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6423B1 - 곡물스낵 제조용 퍼핑장치 - Google Patents

곡물스낵 제조용 퍼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6423B1
KR101396423B1 KR1020130111022A KR20130111022A KR101396423B1 KR 101396423 B1 KR101396423 B1 KR 101396423B1 KR 1020130111022 A KR1020130111022 A KR 1020130111022A KR 20130111022 A KR20130111022 A KR 20130111022A KR 101396423 B1 KR101396423 B1 KR 1013964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snack
rotating body
screw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1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신
Original Assignee
장성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성신 filed Critical 장성신
Priority to KR1020130111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64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6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64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61Puffed cereals, e.g. popcorn or puffed ri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3/48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lants or parts thereof, e.g. fruits, seeds,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Abstract

본 발명은 곡물스낵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익힌 상태로 배출해줄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원하는 길이로 커팅해줄 수 있도록 한 곡물스낵 제조용 퍼핑장치에 관한 것으로, 외주면에 나선형의 수스크류홈이 형성되고, 선단부의 양측에 적어도 4피치 이상 수스크류홈을 연결해주도록 길이방향으로 키가 형성된 상태로 후단부의 곡물이송모터에 동력전달 가능하게 연결되어 회전하면서 곡물을 이송, 압축하는 스크류; 중앙부에는 통공이 관통형성되어 스크류가 회전가능하게 끼워지고, 곡물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몸체의 후위 일측에는 길이방향과 직각방향으로 통공과 통하도록 곡물 투입구가 형성되며, 통공의 내주면에는 나선형의 암스크류홈이 형성되어 곡물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곡물이 스크류의 수스크류홈과의 사이에서 분쇄·이송되면서 압축되는 실린더; 실린더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상기 이송되는 곡물에 열을 전달하는 히터; 실린더의 선단부에 고정되며, 내측 중앙부에는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내경이 좁아지는 테이퍼진 형상의 곡물 안내면이 형성되고, 곡물 안내면의 중앙부에서 외측방향으로 곡물스낵 배출공이 형성된 곡물스낵 배출캡; 및 중앙부에는 곡물스낵 배출캡의 곡물 안내면에 접촉되도록 원뿔형의 곡물 안내돌기가 형성되고, 테두리부에는 등간격으로 곡물 통과공이 형성된 곡물 안내구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곡물스낵 제조용 퍼핑장치{Grain snack puffer}
본 발명은 곡물스낵 제조용 퍼핑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곡물스낵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익힌 상태로 배출해줄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원하는 길이로 커팅해줄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곡물 퍼핑장치는 투입된 곡물에 별도로 외부에서 열을 가하여 익히면서 고압으로 압출하여 외부의 저압에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곡물이 부풀려진 과자로 만들어지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과자가 압출에 의해 압축되었다 저압에 노출되어 부풀려지는 과정을 통상적으로 퍼핑(PUFFING)이라 하므로, 곡물을 부풀려 과자를 만드는 장치를 곡물 퍼핑장치라 한다.
이때, 곡물 퍼핑장치에서 곡물이 익혀지는 온도는 대략 섭씨 280도이며, 이 온도는 곡물이 익혀지기에는 매우 높은 온도로서 열에 약한 비타민이나 유효한 당분 등은 곡물이 익혀지는 과정에서 대 부분 파괴되거나 변형된다.
즉, 종래의 곡물 퍼핑장치는 곡물을 익히어 부풀려진 과자를 제공함으로써 다이어트를 하고자 하는 여성이나 부드러운 음식을 찾는 노약자 및 어린이들이 좋아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간식용 과자를 제공하기에는 만족스러웠나, 영양 면에서는 손상이 많이 가해져 있으므로 여성과 같이 다이어트를 하는 사람의 주식용으로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곡물 퍼핑장치는 외부에서 열을 가하는 히팅장치를 별도로 구성해야 하므로 장치의 구성이 복잡해지는 것은 물론, 히팅장치에 의한 곡물의 익힘 온도에 대한 온도제어가 필수적이므로 온도 제어회로가 추가되어야 했으며, 히팅장치에 의한 고온이 발생되므로 냉각수단의 냉각용량이 커야 했을 뿐만 아니라, 고온의 열에 의해 장치의 수명이 짧아지며, 장치가 설치되는 주위온도가 과도하게 올라가 작업자가 화상을 입을 우려 및 주위환경이 화재에 노출되는 위험이 있었다.
