) 2010-03-17 2011-02-23 공작 기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254543B2 (ko)
EP (1) EP2549346B1 (ko)
JP (1) JP5373675B2 (ko)
KR (1) KR101396689B1 (ko)
CN (1) CN102804088B (ko)
ES (1) ES2721657T3 (ko)
TW (1) TWI529028B (ko)
WO (1) WO20111148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14811A1 (ja) * 2014-01-31 2015-08-06 株式会社牧野フライス製作所 切削加工方法および制御装置
USD788196S1 (en) * 2014-09-12 2017-05-30 Pocket NC Company Multi-axis machine
US10316773B2 (en) * 2015-06-11 2019-06-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system mitigating port injection degradation
CN107052899B (zh) * 2017-02-24 2019-05-07 中航湖南通用航空发动机有限公司 一种带角向孔零件角向定位方法
EP3654122A4 (en) 2017-09-12 2021-04-14 Citizen Watch Co., Ltd. MACHINE TOOL
USD861750S1 (en) * 2018-05-02 2019-10-01 Pocket NC Company Multi-axis machine
EP3590635B1 (en) * 2018-07-04 2021-06-30 Gildemeister Italiana S.r.l. Tool carrier assembly for use in a lathe and lathe having such tool carrier assembly
CN112405110B (zh) * 2020-11-09 2021-10-26 上海交通大学 车刀切削刃与阀芯的夹角精密定位装置
CN113146216B (zh) * 2021-04-16 2023-03-03 杭州德创能源设备有限公司 一种定位垫片螺丝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1434A (ja) * 2003-09-11 2005-03-31 Fanuc Ltd 数値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69488B2 (ja) * 2000-11-17 2010-05-26 中村留精密工業株式会社 工作機械における工具刃先位置の設定方法
JP3640618B2 (ja) * 2001-05-16 2005-04-20 シチズン時計株式会社 櫛刃形の対向刃物台を有する数値制御旋盤、この数値制御旋盤によるワークの加工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7853351B2 (en) * 2002-02-21 2010-12-14 Gary John Corey CNC machine tool and integrated machine tool controller incorporating 3D and up to 8-axes real time interactive tool compensation
JP3829114B2 (ja) * 2002-11-28 2006-10-04 ファナック株式会社 数値制御装置
JP4666675B2 (ja) 2004-04-19 2011-04-06 シチズ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数値制御旋盤におけるワークの加工方法
US7313850B2 (en) * 2005-05-16 2008-01-01 Lee Norris Miller Compact, economical, multi-axis, multi-tasking, small part machine too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1434A (ja) * 2003-09-11 2005-03-31 Fanuc Ltd 数値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49346B1 (en) 2019-03-20
TWI529028B (zh) 2016-04-11
JP5373675B2 (ja) 2013-12-18
JP2011192232A (ja) 2011-09-29
EP2549346A1 (en) 2013-01-23
CN102804088B (zh) 2014-12-17
ES2721657T3 (es) 2019-08-02
EP2549346A4 (en) 2013-10-30
US9254543B2 (en) 2016-02-09
KR20130006473A (ko) 2013-01-16
WO2011114843A1 (ja) 2011-09-22
CN102804088A (zh) 2012-11-28
US20130008002A1 (en) 2013-01-10
TW201206615A (en) 2012-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6689B1 (ko) 공작 기계
JP5171444B2 (ja) 切削加工方法及び切削加工装置
JP5801346B2 (ja) 穿孔装置及び穿孔方法
JP5856212B2 (ja) 工作機械の工具に対してワークを回転可能に支持する治具及び加工システム
JP5994681B2 (ja) 工作機械及び工具交換方法
JP6217856B2 (ja) 工作機械及び加工方法
JP2019171503A (ja) ロボット加工システム
JP2017213658A (ja) 工作機械
JP4572133B2 (ja) 中空ワークの内面加工装置
JP3246961B2 (ja) クランクシャフトミラーの制御装置
JPWO2017086238A1 (ja) 工作機械及び工作機械による加工方法
JP6301985B2 (ja) 工作機械の主軸位相割出し装置
JP2004142076A (ja) 工作機械におけるワーク位相決め方法と、その装置
JP3969664B2 (ja) 数値制御工作機械及び加工プログラムのチェック方法
JP2017035752A (ja) 被加工物の振動を抑制する振動抑制方法及び機械加工システム
TWI768194B (zh) 工作機械
JP2009066725A (ja) 複合旋盤及び複合旋盤におけるワークの加工方法
JP2018161724A (ja) 工作機械システムおよびクランプ方法
JP6946104B2 (ja) 工作機械における工具切込方向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5815462B2 (ja) 旋盤におけるワークの芯ずれ補正機構。
JP5266020B2 (ja) 工作機械及び工作機械における誤差補正方法
JP6919427B2 (ja) 工作機械、工作機械の制御方法、及び、工作機械の制御プログラム
JP2014104564A (ja) センタリング方法及び装置
JP2019025568A (ja) 加工装置
JP2014231107A (ja) 内径加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