이를 감안하여 등록특허 제 10-0807527 호에서는 모터; 일단부가 상기 모터에 연결되어 회전하면서 곡물을 이송, 압축하는 스크루; 상기 스크루의 외주면에 일정방향으로 형성된 제1스크루 나선; 상기 스크루의 외주면에 상기 제1스크루 나선의 제1피치의 중앙부로부터 형성되며 상기 제1스크루 나선과 동일한 방향의 제2스크루 나선; 상기 스크루의 타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스크루 나선과 제2스크루 나선을 이루는 나사산들을 연결하는 나사산 연결부; 상기 스크루의 타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스크루의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된 스크루홈; 상기 스크루의 외주면을 감싸며 상기 스크루와 함께 곡물을 압축하면서 그 압축에 의해 상기 곡물을 자체 발열시켜 겔 상태로 변화시키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에 상기 제1스크루 나선 및 제2스크루 나선에 각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제1실린더 나선 및 제2실린더 나선; 상기 실린더의 모터측의 단부에 형성되는 곡물 투입구; 및 상기 스크루의 타단부가 수용되는 제1공간부와 상기 실린더의 타단부 및 상기 스크루의 일부가 수용되는 제2공간부를 가지며 일측이 개방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방된 일측을 폐쇄하며 곡물배출구가 형성된 커버와, 상기 본체와 커버를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루와 실린더에 의해 겔 상태로 변화된 곡물을 외부로 급속 분출하여 퍼핑되도록 하는 퍼핑유닛로 구성되어 열원이 없이도 곡물의 퍼핑이 가능하며, 퍼핑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율적으로 배출하여 수증기의 역류가 없고, 계속적인 작동이 가능한 곡물 퍼핑 장치를 개시한 바 있다.
그러나, 등록특허 제 10-0807527 호에 따른 곡물 퍼핑 장치는 별도의 열원없이 오로지 곡물의 분쇄 및 압축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곡물스낵이 익혀지면서 퍼핑되기 때문에 열의 전달이 전체적으로 균일하지 않고, 곡물스낵이 충분히 익혀질 정도의 열이 발생되지 않아 실제로는 곡물 퍼핑장치로서의 기능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곡물은 스크루에 형성된 스크루홈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스크루의 선단부에서 퍼핑유닛을 통해 퍼핑되는 것이므로 퍼핑유닛으로 인해 저항이 발생될 수밖에 없으며, 반면 스크루에 형성된 스크루홈의 사이에 형성되는 턱이 단면상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퍼핑유닛에 의해 발생되는 저항으로 인해 곡물이 스크루홈의 뒤쪽으로 역행하게 되어 곡물스낵의 퍼핑이 순차적으로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단점도 있었다.
또한, 퍼핑유닛도 하나의 곡물배출구로만 이루어져 있는데 반해 스크루의 선단부에서는 곡물이 스크류 표면 전체에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곡물 가루의 배출이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일부는 빠르게 배출되는데 반해 일부는 퍼핑장치 내부에 오래도록 머물러 과도한 열에 의해 타버리는 단점도 있었다.
또한, 커터는 항상 동일한 속도로 회전되므로 퍼핑유닛을 통해 배출되면서 퍼핑되는 곡물스낵이 일정한 길이로만 절단될 수밖에 없어 소비자가 원하는 길이의 곡물스낵을 생산하지 못하는 단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곡물스낵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익힌 상태로 배출해줄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원하는 길이로 커팅해줄 수 있도록 한 곡물스낵 제조용 퍼핑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외주면에 나선형의 수스크류홈이 형성되고, 선단부의 양측에 적어도 4피치 이상 상기 수스크류홈을 연결해주도록 길이방향으로 키가 형성된 상태로 후단부의 곡물이송모터에 동력전달 가능하게 연결되어 회전하면서 곡물을 이송, 압축하는 스크류;
중앙부에는 통공이 관통형성되어 상기 스크류가 회전가능하게 끼워지고, 곡물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몸체의 후위 일측에는 길이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상기 통공과 통하도록 곡물 투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통공의 내주면에는 나선형의 암스크류홈이 형성되어 상기 곡물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곡물이 상기 스크류의 수스크류홈과의 사이에서 분쇄·이송되면서 압축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상기 이송되는 곡물에 열을 전달하는 히터;
상기 실린더의 선단부에 고정되며, 내측 중앙부에는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내경이 좁아지는 테이퍼진 형상의 곡물 안내면이 형성되고, 상기 곡물 안내면의 중앙부에서 외측방향으로 곡물스낵 배출공이 형성된 곡물스낵 배출캡; 및
중앙부에는 상기 곡물스낵 배출캡의 곡물 안내면에 접촉되도록 원뿔형의 곡물 안내돌기가 형성되고, 테두리부에는 상기 스크류의 선단부를 통해 이송되는 곡물을 상기 곡물 안내면 방향으로 균일하게 통과시킬 수 있도록 등간격으로 곡물 통과공이 형성된 곡물 안내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곡물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수스크류홈의 전위측은 라운드지게 형성되면서 상기 수스크류홈의 후위측은 수직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커팅날회전모터와 동력전달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로 상기 실린더와 나란하게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내부에는 키홈이 형성된 제1 회전체; 일단부에는 커팅날이 구비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 회전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제1 회전체 인접부위에는 원주방향으로 작동홈이 형성된 제2 회전체; 솔레노이드 승강장치에 작동축이 연결되고, 상기 작동축의 상단부에는 반원형의 키작동편이 구비된 상태로 전원 인가 유무에 따라 상기 작동홈 방향으로 승강하는 키작동부; 상기 제2 회전체의 표면 일측에 탄성부재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탄력적으로 고정되고, 상기 작동홈측으로 노출되는 중간부에는 가이드돌기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키작동편이 하강하면 전진하면서 상기 제1 회전체의 키홈에 끼워져 상기 제1 회전체의 동력이 상기 제2 회전체에 전달되도록 하며, 상기 키작동편이 상승하면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키작동편에 의해 눌려 후퇴되면서 상기 제1 회전체의 키홈으로부터 빠져나와 상기 제1 회전체와 상기 제2 회전체의 동력이 단절되도록 하는 작동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솔레노이드 승강장치에는 발판스위치가 연결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곡물안내돌기의 첨단부에는 상기 곡물스낵 배출공보다는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져 상기 곡물스낵 배출공에 끼워지는 곡물스낵 배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곡물안내돌기의 첨단부 반대측 단부로부터 상기 곡물스낵 배출돌기의 중앙부까지 상기 곡물안내돌기의 내부측에서 직각방향으로 내용물 주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곡물스낵 배출캡에는 수직상 상기 내용물 주입공과 동일한 위치에 수직방향으로 내용물 통과공이 형성되고; 상기 내용물 통과공의 외측에는 내용물 주입관이 연결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스크류에 형성된 수스크류홈과 실린더에 형성된 암스크류홈에 의해 곡물이 분쇄, 이송, 압축될 수 있으며, 히터에 의해 곡물 가루가 익혀진 상태로 배출되면서 퍼핑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수스크류홈은 전위측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있고, 후위측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곡물 가루가 역행하지 않고 순차적으로 전진할 수 있으며, 곡물 배출 부위에서는 곡물 안내구의 곡물 통과공을 통해 스크류를 통해 이송된 곡물이 균일하게 이동하여 순차 배출됨으로써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익혀진 곡물스낵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스크류의 선단부 양측에는 적어도 4피치 이상 수스크류홈들을 연결해주는 키가 형성되어 있어 곡물을 보다 스크류 안쪽에 오래 머무르면서 압축시킬 수 있어 곡물스낵의 품질을 더욱 높여줄 수 있게 된다.
또한, 발판스위치를 눌러주면 솔레노이드 승강장치를 통해 키작동편이 하강하였다가 상승하고, 키작동편이 하강하면 키가 전진하여 제1 회전체와 제2 회전체를 동력전달가능하게 연결해주어 제2 회전체가 1회전되면서 곡물스낵을 커팅해주고, 키작동편이 상승하면 키작동편이 작동키의 가이드돌기를 눌러 후퇴시킴으로써 제1 회전체와 제2 회전체의 동력을 차단해주어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작용에 의해 곡물스낵을 소비자가 원하는 길이로 절단해줄 수 있는 이점도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곡물스낵 퍼핑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곡물스낵 퍼핑장치의 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류의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곡물스낵 배출부위 상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커팅부위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키와 키작동편의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커팅부위의 커팅시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커팅부위의 멈춤시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물스낵 배출부위 상세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따른 곡물스낵 배출부위 적용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제시되는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곡물스낵 제조용 퍼핑장치는 도면상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퍼(1)로부터 곡물이 투입되면 이를 분쇄, 이송, 압축, 히팅, 배출하여 곡물스낵을 생산하는 곡물스낵 배출부위와, 곡물스낵 배출부위와 나란하게 위치되어 곡물스낵 배출부위를 통해 배출되는 곡물스낵을 커팅해주는 커팅부위로 이루어진다.
곡물스낵 배출부위는, 후단의 곡물이송모터(미도시)와 동력전달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로 회전하는 스크류(10), 스크류(10)가 끼워지면서 스크류(10)와의 사이에서 곡물을 분쇄, 이송, 압축해주는 실린더(20), 실린더(20)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내부의 곡물에 열을 전달하는 히터(30), 실린더(20)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곡물스낵을 배출해주는 곡물스낵 배출캡(40)을 포함한다.
스크류(10)는, 외주면에 나선형의 수스크류홈(11)이 형성되고, 선단부의 양측에 적어도 4피치 이상 수스크류홈(11)을 연결해주도록 길이방향으로 키(12)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곡물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수스크류홈(11)의 전위측은 라운드지게 형성되면서 수스크류홈(11)의 후위측은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키(12)는 곡물을 보다 실린더(20) 안쪽에 오래 머무르도록 하여 곡물의 압축 및 익힘 시간을 늘여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실린더(20)는, 중앙부에 통공(21)이 관통형성되어 여기에 스크류(10)가 회전가능하게 끼워지고, 곡물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몸체의 후위 일측에는 길이방향과 직각방향으로 통공(21)과 통하도록 곡물 투입구(22)가 형성되며, 통공(21)의 내주면에는 나선형의 암스크류홈(23)이 형성되어 곡물 투입구(22)를 통해 투입된 곡물이 스크류(10)의 수스크류홈(11)과의 사이에서 분쇄·이송되면서 압축되도록 구성된다. 곡물 투입구(22)에는 호퍼(1)의 배출배위가 연결된다.
히터(30)는, 실린더(20)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상기 이송되는 곡물에 열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히터(30)로는 밴드 히터 등 실린더(20) 외주면을 감쌀 수 있으면서 전원이 인가되면 발열하는 히터라면 어떠한 것이든 적용가능하다.
곡물스낵 배출캡(40)은, 실린더(20)의 선단부에 고정되며, 내측 중앙부에는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내경이 좁아지는 테이퍼진 형상의 곡물 안내면(41)이 형성되고, 곡물 안내면(41)의 중앙부에서 외측방향으로 곡물스낵 배출공(42)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중앙부에는 곡물스낵 배출캡(40)의 곡물 안내면(41)에 접촉되도록 원뿔형의 곡물 안내돌기(51)가 형성되고, 테두리부에는 스크류(10)의 선단부를 통해 이송되는 곡물을 곡물 안내면(41) 방향으로 균일하게 통과시킬 수 있도록 등간격으로 곡물 통과공(52)이 형성된 곡물 안내구(50)가 더 구비되어 곡물스낵 배출캡(40)의 곡물 안내면(41)에 끼워지게 된다.
커팅부위는, 후단의 커팅날회전모터(2)와 동력전달가능하게 연결되어 회전되는 제1 회전체(60)와, 선단부에는 커팅날(71)이 구비된 상태로 제1 회전체(60)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2 회전체(70)와, 제1 회전체(60)와 제2 회전체(70)를 선택적으로 연결시켜주는 작동키(80) 및 키작동부(90)를 포함한다.
제1 회전체(60)는, 커팅날회전모터(2)와 동력전달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로 실린더(20)와 나란하게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내부에는 키홈(61)이 형성된다. 키홈(61)은 도면상에 상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도입부에 경사면을 구비하여 작동키(80)를 키홈(61)까지 원활하게 안내해주도록 형성된다.
제2 회전체(70)는, 일단부에 커팅날(71)이 구비되고, 타단부는 제1 회전체(6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제1 회전체(60) 인접부위에는 원주방향으로 작동홈(72)이 형성된다.
키작동부(90)는, 솔레노이드 승강장치(91)에 그 작동축(92)이 연결되고, 작동축(92)의 상단부에는 반원형의 키작동편(93)이 구비된 상태로 전원 인가 유무에 따라 작동홈(72) 방향으로 승강 작동하도록 구성되며, 사용상 편의성 향상을 위해 솔레노이드 승강장치(91)에는 발판스위치(94)가 연결된다. 솔레노이드 승강장치(91)는 전자석 등을 이용한 관용적인 장치를 사용하면 되므로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설명 생략한다.
작동키(80)는, 제2 회전체(70)의 표면 일측에 압축코일스프링(81)과 같은 탄성부재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탄력적으로 고정되고, 작동홈(72)측으로 노출되는 중간부에는 가이드돌기(82)가 돌출형성되어 키작동편(93)이 하강하면 전진하면서 제1 회전체(60)의 키홈(61)에 끼워져 제1 회전체(60)의 동력이 제2 회전체(70)에 전달되도록 하며, 키작동편(93)이 상승하면 가이드돌기(82)가 키작동편(93)에 의해 눌려 후퇴되면서 제1 회전체(60)의 키홈(61)으로부터 빠져나와 제1 회전체(60)와 제2 회전체(70)의 동력이 단절되도록 구성된다.
도면상의 미설명 부호 3은 곡물이송모터, 커팅날회전모터(2), 솔레노이드 승강장치(91) 등의 작동을 설정 및 컨트롤하는 컨트롤박스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호퍼(12)에 원하는 곡물을 투입하고, 전원을 인가하면 호퍼(1)로부터 곡물이 곡물 투입구(22)로 투입되며, 곡물 투입구(22)로 투입된 곡물은 실린더(20) 내에서 곡물이송모터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스크류(10) 사이로 이동하여 스크류(10)의 수스크류홈(11)과 실린더(20)의 암스크류홈(23) 사이에서 분쇄, 이송, 압축될 수 있다.
스크류(10)의 수스크류홈(11)과 실린더(20)의 암스크류홈(23) 사이에서 곡물이 분쇄, 이송, 압축되면서 실린더(20) 외주면에 장착된 히터(30)에 의해 열이 전달되어 이 열에 의해 익게 되고, 곡물스낵 배출캡(40) 부위를 통해 배출됨과 동시에 팽창된 상태가 되어 이를 퍼핑이라 부르게 됨은 전술한 바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스크류(10)의 수스크류홈(11)은 전위측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있고, 후위측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곡물이 역행하지 않고 순차적으로 전진되면서 압축될 수 있으며, 스크류(10)의 선단부 양측에는 적어도 4피치 이상 수스크류홈(11)들을 연결해주는 키(12)가 형성되어 있어 곡물을 실린더(20) 내부에 보다 오래 머무르도록 하여 곡물을 압축하고 익혀줄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스크류(10)와 실린더(20)의 사이 공간을 통해 분쇄, 이송, 압축, 익힘된 곡물은 스크류(10)의 외주면을 통해 이송되다가 곡물 안내구(50)의 테두리부위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곡물 통과공(52)을 통해 균일하게 이동하며, 곡물 통과공(52)을 통과한 곡물은 후위로부터 스크류(10)에 의한 밀어내는 압력에 의해 곡물스낵 배출캡(40)의 곡물 안내면(41)과 여기에 끼워진 곡물 안내구(50)의 곡물 안내돌기(51) 사이의 미세한 틈새로 빠져나와 곡물 안내면(41)의 중앙부에 모였다가 외측방향으로 형성된 곡물스낵 배출공(42)을 통해 빠져나오면 팽창될 수 있으며, 커팅부위의 커팅날(71)에 의해 커팅될 수 있는 것이다.
즉, 곡물스낵의 배출시 스크류(10)를 통해 전진하는 곡물 전체가 균일하게 곡물 통과공(52)을 통해 이동하여 곡물 안내면(41) 중앙부에 모였다가 곡물스낵 배출공(42)을 통해 배출될 수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익혀진 고품질의 곡물스낵을 생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소비자의 기호에 따라 곡물스낵의 길이를 원하는대로 조절할 수 있는데, 곡물스낵이 배출될 때 발판스위치(94)를 눌러주면 솔레노이드 승강장치(91)를 통해 키작동편(93)이 순간적으로 하강하였다가 상승하고, 키작동편(93)이 하강하면 키가 압축코일스프링(81)과 같은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전진하며, 이때 제1 회전체(60)는 회전되고 있으므로 제1 회전체(60)의 키홈(61)에 작동키(80)의 선단부가 끼이게 되어 이때부터 제1 회전체(60)와 제2 회전체(70)가 동력전달가능하게 연결되면서 같이 회전될 수 있다.
솔레노이드 승강장치(91)는 순간적으로 키작동편(93)을 하강시켰다가 다시 상승시키게 되므로 제2 회전체(70)가 1회전한 후 키작동편(93)이 상승하면 키작동편(93)의 안쪽면과 작동키(80)의 가이드돌기(82)가 접촉되면서 가이드돌기(82)를 눌러 작동키(80)를 후퇴시키게 되고, 작동키(80)가 제1 회전체(60)의 키홈(61)으로부터 빠져나가면 제1 회전체(60)와 제2 회전체(70)의 동력전달이 단절되어 제2 회전체(70)는 더 이상 회전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즉, 발판스위치(94)를 눌러주면 제2 회전체(70)가 1회전하여 곡물스낵을 커팅해주고 다시 멈추게 되므로 곡물스낵을 소비자가 원하는 길이로 절단해줄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곡물스낵 제조용 퍼핑장치를 통해 곡물스낵을 배출할 때 곡물스낵의 내부에 치즈, 초콜릿과 같은 고액상의 내용물을 같이 주입하여 제조할 수도 있는데, 이를 위해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물안내구(50)의 곡물안내돌기(51) 첨단부에는 곡물스낵 배출캡(40)의 곡물스낵 배출공(42)보다는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져 곡물스낵 배출공(42)에 끼워지는 곡물스낵 배출돌기(53)가 형성되고, 곡물안내돌기(51)의 첨단부 반대측 단부로부터 곡물스낵 배출돌기(53)의 중앙부까지 곡물안내돌기(51)의 내부측에서 직각방향으로 내용물 주입공(54)이 형성되며, 곡물스낵 배출캡(40)에는 수직상 내용물 주입공(54)과 동일한 위치에 수직방향으로 내용물 통과공(43)이 형성되고, 내용물 통과공(43)의 외측에는 내용물 주입관(44)이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내용물 주입관(44)은 고액상의 치즈, 초콜릿 등이 담겨진 별도의 내용물 호퍼(미도시)와 유통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음은 자명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곡물스낵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술한 내용과 동일한 작용으로 곡물스낵 배출돌기(53)와 곡물스낵 배출공(42) 사이를 통과하면서 배출됨과 동시에 부풀어 오르게 되고, 이와 동시에 내용물 주입관(44)을 통해 주입되는 고액상의 치즈, 초콜릿 등의 내용물이 곡물스낵 배출캡(40)의 내용물 통과공(43), 곡물안내구(50)에 형성된 내용물 주입공(54)을 순차 통과하고, 곡물스낵 배출돌기(53)의 중앙부로 빠져나와 그 주위로 배출되는 곡물스낵의 내부 중앙부에 주입되어 곡물스낵의 중앙에 치즈, 초콜릿 등의 내용물이 채워진 업그레이드된 이형의 곡물스낵을 자동으로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1 : 호퍼 2 : 커팅날회전모터
3 : 컨트롤박스 10 : 스크류
11 : 수스크류홈 12 : 키
20 : 실린더 21 : 통공
22 : 곡물 투입구 23 : 암스크류홈
30 : 히터 40 : 곡물스낵 배출캡
41 : 곡물 안내면 42 : 곡물스낵 배출공
43 : 내용물 통과공 44 : 내용물 주입관
50 : 곡물 안내구 51 : 곡물 안내돌기
52 : 곡물 통과공 53 : 곡물스낵 배출돌기
54 : 내용물 주입공 60 : 제1 회전체
61 : 키홈 70 : 제2 회전체
71 : 커팅날 72 : 작동홈
80 : 작동키 81 : 압축코일스프링
82 : 가이드돌기 90 : 키작동부
91 : 솔레노이드 승강장치 92 : 작동축
93 : 키작동편 94 : 발판스위치

Claims (5)

  1. 외주면에 나선형의 수스크류홈이 형성되고, 선단부의 양측에 적어도 4피치 이상 상기 수스크류홈을 연결해주도록 길이방향으로 키가 형성된 상태로 후단부의 곡물이송모터에 동력전달 가능하게 연결되어 회전하면서 곡물을 이송, 압축하는 스크류;
    중앙부에는 통공이 관통형성되어 상기 스크류가 회전가능하게 끼워지고, 곡물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몸체의 후위 일측에는 길이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상기 통공과 통하도록 곡물 투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통공의 내주면에는 나선형의 암스크류홈이 형성되어 상기 곡물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곡물이 상기 스크류의 수스크류홈과의 사이에서 분쇄·이송되면서 압축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상기 이송되는 곡물에 열을 전달하는 히터;
    상기 실린더의 선단부에 고정되며, 내측 중앙부에는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내경이 좁아지는 테이퍼진 형상의 곡물 안내면이 형성되고, 상기 곡물 안내면의 중앙부에서 외측방향으로 곡물스낵 배출공이 형성된 곡물스낵 배출캡; 및
    중앙부에는 상기 곡물스낵 배출캡의 곡물 안내면에 접촉되도록 원뿔형의 곡물 안내돌기가 형성되고, 테두리부에는 상기 스크류의 선단부를 통해 이송되는 곡물을 상기 곡물 안내면 방향으로 균일하게 통과시킬 수 있도록 등간격으로 곡물 통과공이 형성된 곡물 안내구를 포함하여서 된 곡물스낵 제조용 퍼핑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곡물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수스크류홈의 전위측은 라운드지게 형성되면서 상기 수스크류홈의 후위측은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스낵 제조용 퍼핑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커팅날회전모터와 동력전달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로 상기 실린더와 나란하게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내부에는 키홈이 형성된 제1 회전체;
    일단부에는 커팅날이 구비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 회전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제1 회전체 인접부위에는 원주방향으로 작동홈이 형성된 제2 회전체;
    솔레노이드 승강장치에 작동축이 연결되고, 상기 작동축의 상단부에는 반원형의 키작동편이 구비된 상태로 전원 인가 유무에 따라 상기 작동홈 방향으로 승강하는 키작동부;
    상기 제2 회전체의 표면 일측에 탄성부재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탄력적으로 고정되고, 상기 작동홈측으로 노출되는 중간부에는 가이드돌기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키작동편이 하강하면 전진하면서 상기 제1 회전체의 키홈에 끼워져 상기 제1 회전체의 동력이 상기 제2 회전체에 전달되도록 하며, 상기 키작동편이 상승하면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키작동편에 의해 눌려 후퇴되면서 상기 제1 회전체의 키홈으로부터 빠져나와 상기 제1 회전체와 상기 제2 회전체의 동력이 단절되도록 하는 작동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스낵 제조용 퍼핑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 승강장치에는 발판스위치가 연결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스낵 제조용 퍼핑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안내돌기의 첨단부에는 상기 곡물스낵 배출공보다는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져 상기 곡물스낵 배출공에 끼워지는 곡물스낵 배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곡물안내돌기의 첨단부 반대측 단부로부터 상기 곡물스낵 배출돌기의 중앙부까지 상기 곡물안내돌기의 내부측에서 직각방향으로 내용물 주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곡물스낵 배출캡에는 수직상 상기 내용물 주입공과 동일한 위치에 수직방향으로 내용물 통과공이 형성되고;
    상기 내용물 통과공의 외측에는 내용물 주입관이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스낵 제조용 퍼핑장치.
KR1020130111022A 2013-09-16 2013-09-16 곡물스낵 제조용 퍼핑장치 KR1013964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1022A KR101396423B1 (ko) 2013-09-16 2013-09-16 곡물스낵 제조용 퍼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1022A KR101396423B1 (ko) 2013-09-16 2013-09-16 곡물스낵 제조용 퍼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6423B1 true KR101396423B1 (ko) 2014-05-20

Family

ID=50894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1022A KR101396423B1 (ko) 2013-09-16 2013-09-16 곡물스낵 제조용 퍼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642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340B1 (ko) * 2014-06-10 2014-12-09 오영님 아이스크림 과자 제조 장치
KR20180068343A (ko) * 2016-12-13 2018-06-22 엄지용 구운 곡물 과자 제조장치
KR20190057477A (ko) * 2017-11-20 2019-05-29 최항석 커플 웰빙 곡물과자 제조방법
KR20190058990A (ko) * 2017-11-22 2019-05-30 장성혁 곡물 과자 성형장치용 배출캡
KR20200013004A (ko) * 2018-01-09 2020-02-05 장서진 동물사료용 루핀 종자 팽화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49408A (ko) * 2019-10-25 2021-05-06 장동혁 통곡물 베이스 퍼핑 장치를 이용하는 통곡물 퍼핑 과자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통곡물 퍼핑 과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9550B2 (ja) * 1988-03-24 1994-10-12 株式会社幸和工業 食品材料膨化成形装置及びその装置を用いた食品材料膨化成形方法
KR20020092096A (ko) * 2001-06-02 2002-12-11 삼보종합식품 주식회사 압출 성형기 및 이를 이용한 간편식 뻥튀기용 인조미 제조방법
JP2005198507A (ja) 2004-01-13 2005-07-28 Denroku Co Ltd 膨化スナック菓子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0807527B1 (ko) 2007-04-10 2008-02-26 최기홍 곡물 퍼핑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9550B2 (ja) * 1988-03-24 1994-10-12 株式会社幸和工業 食品材料膨化成形装置及びその装置を用いた食品材料膨化成形方法
KR20020092096A (ko) * 2001-06-02 2002-12-11 삼보종합식품 주식회사 압출 성형기 및 이를 이용한 간편식 뻥튀기용 인조미 제조방법
JP2005198507A (ja) 2004-01-13 2005-07-28 Denroku Co Ltd 膨化スナック菓子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0807527B1 (ko) 2007-04-10 2008-02-26 최기홍 곡물 퍼핑 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340B1 (ko) * 2014-06-10 2014-12-09 오영님 아이스크림 과자 제조 장치
KR20180068343A (ko) * 2016-12-13 2018-06-22 엄지용 구운 곡물 과자 제조장치
KR101885002B1 (ko) * 2016-12-13 2018-08-03 엄지용 구운 곡물 과자 제조장치
KR20190057477A (ko) * 2017-11-20 2019-05-29 최항석 커플 웰빙 곡물과자 제조방법
KR102058128B1 (ko) * 2017-11-20 2020-01-22 최항석 커플 웰빙 곡물과자 제조방법
KR20190058990A (ko) * 2017-11-22 2019-05-30 장성혁 곡물 과자 성형장치용 배출캡
KR101998206B1 (ko) * 2017-11-22 2019-10-01 장성혁 곡물 과자 성형장치용 배출캡
KR20200013004A (ko) * 2018-01-09 2020-02-05 장서진 동물사료용 루핀 종자 팽화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08699B1 (ko) 2018-01-09 2020-05-07 장서진 동물사료용 루핀 종자 팽화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49408A (ko) * 2019-10-25 2021-05-06 장동혁 통곡물 베이스 퍼핑 장치를 이용하는 통곡물 퍼핑 과자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통곡물 퍼핑 과자
KR102315431B1 (ko) * 2019-10-25 2021-10-19 장동혁 통곡물 베이스 퍼핑 장치를 이용하는 통곡물 퍼핑 과자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통곡물 퍼핑 과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6423B1 (ko) 곡물스낵 제조용 퍼핑장치
US1924826A (en) Production of puffed products
US20170202262A1 (en) Twin Screw Rotary Head Extruder, Method of Extrusion and Random Extruded Products
KR100716615B1 (ko) 곡물 퍼핑 장치
Riaz Food extruders
US1924827A (en) Production of puffed products
KR102159438B1 (ko) 이중면을 이용한 시리얼 및 시리얼바 제조장치와 그 제조방법
KR100807527B1 (ko) 곡물 퍼핑 장치
Harper Extrusion of foods
KR20080081718A (ko) 스낵제조용 퍼핑장치
DK2358211T3 (en) Device for continuous production by extrusion cooking of a food product containing whole and solid pieces, as well as an extrusion machine equipped with such a device
KR200441547Y1 (ko) 제면기
KR101296847B1 (ko) 곡물 퍼핑 장치
KR101372228B1 (ko) 압출형 제면 방법
KR101173086B1 (ko) 익힌 쌀국수 및 그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KR101719169B1 (ko) 성형롤이 개선된 2단 압출 면성형기
KR20090000342U (ko) 줄 뻥튀기 장치
FR2565521A1 (fr) Filiere d'extrusion de produits alimentaires fourres
CN105749412A (zh) 用于颗粒状药物的涂覆装置
CN206324213U (zh) 全自动嵌糕机
KR20150004180U (ko) 곡물스낵 퍼핑기의 냉각장치
CN214047539U (zh) 一种用于杂粮谷物、果蔬全粉原料加工的米粉机
KR102315431B1 (ko) 통곡물 베이스 퍼핑 장치를 이용하는 통곡물 퍼핑 과자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통곡물 퍼핑 과자
JPH0135196Y2 (ko)
KR101384617B1 (ko) 떡어묵 성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6